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0787A -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0787A
KR20210140787A KR1020200057667A KR20200057667A KR20210140787A KR 20210140787 A KR20210140787 A KR 20210140787A KR 1020200057667 A KR1020200057667 A KR 1020200057667A KR 20200057667 A KR20200057667 A KR 20200057667A KR 20210140787 A KR20210140787 A KR 2021014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formation
indoor
digit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6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1995B1 (en
Inventor
이원철
정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Priority to KR102020005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995B1/en
Publication of KR2021014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07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9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6Devices for measuring mass flow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 G01F1/78Direct mass flowmeters
    • G01F1/80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 G01F1/82Direct mass flowmeters operating by measuring pressure, force, momentum, or frequency of a fluid flow to which a rotational movement has been imparted using a driven wheel as impeller and one or more other wheels or moving elements which are angularly restrained by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member as the measuring devi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6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 G01F15/061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 G01F15/063Indicating or recording devices for remote indication using electr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01F15/075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an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receiving information on a non-use state, which is a state in which tap water has not been used for a while, from a digital water meter and determining whether a consumer is in a normal state. The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comprises: a digital water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through a water pipe in a protective container and generating information on a non-use stat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non-use state in the digital water meter to a repeater provided outside the protective container; a user terminal of a user at home or a manager in a building in which the water pipe is provided;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user, the measured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n the non-use state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and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peater, and for transmitting water leakage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non-use state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a leak management module for flexibly changing a remote meter reading cycle, verifying the non-use state, and managing information on an indoor leak state. Therefore, the indoor leak of the consumer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Description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돗물이 일정 기간 동안 사용되지 않은 상태인 무사용 상태 정보를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수신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nd an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and in particular,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It relates to a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nd an indoor water leak dete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정수장에서 정수 처리된 뒤, 시의 경우 각 구별로 큰 관을 통해 공급되고, 각 구에서는 중블록, 소블록 등으로 분류되어 수돗물을 공급한다. 그리고 각 분배점 사이에는 유량계가 설치되어 있어 분배되는 지역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한다. 예를 들어, 아파트 단지와 같은 대단위 시설에는 큰 관로를 통하여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상수도관이 설치되며, 일반 가정 주택, 상가 건물 밀집 지역 등은 도로 아래 매설된 큰 관로에서 작은 관로에 연결하여 최종 사용처인 수용가로 수돗물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In general, tap water is purified at a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in the case of a city, it is supplied through a large pipe to each division, and in each district, tap water is supplied by being classified into a medium block and a small block. A flow meter is installed between each distribution point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ap water supplied to the distribution area. For example, in large-scale facilities such as apartment complexes, water pipes are installed to supply tap water through large pipes. It is intended to supply tap water to the consumer.

이와 같은 관로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며, 옥내 배관 부분은 각 수용가의 책임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각 수용가에서는 옥내 누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아무런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서 수용가에서는 대부분 누수 발생 여부를 인지하기가 곤란하다.These pipelines are managed by local governments, and the indoor plumbing is the responsibility of each customer. However, since each consumer does not have any means to detect indoor leaks, it is difficult for most consumers to recognize whether a leak has occurred.

이와 같은 누수의 원인 파악 방법은 주로 사람의 인력에 의지하여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하여 시간 및 경제적 비용 손실이 크고, 센서 설치를 통한 위기 상황 판단의 경우에도 센서의 고장 및 오작동으로 인한 혼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의 문제가 추가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method of identifying the cause of such a leak mainly relies on human manpower to recognize and judge the situation, resulting in a large loss of time and economic cost. Rath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blem of maintenance was additionally generated.

즉, 각 옥내(댁내)의 수도 미터기를 수시로 점검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현실적으로는 점검 인력의 부족으로 인하여 1개월에서 길게는 3개월 단위로 누수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개월 동안 발생하는 누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어렵다. 또 각 댁내 사용자가 직접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frequently inspect the water meter of each indoor (house), and in reality, due to the lack of inspection personnel, there is no choice but to directly check for leaks every one to three months. It is difficult to prevent damage caused b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for each home user to directly check for leaks.

또한, 종래의 계량기는 기어세트의 과도한 부하로 인하여 감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계량기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속이 미세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하여 정밀 계량을 이룰 수가 없고, 또 워터햄머 현상 또는 수도꼭지를 잠글 때 순간적으로 수돗물이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를 감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도미터기를 역방향으로 설치하게 되면 유량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수도료의 징수가 어렵고 또 누수의 발생 유무를 정밀기계를 이용하지 않는 한 파악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er loses its sensitivity due to excessive load on the gear set, so when the flow rate of tap water passing through the meter is small, it cannot be detected and precise metering cannot be achieved. As a result, the reverse flow of tap water occurs, which cannot be detected, and it is difficult to collect a reasonable water fee because it is im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if the water meter is insta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 were no downside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를 사용하며,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사용량의 계측으로서 원격검침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생산하고, 수집된 자료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도 사업자에게 전달하며, 원격검침을 이용하여 물 사용량 절감, 누수 관리, 공급과 수요의 조절, 에너지 절감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연속적인 검침 값을 지속적으로 운영 시스템에 전송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술도 개발되었다.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 digital water meter is used, and data is produced by applying remote meter reading as a measurement of usage in real time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and the collect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water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In order to obtain effects such as water consumption reduction, leakage management, supply and demand control, and energy saving using remote meter reading, a technology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by continuously transmitting meter reading values to the operating system has also been developed.

예를 들어, 디지털 수도 미터기를 이용한 누수 알람으로 이상 징후를 판단하기 위해 디지털 수도 미터기 내의 지시부 펌웨어 기반에 따라, 1시간 동안 1L 이상 누적 사용 유무를 판단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 내의 지시부 펌웨어 기반 7일 이상 계속해서 물을 사용 유무를 판단하고 2가지 조건의 만족 시 디지털 수도 미터기가 미터기 상태 정보(누수) 알람을 통보할 수도 있지만, 디지털 수도 미터기 내의 디지털 지시부 펌웨어가 1시간에 한번 씩 동작하고 계량기 하부 익차(임펠라) 회전 수 누적 카운트를 통한 사용량을 검사하여 사용량을 계산하므로, 1시간 내 물 사용량이 "0"인 경우 누수가 아님에도, 누적 사용량이 1L가 넘으면, 조건을 만족하므로, 누수 판단 여부가 오류로 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determine anomalies with a water leak alarm using a digital water meter, based on the firmware of the indicator in the digital water meter,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more than 1L has been accumulated for 1 hour, and based on the firmware of the indicator in the digital water meter for 7 days or more The digital water meter may notify the meter status information (leakage) alarm when it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water is used or not and when two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digital indicator firmware in the digital water meter operates once an hour and the (Impeller) Since the usage is calculated by inspecting the usage through the cumulative count of the number of revolutions, if the water usage within 1 hour is “0”, even if it is not a leak, if the cumulative usage exceeds 1L, the condition is satisfied, so whether the water leak is judged could be an error.

따라서 디지털 수도 미터기 누수 알람 방식은 서울시 상수도사업소 제정 방식을 각 디지털 수도 미터기 제조사가 동일한 방식으로 모든 제품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누수 알람으로 누수 여부 의심은 가능하나 확인 시 오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Therefore, the digital water meter leak alarm method is the same method established by the Seoul Waterworks Office and each digital water meter manufacturer consists of all products. there was

이러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내지 3 등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Documents 1 to 3 and the like.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량계의 본체, 그 내부에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여 유량신호를 제공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설치된 본체 일측에 제어실을 두어 이에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세 개의 유량센서, 유량센서의 신호를 받아 적산유량 값을 연산하고 또 임펠러의 역회전 오작동 및 누수의 유무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부, 적산된 값과 오동작 및 누수의 유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연산결과 추출된 정보인 미터 상태 및 각종 유량 값 등의 미터 정보를 저장하는 이이피롬(EEPRom), 미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전원안정화로 회로가 포함된 전원부, 미터의 에러상태 유량 값에 대한 정보를 센터에 제공할 수 있는 통신수단으로 구성된 전자식 수도 미터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below, the main body of the flowmeter, an impeller rotating by the flow of the flow therein to provide a flow rate signal, and a control room are plac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in which the impeller is installed. Three flow sensors generated, a microcontroller unit that calculates the accumulated flow value by receiving the signals from the flow sensor, and detects the reverse rotation malfunction of the impeller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akage,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accumulated value and the presence of malfunction and leakage , EEPRom, which stores meter information such as meter status and various flow values, which are information extracted from calculation results, a battery that supplies power to the meter, and a power supply including a power supply stabilization circuit, Disclosed is an electronic water meter configured as a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to the center.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상수도 관에 설치되어,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물의 소리를 감지하는 소리 감지센서,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소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상수도관의 누수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를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리 감지센서가 상기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하우징 내부로 전달하는 소리 전달 부재, 상기 소리 전달 부재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전달되는 소리에 의해 떨리는 떨림판과 상기 떨림판의 떨리는 소리를 수집하여 상기 제어유닛으로 전달하는 소리 수집부를 포함하는 상수도 누수 감지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Patent Document 2, a sound detection sensor installed in a water supply pipe to detect the sound of water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detection sensor, and information detected by the sound detec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that analyzes to determine whether the water supply pipe is leaking, and outputs a result of the check through the output unit, wherein the sound sensor transmits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to the housing. It is disclosed for a water supply leak detection device comprising a member, a vibration plate that vibrates by a sound transmitt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sound transmission member, and a sound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the vibration sound of the vibration plat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

한편, 하기 특허문헌 3에는 수집된 각 수용가의 검침정보로부터 시간당 사용량 정보를 구하는 시간당 사용량 정보 연산과정, 설정된 시간 내에서 최소의 시간당 사용량을 선택하는 최소 시간당 사용량 정보 선택과정, 상기 최소 시간당 사용량 정보와 최소 사용량 기준 값 정보를 비교하여 최소 시간당 사용량 정보가 최소 사용량 기준 값 정보보다 큰 경우 옥내 누수 여부로 판단하는 누수판단과정, 상기 누수판단과정을 통해 누수로 판단되면 최소 시간당 사용량 정보에서 최소 사용량 기준 값을 감해 예상 누수량을 연산하는 누수량연산과정, 상기 누수판단과정을 통하여 옥내 누수가 판단되면 해당 수용가 정보에 등록된 연락정보로 누수 여부, 예상 누수량을 포함하는 누수정보를 알리는 누수알림과정을 포함하는 원격검침시스템에서의 옥내 누수판단 제어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3, an hourly usage information calculation process for obtaining hourly usag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meter reading information of each consumer, a minimum hourly usage information selection process for selecting a minimum hourly usage within a set time, the minimum hourly usage information and When the minimum usage standard value information is compared and the minimum hourly usage information is greater than the minimum usage standard value information, a water leak determination process tha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indoor leak Leakage calculation process to calculate the expected amount of water leakage by subtracting the water leakage A method for controlling indoor water leakage in a meter reading system is disclos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3750호(2000.09.05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0-0053750 (published on September 5, 2000)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955호(2013.03.29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50955 (Registered on March 29, 201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4986호(2012.12.17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214986 (registered on December 17, 2012)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는 유량의 계량을 세 개의 유량센서로 실시토록 하여 계량정밀도를 높이고, 임펠러의 역회전 에러 검출과 누수 감지기능을 구비하고 있지만, 1L/286rpm의 유량에 따라 누수를 판단하므로, 정밀하게 누수 판단을 실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Patent Document 1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is measured with three flow sensors to increase the metering accuracy, and the reverse rotation error detection of the impeller and the leak detection function are provided, but the water leakag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of 1L/286rpm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water leak determination could not be executed precisely.

또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소리 감지센서를 상수도관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수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는 구조로서, 수도관, 욕실 용품 그리고 보일러 등의 고장에 의한 경우, 주방 또는 욕실 등의 바닥을 뜯어내고 소리 감지 센서를 설치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옥내 누수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technolog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 sound sensor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and is a structure that detects the volume of sound transmitt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Since the floor on the back has to be removed and a sound sensor must be install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actually detect indoor water leaks.

한편, 상기 특허문헌 3에서는 누수 판단부가 시간마다 시간당 사용량 정보를 구하고, 72시간 내에서 각 시간당 사용량 정보 중 최소 사용량을 선택하고 이를 해당 수용가에 설정된 최소 사용량 기준 값과 비교하여 누수 여부를 판단하므로, 1시간 내 물 사용량이 "0"인 경우 누수가 아님에도, 누적 사용량이 1L가 넘으면, 누수로 판단하여 누수 판단이 정확하게 실행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특허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연속검침, 가변주기, 최소유량 확인 등을 적용하지 않으므로, 누수의 의심을 가질 수 있지만, 정확한 누수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Patent Document 3, the leak determination unit obtains hourly usage information for each hour, selects the minimum amount of usage information from each hourly usage information within 72 hours, and compares it with the minimum usage reference value set in the corresponding consumer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leak, When the amount of water used within 1 hour is "0", even though there is no leakage, if the accumulated usage exceeds 1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leakage determination is not accurately executed. That is,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for example, continuous meter reading, variable cycle, minimum flow check, etc. are not applied, so there may be a suspicion of a leak, but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urate leak cannot be determined.

또한, 임펠러의 1회전에 의해서는 25cc~35cc 정도의 유량이 검침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사용량을 1L 단위로 검사하므로, 사용 시간 중간에 1L 미만의 누수가 발생한 경우, 누수로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In addition, the flow rate of about 25cc to 35cc is metered by one rotation of the impeller, but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use is checked in units of 1L. There was als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do it.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사용량을 100cc 단위로 검침하고 일정 시간 동안 무사용 상태로 누수를 판단하여 정밀하게 누수를 판단할 수 있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water leakage by metering the amount used in units of 100cc and judging water leakage in a non-used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o provide an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내 누수를 정밀하게 진단하여 수용가의 수도요금을 경감시키고, 옥내 누수 검사 비용을 절감하며,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n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that can precisely diagnose indoor leaks to reduce water bills for consumers, reduce indoor leak inspection costs, and efficiently operate water resources. will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은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수신하여, 옥내 누수를 검증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으로서, 보호 용기 내에서 상수도관을 통해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의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보호 용기의 외부에 마련된 중계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상기 상수도관이 마련된 가정의 사용자 또는 건물의 관리인의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측정된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고 무사용 상태를 검증하여 옥내 누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누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that receives a water supply non-use state from a digital water meter and verifies indoor leaks, A digital water mete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and generating non-use status information through A user terminal of a user of a home or a building manager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measurement information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peater and a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vi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leak management module that manages information on indoor leaks by changing to and verifying the non-use state.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는 상수도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서의 판단에 따라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정보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원격검침 주기마다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gital water meter includes an impeller rotating by the flow of tap water flow, a sensing module sensing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nd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detected by the sensing module. A control module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and determines the non-use state, a storage module that store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non-use information state for a certain time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control module, the mete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t every remote meter reading cycle, 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non-use status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누수 관리 모듈에서 옥내누수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계량 정보를 0.0001m3 내지 0.00001m3의 단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transmits meter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sensed by the detection module to 0.0001m 3 to 0.00001 so that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can determine the indoor water lea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in units of m 3 .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사용 상태를 계측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imer for measuring the non-use state.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누수 관리 모듈은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원격검침 데이터에서 1시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 또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수용가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의 일정 기간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에서 누수 발생이 없는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정상 상태 판정부,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에서 정상 상태로 판단되지 않은 수용가에게 누수 상태를 통지하는 수용가 누수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flexibly changes the data collected by one hour or the remote meter reading period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A non-use status information request unit for requesting non-use status information of the customer, a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for judging a normal state with no leakage in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in the digital water meter,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module Through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leak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water leakage to the customer who is not determined to be a normal state.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은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수신하여, 옥내 누수를 검증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으로서, (a)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의해 생성된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사용 상태 정보에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는 수용가에서 상수도의 무사용 상태에 대한 횟수 또는 무사용 상태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for verifying indoor leaks by receiving a water supply non-use state from a digital water meter, (a) digital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in the water meter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b)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non-use status generat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in step (a) requesting information, (c) transmitting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in step (b), (d) in the management serv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consumer is leaking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wherein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is the number of times for the non-use state of the water supply in the consumer or the period of the non-use state.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서, 상기 무사용 상태 기간은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내부 유량 펄스가 입력되면 이전에 유량펄스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에 설정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무사용 기준 일정시간 보다 큰 상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용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non-use state period is se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an internal flow pulse is input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and the management server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ondition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use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the consumer is leaking.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관리 서버의 누수 관리 모듈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원격검침 데이터에서 1시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 또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수용가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is performed in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of the management server. The data collected in units of one hour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or the remote meter reading period is flexib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hanges to and requests the customer's non-use status information.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전송에 따라 상기 단계 (a)에서 저장된 상기 계량 데이터 및 무사용 상태 정보는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ering data and non-us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step (a) are reset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n step (c).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 의하면, 보호 용기 내에서 상수도관을 통해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 및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누수 상태를 판단하는 관리 서버를 마련하여 수용가의 옥내 누수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n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water mete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generates non-use status information And by providing a management server for judging a water leak state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ndoor water leakage of the customer.

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에 의하면,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고 무사용 상태를 검증하여 옥내 누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누수 관리 모듈을 마련하여 옥내 누수를 정확하게 진단하여 수용가의 수도요금을 경감시키고, 옥내 누수 검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n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eak management module is provided to flexibly change the remote meter reading cycle and verify the non-use state to manage information on the indoor leak state. By accurately diagnosing leaks, it is possible to reduce water bills for customers and reduce indoor leak inspection cos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수 관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디지털 수도 미터기, 무선 통신 단말기,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옥내 누수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시퀀스 다이어그램.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water meter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eak management module shown in Figure 3;
5 is a sequence diagram of a protocol for checking indoor water leakage between a digital water mete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management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본원에서 사용하는 용어 "옥내 누수"는 수도관, 욕실 용품 그리고 보일러 등의 고장으로 의도하지 않게 수돗물이 사용되어 계량기로 측정되는 것으로, 의도하지 않은 수도 사용량이 계량기로 측정되는 것을 의미하며, "무사용 상태"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감지 모듈에서 임펠러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As used herein, the term "indoor leakage" refers to unintentional use of tap water due to malfunction of water pipes, bathroom appliances, boilers, etc. "Status" means the state in which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is not detected in the sensing module of the digital water meter.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도 계량기는 보호 용기 내에 마련된 상수도관에 장착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를 적용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상수도관뿐만 아니라, 이외의 건물 등 모든 종류의 수도 사용처에서 사용하는 상수도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는 상수도관 사이에 수치를 육안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마련된 표시부가 마련되며, 상기 표시부에는 내부에 통상의 검침장치가 내장 설치되어 있어 내부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유속에 따라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임펠러의 회전수에 따른 유량이 표시된다. The water me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digital water meter mounted on a water pipe provided in a protective container, so that it can be installed not only in the water pipe used at home, but also in the water pipe used in all types of water use such as other buildings. have. Such a digital water meter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provided to read the numerical value between the water pipes with the naked eye, and a general meter reading device is installed inside the display unit.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impeller is displayed.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는 누수 알람 기능, 연속 사용 알람 기능 및 무사용 상태 시간 기록 기능, 감지 모듈에서 측정된 유량을 0.0001m3 내지 0.00001m3의 단위까지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igital water mete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eak alarm function, a continuous use alarm function and a non-use state time recording function, and a function to transmit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detection module in units of 0.0001m 3 to 0.00001m 3 .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는 통상의 상수도관 보호통 등과 같은 보호 용기의 내부 설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와 중계기와의 통신은 로라(LoRa, Long Range) 방식,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방식, UNB(Ultra Narrow-Band) 모듈레이션 방식, Wi-Sun(Smart utility networks)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ISM(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방식, RF 통신 방식, 블루투스(BLE) 방식 중의 어느 하나로 실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는 고정된 간격으로 사용 값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의 지시로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조밀하게 연속 사용량 또는 무사용 상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y be installed inside a protective container such as a general water supply pipe protection tube,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peater is a LoRa (Long Range). ) method,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method, UNB (Ultra Narrow-Band) modulation method, Wi-Sun (Smart utility networks) method, ZigBee method, ISM (Industry-Science-Medical) band method , RF communication method, it can be executed in any one of the Bluetooth (BLE) method.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unction of not only transmitting the usage value at fixed intervals but also flexibly changing the cycl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to densely transmit continuous usage or non-use status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원격 검침을 활용하여 누수 의심을 확인하는 시스템으로서, 여러 가지 근거로 누수의심 수용가를 선별하여도 현장방문 검사 등 추가적인 확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누수의심 수용가를 대상으로 대략 1분~10분 단위로 조밀하게 연속 검침하여 무사용 상태를 확인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 및 무선통신 단말기 모두 배터리로 장기간 사용해야 함으로 배터리를 절약하면서도 짧은 주기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며, 일정 기간 이상 검침 주기를 가변으로 수신하여 검침 값을 분석하고, 옥내 상수도가 무사용 상태인 경우 누수 아님을 확인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basically uses remote meter reading to confirm a water leak suspic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check the non-use status by densely continuous meter reading in units of approximately 1 to 10 minutes for consumers with deep water leaks. It is to provide a system that sets the cycle variably, receives the meter reading cycle variably for more than a certain period, analyzes the meter reading value, and confirms that there is no leakage when the indoor water supply is not in us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of the digital water meter shown in FIG. 1 .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수도 미터기(10)로부터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수신하여, 옥내 누수를 검증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으로서, 보호 용기 내에서 상수도관을 통해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10),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의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보호 용기의 외부에 마련된 중계기(6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단말기(20), 상기 상수도관이 마련된 가정의 사용자 또는 건물의 관리인의 사용자 단말기(30),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측정된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0) 및 상기 중계기(60)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 및 사용자 단말기(30)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로 누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5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water supply non-use state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to verify indoor water leakage As a digital water meter 10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generates non-use status information, the metering information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10 are sai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that transmits to the repeater 60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protection container, the user terminal 30 of the user of the home or the manager of the building where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I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database 40 and the repeater 60 for storing measured information and non-use state information,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50 for transmitting water leakage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terminal 20 .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가정집, 상업시설, 공동 주택, 아파트와 같은 입하수도관의 수평 파이프에 고정 설치되며, 누수 알람 기능, 연속 사용 알람 기능 및 무사용 상태 시간 기록 기능,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계량 정보를 0.0001m3 내지 0.00001m3의 단위로 전달하는 기능을 구비한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water meter 10 is fixedly installed on a horizontal pipe of an inlet water pipe such as a general house, commercial facility, apartment house, and apartment, and has a leak alarm function, a continuous use alarm function, and a non-use state time recording function. , it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measur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in units of 0.0001m 3 to 0.00001m 3 .

기존 누수 알람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는 최초 사용이 감지되면 누수 알람 기능이 개시되고, 예를 들어 60분 동안 누적 사용량이 1L 이상의 조건이 7일 동안 연속 발생하는 경우 누수 알람이 발생되지만, 예를 들어 매시 20분에 1L의 물을 쓰고 나머지 시간 동안 물을 안 쓰는 경우 누수 알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량보다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감지하여 누수 알람을 판단한다. In the existing water leak alarm digital water meter, when the first use is detected, the water leak alarm function is started. If you use 1L of water per minute and do not use water for the rest of the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a water leak alarm occu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digital water meter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water supply non-use state rather than a usage amount to determine a water leak alarm.

또 기존 누수 알람 디지털 수도 미터기는 표시부에 0.0001 혹은 0.00001로, 10mL 혹은 1mL까지 표기할 수 있지만, 무선통신 단말에는 0.001 즉 1L 단위로만 전송하고 나머지는 버림 처리하였다. 즉 임펠러 1회전으로 10mL 단위도 측정 가능하지만, 요금 산정의 단위가 아니기 때문에 10mL 단위는 절삭 처리하였다. 그러나 누수를 판별하기 위해 미세한 사용량도 감지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는 10mL 단위까지 정밀하게 계량 및 상수도 무사용 상태 시간을 측정하여 무선통신 단말기(20)로 사용량을 전달한다.In addition, the existing water leak alarm digital water meter can display 0.0001 or 0.00001, up to 10mL or 1mL, on the display, but only 0.001, that is, 1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rest is discarded. That is, even 10mL units can be measured with one impeller rotation, but 10mL units are cut because it is not a unit for calculating charges. However, since it is necessary to detect even a minute amount of use to determine the leak, the digital water meter 1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precisely measures the metering and water supply non-use state time up to 10 mL unit and delivers the amoun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do.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도 미터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수도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11), 상기 임펠러(11)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12), 상기 감지 모듈(12)에서 감지된 임펠러(11)의 회전에 따라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13), 상기 제어 모듈(13)에서의 판단에 따라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14), 원격검침 주기마다 상기 저장 모듈(14)에 저장된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5), 계량 정보를 표시하는 LCD 모듈(16),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17)을 포함한다.For this purpose, the digital water met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peller 11 rotating by the flow of water supply flow, a sensing module 12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as shown in FIG. 2 , A control module 13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12 and determines a non-use state, and weighing information and schedul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module 13 A storage module 14 for storing time non-use status information, a communication module 15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t every remote meter reading cycle ), an LCD module 16 for displaying metering information, and a power module 17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digital water meter 10 .

상기 임펠러(11)는 상용의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 적용되는 임펠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임펠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impeller 11 may use an impeller applied to a commercial digital water meter, but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impeller.

상기 감지 모듈(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센서로서 예를 들어 Reed 센서, L/C 센서, MR 센서, 홀 센서로서 임펠러(11)의 회전에 따라 순차적으로 펄스 신호를 발생하며, 이 임펠러(11)의 1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1개의 펄스 신호는 제어 모듈(13)로 전송된다. 즉 감지 모듈(12)은 4개의 유량센서를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펄스가 발생될 때 이를 정상적인 값 1개로 인정하고 정상적인 펄스가 유량의 기본단위에 해당하는 만큼의 유량이 흘렀다고 생각될 때 이를 1단위로 하여 유량 값을 증가시킨다. As shown in FIG. 2, the detection module 12 sequentially generates a pulse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as a flow sensor, for example, a Reed sensor, an L/C sensor, an MR sensor, and a Hall sensor. , one pulse signal generated according to on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3 . That is, the detection module 12 recognizes it as one normal value when the pulses are sequentially generated using four flow sensors, and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basic unit of the normal pulse has flowed, it is 1 unit. to increase the flow rate.

상기 제어 모듈(13)은 상기 펄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MCU 및 임펠러(11)의 정지에 따른 무사용 상태를 계측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MCU는 내부 타이머를 이용하여 주기적으로 펄스를 감지하고 카운터하고 누적 카운터를 저장 모듈(14)에 저장하고 환산한 지침값을 LCD 모듈(16)로 표시하게 한다.The control module 13 includes an MCU for processing the pulse signal and a timer for measuring a non-use state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impeller 11, and the MCU periodically detects a pulse using an internal timer and counters and store the accumulated counter in the storage module 14 and display the converted pointer value on the LCD module 16 .

상기 저장 모듈(14)은 예를 들어 EEPROM으로 마련되며, 상수도 사용량 정보 및 상수도 무사용 상태에 대한 시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 모듈(15)은 무선통신 단말기(30)로부터 정보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 모듈(14)에 저장되어 있는 상수도 사용량 정보 및 상수도 무사용 상태에 대한 시간 정보를 무선통신 단말기(30)로 전송하며, 통신 모듈(15)에서 무선통신 단말기(30)로의 전송 후, EEPROM에서 무사용 상태 정보는 리셋된다.The storage module 14 is provided as, for example, an EEPROM, and stores water supply usag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supply non-use state,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15 receives an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0 . When it is, transmits the time information about the water use usage information and the water supply non-use stat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0, and after the transmission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15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0 , the unused state information in the EEPROM is reset.

상기 LCD 모듈(16)은 LCD 등으로 이루어지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계량 데이터를 검침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며, 제어 모듈(13)에서 제어에 의해 검침 시 해당 데이터를 표출하고, 전원 모듈(17)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버튼을 누른 후 일정 시간 동안만 표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The LCD module 16 is made of an LCD, etc., is a display device for the meter reading person to check the meter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displays the data when the meter reading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13 and , to reduce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wer module 17 may be provided to be display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pressing the button.

상기 전원 모듈(17)은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교체 주기 이상인 8년 이상의 기능을 유지하는 배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apply a battery that maintains the function of the power module 17 for more than 8 years, which is more than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는 보호 용기 내에 마련되고, 일정 간격으로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의 측정값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관리 서버(50)의 지시로 주기를 변경하여 조밀하게 측정값을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측정값을 상기 중계기(60)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모듈, 무선통신 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교체 주기 이상인 8년 이상의 기능을 유지하는 배터리를 적용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provided in a protective container, and not only transmits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10 at regular intervals, but also changes the period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f the management server 50 to deliver the measured values densely. It has a function,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an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digital water meter 10 by wir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the measured value to the repeater 6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a digital water meter (10) It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applying a battery that maintains a function of 8 years or more, which is more than the replacement cycle of the .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와 무선통신 단말기(20) 사이를 유선 케이블로 연결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의 수용가의 유량 적산 데이터 및 상수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일정 간격, 예를 들어 1시간에 1번씩 1일 24번 간격 또는 검침 주기 변동에 따른 일정 간격으로 유선 케이블로부터 전달받으며, 계량 정보를 RS232 방식 또는 TTL(펄스부호화) 방식 등에 의해 처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에 의해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와 무선통신 단말기(20) 사이를 유선 케이블로 연결하므로, 무선통신 단말기(20)를 보호 용기 내의 적절한 위치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connects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with a wired cable, and transmits the flow integration data and water supply non-use stat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in the digital water meter 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It is received from a wired cable once an hour at an interval of 24 times a day o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meter reading cycle, and the weighing information is processed by RS232 method or TTL (pulse encod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re connected with a wired cable by the interface uni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can be easily mount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protective container.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통신 단말기(20)에서 취합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10)로 상수도관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한 계량 데이터 및 상수도 무사용 상태 정보를 무선으로 관리 서버(50)로 송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20)는 상전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전원부인 배터리로 구동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가 8년의 교체주기를 가지므로, 무선통신 단말기(20)의 배터리 성능도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교체 주기 이상, 예를 들어 8년 이상의 기능을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 모듈은 저전력기반의 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으로 설계되며, 예를 들어 로라(LoRa, Long Range) 방식,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방식, UNB(Ultra Narrow-Band) 모듈레이션 방식, Wi-Sun(Smart utility networks) 방식, 지그비(ZigBee) 방식, ISM(Industry-Science-Medical) 밴드 방식, RF 통신 방식, 블루투스(BLE) 방식 중의 어느 하나로 실행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digital water meter 10 collec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wirelessly transmits metering data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non-use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50. Responsible for sending and receiving functions.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pplied to the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upplied with phase power, it is driven by a battery as a power supply, and since the digital water meter has a replacement cycle of 8 year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battery performance must also maintain the function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over the replacement cycle, for example, 8 years or longer. Therefor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designed as a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low-power-based low-capacity data, for example, a LoRa (Long Range) method, a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method, and an Ultra Narrow-Band (UNB) method. Modulation method, Wi-Sun (Smart utility networks) method, ZigBee (ZigBee) method, ISM (Industry-Science-Medical) band method, RF communic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in any one of the Bluetooth (BLE) method.

상기 사용자 단말기(30)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 측정된 정보로서,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에 대한 정보 및 누수 상태 정보를 음성 또는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네트워크인 중계기(60)를 통해 관리 서버(5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서, 스마트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를 적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30 is the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through the repeater 60, which is a function and network that can output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and information on the leaking state in voice or screen. As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50, various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 portable terminal, a mobile terminal,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PDA), a personal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can be applied.

상기 데이터베이스(40)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 측정된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에 대한 정보, 무사용 기준 일정에 관한 정보 등을 저장하는 통상의 저장장치로서, 구체적인 장치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접근 및 검색의 용이성 및 효율성 등을 감안하여 데이터베이스 구축이론(또는 온톨로지DB 구축이론)에 의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는 상수도의 원격 관리를 위해 사용자에 관한 정보로서 수용가의 주소, 사용자 단말기(30)의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관리번호 및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 측정된 계량 정보로서 상수도관을 통해 사용자가 사용한 물의 양인 계량 데이터가 누적되어 저장되고,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정상 상태에서 무사용 기준 일정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무선통신 단말기(20)에 대한 정보로서 무선통신 단말기(20)의 설치 기간에 대한 정보, 관리번호 및 설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The database 4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user, measurement information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10,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information about a non-use standard schedule, etc. It is a general storage device that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database construction theory (or ontology DB construction theory) in consideration of the ease and efficiency of access and search in developing a specific device. That is, the database 40 stores the address of the customer,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30, etc. as information about the user for remote management of water supply, and information on the management number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 as the meter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10, the metering data, which is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user through the water pipe, is accumulated and stored, and information about the non-use standard schedule in the normal state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is stored, , information about the installation period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s information abou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information about the management number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s stored.

다음에 도 3에 따라 관리 서버(5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관리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shown in FIG. 1 .

상기 관리 서버(50)는 통상의 서버로서, 중계기(60)를 통해 무선통신 단말기(20) 및 사용자 단말기(30)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로 수도 계량기인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관리 서버(50)는 일종의 웹서버 또는 웹서비스 서버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50)는 처리된 결과를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페이지를 통해 전송받는다. 상기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멀티미디어 등 이외에도 웹 애플리케이션 등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구동 소프트웨어도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또는 소프트웨어)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 상기 관리 서버(50)는 수용가의 디지털 수도 미터기(10) 및 무선통신 단말기(20)의 운용을 위한 전용 서버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수도에 관한 최종 운영 주체인 상수도 사업본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버로 마련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50 is a normal server, and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repeater 60, and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the user terminal ( 30) to provide a service for transmitt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that is a water meter. The management server 50 may be constructed to serve as a kind of web server or web service server.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50 shows the processed result on the web page or receives necessary input data through the web page. The web page includes driving software for performing a specific task, such as a web application, in addition to simple text, images, and multimedia. In addition, it may be built to provide an interface with an application (or software) installed on a smart phone, a tablet PC, or the like.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50 may be provided as a dedicated server for the operation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of the consu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waterworks business headquarters, which is the final operating subject related to waterworks. It can be provided as a server that can be used in

따라서, 상기 관리 서버(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5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의 위치 및 상태 정보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관리 모듈(52), 사용자가 사용한 물의 양을 관리하는 계량 관리 모듈(53), 옥내 누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누수 관리 모듈(54),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 및 사용자 단말기(30)와의 무선통신을 실행하는 송수신 모듈(55)을 포함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 the management server 50 includes a user management module 51 that manages information about a user,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that manages location and stat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 The module 52, the metering management module 53 for manag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user, the water leakage management module 54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indoor water leakage con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the user terminal 30 and a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51)은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수용가의 주소,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의 변동 또는 신규 가입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며, 상기 누수 관리 모듈(54)에서 관리에 따라 사용자에게 누수 경고를 통지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30)의 전화 번호를 추출한다.The user management module 51 manages the address of the customer stored in the database 40, the change of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or user information about the new subscriber, Extracts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30 for notifying the water leak warning.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관리 모듈(52)은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무선통신 단말기(20)의 설치 기간, 설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51)과 연동하여 무선통신 단말기(20)가 설치된 수용가의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되게 관리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module 52 interlocks the information on the installation period, installation location, etc.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stored in the database 40 with the user management module 51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is It is managed in conjunction with the installed consumer's user terminal.

상기 계량 관리 모듈(53)은 무선통신 단말기(20)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의 계량 데이터로부터 일정 기간 사용한 물의 양을 산출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도록 관리하며, 옥내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누수 관리 모듈(54)에서의 명령에 따라 변동된 주기 간격으로 사용된 물의 양 또는 무사용 시간을 산출하도록 관리한다.The metering management module 53 calculates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a certain period from the metering data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10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and manages to periodically transmit it to the user terminal 30, In order to check indoor leaks, it manages to calculate the amount of water used or the non-use time at a changed cycle interval according to a command from the leak management module 54 .

상기 누수 관리 모듈(54)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eak management module 5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누수 관리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shown in FIG.

상기 누수 관리 모듈(54)은 옥내 누수가 정상인 수용가를 판별하기 위해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고 무사용 상태를 검증하여 옥내 누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수신된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원격검침 데이터에서 1시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 또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수용가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의 일정 기간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에서 누수 발생이 없는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정상 상태 판정부(542),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542)에서 정상 상태로 판단되지 않은 수용가에게 누수 상태를 통지하는 수용가 누수 통지부(543)를 포함한다.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54 flexibly changes the remote meter reading period to determine the customer with a normal indoor leak and verifies the non-use state to manage the information on the indoor leak state, as shown in FIG. 4 , transmit and receive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the customer's non-use status information by flexibly changing the data collected by one hour or the remote meter reading cycle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received through the module 55 (541),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542, which determines that there is no leakage in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e digital water meter 10, the normal state plate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The government 542 includes a consumer leak notification unit 543 for notifying the leak state to the consumer who is not determined to be a normal state.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 내장된 감지 모듈(12)은 원격검침 주기마다 일정 시간 무사용 상태인 감지하여 저장 모듈(14)에 저장하며,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에서의 요청에 따라 통신 모듈(15)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를 거쳐 일정 시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전송한다.The detection module 12 built into the digital water meter 10 detects and stores the non-use stat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every remote meter reading cycle,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module 14, and the request from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request unit 541 Accordingly,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5 .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542)는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에서의 요청에 따라 전송된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무사용 기준 일정시간 보다 큰 상태가 있는지 판단하고, 무사용 기준 일정 시간보다 큰 경우 수용가의 상태를 정상 상태라고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된 무사용 기준 일정에 관한 정보를 참조한다. 상기 무사용 기준 일정은 예를 들어, 감지 모듈(12)에서 10분 이상 임펠러(11)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임펠러(11)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은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rmal state determining unit 54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state greater than a non-use reference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request unit 541, If it is greater than that, it is judged that the state of the consumer is a normal state. For this, information about the non-use reference schedule stored in the database 40 is referred. The non-use reference schedule may include, for example, the number of times when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is not detected in the detection module 12 for more than 10 minutes or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11 is not detected by repeating periodically. have.

상기 누수 통지부(545)는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542)에서 정상으로 판단되지 않고 누수로 확인된 수용가에 대해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수용가 누수를 통지한다.The water leak notification unit 545 notifies the consumer of the leak to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for the consumer, which is not determined as normal by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542 and is confirmed as a leak.

상기 송수신 모듈(55)은 통상의 송수신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계기(60)와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또는 통상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is configured as a normal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and is provided to use the repeater 60 and a Low-Power Wide-Area (LPWA) network or a normal network.

한편, 도 3에서는 상기 사용자 관리 모듈(51), 무선통신 단말기 관리 모듈(52), 계량 관리 모듈(53) 및 누수 관리 모듈(54)을 각각 분리한 구성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3, the user management module 5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module 52, the metering management module 53, and the water leakage management module 54 are respectively shown as separate configuration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run by .

상기 중계기(60)는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50)와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20)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실행하던가 또는 통상의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50)와 사용자 단말기(30) 사이에서 정보의 전송을 실행하도록 한다.The repeater 60 transmits information between the management server 5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using a Low-Power Wide-Area (LPWA) network or manages the management using a normal network. Information is transmitted between the server 50 and the user terminal 30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대해 도 1 내지 도 4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Next, a driving method of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and 5 .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에서 디지털 수도 미터기, 무선 통신 단말기, 관리 서버,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옥내 누수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시퀀스 다이어그램 이다.5 is a sequence diagram of a protocol for checking indoor water leakage between a digital water meter,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 management server, and a user terminal in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물의 양에 대한 계량 데이터는 무선 통신 단말기(20)의 무선 통신 모듈과 중계기(60)를 통해 관리 서버(50)의 송수신 모듈(55)로 전송된다. 이러한 계량 데이터는 예를 들어, 1시간 간격으로 측정되어 전송될 수 있다. 또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10)는 누수 알람 기능, 연속 사용 알람 기능 및 무사용 상태 시간 기록 기능, 감지 모듈에서 측정된 유량을 0.0001m3 내지 0.00001m3의 단위까지 관리 서버(50)로 전달할 수 있다.First, the metering data for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user in the digital water meter 10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of the management server 5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repeater 6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 Such metering data may be measured and transmitted, for example, at 1-hour intervals. In addition, the digital water meter 10 has a leak alarm function, a continuous use alarm function and a non-use state time recording function, and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detection module can be delivered to the management server 50 in units of 0.0001m 3 to 0.00001m 3 . have.

관리 서버(50)의 계량 관리 모듈(53)은 상기 계량 데이터에 대해 데이터베이스(40) 및 사용자 관리 모듈(51)과 무선통신 단말기 관리 모듈(52)과 연동하여 수용가의 물의 사용량에 대한 정보로서 관리한다.The metering management module 53 of the management server 50 interworks with the database 40, the user management module 5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anagement module 52 for the metering data and manages it as information on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consumer. do.

한편,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제어 모듈(13)은 타이머에 의해 임펠러(11)의 무사용 상태를 계측한다. 즉, 제어 모듈(13)은 감지 모듈(12)에서 감지된 임펠러(11)의 정지 상태, 즉 무사용 상태에 대한 횟수 또는 무사용 상태 기간에 대한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 모듈(14)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 모듈(14)에 저장된 무사용 상태 정보는 상술한 계량 데이터의 전송과 동시에 전송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50)의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의 요청에 따라 전송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odule 13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measures the non-use state of the impeller 11 by a timer. That is, the control module 13 generates non-use state information for the number of times for the non-use state or the non-use state period of the stop state of the impeller 11 detected by the detection module 12, and stores the module 14 save to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may be transmitted simultaneously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above-described metering data, or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request unit 541 of the management server 50 .

또한, 상기 제어 모듈(13)에서는 감지 모듈(12)에 의해 내부 유량 펄스가 입력되면, 이전에 유량 펄스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를 구하여 무사용 기준 일정시간 보다 큰 상태가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여 무사용 상태를 판단하고, 이 무사용 상태 정보를 저장 모듈(14)에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ternal flow pulse is input by the detection module 12 in the control module 13,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he flow pulse was previously input is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state greater than the non-use reference predetermined time. The use state may be determined, and this non-use state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

상기 관리 서버(50)의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에서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면, 중계기(60)와 무선통신 단말기(20)를 거쳐 통신 모듈(15)에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 모듈(13)은 저장 모듈(14)에 저장된 임펠러(11)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50)로 전송한다. 또 제어 모듈(13)은 무사용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50)로 송신한 후, 저장 모듈(14)에 저장된 계량 데이터 및 무사용 상태 정보를 리셋하여 저장 모듈(14)을 초기화한다. When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request unit 541 of the management server 50 requests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the communication module 15 through the repeater 6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20 , and the control module 13 transmits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of the impeller 11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to the management server 50 .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13 initializes the storage module 14 by transmitting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50 and resetting the metering data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14 .

정상 상태 판정부(542)는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수신된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에서 누수 발생이 없는 정상 상태인가를 판단, 즉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의 임펠러(11)가 일정 시간 동안 회전하지 않은 상태이면 수용가가 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54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no leakage in the customer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 that is, the impeller 11 of the digital water meter 10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f it has not been rotated for a while, it is determined that the customer is in a normal state.

한편, 임펠러(11)가 일정 시간 동안 계속적으로 회전하는 누수 의심 상태이면,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541)를 통해 수용가의 디지털 수도 미터기(10)에 대해 대략 1분~10분 단위로 조밀하게 연속 검침하도록 지시하고, 정상 상태 판정부(542)는 검침 값을 수신하는 주기 기간 동안 무사용 횟수에 따라 누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542)는 주기 기간 동안 무사용 횟수가 반복되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주기 기간 동안 무사용 횟수가 반복되지 않으면 누수 상태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impeller 11 is in a state of suspicion of leakage that continuously rotates for a certain time, it is densely packed in units of approximately 1 to 10 minutes for the digital water meter 10 of the customer through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request unit 541 It instructs to continuously read the meter, and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542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 leak according to the number of non-use during the cycle period for receiving the meter reading value. That is, the normal state determining unit 542 determines the normal state when the number of non-use is repeated during the cycle period, and determines the leak state when the number of non-use is not repeated during the cycle period.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542)에서의 판단에 따라 수용가 누수 통지부(543)는 누수로 확인된 수용가에 대해 송수신 모듈(55)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로 수용가 누수를 통지한다.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by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542, the consumer leak notification unit 543 notifies the consumer leak to the user terminal 30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55 for the consumer identified as a leak.

상술한 바와 같은 누수 관리 모듈(54)에서의 누수 판단에 의해 수용가의 옥내 누수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By the water leak determination in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54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ndoor water leakage of the consumer.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s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및 옥내 누수 감지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가의 옥내 누수를 정밀하게 판단할 수 있다.By using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indoor water leak of the consumer.

10 : 디지털 수도 미터기
20 : 무선 통신 단말기
30 : 사용자 단말기
40 : 데이터베이스
50 : 관리 서버
60 : 중계기
10: digital water meter
20: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30: user terminal
40: database
50: management server
60: repeater

Claims (9)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수신하여, 옥내 누수를 검증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으로서,
보호 용기 내에서 상수도관을 통해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디지털 수도 미터기,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의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보호 용기의 외부에 마련된 중계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 단말기,
상기 상수도관이 마련된 가정의 사용자 또는 건물의 관리인의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에 관한 정보,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측정된 계량 정보 및 무사용 상태 정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중계기를 통해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되고,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에서 전송된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로 누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고 무사용 상태를 검증하여 옥내 누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누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A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that receives water supply non-use status from a digital water meter and verifies indoor water leaks,
A digital water meter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through the water pipe in the protective container and generates zero-use informa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metering information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to a repeater provided outside the protective container;
A user terminal of a user of a home in which the water supply pipe is provided or a manager of a building,
a database for storing user information, metering information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information 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that is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repeater, and transmits water leakage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flexibly changes the remote meter reading cycle and verifies the non-use state, and th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comprises a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for managing information on the indoor water leak condition.
제1항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는
상수도 유량의 흐름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 모듈,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에서의 판단에 따라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정보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
원격검침 주기마다 상기 저장 모듈에 저장된 계량 정보 및 일정시간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In claim 1,
The digital water meter
Impeller rotating by the flow of tap water flow,
a sensing module for detecting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A control module that measures the amount of water us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sensed by the sensing module and determines the non-use state;
A storage module for stor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nd the state of non-use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 module;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meter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and non-use status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t every remote meter reading cycle.
제2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누수 관리 모듈에서 옥내누수를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감지 모듈에서 감지된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계량 정보를 0.0001m3 내지 0.00001m3의 단위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In claim 2,
The control module is based on smart mete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impeller sensed by the detection module is determined in units of 0.0001m 3 to 0.00001m 3 so that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can determine the indoor water leakage. Indoor leak detection system.
제2항에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무사용 상태를 계측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In claim 2,
The control module i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imer for measuring the non-use state.
제2항에서,
상기 누수 관리 모듈은
송수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원격검침 데이터에서 1시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 또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수용가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무사용 상태 정보 요청부,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의 일정 기간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에서 누수 발생이 없는 정상 상태로 판단하는 정상 상태 판정부,
상기 송수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정상 상태 판정부에서 정상 상태로 판단되지 않은 수용가에게 누수 상태를 통지하는 수용가 누수 통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시스템.
In claim 2,
The leak management module is
A non-use status information request unit that requests non-use status information of consumers by flexibly changing the data collected by one hour or the remote meter reading cycle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received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A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customer is in a normal state with no leakage according to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for a certain period in the digital water meter;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leak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the water leakage to the customer who is not determined as a normal state by the normal state determination unit through the transmission/reception module.
디지털 수도 미터기로부터 상수도 무사용 상태를 수신하여, 옥내 누수를 검증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으로서,
(a)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수용가의 사용한 물의 양을 계량하고 무사용 상태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
(b) 관리 서버가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의해 생성된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통해 무사용 상태 정보에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관리 서버에서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에 따라 수용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사용 상태 정보는 수용가에서 상수도의 무사용 상태에 대한 횟수 또는 무사용 상태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for verifying indoor leaks by receiving a water supply non-use status from a digital water meter, comprising:
(a) metering the amount of water used by the consumer in the digital water meter and generating and storing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b) the management server requesting the non-use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digital water meter in step (a)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 transmitting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to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quest in the step (b);
(d) determining whether the customer is leaking according to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in the management server,
The non-use state information i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times for the non-use state of the water supply in the consumer or the period of the non-use state.
제6항에서,
상기 무사용 상태 기간은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에서 내부 유량 펄스가 입력되면 이전에 유량펄스가 입력된 시간의 차이에 설정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무사용 기준 일정시간 보다 큰 상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수용가의 누수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
In claim 6,
When the internal flow pulse is input from the digital water meter, the idle state period is set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low pulse was previously input,
The management server is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state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period of non-use to determine whether the customer is leaking.
제6항에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관리 서버의 누수 관리 모듈에서 상기 디지털 수도 미터기의 원격검침 데이터에서 1시간 단위로 수집된 데이터 또는 원격검침 주기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수용가의 무사용 상태 정보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
In claim 6,
In the step (b), the data collected from the remote meter reading data of the digital water meter in an hourly unit or the remote meter reading period is flexibly changed in the water leak management module of the management server to request the customer's non-use status information A smart metering-based indoor leak detection method.
제6항에서,
상기 단계 (c)에서 전송에 따라 상기 단계 (a)에서 저장된 상기 계량 데이터 및 무사용 상태 정보는 리셋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미터링 기반 옥내 누수 감지 방법.
In claim 6,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in step (c), the metering data and non-use state information stored in step (a) are reset,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 detection method.
KR1020200057667A 2020-05-14 2020-05-14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KR1023919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67A KR102391995B1 (en) 2020-05-14 2020-05-14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667A KR102391995B1 (en) 2020-05-14 2020-05-14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0787A true KR20210140787A (en) 2021-11-23
KR102391995B1 KR102391995B1 (en) 2022-04-28

Family

ID=7869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667A KR102391995B1 (en) 2020-05-14 2020-05-14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199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737B1 (en) * 2022-08-24 2023-05-10 김민경 Stable operation apparatus of remote meter reading consumer terminal
KR102662242B1 (en) * 2023-11-28 2024-04-30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Digital water meter and water leak detection method using 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641B1 (en) 2023-03-22 2023-12-08 경성제닉스(주) All-in-one digital water meter with freeze and leak warning function and remote meter reading system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50A (en) 2000-03-24 2000-09-05 김상철 The electronic water guage
KR101214986B1 (en) 2012-08-10 2012-12-24 주식회사 하이텍이피씨 Water leakage detecting system of indoor pipe line based on water reading system
JP2013057583A (en) * 2011-09-08 2013-03-28 Hochiki Corp Water supply usage monitoring system and water supply usage monitoring method
KR101250955B1 (en) 2011-06-02 2013-04-09 주식회사 유솔 A leak senc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50A (en) 2000-03-24 2000-09-05 김상철 The electronic water guage
KR101250955B1 (en) 2011-06-02 2013-04-09 주식회사 유솔 A leak sencing apparatus
JP2013057583A (en) * 2011-09-08 2013-03-28 Hochiki Corp Water supply usage monitoring system and water supply usage monitoring method
KR101214986B1 (en) 2012-08-10 2012-12-24 주식회사 하이텍이피씨 Water leakage detecting system of indoor pipe line based on water reading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737B1 (en) * 2022-08-24 2023-05-10 김민경 Stable operation apparatus of remote meter reading consumer terminal
KR102662242B1 (en) * 2023-11-28 2024-04-30 주식회사 케이스마트피아 Digital water meter and water leak detection method using 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1995B1 (en) 202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180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eaks in a Building Water System
KR102391995B1 (en)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an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method
US11624639B2 (en) Ultrasonic flow metering
RU2419026C2 (en) Method of automated determination of remaining service life of renewable power source for flow metre in pipeline system
EP23149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leaks in a pipeline network
US1075025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tely monitoring water utilization
KR102296295B1 (en) Digital water meter and digital water meter management system with remote meter reading function
KR102193382B1 (en) Smart metering-based indoor water leakage detection system
KR20100075821A (en) Flow rate metering device, communication system, flow rate measuring method, flow rate measuring program, fluid supply system and gas tool monitoring device
Farah et al. Smart water technology for leakage detection: feedback of large-scale experimentation
KR102495230B1 (en) Counter terminal to check the number of communication outputs
KR2009008592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leakage using remote meter-reading data
KR102662242B1 (en) Digital water meter and water leak detection method using it
JP2019194829A (en) Lifeline use management system, lifeline use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KR100363835B1 (en) water meter
WO2008023188A2 (en) Minimum observable flow monitor
RU2416757C2 (en) System for control and record of gas consumption in gas line
KR20020088856A (en) Water supply control system
JP2004138627A (en) Piping monitor for leakage
US20180188093A1 (en) Water flow meter
JP2013178273A (en) Pursuit of vibration in pipeline network
US20240151011A1 (en) Water management system for a building
JP2009288092A (en) Gas use metering system, and gas meter
JP2001337004A (en) Gas leak inspection system
JP2002365119A (en) Integrator for flow rate of fl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