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413A - 다용도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다용도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413A
KR20220053413A KR1020200137863A KR20200137863A KR20220053413A KR 20220053413 A KR20220053413 A KR 20220053413A KR 1020200137863 A KR1020200137863 A KR 1020200137863A KR 20200137863 A KR20200137863 A KR 20200137863A KR 20220053413 A KR20220053413 A KR 2022005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unit
module
air
fa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영
Original Assignee
정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우영 filed Critical 정우영
Priority to KR1020200137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3413A/ko
Publication of KR2022005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송풍기능과 공기청정기기능이 결합된 다용도 송풍장기를 제공한다. 핸드선풍기모듈이 공기청정기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용도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은 전기모터와 회전팬에 의해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핸드선풍기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를 구비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은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통형의 필터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고,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세로살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부통풍구 및 하부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핸드선풍기모듈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필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통풍구,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에 대응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 상기 공기청정기묘듈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핸드선풍기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송풍장치{Multifuctional blower device}
본 발명은 다용도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풍기능과 공기청정기능이 결합된 다용도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팬이 회전하여 전방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선풍기는 더운 여름에 많이 사용되며, 최근 들어 외부에서 이동하면서 열을 식힐 수 있는 휴대용 선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충전식 휴대용 선풍기가 보급되어 건전지 교환없이 충전을 통해 간편하게 시원한 바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선풍기는 근래에 크게 화두되고 있는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하여 공기청정기 기능을 탑재하기도 한다. 특허등록 제1975960호(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에서와 같이 필터가 보호커버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회전팬에 의해 보호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75960호(공개일자: 2019.05.07, 발명의 명칭: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용 선풍기를 공기청정기에 결합하여 휴대용 선풍기가 발생시키는 송풍에 의해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휴대용 선풍기가 공기청정기에 결합됨에 따라서 자동으로 충전되어 사용이 편리한 다용도 송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용도 송풍장치는, 핸드선풍기모듈이 공기청정기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용도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은 전기모터와 회전팬에 의해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핸드선풍기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를 구비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은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통형의 필터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고,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세로살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부통풍구 및 하부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핸드선풍기모듈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필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통풍구,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에 대응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묘듈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파지부는 일측에 고리 형상의 스트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파지부는 하부면에 제1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부면에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자력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송풍부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하부보호살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부보호살을 수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상부통풍구는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살들에 의해 지지되는 통풍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에 수용되는 전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지지부에 내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세로살이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파지부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상기 하부지지부는 하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는 휴대용 선풍기를 공기청정기에 결합하여 휴대용 선풍기가 발생시키는 송풍에 의해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휴대용 선풍기가 공기청정기에 결합됨에 따라서 자동으로 충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선풍기모듈이 공기청정기모듈로부터 분리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선풍기모듈이 공기청정기모듈과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부와 상부송풍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선풍기모듈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연결단자가 공기청정기모듈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연결단자와 결합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하우징의 하부지지부가 외부의 힘에 의해서 하부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용도 송풍장치(1)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시원한 바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송풍기능과 공기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능이 결합된 장치이다. 즉, 날씨가 더워 시원한 바람을 제공받고 싶을 때에는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하고 공기가 오염되었을 때에는 공기청정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송풍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용도 송풍장치(1)는 송풍기능을 갖는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공기청정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모듈(200)을 포함한다. 핸드선풍기모듈(100)은 휴대하기 쉽도록 사용자의 손에 파지가 가능하며,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어 외부에서도 송풍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청정기모듈(20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어 공기청정기모듈(200)의 내부로 송풍을 제공함으로써 공기청정기모듈(200)에 내장된 필터에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공기청정기모듈(200)은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오염된 물질을 걸러낼 수 있으며, 핸드선풍기모듈(100)이 부착되었을 때에 핸드선풍기모듈(100)의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한다.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공기청정기모듈(2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공기청정기모듈(200)이 핸드선풍기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하여 핸드선풍기모듈(100)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핸드선풍기모듈(100)은 전기모터와 회전팬(111)에 의해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110) 및 송풍부(110)의 일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핸드선풍기모듈(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120)를 포함한다.
송풍부(110)는 파지부(120)의 내측에 내장된 배터리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전기모터를 구동시키며, 전기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팬(111)이 회전하게 되어 사용자에게 송풍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회전팬(111)의 회전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송풍부(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상부보호살(112)과 하부보호살(113)이 구비된다. 상부보호살(112)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송풍부로(110)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상부보호살(112)이 송풍부(110)로부터 분리되면 회전팬(110) 및 송풍부(110) 내부에 대한 청소가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보호살(113)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120)는 상부면에 핸드선풍기모듈(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121), 제1 표시부(121)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공기청정기모듈(200)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122), 하부면에 위치하는 제1 연결단자(123) 및 일측에 위치하는 고리 형상의 스트랩(124)을 구비할 수 있다.
파지부(120)의 측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는 송풍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평탄면으로 연장되다가 단부의 형상이 송풍부(110)와 대응되도록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단부에는 고리 형상의 스트랩(124)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핸드선풍기모듈(100)을 파지함과 동시에 스트랩(124)을 손목에 걸어 핸드선풍기모듈(100)이 손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120)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핸드선풍기모듈(100)의 거치부(233)에 수용되도록 거치될 수 있다.
제1 표시부(121)는 파지부(120)의 상부면에 위치하며, 표시등에 의해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공기청정기모듈(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이 소등된 상태는 전원이 꺼진 상태를 의미하고, 표시등이 속이 빈 원으로 점등된 상태는 전원이 켜져 있고 핸드선풍기모듈(100)의 배터리가 충전이 완료되었음을 의미하고, 표시등이 속이 찬 원으로 점등된 상태는 핸드선풍기모듈(100)의 배터리가 완충되지 않아 충전중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버튼부(122)는 제1 표시부(121)와 송풍부(110)의 사이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공기청정기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휴대용 선풍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정시간 이상 제1 버튼부(122)를 누를 경우에는 핸드선풍기모듈(100)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1회 누를 경우에는 송풍부(110)가 미풍으로 동작하고 그 이후 1회씩 누를 때마다 미풍에서 약풍, 강풍, 다시 미풍 순으로 송풍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과 결합된 상태에서는 공기청정기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정시간 이상 제1 버튼부(122)를 누를 경우에는 송풍부(110)가 가동되거나 중지되어 공기청정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제1 버튼부(122)를 1회 누를 경우에는 송풍부(110)가 수면풍으로 동작하여 회전팬(111)의 회전 속도가 감소했다가 증가하는 패턴을 반복하는 수면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수면모드 상태에서 제1 버튼부(122)를 1회 누를 경우에는 공기청정기모듈(200)의 미세먼지센서와 연동되어 공기오염도가 좋고 나쁨에 따라서 회전팬(111)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AUTO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AUTO모드 상태에서 다시 제1 버튼부(122)를 1회 누를 경우에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팬(111)이 회전하는 청정모드로 기능할 수 있고, 다시 제1 버튼부(122)를 1회 누르면 수면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제1 연결단자(123)는 파지부(120)의 하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연결단자(123)는 파지부(120)의 하부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함몰부(125) 및 함몰부(125)에 가운데에 위치하고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단자(1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후술하는 제2 연결단자(241)의 암단자(238)에 제1 연결단자(123)의 수단자(126)가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연결단자(123)가 제2 연결단자(241)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되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잘 분리되지 않아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력을 제공받거나 제어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단자(123)와 제2 연결단자(241)는 자력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연결단자(123)의 수단자(126)와 제2 연결단자(241)의 암단자(238)가 영구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호간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렇게 자력으로 결합하게 되면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잘 분리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핸드선풍기모듈(100)을 정확하게 공기청정기모듈(200)에 거치하지 않아도 수단자(126)와 암단자(238)가 서로를 끌어당겨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핸드선풍기모듈(100)을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공기청정기모듈(200)은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하는 필터부(210), 내측에 필터부(210)를 수용하는 하부하우징(220) 및 하부하우징(220)의 상부에 위치하여 핸드선풍기모듈(100)과 결합하는 상부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모듈(200)은 핸드선풍기모듈(100)이 발생시킨 공기를 필터부(210)에 통과시켜 공기를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공기청정기모듈(200)은 핸드선풍기모듈(100)이 부착되었을 때 핸드선풍기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필터부(210)는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형상이며, 공기청정기모듈(200)의 내측에 수용된다. 즉, 상부하우징(230)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부하우징(220)의 내측에 위치한다. 핸드선풍기모듈(100)의 송풍부(110)가 발생시킨 공기는 하부 방향으로 흘러 필터부(210)의 중심부를 지나 필터부(210)를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필터부(210)를 통과한 공기는 오염물질이 제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210)는 프리필터, 헤파필터 또는 활성탄필터가 서로 겹쳐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리필터는 공기 중에 입자가 큰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헤파필터는 입자가 작은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활성탄필터는 헤파필터가 여과하지 못하는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흡착하여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하우징(220)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필터부(210)를 수용하고, 공기가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하부통풍구(221)와 하부통풍구(221)와 연결되어 바닥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하부지지부(223)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하우징(220)의 측면에 형성되는 하부통풍구(221)는 복수의 세로살(222)이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세로살(222) 사이의 통공으로 인하여 공기가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필터부(210)를 통과한 여과된 공기는 하부통풍구(221)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통풍구(221)는 필터부(210)를 둘러싸는 부분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나 전등부(236)를 둘러싸는 부분은 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닫힌 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등부(236)를 둘러싸는 부분은 빛이 직접적으로 외부로 방사되지 않고 하부통풍구(221)를 투과하여 간접적으로 방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하부통풍구(221)의 필터부(210)를 둘러싸는 부분은 공기청정을 위한 영역이고, 전등부(236)를 둘러싸는 부분은 조명을 위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하부통풍구(221)의 세로살(222)들은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통공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부통풍구(221)의 세로살(222)들은 곧게 펴져 있으나 탄력성을 가져 쉽게 구부려졌다 다시 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어떤 힘을 가하면 세로살(222)들은 그 힘에 의해 구부러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지지부(223)에 상부 방향 즉, 내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세로살(222)들이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세로살(222)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는 하부지지부(223)는 하부하우징(22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한 하부하우징(220)은 인가된 힘이 제거되어도 고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부하우징(220)의 전체적인 부피가 줄어들게 되므로 마찬가지로 다용도 송풍장치(1)의 부피도 줄어들게 된다. 이렇게 부피가 줄어든 다용도 송풍장치(1)는 수납이 용이하게 되고 이동시에도 줄어든 부피로 인해 간편하게 이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7(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부지지부(223)의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2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고무패드(224)를 하부에 구비함으로서 외부에서 힘이 가해져도 하부하우징(220)이 미끄러지지 않고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될 수 있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30)은 송풍부(110)를 수용하는 수용부(231), 필터부(210)에 대응되는 상부통풍구(232), 파지부(120)가 거치되는 거치부(233), 공기청정기모듈(200)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234), 제2 표시부(234)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핸드선풍기모듈(100) 및 공기청정기모듈(200)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235) 및 상부하우징(230)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하부하우징(220)에 수용되는 전등부(2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하우징(230)은 핸드선풍기모듈(100)과 하부하우징(220) 사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송풍부(110)에서 발생한 공기가 상부하우징(230)을 관통하여 하부하우징(220)의 내측에 위치한 필터부(210)로 이동할 수 있다.
수용부(231)는 핸드선풍기모듈(100)의 송풍부(110)를 수용한다. 즉,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송풍부(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부(231)도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풍부(110)의 하부보호살(113)은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부보호살(113)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수용부(231)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33)는 수용부(231)의 일측에 위치하며, 핸드선풍기모듈(100)의 파지부(120)가 거치된다. 즉,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에 결합될 때 파지부(120)의 하면이 거치부(233)의 상면에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치부(233)의 전체적인 형태는 파지부(120)가 거치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120)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거치부(233)의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지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관계를 통해서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잘 분리되지 않아 결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거치부(233)는 상부면에 제1 연결단자(123)와 자력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연결단자(241)는 거치부(233)의 상부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7) 및 돌출부(237)에 가운데에 위치하고 내측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암단자(2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단자(123)의 함몰부(125)는 제2 연결단자(241)의 돌출부(237)에 대응되고, 제1 연결단자(123)의 수단자(126)는 제2 연결단자(241)의 암단자(238)와 대응된다. 제1 연결단자(123)와 제2 연결단자(241)의 결합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다.
전등부(236)는 거치부(233)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전등부(236)는 필터부(210)와 대치되도록 위치하고 하부하우징(220)에 수용될 수 있다. 전등부(236)가 점등되면 야간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밝기 및 색깔에 따라 수면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등부(236)는 제2 버튼부(235)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부통풍구(232)는 수용부(231)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방에서 하방으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되는 형태이다. 상부통풍구(232)는 송풍부(110)가 발생시킨 공기를 통과시켜 필터부(210)에 도달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통풍구(232)는 거치부(233)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살(239)과 상부통풍구(232)의 내측에 위치하여 지지살(239)에 의해 지지되는 통풍차단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풍차단부(240)는 송풍부(110)의 중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과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풍차단부(240)는 송풍부(110)가 발생시킨 송풍이 상부통풍구(232)의 중심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송풍부(110)의 중심부가 막혀 있는 것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송풍부(110)에서 발생된 공기가 직진할수 있도록 안내하여 오염된 공기가 필터를 효율적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통풍차단부(240) 또는 수용부(231)의 상부에는 하부보호살(113)과의 접촉 또는 핸드선풍기모듈(100)의 진동에 따른 충격과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흡수패드(242)가 구비될 수 있다.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과 결합하게 되면 통풍차단부(240)와 수용부(231)가 핸드선풍기모듈(100)의 하부보호살(113)과 맞닿게 되므로, 서로 접촉하는 과정에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핸드선풍기모듈(100)이 공기청정기모듈(200)과 결합되어 공기청정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전기모터와 회전팬에 의해 소음과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충격흡수패드(242)는 이러한 소음, 충격 또는 진동을 절감할 수 있도록 신축성과 복원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표시부(234)는 거치부(233)의 측면에서 공기청정기모듈(200)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표시부(234)는 3개의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3개의 표시등을 통해서 공기청정기모듈(200)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이 전부 소등된 상태는 전원이 꺼진 상태를 의미하고, 표시등이 파란색 빛으로 1개가 점등된 상태는 전원이 켜져 있고 시간에 따라 주기적으로 회전팬(111)의 속도가 변화하는 수면모드로 작동함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등이 파란색 빛으로 2개가 점등된 상태는 공기오염도가 좋고 나쁨에 따라서 회전팬(111)의 회전속도가 조절되는 AUTO모드를 의미하고, 파란색 빛으로 3개가 점등된 상태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팬(111)이 회전하고 현재의 공기오염도가 좋은 수준임을 나타내는 청정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표시등이 노란색 빛으로 3개가 점등된 상태는 현재 공기오염도가 나쁜 수준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표시등이 붉은색 빛으로 3개가 점등된 상태는 현재 공기오염도가 심각 수준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버튼부(235)는 제2 표시부(234)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공기청정기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시간 이상 제2 버튼부(235)를 누를 경우에는 공기청정기모듈(200)의 전원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1회 누를 경우에는 전등부(236)가 점등되고 다시 제2 버튼부(235)를 누르면 전등부(236)가 소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다용도 송풍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다용도 송풍장치
100: 핸드선풍기모듈
110: 송풍부
111: 회전팬
112: 상부보호살
113: 하부보호살
120: 파지부
121: 제1 표시부
122: 제1 버튼부
123: 제1 연결단자
124: 스트랩
125: 함몰부
126: 수단자
200: 공기청정기모듈
210: 필터부
220: 하부하우징
221: 하부통풍구
222: 세로살
223: 하부지지부
224: 고무패드
230: 상부하우징
231: 수용부
232: 상부통풍구
233: 거치부
234: 제2 표시부
235: 제2 버튼부
236: 전등부
237: 돌출부
238: 암단자
239: 지지살
240: 통풍차단부
241: 제2 연결단자
242: 충격흡수패드

Claims (10)

  1. 핸드선풍기모듈이 공기청정기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용도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은 전기모터와 회전팬에 의해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부면에 상기 핸드선풍기모듈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제1 표시부 및 상기 제1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핸드선풍기모듈 및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1 버튼부를 구비하는 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은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원통형의 필터부;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고, 측면에 구비된 복수의 세로살로 인하여 형성되는 하부통풍구 및 하부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하우징;
    상기 핸드선풍기모듈과 상기 하부하우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부를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송풍부와 상기 필터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부통풍구,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파지부에 대응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측면에서 상기 공기청정기묘듈의 작동상태 및 공기오염수준을 표시하는 제2 표시부 및 상기 제2 표시부의 주변에 위치하여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공기청정기모듈을 제어하는 제2 버튼부를 구비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일측에 고리 형상의 스트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하부면에 제1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부면에 상기 제1 연결단자와 자력으로 결합하는 제2 연결단자를 구비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하부보호살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하부보호살을 수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통풍구는 상기 거치부의 내측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살들에 의해 지지되는 통풍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은 하부면에 부착되어 상기 하부하우징에 수용되는 전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지지부에 내측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세로살이 내측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하부지지부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하면은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부는 하부에 미끄럼 방지를 위한 고무패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송풍장치.
KR1020200137863A 2020-10-22 2020-10-22 다용도 송풍장치 KR20220053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63A KR20220053413A (ko) 2020-10-22 2020-10-22 다용도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863A KR20220053413A (ko) 2020-10-22 2020-10-22 다용도 송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413A true KR20220053413A (ko) 2022-04-29

Family

ID=8142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863A KR20220053413A (ko) 2020-10-22 2020-10-22 다용도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34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60B1 (ko) 2017-10-30 2019-05-07 차재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60B1 (ko) 2017-10-30 2019-05-07 차재춘 휴대선풍기용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340B2 (en) Air purifier for removing particles or contaminants from air
CA2363130C (en) Air filtration device including filter change indicator
CN206387005U (zh) 空气清洁器
US20070221061A1 (en) Air purifier
KR102072755B1 (ko)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KR102035556B1 (ko) 공기청정기능을 구비한 핸디 선풍기
KR20190000114A (ko) 분리형 공기청정기
TWM557344U (zh) 空氣清淨機
KR20190142279A (ko) 탈착식 기능확장모듈을 구비한 송풍 장치
KR101510610B1 (ko) 꽃병형 공기정화기
KR20190045687A (ko) 공기청정 겸용 송풍발생장치
CN114623544B (zh) 空气净化器
KR100873189B1 (ko)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TW200821000A (en) Air purifier
CN214370806U (zh) 空气净化器
KR20220053413A (ko) 다용도 송풍장치
KR20200119594A (ko) 휴대용 선풍기
KR102116010B1 (ko) 자동차용 공기청정기 겸용 핸디선풍기
KR102302809B1 (ko) 공기청정기가 부착된 운반 캐리어
JP2512192B2 (ja) 送風装置
KR102198549B1 (ko) 휴대용 선풍기
KR20130000271A (ko) 다기능 선풍기
CN212818717U (zh) 可便携式小型气流分滤器
KR102416908B1 (ko) 휴대용 공기 청정기
EP0024133B1 (en) Air supply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