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728A -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 Google Patents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728A
KR20210150728A KR1020200067513A KR20200067513A KR20210150728A KR 20210150728 A KR20210150728 A KR 20210150728A KR 1020200067513 A KR1020200067513 A KR 1020200067513A KR 20200067513 A KR20200067513 A KR 20200067513A KR 20210150728 A KR20210150728 A KR 20210150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e coupling
coupling member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플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로닉스 filed Critical (주)플로닉스
Priority to KR102020006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0728A/ko
Publication of KR20210150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4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in which sealing rings are compressed by axially-movabl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가 개시된다. 상기 배관 결합 부재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본체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모체를 플레어링시킴에 의해 상기 본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플레어부; 상기 본체와 외부 배관을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플레어부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플랜지 부재; 및 스파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타종단에는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본체는 용접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측에는 유체가 흐르는 공간인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중앙부에 제 1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제 2 홀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홀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제 2 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플레어부 위로 지나가고, 상기 배관 결합 부재와 상기 외부 배관이 결합될 때 상기 플레어부 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외부 배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홀에 삽입되어 배열되고,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파이크들 및 상기 스파이크들을 연결하는 탄성체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인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스파이크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내측면에 밀착 배열된다.

Description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PIPE CONNECTION STRUCTURE USING FLARE MEMBER AND PRESSURE APPLYING MEMBER}
본 발명은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관은 스터브 바디(110) 및 스터브 엔드(112)를 포함하는 스터브(102)와 벤드(Bend, 100)가 용접됨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배관이 용접함에 의해 형성되므로, 배관 시공시 용접 검사가 이루어져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접을 위한 인건비 및 검사비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시설 비용이 증가하고, 유지 및 보수가 어렵고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
KR 10-2047934 B
본 발명은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본체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모체를 플레어링시킴에 의해 상기 본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플레어부; 상기 본체와 외부 배관을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플레어부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플랜지 부재; 및 스파이크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의 타종단에는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본체는 용접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측에는 유체가 흐르는 공간인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중앙부에 제 1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제 2 홀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홀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제 2 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플레어부 위로 지나가고, 상기 배관 결합 부재와 상기 외부 배관이 결합될 때 상기 플레어부 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외부 배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홀에 삽입되어 배열되고,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파이크들 및 상기 스파이크들을 연결하는 탄성체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인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스파이크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내측면에 밀착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는 용접하지 않고 플레어 공정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용접으로 인한 인건비 및 검사비가 필요치 않아서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감소할 수 있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며,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배관이 상기 배관 결합 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임 가능하므로, 지중의 장애물을 회피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배관 결합 부재가 쉽게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배관 결합 부재 중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타종단부는 일자형 구조를 가지면서 다른 배관 결합 부재에 삽입 가능하고, 지중에서 장애물을 만났을 때 상기 타종단부의 일부분을 절단한 후 상기 다른 배관 결합 부재로 삽입이 가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공 시간이 감소하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배관 결합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 결합 부재의 다양한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관 결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용접 과정을 사용함이 없이 플레어부를 사용하며, 고정 부재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외부 배관을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관 결합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를 사용하며 유체 이송이 가능한 모든 부재를 통칭하며, 예를 들어 플레어부를 가지는 배관 또는 피팅(fitting)일 수 있다.
기존 배관 또는 피팅은 스터브와 벤드를 용접시키고 플랜지 부재를 이용하여 다른 배관과 결합되었으며, 용접 검사 과정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용접을 위한 인건비 및 검사비가 발생하여 전체적인 시공 비용이 증가하였고, 유지 및 보수가 어렵고,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배관 결합 부재는 용접 과정 없이 플레어링 공정을 통하여 플레어부를 형성한다. 즉, 용접 과정을 사용하지 않으며, 그 결과 상기 배관 결합 부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용접으로 인한 인건비 및 검사비가 필요하지 않아서 전체 시설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결합 부재의 시공이 편리하고, 유지 및 보수가 간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관 결합 부재가 지중에 설치될 경우 기존에 설치된 배관, 바위 등 많은 장애물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장애물을 피해서 상기 배관 결합 부재를 상기 외부 배관과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배관 결합 부재를 상하좌우 움직일 수 있어야 하고 필요시 절단하여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배관 결합 부재를 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배관 결합 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배관 결합 부재의 다양한 구조들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파이크 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 결합 부재(200)는 본체(210), 플레어부(212), 플랜지 부재(214), 고정 부재(222), 가압 부재(224), 스파이크 부재(226) 및 실링 부재(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10)는 금속 부재(500) 내측에 라이너(502)를 형성하고 외측에 플라스틱층(504)을 형성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라이너(502) 및 플라스틱층(504)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라이너(502)는 유체 이송공(240)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불소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너(502)는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페르플루오르 알킬비닐 에테르 공중합체(Tetra fluoro ethylene perfluoro alkyl vinyl ether copolymer, PFA),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 폴리클로트리폴리오르에틸렌(PCTFE), 이소불화비닐(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등일 수 있다. 또한, 라이너(502)는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P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PP)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플라스틱층(504)은 라이너(502)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층(504)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210)는 길이 방향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a), 확관부(210b) 및 삽입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a)는 일정한 폭을 가지면서 일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확관부(210b)는 바디(210a)로부터 길이 연장되되 점차적으로 확대될 수 있으며, 삽입부(210c)는 외부 배관(202)이 삽입되는 공간을 가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관부(210b)의 폭은 바디(210a)의 폭보다 크며, 삽입부(210c)의 폭은 바디(210a)의 폭 및 확관부(210b)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삽입부(210c)는 도 6의 좌측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도 6의 우측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6의 좌측에 보여진 구조의 삽입부(210c-1)와 삽입된 외부 배관(202)이 밀착되는 구조여서 다른 배관(202)이 상하좌우로 움직이기 어려우나, 도 6의 우측에 보여진 구조의 삽입부(210c-2)와 삽입된 외부 배관(202)과의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하여 외부 배관(202)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 6의 좌측에 보여지는 구조이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 부재(228)가 삽입부(210c)와 외부 배관(202) 사이에 배열되면 공간이 발생하여 외부 배관(202)이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지중 환경에서는 매설된 구조물, 바위 등의 장애물이 존재하고 지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외부 배관(202)이 삽입부(210c)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외부 배관(202)이 상하좌우로 움직이지 못하면 장애물을 피해서 배관 결합 부재를 설치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지진으로 인하여 배관 결합 부재(200)가 파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지중에 배관 결합 부재(200)를 설치할 경우에는 외부 배관(202)이 상하좌우로 움직임 가능하도록 삽입부(210c)와 외부 배관(202)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지중 환경이 아닌 지상에 배관 결합 부재(200)가 설치될 경우에는 배관 결합 부재(200)가 외부 배관(202)과 밀착되는 것이 더 유용하다.
또한, 실링 부재(22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배관(202)을 절단한 후 외부 배관(202)을 배관 결합 부재(200)와 결합시킬 때 외부 배관(202) 중 절단된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고 외부 배관(202)을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배관(202)을 절단시키면, 절단된 부분의 끝단에는 플라스틱층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상기 끝단이 부식될 수가 있다. 이러한 끝단에 실링 부재(228)를 결합시킴에 의해 상기 끝단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실링 부재(228)는 실링 효과뿐만 아니라 절단시 외부 배관(202)의 끝단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플레어부(212)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일 종단에 예를 들어 수직하게 연결되며, 구체적으로는 삽입부(210c)의 종단으로부터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어부(212)는 본체(210)보다 긴 모체를 플레어링시킴에 의해 본체(210)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체의 일 종단을 기계를 이용하여 수직하게 변형하여 플레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모체는 본체(210)보다 플레어부(212)의 폭만큼 더 큰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 부재(214)는 본체(210) 상에서 플레어부(212) 하단에 위치하며, 본체(210)를 고정 부재(222)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체결 부재(예를 들어 볼트, 230)가 플랜지 부재(214)의 홀 및 고정 부재(222)의 홀(262)를 관통한 상태로 너트(234)에 의해 체결되면, 본체(210)가 고정 부재(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플랜지 부재(214)는 플레어부(212)에 걸쳐지게 되며, 체결 부재(230)는 플레어부(212)를 관통함이 없이 플레어부(212) 위로 지나가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지 부재(214)는 금속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 내부에 금속 부재가 내포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플랜지 부재(214)가 플라스틱으로만 형성되면 체결 부재(230) 결합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으나, 플라스틱층 내부에 금속 부재가 삽입되면 이러한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부재(222)는 배관 결합 부재(200)와 외부 배관(202)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부재(222) 중앙부에 유체 이송공(240)에 대응하는 홀(260)이 형성되고, 4개의 모서리들에 홀들(262)이 형성되며, 4개의 측면에 홀들(2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체결 부재(230)는 고정 부재(222)의 모서리에 형성된 홀(262)로 삽입되고, 압력 부재(예를 들어 볼트, 232)가 측면에 형성된 홀(264)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222)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260)로 스파이크 부재(226)가 삽입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의 홀(264)로 삽입된 압력 부재(232)는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스파이크 부재(226)를 눌러서 외부 배관(202)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외부 배관(202)은 고정 부재(22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파이크 부재(226)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파이크들(250)을 가지되, 스파이크들(250)이 탄성체인 연결 부재(2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압력 부재(232)가 스파이크(250)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위해 압력 부재(232)와 접촉하는 스파이크(250)의 면은 평평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52)가 탄성체이기 때문에, 스파이크 부재(226)를 고정 부재(222)의 중앙부의 홀(260)로 삽입시키면 스파이크 부재(226)가 고정 부재(222)의 내측면에서 확장되면서 스파이크 부재(226)가 고정 부재(222)의 내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252)가 탄성체이므로, 스파이크 부재(226)를 고정 부재(222)로부터 분리시키기도 용이할 수 있다.
가압 부재(224)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결합 부재(200)의 플레어부(212)와 고정 부재(222) 사이에 위치하며, 외부 배관(202)을 가압하여 외부 배관(202)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압 부재(224)는 예를 들어 고무 등의 탄성체일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홀(270)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외부 배관(202)의 외주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부재(2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어부(212) 또는 고정 부재(222)에 의해 가압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230)가 고정 부재(222)의 홀(262)로 삽입되어 체결됨에 따라 플레어부(212)가 가압 부재(224)를 가압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압 부재(224)가 외부 배관(202)의 외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외부 배관(20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부재(224)는 가압 기능뿐만 아니라 가스켓 및 실링 부재로서 기능할 수 있다. 플레어부(212)와 고정 부재(222)가 직접적으로 맞닿으면 유체 이송공(240)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실링하는 효과가 떨어지므로, 가압 부재(224)를 플레어부(212)와 고정 부재(222) 사이에 삽입하여 실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실링 효과를 더 높이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배관(202) 중 본체(210)로 삽입되는 종단부에 탄성체인 실링 부재(228)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실링 부재(228)의 일부분이 본체(210)의 내측면과 외부 배관(202)의 외측면 사이에 삽입되므로, 유체 이송공(240)을 통하여 흐르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외부 배관(202)의 유체 이송공(242)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 결합 부재(200)는 플레어링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 플레어부(212)와 고정 부재(222)를 사용하여 외부 배관(202)과 결합한다. 따라서, 용접 과정이 필요하지 않다.
또한, 배관 결합 부재(200)는 일단에 플레어부(21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타단이 다른 배관 결합 부재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배관(202)은 배관 결합 부재(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배관 결합 부재들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배관 결합 부재 중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제 1 배관 결합 부재 중 플레어부가 형성된 부분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배관 결합 부재들이 결합될 수 있다.
지중의 장애물로 인하여 특정 배관 결합 부재의 일부의 절단이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배관 결합 부재 중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종단부를 절단한 후 해당 부분을 이웃하는 배관 결합 부재 중 플레어부가 형성된 부분으로 삽입시켜 상기 배관 결합 부재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즉, 배관 결합 부재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지중 상황과 관계없이 배관 결합 부재들을 연속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기존 배관들을 결합시킬 때에는 짧은 길이의 배관이 필요한 경우 해당 배관을 시공 장소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가지고 와서 배관들을 결합시키거나 별도의 배관을 미리 준비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작업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반면에, 본 발명의 배관 결합 부재(200)는 일단부가 절단되어도 다른 배관 결합 부재와 결합이 가능하므로, 현장에서 배관 결합 부재(200)를 절단하여 바로 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업 시간이 줄어들고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배관 결합 부재(200)와 외부 배관(202) 결합시 외부 배관(202)이 배관 결합 부재(20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좌우 움직임 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중에 장애물이 존재하더라도 배관 결합 부재(200)를 장애물을 피하여 설치 가능하고, 지진이 발생하더라도 배관 결합 부재(200)가 쉽게 파괴되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의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가 가압 보조 부재(700 및 702)를 제외하고 도 2의 배관 결합 부재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 1 가압 보조 부재(700)는 가압 부재(224)의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되며, 제 2 가압 보조 부재(702)는 가압 부재(224)의 내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 보조 부재(700)가 가압 부재(224)와 고정 부재(222) 사이에 배열되고, 제 2 가압 보조 부재(702)가 가압 부재(224)와 외부 바디(202)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보조 부재들(700 및 702)은 예를 들어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압 부재(224)가 외부 배관(202)에 압력을 더 잘 가하도록 하며 가압 부재(224)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는 2개의 가압 보조 부재들(700 및 702)이 사용되었으나, 하나의 가압 보조 부재만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 배관 결합 부재 202 : 외부 배관
210 : 본체 212 : 플레어부
214 : 플랜지 부재 222 : 고정 부재
224 : 가압 부재 226 : 스파이크 부재
228 : 실링 부재 230 : 체결 부재
232 : 압력 부재 700, 702 : 가압 보조 부재

Claims (8)

  1. 배관 결합 부재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길이 연장되며, 상기 본체보다 큰 길이를 가지는 모체를 플레어링시킴에 의해 상기 본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플레어부;
    상기 본체와 외부 배관을 결합시키는 고정 부재;
    상기 본체와 상기 고정 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
    상기 본체 상에서 상기 플레어부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플랜지 부재; 및
    스파이크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타종단에는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본체는 용접없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내측에는 유체가 흐르는 공간인 유체 이송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며, 상기 플랜지 부재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부재의 중앙부에 제 1 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일면에 제 2 홀이 형성되고,
    체결 부재가 상기 플랜지 부재의 홀 및 상기 고정 부재의 제 2 홀로 삽입됨에 의해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플레어부를 관통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플레어부 위로 지나가고,
    상기 배관 결합 부재와 상기 외부 배관이 결합될 때 상기 플레어부 또는 상기 고정 부재가 상기 가압 부재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외부 배관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제 1 홀에 삽입되어 배열되고, 상기 스파이크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스파이크들 및 상기 스파이크들을 연결하는 탄성체인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체인 연결 부재에 의해 상기 스파이크 부재가 상기 고정 부재의 내측면에 밀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측면에 제 3 홀이 형성되되,
    압력 부재가 상기 제 3 홀을 통하여 상기 스파이크 부재의 스파이크로 압력을 가하고, 상기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스파이크 부재가 상기 외부 배관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길이 연장되면서 폭이 점차적으로 확대되는 확관부 및 상기 확관부에 연결된 삽입부를 가지되,
    상기 외부 바디가 상기 삽입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종단에 상기 플레어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관부의 폭은 상기 바디의 폭보다 넓고,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확관부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플랜지 부재는 플라스틱 내부에 금속 부재가 포함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금속 부재, 상기 금속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라이너 및 상기 금속 부재의 외측면에 형성된 플라스틱층을 포함하되,
    상기 라이너와 상기 외부 배관의 외측면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여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배관 결합 부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와 상기 플라스틱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결합 부재는 동일한 구조의 다른 배관 결합 부재와 결합 가능하되,
    상기 플레어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본체의 타단은 다른 배관 결합 부재의 본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결합 부재의 본체의 타단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에서도 상기 배관 결합 부재가 상기 다른 배관 결합 부재의 본체로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배관의 종단에 결합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배관이 상기 본체로 삽입되었을 때 상기 실링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내측면과 상기 외부 배관의 외측면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의 외주면 또는 중앙에 형성된 홀 내에 배열되는 가압 보조 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가압 보조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 사이 또는 상기 가압 부재와 상기 외부 배관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외부 배관을 더 잘 가압하도록 보조하며,
    상기 가압 보조 부재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결합 부재.


KR1020200067513A 2020-06-04 2020-06-04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KR20210150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13A KR20210150728A (ko) 2020-06-04 2020-06-04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513A KR20210150728A (ko) 2020-06-04 2020-06-04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728A true KR20210150728A (ko) 2021-12-13

Family

ID=7883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513A KR20210150728A (ko) 2020-06-04 2020-06-04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072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934B1 (ko) 2019-08-08 2019-11-22 이문승 배관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934B1 (ko) 2019-08-08 2019-11-22 이문승 배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860B1 (ko) 플랜지 형태의 수밀용 파형강관 연결장치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CN201129586Y (zh) 聚乙烯、钢套法兰与管路连接结构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JP3210602U (ja) 小径配管用継手
CN104315277A (zh) 一种管道连接器
KR20210150728A (ko)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KR101600290B1 (ko) 배관 티
US4865357A (en) Metal pipe coupling to accommodate a desired angle of connection between drainage pipe sections
CN101493166A (zh) 一种管接头
KR20210150726A (ko)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KR20210150729A (ko)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KR20210150727A (ko) 플레어부 및 가압 부재를 이용하는 배관 결합 부재
CN201354900Y (zh) 一种管接头
JP2008178271A (ja) ケーブル等保護管の配管構造及び配管方法。
US10267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welded-lap joints for steel pipeline
EP3783251A1 (en) Seismic pipe joint
KR102319277B1 (ko) 밸브 접합관
KR20180110568A (ko) 플렉시블 조인트
JP2009014092A (ja) 管路の内張り構造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JP2001248774A (ja) リブ付管継手
JP2017133589A (ja) 補修用継手
KR20060003727A (ko) 신축이음
KR100962461B1 (ko) 배관용 커플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