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143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143A
KR20220056143A KR1020210143966A KR20210143966A KR20220056143A KR 20220056143 A KR20220056143 A KR 20220056143A KR 1020210143966 A KR1020210143966 A KR 1020210143966A KR 20210143966 A KR20210143966 A KR 20210143966A KR 20220056143 A KR20220056143 A KR 202200561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
water
gasket
water supply
inn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길
김현중
장세민
김우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56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143A/ko
Priority to PCT/KR2022/01646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07540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터브개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의류개구 및 상기 터브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의류개구 및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는 터브가스켓,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가스켓급수부 및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시키는 급수가이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에 다양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고,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 등은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류 등과 같은 세탁물을 투입하여 상기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할 수 있고, 캐비닛에는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를 통해 캐비닛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에 형성되는 터브개구를 통과하여 터브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물과 세제가 터브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문헌 1(KR 10-2019-0101749)에는 캐비닛의 내부에서 터브 내부로 제공된 물이 터브의 외부 또는 캐비닛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터브가스켓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터브가스켓은 캐비닛의 내부에서 캐비닛의 의류개구와 터브의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브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의류의 세탁과정이 수행되더라도 캐비닛의 내부에서 터브의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참고문헌 1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행정뿐만 아니라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참고문헌 1은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터브 내부에 가열된 공기가 존재하고, 터브의 일부가 냉각되어 가열된 공기 중 수분이 응축되어 제거될 수 있다. 참고문헌 1은 터브의 일부를 냉각시키기 위해 터브의 내측면으로 물을 공급하여 건조행정에서 터브의 일부가 냉각되어 응축수가 발생된다.
다만,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터브 내부에는 세제 및 오염물을 포함하는 물이 존재할 수 있고, 의류의 세탁과정 중 터브 내부의 물이 유동되어 세제 및 오염물 등이 터브가스켓에 잔존할 수 있다.
터브가스켓에 존재하는 세제나 오염물 등은 의류의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 이후에도 여전히 터브가스켓에 남아 추후의 세탁과정에서 의류에 영향을 미치거나 고착되어 위생성 및 관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의류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의류의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터브가스켓에 남아있는 물이 증발하면서 세제 및 오염물 등의 고착이 심화되어 터브가스켓의 변질이나 위생성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참고문헌 1과 같이 터브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에서 터브의 내부가 가열되어 의류의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방식에서는, 터브가스켓에 남아있는 물은 물론, 공기중의 수분이 포함하는 먼지나 세제 등의 이물질이 터브가스켓에 점착 및 고착될 수 있어 위생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참고문헌 2 (KR 10-2006-0062191)에는 의류도어의 내측을 세척하기 위해 터브가스켓에 마련되어 의류도어를 향해 물을 분사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세척수단은 터브가스켓에 구비되어 의류도어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므로 의류도어와 충돌 이후 비산되는 물이 다시 드럼 내부로 유입될 여지가 있고, 따라서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 등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세척수단에 의해 다시 의류가 젖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참고문헌 2의 세척수단은 터브가스켓 표면에 잔존하는 오염물을 제거하기에 불리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척수단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의류도어의 일부 영역에 한정되어 제공됨으로써, 터브가스켓의 표면 전반에 대한 세척에 있어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터브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습하고, 의류의 건조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가스켓을 효과적으로 세척하는 것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 중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터브가스켓을 건조행정 중 효과적으로 세척하며 냉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 중 의류에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터브가스켓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가스켓의 세척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오염물이 잔존하기 쉬운 주요 세척부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에 의해 터브가스켓의 오염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시기에 터브가스켓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터브가스켓을 세척하기 위한 급수모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모듈은 터브가스켓에 마련되어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물을 제공하여 터브가스켓을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은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방향과 나란하게 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이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개구는 캐비닛의 전방플레이트에 마련될 수 있고, 급수모듈은 터브가스켓의 상단에 위치되어 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이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전체를 흐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열부는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드럼은 가열부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전류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터브 내부의 공기가 상기 드럼에 의해 가열되어 의류의 건조행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터브 내부의 공기는 정체된 상태로 가열될 수 있고, 급수모듈은 의류의 건조행정 전이나, 건조행정 중이나, 건조행정 후에 효과적으로 터브가스켓으로 물을 배출함으로써, 건조행정에 의해 발생되거나 고착될 수 있는 이물질 등을 터브가스켓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는 급수모듈에서 제공되는 물을 확산시키기 위한 물확산부가 마련될 수 있고, 물확산부는 터브가스켓의 내주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됨으로써, 상기 물확산부를 경유하는 물이 물확산부를 넘어 유동하거나 물확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함으로써 세척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터브, 드럼 터브가스켓, 가스켓급수부 및 급수가이더를 포함한다.
캐비닛은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를 포함하고, 터브는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터브개구를 포함한다. 드럼은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된다.
터브가스켓은 상기 의류개구 및 상기 터브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의류개구 및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고,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된다.
급수가이더는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시킨다.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가스켓급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가이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배출하는 물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물배출구에서의 물의 배출방향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방향과 나란할 수 있다.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가스켓급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물배출구는 상기 급수가이더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가이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외주면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로부터 상기 의류개구를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급수가이더가 접촉되는 누수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물배출구를 연결시키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누수방지턱과 상기 급수유로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터브를 향하는 내향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터브가스켓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됨으로써,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존재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터브의 내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누수방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누수방지홈과 연통되어 상기 누수방지홈에 수집된 물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가이더에 의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확산시키는 물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내주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는 상기 급수가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는 상기 급수가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이웃하는 급수가이더간의 이격거리가 더 짧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터브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단부 및 상기 내측단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내측단부가 상기 외측단부보다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로부터 상기 의류개구를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누수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물확산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누수방지턱이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급수가이더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지상태 및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공급중단상태가 교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가스켓급수부의 상기 공급유지상태 및 상기 공급중단상태가 반복되도록 상기 유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밸브는 상기 유동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유압과 무관하게 상기 유동밸브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유량밸브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터브가스켓과 접촉되어 제습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가열됨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가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터브개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의류개구 및 상기 터브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의류개구 및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는 터브가스켓,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가스켓급수부 및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시키는 급수가이더,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전달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 및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유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 중 터브 내부의 공기 중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터브가스켓을 건조행정 중 효과적으로 세척하며 냉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 중 의류에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터브가스켓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터브가스켓의 세척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오염물이 잔존하기 쉬운 주요 세척부위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의류의 건조행정에 의해 터브가스켓의 오염물이 고착되지 않도록 효과적인 시기에 터브가스켓을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터브가스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에 구비되는 급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에서 분리된 급수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에 장착된 급수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터브가스켓에서 A영역을 터브가스켓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터브가스켓에서 B영역을 터브가스켓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으로부터 연장되는 물배출유로가 배수펌프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으로부터 연장되는 물배출유로가 터브의 터브배수유로에 연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과 배수펌프의 작동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로 물이 유동되는 가스켓 연결유로에 구비되는 유동밸브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도면상의 X, Y 및 Z방향은 각각 전후방향, 측방향 및 상하방향을 의미하며, 다만 이는 발명의 일례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각 구성에 대한 방향을 반드시 도면에 표현된 바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10)을 포함하고, 캐비닛(10)은 의류개구(15)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11)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일 수 있다. 캐비닛(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내부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터브(20) 및 드럼(30) 등의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형상은 원통형, 다각기둥형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1에는 육면체 형상의 캐비닛(10)이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캐비닛(10)은 도 1에 도시된 육면체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캐비닛(10)은 복수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제조되거나, 캐스팅 공법 등을 통해 해당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되거나, 하나의 소재가 절곡 또는 휘어서 제조될 수 있다.
캐비닛(10)이 복수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는 전방플레이트(11), 후방플레이트, 측방플레이트, 하방플레이트 및 상방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가 상호 결합되어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는 의류개구(15)를 포함하는 전방플레이트(11)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의류개구(15)가 마련되는 플레이트를 반드시 전방플레이트(11)로 한정하고자 한 것은 아니다.
의류개구(15)는 전방플레이트(11)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5)는 전방플레이트(11)를 관통하는 관통홀에 해당할 수 있고,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킬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는 의류개구(15)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의류개구(15)를 통해 캐비닛(10)의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5)는 의류가 캐비닛(10) 내부 및 외부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에 해당할 수 있다.
의류개구(15)의 후방으로는 터브(20) 및 드럼(30)이 위치될 수 있고, 터브(20) 및 드럼(30)과 의류개구(15) 사이에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터브가스켓(100)이 마련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전방플레이트(11)에는 의류개구(15)의 개폐를 위한 의류도어(17)가 구비될 수 있다. 의류도어(17)는 전방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전방플레이트(11)에 밀착되어 의류개구(15)를 폐쇄하거나 전방플레이트(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의류개구(15)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세제를 저장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80)의 적어도 일부가 캐비닛(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사용자에게 의류의 처리과정을 안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은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마이크나 버튼 등을 통해 서용자로부터 조작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에는 컨트롤패널 및 의류개구(15)가 전방플레이트(11)에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측방플레이트 또는 상방플레이트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내부를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캐비닛(10)의 내부를 측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에 해당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 및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며, 상기 의류개구(15)를 마주보는 터브개구(25)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은 상기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의류개구(15), 터브개구(25) 및 드럼개구(35)가 모두 캐비닛(10)의 전방을 향하는 프론트로딩 방식의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프론트로딩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프론트로딩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터브(20)는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상의 터브(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터브(20)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주면을 제외한 일면에 터브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는 상기 일면이 개방되어 터브개구(25)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개구(25)에 의해 터브(2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터브(20)의 내부공간은 터브개구(25)에 의해 터브(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마련되고, 원통형 또는 다각기둥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통형상의 드럼(3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드럼(30)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원주면을 제외한 일면에 드럼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드럼(30)은 상기 일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드럼(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드럼개구(35)에 의해 드럼(3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공간은 드럼개구(35)에 의해 드럼(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서 드럼개구(35)가 터브개구(25)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터브(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서 터브개구(25)가 의류개구(15)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의류개구(15), 터브개구(25) 및 드럼개구(35)는 함께 일방향을 따라 정렬되어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의류개구(1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에서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터브개구(25) 및 드럼개구(35)를 지나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즉, 터브개구(25) 및 드럼개구(35)는 의류개구(15)와 함께 의류의 이동 통로가 될 수 있다.
터브(2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될 수 있고, 드럼(30)은 둘레면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드럼(30)의 관통홀을 통해 드럼(30) 내부에 물이 제공되어 의류와 물이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외부급수원(50)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급수원(50)으로부터 물이 전달되는 급수원연결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급수원(50)은 캐비닛(10)의 외부에서 급수원연결부(40)로 물을 공급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급수원연결부(40)는 외부급수원(50)으로부터 공급받는 물을 캐비닛(10) 내부의 다양한 구성으로 전달할 수 있다. 급수원연결부(40)는 필요에 따라 물의 유동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는 급수원연결부(40)와 터브(20)유로를 통해 직접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거나,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세제공급장치(80)로부터 물과 세제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드럼(30)은 터브(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드럼(30)의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동부(70)가 구비될 수 있고, 구동부(70)는 터브(20)와 캐비닛(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20)의 배면상에 구동부(70)가 설치될 수 있고, 드럼(30)은 터브(20)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결합되며, 구동부(70)는 상기 회전축을 통해 드럼(30)으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터브(20)와 전방플레이트(11) 사이에는 터브가스켓(100)이 구비될 수 있다. 의류의 처리과정, 예컨대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을 위해 터브(20) 내부로 물이 제공된 경우, 터브(20) 내부의 물이 터브개구(25)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 또는 캐비닛(10)의 내부이자 터브(20)의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터브(20) 내부의 물이 터브(20) 외부로 유출되면 타 구성의 부식이나 변질을 유발할 수 있고, 위생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타 구성의 고장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개구(15)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11)와 터브(20) 사이에서 터브(20)의 물이 터브(2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터브가스켓(100)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2에는 터브가스켓(100)에 구비되는 급수모듈(200)이 표시되어 있다.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에 제공되는 물은 세척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가스켓 연결유로(260)를 통해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가스켓 연결유로(260)에는 물의 단속을 위한 유동밸브(270)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내부에는 터브(20)와 결합되어 터브(20)의 내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되는 가열부(300)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가열부(300)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터브(20)의 내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홀이 마련될 수 있고, 터브(20) 내부에 제공된 물은 필요에 따라 배수홀을 통해 터브(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터브(20)의 배수홀은 터브배수유로(29)를 통해 배수펌프(60)와 연결될 수 있고, 배수펌프(60)는 필요에 따라 작동되어 터브(20) 내부의 물을 외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급수모듈(200)에 의해 물을 공급받는 터브가스켓(100) 또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물배출부(130)가 마련될 수 있고, 물배출부(130)는 터브가스켓(100)에 존재하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물배출부(130)의 관통홀은 물배출유로(132)와 연결될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에서 무배출부(272)를 통해 배출되는 물은 물배출유로(132)를 따라 유동되어 배수펌프(60)를 지나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제어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캐비닛(10)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전술한 급수원연결부(40), 유동밸브(270), 세제공급장치(80), 구동부(70), 배수펌프(60) 등과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기적/전자적 제어가 가능한 다양한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다양한 구성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의류의 세탁행정이나 건조행정 등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가열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가열부(300)는 터브(20) 내부를 가열하여 물 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300)는 세탁행정에서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건조행정에서 터브(20)에 존재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열부(300)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300)는 냉매를 이용한 히트펌프 시스템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전류에 의한 저항으로 가열되는 전기식 히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전자기장을 발생시켜 대상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전기적 저항에 의해 상기 대상물을 가열하는 전자기장 발생기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기장 발생기 형태의 가열부(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가열부(300)는 유도코일(310) 및 코일커버(320)를 포함할 수 있고, 터브(20)에는 상기 가열부(300)가 결합되기 위한 코일결합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유도코일(310)은 전류가 제공되면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고, 코일커버(3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도코일(310)은 터브(20)의 외주면상에 구비되어 터브(20)의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브(20)는 유도전류가 발생하지 않는 소재, 예컨대 플라스틱 등과 같은 부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도코일(310)을 포함하는 가열부(300)에서 제공되는 전자기장은 터브(2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상기 전자기장이 터브(2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드럼(30)은 터브(20)와 달리 유도전류가 발생하는 소재, 예컨대 금속이나 특수 세라믹과 같은 전도체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부(300)에 의해 제공되는 전자기장의 영향으로 드럼(30)에는 유도전류, 예컨대 와전류가 형성될 수 있다. 전류의 형성으로 저항체에 해당하는 드럼(30)은 스스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300)에 의해 가열되는 드럼(30)은 터브(20) 내부의 공기 또는 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예컨대, 가열부(300)는 의류의 세탁행정에서 터브(20) 내부에 제공된 세탁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드럼(30)을 가열하거나,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터브(20) 내부의 공기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드럼(30)을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500)가 가열부(300)와 전기적/신호적으로 연결되어 가열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가스켓(1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에 구비되는 급수모듈(2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터브가스켓(100)에 장착되기 전의 급수모듈(200)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급수모듈(200)이 터브가스켓(100)에 장착된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100)은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1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내주면(102)이 상기 의류개구(15)의 중앙을 향하며, 상기 의류개구(15)와 상기 터브개구(25)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급수모듈(200)은 상기 터브가스켓(100)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고하면, 터브가스켓(100)은 캐비닛(10) 내부에서 터브(20)와 전방플레이트(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은 터브개구(25) 또는 의류개구(1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개구영역은 의류개구(15) 또는 터브개구(2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의류개구(15)와 터브개구(25) 사이에서 상기 의류개구(15) 및 터브개구(25)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은 의류개구(15) 또는 터브개구(25)의 중앙측을 향하고, 터브가스켓(100)은 전방플레이트(11)와 터브(20) 사이, 즉 의류개구(15)와 터브개구(25) 사이를 실링하여 터브가스켓(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은 전방플레이트(11) 및/또는 터브(2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은 전방플레이트(11)와 터브(20)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터브(2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이 터브(2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에 구비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급수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 또는 터브가스켓(10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일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후술할 가스켓급수부(220) 및 급수가이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급수부(220) 및 급수가이더(240)는 함께 하나의 모듈로서 마련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를 세탁하기 위한 세탁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세탁과정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및 건조행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행정은 터브(20) 내부로 물과 세제가 공급되어 의류의 오염물을 의류로부터 제거하는 행정이고, 헹굼행정은 터브(20) 내부로 물이 공급되어 의류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며, 탈수행정은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의류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하는 행정이고, 건조행정은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행정을 의미한다.
상기 세탁과정 및 복수의 행정들은 제어부(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복수의 행정별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옵션값에 대응되도록 구동부(70), 급수원연결부(40), 배수펌프(60) 등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행정들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세탁과정에서 터브(20) 내부에는 의류에 존재하던 오염물이나 먼지, 이물질 또는 세제가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오염물 등은 물과 함께 터브가스켓(100)에 전달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에 전달되는 오염물 등은 해당 세탁과정 또는 각 행정의 종료 이후에도 여전히 터브가스켓(100)에 잔존할 수 있으며, 터브가스켓(100)에 잔존하는 오염물 등은 터브가스켓(100)의 부식이나 변질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1)의 위생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나아가 추후의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세탁효율을 저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염물 등은 터브가스켓(100)에서 터브개구(25)측으로 노출되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 잔존할 가능성이 높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가스켓(100)에 급수모듈(200)을 구비하고,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의 세척이 필요한 상황에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공급하여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세척할 수 있다.
급수모듈(200)에 의한 물의 공급은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가스켓급수부(220)로 유입되는 물의 유동은 제어부(500)가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00)에는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급수모듈(200)에 의한 터브가스켓(100)의 세척과정이 요구되는 시점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의 세척과정에서 유동밸브(270)를 제어하여 급수모듈(200)을 통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모듈(200)은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구(250)를 포함하고, 상기 물배출구(250)에서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다.
급수모듈(200) 중 가스켓급수부(220)는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가스켓 연결유로(260)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급수가이더(240)는 가스켓급수부(220)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향해 배출되는 물배출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배출구(250)에서 물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배출되거나, 내주면(102)을 향해 배출될 수 있다. 즉, 물배출구(250)에서 물의 배출방향(D2)의 상기 내주방향(D1)과 나란할 수 있다. 도 5에는 물의 배출방향(D2) 및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이란 물배출구(250)가 위치된 지점에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정의되는 접선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실제 급수모듈(200)의 설계 또는 제조상 공차 등을 고려한다면, 물의 배출방향(D2)은 상기 내주방향(D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물배출구(250)에서 배출되는 물은 물배출구(250)가 위치된 지점에서 상기 내주면(102)에 대한 접선방향에 대해 약 5도 또는 10도 또는 20도의 오차 허용범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배출구(250)의 물의 배출방향(D2)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설정되는 의미는 물배출구(25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따라 유동하며 세척면적이 증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 및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방플레이트(11)의 의류개구(15)는 캐비닛(10)의 전면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급수모듈(200), 즉 가스켓급수부(220) 및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모듈(200)의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상부란 터브가스켓(10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되는 절반을 의미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상부에 위치된 급수모듈(200)의 급수가이더(240)로부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물이 배출되면, 물의 초기 유동에너지와 원심력 및 자중에 의해 물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전체를 유동하며 세척할 수 있다. 즉, 급수모듈(200)로부터 제공되는 물에 의한 세척면적 및 냉각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도 6 및 7을 참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이해를 돕기 위한 일례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전방플레이트(11)가 반드시 전방플레이트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고, 급수모듈(200) 또는 급수가이더(240)가 터브가스켓(100)의 상부에 반드시 위치되는 것 또한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모듈(200) 또는 급수가이더(240)의 물 배출방향(D2)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마련됨으로써,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동면적, 즉 세척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어 터브가스켓(100)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고 건조행정 중 냉각에 의한 응축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은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행정에서 가스켓급수부(220)는 터브가스켓(100)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급수가이더(240)는 가스켓급수부(220)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켓급수부(220)로부터 전달받는 물을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따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터브가스켓(100)은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급수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에 의해 냉각되고, 상기 터브(20) 내부의 가열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내주면(102)에서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행정에서는 터브(20) 내부에 고온의 공기가 제공될 수 있다. 고온의 공기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순환식, 배기식 또는 정체식 구조를 통해 터브(20)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건조행정에서 터브(20)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 저습한 공기에 의해 의류의 수분은 증발되어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건조행정 중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의류의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 중 급수모듈(200)에서 제공되는 물에 의해 터브가스켓(100)이 냉각되고, 터브(20)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의 공기가 터브가스켓(100)과 접촉되면서 공기 중의 수분이 터브가스켓(100)의 표면상에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모듈(200)을 통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세척함과 동시에, 건조행정 중 급수모듈(200)로부터 제공되는 물을 이용하여 터브가스켓(100)을 냉각하여 공기의 제습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가스켓(100)의 세척과 함께 터브가스켓(100)의 냉각이 이루어져 건조행정 중 공기 중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20) 외측에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어 캐비닛(10) 내부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공간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공급하여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즉,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향하거나 나란하게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은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을 냉각시키는 수단이 될 수 있고, 급수모듈(200)은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제공하여 터브가스켓(1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급수모듈(200)로부터 터브가스켓(100)으로 제공되는 물이 비산되거나 튀어 다시 드럼 내부의 의류로 전달되는 경우, 건조중인 의류에 다시 수분이 전달되어 건조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의 세척 및 냉각이 효과적으로 진행됨과 동시에 의류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급수가이더(240)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물을 공급하여 물의 비산을 억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브(20)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로 상기 가열부(300)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터브가스켓(100)과 접촉되어 제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브(20) 내부에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300)와 함께 터브(20) 내부의 공기 중 수분을 제거하는 터브가스켓(100)을 통해, 건조행정 중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생략한 상태에서 정체식 구조를 통해 건조행정을 수행하더라도, 효과적으로 터브(20) 내부의 공기를 가열 및 제습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모듈(200)은 상기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물배출구(250)의 물 배출방향(D2)을 설계적으로 결정하는 방법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배출구(250)의 개방방향을 상기 내주방향(D1)과 동일하도록 급수모듈(200)을 제조함으로써, 물 배출방향(D2)을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 배치될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가스켓급수부(220)로 유입될 수 있고, 가스켓급수부(220)로 유입되는 물은 급수가이더(240)로 전달되어 급수가이더(200)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급수가이더(240)의 적어도 일부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과 나란하게 연장됨으로써, 물의 배출방향(D2)과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간 일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급수가이더(240)의 내부를 유동하여 물배출구(250)를 통해 배출되는 물의 유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세척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급수가이더(24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방플레이트(11)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급수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플레이트(11)는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의류개구(15)는 캐비닛(10)의 전면상에 형성되는 경우,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의 상단에 위치됨으로써, 급수모듈(200)에 의한 세척면적 증가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 또는 가스켓관통부(220) 또는 급수가이더(240)의 중앙이 반드시 터브가스켓(100)의 최상단에 위치될 필요는 없으며, 급수모듈(200)의 일부라도 터브가스켓(100)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부(3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의 건조행정을 위해 상기 터브(2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200)은 상기 가열부(300)의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상기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열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열부(300)는 다양한 방식으로 터브(2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300)는 의류의 건조행정 수행을 위해 작동되어 터브(20)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3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작동상태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건조행정의 수행 시 가열부(300)를 작동시켜 터브(20)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300)에 의해 가열되는 대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20) 내부의 공기나 드럼(30) 등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300)는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으며, 의류의 건조행정 수행 시 터브(20) 내부에 존재하는 물은 증발되어 공기 중의 수분으로 상변화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행정에서, 터브가스켓(100)에 물과 함께 존재하는 오염물은 물의 증발과 함께 터브가스켓(100)의 표면상에 고착될 수 있고, 나아가 의류의 종류에 따라서는 건조행정 중 의류에 포함되는 수분의 증발에 의해 의류의 보풀 등이 공기 중으로 분산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터브가스켓(100)상에 존재하는 오염물의 부정적인 영향은 의류의 건조행정을 통해 심화될 가능성이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열부(300)의 작동 전 또는 작동 중에 상기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가열부(300)의 작동 종료 이후에 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의 냉각 및 그에 따른 공기 중의 제습효과를 위해,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주기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가열부(300)의 작동상태와 가스켓급수부(220)의 작동상 시간적 관계는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의류의 세탁과정 또는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이론적, 실험적, 통계적 또는 전략적 이유를 반영한 가스켓급수부(220)의 작동시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500)는 가스켓급수부(220)의 작동 요구상태에서 전술한 유동밸브(270)를 개방상태로 제어하여 가스켓급수부(220)로부터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럼(30)으로 전자기장을 제공하여 상기 드럼(30)의 적어도 일부에 유도전류를 형성시켜 상기 드럼(30)을 가열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열부(300)가 반드시 이러한 전자기장 발생기 타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급수모듈(200)은 의류의 건조행정 수행을 위해 가열부(300)가 작동된 상태에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가열부(300)의 작동상황에서, 터브가스켓(100)은 급수모듈(200)에서 제공되는 물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고, 습도가 증가된 터브(20) 내부의 공기는 낮은 온도의 상기 터브가스켓(100)에 접촉되면서 물방울 형태로 응축되어 후술할 누수방지홈(150) 또는 물배출부(130)에 수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건조행정에서 급수모듈(200)을 활용하여 터브가스켓(100)의 적어도 일부를 냉각시킴으로써, 터브(20) 내부의 공기 중 수분을 응결시켜 수집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20)는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부(300)에 의해 내부가 가열되고 상기 적어도 일부에서 가열된 공기 중의 수분이 응결될 수 있다.
의류의 건조행정 방식은 순환식, 배기식, 정체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순환식은 캐비닛(10)의 내부에서 공기가 가열 및 제습되어 터브(20) 내부로 공급된 이후 다시 터브(20)의 외부에서 가열 및 제습되도록 순환 유동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배기식은 캐비닛(10) 외부의 공기를 가열시켜 터브(20) 내부로 공급하고, 터브(20) 내부의 공기는 다시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정체식은 터브(20) 내부의 공기가 유동하지 않은 상태로 터브(20) 내부에 정체되어 가열 및 제습되는 방식을 의미한다.
순환식 및 배기식은 터브(20)의 외부에서 공기의 가열이나 제습이 이루어지므로 기술의 구현이 용이하나 터브(20)의 외부에서 공기의 가열이나 제습을 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공간 확보에 불리하고 설계에 불리하다.
한편, 정체식은 공기의 순환유로나 터브(20) 외부에서 공기의 가열이나 제습을 위한 수단이 구비될 필요가 없어 캐비닛(10) 내부의 공간 활용과 설계상의 이점이 있는 반면, 터브(20)의 내부에서 공기의 가열 및 제습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기술적인 난이도가 높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도전류를 활용하여 안전성과 가열 효율성을 확보한 가열부(300)와, 냉각수를 활용하여 터브(20) 내부에서도 효과적으로 제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급수모듈(200)을 활용함으로써, 터브(20) 내부에서 정체된 공기의 가열 및 제습이 수행되는 정체식의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가스켓(100)을 측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급수원연결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원연결부(40)는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고, 외부급수원(50)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급수모듈(200)은 가스켓급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급수부(22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급수원연결부(40)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공급하는 물배출구(250)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 위치되며,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을 관통하여 터브가스켓(100)의 외측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기 위한 가스켓급수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급수부(22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관통하여 터브가스켓(1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가스켓 연결유로(260)와 연결되어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터브가스켓(100)으로 제공되기 위한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터브가스켓(100)은 돌출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지지부(11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220)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가스켓급수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스켓급수부(220)는 대략 관의 형태를 가지며 터브가스켓(100)을 관통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외주면상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는 가스켓급수부(220)는 돌출지지부(110)에 의해 구조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돌출지지부(110)는 상기 가스켓급수부(220)에 의해 관통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가스켓(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돌출지지부(110)의 연장방향과 가스켓급수부(220)의 연장방향을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필요가 있고, 나아가 가스켓 연결유로(260)와 연결되기 위한 가스켓급수부(220)가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100)은 외주면상에서 가스켓급수부(22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하여 가스켓급수부(220)와 가스켓 연결유로(260)간의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도 4의 A영역을 터브가스켓(100)의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은 급수가이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급수가이더(240)는 상기 가스켓급수부(220)와 연결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서 상기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물배출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배출구(250)는 상기 급수가이더(24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가이더(24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급수모듈(200)은 전술한 가스켓급수부(220)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서 외주면까지 관통하여 급수원연결부(40)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켓급수부(220)는 터브가스켓(100)의 일부로 마련되거나 급수모듈(200)의 일부로 마련될 수 있고, 가스켓급수부(220)는 터브가스켓(100) 및 급수모듈(200)과 별개로 제조될 수도 있다.
급수가이더(240)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마련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으로 물을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급수부(22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직접을 물을 배출하거나, 급수가이더(240)와 연결되어 상기 급수가이더(240)로 물을 전달할 수 있다.
급수가이더(240)는 가스켓급수부(220)에 의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제공된 물의 유동을 가이드하거나, 가스켓급수부(220)로부터 전달된 물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여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제공할 수도 있다.
급수모듈(200)은 가스켓급수부(220)와 급수가이더(240)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가스켓급수부(220)로부터 전달되는 물이 급수가이더(240)로 전달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배출될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급수가이더(240)와 가스켓급수부(220)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되는 급수가이더(240)와, 상기 급수가이더(240)로부터 가스켓급수부(220)를 향해 연장되는 연결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는 급수가이더(240)로부터 가스켓급수부(220)를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물배출구(250)는 급수가이더(240)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에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된 급수가이더(240)의 양단에 각각 물배출구(250)가 마련되어 양측으로 물이 배출되는 급수모듈(200)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가이더(24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마주보는 외주면(242)이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접촉될 수 있다. 도 7 내지 9에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급수가이더(240)의 외주면(242)이 접촉된 급수모듈(200)이 도시되어 있다.
급수가이더(240)는 적어도 일부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접촉될 수 있고, 전체로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가이더(240)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접촉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급수가이더(240)의 물배출구(25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방향의 간섭이나 충돌없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제공되기 용이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급수가이더(24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접촉 또는 밀착되기 용이하도록,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마주보는 외주면(242)이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가이더(240)의 외주면(242)과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급수가이더(240)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밀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100)은 누수방지턱(120)을 포함할 수 있다. 누수방지턱(120)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상기 캐비닛(10)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103)로부터 상기 의류개구(15)를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급수가이더(240)가 접촉될 수 있다.
도 4에는 캐비닛(10)의 외부측에서 바라본 누수방지턱(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및 9에는 누수방지턱(12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누수방지턱(12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캐비닛(10)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103)에 마련되고, 의류개구(15)의 중앙측을 향해 돌출되며, 의류개구(15)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누수방지턱(12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보다 의류개구(15)의 중앙에 더 가깝도록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존재하는 물은 누수방지턱(12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측, 즉 의류도어(17)측을 향해 유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과 접촉됨과 동시에 누수방지턱(1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과 누수방지턱(120)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의류의 세탁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 등은 좁은 틈 사이에 누적될 가능성이 높고, 따라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과 누수방지턱(120) 사이의 모서리는 상기 오염물 등이 누적되기 용이한 주요 세척부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가이더(240)가 누수방지턱(120)에 접촉 또는 밀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급수가이더(240)의 물배출구(25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누수방지턱(120)과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
나아가, 누수방지턱(12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서 드럼(30)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외향단부(103)상에 마련되므로, 상기 누수방지턱(120)과 접촉되는 급수모듈(200)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서 드럼(30)과 가장 멀리 위치될 수 있어 상기 드럼(30)으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터브(20)를 향하는 내향단부(104)에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서 터브(20) 내측으로 물이 다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을 수집하기 위한 누수방지홈(15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누수방지홈(150)에서 터브(20)를 향하는 단부에는 터브개구(25)의 둘레를 형성하는 터브(20)의 둘레면 단부와 결합되는 터브연결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
누수방지홈(150)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상기 터브(20)를 향하는 내향단부(104)에 마련되고,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됨으로써,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존재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터브(20)의 내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누수방지홈(150)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보다 터브가스켓(100)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된 홈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연장된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터브연결부(160)는 터브(20)의 둘레면 중 터브개구(25)를 둘러싸는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고, 터브연결부(160)와 터브(20)의 선단이 결합됨으로써 터브가스켓(10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터브(20)와 터브가스켓(100) 사이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켓급수부(220)는 상기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유동되는 급수유로(221)를 포함하고, 급수가이더(240)는 상기 급수유로(221)와 연결되고 상기 물배출구(250)를 향해 물이 유동되는 가이드유로(241)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로(241)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에서 상기 누수방지턱(120)과 상기 급수유로(22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 및 10에는 급수모듈(200)의 급수유로(221) 및 가이드유로(241)가 각각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누수방지턱(120)과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사이에 형성되는 모서리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해 급수가이더(240)가 누수방지턱(1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방플레이트(11)가 전방플레이트에 해당하는 경우, 급수가이더(240)는 터브가스켓(100)의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급수모듈(200)은 가스켓급수부(220)가 터브가스켓(100)을 관통하기 위한 관통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급수가이더(240)가 누수방지턱(120)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가스켓급수부(220)의 급수유로(221)가 급수가이더(240)의 가이드유로(241)보다 누수방지턱(120)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100)은 물확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확산부(14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모듈(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확산시킬 수 있다. 도 5 및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확산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물확산부(1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부터 터브가스켓(100)의 중앙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는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물확산부(140)에 의해 유동면적이 확산되며 유동될 수 있다.
물확산부(14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물확산부(140)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또는 원뿔과 같은 돌기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확산부(140)는 상기 내주방향(D1)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물확산부(1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외향단부(103)로부터 내향단부(104)를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물확산부(140)는 복수로 마련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D1)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물배출구(250)로부터 배출되는 특성상 대략 점의 형태로 배출되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상을 유동하게 되며, 물확산부(140)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유동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외향단부(103)와 내향단부(104)를 향해 퍼지도록 확산시킬 수 있다.
터브가스켓(100)에서 물확산부(140)를 경유하는 물은 물확산부(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확산되는 유동방향과, 물확산부(140)를 넘어 지나가는 유동방향을 동시에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세척하는 물의 세척면적 및 냉각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8에는 급수모듈(200)로부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 제공되는 물이 물확산부(140)의 돌출방향으로 넘어 흐르는 유동방향과, 물확산부의 연장방향을 따라 흐르는 유동방향이 화살표로 표현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확산부(140)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140)는 제1물확산부 및 제2물확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물확산부는 상기 제1물확산부보다 상기 급수모듈(2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고, 상기 제1물확산부보다 더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140)는 상기 급수모듈(200)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연장된 길이가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도 4에는 급수모듈(200)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연장된 길이가 증가되는 복수의 물확산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물확산부 및 제2물확산부는 급수모듈(200)과의 거리 관계에서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140) 중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물확산부(140)에서 상대적으로 급수모듈(200)에 더 가까운 어느 하나는 제1물확산부고, 제1물확산부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급수모듈(2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다른 하나가 제2물확산부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터브가스켓(100)의 상단에 위치되는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물확산부(140)에 의해 확산되며,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물확산부(140)를 돌출방향으로 넘어 유동하거나 물확산부(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수모듈(200)에 가깝게 위치되는 제1물확산부의 연장길이가 상기 제1물확산부보다 급수모듈(2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는 제2물확산부의 연장길이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제1물확산부를 경유한 물이 제2물확산부로 전달되는 양을 증가시키고 터브가스켓(100)에서 물이 전달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물확산부(140)가 급수모듈(20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연장길이가 증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어느 하나의 물확산부(140)를 경유하여 다음 순서의 물확산부(140)에 전달되는 물의 양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물확산부(140)는 터브가스켓(100)의 하단에 가까울수록 연장길이가 길어짐으로써, 터브가스켓(100)의 누수방지홈(150) 또는 배수부(130)로 물이 유동되도록 가이드하는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물확산부(140)는 급수가이더(240)로부터 멀어질수록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물확산부(140)에서 이웃하는 한 쌍의 물확산부간 이격거리는 급수가이더(240)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가이더(240)로부터 멀수록 물확산부(140)의 길이방향 유동성을 증가시키면서 물배출부(130)에 인접한 영역에서 물을 누수방지홈(150) 또는 물배출부(130)측으로 유동시켜 안정적인 물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확산부(140)는 상기 터브(20)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단부(142) 및 상기 내측단부(142)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부(141)를 포함하고, 상기 물확산부(140)는 상기 내측단부(142)가 상기 외측단부(141)보다 상기 급수모듈(2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급수모듈(200)이 터브가스켓(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경우, 물확산부(140)는 내측단부(142)가 외측단부(141)보다 더 아래에 위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측단부(142)가 외측단부(141)보다 급수모듈(200)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물확산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모듈(200)의 급수가이더(240)는 주요 세척영역의 효과적인 세척을 위해 누수방지턱(12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급수가이더(240)의 위치와 물의 유동방향을 고려하여, 물확산부(140)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을 따라 유동하면서 자연스럽게 확산될 수 있도록, 누수방지턱(120)의 반대측을 향하는 내측단부(142)가 급수모듈(200)로부터 멀게 위치될 수 있다.
물확산부(140)의 외측단부(141)는 누수방지턱(120)과 연결되거나 상기 누수방지턱(12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물확산부(140)의 내측단부(142)는 누수방지홈(150)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물확산부(140)가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누수방지턱(120)이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도 9 및 10 등에서는 누수방지턱(120)보다 낮은 높이로 마련되는 물확산부(14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물확산부(140)를 경유하는 물은 상기 물확산부(140)를 높이방향으로 넘어 물확산부(140)를 지나가는 유동방향을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물확산부(140)를 높이방향으로 넘어가는 물이 누수방지턱(120)을 넘어 터브가스켓(100)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물확산부(140)의 돌출높이가 누수방지턱(120)의 돌출높이보다 더 낮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도 10에는 도 4에 도시된 터브가스켓(100)의 B영역을 터브가스켓(100)의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중 하부에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또는 누수방지홈(150)에 존재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물배출부(130)는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누수방지홈(150)과 연통되어 상기 누수방지홈(150)에 수집된 물이 상기 터브가스켓(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배출부(130)는 물이 배출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따라 터브가스켓(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은 물배출유로(132)를 따라 배수펌프(60)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물배출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 하단에 위치될 수 있다. 물배출부(130)는 누수방지홈(150)에 수집되는 물, 예컨대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 또는 냉각수와,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발생되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물이 배출되기 위한 관통홀이 상기 누수방지홈(15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존재하는 물 또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의 일부분 또는 복수의 관통홀 중 일부는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에 형성될 수 있다.
물배출부(130)의 관통홀은 터브가스켓(100)의 내주면(102)으로부터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전술한 물배출유로(132)와 연통될 수 있다. 물배출유로(132)는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연장되어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배수펌프(60)로 유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유동되는 물배출유로(132)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는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수펌프(60)와 연결되는 물배출유로(132)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연장되어 터브(20)의 터브배수유로(29)와 연결되는 물배출유로(132)가 도시되어 있다.
터브가스켓(100)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은 터브(20)에서 배출되는 물과 마찬가지로 배수펌프(60)를 이용하여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물배출유로(132)는 터브가스켓(100)의 물배출부(130)와 배수펌프(60)를 직접 연결하거나, 물배출부(130)와 터브배수유로(29)를 연결함으로써 배수펌프(60)를 간접 연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건조행정 중에 터브가스켓(100)의 세척 및 냉각을 위해 급수모듈(200)로부터 물이 배출될 수 있고, 터브가스켓(100)의 표면상에서 수집되는 응축수의 배출을 위해 배수펌프(60)가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급수모듈(200)의 작동상태 및 배수펌프(60)의 작동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작동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급수모듈(200)은 상기 터브가스켓(100)으로 물을 배출하는 배출과정(P1)에서 물의 배출이 수행되는 공급유지상태(P11) 및 물의 배출이 중단되는 공급중단상태(P12)가 교번하여 반복될 수 있다.
즉, 급수모듈(200)은 물의 배출과정(P1)에서 미리 설정된 수량을 일시에 연속하여 배출하지 않으며, 공급중단상태(P12)에 의해 시기적으로 분할되는 복수의 공급유지상태(P11)를 통해 분할하여 물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급수모듈(200)이 작동되는 배출과정(P1)의 진행시간, 물의 배출량, 공급유지상태(P11)의 반복횟수 등은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전술한 유동밸브(27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공급유지상태(P11)의 간헐적 반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급수모듈(200)의 배출과정(P1) 수행 이후 배수펌프(60)가 작동되어 물배출부(130)에 수집된 물이 배수되는 배수과정(P2)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배수펌프(60)를 제어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배수과정(P2)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출과정(P1) 및 배수과정(P2)은 제어부(500)에 의한 유동밸브(270) 및 배수펌프(6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동밸브(27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고,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급수모듈(200)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할 수 있다. 유동밸브(270)의 개방상태에서는 가스켓 연결유로(260)의 물의 유동이 허용되어 급수모듈(200)로부터 물이 배출되고, 유동밸브(270)의 폐쇄상태에서는 가스켓 연결유로(260)의 물의 유동이 차단되어 급수모듈(200)의 물의 배출이 중단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유동밸브(270)의 개폐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급수모듈(200)의 상기 배출과정(P1)에서 상기 공급유지상태(P11) 및 상기 공급중단상태(P12)가 반복되도록 상기 유동밸브(270)의 개폐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행정 중 터브가스켓(100)을 냉각시키기 위해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량이 조절되어 드럼(30) 내부로 물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급수원연결부(40)와 급수모듈(200)을 연결하는 가스켓 연결유로(260)상에 마련되는 유동밸브(27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유동밸브(270)는 개방상태에서 유입되는 물의 유압 변동과 무관하게 유출되는 물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유량 밸브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부급수원(50)과 연결되는 급수원연결부(40)를 통해 터브(20)나 터브가스켓(100) 등 다양한 구성으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대상의 변경에 따라서는 급수모듈(200)로 공급되는 물의 유압 및 유량이 변경될 여지가 있다.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을 벗어나 터브가스켓(100)의 외향측 또는 내향측으로 전달되면, 캐비닛(10) 외부로 물이 유출되거나 세탁행정 등이 완료된 터브(20) 및 드럼(30) 내부의 의류측으로 물이 재공급되어 불리할 수 있다.
또한,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압 또는 유량이 설계상의 예상한도를 벗어나는 경우,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터브가스켓(100)을 벗어나 캐비닛(10)의 외측이나 터브(20) 내부로 유동될 가능성이 증가된다.
위와 같이 급수모듈(200)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비정상적 유량 변동을 방지하지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켓 연결유로(260) 또는 급수원연결부(40)에 마련되는 유동밸브(270)는 정유량밸브에 해당할 수 있다.
정유량밸브는 해당 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유압 변동과 무관하게 해당 밸브로부터 오츌되는 물의 유압 또는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밸브를 의미한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유량밸브에 해당하는 유동밸브(27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4에 도시된 유동밸브(270)의 내부 구조는 본 발명의 일례에 불과할 뿐, 반드시 해당 구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4를 참고하여 정유량밸브에 해당하는 유동밸브(27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면, 유동밸브(270)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부(271)와 물이 배출되는 배출부(272)를 포함하며,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제1챔버(273), 제2챔버(274) 및 제3챔버(275)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챔버(273)는 유입부(271)와 연통되고, 제2챔버(274)는 배출부(272)와 연통되며, 제3챔버(275)는 동기화유로(276)를 통해 유입부(271)와 연통될 수 있다.
제1챔버(273)에는 유입부(271)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제1유압이 형성될 수 있다. 동기화유로(276)는 유입부(271)와 연결되어 유로와 제3챔버(275)를 연통시키며, 따라서 제3챔버(275)에는 제1챔버(273)와 동일하게 제1유압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밸브(270)의 내부에는 제1개폐부(277), 제2개폐부(278) 및 폐쇄링(279)이 마련될 수 있다. 폐쇄링(279)은 제1챔버(273)와 제2챔버(274)를 연결시키는 연결홀에 고정되며, 제1개폐부(277)는 제1챔버(273)내에서 폐쇄링(279)과 접촉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되며, 제2개폐부(278)는 제2챔버(274)내에서 폐쇄링(279)과 접촉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1개폐부(277)가 폐쇄링(279)에 접촉되면 제1챔버(273)와 연결홀간 연결이 차단되며, 제1개폐부(277)가 폐쇄링(279)에서 멀어지면 제1챔버(273)와 연결홀간 연결이 이루어진다. 제2개폐부(278)가 폐쇄링(279)에 접촉되면 제2챔버(274)와 연결홀간 연결이 차단되며, 제2개폐부(278)가 폐쇄링(279)에서 멀어지면 제2챔버(274)와 연결홀간 연결이 이루어진다.
즉, 제1챔버(273)로 유입되는 물은 제1개폐부(277) 및 제2개폐부(278)가 모두 개방상태가 되어야 제2챔버(274)를 통해 배출부(272)로 유동될 수 있다.
제1개폐부(277)는 제1개폐로드(281)가 연결되고, 모터 등을 포함하여 제1개폐로드(281)를 이동시킴으로써 제1개폐부(277)를 이동시키는 개폐작동부(283)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개폐부(278)는 제2개폐로드(282)가 연결되고, 스프링 및/또는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압력설정부(284)가 제2개폐로드(282)를 통해 제2개폐부(278)에 설정압력만큼 개방력을 제공한다.
즉, 제2개폐부(278)에는 압력설정부(284)에 의해 설계적으로 설정되는 설정압력만큼 폐쇄링(279)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3챔버(275)는 제2챔버(274)와 압력설정부(284)를 공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챔버(273)와 같이 제1압력이 형성되는 제3챔버(275)는 압력설정부(284)를 통해 제2개폐부(278)에 폐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유동밸브(270)가 작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어부(500)는 개폐작동부(283)를 작동시켜 제1개폐부(277)를 개방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부(27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은 제1개폐부(277)는 개방되었으나 제2개폐부(278)가 폐쇄된 상태의 제1챔버(273)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챔버(273)에 유입된 물에 의해 제2개폐부(278)에는 제1압력만큼의 개방력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개폐부(278)는 압력설정부(284) 및 제2개폐로드(282)를 통해 제3챔버(275)에 형성되는 제1압력이 폐쇄력으로 제공되고, 압력설정부(284)에 의해 설정된 설정압력이 개방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
결국, 제1개폐부(277)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개폐부(278)에는 개방력에 해당하는 설정압력만이 작용하게 되고, 제2개폐부(278)는 설정압력에 대응되도록 폐쇄링(279)으로부터 멀어져 개방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제2개폐부(278)에 작용하는 개방력은 유입부(271)에 유입되는 물의 유압과 무관하게 항상 설정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제2개폐부(278)의 개방을 통해 배출부(272)로 배출되는 물의 유량 또는 유압을 압력설정부(284)에 의해 설정된 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와 같은 정유량밸브에 해당하는 유동밸브(270)를 이용함으로써, 복수의 유로와 연결되어 유압의 변동이 발생될 수 있는 급수원연결부(40)로부터 급수모듈(200)로 물이 공급되더라도, 물의 유량 및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의도치 않게 터브가스켓(100)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비닛, 터브, 드럼, 터브가스켓, 급수모듈(200), 유동밸브 및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으로 물이 공급되어 냉각되도록 상기 유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터브, 드럼, 터브가스켓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행정의 수행 전 또는 수행 중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내주면을 세척하는 급수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10 : 캐비닛
11 : 전방플레이트 15 : 의류개구
17 : 의류도어 20 : 터브
25 : 터브개구 29 : 터브배수유로
30 : 드럼 35 : 드럼개구
40 : 급수원연결부 50 : 외부급수원
60 : 배수펌프 70 : 구동부
80 : 세제공급장치 100 : 터브가스켓
110 : 돌출지지부 120 : 누수방지턱
130 : 물배출부 132 : 물배출유로
140 : 물확산부 150 : 누수방지홈
160 : 터브연결부 200 : 급수모듈
220 : 가스켓급수부 221 : 급수유로
240 : 급수가이더 241 : 가이드유로
250 : 물배출구 260 : 가스켓 연결유로
270 : 유동밸브 271 : 유입부
272 : 배출부 273 : 제1챔버
274 : 제2챔버 275 : 제3챔버
276 : 동기화유로 277 : 제1개폐부
278 : 제2개폐부 279 : 폐쇄링
281 : 제1개폐로드 282 : 제2개폐로드
283 : 개폐작동부 284 : 압력설정부
300 : 가열부 310 : 유도코일
320 : 코일커버 330 : 코일결합부
500 : 제어부

Claims (24)

  1.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터브개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의류개구 및 상기 터브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의류개구 및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는 터브가스켓;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가스켓급수부; 및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시키는 급수가이더;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물을 공급받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가스켓급수부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돌출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더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단에 위치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에서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배출하는 물배출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물배출구에서의 물의 배출방향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방향과 나란한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가스켓급수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구는 상기 급수가이더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급수가이더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외주면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로부터 상기 의류개구를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급수가이더가 접촉되는 누수방지턱;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유동하는 급수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가이더는 상기 급수유로와 상기 물배출구를 연결시키는 가이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상에서 상기 누수방지턱과 상기 급수유로 사이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터브를 향하는 내향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터브가스켓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함입됨으로써,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에 존재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터브의 내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누수방지홈;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누수방지홈과 연통되어 상기 누수방지홈에 수집된 물이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 배출되는 물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급수가이더에 의해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확산시키는 물확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내주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는 상기 급수가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더 길게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물확산부는 상기 급수가이더로부터 멀리 위치될수록 이웃하는 급수가이더간의 이격거리가 더 짧게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터브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단부 및 상기 내측단부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외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확산부는 상기 내측단부가 상기 외측단부보다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가스켓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 중 상기 캐비닛의 외부를 향하는 외향단부로부터 상기 의류개구를 중앙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내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누수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물확산부가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는 상기 누수방지턱이 돌출되는 높이보다 더 낮은 의류처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급수부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급수가이더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유지상태 및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공급중단상태가 교번하여 수행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 및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가스켓급수부의 상기 공급유지상태 및 상기 공급중단상태가 반복되도록 상기 유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제공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동밸브는 상기 유동밸브로 유입되는 물의 유압과 무관하게 상기 유동밸브로부터 유출되는 물의 유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유량밸브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상기 건조행정에서 내부의 공기가 정체된 상태로 상기 가열부에 의해 가열되고 상기 터브가스켓과 접촉되어 제습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터브의 외부에서 상기 터브의 내부로 전자기장을 제공하고, 상기 드럼은 상기 전자기장에 의해 유도전류가 형성되어 가열됨으로써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는 의류처리장치.
  24. 의류개구가 형성되는 전방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를 마주보는 터브개구를 포함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
    상기 의류개구 및 상기 터브개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의류개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의류개구 및 터브개구 사이를 실링하는 터브가스켓;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터브가스켓의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가스켓급수부; 및
    상기 터브가스켓에 구비되고, 상기 가스켓급수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상기 터브가스켓의 내주면을 따라 유동시키는 급수가이더;
    상기 가스켓급수부로 전달되는 물의 유동을 단속하는 유동밸브; 및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에서 상기 터브가스켓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유동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143966A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KR202200561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2/016461 WO2023075404A1 (ko) 2020-10-27 2022-10-26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219 2020-10-27
KR20200140219 2020-10-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143A true KR20220056143A (ko) 2022-05-04

Family

ID=8158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966A KR20220056143A (ko) 2020-10-27 2021-10-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56143A (ko)
WO (1) WO20230754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838B1 (ko) * 2002-11-29 2005-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개스킷
KR20060062191A (ko)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 세탁기용 도어 가스켓
KR20140140435A (ko) * 2013-05-29 201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80027041A (ko) * 2016-09-05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KR102525026B1 (ko) 2018-02-23 2023-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493160B1 (ko) * 2018-03-22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CN110607659A (zh) * 2018-06-15 2019-12-24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及其喷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75404A1 (ko) 2023-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91567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heat exchanger cleaning device
EP301559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9487906B2 (en) Laundry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lint filter of laundry machine
EP2839067B1 (en) Laundry treating machine
US8132339B2 (en) Cloth treating apparatus
US20110277513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rying function and water filter thereof
EP352472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140075682A1 (en) Home Appliance
KR20160049941A (ko) 의류처리장치
EP1659208A2 (en) Washing/drying machine
JP2019017532A (ja) 洗濯乾燥機
EP3559331B1 (en) Clothing drying apparatus
KR20140109119A (ko) 세탁물 처리장치
JP2017104500A (ja) 洗濯乾燥機
KR20180055419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05296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56143A (ko) 의류처리장치
CN104703529B (zh) 具有供水组件的家用器具
WO2014044530A1 (en) A laundry washing and drying machine comprising a condenser
KR102360870B1 (ko) 세탁물 처리장치
KR101825449B1 (ko) 열교환기 세척노즐 및 그를 이용한 열교환기의 세척 장치
KR20180048513A (ko) 의류 처리장치
EP3374563B1 (en) A washer/dryer comprising a condenser
KR101246374B1 (ko) 세탁기
KR20060106071A (ko) 건조 겸용 세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