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870A - Motor for actuating lens - Google Patents

Motor for actuating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870A
KR20220000870A KR1020210185438A KR20210185438A KR20220000870A KR 20220000870 A KR20220000870 A KR 20220000870A KR 1020210185438 A KR1020210185438 A KR 1020210185438A KR 20210185438 A KR20210185438 A KR 20210185438A KR 20220000870 A KR20220000870 A KR 20220000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isposed
coil
bas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54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78151B1 (en
Inventor
이준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02310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45956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8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151B1/en
Publication of KR2022000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870A/en
Priority to KR1020220173123A priority patent/KR202300043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 H02K41/031Synchronous motors; Motors moving step by step; Reluctance motors of the permanent magne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25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tor for actuating a lens,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consideration of miniaturization and simplification. An embodiment provides a camera module which comprises: a base; an actuator unit which includes a lens unit provided with one or more lenses and a bobbin fixing the lens unit, wherein the actuator unit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to move the lens unit; and a cover can which accommodates the lens unit and an actuator, wherein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is in close contact with a side surface of the base to be mounted on the base. A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includes a recess part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Description

렌즈구동모터{MOTOR FOR ACTUATING LENS}Lens drive motor {MOTOR FOR ACTUA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mot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re widely distribut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the demands of consumer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camera modu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can take a photo or video of a subject, store the image data, and edit and transmit it as needed.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compact camera modules is increasing for use in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notebook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 smart devices, toys, etc., and for image input devices such as information terminals of surveillance cameras and video tape recorders. .

종래의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렌즈구동모터는 렌즈부가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공중에서 지지되는 구조로서, 상기 렌즈부의 자중 또는 외력에 의한 충격 등에 의해 상기 스프링의 변형에 의한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The lens driving motor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camera modul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s unit is supported in the air by a plurality of springs, and reliability may be reduced due to deformation of the spring due to an impact caused by the weight of the lens unit or an external force.

또한, 종래의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타입의 렌즈구동모터의 경우, 추가적으로 OIS 구동을 위한 스프링이 구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type lens driving motor, a spring for driving the OIS must be additionally provided.

(특허문헌 1) KR 10-2011-0080590 A(Patent Document 1) KR 10-2011-0080590 A

실시예는 소형화, 단순화를 고려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An embodiment is to provide a lens driving motor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consideration of miniaturization and simplification.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 상측면에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을 폐쇄하며,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부; 및 상기 보빈과 하우징 사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 구 형상의 지지볼;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Embodiments include a bobbin for fixing the lens unit; a housing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lens unit is ex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having an open lower side; a base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bobbin; an actuator unit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move the bobbin; and at least two or more spherical support balls provid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housing.

한편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하는 보빈; 상측면에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을 폐쇄하며,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와,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두 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부; 상기 보빈과 하우징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 구 형상의 지지볼; 및 상기 액추에이터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is a bobbin for fixing the lens unit; a housing having an opening in which the lens unit is exposed on an upper surface and having an open lower side; a base closing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and supporting the bobbin; an actuator unit including a magnet unit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nd a coil uni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magnet unit, the coil unit including two or more coils individually supplied with power; at least two or more spherical support balls provided in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 substrate for applying power to the actuator unit; may provide a camera module comprising a.

또한,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고정돌기가 고정되되,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ly ar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and the fixing protrusions are fixed to the bobbin, and a fixing groov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protrusions may be formed.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베이스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보빈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s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ase, and the fixing grooves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obbin.

또한, 상기 지지볼은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고정홈의 외측면은 상기 지지볼과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may be formed to be curved to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ball.

또한, 상기 지지볼은 상기 하우징의 인접한 두 개의 면과 상기 고정홈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접하지 아니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all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does not contact any one of the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부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 및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며,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두 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를 포함하거나,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두 개 이상의 코일을 포함하는 코일부; 및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마그넷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tuator unit includes a magnet uni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nd a coil uni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opposite to the magnet unit and including two or more coils individually receiving power. A coil unit comprising two or more coils to receive; and a magnet part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o face the magnet part.

또한, 상기 지지볼은 상기 액추에이터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lso, the support ball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ctuator units.

또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an for accommodating the hous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개별적인 제어 및 지지볼을 포함하여 전체적인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 단순화 및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 또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ens driving motor or a camera module with improved miniaturization, simplification and reliability of the overall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individual control of the coil and the support bal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하측면을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with the housing removed from FIG. 1 ; FIG.
3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lower side of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is remov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specified, all terms herei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herein shall gover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렌즈구동모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ens driving motor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하우징을 제거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에서 베이스가 제거된 하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with the housing removed from FIG. 1 , FIG. 3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It is a view showing a lower side of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which the base is removed.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크게 보빈(200), 하우징(100), 액추에이터부(300), 베이스(400) 및 지지볼(50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4 ,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largely include a bobbin 200 , a housing 100 , an actuator unit 300 , a base 400 , and a support ball 500 .

상기 보빈(200)은 렌즈부(미도시)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와 보빈(200)의 결합방식은 나사산(미도시)을 보빈(200)의 내주면과 렌즈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The bobbin 200 is coupled to the lens unit (not shown) to fix the lens unit, and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bobbin 200 is to attach a screw thread (not shown)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uni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hreaded coupling method to form each, but may be coupled by a non-threaded method using an adhesive. Of course, even in the screw thread coupling method, after fastening the screw thread, an adhesive may be used to achieve a more robust mounting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은 후술할 마그넷부(32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마그넷부(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장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홈(220)은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mounting groove 22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2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gnet part 320 so that a magnet part 32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unted thereon. These mounting grooves 220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or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상기 보빈(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장착홈(220)의 사이에 형성되며, 후술할 베이스(400)의 고정돌기(410)가 장착되는 고정홈(21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210)은 상기 보빈(2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200)의 하측면에서부터 상측부까지 상기 고정돌기(41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지지볼(500)이 고정홈(210)과 고정돌기(410) 사이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10)의 외측면은 상기 지지볼(500)과 대응되는 곡률로 만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210) 및 고정돌기(410)는 보빈(200)과 베이스(400)의 결합을 위한 조립 형상이므로, 별도의 고정홈(210) 및/또는 고정돌기(410)는 필요없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볼을 지지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구동을 위한 이동거리 또는 구동 스트로크(stroke) 이상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0.3mm 정도 될 수 있다.In addition, a fixing groove 210 formed between the mounting grooves 220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200 and in which a fixing protrusion 410 of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is mounted may be additionally formed. The fixing grooves 210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obbin 200 , and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protrusion 410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of the bobbin 200 . In addition, the support ball 50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groove 210 and the fixing protrusion 410 . Also,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0 may be curved to have a curvature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ball 500 . In addition, since the fixing groove 210 and the fixing protrusion 410 are assembled shapes for coupling the bobbin 200 and the base 400, a separate fixing groove 210 and/or the fixing protrusion 410 is unnecessary. may be In addition, a fixing groove for supporting the ball may be formed, which may be formed to have a depth greater than or equal to a movement distance for driving or a driving stroke, and may be generally about 0.3 mm.

또한, 상기 고정홈(210)의 광축 방향으로의 요입 길이는 후술할 지지볼(50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홈(210)에 배치된 구 형상의 상기 지지볼(500)은 상기 보빈(200)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이 노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cave length of the fixing groove 2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all 50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pherical support ball 500 disposed in the fixing groove 210 may be disposed with a certain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bbin 200 .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홈(220)은 4개의 장착홈을 포함하고 고정홈(210)은 4개의 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장착홈과 4개의 고정홈 중 어느 하나를 '제1홈'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2홈'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제3홈'이라 할 수 있다.3 and 4, the mounting groove 220 may include four mounting grooves, and the fixing groove 210 may include four fixing grooves. One of the four mounting grooves and the four fixing groove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groove',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groove',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groove'.

상기 하우징(100)은 상측면에 상기 렌즈부(미도시)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이 개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보빈(200), 액추에이터부(300) 및 지지볼(500)을 수용하여 후술할 베이스(400)와 결합되어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후술할 커버캔(미도시)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우징(100)이 상기 커버캔과 일체로 형성되어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ens unit (not shown) is exposed is formed on an upper side thereof, and a lower side thereof is opened. Specifically, the housing 100 accommodates the bobbin 200, the actuator unit 300, and the support ball 500 and is coupled with the base 400 to be described later to form the exterior of the lens driving moto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cover can (not shown). Alternatively, the housing 1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over can to form the exterior of the lens driving motor.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housing 100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columnar shapes. In addition,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med as an injection molding product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또한, 상기 하우징(100) 또는 보빈(200)의 상측면에는 소정 간격 돌출 형성되어 외부 충격 시 상기 커버캔 또는 하우징(100)의 상측면에 접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토퍼(미도시)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상기 하우징(100) 또는 보빈(2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opper (not shown) that is form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or the bobbin 200 and can absorb shock by contacting the cover can or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the event of an external impact. At least two or more may be formed. Such a stopp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housing 100 or the bobbin 200 .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커버캔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커버캔의 내부에 수용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ver can, 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cover can.

상기 커버캔(미도시)은 상기 하우징(100)을 수용하여 베이스(400)에 장착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커버캔 기능을 하는 상기 하우징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400)의 측면부와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40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cover can (not shown) accommodates the housing 100 and is mounted on the base 400 to form the exterior of the camera module. Alternatively, the housing serving as the cover can may be mounted on the base 400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ile protecting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and contamination. It may have a material penetration prevention function.

또한, 상기 커버캔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상기 커버캔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can can als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the components of the camera module from external radio interference caused by a mobile phone, the cover can can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커버캔은 하단부 각각의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된 체결편이 더 형성되고, 베이스(400)에는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의 더욱 견고한 밀폐 기능 및 체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can further has at least one extended fastening piece formed on each side of the lower end, and the base 400 has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is inserted, extending outwardly, thereby making the camera module more robust. A sealing function and a fastening function can be implemented.

상기 액추에이터부(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보빈(200)을 이동시키며, 크게 마그넷부(320)와 코일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tuator unit 30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to move the bobbin 200 , and may largely include a magnet unit 320 and a coil unit 310 .

상기 마그넷부(320)는 후술할 코일부(310)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 또는 장착홈(220)에 장착되어 고정되거나, 접착제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부(320)는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보빈(200)의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렌즈구동모터의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도 있다.The magnet unit 320 is mount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or the mounting groove 220 so as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il unit 310 to be described later, or fixed with an adhesive or the like. can be In addition, although the magnet part 320 is shown to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respectively, it is mounted on the four corners of the bobbin 200 at equal intervals to ensure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volume of the lens driving motor. You may also try

또는, 상기 마그넷부(320)는 상기 보빈(200)이 아닌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후술할 코일부(310)가 상기 보빈(200)의 외측면에 상기 마그넷부(320)와 대향하여 장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magnet part 32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100 instead of the bobbin 200 , and a coil part 31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00 with the magnet part 320 and They may be mounted oppositely.

상기 마그넷부(320)를 구성하는 개개의 마그넷의 형상은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형상, 사다리꼴기둥형상 등 각 기둥형상 일수 있으며, 각 기둥형상에 일부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가공 시 모서리가 일부 곡면을 갖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shape of each magnet constituting the magnet part 320 is shown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t may be each column shape such as a triangular prism shape, a square prism shape, and a trapezoidal prism shape, and may include some curves in each pole shape may be In addition, the magnet may be processed so that the corner has a partial curved surface during processing.

상기 코일부(310)는 상기 마그넷부(320)와 대향되게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미리 권선된 코일부(310)가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실시예의 코일부(310)는 4 개의 개별적인 코일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개의 코일은 외부의 전원을 개별적으로 인가받을 수 있다.The coil unit 310 may be wou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face the magnet unit 320 , and a pre-wound coil unit 310 may be mounted on the housing 100 . Here, in the coil unit 310 of the embodiment, four individual coils may be disposed at intervals of 9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 and these individual coils may receive external power individually.

즉, 실시예의 코일부(310)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코일이 배치되며, 이러한 코일부(310)의 개별적인 구동과 후술할 지지볼(500)로 인해, A.F(Auto Focusing) 기능뿐만 아니라,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요컨대, 별도의 OIS 부품을 구비하지 아니한 렌즈구동모터를 구현하여 소형화, 제품 조립공정 감소 등의 효과를 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oil unit 310 of the embodiment, at least two or more individually driven coils are disposed, and due to the individual driving of the coil unit 310 and the support ball 500 to be described later, not only the AF (Auto Focusing) function Instead, it becomes possible to implement even an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chieve effects such as miniaturization and reduction in product assembly process by implementing a lens driving motor that does not have a separate OIS component.

상기 베이스(400)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측면의 일부 및/또는 전부를 폐쇄하여 상기 보빈(200) 및 액추에이터부(300)를 지지하며,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The base 400 closes part and/or all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o support the bobbin 200 and the actuator unit 300, and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is formed in the center. do.

이러한 베이스(400)는 후술할 이미지 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base 400 may perform a sensor holder function to protect an image sensor (not show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베이스(400)의 외측에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고정홈(210)과 면접하거나 결합하는 한 개 이상의 고정돌기(4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410)는 상기 베이스(400)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more fixing protrusions 410 that protrude upward to face or couple with the fixing grooves 210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ase 400, and these fixing projections 410 may be respectively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base 400 .

또한, 상기 베이스(400)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커버캔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외측면에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은 상기 체결편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400)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400)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base 400 ,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of the cover can is inserted may be formed to extend on the outer surface. This fastening groove is formed lo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40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astening pie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400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can including the fastening piece can be inserted. can be formed entirely in

한편, 실시예는 상기 보빈(200)과 하우징(100) 사이에 또는 보빈(200)과 베이스(400) 사이에 적어도 두 개 이상이 구비되는 구 형상의 지지볼(5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볼(500)은 상기 액추에이터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돌기(410)와 상기 고정홈(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볼(500)은 상기 하우징(100)의 인접한 두 개의 면과 상기 고정홈(210)의 외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접하지 아니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embodiment includes a spherical support ball 500 provided with at least two or more between the bobbin 200 and the housing 100 or between the bobbin 200 and the base 400 . The support ball 5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ctuator unit 300 ,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410 and the fixing groove 210 . In addition, the support ball 500 may be formed in a size that does not contact any one of the two adjacent surfaces of the housing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0 .

즉, 상기 고정홈(210)의 외측면에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모서리까지의 길이보다 상기 지지볼(500)의 지름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볼(500)의 상기 고정홈(210) 또는 하우징(100)과의 소정 간격 이격된 배치는, 상기 보빈(200)이 상기 하우징(100) 내에서 상기 개별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에 의해 광축 방향인 z축 방향 또는 x, y축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즉, 지지볼(500)은 보빈(200)의 광축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지지볼(500)은 보빈(200)의 x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볼(500)은 보빈(200)의 y축 방향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the diameter of the support ball 50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groove 210 to the edge of the housing 100 . The arrangement of the support ball 500 spaced apart from the fixing groove 210 or the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such that the bobbin 200 is connected to the coil to which power is individually applied within the housing 100 .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controlled in the z-axis direction or the x, y-axis direction,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the support ball 50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obbin 20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support ball 50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obbin 200 in the x-axis direction. In addition, the support ball 50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bobbin 200 in the y-axis direction.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부(300)는 각각의 면에 코일과 마그넷 한 쌍씩 총 네 쌍의 엑추에이터가 배치되며, 액추에이터의 각각의 코일(310a, 310b, 310c, 310d)은 개별적으로 전원이 인가된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4 , in the actuator unit 300 of the embodiment, a total of four pairs of actuators are disposed on each side of a coil and a magnet, and each coil of the actuator (310a, 310b, 310c, 310d) are individually powered.

여기서, 동일한 전류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코일(310a, 310b, 310c, 310d)에 인가되면 광축 방향으로 보빈(200)이 상, 하 이동한다. 또한, 상호 다른 전류가 개별적으로 각각의 코일(310a, 310b, 310c, 310d)에 인가되거나 어느 코일(예를 들어 310a, 310b 및 310c, 또는, 310a 및 310b, 또는 310a)에만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빈(200)이 상기 지지볼(500)과 하우징(100) 및/또는 베이스 및/또는 보빈의 이격거리만큼 틸팅될 수 있다.Here, when the same current is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of the coils 310a, 310b, 310c, and 310d, the bobbin 200 moves up and dow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In addition, when different currents are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of the coils 310a, 310b, 310c, and 310d, or when a current is applied only to any coil (for example, 310a, 310b and 310c, or 310a and 310b, or 310a), the The bobbin 200 may be tilted b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all 500 and the housing 100 and/or the base and/or the bobbin.

한편, 실시예는 렌즈구동모터의 오토포커싱 및/또는 떨림 방지를 위한 각각의 코일(310a, 310b, 310c, 310d) 제어를 위해, 홀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마그넷부(320)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가동자의 위상을 센싱하며, 렌즈구동모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hall sensor unit (not shown) to control each of the coils 310a, 310b, 310c, and 310d for auto-focusing and/or vibration prevention of the lens driving motor. The hall sensor unit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hase of the mover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320 and to precisely control the lens driving motor.

이러한 홀센서부는 고정자에 구비될 수 있다.Such a hall sensor unit may be provided in the stator.

구체적으로, 상기 홀센서부는 각각의 코일(310a, 310b, 310c, 310d)의 중앙에 장착될 수도 있으며, x축 및/또는 y축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최소한 두 개 이상이 인접한 코일 두 개의 중앙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배치구조를 갖는 홀센서부는 별도의 센싱용 마그넷이 필요하지 않고, 구동을 위한 상기 마그넷부(320)를 센싱한다. 이러한 센싱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상기 마그넷부(320)는 양극 착자가 되도록 상기 보빈에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ll sensor unit may be mounted in the center of each coil 310a, 310b, 310c, 310d, and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coils are located in the center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x-axis and/or y-axis. Each may be provided. That is, the Hall sensor unit having such an arrangement structur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ensing magnet, and senses the magnet unit 320 for driving.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such sensing, the magnet unit 320 may be disposed on the bobbin to be positively polarized.

또한, 별도의 센싱용 마그넷을 보빈에 더 배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센싱용 마그넷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정자에 홀센서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별도의 센싱용 마그넷이 구비된 경우, 상기 홀센서부는 하우징 또는 베이스에 상기 센싱용 마그넷과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eparate sensing magnet is further disposed on the bobbin, a hall sensor unit may be disposed in the stat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magnet. That is, when a separate sensing magnet is provided, the hall senso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or the base to face the sensing magnet.

이러한 지지볼(500)에 의해, 실시예는 별도의 OIS 코일부(310)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보빈(200)과 하우징(100) 사이의 스프링 구조가 필요없게 된다. 이는 부품수의 간소화에 따른 소형화, 내구성 강화, 조립공정 단축 및 제품 코스트 절감의 이점이 있다.With the support ball 500 , the embodiment does not need to include a separate OIS coil unit 310 , and a spring structure between the bobbin 200 and the housing 100 is not required. This has the advantages of miniaturization, enhanced durability, shortened assembly process and product cost reduction due to the simplification of the number of parts.

또한, 상기 지지볼(500)의 표면에는 실리콘 또는 댐퍼를 도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외부 충격 또는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licon or a damper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ll 500 , and in this case, external shock or noise generation may be reduced.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camera module, and such a camera module is a mobile phone or a notebook personal computer, a camera phone, PDA, smart, a variety of multimedia fields such as toys (toy), and further monitoring It may be provided in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n information terminal of a camera or a video tape recorder.

요컨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전술한 렌즈구동모터의 구성요소 외에도 기판 및 이미지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although not shown, it may further include a substrate, an image sensor,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lements of the lens driving motor.

상기 렌즈부(미도시)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되며, 렌즈 배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lens unit (not shown) includes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and may be a lens barr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lens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lens unit is a lens barr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베이스의 관통홀에는 IR 필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An IR filte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이 경우, 상기 IR 필터는 상기 베이스(40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또는 블루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R 필터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추가로 상기 베이스(400) 하부에 배치되는 별도의 센서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R filter may be mount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400 , and an infrared filter or a blue filter may be provided. In addition, the IR filter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and an infrared blocking coating material may be disposed on a plate-shaped optical filter such as a cover glass for protecting an imaging surface or a cover glass. In addition, a separate sensor holder disposed under the base 400 may be further included.

한편, IR 필터가 렌즈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IR 필터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렌즈면에 코팅 처리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R filter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is possible to block infrared rays by coating the lens surface without separately configuring the IR filter.

상기 기판(미도시)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으며,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센서(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판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단자부 또는 직접적으로 상기 코일부(310)의 각각의 코일과 개별적으로 전기적 연결된다.The board (not shown)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image senso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In addition, in order to apply power for driving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ubstrat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oil of the coil unit 310 directly or to a terminal unit.

상기 이미지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be positioned along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lens unit. Such an image sensor converts an optical signal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한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described in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thermosetting epoxy or UV epoxy, and is cured by exposure to heat or UV. However, if a thermosetting epoxy is used, it is cured by moving to an oven or by applying direct heat, and when using a UV (ultraviolet) epoxy, it is a method of curing by applying UV (ultraviolet light) to the adhesive.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an epoxy in whic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can be mixed, and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re possible, so it may be an epoxy that can be cured by selecting any one of them. The adhesive is not limited to the epoxy, and any material that can be adhered to may be substituted.

요컨대, 실시예에 따르면, 코일의 개별적인 제어 및 지지볼(500)을 포함하여 별도의 OIS 용 스프링 및/또는 코일부(310)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 단순화 및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 또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In sho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a separate OIS spring and/or coil unit 310 is not required, including the individual control of the coil and the support ball 500, the overall lens driving motor can be miniaturized, simplified, and reliable. An improved lens driving motor or camera module can be implemented.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100: 하우징 200: 보빈
210: 고정홈 220: 장착홈
300: 액추에이터부 310: 코일부
320: 마그넷부 400: 베이스
410: 고정돌기 500: 지지볼
100: housing 200: bobbin
210: fixing groove 220: mounting groove
300: actuator unit 310: coil unit
320: magnet unit 400: base
410: fixing projection 500: support ball

Claims (20)

베이스;
제1코너를 형성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상기 보빈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 및
광축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광축방향,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제1방향, 및 상기 광축방향과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코너의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오픈된 렌즈구동모터.
Base;
a bobbin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orming a first corner and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bbin;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bobbin;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a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omprising a ball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base,
The bobbin is disposed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The bobbin includes a first groove formed by recessing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in the region of the first corner of the bobbin,
The ball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is open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은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제1마그넷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코일은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제2마그넷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마그넷이 배치되는 제2홈과, 상기 보빈의 상기 제2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마그넷이 배치되는 제3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3홈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i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magnet in the first direction,
The second coil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agnet in the second direction,
The bobbin includes a second groove form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bbin and in which the first magnet is disposed, and a third groove formed in the second side of the bobbin and in which the second magnet is disposed,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roove and the third groove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과 상기 보빈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함몰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is recess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홈과 상기 제3홈은 서로 이격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전원을 개별적으로 인가받는 렌즈구동모터.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cond groove and the third groov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respectively applied with power is a lens driving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일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3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제4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코일은 전원을 개별적으로 인가받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third coil disposed opposite to the first coil and a fourth coil disposed opposite to the second coil;
The first to fourth coils are individually applied with power to the lens driving motor.
제1항에 있어서,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를 위한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의 제어를 위한 홀센서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lens driving motor comprising a Hall sensor for controlling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상기 제1코일 내 및 상기 제2코일 내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all sensor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in the first coil and in the second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제1마그넷과 상기 제2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2마그넷과 상기 제1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제1볼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ball overlaps the first magnet in the second direction, and a first ball overlaps the second magnet in the first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is a lens driving motor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bobbin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보빈의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1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includes a first ball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bobbin and a portion of the base,
The part of the bobbin and the part of the base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기 일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일부 사이의 상기 광축방향으로의 거리는 상기 제1볼의 직경과 같은 렌즈구동모터.
12. The method of claim 11,
A distanc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between the part of the bobbin and the part of the base is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first b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광축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와 오버랩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is a lens driving motor overlapping the bobbin and the bas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와 오버랩되지 않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ll is a lens driving motor that does not overlap the bas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판과 상기 상판으로부터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커버의 상기 측판과 이격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cover comprising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from the top plate and covering the bobbin,
The ball is a lens driving moto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side plate of the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의 표면에는 실리콘 또는 댐퍼가 도포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lens driving motor in which silicon or a damper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ball.
베이스;
제1코너를 형성하는 제1측면과 제2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의 상기 제1측면에 배치되는 제1마그넷;
상기 보빈의 상기 제2측면에 배치되는 제2마그넷;
상기 제1마그넷과 마주보는 제1코일;
상기 제2마그넷과 마주보는 제2코일; 및
광축방향으로,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광축방향, 상기 광축방향에 수직인 제1방향, 및 상기 광축방향과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코너의 영역에서 상기 보빈의 하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홈을 포함하고,
상기 볼은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의 상기 제1홈은 외측으로 오픈된 렌즈구동모터.
Base;
a bobbin including a first side and a second side forming a first corner and disposed on the base;
a first magnet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bobbin;
a second magnet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f the bobbin;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an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comprising a ball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base,
The bobbin is arranged to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first direction,
The bobbin includes a first groove formed by recessing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in the region of the first corner of the bobbin,
The ball is disposed in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The first groove of the bobbin is open to the outside of the lens driving motor.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구동모터; 및
상기 렌즈구동모터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lens driving mo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17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lens driving motor.
제18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A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8 .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마주보는 코일; 및
상기 보빈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볼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Base;
a bobbin disposed on the base;
a magnet disposed on the bobbin;
a coil facing the magnet; and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a ball disposed between the bobbin and the base.
KR1020210185438A 2021-02-22 2021-12-2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781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5438A KR102478151B1 (en) 2021-02-22 2021-12-2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173123A KR20230004368A (en) 2021-02-22 2022-12-12 Motor for actuat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108A KR102345956B1 (en) 2014-02-27 2021-02-2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10185438A KR102478151B1 (en) 2021-02-22 2021-12-22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108A Division KR102345956B1 (en) 2014-02-27 2021-02-22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123A Division KR20230004368A (en) 2021-02-22 2022-12-12 Motor for actuating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870A true KR20220000870A (en) 2022-01-04
KR102478151B1 KR102478151B1 (en) 2022-12-16

Family

ID=7517991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5438A KR102478151B1 (en) 2021-02-22 2021-12-2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173123A KR20230004368A (en) 2021-02-22 2022-12-12 Motor for actuating len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3123A KR20230004368A (en) 2021-02-22 2022-12-12 Motor for actuating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8151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297A (en)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Voice coil module
KR20100109727A (en)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of camera,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mera module
KR20110080590A (en) * 2010-01-06 2011-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10106664A (en) * 2010-03-23 2011-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30042794A (en) * 2011-10-19 2013-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308621B1 (en) * 2012-06-12 2013-09-23 주식회사 하이소닉 Actuator for camer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3297A (en) * 2009-03-13 2010-09-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Voice coil module
KR20100109727A (en) * 2009-04-01 2010-10-1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of camera,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amera module
KR20110080590A (en) * 2010-01-06 2011-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10106664A (en) * 2010-03-23 2011-09-29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KR20130042794A (en) * 2011-10-19 2013-04-29 삼성전기주식회사 Lens assembly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KR101308621B1 (en) * 2012-06-12 2013-09-23 주식회사 하이소닉 Actuator for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4368A (en) 2023-01-06
KR102478151B1 (en) 2022-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1243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2072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0569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153739B1 (en) Camera Module
KR20230145000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4595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78151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29330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123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337914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8401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03867B1 (en) Camera Module
KR10219620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07394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2748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13612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374765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489147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0173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18958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90115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20123616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00066273A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