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5831A -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5831A
KR20220055831A KR1020200140322A KR20200140322A KR20220055831A KR 20220055831 A KR20220055831 A KR 20220055831A KR 1020200140322 A KR1020200140322 A KR 1020200140322A KR 20200140322 A KR20200140322 A KR 20200140322A KR 20220055831 A KR20220055831 A KR 2022005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
side plate
plate
bent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미순
Original Assignee
고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미순 filed Critical 고미순
Priority to KR102020014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5831A/ko
Publication of KR2022005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5/23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stiffening ribs or other beam-like formations wholly or partly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는 제1측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되, 상기 제1측면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Hory Beam)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부가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거푸집 결합부, 상기 거푸집 결합부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과 더 멀리 떨어진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부재 절곡부를 포함하는 호리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리빔은,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평평한 구조의 호리빔 수평부 및 상기 호리빔 수평부의 일측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의 내측과 밀착되는 호리빔 절곡부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따라서 무해체 거푸집의 측면판 상에 설치되어 있는 호리빔 고정부재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호리빔을 무해체 거푸집과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Combined structure of non removing form and hory beam}
본 발명은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편하면서도 결합력이 우수한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보 및 슬래브 등의 수평부재 시공에는 동바리 설치과정이 수반된다. 즉, 수평부재의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위치에 자재를 반입한 후 시공위치에서 설계에 따라 동바리로 지지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며,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거푸집 및 동바리를 해체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바리는 거푸집 설치와는 별도로 현장에서 직접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지상태를 점검해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소 동바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동바리가 설치된 해당층에서의 작업은 작업공간 확보에 문제가 있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다층 건축물의 시공은 하층부에 사용한 가설자재를 상층부로 운반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동바리는 부재 사이즈가 커 자재 운반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동바리 설치과정은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작업 전반에 걸쳐 시공효율성을 떨어뜨리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동바리나 파이프 서포트 등의 수량을 감소시키면서도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리빔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재래식 보 거푸짐에 호리빔을 시공할 경우 수평하중에 의해 붕괴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강성이 강한 무해체 거푸집에 호리빔을 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데 아직까지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을 간편하면서도 긴밀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이 부족한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5488호
본 발명은 간편하면서도 결합력이 우수한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는 제1측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되, 상기 제1측면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Hory Beam)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부가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거푸집 결합부, 상기 거푸집 결합부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과 더 멀리 떨어진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부재 절곡부를 포함하는 호리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리빔은,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평평한 구조의 호리빔 수평부 및 상기 호리빔 수평부의 일측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의 내측과 밀착되는 호리빔 절곡부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무해체 거푸집의 측면판 상에 설치되어 있는 호리빔 고정부재에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간편하게 호리빔을 무해체 거푸집과 결합할 수 있다.
둘째, 호리빔 고정부재와 호리빔이 인장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걸림 결합되므로 큰 인장력도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고강성의 무해체 거푸집에 호리빔을 결합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수평하중에 의한 붕괴 위험이 낮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호리빔을 설치한 상태에서 슬라브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는 호리빔(110), 무해체 거푸집(120), 호리빔 고정부재(130), 이격부재(140) 및 호리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 및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은 내식성의 강판이나 알루미늄 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은 시공되는 건축물에 그대로 잔존하여도 부식되지 않는다. 따라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경화가 완료된 후에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을 해체하지 않고,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에 직접 설비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은 기존의 탈형식 거푸집에 비해 강성이 높다. 따라서 기존의 탈형식 거푸집에 호리빔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수평하중에 의해 붕괴 위험이 있는 것과는 달리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하는 큰 수평하중도 잘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은 제1측면판(121), 제2측면판(122) 및 하면판(12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121) 및 상기 제2측면판(122)의 하부가 절곡되어서 상기 하면판(123)과 각각 고정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측면판(121) 및 상기 제2측면판(122)의 하부를 절곡되지 않고 평평한 구조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측면판(121), 상기 제2측면판(122) 및 상기 하면판(123)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을 결합하는 것으로 예를 들지만, 상기 제1측면판(121), 상기 제2측면판(122) 및 상기 하면판(1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측면판(121)은 제1수직판(121a),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 및 제1측면판 돌출부(1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121)은 상기 하면판(123)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제1측면판(121)은 상기 하면판(123)의 일측에 세워진다. 상기 제1수직판(121a)은 상기 하면판(12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구조의 판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는 상기 제1측면판(121)의 상부가 상기 제2측면판(12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의 상단부가 상기 제2측면판(122)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는 상기 제1측면판(121)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121a)보다 상기 제2측면판(122)의 반대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는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121a)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수직판(121a)의 상단에서 상기 제2측면판(122)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상기 제1수직판(121a)에 평행하게 다시 절곡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제1수직판(121a)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은 상기 제1수직판(121a)보다 상기 제2측면판(122)으로부터 멀리 이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측면판(122)는 상기 하면판(123)을 기준으로 상기 제1측면판(121)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2측면판(122)의 구조는 상기 제1측면판(121)과 대칭되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2측면판(12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판(123)은 플레이트 형상의 평평한 판인 것을 예로 든다. 물론 상기 하면판(123)의 내측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상기 제1측면판(121), 상기 제2측면판(122) 및 상기 하면판(123)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방향으로 돌출되는 비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드는 상기 제1측면판(121) 및 상기 제2측면판(122)의 내측에도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상기 무해체 거푸집(120)에 고정 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호리빔이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거푸집 결합부(131) 및 고정부재 절곡부(1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측면판(121)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의 소재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평평한 구조의 판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와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와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결합 방법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는 일측인 좌측 단부가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일측인 좌측 단부와 동일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는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122)과 더 멀리 떨어진 쪽인 타측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부분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는 외측면이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보다 상기 제2측면판(122)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는 상기 제2측면판(122)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끝부분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끝부분에서 상기 제2측면판(122)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분까지만 연장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는 아래쪽으로 가상의 선을 연장하면 상기 제1수직판(121a)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호리빔(110)은 호리빔 본체(111), 호리빔 수평부(112) 및 호리빔 절곡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호리빔 본체(111)는 슬라브가 형성될 부분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는 상기 호리빔 본체(111)의 일측 단부 부분에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본체(111)의 일측 단부는 상기 호리빔(110)이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와 결합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는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 홀(11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 홀(112a)은 상기 이격부재(140)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호리빔 절곡부(113)는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의 일측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이다. 상기 호리빔 절곡부(113)는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의 내측(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122)과 마주보는 부분)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절곡부(113)와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리빔 절곡부(113)와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의 결합방법을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이렇듯 상기 호리빔(110)과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걸림 결합(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는 `┘` 구조이고, 상기 호리빔(110)의 일측은 `┌` 구조를 가짐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부분이 걸림 결합됨) 되고, 용접에 의해서도 고정되므로 강한 결합이 가능하다.
상기 이격부재(140)는 상기 호리빔(110)을 슬라브 설치 후 떼어낼 때, 상기 호리빔(110)을 쉽게 떼어내기 위한 여유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리빔(110)은 슬라브가 설치된 후 제거하는데, 상기 호리빔(110)을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와 같은 단단한 소재와 직접 결합할 경우 분리하기가 쉽지 않고, 분리시키기 위한 유동 공간이 없어서 분리가 더욱 어려워 진다. 따라서 상기 호리빔(110)과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 사이에 플렉서블한 상기 이격부재(140)를 설치하여 상기 호리빔(110)과의 분리가 쉽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이격부재(140)가 제거된 부분이 여유 공간이 되어 상기 호리빔(110)을 제거하기 쉬워진다.
즉, 상기 이격부재(140)는 슬라브 설치 후에 쉽게 제거가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격부재(140)는 탈착이 용이한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XPS, Extruded Poly Styrene)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XPS는 소위 아이소 핑크라고 불리우는 단열재를 의미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격부재(140)의 소재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재(140)는 호리빔 절곡부(113)와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이격부재(140)의 상부는 상기 호리빔 절곡부(113)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일측인 좌측은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의 고정부재 절곡부(132)의 외측과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격부재(140)를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132)와 밀착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재(140)는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이격부재(140)의 형상은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이격부재(140)와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는 이격부재 결합장치(140a)를 통해서 결합된다. 즉, 상기 이격부재 결합장치(140a)가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의 결합 홀(112a)을 관통해서 상기 이격부재(140)에 삽입되어 상기 이격부재(140)와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가 밀착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재 결합장치(140a)는 파스너(fastener)인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이격부재 결합장치(140a)의 종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는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호리빔(11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와 상기 호리빔 수평부(112) 사이에 배치되는 이격부재(140)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의 상부는 상기 이격부재(140) 하부와 밀착되고, 일측인 좌측은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 및 상기 제1수직판(121a)과 각각 고정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는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 및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는 상부는 상기 이격부재(140) 하부와 밀착되고, 일측인 좌측은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121a)과 평행하게 절곡된 부분과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는 상부는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의 하부와 밀착되고, 일측인 좌측은 상기 제1수직판(121a)과 밀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1)는 상기 제1측면판(121) 외측의 굴곡을 고려하여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 및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와 같이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를 상기 제1측면판(121)의 외측 굴곡에 부합하도록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의 타측인 우측 및 상기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의 타측인 우측은 각각 상하 방향으로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의 폭이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의 폭보다는 크다. 또한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 및 상기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의 타측인 우측은 상기 이격부재(140)의 우측인 타측과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의 고정부재 절곡부(132)와 상기 제1측면판(121)의 제1수직판(121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면 일직선상에 있으므로, 상기 호리빔 제2지지부재(152)의 폭과 상기 이격부재(140)의 폭은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는 목재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를 다른 소재로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를 지지하기 위해서 직립형 서포트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는 하단이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121a)과 평행한 부분의 하단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121c)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121a)과 평행한 부분보다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151)의 상부와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상부가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구조를 갖도록 변경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호리빔(110),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130), 상기 이격부재(140) 및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150)가 상기 제1측면판(121) 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제2측면판(122) 쪽에도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는 호리빔(210), 무해체 거푸집, 호리빔 고정부재(230), 이격부재(240) 및 호리빔 지지부재(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는 도 2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와 비교할 때,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230)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도 2의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제1측면판(221), 제2측면판(미도시) 및 하면판(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221)은 제1수직판(221a),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221b) 및 제1측면판 돌출부(221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측면판(221), 상기 제2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은 도 2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120)의 제1측면판(121), 제2측면판(122) 및 하면판(123)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250)는 호리빔 제1지지부재(251) 및 호리빔 제2지지부재(252)를 포함한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230)는 거푸집 결합부(231) 및 고정부재 절곡부(2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푸집 결합부(231)는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221b)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된다. 즉, 도 2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는 상기 거푸집 결합부(131)가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므로,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121b)의 오른쪽 단부로부터 상기 제2측면판(122) 방향으로 설정 길이 이격된 부분까지는 상기 거푸집 결합부(231)가 밀착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에서는 상기 거푸집 결합부(231)의 오른쪽 끝부분과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221b)의 오른쪽 끝부분이 일치되도록 상기 거푸집 결합부(231)가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232)는 외측면이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221c)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221a)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과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격부재(240)는 도 2에 따른 이격부재(140)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을 예로 든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240)의 일측인 좌측은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251)의 일측인 좌측과 평평한 면을 형성하지만 상기 이격부재(240)의 타측인 우측은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251)의 타측인 우측보다 더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이격부재(240)의 타측이 우측을 상기 호리빔 제1지지부재(251)의 타측이 우측과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구조로 변경 가능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300)는 호리빔(310), 무해체 거푸집, 호리빔 고정부재(330), 이격부재(340) 및 호리빔 지지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는 도 2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와 비교할 때,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330)에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도 2에 따른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1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330)는 거푸집 결합부(331) 및 고정부재 절곡부(3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332)는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2회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332)가 3회 이상 벤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332)는 상부가 접히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332)의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는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330)가 상기 호리빔(310)으로부터 강한 인장력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332)만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거푸집 결합부(331)도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호리빔 고정부재(330) 전체가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400)는 호리빔(410), 무해체 거푸집, 호리빔 고정부재(430), 이격부재(440) 및 호리빔 지지부재(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는 도 3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와 비교할 때,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330)에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도 3에 따른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430)는 거푸집 결합부(431) 및 고정부재 절곡부(4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432)는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2회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432)가 3회 이상 벤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432)는 상부가 접히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432)의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는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430)가 상기 호리빔(410)으로부터 강한 인장력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432)만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거푸집 결합부(431)도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호리빔 고정부재(430) 전체가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500)는 호리빔(510), 무해체 거푸집, 호리빔 고정부재(530), 이격부재(540) 및 호리빔 지지부재(550)를 포함한다. 상기 무해체 거푸집은 제1측면판(521), 제2측면판(미도시) 및 하면판(미도시)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측면판(521)은 제1수직판(521a) 및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52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530)는 거푸집 결합부(531) 및 고정부재 절곡부(5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500)는 도 3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와 비교할 때, 상기 제1측면판(521) 및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550)에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도 3에 따른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2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측면판(521)은 도 3에 따른 제1측면판(221)에 형성되어 있는 제1측면판 돌출부(121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조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측면판(521)은 플레이트 형상의 제1수직판(521a)은, 상기 하면판(523)의 일측과 연결되는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521b)와 연결되는 상단부까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어서, 상단이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521b)와 직접 연결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제1측면판(521)은 외측이 돌출된 부분 없이 평평한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550)는 도 3의 호리빔 지지부재(250)와 달리 일체형의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측면판(521) 중에서 제1수직판(521a)이 돌출되는 부분 없이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폭이 다른 두 개 이상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550)의 일측인 좌측은 상기 제1수직판(521a) 및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532)와 밀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호리빔 지지부재(550)는 상기 이격부재(540)와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격부재(540)의 타측인 우측과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550)의 타측인 우측은 평평한 면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600)는 호리빔(610), 무해체 거푸집, 호리빔 고정부재(630), 이격부재(640) 및 호리빔 지지부재(6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600)는 도 6에 따른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500)와 비교할 때,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630)에 차이가 있다. 그 외에는 도 6에 따른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500)와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630)는 거푸집 결합부(631) 및 고정부재 절곡부(63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632)는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2회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632)가 3회 이상 벤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632)는 상부가 접히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632)의 내측에 밀착됨으로써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이는 상기 호리빔 고정부재(630)가 상기 호리빔(610)으로부터 강한 인장력을 받더라도 파손되지 않고 인장력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632)만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는 것을 예로 들지만, 상기 거푸집 결합부(631)도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 호리빔 고정부재(630) 전체가 이중으로 중첩된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00, 600: 호리빔과 무해체 거푸집 결합구조
110, 210, 310, 410, 510, 610: 호리빔
111, 211, 311, 411, 511, 611: 호리빔 본체
112, 212, 312, 412, 512, 612: 호리빔 수평부
112a, 212a, 312a, 412a, 512a, 612a: 결합 홀
113, 213, 313, 413, 513, 613: 호리빔 절곡부
120: 무해체 거푸집
121, 221, 321, 421, 521, 621: 제1측면판
121a, 221a, 321a, 421a, 521a, 621a: 제1수직판
121b, 221b, 321b, 421b, 521b, 621b: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121c, 221c, 321c, 421c, 521c, 621c: 제1측면판 돌출부
122: 제2측면판
123: 하면판
130, 230, 330, 430, 530, 630: 호리빔 고정부재
131, 231, 331, 431, 531, 631: 거푸집 결합부
132, 232, 332, 432, 532, 632: 고정부재 절곡부
140, 240, 340, 440, 540, 640: 이격부재
140a, 240a, 340a, 440a, 540a, 640a: 이격부재 결합장치
150, 250, 350, 450, 550, 650: 호리빔 지지부재
151, 251, 351, 451, 551, 651: 호리빔 제1지지부재
152, 252, 352, 452, 552, 652: 호리빔 제1지지부재

Claims (15)

  1. 하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일측에 세워지는 제1측면판, 하단부가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면판의 타측에 세워지되, 상기 제1측면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측면판을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Hory Beam)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부가 상기 제2측면판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는 거푸집 결합부, 상기 거푸집 결합부 중에서 상기 제2측면판과 더 멀리 떨어진 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부재 절곡부를 포함하는 호리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호리빔은,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 상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평평한 구조의 호리빔 수평부; 및
    상기 호리빔 수평부의 일측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의 내측과 밀착되는 호리빔 절곡부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판;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상기 제1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는,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보다 상기 제2측면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는,
    아래쪽으로 연장하면 상기 제1수직판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절곡부는,
    외측면이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과 평평한 면을 형성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정부재 절곡부는,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2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리빔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호리빔 하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호리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호리빔을 슬라브 설치 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히기 위해서, 상기 호리빔 절곡부와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상부는 상기 호리빔 절곡부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 상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호리빔은,
    상기 호리빔 수평부에 상기 이격 부재를 결합하는 이격부재 결합장치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어 삽입될 수 있는 결합 홀이 형성되어 있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는,
    탈착이 용이한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XPS) 소재로 형성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판;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수직판의 상단에서 상기 제2측면판 반대 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방으로 상기 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제1측면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는,
    일측은 상기 제1측면판 돌출부 중에서 상기 제1수직판에 평행하게 절곡되어 있는 부분과 밀착되고, 상부는 상기 이격부재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호리빔 제1지지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1수직판에 밀착되고, 상부는 상기 제1호리빔 지지부재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는 호리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판은,
    상기 하면판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판은,
    상기 하면판의 일측과 연결되는 하단부로부터 상기 제1측면판 상부절곡부와 연결되는 상단부까지 평평한 구조로 형성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호리빔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호리빔 하부에 고정되도록 배치되는 일체형의 호리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호리빔을 슬라브 설치 후 쉽게 떼어낼 수 있도록 히기 위해서, 상기 호리빔 절곡부와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되, 상부는 상기 호리빔 절곡부 하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고, 하부는 상기 호리빔 지지부재 상부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플렉서블한 성질을 갖는 이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고정부재 절곡부는,
    단일 플레이트로서 일체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2회 이상으로 벤딩되어 밀착 중첩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1020200140322A 2020-10-27 2020-10-27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20220055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22A KR20220055831A (ko) 2020-10-27 2020-10-27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322A KR20220055831A (ko) 2020-10-27 2020-10-27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831A true KR20220055831A (ko) 2022-05-04

Family

ID=81584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322A KR20220055831A (ko) 2020-10-27 2020-10-27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58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97B1 (ko) 2022-10-04 2023-01-18 (주)대우강건 호리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88B1 (ko) 2007-07-13 2008-12-22 김범준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5488B1 (ko) 2007-07-13 2008-12-22 김범준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897B1 (ko) 2022-10-04 2023-01-18 (주)대우강건 호리빔
KR20240047286A (ko) 2022-10-04 2024-04-12 (주)대우강건 스토퍼장치가 구비된 호리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538B1 (ko) 더블 벽체 및 더블 벽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더블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20210093114A (ko)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US10400450B2 (en) Deck panel for construction
KR101106699B1 (ko) 인장력이 강화된 지붕의 데크 플레이트 구조체
KR20220055831A (ko) 무해체 거푸집과 호리빔 결합구조
KR101308053B1 (ko) 저모멘트존을 이용한 pc기둥 접합구조
KR100750997B1 (ko) 슬라브보 시공용 거푸집 설치부재
KR20180131058A (ko) 띄어 쌓기식 벽돌벽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JP2000336929A (ja) 梁型枠構造とその形成方法
KR101171746B1 (ko) 사일로 시공 방법
JP2010168877A (ja) 残存型枠、およびこれに用いる型枠パネル
KR102278450B1 (ko) Pc하부플랜지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20070073022A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KR200414945Y1 (ko) 유러폼의 슬라브 타설용 데크패널
KR102056313B1 (ko) 상부압축 보강재 및 하부인장 보강재를 갖는 트러스 복합보
KR101108283B1 (ko) 판넬 지지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 거푸집 지지시스템
KR200354531Y1 (ko) 강관써포트용 받침판
KR101247322B1 (ko) 철근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전단 보강 구조
KR102599781B1 (ko) 데크탈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확보된 데크받이가 구성된 비탈형 거푸집 보
KR102029001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04831919B (zh) 一种用于预制整浇井字楼盖结构的支撑体系
KR102278451B1 (ko) 중간종대와 중간횡대를 이용한 트러스 슬림보
KR102443153B1 (ko) 층고절감을 위한 h형강 합성보
KR20190001131U (ko)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