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887A -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887A
KR20210047887A KR1020217007238A KR20217007238A KR20210047887A KR 20210047887 A KR20210047887 A KR 20210047887A KR 1020217007238 A KR1020217007238 A KR 1020217007238A KR 20217007238 A KR20217007238 A KR 20217007238A KR 20210047887 A KR20210047887 A KR 2021004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lapping
formula
seizures
seizur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주
신혜원
신유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04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Obesity (AREA)
  • Cardiolog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nc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A1 및 A2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중첩발작(뇌전증지속증, status epilepticus, SE)은 발작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의식의 회복 없이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중첩발작의 연간 발생률은 100,000 명 중 41명으로 약 20%의 사망률을 보인다(Trinka, E., Hofler, J. and Zerbs, A. (2012), Causes of status epilepticus. Epilepsia, 53: 127-138.). 중첩발작의 지속 시간이 길어질수록 치료약물에 반응하지 않게 되며 신경계 손상이 더욱 심해지기에 예후가 좋지 않으므로 빠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중첩발작은 이미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예컨대 이미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항뇌전증 약물의 농도 저하(low AED level)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중첩발작의 다른 원인으로는 뇌졸중(stroke), 대사이상(metabolic derangements), 감염성질환(CNS infections), 외상(traumatic brain injury),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뇌종양(brain tumors), 만성 뇌경색 병변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뇌전증 모델 또는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에서 화합물의 활성이 나타나더라도 이로부터 반드시 상기 화합물의 중첩발작에 대한 활성을 예측할 수는 없다.
중첩발작은 경련성 중첩발작(convulsive status epilepticus)과 비 경련성 중첩발작(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으로 나눌 수 있다. 경련성 중첩발작의 경우 연속적인 강직간대성발작(tonic-clonic seizure)이 나타나며 의식의 회복 없이 두 번째 발작이 발생하고 그 뒤로도 반복적으로 발작이 나타난다. 경련성 중첩발작은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기에 증상 발생 이후 즉각적인 의료적 처치가 필요하다. 비 경련성 중첩발작은 복합부분발작(focal impaired awareness, complex partial), 단순 부분 비 경련성 중첩발작 등이 길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비경련성 중첩발작의 경우 환자는 경련성 중첩발작과 같이 의식을 완전히 소실하지 않는 경우도 있기에 증상의 발생을 탐지하기 어렵다. 뇌파 검사가 증상의 진단을 위하여 먼저 수행되어야 하며 비경련성 중첩발작 환자의 경우 경련성 중첩발작 발생 위험이 있으며 이 경우 또한 응급 처치가 필요로 된다.
중첩발작의 치료는 발생된 발작을 임상적, 뇌파상으로 경감시키는 것이다. 중첩발작의 발생 후 경과 시간과 치료 반응에 따른 단계가 있으며, 증상의 발생 이 후 초기 1차 약제로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의 다이아제팜(diazepam), 미다졸람 (midazolam), 로라제팜(lorazepam)을 주로 정맥 주사하여 중첩발작을 멈추기 위하여 사용된다. 1차 약제로 중첩발작이 멈추지 않을 경우 2차 약제로서 항뇌전증 약물들이 사용되는데, 항뇌전증 약물이 모두 중첩발작에도 활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항뇌전증 약물 중 페노바비탈(phenobarbital), 페니토인(phenytoin), 발프로산(valproic acid), 레베티라세탐(levetiracetam), 라코사마이드(lacosamide)가 중첩발작의 치료에 사용된다. 중첩발작이 2차 약제 투여 이후에도 임상적 관찰 또는 뇌파 검사상으로 40분 이상 지속될 경우를 난치성 중첩발작(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단계라 한다. 이 단계의 경우 명확한 치료 지침은 없으나 2차 약제의 반복적인 투여 또는 프로포폴(propofol)과 같은 전신마취제계열 약제의 고용량 투여를 뇌파 검사와 병용하게 된다(Glauser T, Shinnar S, Gloss D, et al. Evidence-Based Guideline: Treatment of Convulsive Status Epilepticus in Children and Adults: Report of the Guideline Committee of the American Epilepsy Society. Epilepsy Curr. 2016;16(1):48-61.).
이와 같이 다양한 약물적 치료 방법들이 중첩발작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수준의 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의 제한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약효와 부작용이 개선된 새로운 약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하는 상태이다.
한편, 미국 등록특허 제7,598,279호는 뇌전증의 치료에 유용한 아졸 화합물을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이 화합물의 용도를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서 사용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A1 및 A2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는,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8 알킬, C1-C8 할로알킬, C1-C8 티오알콕시 및 C1-C8 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A1 및 A2에서 어느 하나는 CH이며, 다른 하나는 N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료적 유효량의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치료적 유효량으로 치료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의, 중첩발작의 예방 또는 치료하거나, 이와 관련된 징후를 개선하기 위한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구체예에서, C1-C8 할로알킬은 퍼플루오로알킬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이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4
상기 화학식 1 및 2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제조는 당업계에서 화합물 합성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공지의 화합물들 또는 이로부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화합물들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학식 1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국제공개특허 WO 2006/112685 A1, WO 2010/150946 A1 및 WO 2011/046380 A2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인용된다. 화학식 1 화합물은 상기 문헌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적인 방법들을 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단위 조작의 순서 등이 선택적으로 바뀔 수 있는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중첩발작은 경련성 중첩발작과 비 경련성 중첩발작으로 나눌 수 있다. 경련성 중첩발작의 경우 연속적인 강직간대성발작(tonic clonic seizure)이 나타나며 의식의 회복 없이 두 번째 발작이 발생하고 그 뒤로도 반복적으로 발작이 나타난다. 경련성 중첩발작은 생명에 위협을 줄 수 있기에 증상 발생 이후 즉각적인 의료적 처치가 필요하다. 비 경련성 중첩발작은 복합부분발작, 단순 부분 비 경련성 중첩발작 등 이 길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중첩발작은 뇌졸중, 대사이상, 감염성질환, 외상, 알코올 남용, 뇌종양, 만성 뇌경색 병변 또는 이미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항뇌전증 약물의 농도 저하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중첩발작은 경련성 중첩발작 또는 비 경련성 중첩발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2차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a)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b)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추가적인 활성제, 예를 들면,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또는 항뇌전증 약물,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제팜, 미다졸람, 로라제팜, 페노바비탈, 페니토인, 발프로산, 레베티라세탐 및 라코사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약물과 배합물(combination)로 사용될 수 있다. "배합물"은 2개 이상의 약물을 같이 사용한다는 의미일 뿐 2개 이상의 약물이 반드시 혼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2개 이상의 약물은 혼합된 상태로 단일 제제 내에 함께 존재해도 되고 각각 별개의 제제로 사용되어도 무방한 경우를 의미한다. 즉, "배합물"은 단일 제제도 포함하고 2개의 별개의 제제도 포함하므로, 동시, 별개 또는 순차적 투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합물에서 성분 (a) 및 성분 (b)의 중량비(a:b)가 1,000:1 내지 1:1,0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합물에서 성분 (a) 및 성분 (b)의 중량비(a:b)가 100:1 내지 1:100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배합물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리형 기준으로 12.5 mg 내지 500 mg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중첩발작 모델은 중첩발작의 적어도 일 측면 또는 요소를 나타내는 생체내(in vivo) 혹은 시험관내(in vitro) 모델 시스템을 의미하며, 항 중첩발작 약제의 평가를 허용한다.
일 구체예에서, 패치 클램프(patch clamp) 모델이 항중첩발작 약제의 효능을 분석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중첩발작 발생시의 뇌신경 활동성을 실험실 상황에서 유사하게 구현하여 얻어지는 고주파 발작 파형(high-frequency epileptiform discharges)을 통하여 직접적인 실험화합물의 중첩발작 모델에서의 약효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다(Deshpande LS, Lou JK, Mian A, Blair RE, Sombati S, DeLorenzo RJ. In vitro status epilepticus but not spontaneous recurrent seizures cause cell death in cultured hippocampal neurons. Epilepsy Res. 2007;75(2-3):171-179. doi:10.1016/j.eplepsyres.2007.05.011).
일 구체예에서, 중첩발작 모델은 예컨대, 필로카핀(pilocarpine)과 같은 화합물로 유발되는 중첩발작 유발 모델(chemical induced status epilepticus), 전기자극 유발 모델(electrical induced status epilepticus), 및 시험관내 모델(in vitro: low magnesium in brain slice) 등 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화합물로 인한 중첩발작 생체내 유발 모델에서, 중첩발작은, 중첩발작 유발 물질(예컨대, 필로카핀, 카이닌산(kainic acid), 리튬-필로카핀(lithium-pilocarpine), 플루오로틸(flurothyl) 등을 마우스 또는 랫트의 등의 문측 부위(rostral part of the back)에 복강 내 주사(intraparietal injection)하는 것에 의해 유발된다. 중첩발작 유발 물질의 주사 후에, 실험동물들은 Racine 스코어에 따라 행동이 관찰되고, 발작의 발생 횟수 및 사망 여부를 측정한다. 시험 화합물은 복강 내 또는 다른 경로로 중첩발작 유발 이후 투여될 수 있으며, 시험 화합물의 효능은 양성 대조군 화합물과 비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난치성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난치성 중첩발작"은 2차 약제 투여 이후에도 임상적 관찰 또는 뇌파 검사상으로 중첩발작이 40분 이상 지속될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질환의 중증도, 치료 대상의 체중 및 대사 상태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개개의 환자에 대한 "치료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은 상기한 약리학적 효과, 즉 치료 효과를 달성하는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화학식 1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인간에게 투여 시 유리형 기준으로 1일 1회 투여 기준 50 내지 500 mg, 50 내지 400 mg, 50 내지 300 mg, 100 내지 400 mg, 100 내지 300 mg, 50 내지 200 mg, 또는 100 내지 200 mg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mg,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mg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구, 비경구, 정맥내, 근육내, 피하 또는 직장 투여와 같이, 치료제의 투여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치료적 유효량의 본 발명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수화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는, 예를 들어, 독립적으로, 아세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타르트레이트, 칼슘아세테이트, 캄실레이트, 카르보네이트, 시트레이트, 에데테이트, 에디실레이트, 에스톨레이트, 에실레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타메이트, 글리콜로일아르사닐레이트, 헥실레조르시네이트, 하이드라바민,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겐카르보네이트, 하이드록시나프토에이트, 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니트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무케이트, 납실레이트, 니트레이트, 파모에이트 (엠보네이트), 판토테네이트, 포스페이트/디포스페이트, 폴리갈락트유로네이트. 살리실레이트, 스테아레이트, 서브아세테이트, 석시네이트 또는 헤미-석시네이트, 설페이트 또는 헤미-설페이트, 탄네이트, 타르트레이트, 옥살레이트(oxalate) 또는 헤미-타르트레이트, 테오클레이트, 트리에티오다이드, 벤자틴, 클로로프로카인, 콜린, 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메글루민, 프로카인, 알루미늄, 암모늄, 테트라메틸암모늄, 칼슘, 리튬, 마그네슘, 칼륨, 나트륨 및 아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내피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질내 투여, 폐내 투여 및 직장내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비경구 투여는 비경구용 액상 제제의 형태이다. 액상 제제는 상기 활성성분을 물 등의 용매에 용해시킨 제제를 의미한다. 상기 비경구용 액상 제제는 주사제제일 수 있다. 용매로는 물로서 멸균수가 사용될 수 있고, 물 이외의 용매로서 생리식염수, PBS 완충수, 등장수(isotonic water), 링거 젖산 용액(Ringer's lactate solution), 5% 포도당액(5% dextrose in wate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의약 제조에 사용되는 공지된 용매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액상 제제는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 약제학적 제제의 기술 분야에서 비경구용 액상 제제에 통상 사용되는 임의의 첨가제가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첨가제로는 등장화제, 안정화제, 완충액, 보존제 등을 포함한다. 등장화제로서, 예를 들어, 글루코스, 소르비톨, 만니톨 등의 당, 염화나트륨 등을 언급할 수 있다. 안정화제로서, 예를 들어, 아황산나트륨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용 액상 제제는 pH 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인체에 투여하기 적합한 pH를 가지며 보관조건에서 유의할 만한 pH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 따라서 비경구용 액상 제제는 pH 조절제를 첨가할 수도 있고, 첨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pH 조절제를 첨가하지 않을 경우 제조공정이 보다 간단해질 수 있으며, pH 조절제와의 양립가능성 여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진다. 사용 가능한 완충액으로서, 예를 들어, 붕산염, 인산염, 시트르산염, 타르타르산염 완충액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보존제로서, 파라벤(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파라벤), 파라벤 나트륨염, 포타슘 소르베이트, 소디움 벤조에이트 및 소르브산 등을 언급할 수 있다.
경구 투여시,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나정으로, 또는 활성 약제를 코팅하거나 위에서의 분해로부터 보호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투여되는 경로는 치료 대상의 일반적인 조건 및 연령, 치료 조건의 성질 및 선택되는 활성 성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한 번 또는 여러 번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루 1회 내지 4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 mg, 50 내지 400 mg, 50 내지 300 mg, 100 내지 400 mg, 100 내지 300 mg, 50 내지 200 mg, 또는 100 내지 200 mg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mg,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 mg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약제 또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좌약, 스프레이, 연고, 크림, 젤, 흡입제 또는 피부 패치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 투여용,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 투여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고체이거나 액체일 수 있으며, 부형제,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분산제, 흡착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방부제, 붕해제, 감미제, 향미제, 활택제, 방출조절제, 습윤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및 윤활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오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부형제(filler)로는, 당(예컨대,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말토스 및 락토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당-알코올(예컨대, 만니톨, 솔비톨, 말티톨, 에리스리톨 및 자일리톨), 전분 가수분해물(starch hydrolysates)(예컨대, 덱스트린 및 말토덱스트린), 셀룰로스 또는 셀룰로스 유도체 (예컨대,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결합제(binder)로는, 포비돈, 코포비돈,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젤라틴, 검류, 수크로스, 전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방부제(preservative)로는, 벤조산, 소듐 벤조에이트, 벤질 알콜,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 클로르부톨, 갈레이트, 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EDTA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붕해제(disintegrant)로는, 전분 글리콜레이트 소듐염(sodium starch glycolate),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가교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전분, 미세결정질 셀룰로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감미제로는 수크랄로스, 사카린, 소듐 또는 포타슘 또는 칼슘 사카린, 아세설팜 포타슘 또는 소듐 시클라메이트, 만니톨, 프럭토스, 수크로스, 말토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활택제(glidant)로는 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콘 디옥사이드, 탈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적절한 윤활제(lubricant)로는, 장쇄 지방산 및 그 염, 예컨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스테아르산, 탈크, 글리세라이드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다(prevent)", "예방하는(preventing)" 및 "예방(prevention)"은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감소시키거나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경감시키다(alleviate)", "경감시키는(alleviating)" 및 "경감(alleviation)"은 질병 및/또는 이의 수반되는 증상을 모두 또는 일부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treat)", "치료하는(treating)" 및 "치료(treatment)"는 질병 및/또는 이의 수반되는 증상을 모두 또는 일부 제거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대상"은 치료, 관찰 또는 실험의 객체가 되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예컨대, 영장류(primates)(예를 들어, 사람),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쥐, 마우스 등), 가장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연구원, 수의사, 의사 또는 다른 임상의에 의해 모색되며, 치료될 질환 또는 장애의 징후를 경감시킴을 포함하는, 조직계, 동물 또는 사람에서의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활성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 제제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조성물"은 특정 성분을 특정량으로 포함하는 생성물 및 특정량의 특정 성분의 배합물로부터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되는 임의의 생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및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존 치료제 대비 부작용 없이 중첩발작을 효율적으로 예방, 경감 및 치료할 수 있다.
도 1 및 2는 마우스 해마체에서 전 세포 패치-클램프 모델을 이용한 인비트로(in vitro) 중첩발작 억제 효과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발작유사 신호(SLEs, seizure-like events) 발생의 전기(도 1)와 후기(도 2)에 시험 화합물을 처리하였을 때 및 시험화합물의 세척(washout) 후 발작 유사 버스트 스파이크(seizure-like burst spikes) 신호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이다. (Before: 시험 화합물 처리 전, Compound: 시험 화합물 처리 중, Washing: 시험 화합물 세척 후)
도 3은 필로카핀을 투여하여 중첩발작을 유발하는 실험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4, 5 및 6은 필로카핀을 투여하여 중첩발작을 유발한 마우스에 시험 화합물을 중첩발작 발생 직후 투여한 뒤 50분 간의 대조군(비히클, vehicle) 대비 발작 발생 횟수 및 발작 스코어 및 사망률이 감소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7 및 8은 필로카핀을 투여하여 중첩발작을 유발한 마우스에 시험 화합물을 중첩발작 발생 10 분 후 투여한 뒤 50분 간의 대조군(비히클, vehicle) 및 양성대조군 대비 발작 발생 횟수 및 발작 스코어가 감소되는 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에서 본원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구체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의 제조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이하에서 "시험 화합물"이라 한다)를 국제공개번호 WO 2010/150946호의 제조예 5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마우스 해마체에서 전 세포 패치-클램프(whole-cell patch-clamp) 모델을 이용한 중첩발작 억제 효과 실험
실험동물
수컷 마우스(C57BL/6, 24-26g)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명암주기 12시간(오후 7시에서 오전 7시까지 조명됨), 온도 22 내지 25℃, 상대습도 40 내지 60%로 유지하고 물과 먹이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마 조직 절편의 조제
전 세포 패치-클램프 레코딩을 하기 위하여 마우스의 뇌를 적출하여 해마영역 조직 절편(310 mm)을 산소가 포화되어 있는 인공뇌척수액(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124 mM NaCl, 3.0 mM KCl, 1.23 mM NaH2PO4, 2.2 mM CaCl2, 1.2 mM MgCl2, 26 mM NaHCO3, and 10 mM glucose, pH 7.4)에 준비하였다. 모든 실험은 육안을 통한 CA1 영역의 피라미드 세포(pyramidal neuron)에서 수행되었으며 유리 파이펫(4-5 MΩ)이 레코딩 시 사용되었다. 한 시간 동안 조직을 배양한 다음, 산소가 포화된 인공뇌척수액(32℃; 95% O2/5% CO2)이 있는 레코딩 챔버에 절편 조직을 이동시켰다.
Mg2+ 제거로 유발된 발작 유사 신호(low Mg2+-induced seizure-like events, SLEs)를 측정하기 위하여 0 mM MgCl2 및 5.0 mM KCl이 사용되었다. SLEs는 하나의 버스트(burst) 신호 내에 세 개 이상의 스파이크 신호들이 있을 경우로 정의된다. 전 세포(whole-cell) 패치-클램프 신호는 MultiClamp 700B amplifier 와 Digidata1440 (Axon instruments, CA)로 디지털화 되었고, 확보된 데이터는 pCLAMP version 10.2 (Axon Instruments)와 Mini Analysis Program (Synaptosoft)를 통하여 분석되었다.
SLEs 신호 측정 프로토콜
전기 SLEs(SLEs 발생 직후 즉시): Mg2+ 제거된 ACSF를 약 20~30분 가한 뒤 관찰되는 SLEs 신호 측정.
후기 SLEs: Mg2+가 제거된 ACSF를 1시간 동안 전처리한 후에 전세포 파열(whole-cell rupture)하여 그 직 후 관찰되는 SLEs 신호 측정.
시험 화합물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화합물 처리는 SLE 발생 10~15분 후에 시작되었다.
통계
시험 화합물의 효과는 Mg2+ 제거된 ACSF 처리 후 시험 화합물 처리 전 발생한 SLE값에 대한 비교값(%)으로,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냈으며, student t-test 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p<0.05의 차이점이 있을 때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도 1 (전기 SLEs, n=5) 및 도 2 (후기 SLEs, n=8)에서 볼 수 있듯이, SLE 발생 10~15분 후 100 μM의 시험 화합물을 처리했을 시 SLE의 발생 빈도와 기간을 시험 화합물 세척(washing) 후와 비교 시 유의미하게 감소시켰으며 시험 화합물 처리 전 SLE 발생 정도와 비교한 수치는 표 1에 표기된 것과 같다.
[표 1]
Figure pct00005
이상에서와 같이 시험 화합물은 제거된 Mg2+으로 유발된 발작 신호 인비트로(in vitro) 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필로카핀 투여로 유발된 중첩간질발작 모델을 이용한 중첩발작 억제효과 실험.
실험동물
수컷 마우스(C57BL/6, 21-24g)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명암주기 12시간(오후 7시에서 오전 7시까지 조명됨), 온도 22 내지 25℃, 상대습도 40 내지 60%로 유지하고 물과 먹이는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물들은 무작위로 하기의 군으로 나뉘어졌다:
중첩발작 발생 직후 시험 화합물 투여 실험군
- 대조군으로 투여 매개제(vehicle)인 30% PEG300를 10 ml/kg 용량으로 단회 복강내 투여한 10마리 마우스
- 시험 화합물을 20 mg/kg(10 ml/kg) 용량으로 단회 복강내 투여한 9마리 마우스
중첩발작 발생 10분 후 양성 대조군 및 시험 화합물 투여 실험군
- 대조군으로 투여 매개제(vehicle)인 30% PEG300를 10 ml/kg 용량으로 단회 복강내 투여한 13마리 마우스
- 양성 대조군으로 발프로산(valproic acid, VPA)을 200 mg/kg(10 ml/kg) 용량으로 단회 복강내 투여한 12마리 마우스
- 시험 화합물을 25 mg/kg(10 ml/kg) 용량으로 단회 복강내 투여한 13마리 마우스
중첩발작의 유발
메틸스코폴라민을 1 mg/kg (10 ml/kg) 농도로 매개제 (0.9% saline)에 녹여 목덜미 뒤쪽으로 피하 투여한다. 30분 뒤 필로카핀을 320 mg/kg(10 ml/kg) 농도로 매개제(식염수, 0.9% saline)에 녹여 복강내 투여 하였다.
중첩발작 행동의 측정
중첩발작 발생 직후 약물투여 실험군은 중첩발작의 발생 직후 약물 투여 이후부터 이후 동물 행동을 수정된 Racine 스코어 (Ronald J Racine, Modification of seizure activity by electrical stimulation: II. Motor seizure,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ume 32, Issue 3, 1972, Pages 281-294)에 따라 동물의 연속적인 강직간대성발작 행동 및 발생 횟수를 50분 간 관찰하였다.
중첩발작 발생 10분 뒤 약물투여 실험군의 경우 중첩발작의 발생 후 10분뒤 발프로산 및 시험 화합물을 투여하였다. 이 후 동물 행동을 수정된 Racine 스코어 (Ronald J Racine, Modification of seizure activity by electrical stimulation: II. Motor seizure, Electroence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ume 32, Issue 3, 1972, Pages 281-294)에 따라 동물의 연속적인 강직간대성발작 행동 및 발생 횟수를 50분 간 관찰하였다.
투약
중첩발작 발생 직후 약물투여 실험군은 시험 화합물을 20 mg/kg(10 ml/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중첩발작 발생 10분 뒤 약물투여 실험군의 경우 시험화합물을 25 mg/kg(10 ml/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동일한 시점에 양성대조군인 발프로산을 200 mg/kg(10 ml/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다.
통계
중첩발작 발생 직후 약물투여 실험군의 화합물의 효과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냈으며, t-test를 통하여 데이터가 p<0.05의 차이점이 있을 때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중첩발작 발생 10분 뒤 약물투여 실험군의 경우 화합물의 효과는 평균±표준오차로 나타내었고, 원-웨이 ANOVA 및 사후검증으로 투키(Tukey's) 테스트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p<0.05의 차이점이 있을 때 통계적 유의성을 인정하였으며 각 실험군에서의 중첩발작 억제효과는 표 2에 표기된 것과 같다.
도 4, 5 및 6에서 볼 수 있듯이, 중첩발작 발생 직후 시험 화합물을 20 mg/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을 때 필로카핀으로 유발된 중첩발작의 발생 횟수와 스코어가 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며, 사망률 또한 억제되는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7 및 8에서 볼 수 있듯이, 중첩발작 발생 10분 후 시험 화합물을 25 mg/kg 용량으로 복강내 투여하였을 때 필로카핀으로 유발된 중첩발작의 발생 횟수와 스코어가 대조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2]
Figure pct00006
이상에서와 같이 시험 화합물은 필로카핀으로 유발된 중첩발작 동물모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시험 화합물은 중첩발작 질환모델에 대하여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는바, 중첩발작의 치료를 위한 약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6)

  1. 치료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는,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
    [화학식 1]
    Figure pc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8 알킬, C1-C8 할로알킬, C1-C8 티오알콕시 및 C1-C8 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A1 및 A2에서 어느 하나는 CH이며, 다른 하나는 N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인 약제:
    [화학식 2]
    Figure pct00008
  4. 제1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뇌졸중(stroke), 대사이상(metabolic derangements), 감염성질환(CNS infections), 외상(traumatic brain injury),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뇌종양(brain tumors), 만성 뇌경색 병변 및 이미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항뇌전증 약물의 농도 저하(low AED level)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인 약제.
  5. 제1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경련성 중첩발작(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인 약제.
  6. 제1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비 경련성 중첩발작(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인 약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투여용으로 제조된 것인 약제.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이 1일 1회 투여시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 mg인 약제.
  9. 치료학적 유효량의 하기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또는 수화물을 포함하고,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는,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8 알킬, 할로 C1-C8 알킬, C1-C8 티오알콕시 및 C1-C8 알콕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A1 및 A2에서 어느 하나는 CH이며, 다른 하나는 N이다.
  10. 제9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및 C1-C8 알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의 카르밤산 (R)-1-(2-클로로페닐)-2-테트라졸-2-일)에틸 에스테르인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ct00010
  12. 제9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뇌졸중(stroke), 대사이상(metabolic derangements), 감염성질환(CNS infections), 외상(traumatic brain injury), 알코올 남용(alcohol abuse), 뇌종양(brain tumors), 만성 뇌경색 병변 및 이미 뇌전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항뇌전증 약물의 농도 저하(low AED level)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경련성 중첩발작(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인 약제학적 조성물.
  14. 제9항에 있어서, 중첩발작이 비 경련성 중첩발작(Non-convulsive status epilepticus)인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유동물 투여용으로 제조된 것인 약제학적 조성물.
  16.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이 1일 1회 투여시 유리형 기준으로 50 내지 500 mg인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7007238A 2018-09-21 2019-09-20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20210047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34406P 2018-09-21 2018-09-21
US62/734,406 2018-09-21
PCT/KR2019/012184 WO2020060252A1 (ko) 2018-09-21 2019-09-20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87A true KR20210047887A (ko) 2021-04-30

Family

ID=69887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238A KR20210047887A (ko) 2018-09-21 2019-09-20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46348A1 (ko)
EP (1) EP3854392A4 (ko)
JP (1) JP7417595B2 (ko)
KR (1) KR20210047887A (ko)
CN (1) CN113242735A (ko)
CA (1) CA3113052A1 (ko)
WO (1) WO2020060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1099A1 (ko) * 2020-08-06 2022-02-10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구용 고형 제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4181A (ja) * 2003-09-04 2007-03-01 ハー・ルンドベック・アクチエゼルスカベット セロトニン再取り込み阻害剤およびロキサピンの併用
US7598279B2 (en) * 2005-04-22 2009-10-06 Sk Holdings Co., Ltd. Neurotherapeutic azole compounds
RU2508290C2 (ru) 2009-06-22 2014-02-27 ЭсКей БАЙОФАРМАСЬЮТИКАЛЗ КО., ЛТД.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r)-1-арил-2-тетразолилэтилового эфира карбаминовой кислоты
US8404461B2 (en) 2009-10-15 2013-03-26 SK Biopharmaceutical Co. Ltd. Method for preparation of carbamic acid (R)-1-aryl-2-tetrazolyl-ethyl ester
US20210085646A1 (en) * 2016-12-14 2021-03-25 Sk Biopharmaceuticals Co., Ltd. Orally Disintegrated Tablet Comprising Carbamate Compound
WO2018111000A1 (ko) * 2016-12-14 2018-06-21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카바메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경구용 액상 제제
KR20180068493A (ko) * 2016-12-14 2018-06-22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조현병, 강박장애 및 투렛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정신증 장애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있어서의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102635938B1 (ko) * 2016-12-14 2024-02-13 에스케이바이오팜 주식회사 양극성 장애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DK3711758T3 (da) * 2017-11-14 2024-04-08 Sk Biopharmaceuticals Co Ltd Anvendelse af en carbamatforbindelse til forebyggelse, lindring eller behandling af fraværsanfald eller epilepsi med fraværsanfa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6348A1 (en) 2021-11-11
WO2020060252A1 (ko) 2020-03-26
JP2022503784A (ja) 2022-01-12
EP3854392A1 (en) 2021-07-28
CN113242735A (zh) 2021-08-10
EP3854392A4 (en) 2022-08-17
JP7417595B2 (ja) 2024-01-18
CA3113052A1 (en) 2020-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052B1 (ko) 섬유근육통 또는 섬유근육통의 연관된 기능적 증후군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US11571410B2 (en) Use of carbamate compounds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bipolar disorder
KR102421006B1 (ko) 두통의 예방학적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102421013B1 (ko) 삼차신경통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KR20210047887A (ko) 중첩발작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대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JP2023086766A (ja) 脆弱x症候群、アンジェルマン症候群又はレット症候群を含む発達障害の軽減又は治療のためのカルバメート化合物の使用
EP3556363B1 (en) Use of carbamate compound for prevention, alleviation or treatment of pruritus
US20200352907A1 (en) Use Of Carbamate Compound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bsence Seizure Or Epilepsy Showing Absence Seizure
KR20210062029A (ko)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 또는 화학요법 유발 말초 신경병증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를 위한 용도
KR20190054559A (ko) 염증성 통증 또는 염증성 질환에서 기인한 통증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를 위한 카바메이트 화합물의 용도
EP3854391B1 (en) Carbamate compound and use of formulation comprising same in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acute stress disorder 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RU2793742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арбамат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сниж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нарушений развития, включая синдром хрупкой x-хромосомы, синдром ангельмана или синдром ретта
RU2774970C2 (ru) Применение карбаматных соединений для профилактики, облегчения или лечения биполярного расстройств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