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022A -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022A
KR20210151022A KR1020210168305A KR20210168305A KR20210151022A KR 20210151022 A KR20210151022 A KR 20210151022A KR 1020210168305 A KR1020210168305 A KR 1020210168305A KR 20210168305 A KR20210168305 A KR 20210168305A KR 20210151022 A KR20210151022 A KR 20210151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area
input
touc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8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8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1022A/ko
Publication of KR20210151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0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표시 패널 상의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SYMBOLS}
본 발명은 표시 패널에서의 터치를 통해 심볼을 입력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밀번호 인증 등을 위해 숫자 또는 기호 등의 심볼을 터치 입력할 때 간소화된 사용자 조작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네비게이션, 워치 폰,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 등과 같은 대부분의 휴대용 디지털 기기는 터치식의 소형 키패드(터치 패널)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소형 키패드는 종래의 단문(SMS) 입력뿐만 아니라 메모, 휴대용 정보 기기를 이용한 각종 데이터 처리 등 활용 범위를 점점 넓혀가고 있다.
이때, 무단 혹은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단말 자체 혹은 단말의 서비스 모드별로 비밀번호를 설정해 두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비밀번호는 숫자 혹은 숫자와 기호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한편, 워치 폰이나 웨어러블 기기 등은 기기의 구조 및 제품 특성상, 예컨대 2인치 미만의 화면(터치 패널)을 장착하는 것이 통상적인데, 이와 같은 터치 패널의 크기 제약으로 인해 보다 신속한 심볼 입력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 등의 심볼을 터치 입력할 때 오입력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89381호(공개일 : 2011. 08. 08.)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출 중인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원하는 심볼 버튼들의 연속 입력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심볼 입력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심볼 버튼의 터치와 드래그의 조합을 통해 원하는 심볼 버튼들을 연속 입력하는 방법과 이러한 심볼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표시 패널 상의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과정 이후에, 상기 제 1 과정에서 검출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기 설정된 제 1 소정시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이 추가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상기 제 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하면, 상기 제 3 과정 및 제 4 과정을 수행하는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표시 패널 상의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제 10 항의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 따라, 심볼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할 때, 심볼 아이콘을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출시키는 화면 표출부와, 상기 심볼 아이콘 내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검출부와,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1 입력 인식부와,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드래그 검출부와,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2 입력 인식부를 포함하는 심볼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출 중인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의 조합을 통해 원하는 심볼 버튼들의 연속 입력을 실현함으로써, 소형의 터치 패널을 장착한 휴대용 기기에서의 심볼 입력을 보다 빠르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의 작은 크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심볼의 오입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입력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라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결합을 통해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라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결합을 통해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에 다수의 심볼 버튼이 표출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된 심볼 버튼과 동일한 심볼 버튼이 특정 위치에 표출되는 일례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와 드래그를 통해 두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일례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귀 드래그를 통해 동일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심볼 입력 장치에 대한 블록구성도로서, 크게 구분해 볼 때, 패널 모듈(110)과 제어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패널 모듈(110)은 표시 패널(112), 터치 검출부(1142) 및 드래그 검출부(1144)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어 모듈(120)은 화면 표출부(122), 제 1 입력 인식부(124) 및 제 2 입력 인식부(12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검출부(1142)와 드래그 검출부(1144)는 하나의 센싱부(114)로서 통칭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112)은 그 내부에, 예컨대 정전식 센서 등이 탑재되는 LED, OLED 등의 패널(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에서, 휴대용 단말은, 예컨대 워치 폰, 웨어러블 기기,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기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디지털 기기를 의미할 수 있는데, 휴대용 단말이 워치 폰, 웨어러블 기기 등과 같은 소형의 디지털 기기일 때,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벌 버튼들은 원형 또는 타원형의 표시 패널의 외곽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다수의 숫자 버튼들은 숫자 순서적인 배열 위치가 아니라 랜덤 배열 위치로 표출될 수 있다.
도 4에 있어서, 미설명번호 402는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조합에 의해 선택 입력되는 비밀번호 등의 심볼이 표시되는 심볼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는데, 심볼 표시 영역(402)에는 후술하는 제 1 입력 인식부(124) 또는 제 2 입력 인식부(126)를 통해 입력(터치 입력 또는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되는 특정 심볼들이 표시(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입력 기법의 적용이 반드시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표시 패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 역삼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 패널 구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심볼 버튼들 또한 표시 패널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랜덤 배열 위치로 표출될 수 있다.
그리고, 센싱부(114) 내의 터치 검출부(1142)는 심볼 입력 모드가 실행될 때 표시 패널(112)에 표출 중인 다수의 심볼 버튼 중의 어느 한 심볼 버튼(예컨대,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예컨대,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예컨대, 정전식 센서를 이용한 터치 검출 등)하고, 제 1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이를 제어 모듈(120) 내 제 1 입력 인식부(124)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드래그 검출부(1144)는, 예컨대 정전식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센싱값을 이용하여, 터치가 발생된 영역(제 1 영역)으로부터 다른 영역(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드래그가 정지한 후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0.3초, 0.5초 등) 동안 터치 온 상태를 유지(터치 온 상태 유지)할 때 이를 제어 모듈(120) 내 제 2 입력 인식부(126)로 통지하거나 혹은 드래그가 정지한 영역에서 터치가 오프될 때 이를 제 2 입력 인식부(126)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제어 모듈(120) 내의 화면 표출부(122)는 도시 생략된 조작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심볼 입력(예컨대, 비밀번호 입력 등)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할 때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112)을 통해 다수의 심볼 버튼들을 포함하는 심볼 아이콘을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때 표시 패널(112)을 통해 표출되는 다수의 심볼 버튼은, 예컨대 다수의 숫자 버튼과 적어도 하나의 기호 버튼(또는 부호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출부(122)는 제 1 입력 인식부(124)로부터 심볼의 입력(터치 입력)이 통지되거나 혹은 제 2 입력 인식부(126)로부터 심볼의 입력(드래그 입력)이 통지될 때, 입력된 심볼을 표시 패널(112) 내의 심볼 표시 영역에 표시(디스플레이)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화면 표출부(1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 1 입력 인식부(124)로부터 특정 심볼(예컨대, 숫자 2)에 대한 터치 입력이 통지될 때,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볼 버튼의 표출되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예컨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 등)에 터치된 심볼(예컨대, 숫자 버튼 2)과 동일한 심볼 버튼을 표출시키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것은 터치 드래그를 통해 동일한 심볼을 추가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5에 있어서, 미설명번호 502는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조합에 의해 선택 입력되는 비밀번호 등의 심볼이 표시되는 심볼 표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에, 제 1 입력 인식부(124)는 터치 검출부(1142)로부터 특정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제 1 영역)에 대한 터치 검출이 통지될 때 해당 심볼의 입력으로 인식하고,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입력 인식부(1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특정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지속되는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예컨대, 0.5초, 1초, 1.5초 등)이 될 때 해당 심볼 버튼의 추가 입력(예컨대, 터치된 심볼이 숫자"2"인 경우일 때 숫자 2의 추가 입력)으로 인식하고,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경과 시간에 의거한 동일 심볼의 추가 입력은 2회 연속 입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N회의 연속적인 추가 입력으로 설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입력 인식부(126)는 드래그 검출부(11144)로부터 터치가 발생된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통지될 때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심볼의 입력(예컨대, 터치된 심볼 입력 이후의 연속 입력)으로 인식하고,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0"이 터치된 이후에 숫자"1"로 드래그하게 되면, 숫자"0"과 "1"의 연속 입력이 될 것이며, 이러한 숫자(심볼)는 심볼 표시 영역(602)의 해당 위치에 표시될 것이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심볼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결합을 통해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1]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1에 따라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결합을 통해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비밀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사용자 조작이 발생하여 휴대용 단말이 심볼 입력 모드를 실행하게 되면(단계 202),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112)을 통해 다수의 심볼 버튼을 표출시킨다(단계 204).
이때, 도 4 내지 도 6의 각 화면 예시도에서는 비록 숫자 버튼들만을 심볼 버튼으로서 표출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112)을 통해 표출되는 다수의 심볼 버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호 버튼(또는 부호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표시 패널(112)을 통해 표출되는 숫자 버튼들은 숫자 순서적인 배열 위치가 아니라 랜덤 배열 위치로 표출될 수 있다.
다음에, 터치 검출부(1142)에서는 표시 패널(112)에 표출 중인 다수의 심볼 버튼 중의 어느 한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발생(검출)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단계 206), 여기에서의 체크 결과,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이를 제 1 입력 인식부(124)로 통지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 1 입력 인식부(124)에서는 터치 검출부(1142)로부터 전달되는 터치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심볼을 터치 입력으로 인식하고(단계 208),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며, 그 결과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표시 패널(112) 내 심볼 표시 영역의 해당 위치에 터치 입력으로 인식된 심볼(예컨대, 숫자 등)을 표시(디스플레이)한다.
이와 동시에,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심볼 버튼이 표출되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예컨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 등)에 터치 입력으로 인식된 심볼 버튼(예컨대, 숫자 버튼 2)과 동일한 심볼 버튼을 표출시킨다(단계 210).
다시, 드래그 검출부(1144)에서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해당 터치가 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 즉 드래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12). 여기에서, 제 2 영역은 터치된 심볼 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심볼 버튼들의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이거나 혹은 다른 위치에 새롭게 표출된 터치된 심볼 버튼과 동일한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계(212)에서의 체크 결과, 드래그가 검출, 즉 드래그가 발생한 후 정지 위치에서 터치가 오프되거나 혹은 드래그가 정지한 위치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0.3초, 0.5초 등) 동안 터치가 온 상태를 유지할 때, 드래그 검출부(1144)에서는 이를 드래그의 검출로 인지하여 제 2 입력 인식부(126)로 통지한다.
이에 응답하여, 제 2 입력 인식부(126)에서는 드래그 검출부(1144)로부터 전달되는 드래그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심볼을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하고(단계 214),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며, 그 결과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표시 패널(112) 내 심볼 표시 영역의 해당 위치에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된 심볼(예컨대, 숫자 등)을 표시(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터치 입력이 인식(검출)될 때, 동일한 심볼에 대한 2차의 드래그 입력을 위해, 다수의 심볼 버튼이 표출되는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예컨대, 표시 패널의 중앙 영역 등)에 터치된 심볼 버튼(예컨대, 숫자 버튼 2)과 동일한 심볼 버튼을 표출시키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례로서 도 7에서 화살표 A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특정 심볼 버튼(예컨대, 숫자 버튼 2)에 대응하는 영역을 터치한 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되돌아가는(회귀) 드래그 방식을 통해 동일한 영역의 심볼 버튼(숫자 버튼 2)을 드래그 입력(예컨대, 동일한 숫자의 추가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심볼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인식한 후 1차의 드래그를 통해 다른 하나의 심볼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인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회의 터치 입력을 인식한 후 N차의 순차적 드래그를 통해 N개의 드래그 입력을 순차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 예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2에 따라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결합을 통해 심볼을 연속 입력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2 내지 308의 각 과정들에서의 실행 내용은, 도 2에 도시된 단계 202 내지 208 내 대응하는 각 과정들에서의 실행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단계 302 내지 308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단계(308)까지의 진행을 통해 하나의 심볼에 대한 터치 입력이 인식되면, 제 1 입력 인식부(124)에서는 터치 인식된 해당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지속되는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n(예컨대, 0.5초, 1초, 1.5초 등)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10). 여기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 n은 기 설정된 제 1 소정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단계(310)에서의 체크 결과, 카운트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n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1 입력 인식부(124)에서는 카운트한 경과 시간을 클리어한 후 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심볼의 추가 입력으로 인식한다(단계 312). 그 결과,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동일한 심볼에 대한 2차 입력으로 판단하여 심볼 표시 영역의 해당 위치에 동일한 심볼 2개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310 및 단계 312를 N차만큼 반복 수행함으로써 터치를 통해 선택한 동일 심볼에 대한 추가적인(연속적인) N차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처음 터치한 숫자 3의 심볼을 3개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일 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310과 312의 프로세스를 2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숫자 3의 심볼을 3개 연속 입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카운트한 경과 시간과 기 설정된 소정시간과의 비교를 통해 동일한 심볼에 대한 추가 입력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 중에, 드래그 검출부(1144)에서는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예컨대 제 2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으로 드래그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 즉 드래그가 발생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14).
상기 단계(314)에서의 체크 결과, 드래그가 검출, 즉 드래그가 발생한 후 정지한 위치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예컨대, 0.3초, 0.5초 등) 동안 터치 온 상태가 유지될 때, 드래그 검출부(1144)에서는 이를 드래그의 검출로 인지하여 제 2 입력 인식부(126)로 통지한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은 기 설정된 제 2 소정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제 2 입력 인식부(126)에서는 드래그 검출부(1144)로부터 전달되는 드래그 검출 결과에 따라 해당 심볼(제 2 심볼)을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하고(단계 316), 이를 화면 표출부(122)로 통지하며, 그 결과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표시 패널(112) 내 심볼 표시 영역의 해당 위치에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된 심볼(예컨대, 숫자 등)을 표시(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단계(316)까지의 진행을 통해 하나의 심볼에 대한 드래그 입력이 인식되면, 제 2 입력 인식부(126)에서는 드래그 인식 이후에 드래그 인식된 해당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영역(예컨대,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지속되는 경과 시간을 카운트하고, 카운트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소정시간 m(예컨대, 0.5초, 1초, 1.5초 등)에 도달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318). 여기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 m은 기 설정된 제 3 소정시간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제 3 소정시간은 상술한 제 2 소정시간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318)에서의 체크 결과, 카운트한 경과 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 시간 m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입력 인식부(126)에서는 카운트한 경과 시간을 클리어한 후 터치된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심볼(제 2 심볼)의 추가 입력으로 인식한다(단계 320). 그 결과, 화면 표출부(122)에서는 동일한 심볼(드래그를 통해 입력 선택된 심볼)에 대한 2차 입력으로 판단하여 심볼 표시 영역의 해당 위치에 동일한 심볼 2개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318 및 단계 320을 N차만큼 반복 수행함으로써 드래그를 통해 선택한 동일 심볼에 대한 추가적인(연속적인) N차 입력을 실현할 수 있다. 일례로서, 드래그를 통해 선택된 숫자 8의 심볼을 3개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일 때,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단계 318과 320의 프로세스를 2회 반복 수행함으로써, 숫자 8의 심볼을 3개 연속 입력하게 될 것이다.
다음에, 단계(322)에서는 드래그를 통해 선택한 심볼에 대응하는 영역(제 2 영역)에서의 터치가 오프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하는데, 터치 오프되면 제 1 심볼에 대한 1개 또는 N개 입력과 제 2 심볼에 대한 1개 또는 N개 입력이 종료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드래그를 진행한 후 정지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소정시간이 경과할 때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심볼(제 2 심볼)을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드래그를 정지한 후 터치 오프가 검출될 때 드래그가 멈춘 영역에 대응하는 심볼(제 2 심볼)을 드래그 입력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이 경우 제 2 심볼은 N개의 입력이 아니라 1개의 입력만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심볼 입력 방법은 컴퓨터(또는 휴대용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는 코드(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의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모바일 앱 등이 있다.
그리고,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등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출 중인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의 선택적 조합을 통해 원하는 심볼 버튼들의 연속 입력을 실현할 수 있는 심볼 입력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표시 패널에 표출 중인 심볼 버튼에 대한 터치와 드래그의 조합을 통해 원하는 심볼 버튼들의 연속 입력을 실현함으로써, 소형의 터치 패널을 장착한 휴대용 기기에서의 심볼 입력을 보다 빠르게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패널의 작은 크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심볼의 오입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110 : 패널 모듈 112 : 표시 패널
114 : 센싱부 120 : 제어 모듈
122 : 화면 표출부 124 : 제 1 입력 인식부
126 : 제 2 입력 인식부 1142 : 터치 검출부
1144 : 드래그 검출부

Claims (10)

  1. 표시 패널 상의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과정 이후에,
    상기 제 1 과정에서 검출된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기 설정된 제 1 소정시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이 추가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 온 상태가 상기 제 1 소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하면, 상기 제 3 과정 및 제 4 과정을 수행하는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제 1 심볼 버튼과 제 2 심볼 버튼을 포함하는 다수의 심볼 버튼을 표출하며,
    상기 다수의 심볼 버튼은,
    랜덤 배열 위치로 표출되는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심볼 버튼은,
    다수의 숫자 버튼과 적어도 하나의 기호 버튼
    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 상의 서로 다른 위치의 영역이고,
    상기 제 1 심볼 버튼과 상기 제 2 심볼 버튼은,
    동일한 심볼 버튼인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심볼 버튼과 상기 제 2 심볼 버튼은,
    동일한 심볼 버튼이고,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 상의 동일 위치의 영역인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터치 온 상태가 기 설정된 제 2 소정시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심볼 버튼의 입력을 인식한 후,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터치 온 상태가 기 설정된 제 3 소정시간 동안 유지될 때 상기 제 2 심볼 버튼이 추가로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제 3 소정시간은 상기 제 2 소정시간보다 상대적으로 큰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상기 제 2 영역에 대한 터치가 오프될 때 상기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표시 패널 상의 제 1 심볼 버튼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에 대한 터치가 검출될 때 상기 제 1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제 2 영역으로의 드래그가 발생되는 지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드래그가 검출될 때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심볼 버튼을 입력으로 인식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심볼 입력 방법.
  10. 제 9 항의 심볼 입력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10168305A 2015-09-24 2021-11-30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1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305A KR20210151022A (ko) 2015-09-24 2021-11-30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5368A KR102336517B1 (ko) 2015-09-24 2015-09-24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68305A KR20210151022A (ko) 2015-09-24 2021-11-30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68A Division KR102336517B1 (ko) 2015-09-24 2015-09-24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022A true KR20210151022A (ko) 2021-12-13

Family

ID=5858921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68A KR102336517B1 (ko) 2015-09-24 2015-09-24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KR1020210168305A KR20210151022A (ko) 2015-09-24 2021-11-30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368A KR102336517B1 (ko) 2015-09-24 2015-09-24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365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57705B1 (fr) 2016-10-13 2019-04-12 Soitec Procede de dissolution d'un oxyde enterre dans une plaquette de silicium sur isola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381A (ko) 2010-01-31 2011-08-08 장태선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181B1 (ko) * 2005-05-09 2007-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장치
KR101046914B1 (ko) * 2010-11-03 2011-07-07 우순조 귀환적 키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97836A (ko) * 2011-02-25 2012-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에서 텍스트 작성 방법 및 장치
KR20150057841A (ko) * 2013-11-20 2015-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60475A (ko) *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디오텍 터치스크린 상에 수신된 입력 제어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9381A (ko) 2010-01-31 2011-08-08 장태선 스크린 또는 디지털 키패드에서의 스마트 문자 및 숫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6517B1 (ko) 2021-12-07
KR20170036337A (ko) 201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8119B1 (ko)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619139B2 (en) Device,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US91766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 keypad control
US9158399B2 (en) Unlock method and mobile device using the same
US10664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windows
US20150052481A1 (en) Touch Screen Hover Input Handling
EP3035175B1 (en) Screen edge touch control optimization method, device and terminal
US10152220B2 (en) System and method to control a touchscreen user interface
US8935638B2 (en) Non-textual user input
EP2693345A1 (en) Mobile terminal
US20150153932A1 (en) Mobile device and method of displaying icon thereof
US10430071B2 (en) Operation of a computing device functionality based on a determination of input means
EP27577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snooze interval in mobile device
CN104298463A (zh) 一种状态栏显示方法及***
KR102260949B1 (ko) 아이콘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20170091431A1 (en) Secu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ntry on a small touchscreen display
KR20210151022A (ko) 심볼 입력 방법 및 그 장치
JP5463934B2 (ja) 3次元入力装置
US20150338975A1 (en) Touch panel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the touch panel input device
WO2015181830A1 (en) User account switching interface
JP2015049773A (ja) オブジェクト操作システム及び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オブジェクト操作制御方法
JP2013222238A (ja) 携帯端末機、アイコン表示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アイコン表示方法
WO2015029239A1 (ja)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57817B1 (ko) 전자장치에서 숫자의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72147B2 (en) Enabling perimeter-based user interactions with a us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