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855A -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855A
KR20210137855A KR1020200056213A KR20200056213A KR20210137855A KR 20210137855 A KR20210137855 A KR 20210137855A KR 1020200056213 A KR1020200056213 A KR 1020200056213A KR 20200056213 A KR20200056213 A KR 20200056213A KR 20210137855 A KR20210137855 A KR 20210137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vehicle
sound generating
disposed
interio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태
박관호
최영락
함성수
한중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7855A/ko
Priority to DE102021111958.8A priority patent/DE102021111958A1/de
Priority to TW110116632A priority patent/TW202143748A/zh
Priority to TW112139394A priority patent/TW202408252A/zh
Priority to JP2021080085A priority patent/JP7228002B2/ja
Priority to US17/315,863 priority patent/US11950035B2/en
Priority to CN202110506591.XA priority patent/CN113645551A/zh
Publication of KR20210137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855A/ko
Priority to JP2023018944A priority patent/JP2023062033A/ja
Priority to US18/525,749 priority patent/US20240098396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 B60R11/022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loud-speakers of flat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005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using a piezoelectric polym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7/00Piezoelectric transducers;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 H04R17/10Resonant transducers, i.e. adapted to produce maximum output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45Plane diaphragms using the distributed mode principle, i.e. whereby the acoustic radiation is emanated from uniformly distributed free bending wave vibration induced in a stiff panel and not from pistonic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04R9/046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6Loudspeakers
    • H04R9/066Loudspeakers using the principle of inert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5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2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6Windows, e.g. wind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8Ceiling, e.g. roof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29Floor, e.g. side sills, fir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3Rear-view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5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17/00Details of magnetostrictive,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transducers covered by H04R15/00 or H04R17/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1Multi-channel, i.e. more than two input channels, sound reproduction with two speakers wherein the multi-channel information is substantially preser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Arrangements (AREA)
  •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Audible Band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의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은 차량의 내장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구조물을 덮는 차량 내장재, 및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장재는 음향 발생 장치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카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차량에 적용되는 음향 발생 장치는 코일 방식으로 구성된 프런트 스피커 및 리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음향 발생 장치는 프런트 스피커 및 리어 스피커를 통해 멀티 채널의 실감나는 음향 또는 입체 음향을 출력하는데 한계가 있다. 차량의 음향 발생 장치는 스피커의 개수를 증가시킬 경우에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지만, 코일 방식에 따른 스피커의 크기 및 차량 내 공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스피커의 개수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한 문제점들을 인식하고, 멀티 채널의 실감나는 음향 또는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해 여러 실험을 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거쳐 차량 내장재를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발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여러 실험을 거쳐 입체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발명하였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내장재 및/또는 차량 유리 창을 이용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내장재 및/또는 차량 유리 창을 이용해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명세서의 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의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차량의 내장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구조물을 덮는 차량 내장재, 및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 내장재는 음향 발생 장치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과제의 해결 수단 이외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따른 구체적인 사항들은 아래의 기재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내장재 및/또는 차량 유리 창에 의해 음향을 출력하거나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의 내용은 청구범위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범위의 권리 범위는 발명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운전석과 동승석 주변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도어 및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 및 도 19의 차량의 루프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8 및 도 19의 차량의 루프 및 좌석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다양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기술 사상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들 각각의 기술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스케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제와 다른 스케일을 가지므로, 도면에 도시된 스케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차량 내부에 배치되거나 장착된 음향 발생 모듈(31)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은 구조물(110) 및 내장재(interior material 또는 interior finish material,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조물(100)"은 "차량 구조물(100)"이라 칭하며, "내장재(130)"는 "차량 내장재(130)"이라 칭한다.
차량 구조물(110)은 메인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도어 프레임, 유리 창, 및 좌석(seat)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메인 프레임은 데시 패널, 필러 패널,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어 프레임은 도어 이너 패널 및 도어 아우터 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내장재(130)는 차량(10)의 내부를 구성하는 모든 부품을 포함하거나 차량(10)의 실내 공간(IS)에 배치된 모든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장재(130)는 차량(10)의 인테리어 부재 또는 내부 마감 부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는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서 차량 구조물(110)을 덮으면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장재(130)는 차량(1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된 메인 프레임(또는 차량 몸체), 사이드 프레임(또는 사이드 바디), 도어 프레임(또는 도어 바디), 핸들 프레임(또는 스티어링 허브), 및 좌석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또는 내장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또는 필러 트림), 플로어 내장재(또는 플로어 카펫), 루프 내장재(또는 헤드라이너), 도어 내장재(또는 도어 트림), 핸들 내장재(또는 스티어링 커버), 좌석 내장재, 리어 패키지 내장재(또는 뒷좌석 선반), 오버헤드 콘솔(또는 실내 조명 내장재), 리어 뷰 미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는 플라스틱, 섬유, 가죽, 및 유리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질의 차량 내장재(130)는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재질의 차량 내장재(130)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공정에 의해 구현된 사출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섬유 재질의 차량 내장재(130)는 플라스틱 복합 섬유, 탄소 섬유(또는 아라미드 섬유), 및 천연 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섬유 재질의 표피 부재(133)는 직물 시트, 편물 시트,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죽 재질의 차량 내장재(130)는 천연 가죽 또는 인조 가죽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는 평면부와 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장재(130)는 해당하는 차량 구조물(110)의 표면 구조와 대응되는 표면 구조를 가지거나, 해당하는 차량 구조물(110)의 표면 구조와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되거나 차량 내장재(130)에 배치되어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내장재(130)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플로어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핸들 내장재, 및 좌석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차량 구조물(110) 사이에 배치되거나 리어 패키지 내장재, 오버헤드 콘솔, 리어 뷰 미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1)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구조물(110) 상에 배치되고 차량 내장재(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되거나 차량 내장재(130)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내장재(130)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차량 내장재(130)는 음향(S)의 출력을 위한 진동판, 음향 진동판, 또는 음향 발생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내장재(130)는 음향 발생 모듈(31)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므로, 대면적의 진동판, 음향 진동판, 또는 음향 발생판의 기능을 함으로써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 또는 음향 발생 모듈(31)의 저음역대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저음역대 음향의 주파수는 500Hz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코일 방식의 음향 발생기 또는 압전 방식의 음향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는 액츄에이터, 익사이터, 또는 트랜스듀서,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1)의 진동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음향(S)을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장재(130)를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해당하는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멀티 채널의 실감나는 음향(S) 또는 입체 음향을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에서 설명한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내장재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의 내장재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섬유, 가죽, 천, 및 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음향(S)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모듈(3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장재(130)는 베이스 부재(131)와 표피 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31)는 사출물, 제 1 내장재, 내부 내장재, 또는 후면 내장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피 부재(133)는 제 2 내장재, 외부 내장재, 전면 내장재, 외피 부재, 보강 부재, 또는 장식 부재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부재(131)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부재(131)는 사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31)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이용한 사출 공정에 의해 구현된 사출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 부재(131)는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서 차량 구조물(110)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31)는 차량(1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된 메인 프레임, 사이드 프레임, 도어 프레임, 핸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면(또는 내장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부재(131)는 평면부와 곡면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베이스 부재(131)는 해당하는 차량 구조물(110)의 표면 구조와 대응되는 표면 구조를 가지거나, 해당하는 차량 구조물(110)의 표면 구조와 다른 표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표피 부재(133)는 베이스 부재(1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피 부재(133)는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서 베이스 부재(131)를 덮으면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피 부재(133)는 차량(10)의 실내 공간(IS)에 노출되는 베이스 부재(131)의 앞면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피 부재(133)는 섬유, 가죽, 천, 및 나무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 재질의 표피 부재(133)는 합성 섬유, 탄소 섬유(또는 아라미드 섬유), 및 천연 섬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섬유 재질의 표피 부재(133)는 직물 시트, 편물 시트, 또는 부직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섬유 재질의 표시 부재(133)는 페브릭 부재(fabric member)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 섬유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비교적 유해물질의 방출이 없는 친환경적인 소재인 폴리올레핀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는 단일 수지의 섬유이거나 코어-쉘 구조의 섬유일 수 있다.
천연 섬유는 황마(Jute) 섬유, 양마(Kenaf) 섬유, 아바카(Abaca) 섬유, 코코넛 섬유, 또는 나무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2 이상의 혼합 섬유일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구조물(110) 상에 배치되고 차량 내장재(13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은 베이스 부재(131)와 표피 부재(133)를 포함하는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1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내장재(130)를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을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 채널의 실감나는 음향(S) 또는 입체 음향을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10)의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되켜, 음향(S)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0)의 차량 유리 창(230)"은 "차량 유리 창(230)"이라 칭한다.
차량(10)의 차량 유리 창(230)은 전면 유리 창 및 옆면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차량 유리 창(230)은 후면 유리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유리 창(230)은 전체를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차량 유리 창(230)은 투명부, 및 투명부를 둘러싸는 반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른 차량 유리 창(230)은 투명부, 및 투명부를 둘러싸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유리 창(230)이 전체적으로 투명할 때,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유리 창(230)의 중간 영역 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유리 창(230)이 반투명부 또는 불투명부를 포함할 때, 음향 발생 모듈(33)은 반투명하거나 불투명하도록 구성되고 차량 유리 창(230)의 반투명부 또는 불투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일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3)은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에 노출된 차량 유리 창(230)의 일면(또는 실내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3)을 포함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발생 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음향 발생 모듈(33)은 전면 유리 창 및 옆면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면 유리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은 자체 진동에 따라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을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30)는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되어 자체 진동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을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S)을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으며, 멀티 채널의 실감나는 음향(S) 또는 입체 음향을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내장재(130)과 접촉되도록 배치된 음향 발생기(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10)는 보빈과 코일 및 자석을 이용하는 액츄에이터, 익사이터, 트랜스듀서, 또는 트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10)는 제 1 프레임(311), 마그네트(312), 보빈(313), 코일(314), 센터폴(315), 제 2 프레임(316), 및 댐퍼(3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311)은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되거나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311)은 마그네트(312)와 센터폴(315) 및 제 2 프레임(316)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프레임(311)은 철(Fe)과 같이 자성을 지닌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프레임(311)은 베이스 프레임, 하부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 또는 요크(yoke)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프레임(311)은 마그네트(312)와 보빈(313)을 수용하는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부는 원 형태를 가지도록 제 1 프레임(311)의 상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그네트(312), 보빈(313), 및 코일(314)은 제 1 프레임(311)에 배치되어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키는 자기 회로 유닛 또는 자기 진동 유닛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회로 유닛은 마그네트(312)가 코일(314)의 외측에 배치된 외자 타입(external magnetic type) 또는 다이나믹 타입의 구조를 가지거나, 마그네트(312)가 코일(314)의 내측에 배치된 내자 타입(internal magnetic type) 또는 마이크로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자 타입의 구조를 갖는 자기 회로 유닛을 포함하는 음향 발생기(310)는 누설 자속이 작고 전체적으로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따른 음향 발생기(310)는 외자 타입 또는 내자 타입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내자 타입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마그네트(312)는 제 1 프레임(311)의 홈부에 삽입될 수 있다. 마그네트(312)는 보빈(313)에 삽입 가능한 원기둥 형태를 갖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보빈(313)은 마그네트(31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제 1 프레임(3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313)은 펄프 또는 종이를 가공한 재질,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합성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polyamide)계 섬유 등으로 형성된 환상 구조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313)은 자기력에 의해 진동, 예를 들면 상하 왕복 운동함으로써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313)은 원 형태 또는 타원 형태(ellipse or oval)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타원 형태(oval shape)의 보빈(313)은 타원형(elliptical shape), 끝이 둥근 사각형(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또는 폭이 높이와 다른 비원형 곡선형(non-circular curved shape having a width different from its height)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원 형태의 보빈(313)에서, 장축의 직경과 단축의 직경의 비율은 1.3:1 ~ 2:1로 구성할 수 있다. 타원 형태의 보빈(313)은 원 형태의 보빈보다 고음역대의 음향을 개선할 수 있으며, 진동에 의한 열 발생이 적을 수 있으므로, 우수한 방열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314)은 보빈(313)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권취되어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코일(314)은 보빈(313)과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코일(314)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314)의 주위에 형성되는 인가 자기장과 마그네트(312)의 주위에 형성되는 외부 자기장에 기초한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따라 보빈(313) 전체가 진동, 예를 들면 차량 내장재(130)의 두께 방향(Z)을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일(314)은 보이스 코일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터폴(315)은 보빈(313)에 수용되거나 삽입되어 보빈(313)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터폴(315)은 보빈(313)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센터폴(315)의 외주면은 보빈(31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센터폴(315)은 승강 가이더 또는 폴 피스(pole pieces)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프레임(316)은 제 1 프레임(311)의 전면(前面)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레임(316)은 댐퍼(317)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프레임(316)은 보빈(313)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제 1 프레임(311)의 전면(前面)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 2 프레임(316)은 제 1 프레임(311)의 전면(前面)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고 보빈(313)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중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프레임(316)은 생략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프레임(316)은 에지 프레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퍼(317)는 제 2 프레임(316)과 자기 회로 유닛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317)는 제 2 프레임(316)과 보빈(313) 간에 연결될 수 있다. 댐퍼(317)는 스파이더(spider), 서스펜션(suspension), 또는 에지(edge)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317)의 일단은 제 2 프레임(316)과 연결될 수 있고, 댐퍼(317)의 타단은 보빈(313)의 상부 외측면과 연결될 수 있다. 댐퍼(317)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주름진 구조로 이루어져 보빈(313)의 상하 운동에 따라 수축 및 이완하면서 보빈(313)의 진동을 조절할 수 있다. 댐퍼(317)는 보빈(313)과 제 2 프레임(316) 사이에 연결됨으로써 복원력을 통해 보빈(313)의 진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빈(313)이 일정 거리 이상으로 진동하거나 일정 거리 이하로 진동할 경우 보빈(313)은 댐퍼(317)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원상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프레임(316)이 생략될 때, 댐퍼(317)는 제 1 프레임(311)과 보빈(313)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1) 또는 음향 발생기(310)는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하고, 이로 인해 보빈(313)의 높이(또는 두께)가 낮아질 경우,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들은 보빈(313)의 높이가 낮아짐으로 인한 음압이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보빈(313)의 주변에 배치된 댐퍼(317)의 면적을 넓게 하는 구조를 설계하였다. 댐퍼(317)의 면적을 크게 할 경우, 코일(314)로 전류를 인가하는 배선의 배치 공간이 좁아지므로, 배선과 댐퍼(317)와의 간섭이 발생함을 인식하였다. 이에 여러 실험을 통하여, 댐퍼(317)를 도전체로 구성하여 댐퍼(317)가 배선의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댐퍼(317)는 코일(3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댐퍼(317)는 스테인레스 스틸(staineless steel) 또는 구리(Cu)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10)는 보빈 보호 부재(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빈 보호 부재(318)는 보빈(313)의 전면(또는 선단부)에 배치되어 보빈(313)의 승강(또는 진동)을 차량 내장재(13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보빈 보호 부재(318)는 보빈(313)의 전면에 부착된 링 형상, 보빈(313)의 전면 전체를 덮는 원판 형상, 또는 보빈(313)의 전면과 상부 외측면을 감싸는 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 보호 부재(318)는 보빈 링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빈 보호 부재(318)는 접착 부재(319)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에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접착 부재(319)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 부재(319)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319)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보빈(313)의 진동이 손실 없이 차량 내장재(1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10)는 모듈 결합 부재(320)를 매개로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모듈 결합 부재(320)는 차량 구조물(110)과 음향 발생기(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프레임(311)은 모듈 결합 부재(320)를 매개로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되거나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프레임(311)은 차량 구조물(110)에 지지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10)의 제 1 프레임(311)은 연장부(3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1a)는 제 1 프레임(31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부재(320)는 차량 구조물(110)과 제 1 프레임(311)의 연장부(311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결합 부재(320)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모듈 결합 부재(32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부재(320)는 복수의 스크류일 수 있다. 복수의 스크류는 베이스 프레임(311)의 연장부(311a)를 통과하여 차량 구조물(110)에 체결됨으로써 음향 발생기(310)를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결합 부재(320)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너트는 베이스 프레임(311)의 연장부(311a)와 중첩되는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볼트는 베이스 프레임(311)의 연장부(311a)를 관통하여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너트는 차량 구조물(110)에 배치된 셀프 클린칭 너트(self-clinching nut)일 수 있으며, 셀프 클린칭 너트는 팸너트(PEM@ nut)일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10), 지지 부재(330), 및 연결 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10)는 차량 내장재(130)과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이는 도 4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3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부재(330)는 차량 구조물(110)에 지지되고 음향 발생기(31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330)는 음향 발생기(310)의 제 1 프레임(31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30)는 차량 구조물(110)에 안착되거나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구조물(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33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지 부재(330)는 판상 기구물, 베이스 구조물, 베이스 기구물, 모듈 지지 프레임, 또는 모듈 지지 플레이트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부재(340)는 지지 부재(330)와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0)는 음향 발생기(310)를 둘러싸도록 지지 부재(330)에 배치되고 차량 내장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0)는 지지 부재(33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음향 발생기(310)를 둘러쌀 수 있다. 연결 부재(340)는 차량 내장재(130)와 지지 부재(330) 사이에서 음향 발생기(310)를 둘러싸는 음향 공간(S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공간(SS)은 울림통, 울림부, 공명통, 또는 공명부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40)는 음향 발생기(310)에 의해 진동되는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 영역을 정의하거나 한정함으로써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 영역에서의 진동 및 진동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의 진동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0)는 음향 공간(SS)을 정의하는 파티션 또는 인클로저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40)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40)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이 지지 부재(330) 또는 차량 구조물(110)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10)는 모듈 결합 부재(320)를 매개로 지지 부재(330)에 배치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 결합 부재(320)는 베이스 프레임(311)의 연장부(311a)를 지지 부재(330)에 결합시킴으로써 음향 발생기(310)와 지지 부재(330)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10)와 지지 부재(330)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된 단일 구조체 또는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모듈화 공정(또는 조립 공정)에 의해 음향 발생기(310)와 지지 부재(330)가 단일 구조체 또는 단일 구조물 등과 같은 완제품 형태로 제작된 후, 차량(10)의 조립 공정 시 상대적으로 단순한 부품 장착(또는 배치) 공정에 의해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장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31)을 차량(10)에 배치하거나 조립하는 공정에서, 음향 발생 모듈(31)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5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의 지지 부재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음향 발생 모듈의 지지 부재 및 이와 관련된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동일 구성에 대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에서, 지지 부재(330)는 음향 발생기(310)와 중첩되는 홀(3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홀(331)은 음향 발생기(310)의 후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지지 부재(330)를 관통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331)은 지지 부재(33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음향 발생기(310)의 후면을 차량 구조물(110)에 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홀(331)은 원, 타원, 또는 다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홀(331)은 음향 발생기(310)의 후면 일부가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홀(331)에 수용된 음향 발생기(310)는 지지 부재(330)로부터 일정한 갭(G)을 가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홀(331)을 정의하거나 홀(331)에 노출된 지지 부재(330)의 측면과 음향 발생기(310) 사이의 갭(G)은 1mm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갭(G)이 1mm 미만일 때 홀(331)에 삽입된 음향 발생기(310)의 진동 시에 이상 진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갭(G)은 1mm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10)의 후면 일부가 지지 부재(330)의 홀(331)에 수용됨에 따라 음향 발생 도뮬(31)의 두께가 감소되거나 슬림화될 수 있다.
차량 구조물(110)은 지지 부재(330)의 홀(331)을 관통하는 음향 발생기(310)의 후면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조물(110)은 음향 발생 모듈(31)의 음향 발생기(310)과 직접적으로 마주함으로써 음향 발생기(310)의 구동 시에 발생되는 음향 발생기(310)의 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에 연결되거나 부착되는 음향 발생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50)는 압전 특성을 갖는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압전 액츄에이터, 압전 익사이터, 압전 스피커, 필름 스피커, 압전 트위터, 필름 트위터, 압전 필름 액츄에이터, 음향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 익사이터, 압전 필름 스피커, 음향 필름 스피커, 음향 필름 트위터, 또는 압전 필름 트위터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발생기(350)는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되어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음향(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른 압전 효과(piezoelectric effect)(또는 압전 특성)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진동을 통해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는 차량 내장재(130)를 직접 진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는 500Hz 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중고음역대의 음향(S)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기(350)는 차량 구조물(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와 차량 구조물(110) 사이의 이격 공간은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와 차량 구조물(110) 사이의 이격 공간은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 공간일 수 있다.
접착 부재(361)는 제 1 접착 부재(361)일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361)는 음향 발생기(350)와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361)는 음향 발생기(350)를 차량 내장재(130)에 연결하거나 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접착 부재(361)는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 부재(361)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아크릴 계열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 부재(361)의 접착 레진 또는 접착층은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이 손실 없이 차량 내장재(1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 물질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특성을 갖는 아크릴 계열의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50)와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된 플레이트(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60)는 진동 플레이트(360)일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360)는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에 응답하여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플레이트(360)는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을 차량 내장재(130)에 전달함으로써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플레이트(36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및 나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진동 플레이트(36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및 나무 재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진동 플레이트(360)는 플라스틱층, 금속층, 및 나무층 중 2 이상의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플레이트(360)가 금속 재질 또는 금속층을 포함할 때, 진동 플레이트(360)는 알루미늄(Al), 마그네슘(Mg) 합금, 마그네슘 리튬(Li) 합금, 및 알루미늄(Al) 합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마그네슘 합금은 알루미늄과 아연(Zn) 및 망간(M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마그네슘 합금은 스피커의 진동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재료 중 최경량 재료이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강성(강도/비중)과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감쇠능(진동을 흡수해 진동을 점차 작아지게 하는 능력)을 가지며, 온도와 시간의 변화에 대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진동 플레이트(360)는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에 응답하는 차량 내장재(130)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S)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360)는 제 1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음향 발생기(35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진동 플레이트(360)는 접착 부재(365)를 매개로 차량의 차량 내장재(13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365)는 제 2 접착 부재(365)일 수 있다. 제 2 접착 부재(365)는 제 1 접착 부재(36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이 진동 플레이트(360)를 더 포함할 때, 차량 내장재(130)는 섬유 재질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기(350)를 통해 차량 내장재(130)를 진동시켜 음향(S) 또는 입체 음향을 차량(10)의 실내 공간(I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기(350)를 포함함으로써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량 구조물(110) 및/또는 차량 내장재(130)의 구조 변경 없이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 유리 창(230)이 불투명 영역을 포함할 때,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차량 유리 창(230)의 불투명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유리 창(230)의 불투명 영역은 차량 유리 창(230)의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자체 진동에 따라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의 불투명 영역을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음향 발생기(35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의 압전 진동부를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되고,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유리 창(230)에 배치될 수 있다.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음향 발생기(350)를 포함하는 음향 발생 모듈(31)은 자체 진동에 따라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을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 또는 도 2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제 1 플레이트(370), 음향 발생기(350), 제 2 플레이트(372), 및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70)는 진동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70)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및 나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70)는 도 7에서 설명한 진동 플레이트(3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플레이트(370)는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음향 발생기(35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370)는 접착 부재(365)를 매개로 차량의 차량 내장재(13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361)는 제 1 접착 부재(361)일 수 있으며,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제 1 접착 부재(36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접착 부재(365)는 제 2 접착 부재(365)일 수 있으며,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제 2 접착 부재(36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음향 발생기(350)는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제 1 플레이트(37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플레이트(372)는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372)는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372)는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레이트(372)는 차량 구조물(110)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72)와 차량 구조물(110) 사이의 이격 공간은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이 원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72)와 차량 구조물(110) 사이의 이격 공간은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 공간일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372)는 플라스틱 재질, 금속 재질, 및 나무 재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372)는 제 1 플레이트(370)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72)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플레이트(372)는 판상 기구물, 베이스 구조물, 베이스 기구물, 모듈 지지 프레임, 또는 모듈 지지 플레이트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제 1 플레이트(370)에 배치되어 제 2 플레이트(372)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제 2 플레이트(3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음향 발생기(350)를 둘러싸도록 제 1 플레이트(370)와 제 2 플레이트(3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제 2 플레이트(372)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음향 발생기(310)를 둘러쌀 수 있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제 2 플레이트(372) 사이에서 음향 발생기(350)를 둘러싸는 음향 공간(S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공간(SS)은 울림통, 울림부, 공명통, 또는 공명부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의 두께(또는 높이)에 따른 제 1 플레이트(370)와 제 2 플레이트(372) 사이의 최단 거리는 제 1 플레이트(370)로부터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클 수 있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도 5에서 설명한 연결 부재(34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트 연결 부재(374)는 제 1 플레이트(370)를 제 2 플레이트(372)에 결합시킴으로써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하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는 제 2 플레이트(372)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하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는 제 2 플레이트(372)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된 단일 구조체 또는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은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하는 제 1 플레이트(370)와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는 제 2 플레이트(372)가 모듈화 공정(또는 조립 공정)에 의해 단일 구조체 또는 단일 구조물 등과 같은 완제품 형태로 제작된 후, 차량(10)의 조립 공정 시 상대적으로 단순한 부품 장착(또는 배치) 공정에 의해 차량 구조물(110)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장착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31)을 차량(10)에 배치하거나 조립하는 공정에서, 음향 발생 모듈(31)의 조립성이 개선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3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3)은 차량 유리창(230)에 배치되고 음향 발생 모듈(33)의 진동에 따라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거나 차량 유리 창(230)을 진동시켜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이 차량 유리 창(230)의 투명 영역에 배치될 때,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이 차량 유리 창(230)의 반투명 영역에 배치될 때,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이 차량 유리 창(230)의 불투명 영역에 배치될 때, 음향 발생 모듈(33)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유리 창(230)의 불투명 영역 또는 불투명 영역은 차량 유리 창(230)의 가장자리 부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발생 모듈(33)은 플레이트(380), 음향 발생기(350), 및 연결 부재(385)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380)는 차량 유리 창(23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380)는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할 수 있다. 플레이트(38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38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유리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이 차량 유리 창(230)의 투명 영역에 배치될 때, 플레이트(38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3)이 차량 유리 창(230)의 반투명 영역에 배치될 때, 플레이트(380)는 투명한 재질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380)는 음향 발생기(350)의 진동에 연동되어 진동함으로써 차량(10)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IS) 쪽으로 음향(S)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380)는 진동 플레이트, 음향 플레이트, 음향 출력 플레이트, 또는 투명 플레이트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발생기(350)는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플레이트(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기(350)는 차량 유리 창(230)과 마주하는 플레이트(380)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50)는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플레이트(38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음향 발생기(350)는 도 7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35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접착 부재(361)는 도 7에서 설명한 접착 부재(361)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 부재(385)는 플레이트(380)와 차량 유리창(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 부재(385)는 음향 발생기(350)를 둘러싸도록 플레이트(380)에 배치되고 차량 유리 창(23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85)는 플레이트(380)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음향 발생기(350)를 둘러쌀 수 있다. 연결 부재(385)는 차량 유리 창(230)과 플레이트(380) 사이에서 음향 발생기(350)를 둘러싸는 음향 공간(SS)을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공간(SS)은 울림통, 울림부, 공명통, 또는 공명부로 표현될 수도 있으며, 용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부재(385)의 두께(또는 높이)에 따른 플레이트(380)와 차량 유리 창(230) 사이의 최단 거리는 플레이트(380)로부터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 사이의 최단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385)는 투명 접착 레진을 포함하거나 투명 접착층을 갖는 양면 테이프, 양면 폼 테이프, 양면 폼 패드, 양면 폼 패드 테이프, 양면 접착 패드, 양면 접착 갭 패드, 또는 양면 접착 폼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결 부재(385)의 투명 접착 레진 또는 투명 접착층은 상대적으로 연성 특성을 갖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3)은 음향 발생기(350)를 덮도록 연결 부재(385)에 연결된 커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유리 창(23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는 연결 부재(385)를 통해 플레이트(380)를 지지할 수 있다. 연결 부재(385)는 플레이트(380)를 커버 플레이트에 배치하거나 결합시킴으로써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380)와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를 하나의 몸체로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3)은 음향 발생기(350)를 지지하는 플레이트(380)와 음향 발생기(350)의 후면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가 하나의 부품으로 모듈화된 단일 구조체 또는 단일 구조물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압전 진동부(351),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1)는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물질은 외력에 의해 결정 구조에 압력 또는 비틀림 현상이 작용하면서 양(+) 이온과 음(-) 이온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에 따른 유전 분극에 의해 전위차가 발생되고, 반대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전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1)는 진동층, 압전층, 압전 물질층, 전기 활성층, 진동부, 압전 물질부, 전기 활성부, 압전 구조물, 무기 물질층, 또는 무기 물질부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전 진동부(351)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또는 전기 활성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가 차량 내장재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때, 압전 진동부(351)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가 차량 유리 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때, 압전 진동부(351)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1)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되거나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계열의 결정 구조를 갖는 압전 세라믹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압전 및 역압전 효과를 가지며, 배향성을 갖는 판 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페로브스카이트 결정 구조는 ABO3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며, A 사이트는 2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지며, B 사이트는 4가의 금속 원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ABO3의 화학식에서, A 사이트 및 B 사이트는 cations일 수 있고, O는 anions일 수 있다. 예를 들면, PbTiO3, PbZrO3, PbZr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1)는 납(Pb), 지르코늄(Zr), 및 티타늄(Ti)를 포함하는 PZT(lead zirconate titanate)계 물질, 또는 납(Pb), 아연(Zn), 니켈(Ni), 및 니오븀(Nb)를 포함하는 PZNN(lead zirconate nickel niobate)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압전 진동부(351)는 납(Pb)을 포함하지 않는 CaTiO3,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1)는 원 형태, 타원 형태, 또는 다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1)의 제 1 면(또는 윗면)에 배치되고, 압전 진동부(351)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1)의 제 1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부(E1)는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불투명 도전성 물질은 알루미늄(Al), 구리(Cu), 금(Au), 은(Ag), 몰리브덴(Mo), 또는 마그네슘(M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1)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상에 배치되고, 압전 진동부(351)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1)의 제 2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1)보다 넓은 크기를 가지면서 압전 진동부(351)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부(E2)는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E2)는 제 1 전극부(E1)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제 2 전극부(E2)는 제 1 전극부(E1)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1)는 일정한 온도 분위기 또는 고온에서 상온으로 변화되는 온도 분위기에서 제 1 전극부(E1)와 제 2 전극부(E2)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1)는 외부로부터 제 1 전극부(E1)와 제 2 전극부(E2)에 인가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어느 하나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어느 하나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 차량 유리 창(230), 또는 플레이트(360, 370, 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제 1 보호 부재 및 제 2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는 제 1 전극부(E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전극부(E1)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섬유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보호 부재는 제 2 전극부(E2) 상에 배치되고 제 2 전극부(E2)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섬유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는 제 2 보호 부재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 및 제 2 보호 부재 중 하나 이상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하나 이상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 차량 유리 창(230), 또는 플레이트(360, 370, 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플렉서블 음향 발생기, 플렉서블 액츄에이터, 플렉서블 스피커, 플렉서블 압전 스피커, 필름 액츄에이터, 필름형 압전 복합체 액츄에이터, 필름 스피커, 필름형 압전 스피커, 또는 필름형 압전 복합체 스피커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압전 진동부(353),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는 압전 효과를 포함하는 압전 물질, 복합 압전 물질, 또는 전기 활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는 진동층, 압전층, 압전 물질층, 전기 활성층, 진동부, 압전 물질부, 전기 활성부, 압전 구조물, 압전 복합층, 압전 복합체, 또는 압전 세라믹 복합체 등의 다른 용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압전 진동부(353)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3)는 복수의 제 1 부분(353a) 및 복수의 제 2 부분(35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및 복수의 제 2 부분(353b)은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을 따라 교번적으로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방향(X)은 압전 진동부(353)의 가로 방향일 수 있고, 제 2 방향(Y)은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압전 진동부(353)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방향(X)은 압전 진동부(353)의 세로 방향일 수 있으며, 제 2 방향(Y)은 압전 진동부(353)의 가로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무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무기 물질부는 전술한 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도 10에서 설명한 압전 진동부(3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복수의 제 2 부분(353b)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1 폭(W1)을 가지면서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은 제 1 방향(X)(또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제 2 폭(W2)을 가지면서 제 2 방향(Y)(또는 제 1 방향(X))과 나란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 1 폭(W1)은 제 2 폭(W2)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폭(W1)은 제 2 폭(W2)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부분(353a)과 제 2 부분(353b)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크기를 갖는 라인 형태 또는 스트라이프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진동부(353)는 2-2 복합체를 가짐으로써 20kHz 이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3)의 공진 주파수는 형태, 길이, 및 두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에서, 복수의 제 1 부분(353a)과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353a)들 사이의 갭을 채우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353a)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 진동부(353)는 제 1 부분(353a)과 제 2 부분(353b)의 측면 결합(또는 연결)에 의해 원하는 크기 또는 길이로 확장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에서,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의 폭(W2)은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가장자리 부분(또는 양 끝단)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2 부분(353b) 중 가장 큰 폭(W2)을 갖는 제 2 부분(353b)은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가 상하 방향(Z)(또는 두께 방향)으로 진동할 때, 가장 큰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353b) 중 가장 작은 폭(W2)을 갖는 제 2 부분(353b)은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가 상하 방향(Z)으로 진동할 때,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응력이 발생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2 부분(353b) 중 가장 큰 폭(W2)을 갖는 제 2 부분(353b)은 압전 진동부(353)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며, 복수의 제 2 부분(353b) 중 가장 작은 폭(W2)을 갖는 제 2 부분(353b)은 압전 진동부(353)의 양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가 상하 방향(Z)으로 진동할 때, 가장 큰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음파의 간섭 또는 공진 주파수의 중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저음역대에서 발생되는 음압 저하(dipping) 현상이 개선될 수 있고, 저음역대에서 음향 특성의 평탄도가 개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 특성의 평탄도는 최고 음압과 최저 음압 사이의 편차의 크기일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에서,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서로 다른 크기(또는 넓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크기(또는 넓이)는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양 가장자리 부분(또는 양 끝단) 쪽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하거나 증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전 진동부(353)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진동에 따른 다양한 고유 진동 주파수에 의해 음향의 음압 특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음향의 재생 대역이 확장될 수 있다.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은 복수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는 제 2 부분(353b)에 의해 제 1 부분(353a)의 단위 격자 내의 링크에 의한 진동 에너지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진동 특성이 증가할 수 있으며, 압전 특성과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부분(353b)은 에폭시(epoxy) 계열 폴리머, 아크릴(acryl) 계열 폴리며, 및 실리콘(silicon) 계열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분(353b)은 유기 물질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물질부는 무기 물질부 사이마다 배치됨으로써 무기 물질부(또는 제 1 부분)에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무기 물질부에 집중되는 스트레스(stress)를 릴리징(releasing)하여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부분(353b)은 제 1 부분(350)과 비교하여 낮은 모듈러스(modulus)와 점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 1 부분(353a)의 취성 특성으로 인하여 충격에 취약한 제 1 부분(353a)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353b)은 0.01 ~ 1의 손실 계수와 1 ~ 10[Gpa]의 모듈러스를 갖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부분(353b)에 구성되는 유기 물질부는 제 1 부분(353a)인 무기 물질부와 비교하여 유연한 특성을 갖는 유기 물질, 유기 폴리머, 유기 압전 물질, 또는 유기 비압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부분(353b)은 유연성을 갖는 접착부, 신축부, 벤딩부, 댐핑부, 또는 연성부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3)는 복수의 제 1 부분(353a)과 제 2 부분(353b)이 동일 평면에 배치(또는 연결)됨으로써 단일의 얇은 필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0)의 복수의 제 1 부분(353a)이 일측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은 압전 진동부(350)의 전체에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전 진동부(353)는 진동 특성을 갖는 제 1 부분(353a)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고, 유연성을 갖는 제 2 부분(353b)에 의해 곡면 형태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압전 진동부(353)에서, 제 1 부분(353a)의 크기 및 제 2 부분(353b)의 크기는 압전 진동부(353) 또는 음향 발생기(350)에 요구되는 압전 특성 및 유연성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유연성보다 압전 특성을 요구하는 압전 진동부(353)의 경우, 제 1 부분(353a)의 크기가 제 2 부분(353b)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압전 특성보다 유연성을 요구하는 압전 진동부(353)의 경우, 제 2 부분(353b)의 크기가 제 1 부분(353a)의 크기보다 크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압전 진동부(353)의 크기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므로, 압전 진동부(353)의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1 면(또는 윗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극부(E1)는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제 1 면과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의 제 1 면에 공통적으로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1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부(E1)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또는 배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극부(E2)는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제 2 면과 복수의 제 2 부분(353b) 각각의 제 2 면에 공통적으로 배치되거나 결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2 면 전체에 배치된 통 전극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3)와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부(E2)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는 일정한 온도 분위기 또는 고온에서 상온으로 변화되는 온도 분위기에서 제 1 전극부(E1)와 제 2 전극부(E2)에 인가되는 일정한 전압에 의해 분극화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3)는 외부로부터 제 1 전극부(E1)와 제 2 전극부(E2)에 인가되는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따른 역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3)는 제 1 전극부(E1)와 제 2 전극부(E2)에 의해 수직 방향의 진동(d33) 및 평면 방향의 진동(d31)에 의해 진동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의 평면 방향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해 차량 내장재, 차랑 유리창, 및 플레이트 중 하나 이상의 변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진동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어느 하나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어느 하나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 차량 유리 창(230), 또는 플레이트(360, 370, 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제 1 보호 부재 및 제 2 보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는 제 1 전극부(E1) 상에 배치되고 제 1 전극부(E1)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섬유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보호 부재는 제 2 전극부(E2) 상에 배치되고 제 2 전극부(E2)를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는 플라스틱 재질, 섬유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는 제 2 보호 부재와 동일하거나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 및 제 2 보호 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 중 하나 이상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 차량 유리 창(230), 또는 플레이트(360, 370, 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1에서 설명한 압전 구동부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압전 구동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에서, 압전 구동부(350)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353a), 및 복수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353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육면체 형태를 가지면서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도 11에서 설명한 제 1 부분(353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부분(353b)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복수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353b)은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353a)들 사이의 갭을 채우거나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인접한 제 1 부분(353a)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X)을 따라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353b)의 폭은 제 1 부분(353a)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제 2 방향(Y)을 따라 인접한 2개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353b)의 폭은 제 1 부분(353a)의 폭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 2 부분(353b)은 도 11에서 설명한 제 2 부분(353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기 물질로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의 압전 구동부(350)는 1-3 복합체를 포함으로써 30MHz 이하의 공진 주파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압전 구동부(350)의 공진 주파수는 형태, 길이, 및 두께 등 적어도 하나 이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도 11에서 설명한 압전 구동부를 변경한 것이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에서는 압전 구동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에서, 압전 구동부(350)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제 1 부분(353a), 및 복수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된 제 2 부분(353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원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타원 형태, 다각 형태, 또는 도넛 형태 등을 포함하는 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부분(353b)은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복수의 제 1 부분(35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부분(353b)은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을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측면과 연결되거나 접착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부분(353a)과 제 2 부분(353b) 각각은 동일 평면(또는 동일층)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또는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의 압전 구동부(350)에서,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원 형태의 평면 구조 대신에 삼각 형태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 1 부분(353a) 각각은 삼각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중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353a)은 사각 형태(또는 정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사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4개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꼭지점은 사각 형태의 중앙부(또는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 1 부분(353a) 중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353a)은 육각 형태(또는 정육각 형태)를 이루도록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육각 형태를 이루는 인접한 6개의 제 1 부분(353a) 각각의 꼭지점은 육각 형태의 중앙부(또는 정중앙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로서, 이는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또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압전 효과에 의해 수축과 팽창을 교번적으로 반복함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이 타일링된 음향 발생기(350)는 진동 어레이, 진동 어레이부, 진동 모듈 어레이부, 진동 어레이 구조물, 타일링 진동 어레이, 타일링 어레이 모듈, 또는 타일링 진동 필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5cm 이상의 폭을 갖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5cm×5c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정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iХj 형태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음향 발생기(350)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를 갖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의 타일링에 의해 대면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는 제 1 방향(X)을 따라 배치된 진동 모듈의 개수로서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진동 모듈의 개수로서 i와 같거나 다른 1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완전한 하나의 단일체 형태로 구동되는 하나의 진동 장치(또는 단일 진동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의 제 1 이격 거리(D1)는 0.1mm 이상 3cm 미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의 제 2 이격 거리(D2)는 0.1mm 이상 3cm 미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이격 거리(D1)와 제 2 이격 거리(D2)는 공정 오차 범위 내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0.1mm 이상 3cm 미만의 이격 거리(또는 간격)(D1, D2)를 가지도록 배치되거나 타일링됨으로써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될 수 있으며,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 및 음향의 음압 특성 각각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을 증가시키고 저음역대 음향,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압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은 0.1mm 이상 5mm 미만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0.1mm 미만의 간격(D1, D2) 또는 간격(D1, D2) 없이 배치될 때,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진동시 서로 간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한 크랙의 발생 또는 파손으로 인하여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또는 음향 발생기(350)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3cm 이상의 간격(D1, D2)으로 배치될 때,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독립적인 진동으로 인하여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의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 및 음향의 음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3cm 이상의 간격(D1, D2)으로 배치될 때, 저음역대,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향 특성과 음압 특성이 각각 저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5mm의 간격으로 배치될 때,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각각이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되지 않기 때문에 저음역대, 예를 들면, 200Hz 이하에서 음향 특성과 음압 특성이 각각 저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1mm의 간격으로 배치될 때,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하나의 진동 장치로 진동함에 따라 음향의 재생 대역이 증가되고 저음역대 음향, 예를 들면, 500Hz 이하에서의 음압 특성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이 1mm의 간격으로 배치될 때, 음향 발생기(350)는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사이의 이격 거리가 최적화됨에 따른 대면적화된 진동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에 따른 대면적 진동체로 구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음향 발생기(350)의 대면적 진동에 연동되어 발생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과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 음압 특성 각각이 증가되거나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또는 하나의 진동 장치)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사이의 이격 거리는 0.1mm 이상 3cm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또는 하나의 진동 장치)을 구현하면서 저음역대 음향의 음압 특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의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사이의 이격 거리는 0.1mm 이상 5mm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전기적으로 분리된 제 1 내지 제 4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는 2Х2 형태로 배열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진동 모듈(350A, 350B)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진동 모듈(350C, 350D)은 제 1 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제 1 및 제 2 진동 모듈(350A, 350B)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3 진동 모듈(350A, 350C)은 서로 마주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 2 및 제 4 진동 모듈(350B, 350D)은 서로 마주하면서 제 2 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은 하나의 진동 장치로 구동, 단일체 진동, 또는 음향 발생기(350)의 대면적화된 진동체로 구현될 수 있다. 대면적화된 진동체의 진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0.1mm 이상 3cm 미만의 간격(D1, D2)으로 배치(또는 타일링)될 수 있다. 또는,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 각각을 따라 0.1mm 이상 5mm 미만의 간격(D1, D2)으로 배치(또는 타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내지 제 4 진동 모듈들(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압전 진동부(353), 제 1 전극부(E1), 및 제 2 전극부(E2)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진동부(353)는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 구현이 가능한 세라믹 계열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3)는 1-3 진동 모드의 압전 특성을 갖는 1-3 복합체(composite) 또는 2-2 진동 모드의 압전 특성을 갖는 2-2 복합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압전 진동부(353)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압전 진동부(353)와 동일하게 제 1 부분(353a)과 제 2 부분(353b)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전극부(E1)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압전 진동부(353)의 제 1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제 1 전극부(E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전극부(E2)는 압전 진동부(353)의 제 2 면에 배치되고, 압전 진동부(353)의 제 2 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제 1 전극부(E1)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진동부(353)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가 차량 내장재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때, 압전 진동부(353)는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가 차량 유리 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때, 압전 진동부(353)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압전 물질로 이루어져 투명 또는 반투명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제 1 보호 부재(356) 및 제 2 보호 부재(3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356)는 음향 발생기(350)의 제 1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356)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 상에 배치된 제 1 전극부(E1)를 덮음으로써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거나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을 공통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1 보호 부재(356)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 또는 제 1 전극부(E1)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보호 부재(356)는 제 1 접착층(354)을 매개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356)는 제 1 접착층(354)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일정한 간격(D1, D2)을 가지도록 제 1 보호 부재(356)에 일체화(또는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제 2 보호 부재(357)는 음향 발생기(350)의 제 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357)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부(E2)를 덮음으로써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에 공통적으로 연결되거나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을 공통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 2 보호 부재(357)는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 또는 제 2 전극부(E2)를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보호 부재(357)는 제 2 접착층(355)을 매개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보호 부재(357)는 제 2 접착층(355)을 매개로 하는 필름 라미네이팅 공정에 의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일정한 간격(D1, D2)을 가지도록 제 2 보호 부재(357)에 일체화(또는 배치)되거나 타일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보호 부재(356, 357) 각각은 플라스틱 재질, 섬유 재질, 또는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호 부재(356) 및 제 2 보호 부재(357) 중 하나 이상은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창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보호 부재(356) 및 제 2 보호 부재(357) 중 하나 이상은,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 부재(361)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130), 차량 유리 창(230), 또는 플레이트(360, 370, 380)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354)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 및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접착층(354)은 음향 발생기(350)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보호 부재(356)의 후면(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제 2 접착층(355)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 및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접착층(355)은 음향 발생기(350)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보호 부재(357)의 전면(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은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전체를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은 커버 부재 등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이 커버 부재일 때, 제 1 보호 부재(356)는 커버 부재의 제 1 면에 배치되고, 제 2 보호 부재(357)는 커버 부재의 제 2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 각각은 접착성을 가지면서 압축과 복원이 가능한 전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 각각은 에폭시(epoxy) 수지, 아크릴(acryl) 수지, 실리콘(silicon) 수지, 또는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접착층(354, 355) 각각은 음향 발생기(350)가 배치되는 차량의 장소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제 1 보호 부재(356)에 배치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보호 부재(357)에 배치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과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부(3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음향 발생기(350)의 제 1 면과 마주하는 제 1 보호 부재(356)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1 접착층(354)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상부 전원 라인(PL11)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열에 배치된 제 1 및 제 3 진동 모듈(350A, 350C)(또는 제 1 모듈 그룹)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2)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2 열에 배치된 제 2 및 제 4 진동 모듈(350B, 350D)(또는 제 2 모듈 그룹) 각각의 제 1 전극부(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음향 발생기(350)의 제 2 면과 마주하는 제 2 보호 부재(357)의 전면(前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매개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접착층(355)에 함유된 도전성 물질(또는 입자)을 통해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은 제 2 방향(Y)을 따라 배치된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부 전원 라인(PL21)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1 열에 배치된 제 1 및 제 3 진동 모듈(350A, 350C)(또는 제 1 모듈 그룹)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2)은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제 2 열에 배치된 제 2 및 제 4 진동 모듈(350B, 350D)(또는 제 2 모듈 그룹) 각각의 제 2 전극부(E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패드부(358)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일측(또는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음향 발생기(35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부(358)는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패드 전극은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의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 각각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상부 전원 라인(PL11, PL12) 각각의 일단은 제 1 패드 전극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제 2 패드 전극은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의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 각각의 일단에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하부 전원 라인(PL21, PL22) 각각의 일단은 제 2 패드 전극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 및 패드부(358) 각각은 음향 발생기(350)가 배치되는 차량의 장소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투명 도전성 물질, 반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불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플렉서블 케이블(3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359)은 음향 발생기(350)에 배치된 패드부(35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음향 처리 회로로부터 제공되는 진동 구동 신호(또는 음향 신호)를 음향 발생기(35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에에 따른 플렉서블 케이블(359)은 패드부(358)의 제 1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단자, 및 패드부(358)의 제 2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서블 케이블(359)은 플렉서블 인쇄 회로 케이블 또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향 처리 회로는 음향 소스에 기초하여 제 1 진동 구동 신호 및 제 2 진동 구동 신호를 포함하는 교류 형태의 진동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이고,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정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및 부극성(-)의 진동 구동 신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진동 구동 신호는 플렉서블 케이블(359)의 제 1 단자와 패드부(358)의 제 1 패드 전극 및 제 1 전원 공급 라인(PL1)을 통해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1 전극부(E1)에 공급될 수 있다. 제 2 진동 구동 신호는 플렉서블 케이블(359)의 제 2 단자와 패드부(358)의 제 2 패드 전극 및 제 2 전원 공급 라인(PL2)을 통해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 각각의 제 2 전극부(E2)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 케이블(359)은 음향 발생기(350)가 배치되는 차량의 장소에 따라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기(350)는 독립적으로 구동되지 않고 하나의 단일 진동체로 구현되도록 일정한 간격(D1, D2)으로 배열(또는 타일링)된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을 포함함으로써 복수의 진동 모듈(350A, 350B, 350C, 350D)의 단일체 진동에 따른 대면적 진동체로 구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량 내장재 또는 차량 유리 창의 넓은 면적을 진동시키거나 자체 대면적 진동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내부 또는 실내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재생 대역과 저음역대에서의 음향 특성 및 음압 특성 각각을 증가시키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선 II-II'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의 내장재로 분류할 수 있는 계기판 모듈 및 인포테인먼트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이거나 차량의 좌석의 후면 및 헤드레스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매립된 디스플레이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계기판 모듈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의 운행시간, 속도, 연료량, 및 엔진 회전수 등의 운행 관련 정보와 차량 상태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모듈(또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장치(5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과 공조 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시스템 등과 같이 차량 편의 시스템,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연결되고, 해당하는 차량 편의 시스템의 제어를 위한 제어 아이콘 및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표시하고, 오디오 시스템 및/또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음향 신호에 대응되는 음향을 차량의 탑승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 및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또는 배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51)은 영상, 예를 들면, 전자 영상(electronic image) 또는 디지털 영상(digital image)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51)은 광을 출력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51)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양자점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전자 습윤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모든 형태의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51)은 투명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51)은 터치 패널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 일체형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포함하거나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에 배치된 터치 전극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에 배치된 후면 구조물(53), 및 디스플레이 패널(51)과 후면 구조물(53) 사이에 배치된 패널 연결 부재(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면 구조물(53)은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구조물(53)은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을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구조물(53)은 갭 공간(GS)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면 구조물(53)은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에 배치되는 모든 형태의 프레임 또는 판상 구조물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면 구조물(53)은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측면을 추가로 덮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후면 구조물(53)은 갭 공간(GS)을 사이에 두고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53a), 및 후면부(53a)의 끝단에 연결되고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측면을 덮는 측면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하지 않고, 후면 구조물(53)은 후면부(53a)와 측면부(53b)가 일체로 구현된 단일 몸체의 구조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전면 부재(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 부재(57)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개구부를 갖는 액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부재(570)는 후면 구조물(53)의 측면부(53b)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시켜 음향(S)을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전방 또는 차량의 실내 공간(IS)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S)을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전방 또는 차량의 실내 공간(IS)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되므로, 진동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진동 장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또는 배면)에 배치되거나 연결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후면 구조물(53)의 후면부(53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후면 구조물(53)의 후면부(53a)에 지지되거나 결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또는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후면 구조물(53)의 후면부(53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후면 구조물(53)의 후면부(53a)로부터 이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또는 배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도 1 내지 도 9 중 어느 하나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에서, 차량 구조물(110)이 후면 구조물(53)로 변경되고 차량 내장재(130)가 디스플레이 패널(510)로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도 3 및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에서, 차량 유리 창(230)이 디스플레이 패널(510)로 변경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의 음향 발생기(350)는 도 10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기(35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후면에 배치된 복수의 음향 발생 장치(30A, 30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제 1 후면 영역(또는 좌측 영역) 및 제 2 후면 영역(또는 우측 영역)에 각각 배치된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30A, 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30A, 30B)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도 1 내지 도 9 중 하나 이상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50)는 디스플레이 패널(51)의 제 1 후면 영역과 제 2 후면 영역 사이의 제 3 후면 영역(또는 중간 영역)에 추가로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음향 발생 장치는 도 1 내지 도 9 중 하나 이상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외부로부터 음향 신호(또는 보이스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음향 발생 모듈(31, 33)은 디스플레이 패널(51)에 표시되는 영상과 동기되는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음향 발생 모듈(31, 33)는 터치 패널(또는 터치 센서층)에 대한 사용자 터치에 동기되는 햅틱 피드백 신호(또는 촉각 피드백 신호)에 따라 진동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51)은 음향 발생 모듈(31, 33)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 및 햅틱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사용자(또는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및 도 19의 운전석과 동승석 주변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도어 및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도 18 및 도 19의 차량의 루프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18 및 도 19의 차량의 루프 및 좌석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 내장재(130) 및 제 1 음향 발생장치(30-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내장재(130)는 차량 구조물을 덮고 실내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장치(30-1)는 차량 구조물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음향 발생 장치(30-1)는 데시 보드(130A), 필러 내장재(130B), 루프 내장재(130C), 도어 내장재(130D), 좌석 내장재(130E), 핸들 내장재(130F), 및 플로어 내장재(130G)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차량 구조물(11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1A ~ 31G)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장치(30-1)는 제 1 내지 제 7 음향 발생 모듈(31A ~ 31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차량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중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130A) 사이에 배치되고, 데시 보드(130A)를 진동시켜 데시 보드(130A)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데시 보드(130A)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데시 보드(130A)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데시 보드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130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또는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데시 패널과 데시 보드(130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조수석(PS)과 마주하면서 경사진 제 4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데시 보드(130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데시 보드(130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4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데시 보드(130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시 보드(130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시 보드(130A)의 제 1 내지 제 4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음향 발생 모듈(31A)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차량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중 필러 패널과 필러 내장재(130B) 사이에 배치되고 필러 내장재(130B)를 진동시켜 필러 내장재(130B)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필러 내장재(130B)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필러 내장재(130B)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필러 스피커 또는 트위터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러 패널은 전방 유리 창의 양쪽에 배치된 제 1 필러(또는 A 필러), 차체 중앙의 양쪽에 배치된 제 2 필러(또는 B 필러), 및 차체 뒤쪽의 양측에 배치된 제 3 필러(또는 C 필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내장재(130B)는 제 1 필러를 덮는 제 1 필러 내장재(130B1), 제 2 필러를 덮는 제 2 필러 내장재(130B2), 및 제 3 필러를 덮는 제 3 필러 내장재(130B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제 1 필러와 제 1 필러 내장재(130B1) 사이, 제 2 필러와 제 2 필러 내장재(130B2) 사이, 및 제 3 필러와 제 3 필러 내장재(130B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필러 내장재(130B1, 130B2, 130B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필러 내장재(130B1, 130B2, 130B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음향 발생 모듈(31B)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9,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차량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중 루프 패널과 루프 내장재(130C) 사이에 배치되고 루프 내장재(130C)를 진동시켜 루프 내장재(130C)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루프 내장재(130C)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루프 내장재(130C)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루프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루프 패널 및 루프 패널을 덮는 루프 내장재(130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운전석(DS)과 조수석(PS) 사이에 대응되는 제 3 영역, 운전석(DS) 뒤쪽의 제 1 동승석(BS1)에 대응되는 제 4 영역, 조수석(PS) 뒤쪽의 제 2 동승석(BS2)에 대응되는 제 5 영역, 제 1 동승석(BS1)과 제 2 동승석(BS2) 사이에 대응되는 제 6 영역, 및 제 3 영역과 제 6 영역 사이의 제 7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루프 내장재(130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130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130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130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내장재(130C)의 제 1 내지 제 7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차량 구조물의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130D) 사이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130D)를 진동시켜 도어 내장재(130D)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도어 내장재(130D)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도어 내장재(130D)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도어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130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차량(10)의 높이 방향(Z)을 기준으로,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도어 프레임과 도어 내장재(130D) 사이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도어 내장재(130D)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장재(130D)의 상부 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어 내장재(130D)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기 위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도 11 내지 도 15에서 설명한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음향 발생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프레임은 제 1 도어 프레임(또는 좌측 프런트 도어 프레임), 제 2 도어 프레임(또는 우측 프런트 도어 프레임), 제 3 도어 프레임(또는 좌측 리어 도어 프레임), 및 제 4 도어 프레임(또는 우측 리어 도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내장재(130D)는 제 1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1 도어 내장재(또는 좌측 프런트 도어 내장재)(130D1), 제 2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2 도어 내장재(또는 우측 프런트 도어 내장재)(130D2), 제 3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3 도어 내장재(또는 좌측 리어 도어 내장재)(130D3), 및 제 4 도어 프레임을 덮는 제 4 도어 내장재(또는 우측 리어 도어 내장재)(130D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각각과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사이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상부 영역,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중간 영역 및 하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 1 도어 내장재(130D1)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과 제 2 도어 내장재(130D2)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 각각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도어 내장재(130D1)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과 제 2 도어 내장재(130D2)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출력되는 음향은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 3 도어 내장재(130D3)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4 도어 내장재(130D4)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상부 영역은 데시 보드(130A)에 인접한 제 1 상부 영역, 뒷자석(BS1, BS2, BS3)에 인접한 제 2 상부 영역, 및 제 1 상부 영역과 제 2 상부 영역 사이의 제 3 상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제 1 내지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130D1, 130D2) 각각의 제 1 상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130D1, 130D2) 각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내지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130D1, 130D2) 중 하나 이상의 제 1 상부 영역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130D1, 130D2) 각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도어 내장재(130D1, 130D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및 제 3 상부 영역 중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 도 19,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좌석 프레임과 좌석 내장재(130E) 사이에 배치되고 좌석 내장재(130E)를 진동시켜 좌석 내장재(130E)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좌석 내장재(130E)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좌석 내장재(130E)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시트 스피커 또는 헤드레스트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 프레임은 제 1 좌석 프레임(또는 운전석 프레임), 제 2 좌석 프레임(또는 조수석 프레임), 제 3 좌석 프레임(또는 제 1 동승석 프레임), 제 4 좌석 프레임(또는 제 2 동승석 프레임), 및 제 5 좌석 프레임(또는 제 3 동승석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좌석 내장재(130E)는 제 1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1 좌석 내장재, 제 2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2 좌석 내장재, 제 3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3 좌석 내장재, 제 4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4 좌석 내장재, 및 제 5 좌석 프레임을 둘러싸는 제 5 좌석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5 좌석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좌석 바닥 프레임, 좌석 백 프레임,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내장재(130E)는 좌석 바닥 프레임을 둘러싸는 좌석 바닥 내장재(130E1), 좌석 백 프레임을 둘러싸는 좌석 백 내장재(130E2),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을 둘러싸는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를 포함할 수 있다. 좌석 바닥 내장재(130E1), 좌석 백 내장재(130E2), 및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내부 내장재 및 외부 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내장재는 발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내장재는 섬유 또는 가죽을 포함하는 표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내장재는 표피층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좌석 백 프레임과 좌석 백 내장재(130E2) 사이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됨으로써 좌석 백 내장재(130E2)의 외부 내장재와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의 외부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및 조수석(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좌석 백 프레임과 좌석 백 내장재(130E2) 사이 및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 사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3 동승석(BS1, BS2, B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3 동승석(BS1, BS2, B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헤드레스트 프레임과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및 조수석(P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좌석 백 내장재(130E2)를 진동시키는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석(DS), 조수석(PS), 및 제 1 내지 제 3 동승석(BS1, BS2, BS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헤드레스트 내장재(130E3)를 진동시키는 제 5 음향 발생 모듈(31E)은 2k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핸들 프레임과 핸들 내장재(130F) 사이에 배치되고 핸들 내장재(130F)를 진동시켜 핸들 내장재(130F)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핸들 내장재(130F)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핸들 내장재(130F)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핸들 스피커 또는 스티어링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핸들 내장재(130F)를 진동시켜 핸들 내장재(130F)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핸들 내장재(130F)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핸들 내장재(130F)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내지 제 5 음향 발생 모듈(31A ~ 31E)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하거나 다른 음향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제 1 내지 제 5 음향 발생 모듈(31A ~ 31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동일하거나 다른 음향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은 운전자에게만 제공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1 내지 제 5 음향 발생 모듈(31A ~ 31E) 각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6 음향 발생 모듈(31F)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과 제 1 내지 제 5 음향 발생 모듈(31A ~ 31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출력되는 음향은 서로 합쳐져서 출력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차량 구조물의 메인 프레임 중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내장재(130G) 사이에 배치되고 플로어 내장재(130G)를 진동시켜 플로어 내장재(130G)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플로어 내장재(130G)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플로어 내장재(130G)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앞좌석(DS, PS)과 제 3 동승석(BS3) 사이에 배치된 플로어 패널과 플로어 내장재(130G)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플로어 스피커, 바닥 스피커, 또는 언더 스피커일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실내 공간에 노출된 차량 내장재(130)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제 1 음향 발생 장치(30-2) 대신에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만을 포함하거나 제 1 음향 발생 장치(30-1)와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장재(130)는 리어 뷰 미러(130H), 오버헤드 콘솔(130I),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 글러브 박스(130K), 및 선바이저(130L)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는 리어 뷰 미러(130H), 오버헤드 콘솔(130I),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 글러브 박스(130K), 및 선바이저(130L)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1H ~ 31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는 제 8 내지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H ~ 31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 8 음향 발생 모듈(31H)은 리어 뷰 미러(130H)에 배치되고 리어 뷰 미러(130H)를 진동시켜 리어 뷰 미러(130H)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음향 발생 모듈(31H)은 리어 뷰 미러(130H)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리어 뷰 미러(130H)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8 음향 발생 모듈(31H)은 차체 구조물에 연결된 미러 하우징 및 미러 하우징에 지지된 리어 뷰 미러(130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8 음향 발생 모듈(31H)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7 음향 발생 모듈(31G)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8 음향 발생 모듈(31H)은 미러 스피커일 수 있다.
도 19, 도 20, 및 도 22를 참조하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오버헤드 콘솔(130I)에 배치되고 오버헤드 콘솔(130I)의 콘솔 커버를 진동시켜 오버헤드 콘솔(130I)의 내장재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오버헤드 콘솔(130I)의 콘솔 커버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오버헤드 콘솔(130I)의 내장재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오버헤드 콘솔(130I)은 루프 패널에 매립된 콘솔 박스, 콘솔 박스에 배치된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와 콘솔 박스를 덮는 콘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오버헤드 콘솔(130I)의 콘솔 박스와 콘솔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콘솔 커버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오버헤드 콘솔(130I)의 콘솔 박스와 콘솔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콘솔 커버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도 1,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콘솔 스피커 또는 조명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은 루프 내장재(130C)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중앙 조명 박스, 중앙 조명 박스에 배치된 중앙 조명 기구, 및 중앙 조명 기구를 덮는 중앙 조명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9 음향 발생 모듈(31I)은 중앙 조명 기구의 중앙 조명 박스와 중앙 조명 커버 사이에 추가로 배치되고 중앙 조명 커버를 추가로 진동시킬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에 배치되고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를 진동시켜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는 제 1 내지 제 3 동승석(BS1, BS2, BS3)의 뒤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일부는 후방 유리창(230C)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배면에 배치되고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스피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는 제 1 동승석(BS1)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제 2 동승석(BS2)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3 동승석(BS3)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제 10 음향 발생 모듈(31J)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를 참조하면,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글러브 박스(130K)에 배치되고 글러브 박스(130K)를 진동시켜 글러브 박스(130K)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글러브 박스(130K)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글러브 박스(130K)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글러브 박스(130K)는 조수석(PS)의 전방에 대응되는 데시 보드(130A)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글러브 박스(130K)의 안쪽면에 배치되고 글러브 박스(130K)를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글러브 박스(130K)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9 음향 발생 모듈(31J)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1 음향 발생 모듈(31K)은 글러브 박스 스피커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선바이저(130L)에 배치되고 선바이저(130L)를 진동시켜 선바이저(130L)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선바이저(130L)를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선바이저(130L)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선바이저(130L)는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조수석(PS)에 대응되는 제 2 선바이저(130L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선바이저 스피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선바이저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바이저 미러를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제 1 선바이저(130L1) 및 제 2 선바이저(130L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바이저 미러를 직접적으로 진동시킬 수 있다. 선바이저 미러를 진동시키는 제 12 음향 발생 모듈(31L)은 도 1, 도 3, 및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1, 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 유리창(230)에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제 1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30-1, 3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신에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을 포함하거나 제 1 내지 제 3 음향 발생 장치(30-1, 30-2, 30-3)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는 차량 유리창(23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모듈(31M ~ 31P)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는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1채널 이상의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는 투명 음향 발생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도 3 및 도 9에서 설명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음향 발생 모듈(33)을 포함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도 3에서 설명한 음향 발생 모듈(33)를 포함할 때,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차량 유리창(230)을 진동시켜 차량 유리창(230)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차량 유리창(230)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차량 유리창(230)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도 9에서 설명한 발생 모듈(33)를 포함할 때, 제 13 내지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M ~ 31P)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유리창(230)는 전방 유리 창(230A), 옆면 유리 창(230B), 및 후방 유리 창(230C)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유리창(230)은 루프 유리 창(230D)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이 루프 유리 창(230D)을 포함할 때, 전술한 루프 프레임과 루프 내장재(130C)의 영역 중 일부는 루프 유리 창(230D)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이 루프 유리 창(230D)을 포함할 때, 제 3 음향 발생 모듈(31C)은 루프 유리 창(230D)을 둘러싸는 루프 내장재(130C)의 가장자리 부분을 진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유리 창(230A)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전방 유리 창(230A)을 진동시켜 전방 유리 창(230A)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유리 창(230A)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전방 유리 창(230A)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유리 창(230A)은 운전석(D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조수석(PS)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1 영역과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또는 중간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유리 창(230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유리 창(230A)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유리 창(230A)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유리 창(230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 유리 창(230A)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3 음향 발생 모듈(31M)은 전방 윈도우 스피커일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 및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옆면 유리 창(230B)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옆면 유리 창(230B)을 진동시켜 옆면 유리 창(230B)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옆면 유리 창(230B)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옆면 유리 창(230B)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옆면 유리창(230B)은 제 1 옆면 유리 창(또는 좌측 프런트 윈도우)(230B1), 제 2 옆면 유리 창(또는 우측 프런트 윈도우)(230B2), 제 3 옆면 유리 창(또는 좌측 리어 윈도우)(230B3), 및 제 4 옆면 유리 창(또는 우측 리어 윈도우)(230B4)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해당하는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을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옆면 유리 창(230B1 ~ 230B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4 음향 발생 모듈(31N)은 옆면 윈도우 스피커일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후방 유리 창(230C)을 진동시켜 후방 유리 창(230C)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후방 유리 창(230C)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방 유리 창(230C)은 제 1 동승석(BS1)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제 2 동승석(BS2)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2 영역, 및 제 3 동승석(BS3)의 후방에 대응되는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및 제 2 영역 각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각각에 배치된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후방 유리 창(230C)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거나,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5 음향 발생 모듈(31O)은 후방 윈도우 스피커일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루프 유리 창(230D)에 배치되고, 자체 진동에 따라 음향(S)을 출력하거나 루프 유리 창(230D)을 진동시켜 루프 유리 창(230D)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루프 유리 창(230D)을 직접적으로 진동시켜 루프 유리 창(230D)의 진동에 따른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유리 창(230D)은 차량(10)의 앞좌석(DS, PS)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루프 유리 창(230D)의 중간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루프 윈도우 스피커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유리 창(230D)은 차량(10)의 앞좌석(DS, PS) 위에 배치되거나 앞좌석(DS, PS)과 뒷자석(BS1, BS2, BS3)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유리 창(230D)은 앞좌석(DS, PS)에 대응되는 제 1 영역, 및 뒷자석(BS1, BS2, BS3)에 대응되는 제 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루프 유리 창(230D)은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 사이의 제 3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루프 유리 창(230D)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거나 루프 유리 창(230D)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루프 유리 창(230D)의 제 1 내지 제 3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제 16 음향 발생 모듈(31P)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음향 출력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데시 보드(130A), 도어 프레임(130B), 및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우퍼 스피커(W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우퍼 스피커(WS)는 우퍼, 미드-우퍼, 및 서브-우퍼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우퍼 스피커(WS)는 60Hz에서 150Hz의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따라서, 우퍼 스피커(WS)는 60Hz에서 150Hz의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실내 공간으로 출력되는 음향의 저음역대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데시 보드(130A)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도어 내장재(130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각각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130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하부 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퍼 스피커(WS)는 도어 내장재(130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고, 도어 내장재(130D)의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영역에 노출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우퍼 스피커(WS)는 리어 패키지 내장재(130J)의 제 1 및 제 2 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각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우퍼 스피커(WS)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내지 제 4 도어 내장재(130D1 ~ 130D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 제 4 음향 발생 모듈(31D)은 우퍼 스피커(WS)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계기판 모듈(150) 및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판 모듈(150)은 운전석(DS)을 향하도록 데시 보드(130A)의 제 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계기판 모듈(150)은 운전석(DS)을 향하도록 데시 보드(130A)의 제 1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또는 제 1 디스플레이)(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스플레이(151)는 도 16 및 도 17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계기판 모듈(150)은 제 1 디스플레이(15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의 진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운전석(D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기판 모듈(150)의 제 1 디스플레이(151)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30)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데시 보드(130A)의 제 3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데시 보드(130A)의 제 3 영역 상에 직립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데시 보드(130A)의 제 3 영역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차량의 전원 오프 또는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데시 보드(130A)의 내부로 수납 또는 수용되고, 차량의 전원 온 또는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데시 보드(130A) 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데시 보드(130A)의 제 3 영역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또는 제 2 디스플레이)(171), 및 디스플레이 승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디스플레이(171)는 도 16 및 도 17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50)를 포함하므로, 이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은 제 2 디스플레이(171)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향 발생 장치(30)의 진동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음향을 운전석(DS) 쪽으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포테인먼트 모듈(170)의 제 2 디스플레이(171)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30)는 150Hz에서 20kHz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승강 유닛은 데시 보드(130A)의 제 3 영역 내부에 배치되어 제 2 디스플레이(171)를 승강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승강 유닛은 차량의 전원이 온되거나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171)를 상승시켜 데시 보드(130A) 상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승강 유닛은 차량의 전원 오프 또는 차량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제 2 디스플레이(171)를 하강시켜 데시 보드(130A)의 내부로 수납 또는 수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차량 구조물과 차량 내장재(130) 사이에 배치된 제 1 음향 발생 장치(30-1), 실내 공간에 노출된 차량 내장재(130)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30-2), 및 차량 유리창(230)에 배치된 제 3 음향 발생 장치(30-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통해 음향을 실내 공간으로 출력함으로써 차량 내장재를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다채널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은 계기판 모듈(150) 및 인포테인먼트 모듈(17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151, 17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음향 진동판으로 사용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 1 내지 제 3 음향 발생 장치(30-1, 30-2, 30-3)와 계기판 모듈(150) 및 인포테인먼트 모듈(170) 각각을 통해 더욱 실감나는 다채널 서라운드 입체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의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차량 내장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는 베이스 프레임,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보빈, 및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차량의 구조물에 지지되고 음향 발생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지지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제 1 플레이트, 제 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음향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플레이트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의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플레이트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연결 부재는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진동부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및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진동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보호 부재, 및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유기 물질부 각각과 제 1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1 전극부, 및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유기 물질부 각각과 제 2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2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iХj(i는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i와 같거나 1 이상의 자연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은 차량 구조물을 덮는 차량 내장재, 및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 내장재는 음향 발생 장치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장재는 플라스틱, 섬유, 가죽, 나무, 천, 및 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 구조물과 차량 내장재 사이에 배치된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장재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및 플로어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제 1 음향 발생 장치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및 플로어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내장재는 리어 뷰 미러, 오버헤드 콘솔, 리어 패키지 내장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제 2 음향 발생 장치는 리어 뷰 미러, 오버헤드 콘솔, 리어 패키지 내장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유리 창, 및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투명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유리 창은 전방 유리 창과 옆면 유리 창을 포함하고, 후방 유리 창과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투명 음향 발생 장치는 전방 유리 창, 옆면 유리 창, 후방 유리 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는 차량의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차량 내장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제 1 플레이트, 제 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음향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제 1 플레이트와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제 1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내장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유리 창, 및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을 갖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유리 창, 및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을 갖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된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진동부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및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압전 진동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보호 부재, 및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보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유기 물질부 각각과 제 1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1 전극부, 및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유기 물질부 각각과 제 2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2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계기판 모듈을 더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계기판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데시 보드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명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범위 또는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명세서는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량 30: 음향 발생 장치
31, 33: 음향 발생 모듈 110: 차량 구조물
130: 차량 내장재 131: 베이스 부재
133: 표피 부재 310, 350: 음향 발생기
330: 지지 부재 340: 연결 부재
353: 압전 진동부 356: 제 1 보호 부재
357: 제 2 보호 부재 360: 연결 부재
361, 365: 접착 부재 370: 제 1 플레이트
372: 제 2 플레이트 374: 플레이트 연결 부재
380: 플레이트

Claims (32)

  1. 차량의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차량 내장재를 진동시키도록 구성된,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기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보빈; 및
    상기 보빈에 감겨진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차량의 구조물에 지지되고 상기 음향 발생기의 베이스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지지 부재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부를 수용하는 홀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상기 음향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및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11.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보호 부재; 및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유기 물질부 각각과 상기 제 1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1 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유기 물질부 각각과 상기 제 2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동일 평면 상에 iХj(i는 2 이상의 자연수이고, j는 i와 같거나 1 이상의 자연수) 형태로 배치된,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14. 차량 구조물을 덮는 차량 내장재; 및
    상기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내장재는 상기 음향 발생 장치의 진동에 따라 진동하여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장재는 플라스틱, 섬유, 가죽, 나무, 천, 및 유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차량.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차량 구조물과 상기 차량 내장재 사이에 배치된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차량 내장재에 배치된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장재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및 플로어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는 데시 보드, 필러 내장재, 루프 내장재, 도어 내장재, 좌석 내장재, 핸들 내장재, 및 플로어 내장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는, 차량,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내장재는 리어 뷰 미러, 오버헤드 콘솔, 리어 패키지 내장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음향 발생 장치는 리어 뷰 미러, 오버헤드 콘솔, 리어 패키지 내장재, 글러브 박스, 및 선바이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진동시키는, 차량.
  19. 제 14 항에 있어서,
    차량 유리 창; 및
    상기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투명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유리 창은 전방 유리 창과 옆면 유리 창을 포함하고, 후방 유리 창과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투명 음향 발생 장치는 상기 전방 유리 창, 상기 옆면 유리 창, 후방 유리 창, 및 루프 유리 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된, 차량.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청구항 1 항 내지 청구항 9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음향 발생 장치 및 상기 제 2 음향 발생 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상기 차량 내장재에 의해 덮인 음향 발생 모듈을 포함하는, 차량.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차량.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상기 음향 발생기의 후면에 배치된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 1 플레이트와 상기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차량.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 내장재에 연결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26. 제 14 항에 있어서,
    차량 유리 창; 및
    상기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을 갖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기는 접착 부재를 매개로 상기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된, 차량.
  27. 제 14 항에 있어서,
    차량 유리 창; 및
    상기 차량 유리 창에 배치된 음향 발생 모듈을 갖는 제 3 음향 발생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압전 진동부를 갖는 음향 발생기; 및
    상기 음향 발생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 유리 창에 연결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28.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는,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및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를 포함하는, 차량.
  29. 제 23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 진동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진동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음향 발생 모듈은,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에 배치된 제 1 보호 부재; 및
    상기 압전 진동부의 제 1 면과 반대되는 제 2 면에 배치된 제 2 보호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동 모듈 각각은,
    압전 특성을 갖는 복수의 무기 물질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 사이에 연결된 유기 물질부;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유기 물질부 각각과 상기 제 1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1 전극부; 및
    상기 복수의 무기 물질부와 상기 유기 물질부 각각과 상기 제 2 보호 부재 사이에 개재된 제 2 전극부를 포함하는, 차량.
  31. 제 1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갖는 계기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계기판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
  32. 제 14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데시 보드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포테인먼트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된 진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인포테인먼트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진동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차량.
KR1020200056213A 2020-05-11 2020-05-11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10137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13A KR20210137855A (ko) 2020-05-11 2020-05-11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E102021111958.8A DE102021111958A1 (de) 2020-05-11 2021-05-07 Schallerzeugungsvorrichtung für fahrzeuge und fahrzeug, das diese enthält
TW110116632A TW202143748A (zh) 2020-05-11 2021-05-07 車用聲音產生設備及包含其之車輛
TW112139394A TW202408252A (zh) 2020-05-11 2021-05-07 車用聲音產生設備以及包含其之顯示設備及車輛
JP2021080085A JP7228002B2 (ja) 2020-05-11 2021-05-10 車両用音響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US17/315,863 US11950035B2 (en) 2020-05-11 2021-05-10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CN202110506591.XA CN113645551A (zh) 2020-05-11 2021-05-10 用于车辆的声音产生装置和包括该声音产生装置的车辆
JP2023018944A JP2023062033A (ja) 2020-05-11 2023-02-10 車両用音響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US18/525,749 US20240098396A1 (en) 2020-05-11 2023-11-30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vehicle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213A KR20210137855A (ko) 2020-05-11 2020-05-11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855A true KR20210137855A (ko) 2021-11-18

Family

ID=78232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213A KR20210137855A (ko) 2020-05-11 2020-05-11 차량용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950035B2 (ko)
JP (2) JP7228002B2 (ko)
KR (1) KR20210137855A (ko)
CN (1) CN113645551A (ko)
DE (1) DE102021111958A1 (ko)
TW (2) TW2021437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3602A1 (zh) * 2019-07-05 2021-01-1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激励器
US11813970B2 (en) * 2020-09-02 2023-11-14 Continental Engineering Services Gmbh Seating means with actuators for sound emission
US11827162B2 (en) * 2020-10-30 2023-11-28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Methods for forming a hidden audio assembly
US11405720B2 (en) * 2020-12-22 2022-08-02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High performance transparent piezoelectric transducers as an additional sound source for personal audio devices
KR20230103751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KR20230103735A (ko) * 2021-12-31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장치
FR3134673A1 (fr) * 2022-04-14 2023-10-20 Treves Products, Services & Innovation Architecture de montage d’un transducteur électrodynamique dans un compartiment intérieur de véhicule automobile
KR20240081964A (ko) * 2022-12-01 2024-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7699A (ja) * 1990-08-14 1992-03-30 Murata Mfg Co Ltd 乗物用天井スピーカ
JPH07327297A (ja) * 1994-05-31 1995-12-12 Hitachi Metals Ltd 圧電スピーカ
US5684884A (en) 1994-05-31 1997-11-04 Hitachi Metals, Ltd. Piezoelectric loudspeak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343453A (ja) 2003-05-15 2004-12-02 Sony Corp 車両用オーディオ装置
JP2005014793A (ja) * 2003-06-26 2005-01-20 Daiwa Kasei Ind Co Ltd 車両用スピーカ装置
KR101092509B1 (ko) 2004-10-25 2011-12-13 가부시키가이샤 하쿠쥬세이 가가쿠겡큐쇼 세라믹형 스피커
JP4784398B2 (ja) * 2006-05-29 2011-10-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音響加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
WO2013121715A1 (ja) * 2012-02-15 2013-08-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ピーカ
JP6066313B2 (ja) 2013-04-02 2017-01-2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10219079B2 (en) 2016-03-28 2019-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or generating sound by vibrating panel
KR102259805B1 (ko) * 2016-11-30 2021-06-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6794B1 (ko) * 2017-09-27 2022-01-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34276B1 (ko) 2017-12-08 2022-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416381B1 (ko) 2017-12-29 2022-07-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7114906B2 (ja) 2018-01-17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EP3613514A1 (en) 2018-08-20 2020-02-26 L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flexible vibratio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flexible vibration module
KR102668034B1 (ko) 2018-11-14 2024-05-2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표시 장치
US11130453B2 (en) * 2019-02-13 2021-09-2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ound management system for a vehicle
US20220272437A1 (en) * 2019-09-09 2022-08-25 Sony Group Corporation In-vehicle speaker system
KR20210046879A (ko) * 2019-10-18 2021-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408252A (zh) 2024-02-16
US20210352390A1 (en) 2021-11-11
DE102021111958A1 (de) 2021-11-11
JP7228002B2 (ja) 2023-02-22
CN113645551A (zh) 2021-11-12
JP2023062033A (ja) 2023-05-02
US20240098396A1 (en) 2024-03-21
TW202143748A (zh) 2021-11-16
JP2021180486A (ja) 2021-11-18
US11950035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28002B2 (ja) 車両用音響発生装置およびこれを含む車両
US20230007404A1 (en) Vibration apparatus and apparatus and vehicular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20200083208A (ko) 진동발생장치,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차량
KR20220150820A (ko) 장치
US11882398B2 (en) Vibration apparatus, apparatus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KR20230173953A (ko)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EP4207807A1 (en) Apparatus
US20230121224A1 (en) Vibration apparatus,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vehicular apparatus including the vibration apparatus
TWI846651B (zh) 振動設備及聲音輸出設備及包含其之車用設備
TWI813107B (zh) 振動產生裝置以及包含其的車輛
KR20230077176A (ko) 장치
KR20220150822A (ko) 장치
JP2023099449A (ja) 装置
KR20220091082A (ko) 음향 발생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20230103751A (ko)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KR20230103908A (ko) 장치
TW202414381A (zh) 振動設備及聲音輸出設備及包含其之車用設備
TW202244890A (zh) 用於輸出聲音的設備
KR20240081964A (ko) 음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 장치
CN113691913A (zh) 显示设备
KR20200021392A (ko) 플렉서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플렉서블 진동 모듈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