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0225A -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 Google Patents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0225A
KR20210080225A KR1020200176107A KR20200176107A KR20210080225A KR 20210080225 A KR20210080225 A KR 20210080225A KR 1020200176107 A KR1020200176107 A KR 1020200176107A KR 20200176107 A KR20200176107 A KR 20200176107A KR 20210080225 A KR20210080225 A KR 20210080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laparib
solid dispersion
parts
solu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6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2868B1 (ko
Inventor
임혜정
박상엽
이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Publication of KR20210080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0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2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2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35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 A61K31/502Pyridazines; Hydrogenated pyridaz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cinnoline, phthalaz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41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 A61K9/146Intimate drug-carrier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e.g. ordered mixtures, adsorbates, solid solutions, eutectica, co-dried, co-solubilised, co-kneaded, co-milled, co-ground products, co-precipitates, co-evaporates, co-extrudates, co-melts; Drug nanoparticles with adsorbed surface modifiers with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41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ethylene glycol, poloxa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29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1652Polysaccharides, e.g. alginate, cellulose derivatives; Cyclo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올라파립;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Solubility and bioavailability enhanced formulation of Olaparib}
본 발명은 난용성 약물인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프탈라지논 유도체 약물인 올라파립(Olaparib)은 2014년 승인된 최초의 PARP 저해제로서 유방암 및 난소암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다. 올라파립은 pKa 12.07의 약산성을 띠며 생리학적 pH 범위에서 수용해도가 매우 낮은 (0.1~0.13mg/ml) 난용성 물질로 투과도 또한 높지 않아 BCS class 4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약물 활성 성분의 낮은 용해도와 생체 이용율은 약물의 제제화에 문제가 되므로 결정형을 변경하거나 염 형태를 제조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이 시도되어 왔다.
시판 제제인 LynparzaTM 캡슐 또한 지질 부형제인 Gelucire™44/14를 사용하여 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였으나 제제내 약물 함량이 10%로 0호 크기의 경질 캡슐에 50mg의 올라파립이 충진되어 있어 400mg 치료 용량의 경우 1회 8 캡슐을 복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환자의 복약 순응도 개선을 위해 생체 이용률을 높임과 동시에 제제 내 약물의 함량을 높여 1회 투약 단위를 줄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용해도(수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고체 분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올라파립 함유 경구 고형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라파립;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라파립은 올라파립 일수화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양이온성 고분자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co-(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3,000 내지 200,000 g/mole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올라파립 1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를 더 포함 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올라파립 1 중량부에 대하여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를 0.001 내지 2 중량부로 더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분무 건조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무정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올라파립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용매에 녹이거나 분산시킨 후, 그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의 제거는 분무 건조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체 분산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체 분산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올라파립 조성물은 약물을 안정적으로 비정질화하여 용해도 및 용해 속도를 증가시켜 약물의 생체 내 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구용 제제로서, 시판 제제에 비해 첨가제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제제 내 약물의 함량을 높여 1회 복용하는 제제의 단위 수를 줄여 환자의 복약 순응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제화에 더욱 유리한 조성 및 제조 공정 적용을 통해 제조 및 포장과 같은 생산성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된 고체 분산체 및 올라파립 API(활성성분)의 XRPD 패턴으로, 고체 분산체의 제조에 사용된 올라파립 API 자체는 결정형었던 반면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고체 분산체에 포함된 올라파립은 모두 무정형이었음을 보여준다.
도 2는 실시예 5 내지 8에서 제조된 정제와 비교예 1의 pH 1.2 용액에서의 용출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5와 비교예 1 및 4의 물(증류수, DW) 및 pH 6.8 용액에서의 용출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용어의 정의
명시적인 다른 기재가 없는 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포함" 또는 "함유"라 함은 어떤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를 별다른 제한없이 포함함을 지칭하며, 다른 구성 요소(또는 구성 성분)의 부가를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해결 수단의 발견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염이나 결정형, 프로드럭(prodrug) 제조 등 약물 자체의 변형, 마이크로 혹은 나노에멀젼, 고체 분산체의 제조, 약물의 입자 크기 감소를 통한 미분화 혹은 나노화, 미셀형성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물성 개선은 약물 마다 용해도, pH, pKa, 녹는점, 분자량, 작용기, 입체구조, 결정화도, 투과도, 흡수 부위, 분해도, 유효한 약물의 용량 등 특성들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기술이 모든 약물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없고, 특정 약물에 맞는 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물질들이 올라파립의 용해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올라파립의 용해도와 생체이용율 개선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고체 분산체 및 이를 이용한 경구용 조성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올라파립;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제공한다.
상기 "올라파립"은 올라파립 베이스(별도의 염이 없는 프리 베이스 약물),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그의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다양한 수화물, 또 각각의 경우에 다양한 결정형을 형성하는 것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올라파립 수화물이나 올라파립 무수물의 결정형, 또는 이들의 무정형이나 그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라파립은 올라파립 일수화물일 수 있다.
상기 올라파립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는데, 예컨대, 수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미분화된 형태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 마이크로미터 크기로 미분화된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수백 나노미터 크기로 나노화된 형태 일 수 있다. 약물의 입자 크기가 작아 질수록 용해속도가 향상되어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를 갖는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 with 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일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co-(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메틸메타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co-(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각 단량체가 1:2:1의 몰비로 폴리머를 이루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Eudragit® E PO(에보닉, 독일) 또는 Eudragit ® E 100(에보닉, 독일)일 수 있다. Eudragit ® E 고분자는 통상 코팅기제로서 약물을 수분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거나 환자의 복약순응도가 떨어지는 경우 민감한 약물을 인캡슐레이션하거나 약물의 맛과 냄새를 차폐하여 복용에 대한 환자의 거부감을 완화하고, 부드럽고 윤기 나는 표면을 제공하여 약을 쉽게 삼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올라파립의 용해도와 생체이용율을 개선하기 위한 고분자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3,000 내지 200,000, 또는 5,000 내지 150,000, 또는 10,000 내지 100,000, 또는 20,000 내지 80,000, 또는 37,000 내지 57,000 g/mole일 수 있다.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 g/mole 미만이면 수용해도 개선 효과가 낮을 우려가 있고,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g/mole을 초과하면 붕해가 지연될 우려가 있다.
상기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상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과립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에 포함되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양은, 올라파립 1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중량부 이상, 0.1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또는 1.5 중량부 이상일 수 있고, 또한 10 중량부 이하, 9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7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하, 4 중량부 이하 또는 3 중량부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고체 분산체는, 올라파립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0.05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6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4 중량부, 1 내지 3 중량부, 또는 1.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체 분산체 내의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함량이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올라파립의 용해도 개선 및 생체이용율의 개선 효과가 불충분할 수 있으며,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제제(예를 들어, 캡슐이나 정제)가 커지게 되어 환자가 복용할 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친수성 고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Soluplus®),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및 칼슘염), 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L-HPC(저치환도의 HPC), 폴리비닐알콜, 아크릴산 및 그의 염의 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콜리돈(Kollidon)® VA64, 바스프(BASF)), 폴리코트 아이알(Polycoat IR), 젤라틴, 구아 고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알기네이트, 잔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비닐카프로락탐-폴리비닐 아세테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그라프트 공중합체 (예를 들어 Soluplus®),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친수성 고분자는 올라파립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또는 0.5 내지 3중량부, 또는 1 내지 3 중량부의 양으로 고체 분산체에 포함될 수 있다. 친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올라파립의 용해도 개선 및 생체이용율의 개선 정도가 미미할 수 있으며,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제제(예를 들어, 캡슐이나 정제)가 커지게 되어 환자가 복용할 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Vitamin E TPGS or TPG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용해속도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TPGS는 올라파립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 내지 2 중량부, 0.001 내지 1 중량부, 0.005 내지 1 중량부, 또는 0.01 내지 0.1 중량부 의 양으로 고체 분산체에 포함될 수 있다. TPGS의 함량이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올라파립의 용해도 개선 및 생체이용율의 개선 정도가 미미하여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코팅층이 지나치게 끈적이게(sticky) 되어 제조시뿐 아니라, 필름형성, 보관시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분무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체 분산체는 불활성화 코어에 코팅된 형태가 아니어서, 가능한 작은 크기의 정제에 더 많은 올라파립이 함유될 수 있도록 정제를 제조하는데 사용할 수 있고, 붕해속도 및 용출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무정형이다. 고체 분산체가 무정형일 경우, 용해도가 결정형에 비해 증가하므로, 생체흡수율을 더욱 높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고체 분산체는 피분산체(일반적으로 약물)가 결정형 또는 무정형의 형태로 무정형의 중합체(연속상)에 중에 분산된 형태를 말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정형의 약물이 무정형의 중합체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의 고체 분산체는 일반적으로 약물과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계면활성제, 가소제, 붕해제와 같은 기타 약물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소듐도데실설페이트,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실산나트륨, N-장쇄아실글루탐산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또는 소듐도데실설페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올라파립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용매에 녹이거나 분산시킨 후, 그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고체 분산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매는 수혼화성 유기용매, 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초임계유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알코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아세트산, 아세토니트릴, 다이옥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수혼화성 유기 용매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5의 저가알코올, 아세톤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 아세톤 또는 이의 혼합물, 또는 에탄올일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제거는 진공건조, 분무건조, 트레이 건조, 동결건조 및 기타 건조기술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의 제거는 분무 건조에 의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분무 건조에는 분무 건조기, 유동층 건조기, 기타 건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고체 분산체는 다른 부가적인 구성 성분들과 혼합하여 산제 및 과립제화 하거나,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화,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체 분산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고체 분산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암 치료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암은 유방암 및 난소암으로부터 선택된다.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정제, 캡슐제, 과립제, 또는 분말 형태인 고체 경구 제제, 특히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정제이다.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 1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고체 분산체를 0.01 내지 0.9 중량부, 0.01 내지 0.8중량부, 0.05 내지 0.8 중량부, 0.1 내지 0.7 중량부, 0.3 내지 0.7 중량부, 또는 0.4 내지 0.7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경구용 조성물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양의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경우 타정성이 낮아져 제형화 하기가 어렵고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제제의 크기가 너무 커져 환자가 복용 시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붕해제, 활택제, 계면활성제, pH 조절제, 코팅기제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희석제, 붕해제, 활택제, pH 조절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예를 들어, 유당(무수물 또는 수화물, 예를 들어 일수화물), 셀룰로스 분말, 미결정질 셀룰로스, 규화된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스타치, 디칼슘 포스페이트, 트리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만니톨, 말티톨, 솔비톨, 자일리톨, 락토스, 덱스트로스, 말토스, 수크로스, 글루코스, 프룩토스, 말토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유당, 만니톨,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의 혼합이 선택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만니톨이 선택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희석제는 전체 정제 무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70 중량부의 양으로, 5 내지 50 중량부, 또는 10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형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타정성이 낮아지게 되어 정제로 제조하기에 어려움이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지나치게 정제가 커지게 되어 환자가 복용할 때 불편을 야기할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예를 들어,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CrosCMC-N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크로스포비돈(가교된 폴리비닐피롤리돈), L-HPC(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전분(밀, 쌀,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전분, 감자 전분의 소디움 글리콜레이트,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카멜로오스 나트륨(croscarmellose sodium, CrosCMC-Na)이나 전분의 소디움 글리콜레이트, L-HPC(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혹은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붕해제는 전체 정제 무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1 내지 30 중량부, 2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0 중량부, 또는 2 내지 6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붕해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붕해 속도 지연에 의한 용출 속도 지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타정 장애 등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푸마르산, 스테아르산, 스테아린산 칼슘, 소디움 스테아릴 푸마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전분(밀, 쌀, 옥수수 또는 감자 전분), 활석, 고도 분산형 (콜로이드형) 실리카, 마그네슘 옥시드, 마그네슘 카르보네이트, 글리세릴 베헤네이트,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이산화규소, 칼슘 실리케이트,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활택제는 전체 제제 무게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1 내지 3 중량부, 0.2 내지 3 중량부, 0.5 내지 2.5 중량부, 또는 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활택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타정 장애 등의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용출 지연이나 생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란 제제 내 산-알칼리성의 균형을 변화시키는 화합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산, 아크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말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아세트산, 호박산, 젖산, 숙신산, 말론산, 글루타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수용매 pH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pH 조절제는 산성 화합물로 카르복실산을 갖는 유기산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2개의 카르복실 작용기를 갖는 이염기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염기산은, 예를 들어, 말레인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서, 상기 pH 조절제는 푸마르산, 말레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일 구체예에서, pH 조절제는 각 성분의 pKa 및 안정성과 같은 물성에 따라 적절한 양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 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1 내지 0.5 중량부, 0.1 내지 0.3 중량부, 0.1 내지 0.25 중량부, 또는 .0.3 내지 0.8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할 수 있다. pH 조절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pH 변화에 따른 용해도 감소 효과에 부족함이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반응성이 강한 물질의 특성상 제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경구용 조성물은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코팅기제는 친수성 고분자로서, 예를 들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비닐아세테이트 (PVA),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염 및 칼슘염), 에틸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에틸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L-HPC(저치환도의 HPC), 폴리비닐알콜, 아크릴산 및 그의 염의 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예를 들어 콜리돈(Kollidon) (등록상표) VA64, 바스프(BASF)), 폴리코트 아이알(Polycoat IR), 젤라틴, 구아 고무, 부분적으로 가수분해된 전분, 알기네이트, 잔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 또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일 수 있다.
상기 코팅기제는 코팅전 정제(나정)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예를 들어, 0.2 내지 10 중량부의 양으로, 바람직하게 1 내지 7 중량부의 양으로, 보다 바람직하게 3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코팅기제가 전술한 하한 범위보다 적으면 나정의 전체 표면이 코팅기제로 완전히 덮여지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전술한 상한 범위를 벗어나면 용출 속도의 과도한 지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체 분산체는 다른 부가적인 구성 성분들과 혼합하여 산제 및 과립제화하거나, 혼합물을 타정하여 정제화,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화할 수 있다.
상기 고체 분산체를 이용하여 경구용 조성물, 예를 들어, 정제로 제조하는 경우, 고체 분산체, 희석제, 및 pH 조절제를 혼합하는 단계; 붕해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활택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단계; 및 타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어떤 식으로든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4: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올라파립 수화물(결정형) (일수화물로서 이하 동일), Eudragit E PO 또는 Soluplus, 및 TPGS(D-α-tocopheryl polyethylene glycol succinate)를 하기의 표 1과 같은 함량으로 EtOH에 완전히 용해시킨 뒤, spray drying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를 수득하였다.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를 포함하는 정제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조된 고체 분산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의 정제를 각각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체 분산체와 하기의 표 2의 조성으로 미결정질셀룰로스 및 푸마르산을 먼저 혼합한 후, 크로스카멜로스 나트륨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활택제인 스테아르산 마그네?㎱? 혼합한 후 타정하여 총 중량 600mg으로 각각 100mg의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 정제에 생체 내 pH 조건에서의 용출 패턴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시판 중인 LynparzaTM (올라파립 50mg) 캡슐을 사용하였다.
[표 2]
Figure pat00002
비교예 2 및 3: 올라파립 단순혼합물(중량비 1: 2.5)의 제조
실시예 1에 대한 비교예로서, 올라파립 수화물(결정형) 2.0g 과 Eudragit E PO 5.0g, 및 TPGS 0.1g을 단순혼합하여, 이를 비교예 2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 대한 비교예로서, 올라파립 수화물(결정형) 2.0g 과 Soluplus 5.0g, 및 TPGS 0.1g을 단순혼합하여, 이를 비교예 3으로 하였다.
제조된 비교예 2 및 3을 시험예 1의 용해도 분석에 이용하였다.
비교예 4: 유기산을 포함하지 않는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 정제의 제조
실시예 5에 대한 비교예로서, 실시예 5의 고체 분산체 포함 정제 조성물 중 pH 조절제인 푸마르산을 제외한 첨가제를 하기의 표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100mg 올라파립 정제를 타정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시험예 1: 올라파립과 중합체의 단순 혼합물과 고체 분산체 상태에서의 약물 용해도 비교
20ml의 증류수 및 pH 1.2 완충액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4의 고체 분산체와, 비교예 2 및 3에 대해 400mg의 올라파립에 해당하는 양을 각각 넣어 37℃인큐베이터에서 100rpm으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시험액을 RC syringe filter(0.2μm)로 여과한 뒤, 여과액 1mL을 취해 하기의 희석액 2mL를 넣어 희석한 후 올라파립 함량 분석법에 따라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함량 분석 조건
1) 희석액 제조
희석액- 물(DW): 아세토니트릴(CAN)=1:1
2) 조작
검출기: 자외부흡광광도계 254nm
칼럼: Nova-Pak C18 Column, 60Å, 4 μX mm
유량: 1.2ml/분
주입량: 5μl
칼럼 온도: 35℃
Run time: 16 min
이동상
[표 4]
Figure pat00004
[표 5]
Figure pat00005
시험예 2: XRPD 분석에 의한 약물 결정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 및 올라파립 원료에 대해 하기의 표 5의 분석 조건으로 XRPD 분석을 실시하여 고체 분산체 내 올라파립 결정성 여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고체 분산체의 경우 원료에서 관찰된 올라파립의 결정질 피크가 나타나지 않아 무정형의 형태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표 6]
Figure pat00006
시험예 3: 안정성 비교
실시예 고체 분산체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가속시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고체 분산체를 알루미늄 백 파우치에 건조제와 함께 넣어 밀봉한 후 가속 조건인 40℃75% RH의 보관 조건에서 3개월간 저장하였다. 시료를 저장하기 전, 저장 후 1개월 경과 시점, 3개월 경과 시점에 XRPD 분석을 통한 약물의 결정형 확인 및 용출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6에 나타내었다.
용출 조건
올라파립으로서 400mg에 해당하는 고체 분산체의 양을 정확하게 칭량하여 하기의 조건에서 용출 시험을 실시하였다. 60분 시점에 시료를 채취하여 HPLC 분석을 통해 약물의 용출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의 경우 초기 시점에서 이미 낮은 용출율을 확인하고 결정형이 생성되어서 추가의 시험을 진행하지 않았다.
시험액: pH 1.2 완충액 900ml
교반 속도: 100rpm
온도: 37℃
[표 7]
Figure pat00007
시험예 4: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 정제의 용출 시험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의 정제 및 비교예 1(린파자TM 캡슐 제제)에 대해 각각 위액과 동일한 조건의 pH 1.2 용액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용출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용출 조건
시험액: pH1.2
교반 속도: 100rpm
온도: 37℃
용출기준시점: 5분, 10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분석 방법: HPLC 분석법
시험예 5: Eudragit E 포함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 정제의 중성 pH 용액에서의 용출 시험
실시예 5와 비교예 4 정제에 대해 물과 pH 6.8 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용출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용출 조건
시험액: 물, pH 6.8 용액
교반 속도: 100rpm
온도: 37℃
용출기준시점: 5분, 10분, 15분, 30분, 45분, 60분, 90분, 120분
분석 방법: HPLC 분석법
시험예 6.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의 약물동력학(PK) 시험
실시예 5와 비교예 1의 체내 동태 비교를 위해, 실험동물로서 SD 랫트를 이용하여 약물동력학 시험을 실시하였다. SD 랫트 15 마리를 5마리씩 2 개의 군으로 나누고 제1군을 비교예 1, 제2군을 실시예 1로 분류하였다. 각 군의 조성물은 올라파립으로서 4mg/ml 농도가 되도록 분산하여 10 mg/kg 용량으로 절식 상태를 유지한 실험 동물들에 경구 투약 되었다. 투여 후, 24 시간까지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채혈되었으며, 혈액 샘플은 혈장을 분리한 후 냉동하여 보관하였고, LC/MS/MS 장비로 농도를 분석하여 시간에 따른 혈중농도를 측정해 해당 데이터로부터 AUC(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와 Cmax(최고혈중농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Figure pat00008
약물동력학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조성물은 종래의 올라파립을 포함하는 시판용 경질 캡슐 제제보다도 높은 AUC 및 Cmax를 나타낸 바, 시판 제제에 비해 우수한 약물동력학적 특성을 가짐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올라파립; 및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폴리(부틸메타크릴레이트-co-(2-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co-메틸메타크릴레이트)인, 고체 분산체.
  3. 제1항에 있어서, 올라파립 1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0.0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4. 제1항에 있어서,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를 더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5. 제4항에 있어서 올라파립 1 중량부에 대하여 D-α-토코페릴 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를 0.001 내지 2 중량부로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
  6. 제1항에 있어서, 무정형인 것인, 고체 분산체.
  7. 올라파립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함께 용매에 녹이거나 분산시킨 후, 그 용액 또는 분산액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용매의 제거는 분무 건조에 의하여 수행되는, 고체 분산체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분산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희석제, 붕해제, 활택제, pH 조절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더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 분산체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구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00176107A 2019-12-20 2020-12-16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KR102512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1683 2019-12-20
KR1020190171683 2019-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0225A true KR20210080225A (ko) 2021-06-30
KR102512868B1 KR102512868B1 (ko) 2023-03-22

Family

ID=76477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6107A KR102512868B1 (ko) 2019-12-20 2020-12-16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79295A4 (ko)
JP (1) JP2023507787A (ko)
KR (1) KR102512868B1 (ko)
CN (1) CN115175668A (ko)
WO (1) WO20211257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R20220316A (es) 2019-12-06 2022-10-07 Vertex Pharma Tetrahidrofuranos sustituidos como moduladores de canales de sodio
CN113636979B (zh) * 2021-08-12 2023-06-13 天津理工大学 一种奥拉帕尼与富马酸共晶晶型α及其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051A1 (en) * 2008-10-07 2010-04-15 Astrazeneca Uk Limi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514
EP3263095A1 (en) * 2016-06-29 2018-01-03 Zentiva K.S.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olaparib
US20180344646A1 (en) * 2015-11-25 2018-12-06 Patheon Development Services Inc. Amorphous dispersion granules and oral dosage form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231B1 (ko) * 2007-10-17 2016-02-26 쿠도스 파마슈티칼스 리미티드 4-[3-(4-시클로프로판카르보닐-피페라진-1-카르보닐)-4-플루오로-벤질]-2h-프탈라진-1-온
ITUB20159206A1 (it) * 2015-12-22 2017-06-22 Olon Spa Forme cristalline e amorfe di olaparib
CN108201536A (zh) * 2016-12-16 2018-06-26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种奥拉帕尼口服缓控释药物组合物及其用途
KR20220077094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안정성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1051A1 (en) * 2008-10-07 2010-04-15 Astrazeneca Uk Limited Pharmaceutical formulation 514
US20180344646A1 (en) * 2015-11-25 2018-12-06 Patheon Development Services Inc. Amorphous dispersion granules and oral dosage forms
EP3263095A1 (en) * 2016-06-29 2018-01-03 Zentiva K.S. A pharmaceutical formulation of olaparib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e Soon Ahn et al.,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2011, vol.32, no.5, pp.1587-159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7787A (ja) 2023-02-27
CN115175668A (zh) 2022-10-11
EP4079295A4 (en) 2023-12-06
WO2021125797A1 (ko) 2021-06-24
KR102512868B1 (ko) 2023-03-22
EP4079295A1 (en)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4854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with improved bioavailability
EP2180883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dihydropyridine calcium channel antagonist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20160113294A (ko) 안드로겐 수용체 길항제의 고체 제약 조성물
EP2068835A2 (en) Imatinib compositions
JP2010513356A (ja) ニューロキニンアンタゴニストを含む製剤
KR102512868B1 (ko) 올라파립의 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AU2016372683A1 (en) Complexes of celecoxib and its salts and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20220077094A (ko) 안정성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올라파립 고체 분산체 조성물
KR102082775B1 (ko) 수용해도 및 생체이용율이 개선된 조성물
KR20230155504A (ko) (4s)-24-클로로-4-에틸-73-플루오로-35-메톡시-32,5-디옥소-14-(트리플루오로메틸)-32h-6-아자-3(4,1)-피리디나-1(1)-[1,2,3]트리아졸라-2(1,2),7(1)-디벤제나헵타판-74-카르복스아미드를 포함하는 제약 투여 형태
KR100663079B1 (ko) 이트라코나졸 함유 고체분산체의 제조방법
KR102322429B1 (ko) 수니티닙을 함유하는 경구용 제제 및 그의 제조 방법
US9775832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ral administration
KR101956586B1 (ko) 약제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07556A1 (en) Pharmaceutical solid dispersion of a bcl-2 inhibitor,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and uses for the treatment of cancer
KR20220149744A (ko) 키나제 억제제의 약학적 조성물
KR20210077626A (ko) 수니티닙 염산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제제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84250A (ko) 아프레피탄트의 용해도가 증가된 경구용 조성물
KR20200050399A (ko) 수니티닙을 함유하는 경구용 정제 조성물
KR20050115355A (ko) 이트라코나졸 함유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