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413A -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413A
KR20210054413A KR1020190140544A KR20190140544A KR20210054413A KR 20210054413 A KR20210054413 A KR 20210054413A KR 1020190140544 A KR1020190140544 A KR 1020190140544A KR 20190140544 A KR20190140544 A KR 20190140544A KR 20210054413 A KR20210054413 A KR 20210054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wire harness
grounding
housing body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구
김동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413A/ko
Publication of KR2021005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045Cable-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제공된 접지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부를 향해 노출된 접속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노출된 제1접지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서 분기된 접지와이어는 제2접지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제2접지커넥터가 상기 제1접지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WIRE HARNESS PROTECTOR}
본 발명은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를 안전하게 보호 및 지지함과 더불어 접지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에는 각종 센서류, 램프, 발전기, 배터리 등과 같은 복수의 전장 구성품이 탑재되어 있다. 복수의 와이어가 복수의 전장 구성품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복수의 와이어가 내구성을 가진 재질(러버, 비닐, 전기테이프, 도관 등)에 의해 하나로 묶인 것을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라 지칭한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가 차체 등에 대해 고정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주행 진동으로 인해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할 수 있고, 또한 다른 부품과 마찰을 일으켜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 하네스는 와이어 하네스에 의해 차체 등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인체의 안전을 확보하거나 기기의 확실한 작동을 위하여 전장 구성품에 대한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는 전장 구성품들을 접지할 수 있는 접지 구조를 가진다.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접지구조는 차체, 접지와이어의 접지단자, 접지볼트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차체의 전압레벨을 접지와이어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접지구조는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접지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와이어 하네스를 안전하게 보호 및 지지함과 더불어 접지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는,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제공된 접지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부를 향해 노출된 접속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노출된 제1접지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서 분기된 접지와이어는 제2접지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제2접지커넥터가 상기 제1접지커넥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는 외부를 향해 돌출한 접지용 러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접지용 러그에 인서트될 수 있다.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1접지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접속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볼트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볼트의 체결에 의해 차체에 도전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의 상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의 하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측벽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지커넥터는 복수의 메일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2접지커넥터는 복수의 피메일단자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 하네스를 안전하게 보호 및 지지함과 더불어 접지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도전체의 접속부가 절연체 재질의 하우징 바디의 외측부(장착러그)에서 외부를 향해 노출된 부분을 가지고, 접지 도전체의 제1접지커넥터가 하우징 바디의 수용공간을 향해 면하는(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접지와이어의 제2접지커넥터가 접지 도전체의 제1접지커넥터에 스냅피팅에 의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그 접지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 도전체의 접속부가 볼트에 의해 차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지와이어가 암, 수 커넥터(제1접지커넥터 및 제2접지커넥터)를 통해 접지 도전체에 간편하게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접지단자 및 접지볼트 등을 이용하여 접지와이어를 차체 등에 직접적으로 접지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접지와이어의 접지작업을 위한 부품수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와이어를 접지볼트 및 접지단자 등을 이용하여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할 필요가 없고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만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접지와이어가 접지 도전체를 통해 차체에 간편하게 접지될 수 있으므로 조립공수의 단축 효과가 두드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 바디가 접지와이어의 접지단자와 볼트의 도전성 연결을 방해함에 따라 그 접지성능이 취약하지만, 본 발명은 접지 도전체 및 볼트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 접지 도전체 및 접지 와이어의 직접적 접속 등을 통해 접지와이어의 접지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 도전체의 제1접지커넥터가 MALE 단자를 가지고, 접지와이어의 제2접지커넥터가 FEMALE 단자를 가짐에 따라, 그 전기적 연결을 매우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접지와이어의 접지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바디의 내부(수용공간)에서 접지와이어의 제2접지커넥터가 접지 도전체의 제1접지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접지와이어의 외부 노출(수밀, 염소 등)을 최소화 함으로써 접지와이어가 부식됨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상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 하우징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저면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하우징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지와이어의 제2접지커넥터가 접지컨덕터의 제1접지커넥터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하우징바디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지와이어의 제2접지커넥터가 접지컨덕터의 제1접지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10)는, 하우징 바디(11, 도 1 참조) 및 하우징(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커버(12,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11)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하네스(5)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3)을 가진 덕트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는 러버,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11)는 와이어 하네스(5)가 통과하는 한 쌍의 개구(11a, 11b)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와 같이 하우징 바디(11)는 하나 이상의 분기덕트(14a, 14b)를 가질 수 있고, 일부의 와이어 또는 와이어 하네스가 분기덕트(14a, 14b)를 통해 분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11)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 있고, 커버(12)가 하우징 바디(11)의 개방된 하부를 폐쇄하도록 하우징 바디(11)에 체결구, 스냅결합 또는 후크결합 등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11)는 복수의 장착러그(15, 16)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 바디(11)는 장착러그(15, 16)를 통해 차체(3) 등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각 장착러그(15, 16)는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고, 각 장착러그(15, 16)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통과하는 관통공(15a, 16a)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 바디(11)가 차체(3)의 장착위치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장착러그(15, 16)에 체결됨으로써 하우징 바디(11)는 차체(3) 등에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장착러그(15, 16)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러그는 접지와이어(6) 및 차체(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지 전도체(20)가 제공된 접지용 장착러그(15)일 수 있다.
접지 전도체(20)는 접지용 장착러그(15)의 내부 및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에 인서트될 수 있다. 특히, 접지 전도체(2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하우징 바디(11)에 인서트됨으로써 접지 전도체(20) 및 하우징 바디(11)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접지 전도체(20)는 접속부(21)와, 접속부(21)로부터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을 향해 연장된 연결부(22)와,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에 결합된 제1접지커넥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부(21)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바디(11)의 외측부분에서 외부를 향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접속부(21)가 도전체 재질의 볼트(4)에 의해 차체(3)에 간편하게 체결됨으로써 접속부(21)는 자연스럽게 차체(3)에 도전적이면서 전기적으로 접속(conductively electrically connected)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21)는 접지용 장착러그(15)의 관통공(15a) 내에 일체로 결합됨으로써 접속부(21)는 접지용 장착러그(15)의 관통공(15a)에 인서트될 수 있고, 접속부(21)는 볼트(4)가 통과하는 관통공(21a)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접속부(21)는 접지용 장착러그(15)의 관통공(15a)의 내경에 부합하는 외면 및 관통공(21a)을 한정하는 내면을 가진 환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차체(3)는 볼트(4)가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고, 차체(3)의 관통공 아래에는 너트(8)가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접속부(21)의 관통공(21a), 차체(3)의 관통공, 너트(8)의 체결공이 서로 간에 정렬될 수 있다. 이에, 볼트(4)의 수나사부가 접속부(21)의 관통공(21a), 차체(3)의 관통공을 통과한 후에 너트(8)의 체결공에 체결됨으로써 접지용 장착러그(15) 및 접속부(21)는 차체(3)에 고정될 수 있다.
접속부(21)의 상면(21b) 및 하면(21c)은 접지용 장착러그(15)의 상면 및 하면에 대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속부(21)의 상면(21b)이 접지용 장착러그(15)의 상면(15b)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거나 접속부(21)의 상면(21b)이 접지용 장착러그(15)의 상면(15b)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접속부(21)의 하면(21b)이 접지용 장착러그(15)의 하면(15c)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거나 접지주(21)의 하면(21c)이 접지용 장착러그(15)의 하면(15c) 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21)의 상면(21b) 및 하면(21c)이 접지용 장착러그(15)의 상면(15b) 및 하면(15c)에 대해 노출됨에 따라 접속부(21)의 상면이 도전체 재질의 볼트(4)의 헤드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고, 접속부(21)의 하면(21c)이 차체(3)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즉, 접속부(21)의 상면(21b) 및 하면(21c)이 접지용 장착러그(15)에 대해 노출됨에 따라 접지 전도체(20)의 접속부(21) 및 차체(3) 사이의 전기적으로 연결을 매우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접속부(21)의 관통공(21a)이 볼트(4)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짐으로써 볼트(4)는 접속부(21)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연결부(22)는 접속부(21)로부터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22)는 접지용 장착러그(15) 내에 인서트될 수 있다. 연결부(22)의 일단은 접속부(21)에 일체로 부착되고, 연결부(22)의 타단은 제1접지커넥터(23)에 일체로 부착됨으로써 연결부(22)는 접속부(21) 및 제1접지커넥터(23)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22)의 두께가 접속부(21)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접지 커넥터(20)의 재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접지 커넥터(20)의 인서트 사출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제1접지커넥터(23)는 하우징 바디(11)의 수용공간(13)을 향해 면하도록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접지커넥터(23)는 복수의 메일단자(23a, male terminal)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메일단자(23a)는 하우징 바디(11)의 측벽(11c)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와이어 하네스(5)는 접지와이어(6)를 가질 수 있고, 접지와이어(6)는 와이어 하네스(5)로부터 분기될 수 있으며, 접지와이어(6)는 제2접지커넥터(7)를 가질 수 있다. 제2접지커넥터(7)는 접지와이어(6)의 자유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2접지커넥터(7)는 제1접지커넥터(23)의 메일단자(23a)가 삽입되는 복수의 피메일단자(미도시, female terminal)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접지 전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에 스냅피팅 등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접지와이어(6)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10)의 접지 전도체(20)에 매우 간편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접지와이어(6)의 접지단자가 접지볼트 등을 통해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의 접지구조에 체결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그 접지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진행되므로 조립공수가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그 제조원가가 상승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접지 전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 및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서로 간에 매우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에 비해 조립공수가 감소할 수 있고 그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접지전도체(20)의 접속부(21)가 차체(3)에 도전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접지 전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 및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결합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5)의 접지작업이 매우 간편해질 뿐만 아니라 접지와이어(6)의 접지 성능이 대폭 개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지 도전체(20)의 접속부(21)가 절연체 재질의 하우징 바디(11)의 외측부(장착러그)에서 외부를 향해 노출된 부분을 가지고, 접지 도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가 하우징 바디(11)의 수용공간(13)을 향해 노출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와이어 하네스(5)의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접지 도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에 스냅피팅 등을 통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종래기술에 비해 그 접지작업이 매우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도전체(20)의 접속부(21)가 볼트(4)에 의해 차체(3)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접지와이어(20)가 암, 수 커넥터(제1접지커넥터 및 제2접지커넥터)를 통해 접지 도전체(20)에 간편하게 전기적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접지단자 및 접지볼트 등을 이용하여 접지와이어를 차체 등에 직접적으로 접지할 필요가 없다. 이를 통해 접지와이어(6)의 접지작업을 위한 부품수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접지와이어(6)를 접지볼트 및 접지단자 등을 이용하여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할 필요가 없고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10)만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체결함으로써 접지와이어(6)가 접지 도전체(20)를 통해 차체에 간편하게 접지될 수 있으므로 조립공수의 단축 효과가 두드러질 수 있다.
종래기술은 플라스틱 재질의 하우징 바디가 접지와이어의 접지단자와 볼트의 도전성 연결을 방해함에 따라 그 접지성능이 취약하지만, 본 발명은 접지 도전체(20) 및 볼트(4) 사이의 직접적인 접속, 접지 도전체(20) 및 접지 와이어(6)의 직접적 접속 등을 통해 접지와이어의 접지성능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지 도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가 MALE 단자를 가지고,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FEMALE 단자를 가짐에 따라 접지 전도체(20)의 제1접지커넥터(23) 및 접지와이어(6)의 제2접지커넥터(7)가 스냅 피팅 등으로 통해 간편하게 결합됨으로써 그 접지 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진행될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을 매우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접지와이어의 접지 성능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부(21)의 상면(21b) 및 하면(21c)이 접지용 장착러그(15)에 대해 노출됨에 따라 접지 전도체(20)의 접속부(21) 및 차체(3) 사이의 전기적 연결성 및 접지 성능을 대폭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접지커넥터(23)가 하우징 바디(11)의 내측면에 위치함에 따라 와이어 하네스(5)의 접지와이어(6)가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10)의 수용공간(13) 내에서 접지 도전체(20)에 접지될 수 있으므로 접지와이어(6)의 외부 노출이 방지됨으로써 접지와이어(6)의 부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접지와이어(6)의 접지구조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6: 접지와이어
7: 제2접지커넥터
10: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11: 하우징 바디
12: 커버
13: 수용공간
14a, 14b: 분기덕트
15, 16: 장착러그
20: 접지 전도체
21: 접지부
22: 연결부
23: 제1접지커넥터

Claims (10)

  1. 와이어 하네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바디; 및
    상기 하우징 바디에 제공된 접지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전도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부를 향해 노출된 접속부 및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노출된 제1접지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에서 분기된 접지와이어는 제2접지커넥터를 가지고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제2접지커넥터가 상기 제1접지커넥터에 결합되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는 외부를 향해 돌출한 접지용 러그를 가진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접지용 러그에 인서트된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일체로 결합되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도체는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1접지커넥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두께는 상기 접속부의 두께 보다 얇게 형성된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볼트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볼트의 체결에 의해 차체에 도전적으로 접속되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의 상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접속부의 상면은 상기 접지용 장착러그의 하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바디의 측벽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된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커넥터는 복수의 메일단자를 가지고, 상기 제2접지커넥터는 복수의 피메일단자를 가지는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1020190140544A 2019-11-05 2019-11-05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KR20210054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44A KR20210054413A (ko) 2019-11-05 2019-11-05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544A KR20210054413A (ko) 2019-11-05 2019-11-05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413A true KR20210054413A (ko) 2021-05-13

Family

ID=75913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544A KR20210054413A (ko) 2019-11-05 2019-11-05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4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8026B2 (en) Waterproof structure
US8795862B2 (en) Battery pack
US8992249B2 (en) Shielded connector
US7959469B2 (en) Connector device and connector assembly
US7575476B2 (en) Power distribution module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US9847612B2 (en) Connector
US8790137B2 (en) Fitting structure for inner holder and shield shell
US9966704B2 (en) Fixing structure of shield connector
US9570838B2 (en) Structure of highly waterproof connector for easy conduction between ground pin and body
JP2010166756A (ja) 電動車両の充電口
KR20200071948A (ko) 통합형 다극 커넥터
KR20170041082A (ko)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US9694763B2 (en) Wire harness protector having grounding function
KR20210054413A (ko) 와이어 하네스 프로텍터
JP3947092B2 (ja) 機器用コネクタ
KR100632301B1 (ko) 자동차용 배터리 단자 구조
KR101704255B1 (ko) 커넥터
JP3729636B2 (ja) 電気機器の防水ケース
US20160247654A1 (en) Fusible link unit
CN116762242A (zh) 护线套及插座组合体
JP3666238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プロテクタ
KR101583842B1 (ko) 커넥터의 스틸 브라켓 커버링 장치
CN116802946A (zh) 护线套及插座组合体
JP2020127262A (ja) 電気接続箱
JP2013232370A (ja) ヒューズ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