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8137A -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8137A
KR20220048137A KR1020200130935A KR20200130935A KR20220048137A KR 20220048137 A KR20220048137 A KR 20220048137A KR 1020200130935 A KR1020200130935 A KR 1020200130935A KR 20200130935 A KR20200130935 A KR 20200130935A KR 20220048137 A KR20220048137 A KR 20220048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motor
seat back
seatback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영
정동우
이기령
김상호
정호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0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8137A/ko
Priority to US17/225,827 priority patent/US11745626B2/en
Priority to CN202110444508.0A priority patent/CN114347877A/zh
Publication of KR20220048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1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1Worm and worm gear articu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1)의 시트(3)에 적용된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시트(3)의 중간 구간에 적용된 힌지 구조가 시트 백(5)의 시트백 프레임(70)과 고정단 힌지점(A)을 형성하고 쿠션 프레임(80)과 자유단 힌지점(B)을 형성하여 시트 백(5)에 접힘과 펼침의 움직임을 부여하는 리클라이너 장치(10), 및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쿠션 모터(41)및 시트백 모터(31)에 모터 제어신호(b,c)를 출력하여 접힘과 펼침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함으로써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30,40)를 이중 기어 방식으로 하여 하나로 일체화시켜줌으로써 시트 외곽 디자인 자유도 향상이 가능하고, 특히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30,40)가 중앙에 배치된 기어박스(50)에 내장되어 모터 및 감속기의 이중 기어 일체화 구조로 시트 백(5)에 대해 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백 테이블 모드와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 구현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특징이 구현된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Seat Having Dual Gear Type Recliner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를 이중 기어 방식으로 하나로 일체화함으로써 시트 외곽 디자인 자유도 향상과 함께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백 테이블 모드 및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가 구현되는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를 적용한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는 리클라이너 장치로 시트 쿠션에 대해 시트 백을 접거나 젖혀줌으로써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등받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는 싱글 리클라이너 장치와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을 하단 구동부로 하면서 쿠션에 연결되는 시트 백을 상단 구동부로 구분하여 시트의 양 측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시트 백을 하나의 회전 포인트로 하여 쿠션에 대해 접힘(즉, 폴딩(Folding)) 또는 펼침(즉, 언폴딩(Unfolding))의 동작이 구현된다.
그러므로 상기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 백을 체형에 맞는 시트의 자세로 맞추면서도 앞쪽으로 접혀(즉, 폴딩(Folding))주거나 또는 뒤쪽으로 펼쳐(즉, 언폴딩(Unfolding))주는 동작에 있어, 싱글 리클라이너 장치 배비 회전각도 조절이 용이하다는 구조적 장점을 갖는다.
국제공개특허 WO 2003/104019(2003년12월18일)
하지만, 상기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 백 폴딩 기능(즉, 폴딩/언폴딩)을 위해 시트의 좌/우양 측면에 구성됨으로써 싱글 리클라이너 장치 대비 시트 디자인 자유도가 낮으면서도 재료비 및 중량 과다 상승 등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또한, 상기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 백이 하나의 회전 포인트를 가지는 구조로 인해 기존의 접힘/펼침 동작을 넘어서, 전방 시야 확보와 테이블 기능 및 큰 수화물 고정 기능 등을 백 테이블 모드로 가능하게 하는 백 폴딩(Back Folding)과 함께 탑승객의 다리를 뻗을 수 있는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로 가능하게 하는 풀 플랫(Full Flat) 같은 다양한 모드 구현이 어려울 수밖에 없다.
특히 다양한 모드 구현 불가는, 시트 백을 자유롭게 변형시켜서 실내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요구하는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시트 개벌 컨셉 구현이 불가한 측면을 가질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를 이중 기어 방식으로 하여 하나로 일체화된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시트 외곽 디자인 자유도 향상이 가능하고, 특히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가 중앙에 배치된 기어박스 모듈 내 모터 및 감속기를 적용한 이중 기어 일체화 구조로 시트 백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백 테이블 모드와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 구현이 가능한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쿠션 프레임이 내장된 시트 쿠션과 시트백 프레임이 내장된 시트 백의 폭 중간 구간 위치를 연결 부위로 하고, 상기 쿠션 프레임과 자유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의 움직임이 차단되는 반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고정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움직임으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해 접힘 또는 펼침 되도록 하는 이중기어 박스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중기어 박스 모듈은 상기 고정단 힌지점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좌우 부위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부회전 장치, 상기 자유단 힌지점이 상기 쿠션 프레임의 좌우 부위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회전 장치, 및 내부 공간으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와 상기 하부회전 장치를 수용하며, 내부 공간 위쪽으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를 위치시키고 내부 공간 아래쪽으로 상기 하부회전 장치를 위치시키는 기어 박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상부회전 장치는 시트 백 모터, 상기 시트 백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시트백 동력전달 축, 및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의 회전방향을 상기 시트 백 모터의 회전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시트백 출력 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은 수평하게 배열되어 서로에 대해 이격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어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로 상기 시트 백 모터에서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시트백 출력 축으로 회전을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를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과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의 좌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좌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의 우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우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탄성편에 끼워져 고정력을 형성한다.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좌우 양쪽 측면부위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후크에 끼워진 축 엔드 홀더로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부회전 장치는 쿠션 모터, 상기 쿠션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쿠션 동력전달 축, 및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의 회전방향을 상기 쿠션 모터의 회전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쿠션 프레임에 대해 자유 회전되는 쿠션 출력 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은 수평하게 배열되어 서로에 대해 이격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어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로 상기 쿠션 모터에서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쿠션 출력 축으로 회전을 전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를 제1 쿠션 동력전달 축과 제2 쿠션 동력전달 축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의 좌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쿠션 출력 축의 좌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의 우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쿠션 출력 축의 우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탄성편에 끼워져 고정력을 형성한다.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좌우 양쪽 측면부위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된다.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후크에 끼워진 축 엔드 홀더로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기어 박스는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전방 케이스와 상기 후방 케이스의 결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방 케이스와 상기 후방 케이스는 체결수단으로 고정되어 조립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접힘은 상기 시트 백이 백 폴딩(Back Folding)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 포개지고, 상기 펼침은 상기 시트 백이 풀 플랫(Full Flat)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서 젖혀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에 대해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는 시트 백의 폭 중간 구간에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을 위한 힌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시트 백의 시트백 프레임과 고정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 백에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부여하는 반면 상기 시트 쿠션의 쿠션 프레임과 자유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 쿠션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및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의 쿠션 모터를 구동하는 쿠션 모터 제어신호와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의 시트백 모터를 구동하는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의 출력으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컨트롤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시트백 모터와 상기 쿠션 모터의 각각에 대한 회전방향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로 상기 접힘에서 상기 시트 백이 백 폴딩(Back Folding)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 포개지는 백 테이블 모드를 구현하는 반면, 상기 펼침에서 상기 시트 백이 풀 플랫(Full Flat)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서 젖혀지는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를 구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접힘에는 상기 시트백 모터와 상기 쿠션 모터의 각각에 대한 출력 축소로 상기 백 폴딩(Back Folding)의 중간 단계에서 상기 시트 백을 소정 각도로 경사시켜 주는 경사 모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차량 시트에 적용된 리클라이너 장치는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
첫째,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로 구성됨으로써 기존의 더블 리클라이너 장치 대비 구조적 단순화/재료비 저감/중량 축소 등이 가능하다. 둘째, 이중 기어 방식의 일체화 구조로 상/하부 회전축이 연동되어 동작함으로써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의 상호 간섭이 없는 조건에서 시트 백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시트 백과 시트 쿠션의 디자인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셋째,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가 중앙에 배치된 기어박스 모듈 내 모터 및 감속기를 적용한 이중 기어 일체화 구조로 시트 백 각도 조절이 용이하면서도 큰 각도로 변화될 수 있다. 넷째, 시트 백 각도를 큰 각도로 접어줌으로써 전방 시야 확보/테이블 기능/큰 수화물 고정 기능 등을 위한 백 테이블 모드 및 탑승객의 다리를 뻗을 수 있는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 구현과 함께 짐을 기대는 경사 모드 구현이 가능하다. 다섯째, 백 테이블 모드와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 및 경사 모드 구현이 가능함으로써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시트 컨셉 구현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에 적용된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의 조립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가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로 백 테이블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가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로 경사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가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로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를 구현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은 리클라이너 장치(10)가 적용된 시트(3)를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시트(3)는 탑승객인 앉는 시트 쿠션(4)과 탑승객을 받쳐주는 시트 백(5)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시트 쿠션(4)과 시트 백(5)은 통상적인 차량용 시트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시트 쿠션(4)은 쿠션 뼈대를 이루는 쿠션 프레임(80)이 리클라이너 장치(10)의 하부부위에 연결되는 반면 상기 시트 백(5)은 시트 백 뼈대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70)이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상부부위에 연결되는 차이가 있다.
일례로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시트 쿠션(4)과 시트 백(5)을 연결하여 시트(3)와 일체화되고, 상기 이중기어 박스 모듈(20)은 시트 백(5)의 시트백 프레임(70)과 연결된 상부회전 장치(30) 및 시트 쿠션(4)의 쿠션 프레임(80)과 연결된 하부회전 장치(40)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시트백 프레임(70)의 중간 구간에 상부회전 장치(30)가 위치되고, 쿠션 프레임(80)의 중가 구간에 하부회전 장치(40)가 위치됨으로써 시트(3)의 중간 부위에서 시트백 프레임(70)과 쿠션 프레임(80)을 연결하여 시트 쿠션(4)에 대해 시트 백(5)을 접힘과 펼침 되도록 작동된다.
이로부터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시트(3)의 중간 구간으로 위치되고, 시트 중간 구간에서 시트 백(5)을 접어 시트 쿠션(4)으로 포개주거나 젖혀 상기 시트 쿠션(4)에서 펼쳐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회전 장치(30)는 시트백 프레임(70)과 억지끼움 또는 용접 구조로 고정되는 반면 상기 하부회전 장치(40)는 쿠션 프레임(80)에 대해 자유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30)와 시트백 프레임(70)의 고정단 힌지점(A)는 시트백 프레임(70)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켜 시트 백(5)의 접힘/펼침을 가능하고, 상기 하부회전 장치(40)와 쿠션 프레임(80)의 자유단 힌지점(B)은 시트 쿠션(4)이 시트 백(5)의 접힘/펼침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컨트롤러(90)와 연계되고, 상기 컨트롤러(90)는 차량(1)의 운전석 클러스터 또는 도어 또는 시트에 구비된 버튼 조작에 따른 리클라이너 버튼신호(a)를 인식하고, 리클라이너 버튼신호(a)의 인식 후 쿠션 모터 제어신호(b)로 하부회전 장치(40)의 쿠션 모터(41)(도 2,3 참조)를 구동하면서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c)로 상부회전 장치(30)의 시트백 모터(31)(도 2,3 참조)를 구동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는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를 구성하는 상부회전 장치(30), 하부회전 장치(40), 기어 박스(50) 및 볼트(60)에 대해 그 상세 구성을 예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회전 장치(30)와 상기 하부회전 장치(40)는 볼트(60)로 초립된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은 상부회전 장치(30)가 위치되는 상부내부 공간과 하부회전 장치(40)가 위치되는 하부내부 공간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30)는 시트백 모터(31), 시트백 동력전달 축(33) 및 시트백 출력 축(35)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시트백 모터(31)는 컨트롤러(90)의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c)(도 1 참조)로 정/역회전(또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 회전)하고, 시트백 모터(31)의 모터 하우징의 좌우양쪽으로 좌우측 모터축 웜(31a,31b)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시트백 모터(31)는 일반적인 전동 모터 또는 스텝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좌측 모터축 웜(31a)과 상기 우측 모터축 웜(31b)은 시트백 모터(31)의 회전에 대해 동일 회전 방향을 출력하여 주고, 이러한 동일 회전 방향 출력은 모터 양측을 동일 기어 조건으로 함으로써 시트 백(5)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웜 기어 강도(또는 브레이크력)를 증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좌측 모터축 웜(31a)과 상기 우측 모터축 웜(31b)의 각각은 그 끝단 부위가 모터 베어링(31c)(도 4 참조)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33)은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 및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 및 상기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은 그 배열 위치 구분을 위해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을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로 하고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을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으로 하여 설명된다.
특히 상기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과 상기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의 각각은 축 로드(33a), 하단 로드 웜 휠(33b), 상단 로드 웜(33c) 및 축 엔드 홀더(33d)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축 로드(33a)는 소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로드 웜 휠(33b)은 축 로드(33a)의 직선 길이에서 아래쪽 구간으로 형성되어 시트백 모터(31)의 좌측 모터축 웜(31a)과 맞물린다. 상기 상단 로드 웜(33c)은 축 로드(33a)의 직선 길이에서 위쪽 구간으로 형성되어 시트백 모터(31)의 우측 모터축 웜(31b)과 맞물린다.
일례로 상기 축 엔드 홀더(33d)는 하단 로드 웜 휠(33b)과 상단 로드 웜(33c)쪽에서 각각 연장된 축 로드(33a)의 직선 길이 끝단 부위를 자유단 지지 구조로 하고, 기어박스(50)의 후방 케이스(50-2)에 구비된 후크(57)와 결합되어 고정력을 유지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트백 출력 축(35)은 파이프 축(35-1), 좌우측 파이프 웜 휠(35a,35b) 및 파이프 베어링(35c)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파이프 축(35-1)은 소정 길이의 중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 파이프 웜 휠(35a,35b)은 파이프 축(35-1)의 한쪽 끝부위에서 형성되어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의 상단 로드 웜(33c)과 맞물리는 좌측 파이프 웜 휠(35a),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의 상단 로드 웜(33c)과 맞물리는 우측 파이프 웜 휠(35b)로 구분된다. 상기 파이프 베어링(35c)은 좌측 파이프 웜 휠(35a)과 우측 파이프 웜 휠(35b)의 각각에 인접되어 구비된다.
특히 상기 파이프 축(35-1)은 파이프 베어링(35c)에서 중공 파이프 구조의 좌우 양쪽 끝단 부위가 연장된 파이프 엔드를 형성함으로써 시트백 프레임(70)과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회전 장치(40)는 쿠션 모터(41), 쿠션 동력전달 축(43) 및 쿠션 출력 축(45)으로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쿠션 모터(41)는 컨트롤러(90)의 쿠션 모터 제어신호(b)(도 1 참조)로 정/역회전(또는 시계방향/반시계방향 회전)하고, 쿠션 모터(31)의 모터 하우징의 좌우양쪽으로 좌우측 모터축 웜(41a,41b)을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쿠션 모터(41)는 일반적인 전동 모터 또는 스텝 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좌측 모터축 웜(31a)과 상기 우측 모터축 웜(31b)은 쿠션 모터(41)의 회전에 대해 동일 회전 방향을 출력하여 주고, 이러한 동일 회전 방향 출력은 모터 양측을 동일 기어 조건으로 함으로써 시트 백(5)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웜 기어 강도(또는 브레이크력)를 증대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상기 좌측 모터축 웜(31a)과 상기 우측 모터축 웜(31b)의 각각은 그 끝단 부위가 모터 베어링(41c)(도 4 참조)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43)은 제1 쿠션 동력전달 축(43-1) 및 제2 쿠션 동력전달 축(43-2)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제1 쿠션 동력전달 축(43-1) 및 상기 제2 쿠션 동력전달 축(43-2)은 그 배열 위치 구분을 위해 제1 쿠션 동력전달 축(43-1)을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으로 하고 제2 쿠션 동력전달 축(43-2)을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으로 하여 설명된다.
특히 상기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과 상기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의 각각은 축 로드(43a), 하단 로드 웜 휠(43b), 상단 로드 웜(43c) 및 축 엔드 홀더(43d)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축 로드(43a)는 소정 길이의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단 로드 웜 휠(43b)은 축 로드(43a)의 직선 길이에서 아래쪽 구간으로 형성되어 쿠션 모터(41)의 좌측 모터축 웜(41a)과 맞물린다. 상기 상단 로드 웜(43c)은 축 로드(43a)의 직선 길이에서 위쪽 구간으로 형성되어 쿠션 모터(41)의 우측 모터축 웜(41b)과 맞물린다.
일례로 상기 축 엔드 홀더(43d)는 하단 로드 웜 휠(43b)과 상단 로드 웜(43c)쪽에서 각각 연장된 축 로드(43a)의 직선 길이 끝단 부위를 자유단 지지 구조로 하고, 기어박스(50)의 후방 케이스(50-2)에 구비된 후크(57)와 결합되어 고정력을 유지하여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 출력 축(45)은 파이프 축(45-1), 좌우측 파이프 웜 휠(45a,45b) 및 파이프 베어링(45c)으로 이루어진다.
일례로 상기 파이프 축(45-1)은 소정 길이의 중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측 파이프 웜 휠(45a,45b)은 파이프 축(45-1)의 한쪽 끝부위에서 형성되어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의 상단 로드 웜(43c)과 맞물리는 좌측 파이프 웜 휠(45a),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의 상단 로드 웜(43c)과 맞물리는 우측 파이프 웜 휠(45b)로 구분된다. 상기 파이프 베어링(45c)은 좌측 파이프 웜 휠(45a)과 우측 파이프 웜 휠(45b)의 각각에 인접되어 구비된다.
특히 상기 파이프 축(45-1)은 파이프 베어링(45c)에서 중공 파이프 구조의 좌우 양쪽 끝단 부위가 연장된 파이프 엔드를 형성함으로써 쿠션 프레임(80)과 자유단 힌지점(B)(도 1 참조)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어 박스(50)는 전방 케이스(50-1)와 후방 케이스(50-2)로 구분되고, 상기 전방 케이스(50-1)가 상기 후방 케이스(50-2)에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60)의 체결로 조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전방 케이스(50-1)는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후방 케이스(50-2)에 끼워지는 크기로 형성된다. 반면 상기 후방 케이스(50-2)는 모터 홀더(51,53), 파이프 홀(52,54), 모터 홀(55,56), 후크(57) 및 볼트 보스(59)를 구비한다.
일례로 상기 모터 홀더(51,53)는 모터 하우징을 끼워 고정력을 유지하는 2개의 탄성편이 후방 케이스(50-2)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시트백 모터(31)를 위한 시트백 모터 홀더(51)와 함께 시트백 모터 홀더(51)의 아래쪽으로 위치되어 쿠션 모터(41)를 위한 쿠션 모터 홀더(53)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파이프 홀(52,54)은 전방 케이스(50-1)와 후방 케이스(50-2)의 위쪽 부위에 각각 형성된 반원으로 원형을 이루는 시트백 파이프 홀(52), 전방 케이스(50-1)와 후방 케이스(50-2)의 아래쪽 부위에 각각 형성된 반원으로 원형을 이루는 쿠션 파이프 홀(53)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홀(55,56)은 후방 케이스(50-2)의 시트백 모터 홀더(51)에서 좌우양쪽에 구비되어 모터 베어링(31c)이 위치되는 시트 모터 홀(55), 후방 케이스(50-2)의 쿠션 모터 홀더(52)에서 좌우양쪽에 구비되어 모터 베어링(31c)이 위치되는 쿠션 모터 홀(55)로 구분된다.
일례로 상기 후크(57)는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과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의 축 엔드 홀더(33d) 및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과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의 축 엔드 홀더(43d)의 각각을 끼워 고정하며, 2개의 판성편으로 이루어져 상하의 좌우측 쪽으로 4곳에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볼트 보스(59)는 전방 케이스(50-1)의 상하/좌우에서 돌출된 돌기 홈과 일치되도록 후방 케이스(50-2)의 상하/좌우에서 돌출되어 볼트(60)가 나사 체결되는 장소를 제공하고, 상하/좌우의 각각에 2개씩 형성하여 8개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볼트(60)는 볼트 보스(59)에 나사 체결되어져 전방 케이스(50-1)와 후방 케이스(50-2)를 고정하여 조립한다. 특히 상기 볼트(60)는 스크류를 적용할 수 있다.
도 4의 이중기어 박스 모듈(20)의 조립 상태를 참조하면, 상기 볼트(60)를 매개로 조립된 전방 케이스(50-1)와 후방 케이스(50-2)의 기어 박스(5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은 위쪽 부위의 상부회전 장치(30) 및 아래쪽 부위의 하부회전 장치(40)로 구분된다.
특히 상기 기어 박스(5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부회전 장치(30)를 구성하는 시트백 출력 축(35)의 파이프 엔드 및 하부회전 장치(40)를 구성하는 쿠션 출력 축(45)의 파이프 엔드가 외부 노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 출력 축(35)의 파이프 엔드가 시트백 프레임(70)과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형성하고 반면 상기 쿠션 출력 축(45)의 파이프 엔드가 쿠션 프레임(80)과 자유단 힌지점(B)(도 1 참조)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후크(57)는 축 엔드 홀더(33d,43d)와 체결되어 좌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33-2) 및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의 각각을 고정시켜 주고, 상기 볼트(60)는 볼트 보스(59)와 나사 체결로 전후방 케이스(50-1,50-2)를 서로 결합하여 일체화 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이중기어 박스 모듈(20)의 레이아웃은 하기와 같다.
일례로 상기 시트백 모터(31)는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위쪽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며, 상기 쿠션 모터(41)는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아래쪽으로 수평하게 배열된다. 상기 시트백 출력 축(35)은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시트백 모터(31)의 위쪽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며, 상기 쿠션 출력 축(45)은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쿠션 모터(41)의 아래쪽으로 수평하게 배열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트백 모터(31), 상기 쿠션 모터(41), 상기 시트백 출력 축(35) 및 상기 쿠션 출력 축(45)의 각각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된다.
일례로 상기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 및 상기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의 각각은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좌측위치로 수직하게 배열되며, 상기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 및 상기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의 각각은 기어 박스(50)의 내부 공간에서 우측위치로 수직하게 배열된다.
이로부터 상기 상부회전 장치(30)의 기어 결합은 하기와 같다.
일례로 상기 좌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은 하단 로드 웜 휠(33b)을 통해 시트백 모터(31)의 좌측 모터축 웜(31a)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하면서 상단 로드 웜(33c)을 통해 시트백 출력 축(35)의 좌측 파이프 웜 휠(35a)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2)은 하단 로드 웜 휠(33b)을 통해 시트백 모터(31)의 우측 모터축 웜(31b)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하면서 상단 로드 웜(33c)을 통해 시트백 출력 축(35)의 우측 파이프 웜 휠(35b)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회전 장치(40)의 기어 결합은 하기와 같다.
일례로 상기 좌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은 하단 로드 웜 휠(43b)을 통해 쿠션 모터(41)의 좌측 모터축 웜(41a)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하면서 상단 로드 웜(43c)을 통해 쿠션 출력 축(45)의 좌측 파이프 웜 휠(45a)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2)은 하단 로드 웜 휠(43b)을 통해 쿠션 모터(41)의 우측 모터축 웜(41b)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하면서 상단 로드 웜(43c)을 통해 쿠션 출력 축(45)의 우측 파이프 웜 휠(45b)과 기어 맞물림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작동은 상기 쿠션 모터(41)에 이어 상기 시트백 모터(31)를 구동시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작동은 상기 쿠션 모터(41)와 상기 시트백 모터(31)를 함께 구동시켜도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쿠션 모터(41)의 회전은 기어 박스(50)를 움직이는 반면 상기 시트백 모터(31)의 회전은 시트 백(5)을 움직이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쿠션 모터(41)의 회전은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을 회전시키고, 상기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의 회전은 쿠션 출력 축(45)을 회전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쿠션 출력 축(45)은 자유단 힌지점(B)(도 1 참조)으로 쿠션 프레임(80)에 대해 자유 회전됨으로써 쿠션 프레임(80)을 힌지점으로 하여 기어 박스(50)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 상기 시트백 모터(31)의 회전은 좌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33-2)을 회전시키고, 상기 좌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33-1,33-2)의 회전은 시트백 출력 축(35)을 회전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시트백 출력 축(35)은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힌지점으로 하여 시트백 프레임(70)을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70)의 이동은 그 이동방향에 따라 시트 백(50을 접힘 또는 펼침으로 전환시켜 준다.
이와 같이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리클라이너 요구 기능인 접힘과 펼침(Folding/Unfolding)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나아가 시트 백(5)이 시트 쿠션(4)에 대해 접힘/펼침 동작을 넘어 시트 백 각도를 큰 각도로 접어줌으로써 전방 시야 확보/테이블 기능/큰 수화물 고정 기능 등을 위한 백 테이블 모드(도 5 참조)와 탑승객의 다리를 뻗을 수 있는 레그 레스트 모드(도 6 참조) 및 화물을 기대는 경사 모드(도 7 참조)를 모두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이중기어 박스 모듈(20)에 의한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10)로 특징됨으로써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시트 컨셉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가 백 테이블 모드(도 5), 레그 레스트 모드(도 6) 및 경사 모드(도 7)로 작동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백 테이블 모드에서, 동력전달 순서는 쿠션 모터(41) ->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 -> 쿠션 출력 축(45) -> 기어 박스(50) -> 시트 백(5) -> 시트백 모터(31) -> 시트백 동력전달 축(33) -> 시트백 출력 축(35) -> 시트 프레임(70) -> 시트 백(5)으로 이어진다. “->”는 동력 전달 흐름 순서를 의미한다.
일례로 상기 쿠션 모터(41)는 컨트롤러(90)의 쿠션 모터 제어신호(b)(도 1 참조)로 반시계방향 쿠션 모터 회전 상태(a)가 되고, 상기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은 쿠션 모터(41)의 좌우측 모터축 웜(41a,41b)과 맞물린 하단 로드 웜 휠(43b)을 통해 90°전환한 시계방향 쿠션 웜 휠 회전 상태(b)와 함께 상단 로드 웜(43c)이 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c)가 되고, 상기 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c)는 상단 로드 웜(43c)과 맞물린 좌우측 파이프 웜 휠(45a,45b)을 통해 쿠션 출력 축(4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쿠션 출력 축(45)은 쿠션 프레임(80)과 자유단 힌지점(B)(도 1 참조)을 형성함으로써 쿠션 출력 축(45)의 시계방향 회전은 기어 박스(50)를 움직여 준다.
그러면 상기 기어 박스(50)의 움직임은 시트백 출력 축(35)과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형성한 시트백 프레임(70)으로 전달되어 시트 백(5)이 접힘 회전 상태(d)로 전환됨으로써 시트 백(5)은 STEP 1에서 시트 쿠션(4)에 대해 위로 올라가 세워진 STEP 2와 같은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 상기 시트 백 모터(31)는 컨트롤러(90)의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c)(도 1 참조)로 반시계방향 시트 백 모터 회전 상태(e)가 되고, 상기 좌우측 시트 백 동력전달 축(33-1,33-2)은 시트 백 모터(31)의 좌우측 모터축 웜(31a,31b)과 맞물린 하단 로드 웜 휠(33b)을 통해 90°전환한 시계방향 시트 백 웜 휠 회전 상태(f)와 함께 상단 로드 웜(33c)이 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g)가 되고, 상기 시계방향 시트 백 웜 회전 상태(g)는 상단 로드 웜(33c)과 맞물린 좌우측 파이프 웜 휠(35a,35b)을 통해 시트 백 출력 축(35)이 시계방향 시트 백 출력 축 회전 상태(h)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시트 백 출력 축(35)은 시트 백 프레임(70)과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형성함으로써 시트 백 출력 축(35)의 시트 백 출력 축 회전 상태(h)로 기어 박스(50)와 함께 시트 백 프레임(70)이 움직이고, 상기 시트 백 프레임(70)의 움직임은 시트 백(5)을 시트 쿠션(4)쪽으로 더욱 내려줌으로써 시트 백(5)은 STEP 2에서 시트 쿠션(4)에 완전하게 포개진 STEP 3과 같은 백 테이블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백 테이블 모드는 쿠션 모터(41)와 시트 백 모터(31)의 조합으로 시트 백(5)이 시트 쿠션(4)에 완전하게 포개짐으로써 전방 시야 확보와 테이블 기능 및 큰 수화물 고정 기능 등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경사 모드를 참조하면, 상기 경사 모드는 백 테이블 모드 중 시트 백(5)이 시트 쿠션(4)에 완전하게 포개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백 테이블 모드 대비 시트 백(5)의 경사를 보다 작게 하여 형성되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상기 경사 모드는 컨트롤러(90)의 시트 백 모터 제어신호(c)(도 1 참조)에서 전류 인가 세기를 보다 약하게 하거나 또는 출력 듀티(Duty) 인가를 보다 짧게 하여 구현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경사 모드는 시트 백(5)을 시트 쿠션(4)쪽으로 약간 만 기울여 줌으로써 긴 길이의 화물(100)을 차체 바닥(예, Floor Panel)에 놓은 상태에서 시트 백(5)에 기대어 줄 수 있다.
반면 도 7의 레그 레스트 모드에서, 동력전달 순서는 쿠션 모터(41) ->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 -> 쿠션 출력 축(45) -> 기어 박스(50) -> 시트 백(5) -> 시트백 모터(31) -> 시트백 동력전달 축(33) -> 시트백 출력 축(35) -> 시트 프레임(70) -> 시트 백(5)으로 이어진다. “->”는 동력 전달 흐름 순서를 의미한다.
이로부터 상기 레그 레스트 모드는 상기 백 테이블 모드와 대비하여 모터 회전 방향과 기어 회전 방향이 반대로 형성됨으로써 시트 백(5)이 시트 쿠션(4)에서 펼쳐지는 차이가 있을 뿐 동작 순서도 동일하다. 그러므로 컨트롤러(90)는 백 테이블 모드에서 쿠션 모터 제어신호(b)와 시트 백 모터 제어신호(c)를 (+) 전류 신호로 하는 반면 레그 레스트 모드에서 쿠션 모터 제어신호(b)와 시트 백 모터 제어신호(c)를 (-) 전류 신호로 하는 차이가 있다.
일례로 상기 컨트롤러(90)의 쿠션 모터 제어신호(b)(도 1 참조)는 쿠션 모터(41)를 시계방향 쿠션 모터 회전 상태(i)로 전환시켜 주고, 쿠션 모터(41)의 좌우측 모터축 웜(41a,41b)과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의 하단 로드 웜 휠(43b) 간 기어 맞물림은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을 90°전환한 반시계방향 쿠션 웜 휠 회전 상태(j)와 함께 상단 로드 웜(43c)을 반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k)로 전환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쿠션 출력 축(45)은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43-1,43-2)의 반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k)를 상단 로드 웜(43c)과 맞물린 좌우측 파이프 웜 휠(45a,45b)로 다시 90°전환한 시계방향 회전으로 전환시켜 주고, 상기 쿠션 출력 축(45)의 시계방향 회전은 자유단 힌지점(B)(도 1 참조)을 통해 기어 박스(50)의 움직임으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시트 백(5)은 시트백 출력 축(35)과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통해 기어 박스(50)의 움직임이 전달된 시트백 프레임(70)을 통해 펼침 회전 상태(l)로 전환됨으로써 시트 백(5)은 STEP 1에서 시트 쿠션(4)에 대해 밑으로 내려가 펼쳐진 STEP 2와 같은 접힘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 상기 컨트롤러(90)의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c)(도 1 참조)는 시트 백 모터(31)를 시계방향 쿠션 모터 회전 상태(m)로 전환시켜 주고, 시트 백 모터(31)의 좌우측 모터축 웜(31a,31b)과 좌우측 시트 백 동력전달 축(33-1,33-2)의 하단 로드 웜 휠(33b) 간 기어 맞물림은 좌우측 시트 백 동력전달 축(33-1,33-2)을 90°전환한 반시계방향 시트 백 웜 휠 회전 상태(n)와 함께 상단 로드 웜(33c)을 반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o)로 전환시켜 준다.
그러면 상기 시트 백 출력 축(35)은 좌우측 시트 백 동력전달 축(33-1,33-2)의 반시계방향 쿠션 웜 회전 상태(o)를 상단 로드 웜(33c)과 맞물린 좌우측 파이프 웜 휠(35a,35b)로 다시 90°전환한 시트 백 출력 축 회전 상태(p)로 전환시켜 주고, 상기 쿠션 출력 축(45)의 시트 백 출력 축 회전 상태(p)는 고정단 힌지점(A)(도 1 참조)을 통해 기어 박스(50)와 함께 시트 백 프레임(70)의 움직임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상기 시트 백 프레임(70)의 움직임은 시트 백(5)을 시트 쿠션(4)쪽으로 더욱 내려줌으로써 시트 백(5)은 STEP 2에서 시트 쿠션(4)에서 완전하게 뒤로 젖혀진 STEP 3과 같은 풀 플랫(Full Flat)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레그 레스트 모드는 쿠션 모터(41)와 시트 백 모터(31)의 조합으로 시트 백(5)이 풀 플랫(Full Flat)의 상태로 시트 쿠션(4)에서 완전하게 꺾어짐으로써 탑승객의 다리를 뻗을 수 있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의 시트(3)에 적용된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시트 쿠션(4)에 대해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는 시트 백(5)의 폭 중간 구간에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을 위한 힌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시트 백(5)의 시트백 프레임(70)과 고정단 힌지점(A)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 백(5)에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부여하는 반면 상기 시트 쿠션(4)의 쿠션 프레임(80)과 자유단 힌지점(B)을 형성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80)과 상기 시트 쿠션(4)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리클라이너 장치(10), 및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쿠션 모터(41)를 구동하는 쿠션 모터 제어신호(b)와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10)의 시트백 모터(31)를 구동하는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c)의 출력으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컨트롤러(90)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10)는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30,40)를 이중 기어 방식으로 하여 하나로 일체화시켜줌으로써 시트 외곽 디자인 자유도 향상이 가능하고, 특히 상/하 두개의 구동 장치(30,40)가 중앙에 배치된 기어박스(50)에 내장되어 모터 및 감속기의 이중 기어 일체화 구조로 시트 백(5)에 대해 큰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으로써 미래 자율주행 차량에 적합한 백 테이블 모드와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 구현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1 : 차량 3 : 시트
4 : 시트 쿠션 5 : 시트 백
10 : 리클라이너 장치 20 : 이중기어 박스 모듈
30 : 상부회전 장치 31 : 시트백 모터
31a,31b,41a,41b : 좌우측 모터축 웜
31c,41c : 모터 베어링 33 : 시트백 동력전달 축
33-1,33-2 : 좌우측 시트백 동력전달 축
33a,43a : 축 로드 33b,43b : 하단 로드 웜 휠
33c,43c : 상단 로드 웜 33d,43d : 축 엔드 홀더
35 : 시트백 출력 축 35-1,46-1 : 파이프 축
35a,35b : 좌우측 파이프 웜 휠
35c,43c : 파이프 베어링 40 : 하부회전 장치
41 : 쿠션 모터 43 : 쿠션 동력전달 축
43-1,43-2 : 좌우측 쿠션 동력전달 축
45 :쿠션 출력 축
50 : 기어 박스 50-1,50-2 : 전후방 케이스
51,53 : 모터 홀더 52,54 : 파이프 홀
55,56 : 모터 홀 57 : 후크
59 : 볼트 보스
60 : 볼트
70 : 시트백 프레임 80 : 쿠션 프레임
90 : 컨트롤러 100 : 화물

Claims (20)

  1. 쿠션 프레임이 내장된 시트 쿠션과 시트백 프레임이 내장된 시트 백의 폭 중간 구간 위치를 연결 부위로 하여 구비되고, 상기 쿠션 프레임과 자유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의 움직임이 차단되는 반면,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고정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움직임으로 상기 시트 백이 상기 시트 쿠션에 대해 접힘 또는 펼침 되도록 하는 이중기어 박스 모듈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기어 박스 모듈은 상기 고정단 힌지점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좌우 부위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상부회전 장치,
    상기 자유단 힌지점이 상기 쿠션 프레임의 좌우 부위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회전 장치, 및
    내부 공간으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와 상기 하부회전 장치를 수용하며, 내부 공간 위쪽으로 상기 상부회전 장치를 위치시키고 내부 공간 아래쪽으로 상기 하부회전 장치를 위치시키는 기어 박스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회전 장치는 시트 백 모터,
    상기 시트 백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시트백 동력전달 축, 및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의 회전방향을 상기 시트 백 모터의 회전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시트백 프레임에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시트백 출력 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은 수평하게 배열되어 서로에 대해 이격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어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로 상기 시트 백 모터에서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시트백 출력 축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과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과 상기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의 좌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좌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시트 백 모터의 우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우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탄성편에 끼워져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 모터와 상기 시트백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좌우 양쪽 측면부위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후크에 끼워진 축 엔드 홀더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부회전 장치는 쿠션 모터,
    상기 쿠션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쿠션 동력전달 축, 및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의 회전방향을 상기 쿠션 모터의 회전방향과 일치시켜 상기 쿠션 프레임에 대해 자유 회전되는 쿠션 출력 축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은 수평하게 배열되어 서로에 대해 이격 간격을 형성하고;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에 대해 수직하게 배열되어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로 상기 쿠션 모터에서 회전을 전달받고 상기 쿠션 출력 축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제1 쿠션 동력전달 축과 제2 쿠션 동력전달 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쿠션 동력전달 축과 상기 제2 쿠션 동력전달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맞물림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의 좌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쿠션 출력 축의 좌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쿠션 모터의 우측 모터축 웜에 맞물리는 하단 로드 웜 휠과 상기 쿠션 출력 축의 우측 파이프 웜 휠에 맞물리는 상단 로드 웜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탄성편에 끼워져 고정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쿠션 모터와 상기 쿠션 출력 축의 각각은 상기 기어 박스의 좌우 양쪽 측면부위에서 베어링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쿠션 동력전달 축은 상기 기어 박스의 내부공간에 돌출된 후크에 끼워진 축 엔드 홀더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어 박스는 전방 케이스와 후방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은 상기 전방 케이스와 상기 후방 케이스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힘은 상기 시트 백이 백 폴딩(Back Folding)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 포개지고,
    상기 펼침은 상기 시트 백이 풀 플랫(Full Flat)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19. 시트 쿠션에 대해 접힘과 펼침이 이루어지는 시트 백의 폭 중간 구간에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을 위한 힌지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 구조는 상기 시트 백의 시트백 프레임과 고정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시트 백에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부여하는 반면, 상기 시트 쿠션의 쿠션 프레임과 자유단 힌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 쿠션의 움직임을 차단하는 리클라이너 장치, 및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의 쿠션 모터를 구동하는 쿠션 모터 제어신호와 상기 리클라이너 장치의 시트백 모터를 구동하는 시트백 모터 제어신호의 출력으로 상기 접힘과 상기 펼침의 움직임을 발생시켜 주는 컨트롤러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시트백 모터와 상기 쿠션 모터의 각각에 대한 회전방향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회전방향 제어로 상기 접힘에서 상기 시트 백이 백 폴딩(Back Folding)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 포개지는 백 테이블 모드를 구현하는 반면, 상기 펼침에서 상기 시트 백이 풀 플랫(Full Flat)으로 상기 시트 쿠션에서 젖혀지는 레그 레스트(Leg Rest) 모드를 구현하며;
    상기 접힘에는 상기 시트백 모터와 상기 쿠션 모터의 각각에 대한 출력 축소로 상기 백 폴딩(Back Folding)의 중간 단계에서 상기 시트 백를 소정 각도로 경사시켜 주는 경사 모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200130935A 2020-10-12 2020-10-12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KR20220048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35A KR20220048137A (ko) 2020-10-12 2020-10-12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US17/225,827 US11745626B2 (en) 2020-10-12 2021-04-08 Dual gear type recliner device for a vehicle seat
CN202110444508.0A CN114347877A (zh) 2020-10-12 2021-04-23 车辆座椅的双齿轮式躺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35A KR20220048137A (ko) 2020-10-12 2020-10-12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137A true KR20220048137A (ko) 2022-04-19

Family

ID=81078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35A KR20220048137A (ko) 2020-10-12 2020-10-12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745626B2 (ko)
KR (1) KR20220048137A (ko)
CN (1) CN1143478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4019A1 (en) 2002-06-07 2003-12-18 Intier Automotive Inc. Lost motion dual disc seat reclin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6139B1 (fr) * 1997-07-18 1999-09-17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Dispositif d'articulation pour siege de vehicule,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US6499712B1 (en) * 1999-02-03 2002-12-31 Tecla Company, Inc. Electric seat slide and actuator system
DE10315375A1 (de) * 2003-04-03 2004-11-11 Keiper Gmbh & Co. Kg Beschlagsystem für einen Fahrzeugsitz
US7121624B2 (en) * 2005-01-13 2006-10-17 Fisher Dynamics Corporation Seat assembly having manual tumble with interlock and powered recline, fold and kneel
US7419217B2 (en) * 2006-01-12 2008-09-02 Tachi-S Co. Ltd. Reclining device of two-point hinged type for seat
JP4957416B2 (ja) * 2007-07-05 2012-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JP4620757B2 (ja) * 2008-06-18 2011-01-26 株式会社今仙電機製作所 シート装置
US8434823B2 (en) * 2009-07-17 2013-05-07 Ford Global Technologies Reclining seat assembly
US9827885B2 (en) * 2014-06-26 2017-11-28 Fisher & Company, Incorporated Power seat assembly
CN107264348B (zh) * 2016-04-07 2020-03-31 上海沃雨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手动儿童安全座椅
JP7116687B2 (ja) * 2019-01-08 2022-08-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FR3097815B1 (fr) * 2019-06-25 2021-07-0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ège de véhicule à dossier inclinable
US11091067B2 (en) * 2020-01-06 2021-08-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ing assembly with fold flat seatback
KR20220014463A (ko) * 2020-07-28 2022-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104019A1 (en) 2002-06-07 2003-12-18 Intier Automotive Inc. Lost motion dual disc seat recline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45626B2 (en) 2023-09-05
US20220111771A1 (en) 2022-04-14
CN114347877A (zh)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9903B (zh) 具有高度调节装置的车辆座椅
US7090277B2 (en) Gear drive and linkage for power operated seat assembly
US20140203611A1 (en)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US20060131945A1 (en) Vehicular seat
JP2004082886A (ja) 車両用シートの収納補助装置
JPH06510257A (ja) シート位置の水平方向の調整装置
US20090273220A1 (en) Ottoman Device
JP6962845B2 (ja) 車両用シート
US11548424B2 (en) Power leg rest for vehicle
JP2021100852A (ja) 乗物用シート
US4929024A (en) Power seat recliner
KR20220048137A (ko) 차량 시트용 이중 기어식 리클라이너 장치
JP200710632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219738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5494302B2 (ja) 車両用シートの折り畳み式オットマン装置
JP2010082099A (ja) 車両用シート
KR20210016886A (ko) 단일 구동부로 풋레스트 작동이 가능한 리클라이너 시트
JP4595710B2 (ja) シートバック中折れ機構
EP4011694A1 (en) Seat frame
US20210316639A1 (en) Multidirectional control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JP6225746B2 (ja) 乗物用シート
JP2015003573A (ja) 乗物用シート
KR20220016370A (ko) 차량의 암레스트
JP4742739B2 (ja) 車両用シート
JP6121713B2 (ja) 乗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