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3307A -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 Google Patents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3307A
KR20220003307A KR1020200080957A KR20200080957A KR20220003307A KR 20220003307 A KR20220003307 A KR 20220003307A KR 1020200080957 A KR1020200080957 A KR 1020200080957A KR 20200080957 A KR20200080957 A KR 20200080957A KR 20220003307 A KR20220003307 A KR 20220003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powder
dried
layer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3448B1 (ko
Inventor
고인연
Original Assignee
고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연 filed Critical 고인연
Priority to KR102020008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3448B1/ko
Publication of KR20220003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3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15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에 관한 것으로서, 물에 불린 콩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을 가하면서 불린콩을 분쇄하여 콩물을 만드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콩물을 가열 및 여과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콩물에 침전제를 투입하여 응고되는 초두부를 압착하여 건두부를 제조하는 건두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에서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면포상에 상기 초두부를 흘려보내며 제1 면포 두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면포 두부층을 성분배포기의 하부에 통과시켜 노즐을 통해서 유출되는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된 다수의 영양부재층를 소정 간격으로 배포하는 영양부재층 형성 단계(S400); 및 상기 제1 면포 두부층 및 영양부재층 상부의 제2 면포를 도포시킨 후 압착기에 투입하여 압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콩 특유의 비릿맛이 없이 영양성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METHOD FOR MANUFACTURING TOFU AND DRIED TOFU THERWITH}
본 발명은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함량이 적고 빵가루와 건조채소 분말,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되어 콩 특유의 비릿맛이 없이 영양성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는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두부는 주원료인 콩을 가공하여 제조되는 식품의 하나로서 잘 알려져 있으며, 수분 함량이 많고 콩 특유의 비린 맛이 있다.
그러한 두부는 함수율이 80% 내지 90% 정도로 수분 함량이 많아 약간의 충격을 가하더라도 쉽게 으깨어지게됨으로서 휴대 및 운반시 파손은 물론 취급이 어려워 요리에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건두부는 슬라이스 또는 얇은 두께의 시트 형태로서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제조됨으로서 운반 및 취급에 유리하다.
종래기술의 하나로서, 한국특허공개 제10-1999-0085403호에 슬라이스형 건두부와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건두부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건두부 제조장치는, 도 1을 참조하면, 대두를 포함하는 콩을 물에 불리기 위한 팽윤조(1)와 불린 콩을 갈아내는 믹서기 또는 분쇄기(2)를 비롯하여 분리기(3) 및 가열조(4)가 연속 배관(P1)된 순두부 제조장치(10)를 이용한다.
이 장치는 팽윤-분쇄-분리-가열-응고의 공정에 의해 순두부로 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순두부를 성형장치 내에 공급하되, 성형틀내에 지그재그 형태로 두자락씩 펼쳐지는 망포의 사이사이에 순두부를 5∼30mm 두께로 고르게 펼쳐 다층으로 적층한 다음 이를 가압하여 시트상으로 성형되며, 통상의 순두부를 가압하여 함수율이 5∼10%이고 두께가 0.5∼2mm의 시트상으로 성형된 슬라이스형 건두부를 생산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두부는 콩 자체의 영양소를 취식하게됨으로서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으며, 그러한 단점으로 인하여 요리용품으로서 활용하는데 제약을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미역건두부 제조방법에 관하여 한국특허등록 제10-1745490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역건두부 제조방법은, 황칠나무의 잎과 가지를 세척한 뒤, 열수 추출하는 황칠나무 추출액 준비단계; 미역분말을 제조하는 미역분말 준비단계 ; 콩을 세척한 다음 5 내지 10시간 동안 물에 넣어 불리는 1차 침지단계; 상기 1차 침지단계가 완료된 콩을 꺼내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 준비단계의 황칠나무 추출액에 넣어 불리는 2차 침지단계; 상기 2차 침지단계가 완료된 콩과 황칠나무 추출액을 함께 분쇄시켜 두유액을 만드는 두유액 제단계; 상기 두유액 제단계에서 형성된 두유액과 상기 미역분말 준비단계의 미역분말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상기 혼합단계의 혼합물을 7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한 다음 두부 응고제를 첨가한 뒤 탈수포에 담고,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압착시키는 두부성형단계; 및 상기 두부성형단계의 성형된 두부에 열풍을 가하여 함수율 5 내지 10%로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미역건두부 제조방법은, 칼슘과 미네랄이 많은 두부의 유효성분과 미역의 유효성분이 함유됨으로서 다이어트나 건강식으로 취식하는데 유리하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건두부들은 콩에 들어있는 피틴산이라는 물질은 철분, 아연과 같은 무기질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과식할 경우, 철 결핍성 빈혈 환자의 경우 더 심한 철 부족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지나치게 섭취하면 몸 안의 요오드가 많이 빠져 나가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이섬유의 함량이 낮아 영양의 불균형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1. 한국특허공개 제10-1999-0085403호 (199년 12월 6일자 공개) 2. 한국특허등록 제10-1745490호(2017년 6월 2일자 등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건조채소 분말,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되어 콩 특유의 비릿맛이 없이 영양성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할 수 있는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한 특징은,
물에 불린 콩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을 가하면서 불린콩을 분쇄하여 콩물을 만드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콩물을 가열 및 여과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콩물에 침전제를 투입하여 응고되는 초두부를 압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에서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면포상에 상기 초두부를 흘려보내며 제1 면포 두부층(T)을 형성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을 성분배포기의 하부에 통과시켜 노즐을 통해서 유출되는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된 다수의 영양부재층를 소정 간격으로 배포하는 영양부재층 형성 단계(S400); 및 상기 제1 면포 두부층 및 영양부재층 상부의 제2 면포를 도포시킨 후 압착기에 투입하여 압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건조채소 분말은 건조된 토마토나 당근, 부추 분말과 김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견과류 분말은 건조된 땅콩이나 아몬드 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약재 분말은 건조된 강황이나 당귀 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건조된 빵가루 분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두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두부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은, 종래의 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이 적어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으깨짐 현상이 크게 저감됨으로서 한식이나 중식등의 다양한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두부는, 콩 자체의 영양소를 취식함과 더불어 야채나 건과류, 빵가루, 깨, 잣, 강황등 다양한 성분의 영양을 균형있게 취식하게 됨으로서 건강을 크게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두부는, 영양부재층들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띠 구조나 세로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층 구조로 형성됨으로서 다양한 색상 및 구조화된 외관을 가지며, 유통이나 포장 및 보관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개시된 내용은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개시된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두부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 과정을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양 첨가불 배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층 두부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두부 제조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 과정을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양 첨가불 배포과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두부 제조방법은, 도 2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불린 콩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을 가하면서 불린콩을 분쇄하여 콩물을 만드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콩물을 가열 및 여과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콩물에 침전제를 투입하여 응고되는 초두부를 압착하여 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에서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면포상에 상기 초두부를 흘려보내며 제1 면포 두부층(T)을 형성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을 성분배포기의 하부에 통과시켜 노즐을 통해서 유출되는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된 다수의 영양부재층를 소정 간격으로 배포하는 영양부재층 형성 단계(S400); 및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 및 영양부재층(G) 상부의 제2 면포(34)를 도포시킨 후 압착기에 투입하여 압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준비단계(S100)로서 용기에 콩 20kg과 물 40ℓ를 집어넣고 약 4~10시간 정도 충분히 콩을 불린다음, 이들 콩과 물의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새로운 물로 다시 여러번 세척하여 돌이라던가 기타 이물질등을 제거하고, 그중 불려진 콩만을 믹서기에 투입한뒤, 소정량의 흐르는 물로 분쇄시켜 물과 분쇄된 현탁액 상태의 콩물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만들어진 콩물을 솥에 투입하여 100℃로 약 30분 내지 50분 동안 끓인후, 원심식 여과기를 사용하여 고형물인 비지와 액상물인 콩물을 서로 분리하여 콩물만을 걸러낸다(S200).
이후, 상기 콩물에 간수 및 염화마그네슘과 같은 공지의 식용침전제를 적정량 투여하고서 약 15~30분 정도 경과후, 콩물을 서서히 강제로 교반하여 초두부를 형성한다.
전술한 상기 초두부 제조 과정에 있어서, 염화마그네슘이나 칼슘과 같은 두부 응고제 혹은 소포제가 첨가될 수 있는바, 콩물의 중량대비 0.006 내지 0.16%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 과정을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장치는, 초두부 저장용기(20)와, 모터(미도시함)에 의해 회전 구동하는 구동롤러(51)와 종동롤러(52)를 구비한 컨베이어(50), 상기 컨베이어(50)의 전방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32)에 감합된 제1 면포(33)를 제1 면포 공급기(30a), 상기 제1 면포 공급기(30a)와 제2 면포 공급기(30b)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면포(33) 상에 도포되는 제1 면포 두부층(T)에 소정 간격으로 영양부재층(G)를 형성시키는 성분배포기(40), 상기 컨베이어(50)의 후방 상부에 설치되며 롤러(32)에 감합된 제2 면포(34)를 제1 두부층(T) 및 영양부재층(G) 상에 일체로 도포시키는 제2 면포 공급기(30b) 및 본체(61) 내부에 적층되는 일체의 제1 면포-제2 면포를 피스톤(62)에 의해 압착 및 탈수시키는 압착기(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분배포기(40)는 본체(41)의 하부에 구비된 노즐(42)과 영양부재를 다수의 띠 배열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43) 및 영양부재 탈착용 브러쉬(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41)에 저장되는 다수의 영양부재(G1, G2, G3, G4, G5, G6, G7)들은 노즐(42)을 통하여 흘러 내릴때 나선형 롤러(43)의 표면을 따라 하방으로 안내되어 제1 면포 두부층(T)에 제공된다.
전술한 제1 면포 공급기(30a)와 제2 면포 공급기(30b) 및 성분공급기(40)의 가이드롤(43)들은 각각 거치대(31)에 의해 컨베이어(50)의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준비된 콩물은 대두와 같은 콩성분이 응고된 초두부로서 통상적으로 상기 초두부 저장용기(20)의 본체(21)의 하부(24)를 통하여 유출되어 공급파이프 혹은 호스(25) 또는 노즐을 통해서 제1 면포(33) 상에 공급되며, 컨베이어(50) 후방의 롤러(52) 측으로 이동하는 제1 면포(33)상에서 제1 면포 두부층(T)을 형성한다(S300).
이후,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을 상기 성분배포기(40)의 하부에 통과시켜 노즐(42)을 통해서 유출되는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된 다수의 영양부재층을 소정 간격으로 배포하는 영양부재층(G; G1, G2, G3, G4, G5, G6, G7)을 형성한다(S400).
도 4를 참조하면, 미리 준비되어 상기 성분배포기(40)의 본체(41) 내부에 저장된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을 함유한 다수의 띠 형상의 영양부재층(G; G1, G2, G3, G4, G5, G6, G7)을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의 상부에소정 간격으로 배포시킨다(S400).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두부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영양부재층(G1, G2, G3, G4, G5, G6, G7)은 초두부(T)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립된 띠 배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무지개 색상의 띠 배열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은 초두부(T)에 다양한 영양부재층들이 혼합됨으로서 콩두부 자체의 영양 성분은 물론 채소나 견과류 및 약재들의 성분에 기인한 다양한 영양을 균형있게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건조채소 분말은 세척된 레드비트나 토마토, 당근, 강황, 시금치, 부추 등을 건조하여 분쇄한 분말과 김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조채소 분말은 레드비트나 토마토, 당근, 강황, 시금치, 부추 등에 대하여 1 내지 3cm의 크기로 절단한 뒤 열풍을 가하여 함수율 5% 이하로 건조되며, 건조된 것을 50 내지 300 메시의 크기의 분말로 만드는 단계이며, 필요에 따라 채소부재를 동결 건조후에 분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자의 크기는 1 내지 70㎛의 크기로 분쇄시켜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견과류 분말은 건조된 땅콩이나 아몬드 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약재 분말 성분은 건조된 강황이나 당귀 가루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은 전술한 열풍건조 방식이나 동결 건조 방식 혹은 자연건조 방식을 택일하여 사용하거나 혼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하며, 입자의 크기를 전술한 건조채소 분말의 크기와 동일한 범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은, 상기 영양부재층 형성 단계(S400) 이후에 상기 제1 면포 두부층(T) 및 영양부재층(G; (G; G1, G2, G3, G4, G5, G6, G7) 상부에 제2 면포를 도포시킨 후 압착기(60)에 투입하여 압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압착기(60)는 용기(61) 내에서 피스톤(62)에 의해 내부에 적층되는 제1 면포-제2 면포와 일체로 형성되는 초두부(T) 적층체에 대해 미리 설정된 프레싱 압력을 가하게 되며, 상기 압력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초두부-영양부재층에 함유된 수분이 통공(61)을 통하여 탈수됨과 더불어 미리 설정된 2mm 내지 10mm 두께의 건두부 시트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싱 압력은 1kg/㎤ 정도의 압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10 내지 15% 함수율과 2mm 내지 10mm 두께의 건두부 시트로 제조된다.
상기 두부는, 전술한 함수율과 두께를 증가시킴으로서 무지개 띠 구조의 영양부재층(G; (G; G1, G2, G3, G4, G5, G6, G7)을 구비한 두부로 변형할 수 있으며, 성분배포기(40)에 의해 영양부재층이 형성되는 원리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 채소분말이나 견과류 분말 또는 약재분말에 대하여 건조된 빵가루 분말을 더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건포 두부층(T)에 관한 점착성은 물론 풍미가 부가된다.
다른 한편, 건조 채소분말이나 견과류 분말 또는 약재분말에 대하여 식용 색소를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초두부 상에 배포되는 영양부재층G1, G2, G3, G4, G5, G6, G7)에 바닐라나 유익한 향신료 및 색소에 의해 나타나는 다양한 색상으로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전술한 다수의 띠 형상의 영양 부재층들이 무지개색 순서로 제1 면포 초두부(T) 상에서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풍부한 시인성이나 식감 및 풍미는 물론 균형적인 영양을 섭취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전술한 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두부는 두부층 내부에 다양한 색상의 영양 부재층들이 형성됨으로서 시각적으로 화려한 색감과 더불어 풍미를 촉진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한식이나 중식 혹은 양식 조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층 두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은, 대두와 같은 콩물을 응고시킨 초두부에 다수의 영양부재층(71, 72, 72, 73, 74, 75, 76, 77)들이 적층된 다층의 두부(70)를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양부재층(71, 72, 72, 73, 74, 75, 76, 77)들은, 상이한 영양성분들을 갖는 야채나 건과류, 빵가루, 깨, 잣, 강황등을 건조시킨 후, 분말화하여 초두부에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다층의 두부(70)는 다수의 영양부재층(71, 72, 72, 73, 74, 75, 76, 77)들이 형성되는 높이에 의해 통상적인 4각 기둥구조의 두부형태를 갖게 되며, 모판의 기하학적 구조에 의존하여 3각 기둥이나 5각 기둥 혹은 원통형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전술한 다층의 두부(70)는 다수의 영양부재층(71, 72, 72, 73, 74, 75, 76, 77)들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식용 색소들이나 향신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함수율이 30% 내지 80% 범위가 되도록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층의 두부(70)는 종래의 두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이 적어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이 발생하더라도 으깨짐 현상이 크게 저감됨으로서 한식이나 중식등의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기 편리할 뿐 아니라 유통이나 포장 및 보관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궁극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두부는, 콩 자체의 영양소를 취식함과 더불어 야채나 건과류, 빵가루, 깨, 잣, 강황등 다양한 성분의 영양을 균형있게 취식하게 됨으로서 건강을 크게 증진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팽윤조(불림용기)
20 : 초두부 저장용기
30a : 제1 면포 공급기
30b : 제2 면포 공급기
31 : 거치대
40 : 성분배포기
43 : 가이드 롤
44 : 브러쉬
50 : 컨베이어
53 : 지지다이
60: 압착기
70 : 다층두부

Claims (6)

  1. 물에 불린 콩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물을 가하면서 불린콩을 분쇄하여 콩물을 만드는 준비단계(S100)와, 상기 준비단계에서 만들어진 콩물을 가열 및 여과하는 단계(S200), 상기 단계에서 추출된 콩물에 침전제를 투입하여 응고되는 초두부를 압착하여 건두부를 제조하는 두부 제조방법에 있어서,
    컨베이어 상에서 롤러에 의해 회전하는 제1 면포상에 상기 초두부를 흘려보내며 제1 면포 두부층을 형성하는 단계(S300); 상기 제1 면포 두부층을 성분배포기의 하부에 통과시켜 노즐을 통해서 유출되는 건조채소 분말과 견과류 분말 및 약재 분말 성분이 함유된 다수의 영양부재층를 소정 간격으로 배포하는 영양부재층 형성 단계(S400); 및 상기 제1 면포 두부층 및 영양부재층 상부의 제2 면포를 도포시킨 후 압착기에 투입하여 압착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채소 분말은 건조된 토마토나 당근, 부추 분말과 김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과류 분말은 건조된 땅콩이나 아몬드 가루를 포함하며, 상기 약재 분말은 건조된 강황이나 당귀 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건조된 빵가루 분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식용 색소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
KR1020200080957A 2020-07-01 2020-07-01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KR10247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57A KR102473448B1 (ko) 2020-07-01 2020-07-01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957A KR102473448B1 (ko) 2020-07-01 2020-07-01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3307A true KR20220003307A (ko) 2022-01-10
KR102473448B1 KR102473448B1 (ko) 2022-12-05

Family

ID=79347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957A KR102473448B1 (ko) 2020-07-01 2020-07-01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34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029A (ko) 2022-01-29 2023-08-07 서신식품 주식회사 순두부 파쇄 시스템
KR20230163147A (ko) 2022-05-23 2023-1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136B2 (ko) * 1981-08-26 1987-04-27 Unilever Nv
JPH069498U (ja) * 1992-07-14 1994-02-08 有限会社英彦山食品 多層食品製造機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多層食品
KR19990085403A (ko) 1998-05-18 1999-12-06 변종환 슬라이스형 건두부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6246850A (ja) * 2005-03-14 2006-09-21 Raikusu Takagi:Kk 豆腐乾燥食品の製造方法
KR101745490B1 (ko) 2015-10-23 2017-06-09 김준엽 미역건두부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136B2 (ko) * 1981-08-26 1987-04-27 Unilever Nv
JPH069498U (ja) * 1992-07-14 1994-02-08 有限会社英彦山食品 多層食品製造機及びそれを用いて製造された多層食品
KR19990085403A (ko) 1998-05-18 1999-12-06 변종환 슬라이스형 건두부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6246850A (ja) * 2005-03-14 2006-09-21 Raikusu Takagi:Kk 豆腐乾燥食品の製造方法
KR101745490B1 (ko) 2015-10-23 2017-06-09 김준엽 미역건두부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7029A (ko) 2022-01-29 2023-08-07 서신식품 주식회사 순두부 파쇄 시스템
KR20230163147A (ko) 2022-05-23 2023-11-3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목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3448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0658B (zh) 一种蔬菜鱼丸的加工方法
CN104116051A (zh) 一种颗粒状的五谷杂粮粉
KR20220003307A (ko) 두부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두부
CN105767427A (zh) 一种辣椒健康软糖
US346867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dry food product concentrate in lumps
KR101589250B1 (ko) 노루궁뎅이버섯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322711A (zh) 一种夹心豆腐干的制作方法
CN102422899A (zh) 一种食用菌风味豆腐的制作方法
CN108244186A (zh) 一种零添加养生蛋糕及其制备方法
CN104351354A (zh) 一种花生豆腐干的制作方法
KR102380548B1 (ko) 흰강낭콩을 함유하는 곡류 분말 제조 방법
KR101267959B1 (ko) 구아바 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416683B (zh) 一种发芽糙米米粉条及其制备方法
CN102783637A (zh) 薏米养生粉
CN107087663A (zh) 一种松茸果仁酥性饼干及其加工方法
CN103734422B (zh) 一种明日叶银杏茶
KR100782348B1 (ko) 즉석 쌀두부 식품의 제조방법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198448A (zh) 一种挂面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921017B (zh) 一种速溶紫薯奶粉早餐粥及其生产工艺
CN105105122A (zh) 食物结构能量氨基酸构成合理谷薯荤素菇主食产品系列
KR20110115327A (ko) 쌀과 콩을 이용한 죽 및 그 제조방법
CN104026594A (zh) 一种营养兔肉及其制备方法
CN107668461A (zh) 一种可食用日历及其制作方法
CN102742805A (zh) 一种杂粮牛蒡方便粉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