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156A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156A
KR20210042156A KR1020217007532A KR20217007532A KR20210042156A KR 20210042156 A KR20210042156 A KR 20210042156A KR 1020217007532 A KR1020217007532 A KR 1020217007532A KR 20217007532 A KR20217007532 A KR 20217007532A KR 20210042156 A KR20210042156 A KR 2021004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stage
sliding
suppor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070B1 (ko
Inventor
타다아키 모리타
Original Assignee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로레루 머시너리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로레루 머시너리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로렐뱅크머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4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6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65H2402/31Pivoting suppor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3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 B65H2404/531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 coefficient of friction
    • B65H2404/5311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2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o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2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on edge
    • B65H2405/2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212Parts and details thereof en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65H2511/22Distance
    • B65H2511/222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지엽류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어, 상기 지엽류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8년 9월 13일에 출원된 특원 2018-17171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부터 지엽류를 처리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지엽류 처리 장치는, 수입구(受入口)에 집적 상태로 투입된 지엽류를 기내에 한 장씩 들여와, 수입구로부터 들여온 지엽류를 반송하는 반송로 상에 설치된 식별부에서 식별하고, 식별부에서 식별된 종별에 따라 지엽류를 수용부로 분류하여 외부로 꺼낼 수 있게 수용한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 2017-182312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과 같은 종래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는, 수용부 내에 수용된 지엽류를 꺼내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엽류를 꺼내는 것이 용이해지는 지엽류 처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지엽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지엽류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어, 상기 지엽류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엽류를 꺼내는 것이 용이해지는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정면측에서 본 내부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변형예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변형예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변형예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변형예 7-2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변형예 7-2의 수용부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지엽류 처리 장치(1)를 나타낸다. 지엽류 처리 장치(1)는, 지엽류로서 주로 지폐를 분류하는 처리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엽류 처리 장치(1)는, 투입된 지엽류(S)를, 계수 대상인 계수 대상 지엽류와 계수 대상이 아닌 리젝트 지엽류로 분류한다. 지엽류 처리 장치(1)는, 또한, 계수 대상 지엽류를 종류별로 계수하여 종류별로 수용하고, 계수 결과와 수용처를 관련지어 표시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은 조작자측, "후"는 조작자와는 반대측, "우"는 조작자로부터 봐서 우측, "좌"는 조작자로부터 봐서 좌측이다.
제1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1)는, 계수 유닛(2)과 수용 유닛(3)이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1대의 계수 유닛(2)에 1대의 수용 유닛(3)을 조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1대의 계수 유닛(2)에 대해 복수 대의 수용 유닛(3)이 이어진 상태로 설치해도 된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수 유닛(2)은, 수입부(受入部)(11)와 리젝트부(13)를 갖고 있다. 수입부(11)는, 계수 유닛(2)의 우측면 측의 하부에 설치되어, 우측면 및 전면에 걸쳐 계수 유닛(2) 밖, 즉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상시 개구된다. 리젝트부(13)는, 계수 유닛(2)의 우측면 측의 상부에 설치되어, 우측면 및 전면에 설쳐 계수 유닛(2) 밖, 즉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상시 개구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젝트부(13) 및 수입부(11)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리젝트부(13) 및 수입부(11)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리젝트부(13) 및 수입부(11)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입부(11)에는, 복수 장의 지엽류(S)가 그 장변(장변부)을 전후를 따르게 하고, 그 단변(단변부)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하여 상하 방향으로 집적된 상태로 세팅되게 된다. 수입부(11)는, 이렇게 세팅된 집적 상태의 지엽류(S)를 가장 아래의 것부터 한 장씩 분리하여 내보내 지엽류 처리 장치(1) 내로 들여온다. 수입부(11)로부터 내보내지는 지엽류(S)는, 그 단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계수 유닛(2)은, 그 하우징의 내부에,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와, 식별부(22)를 갖는다.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는, 수입부(11)로부터 내보내진 지엽류(S)를 반송한다. 식별부(22)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로 반송중인 지엽류(S)를 식별하면서 계수한다.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로 반송되는 지엽류(S)는, 그 단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식별부(22)는, 검출부(23)와 식별 본체부(24)를 갖고 있다. 검출부(23)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의 수입부(11) 측의 단부 위치에 설치되어, 수입부(11)가 내보내는 지엽류(S)의 반송 상태를 검출한다. 식별 본체부(24)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의 검출부(23)보다 하류 측에 설치되어, 지엽류(S)의 반송 상태의 검출과는 다른 처리, 구체적으로는 금종 등의 종류의 식별을 행한다.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는, 좌방 연장부(21a)와, 상방 연장부(21b)와, 좌방 연장부(21c)와, 분기 연장부(21e)를 갖고 있다. 좌방 연장부(21a)는, 수입부(11)로부터 계수 유닛(2)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나간다. 상방 연장부(21b)는, 좌방 연장부(21a)의 좌측면 근방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좌방 연장부(21c)는, 상방 연장부(21b)의 상단부로부터 계수 유닛(2)의 좌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나가 좌측면에 개구된다. 분기 연장부(21e)는, 상방 연장부(21b)의 식별부(22)보다 상측으로부터 분기하여, 계수 유닛(2)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나가 리젝트부(13)에 연결된다.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에는, 연직 방향을 따르는 상방 연장부(21b)에 식별부(22)의 식별 본체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유닛(3)의 내부에는,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는, 계수 유닛(2)의 좌방 연장부(21c)에 접속되어, 좌방 연장부(21c)로부터 내보내진 지엽류(S)를 반송한다.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로 반송되는 지엽류(S)도, 그 단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는, 연결 반송 구성부(27A)와 분기 반송 구성부(27B)를 갖고 있다. 연결 반송 구성부(27A)는, 수용 유닛(3)의 우측면의 상부에 개구되고, 수용 유닛(3)의 좌측면을 향해 수평 또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나가, 좌측면의 상부에 개구된다. 분기 반송 구성부(27B)는, 연결 반송 구성부(27A)의 좌측 부분으로부터 하측으로 분기한다. 연결 반송 구성부(27A)와 분기 반송 구성부(27B)는, 각각 개별의 구동 모터를 갖고 있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1대의 계수 유닛(2)에 대해 수용 유닛(3)이 복수 대 이어져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는, 복수 대의 수용 유닛(3)을 좌우 방향으로 늘어놓아 연결한다. 복수 대의 수용 유닛(3) 중 하나는, 연결 반송 구성부(27A)와 직접 연결한다. 그 이외의 수용 유닛(3)은, 서로 이웃하는 수용 유닛(3)을 개재하여, 연결 반송 구성부(27A)와 접속한다.
분기 반송 구성부(27B)는, 하방 연장부(27Ba)와,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의 분기 연장부(27Bb)를 갖고 있다. 하방 연장부(27Ba)는, 연결 반송 구성부(27A)의 좌측으로부터 분기하여 연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하방 연장부(27Ba)에 있어서의 연결 반송 구성부(27A)와는 반대의 말단부가, 수용 유닛(3)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나간다. 3개의 분기 연장부(27Bb)는, 하방 연장부(27Ba)의 중간 위치로부터 분기하여 수용 유닛(3)의 우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나간다. 하방 연장부(27Ba)의 말단부와 3개의 분기 연장부(27Bb)에, 각각, 지엽류(S)를 집적시켜 그 내부(내부 공간)에 수용하는 수용부(14)가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1대의 수용 유닛(3)에는, 복수, 구체적으로는 4개의 수용부(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4)는, 모두 수용 유닛(3)의 전면, 즉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5)를 갖고 있다. 복수의 수용부(14)는, 각각의 개구부(15)에 있어서, 수용 유닛(3) 밖, 즉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상시 개구되어 있다. 수용 유닛(3)의 전면, 즉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에는, 복수, 구체적으로는 4개의 상태 표시부(28)가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상태 표시부(28)는, 각각 일대일로 4개의 수용부(14)와 대응한다. 각 상태 표시부(28)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대응하는 수용부(14)의 높이 방향의 위치에 맞춰져 있다. 각 상태 표시부(28)는, 대응하는 수용부(14)의 왼쪽 옆에 위치한다. 각 상태 표시부(28)는, 대응하는 수용부(14)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의 장수 등을 표시한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용부(14)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용부(14)의 위치는 일치되어 있다. 복수의 수용부(14)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수용부(14)의 위치는, 계수 유닛(2)에 설치된 수입부(11) 및 리젝트부(13)의 위치와 일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접속된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와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가, 수입부(11)로부터 내보내진 지엽류(S)를 반송하는 반송부(30)를 구성하고 있다. 반송부(30)에 의한 반송 중에 지엽류(S)가 식별부(22)로 식별되면, 반송부(30) 중 식별부(22)보다 하류측의 부분이 식별부(22)의 식별 결과에 의거해 지엽류(S)를, 리젝트부(13) 및 복수의 수용부(14) 중 하나로 택일적으로 배분한다.
지엽류 처리 장치(1)에 있어서, 리젝트부(13) 및 복수의 수용부(14)는, 식별부(22)의 식별 결과에 의거해 지엽류(S)를 분류하여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꺼낼 수 있게 수용한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14)에서는,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15)로부터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방으로 지엽류(S)가 뽑아 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젝트부(13)에는, 수입부(11)로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들여온 지엽류(S) 중에서, 식별부(22)에서 계수 대상 지엽류 이외의 지엽류인 리젝트 지엽류로 식별된 지엽류(S)가 반송된다. 리젝트부(13)는, 반송된 지엽류(S)를 받아들여, 집적된 상태의 지엽류(S)를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꺼낼 수 있게 수용한다.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는, 지엽류(S)를 리젝트부(13)에 내보낸다. 리젝트부(13)는, 이렇게 내보내진 지엽류(S)를 내보냄 순(바꿔 말하면 수입부(11)의 들여옴 순)으로 아래에서 위로 집적한다. 지엽류(S)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의 분기 연장부(21e)로부터 리젝트부(13)로 내보내지면, 리젝트부(13) 내에서, 장변을 전후 방향을 따르게 하고, 단변을 좌우 방향을 따르게 하여 아래에서 위로 집적된다.
복수의 수용부(14)에는, 수입부(11)로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들여온 지엽류(S) 중에서, 식별부(22)에서 계수 대상 지엽류로 식별되어 종류별로 계수된 지엽류(S)가 종류별로 반송된다. 복수의 수용부(14)는, 반송된 지엽류(S)를 받아들여, 집적된 상태의 지엽류(S)를 지엽류 처리 장치(1) 밖으로 꺼낼 수 있게 수용한다. 수용 유닛 내 반송 구성부(27)는, 지엽류(S)를 지엽류(S)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수용부(14) 중 어느 하나로 내보낸다. 각 수용부(14)는, 이렇게 내보내진 지엽류(S)를 내보냄 순(바꿔 말하면 수입부(11)의 들여옴 순)으로 우측 아래로부터 좌측 위의 방향으로 집적시킨다.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 처리 장치(1)의 계수 유닛(2)의 전면에는, 조작 표시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 표시부(31)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임과 더불어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수 유닛(2)의 내부에는, 제어부(32)와 기억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32)는, 계수 유닛(2) 및 계수 유닛(2)에 연결된 수용 유닛(3)의 각 부를 제어한다. 기억부(33)는, 식별의 기준이 되는 마스터 데이터나 식별 계수 결과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수입부(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우측면 측에 우측방 및 전방으로 상시 개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수입부(11)는, 저부(40)와 벽부(41)와 벽부(43)를 갖고 있다. 저부(40)는, 수평에 대해서 약간 좌측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벽부(41)는, 저부(40)의 좌단 위치로부터 저부(40)에 대해서 수직을 이루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벽부(43)는, 저부(40)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저부(40) 및 벽부(41)는 전후 방향으로 펼쳐져 있으며, 벽부(43)는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저부(40)와 벽부(41)와 벽부(43)는 서로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엽류(S)는, 벽부(41)에 한쪽의 장변이 맞닿고 또한 벽부(43)에 한쪽의 단변이 맞닿은 상태로 수입부(11)에 집적되어, 저부(40) 상에 세팅된다. 수입부(11)는, 빌 프레스(45)를 갖는다. 빌 프레스(45)는, 저부(40)의 상방에 설치되어, 벽부(41)를 따라 승강한다. 빌 프레스(45)는, 저부(40) 상에 올려놓아진 지엽류(S)를 저부(40)를 향해 누른다.
수입부(11)는, 축출(蹴出) 롤러(51)와 취입(取入) 롤러(52)와 분리 롤러(53)를 갖고 있다. 축출 롤러(51)는, 저부(40) 상에 세팅된 지엽류(S) 중의 가장 아래의 지엽류(S)를 좌방의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를 향해 차낸다. 취입 롤러(52)는, 축출 롤러(51)로 차내어진 지엽류(S)를 지엽류 처리 장치(1)의 내부에 들여와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에 건네준다. 분리 롤러(53)는, 취입 롤러(52)로 들여오는 지엽류(S)를 한 장씩으로 분리한다. 축출 롤러(51), 취입 롤러(52) 및 분리 롤러(53)가, 수입부(11)에 세팅된 지엽류(S)를 한 장씩 분리하여 지엽류 처리 장치(1)의 내부에 들여오는 취입부(55)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한 식별부(22)의 검출부(23)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의 좌방 연장부(21a)에 있어서의 수입부(11)의 근방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지엽류(S)의 수입부(11)로부터의 내보냄의 유무 및 지엽류(S)의 반송 상태를 검출한다. 검출부(23)는, 지엽류(S)의 광투과율 혹은 물리적 두께로부터 겹침 이송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부(23)는, 지엽류(S)의 장변 방향 양측의 각각의 검지 타이밍의 차이로부터 사행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부(23)는, 서로 이웃하는 지엽류(S)의 각각의 검지 타이밍의 간격으로부터 니어 피드의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부(23)에서, 겹침 이송, 사행 및 니어 피드가 모두 없는 것으로 검출된 지엽류(S)는, 바꿔 말하면 검출부(23)에서 정상 반송인 것이 검출된 지엽류(S)이다.
식별부(22)의 식별 본체부(24)는, 지엽류(S)의 가시광선 조사시 및 자외선 조사시의 화상을 검출함과 더불어, 검출된 각 화상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한다. 식별 본체부(24)는, 지엽류(S)의 종류를, 그 지엽류(S)의 화상과 일치한다고 판정된 기준 데이터의 종류로 특정한다. 이렇게 종류가 특정된 지엽류(S)는, 식별 이상이 없는 지엽류(S)가 된다. 한편, 식별 본체부(24)는, 지엽류(S)의 화상과 일치한다고 판정되는 기준 데이터가 없는 경우, 그 지엽류(S)를 식별 이상이 있는 지엽류(S)로 특정한다.
리젝트부(13)는, 저부(60)와 벽부(61)와 벽부(63)를 갖고 있다. 저부(60)는 수평에 대해서 약간 좌측 아래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벽부(61)는, 저부(60)의 좌단 위치로부터 저부(60)에 대략 수직을 이루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벽부(63)는, 저부(60)의 후단 가장자리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저부(60) 및 벽부(61)는 전후 방향으로 펼쳐져 있으며, 벽부(63)는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벽부(61)의 상부에는, 날개차(65)가 설치되어 있다. 날개차(65)는, 계수 유닛 내 반송 구성부(21)의 분기 연장부(21e)의 단말 위치의 근방에 설치되며, 분기 연장부(21e)로 반송되어 온 지엽류(S)를 내보내 저부(60)에 집적시킨다. 날개차(65)는, 분기 연장부(21e)로 반송되어 온 지엽류(S)를 날개와 날개 사이에 끼워 함께 회전하고, 이 지엽류(S)가 벽부(61)에 닿아 날개와 날개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면, 이 지엽류(S)를 날개로 저부(60) 측, 즉 하방으로 누른다.
리젝트부(13)는, 리젝트부(13) 내의 지엽류(S)의 유무를 검지하는 지엽류 유무 검지 센서(미도시)와, 이 지엽류 유무 센서의 검지 결과에 의거하여 점등 상태가 전환되는 유무 표시 조명(미도시)을 갖는다. 유무 표시 조명은, 리젝트부(13) 내에 지엽류(S)가 있는 것이 지엽류 유무 검지 센서로 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점등되고, 리젝트부(13) 내에 지엽류(S)가 없는 것이 지엽류 유무 검지 센서로 검지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소등된다. 또, 유무 표시 조명은, 예를 들면 리젝트부(13) 내에 지엽류(S)가 풀 상태가 되면 점멸한다.
유무 표시 조명은, 예를 들면 저부(60)에, 계수 유닛(2), 즉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 위치 및 우측면 위치에서 밖을 향해 발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낸 커버(66)에 유무 표시 조명을 설치해도 된다. 그 경우, 커버(66)를 투명 재료로 형성하여, 커버(66)의 전체가 빛나도록 해도 된다. 커버(66)는, 날개차(65)로 내보내진 지엽류(S)를 안내하여 저부(60)에 집적시킨다.
복수의 수용부(14)는, 모두 같은 구성이며, 상기한 개구부(15)와, 수용 저부(70)와, 수용 안쪽 벽부(73)를 갖고 있다. 개구부(15)는,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에 개구된다. 수용 저부(70)는, 수평에 대해 오른쪽 아래로 경사진다. 수용 안쪽 벽부(73)는, 수용 저부(70)의 뒤측에서 펼쳐진다. 수용 저부(70)는, 그 상방을 향하는 상면(71)을 갖는다. 상면(71)은, 오른쪽 아래로 경사져 전후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수용 안쪽 벽부(73)는, 그 전방으로 향하는 안쪽 벽면(74)을 갖는다. 안쪽 벽면(74)은,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바꿔 말하면, 안쪽 벽면(74)은,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수용 유닛(3)은, 수용부(14)의 각각의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 전체가 수용부(14) 내에 배치되는 후퇴단 위치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일부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돌출되는 전진단 위치의 사이에서, 수용부(14)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도 3의 위에서 1번째, 3번째 및 4번째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3의 위에서 2번째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전진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지엽류(S)를 받아들이는 대기 상태이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전진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수용하고 있는 지엽류(S)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밀어냄 상태이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지지 스테이지(82)와, 압출 스테이지(85)를 갖고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수용 저부(70)의 우단 위치로부터 우측 위로 연장되어 나간다. 압출 스테이지(85)는, 지지 스테이지(82)보다 뒤쪽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수용 저부(70) 측을 향하는 지지면(83)을 갖는다. 지지면(83)은, 우측 위로 경사져, 전후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압출 스테이지(85)는, 그 전방을 향하는 전면인 압출면(86)을 갖는다. 압출면(86)은, 지지 스테이지(82)의 뒤쪽에서 연직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바꿔 말하면, 압출면(86)은, 전후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수용 안쪽 벽부(73)의 안쪽 벽면(74) 및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은, 수용 저부(70)의 상면(71) 및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이 수용 안쪽 벽부(73)의 안쪽 벽면(74)과 대략 단차 없이 배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 반송 구성부(27B)의 하방 연장부(27Ba)의 말단 위치 및 각 분기 연장부(27Bb)의 말단 위치에는, 날개차(75)가 설치되어 있다. 각 날개차(75)는, 대응하는 수용부(14) 내에 지엽류(S)를 내보낸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차(75)는, 수용부(14)에 있어서의 수용 저부(70)의 지지 스테이지(82)와는 반대측, 즉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날개차(75)는, 둘레 방향으로 소정의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둘레 방향 동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다수의 날개(76)를 갖는다. 날개차(75)는, 지지 스테이지(82)와 대향하는 부분이 위에서 아래로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날개(76)가 지지 스테이지(82)와 대향하는 상태에 있어서, 그 고정단이 하측에 위치함과 더불어 그 자유단이 상측에 위치한다.
날개차(75)는, 분기 반송 구성부(27B)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반송되어 온 지엽류(S)를 상부에 위치하는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에 끼워 지엽류(S)와 함께 회전한다. 날개차(75)는, 이 지엽류(S)가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아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면, 이 지엽류(S)를 날개(76)로 지지 스테이지(82) 측에 누른다. 이 때, 지엽류(S)는, 단변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르게 하고 또 그 하단의 장변을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게 한 상태로 수용 저부(70)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지엽류(S)는,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에 두께 방향 일측의 면이 겹쳐진 상태로,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내보내지는 지엽류(S)는, 그 전에 내보내진 지엽류(S)와 마찬가지로 하여, 단변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르게 하고 또 그 하단의 장변을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게 한 상태로 수용 저부(70)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지엽류(S)는, 이미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되어 있는 지엽류(S)의 두께 방향 타측의 면에, 두께 방향 일측의 면이 겹쳐진 상태로,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된다. 이렇게 하여, 지엽류(S)가 두께 방향으로 차례로 집적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에 올려놓아진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복수의 수용부(14)의 각각에도, 리젝트부(13)와 같은 지엽류 유무 센서 및 유무 표시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14)의 유무 표시 조명은, 예를 들면 수용 저부(70)에, 수용 유닛(3), 즉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 위치에서 밖을 향해 발광한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4)는, 저부 구성 부재(101)와,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와, 2개의 상기한 날개차(75)와, 날개차 지지축(103)과, 지지축 지지 부재(104)를 갖고 있다. 저부 구성 부재(101)는, 판금 부품이며, 상기한 상면(71)을 포함하는 수용 저부(70)를 갖는다.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는, 합성 수지제이며, 상기한 안쪽 벽면(74)을 포함하는 수용 안쪽 벽부(73)를 갖는다. 날개차 지지축(103)은, 2개의 날개차(75)를 지지한다. 지지축 지지 부재(104)는, 합성 수지제이며, 날개차 지지축(10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저부 구성 부재(101)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에 연결 부재(112)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저부 구성 부재(101)에 지지축 지지 부재(104)가 고정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는, 판금 부품이며,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에 고정된 저부 구성 부재(101) 및 지지축 지지 부재(104)도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 지지 부재(104)는,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에도 고정되어 있다.
2개의 날개차(75)는, 지지축 지지 부재(104)로 지지되는 날개차 지지축(103)및 이 날개차 지지축(103)으로 지지되어, 날개차 지지축(103)의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2개의 날개차(75)는,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도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저부 구성 부재(101)는, 수용 저부(70)와, 복수의 릴리프 홈(121)과, 지지 벽부(122)와, 연장부(125)와, 장착부(126)를 갖고 있다. 수용 저부(70)는, 상기한 상면(71)을 포함한다. 릴리프 홈(121)의 수는, 날개차(75)와 동수, 즉 2개이다. 각 릴리프 홈(121)은, 수용 저부(70)의 날개차(75)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저부 구성 부재(101)가 날개차(7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관통공이다. 지지 벽부(122)는, 수용 저부(70)의 릴리프 홈(121)과는 반대측의 단연부(端緣部)로부터 수용 저부(70)에 대해 수직으로 올라간다. 연장부(125)는, 지지 벽부(122)의 수용 저부(70)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수용 저부(70)와 평행으로, 수용 저부(70)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장착부(126)는, 연장부(125)의 지지 벽부(122)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지지 벽부(122)와 평행으로, 지지 벽부(122)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은, 수용 저부(70)의 상면(71)과 연결되어 상면(71)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저부 구성 부재(101)의 장착부(126)에 연결 부재(112)가 장착된다. 저부 구성 부재(101)는, 연결 부재(112)를 통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축 지지 부재(104)는, 축 보호부(131)와, 축 보호부(132)와, 축 보호부(133)를 갖고 있다. 축 보호부(131)는, 날개차 지지축(10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한쪽의 날개차(75)의 다른쪽의 날개차(75)와는 반대측에서 날개차 지지축(103)을 덮는다. 축 보호부(132)는, 다른쪽의 날개차(75)의 한쪽의 날개차(75)와는 반대측에서 날개차 지지축(103)을 덮는다. 축 보호부(133)는, 2개의 날개차(75) 사이에 설치되어 날개차 지지축(103)을 덮는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차 지지축(103)은, 주위 지지 부재(141)로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주위 지지 부재(141)는, 판금 부품이며,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주위 지지 부재(141)는, 축 지지판부(143)와, 구동계 지지판부(144)와, 중간 연장판부(145)와, 선단 연장판부(146)를 갖고 있다. 축 지지판부(143)는, 날개차 지지축(103)을 지지한다. 구동계 지지판부(144)는, 이 축 지지판부(143)의 일 단연부로부터 축 지지판부(143)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중간 연장판부(145)는, 축 지지판부(143)의 구동계 지지판부(144)와는 반대측의 타 단연부로부터,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지지판부(143)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선단 연장판부(146)는, 이 중간 연장판부(145)의 축 지지판부(143)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축 지지판부(143)와 평행으로, 축 지지판부(143)와 서로 마주보도록 연장되어 나간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지지판부(143)의 뒤쪽에는, 복수의 기어 등으로 구성되는 날개차용 전달부(151)가 설치되어 있다. 축 지지판부(143)의 앞쪽에는, 날개차용 전달부(151)를 통해 날개차 지지축(103), 즉 날개차 구동 모터(152)가 장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날개차용 전달부(151)는, 날개차 구동 모터 (152)의 구동력을 날개차(75)에 전달한다. 날개차 구동 모터(152)는, 날개차(75)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이다. 날개차(75)가 날개차 구동 모터(152)로 구동되면, 날개(76)가, 도 4~도 6에 나타내는 저부 구성 부재(101)의 릴리프 홈(121) 내를 위에서 아래로 통과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결과, 날개차(75)는, 분기 반송 구성부(27B)의 하방 연장부(27Ba) 및 3개의 분기 연장부(27Bb) 중 대응하는 것으로 반송되어 온 지엽류(S)를 수취하여 수용부(14) 내로 내보낸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 지지 부재(141)에는, 상기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가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축 지지판부(143)의 구동계 지지판부(144) 측의 단부에, 연결판(155)을 통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가 연결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는, 주위 지지 부재(141)의 중간 연장판부(145)를 따라 연장되어 있으며, 중간 연장판부(145)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와 연결판(155)과 주위 지지 부재(141)가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와 연결판(155)과 주위 지지 부재(141)가, 전체적으로 평면에서 봤을 때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들 주위 지지 부재(141), 연결판(155) 및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의 내측에, 상기한 저부 구성 부재(101)와 지지축 지지 부재(104)와 날개차 지지축(103)과 2개의 날개차(75)와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 및 주위 지지 부재(141)의, 축 지지판부(143)와는 반대측이 도 1, 도 3에 나타낸 수용부(14)의 개구부(15)의 바로 뒤의 위치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지지 스테이지(82) 및 압출 스테이지(85)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지 지지축(161)과, 베이스 스테이지(162)와, 브래킷(163)과, 레일 부재(164)와, 탄성가압 부재(165)를 갖고 있다. 스테이지 지지축(161)은, 지지 스테이지(82)를 지지한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스테이지 지지축(161)을 지지한다. 브래킷(163)은, 압출 스테이지(85)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를 지지한다. 레일 부재(164)는 브래킷(163)을 지지한다.
브래킷(163)은 레일 부재(164)에 고정되어 있다. 압출 스테이지(85)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브래킷(163)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 부재(164)와 브래킷(163)과 압출 스테이지(85)와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스테이지 지지축(161)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대해 요동한다. 즉, 지지 스테이지(82)는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대해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테이지 지지축(161)의 중심축이, 지지 스테이지(82)의 요동 중심이 된다.
레일 부재(164)는, 레일부(171)와, 랙 기어부(172)와, 브래킷 장착부(173)를 갖고 있다. 레일부(171)는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랙 기어부(172)는,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 장착부(173)는,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의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브래킷(163)이 장착되어 있다. 랙 기어부(172) 및 브래킷 장착부(173)는,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의 동측에,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과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레일부(171)에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 홈(175, 176)이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면에서의 단면이 H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랙 기어부(172)는,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다수의 치부(齒部)(178)를 갖고 있다. 한쪽의 레일 홈(175)은, 랙 기어부(172)의 치부(178)가 향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다른쪽의 레일 홈(176)은, 치부(178)가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브래킷(163)은, 레일 부재 장착부(181)와, 베이스 스테이지 장착부(182)와, 압출 스테이지 장착부(183)를 갖고 있다. 레일 부재 장착부(181)는, 레일 부재(164)의 브래킷 장착부(173)에 장착된다. 베이스 스테이지 장착부(182)는, 레일 부재(164)에 장착된 상태로 한 쌍의 레일 홈(175, 176)이 늘어서는 방향이며 한 쌍의 레일 홈(175, 176)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펼쳐진다. 압출 스테이지 장착부(183)는, 레일 부재(164)에 장착된 상태로 베이스 스테이지 장착부(182)의 랙 기어부(172) 측의 단부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지 장착부(182)에 대해 수직으로, 레일부(171)와는 반대 방향으로 펼쳐진다. 압출 스테이지 장착부(183)는,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합성 수지제의 판형상 부재이며, 브래킷 장착부(191)와 베이스 연장부(192)를 갖고 있다. 브래킷 장착부(191)는, 브래킷(163)의 베이스 스테이지 장착부(182)에 장착된다. 베이스 연장부(192)는, 브래킷(163)에 장착된 상태로 브래킷 장착부(191)로부터 랙 기어부(172)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브래킷 장착부(191)와 베이스 연장부(192)를 잇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이 연장 방향을 따르는 일측의 단연부에, 이 단연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스테이지 지지축(161)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193)를 갖고 있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지지부(193)의 근방에, 지지 스테이지(82)의 요동을 규제하는 베이스측 맞댐부(195)를 갖고 있다.
압출 벽부(201)는 상기한 압출면(86)을 갖는다. 압출 스테이지(85)에 있어서의 압출면(86)과는 반대측의 부분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163)의 압출 스테이지 장착부(183)에 고정되어 있다. 압출 스테이지(85)는, 주체 벽부(203)와 주체 몸통부(204)를 갖고 있다. 주체 벽부(203)는, 압출 벽부(201)의 일부를 구성함과 더불어 브래킷(163)에 장착된다. 주체 몸통부(204)는, 브래킷(163)에 장착된 상태로 주체 벽부(203)의 주연부로부터 베이스 스테이지(162)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주체 벽부(203)와 주체 몸통부(204)가 압출 주체부(205)를 구성하고 있다. 주체 벽부(203)에 있어서의 주체 몸통부(204)와는 반대측의 면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출면(86)의 일부를 구성하는 주체 압출면(206)이 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 몸통부(204)에 있어서의 레일 부재(164) 측의 부분이 몸통부 개구(211)가 되고 있다. 주체 몸통부(204)에 있어서의 주체 벽부(203)와 평행한 면에서의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주체 몸통부(204) 내는 공간부(212)가 되고 있다. 이 공간부(212)는 몸통부 개구(211)를 통해 레일 부재(164) 측으로 빠져 있다.
압출 스테이지(85)는, 압출 주체부(205)의 레일 부재(164)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레일 부재(164)와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연장 압출부(221)를 갖고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장 압출부(221)는, 연장 벽부(222)와 연장 몸통부(223)를 갖고 있다. 연장 벽부(222)는, 주체 벽부(203)의 연장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출 벽부(201)의 일부를 구성한다. 연장 몸통부(223)는, 연장 벽부(222)의 주연부로부터 주체 몸통부(204)와 동측으로 연장되어 나간다. 연장 벽부(222)의 연장 몸통부(223)와는 반대측의 부분이 연장 압출면(224)이 되고 있다. 주체 벽부(203)와 연장 벽부(222)가 압출 벽부(201)를 구성한다. 연장 압출면(224)은, 주체 압출면(206)과 대략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연장 압출면(224)과 주체 압출면(206)이 압출 벽부(201)의 압출면(86)을 구성한다.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체 벽부(203)는, 연장 압출부(221)의 기단 근방 위치에, 복수의 관통 구멍(231)을 갖는다. 복수의 관통 구멍(231)은, 주체 벽부(20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주체 벽부(203)는, 연장 압출부(221)와는 반대 측에,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가이드 홈(232)을 갖는다. 각 가이드 홈(232)은 원호 형상이며, 주체 압출면(206)보다 하방으로 패여 있다. 이들 가이드 홈(232)은, 베이스 스테이지(162)로 지지된 스테이지 지지축(161)을 중심으로 하는 같은 중심각의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합성 수지제의 판형상 부재이며, 주판부(241)와 돌출부(242)를 갖고 있다. 주판부(24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돌출부(242)의 길이는, 주판부(241)보다 짧다. 돌출부(242)는, 주판부(241)의 길이 방향의 일측으로부터 주판부(241)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이들 주판부(241) 및 돌출부(242)에 지지면(83)을 갖는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주판부(241)의 돌출부(242) 측의 단연부와, 이 단연부에 연결되는 돌출부(242)의 단연부가, 잘려나간 형상의 절결부(243)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스테이지(82)는, 돌출부(242)와 절결부(243)가 나란히 설치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주판부(241)의 돌출부(242)와는 반대측의 단연부로부터 돌출부(242)와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구체적으로는 3개소의 결합 돌기(245)를 갖고 있다.
주판부(241)에는, 관통공(246)이 복수, 구체적으로는 2개소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공(246)은, 주판부(241)를 그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한다. 주판부(241)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S) 중 장변이 가장 짧은 지엽류(S)의 장변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또, 지지 스테이지(82)의 주판부(241)와 돌출부(242)를 합한 길이 방향의 길이는,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S) 중 장변이 가장 긴 지엽류(S)의 장변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다. 돌출부(242)는, 돌출부(242)와 절결부(243)를 잇는 방향의 폭이, 지엽류(S)의 단변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주판부(241)와 돌출부(242)가 연속하는 측의 단연부에, 지지축 연결부(251)를 갖는다. 지지축 연결부(251)는, 베이스 스테이지(162)로 지지된 스테이지 지지축(161)에 연결된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스테이지 지지축(161)에 연결됨으로써, 베이스 스테이지(162)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지지축 연결부(251)의 근방에 지지측 맞댐부(252)를 갖는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지지측 맞댐부(25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의 베이스측 맞댐부(195)에 맞닿는다. 지지측 맞댐부(252)가 베이스측 맞댐부(195)에 맞닿은 상태로, 지지 스테이지(82)와 베이스 스테이지(162)가 이루는 각이 예각(예를 들면 30도 정도)이 된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지지 스테이지(82)와 베이스 스테이지(162)가 이루는 각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 이 맞닿음 상태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지(162)와 서로 겹쳐지는 상태까지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베이스 스테이지(162)는, 지지 스테이지(82)와 서로 겹쳐지는 상태에서는, 지지 스테이지(82)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탄성가압 부재(165)는, 그 내측을 스테이지 지지축(161)이 삽입통과한 코일 부분과,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맞닿은 한쪽의 팔부분과, 지지 스테이지(82)에 맞닿은 다른쪽의 팔부분을 갖는 비틀림 스프링이다. 탄성가압 부재(165)는,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측 맞댐부(25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의 베이스측 맞댐부(195)에 맞닿는 기본 상태가 되도록 지지 스테이지(82)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를 탄성가압한다. 바꿔 말하면, 탄성가압 부재(165)는, 지지 스테이지(8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로부터 이격하도록 지지 스테이지(82)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를 탄성가압한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이 기본 상태로부터, 지지 스테이지(82)와 베이스 스테이지(162)가 이루는 각이 최소가 되어 베이스 스테이지(162)와 서로 겹쳐지는 최대 요동 상태까지, 탄성가압 부재(165)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요동한다.
지지 스테이지(82)가 스테이지 지지축(161)을 통해 베이스 스테이지(162)로 지지된 상태로, 그 복수의 결합 돌기(245)가, 각각 베이스 스테이지(162)의 복수의 가이드 홈(232) 중 대응하는 하나로 들어간다. 가이드 홈(232)은, 지지 스테이지(82)의 전체 요동 범위에서의 결합 돌기(245)의 선회 각도에 대응한 중심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펼쳐져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우측 위로 펼쳐져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에는, 그 상측이 되는 날개차(75) 측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롤러(261, 262)와, 1개의 가이드 롤러(263)가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61)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가이드 롤러(262)의 높이 방향의 위치(262)와 맞춰져 있다. 가이드 롤러(263)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가이드 롤러(261, 262)의 높이 위치보다 상측이다. 이 1개의 가이드 롤러(263)는, 2개의 가이드 롤러(261, 262) 사이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롤러(261~263)는,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로부터 좌측 위로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그 레일 부재(164)의 레일 홈(175)에 가이드 롤러(263)를 들어가게 하고, 레일 홈(176)에 가이드 롤러(261, 262)를 들어가게 함으로써, 이들 가이드 롤러(261~263)로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261~263)는, 레일부(171)를 수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지지하게 되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레일부(171)의 연장 방향, 즉 수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바꿔 말하면, 가이드 롤러(261~263)는,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가이드 롤러(261~263)는, 수용부(14)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수용부(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지지 스테이지(82)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를 압출 스테이지(85)보다 앞쪽에 배치한 상태로, 이들 가이드 롤러(261~263)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가이드 롤러(261~263)로 지지되고, 전부(前部)에 지지 스테이지(82) 및 베이스 스테이지(162)를 갖고, 후부에 압출 스테이지(85)를 가져,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그 때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레일 부재(164)와 브래킷(163)과 압출 스테이지(85)와 베이스 스테이지(162)가 일체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고, 지지 스테이지(82)도,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이들과 일체로 이동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 및 가이드 롤러(261~263)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테이지 지지부(265)를 구성하고 있다.
이 스테이지 지지부(265)로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베이스 스테이지(162)가 수평 방향에 대해서 45도 기울어 우측 위로 펼쳐지는 상태가 된다. 또,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스테이지 지지축(161), 베이스 스테이지(162)의 축 지지부(193) 및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축 연결부(251)가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 구성 부재(101)의 연장부(125)와 장착부(126)로 형성되는 단차 부분에 들어가도록 배치된다. 또,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지 스테이지(82)를 베이스 스테이지(162)보다 날개차(75) 측에 위치시키고, 압출 스테이지(85)가, 지지 스테이지(82) 측에 압출 주체부(205)를 갖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압출 주체부(205)보다 지지 스테이지(82)와는 반대 측에 연장 압출부(221)를 연장시켜 나가고 있다.
지지 스테이지(82)(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스테이지 지지부(265)로 지지된 상태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지(8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대해 기본 상태에 있을 때,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은, 요동 중심인 스테이지 지지축(161)으로부터 우측 위로 펼쳐진다. 즉,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은, 위를 향한 상태로 요동 중심으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으로 펼쳐져 있다. 이 때, 지지 스테이지(82)의 하부 측에 돌출부(242)가 위치하고, 지지 스테이지(82)의 상부 측에 절결부(243)가 위치하게 된다.
지지 스테이지(82)(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스테이지 지지부(265)로 지지된 상태에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스테이지(8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대해 최대 요동 상태가 되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은,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과 대략 단차가 없어진다. 이 최대 요동 상태에서도,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은, 기본 상태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요동 중심인 스테이지 지지축(161)으로부터 우측 위로 펼쳐진다. 즉, 최대 요동 상태에서도,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은, 위를 향한 상태로 요동 중심으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으로 펼쳐져 있다. 단, 기본 상태에 있을 때의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과 수용 저부(70)의 상면(71)이 이루는 각보다, 최대 요동 상태에 있을 때의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과 수용 저부(70)의 상면(71)이 이루는 각이 커진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스테이지 지지부(265)로 지지된 상태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 기어부(172)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와 주위 지지 부재(141)의 구동계 지지판부(144)의 사이에 배치된다. 주위 지지 부재(141)의 구동계 지지판부(144)에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와는 반대 측에 스테핑 모터인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그 구동축(272)을 구동계 지지판부(144)를 통과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 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장착되어 있다.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의 구동축(272)에는, 구동계 지지판부(144)보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구동 기어(273)가 고정되어 있다. 구동계 지지판부(144)에는, 구동축(272)보다 하측에, 기어 지지축(281)이 장착되어 있다. 이 기어 지지축(281)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지지 부재(111) 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에는, 피니언 기어(282)가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282)는, 대기어부(283)와 소기어부(284)를 갖고 있다. 대기어부(283)는, 구동 기어(273)에 맞물리는 대기어부(283). 소기어부(284)는, 랙 기어부(172)에 맞물린다. 소기어부(284)의 치수(齒數)는, 대기어부(283)의 치수보다 적다.
이에 의해,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정역 회전하면, 구동 기어(273)가 피니언 기어(282)를 회전 구동하고, 피니언 기어(282)가 랙 기어부(172)를 직동 구동한다. 그 결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 및 후퇴한다. 구동 기어(273), 기어 지지축(281) 및 피니언 기어(282)가,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의 구동력을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전달하는 스테이지용 전동부(285)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했을 때, 구동계 지지판부(144)와,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와, 구동 기어(273), 기어 지지축(281) 및 피니언 기어(282)를 포함하는 스테이지용 전동부(285)가, 압출 스테이지(85)의 주체 몸통부(204) 내의 공간부(212) 내로 들어간다. 이 때, 압출 스테이지(85)의 외측에 있는 레일 부재(164)의 레일부(171)에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282)의 소기어부(284)는, 주체 몸통부(204)의 몸통부 개구(211)에 의해, 압출 스테이지(85)와의 간섭을 회피하게 된다. 이렇게,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했을 때, 압출 스테이지(85)의 주체 몸통부(204)는, 그 내측의 공간부(212)에, 구동계 지지판부(144)와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와 스테이지용 전동부(285)를 수납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후퇴단 위치와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전진단 위치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게 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단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스테이지(82)가 전체적으로 저부 구성 부재(101)와 전후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지지 스테이지(82)의 전단부의 위치가 저부 구성 부재(101)의 전단부의 위치와 일치한다. 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도 6, 도 7에 나타내는 전진단 위치에 있을 때, 지지 스테이지(82)가 저부 구성 부재(101)와 전후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지지만, 지지 스테이지(82)의 전단부가 저부 구성 부재(101)의 전단부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이 때, 지지 스테이지(82)는, 돌출부(242)가, 저부 구성 부재(101)보다 전방으로 돌출된다. 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판부(241)는 저부 구성 부재(10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일은 없다.
도 4~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벽부 구성 부재(102)의 수용 안쪽 벽부(73)는,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 주체부(205)와, 주위 지지 부재(141)의 중간 연장판부(14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 안쪽 벽부(73)에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전진시 및 후퇴시에 압출 스테이지(85)의 연장 압출부(221)를 삽입통과시키는 삽입통과홈(291)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도 4, 도 5에 나타내는 후퇴단 위치에 있을 때,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이, 수용 안쪽 벽부(73)의 안쪽 벽면(74)과 대략 단차가 없어진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이 상태로부터, 도 6에 나타낸 전진단 위치를 향해 전진하면, 압출면(86)이 안쪽 벽면(74)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도 3의 위에서 1번째, 3번째 및 4번째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는 대기 상태에 있을 때,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전체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보다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도 3의 위에서 2번째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진단 위치에 위치하는 밀어냄 상태에 있을 때, 지지 스테이지(82)의 일부인 돌출부(242)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또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단 위치에 있을 때에도, 지지 스테이지(82)의 주판부(241)는, 개구부(15)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지엽류(S)를 수용부(14)에 내보내는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단 위치에 있는 대기 상태에서, 수용부(14)는, 반송부(30)의 구동에 맞추어 날개차 구동 모터(152)가 날개차용 전달부(151)를 통해 날개차 지지축(103) 및 2개의 날개차(75)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반송부(30)가 1장씩 간격을 두고 반송해 온 지엽류(S)를 날개차(75)가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에 끼워 지엽류(S)와 함께 회전한다. 그러면, 이 지엽류(S)는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아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간다. 그 후, 이 지엽류(S)를 날개차(75)가 날개(76)로 지지 스테이지(82) 측에 누른다. 이에 의해, 지엽류(S)는, 단변을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르게 하고 또 그 하단의 장변을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게 한 상태로 수용 저부(70)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지엽류(S)는, 저부 구성 부재(101)의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에 하단의 장변이 맞닿고 또한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에 두께 방향 일측의 면이 겹쳐진 상태로, 상면(123)과 지지면(83)으로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내보내지는 지엽류(S)는, 마찬가지로 하여, 단변을 대략 상하 방향 을 따르게 하고 또 그 하단의 장변을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게 한 상태로 수용 저부(70)로 지지됨과 더불어,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지엽류(S)는, 이미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되고 있는 지엽류(S)의 두께 방향 타측의 면에, 두께 방향 일측의 면이 겹쳐진 상태로,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지엽류(S)가 두께 방향으로 차례로 집적된다. 이 때, 지엽류(S)는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보다 앞쪽에서 압출면(86)에 근접하도록 하여,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된다. 이렇게,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지지 스테이지(82)가 지엽류(S)의 두께 방향 일측의 면에 맞닿은 상태로, 지엽류(S)를 지지하게 된다. 이 지지 스테이지(82)는,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스테이지(82)는, 아무것도 올려놓아져 있지 않을 때 및 올려놓아져 있는 지엽류(S)의 집적 장수가 적을 때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상태에 있다. 지엽류(S)의 수용부(14)로의 내보냄에서, 지지 스테이지(82)가 지지하는 지엽류(S)의 집적 장수가 증가해 가면, 연직에 대해 경사지는 지지 스테이지(82)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대하여, 지엽류(S)의 집적 장수에 따라 지지 스테이지(82)가, 탄성가압 부재(165)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스테이지(162) 측으로 요동한다. 바꿔 말하면, 지지 스테이지(82)는, 올려놓아지는 지엽류(S)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베이스 스테이지(162)에 근접하도록 요동하여 서서히 내려 간다. 이렇게, 지지 스테이지(82)가 베이스 스테이지(162) 및 압출 스테이지(85)에 대해 요동할 때에, 지지 스테이지(82)는 3개소의 결합 돌기(245)를 각각 일대일로 대응하는 가이드 홈(232) 내에 진입시킨 상태인 채로 선회 이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수용부(14)는 지엽류(S)를 수용하게 되고, 그 때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지지 스테이지(82)가, 수용부(14)에 수용되는 지엽류(S)를 지지한다. 이 때, 결합 돌기(245)가 가이드 홈(232)으로 들어감으로써, 지지 스테이지(82)와 압출 스테이지(85)의 사이에 지엽류(S)가 끼이는 것을 규제한다.
이렇게 해서 수용부(14)로의 지엽류(S)의 내보냄이 종료하면, 날개차 구동 모터(152)가 정지하고,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스테이지용 전동부(285)를 통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직동 구동한다. 즉,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구동 기어(273)를 통해 피니언 기어(282)를 회전시키고, 피니언 기어(282)가, 이에 맞물리는 랙 기어부(172)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구동한다. 그러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가이드 롤러(261~263)의 안내로, 전진단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한다.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수용 저부(70)의 상면(71) 및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에도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지엽류(S)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슬라이딩 초기에는, 수용 저부(70)의 상면(71) 및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과의 마찰로 그대로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머무른다. 그 후,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이,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의 후단부에 맞닿게 되어, 지엽류(S)를 누르게 된다. 그 후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와, 그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가 함께 전진한다. 스테핑 모터인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는, 예를 들면 스텝 수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한 것을 검지하면 정지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 스테이지(82)의 돌출부(242)와,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돌출된다. 이에 의해,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를 꺼내는 이용자는, 수용부(14)로부터 튀어나온 돌출부(242) 및 지엽류(S)를 봄으로써, 어느 수용부(14)의 지엽류(S)가 밀어내졌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일부(선단부)가 수용부(14)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슬라이딩하여, 지지하고 있는 지엽류(S)를 일부(선단부)가 수용부(14)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밀어냄 방향 전방으로 밀어낸다. 여기서, 수용부(14)의 개구부(15)는,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면에 형성되어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외부에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일부가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슬라이딩하여, 지지하고 있는 지엽류(S)를 일부가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밀어냄 방향 전방으로 밀어낸다. 이하,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를 밀어내는 방향을, 단순히 밀어 냄 방향이라고 한다. 압출 스테이지(85)는,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된 지엽류(S)의 밀어냄 방향의 후단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압출 스테이지(85)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밀어냄 방향 전방(외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지지 스테이지(82)와 일체가 되어 동시에 밀어냄 방향 전방으로 이동하여, 지지 스테이지(82)에 올려놓아져 있는 지엽류(S)를 압출 주체부(205)로 외부로 밀어낸다. 이 압출 스테이지(85)에는, 압출 주체부(205)보다 지지 스테이지(82)와는 반대 측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연장 압출부(2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 압출부(22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개차(75)의 외주 궤도 내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연장 압출부(221)가, 날개차(75)에 잔존하고 있는 지엽류(S) 등, 압출 주체부(205)로는 밀어낼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수용부(14) 내의 지엽류(S)를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연장 압출부(221)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해도, 전체적으로 날개차(75)보다 뒤쪽(안쪽)에 배치되어 날개차(75)와는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밀어냄 방향의 전단부에, 밀어냄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2)와 절결부(243)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242)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전단부의 좌하측에, 절결부(243)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전단부의 우상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243)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올려놓아진 지엽류(S)의 일부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외측으로 돌출시킨다.
즉,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있어서,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으로부터 지지 스테이지(82)의 주판부(241)의 돌출부(242) 측의 단부까지의 거리는,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 중 가장 장변이 짧은 것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 수용 저부(70)의 상면(71)으로부터 돌출부(242)의 상면(71)과는 반대측까지의 거리는,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 중 단변이 가장 짧은 지엽류(S)의 단변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S)이면, 수용 저부(70) 및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되어 압출면(86)에 맞닿은 상태에 있으면, 전단측의 모서리부와, 이 모서리부 근방의 장변 및 단변의 일부가, 절결부(243)에 의해 지지 스테이지(82)로부터 밖으로 돌출된다.
이 때, 절결부(243)는, 돌출부(242)보다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엽류(S)의 전단부의 상부측의 모서리부를 지지 스테이지(82)로부터 밖으로 돌출시킨다. 절결부(243)는,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S) 중 가장 단변의 길이가 짧은 지엽류(S)의 전상(前上)부의 모서리부와 이 모서리부 주변의 장변 및 단변을 지지 스테이지(82)로부터 밖으로 돌출시킴과 더불어, 이 지엽류 처리 장치(1)에서 식별하여 수용부(14)에 수용 가능한 지엽류(S) 중 가장 장변의 길이가 짧은 지엽류(S)의 전상부의 모서리부와 이 모서리부 주변의 장변 및 단변을 지지 스테이지(82)로부터 밖으로 돌출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를 꺼내는 이용자는,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우방 또한 상방측으로부터 지엽류(S)의 전부의 우방 또한 상방측의 모서리부 주변을 장변측에서 잡고, 지엽류(S)를 꺼낼 수 있다. 당연히, 지엽류 처리 장치(1)의 전방으로부터 지엽류(S)의 전부의 우방 또한 상방측의 모서리부 주변을 단변측에서 잡고, 지엽류(S)를 꺼낼 수도 있다.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가 꺼내지면, 지지 스테이지(82) 상에는 지엽류(S)가 없어지기 때문에, 지지 스테이지(82)는, 탄성가압 부재(165)의 탄성가압력으로 지지측 맞댐부(252)를, 베이스 스테이지(162)의 베이스측 맞댐부(195)에 맞닿게 할 때까지 회동하여 최대 회동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 지지 스테이지(82) 상에 지엽류(S)가 없어진 것을, 수용부(14) 혹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설치된 잔류 검지 센서(도시 생략)가 검지하면,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스테이지용 전동부(285)를 통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직동 구동하여,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후퇴단 위치로 되돌린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후퇴단 위치에 위치시키면,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는 정지한다.
지엽류 처리 장치(1)는, 계수 유닛(2)의 수입부(11)에 집적 상태로 투입된 지엽류(S)를 장치 내에 1장씩 들여와, 수입부(11)로부터 들여온 지엽류(S)를 반송부(30)로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부(30)로 반송 중인 지엽류(S)를 반송부(30)에 설치된 식별부(22)로 식별하고, 식별부(22)에서 식별된 지엽류(S)를, 종별에 따라 수용 유닛(3)의 대응하는 수용부(14)로 분류하여 외부로 꺼낼 수 있게 수용한다.
지엽류 처리 장치(1)에 대해서는, 분류 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각 수용부(14)에 수용하는 계수 대상 지엽류로서의 지엽류(S)의 종류가 설정되어 있다. 지엽류 처리 장치(1)는, 지엽류(S)를 계수하여, 이 설정에 따라 분류한다. 일례에 있어서는, 복수의 수용부(14) 중 하나의 제1의 수용부(14)에, 식별부(22)로 계수 후의 지엽류(S)로서 만엔권의 지폐가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다른 하나의 제2의 수용부(14)에, 식별부(22)로 계수 후의 지엽류(S)로서 5천엔권의 지폐가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제3의 수용부(14)에, 식별부(22)로 계수 후의 지엽류(S)로서 천엔권의 지폐가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하나의 제4의 수용부(14)에, 식별부(22)로 계수 후의 지엽류(S)로서 2천엔권의 지폐가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만엔권, 5천엔권, 천엔권, 2천엔권은 각각, 일본 은행권의 일종이다. 또한, 모든 수용부(14)는, 분류 처리가 개시되기 전에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단 위치에 있는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수입부(11)에 지엽류(S)가 집적 상태로 세팅되어 조작 표시부(31)에 스타트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32)는, 수입부(11)에 세팅된 집적 상태의 지엽류(S)를 취입부(55)로 한 장씩 분리하여 내보내게 해 지엽류 처리 장치(1) 내에 들여오고, 이 지엽류(S)를 반송부(30)로 반송시킨다. 반송부(30)에서의 반송 개시 직후에, 수입부(11)의 근방에 설치된 검출부(23)가, 이 지엽류(S)의 반송 상태를 검출한다. 이 지엽류(S)에 대해, 검출부(23)로 검출된 반송 상태가, 겹침 이송, 사행 및 니어 피드를 포함하는 이상 반송 상태의 리젝트 지엽류인 경우, 제어부(32)는, 이 지엽류(S)를 계수하지 않고, 반송부(30)를 제어하여, 리젝트부(13)로 반송하여 수용시킨다.
한편, 이 지엽류(S)에 대해, 검출부(23)에서 검출된 반송 상태가, 겹침 이송, 사행 및 니어 피드 중 어느 것도 아니고 정상 반송인 경우, 제어부(32)는, 이 지엽류(S)를, 식별부(22)의 검출부(23)보다 하류측의 식별 본체부(24)에서 식별시킨다. 이 지엽류(S)가, 식별 본체부(24)의 식별 결과로부터, 가짜, 손상, 테이프 부착, 자외선 검사 이상을 포함하는 식별 이상의 리젝트 지엽류라고 식별되면, 제어부(32)는, 이 지엽류(S)에 대해서도, 계수하지 않고, 반송부(30)를 제어하여, 리젝트부(13)에 반송하여 수용시킨다.
지엽류(S)가, 식별 본체부(24)에서 식별 이상이 아니라고 식별되면, 제어부(32)는, 식별 이상이 아니라고 식별된 지엽류(S)를, 반송부(30)를 제어하여, 그 행선지가 되는 수용부(14)에 반송하여 수용시킨다. 이 수용부(14)에서는, 반송부(30)가 반송해 온 지엽류(S)를 날개차(75)가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에 끼워 지엽류(S)와 함께 회전하고, 이 지엽류(S)를 수용 저부(70)의 상면(71)에 맞닿게 하여 날개(76)와 날개(76)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가게 한 후, 날개(76)로 지지 스테이지(82) 측에 누른다. 그러면, 지엽류(S)가, 수용 저부(70)의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해,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 및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으로 지지되게 된다.
다음에 내보내지는 지엽류(S)는, 마찬가지로 하여, 수용 저부(70)의 상면(71)으로 가이드되어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 측으로 이동하여, 이미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되어있는 지엽류와 겹쳐져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수용부(14)는, 식별부(22)에서 계수 대상 지엽류로 식별되어 계수된 지엽류(S)를 수용하게 되고,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는,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 및 지지 스테이지(82)의 지지면(83)에 차례로 집적된다.
여기서, 지엽류(S)의 수용부(14)로의 내보냄에서, 지지 스테이지(82)가 지지하는 지엽류(S)의 집적 장수가 증가해 가면, 기본 상태에 있는 지지 스테이지(82)가, 탄성가압 부재(165)의 탄성가압력에 저항하여 베이스 스테이지(162) 측으로 요동한다. 이렇게 해서 수용부(14)에 내보내진 지엽류(S)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단 위치에 있어서 그 지지 스테이지(82) 상에 집적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각 수용부(14)가, 식별부(22)에서 계수 대상 지엽류로 식별되어 계수된 지엽류(S) 중 수용 대상으로 설정된 종류의 것을 수용하게 되고, 리젝트부(13)는, 식별부(22)에서 리젝트 지엽류로 식별된 지엽류(S)를 수용한다. 이렇게 해서, 수입부(11)에 지엽류(S)가 없어진 경우 및 어느 한 수용부(14)가 가득찬 상태가 된 경우, 제어부(32)는, 취입부(55)를 정지시킴과 더불어 날개차 구동 모터(152)를 정지시키고,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전진단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시킨다. 그 초기에,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는, 수용 저부(70)의 상면(71) 및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과의 마찰로 그대로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머무른다. 그 후,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압출 스테이지(85)의 압출면(86)으로,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의 후단부에 맞닿아, 지엽류(S)를 누르게 된다. 그 후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와, 그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가 함께 전진한다. 제어부(32)는,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를 정지시킨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하면, 지지 스테이지(82)의 돌출부(242)와,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돌출된다. 또한, 이 때, 압출 스테이지(85)는, 압출 주체부(205)로,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되어 있는 지엽류(S)를 밀어내게 된다. 또, 연장 압출부(221)가, 날개차(75)에 잔존하고 있는 지엽류(S) 등, 압출 주체부(205)로는 밀어낼 수 없는 위치에 있는 지엽류(S)를 밀어내게 된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는, 지지 스테이지(82)에 올려놓아진 지엽류(S)의 일부를, 전단부 우측 위의 절결부(243)로 외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이 때문에, 이용자는, 이 절결부(243)에 의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외측으로 돌출된 전단부 우측 위의 부분을 잡고 지엽류(S)를 수용부(14)로부터 꺼내게 된다.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가 꺼내지면, 지지 스테이지(82)가 탄성가압 부재(165)의 탄성가압력으로 지지측 맞댐부(252)를 베이스측 맞댐부(195)에 맞댈 때까지 요동하여 최대 회동 상태로 되돌아온다. 또, 지지 스테이지(82) 상에 지엽류(S)가 없어진 것을, 잔류 검지 센서(도시 생략)가 검지하면, 제어부(32)는,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를 구동하여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후퇴단 위치로 되돌린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후퇴단 위치에 위치하면, 제어부(32)는,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를 정지시킨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형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1)에 의하면, 수용부(14)에 지엽류(S)를 수용하면,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일부가 수용부(14)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슬라이딩하여, 지지하고 있는 지엽류(S)를 일부가 수용부(14)의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밀어냄 방향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이용자는, 수용부(14)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있는 지엽류(S)를 꺼내게 되어, 지엽류(S)의 수용부(14)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이용자가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를 꺼낼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용부(14)에 지엽류(S)를 수용하면,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일부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지엽류 처리 장치(1)의 밖으로 돌출될 때까지 슬라이딩하여, 지지하고 있는 지엽류(S)를 일부가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지엽류 처리 장치(1)의 밖으로 돌출될 때까지 밀어냄 방향 전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이용자는, 수용부(14)의 개구부(15)로부터 지엽류 처리 장치(1)의 밖으로 일부 돌출되어 있는 지엽류(S)를 꺼내게 되어, 지엽류(S)의 지엽류 처리 장치(1)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이용자가 지엽류 처리 장치(1)로부터 지엽류(S)를 꺼낼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를 수용부(14) 밖으로 밀어냈을 때에, 지엽류(S)가 올려놓아지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돌출부(242)가 수용부(14) 밖으로 돌출되므로, 이용자는 그 돌출부(242)를 봄으로써, 어느 지엽류(S)가 밀어 내졌는지를 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돌출된 돌출부(242)를 만짐으로써, 눈만이 아니라 손에 의해, 어느 지엽류(S)가 밀어내졌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수용부(14)의 외부로 밀어내지므로, 밀어내지는 지엽류(S)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의 두께 방향 일측의 면에 맞닿아 지엽류(S)를 지지하게 되는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는, 밀어냄 방향의 전단부에, 밀어냄 방향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지엽류(S)를 지지하는 돌출부(242)와, 지엽류(S)를 돌출시키는 절결부(243)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엽류(S)의 절결부(243)로 돌출되어진 부분을 잡으면, 지엽류(S)의 수용부(14)로부터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져, 확실히 꺼낼 수 있다.
또, 수평에 대해 비스듬하게 펼쳐지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상부 측에 절결부(243)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엽류(S)의 수용부(14)로부터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 지엽류(S)의 두께 방향 일측의 면에 맞닿아 지엽류(S)를 두께 방향으로 집적시켜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지(82)가 요동 가능하며, 요동 중심으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으로 펼쳐져 있기 때문에, 지엽류(S)의 집적량에 따라 요동하게 된다. 따라서, 지엽류(S)가 적은 상태에서는 수용부(14)의 내부의 집적 공간의 용적을 줄이고, 지엽류(S)가 늘어나면 수용부(14)의 집적 공간의 용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수용부(14)에 반송부(30)로부터 내보내진 지엽류(S)가 수용부(14)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초기에 수용부(14)에 반송부(30)로부터 내보내진 지엽류(S)를 확실히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시켜, 지엽류(S)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 스테이지(82)는 지지하는 지엽류(S)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요동하므로, 수용부(14)의 집적 용량이 증가해도, 수용부(14)에 내보내지는 지엽류(S)를 확실히 집적시킬 수 있다.
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지 스테이지(82)에 지엽류(S)를 두께 방향으로 집적시킨 상태로, 밀어냄 방향의 전방으로 슬라이딩하면, 지지 스테이지(82)로 지지된 지엽류(S)의 밀어냄 방향의 후단부에 맞닿음 가능한 압출 스테이지(85)가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된 지엽류(S)를 밀어냄 방향의 전방으로 밀어 낸다. 그 때에, 압출 스테이지(85)는,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된 지엽류(S)를 압출 주체부(205)로 밀어내는 한편, 압출 주체부(205)보다 지엽류(S)의 집적 방향에 있어서 압출 스테이지(85)와는 반대 측에 있는 지엽류(S)를 압출 주체부(205)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연장 압출부(221)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날개차(75)에 걸리는 등 어떠한 이유로 압출 주체부(205)로 밀어낼 수 없는 위치에 지엽류(S)가 있어도, 이를 밀어낼 수가 있다.
이상의 실시 형태를 이하의 변형예처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1, 2〉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수용부(14)를 전후 좌우의 위치를 맞추어 상하로 늘어놓아 설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1로서, 복수의 수용부(14)를 전후 상하의 위치를 맞추어 좌우로 늘어놓아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2로서, 좌우 상하의 위치를 맞추어 전후로 늘어놓아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3〉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수용 유닛(3)에 수용부(14)를 4개 설치하고 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3으로서, 1대의 수용 유닛(3)에 3개나 5개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4〉
실시 형태에서는, 1대의 계수 유닛(2)에 1대의 수용 유닛(3)을 연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4로서, 1대의 계수 유닛(2)에 복수 대의 수용 유닛(3)을 연결하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5〉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류(S)의 밀어냄 시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일정한 전진단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형예 5로서,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지지하는 지엽류(S)의 밀어냄 방향의 길이에 따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슬라이딩량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지엽류(S)를 밀어냄 방향의 길이에 따라 꺼내기 쉬운 위치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엽류(S)를 더욱 꺼내기 쉬워진다.
〈변형예 5-1〉
예를 들면, 변형예 5-1로서,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S)의 수용부(14)로부터의 돌출량이 같아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식별부(22)에 의해 얻어진 또는 미리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지엽류(S)의 크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의 크기에 따라 스테핑 모터인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의 스텝 수를 바꾸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임의의 양으로 바꿔, 지엽류(S)의 수용부(14)로부터의 돌출량이 같아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지엽류(S)를 꺼낼 때는, 지엽류(S)의 전측부(선단부)가 같은 위치에 있으므로, 이용자는 지엽류(S)를 더욱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변형예 5-2〉
또, 예를 들면, 변형예 5-2로서, 도 12a 및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 및 지엽류(S) 전체에서의 최대 돌출 위치를 맞추도록 한다. 예를 들면, 지엽류(S)를 밀어낼 때, 도 1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S)가 지지 스테이지(82)보다 밀어냄 방향으로 작거나 또는 같은 경우에는 최대 돌출 개소는 돌출부(242)의 선단부가 된다. 한편,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엽류(S)가 지지 스테이지(82)보다 밀어냄 방향으로 큰 경우에는 최대 돌출 개소는 지엽류(S)의 선단부가 된다. 그래서, 식별부(22)에 의해 얻어진 또는 미리 기억부(33)에 기억되어 있는 지엽류(S)의 크기 데이터에 의거하여,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의 크기에 따라, 스테핑 모터인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의 스텝 수를 바꾸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임의의 양으로 바꿔, 수용부(14)에 수용된 지엽류(S)의 크기에 따라 최대 돌출 개소의 돌출량이 같아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수용하는 지엽류(S)에 상관없이, 각 수용부(14)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의 돌출량이 같아지므로, 밖으로 돌출된 부분에 손을 걸거나 하는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안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5-3〉
변형예 5-3으로서, 수용부(14)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바꾸거나, 수용 유닛(3)이 복수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 유닛(3)마다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바꾸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인 스테이지 구동 모터(271)의 스텝 수를 바꾸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이동량을 임의의 양으로 바꾼다. 이에 의해, 상단에서 하단으로 향함에 따라,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향함에 따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의 돌출량이나, 지엽류(S)의 돌출량, 혹은,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 및 지엽류(S) 전체에서의 최대 돌출 개소의 돌출량을 크게 한다.
〈변형예 6〉
실시 형태에서는, 지엽류(S)를 수용부(14)에 수용한 후에, 꺼냄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제어부(32)가 자동적으로 지엽류(S)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 밀어내도록 했으나, 본 개시는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변형예 6으로서, 수용 후에 이용자 등에 의해 조작 표시부(31)에 지폐의 밀어냄을 요구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그 수용부(14)로부터 지엽류(S)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 밀어내도록 해도 된다.
〈변형예 7-1〉
변형예 7-1로서, 지엽류(S)를 밀어낸 직후에, 지엽류(S)의 꺼냄을 기다리지 않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후퇴단 위치로 되돌리도록 해도 된다. 지엽류(S)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에 비스듬하게(예를 들면 45°) 집적시킴으로써, 판금의 수용 저부(70) 측에도 지엽류(S)의 하중이 분산되어, 지지 스테이지(82)에 걸리는 하중이 작아지기 때문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도, 지엽류(S)는 밀어낸 후의 위치로부터 움직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의 돌출 후, 지엽류(S)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부터 지엽류(S)가 돌출되는 부분이 증가한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를 잡을 때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특히 사이즈가 작은 지엽류(S)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변형예 7-2〉
변형예 7-2로서, 지엽류(S)를 밀어낸 직후에, 지엽류(S)의 꺼냄을 기다리지 않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를 후퇴단 위치로 되돌리는 경우에,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가 고정된 저부 구성 부재(101)의 지지 벽부(122)의 상면(123)에, 합성 수지제의 지지 스테이지(82)보다 마찰 계수가 높고, 판금의 지지벽부(122)보다 마찰 계수가 높은, 고무 등의 고마찰부(고마찰 부재)(301)를 설치한다. 그러면, 이 고마찰부(301)는, 지지 스테이지(82)에 맞닿는 지엽류(S)에 맞닿게 된다. 이 고마찰부(301)는, 저부 구성 부재(101)와는 별도의 부재이며, 돔형의 머리부(302)와 머리부(302)보다 소경의 장착부(303)를 갖고 있으며, 고마찰부(301)는, 저부 구성 부재(101)에 형성된 장착구멍(305)에 장착부(303)가 끼워맞춰져 저부 구성 부재(101)에 고정된다. 고마찰부(301)는, 머리부(302)에 있어서 지엽류(S)에 접촉한다.
변형예 7-2에 의하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지 스테이지(82)에 집적된 지엽류(S)를 압출 스테이지(85)로 밀어냄 방향의 전방으로 밀어낸 직후, 지엽류(S)의 꺼냄을 기다리지 않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수용부(14) 내로 들어와도, 지엽류(S)는, 수용부(14)에 대해서 위치가 고정된 고마찰부(301)로 이동하지 않고, 수용부(14)로부터 일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의 돌출 후, 지엽류(S)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로부터 지엽류(S)가 돌출되는 부분이 증가한다. 그에 따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81)가 지엽류(S)를 잡을 때의 방해가 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지엽류(S)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양태는, 지엽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지엽류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며, 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어, 상기 지엽류의 일부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를 구비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이다.
상기 제1의 양태에 의하면, 수용부에 지엽류를 수용하면, 수용부에 수용된 지엽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의 일부가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또, 지엽류의 일부가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된다. 따라서, 수용부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있는 지엽류를 꺼내는 것이 가능해져, 지엽류의 수용부로부터의 꺼냄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2의 양태는, 상기 제1의 양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지엽류의 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나란히 설치된 절결부를 갖는다.
상기 제2의 양태에 의하면, 절결부에 있어서 노출된 지엽류 부분을 잡으면, 지엽류의 수용부로부터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양태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양태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짐과 더불어, 상기 지엽류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다.
상기 제3의 양태에 의하면, 지지면이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지엽류의 수용부로부터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4의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엽류의 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요동한다.
상기 제4의 양태에 의하면, 지엽류가 적은 상태에서는 수용부의 내부의 집적 공간의 용적을 줄이고, 지엽류가 늘어나면 수용부의 집적 공간의 용적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초기에 수용부에 내보내진 지엽류가 수용부에 있어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넓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초기에 수용부에 내보내진 지엽류를 확실히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 지지시켜, 지엽류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지지하는 지엽류의 장수가 증가함에 따라 요동하므로, 수용부의 집적 용량이 증가해도, 수용부에 내보내지는 지폐를 확실히 수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의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지엽류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의 일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지엽류의 후단부에 맞닿아,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 스테이지를 갖고, 상기 압출 스테이지는, 상기 지엽류와 맞닿는 압출면을 갖는 압출 주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압출 주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나가는 연장 압출부를 갖는다.
상기 제5의 양태에 의하면, 압출 스테이지가 지엽류를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낼 때에, 압출 주체부와 맞닿을 수 없는 위치의 지엽류와 압출 주체부가 맞닿음으로써, 그 지엽류를 밀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6의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엽류의 변을 지지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엽류의 변에 접하고, 상기 상면보다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고마찰 부재를 갖는다.
상기 제6의 양태에 의하면, 지엽류의 일부가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어진 후에, 지엽류의 꺼냄을 기다리지 않고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수용부 내로 들어가도, 지엽류는, 고마찰부와의 접촉에 의해 그대로의 위치에 머물러, 수용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문에,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수용부 내로 들어간 후에 있어서,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지엽류로부터 멀어진다. 그 결과,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지엽류를 잡을 때의 방해가 되기 어렵다. 따라서, 지엽류의 수용부로부터의 꺼냄이 더욱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7의 양태는, 상기 제1 내지 제6 중 어느 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지엽류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는 양이 제어된다.
상기 제7의 양태에 의하면,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른 지엽류의 길이에 따라,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는 양이 제어된다. 이 때문에, 지엽류의 길이에 따라 지엽류를 꺼내기 쉬운 위치로 돌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엽류를 수용부로부터 더욱 꺼내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지엽류 처리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1 : 지엽류 처리 장치
14 : 수용부
15 : 개구부
81 :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82 : 지지 스테이지
85 : 압출 스테이지
205 : 압출 주체부
221 : 연장 압출부
242 : 돌출부
243 : 절결부
301 : 고마찰부
S : 지엽류

Claims (7)

  1. 지엽류(紙葉類)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지엽류를 지지하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로서,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의 일부가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고, 또,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어, 상기 지엽류의 선단부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슬라이딩 스테이지부
    를 구비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지엽류의 선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와 나란히 설치된 절결부를 갖는, 지엽류 처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짐과 더불어, 상기 지엽류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갖는, 지엽류 처리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지엽류의 양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요동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지엽류를 지지하는 지지 스테이지와,
    상기 지엽류의 선단부와는 반대측의 상기 지엽류의 후단부에 맞닿고, 상기 지엽류를 상기 수용부의 외부로 밀어내는 압출(押出) 스테이지를 갖고,
    상기 압출 스테이지는,
    상기 지엽류와 맞닿는 압출면을 갖는 압출 주체부와,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압출 주체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연장 압출부를 갖는, 지엽류 처리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지엽류의 변을 지지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고정되며, 상기 지엽류의 변에 접하고, 상기 상면보다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고마찰 부재
    를 갖는, 지엽류 처리 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스테이지부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따른 상기 지엽류의 길이에 따라, 상기 수용부에 대해서 슬라이딩하는 양이 제어되는,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0217007532A 2018-09-13 2019-09-03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521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71713A JP7245460B2 (ja) 2018-09-13 2018-09-13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18-171713 2018-09-13
PCT/JP2019/034574 WO2020054505A1 (ja) 2018-09-13 2019-09-03 紙葉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156A true KR20210042156A (ko) 2021-04-16
KR102521070B1 KR102521070B1 (ko) 2023-04-12

Family

ID=697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7532A KR102521070B1 (ko) 2018-09-13 2019-09-03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605258B2 (ko)
EP (1) EP3851399B1 (ko)
JP (1) JP7245460B2 (ko)
KR (1) KR102521070B1 (ko)
CN (1) CN112703163B (ko)
RU (1) RU2757307C1 (ko)
WO (1) WO202005450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382A (en) * 1986-01-29 1988-01-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 sheet refeeding device
JP2001026362A (ja) * 1999-07-15 2001-01-30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WO2009028072A1 (ja) * 2007-08-30 2009-03-05 Glory Ltd. 紙葉類処理機
JP2011057453A (ja) * 2010-12-20 2011-03-24 Nec Access Technica Ltd 記録紙スタッカ
JP2017182312A (ja) 2016-03-29 2017-10-0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2466A (en) 1996-11-08 1998-07-21 Hewlett-Packard Company Media processing having intermediate finishing operations and a remote output storage location
JP3473740B2 (ja) * 1998-07-31 2003-12-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960322B2 (ja) 2004-06-25 2007-08-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被記録シート供給装置及びファクシミリ装置
JP4730946B2 (ja) * 2005-06-17 2011-07-20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処理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4680302B2 (ja) * 2007-02-08 2011-05-1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幣繰出装置
JP5286060B2 (ja) * 2008-12-11 2013-09-1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供給装置
CN102376123B (zh) 2010-08-12 2014-03-05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纸币检测装置中的出钞***
JP2013103818A (ja) * 2011-11-15 2013-05-30 Sharp Corp 排紙トレイ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964631B2 (ja) * 2012-03-28 2016-08-03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CN103136853A (zh) 2013-01-23 2013-06-05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堆叠推送装置
JP6102416B2 (ja) * 2013-03-28 2017-03-29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揃え装置、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137158A (ja) 2014-01-21 2015-07-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収容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16045593A (ja) * 2014-08-20 2016-04-04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6048481A (ja) * 2014-08-27 2016-04-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2018020853A (ja) * 2014-12-09 2018-02-0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6598470B2 (ja) 2015-02-19 2019-10-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6555991B2 (ja) * 2015-09-02 2019-08-07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JP6504195B2 (ja) 2017-03-31 2019-04-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差動伝達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10049853A1 (en) * 2017-09-01 2021-02-18 Cummins-Allison Corp. Banknote recycl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21382A (en) * 1986-01-29 1988-01-26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having a sheet refeeding device
JP2001026362A (ja) * 1999-07-15 2001-01-30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WO2009028072A1 (ja) * 2007-08-30 2009-03-05 Glory Ltd. 紙葉類処理機
JP2011057453A (ja) * 2010-12-20 2011-03-24 Nec Access Technica Ltd 記録紙スタッカ
JP2017182312A (ja) 2016-03-29 2017-10-0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1505A1 (en) 2022-02-17
RU2757307C1 (ru) 2021-10-13
US11605258B2 (en) 2023-03-14
JP2020040823A (ja) 2020-03-19
EP3851399A4 (en) 2022-06-22
CN112703163B (zh) 2023-05-23
EP3851399A1 (en) 2021-07-21
EP3851399B1 (en) 2024-03-20
JP7245460B2 (ja) 2023-03-24
KR102521070B1 (ko) 2023-04-12
CN112703163A (zh) 2021-04-23
WO2020054505A1 (ja)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15169Y2 (ko)
US6076826A (en) Transport system for document validator
US5372361A (en) Bill handling apparatus with exchangeable pusher for stacker
US8556251B2 (en) Paper sheet handling machine with moving plates and conveyor assemblies
US4884671A (en) Paper currency acceptor and method of handling paper currency for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KR101732795B1 (ko) 매체 집적 장치 및 금융 기기
JP5101831B2 (ja) 硬貨入出金機
KR20210042156A (ko) 지엽류 처리 장치
WO2016059839A1 (ja) 媒体収容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399446B2 (ja)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処理ユニット
JP7084007B2 (ja) 紙葉類処理装置
US10497221B1 (en) Automated cash receiving apparatus
JP3751519B2 (ja) 紙幣処理装置
US20210090373A1 (en) Banknote jam troubleshooting method and bill recycling terminal
JP5101832B2 (ja) 硬貨繰出装置
JP4975361B2 (ja) 紙葉類識別装置
JP2018101358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JP5302609B2 (ja) 紙幣還流式運賃箱
JP6432250B2 (ja) 施封装置
CN204614006U (zh) 纸币计数装置
JP2008015724A (ja) カード類の真贋判定装置
JP5166089B2 (ja) 紙幣還流式運賃箱及び釣り銭用紙幣スタック部品
JP2635606B2 (ja) 紙幣投入払出装置
JP2006260485A (ja) 紙葉類収納装置
JPH11185095A (ja) 硬貨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