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691A -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 Google Patents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691A
KR20210120691A KR1020200037712A KR20200037712A KR20210120691A KR 20210120691 A KR20210120691 A KR 20210120691A KR 1020200037712 A KR1020200037712 A KR 1020200037712A KR 20200037712 A KR20200037712 A KR 20200037712A KR 20210120691 A KR20210120691 A KR 20210120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ost
pedestal
wheel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0543B1 (ko
Inventor
김은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버텍
Priority to KR1020200037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5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좌대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는 중앙부에 공간을 구비하면서 양분할되어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좌대는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고정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wheel style portable toilet which is able to a boarding sitting posture}
본 발명은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프레임과 사이에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촤대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는 중앙부에 공간을 구비하면서 양분할되어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좌대를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고정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를 단 의자로써, 이러한 휠체어는 바퀴의 구동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바퀴를 돌리는 수동식과 전동기의 회전력에 의해 바퀴가 회전하는 전동식으로 분류되며, 특히 수동식 휠체어의 경우 통상 차량 등에 탑재 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환자, 노약자,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는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생리적 배변 활동을 할수 없었고, 이로 인해 휠체어에서 좌변기로 이동하여 배변을 수행하는 과정이 상당히 힘들고 불편할 수밖에 없고, 무리하게 이동할 경우 자칫 부상을 당하거나 심한 체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때문에 대부분이 보호자나 간병인의 도움과 부축을 받아서 좌변기로 이동하게 되는 데, 보호자나 간병인의 입장에서는 환자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매우 곤란하고 조심스러우며, 특히 체격이 큰 환자인 경우 한 명의 보호자나 간병인이 감당하기에는 여간 힘에 부치고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에 따라, 환자, 노약자,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은 상태에서 배변을 볼 수 있도록 변기가 부착된 휠체어가 제시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특허 제1939344호에 환자용 휠체어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하반신이 불편한 사용자가 앉아 배변 활동을 수행하면서도 접이식 구조로 형성되는 휠체어 본체(10)를 포함하며, 상기 휠체어 본체(10)는, 휠체어 본체(10)의 골조를 형성하고, 휠체어 본체(10)의 이동시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잡을 수 있는 손잡이(21)가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보호자 또는 간병인이 발을 사용하여 상기 휠체어 본체(10)의 전방 부위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발 누름부(22)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걸림홈(26)이 형성된 지지프레임(20);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면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변기의 상부로 이동되어 배변 활동이 가능하도록 덮개(32)에 의해 개폐되는 배변공이 형성되는 엉덩이 받침부(30); 상기 엉덩이 받침부(30)의 양측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양팔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20)에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마련되고, 양측면에는 지지프레임(20)의 걸림홈(26)에 삽입되어 걸림 구조에 의해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는 걸쇠(42)가 형성된 측면 팔걸이(40); 상기 엉덩이 받침부(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경첩을 매개로 측면 팔걸이(40) 방향으로 접힘과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등받이(50); 및 상기 엉덩이 받침부(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고, 상기 사용자를 좌변기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침대등에 누워있는 환자를 간호인이 휠체어 본체(10)의 엉덩이 받침부(30)에 앉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환자를 앉칠때 휠체어를 고정시켜야 하여 부하가 증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 또는 노약자를 휠체어에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하면서 대,소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환자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며, 휠체어는 물론 좌식의자 또는 식탁 등 다용도록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좌대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는 중앙부에 공간을 구비하면서 양분할되어 포스트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좌대는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고정유니트가 더 구비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좌대는 높이조절수단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노브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걸림턱이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조절구와 상기 걸림턱에 대응되는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좌대는 가이드를 통하여 90도방향으로 회전되고,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캐스터는 캐스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모듈이 더 구비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좌대는 전방에 고정브라켓이 일체로 구비되어 고정부를 갖는 받침대가 삽입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를 사용하는 환자 또는 노약자를 휠체어에 용이하게 이동시키면서 대,소변이 용이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면서 환자의 사용이 용이하며, 휠체어는 물론 좌식의자 또는 식탁등 다용도록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 및 도2는 각각 종래의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의 좌변기 적용상태도이다.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동변기(C)는,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111)를 갖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210)이 연결되는 포스트(200) 및 상기 포스트(200)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좌대(300)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대(300)는, 중앙부에 좌변기의 받침 형상과 같이 공간(310)을 구비하면서 양 분할되는 단위좌대(330)로 이루어져 각각 포스트(200)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좌대(300)는, 단위좌대가 좌판(331)과 등받이(3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333)의 후방에 고정유니트(335)가 더 구비되어 양측의 등받이가 상호 연결 및 분리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유니트(335)는, 고정볼트, 버클이나 회전고리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체결시 분리가 방지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좌대(300)는, 포스트(200)에 베어링으로 연결되거나 직경이 큰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포스트의 외경에서 자유회전토록 연결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좌대(300)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통하여 포스트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500)은, 노브(510)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걸림턱(531)이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조절구(530)와 상기 걸림턱(530)에 대응되는 포스트에 구비되는 지지턱(5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턱과 지지턱은 탄성의 작용시 일방향으로만 자유 이동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좌대(300)는, 포스트에 90도 이동이 가능한 슬롯형상의 가이드홈(610)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좌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630)를 통하여 90도방향으로만 정회전 및 역회전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핸들은 좌대(300)의 일측에 연결되는 구성이면서 포스트에 장착되는 타측이 포스트보다 확대되는 직경을 갖는 파이프 형상으로 설치되어 포스트의 상단에서 분리가능하면서 회전토록 설치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캐스터(111)는 그 이동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모듈(115)이 더 구비되어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좌대(300)는, 전방에 고정브라켓(670)이 구비되어 고정부(681)를 갖는 받침대(680)가 삽입되어도 좋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3 내지 도7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이동변기(C)는, 변기(T)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침대(B)에 연결하여 사용토록 변기나 침대의 일측이 일정부분 삽입되는 공간을 갖도록 프레임과 좌대 사이에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변기(C)는 일반적인 휠체어와 동일하게 프레임(100)의 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캐스터(111)를 통하여 이동이 가능토록 되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좌대(300)를 통하여 환자나 노약자등을 앉은 상태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휠체어는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111)를 갖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100)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210)이 연결되는 포스트(200) 및 상기 포스트(200)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좌대(300)의 연결구조로 일반적인 휠체에와 동일하면서 측면에서 침대의 일측이나 좌변기에 삽입토록되는 공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좌대(300)는, 중앙부에 좌변기의 받침 형상과 같이 공간(310)을 구비하면서 양분할되는 단위좌대(330)로 이루어져 각각 포스트(200)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어 도4와 같이 침대의 일측으로 삽입한 후 상기 좌대를 양측으로 분리시키면 앉은 상태에서 환자 및 노약자가 휠체어의 일측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좌대(300)는, 단위좌대가 좌판(331)과 등받이(333)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333)의 후방에 고정유니트(335)가 더 구비되어 환자가 휠체어 진입한 후 양측의 좌대를 각각 회전시켜 엉덩이의 아래쪽에 이동시킨 후 고정유니트를 체결하면 환자가 휠체어의 좌대에 앉은 상태가 되어 환자를 앉아 휠체에 이동시키도록 하는 불편함이 없이 환자의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되는 좌대(300)를 통하여 환자를 용이하게 휠체어에 착용시킴은 물론 이동이 용이하게 되고, 상기 좌대가 일반적인 변기의 받침대와 동일한 형상으로 휠체어를 변기의 상부에 이동시키는 동작으로 용변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대(300)는, 포스트(200)에 베어링으로 연결되거나 직경이 큰 파이프 형상으로 포스트의 외경에서 자유회전토록 연결되어 단위좌대를 양측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좌대(300)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통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어도 높이가 다른 침대나 좌변기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500)은, 노브(510)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걸림턱이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조절구(530)와 상기 걸림턱(530)에 대응되는 포스트에 구비되는 지지턱(550)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브에 압력을 가하게 되면서 조절구의 걸림턱이 지지턱에서 분리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이동이 완료된 후 조절구를 놓으면 걸림턱과 지지턱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이 방지토록 된다.
또한, 상기 좌대(300)는, 포스트에 90도 이동이 가능한 슬롯형상의 가이드홈(610) 및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면서 좌대에 고정되는 가이드바(630)를 통하여 90도방향으로만 정회전 및 역회전토록 설치되어 과 회전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캐스터(111)는 그 이동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모듈(115)이 더 구비되어 환자의 이동시 휠체어가 움직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좌대(300)는, 전방에 고정브라켓(670)이 구비되어 고정부(681)를 갖는 받침대(680)가 삽입되므로써 상기 휠체어를 식탁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프레임 200...포스트
300...좌대 310...공간
335...고정유니트 510...노브
530...조절구 670...고정브라켓
680...받침대

Claims (4)

  1. 저면에 복수의 캐스터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면서 상단에 핸들이 연결되는 포스트 및 상기 포스트를 중심으로 회전토록 하면서 측면에서 ㄷ자 형상의 공간을 형성토록 연결되는 좌대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대는 중앙부에 공간을 구비하면서 양분할되어 포스트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토록 설치되며,
    상기 좌대는 좌판과 등받이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받이의 후방에 고정유니트가 더 구비되어 좌대를 분리 및 결합토록 설치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높이조절수단을 통하여 포스트에서 높이조절이 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노브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복수의 걸림턱이 탄성을 갖도록 설치되는 조절구와 상기 걸림턱에 대응토록 포스트에 구비되는 지지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가이드바 및 가이드홀을 통하여 90도 방향으로 회전되고, 분리가능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는 전방에 고정브라켓이 구비되어 고정부를 갖는 받침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1020200037712A 2020-03-27 2020-03-27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KR102320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12A KR102320543B1 (ko) 2020-03-27 2020-03-27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712A KR102320543B1 (ko) 2020-03-27 2020-03-27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691A true KR20210120691A (ko) 2021-10-07
KR102320543B1 KR102320543B1 (ko) 2021-11-02

Family

ID=7811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712A KR102320543B1 (ko) 2020-03-27 2020-03-27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1750A (zh) * 2022-03-18 2022-06-17 赵兴杰 一种儿科护理的大小便接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815Y1 (ko) * 2011-07-14 2011-11-24 김주호 타고 내리기 쉬운 휠체어
KR101130506B1 (ko) * 2009-09-03 2012-04-02 최영숙 좌판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좌식의자
KR101419672B1 (ko) * 2014-03-03 2014-07-15 안기환 다용도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0506B1 (ko) * 2009-09-03 2012-04-02 최영숙 좌판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좌식의자
KR200456815Y1 (ko) * 2011-07-14 2011-11-24 김주호 타고 내리기 쉬운 휠체어
KR101419672B1 (ko) * 2014-03-03 2014-07-15 안기환 다용도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1750A (zh) * 2022-03-18 2022-06-17 赵兴杰 一种儿科护理的大小便接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543B1 (ko)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8933A (en) Foldable wheelchair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JP7475247B2 (ja) 多機能車椅子
KR102402692B1 (ko) 다기능 보행차
KR102320543B1 (ko) 앉은 상태의 탑승이 가능한 바퀴구동형 이동변기
US5405187A (en) Wheelchair where the seat is divided longitudinally
KR20160125037A (ko) 거동불편자용 목욕의자
US6076893A (en) Flipdown footrest invention
US20080052814A1 (en) Multi-function assist device
CN111616878A (zh) 看护机器人
US4654904A (en) Invalid chair
KR102500638B1 (ko) 거동장애 환우용 휠체어
CN112656596B (zh) 多功能轮椅
JP2001129033A (ja) 介護補助装置
US20040049841A1 (en) Commode chair
JP2537250Y2 (ja) 補助椅子付き組合せベッド。
CN213405864U (zh) 一种新型坐便椅
KR200336152Y1 (ko) 휠체어
KR101939344B1 (ko) 환자용 휠체어
CN211049231U (zh) 一种多功能厕椅
JP2012105976A (ja) 介護用車椅子
JPH08280744A (ja) 身障者起床介助用椅子
JPH02111367A (ja) 便器用椅子及び便器
KR20220094355A (ko) 용변 가능한 목욕용 접이식 의자
CN117460486A (zh) 成人用助行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