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6849A -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 Google Patents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6849A
KR20210076849A KR1020200173060A KR20200173060A KR20210076849A KR 20210076849 A KR20210076849 A KR 20210076849A KR 1020200173060 A KR1020200173060 A KR 1020200173060A KR 20200173060 A KR20200173060 A KR 20200173060A KR 20210076849 A KR20210076849 A KR 2021007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lank
sealable resin
cup
metal f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3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다시 나에무라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7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8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65D3/30Local reinforcements, e.g. metallic r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50/20Cutting sheets o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4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e.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1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form of integral or permanently secured end closure
    • B65D3/12Flanged discs permanently secured, e.g. by adhesives or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with double walls; with walls incorporating air-chambers; with walls made of 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shaped container which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by using a manufacturing facility for paper cups, have excellent storage of content for a long time, be sterilized by aseptic methods and retort methods, and suppress the deterioration or the like by a contact with the content. The cup-shaped container (1) comprises: a moving body (2) formed in a tank shape by overlapping and bonding edges on both ends of a blank (20A) for the moving body; and a floor body (3) formed by forming a blank (30A) for the floor body for forming a lower unit (31) and an underwater unit (32). An inner surface of a lower end unit (2a) of the moving body (2) is bond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nderwater unit (32). Each of the blank (20A) for the moving body and the blank (30A) for the floor body is made of laminated bodies (20, 30) including thermal fusion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laminated on thin metal layers (201, 301) and both surfaces of the thin metal layers (201, 301). In the overlap unit (21) of the moving body (2), an inner cross-section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moving body is sheathed by an inner resin gathering unit (R1).

Description

컵 형상 용기 및 그 제조 방법{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A cup-shaped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이나 요구르트와 같은 식품이나 음료 등을 내용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shaped container containing, for example, food or beverage such as ice cream or yogu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예를 들면 아이스크림이나 요구르트 등의 반고(半固)형상 유제품을 충전 포장하기 위한 용기로서, 종이제의 컵 형상 용기, 즉 종이컵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For example, as a container for filling and packaging semi-solid dairy products, such as ice cream and yogurt, a paper cup-shaped container, ie, a paper cup, is generally used.

종이컵은, 통상, 각각 소정 형상으로 커트된 종이제 블랭크로 이루어지는 동체와 바닥체를 접합 일체화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는, 개략 부채형의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함과 함께, 하단 개구 테두리부에 내방으로 접혀진 접힘부를 형성하고, 상단 개구 테두리부에 외방으로 컬 된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바닥체는, 개략 원형의 바닥체용 블랭크를 그 외주부에 수하부(垂下部)가 형성되도록 스커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것이다. 그리고, 바닥체의 수하부가 동체의 접힘부에 둘러싸여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다.Paper cups are usually formed by bonding and integrating a body and a bottom body made of paper blanks each c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More specifically, the body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by overlapping and join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of a substantially fan shape, and forming a folded part folded inward in the lower opening edge part, and the upper opening edge It is made by forming a flange part curled outward in the part. The bottom body has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obtained by skirting a substantially circular flooring blank so that a droop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by joining the lower part of the body by being surrounded by the folding part of the body.

동체용 및 바닥체용의 각 블랭크는, 예를 들면, 일반 원지, 내산지, 코트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종이층과, 종이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된 폴리에틸렌 수지(PE)층을 갖는 적층체로 이루어진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1 참조).Each blank for a body and a bottom body consists of a laminate having, for example, a paper layer made of plain base paper, acid-resistant paper, coated paper, etc., and a polyethylene resin (PE) layer laminat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paper layer ( For example, refer to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또한, 상기 각 블랭크의 재료로서, 종이층 및 폴리에틸렌 수지(PE)층에 더하여 알루미늄박 등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사용한 종이컵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2 참조).Also, a paper cup using a laminate formed by laminating a barrier layer made of aluminum foil or the like in addition to a paper layer and a polyethylene resin (PE) layer is also known as a material for each of the blanks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below). ).

그 밖에, 아이스크림, 요구르트 등의 용기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PP) 등의 플라스틱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한 특허 문헌 3 참조).In addition, as a container for ice cream, yogurt, etc., what consists of plastic molded objects, such as polypropylene resin (PP), is known (for example, refer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3).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소58-3095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8-30955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7-21063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210639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7-176505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76505

그렇지만, 종이컵은 생산성에 우수하고, 염가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배리어성이 낮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에는 적합하지 않았다.However, while the paper cup is excellent in productivity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it has low barrier properties and is not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of the contents.

알루미늄박 등의 배리어층이 부가된 종이컵인 경우,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은 향상하지만, 종이층의 단면부터 물이 침입하기 쉽고,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가 없었다.In the case of a paper cup provided with a barrier layer such as aluminum foil, long-term storage of the contents is improved, but water easily enters from the end surface of the paper layer, and retort sterilization cannot be performed.

또한, 플라스틱제의 용기인 경우, 제조 설비의 코스트가 높게 드는데다가 내용물의 장기 보존에는 적합하지 않았다.Moreover, in the case of a plastic container, the cost of manufacturing equipment is high, and it is not suitable for long-term storage of contents.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 각각의 재료로서, 금속박층과 그 양면 중 적어도 일방의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사용한 컵 형상 용기를 먼저 제안하였다(일본 특원2019-106125호).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ors have, as a material for each blank for a body blank and a blank for a bottom body, a cup shape using a laminate comprising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of both surfaces thereof. Courage was first propos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9-106125).

상기한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종이컵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 가능하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며 아셉틱 살균이나 레토르트 살균을 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up-shaped container,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using a paper cup manufacturing facility, is excellent in long-term storage of the contents, and can be sterilized by aseptic or retort sterilization.

여기서, 상기한 컵 형상 용기인 경우,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내용물에 노출되게 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당해 내측 단면에 디라미네이션(층간 박리)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생길 우려가 있고, 또한, 위생상 반드시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Here,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up-shaped container, since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container at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is exposed to the contents,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s, the inner end face is delamination (interlaye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deterioration due to peeling) or corrosion may occur, and it may not always be said that it is preferable from a sanitary point of view.

또한, 상기한 컵 형상 용기인 경우,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의 접합이나 동체와 바닥체와의 접합이 불충분하면, 용기의 실 성이 저하되고, 내용물의 누설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 한편, 접합 강도를 높이기 위해 실 조건을 엄하게 하면, 접합부분에 변형 등이 생겨 용기의 외관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above-described cup-shaped container, if the bonding between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or bonding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is insufficient, the sealability of the container may deteriorate and leakage of contents may occur. On the other hand, if the sealing conditions are strict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deformation or the like may occur in the bonding portion, which may damage the appearance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컵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 가능하고,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에 우수하고, 아셉틱 살균이나 레토르트 살균도 가능한 컵 형상 용기로서, 내용물과의 접촉에 의한 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shaped container tha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using a paper cup manufacturing facility, has excellent long-term storage of contents, and is capable of aseptic sterilization and retort sterilization, and suppresses deterioration due to contact with contents. It's about providing w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상기한 컵 형상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의 접합이나 동체와 바닥체와의 접합을 용기의 변형 등 외관상의 결함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용기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duce the above-described cup-shaped container, the bonding between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or the bonding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to cause cosmetic defects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increas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a container by making it possible to carry out more reliably without any work.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양태로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is invention consists of the following aspects.

1)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로서,1)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overlapp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joining them together, and the blank for the bottom body is molded to form a bottom part and a lower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A cup-shaped container consisting of an inverted U-shaped bottom, wherein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by joi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가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The blank for the body is formed as a laminate consisting of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titute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A heat-sealable resin layer They are joined by heat-sealing each other,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The blank for the floor is formed as a laminate comprising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are joined by heat-sealing,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端面)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is coated by the inner resin pool formed whe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A cup-shaped container.

2)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금속박층의 두께를 T1,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를 T2,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를 T3으로 하여, T1 : T2 : T3=1: 0.3∼1.5: 0.2∼1이고, 또한 T2≥T3인 상기 1)의 컵 형상 용기.2)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layer in the blank for the body is T1, the thickness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s T2,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outside the body is T3,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1) above, wherein T1: T2: T3 = 1: 0.3 to 1.5: 0.2 to 1, and T2 ≥ T3.

3)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1∼10g/10분(分)인 상기 1) 또는 2)의 컵 형상 용기.3)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1) or 2) above, wherein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n the blank for the body is 1 to 10 g/10 min.

4)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이, 2층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층 중 동체의 내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3∼10g/10분이고,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층 중 금속박층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3∼10g/10분인 상기 1)∼3)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4)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n the body blank consists of two or more thermoplastic resin layers, and among these thermoplastic resin layers, the melt mass of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 to 3) above, wherein the flow rate (MFR) is 3 to 10 g/10 min, and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among these thermoplastic resin layers is 3 to 10 g/10 min. Any one of the cup-shaped containers.

5)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동체의 외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상기 1)∼4)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5)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above, wherein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an inclined surface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6) 동체용 블랭크에서,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과 마주 대하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와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과의 사이에 내측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1)∼5)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6) In the blank for the fuselage, a step portion bent in a crank shape to face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fuselage is formed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edge portion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fuselage among the overlapped edge portions of both ends, and the step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above, wherein an inner resin pool is formed between the portion and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7) 또한,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1)∼6)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7) In addition,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out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blank is covered by the outside resin pool formed whe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together.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above.

8)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로서,8)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overlapp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joining them together, and the blank for the bottom body is molded to form a bottom part and a lower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A cup-shaped container consisting of an inverted U-shaped bottom, wherein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by joi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가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The blank for the body is formed as a laminate consisting of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titute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A heat-sealable resin layer They are joined by heat-sealing each other,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The blank for the floor is formed as a laminate comprising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are joined by heat-sealing,

동체용 블랭크의 2개의 열융착성 수지층 중 적어도 일방의 열융착성 수지층이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2 이상의 층 중 금속박층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이고,At least one of the two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ists of two or more layers, and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among the two or more layers is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s,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of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re betwee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 cup-shaped container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during heat-sealing.

9) 또한,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상기 8)의 컵 형상 용기.9) In addition,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of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re heat-sealed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8) above, wherein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melted and solidified when heat-sealed between the resin layers.

10)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이, 상기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10℃ 이상 낮은 것인 상기 8) 또는 9)의 컵 형상 용기.10) The cup of 8) or 9) above, wherein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10°C or mo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 shape container.

11)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이 110∼140℃인 상기 10)의 컵 형상 용기.11)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10) above, wherein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has a melting point of 110 to 140°C.

12)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상기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보다도 1∼5g/10분 이상 큰 것인 상기 8)∼11)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12)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1 to greater than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y one of 8) to 11) above, which is larger than 5 g/10 min.

13)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4∼10g/10분인 상기 12)의 컵 형상 용기.13) The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12) above, wherein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has a melt mass flow rate (MFR) of 4 to 10 g/10 min.

14) 상기 1) 또는 8)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14)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p-shaped container of 1) or 8) above,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body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함에 의해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flooring with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drawing the blank for a flooring to form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by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reof;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을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It includes a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by overlap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In the process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while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art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a body twice, manufacture of a cup-shaped container in which the heat-sealing of the 2nd time is made by a high-frequency seal Way.

15)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동체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15) forming a blank for the body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inner side of the body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함에 의해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flooring with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drawing the blank for a flooring to form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by overlapp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heat-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reof;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을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It includes a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by overlap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In the process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while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art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a body twice, manufacture of a cup-shaped container in which the heat-sealing of the 2nd time is made by a high-frequency seal Way.

16)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적층체로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16)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blank for the body, a laminate in which a heat-fusible resin layer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foil layer is used as a laminate,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1회째의 열융착을 행하여 접합함에 의해, 합장부를 갖는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한 후, 합장부를 일방의 측으로 절곡하여 동체의 외면에 겹친 상태에서 고주파 실에 의해 2회째의 열융착을 행함에 의해, 합장부를 동체의 외면에 접합하는 상기 15)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cylindrical body,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overlapped in the shape of a joint,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are joined by performing the first heat sealing. By this, after forming a cylindrical body having a joint part, the joint part is bent to one side and heat-sealed for the second time with a high-frequency seal in a state in which it is overlapp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reby joining the joint par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said 15).

17)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의 하단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상기 14)∼16)의 어느 하나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17)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heat-seal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in any one of said 14) - 16).

18)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동체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18) forming a blank for the body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inner side of the body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함에 의해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flooring with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drawing a blank for a flooring body such that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is formed;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과,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by overlapp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heat-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reof;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을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Including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by thermally bo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의 하단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bottom,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heat-seal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using a high-frequency sea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tainer.

19)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적층체로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하고,19) In the process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a laminate in which a heat-fusible resin layer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foil layer is used as a laminate,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를 그 하단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내방으로 접어 접힘부를 형성함과 함께,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고 있고,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상기 17) 또는 18)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the body is folded inward from the lower opening edge of the body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floor to form a fold, and the lower end and the folded part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formed. By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and folds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forme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the above 17) or 18), wherein the heat sealing is performed twice, and the second heat sealing is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상기 1)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내용물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1) above,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blank is formed whe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Since it is covered with a resin pool and is not exposed to the contents, the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inner end face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in terms of hygiene.

상기 2)∼6)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1)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한 상기 효과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said 2) - 6), the said effect by the said cup-shaped container of 1) is made|formed still more reliably.

상기 7)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도, 동체용 블랭크의 양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7) above,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outer sectional view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the outer side resin formed when heat-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on both edges of the blank for the body Since it is coat|covered with the pit, the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said outer side end surface is suppressed effectively.

상기 8)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의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에서의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내용물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8) above,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of the inner end sur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are heated.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of the blank for the body,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melted and solidified and cover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Since it is not exposed, the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said inner side end surface is suppressed effectively, and it is also preferable also from a sanitary point of view.

또한, 본 발명을 특정함에 있어서, 「융점」은, JIS K7121-1987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DSC)에 의해 측정된 융해 피크 온도(Tmp)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In specifying the present invention, "melting point" shall indicate the melting peak temperature (Tmp)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in accordance with JIS K7121-1987.

상기 9)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도,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의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에서의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9) above,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of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positioned outside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re also Since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mposed of two or more layers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The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the outer end face is effectively suppressed.

상기 10)∼13)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하면, 상기 8) 또는 9)의 컵 형상 용기에 의한 상기 효과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of said 10) - 13), the said effect by the said cup-shaped container of 8) or 9) is made|formed still more reliably.

상기 14) 또는 15)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이, 고주파 실의 유도 가열에 의해 고온이 된 금속박층부터 가열됨에 의해서도 열융착되기 때문에,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개소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그에 의해 용기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가, 열융착에 수반하는 용기의 변형 등 외관상의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e above 14) or 15),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heat-sealed even by heating from the metal foil layer, which has become high due to induction heating of the high-frequency seal. , since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together, and a resin puddle is easily formed at the jointed portion with thermal fusion,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container and thermal fus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appearance,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accompanying the .

상기 16)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면이 내용물과 접촉하지 않음으로 디라미네이션 등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내용물과 접촉하는 면이 1종류의 수지로 구성됨으로 살균이 용이해지는 위생적인 용기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e above 16), the occurrence of delamination etc. is suppressed because both end surfaces of the blank for the bod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ents, and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is composed of one type of resin. A hygienic container that can be easily sterilized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상기 16)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동체의 합장부를 동체의 외면에 접합하는 공정을 초음파 실에 의한 금속박층에서의 가열에 의해 행할 수 있어서, 열융착을 위한 열이 각 열융착성 수지층에 균일하게 전해지기 때문에, 양자의 접합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제조 효율의 면에서도 유리하다.Moreover,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e said 16), the process of joining the joining part of a body to the outer surface of a body can be performed by heating in the metal foil layer by an ultrasonic chamber, and the heat for thermal fusion is each row|line|column. Since it transmits uniformly to the fusible resin layer, bonding of both can be performed more reliably, and it is advantageous also in the point of manufacturing efficiency.

상기 17) 또는 18)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고주파 실에 의해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그에 의해 용기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는데다가, 열융착에 수반하는 변형 등 외관상의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said 17) or 18), the lower end of a body and the drooping part of a bottom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by a high-frequency seal, and a resin stagnant part is attached to the said joint part with heat sealing. is easy to form, thereby increasing the sealability of the container and effective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appearance such as deformation accompanying thermal fusion.

상기 19)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접힘부의 내부도 포함하여 동체와 바닥체와의 접합부분의 실 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e above 19), the sealability of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body including the inside of the folded portion is further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수직 단면도로서, 동 도면 중, 1점쇄선(A)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1점쇄선(a)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고, 1점쇄선(B)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1점쇄선(b)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의 (a)는 동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 4의 (a)는 동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각 열융착성 수지층이 3층 구조인 양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한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6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7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8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9의 (a)는 동체용 블랭크의 평면도, (b)는 동체용 블랭크로 성형된 동체의 사시도.
도 10의 (a)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평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로 성형된 바닥체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컵 형상 용기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도 12는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와 바닥체와의 연결 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 수직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a)는 동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각 열융착성 수지층이 2층 구조인 양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의 (a)는 동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b)는 바닥체용 블랭크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로서, 각 열융착성 수지층이 3층 구조인 양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한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6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8은 상기 컵 형상 용기의 동체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의 수평 단면도로서, 동 도면 중, 1점쇄선(C)으로 둘러싸인 부분은 1점쇄선(c)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상기 컵 형상 용기의 동체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동체의 오버랩부의 한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2는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동체의 오버랩부의 한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4는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5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단 테두리부에 열 프레스 가공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8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한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7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8은 상기 컵 형상 용기에서의 동체의 오버랩부의 또 다른 양태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
도 29는 도 9(a)의 XXⅨ - XXⅨ선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a) 내지 (c)는 횡단면 형상이 다른 3개의 양태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1 , in which the portion surrounded by the dashed-dotted line (A) is enlarged and illustrated in the portion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a), The portion surrounded by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b).
Fig. 3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ed structure of a laminate used as a material for a blank for a body, and (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ayered structure of a laminate used as a material for a blank for a floor.
Fig. 4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laminat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blank for the body, (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ed structure of the laminat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blank for the floor, each row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usible resin layer has a three-layer structure.
Fig. 5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aspect of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6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an overlap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7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8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an overlap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ure 9 (a) is a plan view of the blank for the body,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molded with the blank for the body.
Figure 10 (a) is a plan view of the blank for the floor body, (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body molded into the blank for the floor body.
Fig. 11 is a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up-shaped container.
Fig. 12 is a partially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body and the bottom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13 shows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a laminate used as a material for a blank for a body, (b) is a blank for a bottom body; It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used as the material of , showing an aspect in which each heat-fusible resin layer has a two-layer structure.
Fig. 14 (a)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blank for the body, (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ayer structure of the laminat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blank for the floor body, each row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fusible resin layer has a three-layer structure.
Fig. 15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aspect of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16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17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in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ody of the cup-shaped container.
Fig. 19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portion enclosed by the dashed-dotted line (C) is enlarged and shown in the same figure. .
Fig. 20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body of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1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showing one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Fig. 22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3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showing one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Fig. 24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5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step of forming a hot press working portion in an inner edge portion of a blank for a body.
Fig. 26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nlarged manner, showing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of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7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aspect of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8 is an enlarged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still another aspect of an overlapping portion of a body in the cup-shaped container;
Fig. 29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IX - XXIX of Fig. 9(a), wherein (a) to (c) are views each showing three embodiments having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하」는, 컵 형상 용기, 동체, 바닥체에서의 상하(예를 들면 도 2, 11, 12 각각의 상하)를 말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내」는, 컵 형상 용기, 동체, 바닥체에서의 중심에 가까운 측(예를 들면 도 5∼8, 15, 16, 21∼24, 26∼28의 각 아래, 도 11, 12의 각 오른쪽)를 말하고, 「외」는, 컵 형상 용기, 동체, 바닥체에서의 중심으로부터 먼 측(예를 들면 도 5∼8, 15, 16, 21∼24, 26∼28의 각 위, 도 11, 12의 각 왼쪽)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op and bottom" shall refer to the top and bottom in the cup-shaped container, the body, and the bottom (for example, the top and bottom of each of FIGS. 2, 11, 12), and "inside" means the cup The side close to the center in the shape container, the body, and the bottom (for example, under each of FIGS. 5 to 8, 15, 16, 21 to 24, 26 to 28, and to the right of each of FIGS. 11 and 12), and "other "" indicates the side away from the center of the cup-shaped container, the body, and the bottom (for example, the top of each of Figs. 5-8, 15, 16, 21-24, 26-28, and the left side of Figs. 11 and 12) do it by saying

<제1의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것이고, 당해 용기(1)는, 동체용 블랭크(20A)로 성형된 동체(2)와, 바닥체용 블랭크(30A)로 성형된 바닥체(3)를 접합 일체화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show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up-shaped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ntainer 1 is a body 2 molded from a blank 20A for a body. It is made by bonding and integrating the floor body 3 molded with the floor blank 30A.

동체(2)는, 테이퍼 통형상(筒狀)의 것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채형을 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동체(2)에는, 그 높이 방향에 따라 늘어나는 오버랩부(21)가 존재한다.The body 2 is a tapered cylindrical thing, and as shown in FIG. 9, it is shape|molded by overlapping and joining the both ends of the blank 20A of fan-shaped body blanks. Accordingly, the body 2 has an overlapping portion 21 extending along its height direction.

동체(2)의 하단 개구 테두리부에는, 내방으로 접혀진 접힘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체(2)의 상단 개구 테두리부에는, 외방으로 절곡된 플랜지부(23)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23)는, 하방으로 접혀 개략 수평한 편평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는, 도시 이외의 형태, 예를 들면, 하방으로 컬 되어 횡단면 개략 원호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In the low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an inwardly folded fold 22 is formed. Moreover, the flange part 23 bent outward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 The flange portion 23 is folded downward and is formed into a substantially horizontal flat shape. In addition, the flange part may be shape|molded in the form other than illustration, for example, it curls downward and shape|mold in the cross-section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바닥체(3)는, 원형을 한 수평한 저부(31)와, 저부(31)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난 수하부(32)를 갖는 단면 개략 역U형의 것으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의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드로잉 성형하여 이루어진다.The bottom body 3 has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having a horizontal bottom part 31 having a circular shape and a drooping part 3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art 31, and is shown in FIG. As shown, the blank 30A for a circular floor is formed by drawing.

그리고,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외면이 동체(2)의 하단부(2a)의 내면에 접합됨과 함께, 동체(2)의 접힘부(22)가 수하부(32)의 내면에 접합됨에 의해, 동체(2) 및 바닥체(3)가 일체화되어 있다(도 2 및 도 11 참조).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is joi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folded part 22 of the body 2 i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By joining to the ,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3 are integrated (refer to Figs. 2 and 11).

또한, 도 12에 변형례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하단 개구 테두리부에 접힘부(22)를 형성하지 않고, 동체(2)의 하단부(2a) 내면에 바닥체(3)의 수하부(32) 외면이 접합될 뿐의 연결 구조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닥체(3)의 성형시에 수하부(32)에 약간의 주름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에도, 공기 등을 혼입하는 일 없이, 동체(2)의 하단부(2a)와 바닥체(3)의 수하부(32)를 확실하게 실(seal)할 수 있다.Moreover, as shown as a modified example in FIG. 12, without forming the folded part 22 in the lower end opening edge part of the body 2, the lower end part 2a inn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3 of the body 2 By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is only joined,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3 can be integrated into a structu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even when slight wrinkles are generated in the lower part 32 at the time of molding the bottom body 3,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2 are not mixed without air or the like. The lower part 32 of (3) can be reliably sealed.

동체용 블랭크(20A)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층(201)과, 금속박층(201)의 양면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과, 금속박층(201)의 양면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20)로 형성되어 있고, 종이층을 갖지 않는다.The blank 20A for a body is laminated|stacked on the surface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as shown in Fig.3 (a), the inner side heat-sealability. It is formed of a laminate 20 comprising a resin layer 202 and an outer heat-fusible resin layer 203 lamin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a paper layer. do not have

또한, 바닥체용 블랭크(30A)도,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박층(301)와, 금속박층(301)의 양면 중 바닥체(3)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과, 금속박층(301)의 양면 중 바닥체(3)의 하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30)로 형성되어 있고, 종이층을 갖지 않는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b), the blank 30A for a floor is also lamin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tal foil layer 301 and the upper side of the floor body 3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301. It is formed of a laminate 30 comprising a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a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lamin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ttom body 3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301 , and does not have a paper layer.

각 적층체(20, 30)의 두께는, 25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 미만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각 적층체(20, 30)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블랭크의 재료로서 두께 250∼400㎛ 정도의 적층체를 사용하는 종이컵과 같이, 동체(2)의 플랜지부(23)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가 너무 커지거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1)와의 접합이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확실하게 회피된다.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less than 250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each laminated body 20 and 30,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less than 200 micrometers. By making the thickness of each laminated body 20 and 30 into the said range, the overlap part of the flange part 23 of the body 2 like a paper cup using the laminated body with a thickness of about 250-400 micrometers as a blank material. The problem that the step difference of the part constituted by (21) becomes too large, or the bonding between the lower end part 2a and the folded part 22 of the body 2 and the drooping part 31 of the bottom body 3 is not stable. is definitely avoided.

금속박층(201, 301)은, 내용물을 가스, 수증기, 광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배리어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function as barrier layers for protecting the contents from gas, water vapor, light, and the like.

금속박층(201, 301)을 구성하는 금속박으로서는, 알루미늄박, 철박, 스테인리스강박, 구리박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알맞게는 알루미늄박이 이용된다. 알루미늄박인 경우, 순알루미늄박, 알루미늄 합금박의 어느 것이라도 좋고, 또한, 연질, 경질의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예를 들면, JIS H4160에서 분류되는 A8000계(특히, A8079H나 A8021H)의 소둔 처리 완료의 연질재(O재)라면, 성형성이 루수하기 때문에,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금속박층(201, 301)(특히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을 구성하는 알루미늄박으로서, 경질재(H재)를 적용하는 경우, 플랜지부(23)의 강도가 높아져서, 예기치 못한 충격에 의한 플랜지부(23)의 변형이 억제되고, 나아가서는 컵 형상 용기(1) 전체로서 보형성이 향상한다고 생각된다.As the metal foil constituting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aluminum foil, iron foil, stainless steel foil, copper foil, etc. can be used, but aluminum foil is preferably used. In the case of aluminum foil, either pure aluminum foil or aluminum alloy foil may be used, and either soft or hard may be used. For example, the annealing treatment of A8000 series (especially A8079H or A8021H) classified in JIS H4160 has been completed. If it is a soft material (O material), the formability is poor, so it can be used suitably. In addition, when a hard material (H material) is applied as an aluminum foil constituting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especially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strength of the flange portion 23 is It becomes high, and it is thought that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of the flange part 23 by an unexpected impact is suppressed, and also the shape retention property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whole improves by extension.

금속박층(201, 301)의 양면에는, 필요에 응하여, 화성 처리 등의 하지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탈지 처리를 행한 금속박의 표면에,Base treatment, such as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is per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as needed. Specifically, for example, on the surface of the metal foil subjected to degreasing treatment,

1)인산과,1) phosphate and

크롬산과,chromic acid,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An aqueous solution of a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l salts of fluorides and non-metal salts of fluorides

2)인산과,2) phosphate and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chitosan derivative resins and phenolic resins;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An aqueous solution of a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c acid and chromium (III) salts

3)인산과,3) phosphate and

아크릴계 수지, 키토산 유도체 수지 및 페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와,At least one res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rylic resins, chitosan derivative resins and phenolic resins;

크롬산 및 크롬(Ⅲ)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과,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romic acid and chromium (III) salts;

불화물의 금속염 및 불화물의 비금속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의 수용액An aqueous solution of a mixture containing at least one compoun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al salts of fluorides and non-metal salts of fluorides

상기 1)∼3) 중의 어느 하나의 수용액을 도공(塗工)한 후, 건조함에 의해, 화성 처리를 시행하여, 피막을 형성한다.After coating the aqueous solution of any one of said 1) - 3), by drying,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is performed and a film is formed.

상기 화성 처리에 의해 금속박층(201, 301) 표면에 형성되는 피막은, 크롬 부착량(편면당)을 0.1㎎/m2∼50㎎/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m2∼20㎎/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lm formed on the metal foil layer (201, 301) surface by the chemical treatment is, and to a chromium coating weight (per one surface) in 0.1㎎ / m 2 ~50㎎ / m 2 preferred, and particularly, 2㎎ / m 2 to a ~20㎎ / m 2 it is preferred.

금속박층(201, 301)의 두께는, 40∼2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16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금속박층(201, 301)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충분한 배리어성과 성형 가공성을 얻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40-200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it is more preferable to set it as 80-160 micrometers.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into the said range, sufficient barrier property and moldability can be acquired.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은, 용기(1)의 내외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금속박층(201, 301)을 보호함과 함께, 적층체(20, 30)에 성형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고,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의 접합이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접합일 때에 열융착층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 203 , 302 , 303 constitute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tainer 1 , and are molded into the laminates 20 and 30 while protecting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 It is responsible for the role of imparting properties, and the number of bonding between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folded portion 22 and the bottom 3 When bonding with the lower part 32, it functions as a heat sealing layer.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은,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을 첩합한 복합 필름에 의해 구성되는데, 특히, 내열성이나 드로잉 성형성에 우수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이 알맞다. 또한,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은, 상기 필름에 대신하여,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에폭시 수지나 셀락 수지 등의 코트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and 303 are, for example, heat-sealable polypropylene (PP) films and general-purpose films such as polyethylene (PE) films, or composite films bonded together. In particular, an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or drawing formability is suitable.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302, and 303 are formed of a coating layer such as maleic acid-modified polyethylene, maleic acid-modified polypropylene, ethylene-vinyl acetate, epoxy resin or shellac resin instead of the above film. it may be good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의 두께는, 5∼8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60㎛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의 접합부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접합부에서 충분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음과 함께, 동체(2)의 플랜지부(23) 상면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를 완만하게 할 수 있고, 덮개재로 봉함(封緘)한 때의 밀봉성이 양호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5-80 micrometers, and, as for the thickness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10-60 micrometers is more preferable. By making the thickness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302, and 303 into the above range, the joint between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folded portion Sufficient adhesive strength can be obtained at the joint between 22 and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art 23 of the body 2 is constituted by the overlap part 21 The level difference of a part can be made gentle, and the sealing property at the time of sealing with a cover material becomes favorable.

금속박층(201, 301)을 구성하는 금속박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을 구성하는 필름과의 적층은, 예를 들면, 접착제층(도시 생략)을 통하여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행해진다. 접착제층에는, 예를 들면, 2액 경화형의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나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가 이용된다.Lamination of the metal foil constituting the metal foil layers 201, 301 and the film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is, for example, dry lamination via an adhesive layer (not shown). done by law For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 two-component curing type polyester-polyurethane adhesive or polyether-polyurethane adhesive is used.

상기한 접착제층의 존재에 의해, 예를 들면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열융착에 의해 감육(減肉)한 경우에도, 금속박층(201)끼리가 접촉하는 것이 회피되기 때문에, 실 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한 접착제층이 있으면,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을 투과하는 내용물이 충전된 경우라도, 금속박층(201, 301)이 부식되어 내용물이 누출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By the presence of the adhesive layer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ody blank 20A. Even when the thickness is reduced by this thermal fusion, since contact between the metal foil layers 201 is avoided, sealability is maintained. In addition, if the adhesive layer is present, even when the contents passing through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are filled,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are corroded to avoid leaking the contents. can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를 구성하는 적층체(20)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구성하는 적층체(30)는, 통상, 동일한 것이 이용되지만, 재질 및/또는 두께가 다른 것으로 하여도 좋다.The laminate 20 constituting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laminate 30 constituting the blank 30A for the floor body are usually the same, but differ in material and/or thickness. also good

다음에, 상기 적층체(20, 30)를 사용하여, 컵 형상 용기(1)를 형성하는 방법의 한 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of the method of forming the cup-shaped container 1 using the said laminated body 20 and 30 is demonstrated.

우선, 적층체(20)를 소정 사이즈의 부채형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20A)를 형성한다(도 9(a) 참조).First, the stacked body 20 is punched out in a fan shape of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lank 20A for the body (refer to Fig. 9(a)).

또한, 적층체(30)를 소정 사이즈의 원형으로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형성하고(도 10(a) 참조), 이 블랭크(30A)를,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드로잉 성형 가공함에 의해, 저부(31) 및 수하부(32)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3)를 성형한다(도 10(b) 참조). 얻어진 바닥체(3)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다. 또한, 바닥체(3)의 외면에서의 저부(31)와 수하부(32) 사이의 코너 부분은, 각(角)이 나와 있다.Further, the laminate 30 is punched out into a circle of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blank 30A for a floor (refer to Fig. 10(a)), and the blank 30A is drawn using a mold (not shown). By molding, the bottom body 3 of the cross-section schematically inverted U-shaped which consists of the bottom part 31 and the drooping part 32 is shape|molded (refer FIG.10(b)). The obtained bottom body 3 does not have wrinkles. Moreover,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ottom part 31 and the drooping part 32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3 has an angle|corner.

그리고, 개략 원추대형의 금형(도시 생략)의 정상면(頂面)에, 바닥체(3)를 그 저부(31) 상면이 겹쳐지도록 세트해 두고 나서,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동체용 블랭크(20A)를 휘감고, 그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킨 후, 오버랩부(21)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시킴에 의해, 테이퍼 통형상의 동체(2)를 성형한다. 오버랩부(21)의 열융착의 수단은, 열판을 이용한 히트 실 외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이라도 좋다.Then, after setting the bottom body 3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31 overlaps with the top surface of a substantially truncated mold (not shown),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pla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After wr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are heat-sealed. By squeezing, the body 2 of the tapered cylindrical shape is molded. The means for thermal fusion of the overlap portion 21 may be a high-frequency seal, an ultrasonic seal, or the like in addition to a heat seal using a hot plate.

다음에,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하단 개구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접어, 그 접힘부(22)를 원반형상의 회전 금형(도시 생략)에 의해 바닥체(3)의 수하부(32)에 꽉누른 후,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과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을 열융착시킴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를 접합 일체화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1, the low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is folded inward, and the folded portion 22 is fold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body 3 by a disk-shaped rotating die (not shown). 32),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constituting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between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after being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heat-sealing 202 and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3 are joined and integrated.

또한, 동체(2)의 상단 개구 테두리부를, 소정의 컬 성형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외방으로 컬 시킴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편평형상으로 성형함에 의해, 플랜지부(23)를 형성한다(도 11 참조).Further, the upp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is curled outward using a predetermined curling die (not shown) and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flat shape, thereby forming the flange portion 23. (See Fig. 11).

이렇게 해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컵 형상 용기(1)를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the cup-shaped container 1 shown in FIG. 1 and FIG. 2 can be obtained.

제1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 이하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1st Embodiment,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즉,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2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are covered with the inner resin pool R1 formed when heat-sealing.

또한,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도,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R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도 5 참조). 단, 외측 수지 고임부(R2)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Further,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is also an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constituting a surface that is overlapped with each other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202 and the outer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are covered with the outer side resin pool R2 formed when heat-sealed (refer to Fig. 5).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at the outer side resin pool R2 is formed.

상기한 내측 수지 고임부(R1) 및 외측 수지 고임부(R2)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열융착할 때,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일부가 용융하고, 용융한 수지가, 열융착시의 가압력에 의해 오버랩부(21)의 폭방향으로 압출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내측 수지 고임부(R1)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을 구성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내측 단면(204)에 근접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일부가 용융한 수지에 의해서도 형성되고, 외측 수지 고임부(R2)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을 구성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외측 단면(205)에 근접하는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일부가 용융한 수지에 의해서도 형성된다고 생각된다.The inner resin pool (R1) and the outer resin pool (R2) described above are the inner side constituting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when thermally sealing the overlapping edge portions of the fuselage blank 20A. A portion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is melted, and the melted resin is extrud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y the pressing force at the time of heat sealing. . In addition, the inner resin pool R1 is an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an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constituting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inner end surface ( A part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djacent to 204 is also formed of molten resin, and the outer resin pool R2 is the inner side constituting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t is considered that a part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r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adjacent to the outer end face 205 is also formed of molten resin.

이들의 수지 고임부(R1, R2)는, 예를 들면, 열융착시의 실(seal) 조건(실 온도, 가압력, 실 시간, 실 범위 등)을 제어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구성 등을 적절히 설정하거나 함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se resin pools R1 and R2 control the sealing conditions (seal temperature, pressing force, real time, seal range, etc.)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for example, o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blank for the body ( It can form by setting the structure etc. of 20A) suitably.

동체용 블랭크(20A)에서, 금속박층(201)의 두께를 T1,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두께를 T2,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두께를 T3으로 하여, T1 : T2 : T3=1 : 0.3∼1.5 : 0.2∼1이고, 또한 T2≥T3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T1 : T2 : T3=1 : 0.5∼0.8 : 0.4∼0.7이다. 상기 두께의 비율 구성에 의하면, 특히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을 피복하는 내측 수지 고임부(R1)가 형성되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T2를 T3보다 크게 하면,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다.In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s T1, the thickness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is T2,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is T3, T1: T2:T3=1:0.3-1.5:0.2-1, and it is preferable that T2≥T3. More preferably, it is T1:T2:T3=1:0.5-0.8:0.4-0.7. According to the ratio structure of the said thickness, the probability that the inner side resin pool R1 which coat|covers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 of 20 A of blanks for body especially is formed can be raised. In addition, when T2 is larger than T3, the sealability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can be improved.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는, 1∼2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18g/10분이다. 여기서, 상기 MFR은,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이 2층 이상인 경우, 그 평균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MFR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면, 특히 내측 수지 고임부(R1)의 형성되는 확률이 높아진다.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preferably 1 to 20 g/10 min, more preferably 7 to 18 g/10 min. Here,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has two or more layers, the MFR shall indicate an average value thereof. If the MFR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is set within the above range, the probability of forming the inner resin puddle R1 in particular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을 특정함에 있어서, 「MFR」은, JIS K7210-1 : 2014에 규정된 MFR의 표준적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구한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MFR은, 상기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f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 된다.In addition, in specifying this invention, "MFR" points out what was calculated|required based on the standard test method of MFR prescribed|regulated to JISK7210-1:2014. For example,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is made of polypropylene, the MFR is a valu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0°C and a load of 2.16 kgf in accordance with the test method described above.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MFR은, 1∼1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0g/10분이다. 여기서, 상기 MFR은,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2층 이상인 경우, 그 평균치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MFR을 상기 범위로 설정하면, 히트 실 시에 용융한 수지가 흐르기 어려워지고, 실 부의 표면의 거침이 적어진다.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MFR of the outer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20A of blanks for bodies is 1-15 g/10min, More preferably, it is 4-10 g/10min. Here, the MFR shall indicate an average value of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in the case of two or more layers. If the MFR of the outer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is set within the above range, the molten resin during heat operation becomes difficult to flow,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seal portion is reduced.

도 4(a)는, 동체용 블랭크(20A)를 구성하는 적층체(20)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각각 2층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알맞은 양태를 도시한 것이다.Fig. 4(a) shows that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laminate 20 constituting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two or more thermoplastic resin layers, respectively. It shows a suitable aspect in the case of being made up of.

도 4(a)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은, 동체(2)의 내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202a)과, 금속박층(2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202b)과, 이들의 층(202a, 202b)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열가소성 수지층(202c)에 의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것이다.In Fig. 4(a),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of the body blank 20A is laminated on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a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It has a three-layer structure comprising a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b and an intermediat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c interposed between these layers 202a and 202b.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202a)의 MFR은, 3∼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9g/10분이다.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202b)의 MFR은, 3∼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9g/10분이다. 또한, 중간 열가소성 수지층(202c)의 MFR은,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202a) 및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202b)의 MFR보다도 작은 것이 되고, 0.5∼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4g/10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3개의 층(202a, 202b, 202c)의 MFR의 범위를 규정함에 의해, 내측 수지 고임부(R1)의 형성되는 확률이 높아지고, 그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특히 내측 단면(204)을 확실하게 피복하여 보호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MFR of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a is 3-10 g/10min, More preferably, it is 4-9 g/10min. The MFR of the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b is preferably 3 to 10 g/10 min, more preferably 4 to 9 g/10 min. Further, the MFR of the intermediat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c is smaller than the MFR of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a and the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b, and is preferably 0.5 to 5 g/10 min, more preferably 1.5 to 4 g/10 min. By defining the range of the MFR of the three layers 202a, 202b, 202c as described above, the probability of the formation of the inner resin pool R1 is increased, whereby the blank 20A for the fuselage is particularly formed in the inner end face ( 204) can be reliably covered and protected.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도, 동체(2)의 외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203a)과, 금속박층(2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203b)과, 이들의 층(203a, 203b) 사이에 개재되는 중간 열가소성 수지층(203c)에 의해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것이다. 각 층(203a, 203b, 203c)의 MFR은,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대응한 각 층(202a, 202b, 202c)의 MFR과 동일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Similarly,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is also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minated on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203a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 It has a three-layered structure comprising a formation layer 203b and an intermediat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3c interposed between the layers 203a and 203b. The MFR of each of the layers 203a, 203b, and 203c can be set in the same range as the MFR of each of the corresponding layers 202a, 202b, and 202c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

상기한 층 구성을 갖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은, 예를 들면, 2종 3층(랜덤 폴리프로필렌(rPP)/블록 폴리프로필렌(bPP)/랜덤 폴리프로필렌(rPP)) 또는 1종 3층(랜덤 폴리프로필렌(rPP)/랜덤 폴리프로필렌(rPP)/랜덤 폴리프로필렌(rPP))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having the above-described laminated constitution are, for example, two types of three layers (random polypropylene (rPP)/block polypropylene (bPP)/ Random polypropylene (rPP)) or a no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of three layers (random polypropylene (rPP)/random polypropylene (rPP)/random polypropylene (rPP)).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구성하는 적층체(30)의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302a, 303a),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302b, 303b) 및 중간 열가소성 수지층(302c, 303c)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것으로 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4(b),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of the laminate 30 constituting the floor blank 30A are also As described above, it can have a three-layer structure comprising the actual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s 302a and 303a, the laminate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s 302b and 303b, and the intermediate thermoplastic resin layers 302c and 303c.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는, 상기한 바와 같은 3층 구조로 하는 외에,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 및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그 경우,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MFR을 높게 하고,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MFR을 낮게 하면 좋다.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blank 30A for the floor may have a two-layer structure comprising a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and a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in addition to the three-layer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at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make MFR of the actual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high, and just to make MFR of the lamination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low.

컵 형상 용기(1)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 열융착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합계 두께(T4)가 8∼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0㎛가 된다(도 5 참조). 상기 합계 두께(T4)가 8㎛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합계 두께(T4)가 150㎛를 초과하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 203) is preferably 8 to 150 µm, more preferably 16 to 80 µm (see Fig. 5). If the total thickness T4 is less than 8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overlap portion 21 may becom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thickness T4 exceeds 150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또한,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금속박층(201, 201)끼리의 두께 방향에서 본 겹쳐지는 폭(W1)이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가 된다(도 5 참조). 상기 겹쳐지는 폭(W1)이 2㎜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실 폭이 너무 작아져서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겹쳐지는 폭(W1)이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오버랩부(21)의 폭이 커져서 가격 상승에 이어지고, 또한,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일방의 단테두리부)과 외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타방의 단테두리부)에 걸리는 응력의 상위에 기인하여,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overlapping width W1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201 comrades at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2 to 10 mm. It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set as 4-8 mm (refer FIG. 5). If the overlapping width W1 is less than 2 mm, there is a fear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and further, the yarn width may become too small and the sealing performance may becom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lapping width W1 exceeds 10 mm,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leading to a price increase, and further, the inner por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lank for the body 20A)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ss applied to the one end edge part) and the outer part (the other short edge part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ppearance defects such as wrinkles entering the inner part of the overlapping part 21 may occur.

도 6∼도 8은, 상기 컵 형상 용기(1)에서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의 다른 양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6 to 8 respectively show other aspect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in the cup-shaped container 1 .

도 6에 도시하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인 경우,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X)이, 동체(2)의 외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당해 경사면이 되는 내측 단면(204X)과,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도 5에 도시하는 양태의 것에 비하여 작아지고, 예각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의 면끼리의 사이의 공극이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파묻히기 쉽고, 나아가서는,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한 내측 단면(204X)의 피복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해진다.In the case of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shown in FIG. 6,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X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turns into the inclined surface which turn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s shown in FIG. The angle between the inner end face 204X serving as the inclined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end edge portion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overlapping both end edg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is shown in FIG. It is small compared with the thing of the aspect shown in figure, and it becomes an acute angle. Therefore, the space|gap between these surfaces is easy to be buried by the inner resin pool R1, and furthermore, the coating of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X by the inner resin pool R1 is performed more reliably. .

이와 같은 경사면이 되는 내측 단면(204X)은, 예를 들면, 적층체(20)를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측부터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측을 향하여 절단함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형성 가능하다.The inner end face 204X serving as such an inclined surface is, for example, for the body by cutting the laminate 20 from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side towar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side. It can be formed by allowing the blank 20A to be formed.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상기 구성에 더하여,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이, 동체(2)의 내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외측 수지 고임부(R2)에 의한 외측 단면(205)의 피복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해진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was abbreviate|omitted, in addition to the said structure, the outer side end surface 205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may become the inclined surface which faced the inside of the body 2 . Thereby, the coating of the outer end surface 205 by the outer resin pool R2 is performed more reliably.

도 7에 도시하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과 마주 대하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206)와 내측 단면(204)과의 사이에, 내측 수지 고임부(R1)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shown in FIG. 7, among the overlapping both end edge parts of the blank 20A for body, the part adjacent to the outer edge edge part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for body use A step portion 206 bent in a crank shape to face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is formed. Then, an inner resin pool R1 is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 206 and the inner end face 204 .

이 경우,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X)과 단차부(206)의 내면이 이루는 각도는, 도 5에 도시하는 양태의 것에 비하여 작아지고, 예각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면끼리 사이의 공극이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파묻히기 쉽고, 나아가서는,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한 내측 단면(204X)의 피복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해진다.In this case,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surface 204X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06 is smaller than that of the aspect shown in FIG. 5 and is an acute angle. Therefore, the space|gap between these surfaces is easy to be buried by the inner resin pool R1, and, by extension, coating of the inner end surface 204X by the inner resin pool R1 is performed still more reliably.

상기 단차부(206)는, 예를 들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열융착할 때에, 열판 등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소요 부분을 변형시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The step portion 206 is, for example, when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heat-sealing, by deforming the required portion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by pressing force by a hot plate or the like. can be formed

도 8에 도시하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인 경우,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X)이, 동체(2)의 외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X)과 마주 대하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차부(206)와, 경사면이 되는 내측 단면(204X)과의 사이에, 내측 수지 고임부(R1)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shown in FIG. 8, 204X of inner side end surfaces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are the inclined surfaces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 In addition,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edge portion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overlapped both end edg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crank so as to face the inner end face 204X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 stepped portion 206 bent into a shape is formed. Then, an inner resin pool R1 is formed between the step portion 206 and the inner end surface 204X serving as an inclined surface.

상기 양태인 경우, 도 6, 도 7에 도시하는 양태에 비하여,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X)과 단차부(206)의 내면 사이의 공극이, 더욱 좁아져 있기 때문에,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파묻히기 쉽고, 나아가서는,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한 내측 단면(204X)의 피복이 보다 한층 확실하게 행해진다.In the case of the above aspect, compared with the aspect shown in Figs. 6 and 7, the gap between the inner end surface 204X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06 is further narrowed, so the inner resin It is easy to be buried by the puddle R1, and furthermore, the coating|cover of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X by the inner resin pit R1 is performed still more reliably.

제1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1st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made|formed.

a)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각각이, 금속박층(201, 301) 및 그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20, 30)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컵의 제조 설비를 이용하여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a) Each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blank 30A for the floor consists of a metal foil layer 201, 301 and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laminated on both surfaces thereof. Since it is formed of (20, 30),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using a paper cup manufacturing facility.

b) 각 블랭크(20A, 30A)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20, 30)가 금속박층(201, 301)을 가지고 있어서, 내용물의 장기 보존성이 우수하다.b) The laminates 20 and 30 used as the material of each of the blanks 20A and 30A have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301, so that the long-term storage of the contents is excellent.

c) 종이컵에 비하여 동체용 블랭크(20A)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2)의 플랜지부(23) 상면 중 오버랩부(21)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분의 단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용기(1)의 플랜지부(23) 상면에 덮개를 실 할 때에 실 불량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아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플랜지부(23) 상면의 상기 단차에 살균액이 남기 어려워진다.c) Since the thicknes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becomes smaller than that of the paper cup,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body 2 and the portion constituted by the overlap portion 21 can be made small, and thus When sealing the l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container 1, it is difficult for a seal failure to occur. In addition, when performing aseptic (sterile) filling,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sterilizing liquid to remain on the level differe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

d) 바닥체(3)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드로잉 성형하여 되기 때문에, 바닥체(3)에 주름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종래의 종이컵과 같이 바닥체(3)의 수하부(32)와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의 접합 불량이 생기거나, 배리어성의 저하를 초래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d) Since the bottom body 3 is formed by drawing the blank 30A for the bottom body, wrinkles do not occur in the bottom body 3, and thus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like a conventional paper cup. There is no fear that poor bonding with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cavity 2 occurs, or a decrease in barrier properties is caused.

e) 종이컵에 비하여 동체용 블랭크(20A) 및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두께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를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e) Since the thickness of the blank for the body 20A and the blank for the floor 30A is smaller than that of the paper cup,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art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body 3 ( 32) can be stably joined.

f) 종이컵에 비하여 바닥체(3)의 외면에서의 저부(31)와 수하부(32) 사이의 코너 부분의 곡률 반경(아르)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아셉틱(무균) 충전을 행하는 경우에, 컵 형상 용기(1)의 바닥체(3) 상면과 동체(2) 내주면과의 경계 부분에 살균액이 남기 어려워진다.f) When performing aseptic (sterile) filling because the radius of curvature (are) of the corner portion between the bottom part 31 and the lower part 3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3 can be made smaller than that of a paper cup Thus, the sterilizing liquid becomes less likely to remain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3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2 .

g) 각 블랭크(20A, 30A)의 재료가 되는 적층체(20, 30)가 종이층을 갖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레토르트 살균을 지장없이 행할 수 있다.g) Since the laminates 20 and 30 used as the material of each of the blanks 20A and 30A do not have a paper layer, retort steriliz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ifficulty.

h)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 204X)이, 동체용 블랭크(2)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내용물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204, 204X)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h)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 the inner end surfaces 204 and 204X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positioned inside the body 2 are rows of both ends of the blank 2 for the body 2 . Since the 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covered with the inner resin pool R1 formed when thermally fusion-sealed to each other and are not exposed to the contents, delamination of the inner end surfaces 204 and 204X Deterioration by corrosion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preferable also from a sanitary point of view.

i)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이, 동체용 블랭크(2)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R2)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205)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outer end sur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is heat-sealable at both ends of the blank 2 for the body 2 Since th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covered with the outer resin pool R2 formed when thermally fusion-bonding each other, degrad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outer end face 205 is effectively suppressed.

<제2의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13∼도 16은, 본 발명의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도 12에 도시하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와 실질적으로 같다.13 to 16 show a cup-shape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1st Embodiment shown in FIGS. 1-12 except for the following points.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우선, 동체용 블랭크(20A)에 관해,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즉,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 중 적어도 일방(바람직하게는 양방)이,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다.First, 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i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bout 20A of blanks for bodies. That is, at least one (preferably both) of the inner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20A of blanks for bodies consists of two or more layers.

그리고,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각각 2층 구조인 경우, 각 층(202, 203)에서, 금속박층(2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동체(2)의 내면 또는 외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And, as shown in Fig. 13(a),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have a two-layer structure, each layer ( In 202 and 203 ,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201 is actually measured heat-sealable constituting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2 . The melting point is lower than tha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ous resin layers 202a and 203a.

또한,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각각 3층 구조인 경우, 각 층(202, 203)에서, 금속박층(2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동체(2)의 내면 또는 외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 및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과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202c, 2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have a three-layer structure, each layer ( In 202 and 203 ,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201 is actually measured heat-sealable constituting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2 .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ous resin layers 202a and 203a and the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 interposed between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and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and 203a. The melting point is lower than tha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ous resin layers 202c and 203c.

마찬가지로, 바닥체용 블랭크(30A)에 대해서도,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을 각각 2층 구조로 하여, 각 층(302, 303)에서, 금속박층(3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바닥체(3)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을 각각 3층 구조로 하여, 각 층(302, 303)에서, 금속박층(3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바닥체(3)의 표면측에 위치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 및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302b, 303b)과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302a, 303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302c, 3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으로 할 수 있다.Similarly, for the floor blank 30A, as shown in Fig. 13(b),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each have a two-layer structure, each In the layers 302 and 303 ,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b and 303b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301 is measur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floor body 3 . The melting point can be lower than tha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a and 303a.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4(b),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each have a three-layer structure, and in each of the layers 302 and 303, the metal foil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b and 303b laminated on the layer 301 is located on the surface side of the floor body 3,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a, 303a. )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and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b, 303b and the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c, 303c interposed between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a, 303a. ), which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a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it.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은,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 (및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202c, 203c, 302c, 3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10℃ 이상 낮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낮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규정한 융점의 차는, 3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에서는,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과, 다른 2 이상의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중 가장 낮은 융점과의 차이다.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is determined by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and the number of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s).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fusible resin constituting the formation layers 202c, 203c, 302c, 303c) is preferably 10°C or mo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and more preferably 20°C or mo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melting point prescribed here is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mposed of three or more layers, and the other two or more heat-sealable resin layers. It is the difference from the lowest melting point among the melting points of the heat-sealable resins.

보다 상세하게는,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은, 11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35℃이다.More specifically,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is preferably 110 to 140°C, more preferably 120 to 135°C. to be.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2층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은, 15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160℃이다.In additio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or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of the floor blank 30A In the case where the resin layer 303 has a two-layer structure,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is preferably 150 to 165° C., More preferably, it is 155-160 degreeC.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3층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은, 11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35℃이고,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202c, 203c, 302c, 3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융점은, 150∼16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160℃이다.In additio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or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of the floor blank 30A When the resin layer 303 has a three-layer structure,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is preferably 110 to 140°C, More preferably, it is 120 to 135°C, and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c, 203c, 302c, and 303c is preferably 150 to 165°C, more preferably is 155 to 160 °C.

상기한 융점차에 더하여,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및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202c, 203c, 302c, 3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g/10분 이상 크게 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4g/10분 이상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 규정하는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의 차는, 3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열융착성 수지층에서는,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MFR과, 다른 2 이상의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MFR 중 가장 값이 큰 MFR과의 차이다.In addition to the melting point difference described above,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is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 202a, 203a, 302a, 303a) (and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c, 203c, 302c, 303c)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it, more preferably Preferably, it is large by 1-5 g/10 minutes or more, More preferably, it is large by 2-4 g/10 minutes or more.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melt mass flow rate (MFR) prescribed here is different from th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and two or more different. It is the difference from the MFR with the largest value among the MFRs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여기서,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는, JIS K7210 - 1-2014에 규정된 MFR의 표준적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구한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각 열융착성 수지층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MFR은, 상기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f의 조건으로 측정한 값이 된다.Here, a melt mass flow rate (MFR) points out what was calculated|required based on the standard test method of MFR prescribed|regulated to JISK7210-1-2014. For example, when each heat-fusible resin layer consists of polypropylene, the MFR becomes the value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the temperature of 230 degreeC and the load of 2.16 kgf based on the said test method.

보다 상세하게는,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MFR은, 4∼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8g/10분이다.More specifically, th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is preferably 4 to 10 g/10 min, more preferably 5 to 8 g /10 minutes.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2층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MFR은, 4∼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8g/10분이다.In additio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or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of the floor blank 30A When the resin layer 303 has a two-layer structure, th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is preferably 4 to 10 g/10 min. , More preferably 5 to 8 g/10 min.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나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3층 구조인 경우에 있어서,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MFR은, 4∼10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8g/10분이고, 중간 열융착성 수지층(202c, 203c, 302c, 303c)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의 MFR은, 2∼5g/10분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4g/10분이다.In additio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or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of the floor blank 30A When the resin layer 303 has a three-layer structure, th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is preferably 4 to 10 g/10 min. , more preferably 5 to 8 g/10 min, and th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c, 203c, 302c, 303c) is preferably 2 to 5 g/10 min, More preferably, it is 3-4 g/10min.

그리고,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 이하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And 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2nd Embodiment, the overlap part 21 of the body 2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즉,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5,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2,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n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an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that form a surface in which the interface portion with the 202 and 203 overlaps with each other of the edge portions of th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en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M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또한, 도 16에 도시하는 양태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인 경우, 상기 보호 피막(M1)에 의한 내측 단면(204)의 피복에 더하여,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of the aspect shown in FIG. 16, in addition to the covering of the inner end surface 204 by the said protective film M1,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of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use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en heat-sealing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which constitute the surfaces overlapping each other, the laminate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are formed The heat-fusible resin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M2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2n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made|formed.

j)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에서의 복층 구조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중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1)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내용물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204)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j)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fuselage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fuselage located inside the fuselage 2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b amo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the blank 20A for the body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at the interface with the 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 203b)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M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 203b), and is not exposed to the contents, s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inner end face 204 Deterioration due to contamination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in terms of hygiene.

k)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에서의 복층 구조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중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2)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205)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장기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억제된다.k)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fuselage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heat of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fuselage located outside the fuselage 2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b amo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in the blank 20A for the body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at the interface with the 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 203b) is coated with the protective film M2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low-melting heat-fusible resin constituting the , 203b), so the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the outer end face 205 is effectively degrad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is suppressed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단면, 즉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하단면에서도, 금속박층(301) 부분 및 금속박층(301)과 열융착성 수지층(302, 303)과의 계면 부분이, 바닥체(3)의 수하부(32) 및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302, 303, 202)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302b, 303b, 202b)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그에 의해,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하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lso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lank 30A for flooring, that i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floor 3, the metal foil layer 301 part and the metal foil layer 301 and the heat-sealable water Rows in which the interface portion with the formation layers 302 and 303 constitutes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of the lower end 32 of the bottom body 3 and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 When the fusible resin layers 302, 303, and 202 are heat-sealed,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b, 303b, 202b. It does not matter even if it is covered with Thereby,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floor body 3 is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상하 단연면, 즉, 동체(2)의 플랜지부(23)의 선단면이나 동체(2)의 접힘부(22)의 선단면(동체(2)가 접힘부(22)를 갖지 않는 경우는, 동체(2)의 하단면)에서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동체(2)의 플랜지부(23)에 덮개재가 열융착된 때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가 열융착된 때에, 이들 복층 구조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 중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좋고, 그에 의해 상기 각 선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Further, the upper and lower edge surfac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at is,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body 2 or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the body 2 is a folded portion) In the case of not having (22), also in the cas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2), for example, when the cover material is thermally fused to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body 2 or the body 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end portion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are heat-sealed, one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of these multi-layer structures is on the laminate side.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may be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re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respective tip surfaces. degradation is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에서, 동체는,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접합한 양태라도 좋다. 이 양태에서도, 상기 실시 형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의 2개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의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복층 구조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당해 층 중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저융점의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상기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Moreover, in the cup-shaped container of 2nd Embodiment, the aspect which laminated|stacked and joined the both ends of the edge part of the blank for the body in the shape of a joint may be sufficient as a body. Also in this aspect, similarly to the said embodiment, the metal foil layer part and the interface part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 of at least one cross section of the two end surfaces of the blank for a body are multilayer of the edge part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a body. When heat-sealing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melting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among the layers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and,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degrad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the cross section.

<제3의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의 실시 형태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실시 형태는,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 한하지 않고, 동체가,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널리 적용 가능하다.A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relates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up-shaped container.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of 1st or 2nd embodiment, The body overlaps the both end edge part of the blank for body, The heat-sealing which comprises these mutually overlapping surfaces. It is widely applicable as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which is formed by heat-sealing resin-formed layers.

이하, 도 2, 9∼12 등을 참조하면서, 제3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S. 2, 9-12, etc. FIG.

당해 제조 방법은, 이하의 제1 내지 제6의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공정의 순번은, 적절히 교체해도 상관 없다.The said manufacturing method consists of the following 1st - 6th processes. In addition, you may change the order of a process suitably.

(제1의 공정)(Step 1)

제1의 공정은, 금속박층(201)과 금속박층(201)의 양면에 적층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20)를 소정 사이즈의 부채형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20A)를 형성하는 공정이다(도 9(a) 참조).In the first step, a laminate 20 composed of an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an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is predetermined. It is a process of forming the blank 20A for a body by punching in the fan shape of the size (refer FIG.9(a)).

(제2의 공정)(Second process)

제2의 공정은, 금속박층(301)과 금속박층(301)의 양면에 적층된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30)를 소정 사이즈의 원형으로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형성하는 공정이다(도 10(a) 참조).In the second step, a laminate 30 comprising an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a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301 and the metal foil layer 301 is predetermined. It is a process of punching out in the circular shape of a size, and forming 30A of blanks for floors (refer FIG.10(a)).

(제3의 공정)(third process)

제3의 공정은, 바닥체용 블랭크(30A)를,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드로잉 성형 가공함에 의해, 저부(31) 및 수하부(32)로 이루어지는 횡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3)를 성형하는 공정이다(도 10(b) 참조).In the third step, the floor blank 30A is subjected to drawing molding using a mold (not shown), so that the bottom body 3 having a cross-section schematically inverted U-shaped comprising the bottom part 31 and the drooping part 32 . ) is a process of molding (see FIG. 10(b)).

얻어진 바닥체(3)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또한, 바닥체(3)의 외면에서의 저부(31)와 수하부(32) 사이의 코너 부분은, 각(角)이 나와 있다.The obtained bottom body 3 does not have wrinkles. Moreover, the corner part between the bottom part 31 and the drooping part 32 in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body 3 has an angle|corner.

(제4의 공정)(4th process)

제4의 공정은,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2)를 형성하는 공정이다(도 9(b) 등 참조).In the fourth step,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overlapped, an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constituting the surfaces that overlap each other are formed. It is a process of forming the cylindrical body 2 by heat-sealing (refer FIG.9(b) etc.).

이 공정은, 통상, 개략 원추대형의 금형(도시 생략)의 정상면(頂面)에, 바닥체(3)를 그 저부(31) 상면이 겹쳐지도록 세트해 두고 나서, 상기 금형의 외주면에 동체용 블랭크(20A)를 휘감고, 그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킨 후, 당해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시킴에 의해 행해진다.In this step, usually, the bottom body 3 is set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31 is overlapped on the top surface of a substantially frusto-conical mold (not shown), and then the body is plac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ld. After winding the blank 20A and overlapping the edges of both ends,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 both ends of the edge portions It is carried out by heat-sealing.

이 제4의 공정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의 열융착을 합계 2회 행한다. 1회째의 열융착은, 통상, 열판 등을 이용한 히트 실에 의해 행하지만, 그 밖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그리고, 2회째의 열융착은, 고주파 실에 의해 행한다. 이상과 같은 2단계의 열융착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게 되고, 나아가서는 열융착에 수반하는 변형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In this 4th process, the heat-sealing of th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performed twice in total. The first thermal fusion is usually performed by a heat seal using a hot plate or the like,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an ultrasonic seal, or the like. And the 2nd heat-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By the two-step thermal fus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and the resin pool is easily formed in the joint portion along with the thermal fusion,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etc. accompanying thermal fusion is suppressed.

여기서, 히트 실은, 예를 들면,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 온도: 160∼220 ℃, 하중(실 압력): 80∼200㎏f, 실 시간: 1∼5초의 조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폴리에틸렌 필름(PE)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실 온도: 140∼220 ℃, 하중: 80∼200㎏f, 실 시간: 1∼5초의 조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히트 실의 경우, 오버랩시킨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양측부터,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보다도 20∼40℃ 높은 온도로 가열하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주파 실은, 예를 들면, 출력: 0.5∼1.5㎾, 실 시간: 3∼5초, 코일과의 거리: 0.5∼15㎜, 하중: 100∼200㎏f의 조건하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t seal is, for example,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are made of an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the yarn temperature: 160 to 220°C, the load (Actual pressure): 80-200 kgf, Real time: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under the conditions of 1 to 5 second. Further,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are made of polyethylene film (PE), yarn temperature: 140 to 220° C., load: 80 to 200 kgf, real time: It is preferably carried out under the conditions of 1 to 5 seconds. That is, in the case of a heat seal, it is performed while heating from both ends of the edge portion of both ends of the overlapping blank 20A for the body to a temperature 20 to 40° C.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desi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high frequency sealing i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for example, output: 0.5-1.5 kW, real time: 3 to 5 seconds, distance to coil: 0.5-15 mm, and load: 100-200 kgf.

(제5의 공정)(5th process)

제5의 공정은, 동체(2)를 그 하단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바닥체(3)의 수하부(32)를 둘러싸도록 내방으로 접어 접힘부(22)를 형성함과 함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을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를 일체화하는 공정이다(도 2 및 도 11 참조).A 5th process folds the body 2 inward so that the drooping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may be enclosed from the lower end opening edge part, and forms the folded part 22, while the body 2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 lower end portion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 )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are heat-sealed to integrate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3 (refer to Figs. 2 and 11).

이 공정은, 통상, 동체(2)의 하단 개구 테두리부를 내측으로 접어, 그 접힘부(22)를 원반형상의 회전 금형(도시 생략)에 의해 바닥체(3)의 수하부(32)에 꽉누른 후,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과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을 열융착시킨다.In this step, usually, the low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is folded inward, and the folded portion 22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with a disk-shaped rotating die (not shown). T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upper side, which constitute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of the lower end portion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are heat-sealed.

이 제5의 공정에서는,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 및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302, 303)끼리의 열융착을 합계 2회 행한다. 1회째의 열융착은, 통상, 열판 등을 이용한 히트 실에 의해 행하지만, 그 밖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2회째의 열융착은, 고주파 실에 의해 행한다. 고주파 실의 경우, 유도 가열에 의해 금속박층이 고온이 되고, 이 금속박층부터 발하여지는 열에 의해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이 촉진된다. 이상과 같은 2단계의 열융착에 의해,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게 되고, 나아가서는 열융착에 수반하는 변형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히트 실 및 고주파 실을 행할 때의 알맞은 조건은, 제4 공정의 경우와 같다.In this fifth step, the heat betwee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302, and 303 of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and the drooping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 Fusion is performed twice in total. The first thermal fusion is usually performed by a heat seal using a hot plate or the like,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an ultrasonic seal, or the like. The second thermal fusion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In the case of a high-frequency seal, the metal foil layer becomes high temperature by induction heating, and heat fusion betwee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is promo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metal foil layer. By the two-step thermal fusion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part 2a and the folded part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are more reliably joined, and further, the thermal fusion As a result, it becomes easy to form a resin puddle in the said joint part, and by extension,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the deformation|transformation accompanying heat sealing is suppressed. In addition, suitable conditions at the time of performing a heat seal and a high frequency seal are the same as the case of the 4th process.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하단 개구 테두리부에 접힘부(22)를 형성하지 않고, 동체(2)의 하단부(2a) 내면에 바닥체(3)의 수하부(32) 외면을 접합하는 양태의 용기로 하는 경우, 상기 제5의 공정과 실질적으로 같은 공정, 즉, 동체(2)의 하단부(2a)의 내면 및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외면을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을 2회 열융착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해 행함에 의해, 동체(2)와 바닥체(3)를 일체화하면 좋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2, without forming the folded part 22 in the low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body 3 ( 32) In the case of a container in which the outer surface is joined, the proces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fth process, that i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The outer surfaces are overlapped an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constituting these surfaces are heat-seal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integrate the body 2 and the bottom body 3 by carrying out.

(제6의 공정)(6th process)

제6의 공정은, 동체(2)의 상단 개구 테두리부를, 소정의 컬 성형 금형(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외방으로 컬 시킴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가압하여 편평형상으로 성형함에 의해, 플랜지부(23)를 형성하는 공정이다(도 11 참조).In the sixth step, the upper end opening edge of the body 2 is curled outward using a predetermined curling die (not shown) and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form a flat shape, thereby forming the flange portion 23 ) is a process of forming (see FIG. 11).

또한, 플랜지부의 형상에 따라서는, 상기와 다른 수단이나 공정에 의해 플랜지부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Further,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lange portion, the flange portion may be formed by means or process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제3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3rd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l) 통형상의 동체(2)를 형성하는 제4의 공정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합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금속박층부터의 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용기(1)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용기(1)의 변형 등 외관상의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l) In the fourth step of forming the tubular body 2, heat-sealing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performed twice in total,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on the metal foil layer. Since it is made by a high-frequency seal that enables heating from the fuselage,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and a resin pool is formed in the joint portion due to thermal fusion. Since it is easy to do so,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tainer 1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appearance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1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m)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제5의 공정에서,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 및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302, 303)끼리의 열융착을 합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기 때문에, 용기(1)의 실 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용기(1)의 변형 등 외관상의 결함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m) In the fifth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bottom, the heat-fusible resin layer 202 of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art 22 of the body 2 and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 302 and 303 are heat-sealed twice in total, and since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the lower end 2a of the body 2 and the folded portion 22 and the bottom Since the lower part 32 of (3) is more reliably joined, and a resin pool is easily formed in the joined part with thermal fusion,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ntainer 1 can be improved. Moreover,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appearance such as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1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제4의 실시 형태><Fourth embodiment>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X)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7 and 18 show a cup-shaped container 1X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도 16에 나타내는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 및 제3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같다.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1st or 2nd embodiment shown to FIGS. 1-16, and the cup-shaped container of 3rd embodiment except for the following points same.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X)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단테두리부(204)가, 동체(2)의 외측이 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면과 겹쳐지도록 접혀 당해 면에 열융착되어 있음과 함께, 접혀진 단테두리부(204)와, 또 일방의 단테두리부(205)가 오버랩되어, 이들 (204, 205)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가 열융착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7 and 18, in the cup-shaped container 1X of this embodiment, the short edge part 204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both end edge parts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Temporarily, it is folded so that it overlaps with the surface of the blank 20A for a body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nd is heat-sealed to the surface, and the folded short edge part 204 and the other short edge part 205 is overlapped, an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comrade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se 204 and 205 are heat-sealed.

상기한 컵 형상 용기(1X)에 의하면,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면이 용기(1X)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 등의 발생이 억제되고, 또한, 내용물과 접촉하는 면을 1종류의 수지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이 용이해지고, 위생면으로도 유리하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X described above,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both end surfac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X, so delamination is performed. Since generation|occurrence|production of corrosion, corrosion, etc. is suppressed, and since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content can be comprised with one type of resin, sterilization becomes easy and it is advantageous also as a hygiene surface.

또한, 접혀진 단테두리부(204)의 접힘 폭과, 양단 테두리부(204, 205)의 오버랩 폭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 동일하게 하는 외에, 서로 다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olded width of the folded short edge portion 204 and the overlap width of the both end edge portions 204 and 20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shown in the figure, but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면 중 적어도 금속박층(201) 부분을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나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에 의해, 당해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장기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was abbreviate|omitted, at least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among the both end surfaces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located outside the body 2 is similar to 1st or 2nd embodiment, 20 A of blanks for bodies ),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constituting the surfaces that overlap each other may be covered with an outer resin pit or a protective film formed when heat-sealing, whereby the cross-section of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is effectively suppres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한 컵용 용기(1X)를 제조함에 있어서, 동체(2)를 형성하는 제4의 공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In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container 1X for cups, the 4th process of forming the body 2 is performed as follows.

즉,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단테두리부(204)를, 동체(2)의 외측이 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면과 겹쳐지도록 접음과 함께, 접혀진 단테두리부(204)와 또 일방의 단테두리부(205)를 오버랩시켜서, 이들 (204, 205)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끼리를 합계 2회 열융착한다.That is, the short edge portion 204 that become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is folded so that it overlaps with the surface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ich is the outside of the body 2 Together, the folded short edge portion 204 and the other short edge portion 205 are overlapped, an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side which constitute the surfaces overlapping with each other of these 204 and 205.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3 are heat-sealed twice in total.

1회째의 열융착은, 통상, 열판 등을 이용한 히트 실에 의해 행하지만, 그 밖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 그리고, 2회째의 열융착은, 고주파 실에 의해 행한다. 이상과 같은 2단계의 열융착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게 되고, 나아가서는 열융착에 수반하는 변형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The first thermal fusion is usually performed by a heat seal using a hot plate or the like,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an ultrasonic seal, or the like. And the 2nd heat-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By the two-step thermal fus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and the resin pool is easily formed in the joint portion along with the thermal fusion,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etc. accompanying thermal fusion is suppressed.

<제5의 실시 형태><Fifth embodiment>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Y) 및 그 제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19 and 20 show a cup-shaped container 1Y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이 실시 형태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도 1∼도 16에 나타내는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 및 제3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같다.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1st or 2nd embodiment shown to FIGS. 1-16, and the cup-shaped container of 3rd embodiment except for the following points same.

즉,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Y)에서는, 동체(2)가,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도 20(a) 참조). 보다 상세하게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합장형상으로 겹쳐지는 양단 테두리부가 이들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9 and 20, in the cup-shaped container 1Y of this embodiment, the body 2 overlaps th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n the shape of a joint, and joins them. It is molded into a cylindrical shape (refer to Fig. 20(a)). In more detail, both end edge portions overlapping in the shape of a joint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joined by heat-sealing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comrades.

또한, 동체(2)의 합장부(21Y)는, 동체(2)의 외면과 겹쳐지도록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당해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다(도 20(b) 참조).Moreover, the joint part 21Y of the body 2 is bent to one side so that it may overlap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and it is heat-sealed to the said outer surface (refer FIG.20(b)).

동체(2)의 합장부(21Y)의 폭(겹쳐지는 값)은, 알맞게는 5∼20㎜, 보다 알맞게는 10∼18㎜가 된다. 상기 폭이 5mm 미만이면, 합장부(21Y)의 실 작업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폭이 20mm를 넘으면, 필요 이상으로 합장부(21Y)의 폭이 크게 되어 가격 상승에 연결되며, 더 나아가 합장부(21Y)를 동체(2)의 외면과 겹쳐지도록 한쪽의 측에 절곡되어 동 외면에 접합하는 경우에 합장부(21Y)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The width (overlapping value) of the joint portion 21Y of the body 2 is preferably 5 to 20 mm, more preferably 10 to 18 mm. If the width is less than 5 mm, there is a fear that the seal operation of the joint portion 21Y becomes difficult. On the other hand, if the width exceeds 20mm, the width of the joint portion 21Y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which leads to a price increase, and further bends the joint portion 21Y on one side to overlap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In the case of join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pper, there is a risk of appearance defects such as wrinkles entering the joint portion 21Y.

상기한 컵 형상 용기(1Y)에 의하면, 동체(2)의 합장부(21Y)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면이 용기(1X)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당해 용기(1Y)에 의하면, 내용물과 접촉하는 면을 1종류의 수지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살균이 용이해지고, 위생면으로도 유리하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Y described above, in the joint portion 21Y of the body 2, both end surfac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ent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X, so delamination is performed. and corrosion are suppressed. 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container 1Y, since the surface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a content can be comprised with one type of resin, sterilization becomes easy and it is advantageous also as a hygiene surface.

또한, 상기한 컵 형상 용기(1Y)에 의하면, 동체(2)의 합장부(21Y)가 일방의 측으로 절곡되어 동체(2)의 외면에 열융착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부분의 실 성 및 배리어성이 향상한다. 게다가, 당해 컵 형상 용기(1Y)에 의하면, 합장부(21Y)가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향상하고, 쥐기 쉬워지다.Further, 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Y described above, since the joint portion 21Y of the body 2 is bent to one side and heat-sea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the sealing properties and barrier properties of the body 2 are This improves. Moreover, according to the said cup-shaped container 1Y, since the joint part 21Y does not protrude outward, an external appearance improves and it becomes easy to hold.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면 중 적어도 금속박층(201) 부분을 제1 또는 제2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나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하도록 하여도 좋고, 그에 의해, 당해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장기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was abbreviate|omitted, at least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among the both end surfaces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located outside the body 2 is similar to 1st or 2nd embodiment, 20 A of blanks for bodies ),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constituting the surfaces overlapping each other may be covered with an outer resin pit formed when heat-sealing or a protective film, thereby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is effectively suppres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한 컵용 용기(1Y)를 제조함에 있어서, 동체(2)를 형성하는 제4의 공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해진다.In manufacturing the above-mentioned container 1Y for cups, the 4th process of forming the body 2 is performed as follows.

즉,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를 1회째의 열융착을 행하여 접합함에 의해, 합장부(21Y)를 갖는 통형상의 동체(2)를 형성한다. 1회째의 열융착은, 통상, 열판 등을 이용한 히트 실에 의해 행하지만, 그 밖에, 고주파 실이나 초음파 실 등에 의해 행해도 좋다.That is, by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n the shape of a clasp, the inner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constituting the surfaces that overlap each other are thermally fused for the first time and joined. , to form a cylindrical body 2 having a joint portion 21Y. The first thermal fusion is usually performed by a heat seal using a hot plate or the like, but may also be performed by a high-frequency seal, an ultrasonic seal, or the like.

뒤이어, 합장부 (12Y)를 일방의 측으로 절곡하여 동체(2)의 외면에 겹치고, 이 상태에서, 고주파 실에 의해 2회째의 열융착을 행한다. 그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끼리가 다시 열융착되는 동시에, 절곡된 합장부(21Y)의 내측면 및 이것과 겹쳐지는 동체(2)의 외면을 구성하고 있는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끼리가 열융착되고, 합장부(21Y)가 동체(2)의 외면에 접합된다.Next, the joint 12Y is bent to one side and overlapp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and in this state, the second heat 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As a result,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fuselage blank 20A are heat-sealed again, and at the same time, the inner surface of the bent joint portion 21Y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3 comrades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overlapping with this are heat-sealed, and the joint portion 21Y is join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2 .

이상과 같은 2단계의 열융착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가 보다 확실하게 접합되고, 또한, 열융착에 수반하여 당해 접합 부분에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기 쉽게 되고, 나아가서는 열융착에 수반하는 변형 등의 발생이 억제된다.By the two-step thermal fus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more reliably joined, and the resin pool is easily formed in the joint portion along with the thermal fusion, furthermore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etc. accompanying thermal fusion is suppressed.

<제6의 실시 형태><Sixth embodiment>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를 도시한 것이다.21 and 22 show a cup-shaped container 1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로서,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갖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즉,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 중 적어도 일방(바람직하게는 양방)이, 변성 폴리올레핀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what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is used as 20 A of blanks for bodies. That is, at least one (preferably both)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a body contains a modified polyolefin.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각각 단층인 경우, 각 층(202, 203)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13(a),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이 각각 2층 또는 3층 이상인 경우, 각 층(202, 203)에서, 동체(2)의 내면 또는 외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이 비변성 열융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금속박층(2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a single layer, each layer (202, 203) consists of modified polyolefin. Further, as shown in Fig. 13 (a) and Fig. 14 (a),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have two layers or In the case of three or more layers, in each of the layers 202 and 203,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constituting the inner or outer surface of the body 2 are made of a non-modified heat-sealable resin, and a metal foil layer (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and 203b laminated on 201) are made of modified polyolefin.

또한, 바닥체용 블랭크(30A)에 대해서도, 동체용 블랭크(20A)와 마찬가지로,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각각 단층인 경우, 각 층(302, 303)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도 3(b) 참조),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302) 및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303)이 각각 2층 또는 3층 이상인 경우, 각 층(302, 303)에서,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내면 또는 외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302a, 303a)이 비변성 열융착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금속박층(301)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302b, 303b)이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도 13(b), 도 14(b) 참조).Further, as for the blank 30A for the floor, as in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en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are each a single layer, each layer 302, 303) is made of a modified polyolefin (see Fig. 3(b)), and when the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2 and the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have two or three or more layers, each layer In (302, 303),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a, 303a)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r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bottom body 3 are made of a non-modified heat-sealable resin, and a metal foil layer (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b and 303b laminated on the 301) may be made of a modified polyolefin (refer to Figs. 13(b) and 14(b)).

변성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말레인산, 푸마르산, 메사콘산, 시트라콘산, 이타콘산, 아코니트산, 크로톤산, 호박산, 옥살산, 말론산, 사과산, 티오말산, 주석산, 아디핀산, 구연산, 피멜린산, 스베린산, 아젤라인산, 및 세바신산 등의 카르본산이나, 무수말레인산, 무수이타콘산, 무수시트라콘산, 무수호박산 등의 무수카르본산에 의해 변성된 폴리올레핀(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이들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이나 무수말레인산 변성 폴리올레핀이 이용된다. 그리고, 이들의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코트층에 의해, 단층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이나, 복층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 중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202b, 203b, 302b, 303b)이 구성되어 있다.Examples of the modified polyolefin include maleic acid, fumaric acid, mesaconic acid, citraconic acid, itaconic acid, aconitic acid, croton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 malonic acid, malic acid, thiomalic acid, tartaric acid, adipic acid, citric acid, pimeline. Polyolefins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modified with carboxylic acids, such as acid, sberic acid, azelaic acid, and sebacic acid, and carboxylic anhydride, such as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citraconic anhydride, succinic anhydride, etc. (PE), these copolymers, etc.) are mentioned. Preferably, maleic acid-modified polyolefin or maleic anhydride-modified polyolefin is used. Then, the single-laye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and the multi-laye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and 303 are made of these modified polyolefin films or coating layers.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b, 203b, 302b, and 303b are constituted.

또한,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202a, 203a, 302a, 303a)을 구성하는 비변성 열융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 또는, 이들을 첩합한 복합 필름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이 이용된다.In addition, as the non-modified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a, 203a, 302a, 303a, for example, a polypropylene (PP) film having heat-sealability, a polyethylene (PE) film, etc. of the general purpose film or the composite film which bonded these together is used. Preferably, an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is used.

또한,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에는, 상기 이외의 층,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융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필름이나 폴리에틸렌(PE) 필름 등의 범용성 필름(알맞게는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 이들을 첩합한 복합 필름, 또는,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 말레인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에폭시 수지나 셀락 수지 등의 코트층으로 이루어지는 층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and 303 include layers other than the above, specifically, for example, a polypropylene (PP) film or polyethylene (PE) film having heat-sealing properties. A general-purpose film (preferably an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a composite film bonded thereto, or a layer comprising a coating layer such as maleic acid-modified polyethylene, maleic acid-modified polypropylene, ethylene-vinyl acetate, epoxy resin or shellac resin may be included.

또한, 제6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이하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Moreover, 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6th Embodiment, in the overlap part 21 of the body 2,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즉,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1,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2,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n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an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that form a surface in which the interface portion with the 202 and 203 overlaps with each other of the edge portions of th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During thermal fusion, the modified polyolefin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M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양태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인 경우, 상기 보호 피막(M1)에 의한 내측 단면(204)의 피복에 더하여,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을 열융착할 때에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2)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Moreover, in the case of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of the aspect shown in FIG. 22, in addition to the covering of the inner end surface 204 by the said protective film M1,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of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use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en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3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of the parts are heat-sealed, the modified polyolefin melts and solidifies and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M2, have.

또한, 도 22에 도시하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과 마주 대하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부(206)는, 예를 들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열융착할 때에, 열판 등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소요 부분을 변형시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shown in FIG. 22, among the overlapping both ends edge part of the blank 20A for body, the part adjacent to the outer edge edge part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 step portion 206 bent in a crank shape to face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formed. The step portion 206 is, for example, when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heat-sealing, by deforming the required portion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by pressing force by a hot plate or the like. can be formed

컵 형상 용기(1)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서로 열융착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합계 두께(T1)가 8∼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0㎛가 된다(도 21 참조). 상기 합계 두께(T1)가 8㎛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합계 두께(T1)가 150㎛를 초과하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and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 203) is preferably 8 to 150 µm, more preferably 16 to 80 µm (see Fig. 21). If the total thickness T1 is less than 8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overlap portion 21 may becom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thickness T1 exceeds 150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또한,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의 금속박층(201, 201)끼리의 두께 방향에서 본 겹쳐지는 폭(W1)이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가 된다. 상기 겹쳐지는 폭(W1)이 2㎜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실 폭이 너무 작아져서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겹쳐지는 폭(W1)이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오버랩부(21)의 폭이 커져서 가격 상승에 이어지고, 또한,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일방의 단테두리부)과 외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타방의 단테두리부)에 걸리는 응력의 상위에 기인하여,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In addition,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overlapping width W1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and 201 comrades at both end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2 to 10 mm. It is preferable, More preferably, it is set as 4-8 mm. If the overlapping width W1 is less than 2 mm, there is a fear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and the yarn width may become too small to cause insufficient seal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lapping width W1 exceeds 10 mm,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leading to a price increase, and further, the inner por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lank for the body 20A)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ss applied to the one end edge part) and the outer part (the other short edge part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ppearance defects such as wrinkles entering the inner part of the overlapping part 21 may occur.

제6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6th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made|formed.

n)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1)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 내용물에 노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204)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 특히, 이 보호 피막(M1)은, 금속박층(202)과의 접착 강도에 우수한 변성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효과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한다고 생각된다.n)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fuselage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fuselage located inside the fuselage 2 A protective film M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t the interface portion with the 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during thermal fusion. ), and since it is not exposed to the contents,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the inner end face 204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from a sanitary point of view. In particular, since this protective film M1 consists of modified polyolefin excellent in adhesive strength with the metal foil layer 202, it is thought that the said effect persis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o)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M2)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205)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장기간에 걸쳐 효과적으로 억제된다.o)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metal foil layer 201 portion and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heat of the outer end 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A protective film (M2)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t the interface with the 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during thermal fusion. ), the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outer end face 205 is effectively suppres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바닥체용 블랭크(30A)의 단면, 즉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하단면에서도, 금속박층(301) 부분 및 금속박층(301)과 열융착성 수지층(302, 303)과의 계면 부분이, 바닥체(3)의 수하부(32) 및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302, 303, 202)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적어도 어느 하나의 열융착성 수지층(302, 303, 202)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그에 의해, 바닥체(3)의 수하부(32)의 하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also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lank 30A for flooring, that i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floor 3, the metal foil layer 301 part and the metal foil layer 301 and the heat-sealable water Rows in which the interface portion with the formation layers 302 and 303 constitutes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of the lower end 32 of the bottom body 3 and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 When the fusible resin layers 302, 303, and 202 are heat-sealed together, the 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302, 303, 202 is melt-solidified and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It doesn't matter if Thereby,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lower part 32 of the floor body 3 is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상하 단연면, 즉, 동체(2)의 플랜지부(23)의 선단면이나 동체(2)의 접힘부(22)의 선단면(동체(2)가 접힘부(22)를 갖지 않는 경우는, 동체(2)의 하단면)에서도,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동체(2)의 플랜지부(23)에 덮개재가 열융착되는 때나,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가 열융착되는 때에, 이들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302, 303)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좋고, 그에 의해 상기 각 선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Further, the upper and lower edge surfac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at is,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body 2 or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the body 2 is a folded portion) In the case of not having (22), also in the case of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body 2)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cover material is thermally fused to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body 2, or the body 2 When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and the lower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are heat-sealed, the 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203, 302, 303 of the It may be coat|covered with this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each said front-end surface.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에서, 동체는,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접합한 상태라도 좋다(도 19 및 도 20 참조).Further, in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the body may be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overlapped in a joint shape and joined together (refer to Figs. 19 and 20).

이 양태에서도, 상기 상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의 2개의 단면 중 적어도 일방의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당해 층에 포함되는 변성 폴리올레핀이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상기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Also in this aspect, similarly to the above state,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in at least one of the two end surface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inside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When the resin layers are heat-sealed toge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ified polyolefin contained in the layer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degrad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cross section.

<제7의 실시 형태><Seventh embodiment>

도 23∼도 25는, 본 발명의 제7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를 도시한 것이다.23 to 25 show a cup-shaped container 1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이하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in the overlap part 21 of the body 2,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즉,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단 테두리부(204)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적어도 일방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도 23의 양태에서는 양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도 24의 양태에서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이, 금속박층(201)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나고 있는 연출부(2021a, 2031a)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금속박층(201)의 단면이, 연출부(2021a, 2031a)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3 and FIG. 24, in the inner edge part 204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both end edge parts of the blank 20A for bodies, at least one of the blanks for bodies 20A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both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n the aspect of Fig. 23, and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in the aspect of Fig. 24) are the metal foil layers 201 It has extension parts 2021a, 2031a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 section of .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s coat|covered with extension part 2021a, 2031a.

이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에서, 금속박층(201)의 단면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이, 용기(1)에 수용된 내용물과 접촉하는 것이 회피된다.As a result, in the inner edge portion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end face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the container 1 ), contact with the contents contained in it is avoided.

연출부(2021a, 2031a)는, 바람직하게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Extending parts 2021a, 2031a, Preferably, it is comprised by the part of hot press working part 2021, 2031 formed in the single side|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ner edge part 204 of 20A of blanks for fuselage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9(a)에 도시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단 테두리부(204)를, 예를 들면, 도 2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면측에 배치한 실 바(B1, B2)를 이용하여, 열 프레스 가공한다.When it demonstrates in more detail, the inner edge part 204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both end edge parts of the blank 20A for body shown in Fig.9 (a) is shown, for example in Fig.25 (a). As shown in the figure, hot press working is carried out using the yarn bars B1 and B2 arranged on both surfaces.

그러면, 실 바(B1, B2)에 의해 가열 가압된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 부분이 압축되고 그 두께가 작아짐과 함께, 금속박층(201)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나 간다. 이렇게 해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에서, 내외 양 측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에, 얇게 늘려진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가 형성됨과 함께,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 중 금속박층(201)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난 부분에 의해, 연출부(2021a, 2031a)가 형성된다. 또한, 2개의 연출부(2021a, 2031a)는, 실 바(B1, B2)에 의해 가열되어 연화 상태 또는 유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형·유동 가능하고, 그에 의해 금속박층(201)의 단면을 피복할 수 있다(도 25(b) 참조).Then, the portion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heated and pressurized by the seal bars B1 and B2 is compressed and the thickness thereof is reduced, while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 In this way, in the inner edge portion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inly stretched hot press working portions 2021 and 2031 are formed i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n both inner and outer sides. , extension parts 2021a, 2031a are formed by the part extended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mong the hot press working parts 2021 and 2031. In addition, since the two extension parts 2021a and 2031a are heated by the seal bars B1 and B2 and are in a softened or fluid state, they can be deformed and flowed in a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whereby the metal foil layer 201 . can cover the cross section of (see Fig. 25(b)).

열 프레스 가공은, 예를 들면 가열 온도 180∼220℃, 가압력 0.05∼0.4㎫, 가열 가압 시간 1∼5초의 조건하에서 행해진다. 또한, 실 바(B1, B2)는, 평면에서 보아, 이들의 폭방향의 일부가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로부터 비어져 나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t press working is performed, for example under the conditions of 180-220 degreeC heating temperature, 0.05-0.4 Mpa of pressing force, and 1 to 5 second of heat press tim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rrange|position so that thread bar B1, B2 may protrude from the inner edge part 204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of these in planar view.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에서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의 연출부(2021a, 2031a)에 의한 금속박층(201)의 단면의 피복은, 반드시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의 형성과 함께 행해지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에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의 연출부(2021a)가,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204, 205)를 열융착할 때에 가열되어 연화 상태 또는 유동 상태가 되고, 금속박층(201)측을 향하여 변형·유동함에 의해, 금속박층(201)의 단면을 피복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of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by extension parts 2021a, 2031a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n the inner edge part 204 of the blank 20A for body is necessarily hot-pressed. It does not need to be done together with the formation of the machining portions 2021 and 2031. That is, for example, in the aspect shown in FIG. 24, in the inner edge part 204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the extended part 2021a of the inner side heat-fusible resin layer 202 is 20A of blanks for bodies. ) of the overlapping edge portions 204 and 205 are heated to a softened state or a fluid state, and deform and flow toward the metal foil layer 201 side to cover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t is to be done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의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의 두께(T2)는,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의 그 외의 부분의 두께(T1)의 1/5∼1/2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1/2배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의 통형상 부분의 두께(T1)가 5∼80㎛인 경우,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의 두께(T2)는 1∼40㎛ 정도가 된다. 또한,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 중 금속박층(201)과 적층되어 있는 부분의 둘레 방향 폭(W1)은, 바람직하게는 2∼10㎜(보다 바람직하게는 4∼8㎜)로 되어 있고, 연출부(2021a, 2031a)의 연장 폭(W2)은, 바람직하게는 1∼4㎜(보다 바람직하게는 1∼3㎜)로 되어 있다.The thickness T2 of the hot press-formed portions 2021 and 2031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s 1/5 of the thickness T1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t is preferable that it is set to -1/2 times, More preferably, it is set as 1/3 to 1/2 times. Specifically, for example, when the thickness T1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s 5 to 80 μm, the thickness T2 of the hot press-formed portions 2021 and 2031 is It becomes about 1-40 micrometers. Moreove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dth W1 of the part laminated|stacked with the metal foil layer 201 among the hot press working parts 2021 and 2031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2-10 mm (preferably 4-8 mm), and the extension width W2 of extension parts 2021a, 2031a becomes like this. Preferably it is 1-4 mm (more preferably, it is 1-3 mm).

컵 형상 용기(1)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204, 205)의 서로 열융착된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202) 및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203)의 합계 두께(T3)가 8∼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80㎛가 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상기 합계 두께(T3)가 8㎛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합계 두께(T3)가 150㎛를 초과하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the outer side of the both end edge portions 204 and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heat-sealed to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thickness T3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 203 is 8-150 micrometers, More preferably, it is set as 16-80 micrometers (refer FIGS. 23 and 24). If the total thickness T3 is less than 8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sealing properties of the overlap portion 21 may be insufficient. On the other hand, when the total thickness T3 exceeds 150 μm, there is a risk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또한,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204, 205)의 금속박층(201, 201)끼리의 두께 방향에서 본 겹쳐지는 폭(W3)이 2∼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8㎜가 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상기 겹쳐지는 폭(W3)이 2㎜ 미만이면, 오버랩부(21)의 배리어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한, 실 폭이 너무 작아져서 실 성이 불충분하게 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겹쳐지는 폭(W3)이 10㎜를 초과하면, 필요 이상으로 오버랩부(21)의 폭이 커져서 가격 상승에 이어지고, 또한,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와 외측 부분(동체용 블랭크(20A)의 외단 테두리부(205))에 걸리는 응력의 상위에 기인하여, 오버랩부(21)의 내측 부분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Moreover, in the overlapping part 21 of the body 2, the overlapping width W3 see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s 201, 201 comrades of the both end edge parts 204, 205 of the blank 20A for bodies is It is preferable that it is 2-10 mm, More preferably, it is set as 4-8 mm (refer FIGS. 23 and 24). When the overlapping width W3 is less than 2 mm, there is a fear that the barrier properties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may be impaired, and further, the yarn width may become too small to cause insufficient sealing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overlapping width W3 exceeds 10 mm, the width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ecomes larger than necessary, leading to a price increase, and further, the inner portion of the overlapping portion 21 (blank for the body 20A) Due to the difference in stress applied to the inner edge 204) and the outer portion (outer edge portion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inner portion of the overlap portion 21 has wrinkles, etc.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efect may occur.

제7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7th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p)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단 테두리부(204)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이, 금속박층(201)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나 있는 연출부(2021a, 2031a)를 가지고 있고, 금속박층(201)의 단면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이, 연출부(2021a, 2031a)에 의해 피복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부분이 내용물에 노출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에서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게 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 또한,p) In the inner edge part 204 used a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both end edges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re a metal foil layer. It has extended portions 2021a and 2031a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section of 201, and the cross-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202, 203 are , since they are covered by the extension portions 2021a and 2031a, there is no fear that these portions are exposed to the contents. Therefore,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and corrosion in the inner edge portion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from a sanitary point of view. Also,

연출부(2021a, 2031a)가,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단 테두리부(204)의 편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열 프레스 가공부(2021, 2031)의 일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형성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데다가, 연출부(2021a, 2031a)에 의한 금속박층(201)의 단면 등의 피복도 동시에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extension portions 2021a, 2031a are constituted by a part of the hot press working portions 2021 and 2031 formed on one side or both surfaces of the inner edge portion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the formation is facilitated. It can be performed reliably and reliab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ver|cover the end surface of the metal foil layer 201 by extension part 2021a, 2031a, etc. at the same time.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제7의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인 경우, 상기 구성에 더하여, 동체용 블랭크(20A)의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단 테두리부(205)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이, 금속박층(201)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나 있는 연출부(2021a, 2031a)를 가지고 있고, 금속박층(201)의 단면이, 연출부(2021a, 2031a)에 의해 피복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단 테두리부(205)에서도,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omitted, in the case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7th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said structure, the outer edge part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both end edge parts of the blank 20A for body parts ( In 205,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have extended portions 2021a and 2031a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metal foil layer ( The cross section of 201 may be coat|covered with extension part 2021a, 2031a. Thereby, also in the outer edge part 205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the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is suppressed effectively.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에서, 동체는,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접합한 양태라도 좋다(도 19 및 도 20 참조). 이 양태에서도, 상기 양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의 일방 또는 양방의 단테두리부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열융착성 수지층이, 금속박층의 단면보다도 둘레 방향 외방으로 늘어나 있는 연출부를 가지고 있고, 금속박층의 단면이, 연출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당해 단테두리부에서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Moreover, in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the aspect which laminated|stacked and joined the both ends of the edge part of the blank for the body in the shape of a joint may be sufficient as a body (refer FIGS. 19 and FIG. 20). Also in this aspect, similarly to the above aspect, in one or both edge portions of the blank for the body, the heat-fusible resin layer of the blank for the body has an extended portion extending outwar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rath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layer is coat|covered with the extended part, and, thereby, the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in the said edge part is suppressed effectively.

<제8의 실시 형태><Eighth embodiment>

도 26∼도 29는, 본 발명의 제8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컵 형상 용기(1)를 도시한 것이다.26 to 29 show a cup-shaped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서는,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이하와 같은 구성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In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in the overlap part 21 of the body 2, it has the follow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즉, 도 26∼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 중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T1)가,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두께(T2)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에서의 금속박층(201) 부분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6 to 29,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2 among the metal foil layers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constituted, The thickness T1 of the present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 Thereby, the area of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in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is made small.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에서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적어도 일방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의 일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수지 피막 또는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And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and the interface part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in the inner side end surface 204 of 20A of body blanks are heat-sealed at the time of the body. A part of the resin constituting at least one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f the molten blank 20A is coated with a resin film or resin pool R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여기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을 구성하고 있는 금속박층(201) 부분의 두께(T1)는,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두께(T2)의 1/100∼1/2배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3배이다(도 29 참조). 상기 두께(T1)가 상기 두께(T2)의 1/100배 미만이면, 내측 단면(204)이 변형하기 쉬워저서 오버랩부(21)의 접합이나 가공 후의 촉감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상기 두께(T1)가 상기 두께(T2)의 1/2배를 초과하면 열융착시의 수지의 충분한 돌아들어감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구체적으로는, 금속박층(201)의 상기 두께(T1)는, 예를 들면 1∼100㎛(바람직하게는 5∼60㎛)가 되고, 상기 두께(T2)는, 40∼200㎛(바람직하게는 80∼160㎛)가 된다.Here, the thickness T1 of the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constituting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1/100 to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1/2 times, More preferably, it is 1/10 - 1/3 times (refer FIG. 29). When the thickness T1 is less than 1/100 times the thickness T2, the inner end face 204 is easily deformed, so that the possibility of adversely affecting the bonding of the overlap portion 21 or the tactile feeling after processing increases. On the other hand, when the thickness T1 exceeds 1/2 times the thickness T2, sufficient entrainment of the resin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hardly occurs. Specifically, the thickness T1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s, for example, 1 to 100 µm (preferably 5 to 60 µm), and the thickness T2 is 40 to 200 µm (preferably). is 80 to 160 μm).

상기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컵 형상 용기(1)의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 중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 및 그 근방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201a)은, 쐐기형의 횡단면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If the above configura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mong the metal foil layers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 204) and the portion 201a constituting the vicinity thereof has a wedge-shaped cross section.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의 둘레 방향 폭(W1)은, 0.0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dth W1 of the cross-section wedge-shaped part 201a is 0.01-10 mm, More preferably, it is 0.1-8 mm.

도 26 및 도 29(a)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에서의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은,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외측면과 둔각(鈍角)을 이루는 경사면이 되고,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내측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된 개략 등각대형(等脚臺形)(또는 개략 이등변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에 상응하도록 동체용 블랭크(20A)에서의 내측 단면(204) 및 그 근방의 부분도, 전체로서 개략 등각대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또한,In the aspect shown in FIGS. 26 and 29 (a), the cross-section wedge-shaped part 201a in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blank 20A for a body is an outer surface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inner surface becoming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It has a cross section of roughly isosceles triangles (or roughly isosceles triangles) with obtuse slopes. Correspondingly,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a portion in the vicinity thereof also have a substantially isometric cross section as a whole. Also,

이 양태에서는,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테두리부에, 금속박층(201)의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경사면에 따르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단차부(206)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이, 열융착에 수반하여 생긴 수지 피막 또는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더욱 피복되기 쉽게 된다.In this aspect, as shown in FIG. 26, the cross-section wedge-shaped part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n the outer edge part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overlapped both ends edge part of the blank 20A for body. A step portion 206 bent in a crank shape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201a. With this step 206,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more easily covered by the resin film or resin puddle R1 generated by thermal fusion.

도 27 및 도 29(b)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금속박층(201)의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은,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외측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되고,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내측면과 같은면이 된 개략 부등각대형(또는 개략 직각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도록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 및 그 근방의 부분도, 전체로서 개략 부등각대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In the aspect shown in FIG.27 and FIG.29(b), as for the cross-section wedge-shaped part 201a of the metal foil layer 201, the outer surface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is the other of the said metal foil layer 201. It becomes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body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 is the same surfac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part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or approximately It has a cross section of a right triangle). And correspondingly,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fuselage|body and the part in its vicinity also have a substantially asymmetrical cross section as a whole.

또한, 이 양태인 경우도,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용 블랭크(20A)의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단 테두리부에, 금속박층(201)의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의 외측면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경사면에 따르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가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is aspect as well, as shown in FIG. 27, in the outer edge part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among the overlapping both ends edge part of the blank 20A for a body,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A step portion 206 bent in a crank shape is form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constitu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wedge-shaped portion 201a.

또한, 도 28 및 도 29(c)에 도시하는 양태에서는, 금속박층(201)의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은,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외측면과 같은면이 되고, 동체(2)의 내측이 되는 내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내측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된개략 부등각대형(또는 개략 직각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상응하도록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 및 그 근방의 부분도, 전체로서 개략 부등각대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aspect shown in FIG.28 and FIG.29(c), as for the cross-section wedge-shaped part 201a of the metal foil layer 201, the outer surface used as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is the said metal foil layer 201. A substantially asymmetrical large shape in which the inner surface that becomes the inner side of the body 2 becomes the inclined surface that forms an obtuse angle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ther part of the metal foil layer 201 ( or roughly a right-angled triangle). And correspondingly,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fuselage|body and the part in its vicinity also have a substantially asymmetrical cross section as a whole.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의 상기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은, 예를 들면, 재료가 되는 적층체(20)를 다이 커트 방식으로 금형의 접촉부분에 사각(斜角)을 붙이는 등으로 하여 타발 가공하여 동체용 블랭크(20A)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다.The wedge-shaped portion 201a of the cross-sec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for example, a square in the contact portion of the mold by die-cutting the laminate 20 as a material. ), etc., it is obtained by punching and forming the blank 20A for the body.

또한, 상기 부분(201a)은, 통형상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동체용 블랭크(20A)의 소요 부분에 프레스 가공을 시행함에 의해서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id part 201a can be formed also by giving press working to the required part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formed by the cylindrical method.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q)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 중 동체(2)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T1)가,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두께(T2)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그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에서의 금속박층(201) 부분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에서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의 일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수지 피막 또는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피복되기 쉽게 되고, 내용물에 노출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당해 내측 단면(204)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위생면으로도 바람직하다. 또한, 동체(2)의 오버랩부(21)의 내측에 생기는 단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동체(2)의 하단부(2a) 및 접힘부(22)와 바닥체(3)의 수하부(32)와의 접합부분이나, 동체(2)의 플랜지부(23)에서, 이들의 겹침 부분에 간극이 생기기 어려워진다.q) in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2 among the metal foil layers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2 The thickness T1 of the part being made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other part of the said metal foil layer 201, whereby the metal foil layer 201 in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 area is small. 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in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for the body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Since a part of the resin constitut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f the blank 20A is easily covered by the resin film or resin pool R1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it becomes difficult to be exposed to the contents. , deterior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the inner end face 204 is effectively suppressed, and it is also preferable in terms of hygiene. In addition, since the step generated inside the overlapping portion 21 of the body 2 becomes smaller, the lower end 2a and the folded portion 22 of the body 2 and the drooping portion 32 of the bottom body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joint part or the flange part 23 of the body 2, it becomes difficult to produce a clearance gap in these overlapping parts.

또한,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 중 동체용 블랭크(201A)의 내측 단면(204) 및 그 근방을 구성하고 있는 횡단면 쐐기형의 부분(201a)을 동체(2)의 외측이 되는 외측면이,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외측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이 된 것으로 함과 함께,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단 테두리부에, 상기 경사면에 따르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206)를 형성하는 경우(도 26 및 도 27 참조)에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내측 단면(204)이, 열융착시에 형성된 수지 피막 또는 수지 고임부(R1)에 의해 더욱 피복되기 쉽게 되고, 상기 효과가 보다 한층 확실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2 is a cross section wedge-shaped part 201a constituting the inner end face 204 of the blank 201A for the body and the vicinity of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While the outer surface to be used is assumed to be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n obtuse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cranked so as to conform to the inclined surface. In the case of forming the bent step portion 206 (see Figs. 26 and 27), the inner end surface 204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formed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to a resin film or resin pool R1. It becomes easier to coat|cover by this, and the said effect is made|formed more reliably.

또한, 도시는 생략했지만,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1)인 경우, 동체(2)의 오버랩부(21)에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동체용 블랭크(20A)의 금속박층(201) 중 동체(2)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당해 금속박층(201)의 기타의 부분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고, 그에 의해,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에서의 금속박층(201) 부분의 면적이 작게 되어 있어도 상관 없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동체용 블랭크(20A)의 외측 단면(205)의 금속박층(201) 부분 및 금속박층(201)과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과의 계면 부분이, 열융착시에 동체용 블랭크(20A)의 적어도 일방의 열융착성 수지층(202, 203)을 구성하고 있는 수지의 일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수지 피막 또는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기 쉽게 되기 때문에, 당해 외측 단면(205)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was abbreviate|omitted, in the case of the cup-shaped container 1 of this embodiment, in the overlap part 21 of the body 2, in addition to the said structure, in the metal foil layer 201 of 20 A of blanks for bodies.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outer end sur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2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metal foil layer 201, whereby the body Even if the area of the metal foil layer 201 part in the outer end surface 205 of 20 A of blanks for use becomes small, it is not cared about.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portion of the metal foil layer 201 of the outer end surface 205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and the por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201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202 and 203 are formed during thermal fusion. Since a part of the resin constituting at least one of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202 and 203 of the blank 20A for the body is easily covered by a resin film or resin pool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the outer end face The degradation due to delamination or corrosion of (205) is effectively suppressed.

또한, 이 실시 형태의 컵 형상 용기에서, 동체는,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합장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서 접합한 상태라도 좋다(도 19 및 도 20 참조). 이 양태에서도, 상기 양태와 마찬가지로, 동체용 블랭크의 금속박층 중 적어도 동체용 블랭크의 적어도 일방의 측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가, 당해 금속박층의 그 밖의 부분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에 의해 당해 단면의 디라미네이션이나 부식에 의한 열화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Further, in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is embodiment, the body may be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overlapped in a joint shape and joined together (refer to Figs. 19 and 20). Also in this aspect, similarly to the above aspect,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cross section of at least one side of the blank for the body among the metal foil layers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other portions of the metal foil layer. It is preferable, and, thereby, deterioration by delamination and corrosion of the said cross section is suppressed effectively.

[실시례][Example]

다음에,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Next, although specific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례 1><Example 1>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화성 처리가 시행된 양면에,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m2 도포하여, 두께 6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했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여기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것을 이용했다. JIS K7210 - 1: 2014에 준거한 시험 방법(온도 230℃, 하중 2.16㎏f)에 의해 측정한 각 층의 MFR은, 7∼18이고, 3층의 MFR의 평균치는 11이다. About 3 g/m 2 of a two-component curing type urethane-based adhesive was applied on both sides of an aluminum foil (A8021H-O) with a thickness of 100 μm on which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was performed, and a 60 μm thick no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was dry laminated. did. And in order to harden an adhesive agent, the laminated body was obtain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prescribed aging process. Here, as the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 three-layered film made of random polypropylene (rPP) was used. MFR of each layer measured by the test method (temperature 230 degreeC, load 2.16 kgf) based on JISK7210-1:2014 is 7-18, and the average value of MFR of three layers is 11.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했다(도 9 및 도 10 참조).Next, the obtained laminated body was punched o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 blank for the floor were shape|molded (refer FIGS. 9 and 10).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1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컵 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1로 했다.And the cup-shaped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2 was produced by the process similar to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using the blank for bodies and the blank for floors, and this was set as Example 1.

얻어진 컵 형상 용기는,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의 투과가 거의 없는, 배리어성의 양호한 용기이다.Since the obtained cup-shaped container uses the 100-micrometer-thick aluminum foil, permeation|transmission of oxygen or water vapor|steam hardly exists, and is a favorable container of barrier property.

또한, 컵 형상 용기의 치수는 하기한 바와 같이 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was carried out as follows.

(컵 형상 용기의 치수)(Dimensions of cup-shaped container)

·컵 형상 용기 상부의 개구부의 내경: 65㎜·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up-shaped container: 65 mm

·컵 형상 용기 하부의 내경: 50㎜・Inner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cup-shaped container: 50 mm

·플랜지부의 폭: 4㎜· Flange width: 4 mm

·컵 형상 용기의 높이: 95㎜· Cup-shaped container height: 95 mm

·컵 형상 용기의 각부(접힘부(22))의 높이: 6㎜· Height of each part (folding part 22) of the cup-shaped container: 6 mm

·동체의 오버랩부의 폭(겹쳐지는 값): 8㎜・Width of the overlapping part of the body (overlapping value): 8mm

또한, 컵 형상 용기의 동체의 오버랩부를 횡단 방향으로 절단하여 당해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열융착시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고,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이, 열융착시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확인됐다.Further, whe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of the cup-shaped container wa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blank for the body was covered with the inner resin pool formed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and the blank for the body was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er end face was covered with the outer resin pool formed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실시례 2><Example 2>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화성 처리가 시행된 양면에,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m2 도포하여, 두께 4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했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여기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에는, 두께 12㎛의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융점=130℃) 및 두께 28㎛의 호모 폴리프로필렌(rPP)층(융점=160℃)으로 이루어지는 공압출 필름을 이용하여, 당해 필름의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층측의 면을 알루미늄박에 접착하도록 했다. About 3 g/m 2 of a two-component curable urethane-based adhesive was applied on both sides of an aluminum foil (A8021H-O)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n both sides of which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was performed, and a 40 μm thick no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was dry laminated. did. And in order to harden an adhesive agent, the laminated body was obtain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prescribed aging process. Here, for the u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a coextrusion film composed of an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2 μm (melting point = 130° C.) and a homopolypropylene (rPP) layer having a thickness of 28 μm (melting point = 160° C.) is used. Thus, the surface of the film on the side of th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layer was adhered to the aluminum foil.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했다(도 9 및 도 10 참조).Next, the obtained laminated body was punched o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 blank for the floor were shape|molded (refer FIGS. 9 and 10).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2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컵 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2로 했다.And the cup-shaped container shown in FIG. 1 and FIG. 2 was produced by the process similar to 2nd Embodiment mentioned above using the blank for bodies and the blank for floors, and this was set as Example 2.

얻어진 컵 형상 용기는,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의 투과가 거의 없는, 배리어성의 양호한 용기이다.Since the obtained cup-shaped container uses the 100-micrometer-thick aluminum foil, permeation|transmission of oxygen or water vapor|steam hardly exists, and is a favorable container of barrier property.

또한, 컵 형상 용기의 치수는 하기한 바와 같이 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was carried out as follows.

·컵 형상 용기 상부의 개구부의 내경: 65㎜·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up-shaped container: 65 mm

·컵 형상 용기 하부의 내경: 50㎜・Inner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cup-shaped container: 50 mm

·플랜지부의 폭: 4㎜· Flange width: 4 mm

·컵 형상 용기의 높이: 95㎜· Cup-shaped container height: 95 mm

·컵 형상 용기의 각부(접힘부(22))의 높이: 6㎜· Height of each part (folding part 22) of the cup-shaped container: 6 mm

·동체의 오버랩부의 폭(겹쳐지는 값): 8㎜・Width of the overlapping part of the body (overlapping value): 8mm

또한, 컵 형상 용기의 동체의 오버랩부를 횡단 방향으로 절단하여 당해 절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열융착시에 형성된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의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고,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이, 열융착시에 형성된 에틸렌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의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이 확인됐다.Further, whe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of the cup-shaped container was cu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cut surface was observed under a microscope, the inner cross section of the blank for the body wa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of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ization formed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out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wa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of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ization formed at the time of thermal fusion.

<실시례 3><Example 3>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A8021H-O)의 화성 처리가 시행된 양면에, 각각 2액 경화형 우레탄계 접착제를 약 3g/m2 도포하여, 두께 30㎛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CPP)을 드라이 라미네이트했다. 그리고, 접착제를 경화시키기 위해 소정의 에이징 처리를 행함에 의해, 적층체를 얻었다. About 3 g/m 2 of a two-component curing type urethane-based adhesive was applied on both sides of an aluminum foil (A8021H-O)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n both sides of which chemical conversion treatment was performed, and a 30 μm thick non-stretched polypropylene film (CPP) was dry laminated. did. And in order to harden an adhesive agent, the laminated body was obtained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prescribed aging process.

다음에, 얻어진 적층체를 소정 형상으로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성형했다(도 9 및 도 10 참조).Next, the obtained laminated body was punched out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 blank for the floor were shape|molded (refer FIGS. 9 and 10).

그리고, 동체용 블랭크 및 바닥체용 블랭크를 이용하여, 전술한 제3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공정에 의해,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형태의 컵 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실시례 3으로 했다.And the cup-shaped container of the form shown in FIGS. 1 and 2 was produced by the process similar to 3rd Embodiment mentioned above using the blank for body and the blank for bottom, and this was set as Example 3.

컵 형상 용기는, 두께 100㎛의 알루미늄박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산소나 수증기의 투과가 거의 없는 배리어성의 양호한 용기이다.Since the cup-shaped container uses 100-micrometer-thick aluminum foil, permeation|transmission of oxygen or water vapor|steam is hardly permeation|transmission, and is a favorable container of barrier property.

또한, 컵 형상 용기의 치수는 하기한 바와 같이 했다.In addition, the dimens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was carried out as follows.

·컵 형상 용기 상부의 개구부의 내경: 65㎜·Inner diameter of the opening at the top of the cup-shaped container: 65 mm

·컵 형상 용기 하부의 내경: 50㎜・Inner diameter of the bottom of the cup-shaped container: 50 mm

·플랜지부의 폭: 4㎜· Flange width: 4 mm

·컵 형상 용기의 높이: 95㎜· Cup-shaped container height: 95 mm

·컵 형상 용기의 다리부(수하부(32))의 높이: 6㎜· The height of the leg (lower part 32) of the cup-shaped container: 6 mm

·동체의 오버랩부의 폭(겹쳐지는 값): 8㎜・Width of the overlapping part of the body (overlapping value): 8mm

또한, 컵 형상 용기의 제작에 있어서, 동체를 형성하는 제4의 공정,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제5의 공정의 각각에서, 2단계의 열융착에 관해서는, 이하의 실 조건에 의해 실시했다.Further, in the production of the cup-shaped container, in each of the fourth step of forming the body and the fifth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bottom, the two-stage thermal fusion is carried out under the following actual conditions. did.

[1회째의 열융착][1st heat fusion]

·이용 기기: 히트 실러・Used device: heat sealer

·실 온도: 180℃・Room temperature: 180℃

·실 시간: 2secReal time: 2sec

·하중: 150㎏f·Load: 150kgf

[2회째의 열융착][Second heat fusion]

·이용 기기: 고주파 실 장치(주식회사 BME제, 형식 BMD-1S)・Used equipment: high-frequency seal device (manufactured by BME Corporation, model BMD-1S)

·출력 설정: 0.75㎾・Output setting: 0.75㎾

·실 시간: 3.0secReal time: 3.0sec

·하중: 100㎏f·Load: 100kgf

·코일 거리: 5㎜· Coil distance: 5 mm

<비교례 1><Comparative example 1>

동체를 형성하는 제4의 공정,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제5의 공정의 각각에서, 실시례 3의 1회째의 열융착과 같은 조건으로 1회만 열융착을 행하고, 기타는 실시례 3과 같은 요령에 컵 형상 용기를 제작하고, 이것을 비교례 1로 했다.In each of the fourth step of forming the body and the fifth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bottom, heat welding is performed only onc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of the first heat bonding in Example 3, and the others are the same as in Example 3 A cup-shaped container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nd this was set as Comparative Example 1.

<용기의 실 성의 검증><Verification of the sincerity of courage>

상기 실시례 3 및 비교례 1의 컵 형상 용기를 10개씩개 준비하고, 각각에 50cc의 적색 잉크로 착색한 물을 넣은 상태에서 120분간 방치한 후, 동체의 오버랩부 또는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실 부분에서 물이 누설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이들 부분에 착색이 보여지는지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에 의해 행했다. 실시례 3의 경우, 어느 용기에도, 동체의 오버랩부 및 동체의 하단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실 부분에 착색은 보여지지 않았다. 한편, 비교례 1에서는 2개의 용기에서 동체의 오버랩부에 착색이 보여졌다.10 cup-shaped containers of Example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prepared, and left for 120 minutes in a state in which 50 cc of water colored with red ink was put in each, and then the overlapping part of the body or the lower part and the bottom of the body Whether or not water leaked from the seal part with the lower part of the body was performed by visually confirming whether or not coloring was seen in these parts. In the case of Example 3, in any container, no coloring was observed in the overlap part of the body, the seal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body. On the other hand, in Comparative Example 1, coloring was observ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in the two containers.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유동상 식품이나 음료 등을 내용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으로서 알맞게 이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example, as a cup-shaped container containing a fluidized food, beverage, or the like as a conte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1, 1X, 1Y: 컵 형상 용기 2: 동체
2a: 동체의 하단부 21: 오버랩부
21Y: 합장부 23: 플랜지부
20A: 동체용 블랭크 20: 적층체
201: 금속박층 202: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
202a: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 202b: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
203: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 203a: 실측 열융착성 수지층
203b: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 204, 204X: 내측 단면
205: 외측 단면 206: 단차부
3: 바닥체 31: 저부
32: 수하부 30A: 바닥체용 블랭크
30: 적층체 301: 금속박층
302: 상측 열융착성 수지층 303: 하측 열융착성 수지층
R1: 내측 수지 고임부 R2: 외측 수지 고임부
M1: 보호 피막 M2: 보호 피막
1, 1X, 1Y: Cup-shaped container 2: Body
2a: lower part of the body 21: overlapping part
21Y: joint part 23: flange part
20A: blank for fuselage 20: laminate
201: metal foil layer 202: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202a: actual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2b: laminate 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203: out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3a: measured heat-sealable resin layer
203b: laminate 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204, 204X: inner end face
205: outer section 206: step portion
3: bottom 31: bottom
32: lower 30A: blank for the floor
30: laminate 301: metal foil layer
302: upper heat-sealable resin layer 303: lower heat-sealable resin layer
R1: inner resin pool R2: outer resin pool
M1: protective film M2: protective film

Claims (18)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로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가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컵 형상 용기는,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내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Cross-section schematic inverted U formed by forming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overlapping and join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a body, and a bottom blank to form a bottom part and a droop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A cup-shaped container consisting of a bottom body of a mold, and in which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by joi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The blank for the body is formed as a laminate consisting of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titute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A heat-sealable resin layer They are joined by heat-sealing each other,
The blank for the floor is formed as a laminate comprising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are joined by heat-sealing,
In the cup-shaped container,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is formed when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A cup-shaped container covered with
제1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금속박층의 두께를 T1,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를 T2,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두께를 T3으로 하여, T1 : T2 : T3=1 : 0.3∼1.5 : 0.2∼1이고, 또한 T2≥T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metal foil layer in the blank for the body is T1, the thickness of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s T2, and the thickness of the out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outside the body is T3, T1: T2:T3=1:0.3-1.5:0.2-1, and T2≥T3, The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1∼1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in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n the blank for body is 1-10 g/10min, The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에서의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열융착성 수지층이, 2층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층 중 동체의 내면을 구성하는 실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3∼10g/10분이고, 이들의 열가소성 수지층 중 금속박층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가소성 수지층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3∼1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lank for the body, the inner heat-sealable resin layer located inside the body is composed of two or more thermoplastic resin layers, and the melt mass flow rate of the measured thermoplastic resin layer constitu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among these thermoplastic resin layers. (MFR) is 3 to 10 g/10 min, and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laminate-side thermoplastic resin layer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among these thermoplastic resin layers is 3 to 10 g/10 min.
제1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이, 동체의 외측을 향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an inclined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동체용 블랭크에서, 오버랩된 양단 테두리부 중 동체의 외측이 되는 외측단 테두리부에 인접하는 부분에,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과 마주 대하도록 크랭크형상으로 절곡된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차부와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과의 사이에 내측 수지 고임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In the blank for the body, a step portion bent in a crank shape to face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forme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outer edge portion that is the outer side of the body among the overlapping edge portions of both ends, and the step portion and the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resin pool is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제1항에 있어서,
또한,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형성된 외측 수지 고임부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According to claim 1,
In addition,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out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blank is covered by the outside resin pool formed whe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re heat-sealed.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 끼리를 오버랩시켜서 접합함에 의해 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동체와,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로 이루어지고,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에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접합됨에 의해 동체 및 바닥체가 일체화되어 있는 컵 형상 용기로서,
동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가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바닥체용 블랭크가, 금속박층과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이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컵 형상 용기는, 동체용 블랭크의 2개의 열융착성 수지층 중 적어도 일방의 열융착성 수지층이 2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2 이상의 층 중 금속박층에 적층된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에 비하여 융점이 낮은 것이고,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내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Cross-section schematic inverted U formed by forming a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y overlapping and joining the edge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a body, and a bottom blank to form a bottom part and a droop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A cup-shaped container consisting of a bottom body of a mold, and in which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by join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The blank for the body is formed as a laminate consisting of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titute a surface that overlaps with each other. A heat-sealable resin layer They are joined by heat-sealing each other,
The blank for the floor is formed as a laminate comprising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are joined by heat-sealing,
In the cup-shaped container, at least one of the two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blank for the body consists of two or more layers, and the laminate side heat-sealability laminated on the metal foil layer among the two or more layers.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layer has a lower melting point than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s,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of the inn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inside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re between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when heat-sealing.
제8항에 있어서,
또한, 동체의 오버랩부에서, 동체의 외측에 위치하는 동체용 블랭크의 외측 단면의 금속박층 부분 및 금속박층과 열융착성 수지층과의 계면 부분이,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할 때에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가 용융 고화되어 형성된 보호 피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In addition, in the overlap portion of the body, the metal foil layer portion of the outer end face of the blank for the body located outside the body and the interface portion between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 are the number of heat-sealability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ayers are heat-sealed,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coated with a protective film formed by melting and solidify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이, 상기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보다도 10℃ 이상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cup-shaped container, wherein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10°C or mo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융점이 11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11. The method of claim 10,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lting point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110 to 140°C.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상기 다른 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보다도 1∼5g/10분 이상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1 to 5 g/min higher than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other layer.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arger than 10 minut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트측 열융착성 수지층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의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MFR)가 4∼10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elt mass flow rate (MFR) of the heat-sealable resin constituting the laminate-side heat-sealable resin layer is 4 to 10 g/10 min.
제1항 또는 제8항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함에 의해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을 겹쳐 맞추어서,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조 방법은,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p-shaped container of claim 1 or 8,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body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A step of forming a flooring with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drawing a blank for a flooring body such that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is formed;
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by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reof;
It includes a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by overlap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heat-sealing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at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is perform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by high-frequency yar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4항에 있어서,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의 하단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the heat-sealing of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is perform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up-shaped container.
제15항에 있어서,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적층체로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하여,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를 그 하단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내방으로 접어 접힘부를 형성함과 함께,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고 있고,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process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using a laminate in which a heat-fusible resin layer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foil lay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the body is folded inward from the lower opening edge of the body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floor to form a fold, and the lower end and the folded part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formed. By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and folds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form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performing heat-sealing twice, and making heat-sealing of the 2nd time a thing by a high frequency seal.
제1항 또는 제8항의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동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금속박층 및 금속박층의 양면 중 적어도 바닥체의 상측이 되는 면에 적층된 열융착성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타발하여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과,
바닥체용 블랭크를 저부와 저부의 외주 테두리부로부터 하방으로 늘어나는 수하부가 형성되도록 드로잉 성형함에 의해 단면 개략 역U형의 바닥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체용 블랭크의 양단 테두리부를 오버랩시켜서, 이들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통형상의 동체를 형성하는 공정과,
동체의 하단부의 내면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외면을 이들의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조 방법은,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의 하단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up-shaped container of claim 1 or 8, comprising:
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body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metal foil layer and a heat-sealable resin layer laminated on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 step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by punching out a laminate comprising a heat-fusible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the upper side of the floor among both surfaces of the metal foil layer and the metal foil layer;
A step of forming a flooring with a substantially inverted U-shaped cross-section by drawing a blank for a flooring body such that a lower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and an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is formed;
A step of forming a cylindrical body by overlapping the edge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blank for the body and thermally sealing the heat-fusi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reof;
Including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by thermally bon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to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se surfaces,
In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bottom,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heat-sealed twice, and the second heat-sealing is performed with a high-frequency seal.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17항에 있어서,
바닥체용 블랭크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적층체로서 금속박층의 양면에 열융착성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사용하여,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는 공정에서, 동체를 그 하단 개구 테두리부로부터 바닥체의 수하부를 둘러싸도록 내방으로 접어 접힘부를 형성함과 함께,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와 바닥체의 수하부와의 서로에 겹쳐 맞는 면을 구성하고 있는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를 열융착함에 의해, 동체와 바닥체를 일체화하고 있고, 동체의 하단부 및 접힘부 및 바닥체의 수하부의 열융착성 수지층 끼리의 열융착을 2회 행함과 함께, 2회째의 열융착을 고주파 실에 의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형상 용기의 제조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In the process of forming a blank for a floor, using a laminate in which a heat-fusible resin layer is laminated on both sides of a metal foil layer,
In the step of integrating the body and the floor, the body is folded inward from the lower opening edge of the body to surround the lower part of the floor to form a fold, and the lower end and the folded part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floor are formed. By heat-sealing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constituting the overlapping surfaces, the body and the bottom are integrated, and the heat-sealable resin layers of the lower end and folds of the body and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are forme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cup-shaped container characterized by performing heat-sealing twice, and making heat-sealing of the 2nd time a thing by a high frequency seal.
KR1020200173060A 2019-12-16 2020-12-11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KR202100768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6555 2019-12-16
JPJP-P-2019-226555 2019-12-16
JP2019233927 2019-12-25
JP2019233925 2019-12-25
JPJP-P-2019-233925 2019-12-25
JPJP-P-2019-233927 2019-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849A true KR20210076849A (en) 2021-06-24

Family

ID=76345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060A KR20210076849A (en) 2019-12-16 2020-12-11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076849A (en)
CN (2) CN112978004B (en)
TW (1) TW202142450A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49A (en) * 2019-12-16 2021-06-24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955A (en) 1981-08-10 1983-02-23 三陽紙器株式会社 Vessel with sealing cover
JP2007176505A (en)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cuplike container
JP2007210639A (en) 2006-02-0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up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993C (en) * 1995-04-28 2000-01-05 东洋油墨制造株式会社 Paper container for fluid substances, and inside lid therefor
JPH1029617A (en) * 1996-07-16 1998-02-03 Toppa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having plastic ring
JP4054578B2 (en) * 2002-01-10 2008-02-27 東罐興業株式会社 Cup-shaped heat-resistant pap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12425A (en) * 2003-10-09 2005-04-28 Toppan Printing Co Ltd Packaging paper sheet and packaging container formed from the packaging paper sheet
JP2008222244A (en) * 2007-03-09 2008-09-25 Toppan Printing Co Ltd Cup-shaped paper contai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2009102038A (en) * 2007-10-23 2009-05-14 Toppa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CA2762818C (en) * 2009-05-21 2014-02-11 Zhiquan Q. Yan Hermetically sealed paperboard containers with enhanced barrier performance
JP6023426B2 (en) * 2009-06-23 2016-11-09 凸版印刷株式会社 Retort cup
CN103189198A (en) * 2011-09-28 2013-07-03 卞东奂 Method of forming side paper of a foldable paper cup, and foldable paper cup
KR20210076849A (en) * 2019-12-16 2021-06-24 쇼와 덴코 패키징 가부시키가이샤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0955A (en) 1981-08-10 1983-02-23 三陽紙器株式会社 Vessel with sealing cover
JP2007176505A (en) 2005-12-27 2007-07-12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cuplike container
JP2007210639A (en) 2006-02-09 2007-08-23 Dai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649652U (en) 2021-11-09
CN112978004A (en) 2021-06-18
TW202142450A (en) 2021-11-16
CN112978004B (en) 2023-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7196B (en) Cup-shaped container and laminated body for cup-shaped container
JP2008525224A (en) Laminate for packaging, production method thereof, film therefor, and packaging container
CA2778253C (en) Container assembly having a heat-sealed metal end, a metal end therefor, and a method for making same
WO2017151071A1 (en) Aluminium barrier laminate and barrier liner at shoulder for container
KR20210076849A (en) Cup 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EP3476591B1 (en) Composite film
JP7353162B2 (en) cup-shaped container
JP2006341869A (en) Multi-layered container
JP2001206393A (en) Tubular container made of laminated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2102170A (en) Cup container
JP2021095216A (en) Cup-like container
CN215476311U (en) Cup-shaped container
JP7437944B2 (en) cup-shaped container
JP2021102491A (en) Cuplike container
JPS608774Y2 (en) alcoholic beverage cup
KR20210076850A (en) Cup-shaped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21109672A (en) Cup-like container
JP2021102340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p-shaped container
CN214649651U (en) Cup-shaped container
JP2021095217A (en) Cup-like container
JP7437943B2 (en) cup-shaped container
JP2021102490A (en) Cup-shaped container and laminate for cup-shaped container
JP2021109707A (en) Cup-like container
JP2021095215A (en) Cup-like container
JP2011051654A (en) Paper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