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27A - 넌슬립 집게조립체 - Google Patents

넌슬립 집게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27A
KR20210103927A KR1020200177543A KR20200177543A KR20210103927A KR 20210103927 A KR20210103927 A KR 20210103927A KR 1020200177543 A KR1020200177543 A KR 1020200177543A KR 20200177543 A KR20200177543 A KR 20200177543A KR 20210103927 A KR20210103927 A KR 20210103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slip
pair
handl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천기
Original Assignee
김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천기 filed Critical 김천기
Priority to KR1020210060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315B1/ko
Priority to KR1020210060182A priority patent/KR1025043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27A/ko
Priority to PCT/KR2021/015547 priority patent/WO2022131530A1/ko
Priority to EP21906835.0A priority patent/EP4261045A4/en
Priority to US18/268,193 priority patent/US11932045B2/en
Priority to JP2023536424A priority patent/JP747561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7/00Hanging or securing devices for books, newspap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넌슬립 집게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넌슬립 집게조립체"는, 한 쌍의 집게편(111)을 갖는 집게본체(110)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이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가압하여 합본문서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 사이의 삽입공간(112)에 고정되게 하는 한 쌍의 손잡이(120)를 갖는 집게(100)와; 상기 집게(100)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과 합본문서의 접촉영역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게본체(110)는,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3)과;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하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삽입단(12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상기 집게본체(110)를 감싸게 형성된 넌슬립본체(210)와; 상기 넌슬립본체(210)의 양단에 상기 집게편(111)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집게편(111) 하부의 문서가압단(111a)의 내측에 배치되어 합본문서을 접촉가압하는 넌슬립접촉밴드(220)와; 상기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관(115)에 삽입되어 상기 넌슬립부재(200)를 상기 집게본체(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탄성력과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넌슬립 집게조립체{Non-slip binder clip assembly}
본 발명은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집게에 넌슬립 기능을 장착해 문서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집게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필기도구를 결합시켜 필기도구를 함께 휴대할 수 있는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이 클램프 또는 바인더 클립이라고도 불리는 집게는, 통상 집게본체에 한 쌍의 손잡이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눌러 집게본체를 벌릴 수 있으며 여러 장의 문서에 집게를 끼워 문서를 합본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집게의 크기는 문서의 매수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합본된 문서를 고정시키는 부분은 주로 금속으로 제작된다. 종래 집게는 문서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집게 본체의 내부 끝까지 문서를 밀어넣게 된다.
이 때, 집게의 크기에 비해 고정하려는 문서의 양이 적을 경우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거나 쉽게 흩트려지는 경향이 있으며, 대량의 종이를 합본하는 경우에는 그에 비례하여 집게의 크기가 커지면서 문서가 깊게 물리게 된다. 이로 인해 문서 윗부분에 인쇄된 글자를 읽기가 힘든 경우가 흔하며, 특히 문서 묶음이 두꺼울 경우 뒤편으로 갈수록 윗부분을 읽기 어려워 집게의 위치를 바꾸거나 일부만 물려서 읽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집게는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딱딱하고 매끈한 표면에 놓여 있을 때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으며, 필기구를 휴대하는 경우에는 집게에 고정된 문서와 별도로 주머니 또는 가방에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 외에도 사용자가 통상적으로 서류의 좌측 또는 중앙 상단부분에 집게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몇개의 서류묶음만 쌓여도 집게끼리 미끄러지는 등 합본기능의 부재로 보관상의 애로도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1995-0009291호, "집게"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 제20-0371257호, "집게형 책갈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문서와 집게 사이에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적은 매수의 문서도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것은 물론 합본문서에 집게를 깊게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집게와 합본문서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도구가 결합될 수 있게 구비되어 필기도구를 합본문서과 함께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게와 집게가 놓이는 표면 사이에서 소음이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과 더불어 집게끼리 서로 결합될 수 있는 합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넌슬립 집게조립체는, 한 쌍의 집게편(111)을 갖는 집게본체(110)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이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가압하여 합본문서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 사이의 삽입공간(112)에 고정되게 하는 한 쌍의 손잡이(120)를 갖는 집게(100)와; 상기 집게(100)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과 합본문서의 접촉영역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게본체(110)는,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3)과;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하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삽입단(12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상기 집게본체(110)를 감싸게 형성된 넌슬립본체(210)와; 상기 넌슬립본체(210)의 양단에 상기 집게편(111)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집게편(111) 하부의 문서가압단(111a)의 내측에 배치되어 합본문서을 접촉가압하는 넌슬립접촉밴드(220)와; 상기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관(115)에 삽입되어 상기 넌슬립부재(200)를 상기 집게본체(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탄성력과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넌슬립 집게조립체는 집게에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마찰력과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넌슬립부재를 결합해 집게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양쪽 문서가압단 사이에서 문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넌슬립부재의 높아진 마찰력에 의해 집게 크기에 비해 적은 분량이 문서를 물리는 경우에도 쉽게 이탈하지 않으며, 다량의 분량이 문서 윗쪽 일부분이나 모서리 영역만 집게 내부에 물려서 사용하더라도 문서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문서의 고정을 위해 집게의 내부로 문서를 깊게 삽입하지 않고 윗쪽 일부만 고정하거나 모서리 부분을 묶는 것이 가능해 문서 상단에 인쇄된 부분을 읽기가 쉽고 페이지를 넘기기도 편리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넌슬립 집게조립체에는 필기도구를 보관할 수 있어 문서와 함께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넌슬립 집게조립체에는 집게의 날카로운 손잡이삽입관 부분을 삽입관캡으로 감싸 사용자의 손에 상처가 생기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에 문서를 놓을 경우 집게가 바닥에서 미끄러지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문서를 합본하기 위해 두 개의 집게를 적층할 때 하나의 집게의 넌슬립접촉밴드에는 한 쌍의 결합레일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집게에는 결합레일에 끼움결합되는 삽입돌기를 형성하여 다수의 문서를 쌓아 집게끼리 닿아도 미끄러지지 않고 연관성 있는 서류끼리 집게를 결합시켜 합본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넌슬립부재의 구성을 펼쳐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집게와 넌슬립부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합본문서와 필기도구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넌슬립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필기도구가 결합된 상태로 합본문서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손잡이넌슬립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넌슬립 집게조립체에 손잡이넌슬립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외부넌슬립부재를 집게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가 합본을 위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넌슬립 집게조립체(1)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1)는 여러장의 종이나 문서가 합쳐진 합본문서(A)를 고정하는 집게(100)와, 집게(100)와 합본문서가 접촉되는 영역에 결합되어 집게(100)와 합본문서가 미끄러지지 않고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하는 넌슬립부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는 합본문서와 접촉되는 집게(100)의 내벽면에 넌슬립부재(200)가 결합되어 합본문서를 집게(100) 내부에 깊게 삽입하지 않더라도 집게가 합본문서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종래 집게(100)와 합본문서의 안전한 고정을 위해 집게(100)에 합본문서를 깊게 삽입하여 문서의 상단에 인쇄된 글자들을 읽을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집게(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판(113)과, 한 쌍의 집게편(111)이 삼각형 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집게본체(110)와, 한 쌍의 집게편(111)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120)를 포함한다.
집게본체(110)의 연결판(113)은 일정 폭을 갖는 판 형태로 구비되고, 한 쌍의 집게편(111)은 연결판(113)의 양단에 합본문서와 접촉되는 문서가압단(111a)이 서로 맞닿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한 쌍의 집게편(111)의 내부에는 합본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12)이 형성된다. 집게본체(110)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형성된다.
한 쌍의 집게편(111)의 문서가압단(111a)의 외벽면에는 손잡이(120)의 수평삽입단(12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이 외부를 향해 단면이 원에 대응되게 절곡형성된다. 손잡이삽입관(115)은 집게편(111)의 폭방향을 따라 양측영역에 구비된다.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의 가운데 영역에는 동일하게 형성된 가운데절곡관(116)이 구비된다.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과 가운데절곡관(116)은 손잡이(120)의 수평삽입단(123)이 삽입되게 함과 동시에 문서가압단(111a)의 두께를 증대시켜 합본문서을 가압하는 압력이 증가되게 한다.
양측의 손잡이삽입관(115)과 가운데절곡관(116) 사이에는 손잡이삽입홈(115a)이 형성된다. 손잡이삽입홈(115a)에 손잡이본체(121)가 위치된다. 손잡이(120)는 손잡이삽입관(115)에 삽입된 수평삽입단(123)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된다.
한 쌍의 집게편(111)은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문서가압단(111a)이 서로 맞닿게 오무려져 위치되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가압하면 문서가압단(111a)이 서로 벌어져 내부로 합본문서(A)가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120)는 한 쌍의 집게편(111)의 손잡이삽입관(115)에 결합되어 집게편(111)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지하여 문서가압단(111a)이 오무려지거나 벌려지게 한다. 손잡이(120)는 금속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절곡형성된 손잡이본체(121)와, 손잡이본체(121)의 양단에 일정길이 수평하게 형성되어 손잡이삽입관(115) 내부에 삽입되는 수평삽입단(123)과, 손잡이본체(121)의 상단에 원호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단(125)을 포함한다.
손잡이(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본문서(A)을 내부로 삽입시킬 때는 연결판(113) 측으로 회동되고 사용자에 의해 가압된어 문서가압단(111a)이 벌어지게 한다
합본문서(A)이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는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하강되어 합본문서(A)과 접촉하며 집게(100)의 위치가 고정되게 지지한다.
넌슬립부재(200)는 집게(100)에 결합되어 합본문서(A)가 미끄러짐에 의해 집게(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합본문서(A)를 접촉 지지한다.
도 3은 넌슬립부재(200)를 펼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부재(200)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실리콘 등 탄성과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넌슬립부재(200)는 집게(100)의 삽입공간(112)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서 배치되는 넌슬립본체(210)와, 넌슬립본체(210)의 양단에 폭방향으로 결합되어 한 쌍의 집게편(111)의 문서가압단(111a)에 배치되는 한 쌍의 넌슬립접촉밴드(220)와,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단에 절곡형성되는 삽입관캡(230)과, 삽입관캡(230)에 돌출형성되어 손잡이삽입관(115)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한다.
넌슬립본체(210)는 직사각형 판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넌슬립본체(210)의 높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혔을 때 집게본체(110)의 내벽면을 감싸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집게편(111)의 길이와 연결판(113)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거나 작게 구비된다. 넌슬립본체(210)의 폭은 집게편(111)의 폭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넌슬립접촉밴드(220)는 문서가압단(111a)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문서가압단(111a)과 합본문서가 접촉되는 면적에 대응되는 높이(W)를 갖도록 형성된다. 넌슬립접촉밴드(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편(111)의 내벽면에 배치되어 내부로 삽입되는 합본문서(A)를 접촉하며 미끄러지지 않게 고정한다.
즉, 금속소재의 집게편(111)이 합본문서과 접촉되지 않고 넌슬립접촉밴드(220)가 합본문서(A)와 접촉되며 지지한다. 이 때, 넌슬립접촉밴드(220)는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등과 같이 마찰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합본문서(A)와 미끄러지지 않으므로 합본문서(A)가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더라도 한 쌍의 집게편(111)이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넌슬립접촉밴드(220)는 넌슬립집게조립체(1)를 책이나 옷 등에 책꽂이로 사용할 경우 금속소재의 문서가압단(111a)이 물건에 직접 닿지 않아 물건에 흡집이 나거나 금속녹이 발생되는 등의 오염을 방지하게 한다.
삽입관캡(230)은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단에서 집게본체(110)의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삽입관캡(2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편(111)의 외부로 돌출된 손잡이삽입관(115)의 단부를 막아 집게(100)가 지면이나 바닥과 접촉되며 소음을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삽입관캡(230)은 손잡이삽입관(115)이 바닥과 닿았을 때 소음과 충격을 줄여주는 범퍼 역할을 하므로 손잡이삽입관(115)을 완전히 막을 수 있도록 폭(d)이 형성되며, 충격을 줄일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ℓ2)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삽입관캡(230)의 전방에는 고정돌기(240)가 돌출형성된다. 고정돌기(240)는 손잡이삽입관(115) 내부에 삽입되어 넌슬립부재(200)가 집게(100)에 고정되게 한다. 고정돌기(240)는 단면이 손잡이삽입관(115)에 내접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고정돌기(240)는 손잡이삽입관(115)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고정돌기(240)의 길이(ℓ1)가 짧을 경우 집게(100)의 사용 중에 고정돌기(240)가 빠질 수 있으므로 길이(ℓ1)는 손잡이삽입관(115)의 길이의 1/3~1/2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240)는 넌슬립접촉밴드(220)를 집게(100)에 고정시켜 집게(100))의 개폐동작에 넌슬립접촉밴드(220)가 연동되게 한다. 즉, 사용자가 집게(100)를 열고 닫을 때 넌슬립접촉밴드(220)가 함께 움직이게 되고, 넌슬립접촉밴드(220)가 덜렁거리지 않게 하여 넌슬립부재(200)가 추가로 결합되더라도 집게(100) 하나만 사용할 때와 동일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본체(210)의 판면에는 복수개의 좌측고정날개(250)와 복수개의 우측고정날개(255)가 구비된다. 복수개의 좌측고정날개(250)와 복수개의 우측고정날개(255)는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좌측고정날개(250)와 복수개의 우측고정날개(255)는 넌슬립본체(210)가 집게(100)의 삽입공간(112)에 접혀져서 배치되었을 때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이 때,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의 길이(ℓ1)는 서로 닿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는 상부에서 삽입되는 합본문서의 하부를 지지하여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삽입위치를 제한한다. 또한, 넌슬립부재(200) 내부로 필기도구(B)를 삽입했을 때 필기도구(B)가 외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필기도구(B)의 위치를 고정한다.
이를 위해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는 서로 합본문서(A)이 삽입되는 방향, 즉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합본문서(A)이 삽입되었을 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본문서(A)의 하부가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는 삽입된 필기도구(B)의 외주면을 접촉가압하여 필기도구(B)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지지력을 인가한다.
좌측고정날개(250)와 우측고정날개(255)가 넌슬립본체(210)에 결합되는 위치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필기도구(B)의 직경을 고려했을 때 넌슬립본체(210)의 접혀진 바닥영역으로부터 고정날개(250,255)까지의 거리가 필기도구(B)의 직경보다 작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좌우측고정날개(250,260)이 넌슬립본체(210)에 비스듬하게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합본문서의 이동시에 저항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합본문서를 집게(100) 끝까지 끼우거나 뺄 때도 종래 넌슬립부재(200)가 없는 집게와 동일하게 사용상 불편함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펜꽂이로 사용시에는 필기구(B)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립 집게조립체(1)의 조립과정과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공장에서는 집게(100)와 넌슬립부재(200)를 각각 제조한다. 이 때, 넌슬립부재(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구비된다.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부재(200)의 넌슬립본체(210)를 "U"자 형태로 접고 접혀진 바닥면이 집게본체(110)의 연결판(113)의 상면에 위치되게 넌슬립본체(210)를 삽입공간(112)에 배치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넌슬립접촉밴드(220)가 집게편(111)의 문서가압단(111a)의 내벽면에 배치되게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4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측에 돌출형성된 삽입관캡(230)과 고정돌기(240)를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배출시킨 후 고정돌기(240)를 손잡이삽입관(115)의 내부로 끼워 넌슬립부재(200)와 집게(100)의 조립을 완료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100)와 넌슬립부재(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넌슬립 집게조립체(1)를 책이나 문서를 합본하는데 사용한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한 쌍의 손잡이(120)의 파지단(125)을 가압하여 집게편(111)을 벌린다. 그리고, 벌려진 내부삽입공간(211)으로 합본문서(A)를 삽입한다.
합본문서(A)는 복수개의 고정날개(250,255)와 접촉되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가압을 해제하면 한 쌍의 집게편(111)이 오무려지면 합본문서(A)의 양측을 가압하여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집게편(111)과 합본문서(A) 사이에는 넌슬립접촉밴드(220)가 위치되어 마찰력을 인가하여 합본문서(A)가 집게편(111) 사이에서 이동되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렇게 합본문서(A)은 고정날개(250,255)에 의해 삽입되는 깊이가 제한되므로 합본문서(A)의 상부에 인쇄된 글자가 안보이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넌슬립 집게조립체(1)가 고정된 합본문서(A)을 보관할 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도구(B)를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필기도구(B)는 넌슬립본체(210)의 접혀진 바닥면과 고정날개(250,255)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삽입되고, 고정날개(250,255)에 의해 가압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필기도구를 함께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또한, 넌슬립부재(200)의 삽입관캡(230)이 집게(100)의 외부로 노출된 날카로운 손잡이삽입관(115)의 외부를 감싸므로 사용자의 손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문서가 합본된 상태로 넌슬립 집게조립체(1)가 바닥에 놓이면 손잡이삽입관(115)을 감싸는 삽입관캡(230)이 먼저 바닥에 닿으므로 책상 또는 바닥과 집게(100)가 부딪히거나 긁히면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켜주고 바닥에서 집게(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넌슬립부재(200a,200b,200c)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제1변형예에 따른 넌슬립부재(200a)는 넌슬립본체(210)의 측면에 집게(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필기도구고정판(260)이 일정면적 연장형성된다. 필기도구고정판(260)에는 필기도구고정고리(261)가 구비된다.
필기도구고정고리(261)에는 필기도구(B)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 집게조립체(1)에 합본문서(A)이 결합된 상태에서 필기도구고정판(260)이 집게(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합본문서(A)에 접촉지지되고, 필기도구고정판(260)의 필기도구고정고리(261)에 필기도구(B)가 끼워져 고정된다. 이 상태로 사용자는 합본문서(A)와 필기도구(B)를 함께 휴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필기도구고정고리(26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캐릭터 형상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필기도구고정판(260)의 전면 또는 배면에는 각종 그림과 기업로고 등이 디자인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기도구고정고리(261)의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날개(미도시)가 구비되어 필기도구(B)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제2변형예에 따른 넌슬립부재(200b)는 제1변형예에 따른 넌슬립부재(200a)와 동일하게 필기도구고정판(260)이 구비된다. 다만, 필기도구고정판(260)에 세로 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마주보게 필기도구삽입절개선(263,265)가 구비된다.
필기도구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필기도구삽입절개선(263)에 삽입되거나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필기도구삽입절개선(265)에 삽입되어 필기도구고정판(260)에 위치가 고정된다.
도 6의 (c)에 도시된 제3변형예에 따른 넌슬립부재(200c)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넌슬림부재(200)와 비교할 때 넌슬립접촉밴드(220a)의 상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221)이 형성된다. 요철(221)은 집게(100)에 합본문서(A)가 고정될 때 넌슬립접촉밴드(220a)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보다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지게 한다.
한편,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의 손잡이(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되는 손잡이넌슬립부재(300)의 구성과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넌슬립 집게조립체(1)는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본체(310,310a)와, 파지본체(310,310a)의 상부에 구비되어 손잡이(120)에 결합되는 손잡이끼움관(320)을 포함한다.
파지본체(310,310a)는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된 상부파지본체(310)와 하부파지본체(310a)가 테두리영역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부파지본체(310)의 상면에는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방지요철(311)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부파지본체(310)와 하부파지본체(310a)가 결합되는 양측에는 필기도구(B)가 삽입되는 필기도구삽입공(315)이 개방형성된다. 이에 의해 필기도구(B)가 파지본체(310,310a)에 결합되어 넌슬립 집게조립체(1)와 함께 보관될 수 있다.
한편, 상부파지본체(310)와 하부파지본체(310a)가 결합되는 하부에는 손잡이(120)가 삽입되는 손잡이삽입공(313)이 개방형성된다. 손잡이삽입공(313)은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20)의 파지단(125)이 삽입된다.
파지단(125)이 파지본체(310,310a) 내부에 삽입되면, 사용자는 파지본체(310,310a)를 잡고 손잡이(120)를 가압하게 된다. 이 때, 파지본체(310,310a)의 상면에는 미끄럼방지요철(3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끄러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손잡이끼움관(320)은 손잡이(120)의 파지단(125)에 끼워진다. 손잡이(120)의 수평삽입단(123)을 손잡이삽입관(115)으로부터 분리한 후 손잡이끼움관(320)을 수평삽입단(123) 측으로 삽입한 후 파지단(125) 측에 끼워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수평삽입단(123)은 다시 손잡이삽입관(115)에 결합된다.
이러한 손잡이넌슬립부재(300)는 사용자가 손잡이(120)의 파지단(125)을 잡을 때 불편한 그립갑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필기도구(B)를 끼워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하다.
한편,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a)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다른 실시예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a)에 결합되는 넌슬립부재(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는 넌슬립부재(200)가 집게(100)의 삽입공간(112) 내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었다.
반면, 다른 실시예의 넌슬립 집게조립체(1a)는 넌슬립부재(400)가 집게(100)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넌슬립부재(40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넌슬립본체(410)와, 외부넌슬립본체(410)의 양단에 구비되는 넌슬립접촉밴드(420)와, 넌슬립접촉밴드(420)의 양단에 구비되는 삽입관캡(430)과, 삽입관캡(430)에 구비되는 고정돌기(440)를 포함한다.
외부넌슬립본체(410)는 집게(100)의 가운데절곡관(116)의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구비된다. 외부넌슬립본체(410)는 양단에 절곡관노출공(411)이 형성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넌슬립본체(410)가 집게(100)의 외부를 감쌀 때 절곡관노출공(411)에 가운데 손잡이삽입관(115)이 끼워지며 일단의 위치가 집게(100)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외부넌슬립본체(410)를 집게(100)의 외부를 감싸고 반대쪽 절곡관노출공(411)에 손잡이삽입관(115)을 끼워 집게(100)에 외부넌슬립본체(410)의 결합을 완료한다.
이 때, 넌슬립접촉밴드(420)는 외부넌슬립본체(410)의 단부에서 집게(100)의 내측으로 접혀져서 집게편(111)의 문서가압단(111a)에 배치된다. 그리고, 넌슬립접촉밴드(420)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고정돌기(440)가 손잡이삽입관(115)에 끼워져 넌슬립부재(400)와 집게(100)의 결합이 완료된다.
여기서, 외부넌슬립본체(410)는 집게(100)의 외부를 감싸 외부로 드러나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이나 다각형, 원, 캐릭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부넌슬립본체(410)의 표면에는 로고가 인쇄되어 광고 및 홍보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넌슬립부재(400)는 집게(100)의 외부를 감싸게 결합되는 것을 제외하고 바람직한 실시예의 넌슬립부재(200)와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외부넌슬립부재(500)가 집게(100)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외부넌슬립부재(400)는 넌슬립접촉밴드(420)가 외부넌슬립본체(410)의 하부에서 집게 내부로 절곡되어 결합되고 외부에 절곡관노출공(411)이 좁아 집게(100)에 결합시킬 때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외부넌슬립부재(500)는 집게(100)의 외부를 감싸게 형성되는 방식은 동일하지만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넌슬립접촉밴드(520)의 폭(W3)이 집게(100)의 폭(W1) 보다 크고 넌슬립본체(510)의 폭(W2)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확장넌슬립접촉밴드(520)의 판면에는 손잡이삽입관(115) 전체를 외부로 노출시킬수 있게 집게(100)의 폭에 대응되는 삽입관노출공(521)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삽입관노출공(521)으로부터 절개된 절개면(527)은 손잡이삽입관(115)의 하부공간을 통해 집게편(11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문서가압단(111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문서를 접촉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삽입관캡(530)과 고정돌기(미도시)를 손잡이삽입관(115)에 결합시키면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넌슬립접촉밴드(520)의 하부연장단(523)이 집게(100)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배치되고, 측면연장단(525)이 집게(100)의 측면으로 일정길이 연장배치된다.
이렇게 집게(100)의 측면과 하부로 연장형성된 측면연장단(525)과 하부연장단(523)이 넓은 면적으로 합본문서를 접촉하며 지지하므로 안정적인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넌슬립본체(510)의 내부에는 고정날개(511)가 구비되어 내부로 삽입된 필기도구(B)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넌슬립부재(200d)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넌슬립부재(200d)는 넌슬립집게조립체(1)가 결합된 복수개의 문서를 상하로 적층할 때 집게(100)끼리 서로 결합되어 종래 집게가 부딪치며 미끄러져 문서가 흐트러지거나 제대로 적층되지 못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넌슬립부재(200d)는 넌슬립접촉밴드(220a,220b)가 서로 결합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즉, 제1넌슬립접촉밴드(220a)와 제2넌슬립접촉밴드(220b)는 집게본체(110)의 하부로 일정 길이 연장형성되고, 판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레일(223)과 삽입돌기(225)가 각각 구비된다.
즉, 제1넌슬립접촉밴드(220a)에는 한 쌍의 결합레일(223)이 형성되고, 제2넌슬립접촉밴드(220b)에는 한 쌍의 결합레일(223) 사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5)가 구비된다.
상기 예에서는 제1넌슬립접촉밴드(220a)와 제2넌슬립접촉밴드(220b)에 결합레일(223) 또는 삽입돌기(225)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레일(223) 또는 삽입돌기(225)는 제1넌슬립접촉밴드(220a)와 제2넌슬립접촉밴드(220b) 이외에도 상기 넌슬립부재(200d)의 판면 임의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집게본체(110,110a)가 서로 적층될 때, 제1넌슬립접촉밴드(220a)의 결합레일(223)에 제2넌슬립접촉밴드(220b)의 삽입돌기(225)가 끼워져 두 개의 집게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수의 문서를 쌓아 집게끼리 닿아도 미끄러지지 않고 연관성 있는 서류끼리 집게를 결합시켜 합본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넌슬립 집게조립체 100 : 집게
110 : 집게본체 111 : 집게편
111a : 문서가압단 112 : 삽입공간
113 : 연결판 115 : 손잡이삽입관
115a : 손잡이삽입홈 116 : 가운데절곡관
120 : 손잡이 121 : 손잡이본체
123 : 수평삽입단 125 : 파지단
200 : 넌슬립부재 210 : 넌슬립본체
211 : 내부삽입공간 220 : 넌슬립접촉밴드
221 : 요철 223 : 결합레일
225 : 삽입돌기 230 : 삽입관캡
240 : 고정돌기 250 : 좌측고정날개
255 : 우측고정날개 260 : 필기도구고정판
261 : 필기도구고정고리 263,265 : 필기도구삽입절개선
300 : 손잡이넌슬립부재 310 : 상부파지본체
310a : 하부파지본체 311 : 미끄럼방지요철
313 : 손잡이삽입공 315 : 필기도구삽입공
320 : 손잡이끼움관 400 : 외부넌슬립집게부재
410 : 외부넌슬립본체 411 : 절곡단노출공
420 : 넌슬립접촉밴드 430 : 삽입관캡
440 : 고정돌기 450 : 필기도구삽입판
451 : 필기도구삽입공간 500 : 외부넌슬립부재
510 : 외부넌슬립본체 520 : 확장넌슬립접촉밴드
521 : 삽입관노출공 523 : 하부연장단
525 : 측면연장단 527 : 절개면
530 : 삽입관캡
A : 합본문서
B : 필기도구

Claims (7)

  1. 한 쌍의 집게편(111)을 갖는 집게본체(110)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이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가압하여 합본문서가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 사이의 삽입공간(112)에 고정되게 하는 한 쌍의 손잡이(120)를 갖는 집게(100)와;
    상기 집게(100)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과 합본문서의 접촉영역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넌슬립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본체(110)는,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판(113)과;
    상기 한 쌍의 집게편(111)의 하부에 외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0)의 하부에 수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평삽입단(12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손잡이삽입관(115)을 포함하며,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상기 집게본체(110)의 내외부 일측에 배치되는 넌슬립본체(210)와;
    상기 넌슬립본체(210)의 양단에 상기 집게편(111)의 폭에 대응되게 구비되어 상기 집게편(111) 하부의 문서가압단(111a)의 내측에 배치되어 합본문서을 접촉가압하는 넌슬립접촉밴드(220)와;
    상기 넌슬립접촉밴드(220)의 양단으로부터 상기 손잡이삽입관(115) 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관(115)에 삽입되어 상기 넌슬립부재(200)를 상기 집게본체(110)에 고정시키는 고정돌기(240)를 포함하며,
    상기 넌슬립부재(200)는 탄성력과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240)와 상기 넌슬립접촉밴드(220)의 결합영역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삽입관(115)의 외부를 감싸는 삽입관캡(2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부재(200)의 일면에 한 쌍의 결합레일(223)이 형성되거나, 상기 한 쌍의 결합레일(223)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25)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본체(210)의 판면에 상기 삽입공간(112)으로 합본문서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합본문서의 하부를 받쳐주고, 상기 넌슬립본체(210)의 내부로 삽입된 필기도구의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고정날개(250,2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본체(210)로부터 상기 집게본체(110)의 외부로 일정면적 연장형성되는 필기도구고정판(260)과;
    상기 필기도구고정판(260)의 판면에 구비되어 필기도구가 결합되는 필기도구고정수단(261,263,265)을 포함하며,
    상기 필기도구고정수단(261,263,265)은 상기 필기도구고정판(260)에 결합되어 필기도구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기도구고정고리(261)와, 상기 필기도구고정판(260)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필기도구가 삽입 고정되게 하는 필기도구삽입절개선(263,2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넌슬립본체(510)는 상기 집게본체(110)의 외부를 감싸게 형성되며,
    상기 넌슬립접촉밴드(520)는 상기 집게(10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넌슬립접촉밴드(520)의 표면에는 삽입관노출공(521)이 집게(100)의 폭에 대응되게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넌슬립부재(3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12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단(125)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넌슬립부재(300)는,
    일정 면적을 갖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이 파지되는 파지본체(310,310a)와;
    상기 파지본체(310,310a)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120)가 끼워지는 손잡이끼움관(320)을 포함하며,
    상기 파지본체(310,310a)의 하부에는 상기 파지단(125)을 상기 파지본체(310,310a)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손잡이삽입공(313)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본체(310,310a)의 양측에는 필기도구가 삽입되는 필기도구삽입공(31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넌슬립 집게조립체.
KR1020200177543A 2020-02-14 2020-12-17 넌슬립 집게조립체 KR20210103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183A KR102504315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0210060182A KR102504314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PCT/KR2021/015547 WO2022131530A1 (ko) 2020-12-17 2021-11-01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EP21906835.0A EP4261045A4 (en) 2020-12-17 2021-11-01 NON-SLIP ARRANGEMENT FOR A TIE CLAMP
US18/268,193 US11932045B2 (en) 2020-12-17 2021-11-01 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JP2023536424A JP7475619B2 (ja) 2020-12-17 2021-11-01 ダブルクリップ用ノンスリップ組立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533 2020-02-14
KR20200000533 2020-02-14
KR20200001912 2020-06-02
KR2020200001912 2020-06-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27A true KR20210103927A (ko) 2021-08-24

Family

ID=775069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543A KR20210103927A (ko) 2020-02-14 2020-12-17 넌슬립 집게조립체
KR1020210060183A KR102504315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0210060182A KR102504314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183A KR102504315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KR1020210060182A KR102504314B1 (ko) 2020-02-14 2021-05-10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1039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530A1 (ko) * 2020-12-17 2022-06-23 김천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45722A1 (en) 2021-07-15 2024-05-02 Lg Energy Solution, Ltd. Electro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291A (ko) 1993-09-24 1995-04-21 후지무라 히로유끼 원자간력 현미경용 캔틸레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371257Y1 (ko) 2004-10-12 2004-12-30 성정하 집게형 책갈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5722A1 (en) 2001-12-21 2003-06-26 Shogbamimu Ladi O. Clip with contact plates
JP2008080505A (ja) 2006-09-25 2008-04-10 Yutaka Tatehora クリップ
JP5215499B1 (ja) * 2012-10-05 2013-06-19 等 川上 ダブルクリップ
KR20160086451A (ko) * 2015-01-09 2016-07-20 세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무용 더블 클립
WO2018080153A1 (ko) 2016-10-28 2018-05-03 최중경 집게 클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291A (ko) 1993-09-24 1995-04-21 후지무라 히로유끼 원자간력 현미경용 캔틸레버 및 그 제조방법
KR200371257Y1 (ko) 2004-10-12 2004-12-30 성정하 집게형 책갈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530A1 (ko) * 2020-12-17 2022-06-23 김천기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US11932045B2 (en) 2020-12-17 2024-03-19 Chun Ki Kim Non-slip assembly for binder cl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346A (ko) 2022-06-24
KR102504315B1 (ko) 2023-02-27
KR20220087345A (ko) 2022-06-24
KR102504314B1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260B1 (en) Binder clip with label holder
KR20210103927A (ko) 넌슬립 집게조립체
US9511615B2 (en) Binder clip
JP2007203730A (ja) バインダクリップ
CN101628516A (zh) 夹持件
JP4731727B2 (ja) 紙箱の把手
JP4308846B2 (ja) 紙葉をクランプするためのクリップ
US5608950A (en) File with gripping devices
JP3120260U (ja) バインダークリップ
KR102563370B1 (ko) 집게용 필기구 꽂이
JP3142165U (ja) 新聞ホルダー
JP7475619B2 (ja) ダブルクリップ用ノンスリップ組立体
JP7186916B1 (ja) ファイル
TW200301088A (en) Button fastening device
KR102244269B1 (ko) 문서의 모서리를 파지할 수 있는 클립의 제조방법
KR101282514B1 (ko) 문서 클램핑 기구
KR20090012410U (ko)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다용도 클립
JPH0530943Y2 (ko)
JP6437098B2 (ja) アパチャ開口手段を備えたクリップ
JP3104014B2 (ja) クリップボード用挟持具及びクリップボード
JP3624770B2 (ja) ファイル
JPH0446949Y2 (ko)
KR200433895Y1 (ko) 책철 커버
JP3107851U (ja) 弾性素材を用いた事務用簡易クリップ
KR200215716Y1 (ko) 책걸이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메모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