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558A -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558A
KR20210063558A KR1020190151822A KR20190151822A KR20210063558A KR 20210063558 A KR20210063558 A KR 20210063558A KR 1020190151822 A KR1020190151822 A KR 1020190151822A KR 20190151822 A KR20190151822 A KR 20190151822A KR 20210063558 A KR20210063558 A KR 20210063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bar
holder device
light oil
holde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4156B1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9015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56B1/ko
Priority to US16/705,415 priority patent/US11298214B2/en
Priority to PCT/KR2019/017340 priority patent/WO2021075636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1In-situ dentures; Trial or temporary den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5Sliding or snap attach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5Total denture impl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디지털 오버덴쳐를 구강에 체결하도록,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대상악궁에 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에 고정되되 양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된 고정바를 일체로 연결하는 홀더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부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경유삽입부가 상향 개구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어 슬롯홈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측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걸림단턱이 돌설된 체결홀이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되도록 상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가 구비된 체결스크류; 및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상기 경유삽입부의 내측단에 가압 고정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개구 형성되되 기설정된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내주를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된 가압캡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holder apparatus for digital overdenture}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오버덴쳐를 구강에 체결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denture) 또는 보철(dental prosthesis)은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여 외형과 기능을 인공적으로 회복시켜주는 구강 내 인공치주조직이다. 이때, 상기 틀니 또는 보철은 구강 내부에 설치되어 저작기능을 회복시키고 치주조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틀니 또는 보철은 결손된 치아의 개수에 따라 부분/완전틀니, 부분/완전보철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틀니는 내면측 형합홈에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어 잇몸의 표면에 접착되어 설치된다. 이로 인해, 잇몸에 직접적인 교합압력이 가해짐으로 인해 이물감 및 통증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상기 보철은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교합압력으로 인한 잇몸의 이물감 및 통증이 감소된다. 그러나, 상기 보철이 실질적으로 영구 고정되어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틀니와 상기 보철의 단점을 보완해주는 오버덴쳐가 개시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오버덴쳐는 상기 보철과 같이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에 고정되어 잇몸 연조직의 통증이 감소된다. 또한, 상기 틀니와 같이 구강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세척 등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때, 오버덴쳐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어버트먼트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결합수단이 포함된다.
이때, 종래의 결합수단은 상기 치조골에 복수개로 식립 및 고정되는 상기 픽스츄어/어태치먼트에 개별 매칭되는 볼타입으로 구비되거나,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를 경유하는 바타입으로 구비된다.
여기서, 볼타입의 결합수단은 각각의 픽스츄어/어태치먼트에 개별 결합됨으로 인해 상기 어태치먼트의 위치 정밀성이 요구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 중 어느 하나라도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면 오버덴쳐가 정확하게 설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바타입의 결합수단은 대상악궁에 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어버트먼트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경유하여 연결시키는 고정바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에는 상기 고정바가 경유하는 경유공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경유공이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었다. 여기서, 상기 경유공은 상기 고정바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를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시키는 체결스크류를 통해 상기 경유공에 상기 고정바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력까지 제공받는다.
그러나, 상기 체결스크류는 상기 어버트먼트의 길이방향 중앙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경유공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가압력을 제공하는 위치와 가압력이 전달되는 위치가 측방향으로 이격된다. 즉, 체결스크류를 통해 전달되는 가압력이 일측으로 편향되면서 편하중이 가해지면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취약부분이 파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체결스크류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전체적인 길이를 초과하여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까지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가압력으로 인한 하중모멘트가 증가하므로 상기 체결스크류가 저작력으로 인해 파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경유공이 실질적으로 상기 고정바의 단면형상과 형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특정 규격의 고정바 만을 사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어버트먼트를 제조하는데 복잡하고 과도하게 정밀한 구조가 요구되므로 제조난이도가 상승하며 이로 인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고정바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측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경유함에 따라 상기 결합수단의 부피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상기 결합수단이 삽입 고정되기 위해 상기 오버덴쳐의 내면에 삽입부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오버덴쳐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며 저작시 압력으로 인해 파절되는 등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4475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를 구강에 체결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오버덴쳐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대상악궁에 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에 고정되되 양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된 고정바를 일체로 연결하는 홀더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부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경유삽입부가 상향 개구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어 슬롯홈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측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걸림단턱이 돌설된 체결홀이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되도록 상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가 구비된 체결스크류; 및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상기 경유삽입부의 내측단에 가압 고정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개구 형성되되 기설정된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내주를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된 가압캡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경유삽입부가 몸체부 상단에 슬롯홈 형태로 형성되되 체결홀에 의해 대칭 구획됨에 따라 가압캡에 의해 가압되는 고정바의 양측이 경유삽입부의 내측단에 안착 지지되면서 가압력이 균일 분산되므로 편하중에 의한 파절이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가압캡이 몸체부의 상단부 외면을 감싸면서 나사 결합됨에 따라 고정바의 클램핑 고정 기능 및 경유삽입부로 인해 구획된 몸체부가 반경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는 다중 기능을 수행하므로 홀더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몸체부의 변형 및 파절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셋째, 가압캡을 통해 몸체부의 상단부가 커버되더라도 가압캡의 외면에 대칭 형성되는 각도정렬부의 위치를 경유삽입부와 일치되도록 하여 고정바의 절곡라인과 경유삽입부가 정렬된 상태로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를 통해 구강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홀더장치의 고정과정이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와 디지털 오버덴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가 대상악궁에 설치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와 디지털 오버덴쳐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가 대상악궁에 설치된 상태를 상측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이때, 이하에서 설명될 디지털 오버덴처용 홀더장치와 홀더장치(2400)는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장치(2400)는 홀더 어버트먼트(2410), 체결스크류(2420) 및 가압캡(24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오버덴쳐(60)는 대상악궁(2)에 설치되는 치아 수복물(dental restoration)이며, 상기 홀더장치(2400)는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구강에 고정하되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체결하는 수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홀더장치(2400)는 대상악궁(2)에 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f)에 고정되되 양단부가 상기 픽스츄어(f)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된 고정바(2430)를 일체로 연결한다.
상세히,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보철처럼 상기 픽스츄어(f)를 통해 치조골에 고정되되 틀니처럼 구강에 탈부착이 가능한 치아 수복물이다. 이러한 디지털 오버덴쳐(60)는 환자의 구강에 적합하게 디지털 설계 및 제조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규격화되어 양산되는 오버덴쳐(60)에도 상기 홀더장치(2400)가 삽입되도록 상기 홀더장치(2400)의 외형에 대응하여 함몰된 홀더삽입부(65)를 가공하면 본 발명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대상악궁(2)은 무치악(edentulous jaw)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대상악궁(2)의 잔존치아를 발치한 후 상기 홀더장치(2400)가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홀더장치(2400)를 상기 대상악궁(2)에 고정하기 위해 치조골에 상기 픽스츄어(f)를 식립하는 작업이 선행된다. 상세히, 상기 픽스츄어(f)를 식립하고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설계 및 제조하기 위해 구강에 대한 표면정보 및 치조골정보가 스캐너 또는 CT촬상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다. 그리고, 획득된 정보가 플래닝부로 로딩 및 환자의 수직고경에 맞게 정합되어 플래닝이미지로 생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픽스츄어(f)의 식립정보 및 상기 식립정보에 따라 상기 픽스츄어(f)의 식립을 가이드하는 식립가이드(surgical guide)가 설계 및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된다. 이때, 상기 고정바(2430)가 실질적으로 외력에 의해 변형율이 적은 강성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픽스츄어(f)가 일정한 높이로 식립되도록 상기 치조골의 평탄화작업이 더 요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치조골이 정밀하게 평탄화되도록 절삭을 가이드하는 절삭가이드(flattening guide)가 상기 플래닝이미지를 기반으로 설계 및 상기 제조장치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의 내면에는 상기 홀더장치(2400)의 외면이 삽입되는 홀더삽입부(65)가 형성된다. 즉,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는 상기 홀더장치(2400)가 상기 홀더삽입부(65)의 내면에 실질적으로 형합되도록 정밀하게 제조된다. 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를 설치 후 흔들림 또는 비틀어짐이 최소화되므로 저작시 이물감, 통증 또는 유동으로 인한 불편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상기 홀더장치(24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되 소정의 힘을 가하여 분리될 수 있는 클립(67)이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클립(67)은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에 기형성된 고정홀(66)에 삽입되어 레진을 통해 접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2430)의 외면을 감싸도록 고정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구강에 고정되는 영역이 제품의 전체적인 부분에 형성되도록 상기 픽스츄어(f)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상기 대상악궁(2)의 치열궁(dental arch) 따라 이격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기설정된 절곡각도(도 6의 d)로 절곡된 하나의 고정바(2430)를 통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에 고정되는 상기 클립(67)이 상기 고정바(2430)에 끼움 결합되므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60)가 구강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면서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세히, 도 2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는 하단부에 형성된 연결부(2412)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부(2411)의 양측방향으로 경유삽입부(2414)가 개구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2412)는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 내측에 형성된 체결홈에 외면이 형합되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지거나 유동됨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결부(2412)에는 상기 픽스츄어(f)의 체결홈에 형성된 헥사홈과 정렬 형합되는 헥사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헥사돌기는 후술되는 경유삽입부(2414)와 정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에 삽입되면 상기 헥사돌기 및 상기 헥사홈의 형합을 통해 상기 경유삽입부(2414)가 상기 고정바(2430)의 절곡라인(도 6의 bb)에 대응하여 정렬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홀(2413)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홀(2413)의 내주 일측에는 반경 내측방향으로 걸림단턱(2413a)이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스크류(2420)는 상기 체결홀(2413)에 삽입되되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 내측에 나사 체결된다. 이때,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상단부에는 상기 걸림단턱(2413a)에 걸림되도록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242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스크류(2420)는 상기 헤드부(2421)가 상기 체결홀(2413)의 직경 미만이되 상기 걸림단턱(2413a)의 내경을 초과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는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헤드부(2421) 하면이 상기 걸림단턱(2413a)에 걸린 상태에서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f)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력을 통해 상기 픽스츄어(f)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하단부는 상기 걸림단턱(2413a)의 내경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상기 걸림단턱(2413a)의 내경보다 큰 경우 상기 걸림단턱(2413a)에 나사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바(2430)는 기설정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와이어 또는 봉(rod)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정바(2430)는 상기 절곡각도로 절곡된 상태가 소성 변형되어 고정되는 강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고정바(2430)는 기설정된 직경을 갖는 티타늄 또는 티타늄합금 재질의 와이어 또는 봉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2430)는 원형, 다각형, 타원형, 디컷형 등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발 또는 압출을 통해 제조가 용이한 원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바(2430)는 상기 경유삽입부(2414)에 삽입되되 양단이 상기 몸체부(2411)의 양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더불어, 상기 가압캡(2440)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몸체부(24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2415)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바(2430)가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에 가압 고정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2411)에는 기설정된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외주면을 따라 상기 나사산부(241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 간격이 조절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와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 사이에 상기 고정바(2430)의 외면이 클램핑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연장 함몰되되 상기 고정바(2430)의 단면 두께 또는 직경을 수용하는 개구폭을 갖는 슬롯홈 형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개구폭이라 함은 상기 경유삽입부(2414)가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간격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430)의 단면 간격을 수용한다 함은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개구폭이 상기 고정바(2430)의 단면 두께와 동일하거나 소정의 여유간격을 두고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함몰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몸체부(2411)의 양측 및 상측으로 개구되되 내측단(2414a)이 상기 몸체부(2411)의 길이방향 기설정된 지점까지만 연장된다. 이처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연장방향과 상기 체결홀(2413)의 연장방향은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상기 픽스츄어(f)에 식립되는 방향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2430)가 상기 몸체부(2411)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까지 상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홀더장치(2400)의 조립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홀(2413)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길이방향으로 관통되고 상기 나사산부(2415)가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가압캡(2440)의 가압방향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430)는 그 외면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과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가압 고정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2411)는 외주면을 따라 반경 내측방향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며 하단부를 따라 링 형상의 단턱부(2417)가 형성된 결합면부(241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나사산부(2415)는 상기 결합면부(2416)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상기 나사산부(2415)가 형성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면부(2416)에 상기 나사산부(2415)가 형성된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나사산부(2415)와 상기 가압캡(2440)에 형성된 나사홈부(2444)가 명확하게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결합면부(2416)는 상단부와 하단부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캡(2440)은 내부에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개구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압캡(2440)은 상기 체결홀(2413)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2440a)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2440a)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하향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몸체부(2411)의 외면과 연속적인 외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나사홈부(2444)가 형성된 측면부(244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2440b)는 상기 단턱부(2417)가 수평방향으로 단차진 간격과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면부(2440a)와 상기 측면부(2440b)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공간이 상기 삽입홈인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하에서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몸체부(2411)에 나사 결합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면부(2416)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부(2415)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압캡(2440)의 직경 및 외곽 단면형상과 상기 몸체부(2411)의 직경 및 외곽 단면형상이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가 상기 단턱부(2417)에 형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캡(2440)가 상기 결합면부(2416)를 감싸도록 결합되면 상기 가압캡(2440)의 외면과 상기 몸체부(2411)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도 1의 60)에 형성된 상기 홀더삽입부(도 1의 65)에 상기 홀더장치(24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바(243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과도하게 수평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것이 최소화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 및 상기 가압캡(2440)이 조립된 조립체의 전체적인 형상이 단순하고 심플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상기 홀더삽입부(도 1의 65)에 상기 홀더장치(2400)가 삽입되더라도 걸림 또는 간섭이 방지되어 완전히 형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나사 결합되면 상기 경유삽입부(2414)에 삽입된 상기 고정바(2430)의 외면 상측이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에 가압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캡(2440)이 나사 결합되기만 하면 상기 고정바(2430)를 가압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경유삽입부(2414)로 인해 양측으로 분할된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가 외력에 의해 반경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고정바(2430)의 가압 고정 및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다중 기능을 수행하므로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체결홀(2413)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몸체부(2411)의 양측으로 대칭 구획된다. 즉, 상기 체결홀(2413)을 중심으로 구획된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각 내측단(2414a)이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측면부(2440b)는 상기 결합면부(2416)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나사산부(2415)에 나사 결합되어 하향 이동되면서 결합시 상기 상면부(2440a)의 내측이 상기 결합면부(2416)의 상단 테두리에 접촉되어 진입 간격이 제한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2430)가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에 가압되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과의 사이에 견고하게 가압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2430)가 상기 가압캡(2440)을 통해 하측으로 가압되면 그 하중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구획된 각 내측단(2414a)에 대칭으로 균일하게 분산된다. 이를 통해, 상기 가압캡(2440)이 결합되면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에 편하중이 가해짐으로 인한 파절을 방지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바(2430)는 양측으로 분할된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각 내측단(2414a)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각 외측을 감싸는 상기 측면부(2440b)의 하단 테두리 사이에 양측으로 이격되어 대칭으로 가압 고정된다. 즉, 상기 가압캡(2440)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 사이에 가압되는 면적은 좁더라도 가압되는 위치가 상기 몸체부(2411)의 외주 직경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바(2430)에 가압력이 균일하게 전달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개구폭이 상기 고정바(2430)의 단면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상기 가압캡(2440)의 하면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 사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개구폭을 다양한 규격의 고정바(2430) 직경에 대응하여 여유있게 형성함으로써 범용 적용할 수 있어 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는 그 중앙부에 상기 체결홀(2413)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경유삽입부(2414)가 형성되는 심플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형상이 단순화되므로 제조난이도가 낮아져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나사산부(2415)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구획된 각 내측단(2414a)과 가까워지면서 가압력이 제공된다. 즉, 상기 홀더장치(2400)에 포함된 각 구성부품이 외력에 의해 휘거나 구부러지면서 간격이 조절되는 등의 형태 변화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각 구성부품의 변형/파손 및 이로 인한 각 구성부품의 분리/탈락을 미연에 방지하므로 내구성 및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단턱(2413a)은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함몰된 내측단(2414a)으로부터 상기 헤드부(2421)의 두께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하향 이격된다. 즉, 상기 걸림단턱(2413a)은 상기 체결홀(2413)의 하부측 내주를 따라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홀(2413)에 상기 체결스크류(2420)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421)의 상면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보다 하측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에 상기 고정바(2430)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밀착되므로 상기 가압캡(2440)의 가압력을 통한 고정력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단턱(2413a)은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하측으로 편향되어 상기 나사산부(2415)와 최대한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를 상기 픽스츄어(f)에 고정시키는 상기 체결스크류(2420)와 상기 고정바(2430)를 가압하는 상기 가압캡(2440)이 분할되어 별도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길이가 종래에 비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압력에 의한 하중모멘트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체결스크류(2420)의 파절 또는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지강도가 보장되므로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는 상기 대상악궁(2)의 치열궁을 따라 복수개로 식립되는 상기 픽스츄어에 개별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2430)는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정보와 교차되도록 상기 절곡각도(d)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고정바(2430)는 복수개의 상기 픽스츄어가 식립된 위치가 교차되도록 복수개의 직선이 상기 절곡각도(d)가 고려되어 연결된 절곡라인(bb)에 대응하여 절곡된다. 여기서, 상기 절곡라인(bb)은 기설정된 절곡점을 중심으로 상기 절곡각도(d)에 대응하여 다단으로 꺾이거나 교차되어 연결된 가상선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절곡라인(bb)은 상기 플래닝이미지에 포함된 치조골정보 및 상기 식립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바(2430)는 기산출된 절곡라인(bb)에 대응하도록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절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몸체부(2411)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개구간격이 증가하도록 상기 절곡라인(bb)에 대응하는 확장각도(d1)로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유삽입부(2414)는 상기 체결홀(2413)측에 대응하는 내주측 테두리(2414b) 개구폭보다 상기 몸체부(2411)의 외면측에 대응하는 외주측 테두리(2414c) 개구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2430)가 절곡되어 소성 변형된 상태에서도 복수개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에 형성된 상기 경유삽입부(2414)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캡(2440)의 외면에는 상기 경유삽입부(2414)와 정렬되는 각도정렬부(2445)가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양측 개구방향이 상기 절곡각도(d)로 절곡된 상기 고정바(2430)의 절곡라인(bb)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정렬부(2445)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각도정렬부(2445)가 이루는 형상이 육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는 상기 식립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상단부가 수납되는 수납홈이 복수개로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holder abutment mounting guide)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의 상측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의 수납홈에는 상기 각도정렬부(2445)와 형합되는 정렬형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정렬부(2445)와 상기 정렬형합부가 형합됨에 따라 상기 상기 경유삽입부(2414)가 상기 절곡라인(bb)에 대응하여 배치된 상태로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 취부가이드에 취부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가 상기 픽스츄어(f)의 상측으로 동시에 이동되되 드릴 또는 드라이버 등의 회전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체결스크류를 통해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장치(2400)를 상기 대상악궁(2)에 고정시키는 과정이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진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각도정렬부(2445)는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배치방향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가압캡(2440)을 나사 결합시 회전력이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회전력 전달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작은 힘으로도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홀더 어버트먼트(2410)의 상단에 견고하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보강고정편(2442)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홀더장치(2400B)에는 상기 가압캡(2440)과 상기 고정바(2430) 사이의 이격공간에 충진되어 지지하는 상기 보강고정편(244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고정편(2442)은 일면(2442a)이 상기 고정바(2430)의 외면과 형합되고 타면(2442b)이 상기 가압캡(2440)의 상면부(2440a) 내면에 접촉 지지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고정편(2442)은 고무, 세라믹 또는 레진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압캡(2440)의 내면 즉, 상기 상면부(2440a)의 내면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바(2430)는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2413)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바(2430)와 상기 가압캡(2440)의 상면부(2440a)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고정편(2442)이 상기 이격공간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가압캡(2440)을 통한 가압력이 상기 보강고정편(2442)을 통해 상기 체결홀(2413)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고정바(2430)에도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고정바(2430)가 정확한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디지털 오버덴쳐가 반복적으로 탈부착되더라도 상기 고정바(2430)의 고정된 위치가 이동 및 변경됨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홀더장치(2400)는 상기 경유삽입부(2414)가 상기 몸체부(2411) 상단에 슬롯홈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체결홀(2413)에 의해 대칭 구획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에 삽입된 상기 고정바(2430)가 상기 가압캡(2440)에 의해 가압되면 그 양측이 상기 가압캡(2440)의 하단 테두리와 상기 경유삽입부(2414)의 내측단(2414a) 사이에 가압 고정되면서 가압력이 균일하게 분산된다. 이를 통해, 편하중에 의한 파절이 발생하던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캡(2440)이 상기 몸체부(2411)의 상단부를 감싸면서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바(2430)의 가압 고정 기능 및 상기 경유삽입부(2414)로 인해 구획된 상기 몸체부(2411)가 반경 외측으로 벌어짐을 방지하는 다중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상기 홀더장치(2400)의 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400: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2410: 홀더 어버트먼트
2411: 몸체부 2413: 체결홀
2414: 경유삽입부 2415: 나사산부
2420: 체결스크류 2430: 고정바
2440: 가압캡 60: 디지털 오버덴쳐

Claims (5)

  1. 디지털 오버덴쳐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대상악궁에 식립된 복수개의 픽스츄어에 고정되되 양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식립위치와 교차되도록 기설정된 절곡각도로 절곡된 고정바를 일체로 연결하는 홀더장치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삽입되고 상측으로 돌출된 몸체부의 상단부에 상기 고정바가 삽입되는 경유삽입부가 상향 개구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함몰되어 슬롯홈 형태로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관통되되 내주측에 반경 내측방향으로 걸림단턱이 돌설된 체결홀이 형성된 홀더 어버트먼트;
    하단부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 내측에 나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되 상기 걸림단턱에 걸림되도록 상단부에 반경 외측방향으로 확장된 헤드부가 구비된 체결스크류; 및
    상기 고정바의 외면이 상기 경유삽입부의 내측단에 가압 고정되도록, 내부에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하측으로 개구 형성되되 기설정된 가압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부에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고정바에 가압력을 제공하도록 내주를 따라 나사홈부가 형성된 가압캡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삽입부의 양측 개구방향이 상기 절곡각도로 절곡된 고정바의 절곡라인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압캡의 외면에는 적어도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경유삽입부와 정렬되는 각도정렬부가 대칭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을 따라 반경 내측방항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며 하단부를 따라 링 형상의 단턱부가 형성되되 외주면에 상기 나사산부가 형성된 결합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캡은 상기 체결홀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부와, 상기 상면부의 테두리를 따라 하향 연장되되 외면이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와 연속적인 외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에 상기 나사홈부가 형성된 측면부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가 상기 가압캡의 하단 테두리에 가압되어 상기 경유삽입부의 내측단과의 사이에 클램핑 고정되도록 상기 측면부는 상기 결합면부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턱은 상기 경유삽입부의 함몰된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두께를 초과하는 간격으로 하향 이격되어 상기 체결홀의 하부측 내주를 따라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유삽입부는 상기 몸체부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개구폭이 증가하도록 상기 고정바의 절곡각도에 대응하는 확장각도로 개구되며,
    일면이 상기 고정바의 외면과 형합되고 타면이 상기 가압캡의 내면에 접촉 지지되어 상기 가압캡과 상기 고정바 사이의 이격공간을 지지하는 보강고정편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1020190151822A 2019-10-18 2019-11-25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KR10226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22A KR102264156B1 (ko) 2019-11-25 2019-11-25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US16/705,415 US11298214B2 (en) 2019-10-18 2019-12-06 Overdenture holder device
PCT/KR2019/017340 WO2021075636A1 (ko) 2019-10-18 2019-12-10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822A KR102264156B1 (ko) 2019-11-25 2019-11-25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558A true KR20210063558A (ko) 2021-06-02
KR102264156B1 KR102264156B1 (ko) 2021-06-11

Family

ID=7637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822A KR102264156B1 (ko) 2019-10-18 2019-11-25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717A (en) * 1995-05-01 1997-05-20 Zest Anchors, Inc. Dental implant bar system and method
KR101694475B1 (ko)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KR20180019643A (ko) * 2015-06-19 2018-02-2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20190030817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0717A (en) * 1995-05-01 1997-05-20 Zest Anchors, Inc. Dental implant bar system and method
KR20180019643A (ko) * 2015-06-19 2018-02-26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치아 연결 어셈블리 및 치아 보철물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
KR101694475B1 (ko) 2015-10-08 2017-01-10 (주)카이노스메덴텍 볼 및 소켓 타입 어태치먼트가 적용된 오버덴처 제작방법
KR20190030817A (ko) * 2017-09-15 2019-03-25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156B1 (ko)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US10993787B2 (en) System for connec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dental implant
EP2025302B1 (en) A dental assembly used in a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CA2044927C (en) Implant collar and post system
US5564921A (en) Method of forming an abutment post
US5674073A (en) Impression coping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US20120202173A1 (en) Abutment devices and methods for natural teeth
KR101419832B1 (ko) 임플란트용 소재 홀더 및 이를 구비하는 가공장치
EP3442462B1 (en) Cementing a dental restoration to a base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CN113645920B (zh) 基牙装置和牙齿修复套件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80241B1 (ko) 임플란트용 실린더장치
KR102264156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US11298214B2 (en) Overdenture holder device
KR102264155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장치
US10682208B2 (en) Abutme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7119993A (zh) 基台装置
KR102226751B1 (ko) 디지털 오버덴쳐용 홀더유닛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CN113939248A (zh) 用于与牙种植体连接的印模桩
KR102597778B1 (ko) 치과용 어버트먼트 시스템
KR20200117716A (ko)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