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9495A -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9495A
KR20220079495A KR1020217034959A KR20217034959A KR20220079495A KR 20220079495 A KR20220079495 A KR 20220079495A KR 1020217034959 A KR1020217034959 A KR 1020217034959A KR 20217034959 A KR20217034959 A KR 20217034959A KR 20220079495 A KR20220079495 A KR 20220079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carbon nanotube
laminate
laminated
cellulos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시 마쓰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코
Publication of KR20220079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9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88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a plurality of shielding layers; combining different shielding materi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 B32B2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paper or cardboar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next to another layer of paper or cardboar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5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32B9/00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comprising carbon, e.g. graphite, composite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32Radiation-absorb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7/00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 H01Q17/002Devices for absorbing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Combinations of such devices with active antenna elements or systems using short elongated elements as dissipative material, e.g. metallic threads or flake-like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05K9/009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comprising electro-conductive fibres, e.g. metal fibres, carbon fibres, metallised textile fibres, electro-conductive mesh, woven, non-woven mat, fleece, cross-lin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6Carbon fibres, e.g. graphit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2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6Damping, energ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과제: 카본 나노튜브층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 수단: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20)과, 절연층(20) 위에 적층된,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30)과,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적층된,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가지는, 적층체.

Description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카본 나노튜브의 층을 가지는 적층체,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파 등의 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이나, 페라이트계 금속 분체(粉體)를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가요성이 있는 절연층에 적층한 적층체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 박막을 사용한 적층체는, 두께가 100㎛ 이상으로 두꺼워 용도가 한정되어서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최근, 절연층 위에, 도전성(導電性) 물질로서 카본 나노튜브층을 적층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한 적층체(노이즈 억제 시트)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7-123303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8-195854호 공보
적층체의 노이즈 억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특허문헌 2와 같이, 카본 나노튜브층을 카본 나노튜브와 수지를 혼합한 층으로 하는 것보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카본 나노튜브 단체(單體)로 이루어지는 층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가요성이 있는 절연층 위에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카본 나노튜브의 표면은 마이너스의 전하를 띤 파이전자를 풍부하게 포함하므로, 마찬가지로 표면이 마이너스의 전하를 띠는 수지에 카본 나노튜브를 적층하는 경우에 전기적인 반발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나, 카본 나노튜브가 건조 시 응집해 버리는 경우가 있고, 카본 나노튜브와 절연층의 밀착성이 낮아져, 구멍(오목부)이나 판목(모양)이 생기는 등, 안정된 적층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카본 나노튜브층이 안정되게 적층된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 위에 적층된,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미세섬유상(microfibrous)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과,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적층된,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을 가진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막의 두께가 20㎛ 이하이며, 상기 적층체 전체의 막의 두께가 120㎛ 이하인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은, 수분산형의 카본 나노튜브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이 더 적층되고, 해당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이 더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이 적층되고, 해당 절연층 위에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이 더 적층되고, 해당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이 더 적층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상기 절연층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일부에 상기 절연층을 적층하지 않는 적층 패턴으로,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는, 섬유 폭이 100㎚ 이하인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2층에서의 막 두께가 1∼10㎛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근방계(近傍界)의 전자파를 흡수 및 반사하기 위한 적층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적층체에 있어서, 원방계(遠方界)의 전자파를 흡수하기 위한 적층체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팅 부재는, 상기 적층체를 가지는 코팅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을 도포하고, 상기 절연층 위에,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을 도포하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을 도포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본 나노튜브층이 안정되게 적층된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A)는, 원방계의 18∼30GHz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비유전율(比誘電率)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B)는, 원방계의 40∼65GHz 이상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비유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팅 부재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 및 코팅 부재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전자파를 반사 및/또는 흡수하는 필름형 부재이며, 절연층과 도전층을 가지고, 절연층의 상측에 도전층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하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 및 코팅 부재의 실시형태로서, 근방계의 전자파를 반사 및/또는 흡수하고 또한, 평면파의 전자파도 흡수함으로써,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적층체 및 코팅 부재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도전층에 대하여 절연층 측(도면의 하측)을 「아래」또는 「하측」으로 칭하고, 절연층에 대하여 도전층 측(도면의 상측)을 「위」또는 「상측」으로 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의 위에 적층되고」란, 어떤 층에 직접 적층되는 경우도 포함하고, 또한, 어떤 층 위에 직접 적층되지 않고, 어떤 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는,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순서대로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1)에서는, 수지 절연층(10) 위에 절연 코트층(20)이 적층되고, 절연 코트층(20) 위에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이 적층되고,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적층된다. 그리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 있어서,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및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은 절연층을 구성하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은 도전층을 구성한다.
<수지 절연층(10)>
수지 절연층(10)으로서는, 절연질의 것이면 되고,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나일론(Nylon),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비닐알코올(PV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릴레이트(PAR) 등의 각종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불소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비닐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 절연층(10)으로서, 수지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경우, PI 시트 또는 폴리에스테르 시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PI 시트 또는 PET 시트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지 절연층(10)은, 상기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층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수지 조성물을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포함하는 것이다.
수지 절연층(10)은 단층(單層) 구조라도 되고, 2층 또는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라도 된다. 수지 절연층(10)의 형상(외형)은, 장척형(長尺形), 필름형, 테이프 장, 판형 등, 시트형(얇은 평면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절연층(10)의 두께는, 적층체(1)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1)의 막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수지 절연층(10)의 두께는 1∼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20㎛로 할 수도 있다.
<절연 코트층(20)>
절연 코트층(2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지 절연층(10) 위에 적층된다. 절연 코트층(20)은, 수지 절연층(10)과, 후술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층이며, 예를 들면, 수계(水系)의 에스테르 또는 우레탄 수지를 주로 포함한 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절연 코트층(20)은, 절연 코트층(20) 위에 도포되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지지하고, 카본 나노튜브층(40)에 카본 나노튜브를 일정량 포함하는 일정한 막 두께를 확보시키는 작용도 가진다. 그리고, 절연 코트층(20)은, 적층체(1)에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며 생략할 수도 있지만, 카본 나노튜브층(40)에 있어서 일정한 막 두께를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코트층(20) 위에 적층되고, 섬유 폭(섬유의 평균 직경)이 1000㎚ 이하인 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섬유상 셀룰로오스로서, 섬유 폭이 100㎚ 이하인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가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의 두께는, 적층체(1)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적층체(1)의 막 두께를 얇게 하기 위하여, 절연 코트층(20)과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합한 2층의 두께가 1∼5㎛로 된다. 그리고,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은,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층이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섬유상 셀룰로오스를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포함하는 층이다.
섬유상 셀룰로오스의 원재료로서 이용하는 펄프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대나무 펄프,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활엽수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LUKP) 등의 활엽수 크라프트 펄프(L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침엽수 미표백 크라프트 펄프(NUKP) 등의 침엽수 크라프트 펄프(NKP) 등의 화학 펄프; 스톤그랜드 펄프(SGP), 가압 스톤그랜드 펄프(PGW), 리파이너 그랜드 펄프(RGP), 케미그랜드 펄프(CGP), 서모그랜드 펄프(TGP), 그랜드 펄프(GP), 서모메카니컬 펄프(TMP), 케미서모메카니컬 펄프(CTMP), 표백 서모메카니컬 펄프(BTMP) 등의 기계 펄프; 차 고지(古紙), 크라프트 봉투 고지, 잡지 고지, 신문 고지, 전단지 고지, 오피스 고지, 골판지 고지, 흰종이 고지, 켄트 고지, 모조 고지, 지권 고지, 갱지 고지 등으로부터 제조되는 고지 펄프; 고지 펄프를 탈묵(脫墨) 처리한 탈묵 펄프(DIP)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펄프 섬유를, 비터 처리법, DDR법, 그라인더법, 수중 대향 충돌법(Aqueous Counter Collision), 호모지나이저, 볼 밀, 롤 밀, 커터 밀 등의 기계적 처리에 의해 해섬(解纖),혹은, 산소 처리나 산 처리 등의 화학적 처리(예를 들면, TEMPO 산화 처리)에 의한 해섬을 행함으로써, 섬유상 셀룰로오스가 얻어진다.
또한,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기타의 제지용 약제를 임의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기타의 제지용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안료, 염료, 전료(塡料), 사이징제, 내마모성 향상제, 내수화제, 계면활성제, 왁스, 방청제, 도전제(導電劑), 종이가루 탈락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카본 나노튜브층(40)>
카본 나노튜브층(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적층된다. 카본 나노튜브층(40)은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층이다.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도, 적층체(1)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지만, 적층체(1)의 막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에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를, 0.1∼7㎛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은,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층이며, 구체적으로는, 카본 나노튜브를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포함하는 층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적층체(1)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경우에는,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합한 층(절연 코트층(20)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합한 층)의 두께가 1∼10㎛로 된다. 이와 같이,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합한 층(절연 코트층(20)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합한 층)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적층체(1) 전체의 막 두께를 30㎛ 이하로 할 수 있고, 종래와 비교하여, 두께가 얇은 적층체(1)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크방전법, 레이저 증발법, 화학 기상 증착법(CVD법) 등의 각종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의 구조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높은 도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세틸렌 골격 등, 탄소간에 3중 결합을 가지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는, 단층(예를 들면, 1∼3층, 전형적으로는 1층 또는 2층)이라도 되고, 다층(예를 들면, 4층∼200층, 전형적으로는 4층∼60층)이라도 되지만,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주로 다층 카본 나노튜브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층 카본 나노튜브와 다층 카본 나노튜브를 임의의 비율(단층 카본 나노튜브:다층 카본 나노튜브의 질량비가 예를 들면, 100:0∼50:50, 바람직하게는 100:0∼80:20)로 포함하여 구성해도 된다. 혹은, 카본 나노튜브는, 기상 성장 탄소 섬유(vapor-grown carbon fiber, VGCF)라도 된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의 길이나 지름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본 나노튜브층(40)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본 나노튜브의 길이를 100㎛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30㎛로 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의 지름을 50㎚ 이하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로 할 수 있다.
적층체(1)의 단위면적(1평방센티미터)당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무게(즉 고형분 환산 단위면적당 중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적층체(1)의 표면에 양호한 도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무게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너무 많으면,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셀룰로오스 섬유층(30)으로부터 벗겨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박리 억제의 관점에서, 수지 절연층(10)의 단위면적(1평방센티미터)당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무게는,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제조 방법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층체(1)는, 예를 들면, 하기 (1), (2)의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1) 시트형의 수지 절연층(10)을 준비하고, 수지 절연층(1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도포한다. 절연 코트층(20) 및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의 도포는,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및 오프셋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2)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건조시킨 후,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카본 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를 도포하고, 더욱 건조시킴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도포도, 그라비아 인쇄, 플렉소 인쇄, 실크스크린 인쇄 및 오프셋 인쇄 등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은, 상기 인쇄 방법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를 연속하여 도포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절연 코트층(20) 및 셀룰로오스 섬유층(30)도 연속하여 도포함으로써 두께를 조정할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층(40)은, 카본 나노튜브와 액상 매체를 포함한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를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도포하고, 가열에 의해 액상 용매를 휘발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는, 카본 나노튜브를 액상 용매인 물에 분산시킨 수분산형의 슬러리다. 그러므로,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를 건조하여 형성된 카본 나노튜브층(40)은, 물이 휘발한 후, 유기 용매 잔사나 수지 바인더를 거의 포함하지 않는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는, 액상 용매(수)의 함유 비율이 95 질량% 이상인(바꾸어 말하면, 용매 이외의 성분 즉 불휘발 성분의 함유 비율이 5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비율이 97% 이상인 액상 매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용매로서, 물 이외에, 알코올과 물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는, 본 발명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이외가 각종 첨가제를 포함시킬 수 있다. 첨가제의 바람직한 예로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소포제, 산화 방지제, 분산제, 점도 조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카본 나노튜브층 형성용 슬러리를 건조시킬 때의 가열 온도는, 액상 매체의 조성(組成)(특히 용매의 비점) 등을 감안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통상은, 상기 건조 온도를 대략 40℃∼250℃(예를 들면, 대략 60℃∼1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후, 필요에 따라, 가열 처리나 세정 처리 등을 행하고, 카본 나노튜브층(40) 중에 포함되는 첨가제를 제거해도 된다.
(실시예 1)
여기서,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의 전자파 흡수 특성(도 2의 상측) 및 전자파 반사 특성(도 2의 하측)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세로축은 전자파 흡수율(dB) 및 전자파 반사율(dB)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주파수(GHz)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A)는 적층체에서 차단하지 않고 측정한 측정 결과이며, (B)는 종래의 적층체(시판 제품 1)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이고, (C)는 종래의 적층체(시판 제품 2)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이며, (D)는 종래의 적층체(시판 제품 3)를 이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이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microstrip line)법(IEC62333-2에 준거)에 의하여, 측정 주파수가 5GHz까지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 성능과 전자파 반사 특성을 측정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종래의 적층체인 (B)∼(D)에서는, 주파수에 의해 전자파 흡수율이 크게 흐트러졌다. 또한, 종래의 적층체인 (B)∼(D)에서는, 전자파 반사율도, 주파수에 의해 불균일, 특정한 파장에서 반사가 커지므로, 차폐 대상물인 모듈 등에 악영향이 나오는 것도 우려되었다.
이에 대하여,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의 측정 결과를 도 3에 나타낸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 (E)는 수지 절연층(10)의 막 두께가 12.0㎛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F)는 수지 절연층(10)의 막 두께가 4.5㎛인 적층체(1)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참고를 위하여, 종래의 적층체에서의 측정 결과를 나타낸 상기 (B)∼(D)를, (E), (F)보다 가는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에서는, 막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종래의 적층체다 (B)∼(D)와 비교하여, 5GHz까지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에서는,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이 완만하게 굽어 있지만, 종래의 적층체(B)∼(D)와 비교하여, 그 변동은 완만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에서는, 종래의 적층체인 (B)∼(D)와 비교하여, 전자파 흡수율이 높고, 또한 주파수에 대한 전자파 흡수율의 변동이 완만하며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에서는, 도 3의 하측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파 반사율도, 종래의 적층체 (B)∼(D)와 비교하여 변동이 완만하며 안정되었다.
다음으로, 도 4에 기초하여,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전자파 흡수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4에 있어서는, 종래의 적층체로서 상기 (B)의 적층체를 사용하고,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로서 상기 (F)의 적층체를 사용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예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법(IEC62333-2에 준거)에 의하여, 측정 주파수가 5∼20GHz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 성능과 전자파 반사 특성을 측정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F)는, 도 3에 나타낸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와 마찬가지로, 근방계의 5∼20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해서도, 종래의 적층체인 (B)∼(D)와 비교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는, 30GHz 이상의 전자파에 대해서도, 종래와 비교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적층체에서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 흡수 특성에 불균일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따른 전자파 흡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전자파 흡수의 주파수 의존성이 작아지게 되는 것도 알았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는, 수지 절연층(10)과, 절연 코트층(20)과, 셀룰로오스 섬유층(30)과, 카본 나노튜브층(40)을 가지고, 수지 절연층(1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적층하고, 절연 코트층(20) 위에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적층하고,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적층함으로써, 적층체(1)의 막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안정성이 우수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박막이나, 페라이트계 금속 분말을 포함하는 금속 박막을 절연층에 적층하는 구조이므로, 두께가 100㎛ 정도로 두꺼워져 버리고, 또한, 표면 저항률이 낮고 전자파의 반사가 지나치게 강하여 전자파의 흡수가 적은 문제가 있어, 무겁고, 용도가 한정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본 나노튜브층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카본 나노튜브층과,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과의 밀착성이 낮아, 안정된 적층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들 문제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수지 절연층(10)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직접 적층하는 것이 아니고, 수지 절연층(10)(및 절연 코트층(20)) 위에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이 적층되고, 그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적층된다. 수지 절연층(10)(및 절연 코트층(20))과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의 밀착성, 및 셀룰로오스 섬유층(30)과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밀착성은 각각 높으므로, 이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적층체(1)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가짐으로써 적층체(1) 전체로서 막 두께가 30㎛ 이하로 얇고, 또한, 카본 나노튜브층(40)을 가지고 있어도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안정적으로 적층된 적층체(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막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종래와 비교하여, 근방계의 전자파에 대한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층체(1)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의 표면 저항률이 50∼1000Ω/□이므로, 종래와 비교하여, 전자파의 흡수 특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근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하는 능력을 높일 수 있고, 노이즈 억제 효과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아래에 절연 코트층(20)이 존재함으로써, 한층 더 노이즈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근방계의 전자파를 카본 나노튜브층(40)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노이즈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지만,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막 두께가 얇은 경우, 카본 나노튜브층(40)에서 전자파의 일부를 흡수할 수 없고, 일부의 전자파가 통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카본 나노튜브층(40) 아래에, 절연 코트층(20)을 형성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층(40)과 절연 코트층(20) 사이에 표면 저항률의 차가 큰 경계면이 형성되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통과한 전자파가 상기 경계면에 있어서 반사되고, 반사된 전자파를 카본 나노튜브층(40)에서 반사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보다 높은 노이즈 억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는, 종래와 비교하여,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 흡수 특성이 흩어지는 전자파 흡수의 주파수 의존성이 작은 점에서도 유리하다.
덧붙여,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서는, 노이즈 억제 범위(전자파의 흡수 범위)로서, 밀리파의 입구인 30GHz까지의 전자파 흡수 성능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5G(제5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3.5GHz대, 4.6∼5GHz대, 28GHz대의 모든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를 5G 대응 통신 기기의 노이즈 억제 시트 등에 응용함으로써, 5G 대응 통신 기기의 노이즈 억제 부재로서 기대된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이 더 적층되어 있는 것 이외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두번째 층의 절연 코트층(20)이 더 적층되고, 두번째 층의 절연 코트층(20) 위에 두번째 층의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이 더 적층되고, 두번째 층의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위에 두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이 더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복수 적층함으로써, 적층체(1a) 전체에서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를 크게 하고, 이에 의해, 노이즈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복수 적층하면, 카본 나노튜브층(40)의 성형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과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적층하고, 이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적층하는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건조시킨 후에 절연 코트층(20)을 적층시키고 있다. 그리고, 절연 코트층용 슬러리는 알코올 용매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직접 적층하는 경우도, 절연 코트층(20) 위에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적층하는 경우와 상이하고,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예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2층 적층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을 3층 또는 4층 이상 적층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전자파 흡수 특성 및 전자파 반사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 (G)는 12㎛의 수지 절연층(10)을 2층 중첩한 적층체(1a)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H)는 4.5㎛의 수지 절연층(10)을 2층 중첩한 적층체(1a)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고, (I)는 4.5㎛의 수지 절연층(10)을 3층 중첩한 적층체(1a)를 사용하여 측정한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6에 있어서도, 도 3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근방용 차폐막을 나타내는 상기 (B)∼(D)를, (G)∼(I)보다 가는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도,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법 (IEC62333-2에 준거)에 의하여, 측정 주파수가 5GHz까지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 성능과 전자파 반사 특성을 측정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G)∼(I)에서는, 막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종래의 적층체다 (B)∼(D)와 비교하여, 대부분의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전자파 흡수율을 높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G)∼(I)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2층 가지므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와 비교해도, 전자파 흡수율을 높게 할 수 있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G)∼(I)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G)∼(I)와 마찬가지로,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이 완만하게 굽어 있지만, 종래의 적층체인 (B)∼(D)와 비교하여, 전자파 흡수율의 변동은 완만하며 전체적으로 안정되어 있다.
덧붙여,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G)∼(I)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자파 흡수율을 특히 높게 할 수도 있었다. 예를 들면, 12㎛의 수지 절연층(10)을 2층 중첩한 적층체(1a)인 (G)에서는, 5.0∼5.5GHz 주변의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흡수율을 특히 높게 할 수 있고, 또한, 4.5㎛의 수지 절연층(10)을 3층 중첩한 적층체(1a)인 (I)에서는, 5.3∼5.8GHz 주변의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 흡수율을 특히 높게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의 각 층의 층 두께나 적층수 등, 적층의 태양(態樣)을 변경함으로써,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적층체(1a)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하여,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G)∼(I)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인 (E), (F)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적층체인 (B)∼(D)와 비교하여, 전자파 반사율도 전체적으로 변동이 완만하게 되어 안정화되었다.
다음으로, 도 7에 기초하여,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전자파 흡수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근방계의 5∼2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7에 있어서는, 종래의 적층체로서 상기 (B)의 적층체를 사용하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로서 상기 (H)의 적층체를 사용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법(IEC62333-2에 준거)에 의하여, 측정 주파수가 5∼20GHz의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파 흡수 성능과 전자파 반사 특성을 측정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인 (H)는, 도 6에 나타낸 근방계의 5GHz 이하의 전자파와 마찬가지로, 근방계의 5∼20GHz 이하의 전자파에 대해서도, 종래의 적층체인 (B)∼(D)와 비교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는, 30GHz 이상의 전자파에 대해서도, 종래와 비교하여, 높은 전자파 흡수율을 얻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적층체에서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 흡수 특성에 불균일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지만,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전자파의 주파수에 따른 전자파 흡수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고, 전자파 흡수의 주파수 의존성이 작아지게 되는 것도 알았다.
다음으로, 도 8에 기초하여, 원방계의 18∼30GHz의 전자파에 대한, 종래의 적층체 및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유전율 특성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의 (A)는, 원방계의 18∼30GHz의 전자파에 대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비유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8의 (B)는, 원방계의 40∼65GHz 이상의 전자파에 대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의 비유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8의 (A)에 나타낸 예에서는, 도파관(導波管)법에 의하여,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S11(적층체에 대한 반사파의 감쇠)과 S21(적층체에 대한 투과파의 감쇠)를 계측함으로써, 적층체(1a)의 비유전율을 산출했다. 또한, 도 8의 (B)에 나타낸 예에서는, 자유공간법에 의하여,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분석기를 이용하여 비유전율을 측정했다.
도 8의 (A) 및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원방계의 18∼30GHz의 전자파에 대하여, 비유전율의 실수부와 허수부에 큰 차가 있어, 전기가 흐르기 쉽고, 또한, 열 에너지로 변환하기 쉬운 성질, 즉 원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적층체(1a)가 전기의 흐르기 쉬운 성질인 경우, 표면 저항률도 내려가는 경향이 있고, 전자파의 반사가 강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또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막 두께 등을 조정함으로써, 적층체(1a)의 표면 저항률을 조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원방계의 전자파의 흡수 특성 및 반사 특성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근방계의 전자파를 흡수 및 반사하는 기능과, 원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근방계에서의 노이즈 억제의 용도(예를 들면, 스마트폰의 배터리로부터 발생하는 노이즈를 억제하는 용도 등)에 더하여, 원방계의 전자파의 흡수하고 노이즈를 억제하는 용도(예를 들면, 차재 장치로부터 발신된 전자파 레이저를 차재 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흡수함으로써 레이저의 산란을 방지하는 용도 등)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원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하는 기능은, 카본 나노튜브층(40)에 기인하므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에 있어서도, 원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더 적층함으로써, 적층체(1a) 전체에서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를 크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비교하여, 원방계 및 근방계의 전자파에 대한 전자파의 흡수 특성이나 노이즈 억제 효과를 보다 높게 발휘할 수 있다. 즉, 카본 나노튜브층(40)에서는 근방계 및 원방계의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지만,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일부의 전자파가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통과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과 두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사이에 두번째 층의 절연 코트층(20)이 개재하고, 또한,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아래에 첫번째 층의 절연 코트층(20)도 존재한다. 이에 의해,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과 절연 코트층(20) 사이의 표면 저항률의 큰 차이에 의하여, 전자파를 반사하는 경계면이 다중으로 형성되게 되고, 카본 나노튜브층(40)을 통과한 전자파가 복수의 경계면에 있어서 다중으로 반사되어, 반사된 전자파가 각 카본 나노튜브층(40)에서 각각 흡수되게 되므로,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비교하여, 전자파의 흡수 특성이 높고 노이즈 억제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 및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적층하고, 그 위에 두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적층하는 구조로 함으로써, 적층체(1a)의 성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비교하여,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더 가지므로, 적층체(1a) 전체의 막 두께는 두꺼워지지만,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의 3층에서의 두께는 약 1∼12㎛이기 때문에, 종래와 비교하여, 두께가 충분히 얇은 적층체(1a)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각 층의 적층 태양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G)의 적층체(1a)와 같이, 특정한 주파수에서의 전자파 흡수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복수 적층할 때, 카본 나노튜브층(40)의 막 두께를 층마다 변경함으로써, 혹은, 카본 나노튜브층(40)의 사이의 적층되는 절연 코트층(20)의 막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차폐 성능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적층하는 경우에, 절연 코트층(20)을 카본 나노튜브층(40)의 특정 부분에 굳이 형성하지 않고, 적층 방향에 있어서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연결되어 있는(예를 들면,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과 두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연결되어 있는) 부분과, 절연 코트층(20)이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피복된 부분을 가지도록, 절연 코트층(20)을 특정한 패턴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카본 나노튜브층(40)이 연결된 도전성이 높은 부분과, 절연 코트층(20)이 카본 나노튜브층(40)에 피복된, 전자파를 고효율로 흡수하는 부분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고, 상승(相乘) 효과로 보다 높은 전자파 흡수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은, 극소량이면서 또한 지극히 얇기 때문에, 셀룰로오스 섬유층(30)을 통상으로 형성해도, 제조 후의 적층체(1a)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을 적층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카본 나노튜브층(40)(카본 나노튜브)이 가지는 높은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를 열확산 시트에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절연 코트층(20)으로 전체면 덮은 층과, 전술한 절연 코트층(20)의 패턴을 형성한 층을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열확산 효과를 조정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팅 부재(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팅 부재(2)의 단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팅 부재(2)는, 수지 절연층(10)의 아래쪽에, 접착층(50) 및 이형(離型) 필름(60)을 가지는 것 이외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접착층(50)은, 다른 부재에 접착하기 위한 점착성이 있는 층이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세트산 비닐계 수지, 폴리비닐에테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형 필름(60)은, 접착층(50)보다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필름이며, 이형 필름(60)을 접착층(50)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적층체(1)(제3 실시형태의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를, 대상물에 접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코팅 부재(2)는, 수지 절연층(10),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1)를, 대상물에 접착하기 위한 부재이며, 대상물에 적층체(1)에 의한 차폐 성능을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예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예에는 다양한 변경·개량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더한 형태의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전술한 제1∼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적층체(1, 1a), 및 도 9에 나타낸 코팅 부재(2)의 가장 표층에 있는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전자파 흡수 성능을 소외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수지 절연층을 더 설치함으로써, 카본 나노튜브의 탄소 섬유의 탈락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에서는,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더 적층한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노이즈의 저감 정도에 따라,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복수 적층하는 구성(예를 들면, 3층, 4층 등으로 복수 적층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를, 접착층(50)을 통하여, 복수 중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적층체(1b)에서는,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접착층(50)을 통하여, 두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적층하고, 그 위에,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절연 코트층(20), 수지 절연층(10)을 순서대로 적층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적층체(1c)에서는, 첫번째 층의 카본 나노튜브층(40) 위에, 접착층(50)을 통하여, 수지 절연층(10)을 더 적층하고, 그 위에,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순서대로 적층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노이즈 억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에 더하여, 특정한 주파수 대역에서의 노이즈 억제 특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a)를, 접착층(50)을 통하여, 복수 중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적층예로서,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적층체(1)와 마찬가지로, 수지 절연층(10)의 한쪽 면 위에,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순서대로 적층시키고 또한, 수지 절연층(10)의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도, 절연 코트층(20), 셀룰로오스 섬유층(30) 및 카본 나노튜브층(40)을 순서대로 적층시켜, 적층체(1d)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2의 (A)에 나타낸 2개의 적층체(1d)를, 접착층(50)을 사이에 두고 적층시켜, 적층체(1e)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적층체(1d)를 접착층(50)에 의해 적층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1, 1a∼d : 적층체
10 : 수지 절연층
20 : 절연 코트층
30 : 셀룰로오스 섬유층
40 : 카본 나노튜브층
2 : 코팅 부재
50 : 접착층
60 : 이형 필름

Claims (12)

  1.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
    상기 절연층 위에 적층된,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미세섬유상(microfibrous)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 및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적층된,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
    을 가지는,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막의 두께가 20㎛ 이하이고,
    상기 적층체 전체의 막의 두께가 120㎛ 이하인,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은, 수분산형의 카본 나노튜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이 더 적층되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이 더 적층된,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이 적층되고, 상기 절연층 위에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이 더 적층되고,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이 더 적층된,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 위에 상기 절연층을 적층하는 경우에,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일부에 상기 절연층이 적층되지 않는 적층 패턴으로, 상기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는,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는, 섬유 폭이 100㎚ 이하인 셀룰로오스 나노파이버인, 적층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및 상기 카본 나노튜브층의 2층에서의 막 두께가 1∼10㎛인, 적층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근방계(近傍界)의 전자파를 흡수 및 반사하기 위한, 적층체.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방계(遠方界)의 전자파를 흡수하기 위한, 적층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가지는 코팅 부재.
  12. 수지 조성물을 주로 포함하는 절연층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위에, 섬유 폭이 1000㎚ 이하인 미세섬유상 셀룰로오스를 주로 포함하는 셀룰로오스 섬유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셀룰로오스 섬유층 위에, 카본 나노튜브를 주로 포함하는 카본 나노튜브층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217034959A 2019-10-10 2020-10-09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20220079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6994 2019-10-10
JP2019186994 2019-10-10
PCT/JP2020/038330 WO2021070940A1 (ja) 2019-10-10 2020-10-09 積層体、それを有するコーティング部材、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9495A true KR20220079495A (ko) 2022-06-13

Family

ID=7543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4959A KR20220079495A (ko) 2019-10-10 2020-10-09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279688A1 (ko)
EP (1) EP4044782A4 (ko)
JP (1) JP6948097B2 (ko)
KR (1) KR20220079495A (ko)
CN (1) CN113796175A (ko)
WO (1) WO202107094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3303A (ja) 2016-01-08 2017-07-13 株式会社名城ナノカーボン 積層体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195854A (ja) 2013-06-13 2018-12-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フィルム、および電子部品搭載基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04493A4 (en) * 2007-10-23 2010-11-10 Tokushu Paper Mfg Co Ltd SHEET-LIKE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0113303A1 (ja) * 2009-04-01 2010-10-07 特種製紙株式会社 電磁波吸収構造体
FI127526B (en) * 2012-11-03 2018-08-15 Upm Kymmene Corp Process for manufacturing nanofibrillar cellulose
JP6686880B2 (ja) * 2014-04-22 2020-04-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95854A (ja) 2013-06-13 2018-12-0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用フィルム、および電子部品搭載基板
JP2017123303A (ja) 2016-01-08 2017-07-13 株式会社名城ナノカーボン 積層体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96175A (zh) 2021-12-14
EP4044782A1 (en) 2022-08-17
JP6948097B2 (ja) 2021-10-13
WO2021070940A1 (ja) 2021-04-15
EP4044782A4 (en) 2023-11-01
JPWO2021070940A1 (ja) 2021-10-28
US20220279688A1 (en)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6780B2 (en) Flexible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et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Nogi et al. Foldable nanopaper antennas for origami electronics
JP5525646B2 (ja) シート状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080995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KR101759580B1 (ko) 다층형 전자기파 흡수체 및 다층형 전자기파 흡수체 제조방법
TW201512346A (zh) 電磁波遮蔽用膜片及電子零件搭載基板
KR102400778B1 (ko) 전자파 억제 시트
WO2011016192A1 (ja) 回路基板
US20210029854A1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ing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0113303A1 (ja) 電磁波吸収構造体
KR20220079495A (ko) 적층체, 그것을 가지는 코팅 부재,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
JP5317261B2 (ja) シート状物
US11254842B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TW202239609A (zh) 積層體、具有其之塗佈構件及積層體之製造方法
JP2024022443A (ja)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水分散液および電磁波ノイズ抑制シート
JP6623773B2 (ja) スピーカー振動板
CN113622217B (zh) 一种磁性纸基材料及其制备方法
JP4879077B2 (ja) 電波吸収体
EP3882928B1 (en) Mfc/nc in transformer boards used in power transformers
JP4171500B2 (ja) 電波遮蔽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4060A (ko) 전자파 노이즈 억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54059A (ko) 전자파 노이즈 억제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21125694A (ja) 電波吸収体
JP2022180792A (ja) 電磁波ノイズ抑制シート
KR20180065563A (ko) 플렉서블 플레트 케이블의 임피던스 매칭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