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005A -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005A
KR20210091005A KR1020200004489A KR20200004489A KR20210091005A KR 20210091005 A KR20210091005 A KR 20210091005A KR 1020200004489 A KR1020200004489 A KR 1020200004489A KR 20200004489 A KR20200004489 A KR 20200004489A KR 20210091005 A KR20210091005 A KR 20210091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beacon
gate
termi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규
김세한
정재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04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1005A/ko
Publication of KR20210091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68Marker, boundary, call-sign, or like beacons transmitting signals not carrying direc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인증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주변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출입 인가 여부를 확인한 후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Workers and Visi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spread of livestock epidemic}
본 발명은 가축의 구제역 예방 및 구제역 발생시 초동 대응을 위해 Beacon(Bluetooth Low Energy: BLE)과 다양한 센서, UWB(Ultra Wide Band; UWB), 그리고 RF 식별 정보 기술을 융합한 농장 출입자 관리 시스템과 그 운용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농장으로 출입하는 방문자와 작업자들을 실시간으로 관리함으로써, 인근 축사에서의 구제역 발생이 발생했을 때 확산을 막기 위한 기술이다.
구제역은 소, 돼지 등의 우제류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으로서 구제역이 발생하면 살처분 등 질병 방제 비용, 생산성 감소, 그리고 축산물의 교역 제한 등으로 막대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의 선진국가에서는 구제역에 대한 초동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초기에 박멸함으로써 청정국의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의 일부 국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
이러한 가축방역당국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구제역이 발생하여 수 십만 마리가 살처분 되고 있고, 전국의 가축에 대해 구제역 예방백신이 접종되고 있다.
구제역은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서 축산물의 국제 교역을 제한할 정도로 경제, 사회적으로 매우 중요한 질병이기 때문에 국내에서도 구제역에 대한 효과적인 방지책을 마련하여, 국제적인 축산 관리 위상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제역 발생을 조기에 진단하고 확산을 원천 봉쇄함으로써 국민이 믿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 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실시간 축사 출입관리 및 방문자와 작업자의 동선 관리 기술이 반드시 필요하다.
구제역은 다양한 방법으로 축사, 농장, 지역 사이에 전파될 수 있다. 구제역의 대표적인 전파경로는 오염된 축산물 및 가축이 새로 유입되거나 또는 오염원과의 직/간접 접촉이다.
그러므로 오염된 축산물 및 가축이 청정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은 구제역 전파의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가축간 구제역 전파는 공기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축 관리자, 폐기물, 가축의 이동 등에 의해서 전파되기도 한다.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구제역의 확산 원인으로 다양한 원인이 추정되고 있으나, 노동자, 농장주 및 축산관련 산업종사자 들의 직/간접적인 접촉에 의한 전파가 가장 클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의 전염병인 구제역 발생은 사회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사전 예방, 방역 및 초동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은 구제역 청정 지역에서는 노동자, 농장주 및 축산관련 산업종사자의 출입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입되는 축산 관련 장비 및 노동자 착용 위생 물품(방역복, 마스크, 장갑, 부츠 등)을 관리하여 노동자 또는 출입자가 허가된 물품 만을 착용했을 때, 출입을 허가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시 출입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Wearable)형 센싱 장치를 이용하여 축사 작업 환경의 위해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축사 내에서 작업자의 작업 위치 및 작업 시간을 관리하여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초동 대응을 신속히 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은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인증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주변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출입 인가 여부를 확인한 후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게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되고,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서버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하면, 해당 단말의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비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하여 방문자인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상기 게이트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방문자의 위생을 관리하기 위한 방역 장비에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비콘 통신을 통해 출입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비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출입자가 방문자인 경우, 출입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에 구비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방역 장비 착용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웨어러블 단말은, 비콘 통신 모듈, UWB 모듈, 환경 정보 수집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되고, 온도 센서, 습도 센서, CO2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게이트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게이트는, 게이트에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게이트 감시 카메라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과 상기 건축물의 구조물의 통로 종단에는, 광대역의 펄스를 송/수신하는 UWB 송/수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웨어러블 단말을 착용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은 구제역 예방을 위한 농장 출입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 의해,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게이트에 의해, 수신된 비콘 응답 신호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게이트를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이면, 게이트의 출입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입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등록하여 인증한다.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방문자 단말의 비콘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인증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방역을 위해, 방문자가 착용해야 하는 방역 장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와 방역 장비 조합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 조합을 등록한다.
반면에,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출입자가 방문자이면, 게이트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방문자의 방역 장비의 착용 여부를 검출하여 방문자의 출입 허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만약, 게이트에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상기 게이트의 게이트 감시 카메라에 의해,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출입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환경 정보 수집 센서에 의해, 온도, 습도, CO2와 같은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게이트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소독방법은 게이트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방문자 단말을 인증하여 방문자인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출입자가 방문자이면, 출입자가 방문자임이 확인된 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방역 장비 세트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식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통해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 세트가 소독이 완료된 장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 세트가 소독된 장비이면, 방문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이면, 인증된 출입자가 출입하도록 허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소독 장비에 의해, 소독하고자 하는 방역 장비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인식한 후 방역 장비를 소독하는 단계; 및 소독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자 또는 작업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비콘(BLE)과 UWB 기술, 그리고 센서 기술을 이용하여 구제역이 발생할 수 없는 청정한 농장 또는 축사를 유지함으로써 구제역 발생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근 농장 또는 축사에서 구제역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초동 방역 및 대응 할 수 있어서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2는 도 1의 게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3은 도 1의 방문자 단말과 웨어러블 단말의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의 방역 장치 착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의 방역 장치 착용 여부 판단을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역 장비의 소독 관리를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농가 또는 축사의 출입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0은 작업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11은 돈사 작업자의 위치 추적 및 돈사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은 웨어러블 단말(100), 관리 서버(200) 및 게이트(300)를 포함한다.
웨어러블 단말(100)은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웨어러블 단말(100)은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기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웨어러블 단말(100)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인증하여 저장 관리한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하여 방문자 단말의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를 인증을 수행하면, 해당 단말의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등록한다. 이러한 관리 서버(200)는 클라우드 서버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관리 서버(200)는 게이트(300)로부터 비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방문자인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게이트(300)로 제공한다.
그리고 게이트(300)는 농장 또는 축사의 입구에 설치되어, 입출입자를 인증 및 제한하는 것으로, 비콘 통신 모듈(310)을 구비하여 주변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출입 인가 여부를 확인한 후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인가한다.
이러한, 게이트(300)는 농장 또는 축사 내부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311)과 연동될 수 있다. 비콘 통신 모듈(311)은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일 실시예에서는 비콘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게이트(30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모듈 신호를 방문자 단말(110)이 수신하면, 수신한 비콘 모듈 신호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그 방문자의 위치 정보를 별도의 이동통신 방식으로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방문자의 위생을 관리하기 위한 방역 장비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400)이 구비된다.
이에, 게이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콘 통신을 통해 출입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비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출입자가 방문자인 경우, 출입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400)을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RF식별 정보 태그 정보)를 근거리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하고, 그 수신된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의 조합을 관리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시 출입자 또는 방문자가 농장 또는 축사를 출입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축사의 건축물에 구비된 비콘 통신모듈들(311-1 내지 311-n)과 게이트(300)에 구비된 비콘 통신 모듈(310)과 방문자 단말(110) 또는 웨어러블 단말(100)에 구비된 비콘 통신 모듈(101)간 비콘 신호 통신을 통해 출입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판단하여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인지 방문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콘 통신 모듈은 웨어러블 단말(100), 게이트(300) 및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110)에 구비될 수 있고, 방문자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농장 또는 축사의 적정한 구조물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농장 또는 축사에 방문하는 방문자(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소유의 방문자 단말(110)에 방문 농장의 인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112, APP.)을 설치한 후 무선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후 방문자(1)는 방문자 단말(110)을 소지한 상태에서 비콘 통신 모듈(101)을 통해 게이트(300)의 인증을 수행한 후 출입할 수 있다. 즉, 방문자(1)가 농장 어플리케이션(112)을 설치하지 않으면 농장 출입이 제한된다.
한편, 어플리케이션(112)을 설치한 방문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300)를 통해 출입 인증을 받게 되고, 적절한 농장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311-1 내지 311-n)의 송신 신호에 의해 대략적인 이동 경로가 추적된다.
한편,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311-1 내지 311-n)는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고 있기 때문에, 출입자가 비콘 통신 모듈(311-1 내지 311-n)의 인식 반경에 들어오게 될 경우, 출입자가 현재 위치를 이동하고 있다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방문자가 농장 또는 축사에 출입하기 위해 착용해야 하는 방역복 및 위생 물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자의 신원이 방문자로 확인되는 경우, 방문자는 RF 식별 정보 태그인 근거리 통신 모듈(400)이 부착된 방역복 및 위생 물품을 착용한 후 출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농장 또는 축사 출입자(46)는 농장 사무실(40)에서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농장 직원과 대면하게 된다. 농장 직원은 관리 서버(200)를 통해 출입자(46)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출입자의 신원은 관리 서버(200)의 인증된 정보와 비교하여 출입자의 인가, 비인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출입자(46)가 인가된 출입자이면 농장 직원은 방역물품인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를 방문자에게 지급한다.
여기서,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400)인 RF식별 정보 태그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는 규정된 절차에 의해서 소독된 상태이기 때문에 최상의 청결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출입자(46)은 RF식별 정보 태그(400)가 부착된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와 같은 방역 세트를 입어야지만 농장 또는 축사에 들어갈 수 있다.
규정된 절차에 의해서 소독되고, RF식별 정보 태그가 부착된 방역 세트 (61)를 입은 작업자가 단위 축사에 출입하기 위해서는 게이트(300)를 통과해야 한다. 게이트(300)는 출입자가 입고 있는 방역 세트(방역복, 방역 장갑, 마스크, 방역 부츠)의 구비된 RF식별 정보 태그 정보를 인식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에서는 출입자가 입고 있는 복장이 규정된 복장인지를 판단하고, 인가된 출입자인지 비인가 출입자인지를 판단하여 게이트(300)에 인가 결과 정보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200)의 인가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게이트(300)는 출입자 출입을 제한하거나 또는 허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를 착용한 출입자(46)는 농장 내에서 용무를 마치면 다시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를 반납한다.
한편, 사용한 방역복(50), 방역 장갑(51), 마스크(52), 방역 부츠(5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소독 장비(500) 또는 소독 장소에서 소독이 이루어진다.
이때, 소독 장비(500)는 각 방역 장비를 소독한 후 그 정보를 관리 서버(20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소독 장비(500)는 각 방역 장비에 구비된 RF 식별 정보 태그(400)를 식별할 수 있도록, RF 식별 정보 리더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소독 장비(500)는 RF 식별 정보 리더기를 통해 각 방역 장비를 식별하여 관리 서버(200)에 해당 방역 장비의 소독 여부 결과를 저장한다.
이러한, 방역 장비의 소독 여부 결과를 관리 서버(200)에서 저장하고 있음에 따라, 게이트(300)는 단순히 방문자가 방역 장비를 착용한 상태이지만을 판단하는 것에 더하여 방역 장비의 소독 여부를 자동을 판단하여 출입 인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방역 관리를 제공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농가 또는 축사의 출입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게이트(300)가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임을 검출하는 경우,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는 게이트 감시 카메라(3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돈사 작업자는 돈사(68)를 상시로 출입하는 사람으로서, 소독이 되어 있는 청결한 복장을 항상 착용하고, 작업을 하기 때문에 별도의 방역복을 착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돈사 작업자는 웨어러블 단말(100)을 착용한 상태로 돈사(68)에 출입한다.
이에, 웨어러블 단말(100)에는 작업자의 동선 확인을 위한 비콘 통신 모듈(101)과 UWB 모듈(102), 그리고 돈사 환경 정보 수집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100)을 착용한 작업자(62)가 돈사 출입 게이트(63)에 근접하면, 돈사 게이트(300)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310)에 의해 작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돈사 게이트(300)에 설치된 게이트 개폐 센서에 의해 작업자의 돈사 진입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돈사(68)로 진입한 작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이 게이트 감시 카메라(330)에 의해 해당 출입자를 촬영하고, 그 해당 영상이 농장 서버(200)로 전송된다.
도 9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단말(100)은 UWB 모듈과 환경 정보 수집을 위한 다양한 환경 센서(103, 104, 105)들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웨어러블 단말(100)은 온도 센서(103), 습도 센서(104), CO2 센서(105)와 같은 환경 센서들을 통해 환경 정보를 획득하면 그 환경 정보들을 무선으로 관리 서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웨어러블 단말(100)과 농가 또는 축사의 건축 구조물의 통로 종단에는 광대역의 펄스를 송/수신하는 UWB 송/수신 모듈(102)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UWB 송/수신 모듈(102)은 웨어러블 단말(100)을 착용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이에, 돈사 작업자는 반드시 웨어러블 단말(100)을 착용해야 한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단말(100)은 온도 센서(103), 습도 센서(104), CO2 센서(105)를 포함하는 환경 센서가 구비되고, 작업자의 동선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비콘 통신 모듈(101)과 UWB 모듈(102)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관리자는 돈사와 돈방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과 UWB 모듈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의 작업 위치와 작업 시간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를 통해 제공되는 돈사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돈사 작업자의 위치 추적 및 돈사 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도이다.
돈사와 돈방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과 UWB 모듈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인식 영역(111)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신된 신호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작업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센서(103), 습도 센서(104), CO2 센서(105)는 돈사 내의 작업자 위치에서의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게이트(170)로 전송한다. 게이트(300)는 관리 서버(200)에 수집된 센싱 정보를 전송하고, 관리 서버(200)는 수집된 센싱 정보를 기반으로 돈사 내의 환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돈사(90)에는 여러 개의 돈방(95)로 구성된다.
하나의 돈사(90)는 비콘 통신 모듈(310)과 카메라(330)를 구비한 게이트(300)에 의해 출입자의 출입이 엄격히 관리됨으로써, 인가된 작업자 만이 돈사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이러한 돈사(90)에 들어온 작업자는 작업 경로(160)로 이동하면서 가축 관리를 한다. 작업자는 규정된 웨어러블 단말(100)를 착용하고 가축 관리를 한다. 웨어러블 단말(100)에는 작업자의 위치 파악을 위한 비콘 통신 모듈과 UWB 모듈이 장착되어 있고, 돈사 내의 작업자 통로 끝 단에는 UWB 송신 모듈(190, 191, 19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UWB 송신 모듈(190, 191, 192)은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중계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UWB 모듈은 광대역의 펄스를 송/수신하여, 웨어러블 단말(100)을 착용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의 웨어러블 단말(100) 내의 온도 센서, 습도 센서, CO2 센서 정보가 무선으로 게이트(300) 또는 UWB 송신 모듈(190, 191, 192) 및 비콘 통신 모듈(320)을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이렇게 수집된 센싱 정보는 관리 서버(200)에서 작업하고 있는 영역의 환경 정보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작업자의 이동 정보는 작업자가 다른 작업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단말(100)의 비콘 통신 모듈(101)과 UWB 모듈(102)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이동 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실시간으로 변하는 작업자의 작업 위치에 대한 환경 정보가 웨어러블 단말(100)에 의해 수집 되고, 수집된 정보는 실시간으로 관리 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 모니터(180)로 확인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비콘 통신 기술(BLE), UWB 기술 그리고 센서 기술을 융합하여, 구제역 균이 농가 또는 축사로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구제역에 대한 초동 대응 시스템을 신속하게 가동하여 구제역 확산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에 대하여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관리 서버(200)에 의해,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한다(S100).
이후,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검출한다(S200).
이어서, 게이트에 의해, 수신된 비콘 응답 신호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게이트를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한다(S300).
만약,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이면(YES), 게이트(300)에 의해 출입을 허가한다(S400).
여기서,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0)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입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등록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0)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11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상기 관리 서버(200)에 접속하여 방문자 단말의 비콘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100)는 방역을 위해, 방문자가 착용해야 하는 방역 장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와 방역 장비 조합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 조합을 등록한다.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00)에서 출입자가 방문자이면(NO), 게이트(300)에 의해, 방문자의 방역 장비의 착용 여부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검출하여 방문자의 출입 인가를 결정한다(S5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은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일 실시예에서는 비콘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게이트(300)에서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모듈 신호를 방문자 단말(110)이 수신하면, 수신한 비콘 모듈 신호를 이용하여 방문자의 위치 정보를 판단하고, 그 방문자의 위치 정보를 별도의 이동통신 방식으로 관리 서버(200)에 제공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뿐만 아니라, 게이트에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상기 게이트의 감시 카메라에 의해,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출입자를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환경 정보 수집 센서에 의해, 온도, 습도, CO2와 같은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게이트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수신하는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단말;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인증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 서버; 및
    상기 비콘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주변에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상기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출입 인가 여부를 확인한 후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하는 게이트를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되고,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중계기를 더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접속하여 인증을 수행하면, 해당 단말의 비콘 신호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비콘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그 비콘 신호의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확인하여 방문자인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한 후 그 결과를 상기 게이트로 제공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방문자의 위생을 관리하기 위한 방역 장비에 구비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는,
    상기 비콘 통신을 통해 출입 인가 여부를 판단하되, 비콘 통신을 통해 인증된 출입자가 방문자인 경우, 출입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에 구비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출입자의 방역 장비 착용 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출입자의 출입 허용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은,
    비콘 통신 모듈, UWB 모듈, 환경 정보 수집을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구비된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은,
    온도 센서, 습도 센서, CO2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게이트로 전송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비콘 통신 모듈로부터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모듈 신호를 수신하는 방문자 단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자 단말은,
    비콘별 아이디를 이용하여 해당 비콘 통신 모듈의 영역에 진입했다고 판단되면, 별도의 이동통신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방문자의 위치를 제공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는,
    게이트에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는 게이트 감시 카메라가 더 포함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과 상기 건축물의 구조물의 통로 종단에는,
    광대역의 펄스를 송/수신하는 UWB 송/수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웨어러블 단말을 착용한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10. 구제역 예방을 위한 농장 출입자 관리 방법에 있어서,
    관리 서버에 의해,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수신되는 비콘 응답 신호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게이트에 의해, 수신된 비콘 응답 신호의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에 등록된 식별 정보와 비교하여 게이트를 출입하고자 하는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이면, 게이트의 출입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관리자 단말을 통해, 출입자가 착용하는 웨어러블 단말의 비콘 신호 식별 정보를 등록하여 인증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방문자의 방문자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방문자가 상기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방문자 단말의 비콘 통신 모듈의 식별 정보를 인증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출입자의 단말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방역을 위해, 방문자가 착용해야 하는 방역 장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와 방역 장비 조합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식별 정보 조합을 등록하는 것인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출입자가 방문자이면, 게이트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방문자의 방역 장비의 착용 여부를 검출하여 방문자의 출입 허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5. 제 10항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물에 설치된 비콘 통신 모듈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를 송신한 후 응답하는 비콘 신호를 통해 출입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게이트에 진입하는 출입자가 인증 받지 않은 비정상 작업자일 경우, 상기 게이트의 게이트 감시 카메라에 의해, 출입을 시도한 출입자의 출입 영상을 상기 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출입자를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단말의 환경 정보 수집 센서에 의해, 온도, 습도, CO2와 같은 환경 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게이트로 전송하여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8. 게이트에 의해, 소정의 송신 반경을 갖는 비콘 신호의 송수신을 통해 방문자 단말을 인증하여 출입자가 방문자인지 상시 출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출입자가 방문자이면, 출입자가 방문자임이 확인된 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방역 장비 세트 상태인지를 인식하는 단계;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인식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통해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 세트가 소독이 완료된 장비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방문자가 착용한 방역 장비 세트가 소독된 장비이면, 방문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을 허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단계에서, 출입자가 상시 출입자이면, 인증된 출입자가 출입하도록 허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소독 장비에 의해,
    소독하고자 하는 방역 장비의 근거리 통신 모듈을 인식한 후 방역 장비를 소독하는 단계; 및
    소독한 방역 장비의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방법.
KR1020200004489A 2020-01-13 2020-01-13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91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89A KR20210091005A (ko) 2020-01-13 2020-01-13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489A KR20210091005A (ko) 2020-01-13 2020-01-13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005A true KR20210091005A (ko) 2021-07-21

Family

ID=7714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89A KR20210091005A (ko) 2020-01-13 2020-01-13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10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330A1 (zh) * 2022-08-04 2024-02-08 深圳市震有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的实时监控方法及相关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330A1 (zh) * 2022-08-04 2024-02-08 深圳市震有智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用户行为的实时监控方法及相关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373B1 (ko) 방역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321982B2 (en) Livestock biosecurity system and method of use
CN115943466A (zh) 用于减少疾病在建筑物中传播的风险的方法和***
CN112489272A (zh) 一种专用于园区的智能安防控制***
CN113808309A (zh) 用于维持健康建筑物的方法和***
KR102162943B1 (ko) 워크스루 열화상 체온 측정 시스템
KR101941527B1 (ko) 가축질병예방을 위한 스마트축산차량방역시스템
JP2017536587A5 (ko)
CN105518749A (zh) 控制和监视限制区域通行的***及方法
JP2006311111A (ja) 位置検知システムおよび位置検知方法
JPWO2008152897A1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CN109800715B (zh) 一种基于物联网的出入园区监控方法及***
JP5441749B2 (ja) 警備システム
KR20210091005A (ko) 가축 전염병 전파 예방을 위한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3007A (ko) 축산농가 출입통제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96002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비대면 출입 관리 키오스크 및 이를 구비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TWI414269B (zh) Access Control System and Its Method for Physiological Signal Abnormal Notification
KR101946306B1 (ko) 출입구 관제 시스템
CN109314859B (zh) 用于安全控制的方法、装置和***
KR102225707B1 (ko) 가축 축산물 질병 확산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332185B1 (ko) 다수 사용자 출입 가능 시설에 관한 비대면 방식의 방역 조치를 지원할 수 있는 방역 게이트 시스템
KR20210116780A (ko) 하이브리드 실내 위치 정보와 생체인식을 이용한 감영병 확산 방지 자가격리 관리 시스템
KR20220054982A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축사 관리 시스템
KR20220062187A (ko) 비접촉체온센서를 이용한 출입통제장치
EP4120211A1 (en) Integrated security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es and transits in a restricted access area, and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