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327A - 청소기 스테이션 - Google Patents

청소기 스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327A
KR20220041327A KR1020200124376A KR20200124376A KR20220041327A KR 20220041327 A KR20220041327 A KR 20220041327A KR 1020200124376 A KR1020200124376 A KR 1020200124376A KR 20200124376 A KR20200124376 A KR 20200124376A KR 20220041327 A KR20220041327 A KR 20220041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housing
dust
disposed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송승현
김진주
전호일
손내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327A/ko
Priority to PCT/KR2021/011801 priority patent/WO2022065728A1/ko
Priority to CN202180054817.5A priority patent/CN116075258A/zh
Priority to AU2021349029A priority patent/AU2021349029A1/en
Priority to US18/028,308 priority patent/US20230404343A1/en
Priority to EP21872758.4A priority patent/EP4218518A1/en
Publication of KR20220041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63External storing devices; Stands, casings or the like for the storage of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 A47L9/0027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the suction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6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of vacuum cleaners or the accessories thereof
    • A47L9/2873Docking units or charging st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2Docking stations; Docking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소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청소 모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 및 걸림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외벽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청소기의 청소 모듈을 수납하는 수납부, 청소기의 보조 흡입구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며, 수납부는 하우징 커버에 의해 외부에 분리될 수 있어, 청소 모듈을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공간에 거치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걸림장치는 물걸레를 포함하는 보조 흡입구를 외부에 거치하여 낙수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청소기 스테이션 {STATION FO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소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청소 모듈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 및 걸림장치가 구비된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
그러나,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청소기의 배터리를 자주 충전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특허문헌 KR10-2061513 B1에는 청소기의 거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배터리가 장착된 청소기를 거치하며 충전할 수 있는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은 종래의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에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 먼지가 비산하여 사용자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보조 흡입유닛을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연결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특허문헌은 보조 흡입유닛이 외부에 노출되어 심미성을 해하며, 연결포트와 거치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과도한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보조 흡입유닛이 물걸레를 구비한 경우, 낙수에 의해 누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청소기 스테이션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첫째,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셋째, 청소기에 사용되는 청소 모듈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공간에 거치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넷째, 물걸레를 포함하는 보조 흡입구를 외부에 거치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청소기 스테이션은, 외벽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의 청소 모듈을 수납하는 수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외벽면에서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면; 및 상기 수납면과 상기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 외부와 분리된 수납공간;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상기 결합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면은, 외벽면과의 단차가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힌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정면에서 양측으로 열릴 수 있다.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 상기 청소 모듈을 물어 잡는 지지장치;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수납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일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 모듈이 인입될 수 있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개방된 너비가, 상기 접촉면의 좌우방향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은,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개방된 너비가, 상기 청소 모듈의 직경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청소기의 보조 흡입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장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노즐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거치부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지면지지부; 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구는, 상기 노즐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지면지지부의 외부에서 지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노즐거치부는, 중력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더 짧아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는, 내면에 중공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청소솔 걸이;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청소솔 걸이와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청소솔 받침;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면은, 상기 청소 모듈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공간은, 내측면에 상기 청소 모듈과 접촉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지지장치의 상하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청소기의 연장관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관 인입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연장관 인입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과 접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의하면,
첫째,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통 내의 먼지를 스테이션 내부로 흡입하여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청소기에 사용되는 청소 모듈을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공간에 거치하여 심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넷째, 물걸레를 포함하는 보조 흡입구를 외부에 거치하여 낙수에 의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과 제1 청소기 및 제2 청소기로 구성된 먼지 제거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형이 개시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외형을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의 일측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구조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제1 청소 모듈이 결합되는 구조를 확대한 부분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의 구조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제2, 제3 청소 모듈 및 청소솔이 결합되는 구조를 확대한 부분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에 보조 흡입구가 거치된 외형을 개시한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걸림장치가 개폐된 상태를 각각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걸림장치에 보조 흡입구가 거치된 상태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하우징 커버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걸림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거치되는 제1 청소 모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거치되는 제2 청소 모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에 거치되는 제3 청소 모듈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거치되는 청소솔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외형이 개시되고, 도 2 및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의 커버부가 개방된 상태의 외형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기본적인 구성을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청소기(2, 3, 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청소기(2, 3)는 제1 청소기(2) 및 제2 청소기(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일측면에는 제1 청소기(2)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의 본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3)가 도킹(docking)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청소기(2)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2 청소기(3)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1 청소기(2) 및 제2 청소기(3)의 구성을 소개한다.
제1 청소기(2)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청소기(2)는 핸디형 청소기나, 스틱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청소기 스테이션(1)에 거치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청소기 스테이션(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는 본체 하우징, 흡입부, 먼지 분리부, 흡입 모터, 핸들, 연장관, 조작부 및 배터리와 같은 기본 구성(미도시)과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청소기(2)의 기본 구성을 설명한다.
본체 하우징은 제1 청소기(2)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본체 하우징은 흡입 모터와 필터 등의 구성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은 원통에 유사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흡입부는 본체 하우징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부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는 연장관과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이하, '흡입 유로'라고 부를 수 있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흡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흡입부를 통해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먼지통과 연통될 수 있다.
먼지 분리부는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에서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싸이클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입부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먼지 분리부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또한, 먼지 분리부의 중심 축을 기준으로 싸이클론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흡입 모터는 공기를 흡입시키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흡입 모터는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 모터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핸들은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를 목적 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핸들은 흡입 모터의 후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예로, 핸들은 원기둥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핸들은 구부러진 대략적인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은 본체 하우징 또는 흡입 모터 또는 먼지 분리부와 소정 각도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핸들에 배치될 수 있다. 조작부는 핸들의 상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제1 청소기(2)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먼지통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와 연통될 수 있다. 먼지통은 먼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에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은 핸들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 하우징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의 후면은 핸들과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은 하방으로 개구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의 수용부를 통하여 배터리가 탈착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1 청소기(2)의 흡입 모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제1 청소기(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배터리는 배터리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터리는 배터리 하우징의 하방에서 배터리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배터리는 배터리 하우징 내부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배터리의 하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제1 청소기(2)는 연장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은 청소 모듈(20)과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은 본체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은 본체의 흡입부와 연통될 수 있다. 연장관은 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는 연장관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연장관을 통해 청소 모듈(20)과 연결될 수 있다. 본체는 흡입 모터를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연장관을 통해 청소 모듈(20)에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체에는 청소 모듈(20)과, 연장관을 통해 외부의 먼지가 유입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청소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청소 모듈(20)은 본체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의 공기는 제1 청소기(2)의 본체에서 발생한 흡입력에 의해 청소 모듈(20)로부터 제1 청소기(2)의 본체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내의 먼지는 중력 및 집진 모터(510)의 흡입력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의 먼지 집진부(400)로 포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도 먼지통 안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먼지통을 비우게 되는 경우 먼지가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는 하우징(100)의 일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의 본체는 결합부(300)에 거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및 배터리 하우징은 결합면(3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청소기(2)의 연장관은 연장관 인입홈(320)에 결합될 수 있다.
먼지 제거 시스템(10)은 제2 청소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는 로봇 청소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는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로봇 청소기의 이동의 위한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청소기(3)는 도킹 스테이션에 도킹(docking)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제2 청소기(3) 내의 먼지는 제2 유로(미도시)를 통해 먼지 집진부(400)로 포집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에는 제1 청소기(2)와, 제2 청소기(3)가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기 스테이션(1)의 측면에는 제1 청소기(2)의 본체가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부에는 제2 청소기(3)가 도킹(docking)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청소기(2)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2 청소기(3)의 먼지통(미도시)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외벽면을 포함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00)은 사각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 집진부(400) 및 먼지 집진부(400)로 먼지가 집진되는 유동력을 발생시키는 먼지 흡입 모듈(50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상부면(120), 바닥면(130) 및 외벽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면(120)은 하우징(100)의 최상단을 정의할 수 있다. 상부면(120)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최상단에서, 외부와 분리할 수 있다.
상부면(120)은 디스플레이 패널(12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작동상태, 청소기(2, 3)의 결합 내지 도킹 여부, 청소기(2, 3) 먼지통의 비움 상황, 청소기 스테이션(1)의 먼지 집진부(400)의 교체 신호,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을 외부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행정의 상황 또는 잔여 시간 등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21)은 제어부(미도시)와 연동되어 제2 청소기(3)의 청소 영역 및 목적 지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바닥면(130)은 먼지 흡입 모듈(500)의 중력 방향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바닥면(130)은 먼지 흡입 모듈(500)의 집진 모터(5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바닥면(130)은 지면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바닥면(130)은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은 물론,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집진 모터(5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1 청소기(2)가 결합된 경우에도 전체적인 무게의 균형을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130)은 청소기 스테이션(1)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지면지지부(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지면지지부(131)는 바닥면(130)에서 연장 형성된 판 형태일 수 있고, 바닥면(130)에서 하나 이상의 프레임이 지면 방향을 따라 돌출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지면지지부(131)는 제1 청소기(2)가 장착되는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균형 및 전후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선대칭 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벽면(140)은 중력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바닥면(130)과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벽면(140)은 바닥면(130)과 수직하게 연결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예로, 외벽면(140)은 바닥면(130)과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벽면(140)은 적어도 하나의 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외벽면(140)은 제1 외벽면(141), 제2 외벽면(142), 제3 외벽면(143) 및 제4 외벽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1 외벽면(141)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정면이라 함은, 제1 청소기(2)가 결합되어 있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41)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정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이해를 위하여 방향에 대하여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거치된 상태에서 방향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거치된 상태에서 제1 청소기(2)의 본체가 관통하는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부면을 정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정면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제1 외벽면(141)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거치되었을 때, 제1 청소기(2)의 적어도 일부가, 청소기 스테이션(1)의 외부로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부를 수 있다.
결합부(300)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정면과 마주보는 방향의 면을 청소기 스테이션(1)의 후면이라고 부를 수 있다. 따라서, 후면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제2 외벽면(142)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좌측의 면을 좌면이라 부를 수 있고, 우측의 면을 우면이라 부를 수 있다. 따라서, 좌면은 제3 외벽면(143)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우면은 제4 외벽면(144)이 형성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외벽면(141)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벽면(141)은 제1 청소기(2)의 형상에 대응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외벽면(141)에는 결합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청소기(2)는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제1 외벽면(141)의 개방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외벽면(141)이 제1 청소기(2)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정 깊이만큼 내부 공간으로 함몰되는 경우에는, 대응하여 함몰된 부분을 의미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외벽면(141)에는 제1 청소기(2)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측면에 청소 모듈(20)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설시하고 있으나, 추가적으로 제1 외벽면(141)에 수납부(110)의 다양하게 변형된 구성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벽면(141)에는 제2 청소기(3)가 도킹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외벽면(141)에는 제2 청소기(3)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벽면(141)에는 제2 청소기(3)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30)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외벽면(142)은 제1 외벽면(141)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즉, 제2 외벽면(142)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후면이라 함은, 제1 청소기(2) 또는 제2 청소기(3)가 결합되는 면과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42)은 청소기 스테이션(1)의 후면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외벽면(142)은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을 실내의 벽에 밀착시킬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외벽면(142)에는 제1 청소기(2)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90)을 거치하는 구조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2 외벽면(142)에는 제2 청소기(3)가 도킹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외벽면(142)에는 제2 청소기(3)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벽면(142)에는 제2 청소기(3)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30)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에 제2 청소기(3)가 결합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추어 청소기 스테이션(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 외벽면(143) 및 제4 외벽면(144)은 제1 외벽면(141)과 제2 외벽면(142)을 연결시키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3 외벽면(143)이 스테이션(1)의 좌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44)이 청소기 스테이션(1)의 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외벽면(143)이 청소기 스테이션(1)의 우면에 배치되고, 제4 외벽면(144)이 청소기 스테이션(1)의 좌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3 및 제4의 순서는 방향을 의미하지 않으며 편의에 따라 서로 교환될 수도 있다.
제3 외벽면(143) 또는 제4 외벽면(144)은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은 물론, 전체적으로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일부분에 곡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외벽면(143) 또는 제4 외벽면(144)에는 제1 청소기(2)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청소 모듈(290)을 거치하는 구조, 즉 수납부(110)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하여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또한, 제3 외벽면(143) 또는 제4 외벽면(144)에는 제2 청소기(3)가 도킹할 수 있는 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3 외벽면(143) 또는 제4 외벽면(144)에는 제2 청소기(3)의 형상에 대응하는 구조가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외벽면(143) 또는 제4 외벽면(144)에는 제2 청소기(3)의 하측 면이 결합될 수 있는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이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다른 실시예로, 청소기 바닥판(미도시)은 바닥면(130)에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하우징(100)의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 커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외벽면(140)과 결합하여, 외벽면(140)을 외부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상부면(120) 및 바닥면(130)과 함께, 청소기 스테이션(1)의 대략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의 외형은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개폐가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시 하우징 커버(200)를 열어, 내부를 조작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정면에서 좌우 방향으로 열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다르게, 후면에 정면으로 열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복수개의 커버(210, 220)의 집합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제1 청소기(2)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300)는 제1 외벽면(141)에 배치되고, 제1 청소기(2)의 본체, 먼지통 및 배터리 하우징(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결합면(3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310)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310)은 제1 외벽면(141)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홈 형태로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결합면(310)은 제1 외벽면(141)과 단을 이루어 형성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결합면(310)에는 제1 청소기(2)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310)은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및 배터리 하우징(230)의 하측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면은 사용자가 제1 청소기(2)를 사용하거나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을 향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면(310)이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가 결합면(310)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결합면(310)은 지면과 소정 각도로 경사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청소기(2)가 결합면(310)에 결합될 경우 청소기 스테이션(1)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결합면(310)은 먼지통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먼지통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이 배치되는 구조를 따라서 제1 외벽면(141)에서 굴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연장관 인입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관 인입홈(320)에는 제1 청소기(2)의 연장관이 결합될 수 있다.
연장관 인입홈(320)은 연장관의 외형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대략적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연장관의 외형을 고려하여, 연장관 인입홈(320)은 일정 곡률을 갖도록 함몰된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장관 인입홈(320)은 제1 외벽면(141)과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관 인입홈(320)은 제1 외벽면(141)의 결합면(310)과 연결된 측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부(300)는 결합 센서(320,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센서(330)는 제1 청소기(2)가 결합부(300)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결합 센서(330)는 접촉 센서 또는 비접촉 센서가 선택될 수 있다.
결합 센서(330)는 결합면(3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청소기(2)의 본체와 접촉하는 내부 공간의 어느 하나의 위치가 선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고정 유닛(600,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600)은 측벽(124)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600)은 결합면(310)의 이면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600)은 결합면(31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유닛(600)은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및 배터리 하우징(23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610, 미도시)와, 고정부재(610)를 구동시키는 고정부 모터(620,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600)은 고정부 모터(620)의 동력을 고정부재(610)에 전달하는 고정부 기어(134) 및 고정부 기어(134)의 회전 운동을 고정부재(610)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고정부 링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610)는 결합부(30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고정부재(610)는 결합면(310)을 중심으로 2개가 대칭적으로 쌍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 모터(620)는 고정부재(61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 모터(620)는 고정부재(610)를 기어를 통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이라 함은, 고정부재(610)를 측벽(124) 내부에서부터 먼지통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역방향이라 함은, 고정부재(610)가 먼지통을 누르는 위치에서부터 측벽(124) 내부로 이동시키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정방향은 역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300)에 제1 청소기(2)의 본체가 배치되는 경우, 고정 유닛(600)는 제1 청소기(2)의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청소기(2)의 본체가 청소기 스테이션(1)의 결합부(300)에 결합되면, 고정부 모터(620)는 고정부재(610)를 이동시켜 제1 청소기(2)의 본체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먼지 집진부(400,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집진부(400)은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400)는 결합부(30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먼지 집진부(400)의 지면으로부터 높이는, 결합부(300)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더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4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수납부(110)의 중력 방향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먼지 흡입 모듈(5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결합부(300), 커버부(200), 먼지 집진부(400) 및 먼지 흡입 모듈(500)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집진부(400)는 롤 비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롤 비닐은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먼지통으로부터 떨어지는 먼지의 하중에 의해 아래로 펼쳐질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접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는 하우징(100)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먼지 집진부(4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접합부는 먼지가 포집된 롤 비닐의 상부 영역을 절단 및 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합부는 롤 비닐을 중앙 영역으로 모아 롤 비닐의 상부 영역을 열선 접합할 수 있다. 접합부는 제1 접합 부재(미도시)와 제2 접합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1 접합 구동부(174)를 통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 접합 부재(미도시)는 제2 접합 구동부(175)를 통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제1 청소기(2) 또는 제2 청소기(200)로부터 포집한 먼지를 롤 비닐 내부에 모을 수 있고, 롤 비닐을 자동으로 접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먼지가 포집된 봉투 등을 별도로 묶을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유로부(700,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부(7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제1 청소기(2) 또는 제2 청소기(3)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유로부(700)는 제1 청소기(2)의 먼지통과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하는 제1 유로(710)와 제2 청소기(3)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하는 제2 유로(720)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먼지 집진부(400)과 연결되는 제1 유로(710, 미도시)와 제2 유로(720, 미도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유로 전환 장치(730,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710)는 제1 청소기(2)의 먼지통과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유로(710)는 결합면(31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유로(710)는 제1 청소기(2)의 먼지통과 먼지 집진부(400) 사이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1 유로(710)는 제1 청소기(2)의 먼지통과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 통로로 정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유로(710)는 먼지 통에서 후측으로 형성된 공간일 수 있고, 먼지 통에서 하방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먼지 및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일 수 있다. 제1 유로(710)를 통해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400)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유로(710)는 제1 수납공간(111)과 제2 수납공간(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수납부(110)의 배치에 대하여 후술하며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제2 유로(720)는 제2 청소기(3)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유로(720)를 통해 제2 청소기(3) 내의 먼지가 먼지 집진부(400)로 이동할 수 있다.
유로 전환 장치(730)는 먼지 집진부(400)과, 제1 유로(710) 및 제2 유로(7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 전환 장치(730)는 먼지 집진부(400)과 연결되는 제1 유로(710)와 제2 유로(720)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710, 730)가 개방됨으로써 발생하는 흡입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소기 스테이션(1)에 제1 청소기(2)만 도킹된 경우, 유로 전환 장치(730)는 제1 유로(710)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720)와 먼지 집진부(400)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청소기 스테이션(1)에 제2 청소기(3)만 결합된 경우, 유로 전환 장치(730)는 제1 유로(710)와 먼지 집진부(40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720)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청소기 스테이션(1)에 제1 청소기(2)와 제2 청소기(3)가 모두 도킹되는 경우, 유로 전환 장치(730)는 제1 유로(710)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시키고, 제2 유로(720)와 먼지 집진부(400)의 연결을 분리시켜 제1 청소기(2)의 먼지통의 먼지를 먼저 제거할 수 있다. 이 후, 유로 전환 장치(730)는 제1 유로(710)와 먼지 집진부(400)의 연결을 분리시키고, 제2 유로(720)와 먼지 집진부(400)를 연결시켜 제2 청소기(3)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제1 청소기(2)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먼지 흡입 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흡입 모듈(500)은 집진 모터(51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모터(510)는 먼지 집진부(4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510)는 제1 유로(710)와, 제2 유로(720)에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집진 모터(510)는 제1 청소기(2)의 먼지통 내의 먼지와, 제2 청소기(3) 내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집진 모터(510)는 회전에 의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모터(510)는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 흡입 모듈(500)은 프리 필터를 먼지 집진부(400)와 집진 모터(510)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헤파(HEPA) 필터를 집진 모터(510)와 하우징(100) 사이에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먼지를 거를 수 있는 다양한 필터가 선택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충전부(800)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는 결합부(300)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부(800)는 결합부(30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800)는 결합부(300)에 결합되는 제1 청소기(2)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800)는 하우징(10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800)는 하우징(100)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2 청소기(3)의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는 측면 도어(420) 및 측면 도어(420)를 잠글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참조) 사용자는 도어 개방장치(410)를 조작하여 측면 도어(145)를 개폐할 수 있다. 측면 도어(420)는 먼지 집진부(400)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먼지 집진부(400)를 청소기 스테이션(1)으로부터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수납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서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은 하우징(100)에 수납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되는 청소기(2, 3)가 포함하는 청소 모듈(20)을 수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납부(110)는 수납공간(111, 112), 수납면(114, 115) 및 지지장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110)는 하우징(100)의 외벽면(141, 142, 143, 144)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부가 제3 외벽면(143) 및 제4 외벽면(144)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도시(도 2 및 도 3)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제1 외벽면(141) 또는 제2 외벽면(142)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하 편의상 본 발명의 수납부(110)는 제3 외벽면(143) 및 제4 외벽면(144)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서술하기로 한다.
수납부(110)는 외벽면(143, 144)에서 함몰된 수납공간(111, 11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벽면(143, 144)에서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면(114, 115)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공간(111, 112)은 하우징 커버(200)와 수납면(114, 115) 사이의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수납공간(111, 112)은 하우징 커버(200)에 의하여 외부와 분리될 수 있고, 하우징 커버(200)가 개방되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 커버(200)를 열어 수납공간(111, 112)에 청소 모듈(20)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청소 모듈(20)을 수납한 뒤 하우징 커버(200)를 닫아, 수납공간(111, 112) 및 수납공간(111, 112)에 배치된 청소 모듈(20)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미 사용시 청소 모듈(20)을 외부에 노출하지 않아, 사용자에게 심미성을 제공할 수 있다.
수납부(100)는 수납공간(111, 112)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수납공간(111, 112)의 면적과 부피는, 배치 예정된 청소 모듈(20)의 형상과 부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면(114, 115)은 수납공간(111, 112)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납면(114, 115)의 형상 또한, 배치 예정된 청소 모듈(20)의 형상과 부피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111, 112)과 수납면(114, 115) 및 청소 모듈(20)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수납부(110)는 지지장치(11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수납면(114, 115)과 결합될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수납공간(111, 112)에 배치되며, 수납공간(111, 112)에 거치된 청소 모듈(20)을 물어 잡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청소 모듈(20)의 파이프 또는 노즐을 물어 잡을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수납공간(111, 112)의 내부에 거치되는 청소 모듈(20)의 부피를 고려하여, 수납공간(111, 112)에 하나가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지지장치(113)는 제1 수납공간(111)에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장치(113)는 제2 수납공간(112)에 두개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장치(113)의 상세한 형상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3 외벽면(143)에 배치된 수납공간을 제1 수납공간(111), 제4 외벽면(144)에 배치된 수납공간을 제2 수납공간(112)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제3 외벽면(143)에서 함몰된 수납면을 제1 수납면(114)으로, 제4 외벽면(144)에서 함몰된 수납면을 제2 수납면(115)으로 칭할 수 있다. 이하, 특별하게 호칭하지 않는 경우, 편의상 위와 같은 명칭으로 서술하기로 한다.
제1 수납공간(111)과 제2 수납공간(112)은, 제1 유로(710)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납공간(111) 및 제2 수납공간(112)이 함몰된 높이는, 각각 청소기 스테이션(1)의 좌우 너비, 즉, 제3 외벽면(143)과 제4 외벽면(144)의 최대 간격의 절반보다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납면(114, 115)이 제3 외벽면(143) 및 제4 외벽면(144)으로부터 함몰된 단차는, 제3 외벽면(143)과 제4 외벽면(144)의 최대 간격, 즉,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짧을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 유로의 배치된 위치가 외벽면(141, 142, 143, 144)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수납공간의 함몰된 높이가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적어도 일측면, 즉 하나 이상의 외벽면(141, 142, 143, 144)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200)는, 열린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외벽면(141, 142, 143, 144)과 외벽면(141, 142, 143, 144)에 배치된 수납부(110)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20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좌우로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결합면(310) 및 연장관 인입홈(3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정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정면에서 개방된 하우징 커버(200)의 단부를 파지하여 개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커버(200)가 후면에서 정면을 향하여, 좌우로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개방을 위해 파지할 수 있는 홈이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하우징(100)의 좌면에 배치되는 제3 외벽면(143)을 감싸는 부분을 제1 커버(210)로, 하우징(100)의 우면에 배치되는 제4 외벽면(144)을 감싸는 부분을 제2 커버(220)로 명명할 수 있다. 이는 서술상 편의를 위한 것으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결합면(310) 및 연장관 인입홈(320)에 대응하도록 정면의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청소기(2)가 청소기 스테이션(1)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 커버(200)는 연장관과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연장관을 좌우에서 지지하여,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져, 연장관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20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고정 장치(240,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장치(240)는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의 최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버(210)와 제2 커버(220)는 개폐를 위해 힌지부(211, 221)가 결합될 수 있다. 힌지부(211,221)는 커버(210, 220)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부(211,221)는 힌지(211a, 221a)와 힌지 링크(211b, 221b)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211a, 221a)는 상판과 하판을 회전 가능하게 이어주는 부재를 의미하며 부싱(Bushing)과 샤프트(Shaft)로 구성될 수 있다. 힌지(211a, 221a)는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형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버(210, 220)를 정면에서 좌우로 개방하기 위하여, 힌지(211a, 221a)가 커버(210, 220)의 후면측 내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210, 220)는 힌지(211a, 221a)를 중심축으로 각각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커버(210, 220)를 정면에서 좌우로 개방하기 위하여, 힌지(211a, 221a)가 커버(210, 220)의 정면측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힌지 링크(211b, 221b)는 힌지(211a, 221a)의 회전력을 커버(210, 220)에 보다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힌지 링크(211b, 221b)는 커버(210, 220)의 내면에 대응하여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힌지 링크(211b, 221b)는 커버(210, 220)의 내주면에 중력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힌지 링크(211b, 221b)가 중력방향을 따라 적어도 2이상 구비되는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커버(210, 220)를 개방하기 위해 파지하는 높이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커버(210, 220)에 가하는 힘이 힌지 링크(211b, 221b)를 통해 상하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파지위치에 불구하고, 커버(210, 220)를 효율적으로 열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양측면의 외벽면(143, 144)에는 링크 가이드홈(143a, 144a)이 형성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홈(143a, 144a)은 힌지 링크(211b, 221b)가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링크 가이드홈(143a, 144a)은 힌지 링크(211b, 221b)의 형상에 대응하여 함몰된 홈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커버(210, 220)가 닫힌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밀착될 수 있다. 링크 가이드홈(143a, 144a)의 개수는 힌지 링크(211b, 221b)의 개수에 대응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수납면(115)에서 복수개의 지지돌기(115a, 115b)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15a, 115b)의 구체적 형상 및 청소 모듈(20)을 지지하는 구조는 도 8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2 커버(220)의 내면에 솔 거치부(222, 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 거치부(222, 223)는 제1 청소기(2)와 청소 모듈(20)의 외부에 쌓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청소용 솔(24)을 거치할 수 있다. 상세한 형상 및 거치구조는 도 9a, 도 9b 및 도 2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200)의 일측을 분해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버(210, 220)는 힌지부(211, 221)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211, 221)의 구성은 전술한 바 있어, 중복 서술을 방지하고자 이하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을 서술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제1 커버(210)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커버(210)가 중력방향으로 3개의 힌지(221a)를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하로 각각 구비된 힌지(221a)는 회전하며 제1 커버(210)를 각각 지지하여, 덜컹거림이나 벌어지는 현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배치된 힌지(221a)는 제1 커버(210)와 제3 외벽면(143)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여,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제1 커버(210)의 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221a)는 대략적인 '┏'과 같이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 단부에는 힌지(221a)를 회전시킬 수 있는 샤프트가 삽입될 수 있다. 타측 단부는 힌지 링크(221a)가 연결될 수 있다. 힌지 링크(221a)가 생략된 경우에는 제1 커버(210)의 내측면에 연결될 수도 있다.
힌지 링크(221a)는 제1 커버(210)와 적어도 2회 이상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결합의 방식은 핀이나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용접이나 열처리와 같은 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결합 방식이 활용될 수 있다.
힌지 링크(221a)는 제1 커버(210)의 형상에 대응하여 일자로 연장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 커버(210)의 굴곡진 형상에 대응하여 일부가 굴곡지게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버(210)의 내측에 걸림장치(230)의 내측커버(233)가 구비될 수 있다. 내측커버(233)는 걸림장치(230)의 회전판(232)이 회전할 때, 외벽면(143, 144)에 의해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커버(233)에 의해 걸림장치(230)는 하우징 커버(200)의 내부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걸림장치(230)의 상세한 형상 및 결합 구조는 이하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1 커버(210)와 힌지부(211)의 형상 및 결합 구조는, 대칭되는 제2 커버(220)와 힌지부(221)의 형상 및 결합 구조의 설명에 원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에 제1 청소 모듈(21)이 결합되는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113)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납부(110)에 거치되는 제1 청소 모듈(21)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113)는 결합부(1131), 접촉면(1132), 탄성편(1133) 및 개구부(11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개구부(1134)를 통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청소 모듈(20)을 물어 잡을 수 있다. 지지장치(113)의 형상은 대략적으로 'C'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34)의 위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수납면(114, 115)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지장치(113)가 청소 모듈(20)을 좌우에서 물어 잡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에서 물어 잡는 방식이 선택될 수도 있다.
결합부(1131)는 수납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부(1131)는 지지장치(113)를 수납면(114, 115) 또는 수납공간(111, 112)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결합부(1131)가 수납면(114,115)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청소 모듈(20)의 형상을 고려하여 수납공간(111, 112)의 측벽이나 하부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부(1131)는 내부에 결합부재가 인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면(114,115) 또는 수납공간(111, 112)의 측벽이나 하부면에는, 상기 홀에 대응하여, 결합부재가 인입될 수 있는 홀이나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131)는 배치되는 소정의 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면(1132)은 일면에서 상기 결합부(1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면(1132)은 타측면에서, 지지장치(113)의 내부에 거치된 청소 모듈(20)과 접촉할 수 있다. 접촉면(1132)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132)은 접촉하는 청소 모듈(20)의 형상을 고려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1132)은 내부에 결합부재가 인입될 수 있는 홀(1132a)이 형성될 수 있다. 홀(1132a)은, 전술한 결합부(1131)의 홀, 그리고 수납면(114,115) 또는 수납공간(111, 112)의 측벽이나 하부면에 형성된 홀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대응되는 홀(1132a)에 단일 부재가 관통되어, 지지장치(113)는 수납면(114,115) 또는 수납공간(111, 112)의 측벽이나 하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편(1133)은 접촉면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1133)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탄성편(1133)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청소 모듈(20)의 노즐 또는 파이프가 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탄성편(1133)은, 청소 모듈(20)의 노즐 또는 파이프의 형상을 고려하여,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청소 모듈(20)의 노즐 또는 파이프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을 이루는 바, 굴곡진 탄성편(1133)의 형상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 쌍의 탄성편(1133)은 동일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대칭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변경되는 경우,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측의 탄성편(1133)이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탄성편(1133)의 길이가 서로 달라지면, 개구부(1134)의 위치가 달라질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청소 모듈(20)을 쉽게 거치시킬 수 있는 위치로 개구부(1134)를 형성하기 위해, 길이가 변형될 수도 있다.
개구부(1134)는 한 쌍의 탄성편(1133)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청소 모듈(20)이 인입될 수 있는 개방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개구부(1134)의 너비는 탄성편(1133)의 수납공간(111, 112)내부에 배치된 단부 사이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탄성편(1133)의 일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접촉면(1132)의 좌우 너비로 결정되며, 타측 단부 사이의 거리는 개구부(1133)의 너비로 결정될 수 있다.
개구부(1133)의 너비는 접촉면(1132)의 좌우방향 너비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장치(113)의 내부 공간으로 거치된 청소 모듈(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1133)의 개방된 너비는 청소 모듈(20)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청소 모듈(20)을 개구부(1133)에 힘을 가해 벌려, 억지로 밀어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청소 모듈(20)이 지지장치(11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뒤, 다시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인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통해, 청소 모듈(20)이 지지장치(113)의 내부 공간에서 자연적으로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b 및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에 제1 청소 모듈(21)이 거치되는 구조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는 제1 수납공간(111) 및 제1 수납면(1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납부(110)는 제3 외벽면(143)에 구비된 것으로 편의상 서술한다. 다만 외벽면(140)중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제1 수납공간(111)은 하나의 지지장치(113)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제1 수납면(114)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수납면(114)은 중앙이 가장 깊이 함몰되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일부는 곡면을 가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수납면(114)은 복수개의 홈(114a, 114b)과 소정의 각도로 연장 형성된 경사면(11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를 기준으로 제1 홈(114a)은 상측에 제2 홈(115a)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납면(114)의 형상은 배치되는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 이하 제1 청소 모듈(2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청소 모듈(21)은 노즐(21a), 롤러(21b) 및 청소부(2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21)은 카펫이나 침구류를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 흡입구(이하 '카펫 흡입구'이라 칭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의 털을 집중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청소용 흡입구(이하 '펫 흡입구'이라 칭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통상의 흡입구보다 높이가 더 얇은 마룻바닥 용 흡입구를 의미할 수도 있다.
노즐(21a)은 대략적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청소기(2)의 연장관과 연결될 수 있다.
롤러(21b)는 지면을 구를(Rolling)수 있는 장치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롤러(21b)를 굴려 제1 청소기(2)를 진행시킬 수 있다. 롤러(21b)를 통해 지면과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진행에 필요한 외력이 감소할 수 있다.
롤러(21b)는 지면에 일차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돌출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청소부(21c)에 비해 접촉이 선행될 수 있도록, 청소부(21c)의 기울어진 각도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롤러(21b)는 청소부(21c)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 각운동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롤러(21b)가 지면에 접촉한 후, 제1 청소기(2)의 자중에 의해 눌려, 이차적으로 청소부(21c)가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청소부(21c)는 지면에 접촉하여 먼지가 혼합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청소부(21c)는 사용자의 편의와 지면과의 접촉 유지를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청소부(21c)의 접촉면은 노즐(21a)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청소 모듈(21)은 제3 외벽면(143)측에 형성된 수납부(110)에 거치될 수 있다. 수납부(110)의 위치가 제2 또는 제4 외벽면(142, 144)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제1 청소 모듈(21)의 노즐(21a)은 지지장치(113)에 인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된 상태에서, 탄성편(1133)이 노즐(21a)을 양측에서 물어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의 내부 공간의 좌우 폭은, 노즐(21a)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노즐(21a)에 의해 탄성편(1133)이 좌우로 벌어져, 원상태로 복구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21a)은 탄성력에 의해 더욱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청소 모듈(21)의 롤러(21b)는 제1 수납면(114)에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롤러(21b)는 청소부(21c)의 연장선보다 더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납면(114)에는 롤러(21b)가 변형되지 않고 배치될 수 있는 제2 홈(114b)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참조)
제2 홈(114b)은 롤러(21b)의 직경을 고려하여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홈(114b)은 좌우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작시 금형상의 편의를 도모하며, 나아가 제2 홈(114b)에 인입되는 구성의 형상 및 위치의 변경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제1 수납면(114)은 지지장치(113)의 상측에 제1 홈(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114a)은 제1 청소 모듈(2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펫 노즐로 치환될 경우, 구성이 내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홈(114a, 114b)의 형상이나 위치는 제1 수납공간(111)에 배치되는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따라 변형 가능하다.
경사면(114c)는 제1 청소 모듈(21)의 청소부(21c)가 배치되어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소부(21c)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경사면(114c)은 청소부(21c)의 기울어진 각도에 대응하여 기울어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4c)의 기울어진 각도와 면적은 청소부(21c)의 기울어진 각도 및 면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 모듈(20)의 구성이나 형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고, 경사면(144c)이 배치될 필요가 없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나아가, 청소 모듈(20)이 뒤집어 배치되는 경우, 지지장치(131)를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청소 모듈(21)이 제1 수납공간(111) 내부에 거치된 후, 사용자는 제1 커버(210)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청소 모듈(21)은 거치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에 제2, 제3 청소 모듈(22, 23)이 결합되는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는 제2 수납공간(112) 및 제2 수납면(1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수납부(110)는 제4 외벽면(144)에 구비된 것으로 편의상 서술한다. 다만 외벽면(140)중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이 자명하다.
제2 수납공간(112)은 두개의 지지장치(113)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장치(113)의 개수는 배치 예정된 청소 모듈(20)의 개수와 크기를 고려하여 증감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는 제2 수납면(11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납면(115)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이 가장 깊이 함몰되는 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차를 가지는 곡면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배치되는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수납면(115)은 복수개의 지지돌기(115a, 1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를 기준으로 제1 지지돌기(115a)은 상측에 제2 홈(115b)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납면(115)의 형상은 배치되는 청소 모듈(20)의 형상에 대응되는 바, 이하 제2 및 제3 청소 모듈(22, 2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에 거치되는 제2 청소 모듈(22)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납부(110)에 거치되는 제3 청소 모듈(23)을 도시하고 있다.
제2 청소 모듈(22)은 액자나 가구 표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공기 흡입구와 청소용 솔을 구비한 다용도 흡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제3 청소 모듈(23)은 기본적인 흡입구가 들어갈 수 없는 틈새를 청소하기 위해 얇고 길게 형성된 틈새용 흡입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은 굳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나, 손이 닿지 않는 상부를 청소할 수 있는 흡입구, 구부러질 수 있는 연장 자바라가 구비된 흡입구 등 다양한 흡입구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은 공통적으로 제1 청소기(2)의 연장관과 연결될 수 있는 노즐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의 노즐은 지지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의 노즐은 지지장치(113)에 인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거치된 상태에서, 탄성편(1133)이 노즐을 양측에서 물어 잡아 고정할 수 있다.
지지장치(113)의 내부 공간의 좌우 폭은,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의 노즐의 직경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노즐에 의해 탄성편(1133)이 좌우로 벌어져, 원상태로 복구하려는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즐은 탄성력에 의해 더욱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수납면(115)는 제1 지지돌기(115a) 및 제2 지지돌기(115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돌기(115a) 및 제2 지지돌기(115b)는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을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돌기(115a) 및 제2 지지돌기(115b)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장치(113)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2 청소 모듈(22) 및 제3 청소 모듈(23)의 노즐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은 지지돌기(115a, 115b)의 돌출된 높이만큼 개구부(1134)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탄성편(1133)은 개구부(1134)를 향하여 연장되며 간격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편(1133)이 갖는 탄성력 또는 지지력은, 개구부(1134)로 가까워질수록 더 커진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은 탄성편(1133)으로부터 더 강한 지지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제3 청소 모듈(22, 23)의 노즐에 돌출된 결합용 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지지돌기(115a, 115b)의 형상은 이에 대응하여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 제3 청소 모듈(22, 23)를 끼워 넣어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제3 청소 모듈(22, 23)이 제2 수납공간(112)의 내부에 거치된 후, 사용자는 제2 커버(210)를 닫아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제3 청소 모듈(22, 23)은 거치되어 사용되지 않을 때,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커버(220)는 청소솔 걸이(222)와 청소솔 받침(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청소설 걸이(222) 및 청소솔 받침(223)은 제1 커버(21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청소솔 걸이(222)는 제2 커버(220)의 내면에 중공형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청소솔 받침(223)은 제2 커버(22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청소솔 걸이(222) 및 청소솔 받침(223)의 구체적인 형상은 청소솔(24)의 형상에 대응되어 결정될 수 있는 바, 먼저 도 20을 참조하여 청소솔(24)에 대하여 서술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에 거치되는 청소솔(24)을 도시하고 있다.
청소솔(24)은 솔(24a), 솔인입부(24b), 바디(24c), 걸림 홈(24d), 홀(24e), 마감부(24f)를 포함한다.
청소솔(24)은 제1 청소기(2)와 다양한 청소 모듈(20)의 외형에 쌓인 먼지를 털어낼 수 있는 솔(24a)이 구비될 수 있다.
솔인입부(24b)는 솔(24a)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솔인입부(24b)의 타측은 바디(24c)와 연결될 수 있다. 솔인입부(24b)는 보다 많은 솔(24a)이 인입되되,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개방된 일측에서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일측에서의 폭이 바디(24c)와 연결된 타측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24c)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제1 청소기(2)와 다양한 청소 모듈(20)의 외부를 청소할 수 있다. 바디(24c)는 사용자의 편의성과 제1 청소기(2)의 외형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걸림 홈(24d)은 바디(24c)의 일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거치할 수 있는 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마감부(24f)는 바디(24c)와 연결되며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성을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청소솔 걸이(222)는 내부의 개방된 공간의 장축 길이가, 바디(24c)의 폭보다 길고 솔인입부(24b)의 최대 폭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솔(24)은 청소솔 걸이(222)에 걸려 아래로 추락하지 않고 거치될 수 있다.
청소솔 받침(223)은 마감부(24f)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솔 받침(223)은 청소솔 걸이(222)에서 중력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데, 이때의 소정의 간격은 바디(24c)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솔(24)이 청소솔 걸이(222)와 청소솔 받침(223)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에 보조 흡입구(30)가 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걸림장치(230)가 개폐된 상태를 각각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걸림장치(230)에 보조 흡입구(30)가 거치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하우징 커버(200)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1)의 걸림장치(23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200)는 걸림장치(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장치(230)는 이 거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 커버(20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장치(230)는 하우징 커버(2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2, 제3, 제4 외벽면(142, 143, 144)의 상측에 배치된 하우징 커버(200)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으로는, 하우징 커버(200)중 제1 커버(210) 및 제2 커버(220)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 흡입구(30)는 결합턱(31), 노즐(32) 및 청소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턱(31)은 걸림장치(230)에 결합되어, 보조 흡입구(30)를 거치시킬 수 있다. 노즐(31)은 제1 청소기(2)의 연장관에 연결되며, 대략적인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청소부(33)는 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청소부(33)는 사용자의 편의와 지면과의 접촉 유지를 위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즉, 청소부(33)의 접촉면은 노즐(31)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장치(230)에 거치되는 보조 흡입구(30)는 물걸레가 구비된 물걸레 흡입구가 선택될 수 있다. 물걸레 흡입구는 청소부(33)에 물걸레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 효율을 향상하고 지면으로부터 전진하는 지지력을 받기 위하여, 2개의 물걸레가 포함될 수 있다. 지면에 물걸레가 접촉될 수 있다. 물걸레는 청소 행정의 종료 이후 젖은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물걸레에서 낙하하는 낙수가 떨어지는 반경을 제한하기 위하여 지면에서의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장치(230)는 하우징 커버(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물걸레에서 발생된 낙수가 하우징(100)의 지면지지부(131)에 낙하될 수 있다. 지면지지부(131)에 낙수가 고이면 녹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곰팡이가 발생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청소기 스테이션(1)의 내부가 침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걸림장치(230)는 외부에 일정 길이 이상 돌출되어 형성될 필요가 있다.
걸림장치(230)는 노즐거치부(231), 회전판(232) 및 내측커버(23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232)은 하우징 커버(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판(232)은 360°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노즐거치부(231)는 회전판(232)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을 참조하면, 노즐거치부(231)는 접촉부(231a), 연결부(231b), 지지부(231c) 및 인입구(231d)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231a)는 노즐거치부(231)에서 결합턱(31)이 끼워지는 방향의 한 쌍의 단부로 정의할 수 있다.
연결부(231b)는 접촉부(231a)에서 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결합턱(3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측에서 간격이 좁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231c)는 연결부(231b)의 단부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31c)는 보조 흡입구(3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인입구(231d)는 한 쌍의 접촉부(231a) 사이의 빈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결합턱(31)은 인입구(231d)를 통하여 끼워져, 한 쌍의 연결부(231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노즐거치부(231)는 접촉부(231a)의 돌출된 높이가 연결부(231b)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31b)의 돌출된 높이는 지지부(231c)의 돌출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거치부(231)는 접촉부(231a)로부터 지지부(231c)까지 정면에서 바라볼 때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노즐거치부(231)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상측에서 돌출된 높이가 하측에서 돌출된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노즐거치부(231)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우징 커버(200)를 향하여 기울어져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을 통하여, 보조 흡입구(30)는 대략적으로 상측에서 하측으로 하우징 커버(200)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거치된 상태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거치된 상태에서의 보조 흡입구(30)는 청소부(33)의 최하단이 가장 하우징 커버(200)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물걸레에서 발생된 낙수가 하우징(100)의 지면지지부(131)에 낙하되면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거치부(231)는 청소부(33)의 최하단이 지면지지부(131)의 상공에서 배치되지 않도록, 소정의 길이 이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청소부(33)의 최하단에서 지면으로 연장된 연장선이, 지면지지부(131)의 외부에서 지면과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노즐거치부(231)와 걸림턱(31)의 돌출된 최소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물걸레가 외부에 노출된 채로 거치되어, 자연건조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회전판(232)은 일면에 노즐거치부(231)가 결합되되, 타면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32)의 중심에는 삽입홀(232a)이 구비될 수 있다. 삽입홀(232a)에는 회전핀(232b)가 인입될 수도 있다. 삽입홀(232a)은 회전판(232)의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232a)의 형성 방향을 기준으로 회전판(232)의 회전 방향이 결정 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보조 흡입구(30)가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판(232)은 타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즐거치부(231)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며, 하우징 커버(200)는 유선형의 외형을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다. 도 13과 같이, 사용자는 보조 흡입구(30)를 거치할 때에만 선택적으로, 회전판(232)을 180°회전시켜 노즐거치부(231)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230)는 내측커버(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커버(233)는 반 원주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커버(233)는 노즐거치부(231) 및 회전판(232)을 하우징 커버(200)의 내부공간과 분리할 수 있다. 회전판(232)의 회전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커버(233)의 직경은 회전판(232)의 좌우 또는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청소기 스테이션 2: 제1 청소기
20: 청소 모듈 21: 제1 청소 모듈
22: 제2 청소 모듈 23: 제3 청소 모듈
24: 청소솔 30: 보조 흡입구
31: 걸림턱 33: 청소부
100: 하우징 110: 수납부
111: 제1 수납공간 112: 제2 수납공간
113: 지지장치 114: 제1 수납면
115: 제2 수납면 131: 지면지지부
140: 외벽면 200: 하우징 커버
210: 제1 커버 211: 힌지부
220: 제2 커버 222: 힌지부
222: 청소솔 걸이 230: 걸림장치
231: 노즐거치부 232: 회전판
300: 결합부 310: 결합면
320: 연장관 인입홈 400: 먼지 집진부
410: 도어 개방장치 500: 먼지 흡입 모듈
700: 유로부

Claims (19)

  1. 외벽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청소기의 청소 모듈을 수납하는 수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수납부는,
    상기 외벽면에서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수납면; 및
    상기 수납면과 상기 하우징 커버의 사이에 외부와 분리된 수납공간;
    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상기 결합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지면으로부터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면은,
    외벽면과의 단차가 상기 하우징의 좌우방향 길이의 절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측면을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폐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후측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정면에서 양측으로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배치된 상기 청소 모듈을 물어 잡는 지지장치;
    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수납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결합부;
    일면에서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는 접촉면;
    상기 접촉면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탄성편; 및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 모듈이 인입될 수 있는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개방된 너비가, 상기 접촉면의 좌우방향 너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탄성편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개방된 너비가, 상기 청소 모듈의 직경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1. 바닥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청소기의 보조 흡입구를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림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장치는,
    회전판; 및
    상기 회전판의 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노즐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거치부는,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둘레를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지면지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흡입구는,
    상기 노즐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지면방향으로 형성된 가상의 연장선이, 상기 지면지지부의 외부에서 지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거치부는,
    중력방향을 따라 돌출된 높이가 더 짧아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4.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커버는;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커버 및 제2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는,
    내면에 중공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청소솔 걸이;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상기 청소솔 걸이와 하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는 청소솔 받침;
    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면은,
    상기 청소 모듈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내측면에 상기 청소 모듈과 접촉하는 지지돌기;
    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기 지지장치의 상하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19.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 커버;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청소기의 적어도 일부가 결합되는 결합면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결합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는 먼지 집진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먼지 집진부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청소기의 연장관에 대응하여 상하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관 인입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연장관 인입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관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KR1020200124376A 2020-09-25 2020-09-25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41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76A KR20220041327A (ko) 2020-09-25 2020-09-25 청소기 스테이션
PCT/KR2021/011801 WO2022065728A1 (ko) 2020-09-25 2021-09-02 청소기 스테이션
CN202180054817.5A CN116075258A (zh) 2020-09-25 2021-09-02 吸尘器站
AU2021349029A AU2021349029A1 (en) 2020-09-25 2021-09-02 Vacuum cleaner station
US18/028,308 US20230404343A1 (en) 2020-09-25 2021-09-02 Cleaner station
EP21872758.4A EP4218518A1 (en) 2020-09-25 2021-09-02 Vacuum clean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376A KR20220041327A (ko) 2020-09-25 2020-09-25 청소기 스테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327A true KR20220041327A (ko) 2022-04-01

Family

ID=8084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376A KR20220041327A (ko) 2020-09-25 2020-09-25 청소기 스테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4343A1 (ko)
EP (1) EP4218518A1 (ko)
KR (1) KR20220041327A (ko)
CN (1) CN116075258A (ko)
AU (1) AU2021349029A1 (ko)
WO (1) WO202206572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9353B2 (ja) * 1990-04-13 1997-1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掃除機用アタッチメント収納装置
JP2012192779A (ja) * 2011-03-15 2012-10-11 Nifco Inc フック装置
GB2571581B (en) * 2018-03-02 2020-09-23 Dyson Technology Ltd A dock or storage stand for a vacuum cleaner
KR102164719B1 (ko) * 2018-07-30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거치대 및 청소기 유닛
KR20200073966A (ko) * 2018-12-14 2020-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728A1 (ko) 2022-03-31
CN116075258A (zh) 2023-05-05
AU2021349029A1 (en) 2023-05-18
US20230404343A1 (en) 2023-12-21
EP4218518A1 (en) 202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38038A1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0499781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9204773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TWI789718B (zh) 清掃機站、清掃機系統及其控制方法
US916166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WO2001087130A1 (fr) Aspirateur
TWI793573B (zh) 停靠站及包含該停靠站的除塵系統
US9427126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TWI792270B (zh) 停靠站及包含該停靠站的除塵系統
TWI821816B (zh) 清掃機系統
KR20220086482A (ko) 청소기 시스템
JP2023533527A (ja) 掃除機ステーション
TWI809524B (zh) 吸塵器停靠站
CA2899654C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EP4265168A1 (en) Cleaner system
KR102527189B1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KR20220041327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52602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06981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73945A (ko) 청소기 스테이션
EP4356804A1 (en) Vacuum cleaner station
KR20220046863A (ko) 청소기 스테이션
KR20220046861A (ko) 청소기 스테이션 및 청소기 스테이션의 세척방법
KR20230101706A (ko) 청소기 시스템 및 청소기 시스템용 연결 어셈블리
CN116528739A (zh) 吸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