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348A -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 Google Patents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348A
KR20210128348A KR1020210047574A KR20210047574A KR20210128348A KR 20210128348 A KR20210128348 A KR 20210128348A KR 1020210047574 A KR1020210047574 A KR 1020210047574A KR 20210047574 A KR20210047574 A KR 20210047574A KR 20210128348 A KR20210128348 A KR 20210128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holding wall
jig
block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7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 나가사와
이쿠오 와카야마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8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52Controlling the zeta potential, e.g. by wall coa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전용 공구가 불필요하며, 간편한 작업으로 시료를 셀에 배치할 수 있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를 제공한다.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에 사용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 제1 및 제2 보유 지지벽과, 제1 및 제2 보유 지지벽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갖는 프레임체와, 제1 및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시료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고, 개구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의 상방 또는 하방에 인접 배치되는 중간 블록과, 제1 및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중간 블록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셀 및 중간 블록을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셀 누름부를 갖고, 제1 및 제2 보유 지지벽의 적어도 한쪽은, 중간 블록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해당 제1 홈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1 돌기 중 한쪽을 갖고, 중간 블록은, 제1 홈 또는 제1 돌기 중 다른 쪽을 갖는다.

Description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DEVICE FOR MEASURING ZETA-POTENTIAL}
본 발명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장의 영향하에서 이동하는 시료셀 용기 내의 입자의 전기 영동 이동도나 ζ(제타) 전위를 측정하는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가 알려져 있다.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는, 전계를 부여한 시료에 광을 조사하여, 시료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수광기로 검출한다. 검출된 산란광의 주파수 성분을 해석함으로써 입자의 속도가 산출되고, 입자 속도 분포 또는 그들 입자의 전기 영동 이동도의 분포가 얻어진다(하기 특허문헌 1 내지 3 참조).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에는, 투명벽을 갖는 셀이 사용된다(하기 특허문헌 4 참조). 셀에는, 측정 대상이 되는 입자의 분산체를 현탁시킨 시료가 배치된다.
일본 특허 공개 평10-104188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9932호 공보 국제 공개 제2016/117570호 일본 특허 공개 평05-312757호 공보
시료가 배치된 셀과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의 위치 관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가 사용된다.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로부터 시료가 누출되기 시작하면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의 오염이나 파손으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종래,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셀을 고정시키고 있어, 당해 고정 작업이 번잡하였다. 또한, 고정밀도의 측정을 행하기 위해서는, 셀에 배치된 시료에 대하여 적정한 각도로 광이 조사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너트를 적정한 토크로 체결할 필요가 있어, 작업이 번잡하였다.
본 개시는,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간편한 작업으로 시료를 셀에 배치할 수 있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개시에 따른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는,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에 사용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 제1 보유 지지벽 및 제2 보유 지지벽과,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갖는 프레임체와,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시료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의 상방 또는 하방에 인접 배치되는 중간 블록과,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록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셀 및 상기 중간 블록을 상기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셀 누름부를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중간 블록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해당 제1 홈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1 돌기 중 한쪽을 갖고,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돌기 중 다른 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에 배치된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의 3면도이다.
도 4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의 3면도이다.
도 5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의 3면도이다.
도 6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의 3면도이다.
도 7은 IIV-IIV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의 (a) 및 도 1의 (b)는, 본 실시 형태의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의 (a) 및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는, 프레임체(200), 중간 블록(300), 셀(400), 셀 누름부(500), 제1 압박부(600) 및 제2 압박부(700)를 갖는다. 프레임체(200)는, 제1 보유 지지벽(202), 제2 보유 지지벽(204) 및 저벽(206)을 갖는다. 중간 블록(300)은, 하단 블록(302), 중단 블록(304) 및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를 갖는다. 셀 누름부(500)는, 셀 상면 누름부(502)와 상단 블록(504)을 갖는다.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는,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는, 도 2에 도시한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에 배치되고, 제타 전위의 측정이 행해진다. 시료가 배치되는 셀(400)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는, 셀(400)에 배치된 시료에 대하여, 후술하는 양극판(220) 및 음극판(222)을 통해 전계를 인가한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에는 개구(2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는, 한쪽의 개구(212)로부터 측정용 광을 조사한다. 그리고,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는, 다른 쪽의 개구(212)로부터 출사되는 산란광에 기초하여 제타 전위를 측정한다. 또한, 제타 전위의 측정 방법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에 포함되는 각 구성 중, 프레임체(200)만을 기재한 3면도이다. 도 4는, 프레임체(200), 하단 블록(302) 및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만을 기재한 3면도이다. 도 5는, 프레임체(200), 하단 블록(302),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 및 셀(400)만을 기재한 3면도이다. 도 6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의 모든 구성을 기재한 3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V-IIV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212)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은, 각각 xz 평면으로 넓은 면을 갖고 y 방향으로 얇은 형상인 판형부(208)와, 상부(z 방향)에 손잡이부(210)를 갖는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은, 판형부(208)의 xz 평면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판형부(208)는, y 방향으로 관통하는 개구(212)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갖는다. 당해 개구(212)의 한쪽은 시료에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고, 개구(212)의 다른 쪽은 시료에 산란된 광이 통과한다.
저벽(206)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하단을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하단에 배치되고, 나사에 의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위치 관계를 고정한다. 저벽(206)에는, 양극판(220) 및 음극판(222)이 배치된다. 양극판(220) 및 음극판(222)의 한쪽은, x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도전판을 통해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다른 한쪽은, -x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도전판을 통해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양극판(220)에는,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800)로부터 음극판(222)에 인가되는 것 보다도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는 중간 블록(300), 셀(400), 셀 누름부(500), 제1 압박부(600) 및 제2 압박부(700)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는 저벽(206)으로부터 상방(z 방향)을 향해 차례로, 하단 블록(302), 셀(400), 중단 블록(304), 상단 블록(504), 제1 압박부(600) 및 제2 압박부(700)가 배치된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적어도 한쪽은, 중간 블록(300)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1 홈(214) 또는 해당 제1 홈(214)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1 돌기(312) 중 한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판형부(208)는, 하단 블록(302)과 대응하는 위치 및 중단 블록(304)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1 홈(214)을 갖는다. 제1 홈(214)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판형부(208)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x 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다. 제1 홈(214)에는, 하단 블록(302) 및 중단 블록(304)에 마련된 플런저가 끼워 맞춰진다.
또한, 도 3 내지 6에서는, 하단 블록(302)과 대응하는 위치 및 중단 블록(304)과 대응하는 위치의 양쪽에 제1 홈(214)이 마련되어 있지만, 제1 홈(214)은, 적어도 중단 블록(304)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제1 홈(214) 및 제1 돌기(312)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양쪽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쪽에만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적어도 한쪽은, 셀 누름부(500)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2 홈(216) 또는 해당 제2 홈(216)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2 돌기(506) 중 한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판형부(208)는, 상단 블록과 대응하는 위치에, 제2 홈(216)을 갖는다. 제2 홈(216)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판형부(208)가 대향하는 면에, x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홈이다. 제2 홈(216)에는, 상단 블록(504)이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플런저가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제2 홈(216) 및 제2 돌기(506)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양쪽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한쪽에만 마련되어도 되고 양쪽 모두 마련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은, 제1 압박부(600)의 장축 방향이 제1 보유 지지벽(202)과 제2 보유 지지벽(204)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했을 때, 제1 압박부(60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각 손잡이부(210)는, 제1 압박부(600)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218)를 갖는다. 오목부(218)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마련되고, 제1 압박부(600)의 장축 방향 선단부가 끼워 맞춰진다. 또한,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은, 제1 압박부(60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에, 오목부(218) 형상이 아니라 차양 형상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차양의 하측의 면이 제1 압박부(60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으로 된다.
중간 블록(300)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있어서, 시료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102)의 일부를 구성하고, 개구(212)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400)의 상방 또는 하방에 인접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중간 블록(300)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배치되는 하단 블록(302), 중단 블록(304) 및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를 갖는다.
하단 블록(302)은, 보유 지지 공간(102)의 각각 일부를 구성하고 각각 저부에 양극판(220) 및 음극판(222)이 위치하는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를 갖고, 셀(400)이 내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단 블록(302)은, 내측에 셀(400)이 배치되는 공간을 갖고, 당해 공간의 하측에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를 갖는다.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는, 저벽(206)의 양극판(220) 및 음극판(222)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는, 공급로(314)를 통해 시료가 배치되는 공간이며, 시료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102)의 각각 일부를 구성한다. 하단 블록(302)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개구(212)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400)의 하방에 인접 배치된다.
하단 블록(302)은,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에 시료를 공급하는 공급로(314)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의 측면과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가 배치되는 개소를 연결하는 공간(공급로(314))을 갖는다. 시료 공급용 손잡이(306)는 셀(400) 하면 누름부로부터 분리되는 구성이며, 당해 공급로(314)를 통해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에 시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로부터 셀(400)을 취출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시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하단 블록(302)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에 제1 홈(214)이 마련되는 경우, 제1 홈(214)과 대응하는 위치에 플런저를 갖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벽(206)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상측(z 방향)으로부터 하단 블록(302)이 삽입됨으로써, 도 4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삽입 과정에 있어서, 제1 돌기(312)가 제1 홈(214)과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312)는, 선단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표면을 따르도록 내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1 돌기(312)가 제1 홈(2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312)는, 제1 홈(214)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하단 블록(302)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셀(400)은,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의 각각과 연통하는 측정 공간(104)을 갖고, 시료에 조사되는 광 및 해당 광이 시료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셀(400)은, 투명한 유리로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400)은, 양극 구멍부(308) 및 음극 구멍부(310)의 양쪽으로부터 z 방향으로 셀(400)의 상면까지 관통하는 2개의 공간과, 해당 2개의 공간을 연통하는 xy 평면에 마련된 공간을 갖는다. 측정 시에는, 이들 공간은 시료로 채워진다. xy 평면에 마련된 공간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개구(212)의 측방에 위치하고, 측정 공간(104)으로서 기능한다. 이에 의해, 측정 공간(104)에 배치된 시료에 광이 조사된다.
셀(400)의 하면은, 하단 블록(302)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셀(400)의 xy 평면 내의 위치는 하단 블록(302)에 의해 지지되지만, 중단 블록(304)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셀(400)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하단 블록(302)이 배치된 도 4의 상태에서, 하단 블록(302)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중단 블록(304)은, 셀(400)의 주연부와 겹치는 평면 형상을 갖고, 셀(400)의 상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단 블록(304)은, 셀 상면 누름부(502)의 측면을 둘러싸는 형상이다. 중단 블록(304)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개구(212)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400)의 상방에 인접 배치된다. 중단 블록(304)은, 셀(400)과 접하는 영역에 패킹을 갖는다. 이에 의해, 시료가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100)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중단 블록(304)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에 제1 홈(214)이 마련되는 경우, 제1 홈(214)과 대응하는 위치에 플런저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블록(302) 및 셀(400)이 배치된 상태의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상측(z 방향)으로부터 중단 블록(304)이 삽입됨으로써, 도 5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삽입 과정에 있어서, 제1 돌기(312)가 제1 홈(214)과 대응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312)는, 선단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표면을 따르도록 내측에 위치한다. 한편, 제1 돌기(312)가 제1 홈(214)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312)는, 제1 홈(214)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해, 중단 블록(304)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셀 누름부(500)는,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있어서, 중간 블록(300)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셀(400) 및 중간 블록(300)을 저벽(206)측으로 압박한다. 구체적으로는, 셀 누름부(500)는, 보유 지지 공간(102)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을 갖고, 셀(400)의 위에 배치되어 셀(400)의 상면을 저벽(206)측으로 압박하는 셀 상면 누름부(502)와, 중단 블록(304)의 상방에 배치되고, 중단 블록(304)을 저벽(206)측으로 압박하는 상단 블록(504)을 갖는다.
셀 상면 누름부(502)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400)의 상면에 접하여 배치되고, 셀(400)과 접하는 면은 평탄하게 형성된다. 셀(400)과 접하는 면 중 측정 공간(104)과 접하는 영역은, 셀(400)과 함께 보유 지지 공간(102)의 일부를 구성한다. 보유 지지 공간(102)의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은, 시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패킹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 상면 누름부(502)는, 상측에 제2 압박부(700)와 끼워 맞춰지는 구멍을 갖고, 당해 구멍의 벽면은 나사 절삭되어 있다. 제2 압박부(700)가 회전함으로써, 셀 상면 누름부(502)는, 해당 구멍에 끼워 맞춰진 제2 압박부(700)에 의해 하측으로 압박된다. 이에 의해, 시료가 보유 지지 공간(102)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단 블록(504)은, 셀 상면 누름부(502) 및 중단 블록(30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단 블록(504)의 상측은, 제1 압박부(600)와 접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박부(600)가 회전함으로써, 상단 블록(504)은, 저벽(206)측으로 압박된다. 또한, 상단 블록(504)은, 셀(400)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다. 당해 관통 구멍에는, 제2 압박부(700)가 배치된다. 당해 관통 구멍의 측벽은 나사 절삭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1 압박부(600)가 셀 상면 누름부(502)에 가하는 압박과는 별도로, 제1 압박부(600)에 의해 저벽(206)측으로 압박할 수 있다.
셀 누름부(500)는, 제2 홈(216) 또는 제2 돌기(506) 중 한쪽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에 제2 홈(216)이 마련되는 경우, 상단 블록(504)은, 각각 제2 홈(216)과 대응하는 위치에 플런저를 갖는다. 셀 상면 누름부(502)는, 중단 블록(304)이 배치된 상태에서, 셀(400)의 위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의 사이에, 상측(z 방향)으로부터 상단 블록(504)이 삽입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상태로 된다. 이때, 상단 블록(504)에 제2 홈(216)과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2 돌기(506)가 마련되어 있는 점에서, 상단 블록(504)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제1 압박부(600)는,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을 갖는 형상이며, 저벽(206)의 면내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단 블록(504)을 저벽(206)측으로 압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압박부(600)는,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을 갖는 대략 타원 형상이며, 상측의 표면에 선단을 향해 z 방향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가 마련된다. 제1 압박부(600)는, 상단 블록(504)의 위에 배치된다. 제1 압박부(600)는, xy 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며, 장축 방향이 y축 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손잡이부(210)에 형성된 오목부(218)에 끼워 맞춰진다. 제1 압박부(600)가 오목부(218)에 끼워 맞춰질 때, 상측의 표면에 마련된 경사에 의해, 제1 압박부(600)의 하측에 배치된 상단 블록(504)은, 저벽(206)측으로 압박된다. 또한, 손잡이부(210)에 오목부(218)가 아니라 차양 형상이 형성되는 경우, 차양의 하측의 면이 제1 압박부(600)의 상면과 접한다.
제2 압박부(700)는, 관통 구멍에 배치되고, 셀 상면 누름부(502)를 셀(400)로 압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2 압박부(700)는, 손잡이부(702)와 축부(704)를 갖는다. 손잡이부(702)는, 제1 압박부(600)의 위에 배치되고, 축부(704)와 고정된다. 축부(704)는, 제1 압박부(600) 및 상단 블록(504)에 마련된 관통 구멍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셀 상면 누름부(502)에 마련된 구멍과 끼워 맞춰진다. 축부(704)의 하단부는 표면이 나사 절삭되어 있으며, 손잡이부(702)가 회전함으로써, 셀 상면 누름부(502)를 하측으로 압박한다. 셀 상면 누름부(502)가 압박됨으로써, 시료가 보유 지지 공간(102)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중간 블록(300)이 제1 돌기(312)를 갖고, 셀 누름부(500)가 제2 돌기(506)를 갖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중간 블록(300)은, 제1 홈(214)을 가져도 되고, 셀 누름부(500)는, 제2 홈(216)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셀(400) 하면 누름부, 중단 블록(304) 및 상단 블록(504)은, 제1 보유 지지벽(202) 및 제2 보유 지지벽(204)으로부터 삽발 가능하다. 제1 돌기(312) 및 제2 돌기(506)가 제1 홈(214) 또는 제2 홈(216)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기 때문에, 용이하게 삽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료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돌기(312) 및 제2 돌기(506)가 플런저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홈(214) 및 제2 홈(216)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구성이라면 제1 돌기(312) 및 제2 돌기(506)는 플런저가 아니어도 된다.
또한, 제2 압박부(700)가 xy 평면의 중심에 1군데 마련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 압박부(700)는, xy 평면의 네 코너에 4군데 마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압박부(600)가 상단 블록(504)을 압박하고, 제2 압박부(700)가 셀 상면 누름부(502)를 압박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제2 압박부(700)가 하단 블록(302), 중단 블록(304) 및 상단 블록(504) 전부를 압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2 압박부(700)가 xy 평면의 네 코너에 4군데 마련되는 경우, 하단 블록(302), 중단 블록(304) 및 상단 블록(504)은, 각각 제2 압박부(700)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을 갖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당해 관통 구멍의 내벽 및 제2 압박부(700)의 축부(704)는 나사 절삭되어 있으며, 제2 압박부(700)가 회전함에 따라서, 하단 블록(302), 중단 블록(304) 및 상단 블록(504)이 모두 저벽(206)측으로 압박되어도 된다.
100: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102: 보유 지지 공간
104: 측정 공간
200: 프레임체
202: 제1 보유 지지벽
204: 제2 보유 지지벽
206: 저벽
208: 판형부
210: 손잡이부
212: 개구
214: 제1 홈
216: 제2 홈
218: 오목부
220: 양극판
222: 음극판
300: 중간 블록
302: 하단 블록
304: 중단 블록
306: 시료 공급용 손잡이
308: 양극 구멍부
310: 음극 구멍부
312: 제1 돌기
314: 공급로
400: 셀
500: 셀 누름부
502: 셀 상면 누름부
504: 상단 블록
506: 제2 돌기
600: 제1 압박부
700: 제2 압박부
702: 손잡이부
704: 축부
800: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

Claims (9)

  1. 전기 영동 이동도 측정 장치에 사용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이며,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갖는 제1 보유 지지벽 및 제2 보유 지지벽과,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저벽을 갖는 프레임체와,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시료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의 측방에 배치되는 셀의 상방 또는 하방에 인접 배치되는 중간 블록과,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록보다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셀 및 상기 중간 블록을 상기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셀 누름부
    를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중간 블록을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1 홈 또는 해당 제1 홈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1 돌기 중 한쪽을 갖고,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제1 홈 또는 상기 제1 돌기 중 다른 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의 적어도 한쪽은, 상기 셀 누름부를 측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제2 홈 또는 해당 제2 홈에 탄성적으로 끼워 맞춰지는 제2 돌기 중 한쪽을 갖고,
    상기 셀 누름부는, 상기 제2 홈 또는 상기 제2 돌기 중 다른 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블록은,
    상기 보유 지지 공간의 각각 일부를 구성하고, 각각 저부에 양극판 및 음극판이 위치하는 양극 구멍부 및 음극 구멍부를 갖고, 상기 셀이 내측에 배치되는 하단 블록과,
    상기 셀의 주연부와 겹치는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셀의 상측에 배치되는 중단 블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셀 누름부는,
    상기 보유 지지 공간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영역을 갖고, 상기 셀의 위에 배치되어 상기 셀의 상면을 상기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셀 상면 누름부와,
    상기 중단 블록의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중단 블록을 상기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상단 블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는,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저벽의 면내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상단 블록을 상기 저벽 측으로 압박하는 제1 압박부를 더 갖고,
    상기 제1 보유 지지벽 및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은, 상기 제1 압박부의 장축 방향이 상기 제1 보유 지지벽과 상기 제2 보유 지지벽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했을 때, 상기 제1 압박부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은, 상기 셀의 상방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을 갖고,
    상기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는, 상기 관통 구멍에 배치되고, 상기 셀 상면 누름부를 상기 셀로 압박하는 제2 압박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블록은, 상기 양극 구멍부 및 상기 음극 구멍부에 상기 시료를 공급하는 공급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 및/또는 상기 제2 돌기는 플런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9.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구멍부 및 상기 음극 구멍부의 각각과 연통하는 측정 공간을 더 갖고, 상기 시료에 조사되는 광 및 해당 광이 상기 시료에 의해 산란된 산란광을 투과시키는 재료로 형성된 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KR1020210047574A 2020-04-16 2021-04-13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KR202101283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3731 2020-04-16
JP2020073731A JP7440331B2 (ja) 2020-04-16 2020-04-16 ゼータ電位測定用治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348A true KR20210128348A (ko) 2021-10-26

Family

ID=7552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7574A KR20210128348A (ko) 2020-04-16 2021-04-13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3465B2 (ko)
EP (1) EP3896439B1 (ko)
JP (1) JP7440331B2 (ko)
KR (1) KR20210128348A (ko)
CN (1) CN113533484A (ko)
TW (1) TW2022108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156912A (ja) 2022-04-13 2023-10-25 大塚電子株式会社 ゼータ電位測定用治具セッ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757A (ja) 1992-05-06 1993-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ゼータ電位測定セル
JPH10104188A (ja) 1996-09-27 1998-04-24 Nec Corp ゼータ電位測定装置
JP2012229932A (ja) 2011-04-25 2012-11-22 Shimadzu Corp マイクロチップ電気泳動装置
WO2016117570A1 (ja) 2015-01-20 2016-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分析チップおよび分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57486A1 (de) * 1978-12-07 1980-09-11 Rudolf Dr Steiner Messzellenanordnung fuer eine vorrichtung zur spektroskopischen untersuchung von fluessigen messproben
JP2000171425A (ja) 1998-12-02 2000-06-23 Mitsubishi Electric Corp 酸化還元電位及びゼータ電位測定用セル並びに酸化還元電位及びゼータ電位測定方法
JP5307101B2 (ja) 2010-09-28 2013-10-02 凸版印刷株式会社 電気泳動用ゲルカセ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3608671B (zh) 2011-06-15 2016-05-18 马尔文仪器有限公司 表面电荷测量
KR102372737B1 (ko) 2013-03-14 2022-03-10 메사추세츠 인스티튜트 오브 테크놀로지 소결된 나노결정 합금
JP6814474B2 (ja) 2017-02-28 2021-01-20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電気泳動分析チップおよび電気泳動分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757A (ja) 1992-05-06 1993-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ゼータ電位測定セル
JPH10104188A (ja) 1996-09-27 1998-04-24 Nec Corp ゼータ電位測定装置
JP2012229932A (ja) 2011-04-25 2012-11-22 Shimadzu Corp マイクロチップ電気泳動装置
WO2016117570A1 (ja) 2015-01-20 2016-07-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分析チップおよび分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533484A (zh) 2021-10-22
US20210325340A1 (en) 2021-10-21
EP3896439B1 (en) 2024-05-08
JP2021169982A (ja) 2021-10-28
TW202210828A (zh) 2022-03-16
JP7440331B2 (ja) 2024-02-28
EP3896439A1 (en) 2021-10-20
US11953465B2 (en)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796B1 (ko) 액정표시장치의 기판 모듈 검사장치
KR20210128348A (ko) 제타 전위 측정용 지그
KR20170103341A (ko)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는 전지셀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전지셀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
US7884932B2 (en) Measuring instrument
JP2006506629A (ja) 検査体の接触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7471095B2 (en)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JP2009300231A (ja) バッテリーセルの検査装置
JP5362355B2 (ja) マイクロカラムを用いた微細パターンおよび形状検査装置
KR20170027268A (ko) 시료 홀더 및 시료 홀더군
KR20150087808A (ko) 프로버 및 프로브 카드의 니들 선단 연마 장치
KR101570215B1 (ko) 전자 디바이스의 검사장치
JP4916712B2 (ja) 表示パネル検査装置
KR100994494B1 (ko) 기판 합착장치
KR20150107939A (ko) 시료 관찰 장치
CN213179887U (zh) 一种微孔检测装置
CN111492254A (zh) 基板检查装置
JP2006038523A (ja) 表示用パネルの検査装置
KR101999232B1 (ko) 액정표시장치 모듈 검사장치
KR100422900B1 (ko) 기준각 제공장치
US20230333055A1 (en) Zeta-potential measurement jig set
JP4150296B2 (ja) 基板検査装置
KR101773556B1 (ko) 위치 정렬 장치 및 그 방법
JPH09127156A (ja) 液晶表示体用プローブカード
CN115122254B (zh) 一种真空吸附台和pcb产品固定方法以及pcb产品加工设备
CN221199305U (zh) 一种用于平面产品扭曲性能测试的弹性支撑吸附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