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7392A - 자동차의 조향컬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조향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7392A
KR20210127392A KR1020200045166A KR20200045166A KR20210127392A KR 20210127392 A KR20210127392 A KR 20210127392A KR 1020200045166 A KR1020200045166 A KR 1020200045166A KR 20200045166 A KR20200045166 A KR 20200045166A KR 20210127392 A KR20210127392 A KR 20210127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portion
lever
fixing member
steering column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200045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7392A/ko
Priority to US17/907,537 priority patent/US11945494B2/en
Priority to CN202180028827.1A priority patent/CN115397717A/zh
Priority to PCT/KR2021/004136 priority patent/WO2021210823A1/ko
Priority to DE112021002299.7T priority patent/DE112021002299T5/de
Publication of KR20210127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및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 및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조향컬럼{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실시예들은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및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 및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향컬럼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및 틸트(Tilt) 기능이 포함되는데, 이러한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조향휠의 돌출 정도 및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매뉴얼 타입 조향컬럼에서는 운전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조향컬럼의 텔레스코프 동작 및 틸트 동작이 록킹되거나 언록킹되는데, 종래의 조향컬럼은 레버의 조작이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서 운전자가 레버를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어 있어 조작감이 향상되지만,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해 같은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어 있어 레버가 순간적으로 회전되며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되고 운전자의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조향컬럼에서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경우, 조향컬럼의 틸트 동작이 스토핑될 때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여 운전자의 조작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및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 및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틸트방향으로 형성되는 틸트슬릿이 구비되는 플레이트브라켓, 어드저스트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틸트슬릿에 삽입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고정부재, 어드저스트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고정부재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슬릿 및 가이드슬릿의 원주방향 일단과 연통되는 결합홀이 구비되고, 레버가 결합되어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 일단은 가이드슬릿에 삽입되고 타단은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핀, 결합홀에 삽입되어,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가이드핀에 지지되거나 이탈되는 제 1 댐퍼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및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 및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한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구성 요소들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등이 된다고 기재된 경우, 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될 수 있지만, 둘 이상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가 더 "개재"되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다른 구성 요소는 서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둘 이상의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구성 요소들이나, 동작 방법이나 제작 방법 등과 관련한 시간적 흐름 관계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 또는 흐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에 대한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예: 레벨 등)가 언급된 경우,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수치 또는 그 대응 정보는 각종 요인(예: 공정상의 요인, 내부 또는 외부 충격, 노이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3의 단면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상태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들에 의한 자동차의 조향컬럼(100)은, 틸트방향으로 형성되는 틸트슬릿(105)이 구비되는 플레이트브라켓(104), 어드저스트볼트(110)에 의해 관통되며, 틸트슬릿(105)에 삽입되는 지지부(201)가 구비되는 고정부재(150), 어드저스트볼트(110)에 의해 관통되며 고정부재(150)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슬릿(121) 및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일단과 연통되는 결합홀(122)이 구비되고, 레버(130)가 결합되어 레버(130)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120), 일단은 가이드슬릿(121)에 삽입되고 타단은 고정부재(150)에 결합되는 가이드핀(161), 결합홀(122)에 삽입되어, 회전부재(120)가 회전될 때 가이드핀(161)에 지지되거나 이탈되는 제 1 댐퍼(140)를 포함한다.
우선 레버(130) 조작에 의해 틸트동작이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 구조에 대해 살펴보고, 그 후 제 1 댐퍼(140) 및 제 2 댐퍼(1101)에 의해 레버(130) 조작 시 및 틸트동작 시 노이즈가 저감되는 특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로워컬럼(102)의 내주면으로 삽입되는 어퍼컬럼(101)에는 조향축(미도시)이 결합되게 되며, 로워컬럼(102)은 플레이트브라켓(104) 및 마운팅브라켓(106)에 의해 차체에 결합된다.
로워컬럼(102)의 외주면에는 폭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디스턴스부(103)가 구비되고, 플레이트브라켓(104)은 디스턴스부(103)의 외측면에 지지된다.
플레이트브라켓(104)에는 틸트방향으로 형성되는 틸트슬릿(105)이 구비되는데, 틸트슬릿(105)은 플레이트브라켓(104)의 디스턴스부(103) 외측면에 지지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어드저스트볼트(110)는 틸트슬릿(105)에 삽입되며 디스턴스부(103)를 관통하게 구비되는데, 어드저스트볼트(110)가 틸트슬릿(105)에서 틸트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조향축의 틸트동작이 수행된다.
어드저스트볼트(110)의 일단부에는 고정부재(150), 회전부재(120) 등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스프링(520), 가동기어(530) 등이 구비된다.
도면에는 어드저스트볼트(110)의 일단부에 헤드부가 구비되고 타단부에 너트(550)가 결합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은 당연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고정부재(150), 회전부재(120) 등에 대해 살펴본다.
고정부재(150) 및 회전부재(120)는 어드저스트볼트(110)에 의해 관통되며 서로 대향되게 구비되며, 회전부재(120)에는 레버(130)가 결합되어 있어 레버(130) 조작에 의해 회전부재(120)는 회전되되 고정부재(150)는 플레이트브라켓(104)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회전되지 않는다.
고정부재(150)에는 틸트슬릿(105)에 삽입되는 지지부(2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부(201)의 양측이 플레이트브라켓(104)에 지지됨에 따라 레버(130) 조작 시 고정부재(150)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회전부재(120)에는 가이드슬릿(121) 및 결합홀(122)이 구비되는데, 가이드슬릿(121)은 어드저스트볼트(110)에 의해 관통되는 부위와 이격되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결합홀(122)은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일단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가이드슬릿(121) 및 결합홀(122)은 모두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20)를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핀(161)은 일단이 가이드슬릿(121)에 삽입되고 타단이 고정부재(150)에 결합되어, 회전부재(120)가 회전될 때 가이드핀(161)의 타단이 가이드슬릿(121)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되고,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양단에서 가이드핀(161)이 회전부재(120)에 원주방향으로 지지되며 회전부재(120)의 회전 및 레버(130) 조작이 스토핑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핀(161)은 고정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록킹 상태일 때는 가이드핀(161)이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타단에 위치하고 언록킹 상태일 때는 가이드핀(161)이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일단에 위치하게 되는데(도 9 참조), 그에 따라 후술할 바와 같이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제 1 댐퍼(140)가 가이드핀(161)에 지지되게 되고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제 1 댐퍼(140)가 가이드핀(161)에서 이탈되게 된다.
이어서, 레버(130)가 조작될 때 회전부재(120)는 회전될뿐만 아니라 어드저스트볼트(110)와 함께 슬라이딩되며 고정부재(150)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된다.
자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어드저스트볼트(11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되며 가동기어(530)가 고정기어(510)에서 이탈되며 틸트동작이 언록킹되고,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어드저스트볼트(11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며 가동기어(530)가 고정기어(510)와 맞물리며 틸트동작이 록킹된다.
어드저스트볼트(110)의 타단에는 구비되는 스프링(520)이 어드저스트볼트(110)에 타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는데, 회전부재(120)가 회전되며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150)와 회전부재(120)의 사이에는 지지핀(162)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핀(162)은 양단부가 고정부재(150) 및 회전부재(120)에 구름접촉되게 구비되는데, 따라서 회전부재(120)가 회전될 때 지지핀(162)은 고정부재(150)와 회전부재(120)의 사이에서 눕혀지거나 세워지게 된다.
즉,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지지핀(162)이 눕혀지며 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 어드저스트볼트(110) 및 어드저스트볼트(110)의 헤드부에 지지되는 회전부재(120)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딩되게 되고,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지지핀(162)이 세워지며 회전부재(120) 및 헤드부가 회전부재(120)에 지지되는 어드저스트볼트(110)가 타측에서 일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다(도 10 참조).
이러한 고정부재(150)와 회전부재(120)에는 지지핀(162)의 단부가 안착되는 구름홈(163)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핀(162)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고정부재(150)와 회전부재(120)에 원주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경사면이 서로 지지되며 회전부재(120)가 고정부재(150)에 대해 슬라이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플레이트브라켓(104)의 타측면에는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기어(510)가 결합되고, 어드저스트볼트(1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가동기어(530)가 어드저스트볼트(110)의 슬라이딩에 의해 고정기어(510)와 맞물리거나 고정기어(510)에서 이탈되며 틸트동작이 록킹 또는 언록킹 된다.
스프링(520)은 디스턴스부(103)의 외측면과 가동기어(530)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가동기어(530)의 타측에는 스러스트베어링(540) 및 너트(550)가 구비되어 있다.
즉, 스프링(520)은 디스턴스부(103)에 지지되며 가동기어(530), 스러스트베어링(540) 및 너트(550)에 탄성력을 가함으로써, 어드저스트볼트(110)에 타측으로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동기어(530)는 고정기어(510)의 기어치와 맞물리는 기어치가 형성된 기어부재(531), 스프링(520)에 지지되는 지지부재(532) 및 기어부재(531)와 지지부재(532)의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지부재(532)는 스프링(520) 및 너트(550)에 의해 어드저스트볼트(110)에 축방향으로 고정되고, 탄성부재가 지지부재(532)에 대해 기어부재(531)를 고정기어(510) 측으로 가압하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레버(130) 조작 시 지지핀(162), 스프링(520) 등에 의해 어드저스트볼트(110)가 슬라이딩되며 틸트동작이 록킹 또는 언록킹되는데,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스프링(520)이 압축되게 되므로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이 향상되지만,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에는 스프링(520)의 압축이 해제되게 되므로 레버(130)가 순간적으로 회전되며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하고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이 저하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댐퍼(140)가 구비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댐퍼(140)는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일단과 연통되는 결합홀(122)에 삽입되는데, 레버(130)가 록킹 상태일 때는 가이드핀(161)이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타단에 위치하고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일 때는 가이드핀(161)이 가이드슬릿(121)의 원주방향 일단에 위치하게 되어,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제 1 댐퍼(140)가 가이드핀(161)에 지지되고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제 1 댐퍼(140)가 가이드핀(161)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제 1 댐퍼(140)는, 결합홀(122)에 삽입되는 소경부(141) 및 소경부(141)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경부(142)를 포함한다.
즉, 대경부(142)는 일부가 가이드슬릿(121)과 축방향으로 중첩되게 되며, 대경부(142)의 가이드슬릿(121)과 중첩된 부위가 가이드핀(161)에 지지되며 압축되어 댐핑작용이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대경부(142)는, 소경부(141)에서 고정부재(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대경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대경부(143)는,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고정부재(150)에 지지됨으로써, 2차적으로 댐핑작용이 수행될 수 있다.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스프링(52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부재(120)가 어드저스트볼트(110)와 함께 고정부재(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제 1 대경부(143)가 고정부재(150)에 지지되며 압축됨으로써 댐핑작용이 수행되는 것이다.
즉, 제 1 대경부(143)는 가이드핀(161) 및 고정부재(150)에 지지되며 원주방향 및 축방향으로의 댐핑작용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대경부(142)는 소경부(141)에서 고정부재(150)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대경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회전부재(120)가 고정부재(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가이드핀(161)의 일단부가 회전부재(120)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제 2 대경부(144)가 가이드핀(161)의 돌출된 일단부에 지지됨으로써 가이드핀(161)이 제 1 댐퍼(140)에 지지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댐핑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대경부(143)와 제 2 대경부(144)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제 1 대경부(143)와 제 2 대경부(144)의 강성이 크면 언록킹 상태에서 레버(130)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제 1 대경부(143)와 제 2 대경부(144)를 중공으로 형성하여 강성을 작게 함으로써 댐핑작용은 수행하면서 레버(130)가 언록킹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레버(130)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제 1 댐퍼(140)의 댐핑작용에 의해 레버(130)가 순간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고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지지부(201)에는 고정부재(150)가 틸트슬릿(105)에서 슬라이딩될 때 틸트슬릿(105)의 틸트방향 양단에서 플레이트브라켓(104)에 지지되는 제 2 댐퍼(1101)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틸트동작 시 틸트슬릿(105)에 삽입된 지지부(201)가 플레이트브라켓(104)에 지지되며 고정부재(150)가 슬라이딩되는데, 틸트슬릿(105)의 틸트방향 양단에서 지지부(201)가 플레이트브라켓(104)에 틸트방향으로 지지되며 스토핑될 때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하기 위해 제 2 댐퍼(1101)가 구비된다.
즉, 제 2 댐퍼(1101)에는 지지부(201)의 틸트방향 상면과 하면에 지지되는 돌기부(1102)가 구비되어 있어, 지지부(201) 보다 돌기부(1102)가 먼저 플레이트브라켓(104)에 틸트방향으로 지지되며 충돌에 의한 노이즈가 저감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틸트동작 시 제 2 댐퍼(1101)의 댐핑작용에 의해 지지부(201)가 플레이트브라켓(104)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고 운전자의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컬럼에 의하면, 운전자가 레버를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조작하는 경우 및 운전자가 조향휠의 각도를 조절하는 경우에 있어서 부품 간 충돌에 의한 노이즈를 저감하여 운전자의 레버 조작감 및 틸팅 조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기술 사상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동차의 조향컬럼 101: 어퍼컬럼
102: 로워컬럼 103: 디스턴스부
104: 플레이트브라켓 105: 틸트슬릿
106: 마운팅브라켓 110: 어드저스트볼트
120: 회전부재 121: 가이드슬릿
122: 결합홀 130: 레버
140: 제 1 댐퍼 141: 소경부
142: 대경부 143: 제 1 대경부
144: 제 2 대경부 150: 고정부재
161: 가이드핀 162: 지지핀
163: 구름홈 201: 지지부
1101: 제 2 댐퍼 1102: 돌기부

Claims (11)

  1. 틸트방향으로 형성되는 틸트슬릿이 구비되는 플레이트브라켓;
    어드저스트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틸트슬릿에 삽입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고정부재;
    상기 어드저스트볼트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고정부재와 대향되게 구비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이드슬릿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원주방향 일단과 연통되는 결합홀이 구비되고, 레버가 결합되어 상기 레버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
    일단은 상기 가이드슬릿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가이드핀;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핀에 지지되거나 이탈되는 제 1 댐퍼;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사이에는, 양단부가 상기 고정부재 및 회전부재에 구름접촉되는 지지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에는, 상기 지지핀의 단부가 안착되는 구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는, 상기 레버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핀에 지지되고, 상기 레버가 언록킹 상태에서 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핀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댐퍼는,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경부는, 상기 레버가 록킹 상태에서 언록킹 상태로 회전될 때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대경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대경부는, 상기 소경부에서 상기 고정부재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대경부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틸트슬릿에서 슬라이딩될 때 상기 틸트슬릿의 틸트방향 양단에서 상기 플레이트브라켓에 지지되는 제 2 댐퍼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20200045166A 2020-04-14 2020-04-14 자동차의 조향컬럼 KR20210127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66A KR20210127392A (ko) 2020-04-14 2020-04-14 자동차의 조향컬럼
US17/907,537 US11945494B2 (en) 2020-04-14 2021-04-02 Steering column of vehicle
CN202180028827.1A CN115397717A (zh) 2020-04-14 2021-04-02 车辆的转向柱
PCT/KR2021/004136 WO2021210823A1 (ko) 2020-04-14 2021-04-02 자동차의 조향컬럼
DE112021002299.7T DE112021002299T5 (de) 2020-04-14 2021-04-02 Lenksäule eines 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166A KR20210127392A (ko) 2020-04-14 2020-04-14 자동차의 조향컬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392A true KR20210127392A (ko) 2021-10-22

Family

ID=7808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166A KR20210127392A (ko) 2020-04-14 2020-04-14 자동차의 조향컬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45494B2 (ko)
KR (1) KR20210127392A (ko)
CN (1) CN115397717A (ko)
DE (1) DE112021002299T5 (ko)
WO (1) WO2021210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983A (ko) * 2021-05-07 2022-11-15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자동차의 조향컬럼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451A (ja) * 1983-03-29 1984-10-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ティ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85108B1 (ko) 2005-08-04 2009-02-2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의 틸트 레버 구조
DE102008045143B4 (de) * 2008-09-01 2012-05-24 Thyssenkrupp Presta Ag Verstellbare Lenksäul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057104B4 (de) * 2011-12-28 2016-03-10 Thyssenkrupp Presta Aktiengesellschaft Feststelleinrichtung für eine verstellbare Lenksäule
DE102013107728B4 (de) * 2013-01-23 2024-06-06 Zf Automotive Germany Gmbh Klemmvorrichtung für eine längsverstellbare und/oder höhenverstellbare Lenksäule eines Fahrzeugs
GB201310768D0 (en) * 2013-06-17 2013-07-31 Trw Ltd A Steering Column Assembly
US9501082B2 (en) * 2013-10-02 2016-11-22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Rake-lever dampener of steering column
JP5950063B2 (ja) * 2014-02-12 2016-07-13 日本精工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67234B2 (ja) 2015-02-05 2016-08-10 日本精工株式会社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US9849905B2 (en) * 2016-03-09 2017-12-2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US10259485B2 (en) * 2016-03-16 2019-04-16 Steering Solutions Ip Holding Corporation Adjustment lever deceleration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KR20190061692A (ko)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컬럼
FR3075743B1 (fr) 2017-12-27 2020-01-17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Vendome Colonne de direction
KR102151218B1 (ko) * 2019-04-04 2020-09-02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102181872B1 (ko) * 2020-07-13 2020-11-23 이래에이엠에스 주식회사 핀 타입 잠금 구조를 가지는 조절 가능한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10823A1 (ko) 2021-10-21
US20230331284A1 (en) 2023-10-19
DE112021002299T5 (de) 2023-03-23
US11945494B2 (en) 2024-04-02
CN115397717A (zh) 202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030B1 (ko) 스티어링휘일의 위치조정장치
US20100275721A1 (en) Clamp assembly for a steering column assembly
EP2674347A2 (en) Steering column device
KR20210030575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JP642907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90123457A (ko) 자동차 조향컬럼
KR20180022289A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텔레스코픽 래치 장치
KR20170123374A (ko) 자동차 조향장치
KR20210127392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CN105946956B (zh) 转向装置
CN108528518B (zh) 转向装置
JP6946214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00110205A (ko) 자동차 조향컬럼
KR20160139160A (ko) 조향컬럼용 틸트 구조체
KR101190734B1 (ko) 자동차용 틸트 및 텔레스코픽 혼합식 스티어링 컬럼
KR100746665B1 (ko) 방사상 고정 기어를 구비한 틸트식 조향장치
US11945493B2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US11279264B2 (en) Vehicle seat
KR20180127052A (ko) 자동차의 틸트 및 텔레스코픽 조향컬럼
EP3566928B1 (en) Steering system
JP2007008184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KR102080602B1 (ko) 자동차 조향 컬럼
WO2021095615A1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092085B1 (ko)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의 잠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칼럼 어셈블리
KR20190061692A (ko) 자동차 조향컬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