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399A - 시트용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시트용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399A
KR20210127399A KR1020200045191A KR20200045191A KR20210127399A KR 20210127399 A KR20210127399 A KR 20210127399A KR 1020200045191 A KR1020200045191 A KR 1020200045191A KR 20200045191 A KR20200045191 A KR 20200045191A KR 20210127399 A KR20210127399 A KR 20210127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unit
posts
seat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773B1 (ko
Inventor
조찬기
황범진
박준규
김량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200045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773B1/ko
Priority to CN202110392491.9A priority patent/CN113525196B/zh
Priority to JP2021068052A priority patent/JP7369462B2/ja
Priority to US17/229,201 priority patent/US11420538B2/en
Priority to EP21168044.2A priority patent/EP3895934B1/en
Publication of KR20210127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4Linear actuator, e.g. screw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0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625Combination of rods and s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5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9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with simultaneous height and inclination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단일 모터의 구동을 통해 승강 이동이 가능한 시트용 승강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용 승강장치는 일단부는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공간 양측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어 바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측면에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고 상기 바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랙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와 연결되어 이동된다.

Description

시트용 승강장치{APPARATUS FOR LIFTING SEAT FO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에 결합되어 시트를 승하강 시키는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승강장치는 주행 중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높이를 제어하여 탑승자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경우 구동에 의한 시트의 이동 방향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에 의한 시트의 승강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부에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거나 다시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89702호는 렉기어식 리프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9015호는 차량 용의자의 완충높이자동조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시트의 승강이 가능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자를 지지하는 승강장치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단일 모터의 구동을 통해 승강 이동이 가능한 시트용 승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트용 승강장치는 일단부는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공간 양측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어 바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측면에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고 상기 바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랙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와 연결되어 이동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포스트들 및 상기 제1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 상단에 결합되는 롤러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포스트들 각각은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밀착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의 일단부의 안쪽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삼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 하부에 사각판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쇼크업소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타단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크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승강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하부로 연장되는 제1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구동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2 포스트들, 상기 제2 포스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랙기어 형태의 기어유닛 및 상기 제2 포스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후크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부에 하부측벽들이 형성되는 로어레일, 하부에 상기 하부측벽들과 교차하는 상부측벽들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레일의 상부에서 시트와 결합되는 어퍼레일 및 상기 하부측벽 및 상부측벽들 사이에 베어링 형태로 배치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용 승강장치는 조립된 부품의 일부분을 교환하여 구동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방향 제어가 용이하고, 가스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여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용 승강장치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승강 구동 과정에서 부하가 가해지는 모터의 구동축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용 승강장치는 복수의 연결포스트들과 후방에 경사부가 형성된 지지부의 구조를 통해 후방에서 가해지는 후방 충돌의 부하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승강장치의 사시도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
도 6은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레일부의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승강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용 승강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2 및 3들은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분해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용 승강장치(100)는 지지부(200), 승강부(400), 구동부(600) 및 커버부(70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하부에 장착되는 승강장치는 주행 중 시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높이를 제어하여 탑승자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그러나, 기존의 시트용 승강장치의 경우 구동에 의한 시트의 이동 방향이 고정되어 있고, 구동에 의한 시트의 승강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차량 내부에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거나 다시 제작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시트용 승강장치(100)는 조립된 부품의 일부분을 교환하여 구동에 따라 승강 이동하는 방향 제어가 용이하고, 가스가 아닌 전기를 사용하여 시트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시트용 승강장치(100)는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모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승강 구동 과정에서 부하가 가해지는 모터의 구동축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장점이 있다.
지지부(200)는 베이스플레이트(210), 제1 포스트(220, 230)들, 브라켓(240, 250, 252)들, 제1 내지 제3 볼트(241, 242, 243)들, 제1 후크(260, 262)들, 쇼크업소버(Shock Absorber), 연결포스트(290, 291, 292)들 및 롤러포스트(293)를 포함한다.
지지부(200)의 하부에 위치한 일단부는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부의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플레이트 형태로 연장되며,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바를 통해 승강부(400)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베이스플레이트(210)는 전방인 제1 방향(1) 또는 제1 방향(1)과 반대 방향인 후방의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된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테두리의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된다.
제1 포스트(22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안쪽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타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삼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포스트(220)의 일단부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테두리 일부분들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타단부의 테두리 일부분은 일측을 향해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 절곡부(221)가 형성되며, 제1 포스트(220)는 절곡부(221)에 의해 변형이 억제되고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제1 포스트(23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측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안쪽에 위치하는 일단부의 일측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와 평행한 삼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포스트(230)의 일단부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 테두리 일부분들은 상부를 향해 절곡되고, 타단부의 테두리 일부분은 타측을 향해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 절곡부(231)가 형성되며, 제1 포스트(230)는 절곡부(231)에 의해 변형이 억제되고 시트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브라켓(240)의 일단부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제1 방향(1)쪽 일측면에 제1 및 제2 볼트(241, 242)들을 통해 제1 포스트(220)와 결합된다.
브라켓(240)의 일단부는 사각형 코너들 중 어느 하나가 제1 포스트(220)의 일단부와 인접한 하부에 배치되고, 4개의 모서리들 중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며 서로 평행한 모서리들이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하도록 기울어지게 배치된다.
브라켓(240)의 중앙부는 일단부의 제2 방향(2) 및 상부쪽 중앙 일부분이 플레이트 형태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구동부(600)의 구동축과 연결되고, 타단부는 중앙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동일한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롤러포스트(293)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브라켓(240)은 중앙부에 연결된 구동부(600)의 구동축에 가해지는 하중을 받으면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상부보다 변형에 강한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하부로 하중을 전달시켜 상기 구동축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개선된다.
또한, 구동부(600)의 구동축이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상부에만 결합되는 상태보다, 브라켓(240)과 결합되어 브라켓(240)의 일단부 및 타단부의 지지력을 통해 상기 구동축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브라켓(250)의 일단부는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브라켓(240)의 제2 방향(2)쪽에서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일측면에 결합된다.
브라켓(250)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포스트(220)의 일측 방향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된 후 다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후크(260)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제1 후크(260)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 및 나사를 통해 브라켓(250)의 타단부 일측면에 결합되고, 제1 후크(260)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를 향해 J 후크 형태로 연장되어 둘러싸는 내부공간이 일측을 향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브라켓(252)의 일단부는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브라켓(24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서 제1 포스트(230)의 타단부 타측면에 결합된다.
브라켓(252)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포스트(230)의 타측 방향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된 후 다시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어 제1 후크(262)의 일부분과 결합된다.
제1 후크(262)의 일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 및 나사를 통해 브라켓(252)의 타단부 타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포스트(230)의 타단부를 향해 J 후크 형태로 연장되어 둘러싸는 내부공간이 타측을 향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후크(260, 262)들 각각의 타단부 끝단에는 내부의 공간에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개방된 'U'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가이드(265)들 각각이 제1 후크(260, 262)들 각각의 타단부 끝단 안쪽에 배치되어 가이드(265)들 각각의 외측면은 제1 후크(260, 262)들 각각의 내측면과 밀착된다.
쇼크업소버(280)의 일단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일측 제2 방향(2)쪽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승강부(400)의 일측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쇼크업소버(282)의 일단은 베이스플레이트(210)의 타측 제2 방향(2)쪽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승강부(400)의 타측 상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쇼크업소버(280, 282)들 각각의 타단은 승강부(400)가 하강하는 동안 일단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승강부(400)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부에서 하부를 향한 충격을 완화시킨다.
연결포스트(29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의 하단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포스트(29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의 제2 방향(2)쪽 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포스트(292)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의 상단 제1 방향(1)쪽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 각각의 타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롤러포스트(293)의 일단은 연결포스트(292)의 제2 방향(2)쪽에서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상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제1 포스트(230)의 타단부를 향해 연장되어 제1 포스트(23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롤러포스트(293)의 일단은 제1 포스트(220)를 관통하여 브라켓(240)의 타단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승강부(400)에서 전달되는 하중이 브라켓(240)을 통해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하부를 향해 전달되므로 제1 포스트(220)의 타단부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되는 장점이 있다.
승강부(400)는 상부플레이트(410), 레일부(420), 제2 포스트(430, 440)들, 기어유닛(450), 제2 후크(460, 462)들, 회동축(470)들 및 연결포스트(490, 491, 492)들을 포함한다.
승강부(400)의 일단부는 지지부(200)에 결합된 구동부(600)의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며 롤러포스트(293)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확장 연장되어 레일을 통해 시트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부플레이트(4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 테두리 일부분은 상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레일부(420)의 양측면 일부분과 밀착된다.
레일부(420)는 시트의 하부에서 시트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시트는 별도의 제어장치를 통해 레일부(420)의 상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제2 포스트(43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10)의 일측 테두리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삼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딩홈(432)은 제2 포스트(430)의 제1 방향(1)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제1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1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연장된 일측 일부분이 지지부(200)의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제2 포스트(430)의 일측 및 타측 공간을 서로 연결한다.
제2 포스트(44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10)의 타측 테두리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삼각판 형태로 형성된다.
슬라이딩홈(442)은 제2 포스트(440)의 제1 방향(1) 및 하부에 위치하는 제2 모서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2 모서리와 평행하도록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연장된 타측 일부분이 지지부(200)의 일측을 향해 함몰되어 제2 포스트(440)의 일측 및 타측 공간을 서로 연결한다.
기어유닛(450)의 일단부는 사각판 형태로 형성되고 4개의 모서리들 중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된 모서리들이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하도록 제2 포스트(430)의 제1 방향(1)쪽 내측면에 비스듬히 결합된다.
기어유닛(450)의 일단부에는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기어유닛(450)의 일단부가 제2 포스트(43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슬라이딩홈(432)과 연결된다.
기어유닛(4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상기 홈은 슬라이딩홈(432)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고, 기어유닛(450)의 일단부가 제2 포스트(4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홈은 슬라이딩홈(432)과 연결된다.
기어유닛(450)의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부 끝단은 렉기어 형태로 기어들이 형성되어 구동부(600)의 상기 구동축과 치합된다.
지지부(200) 및 승강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롤러포스트(293)의 일단은 슬라이딩홈(432)의 안쪽에 배치된 상태로 제3 볼트(342)를 통해 제1 포스트(220) 및 브라켓(240)에 결합된다.
지지부(200) 및 승강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롤러포스트(293)의 타단은 슬라이딩홈(442)의 안쪽에 배치된 상태로 제1 포스트(230)의 타단부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후크(460)의 일단부는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유닛(450)의 제2 방향(2)쪽에 해당하는 제2 포스트(430)의 일측면에 결합된다.
제2 후크(460)의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1 방향(1)쪽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2 포스트(430)의 일측을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된 후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J형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후크(460)의 타단부는 제1 포스트(220)의 제2 방향(2)쪽 공간에서 제1 포스트(220)의 일측을 향해 돌출되어 제1 후크(260)의 타단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00) 및 승강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후크(460)의 타단부 끝단은 제1 후크(260)의 타단부 끝단에 부착된 가이드(265)의 안쪽에 삽입되어 제1 후크(260)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후크(260)와 결합된다.
제2 후크(462)의 일단부는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기어유닛(450)의 제2 방향(2)쪽에 해당하는 제2 포스트(44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제2 후크(462)의 타단부는 일단부의 제1 방향(1)쪽 모서리의 일부분이 제2 포스트(440)의 타측을 향해 수직 절곡 및 연장된 후 제2 방향(2) 및 상부를 향해 갈고리 형태로 절곡되어 J형 후크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후크(462)의 타단부는 제1 포스트(230)의 제2 방향(2)쪽 공간에서 제1 포스트(230)의 타측을 향해 돌출되어 제1 후크(262)의 타단부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지지부(200) 및 승강부(4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후크(462)의 타단부 끝단은 제1 후크(262)의 타단부 끝단에 부착된 가이드(265)의 안쪽에 삽입되어 제1 후크(262)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후크(262)와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부(400)는 상기 구동축에 치합된 기어유닛(450)의 타단부가 상기 구동축의 정회전에 의해 상부를 향해 이동되고, 슬라이딩홈(432, 442)들 각각에 삽입된 롤러포스트(293)에 의해 제1 방향(1) 및 상부를 향해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또한, 승강부(400)는 제2 후크(460, 462)들 각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맞물리는 제1 후크(260, 262)들 각각에 의해 이동 방향이 이중으로 가이드되어 안정적인 상승 또는 하강 이동이 가능하다.
연결포스트(490)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2 포스트(430, 440)들 각각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제2 포스트(430, 44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연결포스트(491)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2 포스트(430, 440)들 각각의 일단부 제1 방향(1)쪽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2 포스트(430, 440)들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포스트(492)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고 일단 및 타단 각각이 제2 포스트(430, 440)들 각각의 일단부 제2 방향(2)쪽 내측면에 각각 결합되어 제2 포스트(430, 440)들 사이를 연결한다.
구동부(600)는 브라켓(610), 모터(620) 및 피니언기어(630)를 포함한다.
구동부(600)의 일단부는 지지부(200)의 타단부에 형성된 롤러포스트(293)를 둘러싸며 지지부(200)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지지부(200)의 일측에 결합된다.
구동부(600)의 구동축은 승강부(400)의 기어유닛(450)과 치합되고, 구동부(600)의 구동에 따라 승강부(400)는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왕복 이동된다.
도 2 및 3들을 참조하면, 브라켓(610)의 일단부는 제1 포스트(220, 230)들 사이에서 기어유닛(450)의 타측에 롤러포스트(293)의 일단을 둘러싸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포스트(293)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부는 제1 방향(1)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와 결합된다.
브라켓(6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브라켓(610)의 원형의 일측면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브라켓(610)의 일측공간 및 타측공간을 연결하는 중공(612)이 형성된다.
모터(620)는 제1 포스트(220, 230)들 사이에서 브라켓(610)의 타측면에 결합되고, 모터(620)와 기어 연결되는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630)는 중공(612)을 관통하여 브라켓(6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기어유닛(450)의 타단부와 치합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700)의 일단부는 베이스플레이트(210)의 상부에서 제1 포스트(220, 230)들의 주위를 둘러싸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일단의 안쪽 테두리 일부분이 관 형태로 축소되며 연장되어 제1 포스트(220, 230)들의 외측을 커버한다.
커버부(700)의 타단은 중앙부의 상단 테두리에서 상부를 향해 확장되며 연장되어 승강부(400)의 일단부를 둘러싸고, 타단의 전방 및 후방에는 레일부(420)에 결합되는 시트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다.
도 6은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1의 레일부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7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420)는 로어레일(500)(Lower Rail), 어퍼레일(705)(Upper Rail), 제1 베어링부(800, 830)들, 제2 베어링부(810, 840)들 및 제3 베어링부(820, 850)들을 포함한다.
로어레일(500)은 로어수직부(510), 외측부(520), 로어수직부(530) 및 외측부(540)를 포함한다.
로어레일(500)의 하단부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410)의 상부면에 면결합되고, 상단부는 하단부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안쪽 일부분 및 양측 테두리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4개의 판들이 형성된다.
로어수직부(51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로어레일(500)의 안쪽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일측면 일부분이 일측을 향해 돌출되어 아치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돌출부(511)가 형성된다.
로어수직부(530)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로어레일(500)의 안쪽에서 로어수직부(510)의 타측에 이격된 상태로 로어레일(500)의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된 후 타측면 일부분이 타측을 향해 돌출되어 아치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진 돌출부(531)가 형성된다.
외측부(520)의 일단부는 로어레일(500)의 일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측벽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안쪽을 향해 절곡되면서 연장된 후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사각 고리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외측부(52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로어레일(5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코너에 형성되는 하부내측면(521)이 형성되고, 외측부(520)의 타단부의 안쪽 절곡된 부분에는 상부내측면(522)이 형성된다.
외측부(540)의 일단부는 로어레일(500)의 타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측벽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안쪽을 향해 절곡되면서 연장된 후 다시 하부를 향해 절곡되어 사각 고리 형태의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외측부(540)의 일단부 내측면에는 로어레일(500)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형성되는 하부내측면(541)이 형성되고, 외측부(520)의 타단부의 안쪽에 위치한 절곡된 부분에는 상부내측면(542)이 형성된다.
어퍼레일(705)은 어퍼수직부(710, 730)들 및 어퍼외측부(720, 740)들을 포함한다.
어퍼레일(705)의 상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에 배치되는 시트와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의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안쪽 및 양측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4개의 측벽들이 형성된다.
어퍼수직부(710)의 일단은 로어수직부(510)의 일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어퍼레일(705)의 일측에 인접한 어퍼레일(705) 상단부의 안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돌출부(511)의 하부에서 타측을 향해 절곡 및 연장된다.
어퍼수직부(730)의 일단은 로어수직부(510)의 타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플레이트 형태로 어퍼레일(705)의 타측 및 어퍼수직부(710)의 사이에서 어퍼레일(705)의 하부 안쪽에 연결되고, 타단은 돌출부(531)의 하부에서 일측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 및 연장된다.
어퍼외측부(720)의 일단은 어퍼수직부(710) 및 외측부(520)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어퍼레일(705)의 일측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일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되어 외측부(520)의 타단 안쪽에 삽입된다.
어퍼외측부(720)의 타단 외측의 경사면에는 하부내측면(521)과 마주하는 절곡부(721)가 형성되고, 어퍼외측부(72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어퍼외측부(720)의 타단 외측면에는 상부내측면(522)과 마주하는 끝단부(722)가 형성된다.
어퍼외측부(740)의 일단은 어퍼수직부(730) 및 외측부(540) 사이에 해당하는 어퍼레일(705)의 타측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타측 및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 및 연장되어 외측부(540)의 타단 안쪽에 삽입된다.
어퍼외측부(740)의 타단 외측의 경사면에는 하부내측면(541)과 마주하는 절곡부(741)가 형성되고, 어퍼외측부(74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어퍼외측부(740)의 타단 외측면에는 상부내측면(542)과 마주하는 끝단부(742)가 형성된다.
제1 베어링부(800, 830)들 각각은 리테이너(802) 및 볼(804)들을 포함한다.
제1 베어링부(800)의 일단은 절곡부(721) 및 하부내측면(521)의 사이에서 스틱 베어링 형태로 일측이 타측에 비해 상부에 배치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 볼들이 절곡부(721) 및 하부내측면(521)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스틱 베어링 형태로 절곡부(721) 및 하부내측면(521)과 밀착된다.
제1 베어링부(830)의 일단은 절곡부(741) 및 하부내측면(541)의 사이에서 스틱 베어링 형태로 타측이 일측에 비해 상부에 배치되도록 비스듬히 배치되어 외부에 노출된 볼들이 절곡부(741) 및 하부내측면(541)과 밀착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스틱 베어링 형태로 연장되어 절곡부(741) 및 하부내측면(541)과 밀착된다.
어퍼외측부(720) 및 로어레일(500) 사이에 삽입되는 리테이너(802)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3개의 볼(804)들을 둘러싸는 스틱 베어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3개의 볼(804)들을 둘러싸는 스틱 베어링 형태로 형성된다.
볼(804)들 각각은 리테이너(80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노출되어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절곡부(721) 및 하부내측면(521)들 각각과 밀착되고 어퍼외측부(720) 및 외측부(52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한다.
어퍼외측부(740) 및 로어레일(500) 사이에 삽입되는 리테이너(802)의 일단부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3개의 볼(804)들을 둘러싸는 스틱 베어링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3개의 볼(804)들을 둘러싸는 스틱 베어링 형태로 형성된다.
볼(804)들 각각은 리테이너(802)의 외측 상부 및 하부로 돌출되도록 노출되어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절곡부(741) 및 하부내측면(541)들 각각과 밀착되어 어퍼외측부(740) 및 외측부(540) 사이의 유격을 방지한다.
제2 베어링부(810, 840)들 각각은 리테이너(812) 및 볼(814)들을 포함한다.
제2 베어링부(810)의 일단부는 상부내측면(522) 및 끝단부(722)의 사이에서 일측이 타측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된 스틱 베어링 형태로 상부내측면(522) 및 끝단부(722)와 밀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상부내측면(522) 및 끝단부(722)와 밀착된다.
제2 베어링부(840)의 일단부는 상부내측면(542) 및 끝단부(742)의 사이에서 타측이 일측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히 배치된 스틱 베어링 형태로 상부내측면(542) 및 끝단부(742)와 밀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상부내측면(542) 및 끝단부(742)와 밀착된다.
끝단부(722) 및 상부내측면(522) 사이에 삽입되는 리테이너(812)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볼(814)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볼(814)들의 일부를 둘러싼다.
볼(814)들 각각은 리테이너(812)의 상부 및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노출되어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 일부는 상부내측면(522) 및 끝단부(722)의 내측면들 각각과 밀착된다.
끝단부(742) 및 상부내측면(542) 사이에 삽입되는 리테이너(812)의 일단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볼(814)들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2개의 볼(814)들의 일부를 둘러싼다.
볼(814)들 각각은 리테이너(812)의 상부 및 하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노출되어 각각의 상부면 및 하부면 일부는 상부내측면(542) 및 끝단부(742)의 내측면들 각각과 밀착된다.
제3 베어링부(820, 850)들 각각은 리테이너(822) 및 볼(824)을 포함한다.
제3 베어링부(820)의 일단부는 어퍼수직부(710) 및 로어수직부(510)의 사이에서 스틱 베어링 형태로 어퍼수직부(710) 및 로어수직부(510)와 밀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어퍼수직부(710) 및 로어수직부(510)와 밀착된다.
제3 베어링부(850)의 일단부는 어퍼수직부(730) 및 로어수직부(530)의 사이에서 스틱 베어링 형태로 어퍼수직부(730) 및 로어수직부(530)와 밀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어퍼수직부(730) 및 로어수직부(530)와 밀착된다.
리테이너(822)의 일단은 돌출부(511)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824)들 및 돌출부(511)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824)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는 볼(824)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볼(824)들 각각은 리테이너(82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어퍼레일(705)의 내측면 및 돌출부(511)와 밀착되어 어퍼수직부(710) 및 돌출부(511)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리테이너(822)의 일단은 돌출부(531)의 상부에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824)들 및 돌출부(531)의 하부에 전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볼(824)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일단과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는 볼(824)들을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볼(824)들 각각은 리테이너(822)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어퍼레일(705)의 내측면 및 돌출부(531)와 밀착되어 어퍼수직부(730) 및 돌출부(531)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베어링부(810, 820, 830)들 각각은 로어레일(500) 및 어퍼레일(705)의 사이에 배치되어 로어레일(500) 및 어퍼레일(705) 사이의 유격을 방지하고 로어레일(500) 및 어퍼레일(705)간의 원활한 이동을 유도한다.
한편, 시트용 승강장치(100)는 제2 포스트(430, 440)들, 제2 후크(460, 462)들 및 브라켓(250, 252)들을 변경시켜 승강부(400)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홈(432, 442)들 각각이 지면과 수직한 상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제2 포스트(430, 440)들, 슬라이딩홈(4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부 연장된 기어유닛(450)의 타단, 슬라이딩홈(432)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후크(460, 462)들 및 제2 후크(460, 462)들 각각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브라켓(250, 252)들의 변경을 통해 승강부(400)를 지면에서 수직한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승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트용 승강장치(100)는 제2 포스트(430, 440)들, 제2 후크(460, 462)들 및 브라켓(250, 252)들의 변경을 통해 다양한 방향으로 승강부(40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시트용 승강장치 200: 지지부
400: 승강부 600: 구동부

Claims (8)

  1. 일단부는 차량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공간 양측을 둘러싸며 상부로 연장되어 바의 일단 및 타단과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측면에 구동축이 형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축에 기어 연결되고 상기 바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하부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도록 연장된 랙기어를 통해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기어와 연결되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양측 상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포스트들 및 상기 제1 포스트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구동부 상단에 결합되는 롤러포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스트들 각각은,
    일단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밀착 결합되고, 타단부는 각각의 일단부의 안쪽 일부분이 상부를 향해 축소되며 연장되어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삼각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부는 상기 지지부의 외측면 하부에 사각판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구동축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구동축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단은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부를 향해 상기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승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쇼크업소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타단부의 측면에 결합되고 후크 형태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승강부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상하부로 연장되는 제1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공간에서 상기 구동부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2 포스트들;
    상기 제2 포스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랙기어 형태의 기어유닛; 및
    상기 제2 포스트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후크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부에 하부측벽들이 형성되는 로어레일;
    하부에 상기 하부측벽들과 교차하는 상부측벽들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레일의 상부에서 시트와 결합되는 어퍼레일; 및
    상기 하부측벽 및 상부측벽들 사이에 베어링 형태로 배치되는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용 승강장치.





KR1020200045191A 2020-04-14 2020-04-14 시트용 승강장치 KR102329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91A KR102329773B1 (ko) 2020-04-14 2020-04-14 시트용 승강장치
CN202110392491.9A CN113525196B (zh) 2020-04-14 2021-04-13 座椅用升降装置
JP2021068052A JP7369462B2 (ja) 2020-04-14 2021-04-13 シート用昇降装置
US17/229,201 US11420538B2 (en) 2020-04-14 2021-04-13 Seat elevating device
EP21168044.2A EP3895934B1 (en) 2020-04-14 2021-04-13 Seat elev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91A KR102329773B1 (ko) 2020-04-14 2020-04-14 시트용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99A true KR20210127399A (ko) 2021-10-22
KR102329773B1 KR102329773B1 (ko) 2021-11-23

Family

ID=7549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191A KR102329773B1 (ko) 2020-04-14 2020-04-14 시트용 승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20538B2 (ko)
EP (1) EP3895934B1 (ko)
JP (1) JP7369462B2 (ko)
KR (1) KR102329773B1 (ko)
CN (1) CN1135251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6126B1 (de) * 2017-08-28 2023-04-19 KEIPER Seating Mechanisms Co., Ltd. Fahrzeugsitz mit einem sitzverstellungsmechanismus
US11904735B2 (en) * 2021-04-22 2024-02-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nslation assembly for a vehicle
KR20230131569A (ko) * 2022-03-07 2023-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하이트 기어 시스템 및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353A (en) * 1983-06-20 1986-12-30 Broderna Hammarstedt Verkstads Ab Seat adjustment device in particular for vehicle seats
KR960004577U (ko) * 1994-07-25 199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시트 쿠션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80005344A (ko) * 2016-07-06 2018-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7785A (en) * 1928-04-30 1934-05-08 Packard Motor Car Co Seat for motor vehicles
US3405902A (en) * 1966-02-23 1968-10-15 Lear Siegler Inc Multiple wedge seat adjuster
JPS5857667B2 (ja) * 1975-04-30 1983-12-21 株式会社荏原製作所 二重効用吸収冷凍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4222555A (en) * 1979-01-26 1980-09-16 Milsco Manufacturing Company Hydraulic cushioning device for vehicle seat
FR2498132B1 (fr) * 1981-01-21 1987-05-22 Mecanismes Comp Ind De Dispositif de reglage en hauteur d'un element, notamment d'un siege de vehicule
DE3102402A1 (de) * 1981-01-26 1982-09-16 Metallwerk Max Brose Gmbh & Co, 8630 Coburg Sitzverstellung, insbesondere fuer einen kraftfahrzeugsitz
DE3143122A1 (de) * 1981-10-30 1983-05-11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In fahrzeugen, insbesondere kraftfahrzeugen anzuordnender sitz
JPS6045436A (ja) * 1983-08-20 1985-03-11 Shiraki Kinzoku Kogyo Kk シ−トの上下調整装置
EP0197638B1 (en) * 1985-02-22 1992-03-25 Dunlop Cox Ltd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JPS62110037U (ko) * 1985-12-28 1987-07-14
IT212334Z2 (it) * 1987-07-29 1989-07-04 Roltra Spa Sedile motorizzato per veicoli
KR200229015Y1 (ko) 1997-11-14 2001-09-17 강호 차량용의자의완충높이자동조정장치
DE19910081C1 (de) * 1999-03-08 2000-11-16 Daimler Chrysler Ag Fahrzeugsitz
DE19918718C2 (de) * 1999-04-24 2001-06-07 Keiper Gmbh & Co Einstell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EP1924463B1 (en) * 2005-09-15 2012-08-01 Magna Seating (Germany) GmbH Seat assembly having a seat cushion rocker mechanism
KR101274450B1 (ko) * 2007-08-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88583B1 (ko) * 2007-09-06 200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높낮이 조절 장치
JP5557580B2 (ja) * 2010-04-06 2014-07-23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車輌の衝撃時の緩衝を図るシート装置と、車輌のシート装置と、車輌の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857667B2 (ja) * 2011-11-21 2016-02-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フタ機構付き車両用シート
KR101689702B1 (ko) 2015-03-17 2016-12-26 이종영 렉기어식 리프트
JP6321054B2 (ja) * 2016-01-08 2018-05-09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
KR101880568B1 (ko) * 2017-07-25 2018-07-20 이보형 탈부착이 용이한 차량 시트용 완충장치
CN109421554A (zh) * 2017-08-22 2019-03-05 重庆韩汽车座椅有限公司 车辆用座椅调节导轨
CN107933381B (zh) * 2017-12-12 2023-09-15 湖北中航精机科技有限公司 座椅高度调节装置及座椅
EP3774441B1 (en) * 2018-05-25 2021-12-15 Magna Seating Inc. Manual pitch easy-entry seat with power return
CN111976554B (zh) * 2019-05-21 2022-08-30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及其可调节的汽车座椅
CN110370998A (zh) * 2019-08-30 2019-10-25 湖北航嘉麦格纳座椅***有限公司 汽车座椅的高度调节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353A (en) * 1983-06-20 1986-12-30 Broderna Hammarstedt Verkstads Ab Seat adjustment device in particular for vehicle seats
KR960004577U (ko) * 1994-07-25 1996-0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높,낮이 조절 가능한 시트 쿠션
KR20170062021A (ko) * 2015-11-27 2017-06-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20180005344A (ko) * 2016-07-06 2018-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69462B2 (ja) 2023-10-26
CN113525196B (zh) 2024-02-20
JP2021169303A (ja) 2021-10-28
US20210316641A1 (en) 2021-10-14
US11420538B2 (en) 2022-08-23
EP3895934B1 (en) 2023-10-25
CN113525196A (zh) 2021-10-22
KR102329773B1 (ko) 2021-11-23
EP3895934A1 (en) 202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9773B1 (ko) 시트용 승강장치
CN115947021A (zh) 一种托盘放置装置
KR20100109466A (ko) 수납고
CN210595056U (zh) 基于轮组的二级传动的升降结构
KR200443227Y1 (ko) 컴퓨터 책상의 모니터 승하강장치
WO2022142454A1 (zh) 举升装置及自动导引运输车
JP2010201062A (ja) 収納庫
JPH0713544Y2 (ja) スライド棚の昇降装置を備えたテーブル
KR102477276B1 (ko) 상부장 승하강장치
CN220263979U (zh) 一种可调节的自动货架
JP6415064B2 (ja) キャスター出入り式机
CN217065697U (zh) 一种升降茶台装置
CN221195460U (zh) 一种内置式自动升降塔扇
CN215556229U (zh) 一种冷链仓储放置架
CN215666923U (zh) 举升装置及作业机械
CN220448800U (zh) 一种链条输送机的入货导向机构
CN218764217U (zh) 搁架升降装置、搁架组件及冰箱
CN218663557U (zh) 一种托盘缓存装置及快递柜
CN220723458U (zh) 一种货物运输用稳定升降装置
CN219742118U (zh) 一种侧板式电动升降桌
JP2569500Y2 (ja) 昇降式家具類
CN107176560B (zh) 顶升机构
JP7205991B2 (ja) 機械式駐車設備
SU1096197A1 (ru) Подъемный стол
CN109924734B (zh) 一种抽屉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