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8378A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8378A
KR20210148378A KR1020217038285A KR20217038285A KR20210148378A KR 20210148378 A KR20210148378 A KR 20210148378A KR 1020217038285 A KR1020217038285 A KR 1020217038285A KR 20217038285 A KR20217038285 A KR 20217038285A KR 20210148378 A KR20210148378 A KR 2021014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urrent
emit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8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천영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4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3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05Circuits arrangements for indicating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46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as a function of the requirements of the load, e.g. delay, temperature, specific voltage/current characteristic
    • G05F1/463Sources providing an output which depends on tempera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5Reduction of instantaneous peaks of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H01L2251/5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61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영상 및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유기발광패널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기발광패널, 유기발광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유기발광패널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대 값을 전류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자동 전류 제한(Automatic Current Limit)을 실시하는 제어부, 및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기발광패널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 중,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이하, OLED 표시 장치라 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OLED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소자이므로, 백라이트가 필요한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소비 전력이 낮고, 얇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OLED 표시 장치는 시야각이 넓고, 응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OLED 표시 장치는 적색(Red), 녹색(Green), 및 청색(Blue)의 부픽셀(sub-pixel)로 하나의 픽셀(pixel)을 구성하고, 3개의 부픽셀들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OLED 표시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부픽셀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전류를 공급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LED 표시 장치는 적색 부픽셀에만 전류를 공급하고, 녹색 및 청색 부픽셀들에는 전류를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픽셀에서 적색을 재현할 수 있다.
또한, OLED 표시 장치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부픽셀들 중 2개의 부픽셀에 전류를 공급하여 옐로(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와 같은 2차색(secondary color)을 재현할 수도 있다.
한편, OLED 표시 장치가 2차색이 포함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패널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OLED 표시 장치의 패널은 입력 영상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OLED 표시 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패널의 온도가 더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름철 OLED 표시 장치의 패널 온도는 겨울철 OLED 표시 장치의 패널 온도 보다 높은 것이 일반적이다.
게다가, 국가마다 여름철 온도가 상이하고, 가정마다 OLED 표시 장치가 설치된 환경(예를 들어, OLED 표시 장치 주변에 냉풍이 나오는 에어컨이 설치된 환경이거나, 혹은 OLED 표시 장치 주변에 발열이 심한 컴퓨터가 설치된 환경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외부 환경이 패널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OLED 표시 장치의 패널은 입력 영상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에 의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패널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제한함으로써 패널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요구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쿨링 타임(cooling time)을 확보한 상태에서 감지한 패널의 온도에 기초하여 외부 환경을 예측함으로써, 입력 영상 및 외부 환경에 따른 패널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고자 하며, 쿨링 타임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35437호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패널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의 현재 온도에 따라 패널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널의 현재 온도 및 외부 환경에 따른 외부 온도에 따라 패널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패널, 유기발광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유기발광패널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대 값을 전류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자동 전류 제한(Automatic Current Limit)을 실시하는 제어부, 및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인 경우,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다르게 설정하고, 쿨링 온도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원이 소정 시간 동안 오프된 후 온될 때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전류 제한 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원이 온될 때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를 획득하고,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경우 쿨링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며, 쿨링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제2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며, 쿨링 온도가 제1 온도 초과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2 전류 값 보다 작은 제3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될 때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쿨링 온도로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쿨링 온도를 전원이 온으로 변경된 직후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로 갱신하고,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쿨링 온도를 이전에 획득한 쿨링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는 설정 시간 동안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평균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게인을 획득하고,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일 때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재-감지되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재-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류 제한 값의 변경 여부와 관계 없이 전류 제한 게인을 유지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의 설정 여부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온이면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오프이면 현재 온도와 관계 없이 전류 제한 값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기발광패널이 현재 과열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함으로써, 유기발광패널의 온도 변화에 실시간으로 대응하여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유기발광패널이 쿨링된 상태에서의 온도를 외부 온도로 인식함으로써, 외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온도 센서를 불요하므로, 구조의 단순화 및 제작 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현재 상황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신속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패널의 과도한 휘도 손실을 최소화하며, 외부 상황에 맞게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패널의 초기 온도와 전류 제한 게인을 맵핑한 룩업테이블의 예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류 제한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유기발광패널을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의미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500)가 구비될 수 있고, 온도 센서(500)는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유기발광패널에는 복수개의 온도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개의 온도 센서는 제1 온도 센서(501)와 제2 온도 센서(5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센서(500)가 감지한 온도는 제1 온도 센서(501)가 감지한 온도와 제2 온도 센서(502)가 감지한 온도의 평균 온도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모니터, TV,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 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미도시)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미도시)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오디오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3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3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되거나, 하나의 모듈로서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4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4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42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4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4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 기반의 디스플레이(180)는, 유기발광패널(210), 제1 인터페이스부(230), 제2 인터페이스부(231), 타이밍 컨트롤러(232), 게이트 구동부(234), 데이터 구동부(236), 메모리(240), 프로세서(270), 전원 공급부(290), 온도 센서(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 및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하고,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 내의 제1 인터페이스부(230)는, 제어부(170)로부터 영상 신호(Vd)와, 제1 직류 전원(V1)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류 전원(V1)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전원 공급부(290), 및 타이밍 컨트롤러(232)의 동작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 제2 인터페이스부(231)는, 외부의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2 직류 전원(V2)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직류 전원(V2)은, 디스플레이(180) 내의 데이터 구동부(236)에 입력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영상 신호(Vd)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부(230)가 입력되는 영상 신호(Vd)를 변환하여 변환된 영상 신호(Va1)를 출력하는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변환된 영상 신호(Va1)에 기초하여, 데이터 구동 신호(Sda) 및 게이트 구동 신호(Sga)를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제어부(17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비디오 신호(Vd)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게이트 구동부(234)의 동작을 위한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부(236)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Sda)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Sda)는, 패널(210)이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232)는, 게이트 구동부(234)에 제어 신호(Cs)를 더 출력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는, 타이밍 컨트롤러(232)로부터의 게이트 구동 신호(Sga), 데이터 구동 신호(Sda)에 따라, 각각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을 통해, 주사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은 소정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유기 발광층에 대응하는 각 화소에, 다수개의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이 매트릭스 형태로 교차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구동부(236)는, 제2 인터페이스부(231)로부터의 제2 직류 전원(V2)에 기초하여, 유기발광패널(210)에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90)는, 각종 전원을,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에 공급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각 종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구동부(234)와 데이터 구동부(236), 타이밍 컨트롤러(232)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센서(500)는 유기발광패널(210)에 배치되어,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5의 유기발광패널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a는,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픽셀(Pix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패널(210)은, 복수의 스캔 라인(Scan 1 ~ Scan n)과, 이에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R1,G1,B1,W1 ~ Rm,Gm,Bm,Wm)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패널(210) 내의 스캔 라인과, 데이터 라인의 교차 영역에, 픽셀(pixel)이 정의된다. 도면에서는, RGBW의 서브픽셀(SPr1,SPg1,SPb1,SPw1)을 구비하는 픽셀(Pixel)을 도시한다.
도 6b은, 도 6a의 유기발광패널의 픽셀(Pixel) 내의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sub pixel)의 회로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기발광 서브픽셀(sub pixel) 회로(CRTm)는, 능동형으로서, 스캔 스위칭 소자(SW1),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스위칭 소자(SW2),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스캔 스위칭 소자(SW1)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Vscan)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Vdata)를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하게 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스위칭 소자(SW2)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Vdata)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스위칭 소자(SW2)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유기발광층(OLED)은, 서브픽셀에 대응하는 RGBW의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전자 주입층(EI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외에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브픽셀(sub pixel)은, 유기발광층(OLED)에서 모두 백색의 광을 출력하나,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색상 구현을 위해, 별도의 컬러필터가 구비된다. 즉, 녹색,적색,청색 서브픽셀의 경우, 각각 녹색,적색,청색 컬러필터를 더 구비한다. 한편, 백색 서브픽셀의 경우, 백색광을 출력하므로, 별도의 컬러필터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스캔 스위칭 소자(SW1)와 구동 스위칭 소자(SW2)로서, p타입의 MOSFET인 경우를 예시하나, n타입의 MOSFET이거나, 그 외, JFET, IGBT, 또는 SIC 등의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대 값을 전류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자동 전류 제한(Automatic Current Limit: ACL)을 실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자동 전류 제한(ACL)을 실시할 경우, 유기발광패널(21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총 데이터 값을 합산하여 유기발광패널(210)의 평균 휘도 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결정하고, 평균 휘도 레벨에 따라 발광 구간을 조정하거나, 영상 데이터 자체를 변경시켜 유기발광패널(210)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여 화면 전체의 휘도를 저하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자동 전류 제한(ACL)을 통해,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가 높아 디스플레이(180)의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문제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온도가 과도하게 높은 경우에는 자동 전류 제한(ACL)으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낮추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25℃인 경우에는 자동 전류 제한(ACL)을 통해 50℃로 과열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소정 시간 이내에 35℃로 저감되었으나, 외부 온도가 40℃인 경우에는 자동 전류 제한(ACL)을 통해 50℃로 과열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35℃ 이하로 저감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 상승을 최소화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어부(170)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원 온(on)을 감지할 수 있다(S11).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오프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거나, 전원선이 콘센트에서 분리되는 경우 전원이 오프(off)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전원선이 콘센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이 온(on)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 온이 감지되면, 쿨링 타임의 확보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13).
쿨링 타임은 잔상 보상을 위해 유기발광패널(210)을 일정 시간 이상 오프시켜야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쿨링 타임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원이 오프로 유지되어야 하는 일정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쿨링 타임은 55분일 수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실시 예에 따라, 쿨링 타임은 2시간일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시간의 측정을 통해 쿨링 타임의 확보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전원선이 콘센트에서 분리되는 경우에는 방전 회로(미도시)를 통해 전원 오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AC 전원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는, 방전 회로(미도시)를 통해 전원 오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전원선이 콘센트에 연결된 경우에는, DC 전원의 공급만 차단되고 AC 전원은 공급되므로, 방전 회로(미도시) 없이도 전원 오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전원 오프 시간의 측정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어부(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원 오프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시간이 쿨링 타임 이상이면 쿨링 타임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 오프 시간이 쿨링 타임 미만이면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쿨링 타임을 확보한 경우,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를 감지하고(S15), 초기 온도를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로 획득할 수 있다(S17).
쿨링 타임을 확보한 경우에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는 외부 환경에 의해서만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즉, 유기발광패널(210)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발생한 열은 쿨링 타임을 갖는 동안 거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쿨링 타임이 지난 후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외부 온도로 추정할 수 있다. 외부 온도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온도일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는 쿨링 타임을 확보하고 전원이 온된 후 소정 시간(예를 들어, 2초) 이내에 감지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쿨링 타임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 센서(500)를 제어하고, 온도 센서(500)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를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로 획득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는 쿨링 타임을 확보한 상태에서 감지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는 외부 온도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될 때 온도 센서(500)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쿨링 온도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 이전에 획득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재-획득할 수 있다(S19).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유기발광패널(210)은 외부 환경뿐만 아니라 이전에 전원이 온인 상태일 때 공급받은 전류에 의해 발생한 열이 남아있을 수 있다. 즉,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외부 환경뿐만 아니라 유기발광패널(210)의 구동에 의한 열에 의해 결정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쿨링 타임이 지나지 않은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외부 온도로 추정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이전에 획득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재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획득할 경우 획득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40)에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저장함으로써,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에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획득하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이미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70)는 기 저장되어 있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가장 최근에 획득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로 갱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장부(140)에 저장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갱신함으로써,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외부 온도의 변화를 보다 빠르게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 환경에 따른 패널의 온도 상승 방지 효과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온도 센서(500) 또는 저장부(140)를 통해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정리하면, 제어부(170)는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으로 쿨링 타임을 확보한 경우, 쿨링 온도를 전원이 온으로 변경된 직후 온도 센서(500)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로 갱신하고,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 미만으로 쿨링 타임을 확보하지 못한 경우 쿨링 온도를 이전에 획득한 쿨링 온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게인을 획득할 수 있다(S21).
전류 제한 게인은 자동 전류 제한시 전류의 최대값을 조절하기 위해 부여되는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전류 제한 게인은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에 따라 상이하게 부여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와 전류 제한 게인을 맵핑한 룩업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룩업테이블에서 유기발광패널(210)에 맵핑된 전류 제한 게인을 추출함으로써, 전류 제한 게인을 획득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발광패널의 초기 온도와 전류 제한 게인을 맵핑한 룩업테이블의 예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초기온도(T_I)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룩업테이블은 초기온도(T_I)가 35℃ 초과인 경우 전류 제한 게인 0.85를 맵핑한 데이터, 초기온도(T_I)가 30℃ 초과 35℃ 이하인 경우 전류 제한 게인 0.9를 맵핑한 데이터, 초기온도(T_I)가 25℃ 초과 30℃ 이하인 경우 전류 제한 게인 0.95를 맵핑한 데이터, 초기온도(T_I)가 25℃ 이하인 경우 전류 제한 게인 1을 맵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8에 도시된 룩업테이블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저장부(14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와 전류 제한 게인을 맵핑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룩업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은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자동 전류 제한시 전류의 최대값인 전류 제한 값이 작게 설정되도록 전류 제한 게인을 맵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시를 참고하면, 룩업테이블은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전류 제한 게인을 작게 맵핑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특정 전류 값과 전류 제한 게인의 곱을 통해 전류 제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전류 제한 값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의 온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23).
사용자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의 설정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은 외부 온도에 따른 전류 제한 값의 가변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일 수 있다.
전류 제한 값은 자동 전류 제한을 실시할 때 유기발광패널(210)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자동 전류 제한을 실시할 때 유기발광패널(210)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 제한 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온이면 외부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이 가변되도록 제어하고,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오프이면 외부 온도와 관계 없이 전류 제한 값이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오프로 판단되면, 전류 제한 값을 디폴트 값으로 고정할 수 있다(S25).
디폴트 값은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오프인 경우에 전류 제한 값으로 설정되도록 미리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값은 14.5(A)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온으로 판단되면,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이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S27).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도록 온도 센서(5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는 설정 시간 동안 온도 센서(500)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평균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는 온도 센서(500)가 현재 시점에서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실시간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의 설정 온도 초과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29).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설정 온도와 비교함으로써,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온도는 50℃일 수 있고, 이 경우 유기발광패널(210)은 10 내지 4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온도 값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디폴트 값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계속해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주기적으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디폴트 값은 앞에서 설명한 바,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디폴트 값은 제1 전류 값일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류 값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유기발광패널(210)이 과열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동작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값을 변동시키지 않아, 영상의 휘도가 저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S31).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유기발광패널(210)의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유기발광패널(210)의 전류 제한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였다면,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하, 전류 제한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인 경우,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특정 전류 값과 쿨링 온도에 따라 획득한 전류 제한 게인을 곱한 값을 전류 제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전류 값은 10(A)으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특정 전류 값은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전류 제한 게인은 쿨링 온도가 제1 온도(예를 들어, 25℃) 이하인 경우 1, 쿨링 온도가 제1 온도(예를 들어, 25℃) 초과 제2 온도(예를 들어, 30℃) 이하인 경우 0.95, 쿨링 온도가 제2 온도(예를 들어, 30℃) 초과 제3 온도(예를 들어, 35℃) 이하인 경우 0.9, 쿨링 온도가 제3 온도(예를 들어, 35℃) 초과인 경우 0.85 일 수 있다. 전류 제한 게인은 단계 S21에서 획득한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게인이 1인 경우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제2 전류 값인 10(A)으로 변경하고, 전류 제한 게인이 0.95인 경우 전류 제한 값을 제2 전류 값 보다 작은 제3 전류 값인 9.5(A)으로 변경하고, 전류 제한 게인이 0.9인 경우 전류 제한 값을 제3 전류 값 보다 작은 제4 전류 값인 9(A)으로 변경하고, 전류 제한 게인이 0.85인 경우 전류 제한 값을 제4 전류 값 보다 작은 제5 전류 값인 8.5(A)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값 및 전류 제한 값을 변경 하는 방법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한 후, 전원 오프 명령의 수신 여부를 획득할 수 있다(S33).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지 않으면, 다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기 전까지 주기적으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획득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계속해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170)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일 때 전류 제한 값을 감소시키고, 이후 다시 측정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이면, 전류 제한 값을 디폴트 값으로 다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일 때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제2 내지 제4 전류 값 중 어느 하나)으로 변경하고,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재-감지되면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재-변경할 수 있다.
이 때,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재-감지됨에 따라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즉시 재-변경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70)는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로 일정 시간(예를 들어, 10분) 이상 유지되는 경우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재-변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현재 온도가 잠깐 설정 온도 이하로 내려간 경우까지 전류 제한 값이 복귀하는 경우를 최소화하며, 이에 따라 전류 제한 값 변경 횟수를 최소화하면서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값의 변경 여부와 관계 없이 전류 제한 게인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전류 제한 게인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고 다시 온 됨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전원이 온으로 유지되는 동안에는 전류 제한 게인이 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수신하면, 전원을 오프할 수 있다(S35).
제어부(170)는 전원 오프 후 다시 전원 온되면, 상술한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류 제한 값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 그래프이다.
구간 t11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원이 온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는 구간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구간 t11이 시작된 직후 유기발광패널(210)의 초기 온도를 감지하여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를 획득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게인을 획득할 수 있다.
구간 t11을 참조하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는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유기발광패널(210)에는 전류가 공급되기 시작하므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시점에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는 설정 온도를 초과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간 t11에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값을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구간 t11에서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제어부(170)는 전류 제한 값을 변경시키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도 7의 단계 S23과 단계 S27 사이에, 특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부(170)는 특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만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고, 특정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더라도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이 온 된 후 특정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만 전류 제한 값을 변경시킬 경우, 전원이 온 된지 오래 지나지 않아 아직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과열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조건에 의해 잠깐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한 상황에도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것은 불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구간 t11은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포화되는 구간일 수 있다.
구간 t12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는 구간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주기적으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인 경우 구간 t12가 유지될 수 있다. 즉, 구간 t12는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으로 유지되는 구간일 수 있다.
구간 t13는 유기발광패널(210)로 공급되는 전류의 제한에 의해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감소되는 구간일 수 있다. 특히, 구간 t13는 감소된 전류 제한 값에 의해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보다 급격하게 감소되는 구간일 수 있다.
구간 t13는, 구간 t12 에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할 경우 시작될 수 있다. 구간 t13에서의 전류 제한 값은 구간 t12에서의 전류 제한 값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구간 t13에서의 전류 제한 값은 구간 t11이 시작될 때 획득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구간 t14는, 구간 t13에서 전류 제한 값 감소에 의해 유기발광패널(210)의 온도가 감소된 후 다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는 구간일 수 있다. 구간 t14의 온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낮게 유지되거나, 더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구간 t14에서도 주기적으로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 온도와 비교할 수 있다.
구간 t11과 구간 t12에서의 전류 제한 값은 제1 전류값일 수 있다. 즉, 도 10의 구간 t21은 도 9의 구간 t11과 구간 t12를 합한 구간 동안 전류 제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10의 구간 t22, 구간 t23는 도 9의 구간 t13 동안 전류 제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0의 구간 t22, 구간 t23에서의 전류 제한 값은 도 10의 구간 t21에서의 전류 제한 값 보다 작게 변경될 수 있다. 구간 t22는 전류 제한 값이 소정 기울기를 갖도록 점차 감소하는 구간이고, 구간 t23는 감소된 전류 제한 값이 유지되는 구간일 수 있다.
구간 t22 및 구간 t23에서, 전류 제한 값은 전류 제한 게인에 따라 상이하게 감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9의 구간 t11에서 감지한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전류 제한 값이 작게 변경될 수 있다. 만약,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25℃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10(A)로 변경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25℃ 초과 30℃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9.5(A)로 변경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30℃ 초과 35℃ 이하이면 전류 제한 값을 9(A)로 변경하고, 유기발광패널(210)의 쿨링 온도가 35℃ 초과이면 전류 제한 값을 8.5(A)로 변경할 수 있다.
구간 t24는 감소된 전류 제한 값이 디폴트 값으로 변경되는 구간일 수 있다. 즉, 구간 t22 및 구간 t23에서 전류 제한 값 감소에 의해 유기발광패널(210)의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보다 높아지면, 감소된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값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구간 t24는 도 9의 구간 t14 동안 전류 제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유기발광패널;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유기발광패널에 공급되는 전류의 최대 값을 전류 제한 값 이하로 제어하는 자동 전류 제한(Automatic Current Limit)을 실시하는 제어부; 및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에 따라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초과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상기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설정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초과인 경우,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에 따라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다르게 설정하고,
    상기 쿨링 온도는
    상기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의 전원이 소정 시간 동안 오프된 후 온될 때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쿨링 온도가 높을수록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작게 설정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온될 때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를 획득하고,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쿨링 온도에 따라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다르게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며, 상기 쿨링 온도가 제1 온도 이하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상기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제2 전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이며, 상기 쿨링 온도가 제1 온도 초과이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상기 제2 전류 값 보다 작은 제3 전류 값으로 설정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원이 오프에서 온으로 변경될 때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를 상기 쿨링 온도로 획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쿨링 온도를 상기 전원이 온으로 변경된 직후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온도로 갱신하고,
    상기 전원이 온으로 변경되기 이전에 전원 오프 시간이 상기 소정 시간 미만인 경우 상기 쿨링 온도를 이전에 획득한 쿨링 온도로 유지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는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온도 센서가 감지한 유기발광패널의 평균 온도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쿨링 온도에 기초하여 전류 제한 게인을 획득하고,
    상기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설정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재 온도가 설정 온도 초과일 때 상기 전류 제한 게인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제1 전류 값 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온도가 상기 설정 온도 이하로 재-감지되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상기 제1 전류 값으로 재-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제한 값의 변경 여부와 관계 없이 상기 전류 제한 게인을 유지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의 설정 여부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온이면 상기 유기발광패널의 현재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전류 제한 값을 변경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제한 가변 기능이 오프이면 상기 현재 온도와 관계 없이 상기 전류 제한 값을 고정시키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0217038285A 2019-05-20 2019-05-20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202101483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5971 WO2020235698A1 (ko) 2019-05-20 2019-05-20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378A true KR20210148378A (ko) 2021-12-07

Family

ID=7345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8285A KR20210148378A (ko) 2019-05-20 2019-05-20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20944B2 (ko)
KR (1) KR20210148378A (ko)
DE (1) DE112019004774T5 (ko)
WO (1) WO2020235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27091B (zh) * 2022-05-30 2023-11-28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的热屏效应处理方法、装置及***
JP2024011022A (ja) * 2022-07-13 2024-01-25 JDI Design and Development 合同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320B1 (ko) * 2010-02-24 2011-09-1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9142157B2 (en) * 2011-01-20 2015-09-22 Apple Inc. Methods for enhancing longevity in electronic device displays
US8704463B2 (en) * 2011-11-10 2014-04-2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Temperatur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light emitting diod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442680B1 (ko) * 2012-10-15 2014-09-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1960762B1 (ko) 2012-12-24 2019-07-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9524676B2 (en) * 2013-06-24 2016-12-20 Apple Inc.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with burn-in reduction capabilities
WO2019060213A1 (en) * 2017-09-21 2019-03-28 Apple Inc. CIRCUIT FOR VOLTAGE ATTACK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CURRENT VOLTAGE COMPENSATION
KR102446219B1 (ko) 2017-09-25 2022-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N109559666B (zh) * 2017-09-25 2022-03-25 Lg电子株式会社 有机发光二极管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98485A1 (en) 2021-12-23
DE112019004774T5 (de) 2021-06-10
US11620944B2 (en) 2023-04-04
WO2020235698A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0442B1 (ko) 영상표시장치
KR20200117491A (ko)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US107898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11151935B2 (en) Image display device
US108541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11620944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1292686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KR20200032584A (ko) 영상표시장치
KR102642615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45116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66403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39090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570381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588780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2603620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5913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1335255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30179738A1 (en) Image display device
US20230224425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having same
US20220375394A1 (en)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