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954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954A
KR20210039954A KR1020200124889A KR20200124889A KR20210039954A KR 20210039954 A KR20210039954 A KR 20210039954A KR 1020200124889 A KR1020200124889 A KR 1020200124889A KR 20200124889 A KR20200124889 A KR 20200124889A KR 20210039954 A KR20210039954 A KR 20210039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pring
connector
contac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타로 도이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9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하고,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하며, 또한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해결 수단) 커넥터 (1) 는, 2 개의 단자편 (51, 71) 을 갖는 단자 (50A) 등과, 고정 하우징 (11) 과, 가동 하우징 (31) 을 구비하고 있다. 각 단자편 (51, 71) 은, 기판의 회로 등에 접속되는 접속부 (52, 72) 와,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54, 74) 와, 접속부 (52, 72) 에 대해 접촉부 (54, 74) 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부 (52, 72) 와 접촉부 (54, 74) 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 (57, 77) 를 갖고, 스프링부 (57, 77) 는 슬릿 (58, 78) 에 의해 복수의 스프링 요소 (59, 79) 로 분할되고, 2 개의 단자편 (51, 71) 은, 단자편 (51, 71) 의 각각의 스프링부 (57, 77) 가 각 스프링부 (57, 77) 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플로팅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중에는 플로팅 기능을 갖는 것이 있다. 플로팅 기능이란, 커넥터에 대해 상대 커넥터가 위치 어긋나 있는 경우에도, 커넥터가 그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여,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속을 유지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하, 플로팅 기능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플로팅 커넥터라고 한다.
플로팅 커넥터에 형성된 단자는, 기기 또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대 커넥터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플로팅 커넥터는, 기기 또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 하우징에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플로팅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는 가동 하우징의 삽입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플로팅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의 접속부는 기기 또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됨으로써 기기 또는 기판에 고정되고, 단자의 접촉부측의 부분은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가동 하우징은, 단자의 스프링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 하우징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 에는 플로팅 커넥터의 일례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33035호
예를 들어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플로팅 커넥터를 실현하는 데에 있어서, 전원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단자를 굵게 함으로써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자가 굵어지면, 단자의 스프링부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이동량이 작아진다.
또, 단자를 굵게 한 경우라도, 단자를 길게 함으로써, 단자의 스프링부를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어,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자가 길어지면, 플로팅 커넥터가 대형화된다.
이 점, 상기 특허문헌 1 에는, 전원 단자의 접속부와 접촉부 사이의 탄성부에 슬릿을 형성한 플로팅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확실히, 전원 단자의 탄성부에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전원 단자의 탄성부를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단자의 탄성부에 슬릿을 형성한 만큼, 전원 단자의 전류 용량이 감소된다는 디메리트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2 개의 단자편을 갖는 단자와, 기기 또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단자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각 단자편은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편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기기 또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편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편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접촉부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단자편은, 당해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스프링부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각 스프링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단자편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 내에 있어서, 당해 접촉부의 각각의 상기 접촉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스프링부 간의 간극의 크기는,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촉부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편의 스프링부에는, 당해 단자편을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고, 당해 단자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복수의 세판상 (細板狀) 의 스프링 요소로 분할되고, 상기 각 스프링 요소의 폭은, 당해 스프링 요소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상기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자와 복수의 상기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가동 하우징의 고정 하우징에 대한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전기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와 접속시킬 수 있는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6 은, 도 4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에서 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에서 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고정 하우징의 우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가동 하우징의 우벽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단자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의 스프링부가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단자편의 스프링부가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상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후부를 하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20 은, 도 16 중의 화살표 XX-XX 방향에서 본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 2 단자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 및 그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상 (U), 하 (D), 전 (F), 후 (B), 좌 (L) 또는 우 (R) 의 방향을 기술할 때에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 도 12, 도 15 ∼ 도 20 중의 우측 하단에 그려져 있는 화살표에 따른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제 1 실시형태인 커넥터 (1) 를 나타내고, 도 2 는, 커넥터 (1) 와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대 커넥터 (91) 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서로 접속된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91) 의, 도 1 중의 화살표 III-III 방향에서 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커넥터 (1) 는 플로팅 커넥터이다. 커넥터 (1) 는 예를 들어 기판에 실장된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상대 커넥터 (91) 는 예를 들어 다른 기판에 실장된다.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91) 를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접속시킴으로써, 커넥터 (1) 가 실장된 기판 상의 회로와, 상대 커넥터 (91) 가 실장된 다른 기판 상의 회로를 서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넥터 (1) 및 상대 커넥터 (91) 는, 커넥터 (1) 가 실장된 기판 상의 회로 및 상대 커넥터 (91) 가 실장된 다른 기판 상의 회로의 일방으로부터 타방, 또는 타방으로부터 일방으로 전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용의 커넥터로서 각각 사용된다.
상대 커넥터 (9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재료에 의해 직방체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92) 과, 도전 재료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단자 (93A ∼ 93F) 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단자 (93A ∼ 93F) 의 하단측에는, 상대 커넥터 (91) 가 실장되는 기판 상의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 (9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자 (93A ∼ 93F) 의 상단측에는, 커넥터 (1) 의 단자 (50A ∼ 50F) 의 각 단자편 (51, 71) 의 접촉부 (54, 74) 와 접촉하는 접촉부 (9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93A ∼ 93F) 의 접속부 (94) 는 하우징 (92) 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각 단자 (93A ∼ 93F) 의 접촉부 (95) 는 하우징 (92) 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하우징 (92) 은 1 쌍의 고정 금구 (96) (전측만 도시) 를 통하여, 상대 커넥터 (91) 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 (91) 를 커넥터 (1) 에 접속시킬 때에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 (91) 를 상하 반전시킨다.
도 4 는 커넥터 (1) 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도 5 는 커넥터 (1)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도 4 중의 화살표 VI-VI 방향에서 본 커넥터 (1) 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7 은 도 4 중의 화살표 VII-VII 방향에서 본 커넥터 (1)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커넥터 (1)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 과, 1 쌍의 고정 금구 (23) 와, 가동 하우징 (31) 과, 6 개의 단자 (50A ∼ 50F)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 (50A ∼ 50F) 는 2 개의 단자편 (51, 71) 을 갖고 있다.
도 5 에 있어서, 고정 하우징 (11) 은,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대략 각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좌벽부 (12), 우벽부 (13), 전벽부 (14) 및 후벽부 (15) 를 갖고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 의 내측에는, 가동 하우징 (31) 및 각 단자 (50A ∼ 50F) 를 수용하는 수용부 (1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4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벽부 (14) 의 전면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 및 후벽부 (15) 의 후면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는, 고정 금구 (23) 를 장착하기 위한 금구 장착부 (17)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 (11) 은, 전후의 금구 장착부 (17) 에 장착된 고정 금구 (23) 에 의해, 커넥터 (1) 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된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벽부 (14) 의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 및 후벽부 (15) 의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에는, 가동 하우징 (31) 의 볼록부 (38) 를 삽입하기 위한 절결 (18)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 (31) 의 전후의 볼록부 (38) 가 고정 하우징 (11) 의 전후의 절결 (18) 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가동 하우징 (31) 이 고정 하우징 (11) 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도 8 은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를 나타내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 (내면) 에는, 단자 (50A, 50C, 50E) 의 각각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을 지지하기 위한 4 개의 단자 지지부 (19A, 19B, 19C, 19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지지부 (19A, 19B, 19C, 19D) 는, 우벽부 (13) 의 좌면으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단자 지지부 (19A) 와 단자 지지부 (19B) 사이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에는, 2 개의 단자 지지 홈 (20) 이 좌우로 서로 평행하게 나열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지지 홈 (20) 중, 우측의 단자 지지 홈 (20) 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후단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좌측의 단자 지지 홈 (20) 에는,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의 후단부의 일부가 삽입된다. 또, 단자 지지부 (19B) 의 후면에는,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에 형성된 2 개의 단자 지지 홈 (20) 과 전후 대칭이 되도록, 2 개의 단자 지지 홈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지지 홈 중, 우측의 단자 지지 홈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전단부의 일부가 삽입되고, 좌측의 단자 지지 홈에는,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의 전단부의 일부가 삽입된다. 또, 이들 4 개의 단자 지지 홈 (20) 의 각각의 바닥면에는, 제 1 단자편 (51) 또는 제 2 단자편 (71) 을 걸기 위한 걸림 오목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단자 지지부 (19B) 와 단자 지지부 (19C) 사이에는 단자 (50C) 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19B)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19C) 의 후면에도,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19B) 의 후면과 동일하게, 단자 지지 홈 (20) 및 걸림 오목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단자 지지부 (19C) 와 단자 지지부 (19D) 사이에는 단자 (50E) 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19C)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19D) 의 후면에도,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19B) 의 후면과 동일하게, 단자 지지 홈 (20) 및 걸림 오목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 의 좌벽부 (12) 의 우면 (내면) 에는, 단자 (50B, 50D, 50F) 의 각각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부 (19A, 19B, 19C, 19D), 단자 지지 홈 (20) 및 걸림 오목부 (21) 와 동일한 단자 지지부, 단자 지지 홈 (20) (도 6 참조) 및 걸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 (31) 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대략 각기둥상으로 형성되고, 좌벽부 (32), 우벽부 (33), 전벽부 (34) 및 후벽부 (35) 를 갖고 있다. 또, 가동 하우징 (31) 의 내측에는, 각 단자 (50A ∼ 50F) 의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및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가 배치되고, 또한 상대 커넥터 (91) 의 각 단자 (93A ∼ 93F) 의 접촉부 (95) 가 삽입되는 삽입부 (36)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 (36) 의 내부에는 칸막이부 (37) 가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부 (37) 는, 전벽부 (34) 의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과, 후벽부 (35) 의 하부의 좌우 방향 중앙 사이에서 신장되어 있다. 또, 도 5 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벽부 (34) 의 전면 (외면) 의 하부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38) 가 형성되고, 후벽부 (35) 의 후면 (외면) 의 하부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이들 전후의 볼록부 (38) 가 고정 하우징 (11) 의 전후의 절결 (18) 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가동 하우징 (31) 이 고정 하우징 (11) 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 도 9 는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를 나타내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 (내면) 에는, 단자 (50A, 50C, 50E) 의 각각의 제 1 단자편 (51) 을 지지하기 위한 4 개의 단자 지지부 (39A, 39B, 39C, 39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 지지부 (39A, 39B, 39C, 39D) 는, 우벽부 (33) 의 좌면으로부터 좌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단자 지지부 (39A) 와 단자 지지부 (39B) 사이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39A) 의 전면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후단부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단자 지지 홈 (40)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자 지지부 (39B) 의 후면에는,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전단부의 일부를 삽입하기 위한 단자 지지 홈 (도시 생략)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단자 지지 홈 (40) 은 서로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단자 지지 홈 (40) 의 각각의 바닥면에는, 제 1 단자편 (51) 을 걸기 위한 걸림 오목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단자 지지부 (39B) 와 단자 지지부 (39C) 사이에는 단자 (50C) 의 제 1 단자편 (5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39B)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39C) 의 후면에도, 단자 지지부 (39A)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39B) 의 후면과 동일하게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단자 지지부 (39C) 와 단자 지지부 (39D) 사이에는 단자 (50E) 의 제 1 단자편 (51) 이 지지된다. 단자 지지부 (39C)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39D) 의 후면에도, 단자 지지부 (39A) 의 전면 및 단자 지지부 (39B) 의 후면과 동일하게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31) 의 칸막이부 (37) 의 우면에는, 단자 (50A, 50C, 50E) 의 각각의 제 2 단자편 (71) 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부 (39A, 39B, 39C, 39D),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와 동일한 단자 지지부,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참조). 또, 가동 하우징 (31) 의 좌벽부 (32) 의 우면에는, 단자 (50B, 50D, 50F) 의 각각의 제 1 단자편 (51) 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부 (39A, 39B, 39C, 39D),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와 동일한 단자 지지부, 단자 지지 홈 (40) (도 6 참조) 및 걸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31) 의 칸막이부 (37) 의 좌면에는, 단자 (50B, 50D, 50F) 의 각각의 제 2 단자편 (71) 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부 (39A, 39B, 39C, 39D), 단자 지지 홈 (40) 및 걸림 오목부 (41) 와 동일한 단자 지지부, 단자 지지 홈 (40) (도 6 참조) 및 걸림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가 갖는 6 개의 단자 (50A ∼ 50F) 중, 단자 (50A 및 50B) 는 커넥터 (1) 의 후부에 있어서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50C 및 50D) 는 커넥터 (1) 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배치되고, 단자 (50E 및 50F) 는 커넥터 (1) 의 전부 (前部) 에 있어서의 우측 및 좌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50A 및 50B) 는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단자 (50C 및 50D) 도 동일하게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고, 단자 (50E 및 50F) 도 동일하게 서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50A, 50C 및 50E) 는 커넥터 (1) 의 우부에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고, 단자 (50B, 50D 및 50F) 는 커넥터 (1) 의 좌부에 전후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단자 (50A ∼ 50F) 는,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을 갖고 있다. 각 단자편 (51, 71) 은 예를 들어 금속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0 은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을 나타내고, 도 11 은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을 나타내고 있다. 도 12 는 단자 (50A) 를 전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은,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기 또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 (52),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와 접촉하는 접촉부 (54), 및 접속부 (52) 에 대해 접촉부 (54) 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부 (52) 와 접촉부 (54) 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 (57) 를 갖고 있다.
접속부 (52) 는, 제 1 단자편 (51) 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52) 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단일한 접속자를 갖고 있다.
접촉부 (54) 는, 제 1 단자편 (51) 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54) 는 3 개의 접촉자 (55) 를 갖고 있다. 각 접촉자 (55) 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 각 접촉자 (55) 의 상단측 부분은,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く 자형으로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진 부분의 좌면이,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와 접촉하는 접촉면 (55A) 이 되고 있다.
스프링부 (57) 는, 접속부 (52) 와 접촉부 (5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 (57) 에는, 제 1 단자편 (51) 을 형성하고 있는 도전판을 그 표면 (57A) 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고, 제 1 단자편 (51) 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복수(예를 들어 4 개) 의 슬릿 (58) 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 (57) 에 복수의 슬릿 (58) 이 형성됨으로써, 스프링부 (57) 는, 복수 (예를 들어 5 개) 의 스프링 요소 (59) 로 분할되어 있다. 각 스프링 요소 (59) 는, 가늘고 긴 판 스프링으로서의 구조를 갖는다. 스프링부 (57) 에 슬릿 (58) 을 형성하고, 스프링부 (57) 를 복수의 스프링 요소 (59) 로 분할함으로써, 스프링부 (57) 가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각 스프링 요소 (59)) 는, 대체로 크랭크상 또는 S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 (57) 는, 접속부 (52) 의 상단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a 에서 좌방으로 구부러진 후, 좌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b 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진 후, 하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c 에서 좌방으로 구부러진 후, 좌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d 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진 후, 상방으로 신장되어, 접촉부 (54) 의 하단측 부분에 이르고 있다. 스프링부 (57) 를 이와 같이 구부림으로써, 스프링부 (57) (각 스프링 요소 (59)) 를 길게 하여 스프링부 (57) 를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부 (57) 를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 (52) 와 스프링부 (57) 를 연결하는 연결부 (60)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걸림부 (6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연결부 (60)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20) 중 우측의 단자 지지 홈 (20), 및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19B) 의 후면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중 우측의 단자 지지 홈에 각각 삽입된다. 또, 연결부 (60) 에 형성된 걸림부 (62) 는, 그것들 단자 지지 홈 (20)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21) 에 걸린다 (도 8 참조).
또, 스프링부 (57) 와 접촉부 (54) 를 연결하는 연결부 (61)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걸림부 (6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연결부 (61)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39A) 의 전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 홈 (40), 및 가동 하우징 (31) 의 우벽부 (3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39B) 의 후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 홈에 각각 삽입된다. 또, 연결부 (61) 에 형성된 걸림부 (62) 는, 그것들 단자 지지 홈 (40)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41) 에 걸린다 (도 9 참조).
도 11 에 있어서,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은,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과 동일하게, 기기 또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 (72),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와 접촉하는 접촉부 (74), 및 접속부 (72) 에 대해 접촉부 (74) 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부 (72) 와 접촉부 (74) 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 (77) 를 갖고 있다.
접속부 (72) 는, 제 2 단자편 (71) 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단일의 접속자를 갖고 있다. 접촉부 (74) 는, 제 2 단자편 (71) 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 형성되고, 3 개의 접촉자 (75) 를 갖고 있다. 각 접촉자 (75) 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고, 그 상단측 부분은, 우방으로 돌출되도록 く 자형으로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진 부분의 우면이,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와 접촉하는 접촉면 (75A) 이 되고 있다. 스프링부 (77) 는, 접속부 (72) 와 접촉부 (74)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와 동일하게,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도 복수의 슬릿 (78) 이 형성되고, 이로써, 스프링부 (77) 는, 각각 가늘고 긴 판 스프링으로서의 구조를 갖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 (79) 로 분할되어 있다. 스프링부 (77) 를 복수의 스프링 요소 (79) 로 분할함으로써, 스프링부 (77) 가 탄성 변형되기 쉬워진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각 스프링 요소 (79)) 는, 대체로 크랭크상 또는 S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프링부 (77) 는, 접속부 (72) 의 상단측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e 에서 좌방으로 구부러진 후, 좌방으로 약간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f 에서 하방으로 구부러진 후, 하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g 에서 좌방으로 구부러진 후, 좌방으로 신장되고, 계속해서 위치 h 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진 후, 상방으로 신장되어, 접촉부 (74) 의 하단측 부분에 이르고 있다. 스프링부 (77) 를 이와 같이 구부림으로써, 스프링부 (77) (각 스프링 요소 (79)) 를 길게 하여 스프링부 (77) 를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고, 또한 스프링부 (77) 를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부 (72) 와 스프링부 (77) 를 연결하는 연결부 (80)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걸림부 (8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의 연결부 (80)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19A) 의 전면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20) 중 좌측의 단자 지지 홈 (20), 및 고정 하우징 (11) 의 우벽부 (13) 의 좌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19B) 의 후면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중 좌측의 단자 지지 홈에 각각 삽입된다. 또, 연결부 (80) 에 형성된 걸림부 (82) 는, 그것들 단자 지지 홈 (20)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21) 에 걸린다 (도 8 참조).
또, 스프링부 (77) 와 접촉부 (74) 를 연결하는 연결부 (81)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걸림부 (8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의 연결부 (81)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31) 의 칸막이부 (37) 의 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단자 지지부 (39A) 의 전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 홈 (40), 및 단자 지지부 (39A) 와 전후 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단자 지지부의 후면에 형성된 단자 지지 홈에 각각 삽입된다. 또, 연결부 (81) 에 형성된 걸림부 (82) 는, 그것들 단자 지지 홈 (40)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41) 에 걸린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50A)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은,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각의 스프링부 (57, 77) 가, 각 스프링부 (57, 77)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각 스프링부 (57, 77) 의 표면 (57A, 77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개략적으로 말하면,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는, 서로 이간된 상태에서, 서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자세히 말하면,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 접속부 (52) 의 상단측에서 위치 a 까지의 부분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 접속부 (72) 의 상단측에서 위치 e 까지의 부분의 우방에 위치하고, 이들 부분은, 이들 부분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 위치 a 에서 위치 b 까지의 부분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 위치 e 에서 위치 f 까지의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들 부분은, 이들 부분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 위치 b 에서 위치 c 까지의 부분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 위치 f 에서 위치 g 까지의 부분의 좌방에 위치하고, 이들 부분은, 이들 부분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 위치 c 에서 위치 d 까지의 부분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 위치 g 에서 위치 h 까지의 부분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들 부분은, 이들 부분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 위치 d 에서 접촉부 (54) 의 하단측까지의 부분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 위치 h 에서 접촉부 (74) 의 하단측까지의 부분의 우방에 위치하고, 이들 부분은, 이들 부분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는,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를 따르도록 신장되어 있다. 또,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형성된 각 슬릿 (78) 및 각 스프링 요소 (79) 는,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형성된 각 슬릿 (58) 및 각 스프링 요소 (59) 와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다. 또, 스프링부 (77) 에 형성된 슬릿 (78) 의 개수 및 스프링 요소 (79) 의 개수는, 스프링부 (57) 에 형성된 슬릿 (58) 의 개수 및 스프링 요소 (59) 의 개수와 동등하다.
또, 단자 (50A)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와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는, 접촉면 (55A 및 75A) 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50A)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의 접속부 (52) 와 제 2 단자편 (71) 의 접속부 (72) 는, 좌우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서로 접근되어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사이의 간극의 크기는, 이들 스프링부 (57, 77) 가 접속부 (52, 72) 로부터 접촉부 (54, 74) 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의 위치 b의 부분과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의 위치 f 의 부분 사이의 간극이,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의 위치 a 의 부분과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의 위치 e 의 부분 사이의 간극, 및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에 있어서의 위치 c 의 부분과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에 있어서의 위치 g 의 부분 사이의 간극 중 어느 것보다 커져 있다. 이 구조에 의해, 접촉부 (54, 74) 를 접속부 (52, 72) 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3 은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가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 는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가 구부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50A) 의 제 1 단자편 (51) 에 있어서, 각 스프링 요소 (59) 의 폭은, 스프링 요소 (59) 가 접속부 (52) 로부터 접촉부 (54) 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50A) 의 제 2 단자편 (71) 에 있어서, 각 스프링 요소 (79) 의 폭은, 스프링 요소 (79) 가 접속부 (72) 로부터 접촉부 (74) 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편 (51) 의 각 스프링 요소 (59) 에 있어서, 접속부 (52) 의 상단측에서 위치 a 의 직전의 위치까지 부분, 및 위치 b 와 위치 c 의 중간의 위치에서 위치 c 를 넘은 위치까지의 부분의 각각에, 당해 스프링 요소 (59) 의 다른 부분의 폭 W1 보다 넓은 폭 W2 를 갖는 폭광부 (幅廣部) (6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편 (71) 의 각 스프링 요소 (79) 에 있어서, 위치 f 와 위치 g 사이의 대략 중앙 부분, 및 위치 g 와 위치 h 사이의 대략 중앙 부분의 각각에, 당해 스프링 요소 (79) 의 다른 부분의 폭 W3 보다 넓은 폭 W4 를 갖는 폭광부 (83)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 요소 (59, 79) 에 있어서, 폭광부 (63, 83) 가 형성된 부분은, 폭광부 (63, 83)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과 비교하여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제 1 단자편 (51) 의 각 스프링 요소 (59)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 스프링 요소 (79) 에 폭광부 (63, 83) 를 형성함으로써,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 스프링 요소 (59, 79) 의 탄성 변형의 형상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 요소 (59) 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 요소 (79) 가 탄성 변형의 과정에 있어서 서로 간섭하여, 스프링부 (57, 77) 가 탄성 변형되기 어려워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0 내지 도 14 를 사용하여 단자 (50A) 에 대해,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구조 및 형상, 그리고 제 1 단자편 (51) 에 대한 제 2 단자편 (71) 의 위치 등에 대해 설명했지만, 단자 (50B 내지 50F) 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구조 및 형상도, 단자 (50A)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하고, 또, 단자 (50B 내지 50F) 의 각각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에 대한 제 2 단자편 (71) 의 위치 등도, 단자 (50A)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에 대한 제 2 단자편 (71) 의 위치 등과 동일하다.
각 단자 (50A ∼ 50F) 는, 제 1 단자편 (51) 의 연결부 (60) 및 제 2 단자편 (71) 의 연결부 (80) 에 형성된 걸림부 (62, 82) 가 고정 하우징 (11) 의 단자 지지 홈 (20) 에 각각 삽입되고, 걸림 오목부 (21) 에 각각 걸림으로써, 고정 하우징 (11) 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각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연결부 (61) 및 제 2 단자편 (71) 의 연결부 (81) 에 형성된 걸림부 (62, 82) 가 가동 하우징 (31) 의 단자 지지 홈 (40) 에 각각 삽입되고. 걸림 오목부 (41) 에 각각 걸림으로써, 가동 하우징 (31) 이 단자 (50A ∼ 50F) 에 의해 고정 하우징 (11) 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91) 를 접속시킬 때에는,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 93F) 의 접촉부 (95) 를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31) 의 삽입부 (36) 내에 삽입한다. 이로써,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 93F) 의 접촉부 (95) 가, 커넥터 (1) 의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및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에 각각 접촉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가, 커넥터 (1) 의 단자 (50A)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와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사이에 들어가,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의 좌우 방향 일방의 면이, 커넥터 (1) 의 단자 (50A)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3 개의 접촉자 (55) 의 각각의 접촉면 (55A) 에 접촉하고,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A) 의 접촉부 (95) 의 좌우 방향 타방의 면이, 커넥터 (1) 의 단자 (50A) 에 있어서의 제 2 단자편 (71) 의 3 개의 접촉자 (75) 의 각각의 접촉면 (75A) 에 접촉한다. 또,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B) 의 접촉부 (95) 가, 커넥터 (1) 의 단자 (50B)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와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사이에 들어가,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B) 의 접촉부 (95) 의 좌우 방향 일방의 면이, 커넥터 (1) 의 단자 (50B)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3 개의 접촉자 (55) 의 각각의 접촉면 (55A) 에 접촉하고,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B) 의 접촉부 (95) 의 좌우 방향 타방의 면이, 커넥터 (1) 의 단자 (50B) 에 있어서의 제 2 단자편 (71) 의 3 개의 접촉자 (75) 의 각각의 접촉면 (75A) 에 접촉한다. 마찬가지로,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C ∼ 93F) 의 접촉부 (95) 가, 커넥터 (1) 의 단자 (50C ∼ 50F)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접촉부 (54) 와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74) 사이에 각각 들어가, 상대 커넥터 (91) 의 단자 (93C ∼ 93F) 의 접촉부 (95) 가, 커넥터 (1) 의 단자 (50C ∼ 50F) 에 있어서의 접촉부 (54, 74) 와 각각 접촉한다.
또, 커넥터 (1) 에 대한 상대 커넥터 (91) 의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및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가 각각 탄성 변형되고, 고정 하우징 (11)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접속부 (52, 72)) 에 대해, 가동 하우징 (31)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접촉부 (54, 74)) 이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커넥터 (1) 의 단자 (50A ∼ 50F) 의 접촉부 (54, 74) 에 대한 상대 커넥터 (91) 의 각각의 단자 (93) 의 접촉부 (95) 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되어, 커넥터 (1) 의 단자 (50A ∼ 50F) 와 상대 커넥터 (91) 의 각각의 단자 (93) 사이의 양호한 접속이 확보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각 단자 (50A ∼ 50F) 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 (59) 로 분할된 스프링부 (57) 를 갖는 제 1 단자편 (51) 과, 복수의 스프링 요소 (79) 로 분할된 스프링부 (77) 를 갖는 제 2 단자편 (71) 을 갖고 있고, 그리고, 이들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은, 스프링부 (57, 77) 가, 스프링부 (57, 77)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스프링부 (57, 77) 의 표면 (57A, 77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각의 스프링부 (57, 77) 가 복수의 스프링 요소 (59, 79) 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스프링부 (57, 77) 는 각각 탄성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고정 하우징 (11) 에 대한 가동 하우징 (31) 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커넥터 (1) 의 플로팅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또, 각 단자 (50A ∼ 50F) 가 2 개의 단자편 (51, 71) 을 갖고 있으므로, 각 단자 (50A ∼ 50F) 가 단일의 단자편만을 갖고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단자 (50A ∼ 50F) 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어, 전류값이 높은 전원 전류를 취급할 수 있는 전원용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 각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은, 각각의 스프링부 (57, 77) 가, 스프링부 (57, 77)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스프링부 (57, 77) 의 표면 (57A, 77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단자편 (51) 의 대부분과 제 2 단자편 (71) 의 대부분이 서로 접근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을 갖는 단자를 배치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의하면, 각 단자 (50A ∼ 50F) 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가동 하우징 (31) 의 고정 하우징 (11) 에 대한 충분한 이동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커넥터 (1) 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의 각 단자 (50A ∼ 50F)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각의 접촉부 (54, 74) 는, 가동 하우징 (31) 의 삽입부 (36) 내에 있어서, 접촉면 (55A, 75A) 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접촉부의 각각의 접촉면이 서로 대향한 구조에 의하면, 각각의 접촉면을 상대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의 양면에 동시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해 이동하는 구조에 있어서도,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속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 의하면,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57, 77) 를, 그것들의 표면 (57A, 77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면서,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각각의 접촉부 (54, 74) 의 접촉면 (55A, 75A) 을 서로 대향시킴으로써, 커넥터 (1) 의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91) 의 접속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6 은 커넥터 (100) 를 상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은 커넥터 (100) 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 은 커넥터 (100) 의 후부를 하방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 는 커넥터 (100) 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 은 도 16 중의 화살표 XX-XX 방향에서 본 커넥터 (100) 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0 에 나타내는 커넥터 (100) 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접속된 상태이고, 도 20 중의 195 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이다.
커넥터 (100) 는, 기판에 실장되는 플로팅 커넥터이다. 커넥터 (100)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1) 과, 1 쌍의 고정 금구 (125) 와, 2 개의 가동 하우징 (131, 132) 과, 2 개의 단자 (151, 152) 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하우징 (111) 은,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은, 좌벽부 (112), 우벽부 (113), 전벽부 (114), 후벽부 (115) 및 상벽부 (116) 를 갖고, 하측이 개구된 상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내부에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가동 하우징 (131, 132) 및 2 개의 단자 (151, 152) 를 수용하는 수용부 (117)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1) 의 상벽부 (116) 에는, 2 개의 단자 삽입공 (118) 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단자 삽입공 (118) 은 전후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각 단자 삽입공 (118) 은 수용부 (117) 에 연통되어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100) 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가 2 개의 단자를 갖고 있는 경우, 커넥터 (100) 의 2 개의 단자 삽입공 (118) 에는, 상대 커넥터의 2 개의 단자가 각각 삽입된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상부에는 2 개의 절결 (119)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상부에도 2 개의 절결 (119)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전벽부 (114) 및 후벽부 (115) 에는, 고정 금구 (125) 를 장착하기 위한 금구 장착부 (12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 (111) 은 고정 금구 (125) 에 의해, 커넥터 (100) 가 실장되는 기판에 고정된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후부의 하부에는,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및 제 2 단자편 (162) 을 각각 지지하는 2 쌍의 단자 지지 홈 (121, 122)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후부의 하부에는, 단자 (151) 의 제 3 단자편 (163) 및 제 4 단자편 (164) 을 각각 지지하는 2 쌍의 단자 지지 홈 (123, 124)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7 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전부의 하부에도,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2 쌍의 단자 지지 홈 (121, 122) 과 동일한 2 쌍의 단자 지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 지지 홈에는, 단자 (152) 의 제 1 단자편 (161) 및 제 2 단자편 (162) 이 지지되어 있다. 또,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전부의 하부에도,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2 쌍의 단자 지지 홈 (123, 124) 과 동일한 2 쌍의 단자 지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단자 지지 홈에는, 단자 (152) 의 제 3 단자편 (163) 및 제 4 단자편 (164) 이 지지되어 있다.
각 가동 하우징 (131, 132)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지 등의 절연 재료에 의해 대략 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가동 하우징 (131, 132) 은 서로 독립된 부재이다. 도 16 및 도 17 을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 개의 가동 하우징 (131, 132) 은, 고정 하우징 (111) 의 수용부 (117) 내에 전후 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하우징 (131) 은 수용부 (117) 내의 후부에 배치되고, 가동 하우징 (132) 은 수용부 (117) 내의 전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가동 하우징 (131, 132) 의 내측에는 삽입부 (133) 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 (131) 의 삽입부 (133) 내에는, 단자 (151) 의 단자편 (161 ∼ 164) 의 각각의 접촉부 (172, 182) 가 배치된다. 또, 가동 하우징 (132) 의 삽입부 (133) 내에는, 단자 (152) 의 단자편 (161 ∼ 164) 의 각각의 접촉부 (172, 182) 가 배치된다. 또,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131) 의 삽입부 (133) 및 가동 하우징 (132) 의 삽입부 (133) 는, 고정 하우징 (111) 의 2 개의 단자 삽입공 (118) 과 각각 상하 방향에 있어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부 (133) 에는, 단자 삽입공 (118) 내를 통과한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된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는, 단자 (151) 의 단자편 (161 ∼ 164) 을 지지하기 위한 4 쌍의 단자 지지 홈 (134 ∼ 136)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 (132) 의 하부에도,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 형성된 4 쌍의 단자 지지 홈 (134 ∼ 136) 과 동일한 4 쌍의 단자 지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4 쌍의 단자 지지 홈에는, 단자 (152) 의 단자편 (161 ∼ 164) 이 지지되어 있다.
도 19 에 있어서, 단자 (151) 는, 가동 하우징 (131) 에 장착되고, 가동 하우징 (131) 과 함께 고정 하우징 (111) 의 후부에 배치된다. 또, 단자 (152) 는 가동 하우징 (132) 에 장착되고, 가동 하우징 (132) 과 함께 고정 하우징 (111) 의 전부에 배치된다.
단자 (151) 는, 제 1 단자편 (161), 제 2 단자편 (162), 제 3 단자편 (163), 및 제 4 단자편 (164) 을 갖고 있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편 (161) 및 제 2 단자편 (162) 은 가동 하우징 (131) 의 우측에,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제 3 단자편 (163) 및 제 4 단자편 (164) 은 가동 하우징 (131) 의 좌측에, 대체로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편 (161 ∼ 164) 은 예를 들어 금속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1 은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편 (161) 은, 기기 또는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 (171),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 (172), 및 접속부 (171) 에 대해 접촉부 (172) 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접속부 (171) 와 접촉부 (172) 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 (173) 를 갖고 있다.
접속부 (171) 는, 제 1 단자편 (161) 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 (171) 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단일의 접속자를 갖고 있다.
접촉부 (172) 는, 제 1 단자편 (161) 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172) 는 2 개의 접촉자 (176) 를 갖고 있다. 각 접촉자 (176) 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 각 접촉자 (176) 의 상단측 부분은,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く 자형으로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진 부분의 좌면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되고 있다.
스프링부 (173) 는, 접속부 (171) 와 접촉부 (17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 (173) 에는 복수 (예를 들어 6 개) 의 슬릿 (177) 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 (173) 에 복수의 슬릿 (177) 이 형성됨으로써, 스프링부 (173) 는, 복수 (예를 들어 7 개) 의 스프링 요소 (178) 로 분할되어 있다. 스프링부 (173)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와 거의 동일하게, 대체로 크랭크상 또는 S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 각 스프링 요소 (178) 의 폭은, 당해 스프링 요소 (178) 가 접속부 (171) 로부터 접촉부 (172) 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되고 있다.
또, 접속부 (171) 와 스프링부 (173) 를 연결하는 연결부 (174)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걸림부 (17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의 연결부 (174)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1) 에 삽입된다. 연결부 (174) 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1) 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부 (179) 가 단자 지지 홈 (121)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도시 생략) 에 걸린다.
또,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173) 와 접촉부 (172) 를 연결하는 연결부 (175)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걸림부 (179)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의 연결부 (175)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4) 에 삽입된다. 연결부 (175) 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4) 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부 (179) 가 단자 지지 홈 (134)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도시 생략) 에 걸린다.
도 22 는 단자 (151) 의 제 2 단자편 (162) 을 나타내고 있다.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단자편 (162) 은, 접속부 (181), 접촉부 (182), 및 스프링부 (183) 를 갖고 있다. 접속부 (181) 는, 좌우 방향으로 신장된 2 개의 접촉자 (186) 를 갖고 있다. 접촉부 (182) 는, 상하 방향으로 신장된 2 개의 접촉자 (187) 를 갖고 있다. 각 접촉자 (187) 의 상단측 부분은 좌방으로 돌출되도록 く 자형으로 구부러지고, 이 구부러진 부분의 좌면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이 되고 있다. 스프링부 (183) 에는 복수의 슬릿 (188) 이 형성되고, 이로써, 스프링부 (183) 는 복수의 스프링 요소 (189) 로 분할되어 있다. 또, 스프링부 (183) 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와 거의 동일하게, 대체로 크랭크상 또는 S 자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 스프링부 (183) 의 각 스프링 요소 (189) 의 폭은, 당해 스프링 요소 (189) 가 접속부 (181) 로부터 접촉부 (182) 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화되고 있다.
또, 접속부 (181) 와 스프링부 (183) 를 연결하는 연결부 (184)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걸림부 (19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2 단자편 (162) 의 연결부 (184)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1) 의 우벽부 (113)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2) 에 삽입된다. 연결부 (184) 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2) 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부 (190) 가 단자 지지 홈 (122)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도시 생략) 에 걸린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부 (183) 와 접촉부 (182) 를 연결하는 연결부 (185) 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도 걸림부 (190)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2 단자편 (162) 의 연결부 (185)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5) 에 삽입된다. 연결부 (185) 의 전단부 및 후단부가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5) 에 삽입되었을 때, 걸림부 (190) 가 단자 지지 홈 (135) 의 바닥면에 형성된 걸림 오목부 (도시 생략) 에 걸린다.
단자 (151) 의 제 3 단자편 (163)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고, 단자 (151) 의 제 1 단자편 (161) 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단자편 (163) 의 연결부 (174)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3) 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또, 제 3 단자편 (163) 의 연결부 (175)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6) 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단자 (151) 의 제 4 단자편 (164)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의 제 2 단자편 (162) 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고, 단자 (151) 의 제 2 단자편 (162) 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4 단자편 (164) 의 연결부 (184)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고정 하우징 (111) 의 좌벽부 (112) 의 후부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24) 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또, 제 4 단자편 (164) 의 연결부 (185) 의 전단부 및 후단부는, 가동 하우징 (131) 의 하부에 형성된 1 쌍의 단자 지지 홈 (137) 에 삽입되어 걸려 있다.
또,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151)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161) 및 제 2 단자편 (162) 은, 각각의 스프링부 (173, 183) 가, 각 스프링부 (173, 183)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각 스프링부 (173, 183) 의 표면 (173A, 183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단자편 (161) 및 제 2 단자편 (162) 의 배치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자편 (51) 및 제 2 단자편 (71) 의 배치와 동일하다. 또, 단자 (151) 에 있어서, 제 3 단자편 (163) 및 제 4 단자편 (164) 도, 각각의 스프링부 (173, 183) 가, 각 스프링부 (173, 183)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이르기까지, 각 스프링부 (173, 183) 의 표면 (173A, 183A) 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단자 (151) 에 있어서, 제 1 단자편 (161) 의 접속부 (171) 는, 제 2 단자편 (162) 의 접속부 (181) 의 2 개의 접촉자 (186)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161) 의 접촉부 (172) 의 2 개의 접촉자 (176) 는, 제 2 단자편 (162) 의 접촉부 (182) 의 2 개의 접촉자 (18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 3 단자편 (163) 의 접속부 (171) 는, 제 4 단자편 (164) 의 접속부 (181) 의 2 개의 접촉자 (186)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3 단자편 (163) 의 접촉부 (172) 의 2 개의 접촉자 (176) 는, 제 4 단자편 (164) 의 접촉부 (182) 의 2 개의 접촉자 (187)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단자편 (161) 의 2 개의 접촉자 (176) 및 제 2 단자편 (162) 의 2 개의 접촉자 (187) 의 각각의 접촉면과, 제 3 단자편 (163) 의 2 개의 접촉자 (176) 및 제 4 단자편 (164) 의 2 개의 접촉자 (187) 의 각각의 접촉면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또, 단자 (151) 는, 단자편 (161 ∼ 164) 의 연결부 (174, 184) 에 형성된 걸림부 (179, 190) 가 고정 하우징 (111) 의 단자 지지 홈 (121 ∼ 124) 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고정 하우징 (111)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단자 (151) 에 있어서의 단자편 (161 ∼ 164) 의 연결부 (175, 185) 에 형성된 걸림부 (179, 190) 가 가동 하우징 (131) 의 단자 지지 홈 (134 ∼ 136) 에 각각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가동 하우징 (131) 이 단자 (151) 에 의해 고정 하우징 (111) 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단자 (152) 는, 단자 (151) 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고 있다. 또, 단자 (152) 는, 단자 (151) 와 동일한 수단으로 고정 하우징 (111) 에 고정되어 있다. 또, 단자 (152) 는, 단자 (151) 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가동 하우징 (132) 을 고정 하우징 (111) 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도,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에 있어서, 가동 하우징 (131) 과 가동 하우징 (132) 은, 각각 독립적으로 고정 하우징 (111), 또는 커넥터 (100) 가 실장된 기판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 개의 단자를 갖는 상대 커넥터와 커넥터 (100) 를 접속시키는 경우, 단자 (151) 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의 일방의 단자와, 단자 (152) 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의 타방의 단자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가동 하우징 (131) 또는 가동 하우징 (132) 의 이동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또,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 (100) 에 있어서는, 각 단자 (151, 152) 가, 4 개의 단자편 (161 ∼ 164)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1 개의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편의 개수를 늘림으로써, 단자의 전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의 각 단자의 각 단자편에 있어서, 접속부에 있어서의 접속자의 개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접촉자의 개수, 스프링부에 있어서의 슬릿의 개수, 또는 스프링부에 있어서의 스프링 요소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스프링부에 슬릿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각 단자를 구성하는 단자편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2 개의 단자편 간에 있어서, 슬릿의 개수 또는 스프링 요소의 개수를 상이하게 해도 된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편 (51, 71 (161 ∼ 164)) 의 스프링부 (57, 77 (173, 183)) 의 형상이 도 1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크랭크상 또는 S 자상인 경우를 예로 들었지만, 스프링부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스프링부의 굴곡 지점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거나, 또는 스프링부를 굴곡 지점이 없는 직선상으로 형성해도 되거나, 또는 스프링부를 예를 들어 싸인 커브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의 전체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의 전체가 서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단자편 (51) 의 스프링부 (57) 의 일부와 제 2 단자편 (71) 의 스프링부 (77) 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3 개 이상의 단자편을, 각각의 스프링부가, 각 스프링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1) 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 (31) 의 대부분이 고정 하우징 (11) 의 내측의 공간 내에 들어가 있지만, 가동 하우징 (31) 의 일부가 고정 하우징 (11) 으로부터 외측으로 크게 비어져 나와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가동 하우징 (31) 의 상하 방향의 치수가, 고정 하우징 (11) 의 상하 방향의 치수보다 대폭 커, 가동 하우징 (31) 이 고정 하우징 (11) 의 내측의 공간으로부터 상방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또, 1 개의 고정 하우징에 형성하는 가동 하우징의 개수는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트 앵글형의 커넥터 (221) 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도 2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단자 (232) 및 신호 단자 (233) 를 갖는 복합형의 커넥터 (231) 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4(B) 중의 커넥터 (235) 는, 커넥터 (231) 와 접속시킬 수 있는 상대 커넥터이다.
또,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러한 변경을 수반하는 전기 커넥터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된다.
1, 100, 221, 231 : 커넥터 (전기 커넥터)
11, 111 : 고정 하우징
31, 131, 132 : 가동 하우징
50A ∼ 50F, 151, 152, 232 : 단자
51, 71, 161, 162, 163, 164 : 단자편
52, 72, 171, 181 : 접속부
54, 74, 172, 182 : 접촉부
55A, 75A : 접촉면
57, 77, 173, 183 : 스프링부
57A, 77A, 173A, 183A : 표면
58, 78, 177, 188 : 슬릿
59, 79, 178, 189 : 스프링 요소
63, 83 : 폭광부
91, 235 : 상대 커넥터
93A ∼ 93F : 상대 커넥터의 단자

Claims (6)

  1. 2 개의 단자편을 갖는 단자와,
    기기 또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상기 단자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각 상기 단자편은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고, 각 상기 단자편의 길이 방향 일단측에는 상기 기기 또는 상기 기판에 형성된 회로에 접속되는 접속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단자편의 길이 방향 타단측에는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단자편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 사이에는 상기 접속부에 대해 상기 접촉부가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를 접속시키는 스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2 개의 단자편은, 당해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스프링부의 적어도 일부가 당해 각 스프링부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개재하여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하우징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각 상기 단자편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갖고,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삽입부 내에 있어서, 당해 접촉부의 각각의 상기 접촉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스프링부 간의 간극의 크기는,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스프링부가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의 상기 접촉부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단자편의 스프링부에는, 당해 단자편을 그 표면으로부터 이면으로 관통하고, 당해 단자편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단자편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슬릿에 의해 복수의 세판상의 스프링 요소로 분할되고, 각 상기 스프링 요소의 폭은, 당해 스프링 요소가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접촉부로 신장되는 과정에서 변화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자와,
    복수의 상기 가동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가동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단자에 의해 상기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각각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00124889A 2019-10-02 2020-09-25 전기 커넥터 KR202100399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82007 2019-10-02
JP2019182007A JP7358171B2 (ja) 2019-10-02 2019-10-02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954A true KR20210039954A (ko) 2021-04-12

Family

ID=7271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889A KR20210039954A (ko) 2019-10-02 2020-09-25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42712B2 (ko)
EP (1) EP3800742B1 (ko)
JP (1) JP7358171B2 (ko)
KR (1) KR20210039954A (ko)
CN (1) CN1126000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9139B2 (ja) 2018-04-18 2022-09-2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17060112A (zh) * 2022-05-05 2023-11-14 手持产品公司 用于抗冲击的动态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3035A (ja) 2017-08-09 2019-0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35844U (en) * 1999-10-29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2237340A (ja) 2001-02-09 2002-08-23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587807B2 (ja) 2011-02-07 2014-09-10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5606588B1 (ja) * 2013-05-20 2014-10-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455530B2 (en) 2014-07-01 2016-09-2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JP2017117734A (ja) 2015-12-25 2017-06-29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06512B2 (ja) * 2016-02-29 2020-06-10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2931B2 (ja) 2016-03-08 2018-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6392B2 (ja)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部材との接続構造
JP6463446B1 (ja) * 2017-11-16 2019-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6959876B2 (ja) 2018-01-25 2021-1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39139B2 (ja) 2018-04-18 2022-09-2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33035A (ja) 2017-08-09 2019-0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57311A (ja) 2021-04-08
US20210104840A1 (en) 2021-04-08
CN112600002B (zh) 2024-06-18
EP3800742A1 (en) 2021-04-07
EP3800742B1 (en) 2023-04-19
CN112600002A (zh) 2021-04-02
US11342712B2 (en) 2022-05-24
JP7358171B2 (ja)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39954A (ko) 전기 커넥터
EP2619852B1 (en) Connector having noise removal capability
US8177587B2 (en) Connector with movable-side contact and fixed-side contact
US7080990B1 (en) Control module assembly
CN107819228B (zh) 阴型电连接器、阳型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装体
JP676131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EP3413398A1 (en) Multi-contact connector
JP7154782B2 (ja) 可動コネクタ
US10411377B2 (en) Surface mount connector with alternative direction mounting feature
JP7107708B2 (ja) コネクタ
US20190288449A1 (en) Connector Housing, Adapter, And Modular Electrical Plug Connector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100416432B1 (ko) 전기커넥터및커넥터어셈블리
JP3682826B2 (ja) コネクタ
JP2021057115A (ja) 電気コネクタ
JP3659198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7485988B2 (ja) コネクタ
KR20120086667A (ko) 플로팅 커넥터
EP4362239A1 (en) Connector
JP6923851B2 (ja) 中継コネクタ
WO2022190780A1 (ja) コネクタ
US20230327356A1 (en) Connector
WO2023042619A1 (ja) 積層コネクタ
WO2022264799A1 (ja) コネクタ
JP202317012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