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8265A - 롤러 셔터용 슬랫 - Google Patents

롤러 셔터용 슬랫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8265A
KR20220018265A KR1020200098551A KR20200098551A KR20220018265A KR 20220018265 A KR20220018265 A KR 20220018265A KR 1020200098551 A KR1020200098551 A KR 1020200098551A KR 20200098551 A KR20200098551 A KR 20200098551A KR 20220018265 A KR20220018265 A KR 2022001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
slat body
connection part
roller shutter
opera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1020200098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8265A/ko
Publication of KR2022001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05Slat details
    • E06B2009/1527Transparent slats or transparent sections in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슬랫 보디에 고리형태로 연결 부분을 돌출 형성하여 이웃한 슬랫 보디에 걸어서 간격 조절과 감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 슬랫의 폭을 기존과 비교하여 절반 이상으로 줄이면서도 연결 부분에 실루엣 홈을 형성하여 유입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롤러 셔터를 구성했을 때 두 개의 슬랫 보디가 사선 형태로 밀착하거나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실외에서는 실내가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사생활 보호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슬랫 보디에서 연결 부분이 슬랫 보디 안에 끼워지거나 빠지면서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슬랫 보디의 크기가 작아 쉽게 감으면서도 슬랫 보디 사이로 충분한 빛이 투과하게 하여 간단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 셔터용 슬랫{ROLLER SHUTTER SLAT}
본 발명은 롤러 셔터용 슬랫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랫과 슬랫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에 실루엣 홈을 형성하고 이 연결 부분이 이웃한 슬랫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롤러 셔터를 닫더라도 내부에 어느 정도 빛이 투영될 수 있게 하여 실내에서 조명을 켜지 않고도 생활할 수 있게 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셔터는 낮에 창문을 가려서 집안 온도가 올라가지 않게 하거나, 비바람이나 우박 그리고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때 창문과 집안을 보호(외부 장착용 롤러 셔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범과 같은 외부 충격에도 강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롤러 셔터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868807호
롤러셔터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개구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와 결합하여 개구부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측면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측면케이스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 개구부를 개폐하는 다수개의 블레이드와, 상기 측면케이스에 내장되어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개구부를 폐쇄할 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측면케이스의 틈새를 막는 기밀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793326호
롤링문 또는 셔터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첩 부재의 쌍에 의해 연결된 바람직하게는 평면 패널을 가진다. 셔터는 트랙에서 가이드 되어 옆 에지로 위아래로 슬라이드된다. 셔터가, 예를 들어 저면 씰에 대항하여, 닫히는 경우, 각 쌍의 경첩부재는 가이드트랙의 대향 하는 벽 사이에 끼이도록 다른 것에 대하여 회동한다. 각 경첩쌍의 회동범위는 셔터가 매달릴 때 경첩 쌍이 뻗는 것을 막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이것은 셔터가 닫힐 때 경첩 쌍이 항상 동일방식으로 접히게 한다. 패널은 에지두겁을 가지도록 적합한 말린 강철, 사출된 알루미늄, 성형(선택적으로 투명한)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또는 굳은 유리시트들일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624호
건물의 개방문용 롤러 셔터에 관한 것으로서, 복귀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복귀가능 차단 판과, 복귀 위치와 전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단 판을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롤러 셔터는, 복귀 위치 및 제1 평면상의 전개 위치 사이의 제1 경로를 따라, 또는 복귀 위치 및 상기 제1평면에 평행한 제2 평면상의 전개 위치 사이의 제2 경로를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차단 판을 안내하고, 상기 차단 판의 이동을 제1 경로와 제2 경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장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기존의 롤러 셔터는 여러 개의 슬랫(블레이드)를 감거나 풀어서 창문을 가릴 수 있게 구성한다. 하지만, 기존의 롤러 셔터에 사용하는 슬랫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롤러 셔터를 완전히 닫으면 슬랫과 슬랫 사이의 틈새가 없어 실내는 암실처럼 어두운 상태가 된다. 이에, 롤러 셔터를 완전히 닫은 상태에서는 조명을 켜고 생활해야 하므로 에너지 절약을 위해 설치한 롤러 셔터를 사용할 때 불필요하게 에너지를 사용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2) 특히, 낮에 비가 많이 내리거나 돌풍 등으로 롤러 셔터를 닫아야 할 상황에서는, 이처럼 낮에도 조명을 켜서 생활해야 하므로 생활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하게 소비 전력이 늘어난다.
(3) 또한, 이웃한 두 개의 슬랫을 연결하여 롤러에 감기도록 구성하므로, 각 슬랫의 폭이 크다. 이는, 여러 개의 슬랫을 롤러에 감으려고 하면 슬랫을 감는 권취장치가 커져야 한다.
(4) 여름철 냉방과 겨울철 난방 효과를 높이려고 슬랫에 단열재를 갖춰야 하므로, 슬랫의 무게가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8807호 (등록일: 2018.06.12) 한국등록특허 제10-0793326호 (등록일: 2008.01.03)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126624호 (공개일: 2013.11.20)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폭 단면이 중공인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슬랫 보디에 고리형태로 연결 부분을 돌출 형성하되, 이 연결 부분이 이웃한 슬랫 보디에 끼워서 간격 조절과 더불어 감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슬랫의 폭을 기존과 비교하여 절반 이상으로 줄이면서도 연결 부분에 실루엣 홈을 형성하여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 사이를 통해 유입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롤러 셔터용 슬랫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롤러 셔터를 구성했을 때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가 사선 형태로 밀착하거나 떨어지면서 투광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내에서는 실외를 쉽고 편리하게 볼 수 있으나, 실외에서는 실내가 잘 보이지 않게 되어 사생활 보호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한 롤러 셔터용 슬랫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에서 연결 부분이 슬랫 보디 안에 끼워져서 롤러 셔터가 닫히거나 연결 부분이 슬랫 보디에서 돌출하여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슬랫 보디의 크기가 작아 쉽게 감으면서도 슬랫 보디 사이로 충분한 빛이 투과하게 하여 간단하게 제작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롤러 셔터용 슬랫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셔터용 슬랫은, 단면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의 슬랫 보디(100)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변(100')과 제2 변(100") 중 상기 제1 변(100')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작동 홈(110)을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 변(100")에는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폭 단면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부분(120)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연결 부분(120)은,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끼워져서 미리 정한 거리만큼 빠지면서 제1 변(100')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하여 상기 제1 변(100')에 밀착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되,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서 빠져나온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실루엣 홈(12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슬랫 보디(100)는 상기 연결 부분(120)이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끼워짐에 따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변(100')과 제2 변(100")은, 상기 마름모꼴의 나머지 변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5~35°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랫 보디(100)는 상기 제1 변(100')과 이웃한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높이(H)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분(120)을 측정한 높이(h)의 비(H:h)가, 1~1.3: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 부분(120)은,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되 상기 제2 변(100")의 다른 한쪽으로 상기 작동 홈(110)에 걸릴 수 있게 고리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은, 상기 제1 변(100')에서 안으로 들어간 쪽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을 형성하면서 생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연결 부분(120)이 걸려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연결 부분(120)은,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되, 상기 제2 변(100")의 고리 부분이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은, 상기 제1 변(100')의 안으로 들어간 쪽으로 상기 연결 부분(120)의 고리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턱(111)을 형성하고, 반대쪽에 상기 연결 부분(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112)를 슬랫 보디(100) 안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셔터용 슬랫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중공의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슬랫 보디에 연결 부분을 돌출 형성하고, 이 연결 부분을 다른 슬랫 보디에 수납과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슬랫 보디의 폭을 작게 제작하면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이 연결 부분에는 길게 실루엣 홈을 관통 형성함으로써, 슬랫 보디를 개폐하는 정도에 따라 그 사이로 보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환기나 투광 정도를 쉽게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이러한 마름모꼴 형태의 슬랫 보디가 이루는 경사면이 수평면을 기준으로 15~35° 정도 기울어지게 형성함으로써, 외부에서는 내부를 쉽게 볼 수 없게 하면서도 내부에서는 외부를 잘 볼 수 있어 개인의 사생활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4) 이에, 반사광이 실내로 유입하게 하여 조명을 켜지 않고도 실내를 밝힐 수 있고 외부 조망도 쉽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로 제작한 롤러 셔터를 개방한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로 제작한 롤러 셔터를 닫되 반대쪽이 일부 보이도록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로 제작한 롤러 셔터를 완전히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로 제작한 롤러 셔터를 완전히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로, (a)는 두 개의 슬랫 보디가 서로 밀착하게 끼워진 상태를, (b)는 두 개의 슬랫 보디가 벌어져서 그 사이로 조명하거나 감길 수 있는 상태를 각각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랫 보디가 창문용 개구부 밖의 실외 측에 장착하는 모터 박스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랫 보디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두 개의 슬랫 보디가 결합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랫 보디가 창문용 개구부에 매립 형태로 장착하는 모터 박스에 감긴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롤러 셔터용 슬랫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단면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의 슬랫 보디(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슬랫 보디(100)에는, 마름모꼴 형상의 서로 마주하는 제1 변(100')과 제2 변(100") 중 상기 제1 변(100')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작동 홈(110)을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 변(100")에는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폭 단면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부분(120)을 돌출 형성함으로써, 여러 개의 슬랫 보디(100)를 차례로 연결할 때 연결 부분(120)이 작동 홈(110)에 끼워져서 그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롤러 셔터를 완전히 내렸을 때도 연결 부분(120)에 형성한 실루엣 홈(121)을 통해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사이로 반사광이 유입하게 하여 실내를 밝힐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랫 보디
슬랫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여러 개를 후술할 연결 부분(120)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평면처럼 만들어서 롤러에 감아서 창문 등을 개방하게 하거나, 창문을 막아서 비바람 등이 치더라도 창문을 보호하면서도 냉방과 난방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거나, 이웃한 슬랫 보디(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반사광이 실내로 유입하게 하여 밝은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슬랫 보디(100)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폭 단면이 마름모꼴인 중공 형태로 압출하여 성형함으로써, 중공인 내부에는 후술할 연결 부분(120)을 수납/인출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면서도 공기실로 활용하여 냉난방효과를 높일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상기 슬랫 보디(10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 돌기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슬랫 보디(100)의 강성을 보강하여 쉽게 파손되지 않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상기 슬랫 보디(100)는, [도 4]와 같이, 다른 슬랫 보디(10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한 연결 부분(120)과, 다른 슬랫 보디(100)의 연결 부분(120)을 끼워서 움직이게 하거나 회전 지지하게 하는 작동 홈(110)을 포함한다.
1. 작동 홈
작동 홈(11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폭 단면이 중공인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슬랫 보디(100)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변(100')에 그 변 길이의 일부를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하여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변(100')은, [도 5]와 같이, 슬랫 보디(100)의 마름모꼴 중에서 제1 변(100')과 제2 변(100")을 제외한 나머지 변과 수직인 가상의 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5~35°를 이루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중 어느 하나의 연결 부분(120)이 다른 하나의 슬랫 보디(100)에 끼워져서 두 개의 슬랫 보디(100)가 밀착했을 때 접촉 면적을 늘리면서도 빛이 투광하지 못하게 하고, 또한 이러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가 연결 부분(120)에 걸려 그 사이의 간격 내에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졌을 때 실내에서는 바깥을 조망할 수 있으나, 실외에서는 실내를 볼 수 없게 하여 사생활 보호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작동 홈(110)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다른 슬랫 보디(100)에 형성하는 후술할 연결 부분(120)이 끼워져서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게 하고 이렇게 연결한 슬랫 보디(100)가 롤러에 감길 수 있게 장착하기 위한 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홈(110)은, [도 5]와 같이, 상기 제1 변(100')에서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 안으로 들어간 쪽의 모서리 부분을 절개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작동 홈(110)을 형성함에 따라 생긴 제1 변(100')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할 연결 부분(120)이 걸려서 회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제1 변(100')은, [도 5] 및 [도 7]과 같이, 다른 슬랫 보디(100)의 연결 부분(120)이 이 작동 홈(110)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면서도, 다른 슬랫 보디(100)의 연결 부분(120)이 이 제1 변(100')에 밀착할 만큼 회전할 수 있게 하여 롤러에도 쉽게 감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홈(110)에는, [도 5]와 같이, 가장자리에 후술할 연결 부분(120)이 회전할 때 간섭이 생기지 않는 위치에 보강 돌기(113)를 돌출 형성하여 제1 변(100')이 쉽게 파손되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강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연결 부분
연결 부분(120)은,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작동 홈(110)을 형성한 제1 변(100')과 마주하는 제2 변(100")에 고리 형태로 돌출 형성한다. 특히, 상기 연결 부분(120)은 다른 슬랫 보디(100)에 형성한 작동 홈(110)에 끼워서 이 작동 홈(110)의 가장자리에 걸릴 때까지 밖으로 꺼내서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또한 이 작동 홈(110)에 끼워서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가 서로 밀착하면서 하나의 평면을 이룰 수 있게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 부분(120)은, [도 5]와 같이, 상기 제2 변(100")에서 바깥으로 돌출한 위치, 즉 상술한 작동 홈(110)과 마주하는 위치에서 밖으로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연결 부분(120)은 고리 형태로 형성하게 되는데, 고리 형태로 휘는 방향이 제2 변(100")의 다른 한쪽으로 휘게 형성함으로써, 이 고리 부분이 작동 홈(110)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작동 홈(110)에서 빠지지 않게 하면서도 이 작동 홈(110)의 가장자리에 걸린 상태에서 회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상기 연결 부분(120)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작동 홈(110)에 걸린 상태에서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사이에 노출하는 면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실루엣 홈(121)을 관통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러 셔터를 조절하여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사이의 간격이 어느 정도 있게 제어함에 따라 이들 실루엣 홈(121)을 통해 주변 경관 등을 조망하거나, 실내 환기 그리고 반사광 등이 실내로 투광하게 하여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이러한 실루엣 홈(121)은, [도 6]과 같이, 슬랫 보디(1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적어도 두 개를 나란하게 관통 형성함으로써, 연결 부분(120)의 강성이 약해지지 않게 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공기나 반사광을 받아들이거나 조망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분(120)은, [도 5]와 같이, 상술한 제1 변(100')과 제2 변(100")을 제외한 나머지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랫 보디(100)를 재었을 때의 높이(H)와, 이와 같은 방향으로 연결 부분(120)을 재었을 때의 높이(h)의 비(H:h)를 1~1.3: 1가 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 부분(120) 전체가 작동 홈(110)을 통해 슬랫 보디(100) 안으로 수납하게 하여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가 서로 밀착할 수 있게 하고, 이 작동 홈(110)에서 연결 부분(120)이 빠져나왔을 때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10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지 않게 하여 그 사이로 실외에서 실내를 들여다볼 수 없게 하면서도 환기 등에 필요한 충분한 공기와 반사광을 받아들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연결 부분이 다른 슬랫 보디의 작동 홈에 끼워서 조립하고, 이웃한 두 개의 슬랫 보디가 서로 밀착하게 빼서 사용하거나 슬랫 보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슬랫 보디(100)는, [도 7]과 같이, 창문 바깥쪽 면에 장착하여 슬랫 보디(100)를 연결한 면이 창문용 개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건축물 면에 밀착하여 감기거나 풀리도록 시공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롤러 셔터용 슬랫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이나, [실시예 1]의 연결 부분(120)을 형성하는 방향에서 반대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이러한 차이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술한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연결 부분(120)을 형성할 때 제2 변(100")의 돌출한 변에서 바깥으로 돌출 형성하되, 상술한 [실시예 1]과 반대 방향인 이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으로 고리 형태가 돌출하게 형성한 것이다. 이에, 상기 연결 부분(120)을 끼워서 슬랫 보디(100) 안으로 수납하게 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작동 홈(110)의 형상에서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상기 작동 홈(110)은, [도 8] 및 [도 9]와 같이, 연결 부분(120)의 형성 방향이 바뀜에 따라 이 고리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제1 변(100")과 접한 다른 슬랫 보디(100)의 변에 턱(111)을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이 작동 홈(110)의 다른쪽 가장자리에는 슬랫 보디(100) 안으로 지지 돌기(11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상기 턱(111)에 걸려 회전하는 연결 부분(120)이 안정적으로 지지를 받으면서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실시예 1]과 같은 작용을 하면서도 롤러에 감는 방향을 다르게 하여 감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도 9]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랫 보디를 감은 모터 박스를 창문용 개구부나 그 안에 매립된 형태로 시공해서 사용할 때 본 발명에 따른 슬랫 보디가 창문용 개구부의 바깥쪽 가장자리를 따라서 감거나 풀리면서 롤러 셔터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100: 슬랫 보디
100': 제1 변
100": 제2 변
110: 작동 홈
111: 턱
112: 지지 돌기
113: 보강 돌기
120: 연결 부분
121: 실루엣 홈

Claims (5)

  1. 단면이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태로 이루어진 중공의 슬랫 보디(100)를 포함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에서,
    서로 마주하는 제1 변(100')과 제2 변(100") 중 상기 제1 변(100')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작동 홈(110)을 절개하여 형성하고, 상기 제2 변(100")에는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며 폭 단면이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 부분(120)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연결 부분(120)은,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끼워져서 미리 정한 거리만큼 빠지면서 제1 변(100')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회전하여 상기 제1 변(100')에 밀착할 때까지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되,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서 빠져나온 부분에는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실루엣 홈(121)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슬랫 보디(100)는 상기 연결 부분(120)이 다른 슬랫 보디(100)의 작동 홈(110)에 끼워짐에 따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
  2. 제1항에서,
    상기 제1 변(100')과 제2 변(100")은,
    상기 마름모꼴의 나머지 변과 수직인 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
  3. 제1항에서,
    상기 슬랫 보디(100)는 상기 제1 변(100')과 이웃한 변과 나란한 방향으로의 높이(H)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연결 부분(120)을 측정한 높이(h)의 비(H:h)가,
    1~1.3: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 부분(120)은,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되 상기 제2 변(100")의 다른 한쪽으로 상기 작동 홈(110)에 걸릴 수 있게 고리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은, 상기 제1 변(100')에서 안으로 들어간 쪽에 형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을 형성하면서 생긴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연결 부분(120)이 걸려서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연결 부분(120)은,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에서 바깥으로 돌출하되, 상기 제2 변(100")의 고리 부분이 상기 제2 변(100")의 돌출한 쪽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작동 홈(110)은, 상기 제1 변(100')의 안으로 들어간 쪽으로 상기 연결 부분(120)의 고리 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턱(111)을 형성하고, 반대쪽에 상기 연결 부분(1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112)를 슬랫 보디(100) 안으로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셔터용 슬랫.
KR1020200098551A 2020-08-06 2020-08-06 롤러 셔터용 슬랫 KR2022001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51A KR20220018265A (ko) 2020-08-06 2020-08-06 롤러 셔터용 슬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551A KR20220018265A (ko) 2020-08-06 2020-08-06 롤러 셔터용 슬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265A true KR20220018265A (ko) 2022-02-15

Family

ID=8032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551A KR20220018265A (ko) 2020-08-06 2020-08-06 롤러 셔터용 슬랫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826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6B1 (ko) 2003-10-06 2008-01-11 록 융 웡 개량된 롤러셔터 및 롤링셔터어셈블리
KR20130126624A (ko) 2010-10-22 2013-11-20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건물 개방부용 롤러 셔터
KR101868807B1 (ko)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26B1 (ko) 2003-10-06 2008-01-11 록 융 웡 개량된 롤러셔터 및 롤링셔터어셈블리
KR20130126624A (ko) 2010-10-22 2013-11-20 꼼미사리아 아 레네르지 아토미끄 에뜨 옥스 에너지스 앨터네이티브즈 건물 개방부용 롤러 셔터
KR101868807B1 (ko) 2017-09-29 2018-06-20 주식회사 쓰리지테크놀러지 롤러셔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37639A (en) Thermal barrier
EP2395194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blocking light
US20090272037A1 (en) Jalousie window with insulating louvers
US3350819A (en) Ventilating skylight with two simultaneously operated closures
AU2008337029A1 (en) Window blinds that let in air but block out light
US6070637A (en) Horizontally openable window
WO1991003618A1 (es) Sistema de equipamiento de ventanas de edificios
KR20220018265A (ko) 롤러 셔터용 슬랫
KR101774002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1765013B1 (ko) 실외용 차양장치
US8820010B2 (en) Jalousie window with daylighting and shading shelf
JP6184095B2 (ja) 住宅内外の中間領域創出構造
KR101274194B1 (ko) 일체식 창호 프레임 유닛
KR101774003B1 (ko) 햇빛 차단 시스템이 부착된 단열복합창
KR102450426B1 (ko) 루버 개폐 장치
CN209742745U (zh) 一种外遮阳节能百叶帘的收放机构
KR100326649B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JPH0211589Y2 (ko)
KR200176175Y1 (ko) 차양 기능을 갖는 다용도 방범창문
JPH1061343A (ja) 窓を利用した空気取り入れ方法
JP2021110089A (ja) ロールスクリーン
JP2008127967A (ja) 建築物の開口部外装装置
KR102129388B1 (ko) 채광루버형 일사조절장치
KR200300417Y1 (ko) 이중 유리창의 블라인드 절첩/전개를 위한 승강견인자
NL2000833C2 (nl) Lamelsyste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8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719

Effective date: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