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450A - auxiliary device - Google Patents

auxiliar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450A
KR20220009450A KR1020217041409A KR20217041409A KR20220009450A KR 20220009450 A KR20220009450 A KR 20220009450A KR 1020217041409 A KR1020217041409 A KR 1020217041409A KR 20217041409 A KR20217041409 A KR 20217041409A KR 20220009450 A KR20220009450 A KR 20220009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upport
support member
auxiliary device
engag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414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테츠오 토비카와
히데야스 호소야
레이코 쇼지
Original Assignee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0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4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A47K17/024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pivotally mounted on the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예를 들면, 착좌식 변기의 근방에 배설된 베이스부재에 대해서, 지지부재, 즉 측방 프레임부와 전방 암부가, 연결부를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전방 암부 중 지지암부가 사용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상반신의 전면부에 위치되어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요동각도 변경기구에 의해 지지부재, 즉, 측방 프레임부의 전하향 각도, 특히, 지지암부의 높이가 조정 가능하다.For example,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ated toilet, the supporting member, that is, the side frame portion and the front arm portion, is held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s the center. Among the front arms, the support arm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use position, and is located on the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of the assistant seated on the left to prevent it from falling forward. The forward angle of the support member, that is, the side frame portion, in particular, the height of the support arm portion can be adjusted by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Description

보조장치auxiliary device

본 개시는 피보조자(皮助護者)의 상반신을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두기 위한 보조(介助, 介護)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uxiliary (介助, 介護) device for keeping the upper body of an assisted person in a stable state.

장애자나 고령자 등의 피보조자가, 예를 들면 착좌식 변기(서양식 변기)에 착좌한 경우, 자력으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없을 때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안정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본 실용신안 공개 평6-33919호 공보(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특개2001-169968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착좌식 변기 주위에 상반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보조구를 설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When a assisted person, such as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is seated on, for example, a sitting toilet (Western-style toilet), it is desirable to stabilize the upper body of the assisted person when he/she cannot maintain a sitting posture by himself/herself. To this end, in Japanese Utility Model Laid-Open No. 6-33919 (Patent Document 1) and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69968 (Patent Document 2), an assisting tool for stabilizing the upper body is provided around the seated toilet. has been disclosed.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조구는, 변기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좌우에 위치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관과, 각 가이드관의 전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만곡형의 손잡이 바를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변기에 착좌하여 등받이판에 등을 기대게 한 피보조자의 허리부를 구속하는 벨트를 설치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The assisting tool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tube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f a person seated on a toilet seat, and a curved handle bar connecting the front ends of each guide tube. has been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that a belt is provided for restraining the waist of an assistive person who is seated on a toilet and has his or her back leaned on a backrest plate.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것은, 변기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좌우에 위치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난간, 소위 암 레스트를 설치하고, 이 난간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용위치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피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변기에 착좌하여 등받이판에 등을 기대게 한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구속하는 벨트를 설치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air of left and right handrail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f a person seated on the toilet, so-called arm rests, and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by enabling the handrail to swing up and down It is disclosed that a use position to be used and an evacuation positio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selectively taken. In addition, Patent Document 2 discloses that a belt is provided for restraining the upper body of an assistive person who is seated on a toilet seat and has his or her back leaned on a backrest plate.

상술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은, 모두 피보조자를 구속하는 벨트를 이용하지 않는 한 피보조자가 보조구를 잡는 등을 할 수 있을 정도의 피보조자, 즉 팔이나 손가락 끝에 힘을 줄 수 있는 정도의 피보조자인 것이 전제가 된다. 그러나, 피보조자 중에는 보조구를 잡는 것 등을 할 수 없는 사람도 있다. 이 경우, 자기 자신의 힘으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주위에 잡는 것이 가능한 보조구가 존재하더라도 실제로는 이 보조구를 이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all of the documents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s are sufficient to allow the assistee to hold the assistive tool, that is, to apply force to the arm or fingertips, unless a belt restraining the assistee is used. Being a dependent is a prerequisite. However, there are some people who are not able to hold an assisting tool or the like among the assisted. In this case, since the sitting posture cannot be maintained by one's own strength, even if there is an assistive device that can be grasped around it, the assisting device cannot actually be used.

여기서, 특허문헌 2에서는, 팔이나 손가락 끝에 힘을 줄 수 없는 피보조자에 대해서는 벨트를 이용하여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등받이판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벨트에 의한 상반신의 구속은 피보조자를 묶게 되어, 피보조자에게 큰 정신적 고통을 수반함과 동시에, 윤리상의 문제도 발생하여 채용하기 어렵다는 것이 실정이다.Here, in Patent Document 2, the upper body of the assistive person is fixed to the backrest plate by using a belt for the assistive person who cannot apply force to the arm or the fingertip. However, the situation is that restraint of the upper body by the belt binds the subordinate, and at the same time causes great mental suffering to the subordinate, and also causes ethical problems, making it difficult to employ.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벨트에 의한 구속을 수행하지 않고, 앉은 자세에 있는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확실히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ssistive device capable of reliably and stably maintaining the upper body of an assistee in a sitting posture without performing restraint by a belt.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 수법을 채택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ollowing solution method is adop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피보조자가 착좌하는 좌부의 근방에 배설(配設)된 베이스부재와, That is, a base memb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at on which the assisted person sits, and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서 요동 연결기구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에서의 상반신의 전면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받치는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支承部材)와,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rocking connection mechanism and having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front portion of the upper body of the person seated on the seat in a horizontally extending state;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요동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요동각도 변경기구,a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sw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를 구비하고 있으며, is equipped with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가,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요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궤적을 따라 복수의 계지부를 갖는 계지부재(係止部材)와, a locking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along a trajectory centered on the pivoting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퇴출된 대피위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계합부재(係合部材)와, an engaging member installed displaceably on the support member and capable of taking a locking position caught by the locking part and an evacuation position withdrawn from the locking position;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걸림위치를 향해서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付勢手段)과, a biasing mean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applying a force to the engag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position;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어스 수단에 대항하여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대피위치를 향해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부재,an operating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configured to displace the engaging member toward the retracted position against the biasing means;

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계지부 중 상기 계합부재가 걸리는 계지부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요동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변경되도록 한다.and, by changing the locking part on which the engaging member is caught among the plurality of locking parts, the sw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so that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is changed.

상기 해결 수법에 따르면, 지지부재에서, 좌부에 착좌하여 앞으로 기울어지는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확실히 지지(支承)할 수 있다. 또한, 요동각도 변경기구에 따른 요동각도 변경에 의해, 피보조자가 원하는 적절하게 앞으로 기울어진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 물론, 벨트에 의한 구속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므로, 피보조자에 대해서 정신적 고통을 주지도 않으며 윤리상으로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특히, 착좌식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 피보조자가 앞으로 구부림으로써, 특히 대변을 촉진하는데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시킬 수 있고, 또한 피보조자의 상반신 후방에 큰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보조자(介助者)는 용변 후 엉덩이를 닦는 등의 뒤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solution, in the support member, it is possible to reliably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assistive person who is seated on the seat and leans forward. In addition, by changing the swinging angle according to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assistive person at an appropriately inclined forward angle desired. Of course, since restraint by a belt is not performed, it does not inflict any psychological pain on the subordinate, nor is it an ethical problem.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seated toilet, by bending forward, the assistive person can maintain a particularly desirable posture for facilitating defecation, and a large space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assistant's upper body, so that the assistant can use the toilet after using the toilet. It is preferable for easily performing post-processing such as wiping the buttocks.

상기 해결 수법을 전제로 한 태양은 다음과 같다.An aspect premised on the above solution method is as follows.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측방에 위치되는 측방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측방 프레임부의 선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상반신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암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착좌 자세에 있는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전방 암부에 의해서 앞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측방 프레임부에 의해서 옆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has a side frame portion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assistive person seated on the left, the support portion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frame portion, and a front arm portion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assistant seated on the left portion may be constituted by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body of the assistee in the sitting posture from passing forward by the front arm part, and from passing sideways by the side frame part, so that the upper body of the assistee can be supported more stably have.

상기 지지부재 중 상기 요동 연결기구의 근방 부위가 선단 개구부를 갖는 파이프부로 구성되고,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파이프부 내에 배설되고 적어도 상기 걸림위치로 되었을 때 상기 선단 개구부에서 돌출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파이프재를 이용하여 계합부재를 용이하게 유지시켜 둘 수 있다.A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vicinity of the swing coupling mechanism may be constituted by a pipe portion having a tip opening, and the engag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pipe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tip opening at least when the locking position is reached. In this case, the engaging member can be easily maintained by using a pipe material.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는,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前上)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르지 않고 상기 계합부재가 걸리는 상기 계지부가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갑갑(窮屈)한 자세가 되어 구속감을 느끼기 쉬운 전하향(前下)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는 한 요동할 수 없게 하고, 지지부재가 필요 이상으로 전하향이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의 요동에 대해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허용되도록 하며, 즉, 갑갑한 자세에서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용이하게 요동할 수 있도록 하여, 구속감 개방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짐으로써 피보조자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괴로운 경우 등도, 피보조자가 원하는 바람직한 전방 기울어짐 각도(前傾角度)로 신속하게 되돌리는데도 바람직하다.In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when an external force for swinging the support member in a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locking portion to which the engaging member engages can be changed without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have. In this case, in the forward and downward direction, where it is easy to feel a sense of restraint due to a cramped posture, unless the operation member of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operated, the swing is prevented, and the support member is not tilted forward more than necessary. can definitely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llowed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that i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the cramped posture, it is easy to do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By allowing it to oscillate, it is desirable for a sense of restraint opening.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for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for the assistee to maintain a forward bent posture due to excessive forward inclination, and for quickly returning the assistive person to the desired desired forward inclination angle.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는 상기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계합부재의 걸림을 해제한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으로의 요동과 전하향 방향으로의 요동을 허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과 전하향 방향의 양 방향 요동에 대해 각각,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는 한 수행할 수 없게 하고, 지지부재의 요동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확실히 유지시켜 두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allow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and the swing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nly when the engagement member is released by the locking part by manipulating the operation member. may have been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both directions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and in the forward direction unless the operation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operated, respectively, and the swing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is reliably maintained at the desired angle. It is preferable to make

상기 복수의 계지부가, 사이에 볼록부(凸部)를 끼우도록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凹部)에 의해 형성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계지부를 오목부와 볼록부에 의해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formed so as to sandwich a convex portion therebetween. In this case, the locking portion can be simply constituted by the concave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배설(配設) 방향에서의 소정의 일방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경사면을 따르면서 상기 볼록부를 타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갑갑한 자세가 되어 구속감을 느끼기 쉬운 전하향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는 한 요동할 수 없게 하고, 지지부재가 필요 이상으로 전하향으로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의 요동에 대해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허용하도록 하고, 즉, 갑갑한 자세로부터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용이하게 요동할 수 있도록 하여 구속감 개방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짐으로써 피보조자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괴로운 경우 등도, 피보조자가 원하는 바람직한 전방 기울어짐 각도로 신속하게 되돌리는데도 바람직하다.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 predetermined one side surface in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becomes an inclined surf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for rocking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engaging member It may be possible to jump over the convex portion while following the inclined surface. 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sw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n which a cramped posture is easily felt, unless the operation member of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operated, and the support member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being turned forward more than necessary. . In addition,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llowed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that i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the cramped position,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t is desirable in the sense of restraint opening by allowing it to swing.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for a case in which it is difficult for the assistee to maintain a forward bent posture due to excessive forward inclination, and for quickly returning the assistive person to a desired desired forward inclination angle.

상기 복수의 계지부가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계지공(係止孔)으로 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계지부를 계지공의 형태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may be configured to be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member is inserted. In this case, the locking portion can be simp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ocking hole.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복수의 계지공의 배설(配設) 방향에서의 소정의 하나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고,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계지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계지공의 내주 둘레부를 따라가면서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계지공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At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member, one predetermined side surface in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become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support member is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tip of the engag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When an external force for rocking upward is applied, the engaging member may be able to escape from the locking hole while the inclined surface follows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cking hole.

이 경우, 갑갑한 자세가 되어 구속감을 느끼기 쉬운 전하향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는 한 요동할 수 없게 하고, 지지부재가 필요 이상으로 전하향이 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의 요동에 대해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허용하도록 하며, 즉, 갑갑한 자세로부터 개방되는 방향으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조작부재를 조작하지 않고 용이하게 요동할 수 있도록 하여 구속감 개방에서 바람직하다. 특히, 전방으로 지나치게 기울어짐으로써 피보조자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괴로운 경우 등, 피보조자가 원하는 바람직한 전방 기울어짐 각도로 신속하게 되돌리는데도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impossible to swing in the forward direction in which a cramped posture is easily felt, unless the operation member of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operated, an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support member from being turned forward more than necessary. In addition,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llowed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that is, in the direction of opening from the cramped posture, without manipulating the operating member of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t is desirable in the sense of restraint opening by allowing it to swing. In particular, it is also preferable for quickly returning the assistive person to a desired desired forward inclination angle, such as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assistive to maintain a forward bent posture due to excessive forward inclination.

상기 지지부재가 피보조자를 끼고 좌우 한 쌍 설치되며,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가 피보조자의 후방에 위치되는 연결부재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일체적으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좌우 한 쌍의 서로의 지지부재를 연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강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고,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재에 의해서 피보조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좌우 어느 일방의 지지부재를 요동시키는 것만으로 타방의 지지부재를 연동시켜 요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요동각도 변경기구를 좌우 일방의 지지부재에만 설치할 수 있고, 이 경우는 요동각도 변경 조작을 수행하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요동각도 변경기구를 좌우 양방의 지지부재에 대해서 설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는 원하는 요동각도를 확실히 유지시켜 두는데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sandwiched between the person assisting,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person to be aided and configured to swing integrally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overall rigidity can be sufficiently increased by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pair of supporting members to each other with the connecting member, which is preferable for stably maintaining the upper body of the person to be assis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ssisting person from passing backwards by the connecting member. Furthermore, only by swinging the left and right one of the supporting members, the other supporting member can be interlocked to swing. In addition,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can be installed only on the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and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swing angle becomes easy. In addition,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may be provided for both the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reliably maintain the desired swing angle.

상기 지지부재에서의 상기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쿠션부재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쿠션부재에 의해 앉은 자세에 있는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유연하게 받칠 수 있어, 피보조자에게 통증 등을 주지 않고 지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재의 요동각도의 변경이나 피보조자의 체격의 차이 등에 따라,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지지하고 있는 쿠션부재가 적절히 요동되어 항상 쿠션부재가 바람직한 자세 상태로 피보조자를 지지할 수 있다.A cushion member capable of swinging in an up-down direction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In this case, the cushion member can flexibly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assistee in the seated position, which is preferable in supporting the assistee without pain or the like. In addi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sw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or a difference in the physique of the person to be helped, the cushion member supporting the upper body of the person to be supported is properly rocked, so that the cushion member can always support the person in the desired posture.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벨트에 의한 구속을 수행하지 않고, 앉은 자세에 있는 피보조자의 상반신을 확실히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각도 변경기구에 의해 피보조자가 원하는 상반신이 앞으로 구부린 각도로 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liably and stably support the upper body of the assistive person in the sitting posture without performing restraint by the belt. In addition, the upper body can be supported at a forward bent angle by the assisting person by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착좌식 변기에 대해서 설치한 경우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도 2의 상태에서 측방 프레임부를 전방 기울어짐 상태에서, 착좌식 변기에 착좌한 피보조자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요동각도 변경기구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
도 5는, 요동각도 변경기구 부분을 나타내는 요부 측면 단면도.
도 6은, 계합부재 부근의 상세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 단면도.
도 7은, 도 6의 X7-X7선 상당 단면도.
도 8은, 지지부재에 설치된 쿠션부재의 상세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쿠션부재가 소정 각도 범위에서 요동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쿠션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면되는 측에서 본 도.
도 11은, 전방 암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피위치에 있을 때, 로크기구에 의해서 사용위치를 향한 요동을 로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전방 암부가 사용위치가 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1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13은, 전방 암부 중 로크기구에 관련된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전방 암부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5에 대응하는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installed with respect to a sitting toilet.
Fig. 2 is a right side view of Fig. 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rson to be seated in a seated toilet is held in a state in which the side frame part is forwardly tilted in the state of Fig. 2;
Fig. 4 is a main part side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Fig. 5 is a main par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a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Fig. 6 is a main part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details in the vicinity of an engaging member;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the line X7-X7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details of a cushion member provided on a support member;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that the cushion member of Fig. 8 can swing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ig. 10 is a view of the cushion member shown in Fig. 8 as viewed from the side where it is attached to the support member;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rocking toward a use position is locked by a locking mechanism when the front arm part is in an extended evacuation posi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Fig. 12 is a 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1, showing a state when the front arm is in a use posi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part related to the lock mechanism among the front arm parts;
Fig. 14 is a main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mechanism for locking the front arm;
Fig. 15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sid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보조장치(K)의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보조장치(K)가 착좌식 변기(1)에 대해서 배설(配設)된 상태를 나타낸다.1 to 3 show an example of an auxiliary device 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to 3 show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device K is displaced with respect to the seated toilet 1 .

보조장치(K)는, 크게, 베이스부재(10)와,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와, 좌우 한 쌍의 전방 암부(30)와, 후방 프레임부(40)와, 요동 연결기구(50)를 갖는다. 측방 프레임부(20)와 전방 암부(30)에 의해 지지부재가 구성된다.The auxiliary device (K) is largely composed of a base member (10),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ortions (20), a pair of left and right front arm portions (30), a rear frame portion (40), and a rocking coupling mechanism (50). The support member is constituted by the side frame part 20 and the front arm part 30 .

베이스부재(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종봉상부재(縱棒狀部材)(11)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종봉상부재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횡봉상부재(橫棒狀部材)(12)와, 종봉상부재(11)의 하단에 연결된 재치판부(載置板部)(13)를 갖고, 전체적으로 문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종봉상부재(11) 사이에서 횡봉상부재(12)의 하방이 되는 공간에 착좌식 변기(1)의 후부가 배설된다. 베이스부재(10)는 착좌식 변기(1)의 구조, 즉, 플래시 밸브나 로우 탱크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바닥 거치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재(10),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부재(10)의 재치판부(13)는 착좌식 변기(1)의 근방에 배설되면 좋고, 착좌식 변기(1)에 대해서 고정하거나 바닥면에 대해서 고정해 둘 수 있다.The base member 10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 members 1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transverse bar connecting upper ends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 members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t has a member 12 and a mounting plate part 13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ar-shaped member 11, and has a gate shape as a whole. The rear portion of the seated toilet 1 is disposed in a space below the transverse bar member 12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 of vertical bar members 11 . The base member 10 has a structure of the seated toilet 1, that is, a floor mounted type that is not affected by a flash valve or a low tank. And, the base member 10, more specifically, the mounting plate 13 of the base member 10 may be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ated toilet 1, and fixed to the seated toilet 1 or fixed to the floor surface. can do it

측방 프레임부(20)는 좌우 한 쌍이 설치되며, 파이프재를 휨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파이프재는, 예를 들면 SUS 등의 금속제의 심재와 합성수지의 피복재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 측방 프레임부(20)는, 크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프레임부(21)와, 상프레임부(21)의 전단에서 일단 하방으로 연장된 후에 후방으로 연장되는 하프레임부(22)를 갖는다. 그리고, 하프레임부(22)의 후단부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동 연결기구(50)를 통해 종봉상부재(1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부착된다.The side frame portion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and is formed by bending a pipe material. In addition, the pipe material to be described below is made of, for example, a metal core such as SUS and a synthetic resin covering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Each of the side frame parts 20 is largely composed of an upper frame part 21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lower frame part 22 extending rearward after on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upper frame part 21 . have And,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is attached so as to be able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bar-shaped member 11 through the swinging connection mechanism 50 as will be described later.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 중, 상프레임부(21)의 후단부끼리가, 수평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프레임부(4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프레임부(20)와 후방 프레임부(40)는 동일한 파이프재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가 후방 프레임부(4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강성이 향상되며, 또한, 일방의 측방 프레임부(20)를 요동시킴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타방의 측방 프레임부(20)도 요동하게 된다.Amo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ortions 20 , rear ends of the upper frame portion 21 are connected by a rear frame portion 40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 horizontal state. In embodiment, the side frame part 20 and the rear frame part 40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ame pipe material.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arts 20 are connected by the rear frame part 40 to improve overall rigidity, and by oscillating one side frame part 20, it interlocks with the other side frame part ( 20) also fluctuates.

요동 연결기구(50) 및 이에 관련되는 요동각도 변경기구(60)에 대해서, 도 4,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요동 연결기구(50)는 베이스부(10)에서의 종봉상부재(11)에 고정된 연결 브라켓(51)을 갖는다. 이 연결 브라켓(51)에 대해서, 측방 프레임부(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방 프레임부(20)에서의 하프레임부(22)의 후단부가, 연결부(52)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부(52)는, 예를 들면, 나사붙이 연결핀과 이에 나합되는 너트에 의해 구성하는 등, 적절한 수법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The swinging coupling mechanism 50 and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 First, the rocking connection mechanism (50) has a connection bracket (51) fixed to the vertical rod-shaped member (11) in the base portion (10).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bracket 51 , the side frame portion 20 , and more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in the side frame portion 20 is oscill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connection portion 52 . It is connec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52 can be comprised by an appropriate method, for example, comprised by a screw connection pin and a nut screwed to it.

측방 프레임부(30)의 요동 스트로크단을 구성하기 위해서, 연결 브라켓(51)에는 판 형상의 상스토퍼부(53)와 핀 형상의 하스토퍼부(54)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토퍼부(53, 54)는 연결부(52)를 중심으로 대략 45도 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측방 프레임부(20)는 연결부(52)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됨으로써, 그 전하향의 각도(전방 기울어짐 각도(前傾角度))가 변경 가능하게 된다. 단, 하프레임부(22)의 후단부가 상하 스토퍼부(53 혹은 54)에 맞닿음(當接)으로써, 이 스토퍼부(53, 54)를 초과 이상의 요동은 규제된다. 그리고, 하프레임부(22)가 하측의 스토퍼부(54)에 맞닿은 상태에서는, 상프레임부(21)가 수평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본자세 상태가 된다.In order to configure the swinging stroke end of the side frame part 30 , a plate-shaped upper stopper part 53 and a pin-shaped lower stopper part 54 are formed in the connecting bracket 51 . Each of the stopper parts 53 and 54 is set to form an angle of approximately 4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onnection part 52 . The side frame part 20 is rocked centering on the connecting part 52, so that the forward angle (front inclination angle) can be changed. However, when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part 22 abuts against the upper and lower stopper parts 53 or 54, the fluctuation of more than the stopper parts 53 and 54 is restricted. 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ower frame part 2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topper part 54, the upper frame part 21 is in a basic posture stat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horizontal state.

측방 프레임부(20)의 요동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요동각도 변경기구(60)가, 일방의 측방 프레임부(20)에 대해서만 설치된다. 요동각도 변경기구(60)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브라켓(51)에 일체화된 계지부재(係止部材)(61)를 갖는다. 계지부재(61)는, 예를 들면 SUS 등의 금속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고정구(62)에 의해서 연결 브라켓(51)에 고정된다.The rock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for changing the rocking angle of the side frame part 20 is provided only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frame part 20. As shown in FIG.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has a locking member 61 integrated with the connection bracket 51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locking member 61 is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such as SUS or a synthetic resin, and is fixed to the connection bracket 51 by a fixture 62 .

계지부재(61)는 연결부(5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형상의 면을 갖고, 이 원호 형상의 면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각도마다 복수의 계지요부(係止凹部)(63)가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이웃하는 계지요부(63) 사이에는 계지철부(係止凸部)(64)가 위치하고 있다.The locking member 61 has an arc-shaped surface centered on the connecting portion 52, and a plurality of locking elements 63 are formed on the arc-shaped surface at equal angle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have. A locking convex part 64 is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locking joints 63 .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방 프레임부(20)에서의 하프레임부(22)의 후단부 내에는 계합부재(係合部材)(6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된다. 이 계합부재(65)는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프레임부(22)의 내면에 대해서 슬라이딩되는 본체부(65a)와, 본체부(65a)에서 후방, 즉, 하프레임부(22)의 안쪽(奧側)을 향해 연장 설치된 연설부(延設部)(65b)를 갖는다. 연설부(65b)에는 계합부재(65)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長孔) 형상의 가이드홀(6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65a)에서는 계지부재(61)를 향해 연장되는 계합돌기부(係合突起部)(65d)가 형성되어 있다. 계합부재(65)의 슬라이딩에 따라, 계합돌기부(65d)가 계지요부(63)에 대해서 끼워 맞춤(嵌合)(걸림(係止)), 이탈(걸림 해제) 가능하게 된다.6, 7, the engaging member 65 is slidably hold|maintained in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part 22 in the side frame part 20. As shown in FIG. The engaging member 65 has a plate shape, and a body portion 65a that slides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and a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65a,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 It has a speech part 65b extended toward (奧側). A guide hole 65c in the shape of a long hole extending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engaging member 65 is formed in the extended portion 65b. And, in the body portion 65a, an engaging projection 65d extending toward the locking member 61 is formed. As the engaging member 65 slides, the engaging protrusion 65d can be fitted (engaged) or disengaged (disengaged) with respect to the engaging member 63 .

하프레임부(22)에는 상기 가이드홀(65c)을 관통하는 가이드핀(66)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부재(65)는 가이드홀(65c) 내를 가이드핀(66)이 슬라이딩하는 범위에서 변위 가능하다. 도 6, 도 7에서는 계합부재(65)가 하프레임부(22)에서 가장 돌출된 걸림위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다. 가이드핀(66)은 가이드홀(65c)에 대해서 거의 흔들림 없이 관통하며, 판 형상의 계합부재(65)가 하프레임부(22)의 둘레 방향으로 회동되어 버리는 사태를 규제한다.A guide pin 66 penetrating through the guide hole 65c is fixed to the lower frame part 22 . The engaging member 65 is displaceabl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guide pin 66 slides in the guide hole 65c.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member 65 is most protruded from the lower frame part 22 at the engaging position. The guide pin 66 passes through the guide hole 65c almost without shaking, and regulates a situation in which the plate-shaped engaging member 65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

하프레임부(22) 내에는 바이어스 수단(付勢手段)으로서의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리턴 스프링(67)이 배설된다. 이 리턴 스프링(67)은 가이드핀(66)과 본체부(65a) 사이에 위치하고, 연설부(65b)를 둘러싸도록 배설된다. 이 리턴 스프링(67)에 의해서 계합부재(65)는 하프레임부(22)로부터 돌출되는 방향, 즉, 계지요부(64)에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상시 힘이 가해진다(付勢).A return spring 67 made of a coil spring as a biasing means is disposed in the lower frame portion 22 . This return spring 67 is positioned between the guide pin 66 and the body portion 65a, and is disposed so as to surround the extended portion 65b. By this return spring 67, a force is always applied to the engaging member 65 in a direc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frame portion 22, that is, in a direction to be fitted to the engaging member 64.

하프레임부(22)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는 조작부재(68)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된다. 조작부재(68)는, 측방 프레임부(20) 중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위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 통부(68a)와, 통부(68a)에 일체화된 조작부(68b)를 갖는다. 통부(68a)에 일체화된 가이드핀(69)이 측방 프레임부(20)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가이드홀(70)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In a portion of the lower frame portion 22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 member 68 is maintained to be slid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peration member 68 has a cylindrical portion 68a that is slidably fitted to a portion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operation portion 68b integrated with the tube portion 68a. A guide pin 69 integrated with the cylindrical portion 68a is slidably fitted into a guide hole 70 extending short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med in the side frame portion 20 .

상기 가이드핀(69)과 계합부재(65)에서의 연설부(65b)가, 하프레임부(22) 내에 배설된 연결 와이어(71)에 의해 연결된다. 이로 인해, 조작부재(68)의 조작부(68b)를 파지하여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계합부재(65)가 리턴 스프링(67)에 대항하여 하프레임부(22) 내로 인입되는 걸림 해제 방향으로 변위 된다.The guide pin 69 and the extended portion 65b of the engaging member 65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wire 71 disposed in the lower frame portion 22 . For this reason, by gripping the operation part 68b of the operation member 68 and sliding it upward, the engagement member 65 is displaced in the lock release direction to be drawn into the lower frame part 22 against the return spring 67. .

상기 복수의 계지철부(64) 중, 상측의 측면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64a)으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계지철부(64) 중 하측의 측면은 거의 직각으로 잘린 형상이 되며, 경사면은 형성되지 않는다.Among the plurality of locking convex portions 64, an upper side surface is an inclined surface 64a that gradually faces downward as it goes toward the tip. In contrast, the lower side of the locking convex portion 64 has a shape cut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and an inclined surface is not formed.

이제, 측방 프레임부(20)가 도 4, 도 5의 상태보다 약간 전하향 상태에서, 그리고 계합부재(65)의 계합돌기부(65d)가 계지요부(63)에 끼워 맞춤, 걸려 있는 상태를 상정한다. 이 상태에서, 측방 프레임부(20)를 전하향 방향, 즉, 도 4, 도 5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고자 하는 큰 외력을 작용시켰다 하더라도, 계지철부(64)에 의해서 그 요동이 강고하게 규제된다.Now, it is assumed that the side frame portion 20 is in a slightly forward-facing state than the state of Figs. do. In this state, even if a larg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swing the side frame part 20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of FIGS. do.

한편, 측방 프레임부(20)를 전상향 방향, 즉, 도 4, 도 5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키고자 하는 적절한 외력을 작용시켰을 때는, 계합부재(65)의 계합돌기부(65d)가 계지철부(64)의 경사면(64a)을 따르면서 계지철부(64)를 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방 프레임부(20)의 전하향 방향의 요동은 강고하게 규제되는 반면, 전상향 방향의 요동은 허용하도록 설정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swing the lateral frame portion 20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clockwise direction of FIGS. ), it becomes possible to cross the locking convex portion 64 while following the inclined surface 64a.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ck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is strongly regulated, while the rocking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set so as to be allowed.

다음으로, 측방 프레임부(20)와 전방 암부(30)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전방 암부(30)는 파이프재를 휨 가공함으로써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전방 암부(30)는 측방 프레임부(20)에서의 상암부(21)를 따르는 본체부(31)와, 본체부(31)로부터 대략 9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지지암부(32)를 갖는다. 이러한 전방 암부(30)는 좌우의 측방 프레임부(20)에 대해서 각각 설치된다.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de frame part 20 and the front arm part 30 is demonstrated. First, the front arm part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shape by bending a pipe material. That is, the front arm part 30 has a body part 31 along the upper arm part 21 in the side frame part 20 and a support arm part 32 bent by approximately 90 degrees from the body part 31 and extending. . These front arm parts 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side frame parts 20 .

본체부(31)가 상암부(21)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전방 암부(30)는 지지암부(32)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용위치, 즉, 도 1, 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와, 그 선단부가 상방을 향한 대피위치, 즉, 도 1, 도 2에서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를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방 암부(30)는 후술하는 로크기구(90)에 의해 대피위치에서 그 요동이 로크(lock) 가능하게 된다.The body part 31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wing with respect to the upper arm part 21 . For this reason, the front arm part 30 has a use position in which the support arm part 3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 position indicated by a solid line in FIGS. ,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take a position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2 . In addition, the front arm 30 can be locked by a lock mechanism 90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evacuation position.

베이스부재(10)에서의 좌우 한 쌍의 종봉상부재(11)끼리의 간격은 범용성 등의 관점에서, 착좌식 변기(1)의 폭과 비교하여 상당히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 한 쌍의 측방 암(20)은, 도 1에 나타내는 정면시에서, 상방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폭이 좁아지도록 약간 경사지게 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종봉상부재(11)에는 착좌식 변기(1)와의 사이의 틈새를 덮는 틈새 조정부재(14)가 부착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 members 11 in the base member 10 is set consid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seated toilet 1 from the viewpoint of versatility and the like. For this reason, in the front view shown in FIG. 1,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arms 20 incline slightly so that the width|variety may gradually become narrow as it goes upward. Further, a gap adjusting member 14 is attach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bar-shaped members 11 to cover the gap between the seated toilet 1 and the toilet seat 1 .

여기서, 좌우 한 쌍의 지지암부(32)에는 쿠션부재(80)가 부착되어 있다(도 1 내지 도 3 참조). 이 쿠션부재(80)의 부착구조에 대해서,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 a cushion member 80 is attached to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arm portions 32 (see FIGS. 1 to 3 ). The attachment structure of this cushion member 80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8-10.

우선, 쿠션부재(8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합성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기판(81)과, 기판(81)의 일면측을 덮도록 이에 일체화된 탄성부재(82), 예를 들면 고무나 우레탄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갖는다. 기판(81)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81a)와, 만곡부(81a)의 각 단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플랜지부(81b)를 갖는다. 그리고, 기판(81)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First, the cushion member 80 is, for example, a substrate 81 formed of an aluminum alloy or synthetic resin, and an elastic member 82 integrated thereto so as to cover one surface side of the substrate 81, for example, rubber or It has a member which has elasticity, such as urethane. The substrate 81 has a curved portion 81a curved in an arc shape, and a pair of flange portions 81b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curved portion 81a. In addition, the board|substrate 81 can be formed by injection-molding a synthetic resin, for example.

상기 만곡부(81a)는 180도를 넘는 크기로 만곡되고, 그 개구폭은 지지암부(32)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만곡부(81a)를 탄성 변형시켜 그 개구폭을 넓힌 상태에서, 지지암부(32)에 끼워 맞춤(嵌合)으로써 쿠션부재(80)의 지지암부(32)에 대한 부착이 이루어진다. 쿠션재(80)에서의 탄성부재(82)가, 착좌식 변기(1)에 착좌한 피보조자(P)를 향하도록 배설된다.The curved portion 81a is curved to a size exceeding 180 degrees, and the opening width thereof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upport arm portion 32 . The cushion member 80 is attached to the support arm part 32 by fitting it to the support arm part 32 in a state where the opening width is widened by elastically deforming the curved part 81a. The elastic member 82 in the cushioning material 80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person P seated on the seated toilet 1 .

기판(81)은 지지암부(32)에 대해서 소정 각도만 요동가능 하게 된다. 즉, 지지암부(32)에는 볼트로 이루어지는 가이드핀(83)이 고정되고, 그 일부가 지지암부(3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한편, 기판(81)의 만곡부(81a) 내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홀(81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핀(83)이 가이드홀(81c) 내로 돌출되어 있다. 가이드핀(83)이 가이드홀(81c)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에서는 쿠션부재(80)가 지지암부(32)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다. 도 9에는, 요동 스트로크단에 있는 상태의 쿠션부재(80)가 2점 쇄선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가이드핀(83)이 가이드홀(81c) 내로 돌출되고 있음으로써, 쿠션부재(80)가 지지암부(32)의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한다.The substrate 81 is oscillated only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rm 32 . That is, a guide pin 83 made of a bolt is fixed to the support arm part 32 , and a part thereof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arm part 32 . On the other hand, a guide hole 81c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81a of the substrate 81 . The guide pin 83 protrudes into the guide hole 81c. In a range in which the guide pin 83 can move within the guide hole 81c , the cushion member 80 can swing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rm 32 . In Fig. 9, the cushion member 80 in the state at the end of the swinging stroke is indicated by a two-dot chain line. And, since the guide pin 83 protrudes into the guide hole 81c, displacement of the cushion member 8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arm part 32 is restricted.

지지암부(32)에 설치된 쿠션부재(80), 보다 구체적으로는 쿠션부재(80)의 탄성부재(82)에 의해 피보조자의 상반신이 부드럽게 받쳐지고, 피보조자에게 통증 등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측방 프레임부(20)의 요동각도 변경이나 피보조자의 체격의 차이 등에 따라, 지지암부(32)에 설치한 쿠션부재(80)가 적절히 요동되어, 탄성부재(82)를 항상 지지하는데 바람직한 자세 상태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member 80 installed on the support arm 32 ,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body of the aid recipient is gent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82 of the cushion member 80 , and pain is prevented from giving the aid recipie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wing angle of the lateral frame part 20 or the difference in the physique of the person to be assisted, the cushion member 80 installed in the support arm part 32 is properly oscillat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82 is always supported. can be done with

후방 프레임부(40)에 대해서도, 도 8,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쿠션부재(80)가 부착된다. 후방 프레임부(40)에 부착된 쿠션부재(8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피보조자가 후방 프레임부(40)에 기댈 때에는, 후방 프레임부(40)에 부착된 쿠션부재(80)에 의해 피보조자의 상반신이 부드럽게 받쳐지고, 피보조자에게 통증 등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후방 프레임부(40)로의 기대는 각도 변경이나 피보조자의 체격의 차이 등에 따라, 후방 프레임부(40)에 부착한 쿠션부재(80)가 적절히 요동되어, 탄성부재(82)를 항상 지지하는데 바람직한 자세 상태로 할 수 있다.The cushion member 80 is attached also to the rear frame part 40 as shown in FIG.8 and FIG.9. The cushion member 80 attached to the rear frame part 40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assistive person leans on the rear frame part 40, the upper body of the assistive person is gently supported by the cushion member 80 attached to the rear frame part 40, and pain, etc., to the assistee is prevented. In addition, the cushion member 80 attached to the rear frame part 40 is appropriately oscillat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angle of leaning against the rear frame part 40 or a difference in the physique of the person to be assist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82 is always supported. It can be done in a desirable posture state.

더구나, 측방 프레임부(20) 중, 상프레임부(21),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프레임부(21)에 끼워 맞춰진 후술하는 연결 브라켓(100)에도 쿠션부재(80)가 부착되어 있다(도 11, 도 12 참조). 단, 상프레임부(21)용 쿠션부재(80)는 상하 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피보조자가 옆으로 넘어질 것 같은 경우, 상프레임부(21)에 부착된 쿠션부재(80)에 의해서 부드럽게 받쳐진다.Furthermore, a cushion member 80 is also attached to the connection bracket 100 to be described later fitted to the upper frame portion 21, more specifically, to the upper frame portion 21 among the side frame portions 20 (FIG. 11). , see Fig. 12). However, the cushion member 80 for the upper frame part 21 is of a fixed type that does not sw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reason, when the assisted person is likely to fall sideways, it is gently supported by the cushion member 80 attached to the upper frame part 21 .

다음으로, 전방 암부(30)를 대피위치에서 로크하기 위한 로크기구(90)에 대해서 착목하면서 전방 암부(30)의 측방 프레임부(20)에 대한 부착에 대해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Next,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locking mechanism 90 for locking the front arm 30 in the evacuation position, the attachment of the front arm 30 to the side frame 20 is referred to FIGS. 11 to 14 , while referring to FIGS. Explain.

우선, 전방 암부(30)에서의 본체부(31)의 후단부는 연결부재(33)에 의해 구성된다. 이 연결부재(33)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을 압출 성형함으로써 형성되고, 볼트 등의 고정구(34)에 의해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31)에 고정된다.First,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31 in the front arm part 30 is constituted by the connecting member 33 . This connecting member 33 is formed by extrusion molding, for example, of an aluminum alloy, and is fixed to the body part 31 made of a pipe material by a fastener 34 such as a bolt.

상기 연결부재(33)의 단면 형상이, 도 11, 도 12에 나타난다. 이 연결부재(33)는 그 단면 형상이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홈(係止溝)(33a)과, 각각 돌기부로 이루어지는 제1 스토퍼부(33b)와, 제2 스토퍼부(33c)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nnecting member 33 is shown in FIGS. 11 and 12 .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is connecting member 33 is shown, the connecting member 33 has a locking groove 33a, a first stopper portion 33b and a second stopper portion 33c each comprising a protrusion. is in shape.

전방 암부(3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방 암부(30)의 본체부(31)와, 측방 프레임부(20), 보다 구체적으로는 측방 프레임부(20)의 상암부(21)는, 연결 브라켓(100)을 이용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 브라켓(100)은 전방 암부(30)의 본체부(31)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지는 제1 통부(101)와, 측방 프레임부(20)의 상암부(31)가 끼워 맞춰지는 제2통부(102)를 갖는다.The front arm part 30 , more specifically, the body part 31 of the front arm part 30 , the side frame part 20 , and more specifically the upper arm part 21 of the side frame part 20 , are connected to a connection bracket. (100) is used to connect. That is, the connection bracket 100 includes the first cylindrical part 101 to which the body part 31 of the front arm part 30 is rotatably fitted, and the upper arm part 31 of the side frame part 20 to be fitted. It has a 2nd cylinder part (102).

연결 브라켓(100)은 제2통부(102)의 부분에서 제1 부재(100A)와 제2 부재(100B)의 2개로 분할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암부(21)를 관통하는 볼트(103)와 너트(104)에 의해 2개의 부재(100A, 100B)가 체결되어 있다. 또한, 볼트(103)와 너트(104)에 의해서 상암부(21)와 연결 브라켓(100)이 일체화된다.The connection bracket 100 has a structure divided into two of the first member 100A and the second member 100B in the portion of the second cylindrical portion 102 . Then, the two members 100A and 100B are fastened by the bolt 103 and the nut 104 penetrating the upper arm portion 21 . In addition, the upper arm 21 and the connection bracket 100 are integrated by the bolt 103 and the nut 104 .

연결 브라켓(100)에는 요동레버(110)가 핀 부재(111)에 의해서 요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요동레버(110)의 일단부가, 걸림턱부(係止爪部)(110a)가 되고, 상기 연결부재(33)의 계지홈(33a)에 대해서 끼워 맞춤(로크)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110)는 바이어스 수단으로서의 스프링(112)에 의해서 걸림턱부(110a)가 계지홈(33a)에 대해서 끼워 맞춰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실시형태에서는 스프링(112)은 판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요동레버(110)와 연결 브라켓(10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A swing lever 110 is installed in the connection bracket 100 to be swingable by the pin member 111 . One end of the swing lever 110 serves as a locking jaw portion 110a, and can be fitted (locked) to the locking groove 33a of the connecting member 33 . And, force is applied to the swing lever 1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jaw portion 110a is fitt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groove 33a by the spring 112 as a biasing means. In the embodiment, the spring 112 is constituted by a leaf spring,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swing lever 1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100 .

요동레버(110)는 조작부(110b)를 갖는다. 이 조작부(110b)를 도 11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걸림턱부(110a)의 계지홈(33a)에 대한 끼워 맞춤이 해제된다(로크 해제).The rocking lever 110 has an operation part 110b. By operating this operation part 110b in a clockwise direction in FIG. 11, the fitting of the locking jaw part 110a to the locking groove 33a is released (lock release).

연결 브라켓(100)에서의 제1 통부(101)의 내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1 단차부(101a)와 제2 단차부(101b)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101a)에 대해서 연결부재(33)의 제1 스토퍼부(33b)가 맞닿은 위치가 대피위치와 대응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차부(101b)에 대해서 연결부재(33)의 제2 스토퍼부(33c)가 맞닿은 위치가 사용위치와 대응한다.A first step portion 101a and a second step portion 101b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ylindrical portion 101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at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11, the position where the 1st stopper part 33b of the connection member 33 contact|abuts with respect to the 1st step part 101a corresponds to the evacuation position. Moreover, as shown in FIG. 12, the position where the 2nd stopper part 33c of the connection member 33 contact|abuts with respect to the 2nd step part 101b corresponds to a use position.

전방 암부(30)를 대피위치에서 사용위치로 변경하려면, 요동레버(110)의 조작(110b)을 조작하고, 그 걸림턱부(110a)를 연결부재(33)의 계지구부(33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수행하면 좋다.In order to change the front arm part 30 from the evacuation position to the use position, the operation 110b of the swing lever 110 is operated, and the locking jaw part 110a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art 33a of the connection member 33. good to do

걸림턱부(110a)의 선단면은 평탄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재(33)의 외주면 중 소정 위치가 평탄면(33d)으로 되어 있다. 사용위치에 대응하는 도 12에서, 걸림턱부(110a)의 선단면이 연결부재(33)의 평탄면(33d)에 맞닿은 상태가 되고, 전방 암부(30)가 안정적으로 사용위치에 유지된다. 단, 사용위치에 있는 전방 암부(30)에 대해서, 대피위치를 향한 적절한 외력을 부여함으로써 전방 암부(30)를 대피위치로 하는 것이 용이하다.The front end surface of the locking jaw portion 110a is a flat surface. 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33 is a flat surface 33d. In Fig. 12 corresponding to the use positio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locking jaw portion 110a is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33d of the connecting member 33, and the front arm portion 30 is stably maintained at the use position. However, it is easy to set the front arm part 30 to the evacuation position by applying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toward the evacuation position to the front arm part 30 in the use position.

연결 브라켓(110)은 연결부재(33)에 대해서 그 축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즉, 도시를 생략하나, 연결부재(33)의 선단부에는 연결 브라켓(10)의 측면이 맞닿는 규제부재가 부착되어 연결부재(110)의 일단면이 연결부재(33)에서 빠지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연결 브라켓(110)의 타단면이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본체부(31)의 단면에 맞닿는다.Displacement of the connecting bracket 110 in its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member 33 is regulated. That is, although not shown, a regulating member with which the side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 abuts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33 , so that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110 is regulated from falling out of the connection member 33 . In addition, the other end 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10 abuts against the end face of the body portion 31 made of a pipe material.

다음으로, 착좌식 변기(1)에 대해서 배설된 보조장치(K)의 사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전 상태에서는 전방 암부(30)가 대피위치, 즉, 도 1, 도 2에서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상태가 되고, 착좌식 변기(1)의 전방이 크게 열린 상태가 된다. 또한, 측방 프레임부(20)는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기본자세 상태,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피보조자(P)는 보조자의 도움을 받아 착좌식 변기(1)의 좌부(1a)에 착좌한다.Next, how to use the auxiliary device K provided for the sitting toilet 1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state before use, the front arm part 30 is in the evacuation position, that is, the state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in FIGS. In addition, the side frame part 20 is in a basic posture state that is not inclined forward, for example, the state shown in FIG. 2 . In this state, the assistant P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a of the sitting toilet 1 with the help of the assistant.

좌부(1a)에 피보조자(P)가 착좌한 후, 전방 암부(30)가 사용위치가 된다. 사용위치에서는 전방 암부(30) 중 지지암부(32),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암부(32)에 부착된 쿠션부재(80)가, 피보조자(P)의 상반신 전면부 바로 앞에 위치된다(도 3 참조). 이로 인해, 피보조자(P)의 상반신이 앞으로 넘어지려고 할 때, 전방 암부(30)에 의해서 지지되고, 피보조자(P)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After the assistant P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1a, the front arm portion 30 becomes a use position. In the use position, the support arm part 32 of the front arm part 30, more specifically, the cushion member 80 attached to the support arm part 32, is located right in front of the upper body front part of the assistive person P (Fig. see 3). For this reason, when the upper body of the assisted person P is about to fall forward, it is supported by the front arm part 30, and the assisted person P is prevented from falling forward.

좌부(1a)에 착좌한 피보조자(P)의 상반신이 후방을 향해 넘어질 때에는 후방 프레임부(40)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반신이 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에 의해서 좌부(1a)에 착좌한 피보조자(P)가 옆으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upper body of the assistant P seated on the seat portion 1a falls backward, it is supported by the rear frame portion 40 and prevents the upper body from falling backward. In addition, the assisted-up P, seated on the seat portion 1a, is prevented from falling sideways by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ortions 20 .

용변, 특히 대변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피보조자(P)는 적지 않게 앞으로 구부린 상태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보조자는 조작부재(68)를 조작하여 요동각도 변경기구(60)의 걸림 작용을 해제하고, 측방 프레임부(20) 및 이에 일체의 전방 암부(30) 및 후방 프레임부(40)를 원하는 전방 기울임 각도까지 전방으로 기울여도 좋다. 원하는 전방 기울임 각도가 된 후, 조작부재(68)의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그 위치에서 측방 프레임부(20) 요동이 규제된다.In order to facilitate defecation, in particular, stool, it is preferable that the assistant P is bent forward not a little. At this time, the assistant operates the operation member 68 to release the locking action of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and the side frame part 20 and the front arm part 30 and the rear frame part 40 integral thereto You may tilt forward to the desired forward tilt angle. After the desired forward inclination angle is reached, by releas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68, the swinging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at that position is regulated.

측방 프레임부(20)를 기본자세 상태에서 20도 정도 전방으로 기울였을 때의 상태가 도 3에 도시한다. 피보조자(P)는 앞으로 구부린 상태에서 전방 암부(30)에 지지되게 된다. 피보조자(P)가 앞으로 구부림으로써, 특히 대변을 촉진하는데 바람직한 자세가 되며, 또한, 피보조자(P)의 상반신 후방에 큰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보조자는 용변 후 엉덩이를 닦는 등의 뒤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The state when the side frame part 20 is tilted forward by about 20 degrees from the basic posture state is shown in FIG. The assistant P is supported by the front arm part 30 in a state in which it is bent forward. When the assistant P bends forward, it becomes a particularly desirable posture for facilitating bowel movements, and a large space is formed behind the upper body of the assistant P, so that the assistant can easily perform post-processing such as wiping the buttocks after defecation can be done

사용위치에 있는 암부(30)는 대피위치를 향한 요동을 로크하지 않았으므로, 보조자 혹은 팔이 자유로운 피보조자(P)는 부드럽게 암부(30)를 대피위치로 할 수 있다. 특히, 피보조자(P)가 팔을 사용할 수 있는 경우, 피보조자(P)의 의사로 암부(30)를 대피위치로 부드럽게 요동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고, 구속되어 있다는 감각을 피보조자(P)에게 주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하는데도 바람직하다.Since the arm part 30 in the use position does not lock the oscillation toward the evacuation position, the assistant or the assistant P with a free arm can gently put the arm part 30 into the evacuation position. In particular, when the assistive person P can use his or her arm, it is possible to smoothly swing and operate the arm 30 to the evacuation position by the doctor of the assistant P, and a sense of restraint can be conveyed to the assistant P. It is also desirable to prevent or suppress giving.

측방 프레임부(20)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 피보조자(P)가 그 의사에 따라 체중을 후방 프레임부(40)에 맡김으로써, 요동각도 변경기구(60)의 걸림이 계지철부(64)에서의 경사면(64a)의 작용에 의해 자동적으로 해제되고, 측방 프레임부(20)의 전방 기울임 각도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도 2에 나타내는 기본자세 상태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피보조자(P) 자신의 의사를 토대로, 측방 프레임부(20)의 전방 기울임 각도를 용이하게 줄일 수 있다는 것은, 구속되어 있다는 감각을 피보조자(P)에게 주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하는데도 바람직하다. 또한, 전방으로 지나치게 기움으로써 피보조자(P)가 앞으로 구부린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힘든 경우 등에서도, 피보조자(P)가 원하는 바람직한 전방 기울임 각도로 신속하게 되돌아 갈 수 있다.When the side frame part 20 is inclined forward as shown in FIG. 3, the assisted P puts its weight on the rear frame part 40 according to the intention, and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is caught. It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action of the inclined surface 64a in the locking convex portion 64, and can be operated in a direction to reduce the for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can be returned to the basic posture state shown in FIG. may be Being able to easily reduce the for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lateral frame part 20 based on the will of the assistant P himself is also desirable in preventing or suppressing giving the assistant P a sense of being constrained. In addition, even when it is difficult for the assistive person P to maintain the forward bent posture due to excessive forward tilt, the assistive person P can quickly return to a desired desired forward inclination angle.

용변을 끝낸 후에는, 측방 프레임부(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기본자세 상태, 즉, 도 2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또한 암부(30)가 대피위치,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 후, 피보조자(P)는 보조자의 도움을 받으면서 착좌식 변기(1)에서 이탈한다.After the toilet is finished, the side frame part 20 is in the basic posture state that is not inclined forward, that is, the state shown in FIG. 2, and the arm part 30 is the evacuation position, for example, the state shown in FIG. do. After that, the assistant P is separated from the sitting toilet 1 with the help of the assistant.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이는 이하의 제3 실시형태 이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는 요동각도 변경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요동각도 변경기구(60)에 대응하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요동각도 변경기구(60B)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계합부재(65)에 대응하는 계합부재(72)가 원기둥 형상(圓柱狀)으로 되어 있다. 이 계합부재(72)는 통 형상의 가이드 부재(73)를 통해 하프레임부(22)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Fig. 15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componen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is is the same also about the following 3rd Embodiment and below. This embodiment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That is, in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B in this embodiment corresponding to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ngaging member 72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member 65 in the above embodiment is It is cylindrical in shape. This engaging member 72 is slidably fit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part 22 through the tubular guide member 73. As shown in FIG.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계지부재(61)에 대응하는 계지부재(74)가 판재를 원호 형상으로 한 형태로 되어 있다. 이 계지부재(74)에는 연결부(52)를 중심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계지요부(63)에 대응하는 계지공(7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핀 형상의 하스토퍼부(54)에 대응하는 하스토퍼부(54B)가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The locking member 74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 61 in the above embodiment has a shape in which a plate is formed in an arc shape. In the locking member 74, locking holes 74a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members 63 in the above embodiment are formed at equal angular intervals with the connection portion 52 as the center. And the lower stopper part 54B corresponding to the pin-shaped lower stopper part 54 in the said embodiment is made into a plate shape.

계합부재(72)의 선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부(72a) 중, 하측의 면이 경사면(72b)으로 되어 있다. 이 경사면(72b)은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계지철부(64)에서의 경사면(64a)과 대응한다. 즉, 계합돌기부(72a)가 계지공(74a)에 끼워 맞춤(嵌合)(걸림(係止))되어 있는 상태에서, 측방 프레임부(20)(전방 암부(30))가 전하향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강고하게 규제한다. 한편, 측방 프레임부(20)(전방 암부(30))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적절한 외력을 부여한 경우, 경사면(72b)이 계지공(74a)의 내주연부를 따라 상기 계지공(74a)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상향 방향으로의 요동은 허용된다.Among the engaging projections 72a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member 72, the lower surface is the inclined surface 72b. This inclined surface 72b corresponds to the inclined surface 64a in the locking convex portion 64 in the above embodiment. 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72a is fitted (locked) to the locking hole 74a, the side frame portion 20 (front arm portion 30) moves for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Strictly regulate fluctuations. On the other hand, when an appropriate external force for rocking the side frame part 20 (front arm part 30)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inclined surface 72b moves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ck hole 74a at the lock hole 74a. It is possible to get out That is, the swing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permitted.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계합부재(72B)(72 대응)에 형성된 계합돌기부(74a)가 경사면(72b)을 갖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측방 프레임부(20)는 전하향 방향과 전상향 방향의 양 방향에 대해서 강고하게 걸린다. 그리고, 양 방향 모두, 걸림 해제에는 조작부재(68)를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다.Fig. 16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engaging projection 74a formed on the engaging member 72B (corresponding to 72) does not have the inclined surface 72b. For this reason, the lateral frame portion 20 is firmly caught in both the forward and upward directions. And, in both directions,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operation member 68 to release the lock.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재(10)에 대응하는 베이스부재(10D)를 착좌식 변기(1)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베이스부재(10D)는, 상기 벽면으로의 부착부가 되는 좌우 한 쌍의 부착판부(121)와, 각 부착판부(12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봉상부재(122)와, 좌우 한 쌍의 봉상부재(122)의 선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 봉상부재(123)를 갖는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쿠션부재(80)가 각각 요동하지 않는 고정식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에서는 연결 브라켓(100)의 부위는 간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로크기구(90)의 조작 레버는 도시를 생략하였다.Fig. 17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member 10D corresponding to the base member 1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ated toilet 1 . That is, the base member 10D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attachment plate portions 121 serving as attachment portions to the wall surface, a pair of left and right rod-like members 122 extending forward from each attachment plate portion 121 , and left and right It has a connecting rod-shaped member 123 for connecting the tip ends of the pair of rod-shaped members 122 to each other.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each cushion member 80 is made into a fixed type which does not each rock|fluctuate. And, in FIG. 17, the por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of the lock mechanism 90 is abbreviate|omitted.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부재(10E)가 실질적으로 착좌식 변기(1)의 후방에 위치하는 벽면에 고정되는 부착판부(131)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한, 측방 암부(20)와 전방 암부(30)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가 피보조자의 좌방측에 대해서만 배설되어 있다. 도 18에 나타내는 구조의 것과 좌우대칭 형상의 지지부재를 우방측에 대해서만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또한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를 개별로 독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Fig. 18 shows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e member 10E is substantially formed by an attachment plate portion 131 fixed to a wall surface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ated toilet 1 .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comprising the side arm part 20 and the front arm part 30 is provided only for the left side of the person to be assisted. The support member having a shape symmetrical to that of the structure shown in Fig. 18 may be provided only on the right side, or a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may be separately provided separately.

이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가 기재된 범위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전방 암부(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면 내에서 요동되도록 하고, 사용위치와 대피위치 사이에서의 위치변경을 수행해도 좋다. 대피위치에 있는 전방 암부(3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 상태 혹은 예를 들면, 좌부의 전방이나 외측방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 상태를 취하도록 하고, 이 대피위치에서 암부(30)가 로크가 되도록 두는 것이, 보조자나 피보조자가 대피위치에 있는 암부(30)를 난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바람직하다. 전방 암부(30)를,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 중 어느 하나의 측방 프레임부(20)에 대해서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지지암부(32) 혹은 후방 프레임(40)에 설치하는 쿠션부재(80)가 적어도 하나는 요동하지 않는 고정식이라도 좋고, 또 지지암부(32)나 후방 암부(40)의 전체 둘레를 덮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Although embodiment was described abov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embodiment, A suitable change is possible in the range in which the claim was described. The front arm part 30 may swing around a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more specifically, swing in a horizontal plane, and change the position between the use position and the evacuation position. The front arm part 30 in the evacuation position assumes a posture stat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for example, a posture state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ward the front or outside of the seat, and in this evacuation position, the arm part 30 ) is a lock, so that an assistant or an assistant can use the arm 30 in the evacuation position as a handrail. You may make it provide the front arm part 30 only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frame part 20 of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arts 20. As shown in FIG. At least one cushion member 80 installed on the support arm 32 or the rear frame 40 may be of a fixed type that does not swing, and may be shaped to cover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arm 32 or the rear arm 40. may be

걸림, 걸림 해제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요동각도 변경기구(60)를 좌우 한 쌍의 측방 프레임부(20) 중 하나의 측방 프레임부(20)에만 설치할 수도 있고, 또한, 보다 확실히 걸림 작용을 확보하기 위해서, 양측 모두의 측방 프레임부(2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측방 프레임부(20)를 좌우 한 쌍 설치하지 않고 좌우 어느 하나에만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전방 암부(30)는 상시 사용위치가 되는 고정식이라도 좋다. 지지부재가 그 요동 스트로크단 사이에서 취할 수 있는 요동각도로서, 실시형태에서는 단계식으로 복수로 하였으나, 연속 가변식으로 변경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In orde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locking and unlocking,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may be installed only on one side frame portion 20 amo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ortions 20, and the locking action more reliably In order to secure it, it may be installed in the side frame portion 20 of both sides. You may make it provide only either right and left, instead of provi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frame parts 20. The front arm part 30 may be of a fixed type which is a regular use position. The swing angle that the support member can take between the swing stroke ends is plural in a stepwise manner in the embodiment, but may be changed in a continuously variable manner.

측방 프레임부(20) 및 후방 프레임부(40)는 적절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면을 형성(면 형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판재로만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판재와 파이프재의 결합에 의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용하는 판재로는, 금속판이나 플라스틱판, 특히 섬유강화 플라스틱판을 이용할 수 있으며, 다공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side frame portion 20 and the rear frame portion 40 may adopt an appropriate structure, for example, may be configured to form a surface (form into a surface shape). When configured so as to form a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only with a plate material, or may be configured by combining a plate member with a pipe member. And, as the plate material to be used, a metal plate or a plastic plate, particularly a fiber-reinforced plastic plate can be used, and a perforated plate can also be used.

본 발명이 적용되는 좌부를 갖는 기기로서는, 착좌식 변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휴식용 고정의자나 관상위치에 있는 고정의자 등, 적절한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요동 연결기구(50)는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구조의 것을 채택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요동각도 변경기구(60)나 로크기구(90)도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구조의 것을 채택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하거나 혹은 이점으로 표현되는 것을 제공하는 것도 암묵적으로 포함하는 것이다.The device having a sea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not limited to a sitting toilet, and includes suitable ones such as, for example, a stationary chair for rest and a stationary chair in a coronal position. The rocking coupling mechanism 50 is not limited to the one of the embodiment, and an appropriate structure can be adopted. Similarly, the rocking angle changing mechanism 60 and the locking mechanism 90 are not limited to those of the embodiment, and those having an appropriate structure. can be adopted Of cours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what is stated, but it is also implicitly included to provide what is actually preferred or expressed as an advantage.

일본 출원 특원 2019-094959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As for the indication of Japanese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9-094959, the whole is taken in into this specification by reference.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규격이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고 또한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받아들여진다.All documents, patent applications, and technical standard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to the same extent as if each individual document, patent application, and technical standard were specifically and individually recorded to be incorporated by reference. is brought in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자력으로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없는 장애인이나 고령자용 보조장치로서 매우 적합하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suitable as an auxiliary device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ho cannot maintain a sitting posture by themselves.

Claims (11)

피보조자가 착좌하는 좌부의 근방에 배설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해서 요동 연결기구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에서의 상반신의 전면부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받치는 지지부를 갖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요동각도를 조정하기 위한 요동각도 변경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가,
상기 베이스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요동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궤적을 따라 복수의 계지부를 갖는 계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계지부에 걸리는 걸림위치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퇴출된 대피위치를 얻을 수 있는 계합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걸림위치를 향해서 힘을 가하는 바이어스 수단과,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바이어스 수단에 대항하여 상기 계합부재를 상기 대피위치를 향해서 변위시키기 위한 조작부재,
를 갖고, 상기 복수의 계지부 중 상기 계합부재가 걸리는 계지부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요동각도가 변경되어 상기 지지부의 높이가 변경되는
보조장치.
a base member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seat on which the person to be assisted sits;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base member so as to be swing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rocking connection mechanism, and having a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front part of the upper body of an assistive person seated on the seat in a horizontally extending state;
a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for adjusting a sw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with respect to the base member;
to provide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is
a locking member installed on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arts along a trajectory centered on the pivoting center of the support member;
an engaging member installed displaceably on the support member and capable of obtaining a locking position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and an evacuation position withdrawn from the locking position;
a biasing means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and applying a force to the engaging member toward the locking position;
an operation member installed on the support member to displace the engaging member toward the retracted position against the biasing means;
and, by changing the locking part on which the engaging member is caught among the plurality of locking parts, the swing angle of the support member is changed to change the height of the support part.
auxilia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측방에 위치되는 측방 프레임부를 갖고,
상기 지지부가 상기 측방 프레임부의 선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좌부에 착좌한 피보조자의 상반신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암부에 의해서 구성되는,
청구항 1 기재의 보조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member has a lateral frame portion located on the side of the assistive person seated on the seat,
The support part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frame part and is constituted by a front arm part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body of the assistive person seated on the left part,
The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중, 상기 요동 연결기구의 근방 부위가 선단 개구부를 갖는 파이프부로 구성되고,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파이프부 내에 배설되고 적어도 상기 걸림위치가 되었을 때 상기 선단 개구부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보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1 or 2,
Among the support members, a portion in the vicinity of the swing coupling mechanism is constituted by a pipe portion having a tip opening,
so that the engag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pipe portion and protrudes from the tip opening at least when the engaging position is reached,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는,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에 따르지 않고 상기 계합부재가 걸리는 상기 계지부가 변경 가능하게 되는,
보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winging angle changing mechanism, when an external force for swinging the support member in a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locking portion to which the engaging member engages can be changed without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ember;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각도 변경기구는, 상기 조작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계지부에 의한 상기 계합부재의 걸림을 해제한 경우에만 상기 지지부재의 전상향 방향으로의 요동과 전하향 방향으로의 요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보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wing angle changing mechanism permits the swinging of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and the swinging in the forward direction only when the engagement member is released by the locking part by operating the operation member,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지부가 사이에 볼록부를 끼우도록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되는,
보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r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formed to sandwich the convex portions therebetween,
auxiliary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볼록부는, 각각, 상기 복수의 오목부의 배설 방향에서의 소정의 일방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경사면에 따르면서 상기 볼록부를 타 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보조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In each of the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 predetermined one side surface in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concave portions becomes an inclined surface, and when an external force for rocking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ward upward direction is applied, the engaging member follows the inclined surface It becomes possible to get over the convex part,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지부가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계지공으로 되어 있는,
보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plurality of locking portion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into which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member is inserted,
auxiliary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복수의 계지공의 배설 방향에서의 소정의 일방의 측면이 경사면이 되고, 상기 계합부재의 선단부가 상기 계지공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를 전상향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외력을 부여했을 때, 상기 경사면이 상기 계지공의 내주연부를 따르면서 상기 계합부재가 상기 계지공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보조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t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member, a side surface of a predetermined one in the disposition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locking holes becomes an inclined surface, and the support member is oscillated in a forward and upward direction while the tip of the engag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cking hole, it is possible for the engaging member to come out of the locking hole while the inclined surface follows the inner periphery of the locking hole,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피보조자를 사이에 두고 좌우 한 쌍 설치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지지부재가 피보조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서로 일체적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조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A pair of left and right is installed with the support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support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located at the rear of the person to be assisted and configured to swing integrally with each other,
auxiliary device.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서의 상기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요동가능한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보조장치.
1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A cushion member capable of swing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part of the support member,
auxiliary device.
KR1020217041409A 2019-05-21 2020-05-19 auxiliary device KR202200094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94959A JP7148458B2 (en) 2019-05-21 2019-05-21 assistive device
JPJP-P-2019-094959 2019-05-21
PCT/JP2020/019783 WO2020235561A1 (en) 2019-05-21 2020-05-19 Assistanc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450A true KR20220009450A (en) 2022-01-24

Family

ID=73453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41409A KR20220009450A (en) 2019-05-21 2020-05-19 auxiliar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48458B2 (en)
KR (1) KR20220009450A (en)
CN (1) CN217488493U (en)
WO (1) WO2020235561A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9861Y2 (en) * 1993-06-17 1998-01-19 弘一 尾野 Body support equipment
JPH07215172A (en) * 1994-02-01 1995-08-15 Toogo:Kk Occupant holding device of play vehicle
JP2000166817A (en) * 1998-12-11 2000-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Toilet seat
JP3654815B2 (en) * 1999-10-05 2005-06-0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Toilet structure
JP5710831B1 (en) * 2014-11-19 2015-04-30 備前発条株式会社 Headrest tilting device and headrest
JP6872989B2 (en) * 2017-06-27 2021-05-19 ナカ工業株式会社 Assistanc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88882A (en) 2020-11-26
JP7148458B2 (en) 2022-10-05
WO2020235561A1 (en) 2020-11-26
CN217488493U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6439B2 (en) Chair
WO2011052099A1 (en) Rocking chair
AU2017404355A1 (en) Assistive device
KR20150001413U (en) Shower chair
KR102017614B1 (en) The Headrest for Neck Rest
CN109310208B (en) Chair (Ref. TM. chair)
JP2007151908A (en) Toilet aid
KR101806121B1 (en) neckrest of head rest for vehicle
JP2006311900A (en) Human body support
JP2007054152A (en) Chair having backrest
JP7096208B2 (en) Rotating connection structure in the caregiving device
KR20220009450A (en) auxiliary device
JP5598855B2 (en) Chair with tiltable backrest
JP2020199141A5 (en)
CN110495805B (en) Shower device and shower system
JP5078390B2 (en) Chair
JP2016135411A (en) Chair
JP2020188882A5 (en)
JP5144943B2 (en) Chair
CN210019167U (en) Auxiliary device
JP7148370B2 (en) assistive device
CN116829030A (en) Chair
JP2020058765A (en) Armrest device for chair
JP7137665B1 (en) assistive device
JP4536387B2 (en) Ch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