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008A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008A
KR20210069008A KR1020200166568A KR20200166568A KR20210069008A KR 20210069008 A KR20210069008 A KR 20210069008A KR 1020200166568 A KR1020200166568 A KR 1020200166568A KR 20200166568 A KR20200166568 A KR 20200166568A KR 20210069008 A KR20210069008 A KR 2021006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lock
unit
operation lever
re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타카 요시카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126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7515333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6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41J11/057Structure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18Platen-impres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B41J11/703Cutting of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2/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ink-jet or thermal heads
    • B41J2202/3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rmal heads
    • B41J2202/31Thermal printer with head or platen movable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를 행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 및 플래튼 롤러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하는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을 갖고, 헤드 유닛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헤드 유닛에 대해서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헤드 유닛에 대한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축선 둘레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플래튼 롤러와 평행하는 요동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한 로크 아암을 갖고,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로크 상태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플래튼 로크 기구와,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크 아암을 요동 축선 둘레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에는, 개방구를 통해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을 내부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조작 레버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플래튼 베어링을 홈 저부에 접한 상태로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은, 조작 레버가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수용 홈 내에 수용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의 적어도 한쪽을 개방구 측으로부터 누르고, 또한 조작 레버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요동 축선 둘레를 요동하고, 개방구를 통한 수용 홈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로크 아암에는, 조작 레버가 로크 위치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래튼 베어링을 홈 저부로부터 개방구 측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압상(押上) 아암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가압 부재는, 플래튼 유닛 측을 향하여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고 있다.

Description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본 발명은,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서멀 프린터로서,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가 분리 가능하게 조합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롤지를 수납하는 하우징 측에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이 설치되고, 하우징에 대해서 개폐 조작 가능하게 연결된 프린터 커버 측에 플래튼 롤러를 갖는 플래튼 유닛이 설치된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프린터 커버의 개폐 조작에 따라,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분리 가능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상, 이런 종류의 서멀 프린터는, 서멀 헤드와 플래튼 롤러를 조합했을 때, 양자가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래튼 롤러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로크 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플래튼 축의 양 단부에 설치된 베어링을 누르는 것이 알려져 있다. 스프링 부재는, 하우징 측의 헤드 유닛에 설치되고, 베어링 홈 내에 베어링이 끼워넣어졌을 때에, 자신의 탄성 복원력(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베어링을 누른다. 이에 의해, 베어링 홈에 대해서 베어링을 일정한 압압력(押壓力)으로 누를 수 있어, 플래튼 롤러를 로크(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를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방식의 경우, 베어링을 스프링 부재로 누르고 있는 것뿐이므로, 플래튼 롤러의 로크가 불충분해지기 쉽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플래튼 롤러에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베어링 홈 내로부터 빠져 나오는 방향으로 베어링이 움직여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 때문에, 베어링에 일체로 설치된 종동 기어와, 플래튼 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열윤의 맞물림이 불충분해져, 이른바 톱니 튐이라 불리는 문제나, 맞물림 자체가 해제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베어링 홈 내로부터 베어링이 빠져 버려,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분리될 가능성도 있었다. 특히, 프린터 커버에 플래튼 유닛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플래튼 커버를 통해 플래튼 롤러에 외력이 작용하기 쉬우므로, 상술한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상술한 문제에 대한 대책으로서, 예를 들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력을 크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헤드 유닛과 플래튼 유닛을 분리시킬 때에, 베어링 홈 내로부터 베어링이 빠지기 어렵게 되어 버리므로, 플래튼 롤러의 개방에 큰 힘이 필요로 해져 버린다. 그 때문에,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해 버리는 것이었다.
그래서, 스프링 부재를 대신해, 로크 아암을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로크 아암 방식을 채용한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플래튼 롤러에 대해서 압접시키기 위한 헤드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로크 아암을 통해 베어링을 베어링 홈에 대해서 누름으로써,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서멀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이 서멀 프린터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와는 달리, 로크 아암을 이용하므로, 베어링 홈 내로부터 베어링이 빠져 나오도록 움직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로크 아암 방식의 경우여도, 헤드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이용하여 로크 아암을 베어링에 대해서 누르므로, 플래튼 롤러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헤드 가압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존하여, 필요 이상으로 큰 힘이 되기 쉽다. 그 때문에, 마찬가지로 조작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쉬워,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이런 종류의 로크 아암은, 통상 플래튼 유닛 측으로부터 베어링을 로크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를 해제하는 경우에는, 로크 아암이 서멀 헤드 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플래튼 유닛 측을 향하여 이동해 버린다. 따라서, 로크 아암의 가동 스트로크 양을 고려하여,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플래튼 유닛을 크게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플래튼 유닛은, 헤드 유닛에 비해 구성 부품이 적기 때문에, 그만큼 소형화, 박형화를 도모하여, 콤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로크 아암의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므로 콤팩트하게 설계하는 것이 어렵다. 그 때문에, 가동 스페이스의 확보가 결과적으로 프린터 전체의 사이즈에 영향을 끼쳐 버려, 설계의 제약이 되어 버리고 있었다.
그래서, 당 기술 분야에서는, 플래튼 롤러를 확실하게 로크할 수 있고, 약간의 조작력으로 원활하게 로크를 해제할 수 있고, 또한 외형 사이즈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가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은, 기록지에 인자를 행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 및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을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축선 둘레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평행하는 요동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한 로크 아암을 갖고, 상기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로크 상태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플래튼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요동 축선 둘레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유닛에는, 개방구를 통해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내부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홈 저부에 접한 상태로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수용 홈 내에 수용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개방구 측으로부터 누르고, 또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요동 축선 둘레를 요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홈 저부로부터 상기 개방구 측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압상(押上)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플래튼 유닛 측을 향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래튼 유닛 측으로부터 상기 헤드 유닛 측을 향하여 상기 요동 축선 둘레를 요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압상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방구 측으로부터 상기 홈 저부 측을 향함에 따라 개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홈 저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압상 아암은, 상기 안내 돌기의 정점부보다, 상기 개방구 측으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롤러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밀어 올린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사이에 낀 양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로크 기구는, 상기 요동 축선을 따라서 연장됨과 더불어 한 쌍의 상기 로크 아암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축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상기 가동 날을,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얹힌 절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이용하여, 상기 플래튼 로크 기구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 톱니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과,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회전 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귀 기어 및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기어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해서 맞물리고, 또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날에 있어서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로크 상태에서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선형의 이탈 방지면을 갖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과 상기 이탈 방지면은,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인자 유닛에서는,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상기 수용 홈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조하는 플래튼 지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지지 스프링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압상 아암이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밀어 올리기 전에,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는, 상기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로서, 프린터 커버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린터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의 서멀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기어 커버 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플래튼 프레임 등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인자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낸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로서, 수용 홈과 플래튼 베어링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고정 날과 가동 날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조작 레버의 주변을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의 주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가동 날과 고정 날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로크 위치로부터 조작 레버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을 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押下)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하여 맞물림 해제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하여 가동 날을 대기 위치에 복귀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더 압하 조작하여 로크 해제 위치에 위치시키고, 플래튼 베어링을 수용 홈의 개방구에 밀어 올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에 나타낸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에 있어서,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의 주변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낸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나타낸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작 레버의 주변부를 내측면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단계(로크 상태)를 나타낸, 조작 레버의 외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에 나타낸 제1 단계(로크 상태)를 조작 레버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2a는, 도 31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을 한 제2 단계(중간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2b는, 도 32a에 나타낸 제2 단계(중간 상태)를 조작 레버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3a는, 도 32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을 한 제3 단계(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3b는, 도 33a에 나타낸 제3 단계(로크 해제 상태)를 조작 레버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1)는, 롤지형의 기록지(감열지)(P)에 인쇄를 행하여, 기록지(P)를 예를 들면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프린터이다.
서멀 프린터(1)는, 예를 들면 점포의 점두에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정보처리 장치에 의해서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그 때문에, 서멀 프린터(1)는, 정보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된 각종 정보를 기록지(P)에 인쇄함과 더불어, 인쇄한 기록지(P)를 배출하도록 제어되고 있다.
서멀 프린터(1)는, 예를 들면 점두의 설치면(S) 상에 설치되고, 전체적으로는 큐브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설치면(S)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상하 방향(L1)이라고 하고, 설치면(S)에 대해서 평행하는 면 내에 있어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을 전후 방향(L2) 및 좌우 방향(L3)이라고 한다. 또한, 전후 방향(L2) 중, 전방을 화살표(FW)로 나타내고, 후방을 화살표(BK)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는, 지면에 대해서 좌하측이 전방(FW), 우상측이 후방(BK)으로 되어 있다.
서멀 프린터(1)는, 케이싱(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 본체)(2)과, 프린터 커버(3)와, 헤드 유닛(5) 및 플래튼 유닛(6)으로 구성되는 인자 유닛(4)을 구비하고, 기록지(P)가 전방(FW)에 배출되는, 이른바 전출 타입으로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프린터 커버(3) 측에 플래튼 유닛(6)이 설치되고, 케이싱(2) 측에 헤드 유닛(5)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프린터 커버(3) 측에 헤드 유닛(5)을 설치하고, 케이싱(2) 측에 플래튼 유닛(6)을 설치해도 무방하다.
케이싱(2)은, 합성 수지 재료나 금속 재료 혹은 이들을 적절히 조합함으로써, 전방(FW)에 개구부를 갖는 큐브형으로 형성되고, 설치면(S)에 대향하는 저면(11)을 포함하는 복수의 외면(10)을 갖고 있다. 단, 케이싱(2)의 형상은,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해도 무방하다.
복수의 외면(10) 중, 저면(11)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마주보는 외면을 상면(12)이라고 한다. 또 복수의 외면(10) 중, 전방(FW) 측에 위치하는 외면을 전면(13)이라고 하고, 후방(BK) 측에 위치하는 외면을 후면(14)이라고 한다. 이들 전면(13) 및 후면(14)은, 전후 방향(L2)으로 마주보고 있다. 또한, 복수의 외면(10) 중, 좌우 방향(L3)으로 마주보는 외면을 한 쌍의 측면(15)이라고 한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케이싱(2)의 전면(13)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롤형의 기록지(P)를 수납 가능한 기록지 수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프린터 커버(3)가 열렸을 때에, 기록지 수납부(16) 내에 전방(FW)으로부터 롤형의 기록지(P)를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프린터 커버(3)는, 케이싱(2)의 전면(13) 측의 하부에, 회전축부(17)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개구부를 개방 가능하게 폐색하고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는, 회전축부(17) 둘레로 대략 90도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 당해 프린터 커버(3)의 선단과 케이싱(2)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록지(P)는, 이 간극을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전방(FW)으로 인출되어 배출된다. 따라서, 이 간극은 기록지(P)의 배출구(18)로서 기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싱(2) 및 프린터 커버(3)는, 프린터 커버(3)가 닫혔을 때, 플래튼 유닛(6)과 헤드 유닛(5)의 조합에 따라 로크된다. 이에 의해서, 프린터 커버(3)는 닫힘 상태로 로크된다.
또한 케이싱(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13)과 상면(12)과 한쪽의 측면(15)이 교차하는 모서리부에, 플래튼 유닛(6)과 헤드 유닛(5)의 조합(로크)을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19)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의 로크에 대해서도 해제할 수 있고, 프린터 커버(3)의 열림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레버(19)는, 예를 들면 하방을 향해서 압하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에는,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종이 이송 버튼으로 된 조작 버튼(3a)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3a)은, 프린터 커버(3)의 외면에 압하 가능하게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조작 버튼(3a)은 조작 레버(19)의 하방에 상하 방향(L1)으로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자 유닛(4)은, 케이싱(2) 측에 설치된 헤드 유닛(5)과, 프린터 커버(3) 측에 설치되고, 헤드 유닛(5)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6)을 구비하고 있다.
헤드 유닛(5)은, 그 헤드 유닛(5)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헤드 프레임(20)과, 헤드 프레임(20)을 전방(FW) 및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헤드 커버 플레이트(21)와,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기어 커버(22, 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주로 헤드 프레임(20)을 이용하여 장착되고, 헤드 커버 플레이트(21) 및 기어 커버(22, 23)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 유닛(5)은, 케이싱(2)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은, 기록지 수납부(16)의 상방이며, 케이싱(2)의 전면(13) 쪽에 배치되고, 주로 헤드 프레임(20)의 나사 체결에 의해서 케이싱(2)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헤드 유닛(5)은, 가동 날(26)의 날끝(26a)이 하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헤드 유닛(5)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플래튼 유닛(6)은, 그 플래튼 유닛(6)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플래튼 프레임(40)과, 플래튼 프레임(40)을 전방(FW) 및 좌우 방향(L3)으로부터 덮도록 플래튼 프레임(40)에 조합된 예를 들면 금속제의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6)은, 플래튼 롤러(45) 및 고정 날(46)을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이들 플래튼 롤러(45) 및 고정 날(46)은, 주로 플래튼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장착되고,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에 의해서 덮여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래튼 유닛(6)은, 주로 플래튼 커버 플레이트(41)를 개재하여 프린터 커버(3)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플래튼 유닛(6)은, 프린터 커버(3)의 개폐 동작에 따라 헤드 유닛(5)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튼 유닛(6)은 고정 날(46)의 날끝(46a)이 상방을 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플래튼 유닛(6)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날(46)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되었을 때, 날끝(46a)이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플래튼 프레임(40)에 지지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프레임(40)에는, 고정 날(46)보다 후방(BK)에 위치하는 부분에 플래튼 롤러(45)를 수납하는 플래튼 수납 공간(47)이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플래튼 수납 공간(47)을 사이로 하여 좌우 방향(L3)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플래튼 롤러(45)를 지지하는 지지벽(48)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45)는, 기록지(P)를 프린터 커버(3)의 외부에 반송하는 고무 롤러이며, 좌우 방향(L3)으로 연장되는 플래튼 축(50)에 고무층이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롤러(45)는, 헤드 유닛(5) 측에 외주면의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플래튼 수납 공간(47) 내에 수납되어 있음과 더불어, 지지벽(48)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래튼 롤러(45)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래튼 축(50)의 양 단부에는, 원통형의 플래튼 베어링(51)이 각각 씌워져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눌렀다고 해도,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축(50)의 일단부에는, 플래튼 베어링(51)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종동 기어(52)가 고정되어 있다.
지지벽(48)은, 예를 들면 슬릿 구멍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사이에 끼우고 고정하고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45)는, 플래튼 수납 공간(47) 내에 수납된 상태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개재하여 한 쌍의 지지벽(4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은, 지지벽(4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프린터 커버(3)를 닫았을 때에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 측에 설치된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각각 수용된다.
또한, 도 5에서는, 플래튼 유닛(6) 중 주로 플래튼 롤러(45) 및 플래튼 베어링(51)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헤드 유닛(5)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은, 서멀 헤드(25), 가동 날(26), 구동 기구(27), 조작 레버(28), 복귀 기구(29) 및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멀 헤드(25)는,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라인 형으로 늘어선 복수의 도시하지 않은 발열 소자를 갖고, 프린터 커버(3)가 닫힘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플래튼 롤러(45)에 대향하도록 헤드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기록지(P)는, 플래튼 롤러(45)와 서멀 헤드(25) 사이를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멀 헤드(25)와 헤드 프레임(20) 사이에는, 서멀 헤드(25)를 플래튼 롤러(45) 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45)에 의해서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서멀 헤드(25)를 확실히 누를 수 있어, 인자 유닛(4)에 의한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헤드 프레임(20)은, 플래튼 유닛(6)에 있어서의 플래튼 프레임(40)의 지지벽(4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부(60, 61)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측벽부(60, 61)에는,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각각 내부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한 쌍의 수용 홈(6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되고, 플래튼 유닛(6) 측을 향하는 전방(FW)에 개방구(62a)를 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에 있어서의 홈 저부(62b)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은, 한쪽의 측벽부(60)에 형성된 수용 홈(62)을 도시하고, 그 외의 각 구성품에 도시를 적절히 생략하고 있다.
수용 홈(62)의 내측면에는,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홈 저부(62b) 측을 향함에 따라 개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플래튼 베어링(51)을 홈 저부(62b) 측을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 돌기(6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은, 개방구(62a)가 가장 개구 폭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안내 돌기(63)에 있어서의 정점부(63a) 부근에서 개구 폭이 가장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62)에 안내 돌기(63)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플래튼 베어링(51)을 안내 돌기(63)를 따라서 홈 저부(62b) 측에 넣도록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벽부(60, 61)에 수용 홈(6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했을 때,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은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끼워넣어지고, 내부에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래튼 베어링(51)은, 홈 저부(62b)에 접한 상태에서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되었을 때에, 날끝(26a)이 플래튼 유닛(6) 측을 향하도록 구동 기구(27)를 개재하여 헤드 프레임(20)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 가동 날(26)은 고정 날(46)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절단 위치(P1)로 이동했을 때에, 고정 날(46)에 대해서 전후 방향(L2)으로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 날(26)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동으로부터 날끝(26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V자형의 판형 날로 되어 있다. 또한, 도 8은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 이동시켜, 고정 날(46)과 가동 날(26) 사이에서 기록지(P)를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은, 가동 날 홀더(70)를 개재하여 구동 기구(27)의 구동 랙(71)에 장착되어 있다. 가동 날(26)은, 구동 기구(27)의 동작에 의해서 헤드 프레임(20)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은 고정 날(46)에 대해서 상하 방향(L1)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는, 절단 위치(P1)와 대기 위치(P2)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절단 위치(P1)란, 가동 날(26)이 고정 날(46)에 올라앉음으로써, 가동 날(26)이 고정 날(46)과 함께 기록지(P)를 절단하는 위치(도 8 참조)이다. 대기 위치(P2)란, 고정 날(46)로부터 가동 날(26)이 적절히 떨어진 위치(도 4 참조)이다. 구동 기구(27)는, 구동용 모터(75), 구동 중간 바퀴(76), 2단 중간 바퀴(77),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75)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로 되고,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75)의 구동축은, 감속 기구(75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감속 기구(75a)의 출력축(75b)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돌출해 있다. 구동 중간 바퀴(76)는, 한쪽의 측벽부(6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되고, 감속 기구(75a)의 출력축(75b)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중간 바퀴(76)는, 감속 기구(75a)를 개재한 구동용 모터(75)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 중간 바퀴(77)는, 구동 중간 바퀴(76)와 구동 피니언(78) 사이에 배치되고, 중간 지지축(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2단 중간 바퀴(77)는, 대경 중간 바퀴(77a), 및 대경 중간 바퀴(77a)보다 소경으로 형성된 소경 중간 바퀴(77b)를 구비하고 있다. 대경 중간 바퀴(77a)는,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구동 중간 바퀴(76)에 맞물리고 있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의 전체는, 구동 중간 바퀴(76)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한다. 또한, 소경 중간 바퀴(77b)는, 대경 중간 바퀴(77a)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되고, 구동 피니언(78)에 대해서 맞물리고 있다.
구동 피니언(78)은, 소경 중간 바퀴(77b)보다 조작 레버(28) 측에 위치하고, 또한 구동 랙(71)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됨과 더불어, 피니언 지지축(81)에 대해서 동축에 배치된 상태로 그 피니언 지지축(8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피니언(78) 및 피니언 지지축(81)은, 일체로 회전한다. 또, 구동 피니언(78)은, 소경 중간 바퀴(77b)에 맞물리고 있음과 더불어, 구동 랙(71)에 있어서의 구동 랙 톱니(71a)에 맞물리고 있다.
구동 랙(7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뿐만 아니라,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도 배치되며, 헤드 프레임(20)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3)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피니언 지지축(81)은,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좌우 방향(L3)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은, 피니언 지지축(81)을 개재하여, 동기한 상태로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동 랙(71)은, 가동 날 홀더(70)의 좌우 방향(L3)을 따르는 양 단부에 장착되고, 상하 방향(L1)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구동 랙(71)은, 가동 날 홀더(70)를 개재하여 가동 날(26)에 대해서 조합되어 있다. 구동 랙(71)에는, 전역에 걸쳐서 구동 랙 톱니(7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은, 이 구동 랙 톱니(71a)에 대해서 맞물리고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구동 피니언(78)의 회전에 수반하여, 구동 랙(71)을 통해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와 절단 위치(P1)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구성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한쪽의 측벽부(60) 측(구동용 모터(75) 측)에 위치하는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위치하는 구동 피니언(78) 및 구동 랙(71)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75)의 회전에 의해서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대경 중간 바퀴(77a) 및 소경 중간 바퀴(77b))를 개재하여 구동 피니언(78)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구동 랙(71)을, 복귀 기구(29)의 후술하는 복귀 랙(130)과 더불어 화살표(F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같은 방향으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부터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용 모터(75)를 역회전시킴으로써,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를 개재하여 구동 피니언(78)을 역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더불어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같은 방향으로 가동 날(26)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2단 중간 바퀴(77)를 지지하는 중간 지지축(80)은,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스윙 플레이트(90)에 고정되어 있다. 도 7,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90)에는, 그 스윙 플레이트(90)를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함과 더불어 피니언 지지축(81)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 구멍(91)이 형성되어 있다. 스윙 플레이트(90)는, 삽입 통과 구멍(91) 내에 피니언 지지축(81)을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한쪽의 측벽부(60)의 벽면을 따라서 요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윙 플레이트(90)는, 삽입 통과 구멍(91)으로부터 구동 중간 바퀴(76)와 구동 랙(71) 사이를 향하여 연장된 제1 플레이트부(92)와, 삽입 통과 구멍(91)으로부터 후술하는 로크 아암(140)의 요동 축선(O2)을 향하여 연장된 제2 플레이트부(93)를 구비하고 있다.
중간 지지축(80)은, 제1 플레이트부(92)로부터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중간 지지축(80)에 지지되어 있는 2단 중간 바퀴(77)는, 스윙 플레이트(90)에 수반하여,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플레이트부(93)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걸림 돌기(94) 및 걸림 핀(95)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스윙 플레이트(9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2단 중간 바퀴(77)의 대경 중간 바퀴(77a)가 구동 중간 바퀴(76)에 대해서 맞물리는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제1 탄성 가압 부재(10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한쪽의 측벽부(60)에 돌출되어 설치된 코일 지지축(105)에 지지된 코일부(100a)와, 헤드 프레임(20)에 걸린 제1 코일 단부(100b)와, 스윙 플레이트(90)의 걸림 돌기(94)에 걸린 제2 코일 단부(100c)를 갖는다.
이에 의해, 스윙 플레이트(90)는,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제2 플레이트부(93)가 조작 레버(28) 측을 향하여 탄성 가압되므로, 대경 중간 바퀴(77a)가 구동 중간 바퀴(76)에 대해서 눌러진 상태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1 탄성 가압 부재(10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 스윙 플레이트(90)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따라, 걸림 핀(95)이 후술하는 압상 캠(113)에 의해서 밀어 올려짐으로써,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고, 2단 중간 바퀴(77)가 구동 중간 바퀴(76)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는,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더불어 레버 지지축(106)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조작 레버(28)는, 레버 지지축(106)을 중심으로서, 로크 위치(P3)로부터 후술하는 맞물림 해제 위치(P4)나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한쪽의 측벽부(60)를 좌우 방향(L3)의 외측 측면에서 봤을 때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압입(押入)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레버 지지축(106)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어 커버(22)의 내면으로부터 한쪽의 측벽부(60) 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 지지축(106)의 중심축선이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이 된다.
로크 위치(P3)란, 헤드 유닛(5)에 대해서 플래튼 유닛(6)이 로크 상태로 유지되는 위치를 말한다. 맞물림 해제 위치(P4)란, 조작 레버(28)에 있어서의 후술하는 압상 캠(113)에 의해서 스윙 플레이트(90)가 요동하여, 2단 중간 바퀴(77)의 대경 중간 바퀴(77a)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된 위치를 말한다. 로크 해제 위치(P5)란, 헤드 유닛(5)에 대한 플래튼 유닛(6)의 로크 상태가 해제되는 위치를 말한다.
도 9~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의 기단부에는, 측면에서 볼 때 부채꼴로 형성된 레버 플레이트(110)가 형성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110)의 외면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유성축(111)이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레버 플레이트(110)의 내면에는, 후술하는 로크 아암(140)에 걸리는 레버 돌기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 플레이트(110)에는, 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불룩한 압상 캠(113) 및 규제 돌출편(114)이 형성되어 있다.
유성축(111)은, 레버 지지축(106)에 대해서 오프셋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압상 캠(113)은, 스윙 플레이트(90)에 형성된 걸림 핀(95)보다 시계회전 방향 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회전했을 때, 걸림 핀(95)에 대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압상 캠(113)의 외면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걸림 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 돌출편(114)은, 압상 캠(113)보다 반시계 방향 측에 배치되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헤드 프레임(20)에 형성된 규제 벽부(116)에 대해서 시계 방향 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28)의 전체는, 더 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규제되고, 이에 의해서 로크 위치(P3)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는, 로크 해제 위치(P5)로 이동하여, 더 후방으로 눌러 움직이는 조작이 되었을 때에, 도 3 및 도 11에 나타내는 기어 커버(22)의 규제 벽부(117)에 대해서 반시계 방향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는, 로크 해제 위치(P5)를 넘어서 더 크게 압하 조작되는 것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 레버(28)의 선단부는, 케이싱(2)에 설치된 조작 레버(19)에 있어서의 연결체(19a)(도 2 참조)의 내측에 감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레버(28)는, 조작 레버(19)의 조작에 연동되어 조작된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19)를 조작함으로써, 이에 연동하여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조작 레버(28)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로크 위치(P3)를 향하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제2 탄성 가압 부재(12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기어 커버(22)의 내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코일 지지축에 지지된 코일부(120a)와, 기어 커버(22)의 내면에 걸린 제1 코일 단부(120b)와, 조작 레버(28)의 걸림 돌기(115)에 걸린 제2 코일 단부(120c)를 갖는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는,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의 탄성 가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므로, 조작 레버(28)의 선단부가 로크 위치(P3)로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한,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8)의 규제 돌출편(114)이 헤드 프레임(20)의 규제 벽부(116)에 대해서 접촉하므로, 더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고, 로크 위치(P3)에 위치 결정된다. 또한, 제2 탄성 가압 부재(12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이어도 무방하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29)는, 예를 들면 종이 잼의 발생 등에 의해서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에 가해진 조작력(회전력)을 이용하여, 플래튼 로크 기구(30)가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로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도 9~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29)는, 구동 랙(71)에 형성된 복귀 랙(130)과,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a)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131)과,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귀 기어(132) 및 선 기어(133)와, 선 기어(133)에 맞물림과 더불어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유성 기어(134)와, 유성 기어(134)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13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 기어(133), 유성 기어(134) 및 인터널 기어(135)는, 증속 기구(136)(도 12 참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기어(132)와 선 기어(133)가 일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복귀 기어(132)와 선 기어(133)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함께 회전 가능)하면, 복귀 기어(132) 및 선 기어(133)를 별체로 형성한 후에 조합해도 무방하다.
복귀 피니언(131)은, 구동 피니언(78)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피니언 지지축(8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피니언(131)은, 구동 피니언(78)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은,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귀 기어(132)와 맞물림 가능하게 되고, 복귀 기어(132)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한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은, 복귀 랙(130)에 있어서의 랙 톱니(130a)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귀 랙(130)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기구(27)에 있어서의 구동 랙(71)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구동 랙(7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귀 랙(130)은 복수의 랙 톱니(130a)를 갖고 있다. 이들 복수의 랙 톱니(130a)는,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이 아니라, 밑동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랙(130)은,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131)과 맞물리고, 또한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에 위치했을 때에 복귀 피니언(131)과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구동 랙(71)과 복귀 랙(130)을 일체로 형성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귀 랙(130)을 구동 랙(71)과는 별체로 형성해도 무방하다. 단, 구동 랙(71)과 복귀 랙(130)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늘리지 않고 복귀 랙(130)을 구비할 수 있으므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비용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복수의 랙 톱니(130a) 중,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에 위치하는 랙 톱니(130a)는, 변위 가능한 랙 톱니(130b)로 되어 있다. 이 랙 톱니(130b)는, 랙 아암(139)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랙 아암(139)의 기단부는, 구동 랙(71) 중 가동 날(26)의 날끝(26a)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랙 아암(139)은,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 아암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랙 아암(139)을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어,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에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에 퇴피 가능하게 형성한 이유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복귀 랙(130)이 도 9에 나타내는 화살표(F1)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b)가 복귀 피니언(131)에 있어서의 톱니부의 톱니끝에 맞닿는 것이 생각된다. 이 경우, 복귀 랙(130)의 이동이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에서 저지될 우려가 있다. 이를 고려하여, 랙 톱니(130b)를 랙 아암(139)의 선단부에 형성함으로써, 랙 아암(139)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의 경방향 외측으로 퇴피시켜,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을 타고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랙 톱니(130b)가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끝을 타고넘은 후, 랙 아암(139)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랙 톱니(130b)를 원래의 위치에 복귀시키고, 복귀한 랙 톱니(130b)를 복귀 피니언(131)에 있어서의 다음의 톱니부에 적절히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랙(130)의 이동이 저해되어 버리는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b)와 복귀 피니언(131)을 적절히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는, 조작 레버(28)에 있어서의 레버 플레이트(11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레버 지지축(10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귀 기어(132)는,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복귀 기어(132)는, 기어 플레이트(132a)와,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을 따라서 형성된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전체 둘레가 아니라, 대략 반주(半周)에 걸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는,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복수의 기어 톱니부(132b) 중,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한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최초로 맞물리는 기어 톱니부(132b)는,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변위 가능하게 되고,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부로부터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어 톱니부(132b)는, 탄성 아암부(132c)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 아암부(132c)는, 기단부가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 중 기어 톱니부(132b)의 미형성 부분에 일체로 형성되고,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을 따라서 시계 방향으로 원호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아암부(132c)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외주연에 기단부를 개재하여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음과 더불어,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탄성 아암부(132c)가 기어 플레이트(132a) 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함으로써,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변위시킬 수 있고, 복귀 피니언(131)의 톱니부로부터 퇴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 기어(133)는, 기어 플레이트(132a)의 내면에 일체 형성되고, 조작 레버(28)의 회전 축선(O1)과 동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선 기어(133)는 복귀 기어(132)와 함께 회전 축선(O1)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성 기어(134)는, 선 기어(133)에 맞물린 상태로, 조작 레버(28)에 유성축(111)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유성 기어(134)는, 조작 레버(28)가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추종하여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 하여 공전한다. 기어 커버(22)의 내면에는, 유성 기어(134)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1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성 기어(134)는,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함으로써, 인터널 기어(135)에 맞물리면서 자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유성 기어(134)가 자전함으로써,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를 회전 축선(O1) 둘레로 회전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복귀 기어(132)의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맞물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플래튼 롤러(45)와 평행하는 요동 축선(O2) 둘레로 요동 가능한 로크 아암(140, 150)을 구비하며, 플래튼 롤러(45)를 로크하는 로크 상태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로크 아암(140)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 측에 배치되고,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누르고, 또한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래튼 유닛(6)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여 요동 축선(O2) 둘레를 요동하여,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이격되어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허용 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플래튼 로크 기구(30)는,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을 동시에 로크할 수 있음과 더불어, 동시에 로크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좌우 방향(L3)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연결축부(14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연결축부(141)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기둥형의 샤프트이며, 헤드 프레임(20)을 좌우 방향(L3)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더불어, 한쪽의 측벽부(60) 및 다른 쪽의 측벽부(6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141)의 중심축선이 요동 축선(O2)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연결축부(141)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로크 아암(140) 및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연결축부(141)를 개재하여 요동 축선(O2) 둘레로 동기한 상태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결축부(141)는, 상하 방향(L1)에 있어서 수용 홈(62)과 복귀 기어(132)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수용 홈(62)보다 후방(BK)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우 방향(L3)에 배치된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끼리를, 연결축부(141)를 개재하여 요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경우를 예로 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 및 연결축부(141)를, 1매의 판금 등을 구부려 일체 형성함으로써, 일 부재로 구성해도 된다.
한쪽의 로크 아암(14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아암(140)은, 수용 홈(62)보다 상방 측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L2)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로크 아암(140)의 기단부가 연결축부(141)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로크 아암(140)의 선단부에는,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덮는 로크 클로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클로부(145)와 수용 홈(62)에 있어서의 홈 저부(62b) 사이에서 플래튼 베어링(51)을 사이에 끼도록, 플래튼 베어링(51)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클로부(145)의 외측면은,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 내에 세팅할 때에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 내에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145b)으로 되어 있다. 이 안내면(145b)은, 수용 홈(62) 측의 안내 돌기(63)와의 사이에 측면에서 볼 때 V자형의 V 홈이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의 기단부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걸림 벽부(146)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벽부(146)는,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조작했을 때, 압상 캠(113)이 걸림 핀(95)을 개재하여 스윙 플레이트(90)를 요동시킨 후에, 조작 레버(28)의 레버 돌기부(112)가 접촉하는 벽부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40)의 전체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수반하여 걸림 벽부(146)를 개재하여 레버 돌기부(112)로부터 눌려,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로크 아암(140)은, 플래튼 유닛(6) 측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상방을 향하여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아암(140)의 로크 클로부(145)는,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수반하여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서서히 떨어지고, 조작 레버(28)가 로크 해제 위치(P5)에 이르렀을 때에, 수용 홈(62)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에 퇴피하여 개방구(62a)를 개방한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에는,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홈 저부(62b)로부터 개방구(62a) 측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압동(押動) 아암(147)이 형성되어 있다. 압상(押上) 아암(147)은, 홈 저부(62b)보다 후방(BK)에 배치되고, 로크 아암(140, 150)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압상 아암(147) 중, 플래튼 베어링(51) 측을 향한 면은, 홈 저부(62b)에 대해서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리는 압동(押動)면(147a)으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압동면 (147a)과 플래튼 베어링(51) 사이에는 간극이 확보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상 아암(147)은,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에 위치하고 있을 때, 플래튼 베어링(51)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대기하고 있다.
특히, 압상 아암(147)은, 하방을 향하여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 홈(62) 내에서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릴 때,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를 향하여 크게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홈(62)에 형성된 안내 돌기(63)의 정점부(63a)보다, 개방구(62a) 측으로 플래튼 롤러(45)의 롤러 중심이 이동하도록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로크 아암(140)은,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배치된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도 5 참조)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력을 받으며, 플래튼 유닛(6) 측을 향하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40)은, 로크 클로부(145)가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덮는 자세가 되도록 상시 탄성 가압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에 대해 설명한다. 단,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한쪽의 로크 아암(140)과 기본적으로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에는, 좌우 방향(L3)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된 걸림 돌기(15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150)은, 제3 탄성 가압 부재(본 발명에 따른 탄성 가압 부재)(160)에 의한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로크 클로부(145)가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덮는 자세가 되도록 상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제3 탄성 가압 부재(160)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이며, 다른 쪽의 기어 커버(23)의 내면에 돌출되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코일 지지축에 지지된 코일부(160a)와, 헤드 프레임(20)에 걸린 제1 코일 단부(160b)와, 로크 아암(150)의 걸림 돌기(151)에 걸린 제2 코일 단부(160c)를 갖는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50)은,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의 탄성 가압력(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쪽의 로크 아암(140)은, 도 13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또한, 제3 탄성 가압 부재(160)는, 코일 스프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판 스프링 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플래튼 유닛(6)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유닛(5)에 조합되었을 때, 종동 기어(52)가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보다 좌우 방향(L3)의 외측에 배치된다. 종동 기어(52)는,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측벽부(61) 측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 열윤 기구에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래튼 열윤 기구는, 플래튼 롤러(45)를 구동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용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받아 작동하고, 그 동력을 종동 기어(52)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했을 때,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켜 기록지(P)의 이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멀 프린터(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형의 기록지(P)를 케이싱(2)의 기록지 수납부(16) 내에 투입하여 세팅한 후, 프린터 커버(3)를 닫힘 조작함으로써, 플래튼 유닛(6)을 헤드 유닛(5)에 대해서 접근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터 커버(3)를 완전하게 닫음으로써, 기록지(P)를 서멀 헤드(25)와 플래튼 롤러(45)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조합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 커버(3)의 닫힘 조작에 따라, 플래튼 롤러(45)의 플래튼 베어링(51)이 수용 홈(62)의 안내 돌기(63) 및 로크 클로부(145)의 안내면(145b)으로써 안내되면서 수용 홈(62) 내에 끼이도록 안내되어,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다. 이 때, 플래튼 베어링(51)은, 로크 클로부(145)를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 밀어젖히면서 수용 홈(62) 내에 끼인다.
로크 아암(140, 150)은, 플래튼 베어링(51)에 의해서 눌린 후,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서 요동 축선(O2) 둘레를 요동하여 본래의 위치에 복귀하고, 로크 클로부(145)를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개방구(62a) 측으로부터 누른다. 이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수용 홈(62) 내에 수용된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의 각각을 누를 수 있으므로, 수용 홈(62) 내로부터 플래튼 베어링(51)이 빠져 나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의 조합을 로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2)에 대한 프린터 커버(3)의 로크도 행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이 조합됨으로써,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서멀 헤드(25)와 플래튼 롤러(45)가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壓接)된다. 또, 기록지(P)는, 가동 날(26)과 고정 날(46) 사이를 통과한 후, 배출구(18)로부터 케이싱(2)의 외측에 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래튼 롤러(45)의 종동 기어(52)가, 헤드 유닛(5) 측의 플래튼 열윤 기구에 맞물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정보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용 모터를 구동하고, 플래튼 열윤 기구를 개재하여 종동 기어(52)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플래튼 롤러(45)를 회전시킬 수 있고, 서멀 헤드(25)와의 사이에서 끼워진 기록지(P)를 배출구(18)를 향해서 이송시킬 수 있다. 또, 이와 동시에 서멀 헤드(25)에 인자 데이터에 따라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발열 소자를 적절히 발열시킨다. 이에 의해, 이송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인쇄된 기록지(P)는 고정 날(46)과 가동 날(26) 사이를 통과한다.
다음으로,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경우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구동용 모터(75)를 구동하여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중간 바퀴(76)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2단 중간 바퀴(77)(대경 중간 바퀴(77a) 및 소경 중간 바퀴(77b))를 개재하여 구동 피니언(78)을 회전시킬 수 있고,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함께 화살표(F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부터 절단 위치(P1)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P)를 고정 날(46)과의 사이에서 끼워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P)를 예를 들면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록지(P)의 절단 후, 구동용 모터(75)를 역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구동 중간 바퀴(76) 및 2단 중간 바퀴(77)를 개재하여 구동 피니언(78)을 역회전시킬 수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랙(71)을 복귀 랙(130)과 함께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까지 이동시켜 복귀시킬 수 있다.
또, 기록지(P)의 절단 시, 복귀 피니언(131)은, 복귀 기어(132)에 있어서의 기어 톱니부(132b)와의 맞물림이 해제된 상태가 되어 있어, 공전이 허용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로 이동했을 때에,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a, 130b)가 복귀 피니언(131)이 맞물렸을 경우여도, 복귀 피니언(131)을 공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귀 피니언(131)에 영향을 받지 않고, 구동 랙(71) 및 복귀 랙(130)을 이동시킬 수 있어, 기록지(P)의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동 날(26)과 고정 날(46)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 조작 레버(28)를 조작함으로써, 종이 잼의 해소를 행하면서, 플래튼 유닛(6)의 로크 해제를 행하여,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하는 경우의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기록지(P)의 절단 중에 종이 잼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이 고정 날(46)에 얹힌 절단 위치(P1)에서 정지한 상태가 되어 버린다.
이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탄성 가압 부재(12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조작한다. 이에 의해,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서 조작 레버(28)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조작 레버(28)의 이동에 따라, 인터널 기어(135)에 맞물리고 있는 유성 기어(134)를, 유성축(111)을 중심으로서 시계 방향으로 자전시키면서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서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성 기어(134)의 회전에 수반하여,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를, 회전 축선(O1)을 중심으로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 레버(28)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상 캠(113)이 걸림 핀(95)에 대해서 접촉하고, 걸림 핀(95)을 개재하여 스윙 플레이트(90)에 대해서 외력을 부여한다. 그 때문에, 추가적인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상 캠(113)으로 스윙 플레이트(90)를 밀어 올릴 수 있고, 제1 탄성 가압 부재(10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하여 스윙 플레이트(90)를 시계 방향으로 요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스윙 플레이트(90)에 장착되어 있는 2단 중간 바퀴(77)를 구동 중간 바퀴(76)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의 조작 레버(28)의 위치가 맞물림 해제 위치(P4)에 상당한다.
또, 스윙 플레이트(90)의 요동과 동시에,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따라 선 기어(133) 및 복귀 기어(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된 타이밍에, 복귀 기어(132)의 최초의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복귀 피니언(13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도 17에 나타내는 맞물림 해제 위치(P4)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조작 레버(28)를 더 조작함으로써,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의 나머지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피니언(131)에 순차적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어, 복귀 피니언(131)을 계속적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리고 있는 복귀 랙(130)을 화살표(F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가동 날(26)을 절단 위치(P1)로부터 대기 위치(P2)에 강제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 날(46)에 대해서 가동 날(26)이 겹친 상태를 해소할 수 있어, 종이 잼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복귀 피니언(131)을 이용하여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킬 때, 복귀 랙(130)과 더불어 구동 랙(71)도 이동하므로, 구동 피니언(78)이 회전한다. 이 때, 먼저 기술한 바와 같이, 2단 중간 바퀴(77)와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구동 피니언(78) 및 이에 맞물리고 있는 2단 중간 바퀴(77)를 각각 공전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구동 피니언(78) 및 2단 중간 바퀴(77)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에 복귀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a, 130b)가 복귀 피니언(131)으로부터 빠진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에 복귀시켜 종이 잼의 해제를 행한 단계에서, 복귀 랙(130)의 랙 톱니(130a, 130b)와 복귀 피니언(131)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날(26)이 대기 위치(P2)에 복귀한 타이밍에, 조작 레버(28)의 레버 돌기부(112)가 한쪽의 로크 아암(140)의 결합 벽*?*걸림 벽부(146)에 대해서 접촉하고, 걸림 벽부(146)를 통해 로크 아암(140)에 대해서 외력을 부여한다. 이에 의해, 로크 아암(140)을 밀어 올릴 수 있고,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플래튼 유닛(6) 측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도록, 요동 축선(O2)을 중심으로 로크 아암(140)을 요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로크 아암(140)의 요동에 수반하여, 로크 클로부(145)를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서서히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28)를 더 조작하여,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해제 위치(P5)까지 이동시킴으로써, 로크 아암(140)을 수용 홈(62)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에 퇴피시킬 수 있고, 로크 클로부(145)를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크게 이격시켜, 개방구(62a)를 개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허용시킬 수 있다.
또, 상술한 로크 아암(140)의 움직임에 연동시켜,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상 아암(147)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의 홈 저부(62b)로부터 개방구(62a) 측을 향하여 밀어 올릴 수 있다. 특히, 조작 레버(28)가 로크 해제 위치(P5)에 이르렀을 때에,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상 아암(147)을 이용하여, 안내 돌기(63)의 정점부(63a)보다 개방구(62a) 측으로 플래튼 롤러(45)의 롤러 중심이 이동하도록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릴 수 있다.
또한, 다른 쪽의 로크 아암(150)은, 연결축부(141)를 통해 한쪽의 로크 아암(140)과 동기하여 작동하므로,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를 로크 해제 위치(P5)에 위치시킴으로써, 플래튼 로크 기구(30)를 이용하여 플래튼 롤러(45)를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고, 헤드 유닛(5)와 플래튼 유닛(6)을 분리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플래튼 유닛(6)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3)를 개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인자 유닛(4) 및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플래튼 롤러(45)를 확실히 로크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 150)은,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에 의해서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의도하지 않게 요동 축선(O2) 둘레로 요동하여 로크 상태가 해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연동하여, 로크 아암(140, 150)을 수용 홈(62)으로부터 퇴피시킬 뿐만 아니라, 압상 아암(147)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밀어 올릴 수 있으므로, 제3 탄성 가압 부재(160)의 탄성 가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플래튼 롤러(45)를 수용 홈(62)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를 과대한 힘으로 조작할 필요가 없고, 약간의 조작력으로 플래튼 롤러(45)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어,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을 원활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45)의 로크 해제 시, 종래와는 달리, 로크 아암(140, 150)을 플래튼 유닛(6) 측으로부터 헤드 유닛(5) 측을 향하여 요동시키므로, 플래튼 유닛(6) 측에 로크 아암(140, 150)을 가동시키기 위한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그만큼, 플래튼 유닛(6)을 소형화, 박형화할 수 있어, 인자 유닛(4) 전체의 외형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누르므로, 한쪽의 플래튼 베어링(51)이 로크되고, 다른 쪽의 플래튼 베어링(51)이 로크되지 않은 혹은 로크가 불충분하게 된, 이른바 한쪽 체결(한쪽 올라감)이라는 문제가 발생하기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한쪽 체결을 방지하기 위한 기구 등을 부가할 필요가 없고, 설계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로크 아암(140, 150) 및 압상 아암(147)을 일체로 형성하여 일 부품으로 하고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구성의 간략화로 연결될 수 있다.
또, 압상 아암(147)을 이용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릴 때, 압상 아암(147)이 안내 돌기(63)의 정점부(63a)보다 개방구(62a) 측에 플래튼 롤러(45)의 롤러 중심이 이동하도록 플래튼 베어링(51)을 크게 강제적으로 밀어 올린다. 그로 인해, 수용 홈(62)에 있어서의 개방구(62a) 부근까지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려, 거의 이탈시킨 상태로 이행시킬 수 있으므로, 헤드 유닛(5)과 플래튼 유닛(6)의 분리 작업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복귀 기구(29)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고정 날(46)과 가동 날(26)의 사이에 종이 잼이 발생하여, 이 종이 잼에 의해서 가동 날(26)이 절단 위치(P1)에 정지했을 경우여도, 조작 레버(28)의 조작에 의해서, 종이 잼을 해제한 후에, 플래튼 롤러(45)의 로크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사용하기 쉬운 인자 유닛(4) 및 서멀 프린터(1)로 만들 수 있다. 특히, 조작 레버(28)를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를 향하여 조작함에 따라, 종이 잼의 해제와, 플래튼 롤러(45)의 로크 해제를 일련의 흐름 중에서 연동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보다 더 사용하기 쉬운 인자 유닛(4) 및 서멀 프린터(1)로 만들 수 있다.
그에 더해, 유성 기어(134)를 이용한 증속 기구(136)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28)의 조작 스트로크 양에 대해서 복귀 기어(132)의 회전량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의 조작 스트로크 양을 보다 작게 억제한 상태에서,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 측에 되돌리기 위해서 필요한 복귀 기어(132)의 회전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작 레버(28)의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복귀 기어(132)는,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처음에 맞물리는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에 퇴피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로 인해, 기어 톱니부(132b)로부터 확실히 복귀 피니언(131)에 대해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귀 기어(132)의 기어 톱니부(132b)가 복귀 피니언(131)에 맞물릴 때에, 복귀 피니언(131)에 있어서의 피니언 톱니의 톱니끝(131a)이, 기어 톱니부(132b)의 톱니끝에 대해 맞닿음으로써, 복귀 기어(132)의 회전이 복귀 피니언(131)에 의해서 저해될 가능성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여도, 탄성 아암부(132c)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기어 톱니부(132b)를 복귀 기어(132)의 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퇴피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복귀 기어(132)의 회전에 수반하여, 기어 톱니부(132b)를, 피니언 톱니의 톱니끝(131a)을 타고넘도록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피니언 톱니의 톱니끝(131a)을 타고넘은 후, 탄성 아암부(132c)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기어 톱니부(132b)를 퇴피 위치로부터 본래의 위치에 복귀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기어 톱니부(132b)를, 다음의 피니언 톱니에 대해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도 21~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한쪽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A)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내는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5~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의 다른 쪽의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서멀 프린터에 있어서,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의 주변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내는 각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다른 쪽의 로크 아암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5에 나타내는 로크 아암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프레임(20)에 있어서의 한쪽의 측벽부(60)에는, 구동 중간 바퀴(76)의 맞물림부를 제외한 주위를 둘러싸도록 위요벽(圍繞壁)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측벽부(60)에 장착되는 기어 커버(22)의 내면에는, 위요벽(170)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 위요벽(170)의 형상과 일치하는 축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어 커버(22)를 측벽부(60)에 장착될 때의 위치 결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한 쌍의 로크 아암(140A, 150A)의 로크 클로부(145A)는, 상술한 실시형태의 로크 아암(140, 150)의 로크 클로부(145)와는 상이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크 클로부(145A)는, 로크 상태로 개방구(62a)를 통과한 수용 홈 내(62)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선형의 이탈 방지면(148A)을 갖고 있다. 그리고, 로크 아암(150A)의 회전 중심(O3)으로부터 플래튼 베어링(51)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L1)과 이탈 방지면(148A)(S1)은,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다. 이 로크 클로부(145A)의 형상의 특징은, 로크 아암(140A)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래튼 로크 기구(30)에서는, 로크 아암(140A, 150A)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플래튼 베어링(51)의 중심(O2)을 통과한 선과 로크 아암(140A, 150A)의 로크 클로부(145A)에 형성된 베어링 유지면(S1)이 직각이 되는 구조가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상태 시에 플래튼 롤러(45)가 외력에 의해서 수용 홈(62)으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졌다고 해도, 로크 아암(140A, 150A)을 해제 방향(즉,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플래튼 롤러(45)의 이탈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좌우의 측벽부(60, 61)는, 선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 190)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 190)은, 플래튼 베어링(51)을 수용 홈(62) 내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탄성 가압 부재이다.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은, 한쪽의 측벽부(60)와 로크 아암(14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 측에는,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을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누르는 산형 형상의 베어링 압압부(押壓部)(18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타단 측은, 연결축부(141) 둘레로 구부려지고, 타단부(182)는, 측벽부(60)에 형성된 결합부(171)를 개재하여 측벽부(60)에 결합되어 있다.
도 25~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지지 스프링(190)은, 다른 쪽의 측벽부(61)와 로크 아암(15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 지지 스프링(190)의 일단 측에는,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을 이탈하지 않는 방향으로 누르는 산형 형상의 베어링 압압부(191)가 형성되어 있다. 플래튼 지지 스프링(190)의 타단 측은, 연결축부(141) 둘레로 구부려지고, 타단부(192)는, 측벽부(61)에 형성된 결합 구멍(172)을 통해 측벽부(61)에 걸려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 190)에 의하면, 베어링 압압부(181, 191)는,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을 홈 저부(62b)의 방향으로 항상 탄성 가압하여, 플래튼 롤러(45)의 유지를 보조하고 있다. 이에 의해, 로크 상태 시에 로크 아암(140A, 150A)의 이탈 방지면(148A)과 플래튼 베어링(51)의 사이에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그 간극에 의한 반동을 흡수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유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상술한 로크 아암(140A, 150A)의 설계 공차에 여유를 갖게할 수 있고, 로크 아암(140A, 150A)의 원활한 요동과, 상술한 이탈 방지면(148A)에 의한 플래튼 베어링(51)의 확실한 이탈 방지를 실현 가능하다. 또,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 190)의 베어링 압압부(181, 191)는, 산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래튼 롤러(45)를 이탈시킬 때에, 그 이탈 동작을 필요 이상으로 방해할 일은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며,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점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작 레버(28)가 로크 위치(P3)로부터 로크 해제 위치(P5)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조작 레버(28) 측의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이 플래튼 베어링(51)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해 개방구(62a)를 통한 수용 홈(62) 내로부터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이 허용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서멀 프린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조작 레버의 주변부를 내측면에서 본 요부 사시도이다. 또한, 도 30에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을 보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일부 생략되어 있는데, 이들 생략된 부품은, 실제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존재하고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90)의 내측면에는 보스 형상의 돌기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96)에는, 스윙 플레이트(90)가 요동하면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부(183)이 맞닿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레버(28)의 압하 조작으로 스윙 플레이트(90)가 요동하면, 그에 연동하여,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부(183) 및 베어링 압압부(181)가 플래튼 베어링(51)과는 반대측에 밀어 올려진다. 이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 도 31~도 3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 31~도 33에 있어서나, 상술한 실시형태와는 상이한 구성을 보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서 일부 생략되어 있는데, 이들 생략된 부품은, 실제로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존재하고 있다.
도 31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1 단계(로크 상태)를 나타내는, 조작 레버(28)의 외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1b는, 도 31a에 나타내는 제1 단계(로크 상태)를 조작 레버(28)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2a는, 도 31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을 한 제2 단계(중간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32b는, 도 32a에 나타내는 제2 단계(중간 상태)를 조작 레버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3a는, 도 32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레버를 눌러 움직이는 조작을 한 제3 단계(로크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측면도이다. 도 33b는, 도 33a에 나타내는 제3 단계(로크 해제 상태)를 조작 레버의 내측면에서 본 요부 측면도이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단계(로크 상태)에서는, 스윙 플레이트(90)의 제2 플레이트부(93)에 형성된 걸림 핀(95)은, 조작 레버(28)의 레버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압상 캠(113)에는 맞닿고 있지 않다. 또,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90)의 돌기부(96)는,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부(183)와 맞닿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제1 단계(로크 상태)에 있어서는,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베어링 압압부(181)는,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을 홈 저부(62b)의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고, 플래튼 롤러(45)의 유지를 보조하고 있는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단계(중간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8)의 압하 조작에 의해서, 스윙 플레이트(90)의 걸림 핀(95)과 조작 레버(28)가 압상 캠(113)이 맞닿는다. 그리고, 또한 조작 레버(28)가 압하됨으로써, 스윙 플레이트(90)가 삽입 통과 구멍(91)에 삽입 통과된 피니언 지지축(81)을 중심으로 도 32b의 화살표 X방향으로 동요한다.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윙 플레이트(90)의 요동에 수반하여, 돌기부(96)와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부(183)이 맞닿고,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일단부(183) 측은,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압하된다. 이에 의해,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의 베어링 압압부(181)는,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퇴피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의 이탈 경로가 개방된다.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단계(로크 해제 상태)에서는, 조작 레버(28)가 도 32a, 도 32b에 나타내는 상태보다 더 압하됨으로써, 로크 아암(140A)이 수용 홈(62)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동요함과 더불어, 압상 아암(147)이 플래튼 베어링(51)을 개방구(62a) 측을 향하여 강제적으로 밀어 올린다. 이 때, 로크 상태 시에 플래튼 롤러(45)의 유지를 보조하고 있던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은, 이미 상술한 제2 단계(중간 상태)에서 수용 홈(62)으로부터 퇴피해 있으므로, 수용 홈(62) 내의 플래튼 베어링(51)을 원활하게 개방구(62a)를 통해서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플래튼 롤러(45)의 유지를 보조하는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을 구비함으로써, 로크 상태 시에 로크 아암(140A)의 이탈 방지면(148A)과 플래튼 베어링(51)의 사이에 간극이 있었다고 해도, 그 간극에 의한 반동을 흡수하여 플래튼 베어링(51)을 유지할 수 있다. 또, 로크 해제 시에, 압상 아암(147)이 플래튼 베어링(51)을 밀어 올리기 전에, 플래튼 지지 스프링(180)이 플래튼 베어링(51)의 유지를 해제하여 수용 홈(62)으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원활한 플래튼 롤러(45)의 이탈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플래튼 롤러(45)의 개방에 필요한 조작 레버(28)의 압하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형태는, 그 외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의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날(46)을 프린터 커버(3)(구체적으로는 플래튼 유닛(6))에 설치하고, 가동 날(26)을 케이싱(2)(구체적으로는 헤드 유닛(5))에 설치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고정 날(46)을 케이싱(2) 측에 설치하고, 가동 날(26)을 프린터 커버(3) 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단,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고정 날(46)을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함으로써, 가동 날(26)을 구동하는 구동 기구(27)를 프린터 커버(3)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린터 커버(3)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프린터 커버(3)의 개폐 조작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날(46)을 고정한 상태로 유지하고, 조작 레버(28)로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림으로써, 종이 잼을 제거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28)로 가동 날(26)을 대기 위치(P2)로 되돌릴 때에, 고정 날(46)을 가동 날(26)로부터 이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고정 날(46)을 가동 날(26)로부터 떼어내는 동작에 대해서도, 조작 레버(28)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레버(28)를, 케이싱(2)에 설치된 조작 레버(19)의 회동 동작에 연동시킨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조작 레버(28)의 선단부를 케이싱(2)의 외측에 노출시키고,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조작 레버(28)를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증속 기구(136)를 선 기어(133), 유성 기어(134) 및 인터널 기어(135)로 구성한 예에 대해 설명했는데, 예를 들면 증속 기구(136)를 다른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귀 기구(29)를 구비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는데, 복귀 기구(29)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복귀 기구(29)를 구비하는 경우여도, 다른 구성을 채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로크 아암(140, 150)을 이용하여,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51)의 양쪽 모두를 누르는 구성으로 했는데,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개의 로크 아암을 이용하여 적어도 한쪽의 플래튼 베어링(51)을 누르는 구성으로 해도 무방하다.

Claims (12)

  1. 기록지에 인자를 행하는 서멀 헤드를 갖는 헤드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 및 상기 플래튼 롤러의 양 단부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하는 한 쌍의 플래튼 베어링을 갖고,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조합되는 플래튼 유닛과,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해서 상기 플래튼 유닛을 로크하는 로크 위치와, 상기 헤드 유닛에 대한 상기 플래튼 유닛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전 축선 둘레로 이동 가능한 조작 레버와,
    상기 플래튼 롤러와 평행하는 요동 축선 둘레로 요동 가능한 로크 아암을 갖고, 상기 플래튼 롤러를 로크하는 로크 상태와, 그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해제 상태를 전환하는 플래튼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로크 아암을 상기 요동 축선 둘레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 유닛에는, 개방구를 통해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내부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홈 저부에 접한 상태로 수용하는 한 쌍의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수용 홈 내에 수용된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 중 적어도 한쪽을 상기 개방구 측으로부터 누르고, 또한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요동 축선 둘레를 요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고,
    상기 로크 아암에는,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홈 저부로부터 상기 개방구 측을 향하여 밀어 올리는 압상(押上) 아암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압 부재는, 상기 플래튼 유닛 측을 향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탄성 가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자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플래튼 유닛 측으로부터 상기 헤드 유닛 측을 향하여 상기 요동 축선 둘레를 요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는, 인자 유닛.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상 아암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되어 있는, 인자 유닛.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개방구 측으로부터 상기 홈 저부 측을 향함에 따라 개구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상기 홈 저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압상 아암은, 상기 안내 돌기의 정점부보다, 상기 개방구 측으로 상기 플래튼 롤러의 롤러 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밀어 올리는, 인자 유닛.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사이에 낀 양측에 배치되고, 한 쌍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에 대응하여 한 쌍 설치되고,
    상기 플래튼 로크 기구는, 상기 요동 축선을 따라서 연장됨과 더불어 한 쌍의 상기 로크 아암끼리를 연결하는 연결축부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에 설치된 고정 날과,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날에 대해서 상대 이동 가능한 가동 날과,
    상기 가동 날에 연결된 구동 랙을 갖고, 상기 가동 날을, 상기 고정 날로부터 떨어진 대기 위치와, 상기 고정 날에 얹힌 절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를 향한 상기 조작 레버의 조작에 따른 조작력을 이용하여, 상기 플래튼 로크 기구가 상기 플래튼 롤러를 상기 로크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전에, 상기 가동 날을 상기 절단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복귀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인자 유닛.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귀 기구는,
    상기 구동 랙에 형성된 복귀 랙과,
    상기 복귀 랙의 랙 톱니에 맞물리는 복귀 피니언과,
    상기 조작 레버의 상기 회전 축선과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복귀 기어 및 선 기어와,
    상기 선 기어에 맞물림과 더불어, 상기 조작 레버의 이동에 수반하여 공전하는 유성 기어와,
    상기 유성 기어가 맞물리는 인터널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복귀 기어는, 상기 복귀 피니언과 맞물림 가능하게 되어 있는, 인자 유닛.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랙 톱니는, 상기 가동 날이 상기 절단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해서 맞물리고, 또한 상기 가동 날이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했을 때 상기 복귀 피니언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상기 가동 날에 있어서의 날끝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는, 인자 유닛.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크 아암은, 상기 로크 상태에서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직선형의 이탈 방지면을 갖고,
    상기 로크 아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과 상기 이탈 방지면은, 수직으로 교차하고 있는, 인자 유닛.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래튼 베어링이 상기 수용 홈 내에 유지되는 것을 보조하는 플래튼 지지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플래튼 지지 스프링은, 상기 조작 레버가 상기 로크 위치로부터 상기 로크 해제 위치 측을 향하여 이동함에 따라, 상기 압상 아암이 상기 플래튼 베어링을 밀어 올리기 전에,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유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방구를 통한 상기 수용 홈 내로부터의 상기 플래튼 베어링의 이탈을 허용 가능하게 하는, 인자 유닛.
  12. 청구항 1에 기재된 인자 유닛과,
    상기 기록지를 수용하는 기록지 수납부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장착된 프린터 본체와,
    상기 프린터 본체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헤드 유닛 및 상기 플래튼 유닛 중 다른 쪽이 장착된 프린터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멀 프린터.
KR1020200166568A 2019-12-02 2020-12-02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202100690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17702 2019-12-02
JP2019217702 2019-12-02
JP2020056786 2020-03-26
JPJP-P-2020-056786 2020-03-26
JPJP-P-2020-126199 2020-07-27
JP2020126199A JP7515333B2 (ja) 2019-12-02 2020-07-27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008A true KR20210069008A (ko) 2021-06-10

Family

ID=7369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68A KR20210069008A (ko) 2019-12-02 2020-12-02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0735B2 (ko)
EP (1) EP3831611B1 (ko)
KR (1) KR20210069008A (ko)
CN (1) CN11297682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47153A (ja) * 2021-03-23 2022-10-0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CN113459677B (zh) * 2021-08-03 2024-07-23 宁波精芯科技有限公司 热敏打印机机芯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1826A (ja) 1998-07-09 2000-01-28 Rohm Co Ltd A/d変換回路
JP3599595B2 (ja) 1999-05-10 2004-1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
JP4273110B2 (ja) 2005-09-14 2009-06-03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フレームオープン機構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JP5265972B2 (ja) 2008-06-18 2013-08-14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JP6411071B2 (ja) 2014-05-30 2018-10-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
TWI642555B (zh) 2014-08-27 2018-12-01 日商精工電子有限公司 印字單元及熱列印機
KR102585600B1 (ko) 2017-07-31 2023-10-06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7060990B2 (ja) 2018-03-27 2022-04-27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モジュールおよびサーマル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1611A1 (en) 2021-06-09
US20210162781A1 (en) 2021-06-03
EP3831611B1 (en) 2024-05-08
US11400735B2 (en) 2022-08-02
CN112976822A (zh)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600B1 (en) Printer
US7547153B2 (en) Cutter apparatus and printer provided with cutter apparatus
JP6262429B2 (ja) プリンタ
KR20210069008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102281000B1 (ko) 서멀 프린터
TWI763890B (zh) 印字單元以及熱列印機
JP5469469B2 (ja) プリンタ
US10486442B2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EP2343193B1 (en) Printer
JP5912047B2 (ja) サーマルプリンタ
CN214606608U (zh) 印字单元及热敏打印机
US11072192B2 (en)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KR20220132443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KR20220132442A (ko)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JP3823971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付きプリンタ
JP2018103629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022704B2 (ja) 印字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