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188A -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 Google Patents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188A
KR20210046188A KR1020190129661A KR20190129661A KR20210046188A KR 20210046188 A KR20210046188 A KR 20210046188A KR 1020190129661 A KR1020190129661 A KR 1020190129661A KR 20190129661 A KR20190129661 A KR 20190129661A KR 20210046188 A KR20210046188 A KR 20210046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s
ring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9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중
오봉희
Original Assignee
이철중
오봉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중, 오봉희 filed Critical 이철중
Priority to KR1020190129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188A/ko
Publication of KR20210046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F16L21/065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tightened by tangentially-arranged threaded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파이프가 서로 접속되는 단부에 대한 프랜지의 체결구조를 개량하여 써지나 순간 압력을 받았을 때 누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파이프의 단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서로 연결되는 한쌍의 파이프와, 이들 파이프의 연결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프랜지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개재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프랜지의 접속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O-링과, 상기 프랜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프랜지의 내측 중앙부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 둘레부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직선이고 상하는 장공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링은 양 파이프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되며, 상기 O-링은 프랜지의 한쪽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된 제1 및 제2요입홈 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양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 및 너트가 프랜지에 형성된 통공 내로 끼워져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Welding Zero 2 track O-ring LEE Joint Polygon Flange}
본 발명은 유체 이송시에 흔히 사용되는 배관 연결부의 기밀 유지에 관한 기술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 파이프가 서로 접속되는 단부에 대한 프랜지의 체결구조를 개량하여 써지(surge)나 순간 압력을 받았을 때 누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구성한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용 플랜트나 토목 배관, 빌딩 혹은 아파트 등과 같은 건축 구조물에는 실 생활에 필요한 물이나 가스 등과 같은 유체(流體)는 물론 생활 하수를 운반하기 위하여 여러 형태의 관로(管路)를 필요로 한다.
대개의 유체 이송용 파이프는 길이가 한정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작업이 수반된다. 이 경우 파이프의 단부를 맞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하거나 단부에 형성된 프랜지 사이에 고무패킹을 삽입한 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하는 방법, 또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커플링을 장착하여 단부를 결속하는 방법 등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각종 배관은 주변의 온도변화나 유체가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압력 등에 의해 신축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또 외부 충격은 물론 열팽창 등의 온도차에 의해 파이프가 변형되고 파손되어 버리는 일이 종종 발생한다.
예컨대, 파이프의 배관작업시 변형을 최소로 완화시켜 주기 위하여 파이프의 축선방향으로 신축성을 갖는 슬립 조인트를 설치하는 경우 진동이나 충격에 취약한 점이 있고, 임의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로운 볼 조인트는 수평방향으로의 떨림 및 진동시에 완충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배관 연결과 관련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12-0133501호에 개시된 프랜지 이음 방식은 복수의 볼트 체결용 관통공이 일정각도 이격되게 형성된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공수가 증가하게 됨은 물론 볼트 및 너트가 체결된 부위에만 체결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기밀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등록특허 제0291654호 공보에 개시된 「배관 이음용 커플링」에 있어서는, 원통형 소켓에 형성된 결속통로의 이음부분에 수개의 돌기가 걸려 연결상태는 유지되지만 틈새로 인한 유동성이 발생하여 일직선 상태로 고정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등록특허 제0941883호나 제0976588호 등을 포함한 다수의 공보에는 배관을 연결할 때 구조물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패킹의 일측을 이중 단부로 형성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연결구」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구조는 모두 나사의 큰 체결력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매우 뒤떨어지고, 다수의 부품들을 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용이 상당히 비싸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또, 등록특허 제1539540호에 개시된 프랜지 조립체에 있어서는 프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켓이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고정 작업시에 가스켓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가스켓이 공기 중에 그대로 노출되는 관계로 인해 경화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가스가 누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정수장이나 배수지에서 펌프를 가압하여 물을 송수시킬 때 파이프 내부에 공기가 잔류하게 되며, 이러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밸브를 여러군데 설치하고 있지만 공기가 100% 배출되지 않아 송수시에 수(水) 충격이 발생되어 누수되고, 심지어 파이프가 파손되어 많은 문제가 발생된다.
통상, 파이프 연결을 위해 맞대기 용접을 행하거나 혹은 소켓, 프랜지 등을 용접하는 방식, 파이프의 끝단부를 확관하여 소켓으로 만들어 조립하거나 현장에서 파이프의 끝단부를 90°로 성형한 후에 분할 프랜지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방식을 행하기도 하지만 별도의 전용 장비를 투입해야 함은 물론 현장에서의 작업 환경이 매우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0291654호(2001.03.14 등록) - 배관 이음용 커플링. 등록특허 제0941883호(2010.02.04 등록) - 배관 연결구. 등록특허 제0976588호(2010.08.11 등록) - 배관 연결구. 등록특허 제1539540호(2015.07.20 등록) - 덕트 연결용 프랜지 조립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공을 행하지 않은 파이프 단부에 장착되는 프랜지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손쉽게 연결시킬 수 있음은 물론 결속력이나 기밀성이 우수하여 수 충격이나 순간 압력을 받았을 때 파이프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현장에서의 별도 용접이나 성형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일반적인 배관 연결용 구조물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를 제공함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숙련된 고급 기술자에 의존하지 않고 초보 작업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파이프의 단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서로 연결되는 한쌍의 파이프와, 이들 파이프의 연결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프랜지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개재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프랜지의 접속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O-링과, 상기 프랜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프랜지의 내측 중앙부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관통공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 둘레부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직선이고 상하는 장공형의 통공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링은 양 파이프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되며, 상기 O-링은 프랜지의 한쪽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된 제1 및 제2요입홈 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양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 및 너트가 프랜지에 형성된 통공 내로 끼워져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랜지의 관통공에 단턱이 각각 형성되어 양 파이프 및 가이드링을 개재하여 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프랜지에 형성된 제1요입홈의 면적이 제2요입홈 보다 작고, 이들 요입홈에 내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O-링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것이다.
기존 KS D100 프랜지의 두께는 18t이며, 다각형 프랜지는 두께 10t를 사용하여도 이상이 없으며, 기존 KS D100 프랜지 볼트의 직경 및 길이 수량 M16×65 8개 토크 30kg인 반면에 다각형 프랜지는 프랜지 볼트의 직경 및 길이 수량 M12×35 4개 토크 12kg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에 의해, 양 파이프의 연결부 사이에 가이드링을 배치함으로써 프랜지의 상하 또는 좌우 조립시에 위치를 정확히 잡아줄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에 프랜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면에 2개의 O-링을 굵기와 깊이가 각각 다르게 장착함에 따라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종전의 배관연결 방식에 비해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다.
또, 체결볼트에 의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초보 작업자도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결속력이나 기밀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353044호에 개시된 메탈링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메탈링의 단면도,
도 3은 메탈링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메탈링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메탈링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6은 메탈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클램프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배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면 구성도,
도 12a, 도 12b는 전체 조립상태 단면도 및 일측 프랜지의 정면 상태도,
도 13은 표준형 프랜지에 가이드링 및 O-링이 장착된 프랜지의 정면 상태도,
도 14a, 도 14b는 기밀 구조체의 주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5는 기밀 구조체의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이 갖는 특정 구조 및 기능은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선행 등록특허 제1353044호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내용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한 후에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후술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탈링은 배관(100)의 프랜지(110) 보다 경도가 낮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되며, 링형상으로 형성된 바디(10)ㆍ프랜지부(11)ㆍ연장리브(12)ㆍ돌기부(13)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는 배관(100)의 프랜지(110) 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외주연의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링형상으로 프랜지부(11)가 구성되고, 이 프랜지부(11)의 내측에 배관(100)의 프랜지(110)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프랜지부(11)의 내경이 배관(100)의 프랜지(110) 외경보다 크게 구현되어 프랜지부(11)의 내측에 배관(100)의 프랜지(110)가 조립될 수 있으며, 또한 프랜지부(11)는 배관(100)의 프랜지(110)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로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메탈링의 돌기부(13)는 배관(100)의 프랜지(110) 단부에 가압되어 배관의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며, 바디(10)의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연장리브(12)가 형성되고, 이 연장리브(12)의 단부 양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링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13)는 서로 대향되는 양측 방향으로 뾰족하게 원추형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배관(100)의 프랜지(110) 단부에 가압 밀착될 수 있도록 프랜지(110)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 구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13)는 연장리브(12)의 단부 양측에 복수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양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배관(100)의 프랜지(110) 단부에 복수개의 돌기부(13)가 가압 밀착됨에 따라 배관의 기밀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장치는 두개의 배관을 서로 가압하여 기밀성을 유지하게 되며, 프랜지(110)가 구비된 두개의 배관(100)과, 프랜지(110) 사이에 결합되는 메탈링과, 프랜지(110)를 감싸 체결하는 클램프(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두개의 배관(100)은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프랜지(110)가 구비되고, 이 프랜지(110)는 배관(100) 보다 큰 외경으로 형성되는 한편 단부의 대향면에 테이퍼면(120)이 프랜지(110)의 단부 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20)는 바디(21)ㆍ체결볼트(25)ㆍ스토퍼(26)로 이루어지며, 바디(21)는 복수(2~3)의 링크부(22)로 연결되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클립암(24)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편 내측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클립홈(23)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홈(23)은 메탈링의 양측 프랜지부(11)에 배관(100)의 프랜지(110)가 마주하도록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 배관(100)의 테이퍼면(120)이 조립될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하여 점점 좁아지게 구성된다.
또, 클램프(20)를 구성하는 체결볼트(25)는 바디(21)를 조여서 서로 마주하는 배관(100)의 프랜지(110)를 가압하게 되며, 바디(21)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된 클립암(24)에 체결된다.
상기 스토퍼(26)는 체결볼트(25)의 풀림을 방지하게 되며, 체결볼트(25)의 머리부가 위치하는 바디(21)의 한쪽에 힌지(27)로 회동가능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6)는 한쪽 단부가 힌지(27)로 바디(21)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쪽에 체결볼트(25)의 풀림을 방지하는 체결공(28)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바디(21)의 클립암(24)에 체결볼트(25)를 결합한 상태에서 스토퍼(26)를 체결볼트(25)의 머리부 방향으로 회동시켜 체결공(28)을 체결볼트(25)의 머리부에 끼우면, 체결볼트(25)의 머리부 모서리가 체결공(28)의 모서리와 내주면에 밀착되어 걸리므로 체결볼트(25)의 풀림이 방지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공지 기술에 있어서는 상호 연결되는 파이프의 단부에 프랜지(120)를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현장에서 전용 장비를 이용하여 별도의 성형작업을 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바디(10)를 양 파이프 사이에 정확하게 밀착되도록 끼운 상태에서 클램프(20)의 클립암(24)을 결합하여 체결볼트(25)로 고정시키고, 스토퍼(26)를 이용하여 체결볼트(25)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평방향으로의 떨림 및 진동에 대한 완충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작업성이 떨어지고 여러 부품들로 인해 시공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기밀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로 연결해야 할 한쌍의 파이프(30A,30B)와, 이들 파이프(30A,30B)의 연결부 외주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프랜지(40)와, 상기 파이프(30A,30B)의 단부 사이에 개재되는 가이드링(50)과, 상기 프랜지(40)의 접속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O-링(60A,60B)과, 상기 프랜지(40)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30A,30B)는 직관이나 단관(31), T자관(32), 엘보우(33) 등과 같이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통상의 배관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프랜지(40)는 각각의 파이프(30A,30B)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단부의 외주면에 끼워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2개의 프랜지(40)는 구조상 차이를 가진다.
즉, 일측 프랜지(40)에는 파이프(30A)가 끼워지는 관통공(41)을 포함하여 이 관통공(41)의 양측에 단턱(42a,42b)이 절취되고, 외측 모서리부분에 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공(43)은 수직방향으로 직선형이고 상하는 호형의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타측 프랜지(40)의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파이프(30B)가 끼워지는 관통공(41)을 포함하여 이 관통공(41)의 양측에 단턱(42a,42b)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다수의 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통공(43)의 경우에도 수직방향으로 직선형이고 상하는 호형의 장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통공(43)의 형상에 따라 축방향보다 지진에 의한 상하방향을 보완할수 있다. 예를 들어 KS 프랜지의 경우 D100 Ø19-n8 볼트 사용시 M16으로 하여 3mm의 여유가 있고, 장공형 볼트는 M12로 하여 폭은 15mm로 3mm 여유가 있으며, 호형의 높이는 17mm로 5mm 여유가 있다.
이들 프랜지(40)의 외주 둘레부는 도면에 도시된 4각형 이외에 3각, 6각, 8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준형 프랜지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상기 양 프랜지(40) 중의 어느 한쪽면에 제1 및 제2요입홈(44a,44b)을 각각 별개로 구비하고 있으며, 이중에서 제1요입홈(44a)의 면적은 제2요입홈(44b)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링(50)의 경우, 양 프랜지(40)의 관통공(41)에 일측에 형성된 단턱(42a)에 조립되어 파이프(30A,30B)의 단부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O-링(60A,60B)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어 프랜지(40)의 한쪽 접속면에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요입홈(44a,44b) 내에 하나씩 끼워져 고정된다. 즉 이들 O-링(60A,60B)의 경우에도 안쪽에 배치되는 O-링(60A)의 직경이 바깥쪽의 O-링(60B) 보다 직경이 작게 구성된다.
또, 상기 파이프(30A,30B)의 단부는 프랜지(40)의 관통공(41)에 형성된 단턱(42b)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상기 체결부재(70)는 통상의 볼트(71a) 및 너트(71b)로 이루어져 양 파이프(30A,3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랜지(40)에 형성된 통공(43) 내로 끼워져 결속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먼저 양 파이프(30A,30B)의 단부에 프랜지(40)의 단턱(42b)을 끼워 조립한 후 이들 접속면을 용접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한쪽 프랜지(40)의 평면부에 형성된 제1 및 제2요입홈(44a,44b) 내로 2개의 O-링(60A,60B)을 각각 끼워넣는다.
그 후, 상기 프랜지(40)에 형성된 단턱(42a)을 이용하여 가이드링(50)을 배치하고, 양 파이프(30A,30B)의 길이방향으로 프랜지(40)의 통공(43)으로 각각의 체결부재(70)를 조립한 후 양 프랜지(40)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O-링(60A,60B)의 경우,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됨에 따라 내,외측으로 각각 배치된 O-링(60A,60B)에 압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이 O-링(60A,60B)이 프랜지(40)의 제1 및 제2요입홈(44a,44b) 내에서 옆으로 퍼지게 되고, 이로 인해 양 파이프(30A,30B)를 통해 흐르는 유체의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양 파이프(30A,30B)의 단부 사이에는 가이드링(50)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프랜지(40)의 상하 또는 좌우 조립시에 위치를 정확히 잡아줄 수 있어 초보 작업자라도 쉽게 작업을 행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 O-링(60A,60B)이 압력을 받을 경우에 골고루 분산되어 판형의 가스켓보다 두께가 가늘어도 고압에 사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기존 KS D100 프랜지의 두께는 18t이지만 다각형 프랜지의 경우 두께 10t를 사용하여도 이상이 없고, 기존 KS D100 프랜지 볼트의 직경 및 길이 수량 M16×65 8개 토크 30kg인 반면에 다각형 프랜지는 프랜지 볼트의 직경 및 길이 수량 M12×35 4개 토크 12kg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사각 프랜지(40)에 가이드링(50) 및 2개의 O-링(60A,60B)이 설치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K.S 표준형 프랜지(40A)에 원형의 통공(43a)이 형성된 경우에도 직경이 서로 다른 O-링(60A,60B)을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용 기밀 구조체에 의하면, 양 파이프의 연결부 사이에 가이드링을 배치함으로써 프랜지의 상하 또는 좌우 조립시에 위치를 정확히 잡아줄 수 있어 작업을 편리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에 프랜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면에 2개의 O-링을 굵기와 깊이가 각각 다르게 장착함에 따라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종전의 배관연결 방식에 비해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다.
또, 체결볼트에 의한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초보 작업자도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결속력이나 기밀성이 우수하여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30A,30B: 파이프 31: 단관
32: T자관 33: 엘보우
40,40A: 프랜지 41: 관통공
42a,42b: 단턱 43,43a: 통공
44a: 제1요입홈 44b: 제2요입홈
50: 가이드링 60A,60B: O-링

Claims (3)

  1.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파이프의 단부를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구조체로서,
    서로 연결되는 한쌍의 파이프(30A,30B)와, 이들 파이프의 연결부 외주면에 각각 장착되는 프랜지(40)와, 상기 파이프의 단부에 개재되는 가이드링(50)과, 상기 프랜지의 접속면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O-링(60A,60B)과, 상기 프랜지를 결속시키기 위한 체결부재(70)로 구성되며,
    상기 프랜지(40)의 내측 중앙부에 파이프가 끼워지는 관통공(41)이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 둘레부에는 수직방향으로부터 직선이고 상하는 장공형의 통공(43)이 형성되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링(50)은 양 파이프의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립되며,
    상기 O-링(60A,60B)은 프랜지의 한쪽면에 각각 별개로 형성된 제1 및 제2요입홈(44a,44b) 내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체결부재(70)는 양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볼트(71a) 및 너트(71b)가 프랜지에 형성된 통공(43) 내로 끼워져 결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40)의 관통공(41)에 단턱(42a,42b)이 각각 형성되어 양 파이프(30A,30B) 및 가이드링(50)을 개재하여 조립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40)에 형성된 제1요입홈(44a)의 면적이 제2요입홈(44b) 보다 작고, 이들 요입홈에 내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는 O-링(60A,60B)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KR1020190129661A 2019-10-18 2019-10-18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KR202100461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61A KR20210046188A (ko) 2019-10-18 2019-10-18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9661A KR20210046188A (ko) 2019-10-18 2019-10-18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188A true KR20210046188A (ko) 2021-04-28

Family

ID=7572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9661A KR20210046188A (ko) 2019-10-18 2019-10-18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18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654B1 (ko) 1998-08-14 2001-07-12 이도연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0976588B1 (ko)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654B1 (ko) 1998-08-14 2001-07-12 이도연 배관이음용커플링
KR100976588B1 (ko) 2008-03-18 2010-08-18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0941883B1 (ko) 2009-07-17 2010-02-16 두리화학 주식회사 배관연결구
KR101539540B1 (ko) 2014-10-08 2015-07-24 주식회사 비비테크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2427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WO2015170407A1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治具
US20120145270A1 (en) Pipe clamp assembly with tightening element bushing
KR101916892B1 (ko) 패스트 그루브 조인트
TW200923239A (en) Loose flange type pipe joint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US20170241578A1 (en) Pipe connecting device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KR20180091459A (ko) 무용접 배관 플랜지 연결구
KR101915492B1 (ko) 무용접 조립식 배관 플랜지 연결구
CA2918203C (en) Pipe coupling capsulation assembly
KR100942957B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US3917324A (en) Pipe joint
KR101267263B1 (ko) 이음부의 누수를 방지하는 상수관 연결구조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JP6262544B2 (ja) フランジ接合部補強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環状保護部材
KR20210046188A (ko) 무용접 투트랙 오링 리 조인트 다각형 프랜지
CN203115338U (zh) 压缩式单卡套接头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CA2911611C (en) Pipe clamp assembly with stiffening element
JP2019120379A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KR102013248B1 (ko) 러그 플랜지 타입 배관 조립체
JP3217571U (ja) ハウジング形管継手
JP7072485B2 (ja) 絶縁継手構造
KR20120007452U (ko) 관연결장치에 이용되는 금속링을 갖는 가스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