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7865A - 장식재 - Google Patents

장식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7865A
KR20220017865A KR1020210102857A KR20210102857A KR20220017865A KR 20220017865 A KR20220017865 A KR 20220017865A KR 1020210102857 A KR1020210102857 A KR 1020210102857A KR 20210102857 A KR20210102857 A KR 20210102857A KR 20220017865 A KR20220017865 A KR 20220017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ss
weight
parts
decora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575B1 (ko
Inventor
서지연
김원태
김헌조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2001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5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41Digital printing on surfaces other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B41M7/0027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using protective coatings or layers by lamination or by fusion of the coatings o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44C1/165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for decalcomanias; sheet material therefor
    • B44C1/175Transfer using solv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2Superimpos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요구 및 필요에 부응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인쇄층을 선명하고 또한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기재층에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장식재를 제조하기 위한 전사 필름 및 그 전사 필름을 사용한 상기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재{Decorating Material}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벽지, 벽 패널 및 바닥재 등의 장식재는, 기재층(basic material layer)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인쇄층을 형성할 때에는,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자연스럽고, 정확하며, 선명하게 기재층상에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인쇄층을 기재층에 견고하게 밀착시켜 형성하는 것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기재층이 자연석이나 수지 패널인 경우에 위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소위 그라비어 인쇄(gravure printing) 방식이다. 그렇지만, 그라비어 방식으로는, 특정하게 정해진 한 가지 패턴을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것에는 유리하지만, 제품별로 다양한 디자인을 다르게 인쇄할 수는 없어서, 급속하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수요에 맞추어 다양한 디자인의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는 유연성은 떨어진다.
또한,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 의해 형성된 인쇄층은, 일반적으로 단조롭고, 심미감이 제한된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소위 디지털 인쇄(digital printing) 방식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기재층상에 직접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장식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개시한다.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면, 변화하는 수요에 맞추어 장식층의 디자인이나 색상을 변경하는 것에 유리하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재층에 직접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 외에 소위 전사 필름을 사용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있다.
전사 필름을 사용하면, 필요 및 요구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의 인쇄층을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전사 방식에서는 일단 전사 필름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층을 기재층에 전사하기 때문에 인쇄층을 우수한 접착력으로 기재층에 형성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전사 필름의 인쇄층을 전사할 때에 접착층 등을 사용하는 방식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장식재의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und)을 증가시킨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975192호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는 요구 및 필요에 부응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선명한 인쇄층을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기재층에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장식재의 제조에 적합한 전사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한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온도 및/또는 압력이 그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해당 물성은 상온 및/또는 상압에서 측정한 물성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온은 가온 및 감온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온도이며, 예를 들면, 약 10℃ 내지 30℃의 범위 내의 어느 한 온도, 25℃ 또는 23℃ 정도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상압은, 특별히 줄이거나 높이지 않은 때의 압력으로서, 보통 대기압과 같은 1 기압 정도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물성 중에서 측정 습도가 그 물성치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는, 특별히 달리 규정하지 않는 한, 상기 물성은, 측정 온도 및 압력 상태에서 특별히 조절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습도에서 측정한 물성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장식재는 적어도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장식재의 예시적인 단면도이고, 기재층(100)상에 장식층(200)이 형성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출원에서 상기 기재층(basic material)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기재층으로는, 벽체나 바닥용 타일 또는 벽지와 같은 기존 공지의 장식재에서 기재층으로서 사용되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으로는, PVC(poly(vinyl chloride))나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와 같은 플라스틱 기재층이나 종이, 목질계 기재층 및/또는 세라믹계와 같은 무기질계 기재층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재층은 통상 보드 형태이지만, 본 출원에서 기재층의 형태 역시 제한되지 않고, 장식재의 용도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기재층의 두께와 같은 사이즈도 목적에 따라서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에는 장식층을 포함한다. 용어 장식층은, 목적하는 디자인과 색상의 인쇄층을 포함하는 층을 의미하고, 이는 단층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장식재에서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하여 높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층의 상기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는 1.6 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박리 강도는 다른 예시에서 1.8 Kgf/2.0cm 이상, 2.0 Kgf/2.0cm 이상, 2.2Kgf/2.0cm 이상, 2.4Kgf/2.0cm 이상, 2.6Kgf/2.0cm 이상, 2.8Kgf/2.0cm 이상, 3.0Kgf/2.0cm 이상, 3.2Kgf/2.0cm 이상, 3.4Kgf/2.0cm 이상, 3.6Kgf/2.0cm 이상, 3.8Kgf/2.0cm 이상 또는 4.0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Kgf/2.0cm 이하, 9 Kgf/2.0cm 이하, 8 Kgf/2.0cm 이하, 7 Kgf/2.0cm 이하, 6 Kgf/2.0cm 이하, 5 Kgf/2.0cm 이하, 4.5 Kgf/2.0cm 이하 또는 4 Kgf/2.0c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박리 강도는, 기재층상에 형성된 장식층을 기재층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임의의 층간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어떤 단일 층의 일부만이 뜯어져서 박리되는 시점에서의 강도이다.
즉, 본 출원의 장식재는, 기재층과 그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장식층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데,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 외의 다른 층도 존재할 수 있으며(예를 들면, 상기 다른 층은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의 사이, 상기 기재층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상기 장식층의 상부 또는 하부에 존재할 수 있다.), 장식층이나 기재층도 단일층이 아닌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식재에서 박리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기재층으로부터 장식층을 박리하게 되면, 기재층과 장식재에서 박리가 일어날 수도 있지만, 장식재의 전부가 기재층으로부터 박리되지 않고, 일부가 뜯어지면서 떨어져 나오거나, 혹은 다층으로 되어 있는 장식층의 내부의 임의의 층간에서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장식층과 다른 층간의 박리, 기재층과 다른 층간의 박리 또는 다른층간에서의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에서 말하는 장식층의 박리 강도는, 기재층으로부터 장식층을 박리하는 과정에서 위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박리 또는 떨어짐이 가장 먼저 발생하는 시점에서 측정된 박리 강도를 의미한다.
상기 박리 강도는, KS M 3802, 장식실험실 테스트 규격을 참고하여 평가한다. 구체적으로 장식재를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한다. 그 후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 강도를 측정한다. 도 6은 상기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특히 상기 장식층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으로 형성한 경우에도 상기 높은 접착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은 접착력은 후술하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및/또는 잉크의 사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장식층을 기재층에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장식재를 유해 물질이 없거나, 그 함량이 최소한으로 제한된 소재로만 장식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출원의 장식재는 낮은 TVOC(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및 포름알데히드(HCHO) 함량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장식재의 TVOC 발생량은, 시간당 5 mg/m3 이하, 4.5 mg/m3 이하, 4 mg/m3 이하, 3.5 mg/m3 이하, 3 mg/m3 이하, 2.5 mg/m3 이하, 2 mg/m3 이하, 1.5 mg/m3 이하, 1 mg/m3 이하, 0.9 mg/m3 이하, 0.85 mg/m3 이하, 0.8 mg/m3 이하, 0.75 mg/m3 이하, 0.7 mg/m3 이하, 0.65 mg/m3 이하, 0.6 mg/m3 이하, 0.55 mg/m3 이하, 0.5 mg/m3 이하, 0.45 mg/m3 이하, 0.4 mg/m3 이하, 0.35 mg/m3 이하, 0.3 mg/m3 이하, 0.25 mg/m3 이하, 0.2 mg/m3 이하, 0.15 mg/m3 이하, 0.1 mg/m3 이하 또는 0.08 mg/m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TVOC 발생량의 하한에는 제한이 없다. 유해 물질의 방출은 가급적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TVOC 발생량의 하한은 시간 당 0 mg/m3 정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장식재의 포름알데히드(HCHO) 발생량은, 시간당 0.1 mg/m3 이하, 0.09 mg/m3 이하, 0.08 mg/m3 이하, 0.07 mg/m3 이하, 0.06 mg/m3 이하, 0.05 mg/m3 이하, 0.04 mg/m3 이하, 0.03 mg/m3 이하, 0.02 mg/m3 이하, 0.015 mg/m3 이하 또는 0.01 mg/m3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포름알데히드(HCHO) 발생량의 하한에는 제한이 없다. 유해 물질의 방출은 가급적 제한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상기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의 하한은 시간 당 0 mg/m3 정도일 수 있다.
상기 TVOC 및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은 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KS M 0000-1 규격에 기재된 방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식층은, 예를 들면, 적어도 인쇄층 및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피착체에 따라서 접착성이 달라지는 층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어떤 피착체에 대해서는 낮은 접착성을 나타내면서, 동시에 다른 어떤 피착체에 대해서는 높은 접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장식재에서 장식층이 기재층에 대해서 전술한 높은 접착력을 나타내도록 하는 동시에 특정 기재(예를 들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해서는 이형성이 발현될 수 있는 낮은 접착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층일 수 있다. 상기에서 높은 접착력이 발휘되는 기재층의 종류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 예시에서 PVC(poly(vinyl chloride)) 기재층일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특성은, 일 예시에서 상기 박리력 가변층이 포함하는 성분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박리력 가변층이 후술하는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특성이 발휘될 수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 특성은, 장식재에 장식층이 전사 공정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일단 전사된 장식층이 장식재 내의 다른 층(예를 들면, 장식재 내에서 장식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존재하게 되는 폴리염화비닐층)과 높은 접착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단층 구조이거나 다층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또한 인쇄층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인쇄 적성(printability), 특히 디지털 인쇄용 잉크에 대해서 우수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후술하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서 전술한 이형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적용될 수 있는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합물로는, 업계에서 이형 필름의 프라이머층에 통상 적용되는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화합물로는 Evonik사의 Protect 5000이나 5001 제품 등이 예시될 수 있고, 불소 화합물로는 3M사의 SRA-270이나 451 제품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 대신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는 다른 종류의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다른 예시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상기 다른 종류의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다른 종류의 이형성을 나타낼 수 있는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업계에서 장쇄 알킬계 이형제 및/또는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 등으로 알려진 재료가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재료와 함께 다른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염화비닐은,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적정 비율로 포함되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서 변화되는 접착 성능을 나타내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과 함께 상기 폴리염화비닐이 포함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같은 피착체에 대해서는 낮은 박리력을 나타내지만,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다른 층에 대해서는 높은 박리력을 나타낼 수 있다. 장식재의 경우, 기재층 혹은 다른 층이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상기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장식재 내에서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다른 층(예를 들면 후술하는 투명층 등)과 계면 접착력을 상승시켜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높은 박리력이 확보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용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성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장식재 등의 제조에 적용되는 통상의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분으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대략 2,000 내지 50,000의 범위 내에 있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성분의 중량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약 3,000 이상, 4,000 이상, 5,000 이상, 6,000 이상, 7,000 이상, 8,000 이상, 9,000 이상, 10,000 이상, 15,000 이상, 20,000 이상, 22,000 이상, 24,000 이상 또는 25,000 이상 이거나, 45,000 이하, 40,000 이하, 35,000 이하, 30,000 이하 또는 28,000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PVC 성분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포함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30 내지 1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인쇄 적성과 내구성을 나타내면서, 기재에 따라서 목적하는 접착 성능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또는 75 중량부 이상이거나, 120 중량부 이하, 110 중량부 이하, 10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또는 8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재료와 함께 수지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멀젼은 수성 에멀젼일 수 있으며, 이러한 에멀젼은 비이온성(non-ionic), 양이온성(cationic) 또는 음이온성(anionic) 에멀젼일 수 있다. 상기 수성 에멀젼은, 비이온성(non-ionic), 양이온성(cationic) 및/또는 음이온성(anionic) 계면활성제의 존재 하에 수성 매질에서 단량체를 중합시켜서 형성한 중합물이다.
수지 에멀젼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 폴리우레탄계 수지 에멀젼 및/또는 PVC(poly(vinyl chloride))계 수지 에멀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아크릴계 수지 에멀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예를 들면, 대략 10 내지 90중량% 또는 20 내지 80중량%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대략 10 내지 90 중량% 또는 20 내지 80 중량%의 다른 단량체의 중합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다른 단량체로는, 에틸렌성 불포화(ethylenically unsaturated) 모노산(monoacid) 또는 다이산(diacid) 등이나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테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또는 스테아릴(stearyl)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ethylenically unsaturated) 모노산(monoacid) 또는 다이산(diacid)으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및/또는 세네시오산(senecioic acid) 등이나 상기 다이산의 모노알킬 에스테르 화합물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기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상기에서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0, 1 내지 16, 1 내지 12, 1 내지 8 또는 1 내지 4일 수 있고, 알킬기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형일 수 있음),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이소부틸렌, 염화 비닐(vinyl chloride), 염화 비닐리덴(vinylidene chloride), (메타)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비닐 포르메이트(vinyl formate), 비닐 아세테이트(vinyl acetate), 비닐 프로피오네이트(vinyl propionate), 비닐 부티레이트(vinyl butyrate), 비닐 이소부티레이트(vinyl isobutyrate), 비닐 발레레이트(vinyl valerate), 비닐 2-에틸헥사노에이트(vinyl 2-ethylhexanoate), 비닐 이소옥타노에이트(vinyl isooctanoate), 비닐 노노에이트(vinyl nonoate), 비닐 데카노에이트(vinyl decanoate), 비닐 피발레이트(vinyl pivalate), 비닐 버사테이트(vinyl versatate), 세틸비닐 에테르(cetylvinyl ether), 도데실 비닐 에테르(dodecylvinyl ether), 디-부틸 말레이트(di-butyl maleate), 디-2-에틸헥실 말레이트(di-2-ethylhexyl maleate), (메타)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 비닐술폰산(vinylsulfonic acid), 2-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2-acrylamido-2-methylpropanesulfonic acid), 스티렌-p-술폰산 및/또는 알릴알코올(allylalcohol)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에 상기 아크릴 수지는 임의적으로 가교 단량체(crosslinking mono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교성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의 전체 단량체를 기준으로 최대 3 중량% 정도까지 포함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로는, 메틸렌-비스-(메타)아크릴아미드(methylene-bis-(meth)acrylamides), 탄소수 2 내지 6의 이가 알코올(dihydric alcohol) 또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디비닐디옥산, 디알릴 프탈레이트(diallyl phthalate), 이가 알코올(dihydric alcohol) 또는 다가 알코올(polyhydric alcohol)(예를 들면, 펜타에리트리톨)의 디알릴 에테르 화합물 또는 트리알릴 에테르 화합물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디아크릴레이트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수지 에멀젼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약 5 내지 7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10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20 중량% 이상 또는 25 중량% 이상이거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55 중량% 이하, 50 중량% 이하, 45 중량% 이하, 40 중량% 이하 또는 35 중량%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은,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70 내지 17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에멀젼은 다른 예시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110 중량부 이상 또는 115 중량부 이상이거나, 160 중량부 이하, 150 중량부 이하, 140 중량부 이하, 130 중량부 이하 또는 12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가로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금속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염은, 필요에 따라서 양이온과 음이온으로 해리되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인쇄 적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 있다. 금속염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적절한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Zn, Cu, Fe, Mn, Li, Ag, Mg 및/또는 Ca 등의 금속의 질산염(nitrate), 황산염(sulfate) 또는 염화염(chloride)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염은,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1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또는 7 중량부 이상이거나, 1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9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무기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필러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층의 내구성을 개선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접착 성능 및/또는 인쇄 적성을 개선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면, 카올린(Kaoline),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TiO2, Ca(OH)2, CaO, Al(OH)3, Al2O3 및 탄산 칼슘(Calcium Carbonate)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예를 들면, 평균 입경(ISO 13320-1에 따른 D50 입경)이 대략 0.5μm 내지 14μm, 1μm 내지 12μm, 1 μm 내지 10 μm, 1 μm 내지 8 μm, 1 μm 내지 6 μm 또는 1μm 내지 4μm의 범위 내에 있는 필러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또한 ISO 9277 규격에 따른 BET 비표면적(specific surface)이 대략 350 m2/g 이상, 450 m2/g 이상, 550 m2/g 이상 또는 650 m2/g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 필러로는 또한 소위 DOA(dioctyl) 흡수능(DOA absorption capacity)이 100 g 당 200 내지 300 ml, 220 내지 290 ml, 240 내지 280 ml 또는 250 and 270 ml의 범위 내 정도인 다공성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의 무기 필러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내구성, 인쇄 적성 및/또는 접착 성능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2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적절한 내구성 및/또는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또는 45 중량부 이상이거나, 95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또는 5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성분에 추가로 기타 필요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증점제, 레벨링제 및/또는 소포제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목적에 따라 선택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증점제는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레벨링제는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 0.05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단층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다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기재된 성분들을 모두 적정 비율로 포함하는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코팅한 후에 적절한 건조 및/또는 경화 공정을 통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계 화합물을 주로 포함하는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주로 포함하는 층으로 나누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고, 그 층에 접하여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을 형성하여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다른 성분은, 상기 2개의 층 중에서 적절한 층에 나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언급한 PVC(poly(vinyl chloride))는 상기 2개의 층 중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에 포함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성분, 예를 들면, 금속염이나 무기 필러 등은 상기 수지 에멀젼이 포함되어 있는 층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 상기 다층 구조는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제 2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층에는 상기 폴리염화비닐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 2 층에는 상기 금속염 및 무기 필러가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각 성분들의 함량 비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두께가 약 0.1 내지 20μ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약 0.3μm 이상, 0.5 μm 이상, 0.7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또는 1.5 μm 이상이거나, 19 μm 이하, 18 μm 이하, 17 μm 이하, 16 μm 이하, 15 μm 이하, 14 μm 이하, 13 μm 이하, 12 μm 이하, 11 μm 이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7 μm 이하, 6 μm 이하, 5 μm 이하 또는 4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 각 층의 두께는 적정한 비율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1 층)과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2 층)으로 나뉘는 경우에 상기 각 층은 각각 약 0.1 내지 10μm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각 층의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각각 약 0.3μm 이상, 0.5 μm 이상, 0.7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또는 1.5 μm 이상이거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7 μm 이하, 6 μm 이하, 5 μm 이하 또는 4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다층 구조에서 상기 2층의 비율, 예를 들면,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2 층)의 두께(A)의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층(예를 들면, 상기 제 1 층)의 두께(B)에 대한 비율(A/B)은 약 0.4 내지 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A/B)은 다른 예시에서 0.6 이상, 0.8 이상, 1 이상, 1.2 이상, 1.4 이상, 1.6 이상, 1.8 이상 또는 2 이상이거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두께 특성은 피착체에 따라서 접착력이 달라지고, 인쇄 적성이 우수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는 것에 유리할 수 있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의 하나의 예로서, 상기 가변층이 잉크 수용층과 프라이머층으로 나누어져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가변층은 잉크 수용층과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층은, 필요한 경우에 상기 잉크 수용층과 프라이머층 외에 다른 층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잉크 수용층과 프라이머층은 서로 접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잉크 수용층과 프라이머층 중 어느 한 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예시에서 상기 잉크 수용층은, 상기 기술한 제 2 층과 같은 층일 수 있고, 프라이머층은 상기 제 1 층과 같은 층일 수 있다.
상기 잉크 수용층은 상기 기술한 수지 에멀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에멀젼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잉크 수용층에서 상기 수지 에멀젼은, 잉크 수용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약 40 내지 8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45중량% 이상, 50중량% 이상 또는 55 중량% 이상이거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또는 6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에멀젼은, 후술하는 프라이머층의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70 내지 170 중량부가 존재하도록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지 에멀젼은 다른 예시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110 중량부 이상 또는 115 중량부 이상이거나, 160 중량부 이하, 150 중량부 이하, 140 중량부 이하, 130 중량부 이하 또는 12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비율 하에서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프라이머층이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으며, 추가로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은, 상기 수지 에멀젼과 함께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포함되는 성분 중에서 금속염, 무기 필러, 증점제, 레벨링제 및/또는 소포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성분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와 같다.
상기 금속염은,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1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3 중량부 이상, 5 중량부 이상 또는 7 중량부 이상이거나, 18 중량부 이하, 16 중량부 이하, 14 중량부 이하, 12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또는 9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목적하는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적절한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대략 2 내지 100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상기 기술한 기재에 따라 가변되는 접착 성능을 훼손하지 않고, 경우에 따라서는 개선시키면서, 내구성 및/또는 인쇄 적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5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상, 2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상, 35 중량부 이상, 40 중량부 이상 또는 45 중량부 이상이거나, 95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85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하, 65 중량부 이하, 60 중량부 이하 또는 5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증점제는, 상기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레벨링제는 0.1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소포제는 0.05 내지 2 중량부의 비율로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프라이머층은, 상기 기술한 실리콘 화합물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 재료와 함께 다른 중합체, 예를 들면, 전술한 PV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실리콘 화합물, 불소 화합물 및 폴리염화비닐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을 전체 프라이머층의 중량 대비 약 40 내지 7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45 중량% 이상 또는 50 중량% 이상이거나, 65 중량% 이하 또는 60 중량%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서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은 상기 잉크 수용층에 포함되는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약 60 내지 100 중량부가 되는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65 중량부 이상, 약 70 중량부 이상, 약 75 중량부 이상 또는 약 80 중량부 이상이거나, 95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또는 8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프라이머층에서 상기 PVC는, 상기 실리콘 및/또는 불소 화합물의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30 내지 1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VC의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40 중량부 이상, 50 중량부 이상,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또는 75 중량부 이상이거나, 120 중량부 이하, 110 중량부 이하, 100 중량부 이하, 90 중량부 이하 또는 8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비율하에서 상기 잉크 수용층과 상기 프라이머층의 적층체가 전술한 특성, 예를 들면, 적절한 인쇄 적성과 내구성 및 기재에 따라서 달라지는 접착 성능이 발현될 수 있다.
상기 잉크 수용층 및 프라이머층은, 각각 약 0.1 내지 10μm의 범위 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잉크 수용층 및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다른 예시에서 각각 약 0.3μm 이상, 0.5 μm 이상, 0.7 μm 이상, 0.9 μm 이상, 1 μm 이상 또는 1.5 μm 이상이거나, 10 μm 이하, 9 μm 이하, 8 μm 이하, 7 μm 이하, 6 μm 이하, 5 μm 이하 또는 4 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잉크 수용층의 두께(A)의 상기 프라이머층의 두께(B)에 대한 비율(A/B)은 약 0.4 내지 1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상기 비율(A/B)은 다른 예시에서 0.6 이상, 0.8 이상, 1 이상, 1.2 이상, 1.4 이상, 1.6 이상, 1.8 이상 또는 2 이상이거나, 9 이하, 8 이하, 7 이하, 6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또는 2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두께 특성은 목적하는 물성의 확보에 유리할 수 있다.
장식재의 장식층은 또한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층은, 장식층 내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의 구조에서 장식층(200)의 기재층(100)를 향하는 면 및/또는 장식층(200)의 기재층(100)를 향하는 면과는 반대면에 상기 인쇄층이 존재할 수 있다. 인쇄층은 일 예시에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서 상기 수지 에멀젼이 주로 존재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은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은 예를 들면, 공지의 그라비어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한 예시에서 상기 인쇄층은 소위 디지털 인쇄(digital printing) 방식으로 형성한 층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층은 디지털 인쇄층일 수 있다. 디지털 인쇄층을 형성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디지털 인쇄는, 공지된 인쇄 공법으로 전기 신호 제어형 잉크 토출 방식을 이용한 비접촉 인쇄 방식이며, 다품종 소/대량 생산에 유리하고, 디자인 자유도 및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디지털 인쇄 방식을 적용하면, 그라비어 인쇄 방식에서 구현할 수 없는 전폭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그라비어 인쇄 방식과는 달리 구현할 수 있는 색의 수도 제한이 없기 때문에 다양한 색을 사용하여 멀티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인쇄 방식은 그라비어 인쇄 방식으로는 구현이 어려운 섬세한 연조 효과를 연출할 수 있고, 소위 3D 효과도 구현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 인쇄 방식에 의하면 정교한 핀트 맞춤이 가능하고, 원하는 경우에 패브릭이나, 우드 등 천연 소재의 리얼리티도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본 출원에서는, 전술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인쇄층의 형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장식제에서는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의 잉크 닷(dot)의 크기를 10μm 내지 100μm의 범위 내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 닷 크기는 Digital Microscope(Dino-Lite)로 인쇄층을 관찰하여 모니터에 보이는 형상(이미지)를 캡쳐한 후, 측정 비율을 입력하고, 실제 닷의 크기를 측정하며, 닷은 구 모양에서 지름을 측정하여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잉크 닷 크기 제어를 통해서 보다 정교한 핀트에서 선명하고 미려한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잉크 닷의 크기는 15 μm 이상 또는 20 μm 이상이거나, 90 μm 이하, 80 μm 이하, 70 μm 이하, 60 μm 이하, 50 μm 이하, 45 μm 이하, 40 μm 이하, 35 μm 이하 또는 30μ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인쇄층은, 우수한 색좌표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색좌표는, 국제조명위원회(CIE, Commo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에서 규정한 색상 값인 CIE 색공간에서의 좌표이고, CIE 색공간에서의 임의의 위치는 L*, a*, b* 3가지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L*값은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L*이 0이면, 흑색(black)이고, L*이 100이면, 백색(white)이다. 상기 a*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적색(pure magenta)과 순수한 녹색(pure green) 중 어느 쪽으로 치우치는지를 나타내며, 상기 b*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황색(pure yellow)과 순수한 청색(pure blue) 중 어느 쪽으로 치우치는지를 나타낸다.
상기 a*값은 -a 내지 +a의 범위를 가지며, a*의 최대값(a* max)은 순수한 적색(pure magenta)을 나타내며, a*의 최소값(a* min)은 순수한 녹색(pure green)을 나타낸다. a*값이 음수이면 녹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적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80과 a*=50를 비교하였을 때, a*=80이 a*=50보다 순수한 적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상기 b*값은 -b 내지 +b의 범위를 가진다. b*의 최대값(b* max)은 순수한 황색(pure yellow)을 나타내며, b*의 최소값(b* min)은 순수한 청색(pure blue)을 나타낸다. b*값이 음수이면 순수한 청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순수한 황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b*=80과 b*=20를 비교하였을 때, b*=80이 b*=20보다 순수한 황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또한, 용어 색편차 또는 색좌표 편차는, CIE 색공간에서의 두 색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거리가 멀면 색상의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이고, 거리가 가까울수록 색상의 차이가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하기 수학식 1로 나타내는 ΔE*로 표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장식재에 대해서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색차값은 레드(Red) 색차값이 35.2 내지 35.5의 범위 내이며, 블루(Blue) 색차값이 31.2 내지 31.5의 범위 내이고, 옐로우(Yellow) 색차값이 45.1 내지 45.6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존재 여부에 따른 색차값의 차로 참조하면, Red는 a*, Blue와 Yellow는 b*값의 명기가 보다 명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레드(Red)의 a*는 14.5 내지 15.5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옐로우(Yellow)의 b*는 18.0 내지 19.0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색차값의 특징으로 보이는 부분은. Yellow 색상의 b*값으로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없는 경우에서는 Yellow 색상의 b*가 6.09이고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적용한 경우는 b*가 18.24로 약 2배 정도의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잇는 경우에 더 좋은 발색(b*가 +쪽으로 갈수록 노란색)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층은,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공지의 인쇄 방식(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 방식)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통상 디지털 인쇄 방식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목적하는 물성, 예를 들면, 전술한 접착 성능의 발현을 위해서, 상기 인쇄층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인쇄층 및/또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이 상기 잉크 수용층상에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인쇄층 및/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에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 성분은, 상기 장식층이 상기 기재층에 보다 강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폴리우레탄으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폴리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통상 폴리우레탄으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을 적용하는데, 본 출원에서는 상기 폴리올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적용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절한 예시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이 적용된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으로는 예를 들면, 중량평균분자량(Mw)이 약 5,000 내지 100,000 정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량평균분자량은 다른 예시에서 7,000 이상, 9,000 이상, 11,000 이상, 13,000 이상, 15,000 이상, 17,000 이상 또는 19,000 이상이거나, 90,000 이하, 80,000 이하, 70,000 이하, 60,000 이하, 50,000 이하, 40,000 이하 또는 30,000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으로는 유리전이온도가 약 0℃ 이하, -5℃ 이하, -10℃ 이하, -15℃ 이하 또는 -20℃ 이하이면서, 약 -100℃ 이상, -90℃ 이상, -80℃ 이상, -70℃ 이상, -60℃ 이상, -50℃ 이상, -40℃ 이상 또는 -3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목적하는 효과를 보다 유리하게 확보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의 수지 에멀젼 100 중량부 대비 약 50 내지 200 중량부의 비율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율 하에서 폴리우레탄이 목적하는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비율은 다른 예시에서 약 60 중량부 이상, 70 중량부 이상, 8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상, 100 중량부 이상 또는 105 중량부 이상이거나, 190 중량부 이하, 180 중량부 이하, 170 중량부 이하, 160 중량부 이하, 150 중량부 이하, 140 중량부 이하, 130 중량부 이하, 120 중량부 이하 또는 115 중량부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인쇄층, 잉크 수용층 및/또는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 및/또는 잉크 수용층 또는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는 성분이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잉크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적정 비율로 포함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디지털 인쇄에 적용되는 잉크(예를 들면, 수성 잉크)에 상기 폴리우레탄을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폴리우레탄은 전술한 수지 에멀젼 대비 비율이 확보되고, 잉크가 인쇄 가능한 물성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으로 잉크에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잉크가 대략 1 내지 10 mPa·s의 범위 내의 점도 및/또는 대략 10 내지 60 N/m의 표면 장력을 나타낼 수 있는 수준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이 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잉크 내에서의 폴리우레탄의 비율이 약 10 내지 90 중량% 정도가 될 수 있도록 배합될 수 있다.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 및 장식층에 추가로 필요한 다른 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식재는, 상기 기재층과 장식층의 사이에 소위 백색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백색층은, 인쇄층의 색상을 더욱 부각시키기 위해서 장식재의 제조에 통상 적용되는 층이다. 백색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공지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색층은 폴리염화비닐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색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백색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기재층(100)와 장식층(200)의 사이에 백색층(300)이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식재는 또한 상기 장식층을 보호하는 층으로서, 상기 장식층상에 적절한 투명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장식재의 장식층(200)상에 투명층(400)이 존재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투명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PVC(poly(vinyl chloride)) 등의 공지의 재료를 포함하는 투명층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층은, 일 예시에서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략 0.05mm 내지 1.0mm의 범위 내에서 두께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에서 장식재의 두께를 지나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적절한 보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장식재는, 상기 투명층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층, 예를 들면, 공지의 UV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UV 코팅층은, 소위 자외선 경화형 코팅층으로도 불리운다.
또한, 장식재는, 기재층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장식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치수 안정성이나 시공층을 고려하여 소위 밸런스층(치수안정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런스층은, 예를 들어, 시공면과 접착되는 부분이고, 장식재의 표면을 보호하며, 습기 등을 막아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밸런스층을 형성하는 재료로는 특별한 제한 없이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층의 두께도 적정 범위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약 0.01mm 내지 약 3.0mm의 범위 내에서 적정 두께가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예시적인 장식재는, 상기 기술한 구성들 중에서 일부 구성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출원은 상기 기술한 백색층; 상기 백색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상기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상기 잉크 수용층; 및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된 투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는, 상기 잉크 수용층과 투명층 사이에 상기 기술한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재는, 상기 투명층 상에 코팅층, 예를 들면, 상기 기술한 UV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백색층, 인쇄층, 잉크 수용층, 프라이머층, 투명층 및 코팅층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일 예시에서 상기 잉크 수용층은 상기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층은 상기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 및 상기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성분들의 비율이나 상기 층의 두께 및 상기 층에 포함될 수 있다는 다른 성분들의 종류도 전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예시적인 장식재는, 180도의 박리 각도 및 200 mm/min의 박리 속도에서 1.6 kgf/2.0cm 이상의 박리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박리 강도의 의미는, 상기 기술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장식재의 표면에서 상기 인쇄층의 잉크 닷 크기가 10 내지 100 μ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도 전술한 잉크 닷 크기와 같다.
또한, 상기 장식재는, 상기 백색층의 타면 상에 형성된 상기 기재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전사 필름에 대한 것이다. 상기 전사 필름은 예를 들면, 상기 장식재의 제조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전사 필름은, 예를 들면,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상에 형성된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전사 필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적어도 일면,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상기 기재 필름을 향하는 면과는 반대측면에 인쇄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상기 전사 필름은, 상기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상기 잉크 수용층; 및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된 상기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상기 기재 필름과 상기 잉크 수용층 사이에 상기 프라이머층이 추가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전사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 외의 다른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사 필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피착면에 따라서 높은 접착력과 낮은 접착력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전사 필름에서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해서 낮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의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력은 1,000 gf/inch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상기 접착력은 다른 예시에서 950 gf/inch 이하일 수도 있으며, 그 하한은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를 들면, 50gf/inch 이상, 100gf/inch 이상, 150gf/inch 이상, 200gf/inch 이상, 250gf/inch 이상, 300gf/inch 이상, 350gf/inch 이상, 400gf/inch 이상, 450gf/inch 이상, 500gf/inch 이상, 550gf/inch 이상, 600gf/inch 이상, 650gf/inch 이상, 700gf/inch 이상, 750gf/inch 이상, 800gf/inch 이상 또는 850 gf/inch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접착력은 전술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단, 이 경우 상기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의 평가 시에 기재층에 대한 내용이 상기 기재 필름에 대한 내용이 된다. 또한, 상기 접착력 측정 시에는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하는 공정은 수행되지 않는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프라이머층)이 상기와 같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상기 기재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의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재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일 수 있다. 이러한 기재 필름의 두께 등에도 특별한 제한이 없다.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은 기재 필름에 대해서 상기와 같은 낮은 접착력을 나타내는 동시에 PVC(poly(vinyl chloride))층에 대해서는 높은 접착력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상기 PVC층은, 상기 기재층의 표면일 수 있다. 상기 PVC층에 대한 접착력(박리 강도)은 예를 들면, 1.6 Kgf/2.0cm 이상, 1.8 Kgf/2.0cm 이상, 2.0 Kgf/2.0cm 이상, 2.2Kgf/2.0cm 이상, 2.4Kgf/2.0cm 이상, 2.6Kgf/2.0cm 이상, 2.8Kgf/2.0cm 이상, 3.0Kgf/2.0cm 이상, 3.2Kgf/2.0cm 이상, 3.4Kgf/2.0cm 이상, 3.6Kgf/2.0cm 이상, 3.8Kgf/2.0cm 이상 또는 4.0Kgf/2.0cm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박리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10Kgf/2.0cm 이하, 9 Kgf/2.0cm 이하, 8 Kgf/2.0cm 이하, 7 Kgf/2.0cm 이하, 6 Kgf/2.0cm 이하, 5 Kgf/2.0cm 이하, 4.5 Kgf/2.0cm 이하 또는 4 Kgf/2.0cm 이하 정도일 수도 있다.
상기 박리 강도의 측정 방법은 전술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측정 방법과 동일하다.
위와 같은 전사 필름의 각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과 인쇄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기 기술한 장식재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과 인쇄층과 같다.
즉,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또는 상기 잉크 수용층 및/또는 상기 프라이머층) 및/또는 인쇄층을 기재층에 전사함으로써 상기 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장식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 의하면, 전술한 장식재를 전사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기존 장식재 제조 공정에 큰 변화를 주지 않고, 예를 들면, 디지털 인쇄 방식과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 인쇄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경우, 전술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통해서 접착체 등 유해 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접착력 등이 우수한 장식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전사 공정을 적용하는 경우, 공정 과정에서 열 등에 의한 장식재의 손상 등도 회피할 수 있으며, 일단 인쇄층을 형성한 후 전사에 의해 장식재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하부의 기재층의 평탄성에 대한 의존성을 줄일 수 있으며, 공정의 불량에 따른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면, 기재층상에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 필름의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사 필름으로서, 상기 기재 필름; 잉크 수용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은 상기 기재층상에 상기 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부착되도록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전사 필름의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필름이 제거된 잉크 수용층 상에 상기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일면에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기재층과 접촉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인쇄층이 형성된 면 또는 인쇄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기재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적용되는 기재층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전술한 장식재의 기재층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재층에는 전술한 백색층 및/또는 밸런스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백색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백색층에 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단계 후에 기재 필름을 제거한 후에 필요한 공지의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재 필름의 제거 후에 상기 투명층이나 UV 코팅층 등이 추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장식재, 전사 필름 및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요구 및 필요에 부응한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의 인쇄층을 선명하고 또한 높은 접착력을 가지도록 기재층에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전사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와 같은 인쇄층을 형성한 장식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또한 상기와 같은 장식재의 제조에 적합한 전사 필름 및 그 필름을 사용한 장식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예시적인 장식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실시예와 비교예의 잉크 닷 크기를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장식재의 CIE 색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사 필름의 제조
2층 구조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2종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리콘계 화합물로서, Evonik사의 Protect 5000 제품과 PVC(poly(vinyl chloride))를 용매인 물 내에 약 5:4의 중량 비율(실리콘계 화합물:PVC)로 용해시켜서 제 1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PVC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26,000 정도 수준인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 금속염인 MgCl2, 실리카(평균 입경(D50 입경): 약 1.8μm) 및 기타 성분(증점제, 레벨링제 및 소포제)를 6:0.5:3:0.5(수지 에멀젼:금속염:실리카:기타 성분)의 중량 비율로 용매인 물에 혼합하여 제 2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은, 단량체로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를 대략 1:1:1의 중량 비율로 물에서 중합시켜 형성하였고, 이 때 계면 활성제로서, 아세트산을 상기 단량체 합계 100 중량부 대비 약 10 중량부로 사용하였다.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의 일면에 우선 상기 제 1 코팅액을 코팅하고, 80℃의 온도에서 15초 동안 유지하여 두께가 약 1μm 정도인 제 1 층(프라이머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제 1 층상에 제 2 코팅액을 코팅하고, 130℃의 온도에서 약 1분 동안 유지하여 두께가 약 2μm 정도인 제 2 층(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여, 2층 구조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은,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을 약 30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양이온성 아크릴 수지 에멀젼과 상기 실리콘 화합물의 중량 비율이 약 6:5 정도(수지 에멀젼:실리콘 화합물)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상에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인쇄층은 디지털 인쇄 방식으로 형성하였다. 이 때 잉크로는, ㈜잉크테크사에서 입수한 수성 잉크 LK 시리즈 제품과 폴리우레탄을 약 6.6:3.5의 중량 비율(폴리우레탄:잉크 제품)로 혼합한 잉크를 사용하였다. 이 때 폴리우레탄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우레탄으로서, 유리전이온도가 약 -25℃ 정도인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기재 필름,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및 인쇄층이 순차 형성된 전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 내에 상기 폴리우레탄의 비율은 대략 22 중량% 정도이고, 상기 수지 에멀젼과 상기 폴리우레탄의 중량 비율은 약 6:6.6 정도(수지 에멀젼:폴리우레탄)가 되도록 하였다.
장식재의 제조
상기 전사 필름을 사용하여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장식재 제조 시에 기재층으로는 바닥재의 기재층으로서 통상 사용되는 PVC(poly(vinyl chloride)) 보드의 일면에 통상적인 PVC(poly(vinyl chloride)) 백색층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통상적인 밸런스층이 형성된 기재층을 사용하였다.
상기 기재층의 상기 백색층상에 상기 전사 필름의 피착체-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을 접촉시켰다. 그 후 기재 필름을 박리 후에 기재 필름이 박리된 면에 PVC(poly(vinyl chloride)) 투명층과 UV 코팅층을 각각 형성하여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 1 코팅액으로서,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지 않는 코팅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잉크로서,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지 않은 잉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잉크로서, 폴리우레탄을 혼합하지 않은 잉크를 사용하고, 제 1 코팅액으로서, PVC(poly(vinyl chloride))를 포함하지 않는 코팅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장식재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박리 강도 평가
장식재에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는, KS M 3802, 장식실험실 테스트 규격을 참고하여 평가하였다. 우선 장식재를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한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박리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6은 상기 박리 강도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박리 강도 측정 시에 임의의 층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단일 층이 찢겨져서 파손되는 시점에서의 강도를 박리 강도로 하였다.
시험예 2. 접착력 평가
전사 필름에서 기재 필름인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에 대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제1층+제2층)의 접착력은 상기 시험예 1과 같은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단, 이 경우, 시편을 약 80℃의 온수에서 약 1 시간 동안 유지하는 공정은 수행하지 않았다.
전사 필름을 가로가 20 mm이고, 세로가 250 mm이며, 두께가 약 5 mm인 도그본 형태로 재단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인장 시험기에 시편의 양 끝을 고정하고, 약 200 m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위 과정에서 사용하는 인장 시험기로는 AMATEK LLOYD INSTRUMET의 소형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였고, 사용 load cell로는 5kN load cell을 사용하였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측정 시에 임의의 층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거나, 혹은 단일 층이 찢겨져서 파손되는 시점에서의 강도를 접착력으로 하였다.
시험예 3. 잉크 닷 사이즈의 측정
인쇄층의 잉크 닷(Dot) 크기를 다음과 같이 확인하였다. Dino 장비(현미경) 및 소프트웨어(Dinocapture)를 사용하여 인쇄층을 230X배의 배율로 관찰하여 모니터에 보이는 형상(이미지)를 캡쳐한 후, 측정 비율을 입력하고, 실제 닷의 크기를 측정하며, 닷은 구 모양에서 지름을 측정하여 상기 크기를 구하였다.
도 4는 이와 같이 확인한 인쇄층 이미지이고, 도 4에서 (a) 내지 (c)는 비교예 1의 이미지이며, (d) 내지 (f)는 실시예 1의 이미지이다.
시험예 4. CIE 색좌표 측정
실시예 1과 비교예 1의 각각의 경우의 CIE 색좌표를 측정하였다.
이 때 색좌표는 Konica Minolta사의 CN-5 기기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인쇄층을 형성 시에 레드, 블루 및 옐로우 색상을 각각 인쇄하여 색좌표 및 색차값을 평가하였다.
도 5는 이러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의 (b)는 실시예에 대한 결과이며, (a)는 비교예에 대한 결과이다.
실시예 1의 방식을 적용한 경우에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장식층의 레드 색차값, 블루 색차값 및 옐로우 색차값은 레드(red)의 a*는 약 13.8 정도이고, 옐로우(Yellow)의 b*는 18.2 정도이며, 블루(Blue)의 b*는 약 -13.4 정도였다.
상기 시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여 기재하였다.
박리강도 접착력 잉크 닷 크기
실시예1 약 4.0Kgf/2.0cm 이상 약 900 gf/inch 약 20~30 μm
실시예2 약 3.0Kgf/2.0cm 이상 약 900 gf/inch 약 20~30 μm
실시예3 약 2.0Kgf/2.0cm 이상 약 900 gf/inch 약 35 μm
비교예1 약 1.0Kgf/2.0cm 이하 약 900 gf/inch 약 40 μm
표 1에서 박리 강도는 장식재에서 장식층의 기재층에 대한 박리 강도이고, 접착력은 전사 필름에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의 기재 필름에 대한 접착력이다.
표 1의 결과로부터, 본 출원에서는 피착체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지고, 그러한 접착력의 변화가 전사 공정에 적합한 피착체 의존성 박리력 가변층이 효과적으로 형성되며, 그 가변층의 인쇄 적성도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KS M 0000-1 규격에 따라 확인한 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장식재는 모두 TVOC 발생량이 시간당 0.08 mg/m3 이하였고, 포름알데히드 발생량이 시간당 0.01 mg/m3 이하였다.

Claims (18)

  1. 백색층;
    상기 백색층의 일면 상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 및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된 투명층을 포함하는 장식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과 투명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
  3.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층 상에 코팅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
  4. 제 2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은 수지 에멀젼을 포함하고,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과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장식재.
  5. 제 1 항에 있어서, 180도의 박리 각도 및 200 mm/min의 박리 속도로 박리시키는 부착성 평가에서 1.6 kgf/2.0cm 이상의 박리 강도를 나타내는 장식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재의 표면에서 잉크 닷(dot)의 크기는 10 내지 100 μm인 장식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색차값은 레드(Red)가 35.2 내지 35.5이며, 블루(Blue)가 31.2 내지 31.5이고, 옐로우(Yellow)가 45.1 내지 45.6인 장식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레드(Red)의 a*는 14.5 내지 15.5인 장식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장식재의 표면을 CM-5 색차계를 이용하여 SCI mode로 측정한 옐로우(Yellow)의 b*는 18.0 내지 19.0인 장식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색층의 타면 상에 형성된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형성된 밸런스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
  11.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형성된 잉크 수용층; 및
    상기 잉크 수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기재 필름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필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은 수지 에멀전을 포함하고,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 및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전사 필름.
  14. 백색층상에 제 11 항의 전사 필름의 인쇄층이 부착되도록 전사하는 단계;
    상기 전사 필름의 기재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 필름이 제거된 잉크 수용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재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전사 필름은 기재 필름과 잉크 수용층 사이에 프라이머층을 추가로 포함하며,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 필름이 제거된 프라이머층 상에 투명층을 형성하는 단계인 장식재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은 수지 에멀전을 포함하고, 프라이머층은, 실리콘 또는 불소 화합물 및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장식재의 제조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투명층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식재의 제조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백색층은,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재층의 타면에는 밸런스층이 형성되어 있는 장식재의 제조 방법.
KR1020210102857A 2020-08-05 2021-08-05 장식재 KR1025145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860 2020-08-05
KR20200097860 2020-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865A true KR20220017865A (ko) 2022-02-14
KR102514575B1 KR102514575B1 (ko) 2023-03-29

Family

ID=802541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56A KR102575626B1 (ko) 2020-08-05 2021-06-25 장식재
KR1020210083157A KR102575628B1 (ko) 2020-08-05 2021-06-25 장식재
KR1020210102857A KR102514575B1 (ko) 2020-08-05 2021-08-05 장식재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156A KR102575626B1 (ko) 2020-08-05 2021-06-25 장식재
KR1020210083157A KR102575628B1 (ko) 2020-08-05 2021-06-25 장식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756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559A (ja) * 1993-08-10 1995-02-28 Kyodo Printing Co Ltd 感熱昇華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90575A (ja) * 1996-04-24 1997-11-11 Nitto Denko Corp 熱転写印刷用シート
KR101975192B1 (ko) 2015-12-23 2019-05-08 (주)엘지하우시스 인쇄 특성이 우수한 장식재용 잉크 수용층 조성물, 장식재 및 장식재 제조방법.
JP2020044658A (ja) * 2018-09-14 2020-03-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インク受容層、レセプタフィルム、グラフィックフィルム、ライセンス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6476A (ko) * 2018-10-24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0616B2 (ja) * 1998-05-29 2008-07-02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62985B1 (ko) * 2007-05-30 2010-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2559A (ja) * 1993-08-10 1995-02-28 Kyodo Printing Co Ltd 感熱昇華転写受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90575A (ja) * 1996-04-24 1997-11-11 Nitto Denko Corp 熱転写印刷用シート
KR101975192B1 (ko) 2015-12-23 2019-05-08 (주)엘지하우시스 인쇄 특성이 우수한 장식재용 잉크 수용층 조성물, 장식재 및 장식재 제조방법.
JP2020044658A (ja) * 2018-09-14 2020-03-26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インク受容層、レセプタフィルム、グラフィックフィルム、ライセンス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6476A (ko) * 2018-10-24 2020-05-07 (주)엘지하우시스 타일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5628B1 (ko) 2023-09-07
KR20220017821A (ko) 2022-02-14
KR102514575B1 (ko) 2023-03-29
KR102575626B1 (ko) 2023-09-07
KR20220017822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5774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系フィルムを用いた熱転写用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熱転写方法
EP1981945B1 (en) Image receiving material and image receiving sheet
US20050271864A1 (en) Method of providing printable decorative labels for customization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2015028168A (ja) 組成物、フィルムおよび関連する方法
EP2205664B1 (en) (meth)acrylic film and marking film using same
WO202016156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ecorative foil and a panel comprising such foil
US20100055371A1 (en) Multi-Layer Dry Paint Transfer Laminate Having Olefinic Release Layer and Water-Based Opaque Layer
KR102514575B1 (ko) 장식재
US12017475B2 (en) Decoration material
US20230311562A1 (en) Decoration material
KR20230091453A (ko) 장식재
JPH11123869A (ja) 水性インク印刷用シート
KR20230091454A (ko) 장식재
JP3040241B2 (ja) エマルション組成物
KR20180061195A (ko) 점착 시트, 및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JP2020163730A (ja) 粘着層付き化粧シート
KR20200038001A (ko) 블록킹 방지 특성이 개선된 발포 열전사 필름
KR20230091452A (ko) 매트
KR102404801B1 (ko) 기재 은폐형 잉크 수용층을 포함하는 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032354A (zh) 着色的pvc基图形膜
KR102342014B1 (ko) 폴리염화비닐 타일 바닥재
KR100453586B1 (ko) 피씨 실사프린트용 차광 적층필름시트
KR20230086116A (ko) 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9308764B2 (en) Sheet for ink-jet printing
JP2012011729A (ja) 印刷セット及び印刷画像保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