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910A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910A
KR20220049910A KR1020200133617A KR20200133617A KR20220049910A KR 20220049910 A KR20220049910 A KR 20220049910A KR 1020200133617 A KR1020200133617 A KR 1020200133617A KR 20200133617 A KR20200133617 A KR 20200133617A KR 20220049910 A KR20220049910 A KR 20220049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lothes
volume
photographing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배근
오주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3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9910A/ko
Priority to US18/249,238 priority patent/US20230407544A1/en
Priority to EP21880564.6A priority patent/EP4229233A1/en
Priority to PCT/KR2021/014298 priority patent/WO2022080917A1/en
Publication of KR20220049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6Type o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4Radiation, e.g. micro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로드 타입 세탁기에서 의류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를 통해 의류의 부피와 의류의 재질 중 하나 이상을 감지하고 연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method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카메라를 통해 감지하는 의류 부피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의류')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통해 세정하는 장치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한 뒤, 기계적인 힘을 하여 세탁하고, 물의 배수와 재공급을 통해 상기 의류를 헹굼처리하며, 이후 상기 물을 전부 배수하고 상기 의류에 함유된 수분을 배출하는 탈수처리를 진행한다.
이때, 상기 의류 중 이불, 수건, 티셔츠와 같이 밀도가 작고 포질이 부드럽게 되어 있는 것은 공급된 물을 상대적으로 많이 흡수하고, 청바지, 헝겁과 같이 밀도가 크고 포질이 두껍고 뻣뻣한 것은 공급된 물을 상대적으로 상대적으로 적게 흡수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를 세탁하기 위해 동일한 양의 물을 급수하여도 드럼 내에 수위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질이 얇은 의류는 강한 기계력이 작용할 시 상기 의류가 늘어나거나 손상되는 우려가 있고, 상기 포질이 두꺼운 의류는 약한 기계력이 작용할시 상기 의류의 세탁이 완전히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세탁기는 의류의 포질을 파악하여 적정 수위의 물을 공급하거나, 드럼의 회전 속도, 회전시간, 교반되는 주기 등의 코스 또는 옵션의 강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종래에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의 입력 전류 또는 출력전류를 감지하여 의류의 무게를 파악하여 의류의 포질을 추정하였다. 상기 구동부를 통해서는 의류의 부피는 정확히 감지할 수 없어 의류의 포질을 정확히 연산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근자에는 의류를 직접 촬영하여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10-2017-0090162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19-0095191호 등]
도1은 카메라를 구비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전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부(50)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30)에 결합된 카메라(20)를 포함하였다.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수용부(50) 또는 상기 수용부(50) 외주면에 배치된 가스켓 등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20)는 수분과 온도에 취약하므로, 상기 수용부(50)에 수용된 물에 최대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도어(3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의류를 촬영하여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의류의 포질을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었다.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포질에 따라 이에 적합한 수위를 결정하거나, 코스 또는 옵션을 자동으로 추천 또는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도1(b)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30)는 상기 수용부(50)에 투입되는 이너글라스(50)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도어(30)와 상기 이너글라스(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었다.
상기 도어(30)의 외주면에는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어서, 전선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도어(30)의 프레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도어(30)의 프레임에 배치되면, 상기 카메라(20)는 상기 의류를 틀어진 방향에서 촬영하여 상기 수용부(50)의 배면까지 전부 촬영할 수 없거나, 의류의 전체 형상을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개구부가 캐비닛의 전방에 배치되면, 상기 도어(30)의 일정 높이까지 물이 차오르게 되어, 상기 수용부(50)의 회전에 따라 도어(30)의 상단까지 물이 반복적으로 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30)와 상기 이너글라스(50) 사이로 물이 직접 투입되어 상기 카메라(20)가 손상되거나, 상기 도어(30)와 상기 이너글라스(50) 사이로 습기가 투입되어 상기 카메라(20)의 내부회로가 손상되거나 상기 카메라(20)의 렌즈에 물방울이 맺혀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30)의 내벽은 물로 인한 얼룩, 린트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어, 상기 카메라(20)로 깨끗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부(50) 내부로 충분한 빛이 투입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카메라(20)로 의류의 정확한 영상을 획득할 수 없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 의류처리장치(50)는 상기 카메라(20)를 통해 의류의 부피 뿐만 아니라, 의류의 포질 또는 재질을 정확히 획득하기 위해 언제 구동해야하는 지에 대한 기준이나 알고리즘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로써, 카메라를 배치하더라도 의류의 종류나 포질을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의류를 촬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 물이 투입되거나 상기 카메라가 물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배치된 도어 내부에 습기를 배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기 도어의 외주면 또는 프레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의류가 수용된 드럼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드럼에 수용된 물에 의해 영상이 왜곡되거나,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 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명을 직접 촬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배치된 도어 주위를 세척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의류의 부피 뿐만 아니라 포질 또는 재질, 종류 등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이 마른 상태에서 감지와 젖은 상태에서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시 Vision 카메라를 이용하여 부피를 감지하며, 드럼의 회전을 통해 포량(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무게를 감지하는 방법은 기존의 Motor 전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
상기 부피를 감지 하는 과정은 드럼 회전 이후 수행될 수 있다. 무게를 감지 하는 과정은 상기 드럼이 회전할 때의 정보를 이용하여 연산할 수 있다. 예를들어, 회전과 동시에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값을 회전 종료 후 연산할 수 있다.
세탁물이 마른 상태에서 부피와 포량을 이용하여 감지된 값을 이용하여 부하의 1차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1차 분류로 가능한 대표적인 예시는 이불과 일반 의류 등이 있다.
2차 분류는 물의 급수를 수행하며, 의류가 물을 함습할때 변화되는 부피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2차분류에는 1차 분류시의 부피, 포량과 함께 부피 또는 무게의 변화량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2차 분류를 통해 알 수 있는 정보는 재질 정보 등이 있다.
한편, 세탁물의 경우 어떻게 쌓느냐에 따라 부피의 감지 결과가 확연하게 차이가 날 수 있다. 사람에 따라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법은 개인 별 다르고,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향 또한 전후좌우가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사람은 던지듯 세탁물을 투입하지만 어떤 사람은 세탁물을 꾹꾹 눌러 드럼에 투입한다. 이 경우 부피 및 밀도의 변화로 인해 정확한 무게 또는 부피의 추정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드럼 회전을 통해 세탁물 사이의 공간을 정규화 하여 세탁물의 부피감지 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회전은 세탁물 부피값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높은 세탁물의 부피 측정을 위해서는 보통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의 양쪽 방향 회전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세탁물은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밀도가 다르다. 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세탁물의 재질 및 세탁물의 모직 방법이다. 여기서 모직 방법이라는 것은 세탁물이 유아 의류 또는 소형 수건과 같이 작고 형태의 변형이 쉬운 형태로 의류가 만들어 졌는지, 이불과 같이 크기가 크거나 레이스 또는 드레스와 같이 어떠한 형태를 유지하게 만들어져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같은 부하에 대하여 무게 대비 부피는 각각 다르며, 이를 이용하여 이불과 같은 의류를 1차적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세탁물이 물을 머금게 되면 부피가 줄어들며 무게는 증가한다. 사전에 분류 가능한 이불, 세탁망 등 이외의 일반 의류의 경우는
매우 다양한 세탁물들이 포함되어 있으나, 각 재질별 일반 의류는 물을 흡수하는 함습률과 무게 변화률이 달라 이를 이용해 2차 분류가 가능하다.
예를들어, 물을 흡수함에 따라 무게가 상승하는 것은 동일하나 부피가 그대로 유지되거나 적게 변화 하는 것은 모직의 간격이 좁고 단단한 수건이나 청바지와 같은 면 재질의 세탁물이며, 모직의 간격이 넓고 물의 흡수가 뛰어난 스웨터는 무게 증가 대비 많은 부피의 감소가 발생한다. 각종 모직의 종류가 뒤섞인 일반 의류는 중간 정도의 형태를 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의류의 재질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에서 전경과 배경 분리하여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 배경 또는 어두운 부분을 배경이라고 표현하고, 빛을 받은 세탁물 부분을 전경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전체 영역에 대한 배경과 전경의 비율을 이용하여 의류를 분리하고 이를 통해 의류의 부피를 연산할 수 있다. 의류의 부피는 CNN의 Regression Model을 이용하여 직접적인 비선형 추론 방법을 통해 연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의류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로 물이 투입되거나 상기 카메라가 물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배치된 도어 내부에 습기를 배출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상기 도어의 외주면 또는 프레임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하여 의류가 수용된 드럼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드럼에 수용된 물에 의해 영상이 왜곡되거나,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아 성능이 감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드럼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이 설치되되, 상기 카메라가 상기 조명을 직접 촬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배치된 도어 주위를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를 통해 의류의 부피 뿐만 아니라 포질 또는 재질, 종류 등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카메라 배치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카메라 설치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카메라 설치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전선 배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조명필요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도어 내부에 조명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도어 내부에 배치된 조명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조명부의 배치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13은 도12에서 드럼각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14는 도어 외부에 조명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15는 도어 외부에 배치된 조명을 카메라가 촬영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6은 도15에서 드럼각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17은 도어를 세척할 수 있는 와이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8은 도어를 세척할 수 있는 분사노즐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9는 분사노즐의 활용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0은 본 발명 도어에서 습기를 배출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은 카메라가 수분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22는 카메라로 의류의 부피를 파악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3은 카메라로 의류의 부피를 파악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24는 카메라로 의류의 부피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5는 의류를 종류를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도26은 의류의 포질을 분류하는 기준을 도시한 것이다.
도27은 카메라로 의류의 포질을 파악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닛(100)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수용부는 상기 캐비닛(100)에 수용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110)와, 상기 터브(110)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드럼(120)과, 상기 터브(11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12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30)와, 상기 터브(110)를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지지하는 서스펜션(160)과, 상기 터브(1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급수부(140)와, 상기 터브(110)의물을 배수하는 배수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브(110)는 물을 수용하는 터브 바디(111)와 상기 터브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투입구(112)와, 상기 투입구(112)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터브바디(111)에 수용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차단하는 가스켓(1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120)은 상기 터브바디(111)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바디(121)와, 상기 구동부(130)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바디(121)를 회전시키는 드럼배면(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121)는 상기 투입구(112)와 대응되는 드럼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
상기 서스펜션(160)은 상기 상기 터브(110)의 하중을 지지하며 진동을 저감하는 댐퍼(161)와, 상기 댐퍼(161)와 상기 터브(110)를 연결하는 지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62)는 빔 또는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부(130)를 지지하면서 상기 터브(110)의 하중까지 동시에 지지할 수 있고, 상기 터브(110) 내부에 사출성형된 베어링 하우징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부(140)는 상기 외부급수원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110)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관(141)은 상기 터브(110)에 물을 곧바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110)의 상부에 구비된 세제박스(142)에 연통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세제박스(142)와 상기 터브(110)는 공급관(14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관(143)은 상기 가스켓(113)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바디(1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150)는 상기 터브바디(111)에 연결되어 상기 터브(110)의 물을 공급받는 배수관(151)과, 상기 배수관(151)과 연결되어 상기 터브(110)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52)와, 상기 배수펌프(152)에서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연장되어 물을 배출하는 배출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152)의 일측에는 필터부재(154)가 연통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수부(150)는 상기 터브(110)의 물을 순환시켜 상기 터브(110)로 재공급하는 순환부(87)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부(87)는 배수펌프(152)와 연통되어 구비되는 순환펌프(872), 상기 순환펌프(872)에서 상기 터브(110)로 연장되는 순환관(871)과, 상기 순환관(871)의 개로를 조절하는 순환밸브(8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110)의 물은 상기 배수부(150)를 통해 바로 배출될 수도 있고, 상기 순환부(87)를 통해 순환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비닛(100)은 상기 투입구(112)와 연통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102)를 구비한 전면패널(101)과, 상기 전면패널(10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측면패널(104)과, 상기 전면패널(101)과 측면패널(104)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패널(10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개구부(102)를 개폐하여 상기 터브(110)의 물이나 상기 드럼(120)의 의류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전면패널(101)에 결합되는 힌지(180)에 회전가능 하게 구비되는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후방 또는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투입구(112)를 실링하는 내부패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개구부(102)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개구부(102)에 삽입되어 상기 투입구(112)에 삽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가스켓(113)의 내주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가스켓(113)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투입구(112)를 실링함으로써, 상기 터브(110)에 수용된 물이 상기 터브(110)와 상기 캐비닛(100)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구부(102)는 외주면에 상기 도어프레임(220)이 수용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지게 구비된 구성도 상기 도어(200)가 상기 개구부(102)에 밀접하게 결합되어 실링 효과를 강화하기 위함이므로 가스켓(113)으로 통칭할 수 있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내주면에 오목하게 구비되어 상기 의류나 물이 충돌되면 다시 상기 터브(110) 내부로 안내하는 오목면(23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힌지(180)에 결합되는 프레임바디(221)와, 상기 프레임바디(221)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 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투시홀(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221)는 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스켓(113)에 접촉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2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달리 링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프레임바디(22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투명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투시홀(222)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드럼(12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투시홀(222)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투시홀(222)에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프레임바디(221)와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바디(221)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전방 또는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캐비닛(100) 외부로 노출되는 외부패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210)은 상기 내부패널(230)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210)은 상기 도어프레임(220)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전면은 차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210)도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내부패널(230)은 상기 프레임바디(22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결합바디(231)와 상기 결합바디(231)에서 돌출되어 상기 투입구(112)에 삽입되는 돌출바디(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바디(232)는 상기 투입구(112)에 삽입되어 물과 의류에 충돌할 수 있고, 상기 내부패널(230)과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결합력이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는 상기 내부패널(230)을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고정시키는 결합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프레임(240)은 상기 프레임바디(221)에 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바디(231)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는 결합면(241)과, 상기 결합면(241)을 관통하여 상기 투시홀(222)과 연통할 수 있는 결합홀(2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20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내부패널(230) 또는 상기 결합프레임(240), 상기 외부패널(210)까지 결합시킬 수 있는 체결부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28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 상기 결합프레임(240)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도어프레임(220)과 상기 결합프레임(240)에 양면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은 도어프레임(220) 없이 서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은 접착제 등으로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외부패널(210)은 전체가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부패널(210)은 상기 드럼(200) 내부에 조명 등이 외부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검은색 등의 색을 보유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20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면에 부착되면 물에 노출되고,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면에 부착되면 사용자 등과 충돌하여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패널(230)은 상기 돌출부(232)로 인해 카메라(300)를 고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내부패널(230)에는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도어프레임(220) 또는 상기 외부패널(210)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드럼배면(122)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프레임(220)에는 이격되고 상기 외부패널(210)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5는 상기 카메라(300)의 설치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터브(110)의 최대수위(H)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물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0) 중 상기 최대수위(H)에 대응되는 부분보다 하부영역(IV)에 상기 카메라(300)가 배치되면, 상기 물의 진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정확히 촬영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이 온수인 경우에는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카메라(300)가 손상되거나 제어신호에 노이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도어(200) 중 상기 최대수위(H) 보다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최대수위(H)는 도어(200)의 높이 중앙 보다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도어의 중앙 또는 그보다 상부영역(I,II,III)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투입구(112)를 기준으로 좌측이나 우측에 치우치지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투입구(112)의 너비를 기준으로 가운데 영역(I,II)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카메라(300)의 영상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부 또는 카메라 제어부가 좌우 반전시키면서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투입구(112)를 기준으로 좌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치면 본래 사진과 좌우반전된 사진의 어긋남이 심하여 정확한 영상편집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투입구(112)의 너비를 기준으로 가운데 영역(I,II)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투입구(112)의 상부에 치우친 상부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된 제어부 또는 전력공급부에 연결된 전력선 또는 제어선(이하, 신호선)은 상기 힌지(180)를 통해 상기 도어프레임(220)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더 가까워짐으로써, 상기 도어프레임(220)에서 상기 카메라(300) 까지 연장되는 신호선을 더 짧게 연결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투입구(112)를 기준으로 중앙영역(II)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는 더 넓은 화각이 확보되어 상기 드럼배면(122)까지 촬영할 수 있어 상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 전체를 모두 촬영할 수 있다.
도6은 상기 카메라(300)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외부패널(210)에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패널(210) 및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에 배치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320)를 수용하는 케이스(310)와, 상기 렌즈부(32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330)이 수용된 연결덕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320)는 실질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 또는 전송하는 완전한 카메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10)는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310) 뿐만 아니라, 상기 렌즈의 초점을 제어하거나, 상기 렌즈부(320)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거나, 편집하는 사진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컨트롤패널이나 구동부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부가 상기 사진제어부의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32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상기 신호선(330)은 상기 도어프레임(220)에서 상기 케이스(310)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선(330)은 상기 도어프레임(220)을 따라 상기 힌지(180)를 통해 상기 캐비닛(10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도어(200) 내부에 노출된 신호선(330)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 부터 상기 케이스(310)까지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신호선(33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선(330)을 상기 도어(200)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신호선(330)에 불필요한 외력이나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노이즈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신호선(330)을 진동 등에 파손되거나, 수분 등에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렌즈부(310)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내주면의 최단거리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렌즈부(310)가 상부영역(I)에 배치되면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상부에서 상기 렌즈부(3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렌즈부(310)가 중앙영역에 배치되면 상기 연결덕트(340)는 힌지(180)가 구비되는 도어프레임(220)에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프레임(220) 내부에 연장되는 신호선의 길이를 축소시켜, 노이즈 발생 가능성을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340)는 상기 신호선(330)을 수용하는 터널바디(341)와, 상기 터널바디(3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신호선(330)이 안착되는 터널홈(3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바디(341)는 상기 외부패널(210)과 마주하는 부분은 직선 또는 상기 외부패널(210)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패널(230)과 마주하는 부분은 곡선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터널바디(341)의 단면은 아치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널바디(341)가 상기 외부패널(210)에 접촉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터널바디(341)로 상기 터브(110)에서 발생한 진동이나, 상기 도어프레임(220)을 통해 발생한 진동이 전달될 때 진동을 분산시켜 상기 신호선(330)을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도7은 상기 카메라(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연결덕트(340)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0) 내부에는 상기 케이스(310)와 상기 렌즈부(320)만 배치되고, 상기 연결덕트(340)는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연결덕트(340)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투시홀(222) 일부를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더 용이하게 상기 드럼(200) 내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미감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신호선(330)은 상기 케이스(310)에 전력이나 신호를 전달해야 하므로 그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신호선(330)이 사용자의 시야를 차단하게 되면 상기 연결덕트(340)가 생략된 효과가 완전히 도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선(330)도 전체 또는 일부가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선(330) 자체가 투명도가 높은 재질이나 투명하게 구비되어 빛이 그대로 통과하거나 상기 신호선(330)의 식별력이 낮아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외부패널(210)이 완전투명이 아니라, 반투명 또는 어두운 색이 함유된 재질로 구비되면 상기 신호선(330)의 식별력은 더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신호선(33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에서 상기 케이스(310)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신호선(330)이 투입될 수 있는 투입홀(3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선(330)은 전부 투명한 투명선(33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선(331)은 투입홀(313)에 투입되는 제1단자(3311)과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결합되는 제2단자(332)와, 제1단자에서 결합단자로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투명막(3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막(3313)은 투시도가 높으면서도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투명막(3313)은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ITO 필름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막(3313)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외부패널(210)의 일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도7(c)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선(300)는 전선은 투명하지 않지만 전선을 감싸는 피복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는 투명필름(33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투명필름(332)은 투입홀(313)에 투입되는 접촉단자(3321)와,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결합되는 결합단자(3323)과, 상기 접촉단자와 상기 결합단자를 연결하는 투명피복(33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피복(3322)은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외부패널(210)의 일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투명피복(3322)도 전류 또는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투명피복(3322)는 Silver paste Screen film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호선(330)은 상기 캐비닛(100)과 상기 카메라(300)의 신호를 상호 전달하는 제어실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실선은 상기 캐비닛에서 상기 카메라(300)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선(330a)과 상기 카메라(330)에서 상기 캐비닛(100)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출력선(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즉, 상기 투명선(331) 또는 상기 투명필름(332)도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도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은 금속재질로서 불투명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은 외부에 식별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8은 상기 신호선(330)에서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이 식별 불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은 폭과 너비가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너비보다 좁은 폭에 해당하는 일면이 상기 외부패널(210)에 부착되거나 외부패널(210)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은 상기 외부패널(210)에서 상기 내부패널(220)을 향하는 방향이 너비 방향과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식별 불가능하거나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의 폭은 매우 얇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의 폭은 0.1mm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외부패널(210)을 정면으로 바라보게 되면,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의 폭에 해당하는 면을 바라보게 된다.(A방향) 이때,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의 폭이 얇으므로, 상기 입력선(330a)과 상기 출력선(330b)이 식별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너비는 작을수록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부에서 A방향과 다른방향으로 바라보더라도 식별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너비는 상기 신호선(330) 또는 상기 투명필름(332)의 너비 보다 1/4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너비(a)와 상기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간격(b)을 조절하면, 상기 도어(200)의 외부에서 상기 드럼(120) 내부를 어느 각도에서 바라보더라도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이 외부에 식별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간격과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의 너비가,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 중 어느 하나의 고정단에서 도어(200)의 외부에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 드럼 내부를 바라볼 수 있는 최대각도 방향을 차단하지 않도록 배치되면,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은 도어(200) 외부에서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바라보아도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위행, 상기 제어실선의 간격(b)은 너비(a)보다 더 크게 구비되면 될수록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은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부에서 식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신호선(330)은 판 형상으로 구비되고, 입력선(330a)과 출력선(330b)은 상기 신호선(330)의 양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9는 조명부의 필요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9(a)를 참조하면, 상기 드럼(120) 내부에 의류(L)가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의류(L)는 상기 드럼배면(122)의 일부만 보이도록 상기 드럼(120)의 하부에 적층되어 배치될 수 있다 .
그러나, 전방에 배치된 상기 투입구(112)를 통해서만 빛이 상기 드럼(120) 내부로 조사되므로, 상기 드럼(120) 내부는 충분한 빛이 조사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캐비닛(100) 외부보다 더 어두울 수 있다.
도9(b)는 상기 드럼(120)을 촬영한 카메라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로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면, 상기 카메라(300)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의류(L)가 정확히 식별되지 않을 정도로 어둡게 나올 수 있다.
상기 드럼(120) 내부에 일정 빛이 조사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카메라(300)는 빛을 수광하여 영상을 촬영하므로, 실제 드럼(120) 내부 보다 더 어둡게 촬영될 수 있다. 더욱이, 충분한 빛이 상기 드럼 배면(122)까지 도달하기 어려우므로 상기 드럼(120)의 일부만 촬영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럼(120) 내부에 충분한 빛이 조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300)로 상기 드럼(120) 내부 전체가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메인제어부나 사진제어부는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더라도 상기 의류의 부피를 연산하지 못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조명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충분한 빛을 상기 드럼(120) 내부로 조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조명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00)는 LED 또는 백열전구 등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되면 어떠한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며, 상기 사진제어부 또는 메인제어부에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카메라(300)가 작동할 때 또는 작동하기 전부터 작동할 때 까지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드럼배면(122)까지 빛이 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 전체 영역을 무리 없이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카메라(300)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내부조명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카메라(300)와 함께 상기 도어(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카메라(300)의 화각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보다 후방에 배치되거나, 상기 카메라(300)의 화각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내부조명부(410)를 직접적으로 촬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렌즈부(320) 또는 상기 케이스(3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케이스(3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렌즈부(320)가 촬영하는 영역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면, 상기 케이스(310)의 일측에만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11은 상기 조명부의 배치영역이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11(a)는 실제 상기 드럼(120) 내부에 의류가 배치된 상태이며, 상기 도어(200)에 카메라 및 조명부가 설치되되, 상기 조명부(400)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명부(400)가 빛을 조사하지 않으면, 상기 드럼(120) 내부는 어두울 수 있고, 상기 카메라(300)로 촬영하여도 어둡게 나와 제대로 의류(L)가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도11(b)는 상기 조명부(400)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카메라(300)로 촬영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를 충분히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빛이 조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카메라(300)는 대게 가장 밝은 부분을 중심으로 나머지 영역의 채도나 명암을 결정하여 영상을 촬영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명부(400)가 직접적으로 상기 카메라(300)에 촬영되거나, 상기 조명부(400)에 조사되어 상기 드럼(120)에 도달한 빛이 바로 상기 카메라(300)로 반사되면, 상기 카메라(300)는 빛이 가장 밝은 영역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고 나머지 부분을 제대로 촬영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120)의 상부에 조명부(400)가 배치되거나, 상기 조명부(400)의 빛이 반사되어 상기 렌즈부(320)에 수신되면, 영상의 상단은 너무 밝게 나와 주변이 식별이 불가능하게 되고, 영상의 하단은 너무 흐리거나 연하여 식별이 불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300)의 화각 외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조명부(40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부(400)에서 조사된 빛이 직접적으로 상기 카메라(300)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카메라(300)가 상기 조명부(400)를 직접 촬영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반사된 빛을 직접 수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외부패널(210)의 내벽에 결합되고,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카메라(300)의 일측에서 상기 외부패널(210)에 결합된 내부조명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렌즈부(320)의 측면은 촬영할 수 없으므로, 상기 내부조명부(410)가 상기 카메라(300)와 나란하게 배치되면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카메라(300)에 직접 촬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패널(230)는 상기 도어프레임(220)에 결합되는 결합바디(231)와, 상기 결합바디(231)에서 연장된 돌출바디(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바디(232)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하부에서 상기 투입구(112)에 삽입 가능하게 돌출되는 돌출면(2321)과, 상기 돌출면(2321)의 자유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오목면(2322)과, 상기 오목면(2322)에서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상부로 연장되는 경사면(232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23)은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상단에서 상기 오목면(2322)까지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오목면(2322)는 상기 외부패널(210)을 향하여 내부가 둘레보다 오목하게 함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드럼(120) 내부의 의류가 상기 내부패널(230)에 충돌하면, 상기 돌출면(2321)으로 인해 상기 의류가 투입구(112)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오목면(2322)과 상기 경사면(2323)을 따라 손상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다시 드럼(120)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오목면(2322)을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경사면(2323)을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목면의 상단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부에 배치된 제1영역(I)과 하부에 배치된 제2영역(II) 중 제1영역(I)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카메라(3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부조명부(410)가 제2영역(II)에 배치되면, 상기 오목면(2322)이 오목하게 배치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오목면(2322)에 수직으로 조사된 빛은 2번 방향을 따라 직진하며 상기 드럼배면(122)에 충돌하고, 상기 드럼배면(122)에 충돌한 빛은 다시 2번방향의 역방향인 4번방향으로 직진하며 상기 내부조명부(410)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4번방향으로 이동하는 빛은 상기 오목면(2322)을 다시 수직으로 통과하여 상기 카메라(300)에 직접적으로 도달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4번방향으로 조사된 빛 만을 집중적으로 촬영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부조명부(410)가 제1영역(I)에 배치되면 상기 내부조명부(410)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경사면(2323)의 경사에 따라 1번방향으로 굴절되어 상기 드럼배면(122)만을 향하지 않고 분산된다.
또한, 상기 드럼배면(122)까지 도달한 빛은 다시 상기 3번방향으로 상기 경사면(2323)에 도달하게 되고, 상기 경사면(2323)에 도달하면 다시 굴절하게 되어 상기 카메라(300)에 직접적으로 수광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빛은 여러방향으로 굴절, 분산, 난반사되고,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드럼(120) 내부 전체를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도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카메라(300)가 상기 조명부(400)를 직접 촬영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반사된 빛을 직접 수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120)은 상기 드럼배면(122)이 상기 투입구(112) 또는 상기 외부패널(210)과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조명부(410)는 상기 제1영역(I) 뿐만 아니라, 제2영역(II)에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I)에 배치된 내부조명부(410)는 전술한 과정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II)에 배치된 내부조명부(410)에서 조사된 빛은 2번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카메라(300)로 직접 반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내부조명부(410)에서 조사된 빛은 상기 오목면(2322)를 통과하여 상기 드럼배면(122)에 충돌하더라도, 상기 드럼배면(122)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상기 드럼배면(122)으로 조사된 방향과 상기 드럼배면(122)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반대되는 각도로 반사된다. 이로써, 상기 드럼배면(122)에 충돌한 빛은 상기 드럼바디(121)에 난반사되며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배면(1220에서 반사되는 방향은 상기 카메라(300)를 향하는 방향이 아니므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내부조명부(410)에서 조사되거나 반사된 빛을 직접적으로 수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조명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도어(200)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조명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전구, LED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bar) 타입 또는 테이프 타입의 전구로 구비될 수 도 있다.
도14(b)와 같이,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드럼(120) 내부에 빛을 조사해야 하고 상기 터브(110)의 물 또는 의류에 차단되는 것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투입구(112) 주위에서 회전하지 않는 구성은 가스켓(113)이므로,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가스켓(113)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가스켓(113)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가스켓(113)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120) 내부 전체에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가스켓(113)의 외면에 구비되어 심미감을 더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외부조명부(420)가 상기 카메라(300)이 화각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면 어느 곳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도15는 상기 외부조명부(420)가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도어(2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도어(200) 내부에 설치되는 카메라(300)에 직접적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외부조명부(420)가 상기 카메라(300) 보다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부조명부(420)에서 가장 아래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부(320) 보다 후방에 위치한 영역(또는 드럼을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영역)을 향하여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조명부(420)에서 아래로 조사된 빛은 상기 경사면(2323)과, 상기 돌출면(2321)만을 통과할 뿐, 상기 카메라(300)에 도달하지는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카메라(300)의 화각보다는 전방(외부패널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부(320) 보다는 후방(드럼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가스켓(113)에 상기 외부조명부(420)가 배치되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가스켓(113) 보다 외부패널(210)을 향하여 가까이 배치되고,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카메라(300) 보다 상기 드럼배면(122) 또는 후방을 향하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조명부(420)에 조사된 빛이 상기 내부패널(230)에 조사되면, 상기 빛은 상기 경사면(2323)에서 굴절되거나 난반사되고, 상기 돌출면(2321)에서도 굴절되거나 난반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조명부(420)는 상기 드럼배면(122) 및 상기 드럼바디(121)의 표면과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게 되므로 상기 드럼배면(122) 및 상기 드럼바디(121)에 반사된 빛은 난반사되어 상기 카메라(300)로 직접적으로 수광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외부조명부(420)를 상기 카메라(300)의 화각보다 외부 영역에 배치하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외부조명부(420)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드럼(120) 내부를 온전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16은 상기 외부조명부(42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럼(120)은 상기 드럼배면(120)이 상기 외부패널(210)을 기준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부패널(420)에 조사된 빛은 상기 드럼배면(122)에 충돌하면 여러 번 반사되고 난반사되어 상기 카메라(300)로 수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300)로 상기 드럼(120) 내부를 더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모든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배면(122)의 표면과 상기 드럼바디(121)의 내면은 난반사를 발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배면(122)의 표면과 상기 드럼바디(121)의 내면은 거칠게 구비되거나, 여러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드럼배면(122)의 표면과 상기 드럼바디(121)의 내면은 빛을 반사하는 능력이 매우 떨어지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배면(122)의 표면과 상기 드럼바디(121)의 내면은 뿌옇게 표면처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조명부(400)에 조사된 빛이나 직접 반사된 빛을 수광하지 않고, 상기 드럼(120) 내부 전체를 촬영할 수 있다.
도17은 상기 카메라(300) 영상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내부패널(230)은 의류 뿐만 아니라, 물 또는 세제에 직접적으로 충돌하거나 접촉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면에는 물 때, 얼룩, 린트 등의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게 되면, 상기 내부패널(230) 외면에 부착된 이물질로 인해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거나, 의류가 제대로 식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벽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와이퍼(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270)는 도어프레임(220)에 결합되는 결합힌지(271)와, 상기 결합힌지(27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물제거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힌지(271)는 상기 도어프레임(220) 내부에 구비된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기 렌즈부(320)의 직경에 대응되거나 더 큰 각도인 세척각도(E)를 왕복하여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힌지(271)는 상기 도어프레임(220) 중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와이퍼(270)가 의류 등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빈도나 횟수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이물제거부(272)는 상기 결합힌지(271)에서 상기 렌즈부(3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내부패널(230)을 향하는 부분에 세척모 또는 고무판 등이 부착되어 이물질을 쓸어내릴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와이퍼(270)는 상기 카메라(300)가 작동하기 직전에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세탁과정 전체가 종료되면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완전히 종료되면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17은 상기 카메라(300) 영상의 식별력을 높일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내부패널(230)을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500)는 상기 급수부(140) 또는 상기 배수부(150)에 연통하여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부에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노즐(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510)은 상기 카메라(300)의 구동 전 물을 분사하거나, 상기 세탁과정이 종료되면 작동하도록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구동부의 작동이 완전히 종료되면 물을 분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510)은 어떤 물을 공급받는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분사노즐(510)은 상기 급수밸브(141)에서 상기 가스켓(113) 까지 연장되거나, 상기 급수관(141)에서 분지되어 상기 가스켓(113)까지 연장되는 급수노즐(510a)과, 상기 배수펌프(152) 또는 순환부(87)에서 상기 가스켓(113)까지 연장되는 배수노즐(51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부(500)는 상기 분사노즐(5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분사관(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관(520)은 상기 급수밸브(141)에서 상기 급수노즐(510a) 까지 연장되는 급수분사관(521)과, 상기 배수펌프 또는 분사부에서 상기 배수노즐까지 연장되는 순환분사관(5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노즐(510a)은 상기 가스켓(113)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노즐(510b)은 상기 가스켓(113)의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노즐(510a)은 언제나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배수노즐(510b)은 마지막 헹굼과정에서 물을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내부패널(230)로 오염수를 분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510)은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도 있다.
도19는 분사노즐(510)이 위치에 따라 구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분사노즐(510)은 상기 내부패널(230)의 상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1노즐(511)과, 상기 내부패널(230)의 일측면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2노즐(512)과, 상기 내부패널(230)이 타측면을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제3노즐(5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511)과 상기 제2노즐(512), 상기 제3노즐(513)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급수노즐(510a)로 구비될 수 도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배수노즐(510b)로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노즐(511)은 급수노즐(510a)로 구비되고, 상기 제2노즐(512)과 상기 제3노즐(513)은 배수노즐(510b)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포량감지 등과 같이 세탁코스 초기에는 상기 제1노즐(511)을 통해 물을 분사하고, 세탁 및 헹굼단계에서는 상기 제2노즐(512), 상기 제3노즐(513)를 통해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수단계에서는 상기 제1노즐(511)로 물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가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기 세탁코스가 완전히 종료되어 구동부의 작동이 종료되면, 상기 제1노즐(511)을 통해 물을 분사하여 다음 카메라(300)로 촬영할 때 선명한 영상을 얻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노즐(511)과 상기 제2노즐(512), 상기 제3노즐(513)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량이나 분사속도가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고,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노즐(511)은 상기 내부패널(230)의 상부를 향해 물을 분사하므로 분사량이나 분사속도가 강하게 설정되어 상기 내부패널(230)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노즐(512) 또는 상기 제3노즐(513)은 상기 내부패널(230)의 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므로 상기 내부패널(230)에 부착된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노즐(511)과 상기 제2노즐(512) 및 상기 제3노즐(513)은 상기 카메라(300)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세척부(500)로 인해,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내부패널(230)의 표면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드럼(120) 내부를 온전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20은 상기 카메라(300)가 수분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는 전자제품이므로 수분에 취약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0)는 항상 물에 접촉되는 구성이므로 상기 카메라(300)의 성능이 항상 보장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들어, 상기 내부패널(230)을 통해 물이 접촉되어 상기 내부패널(230)과 상기 외부패널(210) 사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패널(230)과 상기 외부패널(210) 사이로 누수되거나 유입된 물이 증발하여 상기 카메라(300)의 내부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도어프레임(220)이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을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주면을 모두 수용하여 실링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220)은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실링바디(221)과 상기 실링바디(221)에서 상기 내부패널(230)의 외면으로 연장되는 제1결합부(251)와, 상기 실링바디(221)에서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면으로 연장되는 제2결합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221)와 상기 제2결합부(251)와 상기 제2결합부(252)는 단면이 c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패널(230)과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주면을 서로 밀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바디(221)와 상기 제2결합부(251)와 상기 제2결합부(252)와 상기 내부패널(230) 및 상기 외부패널(210) 사이에는 접착제 또는 실링제가 더 도포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터브(110)의 물이 상기 내부패널(230)과 상기 외부패널(210) 사이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에 일시적으로 또는 우연히 물이 투입되면 상기 물(w)을 외부로 배출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에 물이 투입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내부 상대습도 변화 등 의해 상기 카메라(300)가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외부패널(210)을 관통하는 환기홀(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홀(260)을 통해 상기 외부패널(210)의 외부와,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 공간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로 투입된 물은 자연스럽게 상기 환기홀(260)을 통해 직접적으로 배출되거나 증발될 수 있고,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 사이 공간의 상대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자연스럽게 습도가 외부 환경과 맞춰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카메라(300)가 수분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21은 상기 카메라(300) 자체가 유입된 물에 회피능력을 가질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1(a)를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300)는 물과 접촉되면 곧바로 상기 물을 케이스(310) 외부로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물이 상기 케이스(3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외부패널(210)에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20)의 하단에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300)의 하부가 상기 물에 접촉될 가능성이 희박하며, 상기 카메라(300)의 하부에 물이 접촉되어도 곧바로 자중에 의해 상기 물은 상기 케이스(310) 내부에 침입하지 못하고 다시 케이스(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부패널(210)과 상기 내부패널(230)의 상부면 사이에서 유입된 물이 상기 카메라(300)의 상부면에 접촉되면,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에서 물이 일정시간 머무르면서 상기 케이스(310) 내부로 물이 침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310)는 상부면이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가 상기 외부패널(210)에 고정되면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면은 상기 외부패널(210)에서 멀어질수록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케이스(310)의 상부면 경사를 따라 상기 케이스(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렌즈부(320)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외부케이스(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311)는 상기 외부패널(210)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바디(3111)와, 상기 고정바디(3111)에서 내부패널(230)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렌즈부(320)를 수용하는 수용바디(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3112)는 상기 고정바디(3111)에서 상기 내부패널(230)을 향하여 연장될수록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바디(3112)의 상부면만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수용바디(3112)의 하부면까지 하부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수용바디(3112)의 하부면에 접촉된 물까지도 바로 상기 수용바디(3112)의 하부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케이스(3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부(320)는 상기 수용바디(3112)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렌즈부(320)를 상기 고정바디(3111)에 결합시키는 고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60)는 상기 렌즈부(320)에 결합되는 패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60)는 상기 렌즈부(320)를 제어하고 상기 렌즈부(320)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거나 편집하는 사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10)는 상기 렌즈부(320)를 상기 외부케이스(311) 내부에서 수용하는 내부케이스(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12)는 상기 수용바디(3112)에 안착되거나 지지되어 상기 렌즈부(320)를 수용하는 지지바디(3121)과 상기 지지바디(3212)에서 상기 렌즈부(320) 또는 상기 고정부(360)를 외부에 노출시키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바디(3122)와, 상기 차단바디(3122)를 관통하여 상기 렌즈부(320)에 빛을 수집하는 수광부(3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123)는 상기 렌즈부(320)와 대응되거나 마주보는 높이에서 상기 차단바디(3122)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외부케이스(311)는 상기 내부패널(230)을 향하여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케이스(312)는 상기 외부패널(210)을 향하여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3212)는 상기 차단바디(3122)에서 상기 수용바디(3112)와 대응되는 경사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바디(3212)와 상기 수용바디(3112) 사이로 투입된 물을 상기 고정부(360)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차단바디(3122)나 상기 케이스(310) 외부를 향하여 이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바디(3122)는 상기 렌즈부(320)를 향하여 유입되는 물이나, 상기 수용바디(3112)를 따라 흐르는 물이 상기 렌즈부(32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21(b)는 상기 카메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300)의 케이스(310)는 외부케이스(311)와 내부케이스(312)를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바디(3112)와 상기 차단바디(3122)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경사지게 배치될 수도 있고, 상기 도면과 같이 상기 고정받(3111)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부(360)는 상기 렌즈부(320)를 상기 고정바디(3111)에서 이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360)는 상기 렌즈부(320)를 지지하며 상기 렌즈부(320)에 결합되는 고정패널(361)과, 상기 고정패널(361)을 상기 고정바디(3111)에서 이격시키는 고정리브(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패널(361)은 상기 렌즈부(320)를 제어하는 PCB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부케이스(311)와 상기 내부케이스(312) 사이로 투입된 물(W)은 상기 고정리브(362)를 지나 다시 케이스(3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상기 고정리브(362)가 상기 렌즈부(320)와 상기 고정패널(361)을 상기 고정바디(3111)에서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물이(W)이 상기 렌즈부(320)와 상기 고정패널(36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1(C)는 상기 카메라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21(D)는 21(c) 카메라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21(c)는 도21(b)의 구조와 대부분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케이스(312)는 상기 차단바디(3122)에서 상기 내부패널(230)을 향하여 돌출되는 수분유도부(3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유도부(313)는 상기 수광부(3123)의 상부에서 상기 수광부(3123)와 이격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수광부(3123) 상부에서 상기 수광부(3123)를 향하여 흐르는 물이 상기 수분유도부(313)에 차단되어 상기 수광부(3123)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수분유도부(313)는 눈썹과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분유도부(313)는 상기 수광부(3123)의 상부에 바 형태로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부(3123)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광부(3123)의 상부에서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수분유도부(313)는 물을 수집하지 않고 상기 수광부(3123)의 외부로 흘려보낼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2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카메라(300)를 통해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2(a)와 같이 의류가 드럼(120) 내부에 위치할때,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의류를 1회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도22(b)와 같이 메인제어부는 상기 드럼(120)을 상기 모터(130)를 구동하여 일정각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카메라(300)는 상기 의류를 다시 1회 촬영하여 이미지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카메라(100)는 상기 의류를 회전하여 2회 촬영함으로써 상기 의류를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이미지들를 합성하여 상기 의류를 입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의류를 1회 촬영한 이미지와, 상기 의류를 회전시켜 각도를 변화시킨 뒤 다시 1회 촬영한 이미지를 프로세싱하여 입체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두 눈이 물체를 파악하여 상기 물체의 거리 및 부피를 파악하는 원리와 동일하다.
즉, 상기 카메라(300)는 단안카메라로서 촬영구가 하나이지만, 물체의 위치를 변경하여 2회 촬영한 이미지를 합성함으로써, 촬영구가 2개인 양안카메라로 촬영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시말해, 도 22(b)는 왼쪽 렌즈 또는 왼쪽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간주할 수 있고, 도 22(a)는 오른쪽 렌즈 또는 오른쪽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사진제어부(300)는 상기 단안 카메라를 통해 상기 의류의 형상 및 부피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120)의 회전각도는 360도 미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의류의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그 회전각도는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가 90도 이상으로 회전하면 중력에 의해 상기 드럼(120)의 내주면에서 이탈되어 무너져 내리거나, 형상이 변경될 수 있어 2회 동안 촬영한 의류의 이미지가 달라짐으로 상기 의류의 정확한 입체적인 영상을 획득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촬영 기법을 통해 상기 의류의 입체적인 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이미지들은 상기 의류의 입체형상을 제공할 뿐 정확한 치수를 제공하지는 않으므로,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의류의 입체형상이 정확히 어떤 부피값을 갖는지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320)와 의류의 각 지점간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의류의 정확한 부피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값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카메라(300)와 의류의 각 지점에 대한 거리와, 드럼(120)의 회전각도 및 드럼(120)의 반경을 이용하여 상기 의류의 정확한 크기 및 부피를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언급된 부피측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300)의 렌즈부(320)는 일정한 배율과 초점거리를 구비하며, 상기 렌즈부(320)의 정보는 사진제어부(36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상기 의류를 촬영할 수 있고, 상기 촬영된 영상은 상기 렌즈부(320)에서 상으로 맺히게 된다.
이때,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렌즈부(320) 맺힌 상의 길이와 면적을 구할 수 있고, 이를 렌즈의 배율을 통해 실제 의류의 길이와 면적을 연산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의 부피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의류를 지속적으로 촬영할 필요 없이 하나의 카메라로 2회 촬영하면 충분하고, 상기 2회 촬영한 영상만을 합성하여 실제 의류의 부피를 연산할 수 있다.
도23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카메라(300)를 통해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23(a)를 참조하면,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드럼(120)이 비어있을 때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드럼(120) 내부의 통공의 개수를 파악하여 미리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이후, 의류가 투입되면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120) 내부를 1회 촬영할 수 있다.
도 23(b)는 상대적으로 적은 부피의 의류가 상기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23(c)는 상대적으로 많은 부피의 의류가 상기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360)는 상기 의류가 수용된 드럼(120) 내부에 노출된 통공(51)의 개수를 파악하여 의류의 부피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상기 드럼(120)의 회전중심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드럼(120) 내주면이 노출된 부분을 통공의 개수로 파악하여 상기 의류의 면적 및 높이를 파악하여 상기 의류의 부피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제어부(360)는 드럼이 비어있을 때 촬영한 영상정보와, 의류를 촬영한 영상정보를 통해 영상에서 의류가 있는 영역과, 의류가 없는 영역을 분리함을 통해, 의류가 있는 영역이 차지하는 부피를 연산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300)를 통해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든지 차용할 수 있다.
도2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가 의류의 부피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건포량을 감지하여 세탁과정에 필요한 수위를 결정할 수 있고, 습포량을 감지하여 탈수과정을 진행하는 시간과 드럼의 회전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포질을 감지하기 위해 의류의 부피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들어, 연질의 의류인 경우에는 세탁과정, 헹굼과정, 탈수과정에서 드럼의 RPM을 낮추어 의류를 보호할 수 있고, 강질의 의류인 경우에는 반대로 드럼의 RPM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의류의 포량 또는 포질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는 의류의 부피를 정확하게 감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부피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드럼의 회전과 카메라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부피를 감지하기 전에 구동부(130)를 제어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단계(S1)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드럼(120)에 의류를 압축하면서 투입하더라도, 상기 드럼 회전에 의해 상기 의류가 풀어질 수 있고, 의류가 꼬이거나 뭉쳐있더라도 교반되어 풀어지면서 원래의 부피로 돌아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단계(S1)의 드럼 회전속도는 의류가 드럼 내벽에 달라붙어 1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속도 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의류가 상승하다가 떨어지면서 의류가 풀어지면서 본래의 부피로 돌아올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는 90도~180도 사이에서 상승하여 떨어지는 속도로 상기 드럼을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단계(S1)가 종료되면, 상기 카메라(300)로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고,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드럼(120)에 수용된 의류의 부피를 감지하는 제1촬영단계(S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상기 사진제어부(360) 또는 메인제어부는 전술한 여러 방법으로 의류의 부피를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S2)를 통해 연산한 부피를 최종 부피로 확정하기 전에 상기 연산한 부피가 정확한지를 추가적으로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부피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이므로 정확하지 않을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가적으로 이를 확인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의류의 부피를 정확히 감지함을 통해 향후 의류의 포질 또는 재질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재촬영을 통해 의류의 부피를 다시 측정하여 이전 측정한 값과 차이를 비교함을 통해, 의류의 부피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 재촬영의 경우 측정값이 동일할 여지가 있으므로, 재촬영하기 전에 드럼을 추가적으로 회전하여 의류의 위치나 형태를 변형시킨 후에, 다시 촬영하여 의류의 부피를 검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S2)가 종료 후, 다시 드럼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단계(S4)를 수행하고,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는 제2촬영단계(S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단계(S4)는 상기 제1회전단계(S1)에서 드럼의 회전속도와 회전 방향, 총 회전수 중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의류가 더욱 교반되어 의류가 본래의 부피를 회복하며 상기 드럼(1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촬영단계(S5)에서 획득한 영상을 통해 상기 의류의 부피를 다시 연산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와 상기 제2촬영단계에서 각각 연산한 부피의 차이를 감지하는 확인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확인단계(S6)에서 부피값의 편차가 허용값 이내라면, 상기 의류의 부피가 정확하게 감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부피를 최종적으로 확정하는 확정단계(S9)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허용값은 상기 의류의 부피 대비 가변될 수 있다. 예를들어, 측정된 의류의 부피 중 가장 큰 값의 10%가 허용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허용값은 특정 의류의 사이즈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허용값은 타올 5개의 부피 또는 상기 청바지 1개의 통상적인 부피 값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확정단계(S9)는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연산한 부피와 상기 제2촬영단계(S5)에서 연산한 부피 중 어느 하나를 의류의 최종 부피로 확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촬영단계(S5)가 의류를 더 많이 교반한 뒤에 수행되었으므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촬영단계(S5)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부피를 최종 부피로 확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연산한 부피와 상기 제2촬영단계(S5)에서 연산한 부피의 평균값 또는 가중치를 달리하여 최종부피로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인단계(S6)에서 상기 부피값의 편차가 허용값을 넘어간다면, 상기 의류가 서로 뭉쳐있거나 꼬여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다시 회전하는 제3회전단계(S7)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단계(S7)는 상기 제2회전단계(S4)보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 시간, 회전 방향 중 하나 이상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 시간은 더 길고 높게 설정되고, 상기 회전방향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방향은 1회 이상 바뀔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제3회전단계(S7)에서 의류를 교반함으로써, 의류의 뭉침이나 꼬임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120)을 다시 촬영하는 제3촬영단계(S8)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촬영단계(S8) 획득한 영상을 통해, 제어부는 상기 의류의 부피를 다시 연산할 수 있다.
상기 확정단계(S9)는 상기 제3촬영단계(S8)에서 연산한 부피를 최종 부피로 확정할 수 있다. 상기 제1,2촬영단계에서 연산한 부피는 정확하지 않으므로, 상기 제3촬영단계에서 연산한 부피만을 최종 부피로 확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촬영단계(s8)에서 획득한 부피와, 이전 연산한 부피를 다시 비교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세탁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3촬영단계(s8)에서 연산한 부피를 최종 부피로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촬영한 영상에서 연산한 의류의 부피값 또는 촬영영역이 기준값과 특정값 사이에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단계(s3)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촬영영역은 의류의 촬영영역일 수 있고, 드럼 내면에서 의류가 제외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검사단계(s3)에서 상기 연산한 부피값이 상기 기준값과 상기 특정값 사이에 있다면 상기 제2회전단계(s4)와 상기 제2촬영단계(s5)를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의류의 부피가 작아 의류를 교반하더라도 의류의 부피가 크게 달라지지 않기 시작하는 값일 수 있다. 즉, 의류가 극소량인 경우에는 드럼을 다시 회전하더라도 크게 의류의 부피가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한번의 촬영만으로 의류의 부피를 확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상기 드럼의 하부면에서 전방에서 후방 중 적어도 일부가 보이기 시작하는 부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의류가 양말 또는 수건, 속옷 등으로 극소량만 배치되는 경우, 상기 드럼에 배치되어도 상기 드럼의 전방이나 후방 전체를 커버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는 의류가 서로 꼬이거나 압축될 가능성도 없고, 서로 뭉쳐도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의류의 부피를 1회의 촬영만으로 확정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드럼(120)이 내부에 의류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드럼바디에서 돌출된 리프터가 복수개로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기준값은 상기 하나의 리프터에서 상기 드럼의 하부를 따라 다른 하나의 리프터까지 해당하는 면적 또는 부피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값은 상기 드럼 내부를 의류가 거의 다 채운 상태로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도 의류가 교반되는 것이 어려운 상황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카메라(300)가 상기 드럼배면을 식별하지 못할 정도로 상기 드럼 내부가 의류로 채워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솜이불, 패딩 또는 다수의 의류가 한번에 등의 의류가 채워진 상태일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특정값은 상기 드럼배면 중 1/5만 노출되는 면적 또는 그에 해당하는 부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럼을 회전하더라도 상기 의류의 상태가 가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특정값은 의류의 부피가 매우 커 의류를 교반하더라도 의류의 부피가 크게 달라지지 않기 시작하는 값일 수 있다. 상기 의류가 다량인 경우에는 드럼을 다시 회전하더라도 크게 의류의 부피가 달라지지 않기 때문에, 한번의 촬영만으로 의류의 부피를 확정할 수 있다. 이로써, 세탁지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검사단계(s3)에서 상기 연산한 부피값 또는 촬영영역 등이 이 상기 기준값 보다 작거나 상기 특정값 보다 크다면 상기 제2회전단계(s4)나 상기 제2촬영단계(s5)를 생략하고 상기 확정단계(s9)를 바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촬영단계(s2)에서 연산한 부피값을 곧바로 의류의 부피로 최종 확정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촬영단계(s2) 수행 전에 상기 제1회전단계(s1)를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럼을 회전하지 않고 의류의 부피를 감지하고, 드럼을 회전한 뒤 의류의 부피를 감지한 뒤에, 각각의 부피값의 차이를 확인하는 상기 확인단계(s6)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부피값의 차이가 허용값 보다 큰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확정단계(s9)를 바로 수행하거나, 제3회전단계(s7)를 수행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1회 촬영 후에 드럼을 회전한 뒤 다시 촬영하여 부피를 검사하여 최종 부피를 확정할 수 있다.
도25는 의류의 종류에 따른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는 이불 또는 패딩 등 외피 내부에 방열재, 완충재 등을 별도로 충전한 이불영역의 의류와, 외피 내부에 별도의 물질이 충전되지 않는 일반 의류영역의 의류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이불영역의 의류는 부피 대비 무게가 일반영역의 의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망에 다량의 의류를 투입하거나, 하나의 셔츠 또는 수건 등은 부피가 매우 작을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부피와 의류의 무게를 점검하여 의류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에 도27에 해당하는 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의류의 무게와 의류의 부피를 감지하여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가 어떤 종류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시키거나 회전을 정지하면서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나 구동부의 출력 부하를 통해 의류의 무게를 감지하고, 카메라로 의류의 외형을 촬영하여 의류의 무게를 감지함을 통해, 제어부는 의류가 어떤 영역에 해당하는지를 검사하여 의류의 종류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드럼 내부에 있는 의류가 이불영역에 있는 의류인지 일반의류 영역에 있는 의류인지를 1차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이불영역에 있는 의류는 내부에 방열재 또는 완충재로 인해 수분을 다량 함유하기 때문에 다량의 물을 일반영역의 의류보다 더 많은 양의 물을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26은 의류의 재질에 관한 특성을 도시한 것이다.
외피 내부에 별다른 방열재 또는 완충재가 없는 일반영역의 의류들은 여러 섬유가 서로 짜여져 구비된다. 다만, 상기 섬유의 종류에 따라 물을 함유하였을 때 부피변화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일반 의류가 배치된 상태에서 물을 공급받으면 수건, 청바지 종류의 의류는 물을 흡수하여 무게는 증가하되 부피는 크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스웨터와 같은 털 섬유의 경우에는 물을 공급받으면 물을 흡수하여 무게가 증가하는 과정에서 털섬유가 수축되어 부피 자체가 크게 감소할 수 있다.
그 외, 스웨터와 같은 털섬유와 청바지 섬유의 사이의 섬유로 된 일반의류는 물을 흡수하면서 상대적으로 작게 수축되어 무게가 증가하되 부피는 일정부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의류에 물을 공급했을 때, 의류의 부피 변화를 감지하면 의류의 재질을 파악할 수 있다.
도27은 의류의 종류와 재질을 파악할 수 있는 제어방법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를 교반하는 드럼회전단계(t1)와, 상기 드럼(120) 내부를 촬영하여 의류의 부피를 감지하는 부피감지단계(t2)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단계(t1)에서 상기 드럼을 회전하거나 정지할 때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럼회전단계(t1)와 상기 부피감지단계(t2)는 도24의 제어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회전단계(S1)와 상기 제2회전단계(S2), 상기 제3회전단계(S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드럼회전단계(t1)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제1촬영단계(s2), 제2촬영단계(s5), 제3촬영단계(s8)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수행되는 확정단계(S9)가 상기 부피감지단계(t2)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60)는 무게와 부피를 통하여 의류가 어떤 종류인지를 분류하는 1차 분류단계(t3)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의류가 상기 이불영역의 의류인지, 일반영역의 의류인지를 분류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급수부(140)를 구동하여 상기 터브(110)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t4)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급수단계(t4)는 상기 의류가 물을 공급받았을 때 의류의 부피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써, 상기 터브(110)에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드럼(120)에 수면이 노출되기 직전까지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터브(110)에 연결된 수위센서를 제어하여, 메인제어부는 상기 급수부(140)를 통해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터브(110)에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드럼(120) 내부로 수면이 노출되면, 상기 수위에 해당하는 물까지 상기 카메라(300)가 의류의 부피로 오인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후,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카메라(300)로 의류의 부피를 측정하는 추가부피감지단계(t6)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부피감지단계(t6)는 상기 드럼(120)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재촬영하여 상기 카메라(300)로 의류 부피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추가회전단계(t5)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가회전단계(t5)는 의류의 교반을 유도하여 의류 내부까지 물이 전부 흡수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회전단계(t5)와 상기 추가부피감지단계(t6)는 도24의 제어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제1회전단계(S1)와 상기 제2회전단계(S2), 상기 제3회전단계(S3)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추가회전단계(t5)와 대응될 수 있고, 상기 제1촬영단계(s2), 제2촬영단계(s5), 제3촬영단계(s8) 중 하나 이상을 활용하여 수행되는 확정단계(S9)가 상기 추가부피감지단계(t6)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의 부피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가 어떤 재질로 구성되어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무게의 변화는 급수된 물의 무게일 것이므로, 크게 고려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종류 뿐만 아니라 재질까지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이를 활용하여 맞춤형 세탁코스 또는 옵션을 추전할 수 있고, 상기 의류에 적합한 세탁코스 등을 스스로 선택 또는 조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110 터브
120 드럼
130 구동부
140 급수부
150 배수부
160 서스펜션
300 카메라

Claims (18)

  1. 의류가 투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캐비닛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어 의류를 회전시키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결합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개구부 또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구동부와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의류의 무게 또는 부피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제1회전단계;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촬영단계;
    상기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의류의 부피를 확정하는 확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단계 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제2회전단계;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촬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제1회전단계와 상기 제2회전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단계는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와, 상기 제2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의 평균값 또는 어느 하나를 상기 의류의 부피로 최종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와 상기 제2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의 차이가 허용값 이상이면, 상기 드럼을 다시 회전시켜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제3회전단계와,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3촬영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은 상기 제2회전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방향과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회전단계에서 상기 드럼의 회전수는 상기 제1회전단계 또는 상기 제2회전단계에서의 상기 드럼의 회전수 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단계는 상기 제3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를 상기 의류의 부피로 최종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가 기준값 이하이면, 상기 제2회전단계와 상기 제2촬영단계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드럼배면과,
    상기 드럼배면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값은 상기 영상에서 상기 드럼의 하부면이 영상에 노출되기 시작하는 의류의 부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가 특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회전단계와 상기 제2촬영단계가 생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구동부와 결합되는 드럼배면과,
    상기 드럼배면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어 상기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특정값은 상기 영상에서 상기 드럼배면이 상기 의류에 의해 노출이 차단되는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단계 이전에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초기촬영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초기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와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의 차이가 허용값 이상이면, 상기 제1촬영단계 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제2회전단계와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촬영단계를 더 수행하고,
    상기 초기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와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의 차이가 허용값 이하이면, 상기 초기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와 상기 제1촬영단계의 영상을 통해 연산한 상기 의류의 부피의 평균값 또는 어느 하나를 상기 의류의 부피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정단계는 상기 제1회전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무게를 연산하고, 상기 제1촬영단계에서 상기 의류의 부피를 연산하여 상기 의류의 밀도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을 수용하며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정단계 이후에 상기 터브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단계와,
    상기 드럼 내부를 촬영하여 상기 의류의 영상을 획득하는 추가촬영단계와,
    상기 추가촬영단계를 통해 상기 의류의 부피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의류의 포질을 감지하는 의류파악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촬영단계 이전에 상기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의류를 교반하는 추가회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단계는 상기 터브의 수위가 상승하기 직전까지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133617A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20049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17A KR20220049910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8/249,238 US20230407544A1 (en) 2020-10-15 2021-10-15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880564.6A EP4229233A1 (en) 2020-10-15 2021-10-15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21/014298 WO2022080917A1 (en) 2020-10-15 2021-10-15 Method for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17A KR20220049910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910A true KR20220049910A (ko) 2022-04-22

Family

ID=81209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617A KR20220049910A (ko) 2020-10-15 2020-10-15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407544A1 (ko)
EP (1) EP4229233A1 (ko)
KR (1) KR20220049910A (ko)
WO (1) WO2022080917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325B1 (ko) * 1998-12-29 2005-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JP2001224890A (ja) * 2000-02-16 2001-08-21 Mitsubishi Heavy Ind Ltd 洗濯機および洗濯物量の検出方法
US9243987B2 (en) * 2013-05-01 2016-01-2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fabric type of a laundry load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9416479B2 (en) * 2013-06-03 2016-08-1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determining a load size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170090164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29233A1 (en) 2023-08-23
US20230407544A1 (en) 2023-12-21
WO2022080917A1 (en)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12419B2 (en) Laundry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624701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load surface area detection
US11773523B2 (en) Detecting an impurity and/or a property of at least one part of a textile
US20210246593A1 (en) Method of determining a load size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202304169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20642B1 (ko) 불순물 조성 및 직물 특성을 이용하여 직물의 처리 매개변수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US9416479B2 (en) Methods of determining a load size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KR20190029676A (ko) 구조 정보에 의해 직물의 처리 파라미터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CN110924066A (zh) 基于图像识别技术及光谱技术的衣服材质识别方法及装置
CN111051594B (zh) 用于改善洗涤物处理的手持装置、具有该手持装置的***和用于其运行的方法
CN110735281B (zh) 洗衣机及其衣物洗涤控制方法
CN110735283A (zh) 洗衣机及其衣物洗涤控制方法
KR20200142506A (ko) 사용자 감지 기능을 갖는 세탁 기기
CN111364206A (zh) 一种洗衣机及控制方法
KR20220049910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0804836A (zh) 用于检测洗衣机内衣物的高光谱成像装置与洗衣机
CN114000303A (zh) 洗衣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洗衣机
CN110940641A (zh) 一种基于成像光谱芯片技术的衣服材质的识别***及方法
KR20190024573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5821528A (zh) 洗衣机的洗涤方法及洗涤装置
CN112011972A (zh) 一种衣物处理设备及该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
CN112144224A (zh) 洗衣机的护色洗涤方法及洗衣机
CN112144223A (zh) 滚筒洗衣机的洗涤控制方法及滚筒洗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