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5952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5952B1
KR102515952B1 KR1020160001189A KR20160001189A KR102515952B1 KR 102515952 B1 KR102515952 B1 KR 102515952B1 KR 1020160001189 A KR1020160001189 A KR 1020160001189A KR 20160001189 A KR20160001189 A KR 20160001189A KR 102515952 B1 KR102515952 B1 KR 102515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washing water
duct
spra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045A (ko
Inventor
윤주한
안성우
조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1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5952B1/ko
Priority to PCT/KR2016/012801 priority patent/WO2017119586A1/ko
Priority to AU2016384523A priority patent/AU2016384523B9/en
Priority to JP2018534736A priority patent/JP6979953B2/ja
Priority to EP16204926.6A priority patent/EP3190225B1/en
Priority to CN201611186367.2A priority patent/CN106939493B/zh
Priority to US15/392,098 priority patent/US10273627B2/en
Publication of KR2017008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5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5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냉매를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순환시키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기 및 응축기로 경유하여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 및 상기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증발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물질 청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청소 유닛은, 세척수 공급부;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의 세척수 분사면인 수직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분사하는 노즐부;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노즐부를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관; 및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드럼의 내부로 열풍을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 의류 등을 건조하는 건조기, 또는 의류 등을 세탁 및 건조하는 세탁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 기능을 갖는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및 건조를 위해 의류 등이 투입되는 드럼을 캐비닛 내부에 구비하고, 드럼 내부에서 세탁물의 수분을 증발시키고 빠져나가는 고온 다습한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순환식과 배기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순환식의 경우 드럼 내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드럼으로 다시 재공급되어 순환되며, 열교환기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응축된다.
배기식의 경우 드럼 내부에서 배출되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캐비닛의 외부로 직접 배출되어 버려진다.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건조에 사용된 후 드럼을 빠져나오는 공기는 의류 등의 세탁물에서 나오는 린트(Lint)와 같은 이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은 의류처리장치의 기계적 구성 요소를 통과하면서 고장을 일으키거나, 외부로 배출되면서 외부의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필터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한 린트나 이물질은 필터를 통과하여 열교환기의 공기유입부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이 미세한 린트 등의 이물질이 열교환기에 일정 수준 이상 축적되면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할 때 축적된 이물질로 인해 공기의 유동저항이 발생하므로, 풍량이 감소하여 건조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사용자가 커버를 열고 열교환기에 축적된 린트를 청소도구를 이용해 직접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커버를 분리하고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먼지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교환기에 축적된 린트를 제거하는 다른 방법으로 선행기술특허문헌 D1에 청소수단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1의 의류처리장치는 외력에 의해 작동하여 열교환기에 달라붙은 린트를 제거하는 청소수단을 포함하여 린트 등의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한다. 청소수단에 의하면,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기계력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이 린트제거부의 솔(Brush)에 전달되고, 수동 또는 외력에 의해 솔이 열교환기의 전면을 긁어 린트 등의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제거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특허문헌 D1의 경우 수동의 조작력 또는 기계력에 의한 외력을 캐비닛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에 제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D1: 공개특허 제10-2014-0050984호(2014. 04. 3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의 커버를 열거나 외부에 수동의 조작력 또는 외력을 제공하지 않고도 열교환기에 축적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및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를 구비하고,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증발기 및 응축기로 통과시키며 상기 드럼으로 재순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 및 상기 증발기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증발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물질 청소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청소 유닛은, 세척수 공급부; 및 상기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의 세척수 분사면인 수직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는 직수식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고, 세척수 공급부와 노즐부를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관과, 세척수 공급관에 설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세척수 공급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 청소 유닛은, 상기 세척수 공급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노즐부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냉매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여 상기 증발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물질 청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청소 유닛은, 분사홀을 구비하고,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분사하는 노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를 수용하는 덕트바디; 및 상기 덕트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저면에 복수의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에서 복수의 결합돌기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홀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홀을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돌기의 하단부를 융착시켜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 개방형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증발기의 분사면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는 덕트커버의 내측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홀은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기설정되는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 자체가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의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노즐부의 저면이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의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커버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노즐부의 입구측면 양쪽 단부와 덕트커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과 양쪽 측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예에 따르면,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노즐부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밀폐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노즐부에서 물의 자동 분사를 통해 열교환기에 축적된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열교환기에서의 유동저항을 줄이며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필요 시 세척수가 열교환기의 공기유입부로 자동 분사되어 열교환기에 축적되는 린트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의 커버를 열지 않고 수동으로 조작하거나 기계력 등에 의한 외력을 제공하지 않아도 열교환기의 린트 청소가 가능하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캐비닛 내부에 히트펌프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d는 도 1b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c의 열교환 덕트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b의 히트펌프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b의 노즐부를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3b의 덕트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3b의 덕트커버의 저면도이다.
도 6a는 도 4의 결합돌기가 융착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4의 결합돌기가 융착된 후 모흡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히트펌프 모듈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에 도시되는 캐비닛(10)은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캐비닛(10)은 육면체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탑커버(10a), 육면체의 양쪽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커버(10b), 육면체의 전방면을 형성하는 프런트커버(10d), 육면체의 후방면을 형성하는 백커버(10e) 및 육면체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커버(10c)를 포함한다.
프런트커버(10d)는 의류 등의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을 캐비닛(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해 원형의 도어(11)가 프런트커버(10d)에 구비된다. 도어(11)는 왼쪽 측면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오른쪽 측면이 전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어(11)의 오른쪽 측면에 누름식 록킹장치가 구비되어, 도어(11)의 오른쪽 단부를 한번 누르면 도어(11)가 잠기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1)가 잠금해제된다.
또한, 프런트커버(10d)의 오른쪽 상단에는 전원버튼(1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도어(11)의 상단부에 디스플레이부(13)가 형성된다. 디스플레이부(13)는 의류처리장치의 현재 동작 및 모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에 터치식 조작패널이 구비되어,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터브(17)의 하부 및 캐비닛(10)의 저면 사이에 세제공급부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삽입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프런트커버(10d)의 하단부에 하부커버(14)가 하부힌지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도 1b는 도 1a의 캐비닛 내부에 히트펌프 모듈이 배치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캐비닛(10)의 내부에 원통형의 터브(17)가 구비된다. 터브(17)의 전방면에 세탁물 및 건조대상물의 투입 및 인출을 위해 프런트커버(10d)의 투입구와 연통되는 투입구가 형성된다. 터브(17)의 내부에 중공부가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될 수 있다. 터브(17)의 투입구에서 프런트커버(10d)의 투입구로 연장되도록 가스켓(17a)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터브(17)에 저장된 세탁수가 터브(17)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럼(18)의 회전시 터브(17)에 발생된 진동이 캐비닛(1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스켓(17a)은 고무와 같은 진동절연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터브(17)의 상부 뒤쪽에 공기출구(171)가 형성되어, 터브(17)에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터브(17)의 가스켓(17a) 상부에 공기입구(172)가 형성되어, 터브(17)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터브(17)의 내부에 원통형의 드럼(18)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드럼(18)은 내부에 세탁물 및 건조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하고, 드럼(18)의 전방면에 터브(17)의 투입구와 연통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된다. 드럼(18)의 외주면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관통공을 통해 드럼(18)과 터브(17) 사이에 세탁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다. 드럼(18) 내부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리프터가 설치되어, 드럼(18)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텀블링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탁 시 터브(17)에 공급되는 세탁수는 관통공을 통해 드럼(18)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8)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이 세탁수에 적셔짐으로 세탁된다. 또한, 건조 시 터브(17)의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은 관통공을 통해 드럼(18) 내부로 유입되고, 드럼(18)이 회전함에 따라 드럼(18)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의 수분은 열풍에 의해 증발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킨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히트펌프 사이클을 구성하는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114)를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일체형으로 모듈화한다. 순환팬(130) 및 기액분리기(115)도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모듈화된 히트펌프 모듈(100)은 터브(17)의 상부와 탑커버(10a) 사이에 배치된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내부에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수용하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113)를 지지하는 압축기 베이스부(122)로 구성된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상부 전방에 배치되고,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터브(17)와 연결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유로를 형성하는 순환덕트 역할을 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압축기(113)를 터브(17)의 상부 및 캐비닛(10)의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에 매달리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일체형 하우징(120)은 캐비닛(10)의 전방면, 예를 들면 전방프레임(15)과 캐비닛(10)의 후방면, 예를 들면 백커버(10e)의 상부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전방면은 전방프레임(15)의 후면에 접촉되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후방면은 백커버(10e)의 앞쪽면에 접촉되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터브(17)의 상부 외주면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드럼(18)의 회전 시 드럼(18)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17)를 통해 히트펌프 모듈(1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3)에서 발생하는 진동이 압축기 베이스부(122)를 통해 터브(17)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하우징(120)에 의해 히트펌프 사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111), 압축기(113), 응축기(112) 및 팽창밸브(114) 등이 일체화됨으로 히트펌프 시스템의 배치공간을 컴팩트하게 최적화시킬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증발기(111)와 열교환시킴으로 증발기(111)를 통해 상기 공기의 열을 흡수하며 공기중의 수분을 제거한다(히트펌프 모듈(100)의 제습기능). 또한, 히트펌프 모듈(100)은 증발기(111)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응축기(112)와 열교환시킴으로 응축기(112)를 통해 응축기(112)를 지나는 냉매의 열을 터브(17)의 내부로 재공급될 공기로 방출한다(히트펌프 모듈(100)의 열원공급 기능).
히트펌프 모듈(100)은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팬(130)을 포함한다. 순환팬(130)은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에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다.
히트펌프 모듈(100)의 우측면 하단부에 드레인 호스(19)가 구비된다. 일체형 하우징(120)의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캐비닛(10)의 오른쪽 측면 모서리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열교환 덕트부(121)의 저면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더 낮게 위치한다. 또한,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의 증발기(111)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열교환 덕트부(121)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 하단에 배수구가 형성된다. 배수구에 드레인 호스(19)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드레인 호스(19)의 하단부는 배수펌프와 연결된다. 드레인 호스(19)는 일체형 하우징(120)의 오른쪽 측면에 순환팬(130)과 근접하게 위치한다. 배수펌프는 터브(17)의 하부에 배치된다. 예를 들면, 증발기(111) 및 린트필터를 물로 세척한 후, 세척을 마친 더러운 세척수가 열교환 덕트부(121)의 저면을 따라 오른쪽 측면으로 이동하여 드레인 호스(19), 배수펌프 및 배수호스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드럼(18)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증발기(111)를 통과하면서 증발기(111)에 열을 빼앗김으로 응축된 응축수도 상기 드레인 호스(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일체형 하우징(120)은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 베이스부(122) 사이에 배치되는 기액분리기 장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가 기액분리기 장착부(123)에 장착된다.
제어부는 히트펌프 모듈(100)뿐만 아니라 의류처리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높이가 가로 및 세로 길이에 비해 낮은 납작한 직사각형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PCB 케이스(19)와, PCB 케이스(19)의 내부에 내장되는 PCB와, PCB에 장착되는 전기/전자 제어부품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c는 도 1b의 PCB 케이스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배면사시도이다.
PCB 케이스(19)는 터브(17)의 상부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에 대각선 방향(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를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B 케이스(19)의 경우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왼쪽 사이드커버(10b) 사이의 공간에 비해 PCB 케이스(19)의 가로길이가 길어서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PCB 케이스(19)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해서 프런트커버(10d)에서 봤을 때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에서 왼쪽 측면 아래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에 위치하고,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에서 하방향으로 공간이캐비닛(10)의 중앙 상부와 터브(17)의 상부 사이의 공간보다 더 넓기 때문에 PCB 케이스(19)의 오른쪽 측면은 히트펌프 모듈(100)의 왼쪽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PCB 케이스(19)의 왼쪽 측면은 캐비닛(10)의 왼쪽 사이드커버(10b)를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캐비닛(1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PCB 케이스(19)이 상부면 일측에서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191)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돌기(191)의 상단부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은 PCB 케이스(19)의 지지를 위해 프런트커버(10d)의 상단부 일측에서 백커버(10e)의 상단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고정부재(19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191)의 상단부가 고정부재(192)의 측면에 걸리도록 지지됨으로 PCB 케이스(19)가 캐비닛(10)의 왼쪽 측면 모서리 및 히트펌프 모듈(100) 사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컴팩트하게 배치된다.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완제품 조립 전에 모듈 단위로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이처럼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성능 검사 등을 위해 히트펌프 모듈(100)과 연결되므로, PCB 케이스(19)가 히트펌프 모듈(100)과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PCB 케이스(19)는 히트펌프 모듈(100)의 측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가깝게 배치 및 연결됨에 따라 히트펌프 모듈(100)과 함께 캐비닛(10)의 내부에 컴팩트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d는 도 1b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왼쪽 단부는 터브연결턱트(1711)를 통해 터브(17)의 상부 뒤쪽에 형성되는 공기출구(171)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터브연결덕트(1711)의 하부에 주름관이 형성되어, 드럼(18) 회전 시 터브(17)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열교환 덕트부(121)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에 연결되는 팬 덕트부(131)가 구비된다. 팬 덕트부(131)의 내부에 순환팬(130)이 수용되어 지지되고,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흡입한다. 팬 덕트부(131)는 열교환 덕트부(121)와 터브(17)의 가스켓(17a) 상부를 연통되게 연결한다.
공기의 순환을 위한 순환유로는 터브연결덕트(1711), 열교환 덕트부(121) 및 팬 덕트부(1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드럼(18) 내부의 공기는 터브(17)의 상부의 후방에서 빠져나와 터브연결덕트(1711)를 통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로 유입되고,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에 수용된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경유하고, 열교환 덕트부(121)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순환팬(130)에 의해 흡입되어 팬 덕트부(131)를 통해 터브(17) 및 드럼(18)의 내부로 재공급된다.
도 2는 도 1c의 열교환 덕트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기능에 따라 구간별로 구분하면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순환연결덕트(1211),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가 장착되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 및 공기를 순환팬(130)으로 전달하는 팬연결덕트(1213)로 구성될 수 있다.
순환연결덕트(1211)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왼쪽 측면에서 터브(17)의 공기출구(171)를 향해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고, 순환연결덕트(1211)의 내부에 공기안내가이드(1211a)가 수직하게 돌출 형성되어, 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증발기(111)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상류측인 왼쪽에 장착되고, 응축기(112)는 열교환기 장착부(1212)의 하류측인 오른쪽에 장착되어, 열교환 덕트부(121)로 유입되는 공기는 증발기(111)와 응축기(112) 순서로 통과한다.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는 둘 다 복수의 열전달판(110b)과 냉매관(110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열전달판(110b)은 냉매와 열교환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공기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틈새를 두고 촘촘하게 이격되며 수직하게 배치되고, 공기가 복수의 열전달판(110b) 사이로 지나가며 열전달판(110b)을 통해 냉매관(110a)으로 열 전달한다. 냉매관(110a)은 공기와의 열교환을 위해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도록 냉매유로를 형성한다. 냉매관(110a)은 한 개의 파이프이고, 파이프의 내부에 냉매가 흘러 공기와 열교환한다. 냉매관(110a)은 냉매유로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열전달판(110b)을 관통하며 상하방향으로 S자 형태로 굴곡있게 형성된다.
증발기(111)의 상류측 상단부에 이물질 청소 유닛(140)이 구비되어,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물질 청소 유닛(140)은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부에 축적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물질 청소 유닛(140)은 저면에 분사홀(1411a)을 구비하여 분사홀(1411a)을 통해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141)로 구성될 수 있다. 노즐부(141)는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사각형 박스 구조로 이루어진 노즐바디(1411)를 포함한다. 노즐바디(1411)의 일 측면에 세척수 공급관(142)이 형성되어, 세척수가 노즐바디(1411)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b의 히트펌프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A-A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하측이 터브(17)의 전방부 및 프런트커버(10d)와 가까운 쪽이고, 상측이 터브(17)의 후방부 및 백커버(10e)와 가까운 쪽이다. 하측의 열교환 덕트부(121)는 터브(17)의 전방부를 향해 배치되고, 상측의 압축기 베이스부(122)는 터브(17)의 후방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와 압축기 베이스부(122) 사이에 팽창밸브(114) 및 기액분리기(115)가 배치될 수 있다. 기액분리기(115)는 증발기(111)와 압축기(113)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에 설치되고, 증발기(111)에서 배출되는 냉매 중 기상 냉매와 액상 냉매를 분리한 후 기상 냉매만 압축기(11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기액분리기(115)는 압축기 베이스부(122)의 왼쪽 측면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기액분리기 장착부(123)에 장착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프런트커버(10d)에서 열교환 덕트부(121)를 바라본 모습으로서,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에 증발기(111)와 응축기(112)가 좌우방향으로 이격되게 장착되어 있다. 터브(17)의 상부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좌측은 터브(17)의 상부 중앙에 근접하고, 열교환 덕트부(121)의 우측은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우측 사이드커버(10b)를 향해 연장된다. 또한, 열교환 덕트부(121)의 저면은 터브(17)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터브(17)의 상부 중앙과 탑커버(10a) 사이의 높이공간보다 터브(17)의 외주면을 따라 오른쪽으로 갈수록 터브(17)의 오른쪽 외주면과 탑커버(10a) 사이의 높이공간이 더욱 넓으므로,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가 터브(17)의 상부 중앙에서 오른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증발기(111)보다 응축기(112)가 하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높이가 증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터브(17)의 상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더욱 높임으로 건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열교환 덕트부(121)의 오른쪽 측면에 팬 덕트부(131)가 구비된다.
팬 덕트부(131)의 내부에 팬모터(132)와 임펠러(133)가 수용되어 지지된다. 팬 덕트부(131)의 오른쪽 측면에 팬모터(132)가 장착되고, 임펠러(133)는 팬모터(132)의 왼쪽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임펠러(133)는 팬모터(132)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팬모터(132)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에 따라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터브(17) 및 드럼(18)의 내부로 송출한다.
열교환 덕트부(121)는 덕트바디(121a)와 덕트커버(121b)로 구성될 수 있다. 덕트바디(121a)는 증발기(111) 및 응축기(112)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하고, 덕트커버(121b)는 덕트바디(121a)의 상부를 커버하여, 덕트바디(121a)와 함께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를 절연시킨다. 즉,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 공기가 열교환 덕트부(121)의 외부 공기와 혼합되거나 열교환되지 않도록 외부 공기로부터 내부 공기를 밀폐시켜 열교환기(110)의 냉매와 공기만이 열교환되도록 한다.
히트펌프 모듈(100)은 이물질 청소 유닛(140)을 구비한다. 이물질 청소 유닛(140)은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부(141)를 포함한다. 노즐부(141)는 증발기(111)의 공기유입측 상부에 설치된다. 노즐부(141)는 덕트커버(121b)의 내측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노즐부(141)는 증발기(111)의 전단면(공기유입 측면)에 물을 분사하여 증발기(111)에 축적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4는 도 3b의 노즐부(141)를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노즐부(141)는 상부면이 개방되고 전후면과 저면이 밀폐되는 박스 형태의 노즐바디(14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바디(1411)의 상부면이 개방되게 한 이유는 공기가 증발기(111)로 유입될 때 유동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 만약 노즐바디(1411)의 높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노즐바디(1411)의 상부면이 밀폐되도록 형성할 경우에 상부면의 두께만큼 노즐바디(1411)의 내부공간이 축소될 수 있고, 노즐바디(1411)의 내부공간의 부피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노즐바디(1411)의 상부면이 더해질 경우에 상부면의 두께만큼 공기유로의 높이가 좁아지고 공기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노즐바디(1411)는 증발기(111)의 상류측 상단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는 공기유동 시 노즐바디(1411)의 후방면(공기이동방향 기준으로 하류 측면)에서 와류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따라서, 노즐바디(1411)는 증발기(111)와의 틈새가 거의 없이 접촉됨으로 와류에 의한 유동저항을 피할 수 있다.
노즐바디(1411)의 저면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홀(1411a)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홀(1411a)의 중심선은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인 수직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분사홀(1411a)의 중심선과 증발기(111)의 수직면 사이의 각도에 따라 분사각도(α)가 달라질 수 있다.
분사홀(1411a)의 분사각도(α)는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에 축적되는 린트 등의 이물질 제거효율의 중요한 인자이다. 분사홀(1411a)의 분사각도(α)는 증발기(111)의 수직 상부면에 대하여 상류측방향(반시계방향)으로 2도 내지 1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홀(1411a)의 중심선과 증발기(111)의 수직면 사이의 각도인 분사각도(α)는 3도가 최적이다.
만약 상기 분사각도(α)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이물질 제거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척수의 분사각도(α)가 클수록, 즉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공기이동방향과 가까울수록 세척수로 하여금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에서 이물질을 공기이동방향으로 분리시키는 힘을 증가시킬 있을 지는 몰라도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수직면)에서 증발기(111) 안쪽으로 더 들어갈 뿐 중력에 의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저면으로 배수되도록 하는데 불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의 분사각도(α)가 작을수록, 즉 세척수의 분사방향이 수직선에 가까울수록 증발기(111)의 공기 유입면에서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힘이 중력과 함께 더 해져 세척수와 이물질이 증발기(111)의 공기 유입면을 타고 내려가 응축수 배수구를 통해 드레인 호스(19)로 배출될 수 있다.
덕트바디(121a)의 하부면에는 지지돌기(121a1)가 돌출형성되어 증발기(111)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고, 지지돌기(121a1)는 증발기(111)의 하부면과 덕트바디(121a)의 저면 사이에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열교환 덕트부(121)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가 증발기를 우회함이 없이 증발기(111)를 통과하므로 증발기(111)의 열교환 및 제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a는 도 3b의 덕트커버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3b의 덕트커버의 저면도이다.
분사홀(1411a)은 노즐바디(1411)의 저면에서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 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분사홀(1411a)은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 상단부와 인접하게 노즐바디(1411)의 저면에서 후단부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분사홀(1411a)을 통해 세척수가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에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사홀(1411a)은 복수개가 아니라 일직선 형태로 연속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되는 덕트커버(121b)의 후방 측면에는 노즐부(141)와 연통되는 세척수 공급관(142)을 구비한다. 세척수 공급관(142)은 급수관에 의해 세척수 공급부(145)에 직수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수식 세척수 공급부(145)란 일반 주택에 공급되는 상수도 배관의 수도꼭지와 급수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물이 일정한 저장공간에 저장되지 않고 급수호스를 통해 물이 직접 공급됨을 의미한다. 급수관에 세척수 공급밸브(143)가 설치되어, 세척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밸브(143)는 전자솔레노이드밸브로 구현되어, 컨트롤러(144)의 제어신호를 받아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러(144)는 캐비닛(10)의 조작패널에 입력되는 입력신호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기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필요시 세척수의 공급 시기 및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덕트커버는 노즐부(141)의 양단부와 덕트커버(121b)의 측면 사이로 공기의 유입을 막기 위해 돌기부(121b3)를 구비한다. 돌기부(121b3)는 덕트커버(121b)의 양쪽 측면에서 안쪽으로 돌출형성되어, 노즐부(141)의 양쪽 단부와 덕트커버(121b)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만약, 열교환 덕트부(121)로 흡입된 공기가 노즐부(141)의 양쪽 단부와 덕트커버 사이의 틈새로 유입될 경우 증발기(111)를 통과하지 않고 우회할 수 있고, 이는 결국 증발기(111)의 열교환 및 제습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돌기부(121b3)는 덕트커버(121b)의 내측면에서 하방향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노즐부(141)의 높이보다 더 작다. 이에 의해, 공기가 돌기부(121b3)를 타고 노즐부(141)를 쉽게 넘어감으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a는 도 4의 결합돌기가 융착되기 전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4의 결합돌기가 융착된 후 모흡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이다.
노즐부(141)는 열교환 덕트부(121)의 덕트커버(121b)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노즐바디(1411)의 상부면은 덕트커버(121b)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노즐바디(1411)와 덕트바디(121a)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밀폐홈(121b2)이 형성되고, 밀폐홈(121b2)에 노즐바디(1411)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압착될 수 있다.
덕트바디(121a)의 내측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결합돌기(121b1)가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덕트바디(121a)에서 직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노즐바디(1411)의 저면에 상기 결합돌기(121b1)가 관통 삽입되도록 관통홀(1411b)이 형성된다. 관통홀(1411b)은 노즐바디(141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노즐바디(1411)의 저면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결합돌기(121b1)의 하단부는 히터를 구비하는 열압착 프레스 등에 의해 압착되어 융착된다. 융착된 결합돌기(121b1)의 하단부는 열에 의해 융착됨으로 노즐바디(1411)의 관통홀(1411b)과 결합돌기(121b1)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며 노즐바디(1411)가 덕트커버(121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다른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의 노즐부(241)는,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노즐부(241) 자체가 증발기(111)의 수직면에 대하여 틀어지게 설치되거나 노즐부(241)의 전방면과 후방면은 수직하게 형성되되 노즐부(241)의 저면이 증발기(111)를 향해 수평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α)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사홀(2411a)의 중심선은 노즐바디(2411)의 저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수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홀(2411a)의 내주면은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원추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잇다. 노즐바디(2411)의 저면이 수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에 노즐바디(2411)는 전방면(상류측)에서 후방면(하류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질 수 있다. 분사홀(2411a)은 증발기(111)의 공기유입면(수직면)과 인접하게 형성되되 노즐바디(2411)의 저면과 직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분사홀(2411a)의 중심선과 증발기(111)의 수직면이 이루는 분사각도(α)는 2도 내지 10도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각도(α)는 3도가 최적이다. 상기한 분사각도(α) 범위보다 지나치게 클수록 이물질이 포함된 세척수와 증발기(111)의 열전달판(110b) 사이의 응집력에 의해 세척수 및 이물질이 증발기(111) 안쪽으로 더 넓게 퍼져 이물질 제거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분사각도(α) 범위보다 지나치게 작을 경우 분사홀(2411a)의 성형 오차로 인해 세척수가 증발기(111)에 도달하지 않고 증발기(111) 앞쪽 아래로 바로 배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노즐부의 또 다른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덕트커버(221b)의 내측 상부면에 슬라이딩 가이드(221b1)가 서로 마주보며 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슬라이딩 가이드(221b1)는 공기이동방향으로 이격되며 공기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221b1)의 전방면(상류측) 또는 후방면(하류측)에 돌출턱(221b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노즐바디(3411)의 상단부 내측 양쪽 측면에 각각 가이드홈(3411b)이 형성되고, 노즐바디(3411)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21b1)를 따라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가이드(221b1)의 돌출턱(221b2)은 노즐바디(3411)의 가이드홈(3411b)에 끼워짐으로 노즐바디(1411)가 덕트커버(121b)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3411b)은 슬라이딩 가이드(221b1)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221b2)은 노즐바디(3411)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8의 노즐바디(3411)에 채용된 슬라이딩 가이드(221b1)의 결합구조는 도 4의 노즐부(141)에 적용될 수 있다.
분사홀(3411a)의 중심선은 도 7과 동일하게 노즐바디(3411)의 저면에 대하여 직각 또는 수직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히트펌프 모듈(100)을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 캐비닛
10a : 탑커버
10b: 사이드커버
10c : 베이스커버
10d : 프런트커버
10e : 백커버
11 : 도어
12 : 전원버튼
13 : 디스플레이부
14 : 하부커버
15 : 전방프레임
17 : 터브
171 : 공기출구
1711 : 터브연결덕트
172 : 공기입구
17a : 가스켓
18 : 드럼
181 : 회전중심선
19 : 드레인 호스
100 : 히트펌프 모듈
110 : 열교환기
110a : 냉매관
110b : 열전달판
111 : 증발기
112 : 응축기
113 : 압축기
114 : 팽창밸브
115 : 기액분리기
120 : 일체형 하우징
121 : 열교환 덕트부
1211 : 순환연결덕트
1211a : 공기안내가이드
1212 : 열교환기 장착부
1213 : 팬연결덕트
121a : 덕트바디
121a1 : 지지돌기
121b,241b : 덕트커버
121b1 : 결합돌기
121b2 : 밀폐홈
121b3 : 돌기부
221b1 : 슬라이딩 가이드
221b2 : 돌출턱
122 : 압축기 베이스부
123 : 기액분리기 장착부
130 : 순환팬
131 : 팬 덕트부
132 : 팬모터
133 : 임펠러
140 : 이물질 청소 유닛
141,241,341 : 노즐부
1411,2411, 3411 : 노즐바디
1411a,2411a,3411a : 분사홀
1411b : 관통홀
3411b : 가이드홈
142 : 세척수 공급관
143 : 세척수 공급밸브
144 : 컨트롤러
145 : 세척수 공급부
α : 분사각도

Claims (1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고, 세탁물 또는 건조대상물의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냉매와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열교환시켜 상기 공기를 제습하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부를 구비하여 상기 증발기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청소하는 이물질 청소 유닛;
    상기 증발기를 수용하는 덕트바디; 및
    상기 덕트바디의 상부를 커버하는 덕트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부는 저면에 복수의 결합홀을 구비하고,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에서 복수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부에 결합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복수의 결합홀을 관통하는 복수의 결합돌기를 융착시켜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 개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증발기의 분사면의 상단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덕트커버의 내측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분사홀은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기설정되는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부 자체가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틀어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의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분사홀을 구비하고,
    상기 노즐부의 저면이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을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분사홀의 중심선이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상기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커버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노즐부의 입구측면 양쪽 단부와 덕트커버 사이의 틈새를 막아주도록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과 양쪽 측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커버의 내측면에 상기 노즐부의 상단부가 끼워지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밀폐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분사홀을 구비하고, 세척수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를 상기 증발기의 분사면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분사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01189A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KR102515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89A KR102515952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12801 WO2017119586A1 (ko) 2016-01-05 2016-11-08 의류처리장치
AU2016384523A AU2016384523B9 (en) 2016-01-05 2016-11-08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18534736A JP6979953B2 (ja) 2016-01-05 2016-11-08 衣類処理装置
EP16204926.6A EP3190225B1 (en) 2016-01-05 2016-12-19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1611186367.2A CN106939493B (zh) 2016-01-05 2016-12-20 衣物处理装置
US15/392,098 US10273627B2 (en) 2016-01-05 2016-12-28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189A KR102515952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045A KR20170082045A (ko) 2017-07-13
KR102515952B1 true KR102515952B1 (ko) 2023-03-30

Family

ID=5757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189A KR102515952B1 (ko) 2016-01-05 2016-01-05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273627B2 (ko)
EP (1) EP3190225B1 (ko)
JP (1) JP6979953B2 (ko)
KR (1) KR102515952B1 (ko)
CN (1) CN106939493B (ko)
AU (1) AU2016384523B9 (ko)
WO (1) WO2017119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952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10544539B2 (en) 2017-02-27 2020-01-28 Whirlpool Corporation Heat exchanger filter for self lint cleaning system in dryer appliance
KR20180136763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
CN108486838B (zh) * 2018-04-16 2021-01-26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一种可吹洗换热器的热泵式干衣机
CN108816887B (zh) * 2018-06-25 2020-06-16 绍兴伟乐服饰有限公司 一种基于空气流通和离心力分离的雨衣清洗烘干一体机
KR102561544B1 (ko) * 2018-10-16 202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352736B2 (en) * 2019-07-15 2022-06-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KR20210148645A (ko) * 2020-06-01 2021-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3531774A (ja) * 2020-07-03 2023-07-25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衣類処理装置
CN113930951B (zh) * 2020-07-14 2024-03-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
KR20220014623A (ko) * 2020-07-29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9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68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20114270A (ko) * 2021-02-08 2022-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4941223A (zh) * 2021-02-08 2022-08-26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WO2023101317A1 (ko) * 2021-11-30 2023-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30126584A (ko) * 2022-02-23 2023-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WO2023186280A1 (en) * 2022-03-30 2023-10-0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treatment machine with heat pump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6133A (ja) 2012-09-04 2014-03-17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41830A1 (fr) * 1976-02-19 1977-09-16 Air Ind Installation pour le traitement thermique continu d'un produit en defilement dans une enceinte
JPS5326884U (ko) * 1976-07-10 1978-03-07
US4621438A (en) * 1980-12-04 1986-11-11 Donald M. Thompson Energy efficient clothes dryer
JP3788247B2 (ja) * 2001-02-23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マグネットロータ、このプラスチックマグネットロータを用いた電動機、及びこの電動機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3786022B2 (ja) * 2002-01-29 2006-06-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食器洗い機
JP2004135755A (ja) * 2002-10-16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CN100334290C (zh) * 2003-08-07 2007-08-29 三洋电机株式会社 烘干机
JP4266903B2 (ja) * 2004-09-07 2009-05-27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8024948B2 (en) * 2005-07-28 2011-09-27 Sharp Kabushiki Kaisha Drum type drying and washing machine
DE102006007443A1 (de) * 2006-02-17 2007-08-2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Bauteil eines Haushaltswäschetrockners
DE102006007420A1 (de) * 2006-02-17 2007-08-3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Reinigungsvorrichtung für ein Bauteil innerhalb eines Prozess-luft-Kreislaufes eines Haushaltswäschetrockners
JP2008048783A (ja) * 2006-08-22 2008-03-06 Sharp Corp 食器洗い機
DE102006061211A1 (de) * 2006-12-22 2008-06-2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lusen aus einem Wärmetauscher eines Hausgeräts, sowie entsprechendes Hausgerät
JP4889545B2 (ja) * 2007-03-30 2012-03-07 三洋電機株式会社 乾燥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洗濯乾燥機
WO2009031812A2 (en) * 2007-09-04 2009-03-12 Lg Electronics Inc. Dehumidifying apparatus for dryer
KR100925739B1 (ko) * 2007-09-13 200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덕트리스 건조기
DE102007060851A1 (de) * 2007-12-18 2009-06-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zur Pflege von Wäschestücken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Flusen
US8104191B2 (en) * 2008-07-31 2012-01-3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Laundry dryer providing moisture application during tumbling and reduced airflow
DE102008054548A1 (de) * 2008-12-11 2010-06-1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Umluftanteil sowie Verfahren zu seinem Betrieb
JP2010194249A (ja) * 2009-02-27 2010-09-09 Toshiba Corp 洗濯乾燥機
DE102009001548A1 (de) * 2009-03-13 2010-09-1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äschetrocknungsgerät mit einem innerhalb eines Prozessluftkreislaufs angeordneten Flusensieb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s Wäschetrocknungsgeräts
EP2567016B1 (en) * 2010-05-07 2021-08-2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EP2386679B1 (en) * 2010-05-13 202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dryer
JP2012095718A (ja) * 2010-10-29 2012-05-24 Toshiba Corp 衣類乾燥機
KR101839360B1 (ko) * 2010-12-29 2018-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열교환기 세척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JP5824639B2 (ja) * 2011-09-02 2015-1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US20130061757A1 (en) * 2011-09-14 2013-03-14 Abdulreidha A.T.A. Alsaffar System for decontaminating industrial output gases
EP2573252B1 (en) * 2011-09-26 2014-05-0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pump
EP2796614A4 (en) * 2011-12-20 2015-05-06 Panasonic Corp DRYER AND METHOD FOR CLEANING AN EVAPORATOR IN THE DRYER
EP2628846B1 (en) * 2012-02-20 2018-11-1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exchanger cleaning
KR101867819B1 (ko) * 2012-02-29 2018-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KR20130123655A (ko) * 2012-05-03 2013-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2669417A1 (en) * 2012-05-29 2013-12-04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er-dryer machine with a heat pump
EP2708639A1 (en) * 2012-09-14 2014-03-1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Home appliance with a liquid guiding device
KR101948565B1 (ko) 2012-10-22 2019-04-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수단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
KR101982533B1 (ko) * 2012-11-21 2019-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건조기
JP2015024116A (ja) * 2013-06-18 2015-02-0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衣類乾燥機
KR20170028037A (ko) * 2015-09-03 2017-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KR102515952B1 (ko) * 2016-01-05 2023-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435228B (zh) * 2016-05-27 2019-10-18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干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6133A (ja) 2012-09-04 2014-03-17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90225B1 (en) 2018-06-20
US20170191212A1 (en) 2017-07-06
JP2019503771A (ja) 2019-02-14
AU2016384523A1 (en) 2018-07-19
US10273627B2 (en) 2019-04-30
EP3190225A1 (en) 2017-07-12
AU2016384523B9 (en) 2019-09-26
WO2017119586A1 (ko) 2017-07-13
JP6979953B2 (ja) 2021-12-15
CN106939493A (zh) 2017-07-11
AU2016384523B2 (en) 2019-09-12
CN106939493B (zh) 2019-08-02
KR20170082045A (ko) 2017-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952B1 (ko) 의류처리장치
EP2948583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716353B1 (ko) 의류 건조 장치
KR20170069461A (ko) 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건조기
KR20140050984A (ko) 청소수단을 포함한 의류처리장치
JP2012075601A (ja) 洗濯乾燥装置
JP2005304987A (ja) 衣類乾燥装置
WO2014016997A1 (ja) 乾燥装置
KR20210052079A (ko) 의류 건조기
JP5948661B2 (ja) 乾燥装置
US20170233919A1 (en) Washing machine
WO2005017249A1 (en) A washer/dryer with a drum having one or more filters
CN113322633B (zh) 衣物处理装置
CN220183618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219972737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US20230279607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CN220166467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KR102017695B1 (ko) 의류처리장치
CN220166466U (zh) 一种衣物处理设备
JP2015054109A (ja) 衣類乾燥機
US20230137038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O2022247949A1 (zh) 洗干一体机
US20230203731A1 (en) Washing machine with drying function
KR20230130451A (ko) 건조 겸용 세탁기
JP2008178648A (ja) 洗濯乾燥機及びその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