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1243B1 - Motor for actuating lens - Google Patents

Motor for actuating le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1243B1
KR102471243B1 KR1020220027028A KR20220027028A KR102471243B1 KR 102471243 B1 KR102471243 B1 KR 102471243B1 KR 1020220027028 A KR1020220027028 A KR 1020220027028A KR 20220027028 A KR20220027028 A KR 20220027028A KR 102471243 B1 KR102471243 B1 KR 10247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disposed
coil
hous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70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35345A (en
Inventor
박상옥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7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1243B1/en
Publication of KR2022003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5345A/en
Priority to KR1020220157706A priority patent/KR1026367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1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2Lateral adjustment of le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alternate energisation of two coil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6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polarised armatures moving in alternate directions by reversal or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02K41/0356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moving along a straight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12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bobbins for supporting the wind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An embodiment provides a lens driving motor, which comprises: a mover which includes a bobbin fixing a lens portion, and a magnet portion placed on the bobbin; a stator which includes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each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portion, a housing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in the center and a support portion having the out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coil portion is arranged, a base supporting the housing and having a through-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lens portion, and a substrat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apply power to the second coil portion; and a hall sensor arrang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 portion to sense the phase of the mover.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ns driving motor which has simplified internal configuration, miniaturization, and enhanced reliability.

Description

렌즈구동모터{MOTOR FOR ACTUATING LENS}Lens driving motor {MOTOR FOR ACTUATING LENS}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조가 개선된 렌즈구동모터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motor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the spread of various portable terminals is widely generalize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are commercialized, consumers' demands related to portab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portable terminals.

그 중에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그 이미지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및 전송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것이 카메라 모듈이다.Among them, a typical camera module is capable of taking a picture or video of a subject, storing the image data, and then editing and transmitting the image data as needed.

근래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종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용으로 소형의 카메라 모듈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Recently, the demand for small camera modules is increasing for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notebook-type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s, smart phones, and toys, and image input devices such as information terminals for surveillance cameras and video tape recorders. .

카메라 모듈은 렌즈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이러한 렌즈구동모터는 오토 포커싱을 하거나, 손 떨림 보정을 할 수 있으며, 기존 렌즈구동모터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구성을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포함되므로, 렌즈구동모터의 내부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며, 이러한 렌즈구동모터의 조립 동선이 복잡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includes a lens driving motor, and such a lens driving motor can perform auto focusing or hand shake correction, and since the existing lens driving motor includes additional components for configuring 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the len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iving motor is relatively complex, and the assembly line of the lens driving motor may be complicated.

또한, 이러한 구조적 복잡성은 렌즈구동모터의 소형화를 제약할 수 있으며, 제품의 신뢰성 및 제품 코스트 절감의 제약을 야기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structural complexity may limit the miniaturization of the lens driving motor, and may cause limitations in product reliability and product cost reduction.

(특허문헌 1) KR10-2011-0080590 A (Patent Document 1) KR10-2011-0080590 A

실시예는 소형화, 단순화를 고려하고, 신뢰성이 향상된 OIS 타입의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함에 있다.An embodiment is to provide an OIS type lens driving motor with improved reliability in consideration of miniaturization and simplification.

실시예는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배치된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마그넷부와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와, 중앙이 개구된 상측면과 상기 제1 코일부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중앙에 상기 렌즈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자의 위상을 센싱하는 홀센서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includes a movable element including a bobbin for fixing the lens unit and a magnet unit disposed on the bobbin; A housing including a first coil part, a second coil part, an upper surface having an open center and a support part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il part, and supporting the housing, a stator including a base in which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is formed in the center, and a substr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apply power to the second coil unit; and a hall sensor unit disposed at a position facing the magnet unit and sensing a phase of the mover.

한편, 렌즈부를 고정시키는 보빈과, 상기 보빈에 배치된 마그넷부를 포함하는 가동자; 상기 마그넷부와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는 제1 코일부와 및 제2 코일부와, 상기 가동자를 지지하며 중앙에 상기 보빈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고정자; 및 상기 마그넷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가동자의 위상을 센싱하는 홀센서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over including a bobbin for fixing the lens unit and a magnet unit disposed on the bobbin; a stator including a first coil unit and a second coil unit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unit, and a base supporting the mover and spaced apart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hall sensor unit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magnet unit to sense the phase of the mover.

또한, 상기 마그넷부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4 개의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보빈은 외주면에 상기 각각의 마그넷이 장착되는 마그넷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part may include four magnet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and magnet grooves in which each of the magnets are mounte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또한, 상기 고정자는 중앙이 개구된 상측면과, 상기 상측면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코일부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을 지지하며 중앙에 상기 렌즈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일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tor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n upper surface having an open center and a support part formed at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and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il unit; a base supporting the housing and having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at the center thereof; and a substrat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apply power to the second coil unit.

또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기판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홀센서부가 수용되는 홀센서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ll sensor unit may be disposed below the substrate, and a Hall sensor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the Hall sensor unit is accommodated may be formed in the base.

또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기판의 인접하는 변에 배치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Hall sensor unit may include two Hall sensors disposed on adjacent sides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서 상기 고정자에 전달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기 위한 제1 터미널부와, 상기 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터미널부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일측면은 상기 제1 터미널부가 안착되는 제1 터미널홈과 상기 제2 터미널부가 안착되는 제2 터미널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i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nd is formed by bending a first terminal portion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to the stator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terminal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all sensor portion, , One side of the base may be formed with a first terminal groove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art is seated and a second terminal groov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art is seated.

또한, 상기 기판은 상기 제2 코일부의 각각의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자부와, 상기 제1 코일부의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자부가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cond terminal part to which each coil of the second coil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first terminal part to which the coils of the first coil part are electrically connect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또한, 상기 제2 코일부는 네 개의 코일이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FP(Fine Pattern) 코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il unit may be provided as a fine pattern (FP) coil to which four coils are individually supplied with power.

또한, 상기 베이스는 각각의 모서리에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지지부는 상기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대응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may have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each corner, and a corresponding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의 지지부의 하측단에는 상기 AF 코일을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rib supporting the AF coil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과 보빈의 상측면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상측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과 보빈의 하측면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는 하측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pring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respectively, and a lower spring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respectively, may be further included. .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에는 상기 상측스프링이 체결되는 결합돌기 또는 상기 상측스프링이 고정되는 융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lso,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the upper spring is fastened or a fusion protrusion to which the upper spring is fixed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상측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상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 또는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이 형성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pring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includes an outer portion in whic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r a fus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usion protrusion is formed, an inn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It may include a connecting part for connecting.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측면은 상기 외측부가 결합되는 상측면에서 광축 방향으로 요입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with a stepped portion concave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t an upper surface to which the outer portion is coupled.

또한, 상기 보빈의 상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고정편의 측면 및 외측면에 접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fixing pieces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and a bent portion bent outward may be formed so that the inner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iece.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측면에는 상기 하측스프링이 체결되는 결합돌기 또는 상기 하측스프링이 고정되는 융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to which the lower spring is fastened or a fusion protrusion to which the lower spring is fixed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하측스프링은 상기 하우징 하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 또는 상기 융착돌기와 대응되는 융착홈이 형성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의 하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pring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 outer portion in which a coupling groov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or a fus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fusion protrusion is formed, an inner portion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and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It may include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또한, 상기 상측스프링과 하측스프링은 각각 단일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며, 광축 방향인 z축과 수직 방향인 x축 및 상기 z, x축에 수직 방향인 y축에 대해 동일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spring and the lower spring are formed of a single plate spring, respectively, and may have the same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x-axis perpendicular to the z-axis,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d the y-axis,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z and x-axis.

또한, 상기 보빈은 외주면에 적어도 두 개 이상 돌출된 회전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보빈의 외주면과 회전방지부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내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two or more protruding anti-rotation parts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anti-rotation part may be formed.

또한, 상기 가동자 및 고정자를 수용하며, 상측면에 상기 렌즈부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은 개방되어 상기 베이스에 의해 폐쇄되는 커버캔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cover can accommodating the mover and the stator,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ens unit is expos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s open and closed by the ba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이 고정되며, 보빈만 전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내부 구성의 단순화, 소형화 및 신뢰성이 향상된 렌즈구동모터 또는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using is fixed and only the bobbin is driven in all direction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lens driving motor or camera module with simplified internal configuration, miniaturization, and improved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에서 커버캔을 제거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하우징과 보빈의 결합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베이스와 제2 코일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판과 제2 코일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 홀센서부, 기판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유닛의 상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제1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에 따른 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in which a cover can is removed from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a housing and a bobbin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n upper sid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a base and a second coil unit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ed state of the substrate of FIG. 5 and the second coil unit;
7 is a view showing a magnet part, a Hall sensor part, a substrate and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upper side view of an elas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a change in current applied to a first coil unit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 this specification have the same general meaning a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f a term used in this specification conflicts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 definition used in this specification shall apply.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owever, the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렌즈구동모터를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lens driving motor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에서 커버캔을 제거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하우징과 보빈의 결합 상태를 상측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제1 터미널부(341a)와 제2 코일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기판과 제2 코일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그넷부, 홀센서부, 기판 및 베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유닛의 상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제1 코일부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에 따른 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of a cover can removed from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bobbin and a housing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above, FIG. 34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with the second coil unit,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between the substrate and the second coil unit of FIG. 5, and FIG. 7 is a magnet unit and hal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top view of an elastic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view showing a part, a substrate and a base, Figure 9 is a current change applied to the first coil unit of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graph schematically illustrating displac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movement path of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크게 가동자(200) 및 고정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커버캔(100), 탄성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홀센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z축은 광축 방향을 의미하며, x축은 상기 z축과 수직 방향, y축은 상기 z축 및 x축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1 ,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largely include a mover 200 and a stator 300 . In addition, th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can 100 and an elastic unit 400, and may further include a hall sensor unit 500. In the embodiment, the z-axis refers to an optical axis direction, the x-axis refer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and the y-axis refers to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and the x-axis.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커버캔(100)은 후술할 가동자(200) 및 고정자(300)를 수용하며, 상측면에 후술할 렌즈부(미도시)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은 개방되어 후술할 베이스(350)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렌즈구동모터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1 and 3, the cover can 100 accommodates a mover 200 and a stato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a lens unit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is exposed is formed on the upper side. , The lower side is opened and closed by a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forming an appearance of the lens driving motor.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커버캔(100)은 상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러한 커버캔(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커버캔(100)의 형상은 상측에서 보았을 때 4각 형상 또는 8각 형상일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shown,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an opening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an open lower side, but the shape of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In short, the shape of the cover can 100 may be a quadrangular shape or an octagonal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커버캔(100)은 내측면이 후술할 베이스(350)의 측면 및/또는 상면과 밀착하여 상기 베이스(350)에 의해 하측면이 전부 또는 일부가 폐쇄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and/or upper surface of the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lower surface can be completely or partially closed by the base 350, and the internal structure can be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It can protect elements and at the same time have a function to prevent penetration of external contaminants.

또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커버캔(100)은 추가적으로 체결편(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한 면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350)에는 상기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미도시)이 측면에 형성되어 렌즈구동모터의 더욱 견고한 밀폐 기능 및 체결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ver can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fastening piece (not shown), which may be formed at a lower end of at least one surface. Meanwhile, a fastening groove (not shown)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base 350, so that a more robust sealing function and fastening function of the lens driving motor can be realized.

또한, 상기 커버캔(100)은 핸드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외부의 전파 간섭으로부터 렌즈구동모터의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캔(100)은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출물 또는 금속재를 이용한 인서트 사출물 등 다양한 재질로도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ver can 100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protecting components of the lens driving motor from external radio wave interference generated by a mobile phon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cover can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but may also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n injection-molded product or an insert injection-molded product using a metal material.

상기 가동자(200)는 보빈(210)과 마그넷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er 200 may include a bobbin 210 and a magnet part 220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빈(210)은 외주면(210a)에 상기 각각의 마그넷이 장착되는 마그넷홈(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넷홈(211)은 마그넷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마그넷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he bobbin 210 may have magnet grooves 211 to which the respective magnets are mounte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and these magnet grooves 211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magnet. It may be formed to be, or a seating portion in which a magnet can be seated may be formed.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는 후술할 베이스(350)의 상측에서 상기 보빈(2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상측스프링(410) 및/또는 하측스프링(420)의 내측부(412a, 422a)와 체결되는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의 형상은 원형, 각형 또는 이의 조합으로 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on the upper and / or lower side of the bobbin 210, an upper spring 410 and / or a lower spring ( Fastening protrusions (not shown) fastened to the inner portions 412a and 422a of the 420 may be formed. The shap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may be circular, angular,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빈(210)은 외주면(210a)에 적어도 한 개 이상 돌출된 회전방지부(2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는 4 개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AF 구동 및/또는 OIS 구동이 보빈(210)의 움직임 만으로 구현되므로, 상기 보빈(210)에는 회전방지부(213)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 the bobbin 210 may have at least one protruding anti-rotation part 213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and four embodiments are formed. In the embodiment, since the AF driving and/or OIS driving is implemented only by the movement of the bobbin 210, the anti-rotation part 213 may be formed on the bobbin 210.

즉, x축과 y축에 대한 보빈(210)의 이동 시, 상기 보빈(210)의 외주면(210a)과 회전방지부(213)는 하우징(310)의 내주면과 함께 보빈(210)의 충격을 완화함과 동시에 보빈(210)의 회전각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 y축의 충격은 회전방지부(213)와 하우징(310)의 내측면이 접하여 완화되고, x, y축에 대한 대각선 방향의 충격은 보빈(210)의 외주면(210a)과 하우징(310)의 내측면이 접하여 완화되고, 회전에 대한 충격은 보빈(210)의 외주면(210a)에서 회전방지부(213)의 시작부분과 하우징(310)의 내측면이 접하여 완화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obbin 210 moves along the x-axis and the y-ax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of the bobbin 210 and the anti-rotation part 213 together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310 protect the bobbin 210 from impact.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bobbin 210 at the same time as relaxing. For example, the shocks of the x and y axes are alleviated by the contact between the anti-rotation part 21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impacts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x and y axes are caus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of the bobbin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impact on rotation is alleviated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with the start of the anti-rotation part 21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of the bobbin 210. will be.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x축 및/또는 y축에 대한 충격 방지는 보빈 및 하우징의 직선부(D)를 이용할 수 있고, 대각선 부분에 대한 충격은 보빈 및 하우징의 라운드부(R)를 이용할 수 있으며, 회전(rotation) 부분에 대한 충격 방지는 직선부와 라운드부 사이에 위치한 스토퍼(S)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4, the x-axis and/or the y-axis impact protection may use the bobbin and the housing straight portion D, and the diagonal impact may use the bobbin and the round portion R of the housing. It can be used, and to prevent impact on the rotation part, a stopper (S) located between the straight part and the round part can be used.

또한, 보빈(210)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된 고정편(2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편(212)에 후술할 상측스프링(410) 또는 하측스프링(420)의 내측부(412a, 422a)의 절곡부(412aa, 422aa)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편(212)은 보빈(210)의 하측면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편(212)과 절곡부(412aa, 422aa)는 상기 보빈(210)과 상측스프링(410) 또는 하측스프링(420)의 조립을 쉽게 가이드할 수 있으며, 견고한 고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t least two fixing pieces 212 may be form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upper spring 410 or the lower spring 42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on the fixing piece 212. Bent parts 412aa and 422aa of the inner parts 412a and 422a may be disposed. The fixing piece 212 may also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bbin 210, and the fixing piece 212 and the bent parts 412aa and 422aa are connected to the bobbin 210 and the upper spring 410 or the lower spring ( 420) can be easily guided and solid fixation can be realiz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넷부(220)는 상기 보빈(2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등 간격으로 배치된 4 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마그넷은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접착제로써 고정되거나, 상기 보빈(210)의 마그넷홈(21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접착제를 상기 마그넷홈(211) 또는 마그넷 하면 및/또는 측면에 도포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 the magnet part 220 may be disposed on the bobbin 210 and may include four magnet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 Each of these magnets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with an adhesive or inserted into the magnet groove 211 of the bobbin 210 and fixed. In the latter case, the adhesive is applied to the magnet groove 211 or It can also be applied and fixed to the lower surface and/or side surface of the magnet.

또한, 상기 마그넷부(2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 보빈(210)의 4 개의 모서리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gnet part 22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s shown, but is mounted at equal intervals on the four corners of the bobbin 210 to promote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volume. can

상기 마그넷의 형상은 삼각기둥 형상, 사각기둥형상, 사다리꼴기둥형상 등 각 기둥형상 일수 있으며, 각기둥형상에 일부 곡선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그넷은 가공 시 모서리가 일부 곡면을 갖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The shape of the magnet may be a prism shape such as a triangular prism shape, a square prism shape, a trapezoidal prism shape, or the like, and may include some curves in the prism shape. In addition, the magnet may be processed to have a partially curved edge during processing.

실시예에서, 상기 각각의 마그넷은 N극과 S극이 수평 방향으로 자화된 마그넷일 수 있으며, 이러한 마그넷의 구조적 형상과 후술할 제1 코일부(320) 및 제2 코일부(330)는 플래밍의 왼손법칙으로써 상호 작용하여 상기 보빈(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210) 방향이 N극, 상기 제1 코일부(320) 방향이 S극으로 자화될 수 있으며, 그 역의 자화 방향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코일부(320)는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마그넷에 고정된 보빈(210)을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 코일부(330)는 전원을 인가 받아 상기 마그넷에 고정된 보빈(210)을 x축 및/또는 y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부(330)는 제1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코일과, 제1방향과 수직인 제2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each of the magnets may be a magnet in which the N pole and the S pole are magnetiz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structural shape of the magnet and the first coil unit 320 and the second coil unit 330 to be described later are The bobbin 210 can be moved by interaction with Ming's left-hand rule. Specifically, the magnet may be magnetized to the N pole in the direction of the bobbin 210 and to the S pole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coil part 320, and vice versa. In this case, the first coil part 320 receives power and moves the bobbin 210 fixed to the magnet in the z-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coil part 330 receives power and fixes it to the magnet. The bobbin 210 may be moved along the x-axis and/or y-axis. As shown in FIG. 5 ,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include two coils disposed in a first direction and two coils disposed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상기 고정자(300)는 제1 코일부(320), 제2 코일부(330), 하우징(310) 및 베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or 300 may include a first coil part 320 , a second coil part 330 , a housing 310 and a base 350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코일부(320)와 제2 코일부(330)는 상기 마그넷부(220)와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된다.1 to 3 , the first coil part 320 and the second coil part 330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magnet part 22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코일부(320)는 상기 마그넷부(220)의 외측면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후술할 하우징(310)에 직접 권선되거나 또는 미리 권선된 코일이 장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320)는 AF(Auto Focusing) 코일일 수 있으며, 후술할 기판(340)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보빈(210)에 배치된 마그넷부(220)와 상호 작용으로 상기 보빈(21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coil unit 320 is disposed to face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 unit 220, and may be directly wound on the housing 310 or a pre-wound coil may be mounted and disposed on the housing 31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il unit 320 may be an auto focusing (AF) coil, receives power from a substrate 340 to be described later, and interacts with the magnet unit 220 disposed on the bobbin 210 to form the bobbin ( 210) may be mov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제1 코일부(320)는 후술할 하우징(310)의 지지부(312)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312)의 하측단에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312b)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320)는 상기 지지부(312)에 권선될 수도 있으며, 미리 권선된 제1 코일부(320)가 상기 지지부(312)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first coil part 320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312 of the housing 3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may be fixed by a guide rib 312b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312. . The first coil part 320 may be wound around the support part 312 , or the pre-wound first coil part 32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art 312 .

또는, 4 개의 개별적인 제1 코일이 상기 하우징(310)의 외측면에 90°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코일부(320)의 권선된 코일의 일단과 타단은 후술할 기판(340) 상의 제1 단자부(34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제1 코일부(320)와 제1 단자부(344)의 전기적인 연결방법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에폭시 등 접착제 또는 솔더링 등이 될 수 있다.Alternatively, four individual first coils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t intervals of 90°.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ound coil of the first coil unit 3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first terminal unit 344 on a board 3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receive power. Any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first coil part 320 and the first terminal part 344 can be used as long as a conductive material is used, and adhesive such as epoxy or soldering can be used.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코일부(330)는 상기 마그넷부(220)의 하측면에 대응되도록 후술할 기판(34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코일부(330)는 기판 상에 배치되는 OIS(Optical Image Stabilization)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부(330)는 상기 기판(340) 상의 각 변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개별적으로 전원을 인가받는 4 개의 제2 코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코일부(330)는 FP(Fine Pattern)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코일의 일단과 타단은 후술할 기판(340) 상에 형성되는 제2 단자부(343)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전기적인 연결방법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며, 에폭시 등 접착제 또는 솔더링 등이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4 to 6 ,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340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correspond to a lower surface of the magnet unit 220 .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coil disposed on a substrate. In addition,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individually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substrate 340, and in this case, it may be four second coils to which power is applied individually. In addition,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formed of a fine pattern (FP) coil. In additio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oi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second terminal part 343 formed on a substrate 340 to be described later, and may receive power. Any electrical connection method is possible using a conductive material, and may be an adhesive such as epoxy or solderin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310)은 중앙이 개구된 상측면(311)과, 상기 상측면(311)의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코일부(320)가 외측면에 배치되는 지지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the housing 310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311 having an open center and at a corner of the upper surface 311, so that the first coil unit 320 is positioned on an outer surface. It may include a support part 312 disposed thereon.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면(311)에는 상기 상측스프링(410)이 체결되는 결합돌기(311a) 및/또는 상기 상측스프링(410)이 고정되는 융착돌기(31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11a)는 후술할 상측스프링(410)의 배치시 외측부(411a)의 배치를 용이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11a)는 상기 보빈을 광축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즉, 상기 보빈이 후술할 베이스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결합돌기(311a)의 상면은 커버캔(1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Specifically, a coupling protrusion 311a to which the upper spring 410 is fastened and/or a fusion protrusion 311b to which the upper spring 410 is fix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housing 310. have. The engaging protrusion 311a may easily guide the arrangement of the outer portion 411a when the upper spring 41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311a can secure a space for moving the bobbin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at is, it can secure a space for the bobbin to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a base to be described later, and also,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311a may contact an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

상기 융착돌기(311b)는 후술할 상측스프링(410)의 융착홈 또는 융착홀과 체결되어 열을 가해 융착하여 상기 상측스프링(410)을 견고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311a) 및/또는 융착돌기(311b)는 상측면(311)에 함께 도시되어 있으나, 어느 하나만 하우징(310)의 상측면(311)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측스프링과 하우징을 고정함과 동시에 상측스프링의 상측 방향으로의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줄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310)의 하측면에도 형성되어 후술할 하측스프링(420)과 동일하게 체결될 수도 있다.The fusion protrusion 311b is fastened to a fusion groove or a fusion hole of the upper spring 410 to be described later, and heat is applied to fuse the upper spring 410 to be firmly disposed. Although these coupling protrusions 311a and/or fusion protrusions 311b are shown together on the upper surface 311, only one of them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housing 310. In this case, the upper spring and At the same time as fixing the housing, a space in which the upper spring can move in the upward direction may be secured.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10 and fastened in the same way as the lower spring 420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면(311)에는 상기 외측부(411a, 421a)가 결합되는 상측면(311)에서 광축 방향으로 요입되는 단차부(311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311c)는 상기 보빈(210)이 광축에서 하측 방향인 -Z 방향으로 이동시 같이 이동하는 상측스프링(410)의 내측부(412a, 422a) 및 연결부(413a, 423a)를 고려한 구조적 형상이다. 즉, 상기 하측방향은 상기 보빈이 후술할 베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한 기능을 위한 베이스(350)의 리세스부(353)는 후술한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311c recessed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311 to which the outer portions 411a and 421a are coupled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housing 310 . The stepped portion 311c has a structur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e inner portions 412a and 422a and the connecting portions 413a and 423a of the upper spring 410 that move together when the bobbin 210 moves in the -Z direction, which is the lower direction from the optical axis. . That is, the lower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in which the bobbin approaches a base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recessed portion 353 of the base 350 for a similar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면은 상기 보빈(210)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은 상기 보빈의 외측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310)에 고정된 제1 코일부(320)의 내측면은 상기 보빈에 고정된 마그넷부의 외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내측면은 상기 보빈(210)의 외주면(210a) 및 회전방지부(213)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적 형상은 회전 방향을 포함한 보빈(210)의 전 방향의 충격방지완화에 이점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may be form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have.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il part 320 fixed to the housing 31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gnet part fixed to the bobbi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of the bobbin 210 and the anti-rotation part 213, and this structural shape is the bobbin 210 including the rotation direction It can have an advantage in mitigating the impact of all directions.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지지부(312)는 상기 상측면(311)의 하측 모서리에 각각 형성되며, 사출 성형 등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12)는 후술할 베이스(350)의 고정돌기(351)와 일정거리 이격된 대응면(3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코일부(320)는 상기 지지부에 배치되어, 8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대응면에 배치되는 부분은 곡면 형상을 갖고, 하우징의 측면에 양쪽으로 있는 지지부에 배치되는 부분은 직선 형상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312 of the housing 310 is formed at each lower corner of the upper side surface 311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Here, the support part 312 may have a corresponding surface 312a spaced apart from a fixing protrusion 351 of the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is case, the first coil unit 320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and may have an octagonal shape, or the portion disposed on the corresponding surface may have a curved shape and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rt on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housing. The part to be may have a shape having a straight line shape.

또한, 상기 하우징(310)의 지지부(312)의 하측단에는 상기 제1 코일부(320)를 지지하는 가이드 리브(312b)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코일의 권선 또는 장착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guide rib 312b supporting the first coil unit 32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312 of the housing 310, so that winding or mounting of the first coil can be firmly fixed. .

이러한 하우징(310)은 OIS 구동 시에도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캔(100)과 일체 또는 단일의 부품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커버캔(100)과 하우징(310) 사이의 이격 공간이 불요하여 제품의 체적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Since the housing 310 is fixed even when the OIS is operated, it may be implemented as an integral part or a single part with the cover can 100. That is, since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cover can 100 and the housing 310 is unnecessary, the volum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reduced.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기판(340)은 후술할 베이스(350)의 상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코일부(33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코일부(320)에도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5, and 6 , the substrate 340 may be disposed on an upper surface of a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to apply power to the second coil unit 330, and the first coil unit 330 may be powered. Power may also be applied to part 320 .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340)의 상측면은 전원을 외부로부터 인가받기 위한 제1 터미널부(341a) 및/또는 제2 터미널부(341b)가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다른 전원기판(340) 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제2 코일부(330) 및/또는 제1 코일부(32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기판(340)의 하측면에는 상기 홀센서부(500)가 실장되어, 상기 제1 터미널부(341a) 및/또는 제2 터미널부(341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40 is formed by bending the first terminal portion 341a and/or the second terminal portion 341b downward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another power substrate 340 Alternatively, power may be applied to the second coil unit 330 and/or the first coil unit 32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The hall sensor unit 50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34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unit 341a and/or the second terminal unit 341b.

이러한 제1 터미널부(341a)와 제2 터미널부(341b)는 홀센서부(500)의 두 개의 홀센서가 배치되는 기판의 변을 제외한 변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인 공간 확보를 위해 바람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order to secure efficient space, it may be desirable to form the first terminal part 341a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341b on each side of the board except for the side on which the two Hall sensors of the Hall sensor part 500 are disposed.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기판(340)은 상기 렌즈부와 z축 상에 대응되는 중앙이 개구된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현될 수 있다.The substrate 340 may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having an open center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and the z-axis.

또한, 이러한 기판(340)은 후술할 베이스(350)에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체결홀(342) 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후술할 베이스(350)는 상기 체결홀(342) 또는 체결홈에 대응되는 체결돌기(352)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 또는 체결홈 및 체결돌기의 형상은 원형이거나 각형일 수 있으며, 각형인경우 4각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개수는 적어도 2개 이상 가질 수 있고, 위치는 모서리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a substrate 340 is formed with at least one fastening hole 342 or fastening groove so as to be easily fixed to the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base 350 to be described later has the fastening hole 342 or fastening A fastening protrusion 352 corresponding to the groove may be formed.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or fastening groove and fastening protrusion may be circular or prismatic, and in the case of a prismatic shape, may have a quadrangular shape, and may have at least two or more in number, and may be positioned at a corner portion.

또한, 이러한 기판(340)은 상기 제2 코일부(330)의 각각의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단자부(343)와, 상기 제1 코일부(320)의 코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1 단자부(344)가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단자부(343) 또는 제1 단자부(344)는 상기 기판(340) 상측면에 어느 하나만도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자부(343)는 각각의 제2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코일은 일단과 타단이 존재하므로, 상기 각각의 솔더링부는 두 개의 솔더링 포인트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기판 내부에서 4개의 제2 코일 중 2 개씩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2 개의 제2 코일이 쌍을 이루어 두 개의 솔더링 포인트가 한 쌍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strate 340 has a second terminal unit 343 to which each coil of the second coil unit 3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a coil of the first coil unit 320 to which it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A first terminal unit 3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Either one of the second terminal unit 343 or the first terminal unit 34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340, and a plurality of second terminal units 343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second coil. dogs can be formed. That is, since the coil has one end and the other end, each of the soldering parts may form a pair of two soldering points. Also, when two of the four second coils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side the board, the two second coils may form a pair and thus the two soldering points may form a pair.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가동자(200)를 지지하며, 중앙에 상기 보빈(210)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하우징(310)을 지지하며, 중앙에 상기 보빈(210)의 하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 요입된 리세스부(353)가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부(353)의 중앙에는 상기 렌즈부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리세스부(353)는 상기 보빈이 하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줄 수 있으며, 또는 설계에 따라 상기 리세스부 없이 상기 보빈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면 상기 리세스부는 필수구성요소가 아닐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nd 5 , the base 350 supports the mover 200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t the cent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pecifically, the base 350 supports the housing 310, and a recessed portion 353 recessed downward is formed at the center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 through hole corresponding to the lens unit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cess portion 353 . That is, the recess part 353 can secure a space for the bobbin to move downward, or if there is a space for the bobbin to move downward without the recess part according to the design, the recess part 353 Wealth may not be a required component.

또한, 상기 베이스(350)의 일측면은 상기 제1 터미널부(341a)가 안착되는 제1 터미널홈(354)과, 상기 제2 터미널부(341b)가 안착되는 제2 터미널홈(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터미널홈은 상기 기판(340)의 터미널부의 갯수에 따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터미널홈(354) 및/또는 제2 터미널홈은 상기 기판의 터미널부(341)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터미널홈(354)의 깊이로 될 수 있으며, 상기 터미널부(341)가 2개라면 상기 베이스의 두 개 측면에 터미널홈(35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두 개의 터미널홈(354)은 서로 반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base 350 has a first terminal groove 354 in which the first terminal part 341a is seated and a second terminal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part 341b is seated. may be formed, and such terminal grooves may be formed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rminal parts of the substrate 340 . The first terminal groove 354 and/or the second terminal groove may have a depth of the terminal groove 354 so that the terminal portion 341 of the substrate does not protrude outward, and the terminal portion 341 may have a depth of 2 If it is a dog, terminal grooves 354 may be formed on two sides of the base, and in this case, the two terminal grooves 354 may be formed on opposite sides of each other.

또한, 상기 베이스(350)는 상측 모서리에 각각 돌출되어 상기 커버캔(100)의 내측면 또는 하우징(310)의 외측면과 접하는 고정돌기(35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돌기(351)는 상기 커버캔(100) 및/또는 하우징(310)의 체결을 용이하게 가이드 함과 동시에 체결 후 견고한 고정을 꾀할 수 있게 한다. 만일, 하우징의 외측면과 접하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접하는 면과 일정거리 이격되는 위치에 제1 코일부가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과 제1 코일부가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350 may be formed with fixing protrusions 351 that protrude from upper corners and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can 10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se fixing protrusions 351 It facilitates the fastening of the cover can 100 and/or the housing 310 and at the same time makes it possible to secure it firmly after fastening. If the fixing protrusion is formed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first coil part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surfa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irst coil part do not interfere. .

또한,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기판(340)의 체결홀(342) 및/또는 체결홈과 대응되는 체결돌기(352)가 상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34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는 홀센서부(50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홀센서수용홈(35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350 may have fastening protrusions 352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s 342 and/or fastening grooves of the substrate 340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bstrate 340. Hall sensor accommodating grooves 355 capable of accommodating each of the hall sensor units 500 may be formed.

또한, 미도시되었으나, 상기 베이스(350)는 상기 커버캔(100)의 체결편이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홈은 상기 체결편의 길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베이스(350) 외측면에 국부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체결편을 포함한 상기 커버캔(100) 하단의 소정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350) 외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although not shown, the base 350 may have a fastening groove into which the fastening piece of the cover can 100 is inserted. These fastening grooves are formed loc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35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astening piece, or the base 350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cover can 100 including the fastening piece can be inserted. ) can be formed entirely on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베이스(350)는 후술할 이미지센서(미도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베이스(350) 측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350)는 필터(360)를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se 350 may perform a sensor holder function to protect an image sensor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and in this case, a protrusion may be formed downwar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350 . Also, the base 350 may be provided to position the filter 360 there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탄성유닛(400)은 상측스프링(410) 및 하측스프링(420)을 포함하며, 하우징(310)이 아닌 보빈(210)만이 AF 구동 및/또는 OIS 구동 시 움직이므로 측면스프링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1 to 3 and 8, the elastic unit 400 includes an upper spring 410 and a lower spring 420, and only the bobbin 210, not the housing 310, drives AF and/or Since it moves when the OIS is driven, the side spring may not be provided.

상기 상측스프링(410)과 하측스프링(420)은 하우징(310)의 각각의 변 부위에 배치된 별개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생산의 효율성을 위하여 단일의 판재가 절곡 및 절단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pring 410 and the lower spring 420 may be formed of separate springs disposed on each side of the housing 310, but for efficiency of production, a plate made of a single plate material is bent and cut. It can be formed as a spring.

따라서, 상기 상측스프링(410)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측면(311)과 보빈(210)의 상측면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며, 상기 하측스프링(420)은 상기 하우징(310)의 하측면과 보빈(210)의 하측면에 각각 일단과 타단이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spring 410 are fixed to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housing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respectively, and the lower spring 420 is of the housing 310. One end and the other end may be fixed to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상측스프링(410)은 상기 하우징(310) 상측면(311)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311a)와 대응되는 결합홈(411aa) 및/또는 상기 융착돌기(311b)와 대응되는 융착홈(411bb)이 형성되는 외측부(411a)와,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부(412a)와, 상기 외측부(411a)와 내측부(412a)를 연결하는 연결부(41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412a)는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부(411a)는 상기 하우징(310)의 형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Here, the upper spring 4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311 of the housing 310 and has coupling grooves 411a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s 311a and/or fusion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fusion protrusions 311b. It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411a where 411bb is formed, an inner portion 412a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a connection portion 413a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411a and the inner portion 412a. have. The inner portion 412a has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top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outer portion 411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o be support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310.

즉, 상기 상측스프링(410)은 상기 하우징(310)의 상면 및 보빈(210)의 상면에 체결되어 상기 보빈(210)을 지지하며, 전술한 하우징(310)의 단차부(311c) 및 베이스(350)의 리세스부(353)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 상기 보빈(210)의 z축을 기준으로 상측 이동뿐만 아니라, 하측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측스프링(410)의 연결부(413a)는 x축 및/또는 y축에 대해 동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측면스프링이 필요없는 보빈(210)의 전 방향 구동 때문이다. 여기서, 보빈의 전 방향이라 함은 수직 방향(z축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x축 가로방향 및/또는 y축 세로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스프링(410)과 하측스프링(420)은 각각 단일의 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That is, the upper spring 410 is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to support the bobbin 210, and the above-described stepped portion 311c of the housing 310 and the base ( Due to the structural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353 of 350, a return force is provided when the bobbin 210 moves downward as well as upward with respect to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413a of the upper spring 410 may be formed by bending to have the same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or the y-axis, because the bobbin 210 does not require a side spring to be driven in all directions. . Here, the entire direction of the bobbin may mea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or a horizontal direction (x-axis horizontal direction and/or y-axis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spring 410 and the lower spring 420 may be formed as a single leaf spring and have the same thickness.

또한, 제1 코일부(320)가 상기 기판(340)에 직접 솔더링 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상측스프링(410) 또는 하측스프링(420)이 상기 제1 코일부(320)와 전기적으로 연통될 필요가 없으므로, 단일 판재 스프링으로써 구현가능하여, 조립 간소화, 내구성 강화, 제품코스트 감소 등의 이점이 있다. 따라서, 하측스프링(420)도 상기 상측스프링(41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코일이 하측스프링의 외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측스프링의 외측부가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coil part 320 can be directly soldered to the substrate 340, the upper spring 410 or the lower spring 420 is in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coil part 320. Since it does not need to be, it can be implemented as a single plate spring, and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simplifying assembly, strengthening durability, and reducing product cost. Accordingly, the lower spring 420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upper spring 410 . Alternatively, the first coil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spring, and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spring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즉, 상기 하측스프링(420)은 상기 하우징(310) 하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결합돌기(311a)와 대응되는 결합홈(421aa) 또는 상기 융착돌기(311b)와 대응되는 융착홈(421bb)이 형성되는 외측부(421a)와, 상기 보빈(210)의 상측면에 고정되는 내측부(422a)와, 상기 외측부(421a)와 내측부(422a)를 연결하는 연결부(4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422a)는 상기 보빈(210)의 하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부(421a)는 상기 하우징(310)의 형상에 지지될 수 있도록 대략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at is, the lower spring 42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a coupling groove 421aa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311a or a fusion groove 421bb corresponding to the fusion protrusion 311b is formed. It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421a, an inner portion 422a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a connection portion 423a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421a and the inner portion 422a. The inner portion 422a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outer portion 421a may have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o be support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 310.

또한, 상기 하측스프링(420)은 상기 하우징(310)의 하면 및 보빈(210)의 하면에 체결되어 상기 보빈(210)을 지지하며, 전술한 하우징(310)의 단차부(311c) 및 하우징(310)의 리세스부(353)의 구조적 형상에 의해 상기 보빈(210)의 z축을 기준으로 상측 이동뿐만 아니라, 하측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측스프링(420)의 연결부(423a)는 x축 및/또는 y축에 대해 동일한 탄성력을 갖도록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측면스프링이 필요없는 보빈(210)의 전 방향 구동 때문이다. 여기서, 보빈의 전 방향이라 함은 수직 방향(z축 방향) 및/또는 수평 방향(x축 가로방향 및/또는 y축 세로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spring 420 is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31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bobbin 210 to support the bobbin 210, and the above-described stepped portion 311c of the housing 310 and the housing ( Due to the structural shape of the recess portion 353 of 31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turn force when the bobbin 210 moves downward as well as upward along the z-axis. In addition, the connection portion 423a of the lower spring 42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to have the same elastic force with respect to the x-axis and/or the y-axis, because the bobbin 210 does not require a side spring to be driven in all directions. . Here, the entire direction of the bobbin may mean a vertical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or a horizontal direction (x-axis horizontal direction and/or y-axis vertical direction).

상기 홀센서부(500)는 상기 마그넷부(220)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가동자의 위치를 센싱하며, 렌즈구동모터를 정밀하게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The hall sensor unit 500 may be provided to sense the position of the mover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220 and precisely control the lens driving motor.

상기 홀센서부(500)는 상기 마그넷부(220)의 중심과 일직선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x축 및 y축의 변위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홀센서부(500)는 상기 기판(340)의 모서리 중 인접하는 변에 각각 배치된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350)에는 상기 각각의 홀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홀센서수용홈(355)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는 2개의 홀센서를 포함하나, 3개, 4개 그 이상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Since the hall sensor unit 500 may be provided on a straight line with the center of the magnet unit 220 and should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x-axis and the y-axis, the hall sensor unit 500 is It may include two Hall sensors each disposed on an adjacent side of the corner, and a Hall sensor accommodating groove 355 capable of accommodating each Hall sensor may be formed in the base 350. The embodiment includes two Hall sensors, but it is possible to include three, four or more.

또한, 이러한 홀센서부(500)는 상기 마그넷부(220) 보다 제2 코일부(330)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마그넷에서 형성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코일에서 형성되는 전자기장의 세기보다 몇 백배 큰 것을 감안하면, 마그넷부(220)의 이동 감지에 있어 제2 코일부(330)의 영향은 고려 대상이 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hall sensor unit 500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coil unit 330 rather than the magnet unit 220, and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formed in the magnet is several hundred times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formed in the coil. Considering the large size, the influence of the second coil unit 330 in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magnet unit 220 is not considered.

한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접착제는 열경화성 에폭시 또는 UV 에폭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열 또는 UV의 노출에 의해 경화된다. 다만, 열경화성 에폭시를 사용하면 오븐에 이동하여 또는 직접 열을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며, UV(자외선) 에폭시를 사용하면 상기 접착제에 UV(자외선)를 가하여 경화하는 방식이다.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as a thermosetting epoxy or UV epoxy, and is cured by exposure to heat or UV. However, if a thermosetting epoxy is used, it is a method of curing by moving to an oven or by directly applying heat, and if a UV (ultraviolet ray) epoxy is used, it is a method of curing by applying UV (ultraviolet rays) to the adhesive.

또한, 상기 접착제는 열경화와 UV(자외선)경화가 혼용될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으며, 열경화나 UV(자외선)경화 모두 가능하여 이중에 어느 한가지로 선택하여 경화될 수 있는 에폭시일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상기 에폭시에 한하지 않으며 접착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든 대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dhesive may be an epoxy capable of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nd may be an epoxy capable of both thermal curing and UV (ultraviolet ray) curing, and may be cured by selecting one of the two. The adhesive is not limited to the epoxy, and any adhesive material can be substituted.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렌즈부가 고정되는 보빈(210)만이 x, y, z축의 전 방향으로 구동되어 이동될 수 있다.In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is configuration, only the bobbin 210 to which the lens unit is fixed can be driven and moved in all directions of the x, y, and z axes.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보빈(210)은 z축 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 운동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빈(210)이 기준위치에서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보빈(210)의 하단부측은 베이스(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350)는 이격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리세스부(353)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obbin 210 of the embodiment may be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s well as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in the z-axis direction.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bbin 210 can be moved vertically and/or horizontally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 lower end of the bobbin 21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ase 35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se 350 may have a recessed portion 353 to secure a separation distance.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보빈(210)에 대한 이동은 개개의 제2 코일에 개별적으로 구동 신호를 인가되면, 상기 보빈(210)의 하단부측의 소정 부위는 상승하고, 광축을 기준으로 대향하는 부위는 하강하게 되므로, 기준 위치보다 하방으로 공간적인 마진이 요구된다. 따라서, 보빈(210)의 하단부와 베이스(350) 간에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Specifically, in the movement of the bobbin 210 of the embodiment, when a drive signal is individually applied to each of the second coils, a predetermined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obbin 210 rises, and a portion opposite to the optical axis Since it descends, a spatial margin is required downward from the reference position. Therefore, a space capable of moving vertically and/or horizontally is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bobbin 210 and the base 350.

이러한 보빈의 수평 방향으로의 이동 제어는 다음과 같다.Movement control of the bobbi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s follows.

표 1은 4 개의 제2 코일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할 때의 테이블을 나타낸다. 여기서, 하기 표 1에 기재된 Coil 1과 Coil 3은 x축 상에 상호 대향되어 배치된 제2 코일들이고, Coil 2와 Coil 4는 y축 상에 상호 대향되어 배치된 제2 코일들이다. Table 1 shows a table when the four second coils are independently driven. Here, Coil 1 and Coil 3 described in Table 1 below are second coil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x-axis, and Coil 2 and Coil 4 are second coil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y-axis.

Coil 4Coil 4 Coil 3Coil 3 Coil 2Coil 2 Coil 1Coil 1 OutputOutput 00 00 00 00 O degreeO degree 00 00 00 1One +X+X 00 00 1One 00 +Y+Y 00 00 1One 1One +X, +Y+X, +Y 00 1One 00 00 -X-X 00 1One 00 1One O degree(+X, -X)O degree(+X, -X) 00 1One 1One 00 -X, +Y-X, +Y 00 1One 1One 1One +X, -X, +Y+X, -X, +Y 1One 00 00 00 -Y-Y 1One 00 00 1One +X, -Y+X, -Y 1One 00 1One 00 O degree(+Y, -Y)O degree(+Y, -Y) 1One 00 1One 1One +X, +Y, -Y+X, +Y, -Y 1One 1One 00 00 -X, -Y-X, -Y 1One 1One 00 1One +X, -X, -Y+X, -X, -Y 1One 1One 1One 00 -X, +X, -Y-X, +X, -Y 1One 1One 1One 1One O degree(+X, -X, +Y, -Y)O degree(+X, -X, +Y, -Y)

상기 표 1에서 0과 1로 표시된 변수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on, off로 표시되지만, 더욱 정확하게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입력 전압의 차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수평 방향 이동거리의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신호의 강도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틸팅이 도 9를 참조하면, 표 1에서와 같이 개별적으로 제2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의 흔들림 보정을 위한 이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방향 이동과 수직방향 이동을 동시에 제어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표에서 이동부의 출력이 -Y,+X,-X로 이루어지면, -Y축 방향으로의 어떤 위치든 이동하면서 독립적으로 제1 코일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즉 제1 코일에 전류를 정방향으로 인가시 상측 방향으로 보빈이 이동되며 제1 코일에 전류 방향을 역방향으로 인가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코일의 전류량에 의하여 보빈의 움직이는 위치는 변화된다.또한, 상기 표에서 이동부의 출력이 +X ,+Y, 로 이루어지면 도 9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수평이동될 수 있다.The variables indicated by 0 and 1 in Table 1 are indicated by on and off of the applied control signal, but more precisely, they can be understood as the difference in input voltage of the applied control signal, and control the degree of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For tilting, the strength of the control signal may be set in various ways. Referring to FIG. 9, as shown in Table 1, as shown in Table 1, by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coil, movement for shake compensa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et. be able to control In addition, horizontal movement and vertical movement can be controlled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if the output of the moving unit is -Y, +X, -X in the table above, it moves independently while moving to any position in the -Y axis direction. It can be raised or lowered by applying power to the first coil. That is,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in a forward direction, the bobbin is mov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in a reverse direction, the bobbin is moved in a downward direction. The moving position of the bobbi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urrent of the first coil. In addition, if the output of the moving unit in the above table is +X, +Y, as shown in FIG. 9, it can be horizontally moved in a diagonal direction.

실시예에서, AF 구동과 OIS 구동을 동시에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코일에 대한 전원의 인가 레벨을 조절하여 수행가능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simultaneous AF driving and OIS driving may be performed by adjusting an application level of power to each coil.

한편, 상기 제2 코일부(330)의 코일들은 한 쌍으로 제어될 수도 있으며, 이는 하기 표 2와 같다.Meanwhile, the coils of the second coil unit 330 may be controlled as a pair, as shown in Table 2 below.

Coil 1 + 3Coil 1 + 3 Coil 2 + 4Coil 2 + 4 OutputOutput 00 00 0 degree0 degree 00 ++ +Y+Y 00 -- -Y-Y ++ 00 +X+X -- 00 -X-X ++ ++ +X, +Y+X, +Y -- ++ -X, +Y-X, +Y -- -- -X, -Y-X, -Y ++ -- +X, -Y+X, -Y

이러한 표 2의 설명은 표 1의 그것과 같으며, 표 2와 같이 두 개의 대향하는 코일끼리 한 쌍으로 제어한다면 구동 파워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의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거리는 도 3에 도시된 X1 및 X2의 이격거리(보빈(210)과 하우징(310) 사이의 거리) 및/또는 Z1 및 Z2의 이격거리(보빈(210)과 하우징(310) 사이의 거리)로 제한되며, 약 50um 내지 200um의 수평 이동거리를 갖도록 이격거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약 50um 내지 400um의 수직 이동거리를 갖도록 이격거리를 구현할 수 있다.또한, 실시예는 전술한 것과 같이 하우징(310)에 리세스부(353)를 형성하여 OIS 구동시 수직방향 및/또는 수평방향으로의 이동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able 2 is the same as that of Table 1, 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riving power can be further increased if the two opposing coils are controlled as a pair as shown in Table 2. The movement distance in the vertical and/or horizontal directions is the separation distance of X1 and X2 shown in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bobbin 210 and the housing 310) and/or the separation distance of Z1 and Z2 (bobbin 2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310),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horizontal movement distance of about 50 um to 200 um, and the separation distance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about 50 um to 400 um.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the recess portion 353 is formed in the housing 310 to secure a vertical and/or horizontal movement space during OIS operation.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는 AF 구동시 z축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인 Z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뿐만 아니라, Z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양 방향 AF 구동을 위한 일실시예를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코일부(320)에 전원이 인가되지 아니한 정상상태에서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피사체를 촬영하는 거리인 50cm 내지 1m 사이의 부근에서 전류 및/또는 전압의 소모값이 최소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측 방향의 보빈(210)의 이동거리(Z1)가 하측 방향의 보빈(210)의 이동거리(Z2)보다 크게 설계되는 것이 효율적인 전원 사용을 위해 바람직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전류값 또는 변위(Dispalcement)는 일례를 나타낼 뿐, 각 구성요소의 무게, 환경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3 , the embodiment may move not only in the Z1 direction, which is an up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z-axis, but also in the Z2 direction during AF operation. Referring to FIG. 9 , an embodiment for bi-directional AF driving can be grasped. In this embodiment, in a normal state in which power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oil unit 320, current and/or voltage consumption is minimized at a distance between 50 cm and 1 m, which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user photographs the subject the most. can design It may be preferable for efficient power use that the movement distance Z1 of the bobbin 210 in the upward direction is designed to be greater than the movement distance Z2 of the bobbin 210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current value or displacement shown in FIG. 9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design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weight and environment of each componen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10)은 제1 코일부(32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위치에 배치되고, 초기위치에서 매크로(macro) 위치까지의 거리는 초기위치에서 무한대(infinite)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이때, 보빈(210)을 초기위치에서 매크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양은 보빈(210)을 초기위치에서 무한대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양보다 클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bobbin 210 is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current is not applied to the first coil unit 320, and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is infinite from the initial position ( It can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to the infinite) position. At this time, the amount of current for moving the bobbin 21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the amount of current for moving the bobbin 21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finity position.

한편,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는 카메라 모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핸드폰 또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카메라 폰, PDA, 스마트, 토이(toy)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분야, 나아가서는 감시 카메라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정보단말 등의 화상입력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mounted on a camera module, and the camera module may be used in various multimedia fields such as mobile phones or notebook personal computers, camera phones, PDAs, smart devices, toys, and surveillance cameras. It may be provided in an image input device such as an information terminal of a video tape recorder or the like.

요컨대,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렌즈부, 필터, 인쇄회로기판 및 이미지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short, when the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provided in the camera module, the camer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lens unit, a filter, a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and the like, although not shown.

상기 보빈에는 렌즈부(미도시)가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로 조립될 수 있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 배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렌즈부가 렌즈 배럴인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A lens uni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bobbin to be assembled into a camera module, and the lens unit may be a lens barr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a lens may be included. In the embodiment, a case in which the lens unit is a lens barr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상기 렌즈부는 상기 베이스(3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360) 또는 후술할 이미지센서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렌즈부는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가 구비된다.The lens unit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35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360 or an image sensor to be described later. This lens uni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상기 보빈(210)은 상기 렌즈부와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며, 이러한 렌즈부와 보빈(210)의 결합방식은 도시된 것과 같이 나사산을 보빈(210)의 내주면과 렌즈부의 외주면(210a)에 각각 형성하는 나사산 결합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접착제를 사용하는 무나사산 방식으로써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나사산 결합 방식에서도 나사산 체결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호간에 더욱 견고한 장착을 도모할 수도 있다.The bobbin 210 is coupled to the lens unit to fix the lens unit. As shown in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ens unit and the bobbin 210, a screw thread is attach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bbin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10a of the lens unit. Although a threaded coupling method for forming each may be used, it may also be coupled as a threadless method using an adhesive. Of course, even in the screw thread coupling method, after screw thread coupling, an adhesive may be used to promote more robust mounting between the two components.

상기 필터(360)는 상기 베이스(350)의 중앙에 형성된 통공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 또는 블루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360)는 예를 들어,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 등의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360)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 등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350) 외에 추가로 상기 베이스(350) 하부에 별도의 센서홀더가 위치할 수 있다.The filter 360 may be mounted in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350 and may include an infrared ray filter or a blue filter. In addition, the filter 360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and an infrared blocking coating material or the like may be disposed on the flat optical filter 360 such as a cover glass or cover glass for protecting the imaging surface. have. Also, in addition to the base 350, a separate sensor holder may be additionally located under the base 350.

한편, 필터(360)가 렌즈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필터(360)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고 렌즈 면에 코팅 처리하여 적외선의 차단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filter 36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ens, the filter 360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lens without a separate construction to enable blocking of infrared rays, of course.

상기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은 상측면 중앙부에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실장되어 있으며,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소자(미도시)가 실장될 수 있다.The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has an image sensor (not shown) mount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ide, and various elements (not shown) for driving a camera module may be mounted.

상기 이미지 센서(미도시)는 상기 렌즈부에 수용된 하나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광축 방향을 따라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측면 중앙부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는 렌즈를 통해 입사된 대상물의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다.The image sensor (not shown) may be mounted on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id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be positioned along an optical axis direction with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lens unit. Such an image sensor converts an optical signal of an object incident through a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구동모터 및/또는 카메라 모듈은 보빈이 틸팅과 높이방향 이동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단순해지고, 소형화가 가능하며, 제품 코스트가 절감되고, 인가되는 전원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ens driving motor and/or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ilting and height-direction movement of the bobbin, the structure is simplified, miniaturization is possible, product cost is reduced, and applic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the power source can be improved.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but claims It must be determined by the scope and its equivalent scope.

100: 커버캔 200: 가동자
210: 보빈 211: 마그넷홈
212: 고정편 220: 마그넷부
300: 고정자 310: 하우징
311: 상측면 312: 지지부
320: 제1 코일부 330: 제2 코일부
340: 기판 350: 베이스
360: 필터 400: 탄성유닛
410: 상측스프링 420: 하측스프링
500: 홀센서부
100: cover can 200: mover
210: bobbin 211: magnet groove
212: fixing piece 220: magnet part
300: stator 310: housing
311: upper side 312: support
320: first coil unit 330: second coil unit
340: substrate 350: base
360: filter 400: elastic unit
410: upper spring 420: lower spring
500: hall sensor unit

Claims (20)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마그넷과 제1코일;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에 제1방향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보빈은 상측방향으로 상측방향 최대 이동거리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제1코일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 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상기 보빈은 하측방향으로 하측방향 최대 이동거리 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상측방향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하측방향 최대 이동거리보다 크고,
상기 기판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가 배치되는 터미널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Bas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on the base;
a magnet and a first coil for moving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moving the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bobbin is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When a first direction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bobbin moves upward within a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When a current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bobbin moves downward within a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 substrate includes a body portion disposed on the base and a terminal portion bent from an outer edge of the body portion,
The bas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 terminal groove in which the terminal unit is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1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와,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ubstrate includes a first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il and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과 상기 하우징을 연결하는 탄성유닛;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마그넷을 감지하는 홀센서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n elastic unit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housing; and
A lens driving motor including a hall senso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sensing the 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re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substr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넷은 상기 보빈에 배치되고,
상기 제1코일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magnet is disposed on the bobbin,
The first coil is a lens driving motor disposed in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에서 매크로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무한대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큰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A lens driving motor wherein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finity posi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매크로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양은 상기 보빈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무한대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전류의 양보다 큰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6,
An amount of current for moving the bobbi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is greater than an amount of current for moving the bobbi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finity posi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상기 기판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홀센서가 수용되는 홀센서수용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3,
The hall sensor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lens driving motor of claim 1 , wherein the base includes a hall sensor accommodating groove in which the hall sensor is accommod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는 상기 기판의 인접하는 두 변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부는 제1터미널부와 제2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부와 상기 제2터미널부는 상기 두 개의 홀센서가 배치되는 상기 기판의 변을 제외한 변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3,
The Hall sensor includes two Hall sensors respectively disposed on two adjacent sides of the substrate,
The terminal unit includes a first terminal unit and a second terminal unit,
The first terminal part and the second terminal part are disposed on a side of the substrate excluding the side on which the two hall sensors are dispo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체결돌기에 결합되는 체결홀 또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he substrate includes a fastening hole or fastening groove coupl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of the bas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보빈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측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상기 보빈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측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측 스프링은 상호간 이격되는 2개의 분할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분할 스프링은 상기 제1코일과 상기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3,
The elastic unit includes an upper spring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bbin, and a lower spring coupled to a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lower surface of the bobbin,
The lower spring includes two split spring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wo split springs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coil and the substrate to the lens driving moto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스프링과 하측 스프링 각각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외측부와,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에 상기 연결부가 오버랩되는 영역에 함몰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1,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prings includes an outer portion coupled to the housing, an inner portion coupled to the bobbin,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The lens driving motor of claim 1 ,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stepped portion recessed in an area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면으로부터 함몰되는 홈에 의해 형성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2,
The stepped portion of the housing is formed by a groove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보빈의 상기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스프링의 상기 내측부는 상기 돌기의 외측면 및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홈부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2,
The bobbi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bbin,
The inner part of the upper spring includes a groove part formed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상측방향 최대 이동거리는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하측방향 최대 이동거리의 2배인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is twice the maximum movement distance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initial position.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보빈을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마그넷과 제1코일; 및
상기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보빈을 상기 광축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초기위치에서 매크로 위치까지의 거리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무한대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상기 기판은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는 터미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부가 배치되는 터미널홈을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Base;
a housing disposed on the base;
a bobbin disposed within the housing;
a substrate disposed on the base;
a magnet and a first coil for moving the bobbin in an optical axis direction; and
A second coil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moving the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bobbin is disposed at an initial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no current is applied to the first coil,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macro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infinity position,
The substrate includes a body portion disposed on the base and a terminal portion bent from an outer edge of the body portion,
The bas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 terminal groove in which the terminal part is disposed.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제2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6,
The substrate includes a second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i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기판의 상기 몸체부에 배치되는 렌즈구동모터.
According to claim 17,
The second terminal is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of the substrate.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구동모터;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mo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8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제19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the camera module of claim 19.
KR1020220027028A 2014-03-04 2022-03-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712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7028A KR102471243B1 (en) 2014-03-04 2022-03-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157706A KR102636722B1 (en) 2014-03-04 2022-11-22 Motor for actuating le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518A KR102262570B1 (en) 2014-03-04 2014-03-04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10071748A KR102371759B1 (en) 2014-03-0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027028A KR102471243B1 (en) 2014-03-04 2022-03-02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1748A Division KR102371759B1 (en) 2014-03-0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706A Division KR102636722B1 (en) 2014-03-04 2022-11-22 Motor for actuating le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5345A KR20220035345A (en) 2022-03-22
KR102471243B1 true KR102471243B1 (en) 2022-11-29

Family

ID=54243893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518A KR102262570B1 (en) 2014-02-27 2014-03-04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10071748A KR102371759B1 (en) 2014-03-0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027028A KR102471243B1 (en) 2014-03-04 2022-03-02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20157706A KR102636722B1 (en) 2014-03-04 2022-11-22 Motor for actuating lens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518A KR102262570B1 (en) 2014-02-27 2014-03-04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0210071748A KR102371759B1 (en) 2014-03-04 2021-06-02 Motor for actuating len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706A KR102636722B1 (en) 2014-03-04 2022-11-22 Motor for actuating le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262570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68437B2 (en) 2016-01-07 2020-09-08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70089506A (en) * 2016-01-27 2017-08-04 삼성전기주식회사 Camera module
US10983303B2 (en) * 2016-05-10 2021-04-2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090A (en) 2008-05-20 2009-12-03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JP2012238029A (en) 2009-11-17 2012-12-06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device
JP2013127492A (en) 2011-06-09 2013-06-27 Panasonic Corp Lens actuator
JP2013210550A (en)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590A (en) * 2010-01-06 2011-07-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Correction module for shaking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101980291B1 (en) * 2011-12-29 2019-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1980290B1 (en) * 2011-12-29 2019-05-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KR102001621B1 (en) * 2011-11-30 2019-07-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82090A (en) 2008-05-20 2009-12-03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driving device
JP2012238029A (en) 2009-11-17 2012-12-06 Tdk Taiwan Corp Lens driving device
JP2013127492A (en) 2011-06-09 2013-06-27 Panasonic Corp Lens actuator
JP2013210550A (en) * 2012-03-30 2013-10-10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892A (en) 2021-06-16
KR102371759B1 (en) 2022-03-08
KR20220163898A (en) 2022-12-12
KR102636722B1 (en) 2024-02-14
KR102262570B1 (en) 2021-06-09
KR20150103892A (en) 2015-09-14
KR20220035345A (en)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92470B2 (en) lens drive motor
KR102471243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30042687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151246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20150101676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22072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556055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70034640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71260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5123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3866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74765B1 (en) Actuator for actuating lens
KR102478151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45956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490115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301739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102323624B1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20123616A (en) Motor for actuating lens
KR20220130660A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