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921A -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 Google Patents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921A
KR20220003921A KR1020200081786A KR20200081786A KR20220003921A KR 20220003921 A KR20220003921 A KR 20220003921A KR 1020200081786 A KR1020200081786 A KR 1020200081786A KR 20200081786 A KR20200081786 A KR 20200081786A KR 20220003921 A KR20220003921 A KR 20220003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faucet
fluid
main supply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945B1 (ko
Inventor
천금열
Original Assignee
천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금열 filed Critical 천금열
Priority to KR1020200081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allow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spout or the outlet nozz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공급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분기시켜 단속하는 수전금구에 있어서,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후방으로 상기 공급관과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에 의해 관연결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200)과;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하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배출구(4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상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배출구(5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배출구(4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하측으로 배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이 결합된 제1단속부(7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2배출구(5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상측으로 배출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800)이 결합되어 제1단속부(700)와 대칭되게 형성된 제2단속부(900);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180°뒤집혀 상기 제1배출구(400)가 상측으로 향하고, 제2배출구(500)가 하측으로 향하며, 제1단속부(700)가 좌측으로 위치되고, 제2단속부(900)가 우측으로 위치되더라도 유체의 하향배출은 항상 우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고, 유체의 상향배출은 항상 좌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정상위치 또는 180°뒤집힌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유체의 배출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Two-pronged faucet without distinction}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두 갈래 수전금구의 상하 또는 좌우 구분에 따라 유체의 배출방향이 바뀜에 따른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도록 두 갈래 수전금구의 상하 또는 좌우로 바뀌더라도 유체의 배출방향은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도룩 구성함에 따라 두 갈래 수전금구의 설치시 방향성에 따른 설치를 고려할 필요없이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설치방향의 오류로 인한 재설치가 필요없으며,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활 수 있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 설치되는 수전금구는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설된 급수전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그릇이나 음식재료를 세척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생활의 향상으로 인해 부엌에 정수기, 세탁기 및 식기세척기 등의 가전제품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가전제품에 공급되는 원수도 벽면이나 바닥면에 매설된 공급관에 수전금구를 연결하여 공급되고 있다.
따라서, 싱크대나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은 건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설치된 공급관에서 원수를 공급받기 위해 다양한 수전금구가 개시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벽면에 매설된 급수전은 통상 수전금구가 단수 형태의 수전금구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하나의 수전금구에 세탁기, 식기세척기, 정수기 등의 가전제품 각각에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급수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관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가정에서 정수기와 식기세척기, 싱크대에 동시에 원수를 공급받고자 할 경우에는 지수전을 이용하여 T형이나 L형 연결관을 복수 개 연결한 분배밸브를 통해 하나의 원수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통해 원수를 공급받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많은 부품을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공간이 협소하면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수전금구에 다양한 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갈래 또는 세 갈래의 배출구가 있는 밸브가 적용되어 간편하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싱크대에 공급되는 원수의 공급관과 두 갈래 내지는 세 갈래의 배출구를 가진 수전금구를 결합하여 싱크대에 직접 원수공급되는 배출구외에 하나 내지는 두 개의 배출구가 추가 제공되어 정수기를 별도로 연결하거나 식기세척기를 별도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다수의 배출구를 가진 수전금구는 통상 두 갈래로 원수의 배출이 가능하면서 각각 단속가능하도록 구성된 두 갈래 수전금구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두 갈래의 수전금구는 아파트 베란다나 욕실에서 샤워기와 함께 설치된 수도꼭지 등에 주로 사용이 되고 있고, 통상의 두 갈래 수전금구는 하나의 원수 공급라인인 공급관에 연결되는 메인공급관과 메인공급관의 좌우측면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1배출구의 반대편측으로 형성되며 제1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를 단속제어하는 제1밸브유닛과, 상기 메인공급관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제2배출구와, 상기 메인공급관의 전방에 형성되며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를 단속제어하는 제2밸브유닛으로 구성되는 형태가 있고, 변형된 형태로는 밸브유닛이 각각 메인공급관의 전방과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측으로 형성되고, 배출구는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원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두 갈래 수전금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메인공급관과 원수가 배출되는 벽면이나 바닥면에 형성된 공급관과의 결합과정에서 누수를 방지하면서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나사체결시, 누수 방지를 위해 견고히 결합해야 하는 과정에서 메인공급관이 과도하게 회전하여 나사체결로 인한 배출구의 정위치 선정이 어렵게 되어 나사체결을 완전히 하지 않거나 원래의 나사체결보다 더 억지결합하여 돌려야 하는 설치상의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배출구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나사체결을 완전히 하지 않게되면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나사체결을 과도하게 하여 억지결합하게 되면 메인공급관의 나사부 또는 공급관의 나사부가 파손되어 추후 유지보수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한 구성이 필요로 하고 있다.
둘째, 종래의 두 갈래 수전금구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2 배출구가 메인공급관의 축선에서 하나는 아래측으로 직교되게 향하고 있고, 나머지 하나는 좌우측면중 어느 한 측으로 직교되게 향하거나 상측으로 향하게 되어 있어, 제1, 2밸브유닛의 위치가 제1, 2 배출구에 대하여 각각 전방측과 좌우 측 중 어느 한 측으로 서로 직교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상하 구분이 되고 있다.
이렇게 상하 위치가 구분되는 형태를 살펴보면 앞서 상술한 두 갈래 수전금구에서 후자에 설명한 배출구가 상하로 구성된 부분을 통해 쉽게 설명이 가능한 것으로, 정상적인 설치는 메인공급관의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밸브유닛에 의해 단속되는 제1배출구는 원수가 하향배출되도록 구성되고, 메인공급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형성된 제2밸브유닛에 의해 단속되는 제2배출구는 원수가 상향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상적인 두 갈래 수전금구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않고, 반대로 뒤집힌 상태에서 설치가 된다면, 메인공급관 전방측으로 돌출된 제1밸브유닛에 의해 단속되는 제1배출구는 원수가 상향배출되게 되고, 메인공급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형성된 제2밸브유닛에 의해 단속되는 제2배출구는 원수가 하향배출되게 되어 실제 설치하고자 하는 원수의 배출방향과 밸브유닛이 반대로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불량으로 인해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또한, 재 설치에 대한 작업시간 증대와 불필요한 인건비의 지출은 물론, 제품의 손상으로 인한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셋째, 종래 두 갈래 수전금구는 밸브유닛 중 하나의 밸브유닛이 메인공급관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체 설치폭이 커야하고, 그에 따른 설치면적이 확대되어야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간의 제약이 따른다. 또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가 수전금구를 직각으로 세우거나 180도 선회하여 뒤집힌 상태로 설치하려고 하더라도 공간을 고려하여야만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상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는 곧 설치시간증대와 불필요한 인건비 지출에 따른 비용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두 갈래 또는 양 갈래 수전금구는 수전금구로서의 역할도 하지만 지수전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어 다양한 분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지만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두 갈래 수전금구는 아직 개시되거나 소개된 바가 없고, 현장에서 뒤집어 사용하여도 상하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요구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7-0126460호, 출원일자 2017년09월28일. 2.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05187호, 출원일자 2018년01월15일. 3. 대한민국 실용출원 제20-2018-0001701호, 출원일자 2018년06월08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두 갈래 수전금구의 설치시, 뒤 집어 설치하여도 밸브유닛의 단속에 의해 제어되는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이 항상 동일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두 갈래 수전금구의 문제점인 상하 구분에 따라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의 변경으로 인한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설치방향이 바뀌어도 재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는 공급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분기시켜 단속하는 수전금구에 있어서,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후방으로 상기 공급관과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에 의해 관연결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200)과;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하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배출구(4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상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배출구(5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배출구(4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하측으로 배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이 결합된 제1단속부(7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2배출구(5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상측으로 배출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800)이 결합되어 제1단속부(700)와 대칭되게 형성된 제2단속부(900);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180°뒤집혀 상기 제1배출구(400)가 상측으로 향하고, 제2배출구(500)가 하측으로 향하며, 제1단속부(700)가 좌측으로 위치되고, 제2단속부(900)가 우측으로 위치되더라도 유체의 하향배출은 항상 우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고, 유체의 상향배출은 항상 좌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정상위치 또는 180°뒤집힌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유체의 배출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사이에는 공구에 의한 공급관(1)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6각 또는 원통형상의 양면으로 면취된 공구물림부(2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2배출구(400,5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각각의 연통은 제1,2단속부(700,9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연통을 위한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한 유체의 단속제어가 이루어지고,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해 메인공급관(200)으로부터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는 제1,2단속부(700,900)와 제1,2배출구(400,500)와 연통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내측의 제1,2배출구(400,500)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2연통공(410,510)을 통해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가 제1,2배출구(400,500)를 통해 상향 또는 하향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2 유체단속수단(600,800)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602,802)가 전방에 형성되어 레버의 조정에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 조절샤프트(604,804)와; 상기 조절샤프트(604,804) 축선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602,802)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단속부(700,900)가 수밀결합되도록 마련된 마감캡(606,806)과; 상기 조절샤프트(604,804)의 후방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2단속부(700,900)와 연통되는 제1,2 단속공(710,810)을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단속패킹(608,80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메인공급관(200)의 공급관(1)과 결합되는 후단에 형성된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은 직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축소절개선(312)이 형성된 웨지형 걸림테(310)와;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가 끼움결합되는 수밀걸림통공(322)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와;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와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 사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공급관(1)의 선단과 수밀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수밀패킹부재(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두 갈래 수전금구의 설치시, 정상위치 또는 180°로 뒤 집어 설치하여도 밸브유닛의 단속에 의해 제어되는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과 원수의 배출을 단속제어하는 레버의 방향이 항상 동일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두 갈래 수전금구의 문제점인 상하 구분에 따라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의 변경 및 유체의 단속을 제어하는 레버의 방향의 변동으로 인한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설치방향이 바뀌어도 재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하향배출부분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상향배출부분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정면측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정상위치 설치와 180°로 뒤집은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90°각도로 설치하여 원수 배출방향이 좌우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정면측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90°각도로 설치하여 원수 배출방향이 좌우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의 정상위치 설치와 180°로 뒤집은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수의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하향배출부분의 일부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상향배출부분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정면측을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정상위치 설치와 180°로 뒤집은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90°각도로 설치하여 원수 배출방향이 좌우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정면측 절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90°각도로 설치하여 원수 배출방향이 좌우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상태에서의 정상위치 설치와 180°로 뒤집은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는 두 갈래의 수전금구의 설치시, 정상위치 또는 180°로 뒤 집어 설치하여도 밸브유닛의 단속에 의해 제어되는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과 원수의 배출을 단속제어하는 레버의 방향이 항상 동일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종래 두 갈래 수전금구의 문제점인 상하 구분에 따라 배출구의 원수 배출방향의 변경 및 유체의 단속을 제어하는 레버의 방향의 변동으로 인한 설치의 어려움을 해결하여 설치방향이 바뀌어도 재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메인공급관(200), 제1배출구(400), 제2배출구(500), 제1단속부(700), 제2단속부(9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는 후술되는 메인공급관(200), 제1배출구(400), 제2배출구(500), 제1단속부(700), 제2단속부(900)가 상하 및 전후로 구성하고, 메인공급관(200)과 제1, 2배출구와의 연통을 통해 유체가 상하로 배출 및 단속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공급관(200)은 건물의 공급관과 연결되어 원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후방으로 상기 공급관과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에 의해 관연결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사이에는 공구에 의한 공급관(1)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6각 또는 원통형상의 양면으로 면취된 공구물림부(2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공구물림부(210)는 후술되는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에 의해 공급관(1)과 연결시, 수전금구 본체바디(100)를 공구에 의해 정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즉, 종래에는 수전금구 몸체를 돌려 공급관과 관연결이 되도록 구성되지만 본원 발명의 공구물림부(210)는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정위치에 그대로 고정된 상태에서 후술되는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을 통해 공급관(1)과 관연결하여 수전금구 본체바디의 비뚤어진 상태의 수밀결합이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공급관(200)의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은 공급관(1)과 관연결시,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공구물림부(210)에 공구에 의해 수전금구 본체바디(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공급관과 연결시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비뚤어져 설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공급관과 수전금구의 연결시 수밀을 진행하면서 관연결하는 과정에서 공급관의 나사 피치수나 결합과정에서 수밀을 위한 억지결합으로 인하여 정위치로 고정되지 못하고, 약간 틀어진 상태 즉 비뚤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구성된 것으로, 웨지형 걸림테(310),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 수밀패킹부재(330)로 구성된다.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는 상기 메인공급관(200)의 공급관(1)과 결합되는 후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의 수밀걸림통공(322)에 끼움결합되어 수밀걸림통공(322)에 걸림결합되도록 웨지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의 직경이 수밀걸림통공(322)보다 크게 형성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수밀걸림통공(322)으로 웨지형 걸림테가 끼움결합이 용이하도록 직경이 축소되면서 다시 원상태로 탄성복원이 가능하도록 축소절개선(3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가 축소절개선(312)에 의해 중심측으로 모아지면서 직경이 축소되고, 직경이 축소된 웨지형 걸림테가 수밀걸림통공을 통해 관통되면서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수밀걸림통공에 걸림결합됨에 따라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가 웨지형 걸림테 외주연상에서 공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는 전술한 웨지형 걸림테(310)의 축소절개선(312)이 형성된 웨주연상에서 공회전하면서 공급관(1)과 나사결합을 통해 관연결되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비뚤어지게 설치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바르게 설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가 끼움결합되는 수밀걸림통공(322)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공급관(1)과 메인공급관(200)의 결합시, 작업자는 공구물림부(210)에 공구를 고정하여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정위치되게 고정한 후,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를 공급관의 나사부(부호생략)에 나사결합하여 수밀되게 결합함으로써, 종래 수전금구 본체를 돌려가며 공급관과 결합함에 따른 수전금구 본체바디의 비뚤어지게 설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수밀패킹부재(330)는 공급관과 메인공급관의 결합시, 수밀을 요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와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 사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공급관(1)의 선단과 수밀되도록 형성된다. 즉, 웨지형 걸림테(310)의 외주연측에는 축소절개선(312)이 형성되어 축소절개선을 통한 누수를 방지하고, 메인공급관의 선단이 웨지형 걸림테(310)의 선단부분과 공급관의 선단이 밀착시, 수밀되게 결합되도록 수밀패킹부재에 의해 수밀결합되게 구성함으로써, 누수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 제1배출구(4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하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구(5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상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배출구(400,5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각각의 연통은 후술되는 제1,2단속부(700,9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연통을 위한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한 유체의 단속제어가 이루어지고,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해 메인공급관(200)으로부터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는 제1,2단속부(700,900)와 제1,2배출구(400,500)와 연통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내측의 제1,2배출구(400,500)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2연통공(410,510)을 통해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가 제1,2배출구(400,500)를 통해 상향 또는 하향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제1단속부(700)는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배출구(4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하측으로 배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이 결합된다.
상기 제2단속부(900)는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2배출구(5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상측으로 배출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800)이 결합되어 제1단속부(700)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단속부(700,900)에 결합되어 메인공급관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배출을 단속제어하는 상기 제1, 2 유체단속수단(600,800)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602,802)가 전방에 형성되어 레버의 조정에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하도록 조절샤프트(604,804)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조절샤프트(604,804) 축선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602,802)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단속부(700,900)가 수밀결합되도록 마감캡(606,806)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샤프트(604,804)의 후방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2단속부(700,900)와 연통되는 제1,2 단속공(710,810)을 단속하도록 단속패킹(608,808)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배출구를 통해 원수가 배출되는 순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공급관(200)-제1단속공(710)-제1단속부(700)-제1연통공(410)-제1배출공(400) 순서로 유체가 이동배출되고,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원수가 배출되는 순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공급관(200)-제2단속공(910)-제2단속부(900)-제2연통공(510)-제2배출공(500) 순서로 유체가 이동배출된다.
아울러, 제1,2 단속부(700,900)에 결합되는 제1, 2 유체단속수단(600,800)에 의해 단속제어되는 유체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의 레버(602)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샤프트(604)의 선단에 결합된 단속패킹(608)에 의해 제1단속공(710)을 단속제어함으로써, 제1배출구로의 유체배출을 단속제어하게 되고, 제2유체단속수단(800)의 레버(802)에 의해 조절되는 조절샤프트(804)의 선단에 결합된 단속패킹(808)에 의해 제2단속공(910)을 단속제어함으로써, 제2배출구로의 유체배출을 단속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뒤집혀 상기 제1배출구(400)가 상측으로 향하고, 제2배출구(500)가 하측으로 향하며, 제1단속부(700)가 좌측으로 위치되고, 제2단속부(900)가 우측으로 위치되더라도 유체의 하향배출은 항상 우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고, 유체의 상향배출은 항상 좌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정상위치 또는 180°뒤집힌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유체의 배출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작업자가 수전금구의 설치를 잘못설치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유체의 배출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재설치로 인한 시공시간 증대와 이에 따른 시공비상승 및 인건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의 설치예를 통해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정상위치로 설치됨에 따른 제1배출구(400)의 유체배출방향은 하향배출되게 되고, 제2배출구(500)의 유체배출방향은 상향배출되게 위치된다. 또한, 제1단속부(700)에 결합되어 제1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단속을 제어함에 따라 유체의 하향배출을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은 우측에 위치되어 우측의 레버(602)의 작동에 따라 하향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단속이 제어된다. 또한, 제2단속부(900)에 결합되어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단속을 제어함에 따라 유체의 상향배출을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600)은 좌측에 위치되어 좌측의 레버(802)의 작동에 따라 상향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단속이 제어된다.
즉, 우측 레버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면 메인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제1단속공을 통해 제1단속부를 거쳐 제1연통공을 통해 제1배출구로 하향배출되어 우측 레버의 작동은 항상 원수가 하향배출되게 되고, 좌측은 상향배출되게 된다.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180°위치로 뒤집혀 설치됨에 따른 제1배출구(400)의 유체배출방향은 상향배출되게 되고, 제2배출구(500)의 유체배출방향은 하향배출되게 위치된다. 하지만, 제1단속부(700)에 결합되어 제1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단속을 제어함에 따라 유체의 하향배출을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은 정상위치에서는 우측에 위치되지만 180°로 뒤집히게 되면 좌측에 위치되고, 정상위치 설치시 우측에 위치된 레버(602)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레버의 작동에 따라 원수가 상향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단속이 제어된다. 또한, 제2단속부(900)에 결합되어 제2배출구로 배출되는 유체의 단속을 제어함에 따라 유체의 상향배출을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600)은 하향배출되면서 레버의 위치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변경되어 우측에 위치된 상태로 레버(802)가 작동하여 원수가 하향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단속이 제어된다.
즉, 정상적으로 설치되는 수전금구나 180°로 뒤집힌 상태의 수전금구 모두 우측 레버에 의해 사용자가 작동하게 되면 메인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하향배출되고, 좌측은 좌측은 상향배출되게 되는 것으로, 항상 동일한 위치의 레버작동에 따라 상향 및 하향으로 원수의 배출은 동일한 방향에서 이루어게 된다.
한편, 본원 발명의 수전금구 본체바디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각도로 설치하여 제1배출구의 원수방향이 우측방향 배출, 제2배출구의 원수방향이 좌측방향 배출로 형성하여 협소한 장소에서도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배출구의 방향을 각각 좌우로 구성하더라도 90°각도 설치나 270°각도로 설치하더라도 상측에 위치된 레버에 의해 배출단속이 제어되는 원수의 배출방향이 우측에 위치되고, 하측에 위치된 레버에 의해 배출단속이 제어되는 원수의 배출방향은 좌측에 위치되어 레버의 상하 구성에 따른 원수의 배출방향도 항상 동일한 방향을 가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작업자가 잘못설치할 경우 수전금구를 다시 공급관과의 결합을 해제하고,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누구나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 : 공급관
100 : 수전금구 본체바디 200 : 메인공급관
210 : 공구물림부 300 :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
310 : 웨지형 걸림테 312 : 축소절개선
320 : 너트부재 322 : 수밀걸림통공
330 : 수밀패킹부재 400 : 제1배출구
410 : 제1연통공 500 : 제2배출구
510 : 제2연통공 600, 800 : 제1,2유체단속수단
602,802 : 레버 604,804 : 조절샤프트
606,806 : 마감캡 608,808 : 단속패킹
700 : 제1단속부 710 : 제1단속공
900 : 제2단속부 910 : 제2단속공

Claims (5)

  1. 공급관(1)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분기시켜 단속하는 수전금구에 있어서,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후방으로 상기 공급관과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에 의해 관연결되어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를 공급받는 메인공급관(200)과;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하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하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제1배출구(4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연통되어 공급관(1)을 통해 공급받은 원수가 메인공급관을 통해 상향배출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된 제2배출구(5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배출구(4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하측으로 배출 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1유체단속수단(600)이 결합된 제1단속부(700)와;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전방 좌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2배출구(50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원수가 상측으로 배출차단되도록 제어하는 제2유체단속수단(800)이 결합되어 제1단속부(700)와 대칭되게 형성된 제2단속부(900);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수전금구 본체바디(100)가 180°뒤집혀 상기 제1배출구(400)가 상측으로 향하고, 제2배출구(500)가 하측으로 향하며, 제1단속부(700)가 좌측으로 위치되고, 제2단속부(900)가 우측으로 위치되더라도 유체의 하향배출은 항상 우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고, 유체의 상향배출은 항상 좌측에 위치된 단속부에 의해 제어되도록 형성되어 수전금구 본체바디가 정상위치 또는 180°뒤집힌 위치와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위치로 유체의 배출과 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사이에는 공구에 의한 공급관(1)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6각 또는 원통형상의 양면으로 면취된 공구물림부(21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배출구(400,5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각각의 연통은 제1,2단속부(700,900)와 메인공급관(200)과의 연통을 위한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한 유체의 단속제어가 이루어지고, 제1,2단속공(710,910)을 통해 메인공급관(200)으로부터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는 제1,2단속부(700,900)와 제1,2배출구(400,500)와 연통되도록 수전금구 본체바디(100) 내측의 제1,2배출구(400,500)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2연통공(410,510)을 통해 제1,2단속부(700,900)로 유입된 유체가 제1,2배출구(400,500)를 통해 상향 또는 하향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유체단속수단(600,800)은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602,802)가 전방에 형성되어 레버의 조정에 따라 전후로 왕복이동하도록 마련된 조절샤프트(604,804)와;
    상기 조절샤프트(604,804) 축선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602,802) 후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단속부(700,900)가 수밀결합되도록 마련된 마감캡(606,806)과;
    상기 조절샤프트(604,804)의 후방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공급관(200)과 제1,2단속부(700,900)와 연통되는 제1,2 단속공(710,810)을 단속하도록 형성되는 단속패킹(608,808);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공급관(200)의 공급관(1)과 결합되는 후단에 형성된 정위치고정 관연결수단(300)은 직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축소절개선(312)이 형성된 웨지형 걸림테(310)와;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가 끼움결합되는 수밀걸림통공(322)이 형성되고,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공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와;
    상기 웨지형 걸림테(310)와 정위치고정 너트부재(320) 사이에 수밀되도록 결합되고, 공급관(1)의 선단과 수밀되도록 결합하는 다수의 수밀패킹부재(33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KR1020200081786A 2020-07-02 2020-07-02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KR10238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86A KR102388945B1 (ko) 2020-07-02 2020-07-02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1786A KR102388945B1 (ko) 2020-07-02 2020-07-02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921A true KR20220003921A (ko) 2022-01-11
KR102388945B1 KR102388945B1 (ko) 2022-04-20

Family

ID=7935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1786A KR102388945B1 (ko) 2020-07-02 2020-07-02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9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37Y1 (ko) * 1998-04-11 2000-04-15 권윤노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JP2008115668A (ja) * 2006-11-08 2008-05-22 Kvk Corp 分岐止水栓
KR200459419Y1 (ko) * 2010-09-09 2012-03-28 하창호 급수 분배기
KR20120003716U (ko) * 2010-11-19 2012-05-30 (주)워터피아인더스트리 수도밸브
KR20140001587U (ko) * 2012-09-07 2014-03-17 하창호 급수 분배기
KR20170126460A (ko) 2015-03-17 2017-11-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KR20180005187A (ko) 2015-05-13 2018-01-1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요철 패턴 형성체의 제조 방법, 그 제조 장치, 및 시일
KR20180001701U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디코리아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937Y1 (ko) * 1998-04-11 2000-04-15 권윤노 원터치 삽입식 관 연결구
JP2008115668A (ja) * 2006-11-08 2008-05-22 Kvk Corp 分岐止水栓
KR200459419Y1 (ko) * 2010-09-09 2012-03-28 하창호 급수 분배기
KR20120003716U (ko) * 2010-11-19 2012-05-30 (주)워터피아인더스트리 수도밸브
KR20140001587U (ko) * 2012-09-07 2014-03-17 하창호 급수 분배기
KR20170126460A (ko) 2015-03-17 2017-11-17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그것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터치패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KR20180005187A (ko) 2015-05-13 2018-01-1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요철 패턴 형성체의 제조 방법, 그 제조 장치, 및 시일
KR20180001701U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디코리아 보조 출수구가 구비된 앵글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945B1 (ko)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945B1 (ko) 상하 또는 좌우 구분이 없는 두 갈래 수전금구
US9464416B1 (en) Unibody thermostatic rim or deck mount faucet assembly
KR20190084401A (ko) 냉온수 혼합수전
JP2017519926A (ja) 取り付け簡単な蛇口構造
KR101237984B1 (ko) 벽면 배관에 대한 수전 연결구
US5277226A (en) Water line adapter
GB2454506A (en) Mounting means for tap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CN101978119B (zh) 能够控制水供应管道供水的分支水供应设备
US20120292901A1 (en) Plumbing fitting
KR200413566Y1 (ko) 씽크수전용 수분배장치
KR101145109B1 (ko) 벽면설치용 수전
CN220888835U (zh) 一种暗装淋浴器
KR200164077Y1 (ko) 수도꼭지연결구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CN220286509U (zh) 一种出水雨林调控机构
KR20110134046A (ko) 멀티 밸브
KR20140000140A (ko) 벽붙이 수전
US20110048685A1 (en) radiator assemblies
KR100685857B1 (ko) 분리형 수도전
KR102363334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급수급탕 분배기
US20160168831A1 (en) Faucet handle fitting
KR20120003716U (ko) 수도밸브
KR20200000222U (ko) 정수기 설치용 원홀 씽크 수전
CN109404632B (zh) 一种供水连接装置的安装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