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1421B1 - 어버트먼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어버트먼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1421B1
KR101881421B1 KR1020180043170A KR20180043170A KR101881421B1 KR 101881421 B1 KR101881421 B1 KR 101881421B1 KR 1020180043170 A KR1020180043170 A KR 1020180043170A KR 20180043170 A KR20180043170 A KR 20180043170A KR 101881421 B1 KR101881421 B1 KR 101881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prosthesis
base abutment
hol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진
황성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니스
Priority to KR102018004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14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1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1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7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external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내주면 나사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를 구비하고 중심홀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중심홀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포스트부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에 위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어버트먼트 조립체{Abutment assembly}
본 발명은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임플란트 시술은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齒根)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는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심겨진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연결하여 인공 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쳐(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픽스쳐 상부에 마운트(mount)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수술용 핸드 피스를 이용하여 픽스쳐와 마운트를 치조골에 매식한 다음 마운트를 픽스쳐에서 제거함으로써,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하게 된다. 그리고 픽스쳐의 상부에 덮개 나사(cover screw)를 체결하여 픽스쳐를 봉합함으로써 1차 수술이 완료된다.
덮개 나사는 픽스쳐의 골융합을 기다리는 동안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이물질이 픽스쳐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골융합 기간은 환자의 골질과 매식 위치에 따라 다소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3개월 내지 6개월이 소요된다.
이어서, 2차 수술을 통해 잇몸을 열어 덮개 나사를 노출시킨 후 픽스쳐의 골융합 정도를 확인하고 덮개 나사를 제거한다. 그리고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위해 힐링 어버트먼트(healing abutment)를 픽스쳐의 상부에 체결하고, 2주 내지 3주 동안 기다린다. 근래에는 이러한 2차 시술법의 복잡성을 개선하기 위해, 덮개 나사를 체결 및 제거하는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1차 시술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다음으로, 심미적인 잇몸 형성을 확인한 후 힐링 어버트먼트를 제거하고,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을 픽스쳐 상부에 체결한다.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하고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아를 기공한 후 픽스쳐 상부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지대주에 보철물 즉 인공치아를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한다.
그런데, 어버트먼트에 인공 치아인 보철물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시멘트(cement) 접착 방식과 스크류 체결 방식이 있다.
시멘트 접착 방식의 경우 사후 보정이 필요한 경우 어버트먼트와 보철물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에는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보철물과 결합되는 어버트먼트(락킹 링크)의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기술에 의한 락킹 링크는 보철물에 결합부를 삽입할 때 억지끼움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보철물에 개재되는 락킹 링크의 결합부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확장되도록 형성하되 복수의 세로 절개홈을 형성하고 외주면에 가로방향의 요홈을 형성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락킹 링크는 결합부를 보철물에 삽입할 때 확장된 상단을 오므려서 삽입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부를 보철물에 억지 끼움을 하는 과정에서 결합부의 요홈 부위가 소성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결합부가 억지 끼움에 의해 탄성 변형된 상태로 보철물에 결합되어 있어서, 결합부에는 계속해서 응력이 가해지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결합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특허문헌 2(등록특허공보 제10-1417980호)에는 단부에 형성되는 다각형 돌기부와, 돌기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돌기부보다 큰 몸체부, 돌기부와 몸체부를 연결하는 경사진 연결부를 구비하는 스캔 바디와;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형성되는 결합공과, 결합공의 중간에 형성되어 다각형 돌기부가 결합되는 다각형 홈과, 다각형 홈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치조골에 고정되는 픽스쳐; 그리고 스캔 바디의 관통공을 관통하고, 하단부의 나사부가 픽스쳐의 나사부에 체결되는 나사부와, 나사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스캔 바디를 픽스쳐에 대하여 고정하는 헤드를 구비하는 고정스크류로 구성된 임플란트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스캔 바디는 픽스쳐에 결합된 상태에서 별도의 스캔 어댑터를 결합하지 않고도 구강 스캔시 구강 내부의 3차원 이미지 획득을 위한 기준체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치은 힐링시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형성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의 경우에도 스캔과정에서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자인된 보철물을 결합할 때에는, 스캔 바디를 픽스쳐에서 제거하고 별도의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철물을 픽스쳐에 결합한다. 따라서, 스캔 바디와 보철물 결합을 위한 어버트먼트를 별개로 마련하여 조립하는 것이므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시술 과정도 복잡하여 환자 및 의사에게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6841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7980호
본 발명은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내주면 나사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를 구비하고 중심홀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중심홀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포스트부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에 위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의 하단홈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류는 중간부 외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부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힐링 캡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캔 바디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에 삽입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바디는 상기 중앙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캔 바디는 구강 스캔시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캔 바디는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갖고, 상기 스캔 바디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에 의하면,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픽스쳐에 마운트를 결합하고 이 마운트를 회전시켜 픽스쳐를 식립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이용하여 픽스쳐를 식립할 수 있으므로 픽스쳐 식립을 위해 별도의 마운트를 결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을 결합하여 힐링 어버트먼트로 사용할 수 있고,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스캔 바디를 결합하여 구강 내부의 디지털 이미지를 채득할 수 있으며, 스캔 바디에 시멘트로 보철물을 부착함으로써 스캔 바디를 시멘트 접착용 어버트먼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즉, 힐링 캡과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가 힐링 어버트먼트의 역할을 대신하며, 조기에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가 결합되어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조기에 형성되므로, 골융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고 치조골 보존이 일찍 형성되어 종래기술에 비해 안정성이 훨씬 높다.
그리고, 구강 스캔 후 스캔 바디를 분리하고 제작된 보철물을 상부 어버트먼트와 스크류를 이용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매우 쉽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시 가해지는 측방 압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보철물에 상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픽스쳐에 체결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보철물과 상부 어버트먼트를 스크류로 체결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가 스크류의 테이퍼부에 의해 확장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픽스쳐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힐링 어버트먼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픽스쳐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와 스캔 바디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스캔 바디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는,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픽스쳐(100)와, 픽스쳐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와,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상부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보철물(400)과, 보철물 및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500)를 포함한다.
상기 픽스쳐(100)는 치조골에 매립되는 인공 치근으로서, 이 픽스쳐(100)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20)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주면 나사부(120)에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단 나사부(280)가 체결된다.
상기 외주면 나사부(140)는 치조골 내부를 파고들면서 체결될 수 있도록 삼각나사로 형성되거나, 상부는 사각나사이고 하부로 갈수록 점점 더 뾰족한 삼각나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스쳐(100)의 외경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동일하게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픽스쳐(100)의 내주면 나사부(120)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280)를 구비한다. 또한, 상면에서부터 하방으로 형성된 중심홀(210)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240)가 형성된다. 이 내주면 나사부(24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체결된다.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는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하부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홈(22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각홈(220)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하부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하부와의 경계부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하단부가 육각 기둥 형태의 식립부(380)로 이루어진 것에 대응하여 다각홈(220)도 육각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식립부(380)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각홈(220)은 육각 홈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 홈 또는 팔각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식립부(380)도 다각홈(220)의 형태에 대응하여 사각 기둥 또는 팔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는 보철물(400)이 안착되어 지지된다.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보철물(400)의 확장홀부(480), 힐링 캡(600)의 안착홈부(620) 또는 스캔 바디(700)의 안착홈(740)이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 윤곽은 중심의 회전축에 대해 약 5~45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주면은 5~45도 각도로 테이퍼(taper)진 원뿔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경사진 외주면은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을 할 때 가해지는 측방 압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상부 외주면 일측에 절개된 평면을 이루는 밀링면(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밀링면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되는 보철물(400)이나 스캔 바디(700)가 결합 후에 이차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간부 외주부에는 보철물(400) 하단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턱부(2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턱부(230)는 수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경사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지지턱부(230) 아래에는 외주면이 잇몸에 접촉하는 커프부(cuff portion, 260)가 형성된다. 상기 커프부(260)는 지지턱부(230)의 외측 주연부로부터 하방으로 이어지는 윤곽을 형성하는 부위로서, 사람의 잇몸이 접촉하는 부위이다. 사람의 잇몸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므로, 커프부(260)도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도, 커프부(260)의 외주면은 기본적으로 이머전스 프로파일(emergence profile) 형성에 유리하도록 S자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픽스쳐에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에서 구강 내 상태를 구강 밖으로 오차없이 재현해야만 기공소에서 인공치아를 정확하게 만들 수 있다. 구강 내 상태를 구강 밖으로 재현하는 것을 인상채득이라 한다.
종래기술에 의한 커프부에서와 같이 커프부의 외주면이 직선적으로 꺽이도록 형성되는 경우, 인상체를 압착할 때 환자의 잇몸 내면 형태와 동일하지 않고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커프부(260) 외주면은 길쭉한 S자 형태의 곡면으로 형성되므로, 인상 채득으로 이머전스 프로파일을 매우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매식한 후 곧바로 하부 외주면에 커프부(260)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체결하므로, 덮개 나사(cover screw) 내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 별도의 덮개 나사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했다가 제거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의해, 치아에서 결합조직과 상피조직을 치아에 결합시킨 높이인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힐링 시기부터 생길 수 있어서, 조기에 생물학적 안정성을 얻어 골결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주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2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부(360)의 하단부 외주면은 육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식립부(380)를 구성한다. 이 식립부(380)는 하부(360) 전체가 아니라 하부(360) 중에서 하반부의 외주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부(360)의 상반부 외주면은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하반부에만 식립부(38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보철물(40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단의 포스트부(320)와, 상기 하부(360)와 포스트부(320)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보철물을 지지하는 중단의 연장날부(3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포스트부(320)는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 포스트부(320)에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복수의 절개홈(322)이 형성된다. 이 절개홈(322)은 포스트부(320)에서 서로 90도로 이격되어 4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이 절개홈(322)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3~6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홈(322)의 하단에는 절개홈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가진 원형 슬롯(323)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형 슬롯(323)은 절개홈(322)의 폭보다 큰 지름을 갖고 절개홈 하단에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322)은 포스트부(320)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지만, 포스트부(320)가 변형될 때 특히 절개홈(322)의 하단부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상기 원형 슬롯(323)은 절개홈(322)의 하단부에 집중될 수 있는 응력을 분산하여 절개홈(322) 주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날부(340)는 상기 포스트부(320)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확장되어 원형 디스크를 형성함으로써, 그 상면에 보철물(400)의 중앙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저작 운동에 의해 보철물(400)이 눌릴 때, 이 연장날부(340)가 보철물(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는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기(325)를 포함하고, 상기 보철물(400)은 그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돌기가 삽입되는 복수의 지지홈(46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돌기(325)는 상기 포스트부(320)에서 상기 절개홈(322)에 의해 구획되는 측벽의 외측면 상부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325)는 측면에서 볼때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총 4개의 돌기(325)가 형성된 실시예에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돌기(325)의 외측단 사이의 거리는 상기한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포스트부(320)가 하부홀부(460)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320)의 상부는 약간 축소되도록 탄성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돌기(325)에 대응하는 형태로 복수의 지지홈(4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포스트부(320)를 하부홀부(460)에 끝까지 밀어넣으면, 상기 복수의 돌기(325)가 복수의 지지홈(465)에 딸깍 삽입되면서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보철물(400)이 서로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325)의 형태는 도시된 것과 달리 사다리꼴 내지 사각형이나, 원호형 내지 타원호형이나, 볼록한 곡면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홈(465)은 돌기(325)의 형태에 대응하는 홈 형태로 이루어질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는 위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스트부(320)는 제1스크류(500)의 후술하는 테이퍼부(550)에 의해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되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압착되어 고정된다. 그래서, 포스트부(320)는 확장 전후의 변형량을 감안하여 상단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탄성 변형이 더 쉽게 이루어지고 고정 강도도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중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스크류(500)가 통과할 수 있다. 이 관통홀(310)의 내주면에는 소정 높이로 나사부(37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철물(400)은 인공 치아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서 치과 기공소에서 CAD(Computer Aided Design) 또는 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 시스템을 통해 맞춤형으로 가공된다. 이 보철물(400)은 지르코니아(zircornia)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철물(400)의 중심부에는 아래쪽에서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삽입되고 위쪽에서 제1스크류(500)가 삽입되는 인입홀(410)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은 상부의 상단홀부(420)와 중단턱부(440)와 하부홀부(460)와 하단의 확장홀부(4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홀부(420)에는 제1스크류(500)의 머리부(520)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홀부(420)는 머리부(520)보다 상하 길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520)가 상단홀부(420)에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머리부(520) 위의 공간에 추가적으로 충진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단홀부(42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곡면(430)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머리부(520)도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단턱부(440)는 상단홀부(420)와 하부홀부(460) 사이에서 내경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부위로서, 중단턱부(440)의 위에는 머리부(520)가 지지되고 중단턱부(440)의 아래에는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위로 더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홀부(46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포스트부(320)의 하단 최대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포스트부(320)의 외경은 위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바, 포스트부(320)가 상기 제1스크류(500)의 테이퍼부(550)에 의해 확장되었을 때, 포스트부(320)가 상기 하부홀부(460)에 압착되도록 하부홀부(46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홀부(480)는 하부홀부(460)의 아래에서 하방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연장날부(340) 및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그래서, 확장홀부(480)의 상부는 연장날부(340)에 대응하여 단차지게 형성되고, 그 아래로는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과 동일한 형태로 확장되는 오목한 곡면을 형성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400)의 하단면은 상기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지지턱부(230)에 지지되고, 보철물(400)의 하단 외주면은 상기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스크류(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의 머리부(520)와 중간부(540)와 하단부(56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520)는 그 상면에 육각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육각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머리부(520)의 외주면은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보철물(400)의 상단홀부(120)의 하부에는 경사곡면(130)이 형성되어 머리부(520)가 지지될 수 있다.
머리부(520)의 측면 윤곽은 경사진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머리부(520)의 측면이 소정 각도로 테이퍼(taper)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머리부(520)의 측면 윤곽은 아래로 볼록한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곡선은 아래로 갈수록 곡률반경이 점점 작아지는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부(540)는 상기 머리부(52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속이 찬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진다. 중간부(540)의 하부는 지름이 동일하게 형성되지만, 중간부(540)의 상부는 아래로 갈수록 지름이 일정하게 작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테이퍼부(55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퍼부(550)는 제1스크류(500)가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통과하여 픽스쳐(100)에 체결될 때, 상기 포스트부(320)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래서, 테이퍼부(550)는 포스트부(320)를 벌려주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 내주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하단부(56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4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내주면에도 나사부(370)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립 과정에서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부(560)가 상기 어버트먼트(300)의 나사부(370)에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힐링 캡(healing cap, 600) 또는 스캔 바디(scan body, 700)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상부 어버트먼트(300), 보철물(400), 제1스크류(500)를 결합하는 대신, 픽스쳐(100)에 결합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힐링 캡(600)을 체결하여 치은 힐링을 할 수 있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스캔 바디(700)를 체결하여 구강 스캐닝을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어버트먼트 조립체의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픽스쳐,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부 어버트먼트, 보철물, 스크류가 적용될 수 있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로 구멍을 뚫고 상기 픽스쳐(100)를 식립한다. 이때, 머신 드라이버로 상기 픽스쳐(100)를 치조골 구멍에 반쯤 삽입되도록 체결한 다음, 픽스쳐(100)의 내주면 나사부(120)에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하단 나사부(280)를 체결하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맞는 렌치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치조골 구멍에 완전히 식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는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식립할 때 종래에 별도로 구비하여 결합했던 픽스쳐 장착부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픽스쳐(100) 식립 후에는 치조골에 픽스쳐(100)가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깊이 및 각도로 식립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가 잇몸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픽스쳐(100)가 제대로 식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치조골에 픽스쳐(100)가 먼저 완전히 식립된 다음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체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픽스쳐(100)를 식립하는 과정에서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이용하여 픽스쳐(100)를 식립하고 그 식립의 결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픽스쳐에 마운트를 결합하고 이 마운트를 회전시켜 픽스쳐를 식립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픽스쳐 식립을 위해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이용하므로 별도의 마운트를 결합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를 아래에서 위로 삽입한다. 포스트부(320)가 하부홀부(460)에 삽입될 때 돌기(325)의 최외측단이 하부홀부(460)에 의해 밀려서 포스트부(320) 상부가 탄성적으로 축소되었다가, 돌기(325)가 지지홈(465)에 삽입되면, 상부 어버트먼트(300)와 보철물(400)이 서로 일시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크류(500)를 상기 보철물(400)의 인입홀(410)에 위에서 아래로 삽입하고 육각 렌치로 회전시켜, 하단 나사부(560)를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내주면 나사부(370)에 일시적으로 체결한다.
다음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는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 상에 안착시키고, 렌치로 제1스크류(500)를 더 회전시켜 상기 하단 나사부(56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크류(500)의 하단 나사부(56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되기 시작할 때, 상기 제1스크류(500)의 테이퍼부(550)는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300)의 포스트부(320)를 확장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제1스크류(500)를 회전시키면 머리부(520)가 보철물(400)의 경사곡면(430)에 접촉되어 압착될 때까지 하단부(56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 이때, 테이퍼부(550)는 포스트부(320)를 보철물(400)의 하부홀부(460)에 압착시켜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이렇게 조립이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쳐(100)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1스크류(500)에 의해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힐링 캡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힐링 캡(600)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620)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660)가 형성된 샤프트부(64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홈부(620)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힐링 캡(600)의 하단 외주면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 샤프트부(640)는 안착홈부(620)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에 삽입된다. 샤프트부(640)의 하단에는 나사부(660)가 형성되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
힐링 캡(600)의 샤프트부(640)는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주위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대응하는 육각 식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힐링 캡(600)을 돌려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할 때 힐링 캡(600)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힐링 캡(600)의 상면 중심에는 육각 렌치 등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힐링 캡(600)은 손으로 돌리거나 또는 별도의 렌치나 드라이버 등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분해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치조골에 고정된 픽스쳐(100)에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매개로 하여 힐링 캡(600)을 결합함으로써, 도 8에서와 같이, 치은 힐링시 힐링 캡(60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결합체가 힐링 어버트먼트로 기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스캔 바디 조립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스캔 바디(700)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710)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740)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220)에 삽입되는 식립부(760)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홀(710)은 스캔 바디(700)의 몸체 중앙에 세로로 관통형성된다. 중앙홀(710)의 상단홀부(720)는 후술하는 제2스크류(800)의 머리부(820)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삽입되는 머리부(82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단홀부(720)의 내주면은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곡면(73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홀(710)의 하부를 구성하는 측벽은 중앙홀(710)의 주위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이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 상부에 삽입된다.
상기 안착홈(740)은 상기 중앙홀(710) 주위의 연장부 주위에 상기 스캔 바디(7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된다. 이 안착홈(740)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상부 외면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스캔 바디(700)의 하단 외주면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커프부(260)에 부드럽게 연결되는 곡면을 형성한다.
상기 중앙홀(710)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는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다각홈(220)에 삽입되는 육각 기둥 형태의 식립부(760)가 형성된다. 이 식립부(760)는 다각홈(220)에 삽입되어, 제2스크류(800)로 스캔 바디(700)를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할 때, 스캔 바디(700)가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스크류(800)는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을 통과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된다.
이 제2스크류(800)는 상기한 스캔 바디(700)의 상단홀부(720)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머리부(820)와, 머리부의 아래로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는 몸체부(840)와, 몸체부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820)도 제1스크류(500)의 머리부(520)와 마찬가지로 아래로 갈수록 외경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지만, 그 치수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840)는 체결되었을 때 상기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중심홀(210)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나사부(860)는 최종적으로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내주면 나사부(240)에 체결되지만, 상기 스캔 바디(700)의 중앙홀(710) 내주면에도 나사부(750)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2스크류(800)를 체결할 때 제2스크류(800)의 나사부(860)가 스캔 바디(700)의 나사부(750)에 일시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캔 바디(700)는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770)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78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로 밀링면(770)은 스캔 바디(700)의 외주면 일측에 상단으로부터 소정 크기의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로홈(780)은 세로 밀링면(770)의 반대쪽 외주면에 상단으로부터 소정 폭과 길이를 가진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스캔 바디(700)를 제2스크류(800)에 의해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 상태에서 구강 스캔을 하여 구강 내 디지털 이미지 파일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구강 스캔시, 상기 세로 밀링면(770)과 세로홈(780)은 구강 이미지의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 바디(70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 9에서 스캔 바디(700)의 외측면 윤곽은 경사진 직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와 달리 스캔 바디(700)의 외측면 윤곽은 외측으로 볼록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캔 바디(700)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즉,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하여 구강 스캔 후 이 스캔 바디(700)에 맞는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시멘트로 보철물을 스캔 바디(700)에 부착할 수 있다. 그래서, 최종적인 보철물을 결합하기 전이라도 환자가 임시 보철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저작할 수 있다.
시멘트로 접착되는 상기 임시 보철물은 금속 도재(PFM: Porcelain Fused Metal) 보철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반해, 스크류로 체결되는 상기 보철물(400)은 지르코니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캔 바디(700)에 시멘트로 접착되는 보철물은 임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보철물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힐링 캡(600)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하여 잇몸을 복원시킨 후, 힐링 캡(600)을 분해하고 상기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이 스캔 바디(700)를 이용하여 구강 스캔을 하고 보철물을 제작한 다음, 시멘트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스캔 바디(700)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스캔 바디(700)에 시멘트로 임시 또는 최종 보철물을 부착하는 경우, 스캔 바디(700)는 스캔 바디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시멘트 접착용 어버트먼트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어버트먼트 조립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조골에 픽스쳐(100)를 식립할 때 베이스 어버트먼트(200)를 이용하여 식립할 수 있다.
다음에, 힐링 캡(600)을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체결하여 잇몸이 치유되어 이머전스 프로파일이 형성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힐링 캡(600)을 분해하고 대신 제2스크류(800)를 이용하여 스캔 바디(7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이 결합된 스캔 바디(700)를 기초로 구강 스캔을 하고 보철물(400)을 제작한다.
다음에, 스캔 바디(700)를 분해하고, 제1스크류(500)를 이용하여 보철물(400)과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보철물(400)의 인입홀(410) 상부 구멍은 레진 등으로 충진할 수 있다.
한편,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을 결합하는 경우라면, 스캔 바디(700)를 분해하지 않고 그대로 두고서, 구강 스캔 후 스캔 바디(700)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한다. 이 보철물은 시멘트에 의해 스캔 바디(700)에 부착될 수 있다.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이 임시적인 것이라면, 최종적인 상기 보철물(400)도 별도로 제작하고, 임시 보철물을 제거한 다음 최종 보철물(400)을 제1스크류(500) 및 상부 어버트먼트(300)를 이용하여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에 결합한다.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이 최종적인 것이라면, 상기한 제1스크류(500) 및 상부 어버트먼트(300)는 필요 없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가 시멘트 접착용 보철물을 위한 어버트먼트로 기능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200)의 경사진 상부 외주면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되는 보철물 또는 스캔바디에 시멘트에 의해 결합되는 보철물이 씌워질 때 구강 내 저작 운동시 가해지는 측방 압력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쳐에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한 다음, 이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힐링 캡, 스캔 바디, 또는 상부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호환 가능하게(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임플란트 시술 과정이 획기적으로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치조골에 픽스쳐를 매식한 후 곧바로 하부 외주면에 커프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므로, 덮개 나사(cover screw) 내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할 필요가 없다. 별도의 덮개 나사와 힐링 어버트먼트를 체결 및 제거하지 않기 때문에,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커프부에 의해, 치아에서 결합조직과 상피조직을 치아에 결합시킨 높이인 생물학적 폭경(biological width)이 힐링 시기부터 생길 수 있어서, 조기에 생물학적 안정성을 얻어 골결합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임플란트 주위 감염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픽스쳐 120: 내주면 나사부
140: 외주면 나사부
200: 베이스 어버트먼트 210: 중심홀
220: 다각홈 230: 지지턱부
240: 내주면 나사부 260: 커프부
280: 하단 나사부
300: 상부 어버트먼트 310: 관통홀
320: 포스트부 322: 절개홈
323: 슬롯 325: 돌기
340: 연장날부 360: 하부
370: 나사부 380: 식립부
400: 보철물 410: 인입홀
420: 상단홀부 430: 경사곡면
440: 중단턱부 460: 하부홀부
465: 지지홈 480: 확장홀부
500: 제1스크류 520: 머리부
540: 중간부 550: 테이퍼부
560: 하단부
600: 힐링 캡 620: 안착홈부
640: 샤프트부 660: 나사부
700: 스캔 바디 710: 중앙홀
720: 상단홀부 730: 경사곡면
740: 안착홈 750: 나사부
760: 식립부 770: 세로 밀링면
780: 세로홈
800: 제2스크류 820: 머리부
840: 몸체부 860: 나사부

Claims (7)

  1. 치조골에 매립되어 고정되고 내주면 나사부를 구비하는 픽스쳐;
    상기 픽스쳐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하단 나사부를 구비하고 중심홀의 하부에 내주면 나사부가 형성된 베이스 어버트먼트;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중심홀 상부에 형성된 다각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상부 어버트먼트;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상부 포스트부가 아래에서 삽입되어 결합되는 인입홀이 형성된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에 위에서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1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는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주면은 상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일정 각도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철물, 힐링 캡 또는 스캔 바디의 하단홈부가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어버트먼트의 포스트부는 상단에서부터 세로로 형성된 복수의 절개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크류는 중간부 외주면에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부에 삽입될 때 포스트부를 확장시켜 포스트부가 상기 보철물의 인입홀 내주면에 압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힐링 캡은,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부와 중앙 하면에서 연장되고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샤프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세로로 관통형성된 중앙홀과,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중앙홀의 하단 연장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다각홈에 삽입되는 식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캔 바디는 상기 중앙홀을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제2스크류에 의해 상기 베이스 어버트먼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구강 스캔시 위치 식별을 위한 기준점을 제공하기 위해, 상단부 외주면 일측에 형성된 세로 밀링면과 반대측에 형성된 세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바디는 원뿔대 형태의 외형을 갖고,
    상기 스캔 바디의 외면에는 임시 보철물이 시멘트에 의해 접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20180043170A 2018-04-13 2018-04-13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881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ko) 2018-04-13 2018-04-13 어버트먼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ko) 2018-04-13 2018-04-13 어버트먼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1421B1 true KR101881421B1 (ko) 2018-07-24

Family

ID=6305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170A KR101881421B1 (ko) 2018-04-13 2018-04-13 어버트먼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1421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101931148B1 (ko) 2018-09-14 2018-12-20 박건제 인공치아 보철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109846567A (zh)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种植导板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KR20200082806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01794U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98434A (ko) * 2020-03-20 2020-08-20 최종훈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KR102198233B1 (ko)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7B1 (ko)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20210088884A (ko) 2020-01-07 2021-07-15 권현정 어버트먼트
KR2021015275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CN114040729A (zh) * 2019-04-14 2022-02-11 米坎贝有限公司 牙桥基和对接***
KR102363645B1 (ko)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594042B1 (ko) * 2022-12-29 2023-10-25 (주)덴탈릭스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WO2024055089A1 (pt) * 2022-09-12 2024-03-21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Base, parafuso e intermediário permutável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e componente protético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98A (ja) * 1993-09-24 1995-05-30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
KR200365136Y1 (ko) * 2004-05-18 2004-10-16 주식회사 오스템 풀림방지 임플란트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크류,어답터 및 실린더
KR20060025263A (ko) * 2004-09-15 2006-03-21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KR20140080313A (ko) * 2012-12-20 2014-06-30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JP2014515960A (ja)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仮の補綴物アセンブリ、及びアバットメントを作製する方法
KR101417980B1 (ko)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50086699A (ko) * 2014-01-20 2015-07-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70001003U (ko)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198A (ja) * 1993-09-24 1995-05-30 Nikon Corp 骨内インプラント用の部材組み合わせ
KR200365136Y1 (ko) * 2004-05-18 2004-10-16 주식회사 오스템 풀림방지 임플란트 시스템, 이에 사용되는 스크류,어답터 및 실린더
KR20060025263A (ko) * 2004-09-15 2006-03-21 이달호 치과 임플란트,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임프레션 코핑및 랩 아날로그
KR20090110136A (ko) * 2008-04-17 2009-10-21 이도상 힐링 커버를 갖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힐링 어버트먼트
JP2014515960A (ja) * 2011-05-16 2014-07-07 バイオメット・3アイ・エルエルシー 仮の補綴物アセンブリ、及びアバットメントを作製する方法
KR20140080313A (ko) * 2012-12-20 2014-06-30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17980B1 (ko) 2013-08-26 2014-07-0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50086699A (ko) * 2014-01-20 2015-07-29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플 어버트먼트
KR20160051482A (ko) * 2014-11-03 2016-05-11 이도상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70001003U (ko) * 2015-09-09 2017-03-17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스캔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세트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148B1 (ko) 2018-09-14 2018-12-20 박건제 인공치아 보철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24802B1 (ko) 2018-10-30 2018-12-04 (주)명문덴탈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KR20200082806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316320B1 (ko) * 2018-12-31 2021-10-25 주식회사 피엔유에드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3322Y1 (ko) * 2019-01-31 2021-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01794U (ko) * 2019-01-31 2020-08-10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CN109846567A (zh) * 2019-03-08 2019-06-07 雅客智慧(北京)科技有限公司 种植导板固定组件及其使用方法
EP3955847A4 (en) * 2019-04-14 2022-11-16 Mikambeh Ltd DENTAL ABUTMENT AND ABUTMENT SYSTEM
CN114040729A (zh) * 2019-04-14 2022-02-11 米坎贝有限公司 牙桥基和对接***
WO2021125544A1 (ko) * 2019-12-16 2021-06-24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CN113613587A (zh) * 2019-12-16 2021-11-05 (株)柯威尔株式会社 无水泥型牙科用种植牙
CN113613587B (zh) * 2019-12-16 2023-02-28 (株)柯威尔株式会社 无水泥型牙科用种植牙
KR102198233B1 (ko) * 2019-12-16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98234B1 (ko) * 2019-12-27 2021-01-05 (주) 코웰메디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20210088884A (ko) 2020-01-07 2021-07-15 권현정 어버트먼트
KR102198237B1 (ko) * 2020-01-14 2021-01-05 (주) 코웰메디 탄성부싱을 이용한 무시멘트 타입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98434A (ko) * 2020-03-20 2020-08-20 최종훈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KR102243831B1 (ko) * 2020-03-20 2021-04-23 최종훈 치은막의 손상 없이 보철물의 조립이 가능한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KR20210152751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KR102464622B1 (ko) 2020-06-09 2022-11-08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KR102214900B1 (ko) * 2020-12-09 2021-02-10 이경택 내부면의 하중 흡수성이 좋은 크라운을 갖춘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KR102363645B1 (ko) * 2021-07-26 2022-02-15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23008686A1 (ko) * 2021-07-26 2023-02-02 장천석 스크류 홀의 직경을 줄이는 커넥터를 포함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WO2024055089A1 (pt) * 2022-09-12 2024-03-21 M3 Health Indústria E Comércio De Produtos Médicos, Odontológicos E Correlatos S.A. Base, parafuso e intermediário permutável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e componente protético para fixação de prótese dentária a um implante dentário
KR102594042B1 (ko) * 2022-12-29 2023-10-25 (주)덴탈릭스 2중 분리형 어버트먼트를 갖는 임플란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1421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6860711B2 (ja) 仮補綴システム及びその仮補綴システムの使用法
KR10196640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AU2012255865B2 (en) Temporary abutment with combination of scanning features and provisionalization features
KR101417980B1 (ko) 임플란트용 스캔 바디와 임플란트 어셈블리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US20020142266A1 (en) Single-stage implant system
JP2012501217A (ja) 歯科用固定装置および方法
KR101375154B1 (ko) 치아 형상에 대응하는 힐링 어버트먼트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US20240024081A1 (en) Abutment and healing cuff device for dental implant
KR20200082806A (ko) 크라운 착탈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38256B1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200020784A (ko) 치아 복원용 조립체
KR20120017951A (ko) 멀티 어버트먼트 장치
KR20210106724A (ko) 향상된 체결구조를 갖는 임플란트용 임프레션 코핑
KR20210076401A (ko) 임플란트 크라운의 회전을 방지하는 지대주
KR102551331B1 (ko) 어버트먼트 어셈블리
KR10152419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경부 형상 지대주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406043B1 (ko) 맞춤 시술이 가능한 분리형 힐링 어버트먼트
KR20180115294A (ko) 치과 임플란트의 각진 전사체
KR20170139414A (ko) 의료용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