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588A -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 Google Patents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588A
KR20210101588A KR1020200015724A KR20200015724A KR20210101588A KR 20210101588 A KR20210101588 A KR 20210101588A KR 1020200015724 A KR1020200015724 A KR 1020200015724A KR 20200015724 A KR20200015724 A KR 20200015724A KR 20210101588 A KR20210101588 A KR 20210101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ncapsulation
substrate
resin
encapsulatio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146B1 (ko
Inventor
박재홍
장현익
윤해수
김지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노인
Priority to KR102020001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146B1/ko
Priority to PCT/KR2021/000537 priority patent/WO2021162252A1/ko
Publication of KR2021010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 H01L21/02063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the processing being the formation of vias or contact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4Mechanical treatment, e.g. grinding, polishing, c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formed through a semiconductor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ncapsulation Of And Coatings For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Abstract

전자소자 및 그 전자소자의 봉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은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전면 및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및 봉지 수지를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전자소자 및 전자소자의 봉지 방법 {ELECTRONIC DEVICE AND ENCAPSU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본딩 디본딩(bonding and debonding) 공정을 이용한 전자소자의 패시베이션 및 봉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백그라인딩(backgrinding), 다이싱(dicing), 관통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 형성 공정, 또는 습식 공정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할 수 있는 패시베이션 및 봉지(encapsulation)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 및 (사)한국엔젤투자협회의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S2640831, 과제명: 안전한 나노구조 항균코팅 제품 사업화](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development Program(S2640831) funded by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MSS, Korea)).
반도체 소자는 실리콘 웨이퍼에 이온 주입, 패터닝, 박막 증착 등 다양한 공정을 실행함으로써 형성된다. 최근에 반도체 소자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소자의 두께는 초기 웨이퍼 두께 대비 1/5 이하로 점점 더 얇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웨이퍼의 후면(전자소자가 형성되지 않은 면)을 백그라인딩하는 공정이 이용되는데, 이때 웨이퍼의 전면에 형성된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의 패턴을 보호하기 위하여 백그라인딩 테이프가 이용된다.
반도체 백그라인딩 테이프를 적용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한국등록특허 KR 10-0963675 "반도체 패키징용 복합기능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한국등록특허 KR 10-1386914 "복합기재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합기재필름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백그라인딩 테이프", 및 한국공개특허 KR 10-2003-0038264 "테이프 제거 공정용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 공정" 등에 의하여 개시된 것처럼 반도체 회로가 패터닝되어 있는 웨이퍼가 제공되는 단계, 제공된 웨이퍼의 후면 연삭공정을 위해 회로면(전면) 상부에 백그라인딩 테이프가 마운팅되는 단계, 실제 웨이퍼 후면에 대한 연삭 공정단계, 연삭공정 후 박리공정을 거쳐 백그라인딩 테이프/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백그라인딩 테이프의 주목적은 웨이퍼 상에 집적된 회로면의 반대면을 얇게 연삭하는 공정에서 회로면을 연삭수 및 기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 선행문헌들은 첫 번째, 백그라인딩 테이프(일반적으로 기재필름에 열 또는 광 반응 점착소재로 이루어져 있다.)가 웨이퍼에 집적된 회로면(전면) 상부에 마운팅될 때, 점착소재 부분이 회로면상에 갖고 있는 요철형상의 미세구조(실장하기 위한 전극으로써 솔더볼/메탈패드 영역은 구 형태로 정상과 역상의 미세구조를 가지고 있다.) 내부로 완전히 채워지지 않아 밀착성과 밀봉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웨이퍼의 후면 연삭 공정 시(웨이퍼가 고정되어 있는 축 방향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경) 충격의 흡수성이 낮아 회로면상에 갖고 있는 요철형상의 미세구조가 파손될 확률과 그로 인해 웨이퍼의 두께 정밀도가 낮아져 다이싱 등의 후속공정에 영향을 주거나 제품 불량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연삭한 웨이퍼의 최종 두께가 75 μm이하로 얇은 경우 외부 충격에 매우 민감하며 내부 응력으로 인해 휨(warpage)현상이 발생하여 밀착성과 밀봉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진공을 요구하는 환경에서의 패시베이션 및 봉지층으로 이용하기 어렵다. 두 번째, 백그라인딩 공정 완료 후 웨이퍼에 집적된 회로면(전면)과 반도체 백그라인딩 테이프와의 박리 과정에서 남아있는 점착성분으로 인해 추가의 클리닝 공정이 별도로 필요해 공정비용 발생과 더불어 반도체 회로소자의 수율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백그라인딩 테이프 대신 별도의 봉지층을 형성하여 백그라인딩, 관통 실리콘 비아(TSV) 형성, 및 다이싱 공정 등을 진행한 후, 특정한 용매를 투입하여 봉지층을 용해하고 전자회로 및 전자소자 패턴으로부터 봉지층을 제거하는 기술로서 한국등록특허 KR 10-1404463 "웨이퍼 지지장치를 이용한 웨이퍼 접합 및 분리 방법" 및 한국공개특허 KR 10-2019-0085933 "가요성 일렉트로닉스 제조를 위한 일시적 본딩층" 등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에서는 테두리 부분에 용제를 침투시켜 봉지층을 용해 및 분리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디본딩) 과정에 시간이 매우 많이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공정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디본딩 공정의 시간을 단축하고, 디본딩 공정의 비용을 저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전자소자의 패시베이션 및 봉지 기술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KR 10-0963675 "반도체 패키징용 복합기능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010.06.07) 한국등록특허 KR 10-1386914 "복합기재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합기재필름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백그라인딩 테이프" (2014.04.14) 한국공개특허 KR 10-2003-0038264 "테이프 제거 공정용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 공정" (2003.05.16) 한국등록특허 KR 10-1404463 "웨이퍼 지지장치를 이용한 웨이퍼 접합 및 분리 방법" (2014.05.30) 한국공개특허 KR 10-2019-0085933 "가요성 일렉트로닉스 제조를 위한 일시적 본딩층" (2019.07.19)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의 전면의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손상시킬 여지가 있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하며, 해당 공정이 종료되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패시베이션 또는 봉지 수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종래 기술은 백그라인딩 테이프를 이용하여 임시 점착 후 공정이 종료되면 분리하거나, 수지층을 경화한 후 공정을 진행하고 공정이 종료되면 수지층을 용제에 용해시켜 분리하는 기법을 적용하였다. 종래 기술은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이 손상되거나, 분리한 이후에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 상에 이물질이 잔류하여 이를 세정하는 추가 공정을 필요로 하고, 또한 수지층을 용해하는 기술은 그 자체로서 별도의 공정이므로 시간과 비용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고체상(테이프) 또는 진공기상(증착)이 아니라 액상으로 출발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거쳐 패시베이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분리 과정에서 용해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봉지 수지층을 분리할 수 있는 전자소자 및 전자소자의 봉지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봉지 수지층의 조성을 선택함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물성 조건을 제안하고, 물성 조건의 수치 한정 범위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용해 과정 없이 용이하게 분리되며, 분리 과정에서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손상시키지 않는 봉지 수지층의 설계 기준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웨이퍼 상의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하는 봉지층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물성 조건을 제안하고, 물성 조건에 기반하여 설계된 봉지층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된 봉지층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및 그 전자소자에 관련되는 봉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안된 물성 조건에 기반하여 구현된 봉지층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고 고가의 장치 구성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다양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소자 및 전자소자 봉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중에 발생하는 오염 요인으로부터 전자소자 및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하고, 공정 후에는 전자소자로부터 박리가 용이하며 박리 후에도 전자소자와 봉지층 사이에 잔여물 없거나 최소화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봉지층의 구현 조건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력과 전단방향에 대해서는 강한 분자 간 유지력을 가지지만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작은 힘으로도 박리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는 봉지층의 구현 조건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은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전면 및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및 봉지 수지를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는, 제1 기판의 후면을 연마하는 단계; 제1 기판과 전자소자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에 대한 다이싱(dic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소자에 관통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소자에 대한 습식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이 0.45951 mJ/m2 및 19.7 mJ/m2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이 44 MPa 및 1519.9 MPa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은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가 실행된 이후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가 실행되기 이전에, 봉지 수지의 외부로 노출된 제3 표면 상에 제2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제2 기판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는 Spin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및 Print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는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 및 전면 및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도포된 후 경화된 봉지 수지층을 포함한다. 봉지 수지층은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층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봉지 수지층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이 0.45951 mJ/m2 및 19.7 mJ/m2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봉지 수지층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이 44 MPa 및 1519.9 MPa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웨이퍼의 전면의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손상시킬 여지가 있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하며, 해당 공정이 종료되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패시베이션 또는 봉지 수지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의 고체상(테이프) 또는 진공기상(증착)이 아니라 액상으로 출발하여 경화하는 공정을 거쳐 패시베이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분리 과정에서 용해할 필요 없이 간단한 조작으로 봉지 수지층을 분리할 수 있는 전자소자 및 전자소자의 봉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용해 과정 없이 용이하게 분리되며, 분리 과정에서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손상시키지 않는 봉지 수지층의 설계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안된 물성 조건에 기반하여 구현된 봉지층을 이용하여, 별도의 공정이 필요 없고 고가의 장치 구성이 필요 없이 용이하게 다양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전자소자 및 전자소자 봉지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회로가 집적된 웨이퍼 상면과 보호필름 사이에 나노몰딩 기반의 광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배치된 전자회로 패턴의 미세구조 내부까지 구석구석 침투시켜줌으로써 밀착성과 밀봉성을 부여시킨다. 그런 다음 수지층 (패시베이션 및 봉지층)을 광 또는 열원에 반응시켜 수지층이 경화하면 중력과 전단방향에 대해 강한 분자 간 유지력이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적은 힘으로도 박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백그라인딩 공정 완료 후 박리 과정에서 남아있는 점착성분으로 인한 웨이퍼의 깨짐, 배선부의 범프 손상 문제 등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웨이퍼 백그라인딩 공정과정에서 웨이퍼가 고정되어 있는 축 방향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경에서는 웨이퍼 상에 구성된 전자회로의 미세구조와 수지층(패시베이션 및 봉지층)과의 분자 간 유지력이 상보적으로 강해 마찰력에 의한 열과 냉각수에 의한 외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봉지 수지층의 선택 조건에 따른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소자 및 그 전자소자의 봉지 방법을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본딩 디본딩 공정(Bonding and Debonding Process)을 이용한 전자소자 패시베이션 및 봉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웨이퍼 백그라인딩 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 냉각수, 그리고 연마된 오염 입자들로부터 회로 소자를 보호하기 위하는 봉지 수지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봉지 수지층은 백그라인딩 공정 완료 후 회로 소자부와 봉지층과의 잔여물 없이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그라인딩(backgrinding), 다이싱(dicing), 관통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 형성 공정, 또는 습식 공정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전자소자 또는 전자회로 패턴을 보호할 수 있는 패시베이션 및 봉지(encapsulation)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습식 공정은 산과 알칼리, 및 아세톤 등 유기용매에 기반한 화학 반응을 이용하는 공정으로서, 식각(etching), 및 세정(cleaning)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습식 공정에 화학적으로 취약하여 보호받을 필요가 있는 면을 인캡슐레이션하는 공정 기술과도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을 도시하는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은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10); 전면 및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S120);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S130);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S140); 및 봉지 수지를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이때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단계(S140)는 제1 기판의 후면을 연마하는 단계; 및 제1 기판과 전자소자 패턴에 대한 다이싱(dicing)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단계(S140)는 제1 기판 상의 전자소자 패턴에 관통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를 구현하는 공정, 및 상기 제1 기판 상의 전자소자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에 대한 습식 공정(산과 알칼리 및 아세톤 등 유기용매에 기반한 화학적 반응을 이용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은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S120)가 실행된 이후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S130)가 실행되기 이전에, 봉지 수지의 외부로 노출된 제3 표면(봉지 수지와 전자소자 패턴이 접하는 제1 표면의 반대방향의 표면) 상에 제2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 및 제2 기판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일 수 있다.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는 Spin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및 Print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회로가 집적된 웨이퍼 상면과 보호필름 사이에 나노몰딩 기반의 광 또는 열 경화성 수지를 배치된 전자회로 패턴의 미세구조 내부까지 구석구석 침투시켜줌으로써 밀착성과 밀봉성을 부여시킨다. 그런 다음 수지층 (패시베이션 및 봉지층)을 광 또는 열원에 반응시켜 수지층이 경화하면 중력과 전단방향에 대해 강한 분자 간 유지력이 발생하게 되며, 반대로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적은 힘으로도 박리가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백그라인딩 공정 완료 후 박리 과정에서 남아있는 점착성분으로 인한 웨이퍼의 깨짐, 배선부의 범프 손상 문제 등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수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제 웨이퍼 백그라인딩 공정과정에서 웨이퍼가 고정되어 있는 축 방향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경에서는 웨이퍼 상에 구성된 전자회로의 미세구조와 수지층(패시베이션 및 봉지층)과의 분자 간 유지력이 상보적으로 강해 마찰력에 의한 열과 냉각수에 의한 외형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이 0.45951 mJ/m2 및 19.7 mJ/m2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으로 정의될 수 있다.
봉지 수지는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이 44 MPa 및 1519.9 MPa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의 봉지층은 액상으로 출발하여 전자소자 패턴과 밀착된 상태에서 경화를 거쳐 밀봉되어 패시베이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패시베이션 상태에서 백그라인딩, 관통 실리콘 비아(TSV) 형성, 다이싱 등의 공정을 거친 후에는 봉지층은 깨끗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요구되는 핵심적인 물리적 기여는 적절한 계면에너지의 범위와 탄성계수의 범위이다.
종래 기술들은 백그라인딩 테이프를 이용하는 경우 불균일한 접착력에 따른 균일도의 저하와 제거 시 접착 잔류물이 남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다른 종래 기술들인 패시베이션을 레이저 또는 용매로 용해시켜 제거하는 기술 또한 제거 후에 접착 잔류물이 남는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세정 공정을 필요로 하거나 후처리 공정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봉지 수지층은 전자소자 패턴과 밀착하며 이 과정에서 균일하게 밀착되고, 제거 시에는 봉지 수지층은 일체화된 상태로 분리되므로 전자소자 패턴 상에 잔류물 없이 완전히 이탈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단계(S110) 및 단계(S110)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리콘 웨이퍼로 구현된 제1 기판(210) 상에 요철을 가지는 전자소자 패턴(220)이 배치된다. 도 1에서는 제1 기판(210)이 실리콘 웨이퍼인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판(210)은 실리콘계, 유리계, 고분자계, 금속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제1 기판(210)의 상면에 전자소자 패턴(220)이 형성된 구조를 도시한다. 전자소자 패턴(220)은 Flip Chip을 실장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Solder Bump를 Chip 위에 형성시킨 구조이며, Solder Bump 외에도 메탈 패드, 유전체층(Dielectr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소자 패턴(220)은 제1 기판(2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요철 구조의 형상을 가진다.
도 3은 도 1의 단계(S120) 및 단계(S120)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요철구조 형태의 회로소자가 집적된 제1 기판(210) 상에 광반응 경화성 또는 열반응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공정이 도시된다.
이때 수지(resin)는 액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수지는 전자소자 패턴(220)에 힘을 가하지 않는 수준에서 도포될 수 있으며, 전자소자 패턴(220)을 완전히 둘러싸 외부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수지는 아크릴계, 에폭시계, 우레탄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수지를 도포하는 방법은 Spin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및 Printing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포함하여 실행될 수 있다.
도포된 수지는 도 3에서 도시된 봉지 수지층(230)을 형성한다.
제1 기판(210)의 상면과 전자소자 패턴(220)이 봉지 수지층(230)과 만나는 경계면을 설명의 편의상 제1 표면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층(230)의 경계면을 설명의 편의상 제2 표면이라 명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단계(S120)가 실행된 후 단계(S130)가 실행되기 전에 도포된 수지층(230) 상부면, 즉, 수지층(230)이 제1 표면/제2 표면과 반대 방향에서 외부로 노출된 방향의 제3 표면에 보호 필름인 제2 기판(240)을 덮는 공정을 도시한다.
이때 도 4에 형성된 제2 기판(240)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면서 수지층(230)을 형성하는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전자소자 패턴(220)의 요철 구조 내부로 충진시키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2 기판(240) 또한 실리콘계, 유리계, 고분자계, 금속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가압의 방법은 Rolling, Squeezing, Press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 5는 균일한 가압이 이루어져 전자소자 패턴(220)의 요철 구조 내부로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충진된 이후의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단계(S130) 및 단계(S130)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자소자 패턴(220)의 요철구조 내부로 충진된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가 도시된다. 봉지 수지층(230)이 광경화성 수지인 경우 자외선을 조사하여 봉지 수지층(230)이 경화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자외선 램프(250)로부터 자외선이 봉지 수지층(230)에 조사될 수 있다. 자외선은 보호 필름인 제2 기판(240)을 투과하여 봉지 수지층(230)에 도달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봉지 수지층(230)이 광경화성 수지인 경우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봉지 수지층(230)이 열경화성 수지인 경우 빛을 조사하는 대신 열원을 통한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자연경화 또는 증발경화성 수지인 경우 용매증발이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경화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단계(S140) 및 단계(S140)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서는 반도체 백그라인딩 공정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백그라인딩 공정 뿐 아니라 관통 실리콘 비아(TSV) 형성 공정도 단계(S140)에 포함될 수 있으며, 후술할 도 9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소잉/다이싱(sawing/dicing) 공정과 같은 칩/다이 분리 공정(chip/die separation process)도 단계(S14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회로소자가 집적된 제1 기판(210)의 이면/후면을 연삭기(260)에 의하여 연마하는 공정이 도시된다. 이때 웨이퍼 백그라인딩 공정 중에 발생하는 열, 냉각수, 연마된 오염 입자들로부터 봉지 수지층(230)이 회로소자, 즉, 전자소자 패턴(220)을 보호한다. 특히 봉지 수지층(230)은 회전연마 중에 회로 소자부/전자소자 패턴(220)과 봉지 수지층(230) 간의 강한 결속력을 가지도록 상대적 물성 조건을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단계(S150) 및 단계(S150)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기판(210)의 상면/전면에 집적된 회로 소자부/전자소자 패턴(220)과 봉지 수지층(230)을 박리하는 과정이다. 전자소자 패턴(220)과 봉지 수지층(230) 간의 결속력은 회전력에 강하며, 수직 힘에 대해서는 약하도록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상대적 물성 조건이 선별적으로 적용되고, 상대적 물성 조건에 기반하여 봉지 수지층(230)의 조성물이 신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단계(S130)가 실행된 이후 단계(S140)가 실행되기 전의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한다. 또는 도 1의 단계(S140)가 부분적으로 실행된 이후의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도 9의 전자소자는 제1 기판(310), 전자소자 패턴(320), 봉지 수지층(330), 및 보호 필름인 제2 기판(340)을 포함하며, 제1 기판(310)의 반대면에 다이싱 테이프(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기판(310)의 반대면은 백그라인딩된 이후일 수도 있고, 백그라인딩을 거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다. 백그라인딩된 이후라면 제1 기판(310)의 두께는 얇아진 상태에서 다이싱 테이프(370)에 점착된다. 웨이퍼 다이싱 공정에서 단위 칩/다이의 워크를 고정하거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싱 테이프(370)에 전자소자가 점착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는 도 1의 단계(S140)의 전부 또는 일부인 소잉/다이싱 공정이 진행된다. Saw/Laser Dicing(380)이 미리 설정된 그리드에 기반하여 전자소자의 패턴을 제1 기판(210)과 함께 절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블레이드 형태가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한 절삭도 적용 가능하다. 즉, 다이싱은 Sawing, Laser Dic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진행될 수 있다.
도 11은 다이싱 공정이 진행된 이후의 단위 칩/다이로 분리된 상태의 전자소자를 도시한다. 도 11의 전자소자는 단위 칩/다이로 분리된 제1 기판(310), 전자소자 패턴(320), 수지 봉지층(330), 및 보호 필름인 제2 기판(340)을 포함한다.
도 11의 전자소자에 전자소자 패턴(320)으로부터 수지 봉지층(330)을 박리하는 단계(S150)가 적용되고, 단계(S150)가 적용된 이후의 전자소자의 상태가 도 12에 도시된다. 도 12의 전자소자에서는 전자소자 패턴(320) 상에 잔류물이 존재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각 단계 및 각 단계에서 전자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전자소자가 도 1의 단계(S130)까지 진행된 상태에서 chemical bath 또는 chamber(490)에 투입되어 공정을 진행하는 단계(S140)의 변형된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13에 도달하기 전의 단계(S110) 내지 단계(S130)까지의 공정은 도 2 내지 도 5의 공정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 기판(410) 상의 요철구조 내부(Solder Bump/metal pad 부분)에 치밀하게 밀착된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어 후속 공정과정인 단계(S140)에서 chemical bath 또는 chamber(490)에 투입되었을 때, 반응 가스 또는 액상의 화학물질로부터 전자소자 패턴(420)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패시베이션의 역할을 하는 봉지 수지층(430)이 도시된다.
도 14는 도 13의 chemical bath 또는 chamber(490) 내에서 진행되는 단계(S140)가 종료된 이후, 봉지 수지층(430)을 전자소자로부터 분리하는 박리단계(S15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소자 봉지 방법의 봉지 수지층의 선택 조건에 따른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테스트 패턴에 대한 봉지층 형성 후 백그라인딩 공정을 진행하고, 백그라인딩 공정 완료 후 봉지층의 박리 공정까지 진행된 이후의 테스트 패턴의 완벽성에 기반하여 봉지층의 구성이 적절하였는지를 도출하는 실험 결과를 도시한다.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험예는 SEM 전자현미경 사진이며, dots 또는 lines 는 소자의 프론트사이드에 있는 미세 구조물들을 대표하는 테스트 패턴을 의미한다. 이 구조물에 액상의 bonding-debonding 소재를 도입하고 응고시킨 후 분리해서 구조를 관찰했을 때, 구조가 원래 제작된 테스트 패턴을 그 모양 그대로 완벽히 감싸면서 passivation 또는 encapsulation하였는지를 평가하는 실험예이다.
잔존 구조의 모양의 완벽성에 기반하여 완전히 복제 성형이 되었는지? 변형이 되었는지? 패턴의 형상이 양인지 불량인지를 평가한다. 최초의 미세 구조에 conformal하게 원래 사용된 테스트 패턴의 구조가 완벽히 복제되었는지가 평가되며, 이 항목은 계면에너지 물성의 기여의 핵심적 특성이기도 하다.
잔존 구조의 모양이 변형되지 않았는지는 탄성계수 물성의 기여의 핵심적 특성이기도 하다.
봉지 수지층과 전자소자 패턴 간의 계면에너지와 탄성계수가 최적화된 범위일 때, 그 테스트 패턴의 구조가 완벽히 성형되고 봉지층으로부터 분리되며, 구조가 완벽히 복제되는 것은 계면에너지의 기여분에 의하여 영향을 받고, 구조가 얼마나 conformal하게 bonding되는지를 판별하는 기준으로도 적용된다. 적절히 통제된 계면에너지에 기반하면 나노미터 단위까지 통제된 bonding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구조가 얼마나 손상과 변형 없이 분리되는 박리 공정 이후 잔류물이 없이 깨끗하고 완벽한 debonding 능력에 대한 판정 기준이며, 통제된 탄성 계수 값은 통제된 debonding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는 봉지 수지층의 조성물 또는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계면에너지의 상한을 획득하기 위한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회로 소자가 집적된 웨이퍼 상에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가 완전히 wetting되지 않은 경우를 실패(1510)로 판정하고, 완전히 wetting된 경우를 성공(1520)으로 판정한다.
패턴이 최초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잔존하는 경우 성공(1520)이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실패(1510)로 판정될 수 있다.
도 16은 봉지 수지층의 조성물 또는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계면에너지의 하한을 획득하기 위한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박리 단계에서 봉지층의 잔류물이 회로 소자가 집적된 웨이퍼 상에 남아 있거나, 구조가 찢어지는 경우를 실패(1610)로 판정한다. 이 경우 눌러 붙거나(Attaching), 변형되는(Deformation, Non-demolding) 현상 등이 적절한 실험 수치의 한계를 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변형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 남아 있다면 성공(1620)으로 판정한다.
도 17은 봉지 수지층의 조성물 또는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탄성계수의 상한을 획득하기 위한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봉지층의 조성물인 수지가 높은 탄성계수를 가질 때 구조가 끊어지는 경우를 실패(1710)로 판정한다.
Non-detaching (Breaking) 정도에 기반하여 성공(1720)과 실패(1710)가 판정되며, 최초의 테스트 패턴과의 비교를 통하여 형태의 유지, 구조물의 보존이 판정 기준이 된다.
도 18은 봉지 수지층의 조성물 또는 특성을 결정하기 위한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탄성계수의 하한을 획득하기 위한 실험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봉지층의 조성물인 수지가 낮은 탄성계수를 가질 때 구조의 붕괴 또는 변형(collapse and deformation)이 일어나는 경우를 실패(1810)로 판정한다. 붕괴 또는 변형되지 않으면 성공(1820)으로 판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소자 패턴(220, 320, 420) 및 봉지 수지층(230, 330, 430)으로서 이용되기 위한 최적 범위의 상대적 물성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간의 계면에너지 값과 탄성계수 값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
제1 표면은 소자의 표면(Solder ball과 metal pad가 존재하는 면)이고 제2 표면은 제1 표면과 접촉하는 봉지 수지층(230, 330, 430)의 표면이다.
두 표면에 대한 계면에너지 값의 구체화된 범위는 0.45951 ~ 19.7 mJ/m2 일 수 있다.
두 표면에 대한 탄성계수 값의 구체화된 범위는 44 ~ 1519.9 M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봉지 기술은 봉지 수지층을 접착하는 본딩 공정 및 봉지 수지층을 제거하는 디본딩 공정이 결합된 본딩-디본딩 기술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딩-디본딩 기술은 반도체 뿐만 아니라 최근 그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후면공정을 수행할 때, 앞면의 소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봉지(encapsulation)로서 적용할 수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 등에도 공통적으로 활용성을 확대할 수 있다. OLED 소자의 전면에는 유기물발광소재가 필수적으로 배치되는데 유기물소재는 수분에 취약하여 수분에 노출될 경우 특성이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전자소자 봉지 방법을 적용하면 OLED 소자에서도 유기물소재의 열화를 방지하고 안전하게 공정을 진행하며, 공정 후에는 잔류물 없이 봉지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딩-디본딩 기술은 봉지층을 코팅 기술처럼 형성할 수 있으며, 반도체 또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다이싱 공정(원하는 크기로 절단)에서도 물리적, 기계적 충격을 차단하고 전자소자 패턴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일종의 레시피(recipe)로서 취급될 수 있으며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소개된 길이, 높이, 크기, 폭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310, 410: 제1 기판(웨이퍼)
220, 320, 420: 전자소자/전자회로 패턴
230, 330, 430: 봉지 수지층
240, 340, 440: 제2 기판
250: UV Lamp
260: 연삭기
370: 다이싱 테이프
380: saw/laser dicing
490: 챔버

Claims (15)

  1.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전면 및 상기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봉지 수지를 상기 제1 표면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봉지 수지는 상기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봉지 수지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 대한 처리를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판의 후면을 연마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전자소자 패턴을 포함하는 전자소자에 대한 다이싱(dicing)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자소자에 관통 실리콘 비아(TSV, Through Silicon Via)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소자에 대한 습식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상기 상대적 물성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인 전자소자 봉지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는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이 0.45951 mJ/m2 및 19.7 mJ/m2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상기 상대적 물성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인 전자소자 봉지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는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이 44 MPa 및 1519.9 MPa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가 실행된 이후 상기 봉지 수지를 경화시키는 단계가 실행되기 이전에,
    상기 봉지 수지의 외부로 노출된 제3 표면 상에 제2 기판을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판을 균일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는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전자소자 봉지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를 도포하는 단계는 Spin Coating, Dip Coating, Roll Coating, Spray Coating, 및 Printing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전자소자 봉지 방법.
  10. 전면에 요철을 포함하는 전자소자 패턴이 형성되는 제1 기판; 및
    상기 전면 및 상기 전자소자 패턴이 이루는 제1 표면 상에 도포된 후 경화된 봉지 수지층;
    을 포함하고,
    상기 봉지 수지층은 상기 제1 표면과 접촉하는 상기 봉지 수지층의 제2 표면 사이의 상대적 물성이 만족하는 조건에 기반하여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상기 상대적 물성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인 전자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층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계면에너지 값이 0.45951 mJ/m2 및 19.7 mJ/m2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상기 상대적 물성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인 전자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층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의 탄성계수 값이 44 MPa 및 1519.9 MPa 사이에 존재하도록 선택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소자.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봉지 수지층은 광 또는 열경화성 수지인 전자소자.
KR1020200015724A 2020-02-10 2020-02-10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KR102455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24A KR102455146B1 (ko) 2020-02-10 2020-02-10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PCT/KR2021/000537 WO2021162252A1 (ko) 2020-02-10 2021-01-14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724A KR102455146B1 (ko) 2020-02-10 2020-02-10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588A true KR20210101588A (ko) 2021-08-19
KR102455146B1 KR102455146B1 (ko) 2022-10-17

Family

ID=7729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724A KR102455146B1 (ko) 2020-02-10 2020-02-10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5146B1 (ko)
WO (1) WO2021162252A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642A (ja) * 1996-07-29 1998-02-20 Disco Abrasive Syst Ltd 被加工物用保護部材及び研磨方法
KR20030038264A (ko) 2001-11-10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제거 공정용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 공정
JP2007035880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ンプ付きウエハの製造方法、バンプ付きウエハ、半導体装置
KR100963675B1 (ko) 2008-03-14 2010-06-15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징용 복합기능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100083359A (ko) * 2009-01-13 2010-07-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도체 박막 웨이퍼 가공용 웨이퍼 서포트 점착필름
KR101386914B1 (ko) 2012-02-29 2014-04-18 주식회사 케이씨씨 복합기재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합기재필름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백그라인딩 테이프
KR101404463B1 (ko) 2013-02-05 2014-06-10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웨이퍼 지지장치를 이용한 웨이퍼 접합 및 분리 방법
JP2015518270A (ja) * 2012-03-20 2015-06-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一時的基板支持体及び支持体分離のための積層体、方法、並びに材料
JP2015160306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安川電機 吸着パッド、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
KR20180033088A (ko) * 2016-09-23 2018-04-02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도 코사쿠 기카이 세이사쿠쇼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제조 장치
KR20180121365A (ko) * 2017-04-28 2018-11-07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웨이퍼의 가공 방법
KR20190085933A (ko) 2016-11-28 2019-07-19 아레스 머티리얼스 인크. 가요성 일렉트로닉스 제조를 위한 일시적 본딩층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702B2 (ja) * 1997-05-30 2001-10-0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樹脂封止型電子回路装置
JP4421972B2 (ja) * 2004-04-30 2010-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法
SG11201704005XA (en) * 2015-01-14 2017-07-28 Lintec Corp Resin film-forming sheet, resin film-forming composite sheet, and silicon wafer regeneration method
CN109155256B (zh) * 2016-05-25 2022-06-24 昭和电工材料株式会社 密封结构体及其制造方法、以及密封材
WO2018158858A1 (ja) * 2017-02-28 2018-09-0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642A (ja) * 1996-07-29 1998-02-20 Disco Abrasive Syst Ltd 被加工物用保護部材及び研磨方法
KR20030038264A (ko) 2001-11-10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제거 공정용 반도체 제조장치 및 그 공정
JP2007035880A (ja) * 2005-07-26 2007-02-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ンプ付きウエハの製造方法、バンプ付きウエハ、半導体装置
KR100963675B1 (ko) 2008-03-14 2010-06-15 제일모직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징용 복합기능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100083359A (ko) * 2009-01-13 2010-07-2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반도체 박막 웨이퍼 가공용 웨이퍼 서포트 점착필름
KR101386914B1 (ko) 2012-02-29 2014-04-18 주식회사 케이씨씨 복합기재필름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복합기재필름을 포함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백그라인딩 테이프
JP2015518270A (ja) * 2012-03-20 2015-06-25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一時的基板支持体及び支持体分離のための積層体、方法、並びに材料
KR101404463B1 (ko) 2013-02-05 2014-06-10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 주식회사 웨이퍼 지지장치를 이용한 웨이퍼 접합 및 분리 방법
JP2015160306A (ja) * 2014-02-28 2015-09-07 株式会社安川電機 吸着パッド、ロボットハンドおよびロボット
KR20180033088A (ko) * 2016-09-23 2018-04-02 가부시키가이샤 오카모도 코사쿠 기카이 세이사쿠쇼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제조 장치
KR20190085933A (ko) 2016-11-28 2019-07-19 아레스 머티리얼스 인크. 가요성 일렉트로닉스 제조를 위한 일시적 본딩층
KR20180121365A (ko) * 2017-04-28 2018-11-07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웨이퍼의 가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52A1 (ko) 2021-08-19
KR102455146B1 (ko) 202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7422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支持基板付きウェハ
CN102163559B (zh) 堆叠装置的制造方法及装置晶片处理方法
TWI446420B (zh) 用於半導體製程之載體分離方法
US7932614B2 (en) Method of thinn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US20050221598A1 (en) Wafer support and release in wafer processing
US8796076B2 (en) Stacked semiconductor devices and fabrication method/equipment for the same
US10679967B2 (en) Systems enabling lower-stress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s and related structures
WO2019187478A1 (ja) 半導体チップの製造方法、表面保護テープ
JP2006196705A (ja) 回路素子の形成方法および多層回路素子
JP4725639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840003B2 (ja) ウエーハの加工方法
US7846776B2 (en) Methods for releasably attaching sacrificial support members to microfeature workpieces and microfeature devices formed using such methods
KR20140107141A (ko) 반도체 칩의 제조 방법
JP7146354B2 (ja) キャリア板の除去方法
TWI717654B (zh) 半導體晶片之製造方法
US2022005938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element
KR102455146B1 (ko) 기판의 구조충진을 위한 가역적 코팅 방법 및 봉지 방법
US20080200037A1 (en) Method of thinning a wafer
JP200718025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978644B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US1119574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wafer handling and processing
TWI782189B (zh) 剝離方法
CN109411359B (zh) 用于处理半导体装置结构的方法和设备
TW202030806A (zh) 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JP2015201548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