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351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351A
KR20210120351A KR1020200036942A KR20200036942A KR20210120351A KR 20210120351 A KR20210120351 A KR 20210120351A KR 1020200036942 A KR1020200036942 A KR 1020200036942A KR 20200036942 A KR20200036942 A KR 20200036942A KR 20210120351 A KR20210120351 A KR 20210120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unit
lighting device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6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351A/ko
Publication of KR20210120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50Mounting arrangements
    • B60Q3/54Lighting devices embedded in interior trim, e.g. in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8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generating luminous strips, e.g. for marking trim component ed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6Filter holders
    • B60Q2500/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외관 패널과, 외관 패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필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필름부와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의 광 경로를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은 라이트 가이드의 측면과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된다.

Description

조명 장치{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인테리어에 적용되어 3차원 패턴 구현을 통해 다이내믹(dynamic)한 조명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 인테리어에는, 감성 조명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감성 조명은 부품 간의 틈새로 빛이 새어 나오는 간접 조명 방식이나, 외관에 미세 홀을 투광시키는 직접 조명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성 조명은 사용자의 감성을 자극하고 생리적, 인지적 측면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사용자가 최적의 조명 경험을 통해 삶의 질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까지 겸하고 있다.
이렇듯 조명의 기능이 단순히 빛을 밝히는 것에서 점차 심미적이고 감성적인 기능까지 포함하는 것이 요즘의 추세이다.
그 추세의 일환으로 최근의 차량 실내용 조명 장치는 차세대 슬림형 칵핏(cockpit)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차량 실내용 조명 장치는 기존의 2차원적인 조명에서 벗어나 점, 선, 면 형태를 거쳐 점점 발전을 거듭하고 있고, 현재는 해당 분야에서 3차원 입체 조명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입체 조명은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다이내믹 효과를 주기 위해서는 그 복잡성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로 3차원 입체 형상을 표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여러 형상의 옵틱(optic) 패턴을 갖는 라이트 가이드를 적층하고 복수의 광을 다양한 형태로 점등시켜 다이내믹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가 복수로 배열된 필름부와, 복수의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점등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필름부로 안내하는 광원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광원 가이드부는 필름부와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을 갖는 제1, 2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외관 패널과, 외관 패널과 이격 배치된 필름부와, 필름부를 향해 조사되는 복수의 광을 점등하는 광원부와,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필름부로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라이트 가이드는 단층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옵틱 패턴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가 복수로 배열된 필름부와, 제1, 2 광원을 갖는 광원부와, 광원부의 광 경로를 안내하며, 필름부와 광원부 사이에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어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을 갖는 제1, 2 라이트 가이드를 구비하는 광원 가이드부와, 제1, 2 라이트 가이드의 상단에 배치되어, 광원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부는 일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상기 필름부로 투과시키는 광 필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를 구비하는 필름부와, 복수의 광을 교차하여 조사하는 광원부와, 광원부의 광 경로를 안내하는 광원 가이드부와, 필름부와 광원 가이드부의 간격과 광원 가이드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 가이드부는 서로 다른 광 경로를 제공하는 제1, 2 라이트 가이드가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외관을 이루는 외관 패널과, 외관 패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필름부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와, 필름부와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광원부의 광 경로를 안내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한다. 이때, 광원은 라이트 가이드의 측면과 하부에 각각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점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장치는 간단한 구조로 3차원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여러 형상의 옵틱 패턴을 갖는 라이트 가이드를 적층하고 복수의 광을 다양한 순서로 점등시켜 다이내믹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운전자, 승객 등을 포함)가 심미감과 더불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여, 차량 운행 시(특히, 야간 운행 시) 안전한 주행이 가능토록 보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통해 3차원 조명 효과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학 프리즘 시트의 영향 인자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 프리즘 시트의 영향 인자 별 패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제1 광원이 점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에 있어서, 제2 광원이 점등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통해 3차원 조명 효과가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어 다양한 입체적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최근의 차량 시장은 차세대 슬림형 칵핏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하여, 각 구조를 슬림화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디자인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아닌, 제품의 단가를 줄이고 더 나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일환이다. 이에 발맞춰 차량의 실내에는 운전자의 심리적인 안정감을 제공하는 조명 장치의 패턴이 다각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기존의 2차원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보다 깊이감이 느껴지는 3차원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운전자, 승객 등을 포함)가 심미감과 더불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하여, 차량 운행 시(특히, 야간 운행 시) 안전한 주행이 가능토록 보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용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학 프리즘 시트의 영향 인자 설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 프리즘 시트의 영향 인자 별 패턴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프리즘 시트(필름부; 110)의 영향 인자는 3D 조명 패턴 이미지 길이(A), 조명 영역(광원부; 120) 가로 폭(B), 조명 영역 세로 폭(C), 에어 갭(D) 및 3D 패턴 이미지 깊이(E)를 나타낸다.
3D 조명 패턴 이미지 길이(A)는, 필름부(110)를 거친 광원 3D 디자인 이미지의 좌우 길이를 의미한다.
광원부(120)의 가로 폭(B)은 필름부(110)에 투영되는 조명 영역의 가로 폭을 의미한다.
광원부(120)의 세로 폭(C)은 필름부(110)에 투영되는 조명 영역의 세로 폭을 의미한다.
에어 갭(D)은 광원부(120)와 필름부(110) 간의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필름부(110)에 투영되는 조명 끝단부에서 광원부(120)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도 3에서 확인이 가능하듯이 광원부(120)의 가로 폭(B)과 에어 갭(D)이 클수록 3D 조명 패턴 이미지 길이(A)는 커진다. 이때, 광원부(120)의 세로 폭(C)은 조명 선명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소정 패턴의 3D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투영되는 입체 패턴에 동적 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이내믹 효과를 발휘하는 3D 조명 장치의 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및 도 6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이 교번하여 점등하면서 다이내믹 효과를 발휘하는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장치(100)는 필름부(110), 광원부(120), 광원 가이드부(130) 및 외관 패널(140)을 포함한다.
필름부(110)는 광학 프리즘 시트로서,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111)가 복수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미세 렌즈(111)는 필름부(110)의 구간마다 서로 다른 입체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필름부(110)의 베이스 면에는 감광 유제가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120)는 복수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엘이디(LED)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원부(120)는 복수의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다. 이와 다른 예로, 광원부(120)는 복수의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동시에 점등시키거나 시간 차를 두고 점등시킬 수도 있다.
광원부(120)는 광원 가이드부(130)의 측면에 배치되어, 필름부(110)를 거쳐 외관 패널(140)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여기서, 필름부(110)는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투과되는 특정 구간에만 부분적으로 광학 프리즘 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원부(1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을 포함한다.
광원 가이드부(130)는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필름부(110)를 거쳐 외관 패널(140)로 향하도록 광원부(120)의 광 경로를 안내한다. 이러한 광원 가이드부(130)는 필름부(110)와 광원부(120) 사이에서 이격된 상태로 적층되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포함한다.
제1 라이트 가이드(131)는 하단에 제1 옵틱 패턴(131a)을 구비하고, 제2 라이트 가이드(132)는 하단에 제2 옵틱 패턴(132a)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 옵틱 패턴(131a)과 제2 옵틱 패턴(132a)은 같은 형상 또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불규칙한 구조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옵틱 패턴(131a)과 제2 옵틱 패턴(132a)은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상단으로 안내한다.
이때, 제1 옵틱 패턴(131a)과 제2 옵틱 패턴(132a)은 상단이 다각도로 분할된 면으로 이루어져,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각도를 변위시킬 수 있다.
제1 옵틱 패턴(131a)과 제2 옵틱 패턴(132a)은 광의 경로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 구간에 형성된다. 그 이유는 복수의 광이 제1 옵틱 패턴(131a)과 제2 옵틱 패턴(132a)에 각각 반사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구현돼야 동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제1 광원(121)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1 옵틱 패턴(131a)에 반사된 후 필름부(110)를 거치면 소정의 위치에서 제1 형상(별, 반원 등)이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이와 동시에 제2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제2 옵틱 패턴(132a)에 반사된 후 필름부(110)를 거치면 제1 형상과 다른 위치에서 제2 형상(별, 반원 등)이 입체적으로 표현된다.
여기서, 필름부(110)는 광원부(120)의 제1, 2 광원(121, 122)으로부터 조사되어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거친 복색광을 특정 구간에서 상단으로 투과시켜 각각의 단색광으로 분광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이 교번하여 점등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형상(예: 별)과 제2 형상(예: 반원)이 번갈아서 표현되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다이내믹한 시각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광원(121) 및 제2 광원(122)의 점등 패턴은 교번하는 것 이외에 다양한 임의의 패턴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형상과 제2 형상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이할 수 있고, 이와 달리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다.
동일한 형상의 경우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1 광원(121) 및 제2 광원(122)의 점등 패턴에 따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형상이 흐르는 효과를 보이게 하거나, 불규칙한 물결의 흐름, 또는 파동을 느끼게 할 수 있다.
제1, 2광원(121, 122)은 유기 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을 이용한 면 광원일 수 있다.
제1 광원(121)은 제1 옵틱 패턴(131a)을 향해 복수의 방향으로 광 조사가 가능하고, 제2 광원(122)은 제2 옵틱 패턴(132a)을 향해 복수의 방향으로 광 조사가 가능하다.
여기서, 제1 옵틱 패턴(131a)과 2 옵틱 패턴(132a)에 각각 반사된 광은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투과하여 필름부(110)에 의해 분광된다. 이때, 제1 라이트 가이드(131)는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거친 광을 필름부(110)로 투과시킨다.
외관 패널(140)은 차량 내 앞좌석 전면에 노출된 외관을 이루는 패널(panel)이다.
이러한 외관 패널(140)은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접하는 부위이므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외관 패널(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투광되는 재질로 이루어져 보다 다양하고 심미한 다이내믹 효과를 낼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변형예
도 7 내지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병행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라이트 가이드(180)가 필름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라이트 가이드(180)의 측면 양단에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이 배치된다.
라이트 가이드(180)는 단층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181, 182)을 구비한다. 옵틱 패턴(181, 182)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라이트 가이드(180)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라이트 가이드(180)의 측면 양단에서 옵틱 패턴(181, 182)을 거치도록 시간 차를 두고 복수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라이트 가이드(180)의 상단으로부터 반사되어, 옵틱 패턴(181, 182)으로 조사되는 광의 굴곡 각도가 둔각으로 이루어진다.
제2 실시예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병행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필터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필터부(170)는 제1라이트 가이드(131)와 2 라이트 가이드(132)를 거쳐 필름부(110)로 향하는 광원부(120)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킨다.
여기서 필터부(170)는 일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광 필터로서, 제1 광 필터(171)와, 제2 광 필터(172)를 포함한다.
제1 광 필터(171)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의 상단에 배치되고, 제2 광 필터(172)는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상단에 배치된다.
제1 광 필터(171)와 제2 광 필터(172)는 일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킨다.
제2 실시예에서의 광원부(120)는 광을 선택적으로 점등하여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한다. 특히, 광원부(120)는 복수의 방향으로 조사되는 광을 교번 점등하여 다이내믹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광원부(120)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갖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을 포함한다.
이때, 광원부(120)의 제1 광원(121)은 제1 라이트 가이드(131)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2 광원(122)은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측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시간 차를 두고 교번하며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부(120)는 제1, 2 라이트 가이드(131, 132)의 두께에 따라 제1, 2 광 필터(171, 172)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굴곡 각도(a, b)가 정해진다.
여기서,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는 제1 광 필터(171)와 제2 광 필터(172)로부터 반사되는 광의 굴곡 각도(a, b)가 둔각으로 이루어지는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광의 굴곡 각도(a, b)가 예각으로 이루어진다면 그만큼 제1, 2 라이트 가이드(131, 312)의 두께는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이는 제조 비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광의 굴곡 각도(a, b)는 둔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외관 패널(140)은 외관을 이루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미세 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외관 패널(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투광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관 패널(140)은 미세 홀 주변이 비투광 재질로 표면 처리될 수도 있다.
외관 패널(140)의 표면상에는 미세 홀을 덮는 커버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재는 미세 홀과 소정의 간극을 갖는 것이 좋다.
외관 패널(1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투명과 반투명 재질로 교차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외관 패널(140)은 구간 별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의 변형예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부(170)가 필름부(110)의 하단에 배치된다. 이때, 필터부(170)는 제1 광원(121)으로부터 조사되어 제1 라이트 가이드(131)를 거친 광과, 제2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되어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거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170)는 필름부(110)의 하단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17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5를 병행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라이트 가이드(180)가 필름부(11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라이트 가이드(180)의 측면 양단에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이 배치된다.
라이트 가이드(180)는 단층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181, 182)을 구비한다. 옵틱 패턴(181, 182)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라이트 가이드(180)의 하단에 형성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라이트 가이드(180)의 측면 양단에서 옵틱 패턴(181, 182)을 거치도록 시간 차를 두고 복수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필터부(170)는 라이트 가이드(180)의 상단에 배치되어, 라이트 가이드(180)의 옵틱 패턴(181, 182)을 거친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킨다.
이때, 필터부(170)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파장에 관계없이 일정한 투과율로 투과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른 예로, 필터부(170)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특정한 파장 영역에 광 강도를 조절하는 보정 필터로 사용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필름부(110), 광원부(120), 광원 가이드부(130), 외관 패널(140) 및 위치 조절부(150)를 포함한다.
위 구성 중 제1, 2 실시예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에서의 광원부(12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복수의 방향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을 포함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각각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제1, 2 라이트 가이드(131, 132)에 구비된 제1, 2 옵틱 패턴(131a, 132a)을 향해 광을 교차 점등하여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한다.
이때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광 조사 각을 조절하여 더욱 다양한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필름부(110)와 제1 라이트 가이드(131) 간의 간격(L1), 필름부(110)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 간의 간격(L2) 및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 간의 간격(L3)은 상호 이격된다.
제2 광원(122)과 필름부(110)와의 간격이 커질수록, 제2 광원(122)의 광 조사 각도가 넓어진다. 따라서, 광원부(120)와 필름부(11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만으로도 광의 조사 각도를 달리하여 다양한 동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150)는 필름부(110)와 광원 가이드부(130)의 간격과, 광원 가이드부(130)의 좌, 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조절부(150)는 광원 가이드부(130)를 승강 조절하여 광원부(120)와 필름부(110)의 간격을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15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선택적으로 승강 조절하여, 광원부(120)와 필름부(110)의 간격을 기 설정된 조건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필름부(110)에 투영되는 동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미리 설정된 간격을 의미한다.
위치 조절부(15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를 동시에 좌, 우로 이동시키거나 교차하여 좌, 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위치 조절부(150)는 기 설정된 광원부(120)의 광 조사 범위 조건을 만족하도록 필름부(110)와 광원 가이드부(130)의 간격을 조절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광 조사 범위 조건은, 상호 간의 간격에 따라 결정되는 최적의 환경 설정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 설정된 광 조사 범위 조건은, 필름부(110)와 광원부(120)의 형태 및 구조에 따라 알맞게 변경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의 외관 패널(140)은 구간 별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투광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필름부(110)를 거친 광이 구간 마다 상이한 색상을 통해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어 다이내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의 변형예
도 17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센서부(190)와 제어부(200)를 추가로 구성하여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센서부(190)는 외관 패널(140)의 주변에 배치되어, 외부 물체가 외관 패널(140)에 접촉하거나 근접할 시 외관 패널(140)의 해당 구간 위치를 감지한다. 여기서, 외부 물체는 외관 패널(140)에 근접하거나 접촉할 수 있는 사용자의 손이나 물체 등을 포괄한다.
센서부(190)는 외관 패널(140)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근접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00)는 센서부(19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값을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 연산하여 그 결과값에 따라 광원부(120)의 조사 각도를 조절한다. 즉, 제어부(200)는 정해진 제어 로직에 의해 광원부(120)의 조사 각도와 구동은 물론이고, 위치 조절부(150)까지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는 차량 내에서 모든 전자 부품을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다.
광원부(120)와 위치 조절부(150)는 일정시간 동안 센서부(190)로부터 감지된 데이터값이 제어부(200)로 전송되지 않을 시, 수동 제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즉, 광원부(120)와 위치 조절부(150)의 초기 설정은 자동 제어 모드이고, 외부 물체의 접근에 따라 센서부(190)가 감지한 데이터값이 존재하면, 그 데이터값을 제어 로직을 이용하여 광원부(120)의 조사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가령, 사용자가 외관 패널(140)에 직접 접촉하거나 근접한 상태에서 손짓을 하면, 해당 구간에 별도의 불빛이나 깜빡거리는 등의 방식으로 광원부(120)의 점등 방식을 다이내믹하게 구현할 수 있다.
광원부(120)는 제어부(200)에 의해 회동 각도가 조절될 시, 일정시간 동안 복수의 광을 교번하며 점등하여 다이내믹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도 18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필름부(110)와 제1 라이트 가이드(131) 간의 간격(L1) 사이에 필터부(170)가 추가되는 구성이다.
필터부(170)는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어 광원 가이드부(130)를 거치는 광을 일정 대역의 파장 혹은 일부 구간에만 선택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제1 광원(121)이 광원 가이드부(13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광원(122)이 광원 가이드부(130)의 타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광이 조사되는 방향이 서로 대향한다.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은 상호 중첩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번갈아가며 광을 조사하거나, 소정의 다른 패턴으로 광을 조사한다.
위치 조절부(150)는 제1 라이트 가이드(131)와 제2 라이트 가이드(132)의 위치를 길이 방향(좌, 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21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센서부(190)와 제어부(200)가 추가된 상태에서,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이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조명 장치(100)는 수동 조작으로 원하는 동적 효과를 구현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외관 패널(140)을 접촉하거나 설정 범위 내로 근접할 경우 해당되는 위치에 광원부(120)가 점등하여 자동으로 원하는 동적 효과를 추가할 수도 있다.
도 22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제1 광원(121)과 제2 광원(122)이 광원 가이드부(1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필름부(110)와 제1 라이트 가이드(131)의 간격(L1) 사이에 광을 선택적으로 필터하는 필터부(170)가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23 내지 도 25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단일 층으로 이루어진 라이트 가이드(180)가 위치 조절부(15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구조에서, 센서부(190)와 제어부(200)가 추가로 구성되어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이와 관련한 구동 메커니즘은 전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4 실시예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 실내용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26에 도시된 조명 장치(100)는 외관 패널(140), 필름부(110), 광원부(120), 거치대(160) 및 라이트 가이드(180)를 포함한다.
외관 패널(140)은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다채롭고 다이내믹한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투광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필름부(110)는 외관 패널(140)의 하부에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간격은 도 3에 전술된 소정 패턴의 3D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투영되는 입체 패턴에 동적 효과를 줄 수 있는 데이터값에 의거한 간격을 의미한다.
이러한 필름부(110)는 구간마다 서로 다른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111)가 복수로 배열된 형태로써, 광학 프리즘 시트로 이루어진다.
광원부(120)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 즉, 제1, 2, 3, 4 광원(121, 122, 123, 124)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2, 3, 4 광원(121, 122, 123, 124)은 선택적으로 점등이 가능하다.
제1, 2 광원(121, 122)은 라이트 가이드(180)의 측면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라이드 가이드(180)를 향해 광을 조사한다. 이러한 제1, 2 광원(121, 122)은 광 조사부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여기서, 제1, 2 광원(121, 122)은 서로 다른 높낮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4 광원(123, 124)은 라이트 가이드(18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단으로 광을 조사한다.
거치대(160)는 라이트 가이드(180)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고, 상부에 제3, 4 광원(123, 124)을 연결시킨다. 여기서, 제3, 4 광원(123, 124)은 거치대(160) 상에서 거치대(1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이때, 거치대(160)의 상부면에는 제3, 4 광원(123, 124)과 연결되는 힌지축(미도시)이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축을 통해 제3, 4 광원(123, 124)은 좌, 우로 회동이 가능하여 보다 현실감 있고 역동적인 시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라이트 가이드(180)는 단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라이트 가이드(180)의 하단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181, 182)이 구비된다.
라이트 가이드(180)는 필름부(110)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간격은 광원 범위와 선명도를 만족하는 최적의 간격을 의미하며 상황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다.
제4 실시예의 변형예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변형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광원부(120), 필름부(110) 및 외관 패널(1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는, 광원부(120)가 필름부(110) 하부에 배치되어, 빛 굴절 없이 광을 조사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이러한 광원부(120)는 점 광원 기능을 통해 직접적으로 디자인 패턴을 구현한다.
이때, 광원부(120)와 필름부(110) 사이의 간격(L)은 광원 범위와 선명도를 결정짓는 중요 인자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히 조절이 가능하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3차원 입체 패턴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필름부(110)는 상, 하로 승강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부(110) 별도의 이송 장치(미도시)와 연결되고, 이를 제어하는 모듈(미도시)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한편, 광원부(120)는 광의 조사 범위(광원 범위)와 다이내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필름부(110)와 미리 설정된 높이 차(간격; L)를 가진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높이 차는 광원 범위와 선명도를 만족하는 최적의 높이 차를 의미하며, 광원부(120)와 필름부(110)의 형태 및 구조에 따라 알맞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형태에 따라 광원부(120)는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하지만, 위와 같은 광원 범위와 선명도의 변경 조건에 따라 광원부(120)는, 서로 다른 높낮이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8 내지 도 30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필름부(110)가 고정된 형태이고 광원부(120)를 거치한 거치대(160)가 상, 하로 승강 조절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거치대(160)는 광원부(120)를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도 28 및 도 29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거치대(160)가 상, 하로 승강 조절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되, 광원부(120)의 조사 각도가 달라지는 형태이다. 즉, 광원부(120)는 거치대(160)로부터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광원부(120)는 필름부(110)를 향해 다양한 각도로 광을 조사하여, 사용자가 느끼기에 보다 다양한 3차원 입체 패턴의 조명을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0에서의 조명 장치(100)는 거치대(160)가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높이 조절되어 양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필름부(110)의 하부에는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필터부(17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필터부(170)는 일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거나,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파장에 관계없이 일정한 투과율로 투과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조명 장치
110: 필름부 111: 미세 렌즈
120: 광원부 121: 제1 광원
122: 제2 광원 123: 제3 광원
124: 제4 광원 130: 광원 가이드부
131: 제1 라이트 가이드 131a: 제1 옵틱 패턴
132: 제2 라이트 가이드 132a: 제2 옵틱 패턴
140: 외관 패널 150: 위치 조절부
160: 거치대 170: 필터부
171: 제1 광 필터 172: 제2 광 필터
180: 라이트 가이드 181, 182: 옵틱 패턴
190: 센서부 200: 제어부

Claims (15)

  1. 외관을 이루는 외관 패널;
    상기 외관 패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필름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필름부와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의 광 경로를 안내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서로 다른 형상의 옵틱 패턴을 구비하는 라이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부는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측면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라이트 가이드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제1, 2 광원과,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어 상단으로 광을 조사하는 제3, 4 광원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가이드는
    상기 필름부의 하부에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 배치되는 것인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광원은 서로 다른 높낮이로 배치되는 것인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 광원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거치대에 배치되며, 상기 거치대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 이동이 가능한 것인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 광원은
    상기 라이트 가이드의 하부에 이격 배치된 거치대에 힌지 연결되어 좌, 우로 회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인 조명 장치.
  6. 외관을 이루는 외관 패널;
    상기 외관 패널의 하부에 이격 배치되는 필름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상기 광원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의 광원 위치와 광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 하로 승강하여 상기 광원부와 필름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인 조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광원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의 조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인 조명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 하로 높이 조절되어 양단부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인 조명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는
    구간마다 서로 다른 입체 패턴을 갖는 미세 렌즈가 복수로 배열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인 조명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패널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투광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인 조명 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의 하부에는 특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부가 배치되는 것인 조명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부와 광원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광원부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키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일정 대역의 파장을 갖는 광만을 투과시키는 것인 조명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광원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파장에 관계없이 일정한 투과율로 투과시키는 것인 조명 장치.
KR1020200036942A 2020-03-26 2020-03-26 조명 장치 KR20210120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42A KR20210120351A (ko) 2020-03-26 2020-03-26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942A KR20210120351A (ko) 2020-03-26 2020-03-26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351A true KR20210120351A (ko) 2021-10-07

Family

ID=7811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942A KR20210120351A (ko) 2020-03-26 2020-03-26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2035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78914B2 (ja) 照明装置
US9927079B2 (en) Recessed luminaire
EP2391248B1 (en) Mirror unit comprising a mirror surface and a lighting unit
JP5115284B2 (ja) スカッフプレート
JP5508417B2 (ja) 動的な照明効果を備える照明装置
KR101677267B1 (ko) 게임장치
JP7502027B2 (ja) 乗物屋根のための透光性屋根組立体
US9453626B2 (en) Decorative lamp with relaxing action
JP2018010755A (ja) 照明装置
JP2008540884A (ja) 昼光遮蔽装置
JP2006208660A (ja) 表示装置
KR20210120347A (ko) 조명 장치
JP2007101847A (ja) 表示装置
JP4966146B2 (ja) 面発光装置
US9605823B2 (en) Lighting apparatus
JP2011015892A (ja) 照明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210120351A (ko) 조명 장치
KR20220142297A (ko) 차량의 조명 장치
KR20210120349A (ko) 조명 장치
KR20210120350A (ko) 조명 장치
US20080232104A1 (en) Display Pedestal for Decorative Objects
KR100875972B1 (ko) 공간 연출기
KR20220142296A (ko) 차량의 조명 장치
KR20220142295A (ko) 차량의 조명 장치
KR20210072600A (ko) 3차원 패턴 구현이 가능한 차량 실내용 감성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