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767A -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 Google Patents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767A
KR20220018767A KR1020200099272A KR20200099272A KR20220018767A KR 20220018767 A KR20220018767 A KR 20220018767A KR 1020200099272 A KR1020200099272 A KR 1020200099272A KR 20200099272 A KR20200099272 A KR 20200099272A KR 20220018767 A KR20220018767 A KR 20220018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ication
cylindrical partition
partition wall
humidifier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원
김용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767A/ko
Publication of KR2022001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80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 B01F31/85Mixing by means of high-frequency vibrations above one kHz, e.g. ultrasonic vibrations with a vibrating element inside the recepta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체, 가습발생부 및 가습배출부를 포함하는 부유식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부유체의 상판에서 부유체의 상판를 중심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원주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극 중 어느 하나의 간극에 배치되어 간극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공기압 생성부;를 포함하며, 가습배출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배출부의 내부를 따라 외측면이 가이드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격벽을 구비하고, 팬을 통해 형성되는 바람이 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바람이 회전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원통형 격벽의 내벽에 붙도록 하여 가습발생부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수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Outlet structure of a floating type of humidifier}
본 발명은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력한 회오리를 통한 수적현상을 방지하고 가습효과를 극대화시켜 가습 입자를 배출시킬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에는 습도가 낮기 때문에 습도 유지를 위해 가습기는 필수적인 장치이다. 가습기는 강제로 수증기를 발생시켜 실내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호흡기 계통의 질병이나 피부노화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세균 번식의 필수조건인 물속에서 빠르게 세균이 번식하기 때문에 가습기의 물통에는 항상 세균이 존재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그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가습기를 매일 세척할 필요가 있다.
한편, 가습기의 작동방식으로는 크게 가열 가습방식, 초음파 가습방식, 자연증발유도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중에서 가열 가습방식은 히터 가열에 의한 고온의 열에 의해 작동되기 때문에 화상의 위험이 있고, 많은 양의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초음파 가습방식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방식의 가습기는 1초에 수만 ~ 수십만번 진동하는 진동자를 이용하여 튀어 올라간 물방울의 진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작은 가습 입자가 발생하게 된다. 방울 입자의 크기는 여러 원인에 의하여 일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발생된 입자 중에서 큰 물방울 입자가 공기 중으로 배출되면서 바닥면까지 낙하하는 과정에서 증발하지 못하면 가습기 주변에 물방울이 맺히는 수적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기존 부유식 가습기에서는 공기 회전 배출구조가 적용되었는데, 주로 공기를 일으키는 팬의 방향을 틀어 원심력에 의해 입자가 큰 물방울의 배출을 차단하는 것이다. 하지만, 팬이 일으킨 바람이 가습발생부 보다 위쪽에 형성되어 가습량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물튐방지 캡을 만들어 조립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세척을 위한 부품 수 증가와 더불어 현격하게 가습량이 감소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5300호, 2016년 5월 31일)
본 발명의 목적은 강력한 회오리를 통한 수적현상을 방지하고 가습효과를 극대화시켜 가습 입자를 배출시킬 수 있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체, 가습발생부 및 가습배출부를 포함하는 부유식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는 부유체의 상판에서 부유체의 상판의 중심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원주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극 중 어느 하나의 간극에 배치되어 간극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공기압 생성부;를 포함하며,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배출부의 내부를 따라 외측면이 가이드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격벽을 구비하고, 팬을 통해 형성되는 바람이 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바람이 회전하는 와류를 형성하면서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원통형 격벽의 내벽에 붙도록 하여 가습발생부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수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는 원통형 격벽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면이 인벌류트 곡선의 유선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 격벽은 원통형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로방향 유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 격벽은 원통형 격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 유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통형 격벽은 가습발생부의 상면에서 맞닿지 않고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 격벽의 내부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배출부의 내부를 따라 외측면이 가이드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원통형 격벽이 배치되고, 팬을 통해 형성되는 바람이 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유입된 바람이 회전하는 강력한 와류를 형성하여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원통형 격벽의 내벽에 붙도록 하여 가습발생부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수적현상을 방지하여 가습효과 및 가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가 적용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가습배출부의 콘형상을 미도시한 상태에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서 전체적으로 유입되는 가습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가습배출부가 적용된 부유식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서 세로방향 유입부가 적용된 가습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세로방향 유입부가 적용된 부유식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서 가로방향 유입부가 적용된 가습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가로방향 유입부가 적용된 부유식 가습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가 적용된 부유식 가습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가 적용된 초음파 부유식 가습기(10)는 부유체(110), 가습발생부(120), 가습배출부(130) 및 공기압 생성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유체(110)는 물이 수용된 수조 내에서 부유한다. 부유체(110)는 대략적인 형상이 하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의 볼록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부유체(110)는 그 내부가 꽉 채워져 있는 것이 아니라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빈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유체는 대략적으로 하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로 형성되어 부력을 제공하기에 유리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부유체(110)는 저면에 가습발생부(120)가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과 함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물유입홀(112)이 형성된다. 부유체(110)의 중앙 하부에는 물이 유입되는 물유입홀(112)이 형성되며, 물유입홀(112)이 형성된 공간을 따라 가습발생부(120)가 배치된다.
가습발생부(120)는 초음파 진동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물유입홀(112)을 통해 유입된 물을 초음파 진동에 의해 미세한 물 입자 상태로 무화시킨다. 가습발생부(120)는 전원 케이블(C)이 연결되고, 연결된 전원 케이블(C)은 바깥으로 연장 배치될 수 있다.
가습배출부(130)는 부유체(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대략적인 형상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발생부(120)에서 형성된 무화된 물입자가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원통형 격벽(131) 및 유선안내구(132)를 구비할 수 있다. 가습배출부(130)는 후술하는 팬(142)을 배치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팬배치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원통형 격벽(131)은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배출부(130)의 내부를 따라 구비되어 외측면이 가이드(141)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가이드(141)를 통해 형성된 와류를 통해 물 입자의 토출을 안내한다. 이때, 원통형 격벽(131)은 가습배출부(130)의 상측에 형성된 가습토출구(133)와 연통되며, 가습토출구(13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원통형 격벽(131)은 외주면이 가이드(141)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외주면으로는 가이드를 따라 회전하는 공기가 내측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면서, 내측으로는 상측으로 연장되어 물 입자가 바깥으로 토출되도록 안내한다.
이때, 원통형 격벽(131)은 가로방향 유입부(1311) 또는 세로방향 유입부(1312) 및 원통형 격벽(131)의 하면을 통해 전체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원통형 격벽(131)에는 케이블(C) 등을 안내할 수 있는 홈(1313)이 형성될 수 있다.
유선 안내구(132)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원통형 격벽(131)을 중심으로 각각의 일단이 원통형 격벽(13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습배출부(130)의 내주면을 향하여 곡률성형되어 연장형성된다. 이때, 유선 안내구(132)는 가로방향 유입부(1311) 또는 세로방향 유입부(1312)에 적용되고, 도 4a와 같이 하면을 통해 전체적으로 유입될 수 있는 원통형 격벽(131) 구조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유선 안내구(132)는 후술하는 가이드(141)와 함께 팬(142)에서 토출되는 풍압이 원통형 격벽(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유도함으로써 강력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압 생성부(140)는 가습발생부(120)를 통해 생성된 물 입자가 가습배출부(130)를 통해 토출될 때에 발생할 수 있는 수적현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가습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141) 및 팬(142)을 구비한다.
가이드(141)는 부유체(110)의 상판(111)에서 부유체(110)를 중심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팬(142)은 가이드(141)를 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간극(G)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간극(G)에 배치되어 그 간극(G) 사이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팬(142)을 통하여 바람이 유입될 때에 가이드(141)를 따라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기의 흐름이 원통형 격벽(131)을 통해 전달되면서 와류가 형성하여 미세한 물 입자의 안정적인 토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141)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원주방향으로 간극(G)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1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3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180도 간격으로 2개 또는 90도 간격으로 4개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가이드(141)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가이드(141)는 상판(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때, 팬(142)은 서로 이웃하는 가이드(141) 사이에 배치되는데, 팬(142)을 통해 바람이 형성되면, 가이드(141)를 따라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각각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한다.
먼저, 가이드(141)는 내측면이 인벌류트 곡선과 같은 유선형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인벌류트 곡선으로 형성될 경우, 내측면을 따라 이중의 유선형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내측면을 따라 이중의 유선형 곡선을 형성하게 되면, 제1 곡선으로 형성되는 곡선을 따라 원통형 격벽(131)의 외주면에 맞닿도록 배치된다. 이때, 원통형 격벽(131)은 도 4b와 같이 부유체(110)의 상판(111)에서 맞닿지 않고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통형 격벽(131)의 내부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의 원통형 격벽(131)의 높이(L1)는 도 5 내지 도 6의 가로방향 유입부(1311) 또는 세로방향 유입부(1312)가 형성된 원통형 격벽(131)의 높이(L2)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 격벽(131)의 종단이 상판(111)에 완전히 맞닿지 않고 소정의 이격거리(L3)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격 거리(L3)의 조절을 통하여 팬(142)을 통해 바람이 토출될 때에 전체적인 압력손실에 의한 가습량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원통형 격벽(131)의 안정적인 지지를 유도함과 동시에 제1 곡선에서 연속해서 형성되는 제2 곡선을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를 강력한 와류 형태로 회전 전환시킴으로써 원통형 격벽(131)의 상측을 따라 가습되는 물 입자 중에서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원통형 격벽(131)의 내측면에 붙도록 하여 가습발생부(130) 바깥으로 토출되어 수적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물 입자는 원통형 격벽(131)의 내벽에 붙지 않고 가습발생부(130) 바깥으로 토출되어 가습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통상적인 초음파 가습기의 바깥으로 토출되어 수적현상을 발생하지 않고 공기중에 수증기가 되는 물 입자의 크기가 10um 이하로 형성되기 때문에, 수적현상을 발생하는 물 입자의 크기는 10um를 초과하는 크기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원통형 격벽(131)은 도 5와 같이 원통형 격벽(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원주 일부 구간에서 세로방향 유입부(1311)가 형성될 수 있다. 세로방향 유입부(1311)는 도 5와 같이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세로방향 유입부(1311)의 적용갯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원통형 격벽(131)은 도 6과 같이 원통형 격벽(131)의 원주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의 길쭉한 형상으로 원주 일부구간에 가로방향 유입부(1312)가 형성될 수 있다. 가로방향 유입부(1312)는 도 6과 같이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가로방향 유입부(1312)의 적용갯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습배출부의 내부를 따라 외측면이 가이드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원통형 격벽이 배치되고, 팬을 통해 형성되는 바람이 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유입된 바람이 회전하는 강력한 와류를 형성하여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원통형 격벽의 내벽에 붙도록 하여 가습발생부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수적현상을 방지하여 가습효과 및 가습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10)는 가습배출부(130)와 가습배출부(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부력을 제공하는 부유체(110) 및 가습배출부(130)와 부유체(110) 사이에 배치되어 가습을 형성하는 가습발생부(120)를 중간 결합부(150), 상부날개(160) 및 하부날개(170)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중간 결합부(150), 상부날개(160) 및 하부날개(17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중간 결합부(150)는 부유체(110)의 상측 둘레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상판(111)에 끼움결합으로 밀착 결합된다. 중간 결합부(150)는 부유체(110)의 상판(1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상판(111)의 두께 만큼 서로 마주보도록 이격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중간 결합부(150)는 상판(111)의 결합방향을 향하여 서로 마주보는 거리가 좁아지도록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 결합부(150)가 서로 마주보는 거리가 좁아지도록 형성되면, 한 쌍으로 형성되는 상판(111)의 상하면에 결합될 때에 더욱 밀착결합됨으로써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부날개(160)는 상판(111)에 결합된 가습배출부(130)의 하단이 밀착 고정되도록 중간 결합부(150)의 둘레방향에 일체로 결합되어 적어도 2개 이상이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부날개(160)는 중간 결합부(150)의 둘레방향의 외측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었으나, 그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부날개(160)의 갯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부날개(160)와 접촉하는 가습배출부(130)의 상단 영역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상부날개(160)의 종단은 단차에 대응되도록 걸림구(161)가 형성된다. 걸림구(161)는 종단에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가습배출부(130)의 단차에 고정됨으로써 상부날개(160)가 가습배출부(130)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부날개(160)는 상단 중앙영역에 파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지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부유체(110), 가습배출부(130) 및 가습발생부(120)를 분리할 때에 파지부(162)를 당기게 되면 전체적으로 늘어나면서 쉽고 원활한 분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부날개(170)는 가습발생부(120)와 결합된 부유체(110)의 상단에 밀착 고정되도록 중간 결합부(150)의 둘레방향으로 일체로 결합되어 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날개(170)는 하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로 연장되지 않고, 연장방향을 향하여 하방향으로 볼록한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대략적인 형상이 하방향으로 볼록한 구조를 형성하는 부유체(110)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감싸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날개(170)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이 상부날개(160)에 대해서 엇갈린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부유체(110) 및 가습배출부(130)에 결합될 때에 견고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부날개(170)는 4개가 대략적으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부날개(160)와 동일하지 않은 엇갈린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날개브릿지(171)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브릿지(171)는 하부날개(170)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는 하부날개(170)를 서로 연결하면서 하부날개(170)가 부유체(110)의 상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견고히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부유체(110) 및 가습배출부(130)에 결합될 때에 견고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간 결합부(150), 상부날개(160) 및 하부날개(17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리콘, 고무 및 연질의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실리콘과 같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경우, 중간 결합부(150), 상부날개(160) 및 하부날개(170)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가습배출부(130), 부유체(110) 및 가습발생부(120)에 간편하게 탈부착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는 기존의 영구 결합방식인 본딩접합, 초음파융착 또는 나사결합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쉽게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통해 가습기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하게 가습기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 부유체 120 : 가습발생부
130 : 가습배출부 131 : 원통형 격벽
1311 : 세로방향 유입구 1312 : 가로방향 유입구
132 : 유선안내구 140 : 공기압 생성부
141 : 가이드 142 : 팬
150 : 중간 결합부 160 : 상부날개
161 : 걸림구 170 : 하부날개
171 : 날개브릿지

Claims (5)

  1. 부유체, 가습발생부 및 가습배출부를 포함하는 부유식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부유체의 상판에서 상기 부유체의 상판의 중심으로 공기의 유입 및 배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이 원주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웃하여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극 중 어느 하나의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간극으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팬을 구비하는 공기압 생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배출부는,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습배출부의 내부를 따라 외측면이 상기 가이드의 소정영역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팬을 통해 형성되는 바람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내측으로 유입되고, 유입된 바람이 회전하는 와류를 형성하여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물 입자가 상기 원통형 격벽의 내벽에 붙어서 상기 가습발생부의 바깥으로 토출되는 수적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원통형 격벽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면이 인벌류트 곡선의 유선 형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격벽은,
    상기 원통형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로방향 유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격벽은,
    상기 원통형 격벽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쭉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 유입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격벽은,
    상기 가습발생부의 상면에서 맞닿지 않고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원통형 격벽의 내부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도록 연장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KR1020200099272A 2020-08-07 2020-08-07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KR20220018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72A KR20220018767A (ko) 2020-08-07 2020-08-07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272A KR20220018767A (ko) 2020-08-07 2020-08-07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767A true KR20220018767A (ko) 2022-02-15

Family

ID=80325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272A KR20220018767A (ko) 2020-08-07 2020-08-07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7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00B1 (ko) 2014-11-21 2016-09-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00B1 (ko) 2014-11-21 2016-09-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초음파 가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0382B2 (ja) 加湿量が向上された浮遊式加湿器
EP3022496B1 (en) Floating type humidifier
JP2941222B2 (ja) ヒータ式超音波加湿器
JP5433743B2 (ja) ファン組立体
US10330332B2 (en) Floating-type humidifier
KR101175928B1 (ko) 부표를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US20230364541A1 (en) Low-gravity water capture device with water stabilization
CN105003990A (zh) 一种空气加湿净化器
KR20230072470A (ko) 부유식 가습기
KR101408052B1 (ko) 카트리지 히터를 이용한 온풍 공급 시스템
KR20220018767A (ko) 부유식 가습기의 회전 배출 구조
KR102425549B1 (ko) 부유식 가습기의 부유체 결합구조
JP2018536134A (ja) 湿潤空気流発生器
JP2011160946A (ja) 液体微細化装置とそれを用いたサウナ装置
KR20190122398A (ko) 도넛 연기 분사방식 가습기
CN211084332U (zh) 一种高加湿量的加湿结构及加湿设备
JP2013242072A (ja) 加湿機構
RU2653462C1 (ru) Утилизатор тепла с кипящим слоем
WO2014067418A1 (zh) 雾化装置及超声波加湿器
EP4390257A1 (en) Humidifier
EP4390245A1 (en) Humidifier
CN215001979U (zh) 气体湿度调节装置
KR20120131362A (ko) 회전형 토출구를 갖는 가습기
JP5104165B2 (ja) 加湿装置
WO2014019435A1 (zh) 微雾桑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