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678A - 전원차단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원차단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678A
KR20210070678A KR1020190160725A KR20190160725A KR20210070678A KR 20210070678 A KR20210070678 A KR 20210070678A KR 1020190160725 A KR1020190160725 A KR 1020190160725A KR 20190160725 A KR20190160725 A KR 20190160725A KR 20210070678 A KR20210070678 A KR 20210070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nector
short
pres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2451B1 (ko
Inventor
김종원
강희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60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45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678A/ko
Priority to KR1020210083272A priority patent/KR1023475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interlocked with contact members or counter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커넥터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커버바디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쇼트부로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가 상기 와이어부에서 이탈되면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원차단커넥터{Power Off Connector}
본 발명은 비상 시 고전압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인터락 회로에 연결되는 전원차단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이나 전기차 등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차량을 구동하므로, 고전압배터리를 사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고전압배터리는 매우 높은 전압을 출력할 수 있어 여러가지 전기적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특히 사고 또는 보수 등의 경우에 탑승자나 작업자에게 심한 전기 충격을 유발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배터리의 고전압이 인출되는 부분의 노출을 방지하고, 안전을 강화하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배터리와 연결되는 서비스 플러그를 신설하여, 필요에 따라 서비스 플러그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을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응급상황 시에 배터리와 직접 연결된 서비스 플러그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으며, 이를 위해 사용자가 간단하고 신속하게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도록 서비스 플러그와 BMU(Battery Management Unit)를 연결하는 인터락 회로 및 BMU에서 엔진룸으로 연장되는 추가 인터락회로를 형성하고 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인터락 커넥터를 추가하여 서비스플러그를 조작하지 않더라고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인터락 커넥터는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차량 정검 등 필요에 따라 분리된 후 분실되어 차량을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엔진룸에 추가 인터락 회로 및 인터락 커넥터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 부품 수가 증가하면서 작업성 및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응급상황 시에 고전압 차단을 위해 인터락 커넥터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를 절단을 위한 절단기 등이 필요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쉽게 커넥터를 탈착할 수 있고, 탈거 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전원차단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커넥터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커버바디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쇼트부로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가 상기 와이어부에서 이탈되면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부는 일 측에 고정부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에서 탈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버바디가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바디는 탄성 변형되는 변형부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 또는 해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쇼트부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접하는 연결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쇼트부를 외력을 전달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를 파손하여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부에 접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집중되어 상기 연결부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커버바디는 가해지는 외력이 집중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를 향해 돌출된 가압돌기가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쇼트부를 파손하여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돌기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요입되어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일 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원차단커넥터는 커버부가 바디부에서 탈거되는 경우에도 커버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커버부의 분실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편의를 제공한다. 이때 결합부는 바디부에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쇼트부는 가압돌기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응급상황 시에 쇼트부의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여 배터리 시스템이 보다 확실하게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신속하게 고전압을 차단하여 화재 및 감전 등의 2차 사고를 방지하여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탑승자 또는 구조자가 별도의 도구없이도 외력으로 쇼트부를 파손시켜 고전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차체에 고정되는 클립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응급상황에서 보다 쉽게 전원차단커넥터를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엔진룸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버부가 탈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4의 가압돌기 및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가압돌기 및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4에 바디부와 커버부의 탈거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바디부에 클립부를 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세한 설명에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부가 탈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가압돌기 및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가압돌기 및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바디부와 커버부의 탈거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2의 바디부에 클립부를 결합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Ⅸ-Ⅸ 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전원차단커넥터(10)는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120)가 형성된 바디부(100) 및 상기 바디부(100)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커버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200)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커버바디(210)와, 상기 바디부(100)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부(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쇼트부(220)로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220)가 상기 와이어부(120)에서 이탈되면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바디부(100)에 결합되고, 일 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클립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차단커넥터(10)는 와이어부(120)를 통해 BMU(Battery Management Uni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회로를 완성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BMU는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의 온도와 전압 등 상태를 측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 유닛으로, 각 배터리 셀의 상태뿐만 아니라, 인버터와 연결되는 메인릴레이의 회로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고전압을 공급여부를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원차단커넥터(10)의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서 탈거되는 경우 인터락회로가 개방되고, 이를 BMU가 인지하여 메인릴레이를 강제로 오프(off)시켜 배터리 시스템에서 인버터로 제공되는 고전압을 차단한다.
바디부(100)는 내부에 터미널(110)이 배치되고, 터미널(110)의 일 측에는 BMU에서 연장되는 와이어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버부(20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150)이 형성되어 커버부(200)와의 결합에 의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한다.
또한 바디부(100)는 커버부(20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부(130)와, 고정돌기(140)가 형성되고, 클립부(300)와의 결합을 위해 슬라이드홈(160)이 형성된다.
터미널(110)은 와이어부(120)와 쇼트부(220)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중계하는 역할을 하며 전기적 연결을 위해 도체로 형성되며 와이어부(120)는 한 쌍의 와이어로 형성되고, 각 와이어가 각각 BMU 및 쇼트부(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형성한다.
고정부(130)는 바디부(10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부(200)에 형성된 결합부(211)와 체결되어 커버부(200)가 탈거되는 경우에도 바디부(100)의 일 측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분실을 방지한다.
이때 커버부(200)의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부(130)는 바디부(100)의 일 측에서 돌출되어 결합부(211)와 힌지 결합되도록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면은 원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돌기(140)는 안착부(151)의 일 측에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변형부(212)의 일 측과 걸림 고정되어,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고정돌기(140)는 안착부(151)의 내측에 대칭되어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양 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공간(150)은 커버바디(210)가 결합되는 안착부(151)와, 쇼트부(220)가 삽입되는 체결홀(152)로 형성되어 커버부(200)와 결합되는 동시에 쇼트부(220)와 와이어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안착부(151)는 커버바디(2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홀(152)의 상측에 형성되며, 커버바디(210)와의 일정 이상의 고정력 확보를 위해 커버바디(210)의 외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벽으로 형성된다.
체결홀(152)은 커버부(200) 결합 시 쇼트부(220)가 바디부(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내부에 배치된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바디부(100)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체결홀(152)의 내측 공간은 구획되어 터미널(1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터미널(110)과 연장부(221)의 연결을 가이드한다.
슬라이드홈(160)은 바디부(100)의 외측에 형성되어 클립부(300)가 슬라이딩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클립부(300) 결합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클립부(300)의 양 측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이때 바디부(100)의 결합된 클립부(3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160) 사이에는 결합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돌출되어 걸림돌기(311)에 걸림 고정되는 스토퍼(161)가 형성된다.
커버부(200)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커버바디(210)와, 도체로 형성되는 쇼트부(220)로 형성되고, 바디부(100)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인터락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커버바디(210)는 쇼트부(2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4)이 형성되며, 고정부(130)에 체결되는 결합부(211)와,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탈착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되는 변형부(212)와, 쇼트부(220)로 외력을 전달하는 가압부(215)가 형성된다.
수용공간(214)은 쇼트부(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 측이 개방되어 형성되고, 쇼트부(220)가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2141)이 형성되며, 이때 안착홈(2141)에는 돌출되어 외력을 연결부(222)로 전달하는 가압돌기(2142)와, 쇼트부(2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안착돌기(2143)가 형성된다.
가압돌기(2142)는 연결부(222)의 일 측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응급상황에서 사용자가 커버부(200)를 가압하여 쇼트부(220)를 용이하게 파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압돌기(2142)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외력이 집중되어 연결부(222)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안착돌기(2143)는 쇼트부(22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의 크기가 점직적으로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쇼트부(220)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결합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한다.
다시 말해 가압돌기(2142)는 연결부(222)의 상측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외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을 연결부(222)로 전달하며, 안착돌기(2143)는 연결부(222)의 하측에 형성되어 쇼트부(220)를 고정하는 동시에 외력에 대한 반발력을 발생시켜 쇼트부(220)의 파손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가압돌기(2142)는 연결부(222)의 중앙부에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돌기(2143)는 가압돌기(2142)의 위치에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부(211)는 커버바다의 일 측에서 연장되는 연결라인(2111)과, 연결라인(2111) 일 단에 형성되어 고정부(130)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고리(2112)로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서 탈거되는 경우에도 연결라인(211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여 커버부(200)의 분실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이때 연결라인(2111)은 일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커버부(200)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 측에서 밴딩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고정부(130)의 위치 및 전원차단커넥터(10)의 차체 고정위치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변형부(212)는 커버바디(210)의 양 측에 형성되어 커버부(2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되는 경우, 고정돌기(140)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고정돌기(140)가 걸림턱(2121)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원위치로 복귀되어 바디부(100)에 고정된다. 또한 커버부(200)를 바디부(100)에서 탈거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변형부(212)를 가압하여 걸림턱(2121)이 고정돌기(140)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손 쉽게 탈거되도록 한다.
가압부(215)는 커버바디(210)의 상측에 형성되고,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외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일정 이상의 넓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가압면(2151)과, 가압면(2151)에서 연장 형성되어 쇼트부(220)로 외력을 전달하는 전달리브(2152)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원차단커넥터(10)는 사용자 또는 작업자가 응급상황에서 별도의 도구 없이 가압부(215)를 가압하여 쇼트부(220)를 파손함으로써, 신속하고 안전하게 인버터로 공급되는 고전압을 차단한다.
따라서 전달리브(2152)는 가압돌기(2142)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압부(215)에 가해지는 외력이 집중될 수 있도록 가압면(2151)의 단면적의 크기보다 전달리브(2152)의 단면적의 크기가 작게 형성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쇼트부(220)는 커버바디(21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21)와, 연장부(221)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부(222)로 형성되고,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것으로 도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장부(221)는 커버바디(2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체결홀(152)을 통해 터미널(1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결부(222)는 연장부(221) 사이에 형성되어 전기적 연결을 하는 동시에 응급상황에서 커버바디(21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어 고전압이 강제적으로 차단되도록 하기 위해 가압돌기(2142)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연결부(222)에는 가압돌기(2142)의 위치에 대응하여 외력에 의한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2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222,2222)는 연장부(221)가 연결된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연결부(222)의 파손을 보장하여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게 인터락 회로를 개방시켜 고전압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의 가이드부(1222)는 가압돌기(2142)와 결합되도록 가압돌기(2142)가 돌출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며, 이때 가압돌기(2142)의 크기는 가이드의 요입된 가이드부(1222)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가이드부(2222)는 가압돌기(2142)와 맞닿도록 형성되되, 가압돌기(2142)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돌기(2142)와 가이드부(1222,2222)는 접하도록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전원차단커넥터(10)는 와이어부(120)를 통해 BMU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터락 회로가 완성되도록 하며,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커버부(200)의 탈거 또는 파손에 의해 인터락 회로를 개방시켜 BMU가 응급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BMU는 PRA의 내측에 형성되는 메인릴레이를 강제로 오프(off)하여, 비상 시에 서비스플러그가 탈거되지 않더라도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도록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1222,2222)는 가압돌기(2142)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으로 연결부(222)가 파손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쇼트부(220)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가 파손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비상 시 고전압에 의한 2차 사고를 신속히 방지한다.
클립부(300)는 일 측에 형성되어 슬라이드홈(160)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돌기(310)와, 차체에 고정되는 클립돌기(320)로 형성되어 전원차단커넥터(10)가 차체의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엔진룸의 미관을 향상시킨다.
슬라이드돌기(310)는 바디부(100)의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홈(160)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클립부(3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홈(160)은 하측 말단은 개방 형성되어 슬라이드돌기(310)가 슬라이드홈(160)이 하측에서 삽입되어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며 바디부(100)에 결합되도록 하며, 상측 말단은 폐쇄되어 슬라이드돌기(310)가 바디부(100)에 결합된 후 상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부(300)가 상측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슬라이드돌기(310) 사이에는 결합되는 방향으로 그 단면적의 크기가 점직적으로 작아지는 걸림돌기(311)가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서 스토퍼(161)과 걸림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스토퍼(161)와 걸림돌기(311)는 서로 같은 방향으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어 클립부(300)와 바디부(100)의 결합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특정 위치에서 걸림 고정되어 클립부(300)가 바디부(100)에 결합된 후 하측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립부(300)가 하측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시 말해 클립부(300)는 바디부(100)에 고정되어 전원차단커넥터(10)가 차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클립돌기(320)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리브(321)와 연장리브(321)의 일 단에서 절곡되어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걸림리브(322)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걸림리브(322)는 클립부(300)가 차체 결합되는 경우 걸림리브(322)가 연장리브(321) 측으로 탄성 변형되어 차체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도록 하고, 클립돌기(320)가 홀을 관통한 후에는 회복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차체에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물로 형성되는 클립부(300)를 구비하여 고정위치 및 고정방법에 따라 클립부(300)를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클립부(300)가 별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원차단커넥터(10)는 바디부(100)와 커버부(2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엔진룸의 미관을 향상시켜 유지 보수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응급상황에서 파손을 통해 보다 신속히 고전압을 차단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하여 안전성 또한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0 전원차단커넥터
100 바디부 110 터미널 120 와이어부
130 고정부 140 고정돌기 150 결합공간
151 안착부 152 체결홀
160 슬라이드홈 161 스토퍼
200 커버부 210 커버바디 211 결합부
2111 연결라인 2112 결합고리 212 변형부
2121 걸림턱 214 수용공간 2141 안착홈
2142 가압돌기 2143 안착돌기 215 가압부
2151 가압면 2152 전달리브 220 쇼트부
221 연장부 222 연결부 1222,2222 가이드부
300 클립부 310 슬라이드돌기 311 걸림돌기
320 클립돌기 321 연장리브 322 걸림리브

Claims (8)

  1. 인터락 회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와이어부가 수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터락 회로를 완성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절연체로 형성되는 커버바디와, 상기 바디부의 내측에서 상기 와이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쇼트부로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가 상기 와이어부에서 이탈되면 배터리 시스템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 측에 고정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바디부에서 탈거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커버바디가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바디는
    탄성 변형되는 변형부에 의해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 또는 해지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부는
    상기 인터락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바디부의 일 면에 접하는 연결부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쇼트부에 외력을 전달하는 가압부가 형성되고, 상기 쇼트부를 파손하여 배터리 시스템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바디는
    상기 가압부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부에 접하도록 돌출된 가압돌기가 더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전달되는 외력이 집중되어 상기 연결부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돌기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도록 요입되어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가압돌기에 대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파손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고, 일 측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차단커넥터.
KR1020190160725A 2019-12-05 2019-12-05 전원차단커넥터 KR10227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25A KR102272451B1 (ko) 2019-12-05 2019-12-05 전원차단커넥터
KR1020210083272A KR102347513B1 (ko) 2019-12-05 2021-06-25 전원차단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725A KR102272451B1 (ko) 2019-12-05 2019-12-05 전원차단커넥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272A Division KR102347513B1 (ko) 2019-12-05 2021-06-25 전원차단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678A true KR20210070678A (ko) 2021-06-15
KR102272451B1 KR102272451B1 (ko) 2021-07-02

Family

ID=7641218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725A KR102272451B1 (ko) 2019-12-05 2019-12-05 전원차단커넥터
KR1020210083272A KR102347513B1 (ko) 2019-12-05 2021-06-25 전원차단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272A KR102347513B1 (ko) 2019-12-05 2021-06-25 전원차단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724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06A (ja) *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320759Y1 (ko) * 2003-04-30 2003-07-23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JP2012186074A (ja) * 2011-03-07 2012-09-27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US20190108957A1 (en) * 2017-10-11 2019-04-11 Key Safety Systems, Inc.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506A (ja) * 2001-05-18 2002-11-29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KR200320759Y1 (ko) * 2003-04-30 2003-07-23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JP2012186074A (ja) * 2011-03-07 2012-09-27 Yazaki Corp 電源回路遮断装置
US20190108957A1 (en) * 2017-10-11 2019-04-11 Key Safety Systems, Inc. High voltage electric line cutt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2451B1 (ko) 2021-07-02
KR20210080343A (ko) 2021-06-30
KR102347513B1 (ko) 202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7196C (en) Safety system for high current applications
EP3467959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4493523A (en) Adaptive strain relief for wiring devices
EP2520457A2 (en) Power feeding control device
KR20170031621A (ko) 단자 접촉 보호 수단을 구비한 직각 커넥터
KR102485376B1 (ko) 정션 블록
GB2294818A (en) Connector holder with integrally hinged closure parts
CN100527530C (zh) 快速连接接线端装置和接线设备
KR20180066603A (ko)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KR20150026861A (ko) 회로 차단 장치
KR102272451B1 (ko) 전원차단커넥터
CN103391862A (zh) 用于高压电网和机动车的电流分配设备
KR101919159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고전압 전력용 접속장치
KR102270732B1 (ko) 전원차단블록
WO2013087482A1 (en) Connector with indicator body and separation device mountable to a cable
KR102270733B1 (ko) 전원차단블록
KR20210070044A (ko) 전원차단블록 및 이를 구비한 정션블록
US6843668B2 (en) Device for connecting an electrical load to an insulated power supply cable
KR101143590B1 (ko) 원터치 착탈 방식의 암 커넥터
KR20120107896A (ko) 이탈착 방식의 누전 차단기
CN101351933B (zh) 用于将插头连接至不同类型的电源插座的适配器
EP2645394B1 (en) Power circuit interrupting device
KR102517859B1 (ko) 조인트유닛이 구비된 정션블록
KR102179103B1 (ko) 차량용 고전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의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KR20230170509A (ko) 파워 릴레이박스의 인터락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