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456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456A
KR20210097456A KR1020200011179A KR20200011179A KR20210097456A KR 20210097456 A KR20210097456 A KR 20210097456A KR 1020200011179 A KR1020200011179 A KR 1020200011179A KR 20200011179 A KR20200011179 A KR 20200011179A KR 20210097456 A KR20210097456 A KR 20210097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ehydration
tub
reference valu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경근
배순철
최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456A/ko
Publication of KR20210097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6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진행하는 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모터의 로터에 연결된 교반부 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가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연결하는 위치에 있으면 드럼 및 교반부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클러치가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분리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교반부만 회전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들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세탁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단계,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드럼과 교반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상기 탈수단계는 기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드럼을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유지하는 제1유지단계, 기 설정된 제2탈수 RPM까지 드럼을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및 상기 제2탈수 RPM으로 상기 드럼의 회전수를 유지하는 제2유지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한 뒤 상술한 제1가속단계, 제1유지단계, 제2가속단계, 및 제2유지단계를 순차적으로 재실행하였다.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드럼의 진동이 심한 경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한 뒤 다시 탈수단계를 진행하는 종래 탈수단계는 상기 제2유지단계에서 드럼의 진동이 커지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에만 드럼의 회전을 중단시키는 방식은 의류의 엉킴이 심한 경우에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은 드럼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한 탈수단계를 통해 탈수시간의 단축 및 전력소비량의 최소화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탈수단계에 구비된 가속단계마다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한 뒤 다시 탈수단계를 진행함으로써, 탈수단계에서 발생하는 드럼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진행하는 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및 상기 터브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진행하는 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탈수배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및 상기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의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준 값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배수단계, 상기 포량판단단계, 및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제1RPM보다 낮게 설정된 RPM으로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를 분산하는 분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의 종료 후 상기 추가급수단계, 상기 포풀기단계, 및 상기 제2배수단계를 순차적으로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및 상기 터브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출원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2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3가속단계;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3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1추가급수단계,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2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추가급수단계,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3배수단계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속단계는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된 때, 또는 상기 제3배수단계가 완료된 때 재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많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작동시간은 상기 제2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작동시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는 상기 제2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3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3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배수단계, 및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상기 제3기준 값, 및 상기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의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본 출원은 드럼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한 탈수단계를 통해 탈수시간의 단축 및 전력소비량의 최소화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탈수단계에 구비된 가속단계마다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이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드럼의 회전을 중단한 뒤 다시 탈수단계를 진행함으로써, 탈수단계에서 발생하는 드럼의 진동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4)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 투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와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코스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51),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스위치(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1입력부(155),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 가능하게 하는 제2입력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바디(21), 및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터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상기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24),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24)을 개폐하는 밸브(2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24)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물을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급수홀(미도시)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배수부는 펌프(27),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펌프(27)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6), 상기 펌프(27)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8)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2)에는 수위감지부(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29)는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수위감지부(29)가 상기 터브 바디(21)의 압력을 이용하여 수위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터브(2)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3)은 상부면에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33)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터브 투입구(23) 및 드럼 투입구(33)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과 원주면에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 공간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바디(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 바디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기(4)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교반기(4)가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4)는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허브(41), 상기 허브에 고정된 다수의 암(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암(43)은 상기 허브(41)에서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31)와 상기 교반기(4)는 구동부(5)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2),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3),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3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럼 회전축(제1회전축, 54), 상기 제1회전축(54)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로터(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기의 허브(41)에 고정된 교반기 회전축(제2회전축, 55)을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터(52)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5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에 고정된 지지부(5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53)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터(52)의 원주면은 상기 로터(53)의 내측 원주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영구자석(351)이 구비되는데, 상기 영구자석들(351)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로터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54)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 바디(541), 상기 축 바디(5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축 바디의 길이 방향(Y축 방향)를 따라 구비된 축 관통홀(543), 상기 축 바디(54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드럼 체결부(5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체결부(545)는 상기 축 바디(541)에 고정된 디스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 바디(541)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축 기어(54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기어(547)는 상기 축 바디(54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노출된 공간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는 상기 제1축 기어(547)가 상기 축 바디(541)의 자유단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2회전축(55)은 상기 축 관통홀(543)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허브(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53)에 고정된다. 상기 제2회전축(55)은 상기 축 관통홀(543) 내부에 고정된 베어링(5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축(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55)은 항상 상기 로터(53)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1회전축(54)은 동력 전달부(T)에 의해 상기 로터(53)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로터(53)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T)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토퍼(56), 상기 로터(53)에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55)이 고정되는 고정부(57), 상기 제1축 기어(5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6)와 고정부(57)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5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지지부(51)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지지부(51)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561),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축 바디(541)가 삽입되는 스토퍼 관통홀(563), 상기 스토퍼 바디(561)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58)의 상부면이 고정되는 제1체결부(5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1체결부(565)가 상기 스토퍼 관통홀(56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57)는 상기 로터(53)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축(55)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바디(571), 상기 고정바디(571)에 상기 고정바디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축 기어(5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축 기어(575)는 상기 제2회전축(55)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축 기어(575)의 직경은 상기 제1축 기어(547)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바디(571)에는 상기 클러치(58)의 하부면이 고정되는 제2체결부(5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573)는 상기 고정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 기어(575)를 감싸도록 배치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체결부(565)와 제2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바디(581),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54)이 삽입되는 클러치 관통홀(587), 상기 클러치 관통홀(587)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기어(547)에 체결되는 클러치 기어(589)를 포함한다.
상기 클러치 바디(581)는 상기 제1축 기어(547) 및 상기 클러치 기어(589)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5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클러치 바디(581)는 상기 제1회전축(54)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를 연결한다. 즉, 상기 클러치 바디(581)가 상기 로터(53)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의 상단은 상기 제1축 기어(547)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클러치 기어(589)의 하단은 상기 제2축 기어(575)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56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러치 제1체결부(583)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2체결부(57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러치 제2체결부(585)가 구비된다.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583)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가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585)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에 구비된 다수의 홈들이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583)가 상기 제1체결부(565)에 결합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제2축 기어(575)가 분리된 상태(제1회전축과 로터가 분리된 상태)를 만든다. 이와 반대로,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585)가 상기 제2체결부(573)에 결합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제2축 기어(575)가 연결된 상태(제1회전축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동력 전달부(T)는 클러치 이송부(59a, 59b)를 통해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 가능하다. 상기 제1지점(P1)은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P2)은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이송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9a),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58)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59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변환부(59b)는 모터의 회전축(59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92), 상기 회전판에 연결된 연결 바(593), 상기 연결 바(593)에 의해 하우징(596)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595), 일단은 상기 피스톤(59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러치 바디(58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작동 바(59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597)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클러치 지지부(597a),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와 상기 피스톤(595)을 연결하는 피스톤 연결부(597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597)는 바 회전축(598)을 통해 상기 지지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도 3은 상기 바 회전축(598)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를 상기 지지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판(592)의 회전을 통해 상기 클러치(58)는 도 3의 상태와 도 4의 상태를 반복할 것이다.
즉, 도 3의 상태에 있는 상기 회전판(592)이 상기 모터(59a)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피스톤(595)은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를 상기 제1회전축(54) 방향으로 밀어준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가 상기 제1회전축(54)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5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고정부(57)에 연결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도 4의 상태, 제2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2)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드럼(3)과 교반기(4) 중 교반기만 회전하게 될 것이다.
또한, 도 4의 상태에 있는 회전판(592)이 회전하면, 상기 피스톤(595)은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를 상기 제1회전축(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가 상기 제1회전축(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56)를 향해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스토퍼(56)에 연결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도 3의 상태, 제1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2)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럼(3)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6)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감지부(6)는 상기 로터(53)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2)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터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추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부의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 바디(21)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 상기 드럼(3)과 상기 교반기(4)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S20)를 포함한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는 상기 드럼(3)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이나 세제를 분리하는 과정으로, 상기 수류형성단계(S2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이나 의류의 헹굼을 진행한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 )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회전축(54)과 상기 로터(53)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1지점(P1)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수류형성단계(S20)에서 상기 교반기(4)는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의 진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수류형성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설정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25)한다. 상기 수류형성단계(S20)의 진행시간이 상기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배수부의 펌프(27)를 작동시켜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S30)를 진행한다.
상기 제1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상기 제어방법은 탈수단계(S50, S71, S80, S90)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동일한 방향으로 기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가속단계(S50), 상기 드럼(3)과 교반기(4)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S71),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기 설정된 제2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S80), 및 상기 드럼(3)과 교반기(4)의 회전수를 상기 제2탈수 RPM(제1탈수 RPM보다 큰 회전수로 설정됨)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S9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S50, S71, S80, S90)에서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는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해야 하므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회전축(54)과 상기 로터(53)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2지점(P2)에 위치한다.
상기 가속단계(S50)는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기 설정된 제1RPM(제1탈수 RPM보다 작게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S51),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상기 제1RPM에서 상기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S54)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의 진행 중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52)를 진행한다. 상기 제1측정단계(S52)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측정단계(S52)에서 측정된 제1진동 값을 기 설정된 제1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53)를 진행한다. 상기 제2가속단계(S54)는 상기 제1진동 값이 상기 제1기준 값 이하인 때 개시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진동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S531), 상기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S533), 상기 교반기(4)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포풀기단계(S535), 및 상기 추가급수단계에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S537)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풀기단계(S535)의 진행을 위해,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회전축(54)과 상기 로터(53)가 분리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지점(P1)으로 이동해야 한다. 상기 제2배수단계(S537)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가속단계(S54)의 진행 중 진동감지부(6)가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55)를 진행한다. 상기 제2측정단계(S55)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상기 제2측정단계(S55)에서 측정된 제2진동 값을 기 설정된 제2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56)를 진행한다.
상기 제2진동 값이 상기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S71)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진동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과 교반기(4)의 회전을 중단하여 상기 탈수단계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종료하는 탈수중지단계(S60)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중지단계(S6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배수단계(S30)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탈수단계(S71)는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단계이고,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S71)의 진행 중 상기 배수부의 펌프(27)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하는 탈수배수단계(S75)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S71)의 진행 중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S73)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73)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측정된 탈수진동 값을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77)를 진행한다.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2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S80), 및 상기 제2탈수 RPM을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S90)를 진행한다. 상기 제2탈수단계(S90)는 기 설정된 탈수기간이 경과한 때 종료(S95)된다.
그러나,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을 종료(S60)한 뒤 상기 배수단계(S30)나 제1가속단계(S51)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을 종료(S531)한 뒤 상기 추가급수단계(S533), 포풀기단계(S535), 및 제2배수단계(S537)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속단계(S51)는 상기 제2배수단계(S537)의 완료 후 재개된다.
상기 제1기준 값, 제2기준 값, 및 탈수진동 기준 값은 상기 드럼(3)에 저장된 의류의 양(포량)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포량의 판단을 위해, 상기 제어방법은 포량판단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40)는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기 설정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2)에 공급된 전류량, 또는 상기 드럼(3)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2)에 공급된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기준 값, 제2기준 값, 및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S40)와 상기 제1진동 값을 상기 제1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53) 사이에 실행되는 기준 값 판단단계를 통해 각각 설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S40)는 상기 터브(2)에 물이 저장되지 않은 상태라면 어느 시점에나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량판단단계(S40)는 상기 급수단계(S10) 이전에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량판단단계(S40)는 상기 급수단계(S10) 이전 및 상기 배수단계(S30)의 완료 후 각각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급수단계(S10)는 상기 드럼(3)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된 기준수위까지 물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포량판단단계(S40)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S51)의 개시 전, 상기 제1RPM보다 낮게 설정된 RPM으로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분산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속단계(S50)의 개시 전 상기 드럼(3) 내부의 의류를 분산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기준 값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탈수기준 값은 가장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1기준 값은 가장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탈수단계(S50, S71, S80)가 진행될수록 상기 드럼(3)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고,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가 빨라질수록 미세한 회전관성(rotational inertia)의 변경(드럼의 회전축에 대한 질량의 분포가 대칭인 상태에서 비대칭인 상태로 변경)에도 드럼이 크게 진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를 상기 제2탈수 RPM으로 가속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탈수단계(S90)는 상기 드럼과 교반기가 제2탈수 RPM으로 가속되는 동안 측정된 제2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2탈수기준 값 이하인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2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을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S51)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S533)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 역시 급수단계(S10), 설정시간동안 진행되는 수류형성단계(S20, S25), 제1배수단계(S30), 포량판단단계(S40), 및 탈수단계(S50, S71, S80, S90)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단계(S10), 수류형성단계(S20, S25), 제1배수단계(S30), 및 포량판단단계(S40)는 도 5의 실시예에 구비된 각 단계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탈수단계는 기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드럼 및 교반기를 가속하는 가속단계(S50), 상기 드럼 및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S71), 상기 드럼 및 교반기를 제2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S80), 및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수를 제1탈수 RPM보다 큰 회전수로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가속단계는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제1RPM(제1탈수 RPM보다 작은 회전수로 설정됨)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S51), 상기 드럼과 교반기를 상기 제1RM보다 크게 설정된 P제2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S54), 상기 드럼과 교반기를 상기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3가속단계(S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 제2가속단계(S54), 및 제3가속단계(S57)의 진행 중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52), 제2측정단계(S55), 및 제3측정단계(S58)를 진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2가속단계(S54)는 상기 제1측정단계(S52)에서 측정된 제1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S53)인 때 개시되고, 상기 제3가속단계(S57)는 상기 제2측정단계(S55)에서 측정된 제2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인 때(S56) 개시되며, 상기 제1탈수단계(S71)는 상기 제3측정단계(S58)에서 측정된 제3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3기준 값 이하(S59)인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측정단계(S52)에서 측정된 제1진동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S531), 상기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제1추가급수단계(S533), 상기 교반기(4)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포풀기단계(S535), 및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에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제2배수단계(S537)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단계(S537)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측정단계(S55)에서 측정된 제2진동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가속단계(S54)를 종료하는 제2가속종료단계(S561), 상기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제2추가급수단계(S563), 상기 교반기(4)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포풀기단계(S565), 및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에서 공급된 물을 배수하는 제3배수단계(S567)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배수단계(S567)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측정단계(S58)에서 측정된 제3진동 값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과 교반기(4)의 회전을 중단하여 상기 탈수단계의 진행을 일시적으로 종료하는 탈수중지단계(S60)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중지단계(S60)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배수단계(S30)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상기 제3기준 값, 및 상기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의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기 제1기준 값, 제2기준 값, 제3기준 값, 및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S40)와 상기 제1진동 값을 상기 제1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53) 사이에 실행되는 기준 값 판단단계를 통해 각각 설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준 값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며, 상기 제3기준 값은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속단계(S51)에서 상기 제3가속단계(S57)를 향할수록 의류가 드럼 내부에 분산정도가 균일해지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S563)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533)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적게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상기 제2포풀기단계(S565)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4)의 작동시간, 회전수, 회전각도 등은 상기 제1포풀기단계(S535)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S4)의 작동시간, 회전수, 회전각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가속단계(S50)의 완료 후,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탈수단계(S71)를진행한다. 상기 제1탈수단계(S71)의 진행 중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탈수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S73) 및 탈수배수단계(S75)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73) 및 탈수배수단계(S75)는 도 5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73)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2탈수 RPM까지 가속한 뒤 설정시간 동안 유지한다(S80, S90, S95).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를 상기 제2탈수 RPM으로 가속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4측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탈수단계(S90)는 상기 제4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2탈수기준 값 이하인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제2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과 교반기의 회전을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S51)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S533)나 제2추가급수단계(S563) 중 어느 하나를 재개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와 도 6의 제어방법들은 상기 가속단계(S50)의 진행 중 여러 번에 걸쳐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의 크기에 따라 여러 번의 포풀기단계를 진행함으로써, 상기 제2탈수 RPM으로 가속되는 동안에만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종래 제어방법들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드럼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방법들을 통해 본 출원은 탈수시간의 단축 및 전력소비량의 최소화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본 출원의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5: 컨트롤패널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24: 급수관 29: 수위감지부 3: 드럼
4: 교반기 5: 구동부 51: 지지부
52: 스테이터 53: 로터 54: 제1회전축
541: 축 바디 543: 축 관통홀 545: 드럼 체결부
547: 제1축 기어 55: 제2회전축 551: 베어링
T: 동력 전달부 56: 스토퍼 561: 스토퍼 바디
563: 스토퍼 관통홀 565: 제1체결부 57: 고정부
571: 고정바디 573: 제2체결부 575: 제2축 기어
58: 클러치 581: 클러치 바디 583: 클러치 제1체결부
585: 클러치 제2체결부 587: 클러치 관통홀 589: 클러치 기어
59a: 모터 59b: 동력변환부 591: 모터회전축
592: 회전판 593: 연결 바 594: 절곡홈
595: 피스톤 596: 하우징 597: 작동 바
598: 바 회전축 6: 진동감지부

Claims (19)

  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및 상기 터브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진행하는 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2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탈수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및 상기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의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준 값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고,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2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배수단계, 상기 포량판단단계, 및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량판단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제1RPM보다 낮게 설정된 RPM으로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의 의류를 분산하는 분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단계는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탈수단계를 종료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상기 탈수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탈수단계의 종료 후 상기 추가급수단계, 상기 포풀기단계, 및 상기 제2배수단계를 순차적으로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및 상기 터브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수류형성단계;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배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2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1탈수 RPM까지 가속하는 제3가속단계;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기 설정된 제3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1탈수단계; 및
    상기 제1탈수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탈수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탈수 RPM보다 크게 설정된 제2탈수 RPM으로 유지하는 제2탈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1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1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1추가급수단계;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1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2배수단계;를 진행하고,
    상기 제2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2가속단계를 종료하는 제2가속종료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제2추가급수단계;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제2포풀기단계; 및 상기 터브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3배수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속단계는 상기 제2배수단계의 완료된 때, 또는 상기 제3배수단계가 완료된 때 재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가급수단계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제2추가급수단계에서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보다 많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작동시간은 상기 제2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작동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는 상기 제2포풀기단계에 설정된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3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가속단계의 진행 중 측정된 상기 드럼의 진동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3가속단계를 중단한 뒤 상기 제1배수단계, 및 상기 제1가속단계를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배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제1가속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에 저장된 의류의 양을 측정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상기 제3기준 값, 및 상기 탈수기준 값은 상기 포량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의류의 양에 근거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00011179A 2020-01-30 2020-01-3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97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79A KR20210097456A (ko) 2020-01-30 2020-01-3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79A KR20210097456A (ko) 2020-01-30 2020-01-3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456A true KR20210097456A (ko) 2021-08-09

Family

ID=7731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79A KR20210097456A (ko) 2020-01-30 2020-01-30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9394A1 (en) * 2020-08-14 2022-02-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49394A1 (en) * 2020-08-14 2022-02-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7778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3290561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EP2480711B1 (en)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US759682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191484B2 (en) Laundry appliance
EP1776498A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994987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23660A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U2018244670B2 (en)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ying i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KR2021009745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U201733858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1009745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23539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97457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11230804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KR20200144820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및 세탁기
US11725323B2 (en) Wash article entrapment detection for laundry washing machines
JPH10272285A (ja) 洗濯機
RU2507327C1 (ru) Стиральная машин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JP7252534B2 (ja) 脱水機
KR20180041383A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JPH10201987A (ja) 洗濯機
KR20240092839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5752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11091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