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9862A - 절삭 공구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절삭 공구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9862A
KR20210119862A KR1020200116623A KR20200116623A KR20210119862A KR 20210119862 A KR20210119862 A KR 20210119862A KR 1020200116623 A KR1020200116623 A KR 1020200116623A KR 20200116623 A KR20200116623 A KR 20200116623A KR 20210119862 A KR20210119862 A KR 20210119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ng
contact
circumferential surfac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규용
Original Assignee
심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규용 filed Critical 심규용
Priority to KR1020200116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9862A/ko
Publication of KR20210119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98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8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5/00Accessories or auxiliary equipment for turning-machines
    • B23B25/06Measuring, gauging, or adjusting equipment on turning-machines for setting-on, feeding, 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cut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00General-purpose turning-machines or devices, e.g. centre lathes with feed rod and lead screw; Sets of turning-machines
    • B23B3/22Turning-machines or devices with rotary tool heads
    • B23B3/24Turning-machines or devices with rotary tool heads the tools of which do not perform a radial movement; Rotary tool hea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5/0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 B23Q35/04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copying directly from a pattern or a master model; Devices for use in copying manually using a feeler or the like travelling along the outline of the pattern, model or drawing; Feelers, patterns, or models therefor
    • B23Q35/08Means for transforming movement of the feeler or the like into feed movement of tool or work
    • B23Q35/12Means for transforming movement of the feeler or the like into feed movement of tool or work involving electr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 하는 절삭 공구로 구비되는 대상물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배치부 및 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대상물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가공부는 전방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되 대상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고 호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외주면이 몸체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관 형상의 작업부, 작업부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일단이 대상물의 외주면과 접하는 날부, 작업부 및 날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날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날부를 대상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복수의 몸체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작업부, 날부 및 회전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공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 및 이동부의 구동 여부 및 구동 속도에 대응하여 대상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공홈이 상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난이도의 공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구 교체를 생략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의 깊이가 상이한 가공홈을 갖는 공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각각 상이한 직경의 공구를 순차적으로 가공할 때 공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삭 공구 제조 장치{APPARUTUS FOR MANUFACTURING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 공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 상이한 깊이 및 외경을 갖는 절삭 공구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재, 금속,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단단한 재료를 절삭하기 위한 절삭 공구를 제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 상이한 깊이 및 외경을 갖는 절삭 공구를 제조하고 이 과정에서 보다 용이하면서도 정교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삭 공구는 주로 철계, 비철계 금속의 절삭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공작 기계에 장착되어 피가공물을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절삭을 수행하는 공구이다. 절삭 공구를 이용하여 금속을 절삭하는 방법으로는 첫째, 회전하는 피가공물에 절삭 공구의 절인부분을 접촉시켜서 절삭을 수행하는 방법과, 둘째로는 절삭날을 가진 절삭 공구를 공작기계에 고정시킨 후, 절삭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고정된 피가공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절삭 공구는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피가공물과 접촉되면서 피가공물을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하게 된다. 즉, 피가공물의 내경을 다단으로 단차지며 복수의 경사면을 가지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단차진 각면과 그 형상에 맞는 절삭 공구 교환해야 하기에, 따라서 가공하고자 하는 피가공물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서로 다른 형상의 가공면을 갖는 경우에는 그 형상 및 각 가공면을 가공하기 위한 전용 절삭 공구로 교환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되고 작업 능률이 저하하 게 된다. 이와 더불어, 고난이도의 절삭을 진행해야 하는 절삭 공구를 제조하기 위해, 종래에는 몸체에 날을 붙이거나 금형 제조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했는데, 이는 절삭 공구 자체의 내구도 저하 및 이에 따른 안전성 저하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22350호 (2012.03.12.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고난이도의 절삭을 진행하기 위해 절삭 공구를 바꾸지 않아도 되는 절삭 공구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삭물로부터 발생하는 칩 등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절삭 공구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 하는 절삭 공구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가공 환경을 자동 변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가공하고자 하는 절삭 공구로 구비되는 대상물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대상물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배치부 및 배치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대상물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가공부는 전방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되 대상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고 호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 외주면이 몸체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관 형상의 작업부, 작업부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일단이 대상물의 외주면과 접하는 날부, 작업부 및 날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날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날부를 대상물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복수의 몸체부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작업부, 날부 및 회전부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부를 포함하는 공구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부 및 이동부의 구동 여부 및 구동 속도에 대응하여 대상물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공홈이 상이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고난이도의 공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공구 교체를 생략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을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의 깊이가 상이한 가공홈을 갖는 공구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 상이한 직경의 공구를 순차적으로 가공할 때 공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어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 제조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에 의한 작업부, 날부 및 회전부의 전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의한 날부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에 의한 회전부 및 날부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에 의한 대상물 및 날부 간의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대상물”은 가공되어 형성되는 절삭 공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대상물의 형상은 원통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방”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부에서 배치부를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전방”의 반대 방향으로서 대상물이 가공되기 위해 가공부를 향해 투입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상측 방향”, “하측 방향”은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해당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은 가공부에 투입된 대상물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이와 다르게 설명하고자 할 때는 별도의 기준을 정하며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 공구 제조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삭 공구 제조 장치는 대상물(m)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공부(2)를 향해 접근시키는 배치부(1), 배치부(1)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대상물(m)을 가공하는 가공부(2)를 포함한다. 또한, 가공부(2)는 몸체부(20), 몸체부(2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는 작업부(21), 작업부(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대상물(m)을 가공하는 날부(22), 작업부(21) 및 날부(22)의 사이에 위치하여 날부(22)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3) 및 이동부(24)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치부(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배치부(1)는 대상물(m)을 파지한 상태에서 가공하기 위한 고정을 실시한다. 즉, 배치부(1)는 대상물(m)이 절삭 과정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정위치 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배치부(1)는 고정척, 왕복 이동부(11) 및 회전 이동부(12)를 포함한다.
고정 척(10)은 대상물(m)을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고정 척(10)은 복수 개로 구비되고, 전방을 향하는 대상물(m)의 타단과 접하여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대상물(m)을 고정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고정 척(10)은 후술할 회전 이동부(12)에 의해 대상물(m)을 파지한 상태에서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왕복 이동부(11)는 대상물(m)의 가공을 위해 상기 대상물(m)을 가공부(2)에 접근시키거나, 절삭이 완료된 대상물(m)을 인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왕복 이동부(11)는 고정 척(10)과 연결된다. 여기서, 왕복 이동부(11) 및 고정 척(10)은 복수 개의 베벨 기어로 연결되고, 별도로 구비되는 동력 공급수단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미리 설정된 제1 호 길이만큼 회전함으로써 상기 고정 척(10) 및 대상물(m)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왕복 이동부(11)의 회전 운동을 통해 고정 척(10) 및 대상물(m)이 전방 및 후방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왕복 이동부(11)가 구비됨으로써, 대상물(m)을 전방 및 후방으로 미세 이동시킬 수 있고, 이는 대상물(m)의 절삭에 대한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회전 이동부(12)는 고정 척(1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의 위치가 고정된 대상물(m)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 이동부(12)는 절삭 공구에 지그재그 형태의 홈을 형성하거나 대상물(m)에 관한 절삭력을 극대화하는 목적으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회전 이동부(12)는 고정 척(10)과 연결되고 선술한 왕복 이동부(11)와 동일하게 베벨 기어로 연결되어 별도의 동력 공급수단으로 구동된다. 또한, 회전 이동부(12)는 미리 설정도니 제2 호 길이만큼의 회전 운동을 통해 대상물(m)을 중싱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례로, 회전 이동부(12)가 대상물(m)을 회전시키는 방향 및 후술할 날부(22)가 회전하는 방향이 반대일 경우, 날부(22)는 동일 시간 대비 보다 많은 대상물(m)의 절삭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절삭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공부(2)를 나타내는 절단 사시도로서, 롤러(25)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일부분을 절단하여 도시한다.
선술한 바와 같이, 가공부(2)는 회전 운동을 통해 대상물(m)의 외주면을 가공한다. 이를 위해, 가공부(2)는 몸체부(20), 이동부(24), 작업부(21), 날부(22), 센서부(27), 회전부(23), 이동부(24) 및 롤러(25)를 포함한다.
몸체부(20)는 대상물(m)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날부(22)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24)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몸체부(20)는 전방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대상물(m)이 내부에 위치한다. 여기서, 몸체부(20)는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고,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바라볼 때 호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몸체부(20)는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종심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되 서로 간의 호 이격 거리를 동일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몸체부(20)의 내측 방향에는 작업부(21)가 구비되어 회전부(23) 및 날부(22)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동부(24)와 접하는 몸체부(20) 부분에는 연결부(201)가 이동부(24)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201)는 가이드홈(241)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이동부(24)는 가이드홈(241)을 따라 균일하게 전방 및 후방으로 가이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24)는 대상물(m)에 나선형 가공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날부(22)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목적을 갖는다. 상세하게, 이동부(24)는 작업부(21)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부(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회전부(23) 및 상기 회전부(23)에 의해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날부(22)가 상기 회전과 동시에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절삭을 실시하도록 한다. 즉, 이동부(24)는 대상물(m)에 대한 날부(22)의 가공 위치를 정하거나, 대상물(m)의 외주면으로부터 3차원 나선 형태의 가공홈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날부(22)를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동부(24)는 복수 개로 형성되고 동일한 호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몸체부(2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이동부(24)는 몸체부(2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한 원통 형상의 작업부(21)와 일체로 구비되고,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작업부(21)는 회전부(23)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대상물(m)의 가공에 따라 발생하는 칩 등의 이물질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작업부(21)는 몸체부(20)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여 외주면이 몸체부(20)의 내주면과 접한다. 또한,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작업부(21)의 내측 방향에는 날부(22) 및 회전부(23)가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작업부(21)에는 회전부(23)를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25)가 구비됨으로써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 회전부(23)가 균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동일한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작업부(21)의 내부에는 회전부(23)의 회전을 중지시키거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통전부(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전부(211)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5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롤러(25)는 회전부(2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롤러(25)는 별도의 전력 공급수단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외주면과 접한 회전부(23)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롤러(25)는 작업부(21)에 내설되되 외주면이 노출되어 회전부(23)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롤러(25)가 회전부(23)의 외주면에 형성된 별도의 안내홈(212)에 삽입되어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23)는 보다 용이하게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회전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각각의 회전부(23)의 회전이 중지되거나 상이한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회전부(23)는 회전 운동을 통해 날부(22)가 대상물(m)을 가공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한다. 상세하게, 회전부(23)는 날부(22)와 일체로 회전하여 대상물(m)을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전부(23)는 작업부(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으며,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바라볼 때 호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23)는 서로 동일한 호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거나, 작업자의 편의사항에 따라 상이한 호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부(23)의 내주면은 날부(22)의 타단과 연결되어 회전부(23) 및 날부(22)가 일체로 움직이도록 구비된다. 또한, 회전부(23)의 외주면에는 선술한 안내홈(212)이 형성되고 롤러(25)가 안내홈(212)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회전력을 부여받아,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대상물(m)을 가공할 수 있는 회전력을 날부(22)에게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회전부(23)는 통전부(211)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력에 대응하여 회전이 중지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날부(22)는 대상물(m)을 직접 가공하는 주체로서, 회전부(23)에 의해 회전하여 회전력을 부여받아 대상물(m)의 외주면과 접함으로써 대상물(m)의 절삭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날부(22)는 외측 방향을 향하는 타단이 회전부(23)의 내주면과 연결되고, 일단은 대상물(m)의 외주면과 접한다.
센서부(27)는 대상물(m)과의 접촉을 통해 대상물(m)의 가공 준비가 완료되었는지 파악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센서부(27)는 날부(22)와 동일하게 회전부(23)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향해 다단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며,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길이가 축소 및 신장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센서부(27)는 일단이 대상물(m)과 접하는 경우 접촉 횟수(a1) 및 접촉 시간(t1)을 측정하고, 후술할 제어부(28)에게 상기 접촉 횟수(a1) 및 접촉 시간(t1)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7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4)에 의한 작업부(21), 날부(22) 및 회전부(23)의 전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01)가 가이드홈(241)에 삽입되도록 복수의 몸체부(20)의 사이에 이동부(24)가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부(24)는 작업부(21), 회전부(23) 및 날부(22)와 일체로 가이드홈(241)을 따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23)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날부(22)는 대상물(m)의 외주면에 전방 및 후방을 따라 가공홈을 형성하고, 회전부(23)가 회전하는 경우 날부(22)는 대상물(m)의 외주면에 3차원 나선 형상의 가공홈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부(24) 구성을 통해, 하나의 날부(22)로도 다양한 형태의 가공홈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대상물(m)을 가공하기 위한 날부(22)의 교체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을 현저히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23)에 의한 날부(22)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선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23)는 롤러(25)의 회전에 대응하여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대상물(m)과 접하는 날부(22)는 대상물(m)의 외주면을 식각하게 되고, 대상물(m)과 접하되 가압하지 않는 센서부(27)는 대상물(m)의 접촉을 인식하고 절삭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대상물(m)의 가공 과정 이후 의도하지 않은 가공을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대상물(m)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안전성 및 품질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부(26)에 의한 회전부(23) 및 날부(22)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8)에 의한 대상물(m) 및 날부(22) 간의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조정부(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26)는 대상물(m)의 직경이 복수의 날부(22)의 일단 간의 이격 거리보다 작은 경우, 날부(22)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공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조정부(26)는 작업부(21)의 내주면에 음각 형성되는 음각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조정부(26) 및 음각홈은 한 쌍으로 구비되고 선술한 롤러(25) 및 안내홈(212)과 겹치지 않도록 롤러(25) 및 안내홈(21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은 조정부(26)는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측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길이 신장 및 길이 축소가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부(23)와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조정부(26)는 금속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후술할 통전부(211)의 전류 인가에 대응하여 자성을 갖게 되어 회전부(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정부(26)를 통해 직경이 다른 복수의 대상물(m)에 각각 대응하여 날부(22)는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절삭을 실시할 수 있어, 공구 교체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와 같은 조정부(26)는 1개의 대상물(m)에 대해 전방 및 후방을 향할수록 상이한 깊이를 갖는 가공홈의 형성도 가능하게 되어, 고난이도의 절삭 공구를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제어부(28)는 대상물(m)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28)는 센서부(2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27)로부터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 및 접촉 시간(t1)에 관한 정보를 수신 받는다. 또한, 제어부(28)는 미리 저장된 기준 접촉 횟수(a0) 및 기준 접촉 시간(t0)을 포함하고, 제어부(28)는 기준 접촉 시간(t0) 및 대상물(m)과 센서부(27)의 접촉 시간(t1)을 비교한다. 여기서, 접촉 시간(t1)은 대상물(m) 및 센서부(27)가 맞닿은 시점부터 다시 이격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시간(t1)이 기준 접촉 시간(t0)보다 큰 경우는 대상물(m)이 센서부(27)와 지속적으로 접함에 따라 대상물(m)이 날부(22)로부터 가공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8)는 다단으로 형성된 센서부(27)의 길이를 축소시켜 대상물(m)과의 접촉을 해제한 후, 다시 센서부(27)의 길이를 신축시켜 대상물(m)과의 접촉을 인식 받음으로써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를 카운트한다. 반면, 대상물(m)과 센서부(27) 간의 접촉 시간(t1)이 기준 접촉 시간(t0)보다 작은 경우는 대상물(m)이 센서부(27)와 닿지 않을 정도로 직경이 작거나, 작업부(21)의 내부에 구비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8)는 회전부(23)가 구동 중일 시 상기 회전부(23)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선술한 조정부(26)를 통해 날부(22)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가 집계된 후 제어부(28)는 상기 접촉 횟수(a1)를 기준 접촉 횟수(a0)와 비교한다. 여기서,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가 기준 접촉 횟수(a0)보다 큰 경우는 대상물(m)이 날부(22)와 접하여 가공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8)는 회전부(23)를 구동시켜 날부(22)에 의한 대상물(m)의 가공을 지시한다. 반면,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가 기준 접촉 횟수(a0)보다 작은 경우는 대상물(m)이 배치부(1)로부터 이탈하거나 대상물(m)의 위치가 변동하여 센서부(27)가 대상물(m)을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이에 제어부(28)는 회전부(23)의 구동을 중지하여 의도하지 않은 날부(22)의 대상물(m) 가공을 미연에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부(28)의 판단을 통해, 대상물(m)이 정위치에 있을 때에만 상기 대상물(m)에 대한 절삭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어, 불량품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촉 횟수(a1) 및 시간에 기반한 2번의 판단을 통해 대상물(m)이 도중에 이탈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고 회전부(23)의 구동을 중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도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대상물(m)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상기 대상물(m)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배치부(1); 및
    상기 배치부(1)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대상물(m)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가공부(2);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부(2)는,
    전방을 향하는 일면이 개구되되 상기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원형 배열을 갖고 호 단면 형상을 갖는 몸체부(20);
    외주면이 상기 몸체부(20)의 내주면과 접하는 관 형상의 작업부(21);
    상기 작업부(21)의 내측 방향에 위치하고 일단이 상기 대상물(m)의 외주면과 접하는 날부(22);
    상기 작업부(21) 및 날부(22)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날부(22)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날부(22)를 상기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23); 및
    복수의 상기 몸체부(20)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작업부(21), 날부(22) 및 회전부(23)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이동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부(1)는,
    상기 대상물(m)을 고정하는 복수 개의 고정 척(10);
    상기 고정 척(10)과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제1 호 길이만큼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대상물(m)을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부(11); 및
    상기 고정 척(10)과 연결되고, 미리 설정된 제2 호 길이만큼의 회전 운동을 통해 상기 대상물(m)을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이동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몸체부(20) 및 이동부(24)를 연결하는 연결부(201);및
    상기 연결부(201)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이드홈(241)으로부터 음각 형성되어 상기 작업부(21)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홈(2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1)에 내설되고 외주면이 상기 회전부(23)의 외주면과 접함으로써 상기 회전부(23)를 상기 대상물(m)의 중심축(z)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롤러(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1)에 내설되어 상기 작업부(21) 및 회전부(23)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부(23)를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정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23)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일단이 대상물(m)의 외주면과 접하는 다단 형상의 센서부(27); 및
    상기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 및 접촉 시간(t1)에 따라 상기 대상물(m)의 정위치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8);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8)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접촉 횟수(a0) 및 기준 접촉 시간(t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시간(t1)이 상기 기준 접촉 시간(t0)보다 작은 경우, 상기 회전부(23)의 구동을 중지하고 상기 조정부(26)를 통해 상기 날부(22)를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28)는 상기 대상물(m) 및 센서부(27)의 접촉 횟수(a1)가 상기 기준 접촉 횟수(a0)보다 작은 경우 상기 회전부(23)의 구동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부(21)에 내설되는 코일 형상의 통전부(2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전부(211)가 통전되는 경우, 상기 작업부(21) 및 회전부(23)는 자력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삭 공구 제조 장치.
KR1020200116623A 2020-03-25 2020-09-11 절삭 공구 제조 장치 KR202101198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623A KR20210119862A (ko) 2020-03-25 2020-09-11 절삭 공구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71A KR102157127B1 (ko) 2020-03-25 2020-03-25 절삭 공구 제조 장치
KR1020200116623A KR20210119862A (ko) 2020-03-25 2020-09-11 절삭 공구 제조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71A Division KR102157127B1 (ko) 2020-03-25 2020-03-25 절삭 공구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9862A true KR20210119862A (ko) 2021-10-06

Family

ID=727072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71A KR102157127B1 (ko) 2020-03-25 2020-03-25 절삭 공구 제조 장치
KR1020200116623A KR20210119862A (ko) 2020-03-25 2020-09-11 절삭 공구 제조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71A KR102157127B1 (ko) 2020-03-25 2020-03-25 절삭 공구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1571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70259B1 (ko) * 2023-12-28 2024-05-28 김현호 절삭공구 제조용 형상 가공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350A (ko) 2010-09-02 2012-03-12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처리에 의한 절삭공구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542B1 (ko) * 2002-03-27 2004-12-08 변덕규 장축의 공작물을 가공하는 장치 및 그 가공방법
KR101410564B1 (ko) * 2012-09-06 2014-06-20 이순분 내외경 복합 연삭기기
KR101535832B1 (ko) * 2013-09-30 2015-07-10 백영만 건드릴 연삭장치
CN105583453B (zh) * 2014-10-24 2018-09-25 富鼎电子科技(嘉善)有限公司 刀柄
KR101934555B1 (ko) * 2018-08-01 2019-01-02 이종엽 기어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2350A (ko) 2010-09-02 2012-03-12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처리에 의한 절삭공구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127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8186B (zh) 銑磨設備及其加工方法
KR101443776B1 (ko) 바 형상 또는 튜브형 공작물 절삭장치
TWI278376B (en) Compound fabr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KR20140085562A (ko) Cnc 제어 레이저와 클램핑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편, 특히 절삭툴에 안내 베벨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8134690A (ja) 複合歯切加工装置
TWM444904U (zh) 硬質脆性板的周緣加工裝置
TW201635679A (zh) 製造定子或機械加工定子內壁的方法
KR20210119862A (ko) 절삭 공구 제조 장치
US4333000A (en) Apparatus for making hollow extrusion dies
JP2005118990A (ja) 限られたスペースにおいて加工する装置及び方法
WO2018179009A1 (en) Pipe clamp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cnc machine
EP3144090B1 (en)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system having independent electrodes, related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08221608B (zh) 用于切削加工凿刀保持件的装置及其应用和修复组件
JP5423411B2 (ja) 旋削装置および旋削方法
CN104475887A (zh) 低刚度圆锥面杆件的电火花磨削加工方法
KR20170067202A (ko) 샤프트소재의 센터링가공장치
JP2008200806A (ja) 放電加工装置
CN210435848U (zh) 医用旋转工具加工用六轴磨床
CN104259599B (zh) 一种电火花加工方法
Akmal et al. Development of a rotary axis mechanism for wire EDM turning (WEDT)
EP1021272B1 (en) Apparatus for machining workpieces
CN104259601B (zh) 一种利用电火花加工设备控制***的加工工艺
CN214418155U (zh) 旋转式加工装置
CN104259600B (zh) 一种电火花加工装置
JP2012096354A (ja) シート面加工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