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175A -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 Google Patents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175A
KR20210115175A KR1020200030573A KR20200030573A KR20210115175A KR 20210115175 A KR20210115175 A KR 20210115175A KR 1020200030573 A KR1020200030573 A KR 1020200030573A KR 20200030573 A KR20200030573 A KR 20200030573A KR 20210115175 A KR20210115175 A KR 20210115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oner
area
image forming
shutter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이한준
노승훈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030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175A/ko
Priority to PCT/US2020/047751 priority patent/WO2021183177A1/en
Publication of KR20210115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05Arrangements for conveying toner was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0Collecting or recycling waste developer
    • G03G21/12Toner waste contain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한 폐토너 수거 장치가 개시된다. 본 폐토너 수거 장치는 수거 영역 및 수거 영역에 배치되어 수거되는 폐토너의 양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폐토너 통 및 폐토너 수거 장치의 탈착 여부에 따라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화상형성장치는 화상 신호에 따라 용지상에 흑백화상이나 컬러화상을 현상시키는 장치로, 레이저 프린터, 잉크젯 프린터, 복사기, 복합기, 팩시밀리 등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이송 장치, 폐토너 수거 장치 및 스토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의 내부 및 스토퍼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니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에 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 아니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인 상태에서,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가 만충이고 셔터가 폐토너 감지 영역 및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를 기울였을 때 토너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 후,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화상형성장치란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의 예로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또는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등을 들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는 그 크기나 성능, 가격, 사용 용도, 모델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 및 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그러한 구조 중 하나를 예시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정착기(70) 및 배출 장치(80),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P)에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본체(10) 내부에 인쇄 작업을 위한 급지장치(20), 인쇄 엔진(30),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정착기(70) 및 배출 장치(8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에는 화상형성장치(1)를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미도시)나 메모리(미도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인쇄 과정 및 인쇄 동작 중 폐토너가 발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체(10)는 상부에 화상 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적재되는 배출트레이(10a)가 마련되며, 배출트레이(10a)의 일측에는 화상형성이 완료된 용지가 배출되는 배지구(10b)가 마련될 수 있다.
급지장치(20)는 본체(1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급지장치(20) 내에 배치되어 용지가 적재되는 녹업플레이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지장치(20)는 급지장치(20)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어 녹업플레이트(22)에 적재된 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24),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전달받아 이송롤러(29)를 향해 이동시키는 포워드롤러(26), 포워드롤러(26)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복수의 용지가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리타드롤러(28), 픽업롤러(24) 상측에 배치되어 픽업롤러(24)에 의해 픽업된 용지를 인쇄 엔진(30)으로 안내하는 한 쌍의 이송롤러(29)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급지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용지(P)에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은 전자사진방식에 의하여 용지(P)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 엔진(30)에서 화상형성작업을 진행하는 경우, 용지(P)에 화상으로 전사되지 않은 미전사 토너(이하, “폐토너”라 한다)가 발생할 수 있다. 폐토너는 다음 화상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제거할 필요가 있다.
폐토너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의해 이송되어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적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수거 영역과 폐토너 감지 영역으로 구획된 폐토너 통(110, 도 3 참고)을 포함한다.
본체(10)의 메인 컨트롤러는 폐토너 감지 영역에 수용되는 폐토너 양을 감지하여,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컨트롤러는, 폐토너가 가득 찼다고 판단되면, 조작 패널(미도시)을 통해서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토너가 가득 찼는지 여부를 인지하여, 폐토너 통을 교체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은 수거 영역에 쌓이는 폐토너 양과 비례하도록 폐토너가 쌓일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구조 및 폐토너 감지 영역에 적재되는 폐토너의 감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의 인쇄 동작 및 폐토너 수거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인쇄 엔진(30)은 현상기(40), 현상 카트리지(50), 전사기(60) 및 정착기(70)를 구비할 수 있다.
현상기(40)는 공급된 용지(P)에 소정의 화상을 형성하고, 정착기(70)는 가시화상을 용지에 정착시킬 수 있다. 현상기(40)는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을 수용하는 상담지체로 이루어져 노광기에 의해 표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41)와, 감광체(41)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41)의 정전잠상이 토너에 의한 가시화상으로 현상 되도록 하는 현상롤러(43)와, 감광체(41)의 표면이 대전 되도록 하는 대전롤러(45)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기(40)와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 개로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와 각각 연결되며,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에 수용된 토너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각각 공급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와 복수의 현상기(40)는 개별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복수의 감광체(41)는 정전 잠상이 형성하고, 현상 카트리지(50)는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가시화상을 형성시키고, 전사기(60)는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킬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는 복수의 현상기(40)로 공급하기 위한 시안(C:cyan), 마젠타(M:magenta), 옐로우(Y:yellow), 블랙(K:black) 색상의 토너가 각각 수용된 복수의 토너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색상 이외에도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 백색(white) 등의 다양한 색상의 토너를 수용하고 현상하기 위한 현상 카트리지(50) 및 현상기(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50)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의 토너(예컨대,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를 저장하고, 정전잠상이 형성된 각 감광체(41)에 토너를 부착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가시화상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전사기(60)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첩시켜 컬러 가시화상을 만드는 중간전사벨트(61)와, 중간전사벨트(61)에 형성된 컬러 가시화상을 용지로 전사시키는 최종전사롤러(63)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전사벨트(61)는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차례로 전사되어 중첩되고, 각 감광체(41)에 형성된 가시화상을 중간전사벨트(61)로 전사할 수 있다.
용지(P)에 전사되는 가시화상은 정착기(70)를 통과하면서 열과 압력을 받아 용지 표면에 융착될 수 있다. 정착기(70)는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롤러(71)와, 외주면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용지를 가열롤러(71)의 외주면에 가압하는 가압롤러(73)를 포함할 수 있다.
정착기(70)를 통과한 용지(P)는 배출 장치(8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용지(P)에 토너에 의한 현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현상기(40)에서는 불가피하게 폐토너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상기(40)는 전사 과정을 거친 후에 감광체(41)에 잔류 되는 페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클리닝 수단은 감광체(4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감광체(41)에서 전사되지 못하고 남아있는 폐토너를 제거할 수 있다.
제거된 폐토너의 저장을 위해 본체(10)의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 및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폐토너 이송 장치(90)는 감광체(41)에서 분리된 폐토너를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안내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로부터 수거된 폐토너가 저장될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본체(10)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수거된 폐토너에 의해 폐토너를 저장하는 공간이 만충(full)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탈착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폐토너는 중간전사벨트(61)에서도 발생될 수 있다. 용지(P)로 전사되지 못하고 중간전사벨트(61) 상에 잔류 되는 토너는 클리닝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제거되어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폐토너 역시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 및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현상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현상 방식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은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c를 참고하여,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구조 및 폐토너 수거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이송 장치(90), 폐토너 수거 장치(100) 및 스토퍼(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하면 일측에 배치되어, 폐토너 이송 장치(90)의 출구로부터 배출된 폐토너가 폐토너 수거 장치(100)로 수거될 수 있다.
스토퍼(stopper)(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탈착되는 경우 폐토너 수거 장치(100) 내부의 특정 영역을 개폐하도록 셔터(120, 도 3 참고)를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200)에 의한 셔터(120)의 개폐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퍼(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화상형성장치(1)에 고정된 구성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내부 및 스토퍼(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폐토너 수거 장치(100)는 폐토너 통(110), 셔터(120), 오거(150)를 포함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상면 일측에는 폐토너 이송 장치(90)에 의해 이송된 폐토너가 유입되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에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폐토너가 수용될 수 있다.
폐토너 통 유입구(111)에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통 셔터(11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토너 통 셔터(112)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폐토너 이송 장치(90)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개방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닫을 수 있다.
폐토너 통(110) 내부에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쌓이는 폐토너를 분산시키기 위한 오거(150)가 배치될 수 있다. 오거(150)는 폐토너를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폐토너 통(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오거(150)는 폐토너 통(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폐토너 통(110) 내부에 수거된 폐토너가 평탄화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폐토너 통(110)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토너는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폐토너의 주된 수용 공간인 수거 영역(140)과, 폐토너 통(110) 내부 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폐토너 통 유입구(111)는 폐토너 통(110)에서 수거 영역(1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 유입구(111)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에서 발생한 폐토너는 폐토너 통 유입구(111)를 통해 수거 영역(140)으로 일차적으로 유입되고, 오거(150)의 작동을 통해 폐토너 통(110) 내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오거(150)에 의해 수거 영역(140)에 적재되는 폐토너가 폐토너 통(110)의 수평 방향으로 고르게 분산될 수 있고, 수거 영역(140)에 폐토너가 기설정된 높이만큼 쌓이게 되면 오거(150)에 의해 수거 영역(140)에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거 영역(140)에 폐토너가 일정 높이 쌓이게 되면,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는 수거 영역(140)에 수용되는 폐토너량에 비례하도록 폐토너가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쌓이는 폐토너량 감지를 통해 전체 폐토너 통(110)의 만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폐토너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폐토너 통(110)에 쌓이는 폐토너량을 감지함으로써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적재된 폐토너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폐토너 감지 영역(130)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 유입구(111)의 반대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배치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센서(132)는 폐토너가 유입되는 지점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여 폐토너 통(110)에 보다 많은 양의 폐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
센서(132)의 위치에 대응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일측에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빛을 통과시킬 수 있는 광창(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창을 통해 센서(132)에서 발생한 빛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조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의 양을 센싱할 수 있다.
센서(132)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외부에서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광창과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토너가 만충이 될 때마다 교체해야 하는 소모품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센서(132)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제작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광창을 통과한 빛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유도하는 광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32)는 발광 소자(132-1)와 수광 소자(132-2)를 구비하는 광센서일 수 있다.
발광 소자(132-1)는 광 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광 부재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 소자(132-1)에서 방출된 광은 발광 소자(132-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수광 소자(132-2)로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폐토너가 기설정된 높이 이상으로 쌓이면, 발광 소자(132-1)에서 방출된 광은 폐토너에 의해 일부 차단되어, 수광 소자(132-2)로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수광 소자(132-2)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소정 기준 이하로 떨어지면,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기설정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2)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만충이 되기 전에 센서(132)가 폐토너를 감지하게 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셔터(12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셔터(120)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한편, 셔터(12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이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P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P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을 수 있다.
셔터(120)에 의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개폐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스토퍼(200)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스토퍼(200)의 배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탈착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폐토너 수거 장치(100)와 스토퍼(200)의 상대적인 배치 관계가 바뀔 수 있고, 이에 따라 스토퍼(200)는 셔터(120)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스토퍼(200)가 셔터(120)를 가이드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셔터(120)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4a 내지 도 6c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폐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6c는 도 3에 표시된 선 I-I 에 해당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수거 영역(140)과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구획될 수 있다.
도 4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기 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고 있고, 수거 영역(140)에만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에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1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셔터 개방 부재(11)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시, 셔터 개방 부재(11)는 돌출 부재(121)에 P1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b를 참고하면, 셔터 개방 부재(11)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고 있었던 셔터(120)를 P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11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수거 영역(140)에 쌓여 있는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측으로 순간적으로 쏠릴 수 있으나,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며 폐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폐토너를 밀어서 폐토너가 장착 충격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b와 같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개방된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폐토너가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거 영역(140)에 기설정된 양의 폐토너가 적재되면, 적재된 폐토너의 일부가 오거(150)의 동작으로 인해 분산되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유입되면,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 내지 도 5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20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5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5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되므로,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더라도,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없다.
따라서,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132)가 위치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폐토너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만충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만충인 경우에,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시계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만충 상태의 폐토너 통(110)을 교체하기 위해,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고,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스토퍼(20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주위에 적재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밀면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게 되므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여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폐토너가 더이상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외부로 유출될 수 없게 한다.
도 6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여 폐토너가 P2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의 폐토너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충 상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량을 감지하는 센서(132)가 위치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이미 적재된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므로, 폐토너 통(110)이 만충인 상태에서 만충이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셔터(120)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7a 내지 도 9c를 참고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의 이동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을 개폐하는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내지 도 9c는 도 3에 표시된 선 I-I 에 해당하는 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a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의 내부 공간은 수거 영역(140),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구획될 수 있다. 수거 영역(140)과 보조 감지 영역(160)은 사이에 가벽(133)을 두고 구획될 수 있으며, 보조 감지 영역(160)과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수거 영역(140)에 적재된 폐토너가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은 폐토너 통(110) 내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조 감지 영역(160)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는 경우, 수거 영역(140)으로부터 유입된 폐토너는 보조 감지 영역(160)에 먼저 적재될 수 있다.
도 7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되기 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고 있고, 수거 영역(140)에만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화상형성장치(1)에 연결하여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1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할 수 있다.
셔터(120)는 폐토너 통(110)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1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1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닫고 있었던 셔터(120)를 P1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게 된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개방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폐토너 통(110)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충격으로 인해 수거 영역(140)에 쌓여 있는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측으로 순간적으로 쏠릴 수 있으나,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며 폐토너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폐토너를 밀어서 폐토너가 장착 충격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개방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통해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에 기설정된 높이만큼 쌓이게 되면,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센서(132)가 위치하는 높이까지 폐토너가 적재된 상태이므로, 센서(132)는 폐토너 통(110)이 만충 상태임을 감지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후,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20)는 가벽(133)과 밀착하여 보조 감지 영역(160) 또한 폐쇄될 수 있다. 폐토너 감지 영역(130)이 폐쇄된 후, 셔터(120)는 스토퍼(200)와 접촉하는 구조로부터 빠져나와 폐토너 통(110)의 이동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에 의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이 폐쇄되므로,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더라도 폐토너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유입될 수 없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아닌 상태에서 만충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토너 수거 장치(100)에 폐토너가 만충인 경우에, 폐토너 수거 장치(100)가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 셔터(1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는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에 장착된 상태에서,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고, 폐토너 통(110)이 만충이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만충 상태의 폐토너 통(110)을 교체하기 위해, 폐토너 통(110)을 P2 방향으로 이동시켜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돌출 부재(121)는 화상형성장치(1)에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스토퍼(200)의 가이드 부재(210)와 접촉할 수 있다.
폐토너 통(110)이 P2 방향으로 이동시, 가이드 부재(210)는 돌출 부재(121)에 P2의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b를 참고하면, 스토퍼(20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개방하고 있었던 셔터(120)를 P2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을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셔터(120)는 폐토너 감지 영역(130) 주위에 적재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으로 밀면서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게 되므로, 폐토너를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부에 밀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토너 통(110)이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분리된 경우 셔터(120)가 폐토너 감지 영역(130)을 폐쇄하여 폐토너 감지 영역(130) 내부로 폐토너가 더이상 유입되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부에 적재된 폐토너가 유출될 수 없게 한다.
도 9c를 참고하면, 폐토너 통(110)을 기울이거나 외부에서 충격을 가하여 폐토너가 P2 방향으로 쏠리더라도, 폐토너 감지 영역(130) 및 보조 감지 영역(160) 내의 폐토너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충 상태의 폐토너 수거 장치(100)를 화상형성장치(1)에서 분리한 경우, 폐토너 통(110)이 만충인 상태에서 만충이 아닌 것으로 감지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100: 폐토너 수거 장치 110: 폐토너 통
120: 셔터 130: 폐토너 감지 영역
132: 센서 140: 수거 영역
150: 오거 160: 보조 감지 영역
200: 스토퍼 210: 가이드 부재

Claims (15)

  1. 화상형성장치에 탈착 가능한 폐토너 수거 장치에 있어서,
    수거 영역 및 상기 수거 영역에 배치되어 수거되는 폐토너의 양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폐토너 통; 및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의 하부 영역을 상기 수거 영역과 구획하는 가벽;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가벽과 함께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에 수용된 폐토너의 양을 센싱하기 위해 외부 센서의 빛을 통과시키는 광창이 형성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외부 센서의 빛이 상기 광창을 통과하면 상기 빛을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의 기설정된 영역으로 유도하는 광 부재를 포함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발생하는 폐토너를 상기 폐토너 통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폐토너 통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유입구가 형성된 위치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폐토너 수거 장치.
  9.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토너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인쇄 엔진;
    상기 인쇄 엔진에서 발생한 폐토너가 수거되는 폐토너 수거 장치; 및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는,
    수거 영역 및 상기 수거 영역에 배치되어 수거되는 폐토너의 양을 센서에 의해 감지하는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포함하는 폐토너 통; 및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의 탈착 여부에 따라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셔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연결될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마련된 스토퍼(stopper)에 접촉하여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개방하고,
    상기 폐토너 수거 장치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폐쇄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은,
    상기 폐토너 통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폐토너 통은,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의 하부 영역을 상기 수거 영역과 구획하는 가벽;을 포함하고,
    상기 셔터는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에 따라 상기 가벽으로 구획된 영역을 개폐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 내부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발광 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폐토너 감지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200030573A 2020-03-12 2020-03-12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KR20210115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ko) 2020-03-12 2020-03-12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PCT/US2020/047751 WO2021183177A1 (en) 2020-03-12 2020-08-25 Waste toner collecting for preventing full detection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ko) 2020-03-12 2020-03-12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175A true KR20210115175A (ko) 2021-09-27

Family

ID=7767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573A KR20210115175A (ko) 2020-03-12 2020-03-12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15175A (ko)
WO (1) WO2021183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84011A (ja) * 2021-05-31 2022-12-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5203A (ja) * 2002-05-23 2003-12-03 Panasonic Communications Co Ltd 廃トナー検出装置及び電子写真記録装置
JP2006337409A (ja) * 2005-05-31 2006-12-14 Kyocera Mita Corp 廃トナー回収装置
KR100694128B1 (ko) * 2005-06-20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토너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4518135B2 (ja) * 2007-11-14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廃現像剤回収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83177A1 (en)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9770B2 (en) Collection container, clean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te toner efficiently
US96717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478171B2 (en) Toner bottle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CN110133979B (zh) 废调色剂收容容器以及图像形成装置
US11709455B2 (en) Cartridg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9210650A (ja) 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90002599A (ko) 현상기, 폐토너회수장치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20210115175A (ko) 풀감지 오류 방지를 위한 폐토너 수거
KR20090105044A (ko) 화상형성장치 및 이를 갖춘 화상형성기기
JP2021156949A (ja) 廃トナー収容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US925056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oner container with a replenishment hole and at least one collection hole
JP2011095399A (ja) 廃トナー満杯検出装置
CN107111266B (zh) 粉末容器和成像装置
JP6827710B2 (ja) 回収容器
JP4992763B2 (ja) トナー回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9007443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210895003U (zh) 废调色剂盒以及图像形成装置
US106709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49725B2 (en) Collection container with an elastic body and image-forming apparatus
JP202006422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25159A (ja) 廃トナー回収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60644A (ko) 복합기
KR20060059570A (ko) 화상형성장치의 잼 감지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