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8105A -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8105A
KR20210088105A KR1020200001211A KR20200001211A KR20210088105A KR 20210088105 A KR20210088105 A KR 20210088105A KR 1020200001211 A KR1020200001211 A KR 1020200001211A KR 20200001211 A KR20200001211 A KR 20200001211A KR 20210088105 A KR20210088105 A KR 20210088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food
discharge
grind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희태
하경준
Original Assignee
윤희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희태 filed Critical 윤희태
Priority to KR102020000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8105A/ko
Publication of KR20210088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3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04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5/00Disintegrating by milling members in the form of rollers or balls co-operating with rings or discs
    • B02C15/08Mills with balls or rollers centrifugally forc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a ring, the balls or rollers of which are driven by a centrally arranged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40Treatment of liquids or slur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쇄하고 탈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단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내에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가이드하여, 회전에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되는 음식물을 문질러 갈아내는 분쇄부(20); 상기 분쇄부(20)의 하단에서 갈려진 음식물을 압박하여 액즙을 추출하고, 착즙이 완료된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부(30); 상기 액즙부(30)의 하단으로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여 설정 수위의 상등액만 외부로 배출하고, 침전물은 액상비료로 분해시키는 배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자동처리장치{Food Waste Automatic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쇄하고 탈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교적 콤팩트하고 실용성이 우수한 본체부의 구조를 적용하여 공간연출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고, 맷돌방식의 분쇄부를 적용하여 저속에서도 대량의 음식물을 균일한 미립자로 신속하게 분쇄할 수 있으며, 스크루 착즙방식의 액즙부를 적용하여 액즙의 추출과 건더기의 배출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하수처리방식의 구조가 적용된 배출부가 추출된 액즙을 여과 배출하고 잔류하는 침전물을 액즙상태로 분해시킴으로써 전반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부피가 크고 많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를 동반하고 있어 처리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해 통상 음식물 쓰레기 저장용기나 쓰레기봉투에 일정기간 동안 모아서 배출시켜야만 하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 등으로 인해 심한 악취 발생 및 세균의 온상이 되고 있어 청결해야 할 주방을 더럽히고 자원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로 되고 있다.
예컨대,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의 처리 없이 소각하거나 매립할 경우에는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어 폐기물 관리법에 의해 전국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이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각 가정과 음식점에서는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시급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기존에 음식물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분쇄한 다음, 분쇄된 음식물을 압착 또는 고속으로 회전시켜 액과 건더기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를 믹서기와 같이 회전하는 칼날로 분쇄하는 구조와 함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스크루 압박이송에 의한 착즙 또는 회전하는 드럼의 원심력으로 탈수시켜 액과 건더기를 분리하는 구조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칼날에 의한 분쇄는 고속회전이 요구됨에 따라 소음과 발열이 높게 발생할 수밖에 없어 가정에서 사용하기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크루나 드럼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액즙과 건더기를 분리하더라도 순수 액즙만으로 추출이 불가능함에 따라 액즙에 함유된 불순입자로 인해 폐기물관리법에 저촉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88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비교적 콤팩트하고 실용성이 우수한 본체부의 구조를 적용하여 공간연출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맷돌방식의 분쇄부를 적용하여 저속에서도 대량의 음식물을 균일한 미립자로 신속하게 분쇄할 수 있고, 저소음으로 인해 식당은 물론 가정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루 착즙방식의 액즙부를 적용하여 액즙의 추출과 건더기의 배출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방식의 구조가 적용된 배출부가 추출된 액즙을 여과 배출하고 잔류하는 침전물을 액즙상태로 분해시킴으로써 전반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단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가 마련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에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가이드하여, 회전에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되는 음식물을 문질러 갈아내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의 하단에서 갈려진 음식물을 압박하여 액즙을 추출하고, 착즙이 완료된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부; 상기 액즙부의 하단으로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여 설정 수위의 상등액만 외부로 배출하고, 침전물은 액상비료로 분해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부는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함형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낙하를 안내하는 호퍼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부착되어 바닥을 지지하며 구름 운동하는 캐스터와, 상기 케이스의 외면에 파지 가능한 깊이로 함몰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와, 상기 케이스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어 통로를 개폐시키는 덮개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덮개는 통로 내부를 투영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덮개의 저면에 호퍼와 맞물려 내부를 밀폐하는 기밀판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본체부는 케이스의 상측 내부에 덮개의 힌지와 연결되는 덮개축과, 상기 덮개축과 연결되어 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의 개폐작동을 부가하는 덮개모터와, 상기 힌지에 부착되어 덮개의 개폐시점을 검출하는 덮개센서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부는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키는 분쇄호퍼와, 상기 분쇄호퍼의 하단에 연통되게 배치되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분쇄판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면으로 분쇄판의 외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되는 맷돌링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저면에 마련된 통로와 연통되게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슈트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 중앙에 배치되어 분쇄판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분쇄모터와, 상기 분쇄판과 분쇄모터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커플링과,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단 일측에 배치되어 분쇄커플링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분쇄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호퍼는 상단에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절곡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키는 안내날개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날개와 대향하는 외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정노즐이 구성되어 신호에 따라 토출되는 세정액이 안내날개의 외면을 따라 하향을 향해 사방으로 비산되어 잔류하는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판은 상단 중앙에 낙하되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수평면과, 상기 수평면의 외측에 음식물을 자중에 의해 가장자리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배면으로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판은 수직하는 외면에 역회전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곡률반경으로 함몰되어 음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맷돌링의 내면으로 문질러 갈아내는 분쇄홈이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맷돌링은 분쇄판을 포용하는 높이를 가지고, 내면에 상부 대비 하부 폭이 좁은 맷돌날이 설정 간격마다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맷돌날 사이로 투입된 음식물을 절단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맷돌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맷돌링은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분쇄판의 가장자리에 쌓여 회전하는 음식물의 이동을 저지시켜 맷돌홈에 삽입을 유도하는 안내블록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판은 구배면에 음식물을 절단하는 칼날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칼날자리가 형성되고, 저면에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분쇄슈트로 모아 이동시키는 스크래퍼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분쇄부는 분쇄홈과 맷돌홈이 서로 마주하는 순간 개구범위가 확장되어 음식물이 투입되고, 분쇄판의 회전으로 분쇄홈과 맷돌홈이 서로 어긋나면서 삽입된 음식물이 맷돌날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갈려져 하부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액즙부는 갈려진 음식물을 수용하는 액즙함과, 상기 액즙함의 중단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건더기를 걸러 액즙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타공판과, 상기 액즙함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타공판에 걸러진 건더기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루와, 상기 액즙함의 전방에 스크루가 수용되게 부착되어 이송되는 건더기를 가로막아 액즙이 추출되게 단부가 유선형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일단에 부착되어 스크루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감하는 커버와, 상기 스크루의 단부와 커버 사이에 개재되어 건더기의 압박정도에 따라 전방으로 벌려져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통형 고무패킹과, 상기 액즙함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크루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액즙모터와, 상기 스크루와 액즙모터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즙커플링과, 상기 액즙함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어 액즙커플링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액즙센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액즙함은 저부에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낙하되는 액즙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욕조와, 상기 액즙욕조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스의 연결을 유도하는 액즙플랜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고무패킹은 파이프와 커버에 결속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건더기가 압착되는 압박대와, 상기 압박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스크루의 단부에 밀착되는 기밀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대에 기준 압력 보다 초과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가 팽창하며 기밀대를 외측으로 벌려 스크루 단부 사이의 틈을 개방하고, 기준 압력 보다 미만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가 복원되면서 기밀대를 내측으로 오므려 틈을 폐쇄하는 작용에 의해 건더기를 자동으로 연속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배출부는 액즙부의 하단에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는 배출탱크와, 상기 배출탱크내에 소정 높이로 배치되어 내부를 분해조와 배출조로 구획시키는 배출격판과, 상기 배출탱크의 상단에 분해조와 연통되어 액즙부와 호스로 연결되는 배출플랜지와, 상기 배출탱크의 일측 하단에 배출조와 연통되어 본체부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튜브와, 상기 본체부내에 배출탱크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액상비료를 분해조로 공급하는 비료탱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배출격판은 ㄱ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배출탱크의 내부면적 중 분해조 대비 배출조가 25~30%의 면적으로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설정 수위지점에 분해조에 저장되는 액즙의 찌꺼기를 여과하여 배출조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여과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배출부는 분해조에 저장된 액즙 중 액상보다 무거운 찌꺼기는 바닥에 침전되고, 설정 수위의 상등액은 여과구멍을 거쳐 배출조와 배출튜브로 배출되되, 상기 배출부는 음식물의 처리량에 따라 설정 주기 또는 수동신호에 의해 비료탱크의 액상비료를 분해조에 공급하여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액상으로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콤팩트하고 실용성이 우수한 본체부의 구조를 적용하여 공간연출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맷돌방식의 분쇄부를 적용하여 저속에서도 대량의 음식물을 균일한 미립자로 신속하게 분쇄할 수 있고, 저소음으로 인해 식당은 물론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루 착즙방식의 액즙부를 적용하여 액즙의 추출과 건더기의 배출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수처리방식의 구조가 적용된 배출부가 추출된 액즙을 여과 배출하고 잔류하는 침전물을 액즙상태로 분해시킴으로써 전반적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투영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처리장치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처리장치의 본체부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분쇄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맷돌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즙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즙부의 요부를 절개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즙부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즙부가 건더기를 배출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요부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가 액즙을 배출하고 분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쇄하고 탈수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처럼 본체부(10)와 분쇄부(20) 및 액즙부(30)와 배출부(4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 처리장치이다.
본체부(10)는 도 1처럼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단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가 마련된다. 이러한 본체부(10)는 도 2 및 도 3처럼 케이스(11), 호퍼(12), 캐스터(13), 손잡이(14), 덮개(15)로 구성된다.
케이스(11)는 원형 또는 각형 단면의 함체형으로 형성되고,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다. 여기서 케이스(11)는 상단에 음식물이 투입되게 개구된 통로가 형성된다.
호퍼(12)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낙하를 안내한다. 즉, 호퍼(12)는 분쇄부(20)와 연통되게 부착되어 통로에 투입되는 음식물을 분쇄부(20)로 안내한다.
캐스터(13)는 케이스(11)의 하단에 복수로 부착되어 바닥을 지지하며 구름 운동한다. 이러한 캐스터(13)는 원하는 장소로 신속 간편한 이동을 제공해준다.
여기서 캐스터(13)는 이동된 장소에서 외부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바퀴의 잠금 기능이나 바닥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고정다리가 복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14)는 케이스(11)의 외면에 파지 가능한 깊이로 함몰되어 운반을 유도한다. 이러한 손잡이(14)는 사용자의 손을 보호하기 위해 내면으로 연질의 고무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덮개(15)는 케이스(11)의 상단에 힌지(H) 결합되어 통로를 개폐시킨다. 즉, 덮개(15)는 케이스(11)의 양측에 힌지(H) 결합되어 힌지(H)를 기점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덮개(15)는 통로 내부를 투영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유리나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통로와 연통되게 배치된 분쇄부(20)를 육안으로 점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덮개(15)의 저면에는 호퍼(12)와 맞물려 내부를 밀폐하는 기밀판(16)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밀판(16)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되어 덮개(15)가 폐쇄된 상태에서 통로를 밀폐시켜 음식물 냄새를 차단해준다.
이때, 본체부(10)는 스위치의 온오프만으로 덮개(15)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개폐유닛은 도 4와 같이 덮개축(17), 덮개모터(18), 덮개센서(19)로 구성된다.
덮개축(17)은 케이스(11)의 상측 내부에 덮개(15)의 힌지(H)와 연결되고, 덮개모터(18)는 덮개축(17)과 연결되어 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15)의 개폐작동을 부가한다. 그리고 덮개센서(19)는 힌지(H)에 부착되어 덮개(15)의 개폐시점을 검출한다.
여기서 덮개축(17)에는 덮개센서(19)와 마주하는 위치에 검출판이 부착된다. 즉, 덮개센서(19)는 검출판의 감지유무에 따라 덮개(15)의 완전 개방과 완전 폐쇄시점을 감지하여 덮개모터(18)의 작동을 단속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분쇄부(20)는 도 1 및 도 5처럼 본체부(10)에 내장되어 통로에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가이드하여, 회전에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되는 음식물을 문질러 미립자로 갈아낸다.
이러한 분쇄부(20)는 도 6과 같이 분쇄호퍼(21), 외부케이스(22), 분쇄판(23), 맷돌링(24), 분쇄슈트(25), 분쇄모터(26), 분쇄커플링(27), 분쇄센서(28)로 구성된다.
분쇄호퍼(21)는 호퍼(12)에 하단에 부착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킨다. 여기서 분쇄호퍼(21)는 상단에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절곡되는 안내날개(2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날개(21a)와 대향하는 외면에 복수의 세정노즐(21b)이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즉, 안내날개(21a)는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판(23)의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켜주고, 세정노즐(21b)은 신호에 따라 세정액을 토출시켜 분쇄부(20)를 세척해준다. 여기서 세정노즐(21b)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액은 안내날개(21a)의 외면을 따라 사방으로 비산되어 분쇄판(23)의 가장자리나 맷돌링(24)의 내면에 잔류하는 음식물을 제거해준다.
외부케이스(22)는 분쇄호퍼(21)의 하단에 연통되게 부착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22)는 도 7처럼 하부가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면의 중앙에는 분쇄판(23)과 분쇄모터(26)의 연결을 유도하는 구멍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갈려진 음식물이 배출되는 통로가 형성된다.
분쇄판(23)은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중앙에 분쇄모터(26)와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이러한 분쇄판(23)은 도 7과 같이 설정 두께를 가진 원판으로 형성되고, 상면에는 도 8과 같이 수평면(23a)과 구배면(23b)으로 구획 형성된다.
수평면(23a)은 상단 중앙에 편평하게 형성되어 낙하되는 음식물을 지지하고, 구배면(23b)은 수평면(23a)의 외측에서 가장자리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낙하된 음식물을 자중에 의해 가장자리로 슬라이드 이동시켜준다.
즉, 분쇄판(23)의 외면에 해당하는 가장자리는 맷돌링(24)과 인접하게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이송과정 없이도 음식물이 분쇄되는 영역으로 모아지게 된다.
이때, 분쇄판(23)은 도 8처럼 수직하는 외면에 복수의 분쇄홈(23c)이 방사형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분쇄홈(23c)은 역회전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곡률반경으로 함몰된다.
즉, 분쇄홈(23c)은 정회전 방향으로는 중심점이 분쇄판(23)의 내부에 위치하는 큰 곡률반경으로 완만하게 형성되고, 역회전 방향으로는 중심점이 분쇄판(23)의 외부에 위치하는 작은 곡률반경으로 급격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홈(23c)에 음식물에 삽입되면, 음식물이 작은 곡률반경으로 급격격한 부위에 구속되어 분쇄판(23)의 정회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맷돌링(24)의 내면으로 문질러져 갈아지게 된다.
한편, 분쇄판(23)은 도 8처럼 구배면(23b)에 음식물을 절단하는 칼날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칼날자리(23d)를 형성할 수 있다.
맷돌링(24)은 외부케이스(22)의 내면으로 분쇄판(23)의 외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된다. 이러한 맷돌링(24)은 도 7처럼 분쇄판(23)을 수용하는 높이 즉, 분쇄판(23)의 두께보다 큰 높이를 가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맷돌링(24)은 도 9와 같이 내면에 상부 대비 하부 폭이 좁은 맷돌날(24a)이 설정 간격마다 상호 이격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맷돌날(24a) 사이에는 투입된 음식물을 절단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맷돌홈(24b)이 형성된다.
이때, 맷돌링(24)은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분쇄판(23)에 쌓여진 음식물의 이동을 저지시키는 안내블록(24c)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판(23)의 가장자리에 모아져 회전하는 음식물은 안내블록(24c)에 막혀 체류하게 되고, 음식물의 자중에 의해 분쇄홈(23c)과 맷돌홈(24b)내에 삽입된다.
즉, 도 10처럼 분쇄홈(23c)과 맷돌홈(24b)이 서로 마주하는 순간 개구범위가 확장되어 음식물이 투입되고, 분쇄판(23)의 회전으로 인해 분쇄홈(23c)과 맷돌홈(24b)이 서로 어긋나면서 삽입된 음식물이 맷돌날(24a)의 모서리에 의해 갈려진다.
여기서 맷돌날(24a)의 모서리가 경사져 있어 음식물은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갈려지게 된다. 따라서 삽입된 음식물의 높이가 다소 크더라도 순차적인 절단이 이루어져 분쇄모터(26)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분쇄슈트(25)는 외부케이스(22)의 저면에 마련된 통로와 연통되게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배출한다. 즉, 분쇄홈(23c)과 맷돌홈(24b)으로부터 갈려진 음식물은 분쇄슈트(25)를 따라 액즙부(30)로 이동하게 된다.
분쇄모터(26)는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중앙에 배치되어 분쇄판(23)으로 회전력을 부가하고, 분쇄커플링(27)은 분쇄판(23)과 분쇄모터(26)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분쇄센서(28)는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일측에 배치되어 분쇄커플링(27)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즉, 분쇄커플링(27)의 회전을 감지해서 분쇄판(23)의 작동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에 의한 분쇄판(23)과 맷돌링(24)의 파손이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분쇄부(20)는 분쇄판(23)의 저면에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분쇄슈트(25)로 모아 이동시키는 스크래퍼(29)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스크래퍼(29)는 외부케이스(22)의 수평면과 밀착되는 판으로, 분쇄판(23)과 함께 회전하여 갈려진 음식물을 긁어서 분쇄슈트(25)로 이동시킨다.
액즙부(30)는 도 1 및 도 5처럼 분쇄부(20)의 하단에 배치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압박하여 액즙을 추출하고, 착즙이 완료된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액즙부(3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액즙함(31), 타공판(32), 스크루(33), 파이프(34), 커버(35), 고무패킹(36), 액즙모터(37), 액즙커플링(38), 액즙센서(39)로 구성된다.
액즙함(31)은 분쇄부(20)에서 갈려진 음식물을 수용하는 함체이다. 즉, 액즙함(31)의 상단에는 분쇄부(20)의 분쇄슈트(25)와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분쇄부(20)에서 갈려진 음식물은 액즙함(31)에 즉시 공급된다.
여기서 액즙함(31)의 저부에는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낙하되는 액즙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욕조(31a)가 형성되고, 액즙욕조(31a)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스의 연결을 유도하는 액즙플랜지(31b)가 형성된다.
타공판(32)은 그물망과 같이 미세 구멍이 형성되고, 스크루(33)를 감싸지게 반원형 단면으로 절곡된 판이다. 이러한 타공판(32)은 액즙함(31)의 중단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건더기를 걸러 액즙을 하부로 낙하시킨다. 즉,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인 액즙은 액즙욕조(31a)로 즉시 낙하되고, 건더기는 타공판(32)의 상단에 잔류하게 된다.
스크루(33)는 액즙함(31)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타공판(32)에 걸러진 건더기를 전방으로 이송한다. 즉, 타공판(32)의 상단에 잔류하는 건더기는 스크루(33)를 감싸는 파이프(34)로 이송된다.
파이프(34)는 액즙함(31)의 전방에 스크루(33)가 수용되게 부착되어 이송되는 건더기를 가로막아 액즙을 추출한다. 이러한 파이프(34)는 단부가 유선형으로 좁아지게 경사져 이송되는 건더기를 압착되게 유도한다.
여기서 추출된 액즙은 스크루(33)의 간섭 없이 파이프(34)를 타고 흘러 타공판(32)을 침투하여 액즙욕조(31a)로 낙하된다.
커버(35)는 파이프(34)의 일단에 부착되어 스크루(33)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감한다. 즉, 파이프(34)의 개구부위를 밀폐하여 건더기를 압착되게 유도하고, 스크루(33)의 단부를 회전할 수 있게 고정한다.
고무패킹(36)은 스크루(33)의 단부와 커버(35) 사이에 개재되어 건더기의 압박정도에 따라 전방으로 벌려져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고무패킹(36)은 도 13과 같이 고정대(36a)와 압박대(36b) 및 기밀대(36c)가 다단으로 단차 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고정대(36a)는 파이프(34)와 커버(35)에 결속되는 부위이고, 압박대(36b)는 고정대(36a)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건더기가 압착되는 부위이며, 기밀대(36c)는 압박대(36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스크루(33)의 단부에 밀착되는 부위이다.
즉, 도 14처럼 압박대(36b)에 기준 압력 보다 초과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36b)가 팽창하며 기밀대(36c)를 외측으로 벌려 스크루(33) 단부 사이의 틈을 개방하고, 기준 압력 보다 미만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36b)가 복원되면서 기밀대(36c)를 내측으로 오므려 틈을 폐쇄한다.
여기서 기준 압력이란, 건더기가 압착되어 함유된 액즙이 80~90% 이상 제거된 상태를 일컫는다. 따라서 착즙이 완료되는 건더기는 자동 개방된 틈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액즙모터(37)는 액즙함(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크루(33)로 회전력을 부가하고, 액즙커플링(38)은 스크루(33)와 액즙모터(37)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액즙센서(39)는 액즙함(31)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어 액즙커플링(38)의 회전상태를 감지한다. 즉, 앞에서 언급한 분쇄센서(28)와 같이 액즙커플링(38)의 회전을 감지해서 스크루(33)의 작동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루(33)의 파손이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배출부(40)는 도 1 및 도 5처럼 액즙부(30)의 하단으로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여 설정 수위의 상등액만 외부로 배출하고, 침전물은 액상비료로 분해시킨다.
이러한 배출부(40)는 도 15와 같이 배출탱크(41), 배출격판(42), 배출플랜지(43), 배출튜브(44), 비료탱크(45)로 구성된다.
배출탱크(41)는 액즙부(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는 밀폐용기이다.
배출격판(42)은 배출탱크(41)내에 소정 높이로 기립되게 배치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파티션이다. 이러한 배출격판(42)은 배출탱크(41)의 내부를 분해조(41a)와 배출조(41b)로 구획시킨다.
즉, 분해조(41a)는 추출된 액즙을 설정 수위로 가두어 분해시키는 공간이고, 배출조(41b)는 여과 및 분해 처리된 순수 액즙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간이다.
따라서 배출격판(42)은 도 16처럼 ㄱ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배출탱크(41)의 내부면적 중 분해조(41a) 대비 배출조(41b)가 25~30%의 면적으로 가지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출격판(42)은 설정 수위지점에 분해조(41a)에 저장되는 액즙의 함유된 찌꺼기를 여과하여 배출조(41b)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여과구멍(42a)이 형성된다. 즉, 분해조(41a)에 공급된 액즙은 여과구멍(42a)을 통과하며 순수 액즙만이 배출조(41b)로 이동되고, 액즙에 함유된 찌꺼기는 분해조(41a)에 잔류하게 된다.
배출플랜지(43)는 배출탱크(41)의 상단에 분해조(41a)와 연통되어 액즙부(30)와 호스로 연결되고, 배출튜브(44)는 배출탱크(41)의 일측 하단에 배출조(41b)와 연통되어 본체부(10)의 외부로 연장된다.
비료탱크(45)는 찌꺼기의 분해 작용하는 액상비료를 저장하는 것으로, 도 5와 같이 본체부(10)내에 배출탱크(4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료탱크(45)는 분해조(41a)와 연통되는 호스로 연결되고, 호스 사이에 신호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는 전자밸브가 개재된다.
즉, 배출부(40)는 분해조(41a)에 저장된 액즙 중 액상보다 무거운 찌꺼기는 바닥에 침전되고, 설정 수위의 상등액은 여과구멍(42a)을 거쳐 배출조(41b)와 배출튜브(44)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부(40)는 음식물의 처리량에 따라 설정 주기 또는 수동신호에 의해 비료탱크(45)의 액상비료를 분해조(41a)에 공급하여 바닥에 침전된 찌꺼기를 액상으로 분해시킨다.
액상의 분해물은 후속 공급되는 액즙으로 인해 여과구멍(42a)을 거쳐 배출조(41b)와 배출튜브(4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본체부 11: 케이스
12: 호퍼 13: 캐스터
14: 손잡이 15: 덮개
16: 기밀판 17: 덮개축
18: 덮개모터 19: 덮개센서
20: 분쇄부 21: 분쇄호퍼
21a: 안내날개 21b: 세정노즐
22: 분쇄케이스 23: 분쇄판
23a: 수평면 23b: 구배면
23c: 분쇄홈 23d: 칼날자리
24: 맷돌링 24a: 맷돌날
24b: 맷돌홈 24c: 안내블록
25: 분쇄슈트 26: 분쇄모터
27: 분쇄커플링 28: 분쇄센서
29: 스크래퍼 30: 액즙부
31: 액즙함 31a: 액즙욕조
31b: 액즙플랜지 32: 타공판
33: 스크루 34: 파이프
35: 커버 36: 고무패킹
36a: 고정대 36b: 압박대
36c: 기밀대 37: 액즙모터
38: 액즙커플링 39: 액즙센서
40: 분쇄부 41: 배출탱크
41a: 분해조 41b: 배출조
42: 배출격판 42a: 여과구멍
43: 배출플랜지 44: 배출튜브
45: 비료탱크 H: 힌지

Claims (17)

  1.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지고, 상단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가 마련된 본체부(10);
    상기 본체부(10)내에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가이드하여, 회전에 따라 가장자리로 이동되는 음식물을 문질러 갈아내는 분쇄부(20);
    상기 분쇄부(20)의 하단에서 갈려진 음식물을 압박하여 액즙을 추출하고, 착즙이 완료된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부(30);
    상기 액즙부(30)의 하단으로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여 설정 수위의 상등액만 외부로 배출하고, 침전물은 액상비료로 분해시키는 배출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설정양의 음식물을 수용하는 크기를 가진 함형의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음식물이 투입되는 통로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낙하를 안내하는 호퍼(12)와, 상기 케이스(11)의 하단에 부착되어 바닥을 지지하며 구름 운동하는 캐스터(13)와, 상기 케이스(11)의 외면에 파지 가능한 깊이로 함몰되어 운반을 유도하는 손잡이(14)와, 상기 케이스(11)의 상단에 힌지(H) 결합되어 통로를 개폐시키는 덮개(1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5)는 통로 내부를 투영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형성되고, 덮개(15)의 저면에 호퍼(12)와 맞물려 내부를 밀폐하는 기밀판(16)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케이스(11)의 상측 내부에 덮개(15)의 힌지(H)와 연결되는 덮개축(17)과, 상기 덮개축(17)과 연결되어 신호에 따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덮개(15)의 개폐작동을 부가하는 덮개모터(18)와, 상기 힌지(H)에 부착되어 덮개(15)의 개폐시점을 검출하는 덮개센서(19)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20)는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키는 분쇄호퍼(21)와, 상기 분쇄호퍼(21)의 하단에 연통되게 배치되는 외부케이스(22)와, 상기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는 분쇄판(23)과, 상기 외부케이스(22)의 내면으로 분쇄판(23)의 외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삽입되는 맷돌링(24)과, 상기 외부케이스(22)의 저면에 마련된 통로와 연통되게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배출하는 분쇄슈트(25)와, 상기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중앙에 배치되어 분쇄판(23)으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분쇄모터(26)와, 상기 분쇄판(23)과 분쇄모터(26)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분쇄커플링(27)과, 상기 외부케이스(22)의 하단 일측에 배치되어 분쇄커플링(27)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분쇄센서(2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호퍼(21)는 상단에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 절곡되어 투입된 음식물을 중앙으로 모아지게 낙하시키는 안내날개(21a)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날개(21a)와 대향하는 외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세정노즐(21b)이 구성되어 신호에 따라 토출되는 세정액이 안내날개(21a)의 외면을 따라 하향을 향해 사방으로 비산되어 잔류하는 음식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23)은 상단 중앙에 낙하되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수평면(23a)과, 상기 수평면(23a)의 외측에 음식물을 자중에 의해 가장자리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배면(23b)으로 구획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23)은 수직하는 외면에 역회전 방향을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곡률반경으로 함몰되어 음식물이 삽입된 상태에서 정회전 방향으로 이동시켜 맷돌링(24)의 내면으로 문질러 갈아내는 분쇄홈(23c)이 방사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맷돌링(24)은 분쇄판(23)을 포용하는 높이를 가지고, 내면에 상부 대비 하부 폭이 좁은 맷돌날(24a)이 설정 간격마다 상호 이격되게 배열되어 상기 맷돌날(24a) 사이로 투입된 음식물을 절단시켜 낙하를 유도하는 맷돌홈(24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맷돌링(24)은 상단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분쇄판(23)의 가장자리에 쌓여 회전하는 음식물의 이동을 저지시켜 맷돌홈(24b)에 삽입을 유도하는 안내블록(24c)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판(23)은 구배면(23b)에 음식물을 절단하는 칼날의 탈부착을 유도하는 칼날자리(23d)가 형성되고, 저면에 부착되어 갈려진 음식물을 분쇄슈트(25)로 모아 이동시키는 스크래퍼(29)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부(20)는 분쇄홈(23c)과 맷돌홈(24b)이 서로 마주하는 순간 개구범위가 확장되어 음식물이 투입되고, 분쇄판(23)의 회전으로 분쇄홈(23c)과 맷돌홈(24b)이 서로 어긋나면서 삽입된 음식물이 맷돌날(24a)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을 향해 순차적으로 갈려져 하부로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즙부(30)는 갈려진 음식물을 수용하는 액즙함(31)과, 상기 액즙함(31)의 중단에 배치되어 음식물의 건더기를 걸러 액즙을 하부로 낙하시키는 타공판(32)과, 상기 액즙함(31)을 가로지르게 배치되어 타공판(32)에 걸러진 건더기를 전방으로 이송하는 스크루(33)와, 상기 액즙함(31)의 전방에 스크루(33)가 수용되게 부착되어 이송되는 건더기를 가로막아 액즙이 추출되게 단부가 유선형으로 좁아지게 경사진 파이프(34)와, 상기 파이프(34)의 일단에 부착되어 스크루(33)의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마감하는 커버(35)와, 상기 스크루(33)의 단부와 커버(35) 사이에 개재되어 건더기의 압박정도에 따라 전방으로 벌려져 건더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통형 고무패킹(36)과, 상기 액즙함(31)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크루(33)로 회전력을 부가하는 액즙모터(37)와, 상기 스크루(33)와 액즙모터(37)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액즙커플링(38)과, 상기 액즙함(31)의 후방 일측에 배치되어 액즙커플링(38)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액즙센서(3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즙함(31)은 저부에 후방을 향해 하향으로 경사져 낙하되는 액즙을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액즙욕조(31a)와, 상기 액즙욕조(31a)의 하단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호스의 연결을 유도하는 액즙플랜지(31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36)은 파이프(34)와 커버(35)에 결속되는 고정대(36a)와, 상기 고정대(36a)의 일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건더기가 압착되는 압박대(36b)와, 상기 압박대(36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스크루(33)의 단부에 밀착되는 기밀대(36c)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압박대(36b)에 기준 압력 보다 초과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36b)가 팽창하며 기밀대(36c)를 외측으로 벌려 스크루(33) 단부 사이의 틈을 개방하고, 기준 압력 보다 미만되는 압력이 전달 시 압박대(36b)가 복원되면서 기밀대(36c)를 내측으로 오므려 틈을 폐쇄하는 작용에 의해 건더기를 자동으로 연속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는 액즙부(30)의 하단에 추출된 액즙을 저장하는 배출탱크(41)와, 상기 배출탱크(41)내에 소정 높이로 배치되어 내부를 분해조(41a)와 배출조(41b)로 구획시키는 배출격판(42)과, 상기 배출탱크(41)의 상단에 분해조(41a)와 연통되어 액즙부(30)와 호스로 연결되는 배출플랜지(43)와, 상기 배출탱크(41)의 일측 하단에 배출조(41b)와 연통되어 본체부(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출튜브(44)와, 상기 본체부(10)내에 배출탱크(4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신호에 따라 저장된 액상비료를 분해조(41a)로 공급하는 비료탱크(4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격판(42)은 ㄱ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배출탱크(41)의 내부면적 중 분해조(41a) 대비 배출조(41b)가 25~30%의 면적으로 가지는 위치에 배치되고, 설정 수위지점에 분해조(41a)에 저장되는 액즙의 찌꺼기를 여과하여 배출조(41b)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여과구멍(4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40)는 분해조(41a)에 저장된 액즙 중 액상보다 무거운 찌꺼기는 바닥에 침전되고, 설정 수위의 상등액은 여과구멍(42a)을 거쳐 배출조(41b)와 배출튜브(44)로 배출되되,
    상기 배출부(40)는 음식물의 처리량에 따라 설정 주기 또는 수동신호에 의해 비료탱크(45)의 액상비료를 분해조(41a)에 공급하여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액상으로 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KR1020200001211A 2020-01-06 2020-01-06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KR202100881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1A KR20210088105A (ko) 2020-01-06 2020-01-06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211A KR20210088105A (ko) 2020-01-06 2020-01-06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105A true KR20210088105A (ko) 2021-07-14

Family

ID=7686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211A KR20210088105A (ko) 2020-01-06 2020-01-06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8810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4313A (zh) * 2021-12-29 2022-04-15 云南华测检测认证有限公司 一种内置预处理结构的食品检测装置
KR102659228B1 (ko) * 2023-06-13 2024-04-23 하이에나 (주)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집중처리시스템
KR102659252B1 (ko) * 2023-06-13 2024-04-23 김경식 음식물류폐기물 파쇄 및 감량 배출 장치
CN118106106A (zh) * 2024-04-18 2024-05-31 兴化市嘉禾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粉碎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00B1 (ko) 2012-02-07 2013-09-13 이동언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800B1 (ko) 2012-02-07 2013-09-13 이동언 압축탈수 기능이 향상된 음식물처리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54313A (zh) * 2021-12-29 2022-04-15 云南华测检测认证有限公司 一种内置预处理结构的食品检测装置
CN114354313B (zh) * 2021-12-29 2023-12-26 云南华测检测认证有限公司 一种内置预处理结构的食品检测装置
KR102659228B1 (ko) * 2023-06-13 2024-04-23 하이에나 (주) 공동주택의 음식물류폐기물 집중처리시스템
KR102659252B1 (ko) * 2023-06-13 2024-04-23 김경식 음식물류폐기물 파쇄 및 감량 배출 장치
CN118106106A (zh) * 2024-04-18 2024-05-31 兴化市嘉禾食品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用粉碎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88105A (ko) 음식물 자동처리장치
KR10156581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A3011856C (en) Organic waste separator for under a sink
US20150048021A1 (en) Separation devices for processing waste foods disposed of via sinks
KR101033226B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 분리장치
KR2017004581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04867U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CN108144946A (zh) 厨余处理装置
KR101968680B1 (ko) 압축 및 폐기기능을 갖는 싱크대용 음식물처리기
KR200481337Y1 (ko) 음식물 쓰레기 감량처리장치
KR2019011293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거름망 소제장치
KR0179418B1 (ko) 주방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KR20130036084A (ko) 야채 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3511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191297Y1 (ko) 젖은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KR20220006256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50147Y1 (ko)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압축탈수 처리장치
KR101689239B1 (ko) 가압 건조식 음식물 처리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 방법
CN113926550B (zh) 一种垃圾处理器
JPH07330102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8001037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00005720A (ko) 기계 구동방식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