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9819A - 대소변 감지 기저귀 - Google Patents

대소변 감지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9819A
KR20210079819A KR1020190171986A KR20190171986A KR20210079819A KR 20210079819 A KR20210079819 A KR 20210079819A KR 1020190171986 A KR1020190171986 A KR 1020190171986A KR 20190171986 A KR20190171986 A KR 20190171986A KR 20210079819 A KR20210079819 A KR 20210079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mposite
diaper
diaper body
composite yarn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준식
Original Assignee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섬유개발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섬유개발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71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9819A/ko
Publication of KR2021007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9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radio-opaque material or signalling means for residua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 A61F2013/42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wetness indicator or alarm having an electronic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 감지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자의 대변이나 소변에 따른 수분을 흡수하는 기저귀 본체와, 상기 기저귀 본체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어느 하나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압, 전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상기 기저귀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키트 및 상기 감지키트로부터 상기 용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용변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키트를 포함하되, 상기 기저귀 본체는 대소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탑 부직포 시트와, 상기 탑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탑 부직포 시트에서 흡수한 수분을 전달받고 확산시키는 확산층 부직포 시트와,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에 의해 확산된 수분을 흡수하는 친수성 소재의 고흡수체와, 상기 고흡수체를 차폐하도록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고흡수체로부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 전달되는 수분 전달속도를 지연하는 소수성 부직포 시트와,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상기 전도성 복합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도성 복합사를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일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를 차폐하는 백시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성 부직포 시트에서 전도성 복합사로 전달되는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하여 일정량의 소변이 기저기 본체에 흡수되는 경우 수신장치에 용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잦은 소변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저귀 교체를 방지하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소변 감지 기저귀{Diapers capable of detecting feces and urine}
본 발명은 대소변 감지 기저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잦은 소변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저귀 교체를 방지하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변에 따른 대변이나 배뇨에 따른 소변을 스스로 처리하지 못하는 유아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기저귀를 착용하게 되며, 용변에 이용된 기저귀나 배뇨에 이용된 기저귀는 보호자에 의해 수거 처리된다. 이때, 기저귀는 용변 후 빠른 시간 내에 교체하지 않으면 배설물로 인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하므로 신속한 교체가 요구된다.
따라서 기저귀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보호자는 수시로 배설 유무를 후각, 시각을 이용하여 확인하므로 불편함이 따르며, 특히 작은 양의 배설이 있을 경우에는 쉽게 확인이 불가능하여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착용자의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착용자의 용변상태를 감지하고, 대소변이 감지되면 경보하여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에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100)는 다수의 부직포 시트가 적층형성된 기저귀 본체(110)와, 기저귀 본체(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검출선(120)과, 기저귀 본체(110) 표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검출선(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130)와, 단자부(130)에 연결되고 검출선(120)으로부터 검출된 전류변화에 따라 배뇨여부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감지키트(140)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배뇨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150)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100)는 기저귀 본체(110)에 흡수된 대소변의 수분에 의해 검출선(120)의 전류값이 변화하고, 해당 신호가 단자부(130)를 통해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전달된 신호에 기초하여 수분을 감지한 후 경보부(150)를 제어함으로써 배뇨경보가 발생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100)는 기저귀 본체(110)에 수분이 흡수되는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하게 되나, 소량의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 짧은 주기로 경보가 반복 발생함으로써 기저귀의 교체시기가 불필요하게 짧아지면서 오히려 보호자의 불편함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100)는 검출선(120)과 제어부(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해 기저귀 본체(110) 표면에 단자부(130)가 노출형성되는 바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기저귀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130)가 외부 습기등에 의해 산화되어 대소변 감지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저귀 착용자가 기저귀를 착용한 상태로 움직이는 경우 제어부(미도시)와 단자부(130)의 연결부위가 단락되거나, 유동되면서 전류변화량이 일정하지 않아 대소변 감지의 신뢰도가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140515호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잦은 소변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저귀 교체를 방지하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부 노출에 따른 전도성 복합사의 산화를 방지하고, 기저귀 본체에 결합된 감지키트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착용자의 대변이나 소변에 따른 수분을 흡수하는 기저귀 본체와, 상기 기저귀 본체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어느 하나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압, 전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상기 기저귀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키트 및 상기 감지키트로부터 상기 용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용변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키트를 포함하되, 상기 기저귀 본체는 대소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탑 부직포 시트와, 상기 탑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탑 부직포 시트에서 흡수한 수분을 전달받고 확산시키는 확산층 부직포 시트와,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에 의해 확산된 수분을 흡수하는 친수성 소재의 고흡수체와, 상기 고흡수체를 차폐하도록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고흡수체로부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 전달되는 수분 전달속도를 지연하는 소수성 부직포 시트와,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상기 전도성 복합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도성 복합사를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일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를 차폐하는 백시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키트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기저귀 본체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저귀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저귀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전도성 복합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용변 정보를 상기 수신키트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저귀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전도성 복합사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성 부직포 시트에서 전도성 복합사로 전달되는 수분이 전달되는 것을 지연하여 일정량의 소변이 기저기 본체에 흡수되는 경우 수신장치에 용변 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잦은 소변으로 인한 불필요한 기저귀 교체를 방지하고,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기저귀 본체에 전도성 복합사를 매립하고, 감지키트를 기저귀 본체에 결합하는 경우 접속부재가 기저귀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전도성 복합사에 전기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부 노출에 따른 전도성 복합사의 산화를 방지하고, 기저귀 본체에 결합된 감지키트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대소변 감지 기저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수단이 기저귀 본체를 관통하여 전도성 복합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부직포 시트에 의해 수분이 확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수성 부직포 시트에 의해 수분 전달이 지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키트로부터 수신키트로 용변 정보가 전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의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2 내지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1)는 기저귀 본체(10)와, 전도성 복합사(20)와, 감지키트(30) 및 수신키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저귀 본체(10)는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탑 부직포 시트(11)와, 기저귀 본체(10)의 외측면을 마감하기 위한 백시트 필름(12) 및 탑 부직포 시트(11)와 백시트 필름(12) 사이에 개재되어 액상의 대소변을 흡수하기 위한 고흡수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내측 커버인 탑 부직포 시트(11)는 대소변의 수분이 신속하게 고흡수체(13)에 전달될 수 있도록 친수처리한 섬유나 친수성 부직포로 구성되며, 외측커버인 백시트 필름(12)은 인체와 접촉시 착용감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직포로 구성되되, 외면에 방수필름을 부분적으로 접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 본체(10)는 상기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 구조에서 확산층 부직포 시트(14)와,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확산층 부직포 시트(14)는 탑 부직포 시트(11) 하부에 위치하면서 탑 부직포 시트(11)에서 고흡수체(13)로 전달되는 수분을 확산함으로써 수분이 고흡수체(13)에 균일하게 흡수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고흡수체(13)로 수분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확산층 부직포 시트(14)는 친수성 부직포로 구성될 수 있다.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는 소수성 재질로 형성되고, 고흡수체(13) 하부에 배치되어 고흡수체(13)에 흡수된 수분이 전도성 복합사(20)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하는 역할을 하는데, 소수성 부직포 시트(15)의 동작은 후술하는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전도성 복합사(20)는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 필라멘트(22) 및 섬유 필라멘트(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개의 금속 필라멘트(22) 및 복수 개의 섬유 필라멘트(21)가 서로 감기거나 엮인 연사 구조 또는 섬유 필라멘트(21)의 외주면에 금속 필라멘트(22)를 감은 커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섬유 필라멘트(21)의 외주면에 금속 필라멘트(22) 두 가닥이 x자 형태로 감아 하나의 전도성 복합사(20)를 형성한다.
보다 상술하면, 전도성 복합사(20) 한 가닥의 직경은 100 내지 5000 데니어(denier) 이내로 형성될 수 있고, 저항값은 50 Ω(옴) 이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 Ω 이내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도성 복합사(20)의 직경 및 저항값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소변에 따른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신호 생성이 가능한 범위이면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전도성 복합사(20)의 섬유 필라멘트(21)는 단사 또는 합사이고, 상기 섬유 필라멘트(21)는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일렌,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알킬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알킬렌나프탈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필라멘트(22)는 스테인레스, 구리, 은, 티타늄, 텅스텐 및 은 도금된 구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선사,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선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도성 복합사(20)는 소수성 부직포 시트(15)와, 후술하는 백커버 필름 사이에 개재되되, 백커버 필름에 의해 소수성 부직포 시트(15)에 부착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복합사(20)는 백커버 필름에 의해 매립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부 노출에 따른 산화현상을 최소화 하여 대소변 감지의 신뢰도와,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전도성 복합사(20)는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이 인가되되, 한 쌍이 상호 절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로부터 전달된 수분으로 인해 한 쌍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전압, 전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감지키트(30)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된 하우징(31)과, 하우징(31) 일측에 결합되는 접속부재(32)와, 접속부재(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33) 및 외부의 수신키트(4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대소변에 의한 수분을 감지하고, 이에 따른 용변 정보를 수신키트(4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31)은 대략 블럭 형상을 형성되는 본체(31a)와, 본체(31a)의 일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31b) 및 본체(31a)와 고정부(31b)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부(31b)에 본체(31a)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3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은 본체(31a)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접속부재(32)와, 제어부(33) 및 무선통신모듈의 설치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고정부(31b)를 통해 기저귀 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접속부재(32)가 전도성 복합사(20)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접속부재(32)는 고정부(31b)의 일면 중 기저귀 본체(10)와 대응되는 일면에 설치되고 일측이 제어부(33)에 연결되는 도전성 재질의 몸체부(32a)와, 몸체부(32a)의 일면에 형성되는 마이크로 니들(32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마이크로 니들(32b)은 마이크로 단위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니들이 몸체부(32a)의 일면에 형성되고, 하우징(31)이 기저귀 본체(10)에 결합되는 경우 기저귀 본체(10)를 관통하여 매립된 전도성 복합사(20)에 접촉되는 것으로서, 전도성 복합사(20)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제어부(33)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니들(32b)은 기저귀 본체(10)의 일측을 관통하여 기저귀 본체(10) 일측에 지지되는 바 기저귀 본체(10)에 결합된 하우징(31)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도성 복합사(20)와의 접촉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33)는 하우징(31) 내부에 수용되고, 일측이 접속부재(32)와 연결되며, 접속부재(32)를 통해 전도성 복합사(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귀 본체(10)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33)는 상기 신호에 포함된 저항값 변화량 정보에 따라 수분을 감지하며, 이를 통해 배변 및 배뇨 여부를 분석함과 아울러 감지시간, 감지횟수등을 체크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용변 정보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 모듈(34)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무선 통신 모듈(34)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부(33)에서 생성된 용변 정보를 수신키트(4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수신키트(40)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감지키트(30)에서 전송된 용변 정보 신호를 수신하고, 용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시각적, 청각적 방법을 통하여 표시하거나, 보호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키트(40)는 무선 통신 모듈(34)과 무선 통신하여 용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41)과, 용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2)와, 용변 정보에 포함된 데이터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알림부(4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촉수단이 기저귀 본체를 관통하여 전도성 복합사에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확산 부직포 시트에 의해 수분이 확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수성 부직포 시트에 의해 수분 전달이 지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지키트로부터 수신키트로 용변 정보가 전송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1)의 동작을 첨부된 도6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우징(31)과 고정부(31b) 사이에 기저귀 본체(10)의 일단부를 배치하고, 고정부(31b)재에 제공되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지키트(30)를 기저귀 본체(10)에 결합한다.
이때, 고정부(31b) 일측에 결합된 접촉수단의 마이크로 니들(32b)이 백시트 필름(12)의 일측을 관통하여 매립된 전도성 복합사(20)의 일측에 접촉되며, 백시트 필름(12) 일측 중 관통한 일측에 지지되어 감지키트(30)가 기저귀 본체(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감지키트(30)를 기저귀 본체(10)에 결합하고, 감지키트(30)가 결합된 기저귀 본체(10)를 착용자에게 착용한다.
이후, 본 실시예에 따른 대소변 감지 기저귀(1)를 착용한 착용자가 배변 또는 배뇨를 하게 되면, 대소변에 의한 수분이 탑 부직포 시트(11)에 흡수되고, 탑 부직포 시트(11)에 흡수된 수분은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확산 부직포 시트를 통과하면서 확산된다.
확산된 수분은 기저귀 본체(10) 전체에 균일하게 배치된 고흡수체(13)에 의해 흡수되며, 이는 다시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를 통해 전도성 복합사(20)에 전달된다.
이때,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는 그 제조방법 특성상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는데, 소량의 수분은 전도성 복합사(2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공극 내에 위치하게 되고,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즉, 기저귀 본체(10)가 눌리는 경우나 전도성 복합사(20)로 전달되는 수분량이 증가하는 경우 공극에 위치한 전도성 복합사(20)로 전달되도록 한다.
즉,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는 소량의 수분이 전도성 복합사(20)로 전달되는 것을 지연함으로써 소량의 수분 감지로 인해 불필요한 기저귀 교체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전도성 복합사(20)에 수분이 전달되기 전에는 복수 개의 전도성 복합사(20)는 상호 절연 상태를 유지하다가 일정 이상의 수분이 소수성 부직포 시트(15)를 통과하여 전달되는 경우 전도성 복합사(20)는 섬유 필라멘트(21)를 통해 수분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며, 수분에 의해 복수개의 전도성 복합사(20)가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부 전원이 고정적으로 공급되므로 다른 하나의 전도성 복합사(20)로부터 저항값의 변화에 따라 전압, 전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며, 전도성 복합사(20)에서 출력된 신호는 이와 전기적으로 접촉된 접촉수단을 통해 제어부(33)로 전달된다.
제어부(33)는 전도성 복합사(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기저귀 본체(10)에서 수분의 흡수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분량에 따른 대소변의 유출량과 유출시간, 감지횟수 등을 포함한 용변 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무선 통신 모듈(34)을 통해 수신키트(40)로 용변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키트(40)에서는 수신된 용변 정보에 따라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42)에 표시하여 보호자로 하여금 용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알림부(43)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여 배변 또는 배뇨 상태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신키트(40)는 상술한 기능을 가진 전용 단말일 수 있으나, 휴대폰, 컴퓨터 등과 같은 상용화된 통신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수신키트(40)는 생체 측정 모니터링 시스템과 같은 시스템에 연동될 수 있으며, 상기 용변 정보에 고유 식별 번호를 부가함으로써 다수의 감지키트(30)와 1대의 수신키트(40)로 구성된 대소변 감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기저귀 본체 11 : 탑 부직포 시트
12 : 백시트 필름 13 : 고분자 흡수체
14 : 확산층 부직포 시트 15 : 소수성 부직포 시트
20 : 전도성 복합사 21 : 금속 필라멘트
22 : 섬유 필라멘트 30 : 감지키트
31 : 하우징 31a : 본체
31b : 고정부 31c : 탄성부재
32 : 접속부재 32a : 몸체부
32b : 마이크로 니들 33 : 제어부
34 : 무선 통신 모듈 40 : 수신키트
41 : 수신모듈 42 : 디스플레이
43 : 알림부

Claims (3)

  1. 착용자의 대변이나 소변에 따른 수분을 흡수하는 기저귀 본체와;
    상기 기저귀 본체 일측에 배치되고,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됨과 아울러 어느 하나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이 전달되는 경우 저항값 변화에 따른 전압, 전류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 및
    상기 기저귀 본체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이 상기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함과 아울러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 및 송신하는 감지키트; 및
    상기 감지키트로부터 상기 용변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용변 정보를 출력하는 수신키트를 포함하되,
    상기 기저귀 본체는
    대소변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는 탑 부직포 시트와;
    상기 탑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탑 부직포 시트에서 흡수한 수분을 전달받고 확산시키는 확산층 부직포 시트와;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에 의해 확산된 수분을 흡수하는 친수성 소재의 고흡수체와;
    상기 고흡수체를 차폐하도록 상기 확산층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고, 상기 고흡수체로부터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 전달되는 수분 전달속도를 지연하는 소수성 부직포 시트와;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상기 전도성 복합사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전도성 복합사를 상기 소수성 부직포 시트 일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이를 차폐하는 백시트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키트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기저귀 본체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기저귀 본체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기저귀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전도성 복합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부재와;
    상기 접속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재를 통해 상기 전도성 복합사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기저귀 본체에 흡수된 수분을 감지하고, 이를 분석하여 용변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용변 정보를 상기 수신키트로 무선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복수의 전도성 복합사와 대응되는 일측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저귀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전도성 복합사에 접촉되는 도전성 재질의 마이크로 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소변 감지 기저귀.
KR1020190171986A 2019-12-20 2019-12-20 대소변 감지 기저귀 KR20210079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86A KR20210079819A (ko) 2019-12-20 2019-12-20 대소변 감지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1986A KR20210079819A (ko) 2019-12-20 2019-12-20 대소변 감지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9819A true KR20210079819A (ko) 2021-06-30

Family

ID=7660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1986A KR20210079819A (ko) 2019-12-20 2019-12-20 대소변 감지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981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12B1 (ko) * 2021-07-27 2022-02-16 지경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KR102364414B1 (ko) * 2021-07-27 2022-02-16 지경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장치를 채택한 기저귀
KR20230140705A (ko) 2022-03-30 2023-10-10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20240027272A (ko) 2022-08-23 2024-03-04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515A (ko)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515A (ko) 2012-06-14 2013-12-24 실버레이 주식회사 용변 감지기능을 갖춘 기저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412B1 (ko) * 2021-07-27 2022-02-16 지경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이 가능한 기저귀 기능을 수행하는 용변 감지장치
KR102364414B1 (ko) * 2021-07-27 2022-02-16 지경화 착용자의 건강상태 확인 기능을 갖는 용변 감지장치를 채택한 기저귀
KR20230140705A (ko) 2022-03-30 2023-10-10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20240027272A (ko) 2022-08-23 2024-03-04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KR20240045176A (ko) 2022-08-23 2024-04-05 김후영 대소변용 하의 및 대소변 처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79819A (ko) 대소변 감지 기저귀
CN106510960B (zh) 智能护理耗材及具有其的生理监控装置
US3460123A (en) Clothing alarm means
KR101498112B1 (ko)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US6097297A (en) Wetness awareness training device
JP2015057088A (ja) おむつ及びおむつの検知システム
EP1063624A1 (en) System for detection of electrically conductive fluids
KR20120003987A (ko) 인체용 대변 수집기
US20110319845A1 (en) Diaper structure with urine sensor
KR20140121059A (ko) 센서모듈 및 센서모듈 시스템
JP2007296024A (ja) 電子おむつシステム
KR100790000B1 (ko) 다목적 지능형 매트 시스템
JP3210792U (ja) 大小便検知センサ、おむつ及び監視システム
KR100966040B1 (ko) 대소변 감지시스템
JP3178797U (ja) 使い捨ておむつの排便、排尿検知装置
KR200321534Y1 (ko) 기저귀용 분뇨 감지기
JPH1133055A (ja) おむつ、予備パッド並びに水分検知装置
WO2013187742A1 (ko) 전도성 섬유형의 도선을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감지장치
WO2019216500A1 (ko) 전기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 기저귀 및 대소변 감지 시스템
Simik et al. A design of smart diaper wet detector using wireless and computer
JP4037807B2 (ja) 濡れ検出可能なおむつシステム
JP2008136859A (ja) 濡れ検出機能付おむつシステム
KR101382138B1 (ko) 스마트 기저귀
JPH09294762A (ja) おむつ用センサ
KR101152348B1 (ko) 고흡수성 수지를 이용한 대소변 감지센서 및 대소변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