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645A -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645A
KR20210148645A KR1020200065745A KR20200065745A KR20210148645A KR 20210148645 A KR20210148645 A KR 20210148645A KR 1020200065745 A KR1020200065745 A KR 1020200065745A KR 20200065745 A KR20200065745 A KR 20200065745A KR 20210148645 A KR20210148645 A KR 20210148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um
air
evaporator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안인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8645A/ko
Priority to EP21174436.2A priority patent/EP3919669B1/en
Priority to US17/330,820 priority patent/US20210372032A1/en
Priority to CN202110598718.5A priority patent/CN113756073B/zh
Publication of KR2021014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8Humidity
    • D06F2103/10Humidity expressed as capacitance or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1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38Time, e.g. d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공기순환부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순환유로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에서 또는 세탁소 등과 같은 곳에서 의류 내지 침구 등을 세탁하거나, 건조시키거나, 구김을 제거하는 등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는 모든 장치들을 가리킨다. 의류 처리 장치는 세탁기, 건조기, 세탁기 겸 건조기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 특히 건조기는 드럼(또는 터브)으로 투입된 의류나 침구 등과 같은 처리 대상물에 열풍을 공급하여 처리 대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드럼에서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드럼을 빠져나가는 공기는 처리 대상물의 수분을 머금게 되어 고온 다습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건조기에 구비되는 순환유로 상에서 수분이 제거되고 가열된 후 드럼으로 재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의류 처리 장치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9-0128464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의류 처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측 개구에서 배출된 공기가 열교환을 거쳐 상기 드럼의 후방측 개구로 유입되도록 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드럼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베이스 캐비닛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의류 처리 장치는 순환유로의 설계 및 각종 부품들의 레이아웃을 최적화하여 순환유로를 심플하게 구현하고 있으나, 이러한 순환유로 상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되어 오염이 발생되는 상황에는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공기와의 열교환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아지고 린트 등의 이물질이 다량 유입될 수 밖에 없는 순환유로의 특성 상, 적절히 오염을 방지하지 못하여 비위생적인 상태에 놓여지는 것은 사용자 측면에서 매우 심각한 불만사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10-2015-0120054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는 의류 건조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서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 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린트 필터 어셈블리에 부착된 보푸라기를 제거하기 위한 린트 필터 세척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2의 의류 건조기는 공기의 순환유로 상에서 린트를 적절히 제거하여 건조기 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것만을 고려하고 있을 뿐, 순환유로 상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되어 오염이 발생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이상과 같이, 고온 건조한 공기를 통해 의류 내지 침구를 건조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의 경우 공기의 순환유로에서의 위생을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의 순환유로 상에서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되어 위생상의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순환유로에 대한 살균 과정과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 과정이 서로 간섭되거나 기능상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상태 및 상황에 따라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공기의 순환유로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는 열교환부에 대하여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져 곰팡이나 세균의 증식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유로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에서 열교환부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열교환부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열교환부 중 증발기의 전방면을 향하여 자외선살균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엘이디모듈을 통해 자외선살균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공기의 순환유로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가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공기의 열교환 및 살균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순환유로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의 함입된 부분에 자외선살균부가 설치되어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자외선살균부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의 전방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커버프레임의 제1 경사면에 자외선살균부가 설치되고 커버프레임의 제2 경사면을 따라 증발기의 전방면을 세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기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자외선살균부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의류 처리 장치의 상태 및 상황에 따라 자외선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드럼에서 수행중인 작동모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센서부를 통해 드럼의 상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전극센서를 통해 드럼 내의 함수율을 추정하여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순환유로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에서 열교환부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열교환부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순환유로 상의 열교환부에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열교환부 중 증발기의 전방면을 향하여 자외선살균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므로, 열교환부 중 린트가 가장 먼저 접촉되고 상대적으로 가장 저온임에 따라 곰팡이나 세균 증식이 가장 용이한 증발기의 전방면을 중점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엘이디모듈을 통해 자외선살균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므로, 자외선살균부의 구조를 보다 단순하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순환유로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의 함입된 부분에 자외선살균부가 설치되어 순환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자외선살균부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공기의 순환유로에 대한 살균 과정과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순환 과정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의 전방면을 세척하므로, 열교환부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집적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커버프레임의 제1 경사면에 자외선살균부가 설치되고 커버프레임의 제2 경사면을 따라 증발기의 전방면을 세척하므로, 자외선살균부와 세척부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세척수가 자외선살균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자외선살균부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므로, 곰팡이나 세균에 단속적이면서 반복적인 살균 자극을 가하여 살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럼에서 수행중인 작동모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의 전체 작동 과정 중 살균이 필요한 상태에서만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센서부를 통해 드럼의 상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의 현재 상태가 살균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파악한 후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극센서를 통해 드럼 내의 함수율을 추정하여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에서 건조가 사실상 완료된 이후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가 장기간 미사용 시에도 정기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므로, 각기 다른 성향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살균 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열교환부 및 자외선살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커버프레임 및 세척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듀티비에 따른 살균 정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전극센서의 측정값과 함수율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의 순환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의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써 건조기를 예로 드나, 의류 처리 장치는 드럼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건조기에 한하지 않고 세탁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캐비닛(10),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포)이 수용되어 회전되는 드럼(30)과,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160)와, 드럼(30)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고 순환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부(200)와, 드럼(3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110)과, 드럼(30)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덕트(120),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순환유로(13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은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드럼(30)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비닛(10)은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20)가 배치되고, 도어(20)는 일단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되어 캐비닛(10) 내부를 개폐한다. 캐비닛(10)은 프론트커버(11),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2, 13), 리어커버(15) 및 베이스(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에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투입구를 여닫는 도어(20)가 구비된다. 투입구는 드럼(30)과 연통될 수 있다.
프론트커버(11)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17)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작동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800)(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동작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또는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는 출력부(175)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800)는 컨트롤 패널(17)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 스위치, 터치패드와 같은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입력부(800)는 전원입력, 동작모드, 세탁물의 종류 설정을 포함한, 운전설정을 입력한다. 입력부(800)는 세탁물의 종류가 선택되고, 전원키가 입력되면, 운전설정에 대한 데이터를 제어부(600)로 입력한다.
출력부(175)는 입력부(800)에 의해 입력된 운전설정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음성안내, 소정의 효과음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버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제어를 위한 메뉴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운전설정 또는 동작상태에 대하여 문자, 숫자,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된 안내 메시지 또는 경고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력되는 운전설정 데이터, 동작모드에 대한 데이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에러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140)에는 의류 처리 장치(1000) 동작 중 감지 또는 측정되는 데이터,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기기 일 수 있다.
통신부(19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190)는 건물 또는 소정 거리 내에서 형성되는 네트워크, 예를 들어 홈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등의 외부의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기능이 구비된 단말과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동작상태 또는 건조진행상태를 전송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에 대한 명령을 수신한다. 통신부(190)는 지그비,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뿐 아니라, 와이파이, 와이브로 등의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전원부(150)는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변환하여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150)는 과전류를 차단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정류 및 평활하여 소정 크기의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드럼(3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전면과 배면이 개방되며 전면은 투입구와 연통된다. 또한, 드럼(30)의 배면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되고, 유입구는 공기 순환을 위한 유입덕트(140)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러한 유입덕트(14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
구동부(160)는 캐비닛(10)의 베이스(14)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모터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또한, 순환팬(110)과 연결되어 순환팬(110)을 회전시킨다. 이러한 순환팬(110)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내의 공기가 흡입덕트(12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덕트(120)는 순환유로(130)와 연결된다.
순환팬(110)의 회전 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120)로 안내되어 순환유로(130)를 통해 열교환기를 거쳐 다시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되도록 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
드럼(30)을 경유하는 순환유로(130)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130)는 드럼(30)과 연결되어 공기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일부 공기는 배기덕트(1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공기순환부, 열교환부 및 자외선살균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공기순환부(100), 열교환부(200) 및 자외선살균부(300)를 포함한다.
공기순환부(10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키는 부분으로, 상술한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및 순환팬(110)을 포함한다.
열교환부(200)는 공기순환부(100)의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되어 공기와 열교환하는 부분으로, 냉매를 순환 시켜 히트펌프 사이클로 작동시킨다.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은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00)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30)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열교환부(200)는 압축기, 증발기(210), 응축기(220),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열교환부(200)는 압축기, 증발기(210), 응축기(220)가 냉매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순환된다. 특히, 응축기(220)와 증발기(210)에서의 냉매와 공기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열교환부(200)는 냉매 이외의 다른 매체를 통해 열교환할 수도 있다.
증발기(210)는 드럼(30)으로부터 흡입덕트(120)를 통해 순환유로(130)로 유입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켜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량을 회수한다. 또한, 증발기(210)는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에 함습된 수분을 응축시킨다.
응축기(220)는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유입덕트(140)를 통해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킨다. 증발기(210)를 통관한 저온 저습의 공기는 응축기(220)로 유입되어 냉매와 열교환 함으로써 고온 저습의 상태로 변화된다.
응축기(22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증발기(210)를 통과하여 압축기로 회수되고, 압축기는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응축기(220)로 토출하고, 팽창밸브는 응축기(220)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기(210)에서 팽창시킨다.
드럼(30)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210)의 냉매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증발기(210)를 통과하면서 공기의 열량이 냉매와 열교환되어 응축되어 냉각된다. 그에 따라 고온 다습한 공기는 증발기(210)에 의해 제습되고 냉각된다. 공기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별도의 응축수하우징에 수집되어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열교환 과정에서 순환유로(130)에는 다량의 습기가 존재하고, 특히 열교환기에는 응축수가 발생하는 등 항상 습도가 높은 상태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드럼(30)으로부터 다량의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이러한 이물질은 열교환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 따라, 열교환기에는 오염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오염된 다습한 환경이라는 점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이와 같이 오염의 우려가 큰 열교환기 부분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자외선살균부(300)는 열교환부(200)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순환유로(130)에 설치된다.
즉, 자외선살균부(300)로부터 살균이 가능한 자외선광이 방출되어 열교환부(200)를 향하여 조사된다. 이를 통해, 열교환부(200)에서는 자외선광에 의한 살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광은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갖는 눈에 보이지 않는 빛으로서, 200~300nm의 파장의 자외선, 특히 260nm 부근의 자외선이 강력한 살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순환유로(130)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300)에서 열교환부(200)로 자외선광을 조사하여 열교환부(200)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므로, 순환유로(130) 상의 열교환부(200)에 곰팡이나 세균이 증식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열교환부(200)는 순환유로(130)를 통과하는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210) 및 증발기(21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220)를 포함하고, 자외선살균부(300)는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130) 상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210)의 전방면과 가장 먼저 접촉된다. 이러한 증발기(210)는 그 기능상 표면에 응축수가 일정 부분 맺혀 있을 수 있으므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린트 등과 같은 이물질이 증발기(210)의 전방면에 부착될 우려가 크다.
또한, 증발기(210)는 그 기능상 열교환기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온 상태라는 점에서, 곰팡이나 세균 등이 증식될 우려가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에서는 증발기(210)의 전방면에 대한 오염이 가장 심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부분에 대한 중점적인 살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열교환부(200) 중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향하여 자외선살균부(300)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므로, 열교환부(200) 중 린트가 가장 먼저 접촉되고 상대적으로 가장 저온임에 따라 곰팡이나 세균 증식이 가장 용이한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중점적으로 살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자외선살균부(30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외선광을 발산하는 엘이디모듈(310)(LED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엘이디모듈(310)이란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패키지 기판, 그 상면에 실장되는 복수의 엘이디칩, 및 엘이디 칩을 커버하도록 도포되는 형광체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엘이디모듈(310)은 방열패드 및 전극패드가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열패드 및 전극패드는 각각 접합 부재 및 인쇄회로기판의 회로 패턴에 솔더링 공정 등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특히, 엘이디모듈(310)을 자외선광을 방출하는 자외선램프 등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그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모듈(310)은 다양한 파장의 광을 방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조합한다면, 해당 파장에 따른 다양한 살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 광원은 파장선촉(wavelength bandwidth)이 좁아 특정 파장의 광원을 방출하므로 유해한 자외선(UV)이나 불필요한 적외선(IR) 등이 방출되지 않아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엘이디모듈(310)을 통해 자외선살균부(300)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므로, 자외선살균부(300)의 구조를 보다 단순하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광을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순환유로를 통한 공기의 이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순환유로(130)의 상면을 커버하며 증발기(210)의 전방면 상부로 함입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프레임(400)을 더 포함하고, 자외선살균부(300)는 커버프레임(400)의 함입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130)의 상면, 특히 증발기(210)의 전방면 상부는 커버프레임(400)에 의하여 커버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버프레임(400)은 일부분이 상부를 향하여 함입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함입된 부분에 자외선살균부(30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순환유로(130)를 통한 공기의 유동시에도 자외선살균부(300)가 공기의 유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살균부(300)와 간섭되지 않고 순환유로(130) 상에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외선살균부(300)가 순환유로(130)에서 공기의 유동 경로 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자외선살균부(300)에 집적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만약, 다량의 이물질이 자외선살균부(300)에 집적된다면 방출되는 자외선광의 광량을 감소시키는 등 살균 기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순환유로(13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프레임(400)의 함입된 부분에 자외선살균부(300)가 설치되어 순환유로(130)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자외선살균부(300)가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것을 최소화하므로, 공기의 순환유로(130)에 대한 살균 과정과 순환유로(130)를 통한 공기의 순환 과정이 서로 간섭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커버프레임 및 세척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증발기(210)의 전방면에 대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5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증발기(210)의 전방면에 대한 세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210)의 전방면에는 상대적을 다량의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증발기(210)의 전방면에 대하여 수시로 세척을 수행하여 증발기(210)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세척하므로, 열교환부(2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집적되어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커버프레임(400)은 서로 결합되어 상부로 함입되는 형상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410) 및 제2 경사면(420)을 포함하고, 자외선살균부(300)는 제1 경사면(410)에 설치되고, 세척부(500)는 제2 경사면(420)을 따라 세척수를 증발기(210)의 전방면으로 분사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프레임(400)의 함입된 부분은 제1 경사면(410)과 제2 경사면(420)이 서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1 경사면(410)에 자외선살균부(300)가 설치되어 열교환기를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할 수 있다.
다만, 자외선살균부(300)는 세척부(5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와 접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의 분사 경로를 자외선살균부(300)와 공간적으로 분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자외선살균부(300)와 이격된 제2 경사면(420)을 따라 세척수가 증발기(210)의 전방면으로 흘러가도록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즉, 세척부(500)로부터 토출되는 세척수는 제2 경사면(420)에 부딪히며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고, 이를 통해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커버프레임(400)의 제1 경사면(410)에 자외선살균부(300)가 설치되고 커버프레임(400)의 제2 경사면(420)을 따라 증발기(210)의 전방면을 세척하므로, 자외선살균부(300)와 세척부(500)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세척수가 자외선살균부(300)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듀티비에 따른 살균 정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기설정된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통신부(190)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며,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운전설정 및 동작상태가 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600)는 의류 처리 장치(1000) 제어용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의류 처리 장치(1000)와 무선으로 연결된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통신부(19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입력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운전설정에 따라 구동부(160)를 통해 드럼(30) 및 순환팬(1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후술할 센서부(700)의 감지값에 따라 동작을 가변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동작 중 열교환부(200)를 제어하여 순환되는 공기가 가열되도록 하고, 드럼(30)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이란 자외선살균부(300)의 온/오프 여부, 작동시간, 작동상태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자외선살균부(300)의 듀티비를 최소 수에서 최대 수십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듀티비란 전체신호에서 온(on)상태가 되는 구간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자외선광은 전체 구간 중 온상태의 구간에서만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살균부(300)에서 자외선광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소정의 듀티비에 따라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며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경우, 곰팡이나 세균 등에 대한 살균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이디모듈(310)에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 등에 따라 펄스 형태의 자외선광을 발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엘이디모듈(310)에서 펄스 형태로 발산되는 광을 열교환부(200)에 조사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높은 에너지의 광을 열교환부(200)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며 자외선광을 조사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역치에서도 곰팡이나 세균을 파괴 또는 손상시키기 위한 자극이 가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기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므로, 곰팡이나 세균에 단속적이면서 반복적인 살균 자극을 가하여 살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드럼(30)에서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1000) 내부에서 스팀을 분사하며 의류에 대한 작동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스팀이 분사되는 상태에서는 여전히 습도가 높아 자외선광의 조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스팀의 분사가 종료된 후 건조모드에 돌입하였을 때, 비로소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는 것이 보다 효율적인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에서 수행중인 작동모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체 작동 과정 중 살균이 필요한 상태에서만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에서 전극센서의 측정값과 함수율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드럼(30)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부(7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센서부(700)에 의해 감지되는 드럼(30)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센서부(700)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압 또는 전류를 측정하고, 모터의 회전속도,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입력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도어감지부, 세탁물감지부, 온도감지부, 습도감지부, 전극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700)는 열교환부(200)의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구동부의 모터 또는 드럼(30)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700)를 통하여 현재의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살균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30) 내의 온도나 습도 등을 센서부(700)를 통해 감지한 후, 살균 기능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파악되었을 때, 비로소 자외선살균부(30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센서부(700)를 통해 드럼(30)의 상태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현재 상태가 살균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파악한 후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센서부(700)는 드럼(30)에 설치되는 전극센서(도 2의 전극 감지부)를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전극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측정값을 통해 추정되는 드럼(30) 내의 함수율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드럼(30)에는 드럼(30) 내 세탁물의 상태를 감지하는 전극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극센서는 두 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전극센서는 소정 거리 이격된 양극과 음극으로서, 드럼(30)을 향해 노출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전극센서는, 드럼(30)이 회전에 의해 세탁물이 유동하는 동안 세탁물과 접촉됨에 따라, 세탁물의 상태, 특히 세탁물의 함습정도(함수율)를 감지한다. 제어부(600)는 전극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세탁물의 함수율에 따라 세탁물의 건조상태를 판단한다.
세탁물이 전극센서에 접촉되면,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양극이 도통됨에 따라 폐쇄회로가 형성되고, 세탁물의 수분 정도에 따라 회로에 흐르는 전류값이 가변되므로, 전류값을 바탕으로 의류의 건조도를 판단할 수 있다. 세탁물은 전극에 대하여 저항으로 작용하고, 세탁물의 수분 함량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므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 또한 가변된다.
이와 같이, 전극센서를 통해 드럼(30) 내의 함수율을 추정할 수 있으며, 추정된 함수율이 기설정된 값(예를 들어, 도 11의 10%)에 도달하였을 때, 살균 기능의 수행에 지장이 없는 건조 상태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센서를 통해 추정된 함수율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였을 때, 비로소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전극센서를 통해 드럼(30) 내의 함수율을 추정하여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건조가 사실상 완료된 이후에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에서, 제어부(600)는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작동되는 과정에서는 소정의 작동모드 또는 상태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켜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장기간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소정의 작동모드 또는 상태로 전환될 수 없으나, 곰팡이나 세균 등은 여전히 순환유로(130) 내에서 증식되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장기간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열교환부(200)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장기간 미사용 시에도 정기적인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기설정된 듀티비, 기설정된 작동모드, 기설정된 값, 기설정된 기간 등은 모두 사전의 실험 또는 통계 데이터를 통해 적절히 선택되어지는 팩터로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설계 단계 또는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8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입력부(800)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살균부(300)가 소정의 작동모드 또는 상태에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 이외에도,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살균 기능이 즉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오염 정도에 대한 사용자의 민감도는 각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살균 기능의 수행 빈도 역시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의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살균 기능을 작동시켜 오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입력부(800)를 통해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000)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각기 다른 성향의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살균 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주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 1 내지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의류 처리 장치(1000)가 대기모드 상태(S100)에서 소정의 작동 신호 등의 입력에 의해 작동모드로 전환된다(S200).
다음으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 과정에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드럼(30)으로 재유입시키도록 공기를 순환시킨다(S300). 이 경우, 공기의 순환은 흡입덕트(120), 순환유로(130), 유입덕트(140) 및 순환팬(110)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공기의 순환유로(130) 상에 설치된 열교환부(20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S400). 즉, 드럼(30)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함습하여 순환유로(130)로 유입되고, 열교환부(200)를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30)으로 공급된다.
다음으로, 열교환부(200)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한다(S500, S600, S700, S800, S900). 즉, 오염의 우려가 큰 열교환기 부분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자외선살균부(300)는 열교환부(200)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순환유로(13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자외선살균부(300)의 제어는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작동모드 또는 상태 등을 고려하여 각기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하는 단계(특히, S900 단계)는 기설정된 듀티비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시켜 수행될 수 있다.
즉, 자외선살균부(300)에서 자외선광을 지속적으로 조사하지 않고, 소정의 듀티비에 따라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며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경우, 곰팡이나 세균 등에 대한 살균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는, 드럼(30)에서 수행중인 작동모드를 감지하는 단계(S500) 및 드럼(30)에서 기설정된 작동모드(설정상태)로 전환(S600) 시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기에 효율적인 작동모드인지에 따라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므로, 의류 처리 장치(1000)의 전체 작동 과정 중 살균이 필요한 상태에서만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는, 센서부(700)를 통해 드럼(30)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S500) 및 센서부(700)에 의해 감지되는 드럼(30)의 상태가 기설정된 상태에 도달(S600)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센서부(700)를 통하여 현재의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살균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파악한 후 자외선살균부(300)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는,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S700)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의류 처리 장치(1000)가 장기간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자동적으로 열교환부(200)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 자외선살균부(300)를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S800)되는 경우 자외선살균부(300)를 작동시키는 단계(S9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살균 기능을 작동시켜 오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라면, 입력부(800)를 통해 자외선살균부(300)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30: 드럼 100: 공기순환부
110: 순환팬 120: 흡입덕트
130: 순환유로 140: 유입덕트
150: 배기덕트 200: 열교환부
210: 증발기 220: 응축기
300: 자외선살균부 310: 엘이디모듈
400: 커버프레임 410: 제1 경사면
420: 제2 경사면 500: 세척부
600: 제어부 700: 센서부
800: 입력부 1000: 의류 처리 장치

Claims (18)

  1.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는 공기순환부;
    상기 공기순환부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 및
    상기 열교환부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순환유로에 설치되는 자외선살균부;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순환유로를 통과하는 상기 공기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증발기 및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응축기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증발기의 전방면을 향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는, 의류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자외선광을 발산하는 엘이디모듈(LED module)을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의 상면을 커버하며 상기 증발기의 전방면 상부로 함입되는 형상으로 설치되는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커버프레임의 함입된 부분에 설치되는, 의류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전방면에 대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세척부;
    를 더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프레임은
    서로 결합되어 상부로 함입되는 형상을 형성하는 제1 경사면 및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살균부는 상기 제1 경사면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부는 상기 제2 경사면을 따라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의 전방면으로 분사하는, 의류 처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부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에서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드럼의 상태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드럼에 설치되는 전극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극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측정값을 통해 추정되는 상기 드럼 내의 함수율이 기설정된 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의류 처리 장치.
  13. 대기모드 상태에서 작동모드로 전환되는 단계;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유입시키도록 상기 공기를 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공기의 순환유로 상에 설치된 열교환부를 통해 순환되는 상기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교환부에 대하여 자외선광을 조사하도록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듀티비(duty ratio)에 따라 상기 자외선살균부의 작동과 중지를 주기적으로 반복시켜 수행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에서 수행중인 작동모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드럼에서 기설정된 작동모드로 전환 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센서부를 통해 상기 드럼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부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드럼의 상태가 기설정된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대기모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한 작동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살균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00065745A 2020-06-01 2020-06-01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48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45A KR20210148645A (ko) 2020-06-01 2020-06-01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21174436.2A EP3919669B1 (en) 2020-06-01 2021-05-18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330,820 US20210372032A1 (en) 2020-06-01 2021-05-26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2110598718.5A CN113756073B (zh) 2020-06-01 2021-05-31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745A KR20210148645A (ko) 2020-06-01 2020-06-01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645A true KR20210148645A (ko) 2021-12-08

Family

ID=7597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745A KR20210148645A (ko) 2020-06-01 2020-06-01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72032A1 (ko)
EP (1) EP3919669B1 (ko)
KR (1) KR20210148645A (ko)
CN (1) CN1137560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2032A1 (en) * 2020-06-01 2021-12-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80544A1 (ko)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0232A1 (en) * 2018-03-07 2019-09-1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appliance with user sensing functionality
US20220249716A1 (en) * 2021-02-11 2022-08-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aundry pedestal with ultraviolet sterilization draw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38A (en) * 1996-08-23 1998-02-03 Research, Incorporated Coating dryer system
US8844160B2 (en) * 1997-04-29 2014-09-30 Whirlpool Corporatio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6088932A (en) * 1997-12-30 2000-07-18 Amana Company, L.P. Efficiency clothes dryer
CN1886628B (zh) * 2003-09-29 2011-09-07 自推进研发专家公司 热泵式干衣机
CA2540368C (en) * 2003-09-29 2012-12-11 Self Propelled Research And Development Specialists, Llc Heat pump clothes dryer
KR20070053045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세탁기
US20070163098A1 (en) * 2005-12-30 2007-07-19 Tomasi Donald M Drum with low absorbency textured surface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665227B2 (en) * 2005-12-30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low absorbency pads
US7921578B2 (en) * 2005-12-30 2011-04-12 Whirlpool Corporatio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EP2154467A1 (en) * 2008-08-14 2010-02-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eat exchanger with coating,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US8549770B2 (en) * 2009-12-18 2013-10-08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laundry with drying uniformity determination
US8387274B2 (en) * 2010-07-16 2013-03-05 Whirlpool Corporation Variable airflow in laundry dryer having variable air inlet
US8776394B2 (en) * 2011-10-04 2014-07-15 Whirlpool Corporation Blower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8875416B2 (en) * 2012-04-24 2014-11-0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WO2015063016A1 (en) * 2013-11-04 2015-05-07 Arc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dryer with increased ventilating effectiveness
KR102151191B1 (ko) 2014-04-17 202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1467494B1 (ko) * 2014-07-21 2014-12-01 박상래 히트펌프 시스템을 이용한 세탁물 건조장치용 건조유닛
KR101613962B1 (ko) * 2014-11-20 2016-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15952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S2715553T3 (es) * 2016-05-11 2019-06-04 Bsh Hausgeraete Gmbh Electrodoméstico con un tamiz de malla con recubrimiento funcional, tamiz de malla usado en el mismo y proceso para la fabricación del tamiz de malla
KR20180136140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KR20190012838A (ko) * 2017-07-28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20190128464A (ko) 2018-05-08 2019-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KR102598547B1 (ko) 2018-11-30 2023-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압력 용기 및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CN110699935A (zh) * 2019-09-27 2020-01-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设备的方法、装置、智能晾衣架及存储介质
US11697902B2 (en) * 2019-12-05 2023-07-1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Liner for dryer appliances
KR20210148645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72032A1 (en) * 2020-06-01 2021-12-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80544A1 (ko) 2021-11-02 2023-05-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19669A1 (en) 2021-12-08
US20210372032A1 (en) 2021-12-02
CN113756073B (zh) 2023-10-27
CN113756073A (zh) 2021-12-07
EP3919669B1 (en)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48645A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U2590833C1 (ru) Суш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
US6954995B2 (en) Drying/washing machine
KR101525568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0872218B1 (ko) 건조기의 제어장치
US20210040675A1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EP2319979B1 (en)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05334636A (ja) 脱臭手段を有する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US20090282696A1 (en) Dry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049109A (ja) 洗濯機
KR20120102428A (ko) 건조기능을 갖는 옷장
US20220341086A1 (en) Clothes dryer using led light source
JP4636155B2 (ja) 洗濯乾燥機
US20230175192A1 (en) Electronic device for shoe or clothing ca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JP2013244171A (ja) 衣類乾燥機
KR102136738B1 (ko) 세탁물 건조 장치
KR940006252B1 (ko) 의류 건조기 및 이를 위한 제어장치
KR102249080B1 (ko) 현열 교환형 급속건조 의류관리 장치
JP3816351B2 (ja) 浴室用空調機
JP2013153934A (ja) 衣類乾燥機
KR101994840B1 (ko) 고효율 살균건조기 및 그것의 작동제어방법
KR101165633B1 (ko) 의류 건조기의 자외선 램프 제어방법
US20240042079A1 (en) Shoe care apparatus
JP3850679B2 (ja) 浴室用空調機
KR20070002441A (ko) 식기세척기의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