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51A -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6551A
KR20210026551A KR1020190107499A KR20190107499A KR20210026551A KR 20210026551 A KR20210026551 A KR 20210026551A KR 1020190107499 A KR1020190107499 A KR 1020190107499A KR 20190107499 A KR20190107499 A KR 20190107499A KR 20210026551 A KR20210026551 A KR 20210026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wer
information
solar
photovolta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796B1 (ko
Inventor
이재진
Original Assignee
성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7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796B1/ko
Priority to PCT/KR2020/003431 priority patent/WO2021040165A1/ko
Priority to US16/831,981 priority patent/US11381088B2/en
Publication of KR20210026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H02J3/383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H02J13/0002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involving a local wireless network, e.g. Wi-Fi, ZigBee or 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186Bluetoo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H02J2300/26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involving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control for photovoltaic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70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energy generation se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는 태양광모듈 접속반, 태양광 인버터, 주변환경 감지장치, 전력 계측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원격 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 상기 태양광 인버터,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 상기 전력 계측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Gatew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photovoltaic generating facilities}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태양광 발전설비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대책 중에 하나로 태양광발전 시스템이 주목을 받고 있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한다.
그런데, 태양광 발전설비와 연결되는 인버터는 대부분 원격지에 위치하여 동작상태나, 고장유무를 즉시 현장확인이 어렵고, 접근에도 많은 제약이 따른다.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모니터링을 위해 계통 연계형 대용량 인버터 위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모듈 인버터나, 5Kw 이하의 소용량 인버터에는 모니터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요즘은 대용량에 비해 운영관리가 편리한 소용량 인버터을 이용하여 대용량발전을 추구하는 추세로 전환 되고 있어 이에 따른 태양광발전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고 이에 적합한 저비용 대용량에 적합한 모니터링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종래에는 태양광 발전설비 중 인버터, 주변환경센서, 전력량계, ESS 등에 대한 접속 및 모니터링을 위해 이들과 유선으로 연결된 RTU(remote terminal unit)에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설비의 실시간 제어를 위한 정보 수집에 있어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76160호(공고일 2017년9월8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태양광 발전설비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는 태양광모듈 접속반, 태양광 인버터, 주변환경 감지장치, 전력 계측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원격 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 상기 태양광 인버터,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 상기 전력 계측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지웨이브(Z-wave)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으로부터 직류 전원 정보, 상기 태양광 인버터로부터 전력정보, 주변환경 감지장치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전력 계측기로부터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 상기 태양광 인버터,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 상기 전력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통신부는, 이더넷 통신, LTE 통신, 5G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으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원 정보, 상기 태양광 인버터로부터 제공된 전력정보,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로부터 제동된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상기 전력 계측기로부터 제공된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제공된 충전 및 방전 전력에 대한 정보를 광역 통신망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태양광모듈 접속반, 태양광 인버터, 주변환경 감지장치, 전력 계측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와 직접적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관련정보를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광 발전설비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태양광 발전설비의 제어를 위한 시간 지연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태양광 발전설비의 선로상 전략량계를 계측하는 것보다, 게이트웨이 장치를 통해 태양광 인터버 또는 태양광 모듈의 접속반에서 직접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전력 제어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서버에서도 태양광모듈 접속반, 태양광 인버터, 주변환경 감지장치, 전력 계측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정보 수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제어신호의 송수신이 신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 장치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70)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2는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의 게이트웨이 장치를 중심으로 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 근거리 통신망(60), 게이트웨이 장치(70), 광역 통신망(80), 원격 서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모듈 접속반(10)은 태양광모듈에서 역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입력단의 회로를 보호하는 역전압 방지용 다이오드로 이루어진 역전압 방지모듈, 태양 전지판을 통해 생성된 전력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발전 상태의 정상 여부를 감시하는 전류 측정 센서, 과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용 퓨즈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태양광모듈 접속반(10)은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태양광모듈 접속반(10)은 태양광모듈에 대한 감지 전력전압 또는 전류에 대한 감지신호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태양광 인버터(20)는 입력 단자를 통해 태양광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력(또는 직류 전압/직류 전류)을 교류 전력(또는 교류 전압/교류 전류)으로 변환한다. 태양광 인버터(20)는 변환된 교류 전력을 계통(또는 부하)에 제공한다.
태양광 인버터(20)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발전되어 전달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태양광 인버터(20)는 복수의 스위칭 소자 및 계통 연계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스위칭 소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한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의 전환을 통해, 입력되는 직류 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계통 연계 필터는 전력변환기 및 계통 측 인덕터와 필터 커패시터를 구비한다. 또한, 태양광 인버터(20)는 MPPT 또는 PWM 제어가 이루어지고, 상황에 맞도록 구동시간을 설정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인버터(120)는 태양광 PCS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태양광 PCS는 교류 전원으로 변환된 전원을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에 저장하도록 직류로 변환할 수 있다.
특히, 태양광 인버터(20)는 기존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동작 이외에 실시간 발전량 정보, 누적 발전량 정보, 발전상태정보, 인버터 동작상태정보 등을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태양광 인버터(20)는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태양광 인버터(20)는 전력 변환에 대한 상태정보를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태양광 인버터(20)는 게이트웨이 장치(70)로부터 인버터의 상태정보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직류전압과 전류 및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압과 전류 및 교류 전압 주파수 등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한다.
주변환경 감지장치(30)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주변환경으로서,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다. 이를 위해, 주변환경 감지장치(30)는 온도센서, 풍속센서, 풍향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주변환경 감지장치(30)는 온도센서, 풍속센서, 풍향센서, 조도센서, 기압센서 등에 의해 감지된, 대기 온도정보, 풍속정보, 풍향정보, 조도정보, 기압 정보 등을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환경 감지장치(30)는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주변환경 감지장치(30)는 감지된 온도정보, 풍속정보, 풍향정보, 조도정보, 기압 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전력 계측기(40)는 태양광 인버터(20)에서 공급되는 교류전력 용량과 전력계통으로부터 공급되는 계통전력의 용량 또는 부하에서 실시간 소비되는 부하 전력을 계측한다.
전력 계측기(40)는 태양광 모듈의 전력 변환시스템(PCS)의 출력단에 구성되어 태양광 모듈에서 생산된 발전량을 계측할 수 있다. 전력 계측기(40)는 직류 전원 계측기 및 교류 전원 계측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직류 전원 계측기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발전된 직류발전 전력을 계측하는 것으로, 직류발전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직류발전 전류센서와 직류발전 전류센서로부터 출력된 직류발전 전류신호를 계측하여 직류발전 전류를 측정하는 직류전류 측정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직류 전원 계측기는 태양광 모듈로부터 발전된 직류발전 전압을 측정하는 직류발전 전압센서와 직류발전 전압센서로부터 출력된 직류발전 전압신호를 계측하여 직류발전 전압을 측정하는 직류전압 측정회로를 포함한다.
교류 전원 계측기는 태양광 인버터(20)로부터 출력되는 교류발전 전력을 계측하는 것으로, 교류발전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교류발전 전류센서와 교류발전 전류센서로부터 출력된 교류발전 전류신호를 계측하여 교류발전 전류를 측정하는 교류전류 측정회로를 포함한다. 또한, 교류 전원 계측기는 교류발전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교류발전 전압센서와 교류발전 전압센서로부터 출력된 교류발전 전압신호를 계측하여 교류발전 전압을 측정하는 교류전압 측정회로를 포함한다.
특히, 전력 계측기(40)는 계측된 직류 전류, 직류 전압,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에 관한 정보 등을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계측기(40)는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전력 계측기(40)는 계측된 직류 전류, 직류 전압, 교류 전류 및 교류 전압에 관한 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 전송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전력계통에서 발전, 송배전 등에 설치되어, 주파수 조정(Frequency Regulation),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기 출력 안정화, 첨두부하 저감(Peak Shaving), 부하 평준화(Load Leveling), 비상 전원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에너지 저장을 위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즉, 에너지 저장정보는 충/방전시 전력의 크기에 따라 용량 효율이 변하는 배터리의 종류 및 충전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ESS-PCS를 구비할 수 있으며, ESS-PCS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에 저장된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은 태양광모듈 접속반(10)의 직류 전원정보, 태양광 인버터(20)의 교류 전원정보, 주변환경 감지장치(30)의 주변환경 감지정보 또는 전력 계측기(40)의 직류 또는 교류 전력 정보 등을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60)은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및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과 게이트웨이 장치(70)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망(60)은 와이파이(WIFI)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지그비(Zigbee) 통신망, 지웨이브(Z-wave) 통신망, 시그폭스(SIGFOX) 통신망,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망,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망, 로라(LoRa) 통신망, 시그폭스(SIGFOX) 통신망,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망은 LPWAN(저전력 광역통신망)으로서 서비스 범위(커버리지)가 10 km 이상의 광역으로 매우 넓고, 초당 최대 수백 킬로비트(kbps) 이하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전력 소모가 적은 무선 광역 통신망에 해당한다. 따라서, 이러한 저전력 광역 통신망(LPWAN)을 사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지역에 걸쳐 산재되어 있는 데이터를 낮을 전력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게이트웨이 장치(70)는 근거리 통신망(60)을 통해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에너지 저장 시스템(50) 등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정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으로 전송하거나,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전송한다. 게이트웨이 장치(7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광역 통신망(80)은 게이트웨이 장치(70)와 원격 서버(90) 사이에서 광역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이러한 광역 통신망(80)은 이더넷 통신망, LTE 통신망, 5G 통신망, 로라(LoRa) 통신망, 시그폭스(SIGFOX) 통신망,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망,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서버(90)는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게이트웨이 장치(7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서버(90)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또는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의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신호를 해당 기기들로 전송할 수 있으며, 해당 기기들로부터 제공되는 모니터링 신호 또는 응답 신호를 게이트웨이 장치(70)와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설비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70)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게이트웨이장치(70)는 제1 통신부(71), 제2 통신부(72) 및 제어부(73)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71)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에너지 저장시스템(ESS: 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1 통신부(71)는 와이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지웨이브(Z-wave)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등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부(71)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으로부터 직류 전원 정보, 태양광 인버터(20)로부터 교류 변환 전력정보, 주변환경 감지장치(30)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전력 계측기(40)로부터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한다.
또한, 제1 통신부(71)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등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71)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에서 수집된 충전 및 방전 전력에 대한 정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5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71)는 원격 서버(90)에서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 등의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위한 신호를 각각의 기기로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부(72)는 원격 서버(9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2 통신부(72)는 이더넷 통신, LTE 통신, 5G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등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제2 통신부(72)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으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원 정보, 태양광 인버터(20)로부터 제공된 교류 변환 전력정보, 주변환경 감지장치(30)로부터 제동된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전력 계측기(40)로부터 제공된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에서 제공된 충전 및 방전 전력에 대한 정보 등을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유선/무선 전송한다.
또한, 제2 통신부(72)는 원격 서버(90)에서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 등의 모니터링 또는 제어를 위한 신호를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3)는 제1 통신부(71) 및 제2 통신부(72)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3)는 원격 서버(9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또는 모니터링 신호에 따라 제1 통신부(71) 및 제2 통신부(72)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73)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또는 전력 계측기(4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제1 통신부(71)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73)는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또는 전력 계측기(4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1 통신부(7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또는 전력 계측기(40)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3)는 원격 서버(90)의 제어 신호 또는 모니터링 신호에 따라,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또는 전력 계측기(40)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원격 서버(90)로 전송하도록 제2 통신부(72)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태양광모듈 접속반(10), 태양광 인버터(20), 주변환경 감지장치(30), 전력 계측기(40) 또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50)로부터 수집된 정보가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지연 후에 광역 통신망(80)을 통해 원격 서버(9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태양광모듈 접속반
20: 태양광 인버터
30: 주변환경 감지장치
40: 전력 계측기
50: 에너지 저장시스템
60: 근거리 통신망
70:게이트웨이 장치
71: 제1 통신부
72: 제2 통신부
73: 제어부
80: 광역 통신망
90: 원격 서버

Claims (5)

  1. 태양광모듈 접속반, 태양광 인버터, 주변환경 감지장치, 전력 계측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원격 서버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통신부 및 상기 제2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 상기 태양광 인버터,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 상기 전력 계측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와이파이(WIFI)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지웨이브(Z-wave)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으로부터 직류 전원 정보, 상기 태양광 인버터로부터 전력정보, 주변환경 감지장치로부터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전력 계측기로부터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 상기 태양광 인버터,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 상기 전력 계측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이더넷 통신, LTE 통신, 5G 통신, 로라(LoRa) 통신, 시그폭스(SIGFOX) 통신,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통신,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통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부는,
    상기 태양광모듈 접속반으로부터 제공된 직류 전원 정보, 상기 태양광 인버터로부터 제공된 전력정보, 상기 주변환경 감지장치로부터 제동된 태양광 발전설비 주변의 대기 온도, 풍속, 풍향, 조도, 기압 등에 대한 정보, 상기 전력 계측기로부터 제공된 태양광 모듈에서의 생성 및 변환된 직류 전원 또는 교류 전원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서 제공된 충전 및 방전 전력에 대한 정보를 광역 통신망을 통해 원격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 장치.
KR1020190107499A 2019-08-30 2019-08-30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KR10226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99A KR102266796B1 (ko) 2019-08-30 2019-08-30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PCT/KR2020/003431 WO2021040165A1 (ko) 2019-08-30 2020-03-12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US16/831,981 US11381088B2 (en) 2019-08-30 2020-03-27 Gateway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99A KR102266796B1 (ko) 2019-08-30 2019-08-30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551A true KR20210026551A (ko) 2021-03-10
KR102266796B1 KR102266796B1 (ko) 2021-06-18

Family

ID=7467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99A KR102266796B1 (ko) 2019-08-30 2019-08-30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81088B2 (ko)
KR (1) KR102266796B1 (ko)
WO (1) WO202104016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002A (ko) 2021-09-10 2023-03-17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용 스마트 계량기,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517403B1 (ko) * 2022-06-23 2023-04-04 주식회사 티팩토리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ess 원격 안전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70709A1 (en) * 2022-04-29 2023-11-01 FRONIUS INTERNATIONAL GmbH Energy management system
KR20240088486A (ko) * 2022-12-13 2024-06-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 발전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594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776160B1 (ko) 2017-05-15 2017-09-08 디아이케이(주) 계통 연계형 태양광/ess 전력변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76219B2 (en) * 2007-04-13 2014-03-18 Hart Communication Foundation Combined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field devices in a process control environment
US8854193B2 (en) * 2009-12-29 2014-10-07 Tigo Ener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or local shut-off of a photovoltaic system
JP2012019652A (ja) * 2010-07-09 2012-01-26 Sony Corp 電力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電力コントロール方法
IN2014CN02741A (ko) * 2011-10-14 2015-07-03 Carbontrack Pty Ltd
KR101539572B1 (ko) * 2015-04-23 2015-07-28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외부 전력 계통 연계형 태양광, ess 및 전기차 충전 융복합 증강현실 시스템
KR101703727B1 (ko) * 2015-07-23 2017-02-14 주식회사 태찬테크 태양광발전의 최대효율을 위한 출력 보상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4594A (ko) * 2010-12-28 2012-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776160B1 (ko) 2017-05-15 2017-09-08 디아이케이(주) 계통 연계형 태양광/ess 전력변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002A (ko) 2021-09-10 2023-03-17 한국전력공사 태양광 발전용 스마트 계량기, 이를 갖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102517403B1 (ko) * 2022-06-23 2023-04-04 주식회사 티팩토리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 ess 원격 안전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165A1 (ko) 2021-03-04
US11381088B2 (en) 2022-07-05
US20210066919A1 (en) 2021-03-04
KR102266796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796B1 (ko) 태양광 발전설비의 전력제어를 위한 게이트웨이장치
KR101631064B1 (ko) 배터리 팩의 전압 측정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5973612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101798554B1 (ko) 일체형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모니터링 장치
CN101523230A (zh) 太阳能逆变器以及用于将太阳能转换成电能的装置
JP6129068B2 (ja) 電力制御装置、機器制御装置、及び方法
KR20160001249A (ko) 태양광 발전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이용한 홈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04993516A (zh) 一种基于光伏发电单元的微网***
JP5956517B2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JP2013027208A (ja) 起動制御方法、系統連系装置、及び制御装置
CN104779634A (zh) 一种微电网储能调度方法
KR102159057B1 (ko) 태양광 발전 시스템
CN211790906U (zh) 一种大功率离网型能源管理***
JP6012517B2 (ja) 電力変換装置、電力接続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70882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および電力供給方法
JP2020523971A (ja) エネルギー貯蔵システム
JP2022084512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スイッチ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KR20140136534A (ko) 듀얼 인버터를 구비한 독립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이로 구성되는 소규모 전력망의 전력을 제어하는 중앙제어시스템
KR101654891B1 (ko) 야드 크레인 회생 전력 관리 시스템
CN212162919U (zh) 一种大功率并网型能源管理***
KR20180131666A (ko) 태양광 발전장치와 계통 전원의 상태 감시 장치
US20220014025A1 (en) Feed-in method for a wind power system, and wind power system
US201900679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lly managing electric energy
KR101126073B1 (ko) 스마트 그리드 내에 분산전원 단독운전 방지 시스템
EP27215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local control of an energy re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