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583A -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583A
KR20220049583A KR1020227009320A KR20227009320A KR20220049583A KR 20220049583 A KR20220049583 A KR 20220049583A KR 1020227009320 A KR1020227009320 A KR 1020227009320A KR 20227009320 A KR20227009320 A KR 20227009320A KR 20220049583 A KR20220049583 A KR 2022004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ight
log
unit
not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노루 하시모토
케이사쿠 키쿠치
카즈히로 쿠도
테츠야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4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17/943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using a plurality of optical emitters or detectors, e.g. keybo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9/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using radiation-sensitive means, e.g.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2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multipl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14Optical multi ax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의 원인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수광기(10)는, 출력 OFF 실행 시점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로그(Lo)를 출력한다.

Description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다광축 광전 센서(multi-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등의,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가 알려져 있고,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는, 검출 영역이 차광(遮光)되지 않은 동안은 하이 레벨(high level)의 신호를 출력하고, 검출 영역이 차광되었음을 검출하면 출력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 통지 장치에 대해, 자신의 장치 등에 이상(異常)이 발생한 경우에 이상의 발생을 외부에 통지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 게재한 특허문헌 1에는, 뮤팅(muting) 처리에 관해 발생한 이상을 외부에 통지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34575호 공보」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광축 광전 센서 등의 상태 통지 장치가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을 변경한 경우에는,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파악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만 동작 로그(operation log)를 저장하고,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에는 동작 로그를 저장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출력 변경」이 종래의 상태 통지 장치의 정상 동작으로서 실행된 경우, 사용자는, 그 「출력 변경」의 원인의 검토 등에 있어서, 종래의 상태 통지 장치의 동작 로그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위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 변경」을 실행하는 상태 통지 장치에 대해,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부; 및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부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방법은,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 단계;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 단계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에 대해,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의 수광기(受光器)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광기를 포함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의 외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광축 광전 센서가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투수광(投受光) 처리의 타이밍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수광기가 실행하는 로그 출력 처리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수광기가 출력하는 로그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실시형태(이하, 「본 실시형태」라고도 표기함)를,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의 전형 예로서 설명을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n」을 「2 이상의 정수」로 하고, 또한 「m」을 「n≥m+1」을 만족하는 「1 이상의 정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1)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다광축 광전 센서(1)의 개요를,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로그(Lo)」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 처리를,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예를 설명한다. 즉, 로그 출력 처리를 실행하는 상태 통지 장치를, 수광기(10)에서 실현하는 예를 설명한다.
§1. 적용 예
도 2는 수광기(10)를 포함하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외관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소정의 검출 영역(R)을 통해 대향 배치되는 투광기(20)와 수광기(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광기(20)와 수광기(10) 사이에는 복수의 광축(OA)이 설정되고, 다광축 광전 센서(1)는, 검출 영역(R)에 물체가 침입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이들 광축(OA)의 입차(入遮)광 상태(입광(入光) 상태 또는 차광(遮光) 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다광축 광전 센서(1)는, 검출된 상태(입차광 상태)가 입광 상태인지, 또는 차광 상태인지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는, 출력 신호 개폐기(OSSD; Output Signal Switching Device)로서, 검출된 상태(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다광축 광전 센서(1)는,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을 검출하지 않고, 또한 검출 영역(R)에 물체의 침입이 없음을 나타내는 입광 상태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은,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즉, 출력 ON을 실행한다(PNP 출력).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1)가 PNP 출력을 실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광축 광전 센서(1)가 NPN 출력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출력 OFF시에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반해, 물체가 검출 영역(R)에 침입하였음을 나타내는 차광 상태를 검출하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출력(안전 출력)을 OFF하거나,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출력(안전 출력)을 OFF하거나,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출력 OFF」라고도 칭한다.
또한,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자신의 장치 등에 발생한 결함(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을 검출하면, 출력(안전 출력)을 OFF하거나, 또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결함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다광축 광전 센서(1)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대해, 특히,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한 동작 로그의 출력에 대해, 먼저 설명해 둔다.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는, 자신의 장치에 이상(異常)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하면, 사용자에 의한 이상의 원인 대책을 위해 에러 로그(동작 로그)를 출력하며, 즉,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가 자신의 장치의 동작 로그를 출력하는 계기는, 자신의 장치에 발생한 이상의 검출뿐이었다. 이에 대해, 물체의 침입 등의 외부 입력 등에 기인하는 출력 OFF는, 침입의 검출 및 통지라는 다광축 광전 센서의 정상 동작의 일환이므로,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는, 출력 OFF의 실행 시점에서의 동작 로그를 출력하는 것은 하지 않았다. 즉,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는, 이상을 검출한 경우에만 동작 로그를 출력하며, 입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의 상태의 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안전 출력)을 ON으로부터 OFF로 변경하는 경우, 동작 로그를 출력하는 것은 하지 않았다.
안전 출력의 변경이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의 정상 동작」으로서 실행된 경우에는, 종래의 다광축 광전 센서의 동작 로그는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동작 로그를 이용하여 안전 출력의 변경의 원인을 확인할 수는 없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안전 출력의 변경의 원인을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고, 사용자는, 안전 출력의 변경에의 대책을, 경험 등에 기초한 추정에 따라 실행할 수밖에 없었다. 종래, 동작 로그는, 이상 시 및 경고 시 등, 다광축 광전 센서가 통상 동작(정상 동작)과는 다른 동작을 하였을 때밖에 출력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정상 동작으로서 실행된 출력 OFF의 원인을 동작 로그를 이용하여 파악할 수는 없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광축 광전 센서)
이에 반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자신의 장치에 발생한 이상의 검출」이 아니라,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한 모니터 결과를 나타내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를 실행한 경우이어도, 출력 OFF를 실행한 시점의 모니터 결과를 나타내는 로그(Lo)를 기억부(300)에 저장(격납)하고, 또한 로그(Lo)를 외부로 송신한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면, 출력을 변경한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특히,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출력 OFF의 실행을 트리거(trigger)로 하여,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를, 로그(Lo)로서 기록하고, 혹은 외부로 통지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검출한 상태(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장치 등에 발생한 결함(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을 검출하면,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다.
따라서,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자신의 장치 등에 발생한 결함을 검출하여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또한 입광 상태로부터 차광 상태로의 상태의 변화를 검출하여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로그(Lo)를 출력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이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정상 동작」으로서 실행된 경우이어도, 출력된 로그(Lo)를 이용하여,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외부 입력에 기인하여,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가 실행된 경우이어도, 사용자는, 출력 OFF의 실행 시점의 로그(Lo)를 이용함으로써, 출력 OFF의 원인을 정확하게 특정하고, 최적의 대책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가 출력하는 로그(Lo)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불이익한 현상(예를 들어, 출력 OFF에 따른 생산 정지 등)을 단시간에 해결하고, 생산성의 유지,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출력 OFF의 원인이 불명(不明)하여 트러블 슛(troubleshoot)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또한, 로그(Lo)에 나타난 출력 OFF의 원인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출력 OFF를 막기 위한 효과적인 대책을 입안하여 실행할 수 있다.
§2. 구성 예
(외관 등의 개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는, 복수의 투광 소자(21)가 일렬로 배치된 투광기(20)와, 투광 소자(21)와 동일 개수의 수광 소자(200)가 일렬로 배치된 수광기(10)를 포함한다. 다광축 광전 센서(1)에 있어서, 투광기(20)와 수광기(10)는,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과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이 일대일 관계로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에서, 투광 소자(21(1))와 수광 소자(200(1))는 일대일로 대향되고, 또한 투광 소자(21(2))와 수광 소자(200(2))가 일대일로 대향되며, 나아가 투광 소자(21(3))와 수광 소자(200(3))가 일대일로 대향되어 있다.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과, 대응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 사이에는 광축(OA)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투광 소자(21(1))와 수광 소자(200(1)) 사이에는 광축(OA(1))이, 투광 소자(21(2))와 수광 소자(200(2)) 사이에는 광축(OA(2))이, 투광 소자(21(3))와 수광 소자(200(3)) 사이에는 광축(OA(3))이 형성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투광 소자(21)에 대해,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한다. 예를 들어, 「투광 소자(21(1))」, 「투광 소자(21(2))」, 「투광 소자(21(3))」, …, 「투광 소자(21(n))」라고 기재하여 구별한다.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투광 소자(21)」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하며,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수광 소자(200)」라고 칭한다. 또한, 복수의 광축(OA)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하며, 복수의 광축(OA)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광축(OA)」이라고 칭한다.
(투수(投受)광 처리의 개요)
도 3은 다광축 광전 센서(1)가 주기적으로 실행하는 투수광 처리의 타이밍 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에 있어서, 투광기(20)에 의한 투광 처리와 수광기(10)에 의한 수광 처리는 동기되어 있다.
즉, 투광기(20)는,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을 순차적으로 발광시킴과 아울러, 수광기(10)는,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으로부터,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의 투광 처리에 동기한 타이밍의 수광 신호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투광기(20)는,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에, 순차적으로 각각의 투광 기간(Te)에서 투광 처리를 실행시킨다. 또한, 수광기(10)는,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에, 복수의 투광 소자(21) 각각의 투광 기간(Te)과 동기한 수광 가능 기간(Ts)에서, 수광 처리를 실행시킨다. 다광축 광전 센서(1)는, 투광 소자(21)의 투광 기간(Te)과 수광 소자(200)의 수광 가능 기간(Ts)을 동기시켜, 서로 동기한 「투광 소자(21)에 의한 투광 처리」와 「수광 소자(200)에 의한 수광 처리」를,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실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광기(20)의 투광 소자(21(1)~21(n)) 각각은, 각각의 투광 기간(Te(1)~Te(n))에서 순차적으로 발광하며, 즉, 투광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수광기(10)의 수광 소자(200(1)~200(n)) 각각은, 대응하는 투광 소자(21)의 투광 기간(Te)에 동기한, 각각의 수광 가능 기간(Ts(1)~Ts(n))에서 순차적으로 수광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 기간(Te(1)~Te(n)) 각각과,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은 대응되어 있고, 즉, 동기되어 있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투광 기간(Te)에 대해, 복수의 투광 기간(Te)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한다. 복수의 투광 기간(Te)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투광 기간(Te)」이라고 칭한다. 마찬가지로, 수광 가능 기간(Ts)에 대해, 복수의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호에 「(1)」, 「(2)」, 「(3)」, …, 「(n)」 등의 첨자를 부여하여 구별한다. 복수의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는 단지 「수광 가능 기간(Ts)」이라고 칭한다.
투광기(20)는, 투광 소자(21(1)~21(n))에 순차적으로 투광 처리를 실행시키며, 투광 소자(21(1)~21(n))의 모든 투광 처리가 일순(一巡)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즉, 투광기(20)에 의한 순차 발광 처리의 실행 주기는, 「투광 주기」라고 칭한다. 그리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투광 소자(21(1)~21(n)) 각각의 투광 기간(Te(1)~Te(n))은, 1 투광 주기 내에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수광기(10)는, 수광 소자(200(1)~200(n))에 순차적으로 수광 처리를 실행시키며, 수광 소자(200(1)~200(n))의 모든 수광 처리가 일순하는데 필요로 하는 시간, 즉, 수광기(10)의 순차 수광 처리의 실행 주기는, 「수광 주기(Tc)」라고 칭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수광 소자(200(1)~200(n)) 각각의 수광 가능 기간(Ts(1)~Ts(n))은, 1 수광 주기(Tc) 내에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투광 주기와 수광 주기(Tc)는 동일하다.
(입차광 상태의 검출)
전술한 바와 같이,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은, 투광 기간(Te(1)~Te(n)) 각각에 대응되어 있고, 즉, 투광 기간(Te(1)~Te(n)) 각각에 동기되어 있다. 수광 소자(200(1)~200(n)) 각각은,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에서, 투광 소자(21(1)~21(n)) 각각이 투광 기간(Te(1)~Te(n)) 각각에서 투광하는 광(광신호)을 수광한다. 그리고, 수광 소자(200(1)~200(n)) 각각은,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에서 수광한 광(광신호)에 대응하는 신호(수광 신호)를 출력한다. 즉,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은, 대응하는 투광 소자(21)가 발광한(투광한) 광을 수광하여 수광 신호를 출력한다.
노이즈(전기 노이즈 및 광 노이즈)가 없고, 또한 물체에 의한 차폐가 없는 경우, 수광 소자(200)가 출력하는 수광 신호는, 투광 기간(Te)에서 투광 소자(21)가 투광하는 광(광신호)에 대응한다. 이에 반해, 투광 소자(21)에 의해 투광된 광이 검출 물체에 의해 차단되거나 반사되면, 수광 소자(200)에 도달하는 광량이 변화한다. 수광 소자(200)는, 도달하는 광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전기 신호(수광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한 수광 신호를 제1 판정부(120)로 출력한다.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로부터 취득하는 수광 신호를 이용하여, 수광 소자(200)에 도달하는 광량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광축(OA)의 입차광 상태를 검출하며, 즉, 광축(OA)이 물체에 의해 차단된 차광 상태에 있는지, 또는 입광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한다.
(노이즈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
지금까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해 온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에는, 이상 검출 기간(Td(1)~Td(n))이 설정되어 있다. 이상 검출 기간(Td(1)~Td(n)) 각각은, 「수광 가능 기간(Ts(1)~Ts(n)) 각각에서의, 투광 기간(Te(1)~Te(n)) 각각을 제외한 기간」이다. 수광 소자(200)가 수광 신호의 피크를 검지하여 홀드(hold)하는 경우, 이상 검출 기간(Td)은, 예를 들어, 「수광 가능 기간(Ts)의 개시에서부터, 대응하는 투광 기간(Te)의 개시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이다.
제1 판정부(120)는,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각각을 이용하여, 노이즈(광 노이즈 또는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는지를 판정하고, 나아가 발생한 노이즈가 광 노이즈인지, 또는 전기 노이즈인지를 판정한다. 즉, 제1 판정부(120)는,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여,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면, 나아가 노이즈 원인(외란(外亂) 광인지, 그렇지 않으면 외란 전압인지)을 판정한다. 이하, 제1 판정부(120)가 실행하는, 노이즈의 발생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의 상세(詳細)를 설명한다.
(노이즈 유무의 판정 단계) 제1 판정부(120)는, 예를 들어,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로부터 취득한,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각각에 대해, 소정 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1))의 이상 검출 기간(Td(1))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마찬가지로,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2))의 이상 검출 기간(Td(2)), 수광 소자(200(3))의 이상 검출 기간(Td(3)), …, 수광 소자(200(n))의 이상 검출 기간(Td(n)) 각각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노이즈 원인의 판정 단계)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의 이상 검출 기간(Td(m))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였음을 확인하면, 나아가 이하의 사항을 확인한다. 즉,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1))의 이상 검출 기간(Td(m+1))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는지를 확인한다.
이상 검출 기간(Td(m))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고, 또한 이상 검출 기간(Td(m+1))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였음을 확인하면, 제1 판정부(120)는,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에 반해, 이상 검출 기간(Td(m))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고, 또한 이상 검출 기간(Td(m+1))에서의 수광 신호가 소정 값을 초과하지 않음을 확인하면,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에 외란 광이 침입하였다」고 판정한다.
이하, 제1 판정부(120)에 의한 노이즈 원인의 판정 단계에 대해, 구체 예를 이용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제1 판정부(120)는,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중, 소정 값을 초과하는 수광 신호가 하나뿐이면, 광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중, 수광 소자(200(m))의 이상 검출 기간(Td(m))에서의 수광 신호만이 소정 값을 초과하면,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에 외란 광이 침입하였다고 판정한다.
제1 판정부(120)는,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중, 소정 값을 초과하는 수광 신호가 복수 존재하고, 또한 이들 수광 가능 기간(Ts)이 1 수광 주기(Tc) 내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지 않으면, 광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이에 반해, 제1 판정부(120)는,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중, 소정 값을 초과하는 수광 신호가 복수 존재하고, 또한 이들 수광 가능 기간(Ts)이 1 수광 주기(Tc) 내에서 서로 이웃하고 있으면,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예를 들어,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 중, 이상 검출 기간(Td(p))과 이상 검출 기간(Td(q))에서의 수광 신호가 각각 소정 값을 초과하면, 제1 판정부(120)는 이하의 사항을 확인한다. 여기서, 「p」와 「q」는, 각각이 「1」 이상 「n」 이하의 자연수이며, 「p<q」라고 한다.
즉, 「q=p+1」이면, 제1 판정부(120)는,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한다. 「q」가 「p+1」과 동일하지 않으면, 제1 판정부(120)는, 이상 검출 기간(Td(p))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200(p))와, 이상 검출 기간(Td(q))에 대응하는 수광 소자(200(q))에 외란 광이 침입하였다고 판정한다.
단, 제1 판정부(120)에 의한 「광 노이즈의 발생 유무의 판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광축 광전 센서에 대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광 노이즈의 발생 유무의 판정」 방법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판정부(120)는, 투광 소자(21)에 투광을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으로부터의 수광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에 대한, 외란 광의 수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즉,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을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입차광 상태, 노이즈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에 관한 주기(注記)
수광기(10)(특히, 제어부(100))에 의한, 「입차광 상태의 검출」, 「노이즈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어떤 광축(OA(n))(즉, 수광 소자(200(n)))에 대해 출력 OFF가 실행되었음」을 검출하면, 「출력 OFF 시점(또는, 출력 OFF의 직전 시점)에서, 이상한 감시 결과가 계측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즉, 제어부(100)는, 「감시부(500)의 계측값(감시 결과)이, 출력 OFF 시점(또는, 출력 OFF의 직전 시점)에서,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았는지(=이상이 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다광축 광전 센서(1)와 외부 장치의 통신 이상을 나타내는 전기 노이즈」, 「다광축 광전 센서(1)에 공급되는 전력」, 「광 노이즈량」 등이, 출력 OFF 시점에서 이상이 되지는 않았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출력 OFF 시점에서의, 이들 감시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그 이상이 「광축(OA(n))의 출력 OFF」의 원인이라고 추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들 감시 결과가 모두 출력 OFF 시점에서 이상이 되어 있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차광(물체의 침입)」이 「광축(OA(n))의 출력 OFF」의 원인이라고 추정해도 된다.
즉, 제어부(100)는, 출력 OFF가 발생한 후에, 출력 OFF 시의 감시 결과(=감시부(500)에 의한, 여러 가지의 물리량의 계측값)와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출력 OFF의 원인을 추정해도 된다.
(다광축 광전 센서의 구성 개요)
지금까지 개요를 설명해 온 다광축 광전 센서(1)에 대해, 다음에 그 상세를 설명해 간다. 다광축 광전 센서(1)에 대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광축 광전 센서(1)의 개요를 정리해 두면 이하와 같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 특히 수광기(10)는, 인체(人體)를 포함한 물체의 검지의 유무(구체적으로는, 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구체적으로는, 안전 출력)을 2개의 값(예를 들어, ON과 OFF)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이다. 수광기(10)는 감시부(500)와 로그 출력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감시부(50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한다. 또한, 로그 출력부(160)는, 수광기(10)(즉,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감시부(500)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는,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며, 예를 들어, 인체의 검출이 있으면, 출력을 ON으로부터 OFF로 변경한다. 당연히, ON 딜레이(delay) 및 OFF 딜레이 등도, 수광기(10)의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한다」에 포함되며, 수광기(10)는,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물체(인체를 포함함) 검지의 유무를 외부에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수광기(1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고 있다. 그리고, 수광기(10)는,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에서의 에러(error) 등의 이상 발생을 트리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광기(10)의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즉, 수광기(10)는, 이상 발생시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처리로서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경우이어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광기(10)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외부 입력 등을 기인(起因)으로 하여, 즉, 검출된 상태에 따라,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 등의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저장한다. 즉, 수광기(10)는,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사용자가 그 출력 변경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Lo)는, 예를 들어,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로그(Lo)는,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및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수광기(10)는, 수광기(10)(즉,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광기(10)에 의해 검출되는 물체는, 광전 센서 등의 비접촉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는, 비접촉 센서에 의한 물체의 검출 유무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출력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출력 변경 시점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따라서, 수광기(10)는, 광전 센서 등의 비접촉 센서에 의한 물체의 검출 유무에 따른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수광기(10)에 의해 검출되는 물체는, 다광축 광전 센서(1)에 의해 검출된다. 그리고, 로그 출력부(160)는, 수광기(10)(즉, 다광축 광전 센서(1))가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에 의해 검출된 상태(입차광 상태)를 식별 가능한 로그(Lo)를 출력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에 의해 검출된 상태(입차광 상태)를 식별 가능한 로그(Lo)를 출력한다.
따라서, 수광기(1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복수의 수광 소자(200) 중 어느 수광 소자(200)가 검출한 상태(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광기(10)는, 로그 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된 로그(Lo)를 저장해 두는 기억부(3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광기(1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기억부(300)에 저장해 둘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광기(10)는, 로그 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된 로그(Lo)를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6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수광기(1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광기(10)의 감시부(50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한다. 그리고, 수광기(1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따라서, 수광기(1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수광기(10)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로그 출력부(160)에 의한 로그(Lo)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접수부(700)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로그 출력부(160)에 의한 로그(Lo)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수광기(10)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로그(Lo)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로그(Lo)의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수광기(10)는, 예를 들어 로그(Lo)를 저장하는 기억부(300)의 기억용량이,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로그(Lo)에 의해 소비되어, 기억부(300)의 수명이 쓸데없이 감소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에 대해, 지금까지 개요를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등을 참조하여,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수광기(10)의 상세를 설명해 간다.
(다광축 광전 센서의 상세)
도 1은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수광기(10)의 주요부 구성을 보여주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 본 실시형태에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예를 들어, 복수의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을 복수의 투광 기간(Te) 각각에 동기시켜,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1 수광 주기(Tc) 중에 순차적으로 배치하는 구성 등)에 대해서는, 이하의 설명 및 상기 블록도에서 생략되어 있다. 다만, 실시의 실정에 따라, 수광기(10)는, 해당 생략된 구성을 포함해도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기(10)는, 수광기(10)의 각 부를 통괄(統括)하여 제어하는 제어부(100), 투광 소자(21)가 발광한 광을 수광하여 수광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200), 수광기(10)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예시된 수광기(10)는, 나아가 출력부(400), 감시부(500), 송신부(600), 및 접수부(7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기억부(300), 출력부(400), 감시부(500), 송신부(600), 접수부(700), 제어부(100)의 순으로 그 상세를 설명한다.
(기억부의 상세)
기억부(300)는, 수광기(10)가 사용하는 각종 데이터(예를 들어, 외부의 설정 장치(툴(tool))에 의해 설정 및 조정된,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것이다. 기억부(300)는, 수광기(10)의 제어부(100)가 실행하는 (1) 제어 프로그램, (2) OS 프로그램, (3) 각종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4)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독출하는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이다. 또한, 기억부(300)에는 로그 관리 테이블(310)이 저장되어 있고, 상세는 후술한다. 상기의 (1)~(4)의 데이터는,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등록상표)(Electrically EPROM), HDD(Hard Disc Drive) 등의 비휘발성 기억 장치에 기억된다.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파라미터와, 로그 관리 테이블(310)은, 다른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 있어도 된다. 다만, 이하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각종 파라미터와. 로그 관리 테이블(310)이, 모두 기억부(300)에 저장되어 있는 예를 설명한다.
수광기(10)는, 도시되지 않은 일시 기억부를 구비해도 된다. 일시 기억부는, 수광기(10)가 실행하는 각종 처리의 과정에서, 연산에 사용하는 데이터 및 연산 결과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이른바 워킹 메모리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기억 장치로 구성된다. 어느 데이터를 어느 기억 장치에 기억할지에 대해서는, 수광기(10)의 사용 목적, 편리성, 비용, 또는 물리적인 제약 등으로부터 적절히 결정된다. 기억부(300)는 로그 관리 테이블(310)을 더 저장하고 있다.
로그 관리 테이블(310)에는, 저장부(170)에 의해, 로그 출력부(160)가 출력한 로그(Lo)가 저장된다. 로그(Lo)에는, 출력부(400)가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로그(Lo)에 포함되는 정보에 대해, 상세는 후술한다.
(기억부 이외의 기능 블록의 상세)
출력부(400)는, 출력 제어부(140)에 의한 제어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실행하며, 구체적으로는, 검출 영역(R)의 입차광 상태를, 즉, 검출 영역(R)의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부(400)는, 제어부(100)(구체적으로는, 제2 판정부(130))에 의해 「검출 영역(R)은 입광 상태에 있다(물체의 침입이 없고, 차폐가 발생하지 않음)」고 판정되면, 입광 상태를 나타내는 하이 레벨의 신호의 출력(출력 ON)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100)에 의해,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검출되지 않고, 또한 검출 영역(R)에 물체의 침입이 없음을 나타내는 입광 상태가 검출되어 있는 동안은, 출력부(400)는 출력 ON을 실행한다.
또한, 출력부(400)는, 제어부(100)(구체적으로는, 제2 판정부(130))에 의해 「검출 영역(R)은 차광 상태에 있다(침입 물체에 의한 차폐가 발생함)」고 판정되면, 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로우 레벨의 신호의 출력(출력 OFF)을 실행한다. 출력부(400)는, 출력 OFF의 실행으로서, 출력(안전 출력)을 정지(OFF)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00)에 의해,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검출되면, 출력부(400)는 출력 OFF를 실행한다.
감시부(50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감시하며(모니터하며), 감시 결과를 감시 결과 취득부(150)에 통지한다. 즉, 감시부(500)는, 예를 들어 여러 가지의 상태 센서로서,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다광축 광전 센서(1)에 공급되는 전력의 이상, 다광축 광전 센서(1)와 외부 장치의 통신 이상을 나타내는 전기 노이즈, 투광기(20)의 상태(동작 상태 등) 등을 계측한다. 감시부(500)는 감시 결과인 여러 가지의 계측값을 감시 결과 취득부(150)에 통지한다.
송신부(600)는, 로그 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된 로그(Lo)를 외부에 송신하며, 예를 들어, 로그(Lo)를 외부의 표시 장치(예를 들어, 모니터 디바이스)에 송신하며, 외부의 표시 장치에, 로그 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된 로그(Lo)를 표시시킨다.
접수부(700)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며, 특히, 로그 출력 처리의 실행 필요 여부를 나타내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며, 접수한 사용자 조작의 내용을 제어부(10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접수부(700)는, 로그 출력 처리의 실행을 불필요로 한다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면, 로그 출력부(160)에 의한 로그(Lo)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접수부(700)는, 로그 출력부(160)에 의한 로그(Lo)의 출력을 정지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불필요한 로그(Lo)가 로그 관리 테이블(310)에 저장되는」 것을 막아, 기억부(300)(기록 매체)의 수명이 쓸데없이 감소하는 사태를 회피한다.
제어부(100)는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처리를 통괄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도시된 제어부(100)에는, 기능 블록으로서,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 제1 판정부(120), 제2 판정부(130), 출력 제어부(140), 감시 결과 취득부(150), 로그 출력부(160), 및 저장부(170)가 포함되어 있다. 위에 언급한 제어부(100)의 각 기능 블록은,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이, ROM(Read Only Memory), NV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실현된 기억 장치(기억부(30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도시되지 않은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상세를 설명한다.
(제어부의 상세)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는,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으로부터, 1 수광 주기(Tc) 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수광 가능 기간(Ts)에서의 출력을 취득한다.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는, 예를 들어, 수광 소자(200(1))의 수광 가능 기간(Ts(1))에서의 출력, 수광 소자(200(2))의 수광 가능 기간(Ts(2))에서의 출력, 수광 소자(200(3))의 수광 가능 기간(Ts(3))에서의 출력을 취득한다. 마찬가지로,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는, 예를 들어, 수광 소자(200(n))의 수광 가능 기간(Ts(n))에서의 출력을 취득한다.
그리고,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는, 모든 수광 소자(200)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수광 가능 기간(Ts)에서의 출력」을, 즉,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에서의 출력을, 제1 판정부(120)에 통지한다.
제1 판정부(120)는, 1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에서의 수광 신호를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수광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검출하며, 즉, 입광 상태인지 차광 상태인지를 판정한다.
또한,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주기(Tc) 내에서의 모든 수광 가능 기간(Ts) 각각에서의 수광 신호를 이용하여, 노이즈(광 노이즈 또는 전기 노이즈) 발생의 유무를 검출(판정)하며, 노이즈 원인(외란 광 또는 외란 전압, 외란 전류)을 판정(특정)해도 된다.
제1 판정부(120)에 의한 입차광 상태의 검출, 노이즈의 검출,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에 대해, 상세는 이미 「(입차광 상태의 검출)」 및 「(노이즈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 설명하지는 않는다.
제1 판정부(120)는, 검출 결과(판정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정부(120)는, 「복수의 광축(OA)(즉,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의 입차광 상태」와,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광 노이즈의 발생 유무」와, 「전기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의 수광 가능 기간(Ts(m))(특히, 투광 기간(Te(m))에 겹치는 수광 가능 기간(Ts(m)))에서의 수광 신호로부터, 광축(OA(m))의 입차광 상태를 검출한다. 제1 판정부(120)는, 광축(OA(m))이 차광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면, 광축(OA(m))(바꾸어 말하면, 수광 소자(200(m)))이 차광 상태에 있다는 판정 결과(검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제1 판정부(120)는, 광축(OA(m))(즉, 수광 소자(200(m)))의 입차광 상태를, 다른 광축(OA)(즉, 다른 수광 소자(200))의 입차광 상태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광축(OA(m))의 입차광 상태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판정부(120)는, 수광 소자(200(m))의 이상 검출 기간(Td(m))에서의 수광 신호로부터, 광축(OA(m))에 외란 광이 침입하였다고 판정하면, 수광 소자(200(m))에 광 노이즈가 발생하였다는 판정 결과(검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제1 판정부(120)는, 광축(OA(m))(즉, 수광 소자(200(m)))의 광 노이즈에 관한 검출 결과(판정 결과)를, 다른 광축(OA)의 광 노이즈에 관한 검출 결과로부터 구별할 수 있도록, 광축(OA(m))의 광 노이즈에 관한 검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제1 판정부(120)는,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의 이상 검출 기간(Td)에서의 수광 신호로부터,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다고 판정하면, 전기 노이즈가 발생하였다는 판정 결과(검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제2 판정부(130)는, 제1 판정부(12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및 감시 결과 취득부(15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 및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2 판정부(130)는, 판정 결과를 출력 제어부(140)에 통지한다. 제2 판정부(130)가 제1 판정부(120) 및 감시 결과 취득부(150)로부터 취득하는 정보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각종 상태 정보」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제2 판정부(130)는, 「복수의 광축(OA)은 모두 입광 상태에 있다(즉, 차광되지 않음)」, 또한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그러한 판정 결과를 출력 제어부(140)에 통지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판정 결과를 취득한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부(400)에 출력 ON을 실행시킨다.
또한, 제2 판정부(130)는, 「어느 하나의 광축(OA)에서 『차광 상태』가 검출되었다」 또는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검출되었다」고 판정하면, 그러한 판정 결과를 출력 제어부(140)에 통지한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이 판정 결과를 취득한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부(400)에 출력 OFF를 실행시킨다.
제2 판정부(130)에 의한 판정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제2 판정부(130)는, 제1 판정부(120)로부터, 「복수의 광축(OA)(즉, 복수의 수광 소자(200))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광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와, 「전기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한다. 제2 판정부(130)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 및 광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며, 또한 전기 노이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제2 판정부(130)는, 감시 결과 취득부(150)로부터, 감시부(500)에 의한 감시 결과를, 즉, 감시부(500)에 의해 계측된 여러 가지의 계측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여러 가지의 계측 결과 각각을, 각각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제2 판정부(130)는, 여러 가지의 계측 결과와 임계값의 비교에 의해,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2 판정부(130)는, 감시부(500)에 의해 계측된 계측 결과가, 그 계측 결과에 대해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을 확인하면,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있었다」고 판정한다.
나아가, 제2 판정부(130)는, 외부로부터 「외부에서 발생한, 그 밖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면,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제2 판정부(130)는, 외부로부터 「외부에서 발생한, 그 밖의 이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면,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있었다」고 판정한다.
제2 판정부(130)는, 위에서 언급한 판정의 결과를 출력 제어부(140)에 통지하고, 출력 제어부(140)에, 판정의 결과에 따른 출력(안전 출력)의 제어를 실행시킨다.
또한, 제2 판정부(130)는, 제1 판정부(120), 감시 결과 취득부(150), 및 외부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로그 출력부(160)로 전송한다. 즉, 제2 판정부(130)는, 제1 판정부(120), 감시 결과 취득부(150), 및 외부로부터 취득한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각종 상태 정보』」를 로그 출력부(160)에 통지한다.
출력 제어부(140)는, 제2 판정부로부터 통지받은 판정 결과를 이용하여, 출력부(400)에 의한 출력(안전 출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제어부(140)는, 제2 판정부로부터 「『차광 상태』의 검출이 없고, 또한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의 검출이 없다」는 판정 결과를 통지받으면, 출력부(400)에 출력 ON을 실행시킨다. 출력 제어부(140)는, 제2 판정부로부터 「『차광 상태』가 검출되고, 또는 『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결함 발생』이 검출되었다」는 판정 결과를 통지받으면, 출력부(400)에 출력 OFF를 실행시킨다.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부(400)에 실행시키는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면, 출력부(400)에 실행시키는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시점을, 즉, 출력 변경 시점을 로그 출력부(160)에 통지한다. 바꾸어 말하면,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부(400)에 의한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면, 예를 들어 「출력 ON을 실행시켰던 출력부(400)에, 출력 OFF를 실행시키면」, 출력부(400)에 의한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시각을 로그 출력부(160)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출력 ON을 실행시켰던 출력부(400)에, 출력 OFF를 실행시키는」 것을 지시한 시각, 즉,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각을 로그 출력부(160)에 통지한다. 출력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출력 OFF를 실행시켰던 출력부(400)에, 출력 ON을 실행시키는」 것을 지시한 시각, 즉, 출력 ON의 실행 개시 시각을 로그 출력부(160)에 통지해도 된다.
감시 결과 취득부(150)는, 감시부(500)로부터 감시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감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한다. 예를 들어, 감시 결과 취득부(150)는, 감시부(500)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반복하여 감시 결과를 취득하고, 취득한 감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해도 되며, 감시부(500)로부터 상시(常時) 감시 결과를 계속 취득하고, 취득한 감시 결과를 제2 판정부(130)에 통지해도 된다.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제어부(140)로부터,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 시각(즉, 출력 변경의 타이밍. 「출력 변경 시점」)」을 취득한다. 또한, 로그 출력부(160)는, 제2 판정부(130)로부터,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각종 상태 정보」를 취득한다.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각종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저장부(170) 및 송신부(600) 중 적어도 한쪽에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제어부(140)로부터 「출력 변경 시점(예를 들어,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점)」을 통지받으면, 제2 판정부(130)로부터 취득한 「각종 상태 정보」로부터,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로그 출력부(160)는, 추출한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를 로그(Lo)로서 출력하며, 예를 들어,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를 로그(Lo)로서 저장부(170) 및 송신부(600) 중 적어도 한쪽에 출력한다.
저장부(170)는, 로그 출력부(160)에 의해 출력된 로그(Lo)를 로그 관리 테이블(310)에 저장하며, 예를 들어, 「출력 변경 시점(일 예로서,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점)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를 로그(Lo)로서 로그 관리 테이블(310)에 저장한다.
(입차광 상태, 노이즈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원인의 판정에 관한 주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판정부(120) 및 제2 판정부(130)에 의한 위에서 언급한 처리는, 어디까지나 일 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판정부(130)는, 「어떤 광축(OA(n))(즉, 수광 소자(200(n)))에 대해, 출력 OFF를 실행시킨」 출력 제어부(140)로부터, 출력 변경 시점을 취득한 경우에, 출력 OFF의 원인을 추정해도 된다.
즉, 제2 판정부(130)는, 출력 제어부(140)로부터 출력 변경 시점을 취득하면, 「감시부(500)의 감시 결과가, 출력 OFF 시점(또는, 출력 OFF의 직전 시점)에서,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았는지(=이상이 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판정부(13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물리적인 진동」, 「다광축 광전 센서(1)와 외부 장치의 통신 이상을 나타내는 전기 노이즈」, 「다광축 광전 센서(1)에 공급되는 전력」, 「광 노이즈량」 등이, 출력 OFF 시점에서 이상이 되지 않았는지를 판정해도 된다.
그리고, 제2 판정부(130)는, 출력 OFF 시점에서의, 이들 감시 결과 중 적어도 하나가 이상이 되어 있음을 확인하면, 그 이상이 「광축(OA(n))의 출력 OFF」의 원인이라고 추정해도 된다. 또한, 제2 판정부(130)는, 「이들 감시 결과가 모두 출력 OFF 시점에서 이상이 되지 않았음」을 확인하면, 「차광(물체의 침입)」이 「광축(OA(n))의 출력 OFF」의 원인이라고 추정해도 된다. 제2 판정부(130)는, 이들 추정 결과를 저장부(170)에 통지하고, 저장부(170)에, 이들 추정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로그 관리 테이블(310)에 저장시켜도 된다.
§3. 동작 예
(로그 출력의 타이밍)
도 4는 수광기(10)가 실행하는 로그 출력 처리의 개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의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OFF가 실행될 때마다 로그(Lo)를 출력하고, 즉, 출력 OFF의 실행 시마다 로그 출력 처리를 실행하고 있다.
여기서, 다광축 광전 센서(1)는, 검출된 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고, 구체적으로는, 입광 상태가 검출되면 출력 ON을 실행하고, 차광 상태가 검출되면 출력 OFF를 실행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안전 출력)이 ON으로부터 OFF로 변경된 시점에서, 즉, 출력 변경 시점에서, 로그(Lo)의 출력으로서 로그(Lo)의 저장을 실행하고 있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점에서 로그(Lo)의 출력을 개시하고, 출력 OFF의 실행 계속 동안은 로그 출력 처리를 계속하고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출력 OFF의 실행 계속 동안에 로그 출력부(160)가 출력하는 로그(Lo)는,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더하여, 이하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즉, 로그(Lo)는, 「출력 변경 시점(예를 들어,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점)의 상태 정보」에 더하여, 「출력 OFF의 실행 계속 중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로그(Lo)는, 「어떤 광축(OA)이 일단 차광되어 출력 OFF가 실행된 시점」에서부터 「다음으로 출력 ON이 실행된 시점」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차광된 광축(OA)을 모두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출력 OFF의 실행 계속 동안에 차광된 광축(OA)이 변화하는 경우, 로그(Lo)는, 어느 광축(OA)이 언제 차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나아가, 로그(Lo)는, 출력 OFF가 실행된 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된 복수의 광축(OA)의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검출된 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예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출력 제어부(14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에 발생한 결함(노이즈 침입 및 고장 등)의 검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다광축 광전 센서(1)에 결함이 발생한」 것이 검출되면, 출력 제어부(140)는, 출력부(400)에 출력 OFF를 실행시킨다.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OFF의 실행 개시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지금까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해 온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이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즉,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물체 검지의 유무(입차광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수광기(10)(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감시 단계와 로그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감시 단계에서 감시부(500)는,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한다. 또한, 로그 출력 단계에서 로그 출력부(160)는, 수광기(10)(즉, 다광축 광전 센서(1))의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감시부(500)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즉, 감시 단계에서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각종 상태 정보」를 취득해 두고, 취득해 둔 「각종 상태 정보」로부터 추출한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각종 상태 정보」를, 로그 출력 단계에서 로그(Lo)로서 출력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인체의 검출이 있으면, 출력을 ON으로부터 OFF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당연히, ON 딜레이 및 OFF 딜레이 등도,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한다」에 포함되며,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물체(인체를 포함함)의 검지의 유무를 외부에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해 둔다. 그리고,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에서의 에러 등의 이상 발생을 트리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수광기(10)(즉, 다광축 광전 센서(1))에 의한 출력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즉,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이상 발생시뿐만 아니라, 수광기(10)가 통상적인 처리로서 출력을 변경한 경우이어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외부 입력 등의 상태에 따라 수광기(10)가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 등의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출력 변경 시점에서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를 저장한다. 즉,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수광기(10)가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사용자가 그 출력 변경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Lo)는, 예를 들어,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로그(Lo)는,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및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수광기(10)가 실행하는 제어 방법은, 수광기(10)의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로그(Lo)의 내용)
도 5는 수광기(10)가 출력하는 로그(Lo)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의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OFF를 실행할 때마다, 「영역 정보」와, 「OFF 개시 시각」과, 「OFF 계속 시간」과, 「OFF 원인」을 포함하는 로그(Lo)를 출력한다.
(1) 「영역 정보」는, 복수의 광축(OA) 각각에 대해, 출력 OFF를 실행한 시점에서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며, 즉, 출력 OFF를 실행한 시점에서 복수의 광축(OA) 각각이 입광 상태 또는 차광 상태 중 어느 쪽이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로그(Lo)의 「영역 정보」에 의해, 사용자는, 출력 OFF의 원인이 침입 검출이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출력 OFF의 원인이 침입 검출인 경우에는, 어느 광축(OA)에서 침입이 검출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Lo)에서의 「영역 정보」는, 복수의 광축(OA) 중, 처음에 차광된 광축(OA)만을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또한, 「영역 정보」는, 「어떤 광축(OA)이 일단 차광되어 출력 OFF가 실행된 시점」에서부터 「다음으로 출력 ON이 실행된 시점」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에 차광된 광축(OA)을 모두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영역 정보」는, 차광된 광축(OA)이 변화할 때마다, 어느 광축(OA)이 언제 차광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나아가, 「영역 정보」는, 출력 OFF가 실행된 후에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모니터된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영역 정보」는, 출력 OFF가 실행된 시점, 1초 후의 시점, 2초 후의 시점, 3초 후의 시점, …, 「n」초 후의 시점에서의, 복수의 광축(OA) 각각의 입차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이어도 된다. 로그(Lo)에서의 「영역 정보」로서,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의 제어부(100))에 어떠한 정보를 출력시킬지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2) 「OFF 개시 시각」은, 출력 OFF를 실행한 시점(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로그(Lo)의 「OFF 개시 시각」에 의해, 사용자는, 출력 OFF가 언제 실행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침입이 검출된 것이 언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3) 「OFF 계속 시간」은, 출력 OFF의 실행이 계속된 시간(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로그(Lo)의 「OFF 계속 시간」에 의해, 사용자는, 출력 OFF의 실행이 계속된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4) 「OFF 원인」은, 출력 OFF를 실행한 시점에서의, 다광축 광전 센서(1)의 동작 상황 및 다광축 광전 센서(1)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구체적으로는, 「OFF 원인」은, 각종 센서를 포함한 감시부(500) 등에 의해 검출된, 「다광축 광전 센서(1) 및 그 주위의 물리적 진동」, 「다광축 광전 센서(1)가 받은 전기 노이즈」, 「다광축 광전 센서(1)가 받은 광 노이즈」 등의 모니터 결과이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로그 출력부(160)가 출력하는 로그(Lo)는,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에 의한 출력 변경의 원인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도 5에 예시된 로그(Lo)에 대해, 그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즉, 도 5에 예시된 로그(Lo)에는, 시각(t1)에서 출력 변경이 발생하고, 그 출력 변경의 원인(「OFF 원인」)이 전기 노이즈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OFF의 실행이 시각(t1)에서 개시되고, 출력 OFF가 기간(dt1)에 걸쳐 계속된 것, 및 시각(t1)에서 전기 노이즈가 검출된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과 같은 물리적 진동, 광 노이즈의 발생은, 시각(t1)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것이 나타나 있다.
나아가, 「영역 정보」에 있어서, 시각(t1)에서, 1 광축 번째, 즉, 광축(OA(1))(=수광 소자(200(1)))만이 차광 상태(=비-입광 상태)가 되고, 다른 광축(다른 수광 소자(200))은 입광 상태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단, 「영역 정보」에서는 시각(t1)에서 광축(OA(1))의 차광 상태가 나타나 있지만, 「OFF 원인」에서 「통상(通常) 차광」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각(t1)에서, 입광 상태에서의 수광 신호와 다른 수광 신호가 수광 소자(200(1))에 대해 검출된(즉, 「영역 정보」에 있어서, 시각(t1)의 광축(OA(1))이 차광 상태가 되어 있는) 원인은, 「전기 노이즈」에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예시된 로그(Lo)가 나타내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t1)에서의 출력 OFF의 원인이 전기 노이즈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예시된 로그(Lo)에는, 시각(t2)에서 출력 변경이 발생하고, 그 출력 변경의 원인(「OFF 원인」)이 「통상 차광」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OFF의 실행이 시각(t2)에서 개시되고, 출력 OFF가 기간(dt2)에 걸쳐 계속된 것, 및 시각(t2)에서 통상 차광이 검출된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과 같은 물리적 진동, 전기 노이즈, 광 노이즈의 발생은, 시각(t2)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것이 나타나 있다.
나아가, 「영역 정보」에 있어서, 시각(t2)에서부터 기간(dt2)에 걸쳐, 3 광축 번째 내지 6 광축 번째, 즉, 광축(OA(3)) 내지 광축(OA(6))(=수광 소자(200(3)) 내지 수광 소자(200(6)))이 차광 상태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영역 정보」에서는, 시각(t2)에서부터 기간(dt2)에 걸쳐, 광축(OA(3)) 내지 광축(OA(6))의 차광 상태가 나타나 있고, 「OFF 원인」에서도 「통상 차광」의 발생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예시된 로그(Lo)가 나타내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t2)에서의 출력 OFF의 원인이 통상 차광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나아가, 도 5에 예시된 로그(Lo)에는, 시각(t3)에서 출력 변경이 발생하고, 그 출력 변경의 원인(「OFF 원인」)이 물리적 진동 및 광 노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OFF의 실행이 시각(t3)에서 개시되고, 출력 OFF가 기간(dt3)에 걸쳐 계속된 것, 및 시각(t3)에서 물리적 진동 및 광 노이즈가 검출된 것이 나타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과 같은 전기 노이즈의 발생은 시각(t3)에서는 검출되지 않은 것이 나타나 있다.
나아가, 「영역 정보」에 있어서, 시각(t3)에서부터 기간(dt3)에 걸쳐, 1 광축 번째 내지 3 광축 번째, 즉, 광축(OA(1)) 내지 광축(OA(3))(=수광 소자(200(1)) 내지 수광 소자(200(3)))이 차광 상태(=비-입광 상태)에 있었던 것이 나타나 있다. 단, 「영역 정보」에서는, 시각(t3)에서부터 기간(dt3)에 걸쳐, 광축(OA(1)) 내지 광축(OA(3))의 차광 상태가 나타나 있지만, 「OFF 원인」에서 「통상 차광」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각(t3)에서부터 기간(dt3)에 걸쳐, 입광 상태에서의 수광 신호와 다른 수광 신호가 수광 소자(200(1)) 내지 수광 소자(200(3))에 대해 검출된 원인은, 「광 노이즈」에 있다고 생각된다. 즉, 「영역 정보」에서 나타난, 시각(t3)에서부터 기간(dt3)에서의, 광축(OA(1)) 내지 광축(OA(3))의 「입광 상태에서의 수광 신호와는 다른 수광 신호」의 원인은, 「광 노이즈」에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 5에 예시된 로그(Lo)가 나타내는 이들 정보를 이용하여, 시각(t3)에서의 출력 OFF의 원인이 물리적 진동 및 광 노이즈 중 적어도 한쪽에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4. 변형 예
(출력 ON의 실행을 트리거로 하는 로그 출력에 대해)
지금까지,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가, 출력 OFF의 실행을 트리거로 하여, 로그(Lo)를 출력하는 예를 설명해 왔다. 그러나, 다광축 광전 센서(1)(구체적으로는, 로그 출력부(160))는, 출력 ON의 실행을 트리거로 하여, 로그(Lo)를 출력해도 된다. 즉, 다광축 광전 센서(1)는, 출력(안전 출력)의 변경을, 로그(Lo)의 출력의 트리거로 하면 된다.
(검출되는 대상, 및 변경하는 출력에 대해)
지금까지, 다광축 광전 센서(1)(특히, 수광기(10))가 상태를 검출하며, 특히 검출 영역(R)의 입차광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안전 출력)을 변경하는 예를 설명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가 검출하는 대상이, 입차광 상태인 것은 필수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인체를 포함한 물체의 검출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할 수 있으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비접촉 방식으로 물체를 검출하는 센서 등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변경해도 되며, 예를 들어, 비접촉 안전 센서(비접촉 안전 스위치)에 의해 검출된 물체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변경해도 된다. 비접촉 안전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및 센서 본체로 구성되는 세이프티(safety)용 스위치(센서)이며, 액추에이터가 센서에 대해 일정한 거리 이하가 되면 센서의 출력이 ON이 되고, 즉, 출력 ON을 실행한다. 또한, 비접촉 안전 스위치는, 액추에이터가 센서에 대해 일정한 거리 이상이 되면 센서의 출력이 OFF가 되고, 즉, 출력 OFF를 실행한다. 비접촉 안전 스위치는, 액추에이터 측에 자석, 본체 측에 리드 스위치를 하나 이상 내장(內藏)하는 리드 스위치 타입과, 액추에이터 측에 RFID(IC 태그), 본체 측에 RFID 리더를 탑재하는 RFID 타입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마찬가지로, 검출된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가 변경하는 출력은, 「안전 출력」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에 있어서, 검출된 상태에 따라 출력을 ON 또는 OFF로 변경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소프트웨어에 의한 실현 예〕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의 제어 블록은, 집적 회로(IC 칩) 등에 형성된 논리 회로(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즉, 수광 소자 출력 취득부(110), 제1 판정부(120), 제2 판정부(130), 출력 제어부(140), 감시 결과 취득부(150), 로그 출력부(160), 및 저장부(170)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제어부(100)를 구비하는 컴퓨터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인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해도 된다. 이 컴퓨터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고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프로그램을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된다. 상기 프로세서로서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로서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의 매체」,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등 외에 테이프, 디스크, 카드, 반도체 메모리, 프로그래머블한 논리 회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전송 가능한 임의의 전송 매체(통신 네트워크나 방송파 등)를 통해 상기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프로그램이 전자적인 전송에 의해 구현화된, 반송파에 내장된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부기(附記) 사항)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부; 및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부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며, 예를 들어, 인체의 검출이 있으면, 출력을 ON으로부터 OFF로 변경한다. 당연히, ON 딜레이 및 OFF 딜레이 등도,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한다」에 포함되며,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물체(인체를 포함함) 검지의 유무를 외부에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해 두고, 에러 등의 이상 발생을 트리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이상 발생시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처리로서 출력을 변경한 경우이어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한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외부 입력 등을 기인으로 하여, 즉, 검출된 상태에 따라,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 등의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저장한다. 즉,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사용자가 그 출력 변경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그는, 예를 들어,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그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및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비접촉 센서에 의해 검출되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비접촉 센서에 의한 물체의 검출 유무에 따라 출력을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비접촉 센서에 의한 물체의 검출 유무에 따른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해 검출되며, 상기 로그 출력부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 각각에 의해 검출된 상태를 식별 가능한, 상기 로그를 출력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 각각에 의해 검출된 상태를 식별 가능한,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 중 어느 수광 소자가 검출한 상태에 따라 출력을 변경하였는지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저장해 두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저장해 두는 기억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상기 기억부에 저장해 둘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외부에 송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자신의 장치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자신의 장치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자신의 장치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상태 통지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한 상기 로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접수부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한 상기 로그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로그의 출력을 정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로그의 출력을 정지함으로써,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로그를 저장하는 기억 영역의 기억 용량이, 사용자가 불필요하다고 판단한 상기 로그에 의해 소비되어, 상기 기억 영역의 수명이 쓸데없이 감소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제어 방법은,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 단계;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 단계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 방법은, 물체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인체의 검출이 있으면, 출력을 ON으로부터 OFF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이다. 당연히, ON 딜레이 및 OFF 딜레이 등도,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한다」에 포함되며, 상기 상태 통지 장치는,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함으로써, 물체(인체를 포함함) 검지의 유무를 외부에 통지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해 둔다. 그리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통지 장치에서의 에러 등의 이상 발생을 트리거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이상 발생시뿐만 아니라, 상기 상태 통지 장치가 통상적인 처리로서 출력을 변경한 경우이어도, 출력의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상기 로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통지 장치가, 사용자의 의도치 않은 외부 입력 등의 상태에 따라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OFF 등의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상기 상태 통지 장치가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통지 장치가 정상 동작으로서 출력 변경을 실행한 경우이어도, 사용자가 그 출력 변경의 원인을 특정할 수 있는 것과 같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그는, 예를 들어,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로그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및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보다 이후 시점에서의 상기 모니터 결과 중 적어도 한쪽을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의 원인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다광축 광전 센서(상태 통지 장치)
10 수광기(상태 통지 장치)
160 로그 출력부
200 수광 소자
300 기억부
500 감시부
600 송신부
700 접수부
Lo 로그

Claims (10)

  1. 물체의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로서,
    자신의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자신의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부; 및
    자신의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부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log)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부;
    를 구비하는, 상태 통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비접촉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 통지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체는, 다광축 광전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상기 로그 출력부는, 자신의 장치의 출력을 변경한 시점에서의, 상기 다광축 광전 센서의 복수의 수광 소자 각각에 의해 검출된 상태를 식별 가능한, 상기 로그를 출력하는, 상태 통지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저장해 두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는, 상태 통지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해 출력된 상기 로그를 외부에 송신하는 송신부를 더 구비하는, 상태 통지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는, 자신의 장치의 물리적인 진동 상황, 신호 출력에서의 노이즈 발생 상황, 광 노이즈의 발생 상황, 공급 전압의 전압 레벨 중의 적어도 하나를 모니터하는, 상태 통지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접수하여, 상기 로그 출력부에 의한 상기 로그의 출력을 정지시키는 접수부를 더 구비하는, 상태 통지 장치.
  8. 물체의 검지의 유무에 따라 출력을 2개의 값 사이에서 변경하는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동작 상황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를 둘러싸는 환경 중 적어도 한쪽을 모니터하는 감시 단계; 및
    상기 상태 통지 장치의 출력 변경을 계기로 하여, 상기 감시 단계의 모니터 결과를 포함하는 로그를 출력하는 로그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태 통지 장치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각 부로서 컴퓨터를 기능시키기 위한 정보 처리 프로그램.
  10. 청구항 9에 기재된 정보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27009320A 2019-10-31 2020-03-03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220049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99033A JP7383986B2 (ja) 2019-10-31 2019-10-31 状態通知装置、状態通知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JP-P-2019-199033 2019-10-31
PCT/JP2020/008876 WO2021084770A1 (ja) 2019-10-31 2020-03-03 状態通知装置、状態通知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583A true KR20220049583A (ko) 2022-04-21

Family

ID=757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9320A KR20220049583A (ko) 2019-10-31 2020-03-03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42109A1 (ko)
EP (1) EP4053598A4 (ko)
JP (1) JP7383986B2 (ko)
KR (1) KR20220049583A (ko)
CN (1) CN114424090A (ko)
WO (1) WO202108477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575A (ko) 2011-06-02 2012-12-12 김지현 고점도 유체 절약형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9960B2 (ja) * 2007-01-25 2012-02-0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08300201A (ja) * 2007-05-31 2008-12-11 Sunx Ltd 多光軸光電センサ
JP5393184B2 (ja) * 2009-01-31 2014-01-22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安全光電スイッチ
JP2010175488A (ja) * 2009-01-31 2010-08-12 Keyence Corp 光走査型光電スイッチ
JP5473044B2 (ja) * 2009-01-31 2014-04-16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安全光電スイッチ
JP5229310B2 (ja) * 2010-12-17 2013-07-03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6303882B2 (ja) * 2014-07-14 2018-04-04 オムロン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システム
JP6750641B2 (ja) * 2018-03-13 2020-09-02 オムロン株式会社 判定装置、多光軸光電センサ、判定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981910B2 (ja) * 2018-03-30 2021-12-1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光電センサ用の中継ユニット
US11573138B2 (en) * 2020-01-08 2023-02-07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oubly interlaced sensor array and method to support low power counting and identification
KR20210111481A (ko) * 2020-03-03 2021-09-13 주식회사 오토닉스 다광축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575A (ko) 2011-06-02 2012-12-12 김지현 고점도 유체 절약형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84770A1 (ja) 2021-05-06
US20220342109A1 (en) 2022-10-27
EP4053598A4 (en) 2023-11-22
EP4053598A1 (en) 2022-09-07
CN114424090A (zh) 2022-04-29
JP2021072566A (ja) 2021-05-06
JP7383986B2 (ja) 202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5941B2 (en) Method for diagnosing a network
US8786436B2 (en) Multiple optical axis photoelectric sensor
US201802155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vator system
CN104101831A (zh) 继电器故障检测***
KR20190116735A (ko) 지능형 전자 장치를 이용한 차단기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204120B1 (ko) 광학식 안전 센서
KR102638874B1 (ko) 이중-안전 광학 무선 전력 공급장치
KR102251301B1 (ko) 판정 장치, 다광축 광전 센서, 판정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KR20220049583A (ko) 상태 통지 장치, 상태 통지 장치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US9083946B2 (en) System to detect failed pixels in a sensor array
CN106855707B (zh) 生成安全输入信号的开关装置以及数值控制***
KR101045644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EP4113136A1 (en) Testing an arc detecting system
JP7280812B2 (ja) 火災検知システム
WO2024040890A1 (zh) 异常监控***及方法、装置、处理方法、雷达及监控方法
JP5939851B2 (ja) 光電センサおよび光電センサの故障検出方法
KR20190010999A (ko) 사이클 깨짐 기반의 전기 아크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2018142185A (ja) 火災感知器の設定システム
JP2006285501A (ja) 火災感知器
JP2012100373A (ja) 保護継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