KR20220084426A -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426A
KR20220084426A KR1020227019465A KR20227019465A KR20220084426A KR 20220084426 A KR20220084426 A KR 20220084426A KR 1020227019465 A KR1020227019465 A KR 1020227019465A KR 20227019465 A KR20227019465 A KR 20227019465A KR 20220084426 A KR20220084426 A KR 20220084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optionally substituted
hydrogen atom
pyrrolo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츠시 하스오카
야스요시 아리카와
Original Assignee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786398&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2008442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84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42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indolizine, beta-carbo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6Anti-spasmodics, e.g. drugs for colics, esophagic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Abstract

뛰어난 양성자 펌프 활성을 가지며, 생체내에서 양성자 펌프 저해제로 변환되어 항종양 활성 등을 나타내는 화합물. 이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이다:
Figure pat00067

[식 중, 각 기호는 본 명세서 중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다].

Description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PYRROLO[2,3-c]PYRIDINE COMPOU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본 발명은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이다.
소화성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는 오메프라졸로 대표되는 양성자 펌프 저해제가 널리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양성자 펌프 저해제에는 효과, 부작용 면에서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기존의 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산성 조건하에서 불안정하기 때문에 장용제제 (enteric-coated preparation) 로서 처방되는 경우가 많고, 그 경우 작용의 발현까지 수시간을 요한다. 또, 기존의 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대사효소 다형(polymorphism)에 기초한 치료 효과의 편차 및 디아제팜 등의 약제와의 약물 상호작용이 우려되므로,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갖는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로서, JP-A-6-247967 호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pat00001
.
또한,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갖는 이미다조[1,2-a]피리딘 화합물로서, WO03/018582 팜플렛에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Figure pat00002
.
발명의 개시
공지의 양성자 펌프 저해제와 같이 위산의 분비를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또한 공지의 양성자 펌프 저해제의 문제점인, 산성 조건하에서의 불안정성, 대사효소다형에 기초한 효과의 편차 및 약제간 상호작용을 개선한 약제는, 소화성 궤양 및 역류성 식도염 등에 대하여 보다 뛰어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상황으로는 이러한 요건을 충분히 만족하는 양성자 펌프 저해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한 뛰어난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갖는 화합물, 그리고 이들의 제조 방법 및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여러 가지로 검토한 결과, 화학식 (I):
Figure pat00003
[식 중,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X 는 결합, O, S, CH2 또는
Figure pat00004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를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A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이하, 화합물 (I) 로 약기]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또한 이 화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식 (II) :
Figure pat00005
[식 중, 고리 B 는 임의 치환되는 피리딘 고리를, 고리 C 는 R7 이외에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피롤 고리를, R7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 또는 그 염 [이하, 화합물 (II) 로 약기] 을 함유하는 양성자 펌프 저해제의 생성에 최초로 성공하였고, 해당 화합물이 예상밖으로 매우 강한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갖고 있고, 약학적 제제으로서 충분히 만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에 관한 것이다:
[1] 화합물 (I)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2] 상기 [1] 에 있어서,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C7-16 아르알킬옥시, C3-7 시클로알킬 및 5- 또는 6-원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또는 iv) C1-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되는 C7-16 아르알킬기인 화합물,
[3] 상기 [1] 에 있어서, R2 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또는 i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인 화합물,
[4] 상기 [1] 에 있어서, R3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iv) C6-14 아릴기, v) 포르밀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할로겐원자 또는 viii) 시아노기인 화합물,
[5] 상기 [1] 에 있어서, R4 및 R5 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7-16 아르알킬기, iv) 할로겐원자, v) 시아노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카르바모일기, vii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ix)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x)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xi)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x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인 화합물,
[6] 상기 [1] 에 있어서, X 가 결합, O, S, CH2 또는
Figure pat00006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낸다) 인 화합물,
[7] 상기 [1] 에 있어서, m 이 1 인 화합물,
[8] 상기 [1] 에 있어서, A 가 i)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6-14 아릴기, 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 iii) 2,3-디히드로-1H-인덴-1-일기 또는 iv)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기인 화합물,
[9] 상기 [1] 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N-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벤질-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2,3-디히드로-1H-인덴-1-일)-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및
N-[7-(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딜)]벤즈아미드,
[10] 상기 [1] 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11]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at00007
[식 중, Y 는 이탈기를,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또는 그 염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at00008
[식 중, Xa 는 O, S 또는
Figure pat00009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를,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A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또는 그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제조 방법:
Figure pat00010
[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12]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pat00011
[식 중, Y 는 이탈기를 나타내고,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13] 상기 [1] 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14] 화합물 (II) 를 함유하는 양성자 펌프 저해제,
[15] 상기 [13] 에 있어서,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l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및 예방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인 약학적 제제,
[16] 포유동물에 대하여, 상기 [1] 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l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제균 방법;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 방법,
[17]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1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및 예방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1] 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의 용도,
[18]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at00012
[식 중,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R3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알킬카르보닐기, 카르바모일기,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아실옥시기, 치환 술포닐기, 치환 술피닐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X 는 결합, O, S, CH2 또는 NR6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을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A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19] 상기 [18] 에 있어서,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C7-16 아르알킬옥시, C3-7 시클로알킬 및 5- 또는 6-원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또는 iv) C1-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되는 C7-16 아르알킬기인 화합물,
[20] 상기 [18] 에 있어서, R2 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 및 C6-14 아릴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인 화합물,
[21] 상기 [18] 에 있어서, R3 이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또는 iii) C6-14 아릴기인 화합물,
[22] 상기 [18] 에 있어서, R4 및 R5 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7-16 아르알킬기, iv) 할로겐원자, v) 시아노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카르바모일기, viii)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ix)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x)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또는 xi)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인 화합물,
[23] 상기 [18] 에 있어서, X 가 결합, O, S, CH2 또는 NR6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나타냄) 인 화합물,
[24] 상기 [18] 에 있어서, m 이 1 인 화합물,
[25] 상기 [18] 에 있어서, A 가 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6-14 아릴기 또는 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인 화합물.
화합물 (I) 을 포함하는 화합물 (II) 는, 뛰어난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11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 등의 임상상 유용한 예방 또는 치료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화합물 (I) 및 화합물 (II) 는, 독성이 낮고, 수용성, 체내 동태, 약효 발현의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약학적 제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화합물 (I) 및 화합물 (II) 는, 산성 조건하에서도 안정적이기 때문에, 장용제제로 하지 않고 통상의 정제 등으로서 경구 투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정제 등의 제제를 작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하력이 약한 병자, 특히 노인 및 어린이가 복용하기 쉽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구나, 장용제제와 같은 서방 효과는 없기 때문에, 위산분비 억제작용의 발현이 빨라, 통증 등의 증상의 개선이 빠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상기 화학식 (I) 중,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낸다.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사슬형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기 (예, 알킬,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아릴, 아르알킬, 식:
Figure pat00013
(식 중, n 은 1 또는 2 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탄소수 1 내지 16 개의 사슬형 또는 고리형 탄화수소기 등이 바람직하다.
"알킬"로는, 예를 들어 C1-6 알킬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등) 등이 바람직하다.
"알케닐"로는, 예를 들어 C2-6 알케닐 (예,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2-메틸-2-프로페닐, 1-메틸-2-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등) 등이 바람직하다.
"알키닐"로는, 예를 들어 C2-6 알키닐 (예, 에티닐, 프로파르길, 1-부티닐, 2-부티닐, 3-부티닐, 1-헥시닐 등) 등이 바람직하다.
"시클로알킬"로는, 예를 들어 C3-7 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등) 등이 바람직하다.
"아릴"로는, 예를 들어 C6-14 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2-비페닐릴, 3-비페닐릴, 4-비페닐릴, 2-안트릴 등) 등이 바람직하다.
"아르알킬"로는, 예를 들어 C7-16 아르알킬 (예,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2,2-디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1-페닐에틸 등) 등이 바람직하다.
식:
Figure pat00014
(식 중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로 표시되는 기로는,
Figure pat00015
등을 들 수 있다.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의 치환기로는, 하기 중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 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1) 할로겐원자 (예,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
(2) 니트로,
(3) 시아노,
(4) 히드록시,
(5)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를 임의로 갖는 C1-6 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플루오로메톡시 등),
(6) C6-14 아릴옥시 (예, 페닐옥시, 나프틸옥시 등),
(7) C7-16 아르알킬옥시 (예, 벤질옥시, 페네틸옥시, 디페닐메틸옥시, 1-나프틸메틸옥시, 2-나프틸메틸옥시, 2,2-디페닐에틸옥시, 3-페닐프로필옥시, 4-페닐부틸옥시, 5-페닐펜틸옥시 등),
(8) 메르캅토,
(9)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를 임의로 갖는 C1-6 알킬티오 (예, 메틸티오, 디플루오로메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4,4,4-트리플루오로부틸티오, 펜틸티오, 헥실티오 등),
(10) C6-14 아릴티오 (예, 페닐티오, 나프틸티오 등),
(1l) C7-16 아르알킬티오 (예, 벤질티오, 페네틸티오, 디페닐메틸티오, 1-나프틸메틸티오, 2-나프틸메틸티오, 2,2-디페닐에틸티오, 3-페닐프로필티오, 4-페닐부틸티오, 5-페닐펜틸티오 등),
(12) 아미노,
(13) 모노-C1-6 알킬아미노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등),
(14) 모노-C6-14 아릴아미노 (예, 페닐아미노, 1-나프틸아미노, 2-나프틸아미노 등),
(15) 모노-C7-16 아르알킬아미노 (예, 벤질아미노 등),
(16) 디-C1-6 알킬아미노 (예,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
(17) 디-C6-14 아릴아미노 (예, 디페닐아미노 등),
(18) 디-C7-16 아르알킬아미노 (예, 디벤질아미노 등),
(19) 포르밀,
(20) C1-6 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21) C6-l4 아릴-카르보닐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22) 카르복실,
(23) C1-6 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24)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등),
(25) 카르바모일,
(26) 티오카르바모일,
(27)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28)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
(29) C6-14 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1-나프틸카르바모일, 2-나프틸카르바모일 등),
(30) C1-6 알킬술포닐 (예,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등),
(31) C6-14 아릴술포닐 (예, 페닐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등),
(32) C1-6 알킬술피닐 (예, 메틸술피닐, 에틸술피닐 등),
(33) C6-14 아릴술피닐. (예, 페닐술피닐, 1-나프틸술피닐, 2-나프틸술피닐 등),
(34) 포르밀아미노,
(35)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예, 아세틸아미노 등),
(36) C6-14 아릴-카르보닐아미노 (예, 벤조일아미노, 나프토일아미노 등),
(37)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예,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등),
(38)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예,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등),
(39) C6-14 아릴술포닐아미노 (예, 페닐술포닐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 1-나프틸술포닐아미노 등),
(40) C1-6 알킬-카르보닐옥시 (예,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등),
(41) C6-14 아릴-카르보닐옥시 (예, 벤조일옥시, 나프틸카르보닐옥시 등),
(42)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등),
(43)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메틸카르바모일옥시, 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4)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 디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5) C6-14 아릴-카르바모일옥시 (예,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나프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6)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내지 10-원 복소환기 (예,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피페라진-1-일,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헥사히드로아제핀-1-일 등의 비방향족 복소환기; 2-티에닐, 3-티에닐,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퀴놀릴,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8-퀴놀릴,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2-벤조티아졸릴, 2-벤조[b]티에닐, 3-벤조[b]티에닐, 2-벤조[b]푸라닐, 3-벤조[b]푸라닐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
(47) C1-3 알킬렌디옥시 (예,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48) C3-7 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등) .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의 치환기로서 옥소기는 포함하지 않는다.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C7-16 아르알킬옥시, C3-7 시클로알킬 및 5- 또는 6-원 복소환기 (예, 피페라진-1-일, 모르폴리노, 2-피리딜 등) 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또는 (iii) C1-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되는 C7-16 아르알킬기 등이 바람직하다.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의 "아실기"로는, 유기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되는 탄소수 1 내지 20 의 아실기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C1-7 알카노일기 (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헵타노일 등), C6-14 아릴-카르보닐기 (예, 벤조일, 나프탈렌카르보닐 등),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예, 페녹시카르보닐기), C7-19 아르알킬-카르보닐기 (예, 벤질카르보닐, 페네틸카르보닐, 페닐프로필카르보닐 등의 페닐-C1-4 알킬카르보닐, 벤즈히드릴카르보닐, 나프틸에틸카르보닐 등의 나프틸-C1-4 알킬카르보닐 등), C7-19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기 (예, 벤질옥시카르보닐 등의 페닐-C1-4 알킬옥시카르보닐 등), 5- 또는 6-원 복소환-카르보닐기 또는 축합 복소환-카르보닐기 (예, 2- 또는 3-피롤릴카르보닐 등의 피롤릴카르보닐; 3-, 4- 또는 5-피라졸릴카르보닐 등의 피라졸릴카르보닐; 2-, 4- 또는 5-이미다졸릴카르보닐 등의 이미다졸릴카르보닐; 1,2,3-트리아졸-4-일카르보닐, 1,2,4-트리아졸-3-일카르보닐 등의 트리아조릴카르보닐; 1H- 또는 2H-테트라졸-5-일카르보닐 등의 테트라졸릴카르보닐; 2- 또는 3-푸릴카르보닐 등의 푸릴카르보닐; 2- 또는 3-티에닐카르보닐 등의 티에닐카르보닐; 2-, 4- 또는 5-옥사졸릴카르보닐 등의 옥사졸릴카르보닐; 3-, 4- 또는 5-이속사졸릴카르보닐 등의 이속사졸릴카르보닐; 1,2,3-옥사디아졸-4- 또는 5-일카르보닐, 1,2,4-옥사디아졸-3- 또는 5-일카르보닐, 1,2,5-옥사디아졸-3- 또는 4-일카르보닐, 1,3,4-옥사디아졸-2-일카르보닐 등의 옥사디아졸릴카르보닐; 2-, 4- 또는 5-티아졸릴카르보닐 등의 티아졸릴카르보닐; 3-, 4- 또는 5-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등의 이소티아졸릴카르보닐; 1,2,3-티아디아졸-4- 또는 5-일카르보닐, 1,2,4-티아디아졸-3- 또는 5-일카르보닐, 1,2,5-티아디아졸-3- 또는 4-일카르보닐, 1,3,4-티아디아졸-2-일카르보닐 등의 티아디아졸릴카르보닐; 2- 또는 3-피롤리디닐카르보닐 등의 피롤리디닐카르보닐; 2-, 3- 또는 4-피리딜카르보닐 등의 피리딜카르보닐; 2-, 3- 또는 4-피리딜-N-옥시도카르보닐 등의 질소원자가 산화된 피리딜카르보닐; 3- 또는 4-피리다지닐카르보닐 등의 피리다지닐카르보닐; 3-, 4-, 5- 또는 6-피리다지닐-N-옥시도카르보닐 등의 1 개 또는 두 질소원자가 산화된 피리다지닐; 2-, 4- 또는 5-피리미디닐카르보닐 등의 피리미디닐카르보닐; 2-, 4-, 5- 또는 6-피리미디닐-N-옥시도카르보닐 등의 1 개 또는 두 질소원자가 산화된 피리미디닐카르보닐; 피라지닐카르보닐; 2-, 3- 또는 4-피페리디닐카르보닐 등의 피페리디닐카르보닐; 피페라지닐카르보닐; 3H-인돌-2- 또는 3-일카르보닐 등의 인돌릴카르보닐; 2-, 3- 또는 4-피라닐카르보닐 등의 피라닐카르보닐; 2-, 3- 또는 4-티오피라닐카르보닐 등의 티오피라닐카르보닐; 3-, 4-, 5-, 6-, 7- 또는 8-퀴놀릴카르보닐 등의 퀴놀릴카르보닐; 이소퀴놀릴카르보닐; 피리도[2,3-d]피리미디닐카르보닐 (예, 피리도[2,3-d]피리미딘-2-일카르보닐); 1,5-, 1,6-, 1,7-, 1,8-, 2,6- 또는 2,7-나프티리디닐카르보닐 등의 나프티리디닐카르보닐 (예, 1,5-나프틸리딘-2- 또는 3-일카르보닐); 티에노[2,3-d]피리딜카르보닐 (예, 티에노[2,3-d]피리딘-3-일카르보닐); 피라지노퀴놀릴카르보닐 (예, 피라지노[2,3-b]퀴놀린-2-일카르보닐); 크로메닐카르보닐 (예, 2H-크로멘-2- 또는 3-일카르보닐 등) 등의 질소원자 (임의 산화된), 산소원자, 황원자 (임의로 1 또는 2-산화된) 등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또는 6-원 복소환-카르보닐기), 5- 또는 6-원 복소환-아세틸기 (예, 2-피롤릴아세틸, 3-이미다졸릴아세틸, 5-이속사졸릴아세틸 등의 질소원자 (임의 산화된), 산소원자, 황원자 (임의로 1 또는 2-산화된) 등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또는 6-원 복소환-아세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아실기의 치환기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아실기가, 알카노일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의 경우, 그 아실기는 1∼3 개의 알킬티오 (예,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등의 C1-4 알킬티오 등), 할로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tert-부톡시, n-헥실옥시 등의 C1-6 알콕시 등), 니트로, 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n-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n-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 등), 알킬아미노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n-프로필아미노, n-부틸아미노, tert-부틸아미노, n-펜틸아미노, n-헥실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디-(n-프로필)아미노, 디-(n-부틸)아미노 등의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 등), 알콕시이미노 (예, 메톡시이미노, 에톡시이미노, n-프로폭시이미노, tert-부톡시이미노, n-헥실옥시-이미노 등의 C1-6 알콕시이미노 등) 또는 히드록시이미노로 임의로 치환된다.
또, 상기 아실기가 아릴-카르보닐기,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아르알킬-카르보닐기,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기, 5- 또는 6-원 복소환-카르보닐기 또는 5- 또는 6-원 복소환-아세틸기인 경우, 아실기는 1∼5 개 (바람직하게는 1∼3 개) 의 알킬 (예,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sec-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n-헥실, 이소헥실 등의 C1-6 알킬, 시클로헥실 등의 C3-6 시클로알킬 등), 알케닐 (예, 알릴, 이소프로페닐, 이소부테닐, 1-메틸알릴, 2-펜테닐, 2-헥세닐 등의 C2-6 알케닐 등), 알키닐 (예, 프로파르길, 2-부티닐, 3-부티닐, 3-펜티닐, 3-헥시닐 등의 C2-6 알키닐 등), 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tert-부톡시, n-헥실옥시 등의 C1-6 알콕시 등), 아실 (예, 포르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헵타노일 등의 C1-7 알카노일; 벤조일, 나프탈렌카르보닐 등의 C6-14 아릴-카르보닐;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 부톡시카르보닐, 이소부톡시카르보닐, sec-부톡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 페녹시카르보닐 등의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페닐-C1-4 알킬-카르보닐 (예, 벤질카르보닐, 페네틸카르보닐, 페닐프로필카르보닐 등) 등의 C7-19 아르알킬-카르보닐; 페닐-C1-4 알킬옥시-카르보닐 (예, 벤질옥시카르보닐 등) 등의 C7-19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등), 니트로, 아미노, 히드록시, 시아노, 술파모일, 메르캅토, 할로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또는 알킬티오 (메틸티오, 에틸티오, n-프로필티오, 이소부틸티오 등의 C1-4 알킬티오 등) 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로는, 비치환된 카르바모일, N-모노 치환 카르바모일 및 N,N-2치환 카르바모일을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상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의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산소원자 및 황원자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 포함하는 5-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원,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원) 의 단환식 내지 3 환식 (바람직하게는 단환식 또는 2 환식)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2- 또는 3-티에닐, 2- 또는 3-푸릴, 1-, 2- 또는 3-피롤릴, 1-, 2- 또는 3-피롤리디닐, 2-, 4- 또는 5-옥사졸릴, 3-, 4- 또는 5-이속사졸릴, 2-, 4- 또는 5-티아졸릴, 3-, 4- 또는 5-이소티아졸릴, 3-, 4- 또는 5-피라졸릴, 2-, 3- 또는 4-피라졸리디닐, 2-, 4- 또는 5-이미다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H- 또는 2H-테트라졸릴 등의 탄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원 고리기, 2-, 3- 또는 4-피리딜, N-옥시도-2-, 3- 또는 4-피리딜, 2-, 4- 또는 5-피리미디닐, N-옥시도-2-, 4- 또는 5-피리미디닐, 티오모르폴리닐, 모르폴리닐, 피페리디노, 2-, 3- 또는 4-피페리딜, 티오피라닐, 1,4-옥사지닐, 1,4-티아지닐, 1,3-티아지닐, 피페라지닐, 트리아지닐, 3- 또는 4-피리다지닐, 피라지닐, N-옥시도-3- 또는 4-피리다지닐 등의 탄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6-원 고리기, 인돌릴, 벤조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프탈라지닐, 퀴나졸리닐, 퀴녹살리닐, 인돌리지닐, 퀴놀리지닐, 1,8-나프티리디닐, 디벤조푸라닐, 카르바졸릴, 아크리디닐, 페난트리디닐, 크로마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등과 같이, 탄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또는 6-원 고리기를 탄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또는 6-원 고리 (예, 벤젠 고리 등) 1 또는 2 개와 축합하여 형성되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탄소원자 이외에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내지 3 개 포함하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 등이 바람직하다.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의 치환기로는 하기 중에서 선택되는 1 ~ 3 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1)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2) 니트로,
(3) 시아노,
(4)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를 임의로 갖는 C1-6 알킬 (예, 메틸, 클로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트리클로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 에틸, 2-브로모에틸, 2,2,2-트리플루오로에틸, 펜타플루오로에틸, 프로필,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4,4,4-트리플루오로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5,5,5-트리플루오로펜틸, 헥실, 6,6,6-트리플루오로헥실 등),
(5) C6-14 아릴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비페닐릴, 2-안트릴 등),
(6) 히드록시,
(7)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를 임의로 갖는 C1-6 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이소부톡시, sec-부톡시, 펜틸옥시, 헥실옥시, 플루오로메톡시 등),
(8) C6-14 아릴옥시 (예, 페닐옥시, 나프틸옥시 등),
(9) C7-16 아르알킬옥시 (예, 벤질옥시, 페네틸옥시, 디페닐메틸옥시, 1-나프틸메틸옥시, 2-나프틸메틸옥시, 2,2-디페닐에틸옥시, 3-페닐프로필옥시, 4-페닐부틸옥시, 5-페닐펜틸옥시 등),
(10) 메르캅토,
(11) 1 내지 3 개의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를 임의로 갖는 C1-6 알킬티오 (예, 메틸티오, 디플루오로메틸티오, 트리플루오로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이소프로필티오, 부틸티오, 4,4,4-트리플루오로부틸티오, 펜틸티오, 헥실티오 등),
(12) C6-14 아릴티오 (예, 페닐티오, 나프틸티오 등),
(13) C7-16 아르알킬티오 (예, 벤질티오, 페네틸티오, 디페닐메틸티오, 1-나프틸메틸티오, 2-나프틸메틸티오, 2,2-디페닐에틸티오, 3-페닐프로필티오, 4-페닐부틸티오, 5-페닐펜틸티오 등),
(14) 아미노,
(15) 모노-C1-6 알킬아미노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등),
(16) 모노-C6-14 아릴아미노 (예, 페닐아미노, 1-나프틸아미노, 2-나프틸아미노 등),
(17) 모노-C7-16 아르알킬아미노 (예, 벤질아미노 등),
(18) 디-C1-6 알킬아미노 (예,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등),
(19) 디-C6-14 아릴아미노 (예, 디페닐아미노 등),
(20) 디-C7-16 아르알킬아미노 (예, 디벤질아미노 등),
(21) 포르밀,
(22) C1-6 알킬-카르보닐 (예, 아세틸, 프로피오닐 등),
(23) C6-14 아릴-카르보닐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등),
(24) 카르복실,
(25) C1-6 알콕시-카르보닐 (예,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등),
(26)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 (예, 페녹시카르보닐 등),
(27) 카르바모일,
(28) 티오카르바모일,
(29)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
(30)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예,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
(31) C6-14 아릴-카르바모일 (예, 페닐카르바모일, 1-나프틸카르바모일, 2-나프틸카르바모일 등),
(32) C1-6 알킬술포닐 (예,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등),
(33) C6-14 아릴술포닐 (예, 페닐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등),
(34) C1-6 알킬술피닐 (예, 메틸술피닐, 에틸술피닐 등),
(35) C6-14 아릴술피닐 (예, 페닐술피닐, 1-나프틸술피닐, 2-나프틸술피닐 등),
(36) 포르밀아미노,
(37)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예, 아세틸아미노 등),
(38) C6-14 아릴-카르보닐아미노 (예, 벤조일아미노, 나프토일아미노 등),
(39) C1-6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 (예, 메톡시카르보닐아미노, 에톡시카르보닐아미노, 프로폭시카르보닐아미노, 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 등),
(40) C1-6 알킬술포닐아미노 (예,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등),
(41) C6-14 아릴술포닐아미노 (예, 페닐술포닐아미노, 2-나프틸술포닐아미노, 1-나프틸술포닐아미노 등),
(42) C1-6 알킬-카르보닐옥시 (예, 아세톡시, 프로피오닐옥시 등),
(43) C6-14 아릴-카르보닐옥시 (예, 벤조일옥시, 나프틸카르보닐옥시 등),
(44)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등), .
(45)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메틸카르바모일옥시, 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6)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 (예, 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 디에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7) C6-14 아릴-카르바모일옥시 (예,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나프틸카르바모일옥시 등),
(48) 1 개의 질소원자 및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임의로 포함하는 5- 내지 7-원 포화 고리형 아미노 (예, 피롤리딘-1-일, 피페리디노, 피페라진-1-일,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헥사히드로아제핀-1-일 등),
(49)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 개 포함하는 5- 내지 10-원 방향족 복소환기 (예, 2-티에닐, 3-티에닐,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퀴놀릴, 3-퀴놀릴, 4-퀴놀릴, 5-퀴놀릴, 8-퀴놀릴, 1-이소퀴놀릴, 3-이소퀴놀릴, 4-이소퀴놀릴, 5-이소퀴놀릴, 1-인돌릴, 2-인돌릴, 3-인돌릴, 2-벤조티아졸릴, 2-벤조[b]티에닐, 3-벤조[b]티에닐, 2-벤조[b]푸라닐, 3-벤조[b]푸라닐 등),
(50) C1-3 알킬렌디옥시 (예,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등),
(51) C3-7 시클로알킬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등).
R1 로 표시되는 "치환 술포닐기"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술포닐기를 나타낸다. "치환 술포닐기"의 치환기로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상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및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1 로는,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C7-16 아르알킬옥시, C3-7 시클로알킬 및 5- 또는 6-원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또는 iv) 1∼3 개의 C1-6 알콕시로 임의 치환되는 C7-16 아르알킬기 등이 바람직하다.
R1 로는, 특히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등이 널리 이용되고, 그 중에서도, i) 수소원자 및 ii)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특히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 중,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여기서, R3 이 수소원자일 때, 상기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또, R3 이 수소원자일 때,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및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Ra, Rc 또는 Rd 로 표시되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로는, 시아노기, 아미디노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에 한한다.
Rb 로 표시되는 "치환기"로는, 할로겐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미디노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임의 치환되는 술파모일기, 임의 치환되는 히드록시기, 임의 치환되는 메르캅토기 등을 들 수 있다.
Ra, Rc 또는 Rd 로 표시되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및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a) C1-6 알킬기 (예,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펜틸, 헥실);
b) C2-6 알케닐기 (예,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2-부테닐);
c) C2-6 알키닐기 (예, 에티닐, 프로파르길, 2-부티닐);
d) 상기 C1-6 알킬기로 임의 치환되고, 벤젠 고리과 임의 축합되는 C3-8 시클로알킬기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헥실, 시클로헵틸, 시클로옥틸, 디히드로인데닐);
e) 상기 C1-6 알킬기로 임의 치환되고, 벤젠 고리과 임의 축합되는 C3-8 시클로알케닐기 (예, 시클로프로페닐, 시클로부테닐, 시클로펜테닐, 시클로헥세닐, 시클로헵테닐, 시클로옥테닐;
f) 상기 C1-6 알킬기로 임의 치환되는 C6-14 아릴기 (예, 페닐, 1-나프틸, 2-나프틸, 2-인데닐, 2-안트릴, 비페닐);
g) 상기 C1-6 알킬기로 임의 치환되는 C7-19 아르알킬기 (예, 벤질, 페네틸, 디페닐메틸, 트리페닐메틸, 1-나프틸메틸, 2-나프틸메틸, 2,2-디페닐에틸, 3-페닐프로필, 4-페닐부틸, 5-페닐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C1-3 알킬렌디옥시기 (예,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니트로기, 시아노기, 히드록시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티오기, C6-14 아릴옥시기 (예, 페녹시, 나프톡시), 5- 내지 7-원의 복소환 옥시기 (예, 테트라히드로피라닐옥시),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기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N-에틸-N-메틸아미노), 임의 치환되는 5- 내지 7-원의 복소환기,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티오카르바모일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C6-14 아릴-카르보닐기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 카르보닐기, C6-14 아릴옥시-카르보닐기 (예, 페닐옥시카르보닐, 1-나프틸옥시카르보닐, 2-나프틸옥시카르보닐), C7-19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기 (예, 벤질옥시카르보닐, 페네틸옥시카르보닐), 모노-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카르바모일-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카르바모일메틸카르바모일, 카르바모일에틸카르바모일), C6-14 아릴-카르바모일기 (예, 페닐카르바모일),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 카르바모일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술포닐기, C6-14 아릴술포닐기 (예, 페닐술포닐, 1-나프틸술포닐, 2-나프틸술포닐), 포르밀아미노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카르복사미드기, C6-l4 아릴-카르복사미드기 (예, 페닐카르복사미드, 나프틸카르복사미드), C1-6 알콕시-카르복사미드기 (예, 메톡시카르복사미드, 에톡시카르복사미드, 프로폭시카르복사미드, 부톡시카르복사미드, tert-부톡시카르복사미드),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예,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예, 아세톡시, 프로파노일옥시), C6-14 아릴-카르보닐옥시기 (예, 벤조일옥시, 1-나프토일옥시, 2-나프토일옥시),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모노-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옥시기 (예, 메틸카르바모일옥시, 에틸카르바모일옥시, 디메틸카르바모일옥시, 디에틸카르바모일옥시), C6-14 아릴-카르바모일옥시기 (예, 페닐카르바모일옥시, 나프틸카르바모일옥시), 5- 내지 6-원 복소환 카르보닐옥시기 (예, 니코티노일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의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5 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이다. 치환기 수가 2 개 이상인 경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Ra, Rc 또는 Rd 로 표시되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및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의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고리-구성 원자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각각 포함하는, (i) 방향족 복소환기, (ii) 비방향족 복소환기 및 (iii) 7- 내지 10-원 가교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방향족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고리-구성 원자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4-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원) 의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복소환기"의 예로는, 티에닐, 푸릴,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피리딜, 피라지닐, 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1,2,4-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2,4-티아디아졸릴, 1,3,4-티아디아졸릴, 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푸라자닐, 피라닐 등의 단환식 방향족 복소환기; 벤조티오페닐, 벤조푸라닐, 벤즈이미다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조티아졸릴, 벤즈이소티아졸릴, 나프토[2,3-b]티오페닐, 페녹사티이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1H-인다졸릴, 퓨리닐, 4H-퀴놀리지닐, 이소퀴놀릴, 퀴놀릴, 프탈라지닐, 나프티리디닐, 퀴녹살리닐, 퀴나졸리닐, 신놀리닐, 카르바졸릴, β-카르볼리닐, 페난트리디닐, 아크리디닐, 페나지닐, 페노티아지닐, 페녹사지닐, 프탈이미도 등의 축합 다환식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환식) 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비방향족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고리-구성 원자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질소원자, 황원자 및 산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4- 내지 14-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0-원) 의 비방향족 복소환기 등을 들 수 있다. "비방향족 복소환기"의 예로는, 아제티디닐,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피롤리닐, 피롤리디닐, 이미다졸리닐, 이미다졸리디닐, 옥사졸리닐, 옥사졸리디닐, 피라졸리닐, 피라졸리디닐, 티아졸리닐, 티아졸리디닐, 테트라히드로티아졸릴, 테트라히드로이소티아졸릴, 테트라히드로옥사졸릴, 테트라히드로이속사졸릴,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 디히드로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다지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아제파닐,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디아제파닐, 아제피닐, 아조카닐, 디아조카닐 등의 단환식 비방향족 복소환기; 및 디히드로벤조푸라닐, 디히드로벤즈이미다졸릴, 디히드로벤즈옥사졸릴, 디히드로벤조티아졸릴, 디히드로벤즈이소티아졸릴, 디히드로나프토[2,3-b]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이소퀴놀릴, 테트라히드로퀴놀릴, 인돌리닐, 이소인돌리닐, 테트라히드로티에노[2,3-c]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벤즈아제피닐, 테트라히드로퀴녹살리닐, 테트라히드로페난트리디닐, 헥사히드로페노티아지닐, 헥사히드로페톡사지닐, 테트라히드로프탈라지닐, 테트라히드로나프티리디닐, 테트라히드로퀴나졸리닐, 테트라히드로신놀리닐, 테트라히드로카르바졸릴, 테트라히드로-β-카르볼리닐, 테트라히드로아크리디닐, 테트라히드로페나지닐, 테트라히드로티옥산테닐, 옥타히드로이소퀴놀릴 등의 축합 다환식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 환식) 비방향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의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C1-3 알킬렌디옥시기 (예, 메틸렌디옥시, 에틸렌디옥시), 니트로기, 시아노기, 옥소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기, 카르바모일-C1-6 알킬기 (예, 카르바모일메틸), 임의로 할로겐화된 C3-6 시클로알킬기, C6-14 아릴기 (예, 페닐, 나프틸), C7-19 아르알킬기 (예, 벤질, 페네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티오기, 히드록시기, 아미노기,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기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프로필아미노, 이소프로필아미노, 부틸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디프로필아미노, 디부틸아미노, N-에틸-N-메틸아미노), 포르밀기, 카르복실기, 카르바모일기, 티오카르바모일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카르보닐기,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C6-14 아릴-카르보닐기 (예, 벤조일, 1-나프토일, 2-나프토일), 모노- 또는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N-에틸-N-메틸카르바모일), 모노- 또는 디-C7-19 아르알킬-카르바모일기 (예, 벤질카르바모일),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술포닐기, C6-14 아릴술포닐기 (예, 페닐술포닐), 술파모일기, 모노- 또는 디-C1-6 알킬-술파모일기 (예, 메틸술파모일, 에틸술파모일, 디메틸술파모일, 디에틸술파모일, N-에틸-N-메틸술파모일), 포르밀아미노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카르복사미드기, C1-6 알콕시-카르복사미드기 (예, 메톡시카르복사미드, 에톡시카르복사미드, 프로폭시카르복사미드, 부톡시카르복사미드), C1-6 알킬술포닐아미노기 (예, 메틸술포닐아미노, 에틸술포닐아미노),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예, 아세톡시, 프로파노일옥시),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예, 메톡시카르보닐옥시, 에톡시카르보닐옥시, 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 부톡시카르보닐옥시), 5 또는 6-원 방향족 복소환기 (예, 테트라졸릴, 티아졸릴, 옥사졸릴)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의 수는, 예를 들어 1 내지 3 개이다. 치환기 수가 2 개 이상인 경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Ra, Rc 또는 Rd 로 표시되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에 있어서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및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의 "아실기"로는, 예를 들어 -CORh-, -CO-ORh, -SO2Rh, -SORh, -PO(ORh)(ORi) [Rh 및 Ri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탄화수소기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냄] 등을 들 수 있다.
Rh 또는 Ri 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a 등에 있어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에 대하여 예시한 "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h 또는 Ri 로 표시되는 "복소환기"로는, Ra 에 있어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에 대하여 예시한 "복소환기"를 들 수 있다.
아실기는, 치환가능한 위치에 1∼3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가지고, 이러한 치환기로는, 예를 들어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기 (예, 메틸, 에틸);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기 (예, 메톡시, 에톡시);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C1-6 알킬기 (예, 메틸, 에틸) 로 임의로 1- 또는 2-치환되는 아미노기; C1-6 알콕시-카르복사미드기 (예, tert-부톡시카르복사미드) 등을 들 수 있다.
Ra, Rc 또는 Rd 로 표시되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및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술파모일기"로는, 예를 들어
(1) Ra 등으로 표시되는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및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및
(2) C1-6 알킬기 (예, 메틸, 에틸), C3-8 시클로알킬기 (예, 시클로프로필, 시클로헥실), C6-14 아릴기 (예, 페닐) 및 C7-19 아르알킬기 (예, 벤질) 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갖는 카르바모일기;
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치환기로 각각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아미노기 및 술파모일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및 술파모일기를 구성하는 질소원자가 2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 치환기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질소함유 복소환을 형성할 수 있다. "질소함유 복소환"으로는, 예를 들어 고리-구성 원자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적어도 1 개의 질소원자를 포함하고,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추가 함유하는 5- 내지 7-원 질소함유 복소환을 들 수 있다. 그 질소함유 복소환의 바람직한 예로는, 피롤리딘, 이미다졸리딘, 피라졸리딘, 피페리딘, 피페라진, 모르폴린, 티오모르폴린 등을 들 수 있다.
Rb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히드록시기" 및 "임의 치환되는 메르캅토기"로는, 예를 들어 Ra 등으로 표시되는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및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히드록시기 및 메르캅토기를 들 수 있다.
Re 로 표시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a 등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의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f 또는 Rg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a 등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f 또는 Rg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Ra 등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f 또는 Rg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로는, Ra 등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f 및 Rg 가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형성하는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 의 "질소함유 복소환기"로는, 예를 들어 고리-구성 원자로서 탄소원자 이외에 적어도 1 개의 질소원자를 포함하고, 산소원자, 황원자 및 질소원자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개의 헤테로원자를 임의로 추가 함유하는 5- 내지 7-원의 질소함유 복소환기 (예, 1-피롤리디닐, 1-이미다졸리디닐, 1-피라졸리디닐, 1-피페리디닐, 1-피페라지닐, 4-모르폴리닐, 4-티오모르폴리닐 등) 를 들 수 있다. 그 질소함유 복소환기는, 치환가능한 위치(들)에 1∼3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가지고, 이러한 치환기로는, 할로겐원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킬기, 임의로 할로겐화된 C1-6 알콕시기 등을 들 수 있다.
R3 으로는, 특히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다.
R2 또는 R3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2 로 표시되는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카르보닐, 에톡시카르보닐, 프로폭시카르보닐, tert-부톡시카르보닐, 펜틸옥시카르보닐, 헥실옥시카르보닐 등의 C1-6 알콕시-카르보닐을 들 수 있다.
R3 으로 표시되는 "알킬카르보닐기"로는, 예를 들어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릴, 이소부티릴, 펜타노일, 헥사노일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R3 으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R2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iii) C7-16 아르알킬기 등이 바람직하다.
R2 로는,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iii) C7-16 아르알킬기, i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 등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및 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가 바람직하다.
R3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iii) C6-14 아릴기, iv) C7-16 아르알킬기 등이 바람직하다.
R3 으로는,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iv) C6-14 아릴기, v) C7-16 아르알킬기, vi) 포르밀기, vi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i) 할로겐원자, ix) 시아노기 등이 널리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포르밀기, iv) C1-6 알킬-카르보닐기, v) 할로겐원자 및 vi) 시아노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가 바람직하다.
R2 및 R3 이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형성하는 고리 구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의 5 또는 6-원 고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피롤로[2,3-c]피리딘 고리과 함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Figure pat00016
[식 중,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상기 화학식 (I) 중,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는, R3 으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로는, 식: -OR8 (식 중, R8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R8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로는, 식: -SR9 (식 중, R9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R9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알킬카르보닐기"로는, R3 으로 표시되는 "알킬카르보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의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카르바모일, 에틸카르바모일 등의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이나, 디메틸카르바모일, 디에틸카르바모일, 에틸메틸카르바모일 등의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등을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아실옥시기"로는, 예를 들어 식: -O-R10 (식 중, R10 은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R10 으로 표시되는 아실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에 있어서의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치환 술포닐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치환 술포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및 R5 로 표시되는 "치환 술피닐기"로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술피닐기를 들 수 있다.
"치환 술피닐기"의 치환기로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치환 술피닐기"의 치환기로서의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에 있어서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로는, 예를 들어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pat00017
(식 중, R1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R1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11 및 R12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를 형성한다).
R11 또는 R12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11 또는 R12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여기서 R11 및 R12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를 형성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원 고리 (예, 피롤리디노, 피페리디노, 모르폴리노, 티오모르폴리노, 1-피페라지닐, 아지리디노, 아제티디노 등) 을 형성할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로는, 구체적으로 i) 알킬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또는 디(C1-6 알킬)아미노기 (예, 메틸아미노, 에틸아미노, n-프로필아미노, n-부틸아미노, tert-부틸아미노, n-펜틸아미노, n-헥실아미노, 디메틸아미노, 디에틸아미노, 메틸에틸아미노, 디-(n-프로필)아미노, 디-(n-부틸)아미노 등), ii) 시클로알킬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모노 또는 디(C3-6 시클로알킬)아미노기 (예, 시클로프로필아미노, 시클로펜틸아미노, 시클로헥실아미노, 디시클로헥실아미노 등), iii) 아릴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C6-14 아릴아미노기 (예, 아닐리노 등), N-C1-6 알킬-N-C6-14 아릴아미노 (예, N-메틸아닐리노 등), iv) 아르알킬아미노기, 바람직하게는 C7-19 아르알킬아미노기 (예, 벤질아미노, 1-페닐에틸아미노 등의 페닐-C1-4 알킬아미노, 벤즈히드릴아미노, 트리틸아미노 등), v) 아실아미노기 (예, 포름아미더, 아세트아미도, 프로피온아미드, 부티릴아미노, 펜타노일아미노, 헥사노일아미노, 2-옥소피롤리디노, 숙신이미도, 벤질카르보닐아미노, 페네틸카르보닐아미노, 벤조일아미노(벤즈아미도), 나프토일아미노, 프탈이미도, 티에닐카르보닐아미노, 벤조티에닐카르보닐아미노 등의 C1-6 알킬-카르보닐아미노, C6-14 아릴-카르보닐아미노, C7-19 아르알킬-카르보닐아미노, 복소환 카르보닐아미노 (그 복소환 카르보닐아미노에 있어서의 복소환기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에 있어서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의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나타냄) 등을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복소환-카르보닐기" 의 "복소환"으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에 있어서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의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복소환-카르보닐기"로는, 예를 들어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4 또는 R5 로는,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C7-16 아르알킬기, iv) 할로겐원자, v) 시아노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카르바모일기, vii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ix)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x)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xi)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x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시아노기, v) 카르바모일기, v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vii)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vi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 등이 널리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및 시아노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시아노기, v) 카르바모일기, v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vii)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vi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가 바람직하다. 특히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 중, X 는 결합, O, S, CH2 또는 하기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8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낸다].
R6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6 으로는, 수소원자, C1-6 알킬기 또는 C7-16 아르알킬기가 바람직하고, 특히 수소원자가 바람직하다.
X 로는, 결합, O 또는 하기가 널리 이용된다:
Figure pat00019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결합, O 또는 NH 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 중,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m 은 0 또는 1 이 바람직하고, 특히 m 은 1 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I) 중, A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A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A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i) 1∼5 개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6-10 아릴기 (예, 페닐, 나프틸 등), ii) 1∼5 개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7-16 아르알킬기 또는 iii) 식:
Figure pat00020
(식 중, p 는 1 또는 2 를, R13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가 널리 이용된다. 그 중에서도 페닐기가 바람직하다.
R13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13 으로 표시되는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탄화수소기"로는,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C3-7 시클로알킬 및 C1-6 알킬아미노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7-16 아르알킬기, iii) C2-7 알케닐기, iv)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6-14 아릴기 (예, 페닐 등) 가 바람직하다.
R13 으로는, i) 수소원자 또는 i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A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에 있어서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A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시아노, 할로겐원자 (예, 염소, 불소 등), C1-6 알킬 (예, 메틸, 에틸 등), C1-6 알콕시 (예, 메톡시, 에톡시 등) 및 C7-12 아르알킬옥시-카르보닐 (예, 벤질옥시카르보닐 등) 등에서 선택되는 1 내지 4 개의 치환기를 임의로 갖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 (예, 티에닐, 푸릴, 피리딜 등) 등이 바람직하다.
A 로는, 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6-14 아릴기 (예, 페닐기 등), ii)
Figure pat00021
(식 중, R13 은 i) 수소원자 또는 i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
i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5- 또는 6-원 복소환기 (예, 티에닐기, 푸릴기, 피리딜기 등) 등이 널리 이용된다. 특히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페닐기, 및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티에닐기가 바람직하다.
화합물 (I) 로는,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22
[식 중,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X 는 결합, O, S, CH2 또는
Figure pat00023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를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A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화합물 (I) 로는,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기이고, R2 가, i)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 C7-16 아르알킬기 또는 i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R3 이,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포르밀기, iv) C1-6 알킬-카르보닐기, v) 할로겐원자 또는 vi) 시아노기이고, R4 및 R5 가, 각각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시아노, v) 카르바모일, v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vii)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vi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이고, X 가 결합, O 또는
Figure pat00024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이고, m 이 0 내지 2 의 정수이고, A 가 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페닐기, 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티에닐기, i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푸릴기, iv)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피리딜기 또는 v) 식:
Figure pat00025
(식 중, p 는 1 을, R13 은 i) 수소원자 또는 i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 등인 화합물 (단, R1 및 R3 은 동시에 수소원자가 아니다) 또는 그 염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합물 (I) 로는,
(1)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기이고,
R2 가, i)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또는 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이고,
R3 이, i)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ii) 포르밀기, iii) C1-6 알킬-카르보닐기, iv) 할로겐원자 또는 v) 시아노기이고,
R4 및 R5 가, 각각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및 시아노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시아노, v) 카르바모일, v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임의 치환되는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vii) 디-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vi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이고,
X 가 결합, O 또는
Figure pat00026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이고,
m 이 1 이고,
A 가,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페닐기 또는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티에닐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및
(2)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i) C7-16 아르알킬기이고,
R2 가,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이고,
R3 이,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4 알킬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프로필 등) 이고,
R4 및 R5 가, 각각 i) 수소원자, ii) 히드록시 및 시아노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iii) 할로겐원자, iv) 시아노, v) 카르바모일, vi)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 또는 vii) 디-C1-6 알킬-카르바모일이고,
X 가 결합 또는 NH 이고,
m 이 0 또는 1 이고,
A 가, 식:
Figure pat00027
(식 중, p 는 1 을, R13 이 수소원자, 또는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1∼4 개의 치환기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인 화합물 또는 그 염 등이 바람직하다.
화합물 (I) 로는, 예를 들어,
N-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벤질-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2,3-디히드로-1H-인덴-1-일)-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N-[7-(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딜)]벤즈아미드,
N-(2,6-디메틸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등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에 있어서, 고리 B 는 임의 치환되는 피리딘 고리를, 고리 C 는 2 위치에 있어서 치환기 R7 이외에 임의로 추가로 치환기를 갖는 피롤 고리를, R7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고리 B 에서의 피리딘 고리의 치환기로는, i)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ii) 시아노기, iii) 니트로기, i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v)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vi)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vii)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viii)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ix) 임의 치환되는 아실옥시기, x) 치환 술포닐기, xi) 치환 술피닐기, xii)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및 xiii)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1∼3 개의 치환기가 바람직하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로는,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로는,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아실옥시기"로는, 식: -O-R14 (식 중, R14 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냄) 로 표시되는 기를 들 수 있다.
R14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치환 술포닐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치환 술포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치환 술피닐기"로는,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치환 술피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로는, R4 또는 R5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에 있어서의 카르바모일기의 치환기로서 예시한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고리 C 에서의 피롤 고리가, 치환기 R7 이외에 임의로 갖는 치환기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이거나, 또는 피롤로[2,3-c]피리딘 고리의 2 위치 및 3 위치에 있어서의 치환기가, 인접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한다.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치환 술포닐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치환 술포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피롤로[2,3-c]피리딘 고리의 2 위치 및 3 위치에 있어서의 치환기가, 인접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형성하는 고리 구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탄 고리, 시클로헥산 고리 등의 5 또는 6-원 고리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피롤로[2,3-c]피리딘과 함께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고리 구조가 형성된다:
Figure pat00028
[식 중,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R7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R1 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R7 로 표시되는 "알콕시카르보닐기"로는, R2 로 표시되는 "알콕시카르보닐기" 와 유사한 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합물 (I) 이다.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의 염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염, 암모늄염, 유기염기와의 염, 무기산과의 염, 유기산과의 염, 염기성 또는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 등을 들 수 있다. 금속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의 알칼리 토금속염; 알루미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염기와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피리딘, 피콜린, 2,6-루티딘,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디시클로헥실아민, N,N'-디벤질에틸렌디아민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무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유기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포름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말산, 메탄술폰산, 벤젠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르기닌, 리신, 오르니틴 등과의 염을 들 수 있고, 산성 아미노산과의 염의 바람직한 예로는,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등과의 염을 들 수 있다.
이 중, 약학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염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화합물내에 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알칼리 금속염 (예, 나트륨염, 칼륨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예,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등) 등의 무기염,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내에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경우에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황산, 인산 등의 무기산과의 염, 및 아세트산, 프탈산, 푸마르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시트르산, 숙신산, 메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등의 유기산과의 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II) 의 제조 방법에 관해 이하에 서술한다. 하기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 또는 그 염은:
Figure pat00029
[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피리딘 고리의 2 위치, 5 위치 및 6 위치에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3-니트로피리딘과, 이소프로페닐마그네슘할라이드, 1-메틸-1-프로페닐마그네슘할라이드 등의 비닐 그리냐르 시약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피리딘 고리의 치환기로는,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의 고리 B 의 치환기와 유사한 치환기를 들 수 있다.
본 반응에 있어서, 피리딘 고리의 2 위치, 5 위치 및 6 위치에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3-니트로피리딘의 2 위치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 C7-16 아르알킬옥시 (예, 벤질옥시, 페네틸옥시 등) 또는 디-C7-16 아르알킬아미노 (예, 디벤질아미노 등) 로 치환된 것이 바람직하고, 피리딘 고리의 2 위치, 5 위치 및 6 위치에 임의로 치환기를 갖는 3-니트로피리딘 1 몰 당 그리냐르 시약을 약 1.0∼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4.0 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78℃∼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78℃∼약 0℃ 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의 제조 방법에 관해 이하의 화합물 (Ia), 화합물 (Ib), 화합물 (Ic) 및 화합물 (Id) 의 제조 방법을 인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서술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Ia), 화합물 (Ib), 화합물 (Ic) 및 화합물 (Id) 는, 예를 들어 이하의 반응식으로 표시되는 방법 또는 이에 준하는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식 중의 화합물은 염의 형태를 포함하고, 이러한 염으로는, 예를 들어 화합물 (I) 의 염과 유사한 것 등이 사용된다.
또, 각 공정에서 얻어진 화합물은 반응 혼합물 또는 조생성물로서 다음 반응에 직접 사용할 수도 있지만, 통상의 방법에 따라서 반응 혼합물로부터 단리할 수도 있고, 재결정, 증류,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리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정제할 수 있다.
이하에 반응식의 개략도를 나타내며, 여기서 R2, R3, R4, R5, m, A 및 Y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Figure pat00030
화합물 (III) (화학식 (III) 중, Y 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페녹시기 등의 이탈기를,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는 자체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Chem. Pharm. Bull.) 36권, 2244페이지 (1988), Journal of Heterocyclic Chemistry (J. Heterocyclic. Chem.) 33권, 287페이지 (1996)]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에 준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Xb 가 O, S 또는 NR6 (단, R6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인 화합물 (IV) 은, 화합물 (III) 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31
[식 중, Xb 는 O, S 또는 NR6 (여기서, R6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R6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상기 R1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후자의 화합물은, 화합물 (III)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10.0 몰 사용된다.
본 반응은 무용매 또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알코올류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염기의 사용이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 등의 3차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III) 1 몰에 대하여 약 0.1∼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5.0 몰이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0∼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25∼약 100℃ 이다.
Xb 가 결합 또는 CH2 인 화합물 (IV) 는, 화합물 (III) [여기서, Y 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등의 할로겐원자를,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과 하기 식:
Figure pat00032
[식 중, Xb 는 결합 또는 CH2 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붕소산 유도체로부터, 자체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Tetrahedron 58권, 1465페이지 (2002)]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에 준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IV) [화학식 (IV) 중, Xb 는 결합, O, S, CH2 또는 NR6 (여기서, R6 은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냄) 를,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와, 하기 식:
Figure pat00033
[식 중, Za 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고, 그 밖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이소프로페닐마그네슘할라이드, 1-메틸-1-프로페닐마그네슘할라이드 등의 비닐 그리냐르 시약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Ia) 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반응에 있어서, 화합물 (IV) 1 몰에 대하여 그리냐르 시약을 약 1.0∼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3.0∼약 4.0 몰 사용한다.
본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78℃∼약 50℃, 바람직하게는 약 -78℃∼약 0℃ 이다.
화합물 (III) (여기서, Y 는 염소원자,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등의 할로겐원자를,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은, 화합물 (IV) 로부터 화합물 (Ia) 를 제조하는 상기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화합물 (V) 로 변환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V) 와 하기 식:
Figure pat00034
[식 중, Xa 는 O, S 또는
Figure pat00035
(R6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Ib) 를 제조할 수 있다.
후자의 화합물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1∼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약 10 몰 사용된다.
이 반응에 있어서, 염기의 공존이 유효한 경우가 있다. 그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등의 3차 아민류,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나트륨 tert-부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등의 금속 알콕시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양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5∼약 3.0 몰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구리, 구리염 등의 촉매를 사용할 수 있고, [Chemistry Letters, 927페이지 (1983)]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팔라듐이나 니켈 등의 촉매와 리간드 (예를 들어 포스핀이나 피리딘류 등) 를 사용할 수 있다.
"구리 촉매"로는, 구리, 할로겐화구리 (CuI, CuBr, CuCl 등), 산화구리(CuO)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구리 촉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약 2.0 몰이다.
"리간드"로는 포스핀이 바람직하고, 트리알킬포스핀, 트리아릴포스핀(2,2'-비스(디페닐포스피노)-1,1'-비나프틸,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잔틴 등), 트리알콕시포스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리간드의 사용량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1.0 몰이다.
"팔라듐 촉매"로는, 아세트산팔라듐, 염화팔라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팔라듐 촉매의 사용량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0.001 내지 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01 내지 약 0.5 몰이다.
본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예,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5 분∼약 48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5 분∼약 16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0℃∼약 250℃, 바람직하게는 약 25℃∼약 200℃ 이다.
화합물 (VI) [화학식 (VI) 중, Y 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페녹시기 등의 이탈기를, R15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염기 존재하, 화합물 (V) [화학식 (V) 중, Y 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페녹시기 등의 이탈기를,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와 식: R15-L [식 중, L 은 할로겐원자, 알킬술포닐, 알킬술포닐옥시 또는 아릴술포닐옥시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R15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L 로 표시되는 할로겐원자로는, 불소원자, 염소원자, 브롬원자, 요오드원자를 들 수 있다.
L 로 표시되는 알킬술포닐로는, 예를 들어 메틸술포닐, 에틸술포닐, 프로필술포닐 등의 C1-6 알킬술포닐을 들 수 있다.
L 로 표시되는 알킬술포닐옥시로는, 예를 들어 메틸술포닐옥시, 에틸술포닐옥시, 프로필술포닐옥시 등의 C1-6 알킬술포닐옥시를 들 수 있다.
L 로 표시되는 아릴술포닐옥시로는, 예를 들어 페닐술포닐옥시 등의 C6-10 아릴술포닐옥시를 들 수 있다.
R15 의 예로 열거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및 치환 술포닐기로는, 상기 R1 에 있어서 예시한 기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R15-L 을 약 1.0∼약 5.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5∼약 3.0 몰 사용한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 등의 3차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V)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5∼약 3.0 몰이다.
본 반응은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할로겐화탄화수소류 (예,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등)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용매 또는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0℃∼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0℃∼약 100℃ 이다.
화합물 (VI) [화학식 (VI) 중, Y 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페녹시기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화합물 (V) 로부터 화합물 (Ib) 을 제조하는 상기 방법과 유사한 방법에 의해 화합물 (Ic) 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화합물 (Ib) 및 화합물 (Ic) 를 얻는 반응 공정에서 얻어지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at00036
[식 중, Y 는 할로겐원자 (예,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페녹시기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R1 은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 임의 치환되는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R3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고리 구조를 형성하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시아노, 니트로,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옥시기,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티오기, 알킬카르보닐기,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아실옥시기, 치환 술포닐기, 치환 술피닐기, 임의 치환되는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기, C6-14 아릴기 및 C3-7 시클로알킬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들)로 임의 치환되는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수소원자,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임의 치환되는 복소환기 또는 임의 치환되는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임의로 치환기(들)을 갖는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V)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at00037
[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또는 하기 화학식 (V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은 신규 화합물이고, 본 발명의 화합물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38
[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이 중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7-클로로-2-메틸피롤로[2,3-c]피리딘, 7-클로로-2,3-디메틸피롤로[2,3-c]피리딘 또는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39
화합물 (VII) [화학식 중, Xc 는 O, S 또는 NR6' (여기서, R6' 는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또는 N-보호기를 나타냄) 를 나타내고, 그 밖의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자체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Heterocycles 57권, 2335페이지 (2002년)] 등에 기재된 방법, 또는 이에 준한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R6'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로는, 상기 R1 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R6' 으로 표시되는 N-보호기로는, tert-부톡시카르보닐기 [BOC 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Cbz 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VIII) [화학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화합물 (VII) 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40
[식 중, L 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할로겐원자, 알킬술포닐, 알킬술포닐옥시 또는 아릴술포닐옥시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다른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후자의 화합물은, 화합물 (VII)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2.0 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무용매 또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테르류 (예,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알코올류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부틸리튬, 칼륨에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나트륨메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등의 금속 염기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 등의 금속 아미드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 등의 3차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VII) 1 몰에 대하여 약 0.1∼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5.0 몰이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78℃∼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0℃∼약 50℃ 이다.
화합물 (IX) [화학식 중,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화합물 (VIII) 와 하기 식을 염기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41
[식 중, L' 은 할로겐원자, 알콕시, 2-메틸-1-아지리디닐, N,O-디메틸히드록시아미노, 모르폴리노 등의 이탈기를 나타내고, 다른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후자의 화합물은, 화합물 (VIII)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2.0 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무용매 또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테르류 (예,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류, 부틸리튬, 칼륨에톡시드, 칼륨 tert-부톡시드 등의 금속 염기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 등의 금속 아미드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 등의 3차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VIII) 1 몰에 대하여 약 0.1∼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5.0 몰이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78℃∼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0℃∼약 50℃ 이다.
화합물 (X) [화학식 중,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는 화합물 (IX) 와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R3-L
[식 중, R3 은 수소원자 또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L 은 상기와 같은 할로겐원자, 알킬카르복시, 알킬술포닐, 알킬술포닐옥시 또는 아릴술포닐옥시 등의 이탈기를 나타낸다].
R3 으로 표시되는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로는, 상기 R1 에 있어서의 "임의 치환되는 탄화수소기" 와 유사한 것을 들 수 있다.
후자의 화합물은, 화합물 (IX) 1 몰에 대하여 약 1.0∼약 10 몰, 바람직하게는 약 1.0∼약 2.0 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은 무용매 또는 반응에 불활성인 용매를 사용하여 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용매로는, 반응이 진행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에테르류 (예,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 탄화수소류 (예, 벤젠, 톨루엔, 시클로헥산, 헥산 등), 아미드류 (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 등의 용매, 그들의 혼합 용매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반응에서 염기의 사용이 효과적인 경우가 있다. 염기로는, 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소화나트륨 등의 무기 염기류, 부틸리튬, 칼륨에톡시드, 칼륨 t-부톡시드 등의 금속 염기류,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리튬헥사메틸디실라지드 등의 금속 아미드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세슘, 탄산수소나트륨 등의 염기성 염류, 피리딘, 루티딘 등의 방향족 아민류,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트리부틸아민, 시클로헥실디메틸아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N-메틸피페리딘, N-메틸피롤리딘, N-메틸모르폴린 등의 3차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염기의 사용량은, 화합물 (IX) 1 몰에 대하여 약 0.1∼약 10.0 몰, 바람직하게는 약 0.1∼약 5.0 몰이다.
반응 시간은, 사용하는 시약 및 용매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약 30 분∼약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약 30 분∼약 8 시간이다.
반응 온도는 통상 약 -78℃∼약 100℃, 바람직하게는 약 0℃∼약 50℃ 이다.
화합물 (Id) 는 화합물 (IX) 또는 (X) 를 환원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환원법으로는 자체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SHINJIKKEN KAGAKU KOUZA 15, "Oxidation and Reduction II" (일본화학회 편집) Maruzen] 에 기재된 방법 및 그에 준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Xc 가 NR6' (R6' 는 N-보호기)인 화합물 (Id) 는, 예를 들어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Theodora W. Greene, Peter G. M. Wuts, 494페이지∼653페이지, Wiley-Interscience (1999)] 에 기재된 방법 등에 의해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로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각 반응에 있어서, 원료 화합물이 치환기로서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를 갖는 경우, 이들 기는 펩티드 화학 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호기로 보호될 수 있다. 이 경우, 반응 후에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이들 보호기는 자체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Theodora W. Greene, Peter G. M. Wuts, Wiley-Interscience (1999)] 에 기재된 방법 등에 따라 도입 또는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응에, 필요에 따라 공지의 가수분해 반응, 탈보호 반응, 아실화 반응, 알킬화 반응, 산화 반응, 환화 반응, 탄소쇄 연장 반응, 치환기 교환 반응 중 임의의 하나 또는 2 이상을 조합하여 행함으로써 화합물 (I) 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I) 을 자체 공지의 수단, 예를 들어 상 전이, 농축, 용매 추출, 분획, 액성 변환, 결정화, 재결정, 크로마토그래피 등에 의해 단리 및 정제할 수 있다.
화합물 (I) 이 유리 화합물로서 얻어진 경우에는, 자체 공지의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목적하는 염으로 변환할 수 있고; 반대로 화합물 (I) 이 염으로 얻어진 경우에는, 자체 공지의 방법 또는 그에 준하는 방법에 의해 유리체 또는 기타 목적하는 다른 염으로 변환할 수 있다.
화합물 (I) 은 전구약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화합물 (I) 의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의 생리 조건하에서 효소, 위산 등에 의한 반응에 의해 화합물 (I) 로 변환하는 화합물, 즉 효소적 산화, 환원, 가수분해 등에 의해 화합물 (I) 로 변환하는 화합물; 위산 등에 의해 가수분해 등을 일으켜 화합물 (I) 로 변환하는 화합물을 말한다.
화합물 (I) 의 전구약물로는, 화합물 (I) 의 아미노기를 아실화, 알킬화 또는 인산화하여 수득된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합물 (I) 의 아미노기가 에이코사노일화, 알라닐화, 펜틸아미노카르보닐화, (5-메틸-2-옥소-1,3-디옥솔렌-4-일)메톡시카르보닐화, 테트라히드로푸라닐화, 피롤리딜메틸화, 피발로일옥시메틸화, tert-부틸화된 화합물 등); 화합물 (I) 의 히드록실기를 아실화, 알킬화, 인산화, 붕산화하여 수득된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합물 (I) 의 히드록실기가 아세틸화, 팔미토일화, 프로파노일화, 피발로일화, 숙시닐화, 푸마릴화, 알라닐화, 디메틸아미노메틸카르보닐화된 화합물 등); 화합물 (I) 의 카르복시기를 에스테르화, 아미드화하여 수득된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합물 (I) 의 카르복시기가 에틸에스테르화, 페닐에스테르화, 카르복시메틸에스테르화, 디메틸아미노메틸에스테르화, 피발로일옥시메틸에스테르화, 에톡시카르보닐옥시에틸에스테르화, 프탈리딜에스테르화, (5-메틸-2-옥소-1,3-디옥솔렌-4-일)메틸에스테르화, 시클로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에스테르화, 메틸아미드화된 화합물 등); 등일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해 화합물 (I) 로 제조할 수 있다.
또, 화합물 (I) 의 전구약물은, ["IYAKUHIN no KAIHATSU" (Development of Pharmaceuticals), Vol. 7, Design of Molecules, p. 163-198, HIROKAWA SHOTEN 출판 (1990)] 에 기재된 것과 같은 생리적 조건하에 화합물 (I) 로 변환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합물 (I) 이, 광학 이성체, 입체 이성체, 위치 이성체, 회전 이성체 등의 이성체를 갖는 경우에는, 임의의 이성체 및 혼합물이 화합물 (I) 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화합물 (I) 이 광학 이성체를 갖는 경우에는, 라세미체로부터 분할된 광학 이성체도 화합물 (I) 에 포함된다. 이들 이성체는, 자체 공지의 합성 수단, 분리 수단 (농축, 용매 추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재결정 등) 에 의해 독립적 제품으로서 수득가능하다.
화합물 (I) 은 결정일 수 있고, 단일 결정 및 결정 혼합물 모두 화합물 (I) 에 포함된다. 결정은 자체 공지의 결정화법에 따라 결정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I) 은 용매화물 (예를 들어 수화물 등) 또는 비용매화물일 수 있고, 모두 화합물 (I) 에 포함된다.
동위 원소 (예, 3H, 14C, 35S, 125I 등) 등으로 표식된 화합물도 화합물 (I) 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전구약물 (이하, 본 발명 화합물로 약기하는 경우가 있음) 은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가지며, 효과적으로 위산의 분비를 억제한다. 상기 화합물은 독성 (예를 들어 급성 독성, 만성 독성, 유전 독성, 생식 독성, 심독성, 약품 상호작용, 암원성 등) 이 낮고, 수용성이 높고, 안정성, 체내 동태 (흡수성, 분포, 대사, 배뇨 등), 약효 발현의 면에서도 우수하기 때문에, 약학적 제제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그 염은, 포유동물 (예, 인간, 돼지, 양, 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마우스 등) 에 있어서, 소화성 궤양 (예, 위궤양,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궤양, 십이지장 궤양, 접합부 궤양,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등);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인터루킨-1 의 유전자 다형에 의한 인터루킨-1β 의 생성 촉진과 관련된 위암을 포함); 위 MALT 림프종; 졸링거-엘리슨 (Zo1linger-Ellison) 증후군; 위산과다 (예,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 (수술후에 집중 관리를 필요로 하는 대수술 및 집중 치료를 필요로 하는 뇌혈관 장애, 두부 외상, 다장기부전, 광범위 열상으로부터 일어나는 스트레스) 등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 등의 치료 또는 예방, 마취전 투여,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 등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중의,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염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의 약 0.01 내지 100중량% 이다. 그 투여량은 투여 대상, 투여 루트, 질환 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예를 들어 성인 (60kg) 에 대하여 경구적으로 투여하는 항궤양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약 0.5∼약 1500㎎/일, 바람직하게는 약 5∼약 150㎎/일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그 염은, 1 일 1 회 또는 2∼3 회로 나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화합물 (II) 또는 그 염은 독성이 낮아, 그대로 또는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혼합한 약학적 조성물 형태, 예를 들어 정제 (당의정, 필름 코팅정을 포함), 산제, 과립제, 캡슐제 (소프트캡슐을 포함), 구강내 붕괴정, 액제, 주사제, 좌제, 서방제, 접착 패치 등의 제제로서,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 (예, 국소, 직장, 정맥내 투여 등) 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특히, 정제, 과립제, 캡슐제 등의 경구제로서 바람직하게 투여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가능한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제제용 재료로서 통상 사용되는 각종 유기 및 무기 담체 물질 및, 예를 들어 고형 제제에 있어서의 부형제, 윤활제, 결합제, 붕해제, 수용성 고분자, 염기성 무기염; 액상 제제에 있어서의 용매, 용해 보조제, 현탁화제, 등장화제, 완충제, 무통화제(soothing agent) 등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통상의 방부제, 항산화제, 착색제, 감미제, 산미제, 발포제, 향료 등의 첨가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형제"로는, 예를 들어 젖당, 자당, D-만니톨, 포도당, 옥수수 전분, 결정 셀룰로오스, 경질 무수 규산, 산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윤활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마그네슘, 자당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탈크, 스테아르산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결정 셀룰로오스,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아라비아 검, 젤라틴, 풀룰란,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붕해제"로는, (1) 크로스포비돈, (2)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FMC-Asahi Kasei Corporation), 카르멜로스칼슘 (Gotoku Yakuhin) 등 슈퍼 붕해제라 칭해지는 붕해제, (3) 카르복시메틸 전분 나트튬 (예, Matsutani Chemical Industry Co., Ltd. 제조), (4)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예, Shin-Etsu Chemical Co., Ltd. 제조), (5) 옥수수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크로스포비돈"으로는, 1-에테닐-2-피롤리디논 단독중합체라는 화학명을 갖는 임의의 가교된 중합물일 수 있으며, 폴리비닐폴리피롤리돈 (PVPP) 및 1-비닐-2-피롤리디논 단독중합체라 불리는 것도 포함된다. 구체예로는, 콜리돈 CL (BASF 사 제조), 폴리플라스돈 XL (ISP 사 제조), 폴리플라스돈 XL-10 (ISP 사 제조), 폴리플라스돈 INF-10 (ISP 사 제조) 등이 포함된다.
"수용성 고분자"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가용성 수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이하, HPC 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 에탄올-불용성 수용성 고분자 [예를 들어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이하, HPMC 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 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아크릴산나트륨,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구아검 등]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및/또는 칼슘의 염기성 무기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마그네슘 및/또는 칼슘의 염기성 무기염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의 염기성 무기염이다. 나트륨의 염기성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수소이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칼륨의 염기성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륨, 탄산수소칼륨 등을 들 수 있다. 마그네슘의 염기성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중질 탄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규산마그네슘, 알루민산마그네슘, 합성 히드로탈사이트 [Mg6Al2(OH)16ㆍCO3ㆍ4H2O] 및 수산화알루미나ㆍ마그네슘, 바람직하게는 중질 탄산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칼슘의 염기성 무기염으로는, 예를 들어 침전 탄산칼슘, 수산화 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용매"로는, 예를 들어 주사용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마크로골, 참기름, 옥수수유, 올리브유 등을 들 수 있다.
"용해 보조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만니톨, 벤조산벤질, 에탄올, 트리스아미노메탄, 콜레스테롤, 트리에탄올아민, 탄산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현탁화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릴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아미노프로피온산, 레시틴, 염화벤잘코늄, 염화벤제토늄,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등의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의 친수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등장화제"로는, 예를 들어 포도당, D-소르비톨, 염화나트륨, 글리세린, D-만니톨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제"로는, 예를 들어 인산염, 아세트산염, 탄산염, 시트르산염 등의 완충액을 들 수 있다.
"무통화제"로는, 예를 들어 벤질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방부제"로는, 예를 들어 p-옥시벤조산에이트류, 클로로부탄올, 벤질알코올, 페네틸알코올, 데히드로아세트산, 소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항산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황산염,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는, 예를 들어 식용 황색 5 호, 식용 적색 2 호, 식용 청색 2 호 등의 식용 색소; 식용 레이크 색소, 삼산화이철(diiron trioxide) 등을 들 수 있다.
"감미제"로는, 예를 들어 사카린나트륨, 글리시레틴산2칼륨, 아스파르탐, 스테비아, 토마틴(thaumatin) 등을 들 수 있다.
"산미제"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무수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말산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제"로는, 예를 들어 중탄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는, 임의의 합성물 및 천연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레몬, 라임, 오렌지, 멘솔, 스트로베리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어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윤활제 등의 담체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고, 이어서 필요에 따라, 맛의 차폐, 장용성 또는 지속성의 목적을 위해 자체 공지의 방법으로 생성물을 코팅함으로써 경구 투여용 제제로 만들 수 있다. 장용성 제제로 제조하는 경우, 장용층과 약제 함유층 사이에 두 층의 분리를 목적으로, 자체 공지의 방법에 의해 중간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염은, 예를 들어 결정 셀룰로오스 및 젖당을 함유하는 핵을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염 및 필요에 따라 염기성 무기염으로 피복하고, 수용성 고분자 함유 피복층으로 이를 추가 피복하여 조성물을 얻고, 얻어진 조성물을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장용성 피복층으로 피복한 다음, 시트르산트리에틸 함유 장용성 피복층으로 이를 피복하고, 폴리에틸렌글리콜 함유 장용성 피복층으로 이를 추가 피복하고, 마지막으로 만니톨로 이를 피복하여 세립을 얻고, 얻어진 세립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구강내 붕괴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장용성 피복층"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탈레이트 (CAP),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프탈레이트,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숙시네이트,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Eudragit L30D-55 (상품명; Rohm 사 제조), Kollicoat MAE30DP (상품명; BASF 사 제조), Polyquid PA30 (상품명;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제조) 등], 카르복시메틸에틸셀룰로오스, 셀락 등의 수계 장용성 고분자 기재; 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예를 들어 Eudragit NE30D (상품명), Eudragit RL30D (상품명), Eudragit RS30D (상품명) 등] 등의 서방성 기재; 수용성 고분자; 시트르산트리에틸, 폴리에틸렌글리콜, 아세틸화모노글리세리드, 트리아세틴, 피마자유 등의 가소제 등의 1 종 이상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층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수용성 당알코올 (예, 소르비톨, 만니톨, 말티톨, 환원 전분 당류, 자일리톨, 환원 파라티노스, 에리트리톨 등), 결정 셀룰로오스 (예, Ceolus KG 801, Avicel PH 101, Avicel PH 102, Avicel PH 301, Avicel PH 302, Avicel RC-591 (결정 셀룰로오스ㆍ카르멜로스나트륨) 등),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예, LH-22, LH-32, LH-23, LH-33 (Shin-Etsu Chemical Co., Ltd.) 및 이들의 혼합물 등)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결합제, 산미료, 발포제, 감미제, 향료, 윤활제, 착색제, 안정화제, 부형제, 붕해제 등도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다른 1 내지 3 종의 활성 성분과 병용할 수 있다.
"다른 활성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활성 물질, 이미다졸계 화합물, 비스무스염, 퀴놀론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항헬리코박터 파이로리 활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페니실린계 항생 물질 (예, 아목시실린, 벤질페니실린, 피페라실린, 메실리남 등), 세펨계 항생 물질 (예, 세픽심, 세파클로르 등), 마크로라이드계 항생 물질 (예, 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등), 테트라사이클린계 항생 물질 (예, 테트라사이클린, 미노사이클린, 스트렙토마이신 등), 아미노글리코시드계 항생 물질 (예, 겐타마이신, 아미카신 등), 이미페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페니실린계 항생 물질, 마크로라이드계 항생 물질 등이 바람직하다.
"이미다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메트로니다졸, 미코나졸 등을 들 수 있다.
"비스무스염"으로는, 예를 들어 비스무스아세트산염, 비스무스시트르산염 등을 들 수 있다.
"퀴놀론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오플록사신, 시플록사신 등을 들 수 있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을 위해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염과, 페니실린계 항생 물질 (예, 아목시실린 등) 및 에리트로마이신계 항생 물질 (예, 클라리트로마이신 등) 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 자체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을 다른 활성 성분과 병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균 활성에 더하여, 위내 pH 의 조절 작용 등에 의해 다른 항생 물질의 항균 작용을 증강할 수 있고, 따라서 병용하는 항생 물질의 작용에 의한 제균 효과의 보조적인 작용도 제공한다.
"다른 활성성분" 및 본 발명의 화합물 (I) 또는 화합물 (II) 또는 그 염을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고, 하나의 약학적 조성물 (예,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소프트캡슐을 포함), 액제, 주사제, 좌제, 서방제 등) 의 단일 제제로서 병용할 수 있다. 다르게는, 이들을 따로따로 제제화하여, 동일 투여 대상에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투여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참고예,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참고예, 실시예 중의 "실온"은 통상 약 10℃ 내지 약 35℃ 를 나타내지만, 엄밀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체의 혼합비는 체적비를 나타낸다. "%"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중량 퍼센트를 나타낸다. 수율은 mol/mol% 를 나타낸다. 1H-NMR 스펙트럼은 내부 표준으로서 테트라메틸실란을 사용하고, Varian Gemini-200 (200MHz) 및 Mercury-300 (300MHz) 형 분광계로 측정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질량 분석은 Waters 사 제조 micromas ZQ2000 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s: 단일선 (singlet), d: 이중선 (doublet), t: 삼중선 (triplet), q: 사중선 (quartet), m: 다중선 (multiplet), br: 브로드 (broad), J: 커플링 상수 (coupling constant), Hz : 헤르쯔 (Hertz).
참고예 1
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클로로-3-니트로피리딘 (11.91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용액 (300㎖) 을 -78℃ 로 냉각한 후, 0.5M 이소프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300㎖) 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20℃ 에서 18 시간 교반한 후, 실온으로 되돌려, 액량이 약 120㎖ 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하였다. 20% 염화암모늄 수용액 (3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6 : 1 → 1 : 1) 로 정제하고,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 (수량 3.50g, 수율 2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52 (3H, s), 6.30 (1H, s), 7.34 (1H, d, J = 5.6 Hz), 7.98 (1H, d, J = 5.6 Hz), 8.46 (1H, br).
참고예 2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클로로-3-니트로피리딘 (3.50g) 및 0.5M 1-메틸-1-프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00㎖) 을 사용하고, 참고예 1 과 유사한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 (580㎎) 을 얻었다.
1H-NMR (CDCl3) δ: 2.21 (3H, s), 2.44 (3H, s), 7.30 (1H, d, J = 5.7 Hz), 7.98 (1H, d, J = 5.7 Hz), 8.20 (1H, br).
참고예 3
7-클로로-1-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115㎎)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에 현탁하고, 참고예 1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33㎎)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 을 0℃ 에서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0 분간 교반한 후, 요오도에탄 (374㎎) 을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감압하에 증류한 후,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3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수량 357㎎, 수율 9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9 (3H, t, J = 7.2 Hz), 2.45 (3H, s), 4.52 (2H, q, J = 7.2 Hz), 6.29-6.30 (1H, m), 7.32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참고예 4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1-요오도프로판 (408㎎)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40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8 (3H, t, J = 7.2 Hz), 1.76-1.87 (2H, m), 2.45 (3H, s), 4.35-4.41 (2H, m), 6.28-6.29 (1H, m), 7.30 (1H, d, J = 5.1 Hz), 7.91 (1H, d, J = 5.1 Hz).
참고예 5
1-부틸-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요오도부탄 (442㎎)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38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8 (3H, t, J = 6.9 Hz), 1.37-1.49 (2H, m), 1.70-1.81 (2H, m), 2.45 (3H, s), 4.39-4.48 (2H, m), 6.28 (1H, s), 7.31 (1H, d, J = 5.7 Hz), 7.91 (1H, d, J = 5.7 Hz).
참고예 6
7-클로로-1-(시클로헥실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브로모메틸)시클로헥산 (425㎎)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35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7-1.25 (5H, m), 1.51-1.80 (5H, m), 1.81-2.00 (1H, m), 2.45 (3H, s), 4.25 (2H, d, J = 7.4 Hz), 6.28-6.29 (1H, m), 7.32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참고예 7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브로모메틸)시클로프로판 (324㎎)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분말 (39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36-0.42 (2H, m), 0.50-0.57 (2H, m), 1.23-1.35 (1H, m), 2.47 (3H, s), 4.43 (2H, d, J = 6.6 Hz), 6.31-6.32 (1H, m), 7.32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참고예 8
7-클로로-2-메틸-1-(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브로모메틸)피리딘 (607㎎)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47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0 (3H, s), 5.88 (2H, s), 6.42 (1H, s), 6.53 (1H, d, J = 8.1 Hz), 7.13-7.18 (1H, m), 7.38 (1H, d, J = 5.4 Hz), 7.51-7.57 (1H, m), 7.96 (1H, d, J = 5.1 Hz), 8.57 (1H, d, J = 5.1 Hz).
참고예 9
7-클로로-1-(4-메톡시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4-(클로로메틸)페닐메틸에테르 (376㎎) 를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40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7 (3H, s), 3.75 (3H, s), 5.71 (2H, s), 6.37 (1H, s), 6.75-6.85 (4H, m), 7.36 (1H, d, J = 5.4 Hz), 7.95 (1H, d, J = 5.4 Hz).
참고예 10
1-[2-(벤질옥시)에틸]-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참고예 1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833㎎) 및 벤질2-클로로에틸에테르 (1.0g) 를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1.10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50 (3H, s), 3.84 (2H, t, J = 5.7 Hz), 4.41 (2H, s), 4.69 (2H, t, J = 5.7 Hz), 6.30 (1H, s), 7.13-7.20 (3H, m), 7.24-7.30 (2H, m), 7.33 (1H, d, J = 5.4 Hz), 7.93 (1H, d, J = 5.4 Hz).
참고예 11
1-벤질-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벤질브로마이드 (0.342㎖) 를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35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8 (3H, s), 5.80 (2H, s), 6.41 (1H, s), 6.85-6.95 (2H, m), 7.20-7.35 (3H, m), 7.38 (1H, d, J = 5.6 Hz), 7.96 (1H, d, J = 5.6 Hz).
참고예 12
7-클로로-1,2-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요오도메탄 (0.130㎖) 을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 (347㎎)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5 (3H, s), 4.06 (3H, s), 6.30 (1H, s), 7.31 (1H, d, J = 5.4 Hz), 7.91 (1H, d, J = 5.4 Hz).
참고예 13
7-클로로-1-(2-메톡시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브로모에틸메틸에테르 (0.197㎖) 를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23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50 (3H, s), 3.28 (3H, s), 3.75 (2H, t, J = 5.4 Hz), 4.65 (2H, t, J = 5.4 Hz), 6.30 (1H, s), 7.33 (1H, d, J = 5.4 Hz), 7.94 (1H, d, J = 5.4 Hz).
참고예 14
2-클로로-3-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상기 화합물을 JP-A-63-48268 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참고예 15
2,6-디브로모-3-니트로피리딘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 (5.0g) 을 25% 브롬화수소-아세트산 용액 (50㎖) 에 용해하고, 혼합물을 8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려, 액량이 약 20㎖ 가 될 때까지 감압 농축한 후, 12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0℃ 에서 중화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로서 얻어진 황색 고체를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헥산의 혼합 용매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수량 5.6g, 불순물 포함)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7.65 (1H, d, J = 8.4 Hz), 8.03 (1H, d, J = 8.4 Hz).
참고예 16
N,N-디벤질-3-니트로피리딘-2-아민
2-클로로-3-니트로피리딘 (3.2g) 및 탄산나트륨 (2.2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현탁액 (30㎖) 에, 디벤질아민 (7.9g) 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9 : 1 → 9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수량 5.85g, 수율 9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58 (4H, s), 6.74-6.78 (1H, m), 7.12-7.15 (4H, m), 7.22-7.30 (6H, m), 8.08-8.11 (1H, m), 8.35-8.37 (1H, m).
참고예 17
N,N-디벤질-6-클로로-3-니트로피리딘-2-아민
2,6-디클로로-3-니트로피리딘 (7.7g) 을 사용하고, 참고예 16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10.4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60 (4H, s), 6.72 (1H, d, J = 8.4 Hz), 7.11-7.16 (4H, m), 7.23-7.35 (6H, m), 8.04 (1H, d, J = 8.4 Hz).
참고예 18
N,N-디벤질-3-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참고예 14 에서 얻어진 2-클로로-3-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 (4.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16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6.4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65 (4H, s), 7.06 (1H, d, J = 8.1 Hz), 7.14-7.17 (4H, m), 7.25-7.32 (6H, m), 8.15 (1H, d, J = 8.1 Hz).
참고예 19
N,N-디벤질-6-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아민
참고예 15 에서 얻어진 2,6-디브로모-3-니트로피리딘 (5.6g) 을 사용하고, 참고예 16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7.0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59 (4H, s), 6.86 (1H, d, J = 8.1 Hz), 7.13-7.16 (4H, m), 7.26-7.30 (6H, m), 7.90 (1H, d, J = 8.1 Hz).
참고예 20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보니트릴
참고예 17 에서 얻어진 N,N-디벤질-6-클로로-3-니트로피리딘-2-아민 (354㎎)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 에, 시안화아연 (88㎎),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2팔라듐(0) (46㎎)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55㎎)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20℃ 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수량 268㎎, 수율 7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63 (4H, s), 7.08-7.15 (5H, m), 7.26-7.31 (6H, m), 8.11 (1H, d, J = 7.8 Hz).
참고예 21
메틸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19 에서 얻어진 N,N-디벤질-6-브로모-3-니트로피리딘-2-아민 (7.8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70㎖) 에, 아세트산팔라듐 (II) (444㎎), 트리페닐포스핀 (519㎎), 트리에틸아민 (11㎖) 및 메탄올 (7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일산화탄소 대기하 60℃ 에서 2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수량 6.1g, 수율 8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3.97 (3H, s), 4.66 (4H, s), 7.15-7.18 (4H, m), 7.25-7.28 (6H, m), 7.48 (1H, d, J = 8.1 Hz), 8.14 (1H, d, J = 8.1 Hz).
참고예 22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실산
참고예 21 에서 얻어진 메틸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6.0g) 를 메탄올 (30㎖) 및 테트라히드로푸란 (15㎖) 에 용해하고,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하고, 6N 염산으로 중화한 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였다. 수층을 클로로포름으로 다시 추출하고, 추출액을 합치고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아세트산에틸 → 아세트산에틸-메탄올 = 9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수량 5.8g, 수율 9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4.60 (4H, s), 7.16-7.20 (4H, m), 7.26-7.32 (6H, m), 7.61 (1H, d, J = 8.1 Hz), 8.24 (1H, d, J = 8.1 Hz).
참고예 23
N,N-디벤질-6-(모르폴린-4-일카르보닐)-3-니트로피리딘-2-아민
참고예 22 에서 얻어진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실산 (3g) 의 디클로로메탄 중 용액 (20㎖) 에 모르폴린 (0.99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 (2.2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92㎎)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2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수량 1.9g, 수율 58%)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3.05 (2H, t, J = 4.8 Hz), 3.27 (2H, t, J = 4.8 Hz), 3.71 (4H, s), 4.60 (4H, s), 7.11 (1H, d, J = 8.1 Hz), 7.14-7.17 (4H, m), 7.24-7.32 (6H, m), 8.21 (1H, d, J = 8.1 Hz).
참고예 24
N-[2-(벤질옥시)에틸]-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사미드
참고예 22 에서 얻어진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실산 (3.0g) 및 2-(벤질옥시)에탄아민 (1.5g) 을 사용하고, 참고예 2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3.1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3.60-3.62 (4H, m), 4.51 (2H, s), 4.55 (4H, s), 7.14-7.32 (15H, m), 7.61 (1H, d, J = 8.1 Hz), 7.78 (1H, br), 8.21 (1H, d, J = 8.1 Hz).
참고예 25
7-클로로-2,3,4-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클로로-5-메틸-3-니트로피리딘 (2.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1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 (687㎎)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7 (3H, s), 2.40 (3H, s), 2.59 (3H, s), 7.67 (1H, s), 8.17 (1H, br s).
참고예 26
N,N-디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6 에서 얻어진 N,N-디벤질-3-니트로피리딘-2-아민 (5.3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용액 (120㎖) 을 -78℃ 로 냉각한 후, 0.5M 이소프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1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0℃ 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리고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오일을 하룻밤 실온에서 방치하여 결정화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테르, 헥산 및 소량의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255㎎, 수율 4.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22 (3H, s), 4.77 (4H, s), 6.11-6.12 (1H, m), 6.94-6.96 (1H, m), 7.22-7.37 (10H, m), 7.66 (1H, br), 7.79 (1H, d, J = 5.7 Hz)
참고예 27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7 에서 얻어진 N,N-디벤질-6-클로로-3-니트로피리딘-2-아민 (28.8g) 을 사용하고, 참고예 26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적갈색 오일 (10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4.79 (4H, s), 6.03-6.04 (1H, m), 6.87 (1H, s), 7.21-7.39 (10H, m), 7.61 (1H, br).
참고예 28
N,N-디벤질-5-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7 에서 얻어진 N,N-디벤질-6-클로로-3-니트로피리딘-2-아민 (10.4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용액 (200㎖) 을 -78℃ 로 냉각하고, 0.5M 1-메틸-1-프로페닐마그네슘브로마이드-테트라히드로푸란 용액 (200㎖) 을 첨가했다. -20℃ 까지 서서히 승온시키면서 혼합물을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화암모늄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렸다. 유기층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12 : 1 → 4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오일을 2 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결정화시켰다.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1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07 (3H, s), 2.09 (3H, s), 4.80 (4H, s), 6.87 (1H, s), 7.24-7.45 (11H, m).
참고예 29
N,N-디벤질-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8 에서 얻어진 N,N-디벤질-3-니트로-6-(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2-아민 (6.4g) 을 사용하고, 참고예 2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 (2.9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1 (3H, s), 2.13 (3H, s), 4.86 (4H, s), 7.22-7.45 (11H, m), 7.62 (1H, br s).
참고예 30
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보니트릴
참고예 20 에서 얻어진 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보니트릴 (4.6g) 을 사용하고, 참고예 2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수득된 갈색 고체를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분말 (1.43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1-2.12 (6H, m), 4.84 (4H, s), 7.27-7.38 (11H, m), 7.72 (1H, br s).
참고예 31
N,N-디벤질-2,3-디메틸-5-(모르폴린-4-일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3 에서 얻어진 N,N-디벤질-6-(모르폴린-4-일카르보닐)-3-니트로피리딘-2-아민 (1.9g) 을 사용하고, 참고예 2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결정 (443㎎)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5 (3H, s), 2.17 (3H, s), 3.19 (2H, br), 3.44 (2H, br), 3.70 (4H, br), 4.84 (4H, s), 7.24-7.33 (10H, m), 7.48 (1H, s), 7.65 (1H, br s).
참고예 32
N-[2-(벤질옥시)에틸]-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참고예 24 에서 얻어진 N-[2-(벤질옥시)에틸]-6-(디벤질아미노)-5-니트로피리딘-2-카르복사미드 (3.1g) 를 사용하고, 참고예 2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915㎎)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4 (3H, s), 2.18 (3H, s), 3.54-3.62 (4H, m), 4.44 (2H, s), 4.82 (4H, s), 7.23-7.39 (15H, m), 7.65 (1H, br s), 7.89 (1H, s), 8.12 (1H, br).
참고예 33
7-클로로-1,2,3-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329㎎) 을 헥산으로 2 회 세정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에 현탁하였다.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19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 을 0℃ 에서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5 분간 교반한 후, 요오도메탄 (0.5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 을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0.93g, 수율 72%)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22 (3H, s), 2.37 (3H, s), 4.04 (3H, s), 7.28 (1H, d, J = 5.4 Hz), 7.91 (1H, d, J = 5.4 Hz).
참고예 34
7-클로로-1-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20g) 과 요오도에탄 (0.64㎖) 을 사용하고, 참고예 3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1.01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6 (3H, t, J = 7.2 Hz), 2.21 (3H, s), 2.37 (3H, s), 4.51 (2H, q, J = 7.2 Hz), 7.28 (1H, d, J = 5.4 Hz), 7.91 (1H, d, J = 5.4 Hz).
참고예 35
7-클로로-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81㎎) 과 1-요오도프로판 (204㎎) 을 사용하고, 참고예 3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98㎎)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7 (3H, t, J = 6.9 Hz), 1.71-1.83 (2H, m), 2.21 (3H, s), 2.37 (3H, s), 4.35-4.41 (2H, m), 7.27 (1H, d, J = 5.1 Hz), 7.91 (1H, d, J = 5.1 Hz)
참고예 36
7-클로로-1-이소부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48g) 과 이소부틸브로마이드 (1.20㎖) 를 사용하고, 참고예 3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1.61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0 (6H, d, J = 6.6 Hz), 2.21-2.30 (m, 1H), 2.45 (3H, d, J = 0.9 Hz), 4.23 (2H, br d, J = 6.9 Hz), 6.29 (1H, d, J = 0.9 Hz), 7.31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참고예 37
7-클로로-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참고예 1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48g) 과 이소부틸브로마이드 (1.2㎖) 를 사용하고, 참고예 3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 (1.61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0 (6H, d, J = 6.6 Hz), 2.21-2.30 (1H, m), 2.45 (3H, d, J = 0.9 Hz), 4.23 (2H, br d, J = 6.9 Hz), 6.29 (1H, d, J = 0.9 Hz), 7.31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참고예 38
N,N-디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58㎎)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에 현탁하고, 참고예 26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27㎎)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 을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20 분간 교반한 후, 1-요오도프로판 (374㎎) 을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9 : 1 → 9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주황색 오일 (수량 237㎎ : 불순물을 포함)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8 (3H, t, J = 7.5 Hz), 1.49-1.59 (2H, m), 2.43 (3H, s), 4.20-4.43 (6H, m), 6.26 (1H, s), 7.05-7.08 (4H, m), 7.16 (1H, d, J = 5.4 Hz), 7.18-7.30 (6H, m), 7.90 (1H, d, J = 5.7 Hz).
참고예 39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7 에서 얻어진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3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주황색 오일 (7.7g : 불순물을 포함)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5 (3H, t, J = 7.5 Hz), 1.40-1.55 (2H, m), 2.39 (3H, s), 4.30-4.35 (6H, m), 6.19 (1H, s), 7.12-7.29 (11H, m).
참고예 40
N,N-디벤질-2,3-디메틸-1-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9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3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주황색 오일 (576㎎ : 불순물을 포함)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6 (3H, t, J = 7.5 Hz), 1.39-1.50 (2H, m), 2.21 (3H, s), 2.34 (3H, s), 4.34 (4H, br), 4.38-4.44 (2H, m), 7.13-7.26 (10H, m), 7.50 (1H, s).
참고예 41
1-[7-(디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참고예 26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27㎎) 을 니트로메탄 (3㎖) 및 1,2-디클로로에탄 (3㎖) 에 용해하고, 0℃ 에서 염화알루미늄 (III) (133㎎) 및 염화아세틸 (79㎎) 을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동량의 염화알루미늄 및 염화아세틸을 다시 0℃ 에서 첨가했다. 다시 1 시간 교반한 후,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약염기성으로 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 (수량 229㎎, 수율 6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4 (3H, s), 2.60 (3H, s), 4.80 (4H, s), 7.26-7.38 (11H, m), 8.03 (1H, d, J = 5.7 Hz), 8.10 (1H, br s).
참고예 42
1-[5-클로로-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프로판-1-온
참고예 39 에서 얻어진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0g) 및 염화프로피오닐 (458㎎) 을 사용하고, 참고예 4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51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5 (3H, t, J = 7.2 Hz), 1.25 (3H, t, J = 7.4 Hz), 1.41-1.57 (2H, m), 2.73 (3H, s), 2.96 (2H, q, J = 7.4 Hz), 4.29 (4H, br), 4.47-4.56 (2H, m), 7.07-7.13 (4H, m), 7.22-7.29 (6H, m), 7.60 (1H, s).
참고예 43
1-[7-(디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탄올
참고예 41 에서 얻어진 1-[7-(디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385㎎) 의 에탄올 중 용액 (5㎖) 을 0℃ 로 냉각하고, 수소화붕소나트륨 (156㎎) 을 첨가했다. 실온에서 밤새 교반한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으로 약염기성으로 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6 : 1 → 1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수량 217㎎, 수율 5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61 (2H, d, J = 6.6 Hz), 1.69 (1H, br), 2.21 (3H, s), 4.78 (4H, s), 5.13 (1H, q, J = 6.6 Hz), 7.19 (1H, d, J = 5.4 Hz), 7.25-7.37 (10H, m), 7.61 (1H, br s), 7.88 (1H, d, J = 5.4 Hz).
참고예 44
1-[5-클로로-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프로판-1-올
참고예 42 에서 얻어진 1-[5-클로로-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프로판-1-온 (513㎎) 을 사용하고, 참고예 43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41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1-0.88 (6H, m), 1.38-1.47 (2H, m), 1.80-2.06 (2H, m), 2.37 (1H, s), 4.20-4.38 (6H, m), 4.81-4.86 (1H, m), 7.12-7.29 (10H, m), 7.40 (1H, s).
참고예 45
N,N-디벤질-3-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3 에서 얻어진 1-[7-(디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탄올 (217㎎) 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중 용액 (1㎖) 을 0℃ 로 냉각하고, 트리에틸실란 (135㎎) 을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0 분간 교반한 후,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 (수량 135㎎, 수율 6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18 (3H, t, J = 7.5 Hz), 2.15 (3H, s), 2.62 (2H, q, J = 7.5 Hz), 4.79 (4H, s), 6.97 (1H, d, J = 8.4 Hz), 7.23-7.37 (10H, m), 7.51 (1H, br s), 7.87 (1H, d, J = 8.4 Hz).
참고예 46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3-디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4 에서 얻어진 1-[5-클로로-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프로판-1-올 (415㎎) 을 사용하고, 참고예 45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40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0.94 (6H, m), 1.37-1.60 (4H, m), 2.31 (3H, s), 2.58 (2H, t, J = 7.2 Hz), 4.28-4.36 (6H, m), 7.10-7.31 (11H, m).
참고예 47
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30% 과산화수소수 (1㎖) 와 3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3㎖) 의 혼합 용액을 0℃ 로 냉각하고, 참고예 30 에서 얻어진 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보니트릴 (366㎎) 의 디메틸술폭시드 중 용액 (3㎖) 을 적가하였다. 실온에서 30 분 교반한 후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물로 2 회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1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담황색 고체를 아세트산에틸 및 헥산의 혼합 용매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분말 (수량 262㎎, 수율 68%) 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15 (3H, s), 2.36 (3H, s), 4.76 (4H, s), 7.15-7.29 (11H, m), 7.47 (1H, br), 7.64 (1H, s), 11.06 (1H, br s).
참고예 48
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참고예 38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237㎎) 을 니트로메탄 (1㎖) 및 1,2-디클로로에탄 (1㎖) 에 용해하고, 0℃ 에서 염화알루미늄 (III) (85㎎) 및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 (74㎎) 를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한 후, 동량의 염화알루미늄 (III) 및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첨가하여 16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약염기성으로 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2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수량 64㎎, 수율 2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0 (3H, t, J = 7.5 Hz), 1.51-1.61 (2H, m), 2.69 (3H, s), 4.29 (4H, br), 4.47-4.53 (2H, m), 7.03-7.09 (4H, m), 7.20-7.27 (6H, m), 7.90 (1H, d, J = 5.1 Hz), 8.14 (1H, d, J = 5.1 Hz), 10.18 (1H, s).
참고예 49
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보니트릴
참고예 48 에서 얻어진 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398㎎) 의 포름산 용액 (2㎖) 에 실온에서 히드록실아민염산염 (9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물로 희석하고,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0℃ 에서 중화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134㎎, 수율 3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9 (3H, t, J = 7.2 Hz), 1.49-1.59 (2H, m), 2.58 (3H, m), 4.30 (4H, br), 4.43-4.48 (2H, m), 7.02-7.06 (4H, m), 7.22-7.26 (6H, m), 7.33 (1H, d, J = 5.4 Hz), 8.09 (1H, d, J = 5.1 Hz).
참고예 50
2,3-디메틸-1-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0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3-디메틸-1-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576㎎) 을 메탄올 (3㎖) 에 용해하고, 혼합물을 1M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용액을 사용하여 pH 2∼3 으로 조정하였다. 이 용액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3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3 : 1 → 1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무색 분말을 아세트산에틸과 헥산의 혼합 용매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 (수량 239㎎, 수율 8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8 (3H, t, J = 7.5 Hz), 1.76-1.89 (2H, m), 2.19 (3H, s), 2.34 (3H, s), 4.14-4.19 (2H, m), 4.67 (2H, br s), 7.29 (1H, s).
참고예 51
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9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7g) 을 사용하고, 참고예 50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65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20 (3H, s), 2.38 (3H, s), 5.00 (2H, br s), 7.33 (1H, s), 10.66 (1H, br s).
참고예 52
2-메틸-1,3-디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6 에서 얻어진 N,N-디벤질-5-클로로-2-메틸-1,3-디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404㎎) 을 사용하고, 참고예 50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45㎎)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8-0.99 (6H, m), 1.50-1.63 (2H, m), 1.73-1.85 (2H, m), 2.33 (3H, s), 2.60 (2H, t, J = 7.5 Hz), 4.13-4.19 (2H, m), 4.45 (2H, br s), 6.91 (1H, d, J = 5.7 Hz), 7.65 (1H, d, J = 5.7 Hz).
참고예 53
2,3-디메틸-5-(모르폴린-4-일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1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3-디메틸-5-(모르폴린-4-일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443㎎) 을 사용하고, 참고예 50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80㎎)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0 (3H, s), 2.27 (3H, s), 3.72 (8H, br), 4.98 (2H, br), 7.00 (1H, s), 10.40 (1H, s).
참고예 54
7-아미노-N-(2-히드록시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참고예 32 에서 얻어진 N-[2-(벤질옥시)에틸]-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915㎎) 를 사용하고, 참고예 50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380㎎)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3 (3H, s), 2.34 (3H, s), 3.34-3.41 (2H, m), 3.51 (2H, q, J = 5.7 Hz), 4.83 (1H, t, J = 5.1 Hz), 5.92 (2H, br), 7.47 (1H, s), 8.27 (1H, t, J = 5.7 Hz), 10.90 (1H, br s).
참고예 55
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실시예 2 에서 얻어진 N-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8g) 의 메탄올 중 용액 (50㎖) 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3.6g) 및 포름산암모늄 (2.0g)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 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되돌린 후에 여과하였다. 메탄올로 세정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2 : 1 → 1 : 2)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무색 분말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헥산의 혼합 용매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 (수량 602㎎, 수율 5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8 (3H, t, J = 7.5 Hz), 1.80-1.89 (2H, m), 2.41 (3H, s), 4.14-4.19 (2H, m), 4.44 (2H, m), 6.17 (1H, s), 6.92 (1H, d, J = 5.4 Hz), 7.66 (1H, d, J = 5.4 Hz).
참고예 56
4-플루오로-2-메틸벤즈알데히드
마그네슘 (3.36g) 과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의 혼합물에 1-브로모-4-플루오로-2-메틸벤젠 (24.8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00㎖) 중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적가 종료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 분 교반하였다. 얻어진 용액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0㎖)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중 용액 (10㎖)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1N 염산 및 물을 첨가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1N 염산,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감압 증류 (66-68℃/6㎜Hg) 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수량 12.1g, 수율 6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68 (3H, s), 6.93-7.06 (2H, m), 7.79-7.84 (1H, m), 10.18 (1H, s).
참고예 57
2,6-디에틸벤즈알데히드
2-브로모-1,3-디에틸벤젠 (1.43g) 을 사용하고, 참고예 56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0.62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25 (6H, t, J = 7.8 Hz), 2.97 (4H, q, J = 7.8 Hz), 7.11-7.14 (2H, m), 7.36-7.41 (1H, m), 10.60 (1H, s).
참고예 58
(2,4-디메틸페닐)메탄올
2,4-디메틸벤즈알데히드 (10.4g) 의 메탄올 중 용액 (100㎖) 에 수소화붕소나트륨 (0.83g)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수량 10.8g, 수율 정량적)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55 (1H, t, J = 5.4 Hz), 2.31 (3H, s), 2.33 (3H, s), 4.64 (2H, d, J = 5.4 Hz), 6.98-7.00 (2H, m), 7.19-7.22 (1H, m).
참고예 59
(4-플루오로-2-메틸페닐)메탄올
참고예 56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즈알데히드 (10.0g) 와 수소화붕소나트륨 (0.8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58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10.9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60 (1H, t, J = 5.4 Hz), 2.35 (3H, s), 4.65 (2H, d, J = 5.4 Hz), 6.83-6.89 (2H, m), 7.26-7.31 (1H, m).
참고예 60
1-(브로모메틸)-2,4-디메틸벤젠
참고예 58 에서 얻어진 (2,4-디메틸페닐)메탄올 (10.77g) 의 디이소프로필에테르 중 용액 (100㎖) 에 삼브롬화인 (4.90㎖) 을 0℃ 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물로 2 회,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감압 농축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수량 15.5g, 수율 정량적)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0 (3H, s), 2.37 (3H, s), 4.50 (2H, s), 6.96-6.99 (2H, m), 7.17-7.19 (1H, m).
참고예 61
1-(브로모메틸)-4-플루오로-2-메틸벤젠
참고예 59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페닐)메탄올 (9.0g) 과 삼브롬화인 (4.1㎖) 을 사용하고, 참고예 60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11.6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0 (3H, s), 4.48 (2H, s), 6.82-6.91 (2H, m), 7.24-7.28 (1H, m).
참고예 62
2-[(2,4-디메틸페닐)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프탈이미드칼륨 (16.0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150㎖) 에 참고예 60 에서 얻어진 1-(브로모메틸)-2,4-디메틸벤젠 (15.5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50㎖)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불용물을 여과 제거하였다. 여과액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15.9g, 수율 7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27 (3H, s), 2.45 (3H, s), 4.82 (2H, s), 6.93 (1H, d, J = 7.5 Hz), 6.97 (1H, s), 7.18 (1H, d, J = 7.5 Hz), 7.67-7.73 (2H, m), 7.80-7.86 (2H, m).
참고예 63
2-[(4-플루오로-2-메틸페닐)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참고예 61 에서 얻어진 1-(브로모메틸)-4-플루오로-2-메틸벤젠 (11.5g) 과 프탈이미드칼륨 (11.5g) 을 사용하고, 참고예 62 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13.9g)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8 (3H, s), 4.41 (2H, s), 6.78-6.88 (2H, m), 7.27-7.30 (1H, m), 7.70-7.74 (2H, m), 7.81-7.87 (2H, m).
참고예 64
2,4-디메틸벤질아민
참고예 62 에서 얻어진 2-[(2,4-디메틸페닐)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15.0g) 의 에탄올 중 용액 (150㎖) 에 히드라진 1수화물 (3.0g)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얻어진 유기층에 1N 염산을 첨가하고 수층을 아세트산에틸로 세정하였다.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수층을 염기성으로 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감압 증류 (98-101℃/9-10㎜Hg) 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수량 2.2g, 수율 2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2 (2H, br s), 2.30 (6H, s), 3.81 (2H, s), 6.98-7.00 (2H, m), 7.16-7.18 (1H, m).
참고예 65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참고예 63 에서 얻어진 2-[(4-플루오로-2-메틸페닐)메틸]-1H-이소인돌-1,3(2H)-디온 (12.8g) 과 히드라진 1수화물 (2.40g) 을 사용하고, 참고예 45 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 (2.29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3 (2H, br s), 2.33 (3H, s), 3.81 (2H, s), 6.83-6.88 (2H, m), 7.21-7.26 (1H, m).
참고예 66
tert-부틸 (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2-아미노-4-메틸-3-니트로피리딘 (5.00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80㎖) 중 용액에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3.28g)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90 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7.14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20㎖) 중 용액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 속에 넣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수량 6.33g, 수율 8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51 (9H, s), 2.48 (3H, d, J = 0.6 Hz), 7.00 (1H, dd, J = 0.6, 4.8 Hz), 8.03 (1H, br s), 8.38 (1H, d, J = 4.8 Hz).
참고예 67
tert-부틸 벤질(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수소화나트륨 (오일 중 60%, 201㎎) 을 헥산으로 2 회 세정하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에 현탁하였다. 0℃ 에서 참고예 66 에서 얻어진 tert-부틸 (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1.01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15㎖) 을 적가하였다.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벤질브로마이드 (0.55㎖)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 용액 (1㎖) 을 0℃ 에서 적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5 : 1) 로 정제하고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0.82g, 수율 60%)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5 (9H, s), 2.42 (3H, s), 5.05 (2H, s), 7.07 (1H, d, J = 4.8 Hz), 7.22-7.31 (3H, m), 7.38-7.41 (2H, m), 8.37 (1H, d, J = 4.8 Hz).
참고예 68
tert-부틸 (4-플루오로-2-메틸벤질) (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참고예 66 에서 얻어진 tert-부틸 (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2.67g) 와 참고예 61 에서 얻어진 1-(브로모메틸)-4-플루오로-2-메틸벤젠 (2.28g)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 (3.37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7 (9H, s), 2.33 (3H, s), 2.40 (3H, s), 5.02 (2H, s), 6.72-6.84 (2H, m), 7.07-7.09 (1H, m), 7.27-7.30 (1H, m), 8.35-8.37 (1H, m).
참고예 69
메틸 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i) 칼륨 (1-{2-[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3-에톡시-3-옥소프로프-1-엔-2-올레이트
칼륨에톡시드 (684㎎) 의 디에틸에테르 (10㎖) 중 현탁액에 옥살산디에틸 (1.05㎖) 을 0℃ 에서 천천히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참고예 67 에서 얻어진 tert-부틸 벤질(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2.41g) 의 디에틸에테르 (20㎖) 용액을 0℃ 에서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교반한 후, 실온에서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석출한 고체를 여과 수합하여, 표제 화합물을 적색 고체 (2.68g, 수율 79%) 로 얻고, 이를 정제하지 않고 그대로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ii) i) 에서 얻어진 칼륨 (1-{2-[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3-에톡시-3-옥소프로프-엔-2-올레이트 (2.68g) 의 메탄올 (50㎖) 중 용액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262㎎)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4 시간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로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4 : 1) 로 정제하였다. 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602㎎, 수율 2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42 (9H, s), 3.96 (3H, s), 5.26 (2H, s), 7.16-7.30 (6H, m), 7.43 (1H, d, J = 5.4 Hz), 8.10 (1H, d, J = 5.4 Hz), 9.41 (1H, br s).
참고예 70
메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i) 칼륨 (1-{2-[(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3-에톡시-3-옥소프로프-1-엔-2-올레이트
참고예 68 에서 얻어진 tert-부틸 (4-플루오로-2-메틸벤질) (4-메틸-3-니트로피리딘-2-일)카르바메이트 (2.97g) 를 사용하고, 참고예 69 i)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적색 고체 (3.29g) 로서 얻었다.
ii) i) 에서 얻어진 칼륨 (1-{2-[(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3-에톡시-3-옥소프로프-1-엔-2-올레이트 (3.29g) 를 사용하고, 참고예 69 ii)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1.13g)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42 (9H, s), 2.24 (3H, s), 3.97 (3H, s), 5.19 (2H, s), 6.73-6.81 (2H, m), 7.15-7.22 (2H, m), 7.40-7.42 (1H, m), 8.06 (1H, d, J = 5.4 Hz), 9.41 (1H, br s).
참고예 71
에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i) 에틸 3-{2-[(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2-옥소부타노에이트
참고예 70 i) 에서 얻어진 칼륨 (1-{2-[(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3-에톡시-3-옥소프로프-엔-2-올레이트 (3.71g)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40㎖) 중 용액에 요오도메탄 (0.50㎖) 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 (수량 2.48g, 수율 70%) 로서 얻었다.
ii) i) 에서 얻어진 에틸 3-{2-[(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니트로피리딘-4-일}-2-옥소부타노에이트 (2.48g) 의 에탄올 (25㎖) 중 용액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249㎎)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로 제거한 후,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5 : 1) 로 정제하고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0.98g, 수율 44%)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42 (9H, s), 1.43 (3H, t, J = 7.2 Hz), 2.23 (3H, s), 2.57 (3H, s), 4.43 (2H, q, J = 7.2 Hz), 5.18 (2H, s), 6.71-6.80 (2H, m), 7.17-7.22 (1H, m), 7.38 (1H, d, J = 5.4 Hz), 8.05 (1H, d, J = 5.4 Hz), 9.09 (1H, br s).
참고예 72
메틸 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69 에서 얻어진 메틸 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502㎎) 와 1-요오도프로판 (0.15㎖) 을 사용하고, 참고예 3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50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5 (3H, br s), 1.33 (11H, br s), 3.90 (3H, s), 4.19-4.29 (1H, m), 4.53-4.56 (1H, m), 5.04-5.15 (2H, m), 7.21-7.25 (4H, m), 7.35 (2H, br s), 7.46 (1H, d, J = 5.4 Hz), 8.14 (1H, d, J = 5.4 Hz).
참고예 73
에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71 에서 얻어진 에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922㎎) 와 1-요오도프로판 (0.25㎖) 을 사용하고, 참고예 3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 (95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58 (3H, br s), 1.26-1.46 (14H, m), 2.20 (3H, s), 2.50 (3H, s), 4.11-4.21 (1H, m), 4.30-4.47 (3H, m), 5.00-5.10 (1H, m), 5.15-5.20 (1H, m), 6.67-6.78 (2H, m), 7.20-7.30 (1H, m), 7.43 (1H, d, J = 5.4 Hz), 8.12 (1H, d, J = 5.4 Hz).
참고예 74
메틸 3-클로로-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72 에서 얻어진 메틸 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76㎎) 와 염화설퍼릴 (0.08㎖) 을 사용하고, 실시예 70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 (34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57 (3H, br s), 1.34 (11H, br s), 3.97 (3H, s), 4.10-4.24 (1H, m), 4.41-4.51 (1H, m), 5.08-5.16 (2H, m), 7.18-7.25 (3H, m), 7.32 (2H, br s), 7.51 (1H, d, J = 5.4 Hz), 8.21 (1H, d, J = 5.4 Hz)
참고예 75
tert-부틸 (4-플루오로-2-메틸벤질)[2-(히드록시메틸)-3-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일]카르바메이트
수소화알루미늄리튬 (331㎎)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5㎖) 중 현탁액에, 참고예 73 에서 얻어진 에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1.63g) 의 테트라히드로푸란 (10㎖) 중 용액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강염기성이 되게 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물,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2 : 1) 로 정제하였다. 아세트산에틸-헥산으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1.06g, 수율 7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5 (3H, t, J = 7.2 Hz), 1.35 (11H, br s), 1.52 (1H, br t, J = 5.7 Hz), 2.17 (3H, s), 2.29 (3H, s), 3.87-4.09 (2H, m), 4.67-4.80 (2H, m), 4.98-5.17 (2H, m), 6.71-6.78 (2H, m), 7.25-7.35 (2H, m), 8.08 (1H, d, J = 5.4 Hz).
실시예 1
N-벤질-1-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50㎎) 을 벤질아민 (1㎖) 에 용해하고, CEM 사 제조 마이크로파 포커스 화학 합성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180℃ 에서 30 분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4 : 1) 로 정제하고, 얻어진 황색 오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108㎎, 수율 23%)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37 (3H, t, J = 7.2 Hz), 2.38 (3H, s), 4.21 (2H, q, J = 7.2 Hz), 4.58 (1H, br), 4.77 (2H, d, J = 5.7 Hz), 6.16 (1H, s), 6.87 (1H, d, J = 5.4 Hz), 7.24-7.45 (5H, m), 7.76 (1H, d, J = 5.4 Hz).
LC/MS: 266 [M+H]+.
실시예 2
N-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402㎎) 과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7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4 (3H, t, J = 7.5 Hz), 1.72-1.83 (2H, m), 2.37 (3H, s), 4.05-4.10 (2H, m), 4.51 (1H, br), 4.74 (2H, d, J = 5.1 Hz), 6.15 (1H, s), 6.87 (1H, d, J = 5.4 Hz), 7.24-7.45 (5H, m), 7.76 (1H, d, J = 5.4 Hz).
LC/MS: 280 [M+H]+.
실시예 3
N-벤질-1-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 에서 얻어진 1-부틸-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442㎎) 과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9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3 (3H, t, J = 7.2 Hz), 1.15-1.31 (2H, m), 1.61-1.80 (2H, m), 2.37 (3H, s), 4.06-4.14 (2H, m), 4.52 (1H, br), 4.75 (2H, d, J = 7.5 Hz), 6.15 (1H, s), 6.87 (1H, d, J = 5.4 Hz), 7.25-7.46 (5H, m), 7.77 (1H, d, J = 5.4 Hz).
LC/MS: 294 [M+H]+.
실시예 4
N-벤질-1-(시클로헥실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6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시클로헥실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58㎎) 과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8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0-0.97 (2H, m), 0.99-1.20 (3H, m), 1.35-1.44 (2H, m), 1.66-1.72 (3H, m), 1.74-1.90 (1H, m), 2.35 (3H, s), 3.87 (2H, d, J = 6.9 Hz), 4.49 (1H, br), 4.73 (2H, d, J = 5.1 Hz), 6.13 (1H, s), 6.88 (1H, d, J = 5.4 Hz), 7.25-7.45 (5H, m), 7.78 (1H, d, J = 5.4 Hz).
LC/MS: 334 [M+H]+.
실시예 5
N-벤질-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7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94㎎)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8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20-0.26 (2H, m), 0.45-0.52 (2H, m), 1.09-1.20 (1H, m), 2.36 (3H, s), 4.22 (2H, d, J = 5.4 Hz), 4.73-4.82 (3H, m), 6.15 (1H, s), 6.87 (1H, d, J = 5.7 Hz), 7.24-7.46 (5H, m), 7.76 (1H, d, J = 5.7 Hz).
LC/MS: 292 [M+H]+.
실시예 6
N-벤질-2-메틸-1-(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8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피리딘-2-일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476㎎)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7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44 (3H, m), 4.69 (2H, d, J = 5.4 Hz), 5.52 (2H, s), 6.19 (1H, s), 6.77 (1H, br), 6.84 (1H, d, J = 5.7 Hz), 7.37 (1H, d, J = 7.8 Hz), 7.12-7.33 (6H, m), 7.59-7.65 (1H, m), 7.76 (1H, d, J = 5.7 Hz), 8.27-8.30 (1H, m).
LC/MS: 329 [M+H]+.
실시예 7
N-벤질-1-(4-메톡시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9 에서 얻어진 7-클로로-1-(4-메톡시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406㎎)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9 (3H, s), 3.76 (3H, s), 4.40-4.48 (3H, m), 5.38 (2H, s), 6.24 (1H, s), 6.69-6.77 (4H, m), 6.89 (1H, d, J = 5.4 Hz), 7.01-7.05 (2H, m), 7.20-7.25 (3H, m), 7.74 (1H, d, J = 5.4 Hz).
LC/MS: 358 [M+H]+.
실시예 8
N-벤질-1-[2-(벤질옥시)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0 에서 얻어진 1-[2-(벤질옥시)에틸]-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1.10g) 및 벤질아민 (1.5㎖)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8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3 (3H, s), 3.69 (2H, t, J = 4.5 Hz), 4.30 (2H, s), 4.49 (2H, t, J = 4.5 Hz), 4.57 (2H, d, J = 5.1 Hz), 6.20-6.23 (2H, m), 6.87-6.94 (3H, m), 7.18-7.36 (8H, m), 7.78 (1H, d, J = 5.4 Hz).
LC/MS: 372 [M+H]+.
실시예 9
N, 1-디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1 에서 얻어진 1-벤질-7-클로로-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50㎎) 과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2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9 (3H, s), 4.34 (1H, d, J = 5.2 Hz), 4.45 (2H, d, J = 5.2 Hz), 5.46 (2H, s), 6.27 (1H, s), 6.80-7.05 (5H, m), 7.15-7.27 (6H, m), 7.76 (1H, d, J = 5.4 Hz).
LC/MS: 328 [M+H]+.
실시예 10
N-벤질-1,2-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2 에서 얻어진 7-클로로-1,2-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47㎎)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5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7 (3H, s), 3.92 (3H, s), 4.60-4.80 (1H, br), 4.74 (2H, s), 6.15 (1H, s), 6.86 (1H, d, J = 5.8 Hz), 7.20-7.45 (5H, m), 7.74 (1H, d, J = 5.8 Hz).
LC/MS: 252 [M+H]+.
실시예 11
N-벤질-1-(2-메톡시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13 에서 얻어진 7-클로로-1-(2-메톡시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30㎎)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7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35 (3H, s), 3.11 (3H, s), 3.65 (2H, t, J = 4.4 Hz), 4.47 (2H, t, J = 4.4 Hz), 4.70 (2H, d, J = 5.0 Hz), 6.18 (1H, s), 6.30 (1H, br), 6.85 (1H, d, J = 5.8 Hz), 7.20-7.50 (5H, m), 7.76 (1H, d, J = 5.8 Hz).
LC/MS: 296 [M+H]+.
실시예 12
N-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00㎎) 및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5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2.29 (3H, s), 4.51 (1H, br), 4.67 (2H, d, J = 5.2 Hz), 6.85 (1H, d, J = 5.2 Hz), 7.20-7.40 (5H, m), 7.78 (1H, d, J = 5.2 Hz), 8.30 (1H, br).
LC/MS: 252 [M+H]+.
실시예 13
2,3-디메틸-N-(2-메틸벤질)-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62㎎) 및 2-메틸벤질아민 (0.45㎖)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8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6 (3H, s), 2.24 (3H, s), 2.28 (3H, s), 4.37 (1H, br), 4.60 (2H, d, J = 4.8 Hz), 6.82 (1H, d, J = 5.7 Hz), 7.01-7.14 (3H, m), 7.20-7.25 (1H, m), 7.75 (1H, d, J = 5.7 Hz), 8.68 (1H, br).
LC/MS: 266 [M+H]+.
실시예 14
N-(2,6-디메틸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46㎎) 및 2,6-디메틸벤질아민 (467㎎) 의 혼합물을 CEM 사 제조의 마이크로파 포커스 화학 합성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15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순서대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1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수량 231㎎, 수율 8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2.32 (3H, s), 2.34 (6H, s), 3.91 (1H, br), 4.66 (2H, d, J = 4.2 Hz), 6.83 (1H, d, J = 5.7 Hz), 6.98-7.01 (2H, m), 7.05-7.10 (1H, m), 7.80 (1H, d, J = 5.7 Hz), 8.19 (1H, br).
LC/MS: 280 [M+H]+.
실시예 15
2-[7-(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1-일]에탄올
실시예 8 에서 얻어진 N-벤질-1-[2-(벤질옥시)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421㎎) 을 메탄올 (2㎖) 에 용해하고, 4N 염화수소-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사용하여 혼합물의 pH 를 2∼3 으로 조정하였다.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2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1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수량 86㎎, 수율 27%)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65 (1H, br), 2.35 (3H, s), 3.92 (2H, t, J = 4.5 Hz), 4.43 (2H, t, J = 4.5 Hz), 4.65 (2H, d, J = 4.5 Hz), 6.12 (1H, br), 6.17 (1H, s), 6.81 (1H, d, J = 5.4 Hz), 7.21-7.41 (5H, m), 7.66 (1H, d, J = 5.4 Hz).
LC/MS: 282 [M+H]+.
실시예 16
N-(2,3-디히드로-1H-인덴-1-일)-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17㎎) 및 2,3-디히드로-1H-인덴-1-아민 (0.5㎖)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5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62-1.92 (1H, m), 2.17 (3H, s), 2.32 (3H, s), 2.58-2.69 (1H, m), 2.78-2.98 (2H, m), 4.44 (1H, br), 5.72-5.79 (1H, m), 6.89 (1H, d, J = 5.9 Hz), 7.06-7.11 (1H, m), 7.15-7.28 (3H, m), 7.78 (1H, d, J = 5.9 Hz), 8.30 (1H, br).
LC/MS: 278 [M+H]+.
실시예 17
2,3-디메틸-N-(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54㎎) 및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아민 (0.7㎖)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39㎎)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76-1.86 (2H, m), 1.95-2.06 (2H, m), 2.17 (3H, s), 2.32 (3H, s), 2.72-2.76 (2H, m), 4.35 (1H, br), 5.43-5.49 (1H, m), 6.81 (1H, d, J = 5.9 Hz), 7.03-7.16 (3H, m), 7.34-7.37 (1H, m), 7.77 (1H, d, J = 5.9 Hz), 8.18 (1H, br).
LC/MS: 292 [M+H]+.
실시예 18
2,3-디메틸-N-[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67㎎) 과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질아민 (0.52㎖)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0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5 (3H, s), 2.30 (3H, s), 4.52 (1H, br t, J = 5.1 Hz), 4.90 (2H, d, J = 5.1 Hz), 6.83 (1H, d, J = 5.7 Hz), 7.26-7.37 (1H, m), 7.58-7.60 (2H, m), 7.75 (1H, d, J = 5.7 Hz), 8.26 (1H, br s).
실시예 19
N-(2,4-디메틸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68㎎) 과 참고예 64 에서 얻어진 2,4-디메틸벤질아민 (509㎎)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7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2.21 (3H, s), 2.25 (3H, s), 2.28 (3H, s), 4.31 (1H, br t, J = 5.1 Hz), 4.56 (2H, d, J = 5.1 Hz), 6.81-6.85 (2H, m), 6.89 (1H, s), 7.09 (1H, d, J = 7.5 Hz), 7.75 (1H, d, J = 5.7 Hz), 8.68 (1H, br s).
실시예 20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05㎎)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564㎎)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29㎎)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2.18 (3H, s), 2.29 (3H, s), 4.45 (1H, br s), 4.52-5.54 (2H, m), 6.62-6.75 (2H, m), 6.83 (1H, d, J = 5.7 Hz), 7.08-7.12 (1H, m), 7.72 (1H, d, J = 5.7 Hz), 9.01 (1H, br s).
실시예 21
N-벤질-N,2,3-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82㎎) 과 N-메틸벤질아민 (0.51㎖)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32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6 (3H, s), 2.24 (3H, s), 3.12 (3H, s), 4.69 (2H, s), 6.93-6.95 (1H, m), 7.26-7.46 (5H, m), 7.64 (1H, br s), 7.88 (1H, d, J = 5.4 Hz).
실시예 22
N-벤질-1,2,3-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3 에서 얻어진 7-클로로-1,2,3-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62㎎) 과 벤질아민 (0.44㎖)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9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7 (3H, s), 2.29 (3H, s), 3.90 (3H, s), 4.67 (1H, br d, J = 5.4 Hz), 4.74 (2H, d, J = 5.4 Hz), 6.84 (1H, d, J = 5.7 Hz), 7.26-7.37 (3H, m), 7.42-7.57 (2H, m), 7.75 (1H, d, J = 5.7 Hz).
실시예 23
N-벤질-1-에틸-2,3-디에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염산염
참고예 34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62㎎) 과 벤질아민 (0.44㎖)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의 유리 염기를 오일 (181㎎) 로서 얻었다. 얻어진 유리 염기를 메탄올 (5㎖) 에 용해하고, 10% 염화수소메탄올 용액 (2㎖)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탄올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109㎎) 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1.24 (3H, t, J = 7.4 Hz), 2.17 (3H, s), 2.42 (3H, s), 4.53 (2H, q, J = 7.4 Hz), 4.89 (2H, d, J = 6.2 Hz), 7.10 (1H, d, J = 7.0 Hz), 7.28-7.46 (5H, m), 8.00-8.20 (1H, m), 12.62 (1H, br s), 1H 는 검출 안 됨.
실시예 24
1-에틸-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4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234㎎)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549㎎)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6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29 (3H, t, J = 7.2 Hz), 2.18 (3H, s), 2.30 (3H, s), 2.41 (3H, s), 4.16 (2H, q, J = 7.2 Hz), 4.35 (1H, br t, J = 5.1 Hz), 4.68 (2H, d, J = 5.1 Hz), 6.82-6.90 (3H, m), 7.29-7.34 (1H, m), 7.78 (1H, d, J = 5.4 Hz).
실시예 25
N-벤질-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5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198㎎) 과 벤질아민 (1.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결정 (8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3 (3H, t, J = 7.5 Hz), 1.67-1.80 (2H, m), 2.17 (3H, s), 2.29 (3H, s), 4.04-4.09 (2H, m), 4.50 (1H, br), 4.74 (2H, d, J = 5.4 Hz), 6.85 (1H, d, J = 5.7 Hz), 7.26-7.37 (3H, m), 7.41-7.45 (2H, m), 7.77 (1H, d, J = 5.7 Hz).
실시예 26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5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223㎎)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309㎎)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1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 (3H, t, J = 7.8 Hz), 1.66-1.74 (2H, m), 2.17 (3H, s), 2.29 (3H, s), 2.41 (3H, s), 3.99-4.04 (2H, m), 4.28 (1H, br t, J = 5.1 Hz), 4.65 (2H, d, J = 5.1 Hz), 6.85-6.94 (3H, m), 7.29-7.34 (1H, m), 7.78 (1H, d, J = 5.4 Hz).
실시예 27
N-(4-플루오로-2-메틸벤질)-1-이소부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6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이소부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435㎎)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627㎎)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0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4 (6H, d, J = 6.9 Hz), 2.01-2.10 (1H, m), 2.17 (3H, s), 2.27 (3H, s), 2.41 (3H, s), 3.83 (2H, d, J = 7.5 Hz), 4.24 (1H, br t, J = 4.5 Hz), 4.64 (2H, d, J = 4.5 Hz), 6.83-6.94 (3H, m), 7.29-7.34 (1H, m), 7.78 (1H, d, J = 5.7 Hz).
실시예 28
2-메틸-N-(2-메틸벤질)-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502㎎) 과 2-메틸벤질아민 (0.75㎖) 를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5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 (3H, t, J = 7.5 Hz), 1.68-1.80 (2H, m), 2.36 (3H, d, J = 0.9 Hz), 2.43 (3H, s), 4.00-4.05 (2H, m), 4.33 (1H, br t, J = 4.8 Hz), 4.70 (2H, d, J = 4.8 Hz), 6.14 (1H, d, J = 0.9 Hz), 6.87 (1H, d, J = 5.4 Hz), 7.17-7.23 (3H, m), 7.35-7.38 (1H, m), 7.77 (1H, d, J = 5.4 Hz).
실시예 29
N-(2,6-디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471㎎) 과 2,6-디메틸벤질아민 (737㎎)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3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7 (3H, t, J = 7.5 Hz), 1.62-1.73 (2H, m), 2.34 (3H, d, J = 0.9 Hz), 2.43 (6H, s), 3.90-3.95 (2H, m), 4.08 (1H, br t, J = 4.5 Hz), 4.68 (2H, d, J = 4.5 Hz), 6.13 (1H, d, J = 0.9 Hz), 6.86 (1H, d, J = 5.4 Hz), 7.05-7.15 (3H, m), 7.80 (1H, d, J = 5.4 Hz).
실시예 30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496㎎)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862㎎)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 (228㎎)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9 (3H, t, J = 7.5 Hz), 1.67-1.80 (2H, m), 2.37 (3H, s), 2.42 (3H, s), 4.01-4.06 (2H, m) 4.29 (1H, br t, J = 5.1 Hz), 4.66 (2H, d, J = 5.1 Hz), 6.15 (1H, s), 6.84-6.95 (3H, m), 7.31-7.35 (1H, m), 7.77 (1H, d, J = 5.4 Hz).
실시예 31
N-(4-플루오로-2-메틸벤질)-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37 에서 얻어진 7-클로로-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600㎎) 과 참고예 65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민 (915㎎)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77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6 (6H, d, J = 6.9 Hz), 2.04-2.18 (1H, m), 2.36 (3H, d, J = 0.9 Hz), 2.42 (3H, s), 3.84 (2H, d, J = 7.5 Hz), 4.25 (1H, br t, J = 4.8 Hz), 4.65 (2H, d, J = 4.8 Hz), 6.16 (1H, d, J = 0.9 Hz), 6.85-6.96 (3H, m), 7.31-7.35 (1H, m), 7.78 (1H, d, J = 5.4 Hz).
실시예 32
2-메틸-N-[(1R)-1-페닐에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507㎎) 과 (R)-1-페닐에틸아민 (0.78㎖)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6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0 (3H, t, J = 7.2 Hz), 1.64 (3H, d, J = 6.6 Hz), 1.72-1.86 (2H, m), 2.37 (3H, d, J = 0.9 Hz), 4.09-4.17 (2H, m), 4.57 (1H, br d, J = 5.7 Hz), 5.46 (1H, dq, J = 5.7, 6.6 Hz), 6.12 (1H, d, J = 0.9 Hz), 6.81 (1H, d, J = 5.4 Hz), 7.21-7.26 (1H, m), 7.30-7.36 (2H, m), 7.43-7.47 (2H, m), 7.70 (1H, d, J = 5.4 Hz).
실시예 33
2-메틸-N-[(1S)-1-페닐에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 에서 얻어진 7-클로로-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 (518㎎) 과 (S)-1-페닐에틸아민 (0.80㎖) 을 사용하고, 실시예 1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40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1 (3H, t, J = 7.5 Hz), 1.64 (3H, d, J = 6.6 Hz), 1.73-1.86 (2H, m), 2.37 (3H, d, J = 0.9 Hz), 4.10-4.15 (2H, m), 4.58 (1H, br d, J = 6.0 Hz), 5.47 (1H, dq, J = 6.0, 6.6 Hz), 6.13 (1H, d, J = 0.9 Hz), 6.82 (1H, d, J = 5.4 Hz), 7.22-7.28 (1H, m), 7.31-7.37 (2H, m), 7.44-7.48 (2H, m), 7.72 (1H, d, J = 5.4 Hz).
실시예 34
N-벤질-2,3,4-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5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4-트리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89g) 을 벤질아민 (1㎖) 에 용해하고, CEM 사 제조 마이크로파 포커스 화학 합성 반응 장치를 사용하여 180℃ 에서 75 분간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1 : 1 → 1 : 2)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오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272㎎, 수율 51%) 으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26-2.27 (6H, m), 2.38 (3H, s), 4.61 (2H, d, J = 5.7 Hz), 6.15 (1H, t, J = 7.2 Hz), 7.17-7.36 (5H, m), 10.56 (1H, br s).
실시예 35
7-(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보니트릴
참고예 49 에서 얻어진 7-(디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34㎎) 을 사용하여,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고, 아세트산에틸과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24㎎)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7 (3H, t, J = 7.5 Hz), 1.76-1.89 (2H, m), 2.55 (3H, s), 4.08-4.14 (2H, m), 4.55 (1H, br), 4.74 (2H, d, J = 4.8 Hz), 7.01 (1H, d, J = 5.7 Hz), 7.26-7.44 (5H, m), 7.92 (1H, d, J = 5.7 Hz).
실시예 36
N-벤질-3-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45 에서 얻어진 N,N-디벤질-3-에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62㎎) 의 메탄올 중 용액 (2㎖) 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15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3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담황색 분말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아세트산에틸 혼합 용매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42㎎, 수율 3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1.20 (3H, t, J = 7.6 Hz), 2.30 (3H, s), 2.64 (2H, q, J = 7.6 Hz), 4.52 (1H, br), 4.68 (2H, d, J = 7.8 Hz), 6.89 (1H, d, J = 5.6 Hz), 7.20-7.31 (5H, m), 7.77 (1H, d, J = 5.6 Hz), 8.44 (1H, br s).
실시예 37
1-[7-(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참고예 41 에서 얻어진 1-[7-(디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229㎎) 의 메탄올 중 용액 (2㎖) 에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15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1 : 1 → 1 : 4)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무색 오일을 아세트산에틸과 헥산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고 아세트산에틸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59㎎, 수율 34%) 으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49-2.51 (3H, m), 2.65 (3H, s), 4.68 (2H, d, J = 5.4 Hz), 6.55 (1H, t, J = 5.4 Hz), 7.14 (1H, d, J = 5.6 Hz), 7.25-7.41 (5H, m), 7.68 (1H, d, J = 5.6 Hz), 11.69 (1H, br s).
실시예 38
N-벤질-5-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28 에서 얻어진 N,N-디벤질-5-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68㎎) 을 니트로메탄 (1㎖) 및 1,2-디클로로에탄 (1㎖) 에 용해하고, 0℃ 에서 염화알루미늄 (III) (131㎎) 및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 (113㎎) 를 첨가했다. 30 분 간격으로 동일한 방식의 첨가를 2 회 반복하였다. 또한,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 분간 교반한 후,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약염기성으로 하여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3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오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 및 헥산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분말 (수량 97㎎, 수율 3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1 (3H, s), 2.28 (3H, s), 4.45 (1H, br), 4.70 (2H, d, J = 3.9 Hz), 6.82 (1H, s), 7.26-7.40 (5H, m), 7.79 (1H, br s).
실시예 39
7-(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보니트릴
참고예 30 에서 얻어진 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보니트릴 (183㎎) 을 니트로메탄 (1㎖) 및 1,2-디클로로에탄 (1㎖) 에 용해하고, 0℃ 에서 염화알루미늄 (III) (67㎎) 및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 (57㎎) 을 첨가했다. 동일한 온도에서 1 시간 교반한 후, 동량의 염화알루미늄 (III) 및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여 혼합물을 약염기성으로 하고,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9 : 1 → 2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분말을 아세트산에틸 및 헥산의 혼합 용매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 (수량 66㎎, 수율 48%) 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12 (3H, s), 2.33 (3H, s), 4.64 (2H, d, J = 5.7 Hz), 6.84 (1H, t, J = 5.7 Hz), 7.24-7.41 (6H, m), 11.15 (1H, br s).
실시예 40
7-(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참고예 47 에서 얻어진 7-(디벤질아미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262㎎) 를 테트라히드로푸란 (3㎖) 과 메탄올 (1㎖) 에 용해하고, 1M 염화수소-디에틸에테르 용액을 사용하여 혼합물의 pH 를 2∼3 으로 조정하고, 10% 팔라듐탄소 50% 함수품 (200㎎)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수소 대기하에서 1.5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yflo super-cel (상품명: Celite Co. 제조) 로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정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으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염기성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아세트산에틸)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무색 분말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 세정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분말 (수량 33㎎, 수율 16%) 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13 (3H, s), 2.32 (3H, s), 4.74 (2H, d, J = 5.7 Hz), 6.62 (1H, t, J = 5.7 Hz), 7.12 (1H, br), 7.21-7.43 (5H, m), 7.48 (1H, s), 7.72 (1H, br), 10.87 (1H, br s).
실시예 41
7-(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참고예 26 에서 얻어진 N,N-디벤질-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00㎎) 을 니트로메탄 (2㎖) 및 1,2-디클로로에탄 (2㎖) 에 용해하고, 0℃ 에서 디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 (178㎎) 를 첨가하고, 염화알루미늄 (III) (145㎎) 을 소량씩 첨가했다. 혼합물을 0℃ 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한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에 소량씩 첨가했다.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고, 그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2 : 3 → 1 : 4)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분말 (46㎎, 수율 5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68 (3H, s), 4.67 (2H, d, J = 5.2 Hz), 6.58 (1H, t, J = 5.2 Hz), 7.19-7.42 (6H, m), 7.71 (1H, d, J = 5.8 Hz), 10.0 (1H, s), 11.8 (1H, br s).
실시예 42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0 에서 얻어진 2,3-디메틸-1-프로필-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239㎎) 의 톨루엔 중 용액 (5㎖) 에, 참고예 56 에서 얻어진 4-플루오로-2-메틸벤즈알데히드 (144㎎) 및 무수 황산마그네슘 (376㎎)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리고, 톨루엔을 감압 증류한 후, 잔류물을 테트라히드로푸란 (2㎖) 및 메탄올 (2㎖) 에 현탁하였다. 0℃ 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78㎎)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세트산으로 처리하고,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헥산으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68㎎, 수율 1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2 (3H, t, J = 7.5 Hz), 1.63-1.78 (2H, m), 2.18 (3H, s), 2.30 (3H, s), 2.42 (3H, s), 4.02-4.07 (2H, m), 4.49 (1H, br), 4.70 (2H, d, J = 4.8 Hz), 6.82-6.93 (2H, m), 7.24 (1H, s), 7.34-7.39 (1H, m).
실시예 43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1 에서 얻어진 2,3-디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657㎎) 을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56㎎)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8 (3H, s), 2.33 (3H, s), 2.34 (3H, s), 4.30 (1H, br), 4.66 (2H, d, J = 4.8 Hz), 6.77-6.88 (2H, m), 7.24-7.32 (2H, m), 7.95 (1H, br s).
실시예 44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3-디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2 에서 얻어진 2-메틸-1,3-디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45㎎) 을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 (84㎎)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 (3H, t, J = 7.5 Hz), 0.91 (3H, t, J = 7.2 Hz), 1.51-1.75 (4H, m), 2.29 (3H, s), 2.42 (3H, s), 2.60 (2H, t, J = 7.2 Hz), 4.00-4.06 (2H, m), 4.28 (1H, br), 4.65 (2H, d, J = 4.8 Hz), 6.83-6.95 (3H, m), 7.30-7.35 (1H, m), 7.77 (1H, d, J = 5.7 Hz).
실시예 45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5-(모르폴린-4-일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3 에서 얻어진 2,3-디메틸-5-(모르폴린-4-일카르보닐)-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80㎎) 을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34㎎)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1 (3H, s), 2.33 (3H, s), 2.35 (3H, s), 3.20-3.40 (2H, m), 3.40-3.60 (6H, m), 4.57 (2H, d, J = 5.4 Hz), 6.55 (1H, br), 6.91-6.97 (1H, m), 7.05-7.09 (2H, m), 7.22-7.26 (1H, m), 10.87 (1H, s).
실시예 46
N-(4-플루오로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5 에서 얻어진 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89㎎) 및 4-플루오로벤즈알데히드 (149㎎) 를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254㎎)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4 (3H, t, J = 7.5 Hz), 1.64-1.84 (2H, m), 2.38 (3H, s), 4.05-4.11 (2H, m), 4.48 (1H, br), 4.71 (2H, d, J = 5.4 Hz), 6.16 (1H, s), 6.89 (1H, d, J = 5.4 Hz), 7.01-7.08 (2H, m), 7.38-7.43 (2H, m), 7.76 (1H, d, J = 5.4 Hz).
실시예 47
N-(2,6-디에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5 에서 얻어진 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89㎎) 및 참고예 57 에서 얻어진 2,6-디에틸벤즈알데히드 (195㎎) 를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55㎎)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4 (3H, t, J = 7.5 Hz), 1.21-1.28 (6H, m), 1.60-1.70 (2H, m), 2.34 (3H, s), 2.77 (4H, q, J = 7.2 Hz), 3.88-3.94 (2H, m), 4.09-4.16 (1H, m), 4.69 (2H, d, J = 4.2 Hz), 6.14 (1H, s), 6.87 (1H, d, J = 5.7 Hz), 7.11-7.13 (2H, m), 7.21-7.26 (1H, m), 7.82 (1H, d, J = 5.7 Hz).
실시예 48
2-메틸-N-[(3-메틸-2-티에닐)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참고예 55 에서 얻어진 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89㎎) 및 3-메틸티오펜-2-카르발데히드 (151㎎) 를 사용하고, 실시예 42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55㎎)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8 (3H, t, J = 7.5 Hz), 1.75-1.85 (2H, m), 2.29 (3H, s), 2.38 (3H, s), 4.08-4.16 (2H, m), 4.45 (1H, br), 4.83 (2H, d, J = 5.1 Hz), 6.16 (1H, s), 6.85-6.91 (2H, m), 7.14 (1H, d, J = 5.4 Hz), 7.78 (1H, d, J = 5.4 Hz).
실시예 49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N-(2-히드록시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참고예 54 에서 얻어진 7-아미노-N-(2-히드록시에틸)-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5-카르복사미드 (260㎎) 의 메탄올 중 용액 (20㎖) 에, 4-플루오로-2-메틸벤즈알데히드 (218㎎), 무수 황산마그네슘 (380㎎) 및 시아노트리히드로붕소나트륨 (147㎎)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8 시간 가열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되돌리고,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아세트산에틸-메탄올 = 19 : 1) 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 오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와 아세트산에틸의 혼합 용매로부터 결정화하고, 아세트산에틸과 에탄올로부터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158㎎, 수율 41%)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13 (3H, s), 2.31 (3H, s), 2.38 (3H, s), 3.34-3.39 (2H, m), 3.52 (2H, q, J = 5.7 Hz), 4.69 (2H, d, J = 5.1 Hz), 4.83 (1H, t, J = 5.1 Hz), 6.48 (1H, t, J = 5.4 Hz), 6.95-7.09 (2H, m), 7.41-7.47 (2H, m), 8.40 (1H, t, J = 5.4 Hz), 10.89 (1H, br s).
실시예 50
2-메틸-7-[(2-메틸벤질)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28 에서 얻어진 2-메틸-N-(2-메틸벤질)-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19㎎)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2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2 (3H, t, J = 7.5 Hz), 1.73-1.86 (2H, m), 2.42 (3H, s), 2.66 (3H, s), 4.06-4.11 (2H, m), 4.34 (1H, br t, J = 4.8 Hz), 4.70 (2H, d, J = 4.8 Hz), 7.16-7.24 (3H, m), 7.33-7.36 (1H, m), 7.54 (1H, d, J = 5.4 Hz), 7.97 (1H, d, J = 5.4 Hz), 10.15 (1H, s).
실시예 51
7-[(2,6-디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29 에서 얻어진 N-(2,6-디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39㎎)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7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1 (3H, t, J = 7.5 Hz), 1.69-1.77 (2H, m), 2.43 (6H, s), 2.65 (6H, s), 3.98-4.03 (2H, m), 4.10 (1H, br t, J = 4.2 Hz), 4.70 (2H, d, J = 4.2 Hz), 7.07-7.16 (3H, m), 7.55 (1H, d, J = 5.4 Hz), 8.02 (1H, d, J = 5.4 Hz), 10.18 (1H, s).
실시예 52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30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514㎎)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고체 (322㎎)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3 (3H, t, J = 7.5 Hz), 1.70-1.83 (2H, m), 2.41 (3H, s), 2.66 (3H, s), 4.06-4.12 (2H, m), 4.30 (1H, br), 4.66 (2H, d, J = 5.1 Hz), 6.85-6.96 (2H, m), 7.29-7.34 (1H, m), 7.56 (1H, d, J = 5.4 Hz), 7.97 (1H, d, J = 5.4 Hz), 10.16 (1H, s).
실시예 53
7-[(4-플루오로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46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254㎎)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70㎎)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9 (3H, t, J = 7.5 Hz), 1.79-1.88 (2H, m), 2.67 (3H, s), 4.11-4.17 (2H, m), 4.49 (1H, br), 4.71 (2H, d, J = 5.1 Hz), 7.02-7.08 (2H, m), 7.37-7.42 (2H, m), 7.57 (1H, d, J = 5.4 Hz), 7.96 (1H, d, J = 5.4 Hz), 10.17 (1H, s).
실시예 54
7-[(2,6-디에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47 에서 얻어진 N-(2,6-디에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155㎎)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83㎎)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7 (3H, t, J = 7.5 Hz), 1.20-1.27 (6H, m), 1.60-1.80 (2H, m), 2.64 (3H, s), 2.76 (4H, q, J = 7.5 Hz), 3.95-4.00 (2H, m), 4.12 (1H, br), 4.78 (2H, d, J = 4.2 Hz), 7.11-7.14 (2H, m), 7.22-7.26 (1H, m), 7.56 (1H, d, J = 5.4 Hz), 8.02 (1H, d, J = 5.4 Hz), 10.17 (1H, s).
실시예 55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31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2-메틸벤질)-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39㎎)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59㎎)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1 (6H, d, J = 6.6 Hz), 2.11-2.20 (1H, m), 2.41 (3H, s), 2.66 (3H, s), 3.90 (2H, d, J = 6.9 Hz), 4.26 (1H, br t, J = 4.5 Hz), 4.65 (2H, d, J = 4.5 Hz), 6.86-6.97 (2H, m), 7.30-7.34 (1H, m), 7.57 (1H, d, J = 5.7 Hz), 7.98 (1H, d, J = 5.7 Hz), 10.18 (1H, s).
실시예 56
2-메틸-7-{[(1R)-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32 에서 얻어진 2-메틸-N-[(1R)-1-페닐에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328㎎)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9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6 (3H, t, J = 7.2 Hz), 1.65 (3H, d, J = 6.6 Hz), 1.78-1.93 (2H, m), 2.68 (3H, s), 4.15-4.21 (2H, m), 4.57 (1H, br d, J = 5.4 Hz), 5.45 (1H, dq, J = 5.4, 6.6 Hz), 7.23-7.28 (1H, m), 7.32-7.37 (2H, m), 7.42-7.45 (2H, m), 7.49 (1H, d, J = 5.4 Hz), 7.91 (1H, d, J = 5.4 Hz), 10.15 (1H, s).
실시예 57
2-메틸-7-{[(1S)-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실시예 33 에서 얻어진 2-메틸-N-[(1S)-1-페닐에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542㎎) 을 사용하고, 참고예 48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96㎎)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6 (3H, t, J = 7.5 Hz), 1.65 (3H, d, J = 6.9 Hz), 1.78-1.93 (2H, m), 2.67 (3H, s), 4.15-4.21 (2H, m), 4.58 (1H, br d, J = 5.7 Hz), 5.45 (1H, dq, J = 5.7, 6.9 Hz), 7.24-7.29 (1H, m), 7.32-7.38 (2H, m), 7.43-7.46 (2H, m), 7.50 (1H, d, J = 5.4 Hz), 7.92 (1H, d, J = 5.4 Hz), 10.15 (1H, s).
실시예 58
1-{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실시예 30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789㎎) 을 사용하고, 참고예 41 과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380㎎)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1 (3H, t, J = 7.5 Hz), 1.72-1.81 (2H, m), 2.42 (3H, s), 2.65 (3H, s), 2.73 (3H, s), 4.10-4.15 (2H, m), 4.33 (1H, br), 4.66 (2H, d, J = 5.4 Hz), 6.85-6.97 (2H, m), 7.25-7.35 (2H, m), 7.94 (1H, d, J = 5.4 Hz).
실시예 59
[7-(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41 에서 얻어진 7-(벤질아미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45㎎) 를 에탄올 (2㎖) 에 현탁하고, 0℃ 에서 수소화붕소나트륨 (7㎎) 을 첨가했다.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한 후, 아세트산을 몇방울 첨가하여 처리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류하였다. 잔류물에 6%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아세트산에틸-메탄올= 9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분말 (26㎎, 수율 57%) 로서 얻었다.
1H-NMR (DMSO-d6) δ: 2.36 (3H, s), 4.48-4.55 (3H, m), 4.66 (2H, d, J = 5.7 Hz), 6.40 (1H, t, J = 5.7 Hz), 6.76 (1H, d, J = 5.7 Hz), 7.20-7.37 (5H, m), 7.49 (1H, d, J = 5.7 Hz), 10.73 (1H, br s).
실시예 60
{2-메틸-7-[(2-메틸벤질)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0 에서 얻어진 2-메틸-7-[(2-메틸벤질)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183㎎)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2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 (3H, t, J = 7.5 Hz), 1.34 (1H, br t, J = 4.5 Hz), 1.68-1.80 (2H, m), 2.40 (3H, s), 2.42 (3H, s), 4.02-4.08 (2H, m), 4.36 (1H, br t, J = 4.8 Hz), 4.71 (2H, d, J = 4.8 Hz), 4.76 (2H, d, J = 4.5 Hz), 6.99 (1H, d, J = 5.4 Hz), 7.18-7.24 (3H, m), 7.35-7.38 (1H, m), 7.84 (1H, d, J = 5.4 Hz).
실시예 61
{7-[(2,6-디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1 에서 얻어진 7-[(2,6-디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52㎎)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30㎎)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8 (3H, t, J = 7.5 Hz), 1.24 (1H, t, J = 5.4 Hz), 1.63-1.70 (2H, m), 2.38 (3H, s), 2.43 (6H, s), 3.93-3.98 (2H, m), 4.11 (1H, br t, J = 4.5 Hz), 4.69 (2H, d, J = 4.5 Hz), 4.76 (2H, d, J = 5.4 Hz), 7.00 (1H, d, J = 5.7 Hz), 7.06-7.17 (3H, m), 7.87 (1H, d, J = 5.7 Hz).
실시예 62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2 에서 얻어진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322㎎)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171㎎)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0 (3H, t, J = 7.5 Hz), 1.35 (1H, br), 1.69-1.80 (2H, m), 2.40-2.41 (6H, m), 4.02-4.08 (2H, m), 4.31 (1H, br), 4.66 (2H, d, J = 4.8 Hz), 4.76 (2H, s), 6.84-6.94 (2H, m), 7.00 (1H, d, J = 5.7 Hz), 7.27-7.34 (1H, m), 7.82 (1H, d, J = 5.7 Hz).
실시예 63
{7-[(4-플루오로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3 에서 얻어진 7-[(4-플루오로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170㎎)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수량 80㎎, 수율 47%)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6 (3H, t, J = 7.5 Hz), 1.33 (1H, br), 1.70-1.81 (2H, m), 2.41 (3H, s), 4.07-4.12 (2H, m), 4.50 (1H, br), 4.71 (2H, d, J = 5.4 Hz), 4.77 (2H, s), 7.00-7.08 (3H, m), 7.37-7.42 (2H, m), 7.81 (1H, d, J = 5.4 Hz).
실시예 64
{7-[(2,6-디에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4 에서 얻어진 7-[(2,6-디에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82㎎)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방법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29㎎)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64 (3H, t, J = 7.5 Hz), 1.21-1.30 (7H, m), 1.60-1.70 (2H, m), 2.37 (3H, s), 2.76 (4H, q, J = 7.5 Hz), 3.90-3.96 (2H, m), 4.14 (1H, br), 4.69 (2H, d, J = 4.2 Hz), 4.76 (2H, s), 6.99 (1H, d, J = 5.4 Hz), 7.12 (2H, d, J = 7.2 Hz), 7.22-7.26 (1H, m), 7.87 (1H, d, J = 5.4 Hz).
실시예 65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5 에서 얻어진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216㎎)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145㎎)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6 (6H, d, J = 6.3 Hz), 1.25 (1H, t, J = 5.1 Hz), 2.03-2.14 (1H, m), 2.39 (3H, s), 2.41 (3H, s), 3.86 (2H, d, J = 6.9 Hz), 4.28 (1H, br t, J = 4.8 Hz), 4.65 (2H, d, J = 4.8 Hz), 4.77 (2H, d, J = 5.1 Hz), 6.85-6.96 (2H, m), 7.01 (1H, d, J = 5.4 Hz), 7.30-7.35 (1H, m), 7.84 (1H, d, J = 5.4 Hz).
실시예 66
(2-메틸-7-{[(1R)-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6 에서 얻어진 2-메틸-7-{[(1R)-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62㎎)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29㎎)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2 (3H, t, J = 7.2 Hz), 1.24 (1H, t, J = 5.1 Hz), 1.64 (3H, d, J = 6.6 Hz), 1.73-1.87 (2H, m), 2.40 (3H, s), 4.14 (2H, t, J = 5.1 Hz), 4.59 (1H, br d, J = 6.0 Hz), 4.74 (2H, d, J = 5.1 Hz), 5.42-5.50 (1H, m), 6.93 (1H, d, J = 5.4 Hz), 7.21-7.26 (1H, m), 7.30-7.35 (2H, m), 7.43-7.45 (2H, m), 7.76 (1H, d, J = 5.4 Hz).
실시예 67
(2-메틸-7-{[(1S)-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실시예 57 에서 얻어진 2-메틸-7-{[(1S)-1-페닐에틸]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카르발데히드 (149㎎) 를 사용하고, 실시예 59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고체 (8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92 (3H, t, J = 7.5 Hz), 1.25 (1H, t, J = 5.1 Hz), 1.64 (3H, d, J = 6.9 Hz), 1.73-1.87 (2H, m), 2.41 (3H, s), 4.12-4.17 (2H, m), 4.60 (1H, br d, J = 6.0 Hz), 4.75 (2H, d, J = 5.1 Hz), 5.47 (1H, dq, J = 6.0, 6.9 Hz), 6.94 (1H, d, J = 5.4 Hz), 7.22-7.28 (1H, m), 7.32-7.37 (2H, m), 7.44-7.47 (2H, m), 7.77 (1H, d, J = 5.4 Hz).
실시예 68
1-{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탄올
실시예 58 에서 얻어진 1-{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타논 (127㎎) 을 사용하고, 참고예 43 과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49㎎)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9 (3H, t, J = 7.5 Hz), 1.59-1.76 (6H, m), 2.38 (3H, s), 2.41 (3H, s), 4.00-4.06 (2H, m), 4.29 (1H, br), 4.65 (2H, d, J = 4.8 Hz), 5.19 (1H, q, J = 6.6 Hz), 6.84-6.95 (2H, m), 7.14 (1H, d, J = 5.7 Hz), 7.28-7.34 (1H, m), 7.79 (1H, d, J = 5.4 Hz).
실시예 69
3-에틸-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실시예 68 에서 얻어진 1-{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3-일}에탄올 (169㎎) 을 사용하고, 참고예 45 와 유사한 조건 하에 반응을 수행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결정 (81㎎)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8 (3H, t, J = 7.5 Hz), 1.16 (3H, t, J = 7.2 Hz), 1.63-1.80 (2H, m), 2.30 (3H, s), 2.41 (3H, s), 2.64 (2H, q, J = 7.2 Hz), 4.00-4.05 (2H, m), 4.28 (1H, br), 4.65 (2H, d, J = 4.8 Hz), 6.84-6.95 (3H, m), 7.30-7.35 (1H, m), 7.78 (1H, d, J = 5.4 Hz).
실시예 70
3-클로로-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실시예 30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77㎎) 의 디에틸에테르 (5㎖) 중 용액에 염화설퍼릴 (0.02㎖) 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4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일 (수량 72㎎, 수율 83%)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9 (3H, t, J = 7.2 Hz), 1.68-1.78 (2H, m), 2.37 (3H, s), 2.41 (3H, s), 4.01-4.06 (2H, m), 4.30 (1H, br t, J = 4.8 Hz), 4.65 (2H, d, J = 4.8 Hz), 6.83-6.94 (3H, m), 7.28-7.33 (1H, m), 7.82 (1H, d, J = 5.4 Hz).
실시예 71
3-브로모-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실시예 30 에서 얻어진 N-(4-플루오로-2-메틸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403㎎) 의 아세트산 (5㎖) 중 용액에 브롬 (0.08㎖) 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간 교반하고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5 : 1) 로 정제하고,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259㎎, 수율 51%) 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80 (3H, t, J = 7.2 Hz), 1.66-1.79 (2H, m), 2.39 (3H, s), 2.41 (3H, s), 4.04-4.09 (2H, m), 4.30 (1H, br t, J = 4.8 Hz), 4.65 (2H, d, J = 4.8 Hz), 6.83-6.94 (3H, m), 7.28-7.33 (1H, m), 7.83 (1H, d, J = 5.4 Hz).
실시예 72
메틸 3-클로로-7-(벤질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참고예 74 에서 얻어진 메틸 3-클로로-7-[벤질(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338㎎) 의 메탄올 (5㎖) 중 용액에 6N 염산 (3㎖) 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1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디이소프로필에테르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180㎎, 수율 68%)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9 (3H, t, J = 7.5 Hz), 1.80-1.88 (2H, m), 3.97 (3H, s), 4.52-4.57 (2H, m), 4.73-4.75 (2H, m), 4.79-4.81 (1H, m), 6.98 (1H, d, J = 5.7 Hz), 7.30-7.44 (5H, m), 7.86 (1H, d, J = 5.7 Hz).
실시예 73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일}메탄올
참고예 73 에서 얻어진 에틸 7-[(tert-부톡시카르보닐) (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3-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2-카르복실레이트 (944㎎) 의 디에틸에테르 (10㎖) 중 용액에 수소화알루미늄리튬 (150㎎) 을 0℃ 에서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 온도에서 2 시간, 및 실온에서 1 시간 더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8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 (10㎖) 에 용해하고, 6N 염산 (3㎖) 을 첨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15 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아세트산에틸로부터 결정화함으로써,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498㎎, 수율 74%)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0.77 (3H, t, J = 7.5 Hz), 1.70-1.81 (3H, m), 2.24 (3H, s), 2.40 (3H, s), 4.13-4.19 (2H, m), 4.39 (1H, br t, J = 4.5 Hz), 4.64 (2H, d, J = 4.5 Hz), 4.75 (2H, s), 6.82-6.98 (3H, m), 7.27-7.31 (1H, m), 7.78 (1H, d, J = 5.7 Hz).
실시예 74
N-[7-(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딜)]벤즈아미드
참고예 2 에서 얻어진 7-클로로-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 (306㎎) 의 톨루엔 (20㎖) 중 용액에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 (15.8㎎), 9,9-디메틸-4,5-비스(디페닐포스피노)잔틴(30.1㎎), 탄산세슘 (775㎎) 및 벤즈아미드 (291㎎)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대기하, 120℃ 에서 14 시간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아세트산에틸로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물 및 포화 염수로 세정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용리액: 헥산-아세트산에틸 = 3 : 1) 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결정 (수량 117g, 수율 26%) 으로서 얻었다.
1H-NMR (CDCl3) δ: 2.23 (3H, s), 2.43 (3H, s), 7.20 (1H, d, J = 5.7 Hz), 7.47-7.61 (3H, m), 7.79 (1H, d, J = 5.7 Hz), 7.98-8.01 (2H, m), 8.84 (1H, br s), 1H 은 검출되지 않음.
표 1 은 참고예 1∼13, 25 및 33∼37 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내고, 표 2 는 참고예 26∼32, 38∼49 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내고, 표 3 은 참고예 50∼55 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내며, 표 4 는 참고예 69∼75 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구조를 나타낸다.
[표 1]
Figure pat00042
Figure pat00043
[표 2]
Figure pat00044
Figure pat00045
[표 3]
Figure pat00046
Figure pat00047
[표 4]
Figure pat00048
Figure pat00049
실시예 1 - 74 에서 수득된 화합물의 구조를 표 5 - 8 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at00050
Figure pat00051
[표 6]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표 7]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표 8]
Figure pat00056
실험예
양성자, 칼륨-아데노신트리포스파타아제 (H+/K+-ATPase) 저해 활성 시험
Wallmark 등의 방법 [Biochem. Biophys. Acta., 728, 31 (1983)] 에 따라 위점막 마이크로솜 분획을 돼지의 위로부터 제조하였다. 우선, 위체부를 분리하고, 수도물로 세정한 후, 3M 염수에 침지시키고, 페이퍼타올로 점막 표면을 닦았다. 위점막을 분리하여 잘게 자르고, 1mM EDTA 및 10mM 트리스염산을 포함하는 0.25M 자당액 (pH 6.8) 중에서 폴리트론 (Kinematica) 을 사용하여 균질화하였다. 얻어진 균질물을 20,000×g 으로 30 분간 원심 분리한 후 상청액을 100,000×g 으로 90 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침전부를 0.25M 자당액으로 현탁한 후 7.5% 피콜(Ficoll)을 포함하는 0.25M 자당액 위에 중층하고, 100,000×g 으로 5 시간 원심 분리하였다. 두 층의 계면부 분획을 수합하고, 0.25M 자당액으로 원심 분리에 의해 세정하였다.
얻어진 마이크로솜 분획은 H+/K+-ATPase 표준 물질로서 사용하였다.
2.5㎍/㎖ (단백질 농도 기준) 의 효소 표준 물질을 포함하는 50mM Hepes-tris 완충액 (5mM 염화마그네슘, 10mM 염화칼륨, 10μM 발리노마이신, pH=6.5) 40㎕ 에 10% 디메틸술폭시드 수용액에 용해한 시험 화합물 (5㎕) 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37℃ 에서 30 분간 인큐베이트하였다. 2mM 의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 트리스염 용액 (50mM Hepes-tris 완충액 (5mM 염화마그네슘, pH6.5)) 5㎕ 를 첨가함으로써 효소 반응을 시작하였다. 37℃ 에서 20 분간 효소 반응을 하고, 말라카이트 그린액 (0.12% 말라카이트 그린 황산 (5N) 용액, 7.5% 몰리브덴산암모늄 및 11% Tween20 의 100:25:2 혼합물) 15㎕ 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5 분간 방치한 후, 생성된 무기인과 말라카이트그린의 반응물을 610nm 의 파장으로 비색정량하였다. 염화칼륨이 존재하지 않는 반응 용액 중의 무기 인산의 양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상기 수득량을 염화칼륨 존재하에서의 무기 인산량으로부터 뺌으로써 H+/K+-ATP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컨트롤 활성치와 시험 화합물 각 농도에서의 활성치로부터 저해율 (%) 을 구하고, 양성자 및 칼륨-아데노신 트리포스파타아제의 50% 저해 농도 (IC50) 를 결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 에 나타낸다.
[표 9]
Figure pat00057
표 9 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 (I) 은 뛰어난 H+/K+-ATPase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화합물 (I) 을 포함하는 화합물 (II) 는, 뛰어난 양성자 펌프 저해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1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 등의 임상상 유용한 예방 또는 치료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성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로서 유용하다.
본원은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4-220788 를 기초로 하고 있고,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17)

  1.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
    Figure pat00058

    [식 중, R1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고리 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v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옥시기, (vi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X 는 결합, O, S, CH2 또는
    Figure pat00059

    {R6 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를 나타내고,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A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2. 제 1 항에 있어서, R1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모노-C1-6 알킬아미노, 디-C1-6 알킬아미노, C1-6 알콕시, C7-16 아르알킬옥시, C3-7 시클로알킬 및 5- 또는 6-원 복소환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또는 iv) C1-6 알콕시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7-16 아르알킬기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2 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및 C1-6 알콕시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ii) C2-6 알케닐기 또는 iii) C1-6 알콕시-카르보닐기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3 이,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iii) C2-6 알케닐기, iv) C6-14 아릴기, v) 포르밀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할로겐원자 또는 viii) 시아노기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4 및 R5 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시아노, C1-6 알콕시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iii) C7-16 아르알킬기, iv) 할로겐원자, v) 시아노기, vi) C1-6 알킬-카르보닐기, vii) 카르바모일기, viii)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모노-C1-6 알킬-카르바모일기, ix) 디-C1-6 알킬-카르바모일기, x) C1-6 알킬-카르보닐옥시기, xi) C1-6 알콕시-카르보닐옥시기 또는 xii) 모르폴리노카르보닐기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X 가 결합, O, S, CH2 또는
    Figure pat00060

    (R6 은 수소원자 또는 C1-6 알킬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m 이 1 인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A 가, i) 할로겐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6-14 아릴기, ii) C1-6 알킬, C1-6 알콕시, 시아노 및 할로겐원자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5- 또는 6-원 복소환기, iii) 2,3-디히드로-1H-인덴-1-일기 또는 iv) 1,2,3,4-테트라히드로나프탈렌-1-일기인 화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N-벤질-2-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벤질-1-(시클로프로필메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2,3-디히드로-1H-인덴-1-일)-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N-(4-플루오로-2-메틸벤질)-2,3-디메틸-1-프로필-1H-피롤로[2,3-c]피리딘-7-아민,
    {7-[(4-플루오로-2-메틸벤질)아미노]-1-이소부틸-2-메틸-1H-피롤로[2,3-c]피리딘-3-일}메탄올 및
    N-[7-(2,3-디메틸-1H-피롤로[2,3-c]피리딜)]벤즈아미드.
  10. 제 1 항의 화합물의 전구약물.
  11.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at00061

    [식 중, Y 는 이탈기를, R1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고리 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v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옥시기, (vi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또는 그 염과,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at00062

    [식 중, Xa 는 O, S 또는
    Figure pat00063

    {R6 은 수소원자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를, Z 는 결합 또는 -CO- 을 나타냄} 를, m 은 0 내지 2 의 정수를, A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또는 그 염을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염의 제조 방법:
    Figure pat00064

    [식 중의 각 기호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12.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pat00065

    [식 중, Y 는 이탈기를 나타내고, R1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카르바모일기 또는 치환 술포닐기를 나타내고, R2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포르밀기, 알킬카르보닐기, 할로겐원자 또는 시아노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2 및 R3 은 그들이 결합하는 탄소원자와 함께 고리 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R4 및 R5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각각 (i) 수소원자, (ii) 할로겐원자, (iii) 시아노기, (iv) 니트로기, (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v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옥시기, (vii)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티오기, (viii) 알킬카르보닐기, (ix) 카르바모일기, (x) 히드록시 또는 벤질옥시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모노- 또는 디-알킬카르바모일기, (xi) 아실옥시기, (xii) 치환 술포닐기, (xiii) 치환 술피닐기, (xiv)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미노기 또는 (xv) 복소환-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단, R3 이 수소원자일 때, R1 은 i) 할로겐원자, 히드록시, C1-6 알콕시, C6-14 아릴 및 C3-7 시클로알킬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C1-6 알킬기 또는 ii) C2-6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또한
    R2 는 하기로 표시되는 기가 아니다
    (1) 식: -C(=N-O-Ra)-Rb (식 중, Ra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수소원자 또는 치환기를 나타냄)
    (2) 식: -C(=N-NH-Rc)-Rb (식 중, Rc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내고, Rb 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음)
    (3) 식: -CH(OH)-Rd (식 중, Rd 는 수소원자 또는 탄소원자를 통하여 결합하는 기를 나타냄) 또는
    (4) 식: -CH(Re)-N(Rf)(Rg) (식 중, Re 는 수소원자 또는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Rf 및 Rg 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수소원자,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복소환기 또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아실기를 나타내거나, 또는 Rf 및 Rg 는 인접하는 질소원자와 함께,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질소함유 복소환기를 형성함)).
  13.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을 함유하는 약제.
  14.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피롤로[2,3-c]피리딘계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양성자 펌프 저해제:
    Figure pat00066

    [식 중, 고리 B 는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피리딘 고리를, 고리 C 는 R7 이외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피롤 고리를, 및 R7 은 치환되어 있어도 좋은 탄화수소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를 나타낸다].
  15. 제 13 항에 있어서,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l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인 약제.
  16. 포유동물에 대하여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l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 방법; 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제균 방법;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 방법.
  17. 소화성 궤양, 졸링거-엘리슨 (Zo1linger-Ellison) 증후군, 위염, 역류성 식도염, 식도염을 동반하지 않는 위식도 역류증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Symptomatic GERD)), NUD (Non Ulcer Dyspepsia), 위암, 위 MALT 림프종,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에서 기인하는 궤양 또는 수술후 스트레스에 의한 위산과다 및 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제균제; 또는 소화성 궤양, 급성 스트레스 궤양, 출혈성 위염 또는 침습 스트레스에 의한 상부 소화관 출혈의 억제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의 화합물 또는 그 전구약물의 사용.
KR1020227019465A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202200844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220788 2004-07-28
JP2004220788 2004-07-28
PCT/JP2005/014263 WO2006011670A1 (ja) 2004-07-28 2005-07-28 ピロロ[2,3-c]ピリジ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KR1020207025207A KR20200105967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207A Division KR20200105967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426A true KR20220084426A (ko) 2022-06-21

Family

ID=35786398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368A KR20120132582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077004477A KR20070053231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47035016A KR101764575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77021180A KR101913531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207025207A KR20200105967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227019465A KR20220084426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87030652A KR102152809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Family Applications Before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368A KR20120132582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077004477A KR20070053231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47035016A KR101764575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177021180A KR101913531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0207025207A KR20200105967A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652A KR102152809B1 (ko) 2004-07-28 2005-07-28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070293532A1 (ko)
EP (1) EP1787991B2 (ko)
JP (1) JP4977465B2 (ko)
KR (7) KR20120132582A (ko)
AT (1) ATE527258T1 (ko)
WO (1) WO2006011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29B1 (ko) * 2004-09-03 2010-05-25 주식회사유한양행 피롤로[2,3-c]피리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UA114490C2 (uk) 2011-10-06 2017-06-26 Байєр Інтеллектуал Проперті Гмбх Гетероциклілпіри(mі)динілпіразоли як фунгіциди
JP6211522B2 (ja) 2011-10-06 2017-10-11 バイエル・インテレクチュアル・プロパティ・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ヘテロシクリルピリ(ミ)ジニルピラゾール
KR101657597B1 (ko) * 2013-05-08 2016-09-19 주식회사유한양행 피롤로[2,3-c]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WO2014189238A1 (en) * 2013-05-20 2014-11-27 Yuhan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yrrolo[2,3-c]pyridine derivatives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WO2016021742A1 (en) 2014-08-07 2016-02-11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Heterocyclic compounds as ep4 receptor antagonists
CA2993312A1 (en) 2015-07-23 2017-01-26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1-substituted 1,2,3,4-tetrahydro-1,7-naphthyridin-8-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ep4 receptor antagonists
WO2019197232A1 (de) * 2018-04-10 2019-10-17 Bayer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6-dialkylphenyl-essigsäuren
KR102100725B1 (ko) * 2018-09-10 2020-04-14 윤민수 그래핀접촉패드부·사선줄기형 방열파이프·도트형 히트싱크를 통한 써드이펙트형 스마트폰용 케이스접촉방열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5037A (en) * 1969-12-05 1971-01-12 American Cyanamid Co Certain 5,6,7,8-tetrahydro-beta-carbolines
JPS5936919B2 (ja) * 1978-10-14 1984-09-06 日本新薬株式会社 インド−ル誘導体
FR2687402B1 (fr) * 1992-02-14 1995-06-30 Lipha Nouveaux azaindoles, procedes de preparation et medicaments les contenant.
JP3465827B2 (ja) * 1993-02-24 2003-11-10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アザインドー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潰瘍薬
GB2298199A (en) * 1995-02-21 1996-08-28 Merck Sharp & Dohme Synthesis of azaindoles
SE9700661D0 (sv) 1997-02-25 1997-02-25 Astra Ab New compounds
AU750917B2 (en) 1997-09-25 2002-08-01 Pharmacia & Upjohn Company Thioalkyl alpha substituted pyrimidine compounds
SE9704404D0 (sv) 1997-11-28 1997-11-28 Astra Ab New compounds
SE9802794D0 (sv) * 1998-08-21 1998-08-21 Astra Ab New compounds
FR2804429B1 (fr) * 2000-01-31 2003-05-09 Adir Nouveaux derives de 4-sulfonamides piperid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qui les contiennent
JP2001294587A (ja) * 2000-02-10 2001-10-23 Sankyo Co Ltd ピロロピリダジン化合物
WO2001058901A1 (fr) * 2000-02-10 2001-08-16 Sankyo Company, Limited Compose de pyrrolopyridazine
US6653304B2 (en) * 2000-02-11 2003-11-25 Bristol-Myers Squibb Co. Cannabinoid receptor modulators, their processes of preparation, and use of cannabinoid receptor modulators for treating respiratory and non-respiratory diseases
EP1209158A1 (en) * 2000-11-18 2002-05-29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Substituted beta-carbolines
US6825201B2 (en) * 2001-04-25 2004-11-30 Bristol-Myers Squibb Company Indole, azaindole and related heterocyclic amidopiperazine derivatives
JP2003119140A (ja) * 2001-08-08 2003-04-23 Sankyo Co Ltd ピロロピリダジン化合物を含有する医薬
ES2298508T3 (es) * 2002-03-26 2008-05-16 Boehringer Ingelheim Pharmaceuticals Inc. Mimeticos de glucocorticoides, metodos para prepararlos, composiciones farmaceuticas y sus usos.
EA008304B1 (ru) * 2002-11-19 2007-04-27 Алтана Фарма Аг 8-замещённые имидазопиридины
WO2005097129A2 (en) 2004-04-05 2005-10-20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6-azaindole compound
PT1753764E (pt) * 2004-06-09 2009-01-28 Glaxo Group Ltd Derivados de pirrolopiridina
KR100958829B1 (ko) 2004-09-03 2010-05-25 주식회사유한양행 피롤로[2,3-c]피리딘 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6011670A1 (ja) 2008-05-01
WO2006011670A1 (ja) 2006-02-02
JP4977465B2 (ja) 2012-07-18
KR101764575B1 (ko) 2017-08-03
US20070293532A1 (en) 2007-12-20
KR102152809B1 (ko) 2020-09-07
EP1787991B2 (en) 2020-06-24
KR20150006071A (ko) 2015-01-15
KR20070053231A (ko) 2007-05-23
KR101913531B1 (ko) 2018-10-30
EP1787991B1 (en) 2011-10-05
US20180148446A1 (en) 2018-05-31
KR20200105967A (ko) 2020-09-09
KR20120132582A (ko) 2012-12-05
EP1787991A4 (en) 2008-10-01
KR20170091178A (ko) 2017-08-08
ATE527258T1 (de) 2011-10-15
KR20180118255A (ko) 2018-10-30
EP1787991A1 (en) 200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809B1 (ko) 피롤로〔2,3-c〕피리딘 화합물, 그 제조 방법 및 용도
JP5173192B2 (ja) プロトンポンプ阻害薬
CN113286794B (zh) Kras突变蛋白抑制剂
JP5432718B2 (ja) ピロール化合物
JP5687293B2 (ja) 酸分泌抑制薬
CA2735162C (en) Pyrrole compounds
JP5207964B2 (ja) 酸分泌抑制薬
KR101559597B1 (ko) 5―원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TW200920366A (en) 5-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
US10519110B2 (en) Heterocyclic compound
KR101656906B1 (ko) 피라졸 화합물
WO2010021149A1 (ja) 酸分泌抑制スピロ化合物
WO2010032461A1 (ja) 含窒素縮合環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