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4333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4333A
KR20210134333A KR1020217028371A KR20217028371A KR20210134333A KR 20210134333 A KR20210134333 A KR 20210134333A KR 1020217028371 A KR1020217028371 A KR 1020217028371A KR 20217028371 A KR20217028371 A KR 20217028371A KR 20210134333 A KR20210134333 A KR 20210134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material
solvent
herbal medicine
component
lipophi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1290B1 (ko
Inventor
도시히사 하야시
나루미 야마모토
쇼헤이 우치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6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with activating means, e.g. elastic, heat or chemical activatabl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 A61F2013/5111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omprising an additive, e.g. lotion or odour control the lotion having skin care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11)와, 흡수체와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흡수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고, 액 투과성을 갖는 시트 부재(7)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 및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45)과, 흡수체 및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51a)을 더 구비한다.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용매층의 일부는 두께 방향으로 겹치거나, 또는, 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겹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한방약 재료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표면 시트와 베이스 흡수체 사이에,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중간 흡수체가 배치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원하는 입도 분포나 평균 입자 형태를 갖는 분말의 한방약 재료가 중간 흡수체에 배치된다. 한방약 재료로서는, 생약인 애엽, 당귀 및 향부자가, 예컨대 1:1:1의 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26159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흡수성 물품과 같이, 한방약 재료를, 표면 시트보다 비피부측에 배치하면, 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키는 것은 언뜻 보기에 곤란한 것처럼 보인다. 단, 그 경우에도, 그 성분이 수분에 융합되기 쉬운 성질, 즉 수용성을 갖는 경우에는, 그 한방약 재료가 액체의 배설물인 체액(예시: 경혈)이나 땀 등에 의한 수분과 접촉함으로써, 그 성분이 그 수분에 용해될 수 있다. 그 때문에, 그 수분이 피부에 도달함으로써, 그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방약 재료의 성분이, 수분에 융합되기 어려운 성질을 갖는, 즉 비수용성인 경우가 있다. 예컨대, 그 성분이, 유분에 융합되기 쉬운 성질, 즉 친유성을 갖는 경우, 그 한방약 재료가 체액이나 땀 등에 의한 수분과 접촉했다고 해도, 그 성분이 그 수분에 용해되는 것은 곤란하다. 그렇게 되면, 그 수분이 피부에 도달했다고 해도, 그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그러한 한방약 재료는, 흡수성 물품에 배치되었다고 해도, 한방약 재료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그것은, 한방약 재료로서,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의 양방을 갖는 것에도 해당된다. 그러한 한방약 재료로서, 예컨대, 수용성의 성분을 갖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생약이나 그 추출물과,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생약이나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그러한 한방약 재료로서,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의 양방을 갖는 1종류 또는 복수 종류의 생약이나 그 추출물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성을 갖는 성분뿐만이 아니라, 친유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이들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있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고, 액 투과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과,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을 구비하며, 상기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상기 용매층의 일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 혹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흡수성 물품.
본 발명에 의해, 수용성을 갖는 성분뿐만이 아니라, 친유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이들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구성예를 도시한 하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액 투과성 시트의 용매층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에 있어서의 용매층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의 구성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액 투과성 시트의 용매층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체의 용매층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개시는 이하의 양태에 관한 것이다.
[양태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있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고, 액 투과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과,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을 구비하며, 상기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상기 용매층의 일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 혹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와 친유성 용매가 두께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면서, 또는, 평면 방향(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겹치면서, 흡수체 및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가 친유성 용매와 두께 방향 또는 평면 방향으로 겹치는 영역에서는, 체액이 흡수성 물품에 배설되어, 시트 부재 및 흡수체 안을 이행·확산할 때, 그 체액의 일부는, 한방약 재료 및 친유성 용매를 경유한다. 그 결과, 그 체액의 유동(이행·확산)에 따라, 친유성 용매도 이행·확산하여, 한방약 재료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한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친유성의 성분을 포함한 친유성 용매가 확산 또는 휘발함으로써, 그 친유성 용매를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혹은, 그 친유성의 성분을 포함한 친유성 용매가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포함된 상태, 예컨대 수분의 대략 표면에 유막형으로 포함된 상태에서, 그 수분이 증기가 되거나, 또는, 흡수성 물품에 가해지는 체압에 의해, 피부측으로 되돌아가도록 확산함으로써, 수분과 함께 그 친유성 용매를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즉, 그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한편, 한방약 재료가 친유성 용매와 두께 방향 또는 평면 방향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일부, 겹치는 영역이어도 가능)에서는, 체액이 시트 부재 및 흡수체 안을 이행·확산할 때, 그 체액의 일부는, 친유성 용매를 경유하지 않고, 한방약 재료에 도달한다. 혹은,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 등이, 시트 부재 내를 확산하여, 한방약 재료에 도달한다. 즉, 그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이, 유동(이행·확산)에 의해, 한방약 재료에 접촉한다. 이들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때, 친유성 용매가 근방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덮어 버려, 수분이 한방약 재료에 도달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그 수분이, 증기가 되거나, 또는, 흡수성 물품에 가해지는 체압에 의해, 피부측으로 확산함으로써, 그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그 수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즉, 그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한방약 재료가 수용성을 갖는 성분뿐만이 아니라, 친유성을 갖는 성분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의 양방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본 흡수성 물품은, 한방약 재료의 효과, 예컨대, 혈류나 혈행을 좋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양태 2]
상기 용매층은, 상기 한방약 재료층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양태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용매층이 한방약 재료층보다 피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체액이 흡수성 물품에 배설되어, 시트 부재 및 흡수체 안을 이행·확산할 때, 체액 및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확실히 통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의해 용해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그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양태 3]
상기 용매층은, 또한, 상기 한방약 재료층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양태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용매층이, 한방약 재료층보다 피부측의 위치뿐만이 아니라, 또한, 한방약 재료층보다 비피부측의 위치에도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체액이 흡수성 물품에 배설되어, 시트 부재 및 흡수체 안을 이행·확산할 때, 체액 및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보다 확실히 통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보다 더 용해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그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더 도달시킬 수 있다.
[양태 4]
상기 용매층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부는, 착용자의 배설구 및 그 근방의 영역, 즉 민감한 피부의 영역에 접촉한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용매층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민감한 피부의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으로 이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부 이외의 영역에 도달시키면서, 그 성분이 민감한 피부의 영역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양태 5]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온감 기능을 갖는 온감제(溫感劑)를 더 구비하는,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 온감 기능을 갖는 온감제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온감의 효과로 체온이 상승한 피부 부근에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한방약 재료를 불려, 그 표면적을 증가시켜,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방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온감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에 의해, 친유성 용매를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친유성 용매에 용해된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수분 및/또는 친유성 용매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휘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한방약 재료의 효과가 혈류나 혈행을 좋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인 경우에는, 본 흡수성 물품은, 온감제와 한방약 재료의 상승 효과로 보다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양태 6]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온감 기능을 갖는 다른 온감제를 포함하는 온감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평면시에서,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온감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온감 부재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전측, 즉 장착자의 배측, 및 흡수체의 길이 방향의 후측, 즉 장착자의 등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다른 온감제를 포함하는 온감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자의 배측 및 등측 중 적어도 한쪽의 부분을 온감제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고, 배측 및 등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는 다른 온감제에 의해 복부 및 등부 중 적어도 한쪽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양태 7]
상기 온감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다른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한방약 재료층과, 상기 온감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다른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다른 용매층을 구비하며, 상기 다른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상기 다른 용매층의 일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는, 양태 6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체보다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다른 한방약 재료와 다른 친유성 용매가 두께 방향, 또는, 평면 방향(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면서, 온감 부재 및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이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자의 배측 또는 등측 중 적어도 한쪽의 부분을 온감제로 따뜻하게 하면서, 온감의 효과로 체온이 상승한 피부 부근에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다른 한방약 재료를 불려, 표면적을 증가시켜,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방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온감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에 의해, 다른 친유성 용매를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친유성 용매에 용해된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수분 및/또는 다른 친유성 용매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휘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길이 방향의 전측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양태 8]
상기 온감제는, 장착자에게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 성분과, 상기 온감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 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 성분은, 상기 친유성 용매인, 양태 5 내지 7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온감제에 포함되는 용매 성분이, 친유성 용매이기 때문에, 온감제(의 용매 성분)를 용매층으로 할 수 있고, 용매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용매층의 영역 또는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 및/또는 온감제와 장착자의 피부면과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방약 재료층 및/또는 온감제를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양태 9]
상기 한방약 재료는, 상기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과, 상기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을 구비하는, 양태 1 내지 8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한방약 재료로서, 복수 종류의 생약 또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이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한방약 재료로서,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 또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과,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 또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이 혼합된 한방약 재료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수용성의 성분을 수분에 용해시키고,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이들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방약 재료가 복수의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이 혼합된 한방약 재료여도, 이들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을 분리하지 않고, 각 생약 또는 그 각 생약의 추출물의 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형태에 따른 흡수성 물품에 대해, 한방약 재료를 구비하는 생리용 냅킨을 예로 설명한다. 단, 흡수성 물품은 그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한방약 재료를 구비하는 다른 흡수성 물품이어도 좋다. 그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예컨대, 한방약 재료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및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생리용 냅킨(1)의 개별 포장 시트(41)를 개봉하여,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후술)을 따른 단면도이다(개별 포장 시트(41)를 제외한다). 도 3은 생리용 냅킨(1)을 도시한 하면도이다(개별 포장 시트(41)를 제외한다). 도 4는 생리용 냅킨(1)의 액 투과성 시트(7)에 있어서의 용매층(51a, 51b)(후술) 등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5는 생리용 냅킨(1)의 용매층(50a, 52a)(후술) 등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생리용 냅킨(1)은,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L), 폭 방향(W) 및 두께 방향(T)을 갖는다. 도 1에 그려진 생리용 냅킨(1)에서는, 도면의 상측을 길이 방향(L)의 전측(전방) 또는 배측으로 하고, 도면의 하측을 길이 방향(L)의 후측(후방) 또는 등측으로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상에 놓은 생리용 냅킨(1)을 두께 방향(T)의 상측으로부터 보는 것을 「평면시」라고 하고, 평면시에서 파악되는 형상을 「평면 형상」이라고 한다. 길이 방향(L) 및 폭 방향(W)을 포함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평면 방향」이라고 한다. 장착자가 생리용 냅킨(1)을 장착했을 때, 두께 방향(T)에서 상대적으로 장착자의 피부면에 가까운 쪽 및 먼 쪽이 되는 쪽을 각각 「피부측」 및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이들 정의는, 생리용 냅킨(1)의 각 자재에도 공통적으로 이용된다.
개별 포장 시트(41)는, 길이 방향(L)의 양단부가, 생리용 냅킨(1)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길고, 폭 방향(W)의 양단부가,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W)의 양단부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길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1)은, 개별 포장 시트(41) 상에 배치되었을 때, 평면시에서, 개별 포장 시트(41)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배치된다. 그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을 개별 포장 시트(41)와 함께 절첩했을 때, 개별 포장 시트(41)의 외측으로 생리용 냅킨(1)이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포장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은, 주로 액체의 배설물인 체액(예시: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 본체(3)와, 흡수 본체(3)의 길이 방향(L)의 전측(배측)에 위치하고, 피부에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 본체(5)를 구비한다. 즉, 생리용 냅킨(1)은, 길이 방향(L)의 후방의 흡수 본체(3)와, 길이 방향(L)의 전방의 온감 본체(5)로 구획된다. 흡수 본체(3)의 형상은, 대략 일반적인 생리용 냅킨의 형상이고, 폭 방향(W)의 양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윙부(17, 17)를 구비한다. 온감 본체(5)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 예로서는, 삼각형이나 직사각형이나 다각형(모서리가 둥근 경우나 변이 곡선인 경우를 포함한다), 원형이나 타원형, 생물의 형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본체(5)는, 흡수 본체(3)의 길이 방향(L)의 전측(배측)을 대신하여, 또는 전측(배측)과 함께, 후측(등측)에 위치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윙부(17, 17)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본체(5)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생리용 냅킨(1)은, 폭 방향(W)의 중심을 지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는 길이 방향 중심선(CL)(가상선)과, 한 쌍의 윙부(17, 17)의 각각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을 폭 방향(W)으로 연결한 폭 방향 중심선(CW)(가상선)을 갖는다. 단, 윙부(17)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폭 방향 중심선(CW)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배설구 접촉 영역(21)(후술)의 중심을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자는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혹은, 흡수체(11)가 이른바 모래시계형인 경우, 폭 방향 중심선(CW)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11)의 폭 방향(W)의 치수가 최소가 되는 위치(양단부를 제외한다)를 지나 폭 방향(W)으로 연장되는 선으로 한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으로 향하는 방향 및 쪽을 각각 폭 방향(W)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쪽을 각각 폭 방향(W)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한편, 폭 방향 중심선(CW)으로 향하는 방향 및 쪽을 각각 길이 방향(L)의 내향 및 내측으로 하고, 멀어지는 방향 및 쪽을 각각 길이 방향(L)의 외향 및 외측으로 한다. 이들 정의는, 생리용 냅킨(1)의 각 자재에도 공통적으로 이용된다.
생리용 냅킨(1)은, 흡수 본체(3)에 있어서, 장착 시에 장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액 투과성 시트(7)와, 장착 시에 착의(속옷)에 접촉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9)와, 액 투과성 시트(7)와 액 불투과성 시트(9) 사이에 배치된 흡수체(11)를 구비한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온감 본체(5)에 있어서, 장착 시에 장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액 투과성 시트(7)와, 장착 시에 착의에 접촉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9)와, 액 투과성 시트(7) 및 액 불투과성 시트(9) 사이에 배치된 온감제 유지 시트(13)를 구비한다. 온감제 유지 시트(13)는, 흡수체(11)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7)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액 투과성 시트(7)는 일체의 시트이다.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액 불투과성 시트(9)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액 불투과성 시트(9)는 일체의 시트이다. 단, 일체의 시트란, 자재가 1장의 시트인 경우뿐만이 아니라, 복수의 시트를 결합하여 일체화시킨 시트도 포함한다.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흡수체(11)와,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온감제 유지 시트(13)는, 다른 부재이다. 흡수체(11)의 길이 방향(L)의 전측의 단부가,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길이 방향(L)의 후측의 단부와 두께 방향(T)으로 중복됨으로써, 중복부(15)가 형성된다. 즉,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11)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1E1)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후측의 단 가장자리(13E2)보다 전측에 위치한다. 이 경우, 중복부(15)에서는, 흡수체(11)의 단부가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길이 방향(L)의 전방에서의 체액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의 기능을 중시하는 경우, 중복부(15)에서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단부가 흡수체(11)의 단부 상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의 단부와,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단부는 평면시에서 중복되지 않고(중복부(15)는 존재하지 않고), 이들 단 가장자리끼리가 접하거나, 또는 이격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의 길이 방향(L)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1E1)의 위치가,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길이 방향(L)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3E1)의 위치와 겹치거나, 또는, 그보다 외측에 존재한다. 바꿔 말하면, 온감제 유지 시트(13)가 길이 방향(L)의 전역에 걸쳐, 흡수체(11)와 겹친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온감 본체(5)는 동일 형상의 보온 본체로 대체되고, 온감제 유지 시트(13)는 온감제를 포함하지 않는 동일 형상의 보온성 시트로 대체된다.
생리용 냅킨(1)은, 흡수 본체(3) 및 온감 본체(5)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과,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흡수 본체(3)에 있어서,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45)과,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51a)을 구비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은, 평면시에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흡수체(11)의 피부측의 표면 또는 내부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은,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걸쳐 그 양측에, 또한, 폭 방향 중심선(CW)을 걸쳐 그 양측에 위치하고, 즉,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폭 방향(W) 및 길이 방향(L)의 중앙의 영역에 위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5)의 전부 또는 일부는, 평면시에서 배설구 접촉 영역(21)(후술)을 포함하는 영역에 위치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5)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한다. 또한, 한방약 재료층(45)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용매층(51a)은,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1a)의 일부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 있고,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는, 용매층(51a)의 일부의 비피부측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1a)의 일부는,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용출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두께 방향(T)으로 직접 접한다. 용매층(51a)은,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접촉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평면시에서, 한방약 재료층(45)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으로, 또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생리용 냅킨(1)에는,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1a)의 일부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VM1), 즉 한방약 재료는 존재하지만 친유성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한방약 재료층(45)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경우, 용매층(51a)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층(45)의 피부측에 위치한다. 또한, 용매층(51a)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생리용 냅킨(1)은, 흡수 본체(3)에 있어서,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52a)을 더 구비한다. 용매층(52a)은,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층(45)의 비피부측 또한 흡수체(11)의 피부측의 표면 또는 내부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2a)의 일부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 있고,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는, 용매층(52a)의 일부의 피부측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2a)의 일부는,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용출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두께 방향(T)으로 직접 접한다. 용매층(52a)은,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접촉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평면시에서, 한방약 재료층(45)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 또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생리용 냅킨(1)에는,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2a)의 일부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VM2), 따라서 한방약 재료는 존재하지만 친유성 용매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용매층(52a)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용매층(51a) 또는 용매층(52a) 중 어느 한쪽을 갖고, 다른쪽을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과, 용매층(51a)(의 일부) 및 용매층(52a)(의 일부) 중 적어도 한쪽은,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 및/또는 흡수체(11)의 피부측의 표면 혹은 내부에서, 두께 방향(T)으로 대략 동일한 범위에 위치한다. 그 경우,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와, 용매층(51a)의 일부 및 용매층(52a)의 일부 중 적어도 한쪽은, 평면 방향(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겹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로서는, 예컨대, 한방약 재료층(45)의 일부, 및 용매층(51a)(, 52a)의 일부 중 한쪽이 다른쪽에 매립된 상태를 들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은, 온감 본체(5)에 있어서,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한방약 재료층(47)과,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다른 용매층(51b)을 구비한다. 한방약 재료층(47)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피부측의 표면 또는 내부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7)은, 평면시에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폭 방향(W)의 중앙의 영역에, 길이 방향(L)의 양단 가장자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7)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한다. 또한, 한방약 재료층(47)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용매층(51b)은,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을 가지며,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한다. 폭 방향(W)에 있어서, 용매층(51b)의 폭은 한방약 재료층(47)의 폭보다 크다.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1b)의 일부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 있고,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는, 용매층(51b)의 일부의 비피부측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1b)의 일부는,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용출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두께 방향(T)으로 직접 접한다. 또한,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1b)의 일부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 즉 한방약 재료는 존재하지만 친유성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한방약 재료층(47)이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위치하는 경우, 용매층(51b)은, 두께 방향(T)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에 있어서의 한방약 재료층(47)의 피부측에 위치한다. 또한, 용매층(51b)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생리용 냅킨(1)은, 온감 본체(5)에 있어서,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50a)을 더 구비한다. 용매층(50a)은, 평면시에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양단부를 제외한 영역에, 두께 방향(T)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층(47)의 비피부측 또한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피부측의 표면 또는 내부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0a)의 일부는 두께 방향(T)으로 겹쳐 있고,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는, 용매층(50a)의 일부의 피부측에 위치한다.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0a)의 일부는,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용출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두께 방향(T)으로 직접 접한다. 용매층(50a)은, 친유성의 성분이 친유성 용매에 접촉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평면시에서, 한방약 재료층(47)보다 폭 방향(W)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은,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0a)의 일부가 두께 방향(T)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 즉 한방약 재료는 존재하지만 친유성 용매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존재한다.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출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용매층(50a)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용매층(51b) 또는 용매층(50a) 중 어느 한쪽을 갖고, 다른쪽을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과, 용매층(51b)(의 일부) 및 용매층(50a)(의 일부) 중 적어도 한쪽은,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 및/또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피부측의 표면 혹은 내부에서, 두께 방향(T)으로 대략 동일한 범위에 위치한다. 그 경우,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용매층(51b)의 일부 및 용매층(50a)의 일부 중 적어도 한쪽은, 평면 방향(길이 방향 혹은 폭 방향)으로 겹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상태로서는, 예컨대,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 및 용매층(51b)(, 50a)의 일부 중 한쪽이 다른쪽에 매립된 상태를 들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한방약 재료층(45) 및 한방약 재료층(47) 중 적어도 한쪽을 가지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 본체(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범위는, 생리용 냅킨(1)의 후방의 단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체(11)의 전방의 단 가장자리(11E1)까지의 범위로 한다. 한편,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범위는, 흡수체(11)의 전방의 단 가장자리(11E1)로부터, 생리용 냅킨(1)의 전방의 단 가장자리까지의 범위로 한다. 또한, 흡수 본체(3) 및 온감 본체(5)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범위는, 모두 전폭의 범위로 한다. 이 경우, 중복부(15)는, 흡수 본체(3)에 포함되고, 온감 본체(5)의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후측의 단부는 흡수 본체(3) 내로 연장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흡수 본체(3)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폭 방향 중심선(CW)으로부터 흡수체(11)의 전방의 단 가장자리(11E1)까지의 전방 영역(3a)과, 폭 방향 중심선(CW)으로부터 생리용 냅킨(1)의 후방의 단 가장자리까지의 후방 영역(3b)으로 구획된다. 단, 길이 방향(L)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의 전방 및 후방의 단 가장자리, 흡수체(11)의 전방 및 후방의 단 가장자리(11E1, 11E2),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전방 및 후방의 단 가장자리(13E1, 13E2)는, 모두 길이 방향(L)의 가장 외측의 위치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 가장자리(11E1, 11E2), 단 가장자리(13E1, 13E2)는, 모두 길이 방향 중심선(CL)과의 교차점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에서는, 흡수 본체(3)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전방 쪽이며 폭 방향(W)의 중앙에 배설구 접촉 영역(21)이 위치하고, 그 주위에 그 이외의 영역으로서 배설구 비접촉 영역(23)이 위치한다. 배설구 접촉 영역(21)은, 생리용 냅킨(1)의 착용 시에, 장착자의 배설구에 대향 또는 접촉하는 영역이다. 배설구 접촉 영역(21)은, 흡수성 물품의 종류나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배설구 접촉 영역(21)은, 예컨대 길이 방향(L)에서 흡수체(11)의 중앙 약간 전방 쪽에, 흡수체(11)의 길이 방향(L)의 전체 길이의 약 1/4∼2/3의 길이로 되고, 폭 방향(W)에서 흡수체(11)의 대략 중앙에, 흡수체(11)의 폭 방향(W)의 전체 길이의 약 1/3∼3/4의 폭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한 쌍의 윙부(17, 17)가 존재하는 경우, 한 쌍의 윙부(17, 17)의 각각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을 폭 방향(W)으로 연결한 선 상에, 배설구 접촉 영역(2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이 위치한다. 혹은, 흡수체(11)가 이른바 모래시계형인 경우, 흡수체의 길이 방향(L)의 양단부를 제외하고, 흡수체의 폭 방향(W)의 치수가 가장 작아지는 위치에, 배설구 접촉 영역(21)의 길이 방향(L)의 중심이 위치한다. 단, 소정의 길이의 범위 내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하는 것으로 한다. 그 소정의 길이는, 흡수체(11)의 길이 방향(L)의 길이의 5%의 길이로 한다.
액 투과성 시트(시트 부재)(7)는, 흡수체(11)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고, 표면 시트(7a)와, 표면 시트(7a)의 폭 방향(W)의 양측에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 시트(7b, 7b)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 시트(7a)의 폭 방향(W)의 치수는, 대략 흡수체(11)의 폭 방향(W)의 치수 정도의 크기이다. 각 사이드 시트(7b)는, 폭 방향(W)의 내측의 단부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7W)을 포함하고 있다. 즉, 액 투과성 시트(7)는, 한 쌍의 누설 방지벽(7W, 7W)을 포함하고 있다. 각 누설 방지벽(7W)은, 폭 방향(W)에 있어서, 외측의 단 가장자리를 고정단으로 하고 있고, 내측의 단 가장자리를 자유단으로 하며, 표면 시트(7a)의 두께 방향(T)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누설 방지벽(7W, 7W)은, 생리용 냅킨(1)이 장착되었을 때 자유단이 피부측으로 기립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누설 방지벽(7W, 7W)은, 흡수 본체(3) 및 온감 본체(5)에 형성되어 있고, 체액이 주로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며, 온감 본체(5)의 온감의 효과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폭 방향(W)의 외측으로 도피하는 것을 억제하여, 유지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7a)의 폭 방향(W)의 양단부의 각각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7W)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7b, 7b)를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는 한 쌍의 누설 방지벽(7W, 7W)을 갖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는, 표면 시트(7a)의 비피부측에 접촉되고, 따라서 흡수체(11)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며, 체액을 평면 방향으로 확산시키는 액 확산 시트(시트 부재)를 구비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7a)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볼록부와, 서로 인접한 볼록부 사이에 위치하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오목부를 갖는다.
흡수체(11)는, 흡수 코어(도시하지 않음), 및 흡수 코어를 감싸는 코어 랩(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흡수체(11)는, 길이 방향(L)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 영역(62)과, 중앙 영역(62)의 전방에 인접하는 전방 영역(61)과, 중앙 영역(62)의 후방에 인접하는 후방 영역(63)으로 구획된다. 여기서, 중앙 영역(62)은, 배설구 접촉 영역(21)에 대응하고, 길이 방향(L)의 더욱 전방 쪽까지의 범위에 위치한다. 상기한 한방약 재료층(45)은, 중앙 영역(62)에 위치한다. 그리고, 중앙 영역(62)의 평량은, 전방 영역(61) 및 후방 영역(63)의 평량보다 높다. 따라서, 흡수체(11)에서는, 폭 방향 중심선(CW)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의 영역의 평량이, 폭 방향 중심선(CW)보다 길이 방향(L)의 후측의 영역의 평량보다 높다. 즉, 흡수체(11)에서는, 폭 방향 중심선(CW)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전방의 단 가장자리(11E1)까지의 영역의 평량은, 폭 방향 중심선(CW)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후방의 단 가장자리(11E2)까지의 영역의 평량보다 높다. 그에 의해, 길이 방향(L)의 중앙 약간 전방 쪽의 배설구 접촉 영역(21)에서의 흡수량을 높게 하고, 장착자의 배설구가 배설구 접촉 영역(21)보다 길이 방향(L)의 전방으로 약간 어긋난 상태에서, 생리용 냅킨(1)이 장착된 경우에도, 흡수체(11)로 확실히 체액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의 평량은, 상기와는 상이한 특정한 부분에서 높거나, 또는, 전체 영역에서 대략 일정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는 코어 랩을 이용하지 않는다.
온감제 유지 시트(13)(기능층; 온감 부재)는, 부직포와 같은 1층 또는 복수 층의 시트로 구성되고, 온감제(50)(기능제)를 포함한다.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형상은, 온감제(50)의 누설을 억제하는, 생리용 냅킨(1)의 둘레 가장자리부(27)의 내측에 배치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컨대 온감 본체(5)의 형상을 상사적으로 축소한 형상을 들 수 있다. 온감제(50)는, 생리용 냅킨(1)의 장착자의 신체 또는 그 근방을 가열 등 하지 않고, 피부의 온도 수용기(온열 지각 수용기)를 자극하여, 장착자에게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 성분을 포함하고, 온감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 성분을 더 포함한다. 온감제(50)는, 기체나 액체의 형태이고, 온도, 기압, 외력 등의 영향에 의해, 배치된 장소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유체 성분 또는 휘발 성분을 포함하며, 예컨대 온감 성분 및 용매 성분 중 적어도 한쪽이 유체 성분 또는 휘발 성분을 포함한다. 그리고, 온감제 유지 시트(13)가 액 투과성 시트(7)보다 비피부측에 배치되어도,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온감제(50)가, 생리용 냅킨(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예컨대 용출 또는 휘발 등에 의해 액 투과성 시트(7)를 투과하여, 장착자의 하복부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온감제(50)의 온감 성분이 피부의 온열 지각 수용기를 자극하여, 장착자의 하복부에 온감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의 용매 성분과, 용매층(50a)(의 용매 성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용매층(50a)이 존재하는 위치에 온감제(50)가 존재한다. 양방의 용매 성분을 공용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층(47)이나 온감제(50)와 장착자의 피부면과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있어서, 평면시에서, 폭 방향(W)에서는 표면 시트(7a)(또는 흡수체(11))의 폭과 같은 정도나 약간 큰 범위에서, 길이 방향(L)에서는 양단 가장자리 사이에 걸친 범위에서 배치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는, 평면시에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중앙부(25) 전체에 걸쳐 배치된다. 그에 의해, 온감제(50)의 효과가, 보다 한층 넓은 영역에 미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는, 평면시에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있어서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전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는,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된다. 온감제를 도포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는 용매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본체(5)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비피부측에 온감제 유지 시트(13)를 지지하는 지지 시트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 본체(5)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온감제(50)를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온감제 유지 시트(13)는 보온성 시트로서, 하복부를 보온한다. 이 경우, 별도로, 용매층(50a)이 형성된다. 또한, 온감제(50)의 평면 형상은 임의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는, 온감제(52)(기능제)를 포함한다. 온감제(52)는, 흡수체(11)의 피부측의 표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형(연속적 또는 간헐적)의 부분에 배치된다. 이 경우, 온감제(52)가 배치되는 폭 방향(W)의 범위는, 대략 표면 시트(7a)의 폭 방향(W)의 범위 내이다. 온감제(52)는, 온감제(50)와는 배치되는 위치가 상이하지만, 그 성질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2)는, 흡수체(11)의 또 다른 개소, 예컨대 비피부측의 표면 또는 내부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11)는, 온감제(52)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2)의 용매 성분과, 용매층(52a)(의 용매 성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용매층(52a)이 존재하는 위치에 온감제(52)가 존재한다. 양방의 용매 성분을 공용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층(45)이나 온감제(52)와 장착자의 피부면과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시트 부재)는, 온감제(51)(기능제)를 포함한다. 온감제(51)는,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표면에 있어서,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고, 폭 방향(W)으로 늘어선 복수의 스트라이프형(연속적 또는 간헐적)의 부분에 배치된다. 이 경우, 온감제(51)가 배치되는 폭 방향(W)의 범위는, 대략 흡수체(11)의 폭 방향(W)의 범위 내이다. 온감제(51)는, 온감제(50)와는 배치되는 위치가 상이하지만, 그 성질은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1)는, 액 투과성 시트(7)의 또 다른 개소, 예컨대 피부측의 표면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는, 온감제(51)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1)의 용매 성분과, 용매층(51a)(의 용매 성분) 및 용매층(51b)(의 용매 성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용매층(51a, 51b)이 존재하는 위치에 온감제(51)가 존재한다. 이들 용매 성분을 공용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층(45, 47)이나 온감제(51)와 장착자의 피부면과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는 것 외에,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의 온감 성분은, 서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의 온감 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의 용매 성분은, 서로 동일하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의 용매 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서로 상이하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의 온감 성분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성분 자체가 발열하여, 생리용 냅킨(1)의 장착자의 신체 또는 그 근방을 가열하는 발열 성분을 포함한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온감제를 갖는 경우에는,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면 된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액 불투과성 시트(9)(제2 시트 부재)는, 흡수체(11)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고, 액 불투과성을 갖는 시트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9)는, 또한 통기성을 갖지 않는다(비통기성이다). 따라서, 생리용 냅킨(1)은, 액 불투과성 시트(9)보다 피부측의 영역에 존재하는 공기를, 액 불투과성 시트(9)의 비피부측으로, 즉 생리용 냅킨(1)의 외부로 도피시키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생리용 냅킨(1)은, 온감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를 즉 생리용 냅킨(1)의 외부로 도피시키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1)은, 흡수 본체(3) 및 온감 본체(5)의 양방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을 장착자의 착의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부를 구비하고 있다. 점착부의 한쪽 면은, 액 불투과성 시트(9)에 고정되고, 다른쪽 면은, 생리용 냅킨(1)의 개별 포장 시트(41)에 임시 고정되어 있다. 이 중, 흡수 본체(3)에는, 평면시에서,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에 배치되고, 예컨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며, 폭 방향(W)으로 간헐적으로 늘어서는 점착부(73)와, 윙부(17)의 폭 방향(W)의 대략 중앙부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점착부(71)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온감 본체(5)에는, 폭 방향(W)의 양단부의 영역에 점착부(72)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점착부의 다른쪽 면은, 개별 포장 시트(43)에 고정된 박리 시트에 임시 고정된다.
개별 포장체(생리용 냅킨(1)+개별 포장 시트(4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제1 접음선(F1)(예시: 좌측 접음선) 및 길이 방향 제2 접음선(F2)(예시: 우측 접음선)과, 폭 방향 제1 접음선(F3)(예시: 전방 접음선) 및 폭 방향 제2 접음선(F4)(예시: 후방 접음선)을 갖는다. 길이 방향 제1 접음선(F1) 및 길이 방향 제2 접음선(F2)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고, 폭 방향(W)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폭 방향 제1 접음선(F3) 및 폭 방향 제2 접음선(F4)은,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고, 길이 방향(L)의 한쪽측으로부터 다른쪽측으로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다. 즉, 길이 방향 접음선은 2개, 폭 방향 접음선은 2개이다. 단, 폭 방향 제1 접음선(F3)은, 생리용 냅킨(1)의 전방에 배치되고, 폭 방향 제2 접음선(F4)은, 생리용 냅킨(1)의 후방에 배치된다. 폭 방향 제1 접음선(F3)은, 흡수 본체(3)의 전측의 단부 및 온감 본체(5)의 후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는, 폭 방향 제1 접음선(F3)은, 흡수체(11)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L)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1E1)보다 폭 방향 중심선(CW)측에 위치한다. 폭 방향 제1 접음선(F3) 및 폭 방향 제2 접음선(F4)은, 배설구 접촉 영역(21)을 피하도록, 배설구 접촉 영역(21)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 및 후측에 위치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길이 방향 접음선은 없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 접음선은 1개 또는 3개 이상이다.
그리고, 생리용 냅킨(1)은, 개별 포장될 때, 개별 포장 시트(41)와 함께, 길이 방향 제1 접음선(F1) 및 길이 방향 제2 접음선(F2)을 기축(基軸)으로 하여, 양 접음선보다 폭 방향(W)의 외측의 부분(한 쌍의 외측 부분)이 각각 피부측의 표면을 향해 절첩된다. 계속해서, 개별 포장 시트(41)와 함께 절첩된 생리용 냅킨(1)은, 폭 방향 제1 접음선(F3) 및 폭 방향 제2 접음선(F4)을 기축으로 하여, 양 접음선보다 길이 방향(L)의 외측의 부분이 각각 피부측의 표면을 향해 절첩된다. 그 후, 개별 포장 시트(41)의 일단부가, 그것에 대향하는 개별 포장 시트(41)에 고정용 테이프(43)로 고정된다. 그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의 개별 포장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생리용 냅킨(1)은, 사용될 때, 즉 개별 포장이 개봉될 때, 개별 포장될 때와는 반대의 순서로 개봉된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복수의 압착부(31, 33)를 갖는다. 복수의 압착부(31)는, 주로 흡수 본체(3)에 있어서, 배설구 접촉 영역(21)을 둘러싸도록, 곡선형으로,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배치된다. 복수의 압착부(33)는, 흡수 본체(3)에 있어서, 복수의 압착부(31)에 둘러싸인 영역에, 도트형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압착부(31, 33)는, 액 투과성 시트(7) 및 흡수체(11)(중복부(15)에서는 또한 온감제 유지 시트(13))를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을 향해 압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압착부(31, 33)의 형상 및 배치는 임의이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온감 본체(5)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 및 온감제 유지 시트(13)(중복부(15)에서는 또한 흡수체(11))를 피부측으로부터 비피부측으로 압착함으로써 형성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압착부를 구비한다. 그 압착부의 형상은 임의이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은, 시일부(29)를 갖는다. 시일부(29)는, 액 투과성 시트(7)와 액 불투과성 시트(9)를 이들의 둘레 가장자리부(27)에서, 열 시일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접합·밀봉한다. 생리용 냅킨(1)에서는, 액 투과성 시트(7)의 비피부측의 면과 흡수체(11) 및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예시: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고, 흡수체(11) 및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비피부측의 면과 액 불투과성 시트(9)의 피부측의 면은 접착제(동상(同上)) 등으로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1)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5)(, 47)의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와 용매층(51a)(, 51b)의 친유성 용매가 두께 방향(T)(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평면 방향도 가능. 이하, 「두께 방향(T) 등」이라고도 한다.)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면서, 흡수체(11) 및 액 투과성 시트(7)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가 친유성 용매와 두께 방향(T) 등으로 겹치는 영역에서는, 체액이 생리용 냅킨(1)에 배설되어, 액 투과성 시트(7) 및 흡수체(11) 안을 이행·확산할 때, 그 체액의 일부는, 한방약 재료 및 친유성 용매를 경유한다. 그 결과, 그 체액이 유동하여, 이행·확산함에 따라, 친유성 용매도 이행·확산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게 된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리고, 그 친유성의 성분을 포함한 친유성 용매가 확산 또는 휘발함으로써, 그 친유성 용매를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혹은, 그 친유성의 성분을 포함한 친유성 용매가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포함된 상태, 예컨대 수분의 대략 표면에 유막형으로 포함된 상태에서, 그 수분이 증기가 되거나, 또는 생리용 냅킨(1)에 가해지는 체압에 의해, 피부측으로 되돌아가도록 확산함으로써, 수분과 함께 그 친유성 용매를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즉, 그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한편, 한방약 재료층(45)(, 47)의 한방약 재료가 용매층(51a)(, 51b)의 친유성 용매와 두께 방향(T) 등으로 겹치지 않는 영역(VM1) 등(일부, 겹치는 영역이어도 가능)에서는, 체액이 액 투과성 시트(7) 및 흡수체(11) 안을 이행·확산할 때, 그 체액의 일부는, 친유성 용매를 경유하지 않고, 한방약 재료에 도달한다. 혹은, 피부로부터 방출된 땀 등이, 액 투과성 시트(7) 내를 확산하여, 한방약 재료에 도달한다. 즉, 그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이, 유동하여, 이행·확산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에 접촉한다. 이들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해시킬 수 있다. 그때, 친유성 용매가 근방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덮어 버려, 수분이 한방약 재료에 도달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그 수분이, 증기가 되거나, 또는, 생리용 냅킨(1)에 가해지는 체압에 의해, 피부측으로 확산함으로써, 그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그 수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즉, 그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한방약 재료에 포함되는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이하, 「생약 등」이라고도 한다.)이 1종류로 해도, 그 생약 등이 수분에 융합되기 쉬운 (수용성의) 성분뿐만이 아니라, 유분에 융합되기 쉬운 (친유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한방약 재료에 포함되는 생약 등이 복수 종류이고, 이들 복수 종류의 생약 등이, 수분에 융합되기 쉬운 (수용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 등뿐만이 아니라, 유분에 융합되기 쉬운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생리용 냅킨(1), 즉 한방약 재료가 수용성 및 친유성의 양방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리용 냅킨(1)이어도, 전술된 바와 같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 및 수용성의 양방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들에 의해,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을 갖는 성분뿐만이 아니라, 친유성을 갖는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용이하게 도달시켜, 한방약 재료의 효과, 예컨대, 혈류나 혈행을 좋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장착자가 생리용 냅킨(1)을 장착하는 경우, 흡수 본체(3)의 흡수체(11)의 배설구 접촉 영역(21)이 장착자의 배설구에 대응하도록, 생리용 냅킨(1)을 착의(예시: 쇼츠)에 고정한다. 그에 의해, 온감 본체(5)의 온감제 유지 시트(13)가 장착자의 하복부에, 흡수 본체(3)의 한방약 재료층(45)이 배설구에, 각각 대응하도록 생리용 냅킨(1)이 착의에 고정된다. 그리고, 온감 본체(5)의 피부측의 면이 장착자의 하복부의 피부에 접하고, 흡수 본체(3)의 피부측의 면이 장착자의 배설구 근방의 피부에 접한 상태에서, 생리용 냅킨(1)이 사용된다.
바꿔 말하면, 생리용 냅킨(1)은, 흡수체(11)의 배설구 접촉 영역(21)이 장착자의 배설구에 접촉하도록 흡수 본체(3)가 착의에 배치되었을 때, 온감제 유지 시트(13)가 장착자의 하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과 같은 형상을 갖고 있다. 따라서, 흡수 본체(3)의 흡수체(11)의 배설구 접촉 영역(21)과, 온감 본체(5)의 온감제 유지 시트(13)와의 거리는, 장착자의 배설구와, 하복부와의 거리(피부면 상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온감제(50)(기능제)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이 착의에 고정되어, 사용되면,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포함되는 온감제(50)가, 액 투과성 시트(7)를 투과하고, 장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장착자의 피부에 있어서, 온감 성분이 접촉하고 있는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성화하여, 장착자의 하복부에 온감을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장착자의 하복부에 온감을 부여함으로써, 장착자의 하복부의 피부에 있어서의 온감 성분에 접하고 있던 온감제 접촉 부분의 TRP 채널이 활성화되는 결과, 교감 신경계를 통해, 온감제 접촉 부분으로부터 열이 발생하여, 장착자의 피부에 있어서의 온감 성분의 접촉 부분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착자의 자궁에 가까운 부위를 따뜻하게 하여, 통증 물질 프로스타글란딘을 배출시켜, 장착자의 생리통을 완화하는 것이 기대된다. 장착자의 자궁에 가까운 부위를 따뜻하게 함으로써, 장착자의 월경 전 증후군(Premenstrual Syndrome), 냉증, 갱년기 장애 등을 경감하는 것이 기대된다. 혈행 촉진(림프의 흐름의 촉진)에 의해 노폐물 배출과 냉기 개선, 지방 연소 향상, 면역력 향상 등이 기대된다. 또한, 한방약 재료의 효과가 혈류나 혈행을 좋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인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은, 온감제와 한방약 재료의 상승 효과로 보다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용매층(51a)이 한방약 재료층(45)의 피부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체액이 생리용 냅킨(1)에 배설되어, 액 투과성 시트(7) 및 흡수체(11) 안을 이행·확산할 때, 체액 및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확실히 통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의해 용해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한방약 재료층(45)의 피부측에 용매층(51a)이 위치하는 것에 더하여, 또한 한방약 재료층(45)의 비피부측에 용매층(52a)이 위치한다. 그 때문에, 체액이 생리용 냅킨(1)에 배설되어, 액 투과성 시트(7) 및 흡수체(11) 안을 이행·확산할 때, 체액 및 친유성 용매가 한방약 재료를 보다 확실히 통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보다 더 용해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 그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더 도달시킬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W)의 중앙부는, 착용자의 배설구 및 그 근방의 영역, 즉 민감한 피부의 영역에 접촉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용매층(51a)(, 52a)은,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즉, 한방약 재료층(45)의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는 존재하지만, 용매층(51a)(, 52a)의 친유성 용매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VM1)(, VM2)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민감한 피부의 영역이 접촉하는 영역으로 이행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의 성분을,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W)의 중앙부 이외의 영역에 도달시키면서, 그 성분이 민감한 피부의 영역에 직접 도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W)의 중앙부에는, 한방약 재료(의 수용성의 성분)가 존재하고, 그 성분이, 배설구 및 그 근방의 영역으로 이행하기 쉽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영역은, 배설구로부터의 체액이 직접 배설되는 영역이기 때문에, 그 성분이 배설구 및 그 근방의 영역으로 이행하는 양은 어느 정도 낮게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흡수체(11) 및 액 투과성 시트(7)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온감 기능을 갖는 온감제(51)(또는 온감제(52))를 더 구비한다. 그 때문에, 온감제(51)(또는 온감제(52))의 효과로 체온이 상승한 피부 부근에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한방약 재료를 불려, 그 표면적을 증가시켜,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방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온감제(51)(또는 온감제(52))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에 의해, 친유성 용매를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친유성 용매에 용해된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수분 및/또는 친유성 용매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휘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의 효과가 혈류나 혈행을 좋게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인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은, 온감제와 한방약 재료의 상승 효과로 보다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평면시에서,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의 흡수체(11)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배측)(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후측(등측)이어도 가능. 이하, 「전측(배측) 등」이라고도 한다.)에 위치하고, 온감 기능을 갖는 다른 온감제(50)를 포함하는 온감제 유지 시트(13)를 더 구비한다. 액 투과성 시트(7)는, 평면시에서, 흡수체(11)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배측) 등으로 연장되고, 온감제 유지 시트(13)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며, 온감제 유지 시트(13)보다 피부측에 위치한다. 그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이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자의 배측(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등측이어도 가능. 이하, 「배측 등」이라고도 한다.)의 부분을 온감제(50)로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도달시킬 수 있고, 전측(배측) 등에 위치하는 다른 온감제에 의해 배측 등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생리용 냅킨(1)은, 온감제 유지 시트(13) 및 액 투과성 시트(7)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다른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한방약 재료층(47)과, 온감제 유지 시트(13) 및 액 투과성 시트(7)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다른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다른 용매층(51b)(, 50a)을 구비한다. 그리고, 다른 한방약 재료층(47)의 일부와 다른 용매층(51b)(, 50a)의 일부는 두께 방향(T) 등으로 겹친다. 즉, 생리용 냅킨(1)에서는, 흡수체(11)보다 길이 방향(L)의 전측(배측) 등에 있어서, 다른 한방약 재료와 다른 친유성 용매가, 두께 방향(T) 등으로 부분적으로 겹치면서, 온감제 유지 시트(13) 및 액 투과성 시트(7)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이 장착자에게 장착되었을 때, 장착자의 전측(배측) 등의 부분을 온감제(50)로 따뜻하게 하면서, 온감제(50)의 효과로 체온이 상승한 피부 부근에 발생하는 땀 등의 습기를 포함한 공기에 의해, 다른 한방약 재료를 불려, 표면적을 증가시켜,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방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온감제(50)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에 의해, 친유성 용매를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친유성 용매에 용해된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수분 및/또는 용매와 함께, 혹은 단독으로, 휘발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길이 방향(L)의 전측의 다른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길이 방향의 전측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온감제(50, 51, 52)는, 장착자에게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 성분과, 온감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 성분을 포함하고, 용매 성분은, 친유성 용매이다. 그 때문에, 온감제(50, 51, 52)(의 용매 성분)를 용매층(50a, 51a, 51b, 52a)으로 할 수 있고, 용매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거나, 또는, 용매층의 영역 또는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그에 의해, 한방약 재료층(45, 47) 및/또는 온감제(50, 51, 52)와 장착자의 피부면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 한방약 재료층(45, 47) 및/또는 온감제(50, 51, 52)를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한방약으로서, 약효를 높이기 위해서 복수 종류의 생약 또는 이들 생약의 추출물을 혼합한 것이 존재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한방약 재료는,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과,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이 혼합된 한방약을 이용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수용성의 성분을 체액이나 땀 등의 수분에 용해시키고, 친유성의 성분을 친유성 용매에 용해시킴으로써, 이들 한방약 재료의 성분을 장착자의 피부에 보다 도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방약 재료가 복수의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이 혼합된 한방약이어도, 이들 생약 또는 그 생약의 추출물을 분리하지 않고, 각 생약 또는 그 각 생약의 추출물의 성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1)에서는 바람직한 양태로서,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폭 방향 중심선(CW)과, 흡수체(11)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1E1)의 거리는, 흡수체(11)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11E1)와, 생리용 냅킨(1)의 전측의 단 가장자리의 거리보다 길게 구성된다. 그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의 길이 방향(L)의 전측의 영역에 있어서,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체(11)의 영역을 길이 방향(L)으로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전측에 온감 본체(5)를 갖고, 전측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긴 생리용 냅킨(1)을 속옷에 장착할 때, 전측의 단부의 비어져 나옴을 걱정하여, 장착자가 생리용 냅킨(1)을 후측으로 필요 이상으로 어긋나게 해서 장착해도, 생리용 냅킨(1)의 전측의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11)의 영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전측으로부터 체액이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은, 온감 본체(5)를 갖지 않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과 상이하다. 간단히 말하면, 생리용 냅킨(1a)은, 생리용 냅킨(1)으로부터 온감 본체(5)를 제외한 구성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생리용 냅킨(1a)과 생리용 냅킨(1)의 상이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6∼도 9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의 구성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생리용 냅킨(1a)을 전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a)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중심선(CL)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생리용 냅킨(1a)의 액 투과성 시트(7)에 있어서의 용매층(51a) 등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9는 생리용 냅킨(1a)의 용매층(52a) 등의 배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a)의 한방약 재료층(45a)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11)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까지의 범위와 두께 방향(T)으로 겹치는 범위에 배치되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생리용 냅킨(1)의 한방약 재료층(45)과 상이하다. 한방약 재료층(45a)이 길이 방향(L)의 보다 긴 범위에 배치됨으로써, 한방약 재료의 기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한방약 재료층(45a)은, 제1 실시형태의 한방약 재료층(45)과 동일하게 배치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a)은,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온감 본체(5)를 구비한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의 각 자재 등)
다음으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생리용 냅킨(1)(생리용 냅킨(1a)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함.)에 있어서의 각 자재 등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에 포함되는 한방약 재료층(45)(, 한방약 재료층(45a))은,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고, 용매층(, 다른 용매층)에,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한방약 재료는, 한방약을 포함하는 재료이고, 한방약은, 한방 방제(처방) 및 생약을 포함하는 제이다. 생약은, 자연의 소재(예시: 식물, 동물, 광물)를 특정한 방법으로 가공·조정한, 약효 성분을 갖는 제이다. 한방 방제는, 복수의 생약을 조합한 제이다. 그리고, 한방약 재료는, 의학적, 약학적,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한방약 또는 그 한방약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이면 되고, 한방약을 구성하는 생약이나, 그 조합이나, 그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방약 재료로서는, 예컨대, 「신일반용 한방 처방의 안내서」(일본 한방 생약 제제 협회 편집, 가부시키가이샤 지호 발행)에 기재된 생약 또는 한방 방제, 또는 이들 생약 혹은 한방 방제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한방 방제로서는, 계지복령환, 가미소요산, 당귀작약산, 온경탕, 궁귀교애탕, 작약감초탕, 당귀사역가오수유생강탕, 도인승기탕, 대황목단피탕, 오적산 등이 예시된다. 생약으로서는, 아교(阿膠), 애엽(艾葉), 건강(乾薑), 감초(甘草), 길경(桔梗), 지실(枳實), 계피(桂皮), 후박(厚朴), 오수유(吳茱萸), 시호(柴胡), 세신(細辛), 산치자(山梔子), 지황(地黃), 작약(芍藥), 생강(生薑), 천궁, 창출(蒼朮), 대황(大黃), 대조(大棗), 택사(澤瀉), 진피(陳皮), 동과자(冬瓜子), 당귀(當歸), 도인(桃仁), 인삼(人蔘), 맥문동(麥門冬), 박하(薄荷), 반하(半夏), 구릿대, 백출(白朮), 복령(茯笭), 망초(芒硝), 목단피(牧丹皮), 마황(麻黃), 목통(木通) 등이 예시된다.
이들 한방약 재료에 있어서의 친유성(유용성, 지용성)의 성분은, 친유성 용매에 가용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러한 친유성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지용성 폴리페놀, 및 진저롤, 쇼가올, 및 진저론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폴리페놀은, 예컨대, 당귀, 천궁, 및 작약으로부터 친유성 용매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진저롤 등(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성분)은, 예컨대, 생강으로부터 친유성 용매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이들 한방약 재료에 있어서의 수용성의 성분으로서는, 체액이나 땀 등에 의한 수분에 가용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러한 수용성의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수용성 폴리페놀이나 페오니플로린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폴리페놀은, 예컨대, 당귀, 천궁, 및 작약으로부터 수분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페오니플로린(진통 성분)은, 예컨대, 작약으로부터 수분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친유성 용매로서는, 한방약 재료가 갖는 친유성의 성분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친유성 용매로서는, 예컨대, 유지를 들 수 있다. 유지로서는, 예컨대, 식물성유나 동물성유와 같은 천연유나,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천연유로서는, 예컨대,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로서는, 예컨대, 유동 파라핀과 같은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친유성 용매는, 반드시 액체형일 필요는 없고, 생리용 냅킨(1)의 어느 하나의 자재에 고체형으로 배치된 것이나, 온도에 따라 휘발성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친유성 용매는, 생리용 냅킨(1)의 제조 과정에서는 액체형이지만, 생리용 냅킨(1)의 제품 완성 시나 그 후의 보관 시나 판매 시에 있어서 고체형이어도 좋다. 단, 사용 시에, 체온 등으로 분위기 온도의 상승 등에 의해 액체형으로 되돌아가는 것으로 한다.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온감제 유지 시트(13)나, 액 투과성 시트(7)나, 흡수체(11)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온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하는 온감제(50)나, 온감제(51)나, 온감제(52)를 갖고 있다.
온감제(50, 51, 52)는, 예컨대 TRP 채널(온도 수용기(온열 지각 수용기))을 활성화하는 온감 성분과 용매 성분을 포함한다. 온감 성분으로서는, TRP 채널을 활성화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컨대, TRPV1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TRPV3 리셉터에 대한 아고니스트 등을 들 수 있고, TRPV1에 대한 아고니스트가 바람직하다. TRPV1 리셉터는, 활성화 온도 임계값이 43℃ 초과로 높아, 장착자에게 높은 온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온감 성분은, 장착자의 안심감의 관점에서 식물 유래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온감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캡시코시드, 캡사이신, 캡사이시노이드류(디히드로캡사이신, 노르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디히드로캡사이신, 호모캡사이신, 노니바미드 등), 캡산틴, 니코틴산벤질, 니코틴산 β-부톡시에틸, N-아실바닐아미드, 노난산바닐릴아미드, 다가 알코올, 고추 분말, 고추 팅크, 고추 엑기스, 노난산바닐릴에테르, 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유도체(예시: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이소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에틸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베라트릴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 유도체, 치환 벤질알코올알킬에테르, 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에틸바닐린프로필렌글리콜아세탈,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진저론, 헤스페리딘, 및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온감 성분은, 장착자가 통증을 느끼기 어려운 관점에서, 캡사이신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고, 바닐릴알코올알킬에테르 유도체(예시: 바닐릴에틸에테르, 바닐릴부틸에테르, 바닐릴펜틸에테르, 바닐릴헥실에테르), 생강 엑기스, 진저 오일, 진저롤, 및 진저론,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용매 성분으로서, 온감 성분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친유성 용매 및 친수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용매 성분은, 온감 성분을, 용해, 분산 등 할 수 있다. 친유성 용매로서는, 예컨대 유지를 들 수 있다. 유지로서는, 예컨대, 천연유(예시: 트리글리세리드 등의 지방산에스테르, 야자유, 아마인유 등), 탄화수소(예시: 파라핀(예시: 유동 파라핀)) 등을 들 수 있다. 친수성 용매로서는, 예컨대, 물 및 알코올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저급 알코올, 카프릴알코올,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용매 성분으로서는, 휘발성을 제어하기 쉬운, 특히 휘발성을 낮추기 쉬운 관점에서는, 유지(친유성 용매) 또는 알코올(친수성 용매)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성을 저해하기 어려운 관점에서는, 상기 용매 성분은 친유성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온감제의 용매 성분을 친유성 용매로 함으로써, 한방약 재료의 친유성 용매로서도 겸용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을 보다 얇고 보다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장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액 투과성 시트(7)의 온감제(51)나 흡수체(11)의 표면의 온감제(52)는, 체액의 종류나 도포되는 위치에 따라서는 하층(예시: 흡수체(11), 흡수체(11)의 하부)으로 유출되기 어려운 특성을 갖는 내구 친수유제(耐久親水油劑)(내구 친수화제)와 공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용매 성분으로서, 내구 친수유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구 친수유제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당 기술 분야에서, 섬유에 코팅 또는 이겨 넣어져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내구 친수화제로서는, 예컨대, 탄소수가 10∼30인 알킬포스페이트에스테르염과, 탄소수가 10∼30인 베타인 화합물, 황산에스테르염 또는 술포네이트염의 혼합물, 알킬포스페이트에스테르염과 폴리에테르 변성 실리콘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때문에, 온감제(51, 52)가 체액에 의해 하층으로 이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비교적 피부에 가까운 부분에 온감제를 유지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온감의 지속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온감제(50∼52)의 온감 성분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50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30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질량%이다. 온감의 효과의 관점에서이다. 생리용 냅킨(1)에서는, 온감제(50∼52)에 있어서의 온감 성분의 평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30 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 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0 g/㎡이다. 장착자에게 온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또한, 온감제(50∼52)가 온감 성분으로서 발열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그 발열 성분으로서는, 발열 성분 자체가 발열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발열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철분과 같은 금속 분말(산화열을 이용), 산성 물질 및 알칼리성 물질(중화열을 이용), 무기염(수화열을 이용)을 들 수 있다. 발열 성분을 이용하는 경우, 생리용 냅킨(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피부를 현실적으로 따뜻하게 할 수 있어, 착용자가 확실히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온감제(50), 온감제(51) 및 온감제(52)는, 생리용 냅킨(1)이 사용될 때까지 휘발하거나, 다른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붕괴성(水崩壞性)의 보호재, 예컨대, 마이크로 캡슐에 보호되어 있어도 좋다. 마이크로 캡슐은, 기능제를 내포하고, 액체(예시: 경혈, 소변, 땀)에 닿으면 붕괴되어, 기능제를 외부로 방출시킨다. 방출된 기능제는, 착용자의 체온 등에 의해 기화하거나,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함으로써, 착용자에 대해 소정의 기능을 발휘한다.
마이크로 캡슐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당류, 예컨대, 단당류(예시: 포도당), 이당류(예시: 자당) 및 다당류(예시: 덱스트린, 글루코만난, 알긴산나트륨, 수용성 전분), 젤라틴, 수용성 폴리머(예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은 시판되어 있고, 예컨대, Symrise사에서 시판되는, INCAP(상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캡슐은, 예컨대, 물에 마이크로 캡슐의 소재를 용해시켜 수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액에 기능제 및 계면 활성제를 혼합하며, 그 수용액을 스프레이하면서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에서는, 온감제(50∼52)는, 전술한 온감 성분 및 용매 성분 이외에, 장착자에게 온감을 부여하는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원하는 작용을 갖는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적어도 1종의 다른 성분으로서, 예컨대 항균제나 피부 수렴제나 항염증제와 같은 약제, 비타민, 아미노산, 제올라이트, 히알루론산, 콜라겐, 바셀린, 트레할로오스, pH 조정제, 보습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의 온감제는, 제 자체가 발열하는 발열제와는 달리, 저온 화상을 일으키기 어렵고, 또한, 점착부(72) 등이 연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을 사용 후에 속옷 등으로부터 떼어낼 때에, 점착부(72) 등이 속옷 등에 남기 어려워, 바람직하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액 투과성 시트(7)의 소재로서는, 액 투과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예컨대, 포백(예시: 부직포, 직포, 편물), 개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포백으로서는, 생리용 냅킨(1)의 제조하기 용이함의 관점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에어레이드 펄프,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포인트본드 부직포, 스펀레이스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및 이들의 조합(예시: SMS)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액 투과성 시트(7)는, 바람직하게는 5∼10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g/㎡의 평량을 갖는다.
포백을 구성하는 섬유로서는, 예컨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및 반합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천연 섬유로서는, 예컨대, 펄프 섬유 및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재생 셀룰로오스 섬유로서는, 예컨대, 레이온 섬유를 들 수 있다. 반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아세테이트 섬유와 같은 반합성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합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열가소성 섬유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섬유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나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펜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나일론 6이나 나일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계 폴리머, 아크릴계 폴리머,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 또는 이들의 변성물, 혹은 이들의 조합 등으로 형성된 섬유를 들 수 있다. 개공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의 시트에, 복수의 개공부를 형성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표면 시트(7a)는, 친수성 섬유(예시: 면, 레이온, 모, 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의해, 땀을 포함하는 수분을 구성 섬유 내에 인입하여 유지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구성 섬유의 표면에 수분을 남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수분과 피부를 접촉하기 어렵게 할 수 있으며, 피부에 차가움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에 의해, 온감의 지속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액 불투과성 시트(9)의 소재로서, 액 불투과성 또한 비통기성을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온감제(50)의 온감의 효과로 따뜻해진 공기를 액 불투과성 시트(9)와 피부 사이의 영역으로부터 산일(散逸)하기 어렵게 하기 위함이다. 액 불투과성 시트(9)의 소재로서,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 필름, 스펀본드 또는 스펀레이스 등의 부직포에 합성 수지 필름을 접합한 것, SMS 등의 복층 부직포 등을 들 수 있고, 비통기성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액 불투과성 시트(9)는, 바람직하게는 10∼50 g/㎡,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 g/㎡의 평량을 갖는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액 투과성 시트(7)의 소재로서 열거되는 것이나, 스펀지 시트와 같은 다공질 수지 시트 등, 온감제(50)를 함침 가능한 것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온감제(50)의 용매 성분이 친유성 용매일 때에는, 합성 섬유의 포백, 예컨대,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합성 섬유의 부직포를 들 수 있다. 온감제의 용매 성분이 친수성 용매일 때에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구성되는 포백, 예컨대, 부직포, 직포, 편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펄프 섬유로 구성되는 티슈, 에어레이드 펄프를 들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서, 온감 본체(5) 대신에, 보온 기능을 갖는 보온 본체로 하는 경우, 온감제 유지 시트(13)에 대체되는 보온성 시트의 소재는, 예컨대, 온감제 유지 시트(13)의 소재로서 열거되는 것을 들 수 있고, 이 경우에는 온감제(50)는 함침시키지 않는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흡수체(11)(의 흡수 코어)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펄프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흡수체(11)가 코어 랩을 갖는 경우에는, 코어 랩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티슈를 들 수 있다. 흡수체(11)의 평량은, 예컨대 10∼500 g/㎡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0∼400 g/㎡이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점착부(71, 72, 73) 등의 소재로서는, 핫멜트 접착제, 예컨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SIS) 등의 고무계를 주체로 한,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올레핀계를 주체로 한 감압형 접착제 또는 감열형 접착제; 수용성 고분자(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등) 또는 수팽윤성 고분자(예컨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를 포함하는 감수성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생리용 냅킨(1)에 있어서, 개별 포장 시트(41)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개별 포장 시트(41)는, 기밀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기밀층을 포함해도 좋다. 기밀층의 소재로서는, 예컨대, 에틸렌비닐알코올 코폴리머, 염화비닐리덴계 폴리머, 예컨대, 염화비닐리덴메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 예컨대, 나일론 6, 알루미늄박, 기재 필름(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상에 알루미나, 실리카 등이 증착된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예시: 생리용 냅킨)은,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각 실시형태끼리를 조합하는 것이나 공지 기술을 적용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1: 생리용 냅킨 7: 액 투과성 시트(시트 부재)
9: 액 불투과성 시트 11: 흡수체
51, 52: 온감제 60: 흡수체 압착부(흡수체 오목부)
67: 시트 압착부(시트 부재 오목부)

Claims (9)

  1.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을 갖고 있고,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흡수체보다 피부측에 위치하고, 액 투과성을 갖는 시트 부재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한방약 재료층과,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용매층
    을 구비하며,
    상기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상기 용매층의 일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 혹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층은, 상기 한방약 재료층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층은, 또한, 상기 한방약 재료층보다 비피부측에도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층은, 상기 폭 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흡수성 물품.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온감(溫感) 기능을 갖는 온감제를 더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면시(平面視)에서, 상기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온감 기능을 갖는 온감제를 포함하는 온감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트 부재는, 평면시에서, 상기 흡수체보다 상기 길이 방향의 전측 및 후측 중 적어도 한쪽으로 연장되고, 상기 온감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며, 상기 온감 부재보다 피부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수용성의 성분 및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다른 한방약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한방약 재료층과,
    상기 온감 부재 및 상기 시트 부재 중 적어도 한쪽에 위치하고, 다른 친유성 용매를 포함하는 다른 용매층
    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다른 한방약 재료층의 일부와 상기 다른 용매층의 일부는 상기 두께 방향으로 겹치거나, 또는, 상기 길이 방향 혹은 상기 폭 방향으로 겹치는 흡수성 물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감제는,
    장착자에게 온감을 지각시키는 온감 성분과,
    상기 온감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 성분
    을 포함하고,
    상기 용매 성분은, 상기 친유성 용매인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 재료는, 상기 수용성의 성분을 포함하는 생약 또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과, 상기 친유성의 성분을 갖는 생약 또는 상기 생약의 추출물을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17028371A 2019-03-06 2020-03-05 흡수성 물품 KR102611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1008 2019-03-06
JP2019041008 2019-03-06
PCT/JP2020/009506 WO2020179881A1 (ja) 2019-03-06 2020-03-05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4333A true KR20210134333A (ko) 2021-11-09
KR102611290B1 KR102611290B1 (ko) 2023-12-06

Family

ID=7233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371A KR102611290B1 (ko) 2019-03-06 2020-03-05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79072B2 (ko)
KR (1) KR102611290B1 (ko)
CN (1) CN111818887B (ko)
WO (1) WO20201798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4595B4 (de) 2021-10-08 2024-05-23 Hyundai Mobis Co., Ltd. Dreiwege-magnetventi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33814A (zh) * 2021-08-13 2021-11-12 东莞市金保利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缓解痛经的卫生巾及其制备方法
CN114533401A (zh) * 2022-02-25 2022-05-27 诺宸股份有限公司 一种暖宫吸收物品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909A (ko) * 1999-07-13 2001-02-26 안득훈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US20020193758A1 (en) * 2001-06-18 2002-12-19 Sca Hygiene Products Ab Product
JP2003504347A (ja) * 1999-07-13 2003-02-04 フン アーン、デウク 生薬剤を用いた女性用生理ナプキン塗布用組成物
JP4261593B2 (ja) 2007-04-27 2009-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233311A (ja) * 2012-05-09 2013-11-21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JP3213494U (ja) * 2017-09-01 2017-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機能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0038B (zh) * 2015-05-01 2023-07-21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的独立包装体和独立包装体的制造方法
JP7033868B2 (ja) * 2017-09-01 2022-03-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温感物品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4909A (ko) * 1999-07-13 2001-02-26 안득훈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JP2003504347A (ja) * 1999-07-13 2003-02-04 フン アーン、デウク 生薬剤を用いた女性用生理ナプキン塗布用組成物
US20020193758A1 (en) * 2001-06-18 2002-12-19 Sca Hygiene Products Ab Product
JP4261593B2 (ja) 2007-04-27 2009-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233311A (ja) * 2012-05-09 2013-11-21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CN104284642A (zh) * 2012-05-09 2015-01-14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3213494U (ja) * 2017-09-01 2017-11-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機能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34595B4 (de) 2021-10-08 2024-05-23 Hyundai Mobis Co., Ltd. Dreiwege-magnetventi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290B1 (ko) 2023-12-06
JP7179072B2 (ja) 2022-11-28
JPWO2020179881A1 (ko) 2020-09-10
CN111818887B (zh) 2022-12-20
WO2020179881A1 (ja) 2020-09-10
CN111818887A (zh)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93160B (zh) 功能性物品
JP7085836B2 (ja)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用の温感部材、及び温感部材の吸収性物品に貼付しての使用
KR102611290B1 (ko) 흡수성 물품
CN109419586B (zh) 温感物品
KR102518885B1 (ko) 흡수성 물품
TWI767047B (zh) 吸收性物品的個別包裝體
CN110520085B (zh) 温感物品
JP6765356B2 (ja) 温感物品
JP7023304B2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7026654B2 (ja) 吸収性物品
JP7089040B2 (ja) 吸収性物品
CN111787894B (zh) 吸收性物品
JP2019042167A (ja) 温感物品
JP3229293U (ja) 温感物品の個包装体
JP7278292B2 (ja) 吸収性物品
WO2020179882A1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6692331B2 (ja) 温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